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74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9744B1
KR102559744B1 KR1020180070658A KR20180070658A KR102559744B1 KR 102559744 B1 KR102559744 B1 KR 102559744B1 KR 1020180070658 A KR1020180070658 A KR 1020180070658A KR 20180070658 A KR20180070658 A KR 20180070658A KR 102559744 B1 KR102559744 B1 KR 102559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helves
coupling hole
adjustment member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3111A (ko
Inventor
장명진
서용만
이재복
정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744B1/ko
Priority to CN201980041673.2A priority patent/CN112334725A/zh
Priority to EP19822505.4A priority patent/EP3755957B1/en
Priority to PCT/KR2019/007415 priority patent/WO2019245289A1/en
Priority to US16/447,907 priority patent/US10962280B2/en
Publication of KR20190143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2Shelves made of glass or ceram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장고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과, 저장실의 후방에 마련되는 선반 지지부와, 서로 옆에 배치되도록 선반 지지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선반과, 복수의 선반의 높이 차를 제거하도록 복수의 선반에 결합되는 조정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선반에는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고, 조정 부재가 복수의 선반의 결합홀에 삽입된 후에 조정 부재가 소정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조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선반에 고정된다. 조정 부재는 복수의 선반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복수의 선반이 서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조정 부재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식품을 올려 놓도록 선반을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서로 옆에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의 단차를 제거하는 조정 부재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의 저장실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과, 식품을 밀폐하여 보관하는 밀폐 용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저장실의 후방에는 선반이 결합될 수 있는 선반 지지부가 마련되며, 선반 지지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선반 걸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선반은 선반 지지부의 복수의 선반 걸이홈 중에 특정 선반 걸이홈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복수의 선반이 서로 옆에 배치되도록 선반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선반은 각각 캔틸레버 방식으로 저장실 후방에 마련된 선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복수의 선반 위에 놓인 식품의 무게에 의해 복수의 선반 사이에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선반 또는 선반 지지부의 제조 상의 오차나, 복수의 선반과 선반 지지부와의 조립 상의 오차에 의해서도 복수의 선반 사이에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서로 옆에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 사이에 발생하는 높이 차를 제거하도록 복수의 선반에 결합되는 조정 부재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선반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복수의 선반이 서로에 대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정 부재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성이 향상된 조정 부재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마련되는 선반 지지부;와, 서로 옆에 배치되도록 상기 선반 지지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선반; 및 상기 복수의 선반의 높이 차를 제거하도록 상기 복수의 선반에 결합되는 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선반에는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선반의 결합홀에 삽입된 후에 상기 조정 부재가 소정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선반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홀은 원형으로 형성된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선반의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연장되고 원통 형상을 갖는 로드부와, 상기 복수의 선반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반에 걸리도록 상기 로드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부는 상기 중심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복수의 선반의 사이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중심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복수의 선반 중 어느 하나의 선반에 걸리도록 상기 중심 걸림부와 이격 되게 마련되는 보조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정 부재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중심 걸림부에 이격되게 상기 로드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조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선반의 결합홀에 삽입 시에 상기 조정 부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복수의 선반 중 어느 하나의 선반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로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선반의 결합홀에 삽입되고, 상기 로드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선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선반은 식품이 놓이는 선반판과, 상기 선반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선반 지지부에 결합되는 행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행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행거는 상기 선반판에 나란하게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수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마련되는 선반 지지부;와, 제1선반판과, 상기 제1선반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선반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행거를 갖는 제1선반;과, 상기 제1선반의 옆에 배치되고, 제2선반판과, 상기 제2선반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선반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행거를 갖는 제2선반; 및 상기 제1선반과 상기 제2선반의 높이 차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1선반과 상기 제2선반에 결합되는 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행거에는 제1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행거에는 제2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로드부와, 상기 제1행거와 상기 제2행거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상기 로드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로드부가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행거와 상기 제2행거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은 각각 원형으로 형성된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부는 상기 중심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정 부재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로드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중심 걸림부와, 보조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걸림부와 상기 중심 걸림부의 사이에 상기 제1행거가 삽입되고, 상기 중심 걸림부와 상기 그립부의 사이에 상기 제2행거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측방 걸림부와, 제2측방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방 걸림부와 상기 그립부의 사이에 상기 제1행거가 삽입되고, 상기 그립부와 상기 제2측방 걸림부의 사이에 상기 제2행거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서로 옆에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 간의 높이 차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복수의 선반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복수의 선반이 서로에 대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조정 부재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O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를 복수의 선반에 결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조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4 내지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를 복수의 선반에 결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의 조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 중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은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하나의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는 저장실(25, 26)을 갖는 본체(10)와, 저장실(25, 26)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27, 28, 29)와, 저장실(25, 26)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냉기 공급 장치는 증발기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 장치를 포함하고,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25, 26)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2)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와, 내상(11)과 외상(12)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13)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체(10)는 상부벽(14)과, 하부벽과, 좌측벽(15)과, 우측벽(16)과, 후벽(17)과, 중간벽(18)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25, 26)은 중간벽(18)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상측의 저장실(25)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할 수 있는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고, 하측의 저장실(26)은 대략 섭씨 영하 30 ~ 0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는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실(25, 26)은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저장실(25, 26)은 도어(27, 28, 29)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측의 저장실(25)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회전 도어(27, 28)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하측의 저장실(26)은 슬라이딩 인입 및 인출되는 드로어 도어(29)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저장실(25)의 내부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24)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5)의 내부에는 식품을 놓을 수 있는 선반(40, 70)과, 식품을 밀폐 보관할 수 있는 밀폐 용기(35)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5)의 후방에는 선반(40, 70)을 지지하도록 선반 지지부(30)가 마련되며, 선반(40, 70)은 선반 지지부(3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반(40, 70)의 후단이 선반 지지부(30)에 결합되어 지지되며, 선반(40, 70)의 전단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선반(40, 70)은 캔틸레버 방식으로 저장실(25)의 후방에 마련된 선반 지지부(3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선반 지지부(30)는 본체(10)의 후벽(17) 및/또는 덕트 커버(20)에 설치될 수 있다. 덕트 커버(20)는 저장실(25)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유로(21)를 형성하도록 후벽(17)에 설치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에 의해 형성된 냉기는 냉기 유로(21)를 거쳐 저장실(25)에 공급될 수 있다. 냉기 유로(21)는 덕트 커버(20)와 후벽(1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덕트 커버(20)에는 냉기 유로(21)의 냉기를 저장실(25)로 공급하도록 토출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덕트 커버(20)에는 선반 지지부(30)가 설치되도록 설치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선반 지지부(30)에는 선반(40, 70)이 결합되도록 선반 걸이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선반 걸이홈(31)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마련되며, 선반(40, 70)은 복수의 선반 걸이홈(31) 중에 특정 선반 걸이홈(31)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40, 70)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선반(40, 70)이 서로 인접하도록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선반(40, 70) 위에 놓인 식품의 무게에 의해 복수의 선반(40, 70)이 기울어져서 복수의 선반(40, 70) 간의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선반(40, 70) 또는 선반 지지부(30)의 제조 상의 오차나, 복수의 선반(40, 70)과 선반 지지부(30)와의 조립 상의 오차에 의해서 복수의 선반(40, 70) 간의 높이 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선반(40, 70) 간의 높이 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복수의 선반(40, 70)에 조정 부재(100, 도 4)가 결합될 수 있다. 선반(40, 70) 및 조정 부재(100)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O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를 복수의 선반에 결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조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복수의 선반(40, 70)은 서로 대응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일 선반(40)에 대해만 설명하며 다른 선반(7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선반(40)은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판(41)과, 선반판(41)을 지지하도록 선반판(41)에 결합되는 행거(42)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42)는 선반판(4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좌측 행거 및 우측 행거의 구조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선반판(41)과 행거(42)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선반판(41)과 행거(42)는 접착 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나사, 스크류, 핀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선반판(41)은 글라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행거(42)는 플라스틱이나 급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선반(40)은 선반판(41)의 전단에 결합되는 프레임(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60)은 선반판(41)의 전단을 보호하고, 선반판(41)과 행거(42)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프레임(60)은 'ㄷ'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프레임(60)은 상방 지지부(61)와, 전방 지지부(62)와, 하방 지지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방 지지부(61)와, 전방 지지부(62)와, 하방 지지부(63)의 사이에 수용홈(64)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64)에는 선반판(41)과 행거(42)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하방 지지부(63)에는 체결공(6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방 지지부(63)의 체결공(65)과 행거(42)의 체결공(44)에 체결 부재(65)가 체결될 수 있다.
행거(42)는 선반판(41)을 지지하도록 선반판(41)에 나란하게 형성된 수평부(43)와, 수평부(43)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45)는 수평부(43)에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45)에는 조정 부재(100)가 결합되는 결합홀(50)이 형성될 수 있다.
행거(42)는 선반 지지부(30)에 결합되도록 결합 돌기(46, 47)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46, 47)는 수직부(45)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46, 47)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 돌기(47)는 결합 돌기(46)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46, 47)는 선반 지지부(30)의 선반 걸이홈(31)에 삽입될 수 있다. 행거(42)가 선반 지지부(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 돌기(46, 47) 중에 상측의 결합 돌기(46)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50)은 중심점(52)과 반경(R1)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 중심 영역(51)과, 중심 영역(51)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영역(5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영역(54)의 형상에 제한은 없으며, 가이드 영역(54)은 중심 영역(51)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선반(40)의 옆에 배치되는 선반(70)은 식품이 올려 놓이는 선반판(71)과, 선반판(71)을 지지하도록 선반 지지부(30)에 결합되는 행거(72)와, 선반판(71)의 전단을 보호하고 선반판(71)과 행거(72)의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선반판(71)의 전단에 결합되는 프레임(90)을 포함할 수 있다.
행거(72)는 선반판(71)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수평부(73)와, 수평부(73)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부(75)를 포함하고, 수직부(75)에는 조정 부재(100)가 결합되도록 결합홀(8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80)은 결합홀(5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정 부재(100)는 복수의 선반(40, 70) 간의 높이 차를 제거하도록 복수의 선반(40, 70)의 결합홀(50, 80)에 결합될 수 있다(도 7). 이하에서, 구별의 편의를 위해, 좌측의 선반을 제1선반(40)이라고 하고, 우측의 선반을 제2선반(70)이라고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정 부재(100)는 제1선반(40)의 결합홀(50)과, 제2선반(70)의 결합홀(80)에 삽입되도록 길게 연장되는 로드부(110)와, 로드부(100)에서 돌출되는 걸림부(120)를 포함한다.
로드부(11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중심 영역(51)에 삽입되도록 중심 영역(51)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110)는 중심점(111)과 반경(R2)를 갖는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반경(R2)는 반경(R1)과 대응될 수 있다. 즉, 반경(R2)은 반경(R1)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걸림부(120)는 로드부(100)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부(120)는 가이드 영역(54)에 삽입되도록 가이드 영역(54)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걸림부(120)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중심 걸림부(130)와 보조 걸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 걸림부(130)와 보조 걸림부(140)는 서로 동일한 형상 및 크기의 단면을 갖고, 서로 같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중심 걸림부(130)는 조정 부재(100)가 복수의 선반(40, 70)에 고정될 시에 복수의 선반(40, 70) 사이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심 걸림부(130)는 제1선반(40)의 수직부(45)와, 제2선반(70)의 수직부(75)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심 걸림부(130)는 제1선반(40)의 수직부(45)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지지면(131)과, 제2선반(70)의 수직부(75)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지지면(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걸림부(140)는 복수의 선반(40, 70) 중에 하나의 선반(40)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걸림부(140)는 제1선반(40)의 수직부(45)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지지면(141)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부재(100)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로드부(110)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립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150)는 중심 걸림부(130)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50)는 중심 걸림부(130)를 기준으로 보조 걸림부(140)의 반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50)는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걸림부(120)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50)는 조정 부재(100)가 제1선반(40)의 결합홀(50)과, 제2선반(70)의 결합홀(80)에 삽입될 시에, 조정 부재(10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즉, 그립부(150)는 조정 부재(100)가 제1선반(40)의 결합홀(50)과, 제2선반(70)의 결합홀(80)에 삽입될 시에, 제2선반(70)의 수직부(75)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립부(150)는 제2선반(70)의 수직부(75)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지지면(15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100)가 복수의 선반(40, 70)에 결합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선반(40)과 제2선반(70)이 선반 지지부(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 부재(100)를 제2선반(70)의 결합홀(80)과 제1선반(40)의 결합홀(50)에 삽입한다. 로드부(110)는 결합홀(80, 50)의 중심 영역(51)을 통과하고 보조 걸림부(140)와 중심 걸림부(130)는 결합홀(80, 50)의 가이드 영역(54)을 통과하도록 조정 부재(10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조정 부재(100)를 결합홀(80, 50)에 삽입할 수 있다. 조정 부재(100)는 로드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부재(100)가 결합홀(80, 5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그립부(100)가 제2선반(70)에 걸리게 되고 조정 부재(10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된다. 이때의 조정 부재(100)의 위치를 가고정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조정 부재(100)가 가고정 위치에 있을 때, 중심 걸림부(130)는 제1선반(40)의 수직부(45)와, 제2선반(70)의 수직부(75)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조정 부재(100)가 가고정 위치에 있을 때, 중심 걸림부(130)와 보조 걸림부(140)가 선반(40, 70)에 걸린 상태에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조정 부재(100)가 가고정 위치에 있을 때 조정 부재(100)는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 위치에 있는 조정 부재(100)를 조정 부재(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112)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조정 부재(100)가 회전하면, 중심 걸림부(130)는 제1선반(40)의 수직부(45)와, 제2선반(70)의 수직부(75)에 걸리게 되며, 보조 걸림부(140)는 제1선반(40)의 수직부(45)에 걸리게 된다. 이때의 조정 부재(100)의 위치를 고정 위치라고 할 수 있으며, 조정 부재(100)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조정 부재(100)는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조정 부재(100)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보조 걸림부(140)와 중심 걸림부(130)의 사이에 제1선반(40)의 수직부(45)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심 걸림부(130)와 그립부(150)의 사이에 제2선반(70)의 수직부(75)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정 부재(100)가 복수의 선반(40, 70)의 결합홀(50, 80)에 삽입된 후에 조정 부재(100)가 소정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조정 부재(100)가 복수의 선반(40, 70)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정 부재(100)가 고정되면 삽입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복수의 선반(40, 70)이 서로에 대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100)는 복수의 선반(40, 70) 간의 높이 차를 제거함은 물론, 복수의 선반(40, 70) 사이가 벌어지거나 좁혀지지 않도록 복수의 선반(40, 7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정 부재(100)를 고정하고자 할 시에 조정 부재(100)를 복수의 선반(40, 70)의 결합홀(50, 80)에 삽입한 후에 회전시키면 조정 부재(100)의 고정이 완료되고, 반대로 조정 부재(100)를 분리하고자 할 시에 조정 부재(1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에 조정 부재(100)를 복수의 선반(40, 70)의 결합홀(50, 80)에서 빼내면 조정 부재(10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200)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조정 부재(200)의 그립부(250)는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그립부(150)는 로드부(110)의 외주면에서 로드부(110)의 반경(R1)의 1 ~ 2 배 만큼 돌출되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서 그립부(250)는 5 ~ 10 배 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립부(250)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그립부(250)를 잡는 것이 더 용이하고 조정 부재(200)를 돌리는데 더 적은 힘이 요구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를 복수의 선반에 결합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조정 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300)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 용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조정 부재(300)는 제1선반(40)의 결합홀(50)과 제2선반(70)의 결합홀(80)에 삽입되도록 길게 연장되고 원통 형상을 갖는 로드부(310)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로드부(310)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립부(350)와, 그립부(350)의 양 측에 이격되도록 로드부(310)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부(310)는 그립부(35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제1선반(40)의 결합홀(50)에 삽입되는 제1로드부(315)와, 그립부(350)의 반대 측에 형성되어 제2선반(70)의 결합홀(80)에 삽입되는 제2로드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350)는 대략 로드부(310)의 중심에 형성되고, 제1로드부(315)와 제2로드부(316)의 길이는 대략 동일할 수 있다. 그립부(350)는 조정 부재(300)가 제1선반(40)의 결합홀(50)과, 제2선반(70)의 결합홀(80)에 삽입될 시에, 조정 부재(30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조정 부재(300)가 제1선반(40)의 결합홀(50)에 삽입될 시에 그립부(350)가 제1선반(40)의 수직부(45)에 걸릴 수 있고, 조정 부재(300)가 제2선반(70)의 결합홀(80)에 삽입될 시에 그립부(350)가 제2선반(70)의 수직부(75)에 걸릴 수 있다.
걸림부(320)는 제1로드부(315)에서 돌출되는 제1측방 걸림부(330)와, 제2로드부(316)에서 돌출되는 제2측방 걸림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방 걸림부(330)는 제1선반(40)의 수직부(45)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2측방 걸림부(340)는 제2선반(70)의 수직부(75)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 부재(300)가 복수의 선반(40, 70)에 결합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선반(40)과 제2선반(70)이 선반 지지부(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 부재(300)를 제1선반(40)의 결합홀(50)과 제2선반(70)의 결합홀(80)에 삽입한다. 로드부(310)는 결합홀(50, 80)의 중심 영역(51)을 통과하고 걸림부(320)는 결합홀(50, 80)의 가이드 영역(54)을 통과하도록 조정 부재(300)의 위치를 조정하면서 조정 부재(300)를 결합홀(50, 80)에 삽입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부재(300)가 결합홀(50, 8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그립부(350)가 제1선반(40) 및 제2선반(70)에 걸리게 되고 조정 부재(350)의 삽입 깊이가 제한된다. 이때의 조정 부재(300)의 위치를 가고정 위치라고 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고정 위치에 있는 조정 부재(300)를 조정 부재(3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조정 부재(300)가 회전하면, 제1측방 걸림부(330)는 제1선반(40)의 수직부(45)에 걸리게 되며, 제2측방 걸림부(340)는 제2선반(70)의 수직부(75)에 걸리게 된다. 이때의 조정 부재(300)의 위치를 고정 위치라고 할 수 있으며, 조정 부재(300)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조정 부재(300)는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조정 부재(300)가 고정 위치에 있을 때, 제1측방 걸림부(340)와 그립부(350)의 사이에 제1선반(40)의 수직부(45)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립부(350)과 제2측방 걸림부(340)의 사이에 제2선반(70)의 수직부(75)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조정 부재(300)를 제1선반(40)의 결합홀(50)과 제2선반(70)의 결합홀(80)에 삽입할 시에 제1선반(40)과 제2선반(70) 사이를 다소 벌려야 하는 불편함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조정 부재(300)를 제1선반(40)의 결합홀(50)과 제2선반(70)의 결합홀(80)에 삽입한 후에 조정 부재(300)를 회전시키면, 조정 부재(300)가 제1선반(40)의 수직부(45)와 제2선반(70)의 수직부(75) 사이에 히든되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7 : 후벽 20 : 덕트 커버
25 : 냉장실 26 : 냉동실
30 : 선반 지지부 31 : 선반 걸이홈
40 : 제1선반 41 : 제1선반판
42 : 제1행거 43 : 제1수평부
45 : 제1수직부 46, 47 : 결합 돌기
50 : 제1결합홀 51 : 중심 영역
52 : 중심점 54 : 가이드 영역
60 : 제1프레임 70 : 제2선반
71 : 제2선반판 72 : 제2행거
73 : 제2수평부 75 : 제2수직부
80 : 제2결합홀 90 : 제2프레임
100 : 조정 부재 110 : 로드부
120 : 걸림부 130 : 중심 걸림부
140 : 보조 걸림부 150 : 그립부
200 : 조정 부재 300 : 조정 부재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마련되는 선반 지지부;
    서로 옆에 배치되도록 상기 선반 지지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선반; 및
    상기 복수의 선반의 높이 차를 제거하도록 상기 복수의 선반에 결합되는 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선반에는 각각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선반의 결합홀에 삽입된 후에 상기 조정 부재가 소정 각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선반에 고정되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선반의 결합홀에 삽입되도록 연장되고 원통 형상을 갖는 로드부와, 상기 복수의 선반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반에 걸리도록 상기 로드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복수의 선반의 사이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중심 걸림부와, 상기 복수의 선반 중 어느 하나의 선반에 걸리도록 상기 중심 걸림부와 이격 되게 마련되는 보조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걸림부는 상기 복수의 선반의 결합홀을 모두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보조 걸림부는 상기 복수의 선반의 결합홀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은 원형으로 형성된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영역을 포함하는 냉장고.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중심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냉장고.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냉장고.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중심 걸림부에 이격되게 상기 로드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조정 부재가 상기 복수의 선반의 결합홀에 삽입 시에 상기 조정 부재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복수의 선반 중 어느 하나의 선반에 걸리도록 형성된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로드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선반의 결합홀에 삽입되고, 상기 로드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수의 선반에 고정되는 냉장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식품이 놓이는 선반판과, 상기 선반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선반 지지부에 결합되는 행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행거에 형성된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선반판에 나란하게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수직부에 형성된 냉장고.
  13.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마련되는 선반 지지부;
    제1선반판과, 상기 제1선반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선반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1행거를 갖는 제1선반;
    상기 제1선반의 옆에 배치되고, 제2선반판과, 상기 제2선반판을 지지하도록 상기 선반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행거를 갖는 제2선반; 및
    상기 제1선반과 상기 제2선반의 높이 차를 제거하도록 상기 제1선반과 상기 제2선반에 결합되는 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행거에는 제1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행거에는 제2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로드부와, 상기 제1행거와 상기 제2행거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상기 로드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선반과 상기 제2선반의 사이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중심 걸림부와, 상기 제1선반과 상기 제2선반 중 어느 하나의 선반에 걸리도록 상기 중심 걸림부와 이격 되게 마련되는 보조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걸림부는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을 모두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보조 걸림부는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냉장고.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로드부가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제1행거와 상기 제2행거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에 걸리도록 회전 가능한 냉장고.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홀과 상기 제2결합홀은 각각 원형으로 형성된 중심 영역과 상기 중심 영역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영역을 포함하는 냉장고.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중심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냉장고.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단면을 갖는 냉장고.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로드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걸림부와 상기 중심 걸림부의 사이에 상기 제1행거가 삽입되고,
    상기 중심 걸림부와 상기 그립부의 사이에 상기 제2행거가 삽입되는 냉장고.






  20. 삭제
KR1020180070658A 2018-06-20 2018-06-20 냉장고 KR102559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58A KR102559744B1 (ko) 2018-06-20 2018-06-20 냉장고
CN201980041673.2A CN112334725A (zh) 2018-06-20 2019-06-19 冰箱
EP19822505.4A EP3755957B1 (en) 2018-06-20 2019-06-19 Refrigerator
PCT/KR2019/007415 WO2019245289A1 (en) 2018-06-20 2019-06-19 Refrigerator
US16/447,907 US10962280B2 (en) 2018-06-20 2019-06-20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658A KR102559744B1 (ko) 2018-06-20 2018-06-2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111A KR20190143111A (ko) 2019-12-30
KR102559744B1 true KR102559744B1 (ko) 2023-07-28

Family

ID=6898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658A KR102559744B1 (ko) 2018-06-20 2018-06-20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62280B2 (ko)
EP (1) EP3755957B1 (ko)
KR (1) KR102559744B1 (ko)
CN (1) CN112334725A (ko)
WO (1) WO2019245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22435A (zh) * 2021-12-14 2022-04-12 澳柯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冷柜的可调节置物架支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944B1 (ko) 2006-10-04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2392Y2 (ko) * 1975-01-25 1979-08-04
JPS5544539Y2 (ko) * 1976-11-22 1980-10-20
JPS58121920A (ja) * 1982-01-12 1983-07-20 株式会社ダイフク パネル引掛式の棚構造
US5813741A (en) * 1996-01-23 1998-09-29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Adjustable shelf for a refrigerator
WO2010008141A2 (ko) * 2008-07-14 2010-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92567B1 (ko) * 2009-02-13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02519B1 (ko) * 2011-02-25 2017-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651600B2 (en) * 2012-04-20 2014-02-18 Lg Electronics Inc. Shelf and refrigerator with the same
KR20120119878A (ko) * 2012-08-02 2012-10-31 주식회사 동성사 가구용 선반 고정장치
CN203036995U (zh) * 2013-01-16 2013-07-03 海信(北京)电器有限公司 翻转层架及冰箱
KR20150003630A (ko) * 2013-07-01 2015-01-0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
US9970701B2 (en) * 2014-01-07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a heating pipe
KR20150094049A (ko) 2014-02-10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10016B1 (ko) * 2014-03-10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4180602B (zh) * 2014-08-07 2016-05-25 海信容声(广东)冷柜有限公司 一种组合式层架结构
KR20160094734A (ko) * 2015-02-02 2016-08-1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용 선반
KR102447914B1 (ko) * 2015-12-04 2022-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519048B1 (ko) * 2016-07-14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944B1 (ko) 2006-10-04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34725A (zh) 2021-02-05
US10962280B2 (en) 2021-03-30
WO2019245289A1 (en) 2019-12-26
EP3755957B1 (en) 2022-04-27
EP3755957A4 (en) 2021-04-21
KR20190143111A (ko) 2019-12-30
US20190390894A1 (en) 2019-12-26
EP3755957A1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7128B2 (en) Refrigerator
US9127877B2 (en) Refrigerator
RU248439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US20180128538A1 (en) Refrigerator
JP6599458B2 (ja) 冷蔵庫
US20110016908A1 (en) Refrigerator
US20150069066A1 (en) Basket for refrigerator
US9964349B2 (en) Refrigerator
US6994033B2 (en) Shelf for refrigerator
US9534828B2 (en) Refrigerator
KR20120007499A (ko) 냉장고용 함입 선반 및 서랍 버팀대
KR101351033B1 (ko) 냉장고
KR20130067244A (ko) 분할 파티션이 있는 바스켓 및 그러한 바스켓을 포함하는 냉장 기기
KR102559744B1 (ko) 냉장고
US10041727B2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US10041723B2 (en) Refrigerator
US20230221062A1 (en) Refrigerator
US20160370076A1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KR20170039875A (ko) 냉장고
KR102131054B1 (ko) 냉장고용 선반지지 어셈블리
KR20090132284A (ko) 냉장고
US20230288134A1 (en)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tainer
US20160370099A1 (e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locking device of ice bucket
JP2006200889A (ja) 冷蔵庫
KR100936614B1 (ko) 냉장고의 레일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