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7068A - 일회용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7068A
KR20190107068A KR1020197023395A KR20197023395A KR20190107068A KR 20190107068 A KR20190107068 A KR 20190107068A KR 1020197023395 A KR1020197023395 A KR 1020197023395A KR 20197023395 A KR20197023395 A KR 20197023395A KR 20190107068 A KR20190107068 A KR 20190107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heet
water repellent
absorbent articl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5293B1 (ko
Inventor
다쿠야 미야마
사토루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10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51405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or coated, e.g. with moisture repellent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top-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4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impermeable sheet or impermeable part of a sheet placed on or under the top 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5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5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sprayed with chemicals
    • A61F2013/5106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sprayed with chemicals for rendering the surface hydroph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61F2013/5117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with the combination of nonwoven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61F2013/5118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with non-continuous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5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for improving 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44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 A61F2013/51452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brous material being nonwov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에 대한 양호한 발수성 및 무른 대변에 대한 양호한 발유성을 갖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 요소(40)와,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50)와, 방루 시트(55)를 갖는다. 방루 시트는, 섬유의 평균 직경이 0.5∼10㎛인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발수층(56)을 갖는다. 발수층은, 섬유의 표면에 미립자군이 부착된 발수 영역을 갖는다. 미립자군은, 평균 입경이 1∼20㎛인 제 1 미립자와, 제 1 미립자 상에 부착하고, 또한 평균 입경이 5∼100nm인 제 2 미립자를 갖는다.

Description

일회용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방루(防漏) 시트를 갖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소수성 표면 코팅으로 처리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표 2012-518495
특허문헌 1의 소수성 표면 코팅에는, 적어도 2종류의 실리콘 폴리머가 포함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실리콘의 표면 장력(표면 자유 에너지)이 16∼30mN/m이고, 물의 표면 장력이 73mN/m이며, 기름의 표면 장력이 25∼30mN/m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2자간의 표면 장력의 차가 클수록 발수성이 크다(즉, 잘 튀긴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서 이용되고 있는 부직포는, 소변에 대해 양호한 발수성을 갖지만, 유분을 포함하는 무른 대변에 대하여 양호한 발유성을 갖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의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무른 대변이 부직포를 투과하여, 무른 대변이 스며 나와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변에 대한 양호한 발수성 및 무른 대변에 대한 양호한 발유성을 갖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흡수성 물품은,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과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신장하는 두께 방향과, 흡수 요소와,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 및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배치되는 방루 시트를 갖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방루 시트는, 섬유의 평균 직경이 0.5∼10㎛인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발수층을 갖고, 상기 발수층은, 상기 섬유의 표면에 미립자군이 부착된 발수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미립자군은, 평균 입경이 1∼20㎛인 제 1 미립자와, 상기 제 1 미립자 상에 부착하고, 또한 평균 입경이 5∼100nm인 제 2 미립자를 갖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방루 시트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미립자군 및 섬유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확해진다.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과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신장하는 두께 방향과,
흡수 요소와,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 및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배치되는 방루 시트를 갖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방루 시트는, 섬유의 평균 직경이 0.5∼10㎛인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발수층을 갖고,
상기 발수층은, 상기 섬유의 표면에 미립자군이 부착된 발수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미립자군은, 평균 입경이 1∼20㎛인 제 1 미립자와, 상기 제 1 미립자 상에 부착하고, 또한 평균 입경이 5∼100nm인 제 2 미립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방루 시트의 발수층은, 섬유의 평균 직경이 0.5∼10㎛인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섬유의 평균 직경이 0.5∼10㎛인 것에 의해, 섬유가 조밀하게 배치되기 쉬워, 섬유 간의 공극을 통하여 소변이나 무른 대변이 투과하기 어렵다. 또, 발수층은, 섬유의 표면에 미립자군이 부착된 발수 영역을 갖는다. 미립자군은, 평균 입경이 1∼20㎛인 제 1 미립자와, 제 1 미립자 상에 부착하고, 또한 평균 입경이 5∼100nm인 제 2 미립자를 갖는다. 따라서, 발수층의 섬유의 표면 상에 제 1 미립자에 의한 요철 형상이 형성되고, 또한 당해 제 1 미립자 상에 제 2 미립자에 의한 요철 형상이 형성된다. 입경이 다른 미립자에 의해 2단계의 요철 형상이 형성되고, 섬유 간을 통과하려고 하는 소변 및 무른 대변은, 섬유의 표면에 부착한 미립자군에 접촉하여, 미립자군 섬유 간의 공극을 통과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방루 시트에 의해, 소변에 대한 양호한 발수성 및 무른 대변에 대한 양호한 발유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방루 시트는, 상기 발수층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보호층을 갖고,
상기 보호층은, 섬유의 평균 직경이 10㎛ 이상인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보호층에 의해 발수층의 두께 방향의 외측의 면을 보호할 수 있고, 발수층 내의 미립자군의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유통 시나 사용 시에 방루 시트의 표면이 쓸린 경우라도, 발수층에 의한 발수 성능을 유지하고, 소변에 대한 양호한 발수성 및 무른 대변에 대한 양호한 발유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보호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입경은, 10㎛ 이상이며, 발수층의 섬유의 평균 입경보다도 높다. 따라서, 보호층은, 발수층보다도 섬유가 성글게 배치되기 쉽다. 보호층은, 발수층보다도 쿠션성이 높아져, 발수층의 미립자군의 구조를 보호층에 의해 보호하기 쉽다. 또, 보호층은, 발수층보다도 섬유가 성글게 배치되기 때문에, 소변이나 무른 대변을 인입(引入)하기 쉽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루 시트에 의하면, 보호층에 의해 소변이나 무른 대변을 신속하게 인입하고, 발수층에 의해 인입한 체액을 투과하기 어렵게 하며, 또한 발수층 내에서 홀딩할 수 있다. 체액의 인입성(引入性)을 높이면서, 체액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고, 장착감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발수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발수층을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3등분하여, 상기 두께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구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중앙 구역보다도 두께 방향의 외측의 구역에 의해 중앙 구역의 두께 방향의 외측의 면을 보호할 수 있어, 중앙 구역 내의 미립자군의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유통 시나 사용 시에 발수층의 표면이 쓸린 경우라도, 발수층의 중앙 구역에 의한 발수 성능을 유지하여, 소변에 대한 양호한 발수성 및 무른 대변에 대한 양호한 발유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오목부를 갖는 요철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요철 영역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발수 영역과 겹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요철 영역의 오목부 및 볼록부가 변형하여, 당해 외력이 방루 시트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요철 영역이 발수 영역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수 영역의 미립자군의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방루 시트에 의해, 소변에 대한 양호한 발수성 및 무른 대변에 대한 양호한 발유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요철 영역이 설치된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는, 상기 방루 시트에 대하여 비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요철 영역이 설치된 시트와 방루 시트가 접합된 부분과, 요철 영역이 설치된 시트와 방루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설치된다. 요철 영역이 설치된 시트와 방루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접합된 부분과 비교하여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요철 영역이 설치된 시트와 방루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의해 외력을 흡수하여, 당해 외력이 방루 시트로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발수층의 미립자군의 형상을 유지하기 쉬워, 소변에 대한 양호한 발수성 및 무른 대변에 대한 양호한 발유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발수 영역은,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비피부 대향면측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요소의 전역(全域)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 요소의 비피부 대향면측의 전면을 덮도록 발수 영역이 배치되고, 당해 발수 영역에 의해 흡수 요소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있어서의 발수성을 발휘할 수 있다. 방루 시트에 의해 흡수 요소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있어서의 발수성을 확보하여, 이면 시트를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흡수성 물품의 이면 시트는,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방루 시트와 비교하여 유연성이 낮아, 변형 시에 위화감이 발생하거나, 스치는 소리가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면 시트를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변형 시의 위화감이나 변형 시의 소리를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발수 영역은,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비피부 대향면측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후측에 위치하는 흡수 요소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후측은, 신체의 가랑이 아래보다도 후측에 해당되며, 대변이 배출되는 영역이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후측에 위치하는 흡수 요소를 덮도록 발수 영역이 배치되어, 당해 발수 영역에 의해 대변에 대한 방루성을 발휘할 수 있다. 방루 시트에 의해 흡수 요소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있어서의 방루성을 확보하여, 이면 시트를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면 시트는,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방루 시트와 비교하여 유연성이 낮아, 변형 시에 위화감이 발생하거나, 스치는 소리가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면 시트를 갖지 않는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변형 시의 위화감이나 변형 시의 소리를 저감하여, 장착감을 향상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발수층의 상기 미립자군의 평량은, 상기 보호층의 상기 미립자군의 단위 중량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발수층의 미립자군의 단위 중량이 높기 때문에, 보호층에 의해 보호되는 발수층 내에 있어서 많은 미립자군의 형상을 유지하며, 당해 발수층이 양호한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발수층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에서의 섬유 간 거리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섬유 간의 공극을 통하여 소변이나 무른 대변이 투과하기 어렵다. 따라서, 방루 시트에 의한 방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발수층의 물 및 기름에 대한 접촉각은 135°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발수층은, 물 및 기름에 대한 접촉각이 135°보다도 커, 양호한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발수층의 표면 장력은 30m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발수층의 표면 장력과 물의 표면 장력의 차가 크고, 또한 발수층의 표면 장력과 기름의 표면 장력의 차가 크기 때문에, 소변 및 무른 대변에 대해 양호한 방루성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방루 시트는, 입체 개더 및 레그 개더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방루성을 갖는 필름에 의해 입체 개더 및 레그 개더를 구성하는 일 없이, 부직포에 의해 입체 개더 및 레그 개더를 구성하고, 당해 부직포에 의해 소변이나 무른 대변에 대한 방루성을 발휘할 수 있다. 입체 개더 및 레그 개더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부직포에 의해 구성됨으로써, 피부에의 닿음이 완화되어, 착용자의 장착감을 향상할 수 있다.
===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대하여 ===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일회용 기저귀(10)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일회용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에 한정되지 않고, 속옷 또는 기저귀에 장착되는 흡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름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1) 일회용 기저귀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0)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는,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표면 시트(50), 사이드 시트(70) 등의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까지, 입체 개더의 신축 부분을 신장시킨 신장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일회용 기저귀(10)는,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가랑이 아래 영역(25)과, 뒷몸통 둘레 영역(30)을 갖는다. 앞몸통 둘레 영역(20)은, 착용자의 앞몸통 둘레부(복부분(腹部分))와 접하는 부분이다. 또, 뒷몸통 둘레 영역(30)은, 착용자의 뒷몸통 둘레부(등부분(背部分))와 접하는 부분이다. 가랑이 아래 영역(25)은, 앞몸통 둘레 영역(20)과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몸통 둘레 영역(20)으로부터 뒷몸통 둘레 영역(30)을 향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L)이라고 부르고, 전후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W)이라고 부르며,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T1)과 비피부 대향면측(T2)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두께 방향(T)이라고 부른다.
일회용 기저귀(10)는, 흡수 요소(40)를 갖는다. 흡수 요소(40)는, 가랑이 아래 영역(25)에 걸쳐, 앞몸통 둘레 영역(20)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의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의 흡수 요소(40)는, 앞몸통 둘레 영역(20), 가랑이 아래 영역(25),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걸쳐 배치된다. 흡수 요소(40)는, 펄프 및 SAP 등의 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갖는다.
흡수 요소(40)의 피부 대향면측(T1)에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50)가 구비된다. 표면 시트(50)는, 일회용 기저귀(10)의 피부 맞닿음면을 구성하며, 착용자에게 접한다. 표면 시트(50)는, 앞몸통 둘레 영역(20), 가랑이 아래 영역(25) 및 뒷몸통 둘레 영역(30)에 걸쳐 배치된다. 표면 시트(50)는, 섬유를 갖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표면 시트(50)는, 인입 영역(R13)을 갖는다. 인입 영역(R13)은, 주위의 영역보다도 무른 대변의 흡수 요소측으로의 인입성이 높은 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인입 영역(R13)은,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된 영역,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볼록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오목부가 번갈아 형성된 영역을 예시할 수 있다. 개구를 갖는 인입 영역(R13)은, 개구를 통하여 표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 상의 무른 대변을 표면 시트의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인입할 수 있다. 또, 볼록부와 오목부가 형성된 인입 영역은, 볼록부 사이의 오목부에 의해 무른 대변을 홀딩하고, 오목부 내의 무른 대변을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신속하게 이끌 수 있다. 또, 볼록부가 격자상으로 형성된 인입 영역은, 격자상의 볼록부에 의해 오목부를 둘러싸서, 무른 대변이 주위로 확산하는 것을 억제하여, 오목부 내의 무른 대변을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신속하게 이끌 수 있다. 당해 인입 영역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후술하는 발수 영역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인입 영역은,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후측에 배치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뒷몸통 둘레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인입 영역은, 변이 배출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흡수 요소(40)의 비피부 대향면측에는, 방루 시트(55)가 배치된다. 방루 시트(55)는, 일회용 기저귀의 비피부 대향면을 구성한다. 방루 시트(55)는, 발수성 및 발유성을 갖는다. 방루 시트(55)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회용 기저귀(10)의 폭 방향의 중심보다도 폭 방향의 양 외측에는, 한 쌍의 입체 개더(80)가 배치된다. 입체 개더(80)는, 사이드 시트(70)와, 탄성 부재로서의 사이드 탄성 부재(7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70)는, 표면 시트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는다. 사이드 시트(70)의 내측 가장자리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71)가 배치된다. 입체 개더(80)는,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사이드 탄성 부재(71)에 의해 착용자측으로 기립 가능한 기립부를 갖는다. 입체 개더(80)는, 흡수 요소(40)의 외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피부측으로 일어서는 벽을 형성하여, 배설물의 옆으로 샘을 방지한다.
일회용 기저귀(1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배치되는 레그 개더(90)가 형성되어 있다. 레그 개더(90)는, 사이드 시트(70)와, 레그 탄성 부재(92)와, 방루 시트(5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레그 탄성 부재(92)는, 사이드 시트(70)와 방루 시트(55)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레그 개더(90)는, 흡수 요소(4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다리 둘레에 밀착하여, 배설물의 옆으로 샘을 방지한다.
(2) 방루 시트의 상세 구성
이어서, 방루 시트(55)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방루 시트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방루 시트(55)는, 흡수 요소(40)보다도 두께 방향(T)의 외측인 비피부 대향면측(T2)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방루 시트(55)는, 흡수 요소(40)보다도 피부 대향면측(T1)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흡수 요소(40)보다도 폭 방향(W)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루 시트(55)는, 발수층(56)과, 발수층(56)의 피부 대향면측(T1) 및 비피부 대향면측(T2)에 배치된 보호층(57)의 3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방루 시트(55)는, SMS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발수층(56)은, 멜트블로운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며, 보호층(57)은, 스펀본드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발수층(56)은, 방루 시트(55)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한다. 발수층(56)의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진다. 발수층(56)의 섬유의 평량은 12gsm이고, 섬유의 평균 직경은 0.5∼10㎛이다. 발수층(56)의 섬유 간 거리는 50㎛ 이하이다.
발수층(56)은, 섬유의 표면에 미립자군(60)이 부착된 발수 영역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발수 영역은, 평면도로 보아(平面視) 발수층(56)의 전체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발수 영역은, 흡수 요소(40)와 겹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회용 기저귀(10)의 외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일회용 기저귀(10)의 전단(前端) 가장자리 및 후단(後端)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지 않지 않아도 된다. 또, 발수 영역은, 흡수 요소(40)보다도 비피부 대향면측(T2)에 있어서, 흡수성 물품의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후측에 위치하는 흡수 요소(40)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발수 영역은, 표면 시트(50)의 인입 영역(R13)과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립자군(60)은, 평균 입경이 1∼20㎛인 제 1 미립자(61)와, 제 1 미립자(61) 상에 부착하고, 또한 평균 입경이 5∼10nm인 제 2 미립자(62)를 갖는다. 제 1 미립자(61)로는,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입자를 예시할 수 있다. 또, 제 2 미립자(62)로는, 산화물 미립자를 예시할 수 있다. 제 1 미립자(61)의 표면에 제 2 미립자가 분산 부착하고 있다. 발수층(56)을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에는, 제 1 미립자(61)에 의한 미소(微小)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그 미소한 요철의 표면에 추가로 제 2 미립자(62)에 의한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표면 형상에 의해 표면의 발수성 및 발유성이 높아진다.
또한, 미립자의 평균 입경의 측정은, 주사형 전자현미경(FE-SEM)으로 실시할 수 있고, 주사형 전자현미경의 분해능이 낮은 경우에는 투과형 전자현미경 등의 다른 전자현미경을 병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입자 형상이 구상(球狀)인 경우는 그 직경, 비구상(非球狀)인 경우는 그 최장 지름과 최단 지름의 평균치를 직경으로 간주하며, 주사형 전자현미경 등에 의한 관찰에 의해 임의로 선택한 20개분의 입자의 직경의 평균을 일차 입자 평균 지름으로 한다.
제 1 미립자(61) 및 제 2 미립자(62)를 섬유의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미립자(61)와 제 2 미립자(62)를 용매 중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도료를 부직포에 도포 건조함으로써, 제 1 미립자(61)를 막상(膜狀)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당해 막상의 표면에 제 2 미립자(62)를 분산 부착시킬 수 있다.
보호층(57)은, 발수층(56)의 두께 방향(T)에 있어서의 양 외측에 위치한다. 보호층(57)의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섬유로 이루어진다. 보호층(57)의 섬유의 평량은 6gsm이고, 섬유의 평균 직경은 12∼22㎛이다. 보호층(57)의 섬유의 평균 직경은, 10㎛보다도 크고, 발수층(56)의 섬유의 평균 직경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57)을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에도, 미립자군(60)이 부착되어 있다. 미립자군(60)의 구성은, 발수층(56)의 미립자군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발수층(56)의 미립자군(60)의 평량은, 보호층(57)의 미립자군(60)의 단위 중량보다도 높다. 본 실시형태의 발수층(56)의 미립자군(60)의 평량은 2gsm이고, 보호층(57)의 미립자군의 평량은 1gsm이다.
발수층(56)의 표면 장력 및 보호층(57)을 포함하는 방루 시트(55)의 표면 장력은, 각각 30m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mN/m 이하이면 좋다. 또한, 표면 장력은, Automatic Surface Tensiometer CBVP-Z(교와 가이멘 가가쿠(주) 제조)를 이용하여, 25℃의 조건 하에서 측정할 수 있다. 또, 발수층(56)의 물 및 기름에 대한 접촉각은, 135°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고, 보호층(57)을 포함하는 방루 시트(55)의 접촉각이, 135°보다도 커도 된다. 또한, 접촉각은,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면을 시험면으로 하여, 접촉각 측정장치(고액(固液) 계면 해석장치 「Drop Master300」 교와 가이멘 가가쿠(주) 제조)를 이용하여, 순수(純水)에 대한 접촉각 및 기름에 대한 접촉각을 측정할 수 있다.
(3) 그 외의 실시형태
상술의 실시형태의 방루 시트는 보호층을 갖고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방루 시트는 보호층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보호층을 갖지 않는 방루 시트에 있어서는, 발수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발수층을 두께 방향에 있어서 3등분하여, 두께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구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물품은, 방루 시트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이면 시트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면 시트는, 흡수성 물품의 비피부 대향면을 포함하고, 흡수 요소 및 방루 시트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한다. 이면 시트는, 요철 영역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요철 영역이 설치된 이면 시트는, 방루 시트에 대해 비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방루 시트와 이면 시트의 사이에, 서로 접합하는 영역과, 서로 접합하지 않는 영역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요철 영역이 설치된 표면 시트와 방루 시트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겹치는 구성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와 방루 시트가 비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개시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의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만 정해지는 것이다.
또한, 2017년 1월 26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제2017-012426호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후처리용 테이프 부재와 외장 시트의 접합력을 높여, 폐기 시에 테이프 부재가 떨어지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0: 일회용 기저귀(일회용 흡수성 물품) 40: 흡수 요소
50: 표면 시트 55: 방루 시트
56: 발수층 57: 보호층
60: 미립자군 61: 제 1 미립자
62: 제 2 미립자 80: 입체 개더
90: 레그 개더 R13: 인입 영역

Claims (13)

  1. 서로 직교하는 전후 방향 및 폭 방향과,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측과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신장되는 두께 방향과,
    흡수 요소와,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 및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폭 방향의 외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배치되는 방루(防漏) 시트를 갖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방루 시트는, 섬유의 평균 직경이 0.5∼10㎛인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발수층을 갖고,
    상기 발수층은, 상기 섬유의 표면에 미립자군이 부착된 발수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미립자군은, 평균 입경이 1∼20㎛인 제 1 미립자와, 상기 제 1 미립자상에 부착하고, 또한 평균 입경이 5∼100nm인 제 2 미립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루 시트는, 상기 발수층보다도 상기 두께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 보호층을 갖고,
    상기 보호층은, 섬유의 평균 직경이 10㎛ 이상인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발수층을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3등분하여, 상기 두께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구역에 배치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피부 대향면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및 상기 볼록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오목부를 갖는 요철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요철 영역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발수 영역과 겹쳐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영역이 설치된 상기 표면 시트 및 상기 이면 시트는, 상기 방루 시트에 대하여 비연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 영역은,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비피부 대향면측에 있어서, 상기 흡수 요소의 전역(全域)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 영역은, 상기 흡수 요소보다도 상기 비피부 대향면측에 있어서, 상기 일회용 흡수성 물품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심보다도 후측에 위치하는 흡수 요소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에는, 주위의 영역보다도 흡수 요소측으로 배설물의 인입성(引入性)이 높은 인입 영역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입 영역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발수 영역과 겹쳐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층의 상기 미립자군의 평량은, 상기 보호층의 상기 미립자군의 단위 중량보다도 높은 일회용 흡수성 물품.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층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에 있어서의 섬유 간 거리는, 50㎛ 이하인 일회용 흡수성 물품.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층의 물 및 기름에 대한 접촉각은, 135°보다도 큰 일회용 흡수성 물품.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층의 표면 장력은, 30mN/m 이하인 일회용 흡수성 물품.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루 시트는, 입체 개더 및 레그 개더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구성하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KR1020197023395A 2017-01-26 2017-12-19 일회용 흡수성 물품 KR102225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12426A JP6377785B2 (ja) 2017-01-26 2017-01-26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JP-P-2017-012426 2017-01-26
PCT/JP2017/045492 WO2018139114A1 (ja) 2017-01-26 2017-12-19 使い捨て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068A true KR20190107068A (ko) 2019-09-18
KR102225293B1 KR102225293B1 (ko) 2021-03-09

Family

ID=62979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395A KR102225293B1 (ko) 2017-01-26 2017-12-19 일회용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79999B2 (ko)
EP (1) EP3560467B1 (ko)
JP (1) JP6377785B2 (ko)
KR (1) KR102225293B1 (ko)
CN (2) CN111658333B (ko)
WO (1) WO2018139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9258B (zh) * 2019-06-03 2022-12-02 宝洁公司 深色非织造纤维网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3062A (en) * 1976-06-14 1978-07-25 Johnson & Johnson Absorbent panel having densified portion with hydrocolloid material fixed therein
US4333462A (en) * 1980-11-17 1982-06-08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Absorbent structure containing superabsorbent
US4373519A (en) * 1981-06-26 1983-02-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wound dressing
US4500315A (en) * 1982-11-08 1985-02-19 Personal Products Company Superthin absorbent product
US5021050A (en) * 1989-12-11 1991-06-04 Weyerhaeuser Company Absorbent panel structure
JPH04343764A (ja) * 1991-03-01 1992-11-30 Kuraray Co Ltd 繊維構造物
US20030186043A1 (en) * 1997-03-07 2003-10-02 Koslow Evan E. Absorbent articles
JP2004256939A (ja) * 2003-02-25 2004-09-16 Toray Ind Inc 撥水性布帛およびそれを用いた衣料
US20050054255A1 (en) * 2003-09-08 2005-03-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abric liner and diaper including a nonwoven laminate liner
US20060004334A1 (en) * 2004-06-30 2006-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abilized absorbent structures
JP2007523272A (ja) * 2004-02-24 2007-08-16 ミリケン・アンド・カンパニー 処理した繊維製品基材および該繊維製品基材の製造方法
US20110270204A1 (en) * 2008-12-29 2011-11-03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absorbent sheet composition
US20120203191A1 (en) * 2009-10-09 2012-08-09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absorbent sheet
JP2012518495A (ja) 2009-02-27 2012-08-1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に使用するための疎水性表面コーティングされた材料
US20150283000A1 (en) * 2012-10-31 2015-10-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JP2016108714A (ja) * 2014-12-05 2016-06-20 花王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454A (en) * 1982-11-08 1985-09-10 Personal Products Company Method of forming a superthin absorbent product
DE3436751A1 (de) * 1984-10-06 1986-04-17 Philipp 3000 Hannover Schaefer Verfahren zum umdrehen eines spaltleders bei seiner zurichtung, sowie eine vorrichtung zum umdrehen eines spaltleders und ein nach dem verfahren zugerichtetes spaltleder
US5147343B1 (en) * 1988-04-21 1998-03-17 Kimberly Clark Co Absorbent products containing hydrogels with ability to swell against pressure
US5134007A (en) * 1988-05-24 1992-07-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le layer absorbent cores for absorbent articles
US5192606A (en) * 1991-09-11 1993-03-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liner which exhibits improved softness and dryness, and provides for rapid uptake of liquid
US5221573A (en) * 1991-12-30 1993-06-22 Kem-Wove, Inc. Adsorbent textile product
DE9402463U1 (de) * 1994-02-15 1994-04-07 Demhartner Gmbh & Co Kg R Saugfähiger Verbundwerkstoff
US6028016A (en) * 1996-09-04 2000-02-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abric Substrates Having a Durable Treatment
US6277104B1 (en) * 1997-08-25 2001-08-21 Mcneil-Ppc, Inc. Air permeable, liquid impermeable barrier structure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DE102004010662A1 (de) * 2004-03-04 2005-09-2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bindungen mit quaternären sp2-hybridisierten Stickstoffatomen
KR102123605B1 (ko) * 2010-10-14 2020-06-15 인터디지털 브이씨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향상된 엔트로피 인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5741005B2 (ja) * 2011-01-20 2015-07-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樹脂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9566198B2 (en) * 2013-03-15 2017-02-1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JP6490517B2 (ja) 2015-06-30 2019-03-2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移乗支援システム
CN105769448A (zh) * 2016-05-03 2016-07-20 杭州余宏卫生用品有限公司 吸液透气抗血无渗漏卫生巾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3062A (en) * 1976-06-14 1978-07-25 Johnson & Johnson Absorbent panel having densified portion with hydrocolloid material fixed therein
US4333462A (en) * 1980-11-17 1982-06-08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Absorbent structure containing superabsorbent
US4373519A (en) * 1981-06-26 1983-02-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osite wound dressing
US4500315A (en) * 1982-11-08 1985-02-19 Personal Products Company Superthin absorbent product
US5021050A (en) * 1989-12-11 1991-06-04 Weyerhaeuser Company Absorbent panel structure
JPH04343764A (ja) * 1991-03-01 1992-11-30 Kuraray Co Ltd 繊維構造物
US20030186043A1 (en) * 1997-03-07 2003-10-02 Koslow Evan E. Absorbent articles
JP2004256939A (ja) * 2003-02-25 2004-09-16 Toray Ind Inc 撥水性布帛およびそれを用いた衣料
US20050054255A1 (en) * 2003-09-08 2005-03-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abric liner and diaper including a nonwoven laminate liner
JP2007523272A (ja) * 2004-02-24 2007-08-16 ミリケン・アンド・カンパニー 処理した繊維製品基材および該繊維製品基材の製造方法
US20060004334A1 (en) * 2004-06-30 2006-0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abilized absorbent structures
US20110270204A1 (en) * 2008-12-29 2011-11-03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absorbent sheet composition
JP2012518495A (ja) 2009-02-27 2012-08-1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に使用するための疎水性表面コーティングされた材料
US20120203191A1 (en) * 2009-10-09 2012-08-09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absorbent sheet
US20150283000A1 (en) * 2012-10-31 2015-10-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JP2016108714A (ja) * 2014-12-05 2016-06-20 花王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0467B1 (en) 2020-09-09
KR102225293B1 (ko) 2021-03-09
EP3560467A4 (en) 2019-12-25
CN110234305A (zh) 2019-09-13
US10779999B2 (en) 2020-09-22
WO2018139114A1 (ja) 2018-08-02
JP2018117928A (ja) 2018-08-02
JP6377785B2 (ja) 2018-08-22
CN111658333B (zh) 2022-03-08
CN111658333A (zh) 2020-09-15
CN110234305B (zh) 2020-06-23
US20200022849A1 (en) 2020-01-23
EP3560467A1 (en)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9338B2 (ja) 吸収体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4508889B2 (ja) 吸収性物品
US11351070B2 (en) Absorbent article for incontinence
JP2006239162A (ja) 吸収性物品
JP2014025187A (ja) 不織布
JP2009112864A (ja) 吸収性物品
KR20010105245A (ko) 실리콘계 화합물의 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
JP2006334113A (ja) 吸収性物品
KR20190107068A (ko) 일회용 흡수성 물품
JP6305691B2 (ja) 吸収性物品
JP6298560B2 (ja) 吸収性物品
JP6932887B2 (ja) 軽失禁用吸収性物品
JP2013194333A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8079302A1 (ja) 吸収性物品
JP2010088530A (ja) 吸収性物品
JP2010036430A (ja) 植毛シート
JP4183594B2 (ja) 吸収性シート
JP2019063323A (ja) 吸収性物品
JP2018161241A (ja) 吸収体
CN209734326U (zh) 免内衣式防溢乳垫
JP2017047100A (ja) 吸収性物品
JP2017056068A (ja) 吸収性物品
KR20210016320A (ko)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
JP2019063322A (ja) 軽失禁用シート
JP6265104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