KR10180251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519B1
KR101802519B1 KR1020110016812A KR20110016812A KR101802519B1 KR 101802519 B1 KR101802519 B1 KR 101802519B1 KR 1020110016812 A KR1020110016812 A KR 1020110016812A KR 20110016812 A KR20110016812 A KR 20110016812A KR 101802519 B1 KR101802519 B1 KR 101802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mounting
light
plat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550A (ko
Inventor
최창봉
박만호
이재열
강미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6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5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2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operating by refraction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실시예는 탈착에 의해 장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선반의 장착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발광부재가 점등되고, 상기 선반의 후단으로 조사된 빛이 상기 선반에서 면발광 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세히,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의하여 저온 저압 상태로 변화된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냉기에 의하여 저장 공간이 저온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을 밝히는 조명에 있어서, 종래에서는 단순히 고내 벽면에 하나 혹은 두개가 구비되어 고내를 밝히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근래에 들어 간접조명 방식을 이용하여 고내를 밝히거나 고내에 구비되는 고정된 선반 또는 서랍 등을 이용하여 고내를 밝히는 등의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탈착에 의해 장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선반의 장착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의 발광부재가 점등되고, 상기 선반의 후단으로 조사된 빛이 상기 선반에서 면발광 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둘레를 통해 입사되는 빛에 의해 발광되는 선반; 상기 저장공간의 후벽면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냉기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냉기 덕트; 상기 냉기 덕트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의 후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장착홈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장착 높이를 조절하는 장착부재; 상기 다수의 장착홈과 대응하는 상기 냉기 덕트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의 장착시 상기 선반의 후단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부재; 상기 다수의 장착홈과 대응하는 상기 장착부재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의 장착시 상기 선반의 후단과 접하여 상기 장착홈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발광부재를 점등시키는 다수의 감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며,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플레이트로 입사되는 빛을 하방으로 방출할 수 있는 광확산필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플레이트로 입사되는 빛이 특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패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며,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개구되는 개구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개구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전면 개구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단에 장착되어 선반의 전단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 개구부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프론트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 커버부재는, 상기 프론트 커버부재의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커버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부재의 하부를 형성하는 로우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키는 렌즈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냉기 덕트를 기준으로 고내 벽면의 양측에 더 구비되어 상기 선반이 좌우 양측에 나란히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기 덕트에 구비되는 상기 장착부재에는 동일 높이에서 두개의 장착홀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홀 마다 대응하는 상기 감지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덕트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장착부재를 기준으로 동일 높이에 좌우 양측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은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저장공간의 중앙측에서 좌우 양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저장공간의 후측 벽면에 장착되며 냉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냉기 출구가 형성되는 덕트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재 및 감지장치와 연결된 전선은 상기 덕트커버를 따라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다수의 장착홈 측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반의 후단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며, 상기 감지장치와 접촉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다수의 발광부재가 상하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선반이 다양한 높이에 착탈가능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의 장착위치에 따라 감지부재에 의해 상기 선반의 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부재가 점등되어 상기 선반으로 빛을 조사하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에서는 선반으로 조사된 빛이 상기 선반을 따라 이동하면서 발광하여 하방 또는 전방으로 조사된다.
따라서, 선반 하부의 고내공간을 고르게 밝힐 수 있게 되어 시인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고정된 위치가 아닌, 사용자가 선반을 장착하는 위치에 따라 어떤 위치에서든 상기 선반을 통한 발광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도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반이 분리된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5-5'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선반의 발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방에 구비되는 탑마운트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탈착에 의해 장착위치를 조절하는 선반이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반이 분리된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11)에 의해 상측과 하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12)과 냉동실(13)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2)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상기 냉동실(13)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한쌍의 도어(20)로 구성되어 좌우 양측으로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냉동실(13)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기가 유동되는 냉기덕트(14)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덕트(14)는 상기 냉장실(12)의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냉기덕트(14)를 구성하는 덕트커버(141)가 상기 냉장실(12)의 후벽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커버(141)에는 다수의 냉기 출구(141)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으로 냉기를 토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는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선반(30)과 서랍(15) 등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냉장실(12) 내부에 제공되는 선반(30)들은 상기 냉장실(12) 내부에서 좌측과 우측으로 나뉘어져 제공되며, 캔틸레버 방식으로 고내 후측 벽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각각이 독립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15)은 상기 냉장실(12)의 하면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서랍(15)이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서랍(15) 중 적어도 한쌍은 좌우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각각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반(30)의 높이조절 가능한 장착을 위해서 상기 냉장실(12)의 후벽면에는 장착부재(40)가 구비될 수 있습니다. 상기 장착부재(40)는 상기 선반(30)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41)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12)의 후벽면 좌우 양측과, 냉장실(12) 중앙의 덕트커버(141)에 구비될 수 있습니다. 이때, 상기 덕트커버(141)에는 상기 장착부재(40)가 2개 구비될 수도 있고, 한쌍의 장착홈(41)이 상하 연속하여 형성되는 형태의 장착부재(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선반(30)을 원하는 높이에 형성된 장착부재(40)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선반(30)을 원하는 높이에 고정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선반(30)은 좌우 양측이 각기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의 선반(30)을 제거하여 다양한 공간 구성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커버(141)에는 다수의 발광부재(16)가 상하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재(16)는 칩 엘이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하나의 엘이디가 독립적으로 상기 덕트커버(141)에 장착될 수도 있고, 다수의 엘이디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어 한줄씩 일정간격으로 상하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16)는 다수의 엘이디 전체가 상기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덕트커버(141)에 장착될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발광부재(16)는 모듈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하 각각의 발광부재(16)는 칩 엘이디(161)가 수용되는 케이스(162)와, 상기 칩 엘이디(161)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칩 엘이디(161)에서 조사되는 빛을 발산시키기 위한 렌즈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발광부재(16)는 별도의 케이스 없이 상기 덕트커버(141)의 내측에 함몰된 공간에 배열되고,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으며, 전체 엘이디가 하나의 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상기 덕트커버(141)에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재(16) 즉, 엘이디의 상하방 배치 간격은 상기 장착부재(40)에 형성되는 장착홈(41)의 간격과 대응하거나, 상기 선반(30)의 장착시 상기 선반(30)의 후단에 대응하도록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30)이 상기 장착부재(40)에 장착되면,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발광부재(16)가 상기 선반(30)의 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선반(30)의 장착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선반(30)이 장착되는 어떤 위치에서도 상기 발광부재(16)는 상기 선반(30)의 후방에서 상기 선반(30)을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40)에 형성되는 다수의 장착홈(41) 내측에는 상기 선반(30)의 장착을 감지하는 감지장치(42)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30)의 장착위치는 상기 감지장치(42)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장치(42)에 의해 해당위치의 발광부재(16)가 점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지장치(42)는 스위치와 같은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접촉센서, 근접센서, 적외선 센서 등 상기 선반(3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선반의 상세한 구성 및 상기 선반의 장착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4-4'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5-5'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선반(30)은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31)와, 상기 플레이트(31)의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31)는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플레이트(31)의 둘레면을 통해 빛이 입사되어 상기 플레이트(31)의 전체면에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1)의 하면에는 광확산필름(311) 또는 도광판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반(30)의 후단 즉, 상기 플레이트(31)의 후면을 통해서 입사되는 빛은 상기 플레이트(31)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광확산필름(311) 또는 도광판에 의해 하방으로 빛을 확산시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30) 하방의 공간을 고르게 밝힐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31)에는 상기 플레이트(31)로 조사되는 빛이 전체면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돌출 또는 함몰된 패턴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312)는 상기 플레이트(31) 전체면에서 고르게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패턴부(312)가 특정 무늬로 형성되어 상기 선반(30)에 특정 패턴 또는 무늬가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발광부재(16)는 상기 덕트커버(141)에 구비되므로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선반(30)의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재(16)는 상기 발광부재(16)가 위치된 방향과 대향되는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패턴부(312)는 상기 발광부재(16)가 위치된 지점으로부터 부채살 형태로 펼쳐지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패턴부(312)는 상기 발광부재(16)의 위치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재(16)에서 멀어질수록 사이 간격이 멀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16)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패턴부(312)를 따라 상기 플레이트(31)의 전체면에 고르게 펼쳐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31)의 둘레에는 프레임(32)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32)은 상기 플레이트(31)의 테두리를 형성하게 되며, 별도의 사출 형성된 부품이 조립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플레이트(31)가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32)의 후면에는 개구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321)는 상기 선반(30)의 후단을 형성하며,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31)의 후단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16)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개구부(321)를 통해서 상기 플레이트(31)의 후단으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구부(321)는 상기 플레이트(31)의 후단 전체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발광부재(16)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2)의 후면 상단과 하단에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차폐부(3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34)는 상기 선반(30)의 장착시 상기 선반(30)의 후방과 저장공간의 후벽면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재(16)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상기 선반(30)과 저장공간의 후벽면 사이로 새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차폐부(34)는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32)의 전면에는 전면 개구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개구부(322)는 상기 플레이트(31)를 통하여 전달되는 빛이 상기 플레이트(31)의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32)의 전면 전체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30)의 전단에는 프론트 커버부재(3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커버부재(323)는 상기 선반(30)의 전면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 개구부(322)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부재(323)는 상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어퍼 커버(323a)와, 하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로우 커버(323b)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 커버(323a)와 로우 커버(323b)의 결합에 의해 상기 선반(30)의 전반부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어퍼 커버(323a)는 상기 프레임(3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어퍼 커버(323a)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프레임(32)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2)의 개구된 나머지 부분을 상기 로우 커버(323b)가 차폐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 커버(323b)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개구부(322)를 통하여 조사되는 빛은 상기 로우 커버(323b)를 지나 상기 선반의 전방 또는 전면 하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우 커버(323b)는 투과되는 빛이 확산 또는 굴절될 수 있도록 렌즈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선반의 양측에는 사이드 프레임(3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33)은 상기 선반(30)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3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32)의 성형시 하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사이드 프레임(33)이 함께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프레임(32)과 별도로 상기 사이드 프레임(3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32)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33)과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고정 장착된 상기 사이드 프레임(33)의 가이드에 의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될 수도 있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33)은 상기 프레임(32)의 좌우 양측단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33)의 후단에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장착부(33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331)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33) 후단의 상하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후방으로 연장된 후 하방으로 절곡되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30)의 장착시 상기 장착홈(41)의 내측으로 상기 장착부(331)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331)와 상기 장착홈(41)은 서로 걸림 구속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홈(41)의 내측에는 상기 감지장치(42)가 구비되며, 상기 서랍의 장착시 상기 감지장치(42)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위치의 발광부재(16)가 점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지장치(42)는 상하로 배열된 상기 다수의 장착홈(41) 중 2개의 장착홈(41) 마다 형성될 수도 있고, 모든 장착홈(41)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 내측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장착부재(40)를 제외한 상기 덕트커버(141)에 장착된 장착부재(40)에 형성된 장착홈(41)에 상기 감지장치(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감지장치(42) 및 상기 발광부재(41)의 전선이 상기 덕트커버(141)를 통하여 안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작용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선반의 발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선반(3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33)이 상기 장착부재(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선반(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30)은 저장공간의 내부를 구획하게 되며, 식품의 저장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3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장착부(331)에 의해 상기 장착부(331)가 삽입된 상기 장착홈(41) 내부의 감지장치(42)를 누르게 되며, 상기 감지장치(42)에 의해 대응하는 위치의 발광부재(16)가 점등이 지시된다.
상기 발광부재(16)의 점등으로 상기 발광부재(16)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선반(30)의 후단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31)를 향해 조사된다. 상기 플레이트(31)로 조사된 빛은 상기 플레이트(31)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턴부(312)와 상기 광확산필름(311)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31) 하면 전체에서 발광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선반(30) 하방의 공간을 밝힐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1)를 따라 이동되는 빛은 상기 전면 개구부(322)를 통해서 상기 플레이트(31)의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31)의 전방으로 조사되는 빛은 상기 로우 커버(323b)를 투과하여 상기 플레이트(31)의 전방 또는 전방 및 하방으로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선반(30)의 위치 식별은 물론 저장공간 내부의 학인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30)이 장착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의 발광부재(16)는 대응하는 감지장치(42)에서 점등신호가 전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꺼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고(1)의 내부에 선반(30)의 장착위치를 바꾸기 위해서는 상기 선반(3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장착부(331)가 상기 장착홈(41)으로부터 걸림 구속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 후 전방으로 당겨 상기 장착부재(40)로부터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선반(30)이 분리되면 상기 감지장치(42)는 점등되어 있던 발광부재(16)의 소등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발광부재(16)가 꺼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반(30)을 다른 위치에 다시 장착하게 될 경우 상기 선반(30)이 장착된 해당 위치에서 상기 발광부재(16)가 점등되어 상기 선반(30)을 통해 저장공간을 밝힐 수 있게 된다.
10. 캐비닛 14. 냉기덕트
16. 발광부재 30. 선반
40. 장착부재 41. 장착홈
42. 감지장치

Claims (16)

  1.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둘레를 통해 입사되는 빛에 의해 발광되는 선반;
    상기 저장공간의 후벽면에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냉기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는 냉기 덕트;
    상기 냉기 덕트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의 후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장착홈이 상하 방향으로 연속 형성되어 상기 선반의 장착 높이를 조절하는 장착부재;
    상기 다수의 장착홈과 대응하는 상기 냉기 덕트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의 장착시 상기 선반의 후단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발광부재;
    상기 다수의 장착홈과 대응하는 상기 장착부재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선반의 장착시 상기 선반의 후단과 접하여 상기 장착홈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발광부재를 점등시키는 다수의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며,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플레이트로 입사되는 빛을 하방으로 방출할 수 있는 광확산필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플레이트로 입사되는 빛이 특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패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며,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개구되는 개구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개구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전면 개구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단에 장착되어 선반의 전단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 개구부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프론트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커버부재는,
    상기 프론트 커버부재의 상부를 형성하는 어퍼 커버와,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커버부재의 하부를 형성하는 로우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2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키는 렌즈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냉기 덕트를 기준으로 고내 벽면의 양측에 더 구비되어 상기 선반이 좌우 양측에 나란히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에 구비되는 상기 장착부재에는 동일 높이에서 두개의 장착홀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홀 마다 대응하는 상기 감지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덕트의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장착부재를 기준으로 동일 높이에 좌우 양측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저장공간의 중앙측에서 좌우 양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는 상기 저장공간의 후측 벽면에 장착되며 냉기가 토출되는 다수의 냉기 출구가 형성되는 덕트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부재 및 감지장치와 연결된 전선은 상기 덕트커버를 따라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다수의 장착홈 측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의 후단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며, 상기 감지장치와 접촉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삭제
  16. 삭제
KR1020110016812A 2011-02-25 2011-02-25 냉장고 KR101802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12A KR101802519B1 (ko) 2011-02-25 2011-02-2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812A KR101802519B1 (ko) 2011-02-25 2011-02-2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550A KR20120097550A (ko) 2012-09-05
KR101802519B1 true KR101802519B1 (ko) 2017-11-28

Family

ID=4710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812A KR101802519B1 (ko) 2011-02-25 2011-02-2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6447B2 (en) 2020-04-22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light guide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7282B (zh) * 2015-04-24 2018-05-1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搁物架组件以及包括其的冰箱
KR20170082084A (ko)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8021596A1 (ko) * 2016-07-26 2018-02-01 옵토엘이디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냉장고용 조명장치
CN109959198A (zh) * 2017-12-23 2019-07-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制冷间室及具有其的冰箱
MX2020002470A (es) * 2017-12-23 2020-07-20 Qingdao Haier Co Ltd Ensamblaje de fuente de luz de superficie y refrigerador que tiene el mismo.
CN109959215B (zh) * 2017-12-23 2020-10-3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面光源组件及具有其的冰箱
CN113513873B (zh) * 2018-05-28 2023-01-20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
KR102559744B1 (ko) * 2018-06-20 2023-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4485021A (zh) * 2022-01-04 2022-05-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搁架的自动清洁装置、清洁方法、控制装置及冰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6447B2 (en) 2020-04-22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light guid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550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519B1 (ko) 냉장고
US9766010B2 (en) Lighting for shelf divider in refrigerator
US8186844B2 (en) Front-to-back showcase lighting for a refrigerator
CN104755864B (zh) 冰箱
US1012649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lighting in refrigerators
KR101331949B1 (ko) 조명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038237A (ko) 냉장고
US10317130B2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light
KR20110045445A (ko) 냉장고
JP2011012917A (ja) 冷蔵庫
JP6355359B2 (ja) 冷蔵庫
KR10111050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내부 조명장치
US20100175404A1 (en)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JP5354990B2 (ja) 冷蔵庫
KR20110034271A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선반
KR101639449B1 (ko) 냉장고
JP5826132B2 (ja) 冷蔵庫
JP2011117727A (ja) 冷蔵庫
KR20210058215A (ko) 냉장고
CN215638230U (zh) 冰箱
JP5778520B2 (ja) 冷蔵庫
JP2011191027A (ja) 冷蔵庫
KR20140028590A (ko) 냉장고
JP2022165862A (ja) 冷蔵庫
JP2022136228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