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320A -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320A
KR20210016320A KR1020207021046A KR20207021046A KR20210016320A KR 20210016320 A KR20210016320 A KR 20210016320A KR 1020207021046 A KR1020207021046 A KR 1020207021046A KR 20207021046 A KR20207021046 A KR 20207021046A KR 20210016320 A KR20210016320 A KR 20210016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ubstrate
absorbent
intermediate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4198B1 (ko
Inventor
히로키 고다
아키에 기노시타
사토루 단게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16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6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e.g. 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2013/537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 A61F2013/537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with compressed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단 응력에 의한 파단이나 형태 무너짐을 억제 가능한 흡수체를 제공한다. 흡수체(3)는, 제 1 흡수층(11)과, 중간층(13)과, 제 2 흡수층(12)을 구비한다. 제 1 흡수층은, 제 1 기재(基材)(21)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1 흡수재(23)와, 제 1 흡수재를 고정하는 제 1 접착제(22/24)를 포함한다. 제 2 흡수층은, 제 2 기재(26)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2 흡수재(28)와, 제 2 흡수재를 고정하는 제 2 접착제(27/29)를 포함한다. 흡수체는, 평면시(平面視)로, 제 1 기재와 중간층이 제 1 접착제로, 및 제 2 기재와 중간층이 제 2 접착제로, 각각 두께 방향으로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7)을 갖는다. 접합 영역에 있어서,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가 서로 접촉하여, 제 1 기재와 제 2 기재가 서로 접합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성 재료로서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하는 흡수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WO2011/136087)에는, 소정의 흡수성 수지(고흡수성 폴리머) 및 접착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흡수층이, 부직포에 의해 위쪽 및 아래쪽으로부터 끼워 지지(挾持)된 구조를 갖는 흡수 시트 구성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흡수 시트 구성체에서는, 소정의 섬유 기질에 의해, 흡수층이 1차 흡수층과 2차 흡수층으로 분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의하면, 이 흡수 시트 구성체는, 흡수층이 1차 흡수층과 2차 흡수층으로 분할됨으로써, 소위 「겔 블로킹 현상」을 회피할 수 있어, 기본적인 흡수 성능이 뛰어나고,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1/13608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흡수 시트 구성체, 즉 흡수체에서는, 흡수층이 두께 방향의 한쪽측의 1차 흡수층과 다른쪽측의 2차 흡수층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은 흡수체를 적용한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에게 착용되면, 흡수성 수지(고흡수성 폴리머)가 착용자의 배설물(예시: 소변)을 흡수해 팽윤하여, 흡수체가 두꺼워지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그 경우, 이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에서는, 예를 들면, 1차 흡수층은 피부측에 위치하고, 따라서 표면 시트를 개재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밀접하고 있으며, 2차 흡수층은 비(非)피부측에 위치하고, 따라서 이면 시트를 개재하여 속옷이나 의복에 밀접하고 있다. 그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피부측의 1차 흡수층은 주로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고, 비피부측의 2차 흡수층은 주로 속옷 등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쉽다. 여기에서, 피부의 움직임의 방향과 속옷 등의 움직임의 방향이 서로 상위(相違)하는 경우, 1차 흡수층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과 2차 흡수층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서로 상위하게 된다. 특히, 흡수체의 각 층에 평행인 방향, 즉 평면 방향에 있어서, 1차 흡수층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방위)과 2차 흡수층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방위)이 서로 상위하면, 흡수체에 전단 응력이 발생한다. 그 전단 응력은, 흡수성 수지가 팽윤하여 흡수체가 두꺼울수록 커진다. 그렇게 되면, 흡수체의 두께 방향의 상부와 하부가 평면 방향으로 서로 다른 방위로 미끄러져 버리고, 즉 대체로 1차 흡수층의 부분과 대체로 2차 흡수층의 부분이 서로 다른 방위로 미끄러져 버려, 흡수체가 파단하거나, 형태가 무너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할수록, 흡수체가 보다 두꺼워져, 전단 응력이 보다 커지므로, 그 영향은 현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흡수체에 있어서, 배설물을 흡수해도 전단 응력에 의한 파단이나 형태 무너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는 다음과 같다. (1)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과, 상기 제 1 흡수층과 상기 제 2 흡수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로서, 상기 제 1 흡수층과 상기 중간층과 상기 제 2 흡수층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 1 흡수층은, 제 1 기재(基材)와, 상기 제 1 기재보다도 상기 중간층측에 배치되며,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1 흡수재와, 상기 제 1 기재의 상기 중간층측의 표면 및 상기 중간층의 상기 제 1 기재측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흡수재를 고정하는 제 1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흡수층은, 제 2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보다도 상기 중간층측에 배치되고,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2 흡수재와, 상기 제 2 기재의 상기 중간층측의 표면 및 상기 중간층의 상기 제 2 기재측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흡수재를 고정하는 제 2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제 1 흡수층과 상기 제 2 흡수층을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는 복수의 연통공(連通孔)을 가지며, 상기 흡수체는, 평면시(平面視)에서, 상기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중간층이 상기 제 1 접착제로, 및 상기 제 2 기재와 상기 중간층이 상기 제 2 접착제로, 각각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와 상기 제 2 접착제가 상기 복수의 연통공을 개재하여 서로 접촉하여,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흡수체.
본 흡수체에서는, 접합 영역에 있어서, 제 1 기재와 중간층이 제 1 접착제로 서로 접합되고, 제 2 기재와 중간층이 제 2 접착제로 서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접합 영역에 있어서,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가 복수의 연통공을 개재하여 서로 접촉함으로써, 제 1 기재와 제 2 기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다. 즉, 강한 전단 응력이 발생할 수 있는 두께 방향의 한쪽의 외표면과 다른쪽의 외표면이 서로 접합되어 있다. 그러므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제 1 흡수층 및 제 2 흡수층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방위)이 서로 다르고,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여 흡수체가 두꺼워짐으로써, 흡수체에 비교적 큰 평면 방향의 전단 응력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흡수체에 있어서의 제 1 흡수층의 부분과 제 2 흡수층의 부분이 서로 다른 방위로 미끄러져 버려 흡수체가 파단하거나, 형태가 무너지거나 해 버린다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흡수체는,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의 결합을 강고하게 할 수 있어, 전단 응력이 발생해도 파단이나 형태가 무너지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즉,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흡수체에 있어서, 배설물을 흡수해도 전단 응력에 의한 파단이나 형태 무너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흡수체는, (2)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지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상(狀)의 형상을 갖는 길이 방향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한 흡수체여도 된다.
본 흡수체에서는, 접합 영역(길이 방향 접합 영역)이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지나고,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상의 형상을 가지므로, 제 1 기재와 제 2 기재의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평면 방향의 전단 응력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흡수체의 파단이나 형태 무너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체는, (3)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를 지나,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폭 방향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흡수체여도 된다.
본 흡수체에서는,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있어서, 접합 영역(폭 방향 접합 영역)이 폭 방향의 중앙부를 지나고, 또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므로, 제 1 기재와 제 2 기재의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평면 방향의 전단 응력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흡수체의 파단이나 형태 무너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체는, (4) 상기 제 1 접착제는, 상기 제 1 기재의 상기 중간층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측 제 1 접착제와, 상기 중간층의 상기 제 1 기재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중간층측 제 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착제는, 상기 제 2 기재의 상기 중간층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측 제 2 접착제와, 상기 중간층의 상기 제 2 기재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중간층측 제 2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측 제 1 접착제 및 상기 중간층측 제 1 접착제와 상기 기재측 제 2 접착제 및 중간층측 제 2 접착제가 상기 복수의 연통공을 개재하여 서로 접촉하여,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여도 된다.
본 흡수체에서는, 제 1 흡수층의 제 1 접착제가 기재측 제 1 접착제와 중간층측 제 1 접착제를 포함하고, 제 2 흡수층의 제 2 접착제가 기재측 제 2 접착제와 중간층측 제 2 접착제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접합 영역에 있어서, 제 1 기재와 중간층의 접합에 관한 접착제의 양을 많게 할 수 있고, 제 2 기재와 중간층의 접합에 관한 접착제의 양을 많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간층을 개재한 제 1 기재와 제 2 기재의 접합을 보다 강하게 접합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체는, (5) 상기 제 1 기재 및 상기 제 2 기재의 적어도 한쪽은, 섬유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섬유는,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여도 된다.
본 흡수체에서는, 제 1 기재 및/또는 제 2 기재를 형성하는 섬유 시트의 선섬(線纖)은,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섬유(예시: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즉, 섬유 시트의 선섬은,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지 않는 섬유와 비교하여, 표면적이 커져 있다. 그 때문에, 제 1 기재 및/또는 제 2 기재(의 섬유 시트의 선섬)와 접착제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기재와 제 2 기재의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어,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체는, (6) 상기 중간층은 섬유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연통공은, 상기 섬유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섬유로 형성되는 섬유 사이의 공극을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여도 된다.
본 흡수체에서는, 중간층의 복수의 연통공은, 중간층을 형성하는 섬유 시트의 복수의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와 같은 공극은 섬유 시트 중에 극히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를 공극 내에 홀딩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공극으로부터 제 2 기재에 이르는 제 1 접착제와 제 2 기재의 접합, 및 공극으로부터 제 1 기재에 이르는 제 2 접착제와 제 1 기재의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재와 제 2 기재를 서로 강하게 접합시킬 수 있어,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을 서로 보다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체는, (7) 상기 제 1 접착제 및 상기 제 2 접착제의 적어도 한쪽은, 가늘고 긴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연통공의 각각의 폭은, 상기 제 1 접착제 및 상기 제 2 접착제의 적어도 한쪽의 선의 폭보다도 큰,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여도 된다.
본 흡수체에서는, 제 1 접착제 및/또는 상기 제 2 접착제는 가늘고 긴 선의 형상을 갖고, 그 선의 폭보다도, 연통공의 폭이 크다. 그러므로, 보다 많은 제 1 접착제 및/또는 상기 제 2 접착제를 복수의 연통공에 홀딩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연통공으로부터 제 2 기재에 이르는 제 1 접착제와 제 2 기재의 접합, 및 연통공으로부터 제 1 기재에 이르는 제 2 접착제와 제 1 기재의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재와 제 2 기재를 서로 강하게 접합시킬 수 있어,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을 서로 보다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체는, (8) 상기 접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와 상기 중간층을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엠보스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흡수체여도 된다.
본 흡수체는, 접합 영역에 제 1 기재와 제 2 기재와 중간층을 압축한 엠보스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엠보스부의 압착(壓搾) 부분에 있어서,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가 중간층의 복수의 연통공을 개재하여 서로 보다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 1 기재와 제 2 기재의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어,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흡수체에 있어서, 배설물을 흡수해도 전단 응력에 의한 파단이나 형태 무너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의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에 대하여, 일회용 기저귀(1)용 흡수체를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일회용 기저귀(1)의 흡수 대상인 배설물은 소변이다. 단, 흡수성 물품의 종류 및 용도는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른 흡수성 물품이어도 된다. 그와 같은 흡수성 물품으로서, 예를 들면, 경실금 패드, 팬티 라이너, 생리용 패드를 들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일회용 기저귀(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단, 도 1은 전개된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일회용 기저귀(1)는,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고, 폭 방향(W)의 중심을 지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과, 길이 방향(L)의 중심을 지나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중심선(CW)을 갖는다.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가까워지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폭 방향(W)의 내측 및 외측의 방향으로 한다. 폭 방향 중심선(CW)에 가까워지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길이 방향(L)의 내측 및 외측의 방향으로 한다. 「평면시」란,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전개된 상태의 일회용 기저귀(1)를 두께 방향(T)의 위쪽측에서 보는 것을 말하고, 「평면 형상」이란, 평면시에서 파악되는 형상을 말한다. 「평면 방향」이란, 폭 방향(W) 및 길이 방향(L)을 포함하는 면과 평행한 임의의 방향이다. 일회용 기저귀(1)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T)의 중심을 지나, 평면 방향으로 넓어지는 면에 대하여 가까워지는 방향 및 멀어지는 방향을 각각 두께 방향(T)의 내측 및 외측의 방향으로 한다. 「피부측」 및 「비피부측」이란, 일회용 기저귀(1)가 장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에,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장착자의 피부면에 가까워지는 측 및 멀어지는 측을 각각 의미한다. 이들 정의는 일회용 기저귀(1) 뿐만 아니라, 일회용 기저귀(1)의 흡수체나 그들에 배치된 각 자재에도 공통으로 이용한다.
또한, 부재나 구조나 형상 등이 길이 방향(L)을 따른다란, 부재 등이 길이 방향(L)에 평행한 경우 뿐만 아니라, 부재 등의 길이 방향(L)의 성분 Dx가, 부재 등의 폭 방향(W)의 성분 Dy보다도 큰 경우(Dx>Dy)도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부재 등이 폭 방향(W)을 따른다란, 부재 등이 폭 방향(W)에 평행한 경우 뿐만 아니라, 부재 등의 폭 방향(W)의 성분 Dy가, 부재 등의 길이 방향(L)의 성분 Dx보다도 큰 경우(Dy>Dx)도 포함하고 있다. 곡선상이나 곡면상의 부재 등에 관해서는, 곡선 등 상의 각 점의 접선에 대하여, 부재 등을 상기와 같이 평가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회용 기저귀(1)는,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도시되지 않음)와,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3)를 구비한다. 표면 시트(2)와 흡수체(3)와 이면 시트는 두께 방향(T)으로 이 순서로 적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회용 기저귀(1)는, 추가로, 표면 시트(2)의 폭 방향(W)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4, 4)와, 한 쌍의 사이드 시트(4, 4)의 길이 방향(L)의 일단측 또한 폭 방향(W)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테이프 파스너(5, 5)를 구비한다.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시트(4, 4)의 폭 방향(W)의 내측에는, 한 쌍의 입체 개더(4a, 4a)가 설치된다. 이들, 표면 시트(2), 이면 시트, 사이드 시트(4)(입체 개더(4a)를 포함한다), 테이프 파스너(5)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의 자재, 형상, 구조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흡수체(3)는, 액체 흡수 성능 및 액체 홀딩 성능을 갖는 층이고,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과,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13)을 구비한다. 제 1 흡수층(11)과 중간층(13)과 제 2 흡수층(12)은 두께 방향(T)으로 이 순서로 적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흡수층(11)이 흡수체(3)에 있어서의 피부측에 위치하고, 제 2 흡수층(12)이 흡수체(3)에 있어서의 비피부측에 위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3)는 2층 구조를 갖지만, 흡수체(3)의 구조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고,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의 사이에 다른 중간층 및 다른 흡수층을 추가로 적층한 다층 구조여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그때, 제 1 흡수층(11)과 중간층(13)과 제 2 흡수층(12)은, 서로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이 도면의 예에서는 흡수체(3)와 동일한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단, 그들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단변이 원호상으로 돌출된 장방형, 모서리가 둥근(角丸) 장방형, 타원, 모래시계를 들 수 있다. 흡수체(3)의 두께는, 예를 들면 0.5∼20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0mm이다.
제 1 흡수층(11)은, 액체 투과성을 갖는 시트로 형성된 제 1 기재(21)와, 제 1 기재(21)보다도 중간층(13)측에 배치되고,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1 흡수재(23)를 포함한다. 제 1 흡수층(11)은, 흡수 코어로서 제 1 흡수재(23)를 갖고, 코어 랩으로서 제 1 기재(21)(및 중간층(13))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제 1 흡수층(11)은, 또한, 제 1 기재(21)의 중간층(13)측의 표면 및 중간층(13)의 제 1 기재(21)측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제 1 흡수재(23)를 고정하는 제 1 접착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접착제는, 제 1 기재(21)의 중간층(13)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측 제 1 접착제(22), 및 중간층(13)의 제 1 기재(21)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 중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흡수층(11)은, 기재측 제 1 접착제(22) 및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의 양쪽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재(21)는, 제 1 흡수층(11)의 피부측에 위치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기재측 제 1 접착제(22)는, 제 1 기재(21)의 중간층(13)측의 표면에, 대체로 균일한 평량으로 도포되어 있다. 기재측 제 1 접착제(22)는, 주로 제 1 기재(21)측의 제 1 흡수재(23)를 제 1 기재(21)에 고정한다.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는, 중간층(13)의 제 1 기재(21)측의 표면에, 대체로 균일한 평량으로 도포되어 있다.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는, 주로 중간층(13)측의 제 1 흡수재(23)를 중간층(13)에 고정한다. 그것에 의해, 제 1 흡수재(23)는 제 1 흡수층(11) 내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제 2 흡수층(12)은, 보수성 및 액체 확산성을 갖는 시트로 형성된 제 2 기재(26)와, 제 2 기재(26)보다도 중간층(13)측에 배치되고, 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2 흡수재(28)를 포함한다. 제 2 흡수층(12)은, 흡수 코어로서 제 2 흡수재(28)를 갖고, 코어 랩으로서 제 2 기재(26)(및 중간층(13))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제 2 흡수층(12)은, 또한, 제 2 기재(26)의 중간층(13)측의 표면 및 중간층(13)의 제 2 기재(26)측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제 2 흡수재(28)를 고정하는 제 2 접착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접착제는, 제 2 기재(26)의 중간층(13)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측 제 2 접착제(27), 및 중간층(13)의 제 2 기재(26)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 중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흡수층(12)은, 기재측 제 2 접착제(27) 및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의 양쪽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기재(26)는, 제 2 흡수층(12)의 비피부측에 위치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단, 제 2 기재(26)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는, 두께 방향(T)으로 기립하도록 접혀, 제 2 흡수층(12)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의 양측면을 각각 형성하고, 또한, 제 1 흡수층(11)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의 양측면을 각각 형성한다. 제 2 기재(26)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의 더욱 단(端)의 부분은, 폭 방향(W)의 내측으로 더욱 접혀, 제 1 기재(21)의 피부측의 표면에 기재측 제 2 접착제(27)를 개재하여 겹친다. 이와 같이, 제 2 기재(26)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가, 제 2 흡수층(12)의 폭 방향(W)의 측면을 덮고, 또한, 제 1 흡수층(11)의 폭 방향(W)의 측면을 덮음으로써, 제 2 흡수재(28)가 폭 방향(W)에 있어서 제 2 흡수층(12)에 봉입(封入)되며, 또한, 제 1 흡수재(23)가 폭 방향(W)에 있어서 제 1 흡수층(11)에 봉입된다. 기재측 제 2 접착제(27)는 제 2 기재(26)의 중간층(13)측의 표면에, 대체로 균일한 평량으로 도포되어 있다. 기재측 제 2 접착제(27)는 주로 제 2 기재(26)측의 제 2 흡수재(28)를 제 2 기재(26)에 고정한다.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는, 중간층(13)의 제 2 기재(26)측의 표면에, 대체로 균일한 평량으로 도포되어 있다.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는, 주로 중간층(13)측의 제 2 흡수재(28)를 중간층(13)에 고정한다. 그것에 의해, 제 2 흡수재(28)는 제 2 흡수층(12) 내에 강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에 있어서, 제 2 기재(26)가 폭 방향(W)의 측면을 형성하고, 제 1 기재(21)의 폭 방향(W)의 양단부를 덮지만, 흡수체(3)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 1 기재(21)가 폭 방향(W)의 측면을 형성하고, 제 2 기재(26)의 폭 방향(W)의 양단부를 덮어도 된다. 또, 흡수체(3)에서는, 폭 방향(W)의 양단부가 기재로 덮이고, 길이 방향(L)의 양단부가 기재로 덮여 있지 않지만, 흡수체(3)는 이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길이 방향(L)의 양단부가 기재로 덮이고, 폭 방향(W)의 양단부가 기재로 덮여 있지 않아도 되며, 폭 방향(W) 및 길이 방향(L)의 양단부가 모두 기재로 덮여 있어도 된다.
제 1 흡수재(23) 및 제 2 흡수재(28)는,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고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로는, 수분을 흡수하여 홀딩할 수 있는 폴리머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입자상 또는 섬유상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제 1 흡수재(23) 및 제 2 흡수재(28)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일회용 기저귀(1)에 요구되는 흡수 성능에 따라 적절히 조정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각각 10∼500g/㎡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400g/㎡이다. 제 1 흡수재(23) 및 제 2 흡수재(28)의 평량은, 한쪽이 다른쪽보다도 많아도 되고, 동등해도 된다. 단, 동등이란, 한쪽이 다른쪽의 ±20%의 범위를 말한다. 펄프 섬유나 흡수성 섬유와 같은 친수성 섬유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친수성 섬유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제 1 흡수재(23) 및 제 2 흡수재(28)의 질량의 0∼30%의 범위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0 질량%의 범위이다. 환언하면,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제 1 흡수재(23) 및 제 2 흡수재(28)의 70∼100 질량%의 범위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0∼100 질량%의 범위이다. 따라서, 제 1 흡수재(23) 및 제 2 흡수재(28)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흡수재(23) 및 제 2 흡수재(28)는, 고흡수성 폴리머만으로 구성되고,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흡수재(23) 및 제 2 흡수재(28)는, 고흡수성 폴리머 외에, 펄프 섬유 및/또는 흡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고흡수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의 고분자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전분계 또는 셀룰로오스계의 고흡수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전분-아크릴산(염)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을 들 수 있다. 합성 폴리머계의 고흡수성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염계, 폴리술폰산염계, 무수말레인산염계, 폴리아크릴아미드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에틸렌옥시드계, 폴리아스파라긴산염계, 폴리글루타민산염계, 폴리알긴산염계,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아크릴산염계(특히, 폴리아크릴산나트륨계)의 고흡수성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에 있어서, 고흡수성 폴리머의 90∼100 질량%가 150∼500㎛의 입경을 갖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입경 분포를 갖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입경이 작고 균일하므로, 제 1 접착제나 제 2 접착제에 홀딩되기 쉽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경은, JIS R 6002:1998에 기재한 체가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로는, 고흡수성 폴리머를 고정할 수 있는 접착제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와 같은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에틸렌-초산(酢酸)비닐 공중합체계 핫멜트 접착제, 폴리아미드계 핫멜트 접착제, 스티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핫멜트 접착제, 습기 경화형 우레탄프레폴리머와 같은 반응형 핫멜트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의 적어도 한쪽은 가늘고 긴 선의 형상으로 도포되어 있다.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의 선의 폭은, 평면시에서, 50∼500㎛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5∼4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300㎛이다. 각 접착제의 도포의 패턴으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연속적 또는 간헐적인 오메가 패턴, 스파이럴 패턴, 라인 패턴을 들 수 있다.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의 평량은, 흡수체(3)의 액체 흡수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않도록 적절히 조정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각각 3∼50g/㎡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20g/㎡이다. 여기에서, 연속적 또는 간헐적인 패턴이란, 흡수체(3)의 평면 방향의 예를 들면 폭 방향(W) 및 길이 방향(L) 중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연속적 또는 불연속인 임의의 형상을 말한다.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의 평량은, 한쪽이 다른쪽보다도 많아도 되고, 동등해도 된다. 기재측 제 1 접착제(22) 및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의 평량은 한쪽이 다른쪽보다도 많아도 되고, 동등해도 되며, 기재측 제 2 접착제(27) 및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의 평량은 한쪽이 다른쪽보다도 많아도 되고, 동등해도 된다.
제 1 기재(21)로는, 액체 투과성을 갖는 시트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제 1 기재(21)로는, 예를 들면 액체 투과성의 부직포, 친수성의 부직포, 그들의 적층 부직포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투수성이 높은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스펀본드 부직포나 에어스루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이들의 합성 섬유는 공지의 방법으로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예를 들면, 펄프 섬유나 레이온 섬유와 같은 친수성 섬유를 친수성 바인더로 피복한 에어레이드 부직포나, 상기의 친수성 섬유와 상기의 합성 섬유를 조합한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투과성, 액체 홀딩성을 갖는, 펄프 섬유를 친수성 바인더로 피복한 에어레이드 부직포를 이용한다. 또한, 제 1 기재(21)로서, 상기의 부직포 중 1종류 또는 복수의 종류의 부직포를 복수층, 적층해도 된다. 제 1 기재(21)의 평량은, 예를 들면 10∼100g/㎡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80g/㎡이다. 제 1 기재(21)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5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5∼3mm이다.
제 2 기재(26)로는, 보수성 및 액체 확산성을 갖는 시트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제 2 기재(26)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섬유와 같은 합성 섬유, 레이온 섬유나 아세테이트 섬유와 같은 재생섬유, 면, 견, 마, 펄프(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은 천연 섬유,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부직포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나일론을 포함하는 스펀본드 부직포나, 레이온 섬유 및/또는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레이온 섬유 및/또는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에는, 폴리올레핀 섬유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홀딩성, 액체 확산성을 갖는, 레이온 섬유 및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이용한다. 또한, 제 2 기재(26)로서, 상기의 부직포 중 1종류 또는 복수의 종류의 부직포를 복수층, 적층해도 된다. 제 2 기재(26)의 평량은, 예를 들면 10∼200g/㎡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5∼150g/㎡이다. 제 2 기재(26)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5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5∼3mm이다.
중간층(13)은,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을 두께 방향(T)으로 연이어 통하는 복수의 연통공(도시되지 않음)을 갖는 시트로 형성된다. 중간층(13)으로는, 복수의 연통공을 갖고, 따라서 액체 투과성을 갖는 시트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중간층(13)으로는, 예를 들면, 복수의 섬유로 형성되고, 친수성을 갖는 섬유 시트를 들 수 있다. 중간층(13)의 복수의 연통공은, 예를 들면, 섬유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섬유로 형성되는 섬유 사이의 틈새인 다수의 공극 중의 일부의 공극이다. 또는, 중간층(13)의 복수의 연통공은, 예를 들면, 섬유 시트를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다른쪽의 표면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공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연통공의 폭은, 소정의 크기 이상이다. 소정의 크기란, 가늘고 긴 선의 형상의 제 1 접착제 또는 제 2 접착제의 선의 폭(평균치)보다도 큰 크기이다.
여기에서, 복수의 연통공이 공극인 경우, 연통공으로서의 공극의 폭이란, 공극을 구성하는 복수의 섬유에 있어서, 평균의 섬유간 거리를 말한다. 연통공의 폭(공극의 평균의 섬유간 거리)은, 예를 들면 400∼3000㎛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0∼2000㎛이다. 중간층(13)의 공극률은, 예를 들면, 70∼99%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98%이다.
여기에서, 복수의 연통공이 복수의 관통공인 경우, 연통공으로서의 관통공의 폭이란, 중간층(13)의 한쪽의 표면(예시: 피부측의 표면)에서의 관통공의 길이 방향(L)의 폭과 폭 방향(W)의 폭의 평균 폭을 말한다. 연통공의 폭(관통공의 평균 폭)은, 예를 들면 400∼3000㎛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0∼2000㎛이다. 중간층(13)의 한쪽의 표면(예시: 피부측의 표면)에 있어서, 연통공 1개당 평균 면적은 예를 들면 0.01∼0.6㎟이고, 바람직하게는 0.02∼0.4㎟이다. 연통공의 면적률은, 예를 들면 3∼50%이고, 바람직하게는 4∼20%이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의 적어도 한쪽이 가늘고 긴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연통공의 각각의 폭은,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의 적어도 한쪽의 선의 폭보다도 크다. 또, 중간층(13)의 제 1 흡수층(11)측의 면에는, 제 1 흡수층(11)의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가 도포되고, 중간층(13)의 제 2 흡수층(12)측의 면에는, 제 2 흡수층(12)의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가 도포되어 있다.
중간층(13)으로는, 액체 투과성을 갖는 시트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중간층(13)으로는, 예를 들면 제 1 기재(21)와 마찬가지의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중간층(13)의 평량은, 예를 들면 10∼100g/㎡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80g/㎡이다. 중간층(13)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5mm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5∼3mm이다.
흡수체(3)는, 평면시에서,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양단부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위치하고, 제 1 기재(21)와 중간층(13)이 제 1 접착제로, 및, 제 2 기재(26)와 중간층(13)이 제 2 접착제로, 각각 두께 방향(T)으로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7)(길이 방향 접합 영역)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는,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양단부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접합 영역(7, 7)을 갖는다. 단,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양단부보다도 내측이란,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최대 치수를 100%로 하면,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양단 테두리로부터 5%의 위치보다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가까운측을 말한다. 또, 접합 영역(7)은, 길이 방향(L)이 아니라,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 2∼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3)에서는, 피부측의 제 1 기재(21)와 비피부측의 제 2 기재(26)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몇 개의 접합 영역(7)에 의해, 평면시에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된다. 접합 영역(7)은, 제 1 기재(21)의 일부분과 그것에 대향하는 제 2 기재(26)의 일부분을 중간층(13)을 개재시키면서, 두께 방향(T)으로 접착제를 개재하여 가압(押壓)하는 것(예시: 핫멜트 접착제) 또는 압착(壓着)하는 것(예시: 엠보스 가공)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흡수층(11)의 접합 영역(7)과 제 2 흡수층(12)의 접합 영역(7)은 두께 방향(T)으로 완전히 일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합 영역(7)은, 흡수성 폴리머 및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비존재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흡수재(23)는, 접합 영역(7)을 제외하고, 제 1 흡수층(11) 내에 대체로 균일한 평량으로 배치되며, 제 2 흡수재(28)는, 접합 영역(7)을 제외하고, 제 2 흡수층(12) 내에 대체로 균일한 평량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는, 한 쌍의 접합 영역(7, 7)에 의해, 폭 방향(W)으로 흡수재를 포함하는 3개의 영역(존재 영역)으로, 즉 중앙 배치 영역(Awc), 및 그 폭 방향(W)의 양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외측 배치 영역(Awe, Awe)으로 구획되어 있다. 단, 한 쌍의 접합 영역(7, 7)은, 길이 방향(L)으로 연장 설치(延設)되며,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사이에 두고 폭 방향(W)의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늘어선 띠상의 영역이다. 접합 영역(7)은, 길이 방향(L)의 중앙부, 특히 폭 방향 중심선(CW)을 걸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접합 영역(7, 7)의 평면시에서의 패턴은, 예를 들면 양자의 간격이, 길이 방향(L)을 따라 일정하도록 형성된 패턴이다. 단, 한 쌍의 접합 영역(7, 7)의 패턴이, 예를 들면 길이 방향(L)의 중앙 부근에 있어서 좁고, 길이 방향(L)의 양 외측으로 향함에 따라 넓어지도록 형성된 패턴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재(21)와, (중간층(13)과,) 제 2 기재(26)와, 한 쌍의 접합 영역(7, 7)에 의해, 중앙 배치 영역(Awc)이 형성된다. 중앙 배치 영역(Awc)은, 길이 방향(L)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제 1 흡수재(23) 및 제 2 흡수재(28)를 내포한다. 한편, 제 1 기재(21)와, (중간층(13)과,) 제 2 기재(26)와, 각 접합 영역(7)에 의해, 각 외측 배치 영역(Awe)이 형성된다. 각 외측 배치 영역(Awe)은, 길이 방향(L)으로 긴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제 1 흡수재(23) 및 제 2 흡수재(28)를 내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배치 영역(Awc) 및 외측 배치 영역(Awe)의 폭 방향(W)의 치수는,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최대 치수를 100%로 하면, 예를 들면 30∼60%, 20∼10%를 들 수 있다. 또, 접합 영역(7)의 폭 방향(W)의 치수는,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최대 치수를 100%로 하면, 예를 들면 5∼10%를 들 수 있다. 또, 접합 영역(7)의 길이 방향(L)의 치수는, 흡수체(3)의 길이 방향(L)의 최대 치수를 100%로 하면, 예를 들면 30∼100%를 들 수 있다.
도 4의 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 영역(7)에서는,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가, 가압에 의해 제 1 기재(21)의 내부, 중간층(13)의 내부, 및 제 2 기재(26)의 내부에 들어가고, 특히 중간층(13)의 내부에 들어가 있다. 즉,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가, 중간층(13)의 복수의 연통공을 개재하여 서로 접촉한다. 그것에 의해, 제 1 기재(21)와 제 2 기재(26)가 서로 접합된다. 이와 같이, 접합 영역(7)에서는, 제 1 흡수층(11)측의 제 1 접착제와, 제 2 흡수층(12)의 제 2 접착제가, 주로 중간층(13)의 내부 또는 표면에 있어서 서로 접촉하여, 접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접착제인 기재측 제 1 접착제(22) 및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와, 제 2 접착제인 기재측 제 2 접착제(27) 및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가, 중간층(13)의 복수의 연통공을 개재하여 서로 접촉하여, 제 1 기재(21)와 제 2 기재(26)가 서로 접합된다.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가 접촉하는 위치로서, 예를 들면 중간층(13)의 연통공 내를 들 수 있지만, 중간층(13)보다도 제 1 흡수층(11)측이나 제 2 흡수층(12)측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흡수체(3)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 2 기재(26)용 시트를 길이 방향(L)으로 이동시키면서, 기재측 제 2 접착제(27)용 핫멜트 접착제를 제 2 기재(26)용 시트의 위에 도포한다. 이어서, 고흡수성 폴리머 공급장치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를, 기재측 제 2 접착제(27)용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제 2 기재(26)용 시트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단 부분 및 중앙 부분의 위에 길이 방향(L)을 따라 산포(散布)한다. 이어서, 양면에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용 및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용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중간층(13)용 시트를, 제 2 기재(26)용 시트 상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위에,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용 핫멜트 접착제를 고흡수성 폴리머측으로 하여 적층한다. 이어서, 그 적층물을 길이 방향(L)으로 이동시키면서, 다른 고흡수성 폴리머 공급장치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를,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용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중간층(13)용 시트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단 부분 및 중앙 부분의 위에 길이 방향(L)을 따라 산포한다. 이어서, 제 2 기재(26)용 시트 상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위에, 기재측 제 1 접착제(22)용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한 제 1 기재(21)용 시트를, 기재측 제 1 접착제(22)용 핫멜트 접착제를 고흡수성 폴리머측으로 하여 적층한다. 그리고, 제 2 기재(26)용 시트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측부 각각을 제 1 기재(21)용 시트의 위로 되접은 후, 한 쌍의 프레스 롤에 적층물을 통과시켜 프레스함으로써 두께를 조정하여, 흡수체(3)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흡수체(3)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한 흡수체(3)의 상면(제 1 기재(21)의 표면)에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2)(입체 개더 부착 한 쌍의 사이드 시트(4, 4)를 포함한다)를 첩부(貼付)한다. 이어서, 흡수체(3)의 하면(제 2 기재(26)의 표면)에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를 첩부한다. 이어서, 이면 시트의 길이 방향(L)의 일단부의 폭 방향(W)의 양단부에 한 쌍의 테이프 파스너(5, 5)를 첩부한다. 그것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1)가 제조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3)의 작용의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5(a), (b)는 선행 기술의 흡수체(103)를 나타내고, 도 5(c), (d)는 본 실시형태의 흡수체(3)를 나타낸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 기술의 흡수체(103)는, 제 1 흡수층(111)과 중간층(113)과 제 2 흡수층(112)이 두께 방향(T)으로 적층되고, 제 1 흡수층(111)은 두께 방향(T)의 외표면에 제 1 기재(121)를 포함하며, 제 2 흡수층(112)은 두께 방향(T)의 외표면에 제 2 기재(126)를 포함한다. 흡수체(103)에서는,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시에, 제 1 흡수층(111)의 제 1 기재(121)에 작용하는 힘(F11)과 제 2 흡수층(112)의 제 2 기재(126)에 작용하는 힘(F12)의 방향(방위)이 서로 다르다. 또한, 흡수체(103)에서는, 제 1 흡수층(111)이나 제 2 흡수층(112)의 고흡수성 폴리머가 팽윤하여 흡수체(103)가 비교적 두꺼워져, 제 1 기재(121)와 제 2 기재(126)의 사이의 두께 방향(T)의 거리가 비교적 커진다. 그것들에 의해, 흡수체(103)의 내부에는, 비교적 큰 평면 방향의 전단 응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103)의 두께 방향(T)의 상부와 하부가 평면 방향으로 서로 다른 방위로 크게 변형하고, 그것에 의해, 대체로 제 1 흡수층(111)의 부분과 대체로 제 2 흡수층(112)의 부분이 서로 다른 방위로 미끄러져 버려, 흡수체(103)가 파단하거나, 형태가 무너지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흡수체(3)에서는, 접합 영역(7)에 있어서, 제 1 기재(21)와 중간층(13)을 제 1 접착제(기재측 제 1 접착제(22) 및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의 적어도 한쪽)로 서로 접합하고, 또한, 제 2 기재(26)와 중간층(13)을 제 2 접착제(기재측 제 2 접착제(27) 및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의 적어도 한쪽)로 서로 접합한다. 그리고, 접합 영역(7)에 있어서,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가 중간층(13)의 복수의 연통공을 개재하여 서로 접촉함으로써, 제 1 기재(21)와 제 2 기재(26)를 서로 접합한다. 즉, 강한 전단 응력이 발생할 수 있는 두께 방향(T)의 한쪽의 외표면인 제 1 기재(21)와 다른쪽의 외표면인 제 2 기재(26)를 서로 접합한다. 그것에 의해, 흡수체(3)에서는, 제 1 기재(21)에 작용하는 힘(F21)과 제 2 기재(26)에 작용하는 힘(F22)에 의해, 흡수체(3)의 내부에 비교적 큰 평면 방향의 전단 응력이 발생하여,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흡수층(11)의 부분과 제 2 흡수층(12)의 부분이 서로 다른 방위로 변형했다고 하더라도, 그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 1 흡수층(11)의 부분과 제 2 흡수층(12)의 부분이 서로 다른 방위로 미끄러져 버려 흡수체(3)가 파단하거나, 형태가 무너지거나 해 버린다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흡수체(3)는,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의 결합을 강고하게 할 수 있어, 전단 응력이 발생해도 파단이나 형태가 무너지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즉,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흡수체(3)에 있어서, 배설물을 흡수해 팽윤하여 두께 방향(T)으로 두꺼워져도, 전단 응력에 의한 파단이나 형태 무너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환언하면, 접합 영역(7)은, 제 1 흡수층(11)의 제 1 기재(21)와 제 2 흡수층(12)의 제 2 기재(26)가 두께 방향(T)으로 압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흡수층(11)의 접합 영역(7)과 제 2 흡수층(12)의 접합 영역(7)은 두께 방향(T)으로 완전히 일치한다. 그리고,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은, 두께 방향(T)의 내측에 있어서 중간층(13)을 공용하기 때문에,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의 경계층이 한층(중간층(13))이 되어 두께가 얇고, 따라서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를 다른 층으로 확산시키기 쉽다. 그것에 의해,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의 결합을 강고하게 할 수 있어, 흡수체(3)를 전단 응력이 발생해도, 접합 영역(7)의 접합 부분에서 받아들여, 변형을 억제하고, 파단이나 형태가 무너지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도 2∼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3)가, 길이 방향(L)으로 연장 설치되고,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띄우고 나란한 한 쌍의 엠보스부(8, 8)를 구비한다. 한 쌍의 엠보스부(8, 8)는, 한 쌍의 접합 영역(7, 7) 내에 위치한다. 각 엠보스부(8)는, 길이 방향(L)의 중앙부를 지나도록 연장 설치되며, 두께 방향(T)으로 피부측의 표면 및 비피부측의 표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움푹 패어 들어간 구성을 갖는다. 한 쌍의 엠보스부(8, 8)는,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을 따른 서로 평행한 직선의 형상을 갖는다. 한 쌍의 엠보스부(8, 8)의 형상은,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해 선 대칭이다. 엠보스부(8)의 폭 방향(W)의 치수는 0.5∼4mm가 바람직하고, 1∼2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엠보스부(8)의 길이 방향(L)의 치수는, 흡수체(3)의 길이 방향(L)의 최대 치수를 100%로 하면, 예를 들면 20∼90%를 들 수 있다. 단, 한 쌍의 엠보스부(8, 8)의 형상은, 이 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을 가져도 된다. 다른 형상으로는, 예를 들면,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을 따라 중심으로부터 양단부로 향함에 따라 폭 방향(W)의 서로의 거리가 증대하는 형상, 즉,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해 볼록해지는 완만한 원호상의 형상이나, 길이 방향 중심선(CL)에 대해 오목해지는 완만한 원호상의 형상이나, 이들의 형상(도 2의 형상을 포함한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수체(3)는, 접합 영역(7)에 제 1 기재(21)와 제 2 기재(26)와 중간층(13)을 압축한 엠보스부(8)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접합 영역(7)의 엠보스부(8)에 있어서,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를 서로 보다 긴밀히 접촉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 1 기재(21)와 제 2 기재(26)의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어, 흡수체(3)를, 전단 응력이 발생해도 파단이나 형태 무너짐이 보다 일어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특히, 길이 방향(L)의 중앙부에 한 쌍의 엠보스부(8, 8)를 형성함으로써, 흡수체(3)의 전단 응력에 대한 내성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의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흡수체(3)가, 접합 영역(7)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의 양단부에, 각각,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 설치되고, 폭 방향(W)으로 간격을 뛰우고 나란한 한 쌍의 엠보스부(18, 18)를 추가로 구비한다. 그러므로, 접합 영역(7)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의 양단부에서도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가 서로 매우 긴밀히 접촉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흡수체(3)의 전단 응력에 대한 내성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엠보스부(8, 18)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흡수체(3)의 구성이나 각 엠보스부(8, 18)의 구성에 따라 적절히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엠보스부(8, 18)는, 흡수체(3)를, 피부측의 표면으로부터 비피부측의 표면을 향해 압착시키는 방법, 즉 엠보스 가공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의 흡수체(3)에서는, 접합 영역(7)(길이 방향 접합 영역)이 길이 방향(L)의 중앙부를 지나고, 또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슬릿상의 형상을 갖는다. 단, 길이 방향(L)의 중앙부란, 폭 방향 중심선(CW)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영역이고, 전형적으로는,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흡수체(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최장 길이의 1/3∼1/2 정도의 크기의 영역이다.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슬릿상이란, 길이 방향(L)으로 가늘고 길며, 폭 방향(W)으로 일정한 폭이 있는 영역이다. 이와 같은 접합 영역(7)을 구비함으로써, 제 1 기재(21)와 제 2 기재(26)의 접합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그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평면 방향의 전단 응력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흡수체의 파단이나 형태 무너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의 흡수체(3)에서는, 제 1 흡수층(11)의 제 1 접착제가 기재측 제 1 접착제(22)와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를 포함하고, 제 2 흡수층(12)의 제 2 접착제가 기재측 제 2 접착제(27)와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접합 영역(7)에 있어서, 제 1 기재(21)와 중간층(13)의 접합에 관한 접착제의 양을 많게 할 수 있고, 제 2 기재(26)와 중간층(13)의 접합에 관한 접착제의 양을 많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중간층(13)의 연통공의 제 1 접착제와 제 2 접착제의 접촉에 의한 제 1 기재(21)와 제 2 기재(26)의 접합을 보다 강하게 접합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제 1 흡수재(23)는 두께 방향(T)의 양측이 기재측 제 1 접착제(22)와 중간층측 제 1 접착제(24)에 고정되고, 제 2 흡수재(28)는 두께 방향(T)의 양측이 기재측 제 2 접착제(27)와 중간층측 제 2 접착제(29)에 고정되므로, 제 1 흡수재(23)와 제 2 흡수재(28)의 흡수체(3) 내에서의 이동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수체(3)의 두께를 비교적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두께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두꺼워져, 전단 응력이 집중하기 쉬워지는 개소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국소적으로 파단이 발생하고, 그곳으로부터 흡수체의 파단이나 형태 무너짐을 발생시키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의 흡수체(3)에서는, 제 1 기재(21) 및/또는 제 2 기재(26)를 형성하는 섬유 시트의 선섬은,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도시되지 않음). 예를 들면, 섬유 시트가 레이온 섬유 시트인 경우, 섬유의 표면에는, 섬유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섬유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나란한 볼록부와, 서로 이웃하는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본 흡수체(3)의 섬유는,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지 않는 섬유와 비교하여, 표면적이 커져 있다. 그 때문에, 제 1 기재(21) 및/또는 제 2 기재(26)(의 섬유 시트의 선섬)와 접착제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기재(21)와 제 2 기재(26)의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고,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의 흡수체(3)에서는, 중간층(13)의 복수의 연통공은, 중간층(13)을 형성하는 섬유 시트의 복수의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와 같은 공극은 섬유 시트 중에 극히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제 1 접착제 및 제 2 접착제를 공극 내에 홀딩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공극으로부터 제 2 기재(26)에 이르는 제 1 접착제와 제 2 기재(26)의 접합, 및 공극으로부터 제 1 기재(21)에 이르는 제 2 접착제와 제 1 기재(21)의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재(21)와 제 2 기재(26)를 서로 강하게 접합시킬 수 있어,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을 서로 보다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의 흡수체(3)에서는, 제 1 접착제 및/또는 상기 제 2 접착제는 가늘고 긴 선의 형상을 갖고, 그 선의 폭보다도, 중간층(13)의 연통공의 폭이 크다. 그러므로, 보다 많은 제 1 접착제 및/또는 상기 제 2 접착제를 복수의 연통공에 홀딩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연통공으로부터 제 2 기재(26)에 이르는 제 1 접착제와 제 2 기재(26)의 접합, 및 연통공으로부터 제 1 기재(21)에 이르는 제 2 접착제와 제 1 기재(21)의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재(21)와 제 2 기재(26)를 서로 강하게 접합시킬 수 있어,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을 서로 보다 강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단, 각 접착제에 있어서의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단면(斷面)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및 그들의 조합을 들 수 있으며, 가늘고 길게 연장되는 방향의 위치에 따라 달라도 된다. 여기에서, 선의 폭, 즉 각 접착제의 폭은, 접착제의 단면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으로 한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3)는, 접합 영역으로서, 길이 방향(L)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폭 방향(W)의 중앙부를 지나,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접합 영역(17)(폭 방향 접합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단, 폭 방향(W)의 중앙부란,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포함하는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영역이고, 전형적으로는,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체(3)에서의 폭 방향(W)의 최장 길이의 1/3∼1/2 정도의 크기의 영역이다.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이란, 폭 방향(W)으로 가늘고 길며, 길이 방향(L)으로 일정한 폭이 있는 영역이다. 이 경우, 제 1 흡수재(23)는, 접합 영역(7, 17)을 제외하고, 제 1 흡수층(11) 내에 대체로 균일한 평량으로 배치되며, 제 2 흡수재(28)는, 접합 영역(7, 17)을 제외하고, 제 2 흡수층(12) 내에 대체로 균일한 평량으로 배치된다. 접합 영역(17)의 폭 방향(W)의 치수는, 흡수체(3)의 폭 방향(W)의 최대 치수를 100%로 하면, 예를 들면 30∼100%를 들 수 있다. 또, 접합 영역(17)의 길이 방향(L)의 치수는, 흡수체(3)의 길이 방향(L)의 최대 치수를 100%로 하면, 예를 들면 5∼30%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접합 영역(17)을 구비함으로써, 제 1 기재(21)와 제 2 기재(26)의 접합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그 접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1 흡수층(11)과 제 2 흡수층(12)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평면 방향의 전단 응력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흡수체의 파단이나 형태 무너짐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각종의 값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시트의 평량>
각 시트(흡수체 등을 포함한다)의 평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시트로부터 5cm×5cm 크기의 부분을 잘라내어 시료로 한다. (2) 시료에 대해, 100℃ 이상의 공기 분위기에서 건조 처리를 행한다. (3) 시료의 질량을 측정한다. (4) 질량의 측정치를 시료의 면적으로 나눗셈하여 시료의 평량을 산출한다. (5) 10개의 시료의 평량을 평균한 값을 시트의 평량으로 한다.
<시트의 두께>
각 시트(흡수체 등을 포함한다)의 두께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시트로부터 5cm×5cm 크기의 부분을 잘라내어 시료로 한다. (2) 시료에 대해, 100℃ 이상의 공기 분위기에서 건조 처리를 행한다. (3) 15c㎡의 측정자를 구비한 두께계((주)다이에이 가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 형식 FS-60DS)를 이용하여, 3g/c㎡의 측정 하중의 조건으로 시트의 두께를 측정한다. (4) 1개의 시료에서 3개소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치를 시트의 두께로 한다.
<접착제의 평량>
접착제의 평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1) 접착제가 도포된 시트로부터 5cm×5cm 크기의 부분을 잘라내어 시료로 한다. (2) 시료의 질량을 측정한다. (3) 질량의 측정치를 시료의 면적으로 나눗셈하여 시료의 평량을 산출한다. (4) 시료를, 접착제를 용해하는 용매에 넣어 접착제를 제거하고, 건조한 후, 재차 시트의 질량을 측정한다. 산출된 시트의 평량을 미리 측정하고 있었던 시료의 평량으로부터 감산하여 시료의 접착제분의 평량을 산출한다. (5) 10개의 시료의 접착제분의 평량을 평균한 값을 접착제의 평량으로 한다. 단, 용매는, 베이스 레진(접착제)에 따라 적절히 선정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 레진이 폴리올레핀인 경우, 용매로는, 예를 들면, 펜탄, 헥산, 석유 에테르,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 염화 메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들 수 있다.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섬유 시트의 섬유간의 거리>
섬유 시트의 평균 섬유간 거리는 이하의 식으로 주어진다.
평균 섬유간 거리는, 섬유가 모두 등거리 평행으로 배열하고 있는 모델을 생각하고, 그 섬유간 거리를 평균 섬유간 거리로 한다. 상세하게는 일본국 특개평 3-49758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다.
평균 섬유간 거리
=104×[(10L/9w)×{1/(Σii/Di))}]0.5
    (Σi는, i=1부터 i=p까지의 합을 나타낸다.)
L: 섬유 시트의 두께(cm), w: 섬유 시트의 평량(g/㎡)
  αi: 섬유 i의 중량 비율(%), Di: 섬유 i의 섬도(데니어)
   p: 섬유의 종류
 (여기에서는, 섬유의 종류는 1종류이기 때문에 p=1이다.)
<섬유 시트의 공극률>
섬유 시트의 평균 섬유간 거리 및 공극률은 이하의 식으로 주어진다.
공극률(%)={1-(M/(A×T×D)}×100
M: 섬유 시트의 질량(g), A: 섬유 시트의 면적(c㎡)
  T: 섬유 시트의 두께(cm), D: 섬유 시트의 섬유 밀도(g/cm3)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는,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일 없이,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조합이나 변경 등이 가능하다.
1: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 3: 흡수체
11: 제 1 흡수층 12: 제 2 흡수층
13: 중간층 21: 제 1 기재
23: 제 1 흡수재 22, 24: 제 1 접착제
26: 제 2 기재 28: 제 2 흡수재
27, 29: 제 2 접착제

Claims (8)

  1.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제 1 흡수층과, 제 2 흡수층과, 상기 제 1 흡수층과 상기 제 2 흡수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층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로서,
    상기 제 1 흡수층과 상기 중간층과 상기 제 2 흡수층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 1 흡수층은,
    제 1 기재(基材)와,
    상기 제 1 기재보다도 상기 중간층측에 배치되며,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1 흡수재와,
    상기 제 1 기재의 상기 중간층측의 표면 및 상기 중간층의 상기 제 1 기재측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흡수재를 고정하는 제 1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흡수층은,
    제 2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보다도 상기 중간층측에 배치되고,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 2 흡수재와,
    상기 제 2 기재의 상기 중간층측의 표면 및 상기 중간층의 상기 제 2 기재측의 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흡수재를 고정하는 제 2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제 1 흡수층과 상기 제 2 흡수층을 상기 두께 방향으로 연이어 통하는 복수의 연통공(連通孔)을 가지며,
    상기 흡수체는, 평면시(平面視)로, 상기 흡수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보다도 내측의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중간층이 상기 제 1 접착제로, 및 상기 제 2 기재와 상기 중간층이 상기 제 2 접착제로, 각각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접합된 접합 영역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와 상기 제 2 접착제가 상기 복수의 연통공을 개재하여 서로 접촉하여,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흡수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지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상의 형상을 갖는 길이 방향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영역은, 상기 흡수체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를 지나,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폭 방향 접합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는,
    상기 제 1 기재의 상기 중간층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측 제 1 접착제와,
    상기 중간층의 상기 제 1 기재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중간층측 제 1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착제는,
    상기 제 2 기재의 상기 중간층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기재측 제 2 접착제와,
    상기 중간층의 상기 제 2 기재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중간층측 제 2 접착제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 영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측 제 1 접착제 및 상기 중간층측 제 1 접착제와 상기 기재측 제 2 접착제 및 중간층측 제 2 접착제가 상기 복수의 연통공을 개재하여 서로 접촉하여,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흡수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재 및 상기 제 2 기재의 적어도 한쪽은, 섬유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섬유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섬유는,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는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섬유 시트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연통공은, 상기 섬유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섬유로 형성되는 섬유 사이의 공극을 포함하는, 흡수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착제 및 상기 제 2 접착제의 적어도 한쪽은, 가늘고 긴 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연통공의 각각의 폭은, 상기 제 1 접착제 및 상기 제 2 접착제의 적어도 한쪽의 선의 폭보다도 큰 흡수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기재와 상기 제 2 기재와 상기 중간층을 상기 두께 방향으로 압축한 엠보스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흡수체.
KR1020207021046A 2018-06-08 2019-02-15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 KR102664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10631 2018-06-08
JP2018110631A JP6689317B2 (ja) 2018-06-08 2018-06-08 吸収性物品の吸収体
PCT/JP2019/005674 WO2019234979A1 (ja) 2018-06-08 2019-02-15 吸収性物品の吸収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320A true KR20210016320A (ko) 2021-02-15
KR102664198B1 KR102664198B1 (ko) 2024-05-07

Family

ID=6876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046A KR102664198B1 (ko) 2018-06-08 2019-02-15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04680B1 (ko)
JP (1) JP6689317B2 (ko)
KR (1) KR102664198B1 (ko)
CN (1) CN111918628B (ko)
WO (1) WO201923497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225A (ja) * 2003-03-12 2004-10-07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吸収性物品
WO2011136087A1 (ja) 2010-04-30 2011-11-03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シート構成体
JP2012010980A (ja) * 2010-06-30 2012-01-19 Unicharm Corp 薄型吸収性物品
EP2679209A1 (en) * 2012-06-28 2014-0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
JP2016515458A (ja) * 2013-04-18 2016-05-30 ジーディーエム エス.ピー.エー.Gdm S.P.A. 吸収性衛生用品およびその用品の製造用機械
JP2017104254A (ja) * 2015-12-09 2017-06-1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1642B2 (ja) 1989-07-18 1999-01-2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183587B1 (en) * 1997-11-26 2001-0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sanitary napkin comprising three dimensionally shaped tube of absorbent material
BR9915222A (pt) * 1998-11-11 2001-07-24 Weyerhaeuser Co Compósito absorvente, artigo absorvente e processos para formar um compósito absorvente, uma tela fibrosa e um compósito absorvente
JP4423088B2 (ja) * 2004-03-31 2010-03-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98546B1 (ko) * 2005-05-20 2012-11-06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다수의 마이크로 엠보싱으로 구성된 매크로 엠보싱을구비한 뭉침 및 샘방지기능과 심미적 효과가 증대된 흡수제품
JP6399827B2 (ja) * 2014-06-30 2018-10-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78624B2 (ja) * 2014-12-12 2018-08-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5225A (ja) * 2003-03-12 2004-10-07 Livedo Corporation 使い捨て吸収性物品
WO2011136087A1 (ja) 2010-04-30 2011-11-03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シート構成体
JP2012010980A (ja) * 2010-06-30 2012-01-19 Unicharm Corp 薄型吸収性物品
EP2679209A1 (en) * 2012-06-28 2014-0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
JP2016515458A (ja) * 2013-04-18 2016-05-30 ジーディーエム エス.ピー.エー.Gdm S.P.A. 吸収性衛生用品およびその用品の製造用機械
JP2017104254A (ja) * 2015-12-09 2017-06-1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04680A4 (en) 2021-08-04
EP3804680B1 (en) 2023-05-03
JP6689317B2 (ja) 2020-04-28
CN111918628A (zh) 2020-11-10
KR102664198B1 (ko) 2024-05-07
EP3804680A1 (en) 2021-04-14
CN111918628B (zh) 2022-04-08
WO2019234979A1 (ja) 2019-12-12
JP2019209066A (ja)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193B1 (ko)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US8975466B2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extending channels
EP2409673B1 (en) Absorbent article
JP4162637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239965B2 (ja) 吸収性物品
US8912384B2 (en)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absorbent article
TWI816817B (zh) 吸收性物品
JP4817897B2 (ja) 吸収性物品
EP3597808B1 (en) Laminated nonwoven fabric,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for absorbing sweat
JP4712533B2 (ja) 吸収性物品
JP5766253B2 (ja) 吸収性物品
JP7149771B2 (ja) 吸収体
WO2014204016A1 (ja) 吸収性物品
JP2021062176A (ja) 吸収性物品
KR20190056358A (ko) 흡수성 물품
KR20190053185A (ko) 흡수성 물품
JP6265329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137433A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936652B2 (ja) 吸収性物品
KR102664198B1 (ko)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
JP5132798B2 (ja) 吸収性物品
JP7118105B2 (ja) 吸収性物品の吸収体
JP4919779B2 (ja) 生理用ナプキン
JP2019216856A (ja) 吸収性物品の吸収体
RU2791835C1 (ru) Впитывающий лист,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его лис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