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7527A -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7527A
KR20190087527A KR1020197017856A KR20197017856A KR20190087527A KR 20190087527 A KR20190087527 A KR 20190087527A KR 1020197017856 A KR1020197017856 A KR 1020197017856A KR 20197017856 A KR20197017856 A KR 20197017856A KR 20190087527 A KR20190087527 A KR 20190087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path
electronic expansion
silencer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738B1 (ko
Inventor
유동 왕
샤오후이 슈
Original Assignee
쯔지앙 산화 인텔리전트 컨트롤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앙 산화 인텔리전트 컨트롤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쯔지앙 산화 인텔리전트 컨트롤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8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rotary motors, e.g. by stepping motors
    • F25B41/06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2341/06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 시스템을 개시한다.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제1 밸브 포트(11)를 갖는 밸브 본체(10);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를 갖는 밸브 니들(20)로서, 제2 밸브 포트(221)가 밸브 니들(20)의 최하부에 제공되고, 밸브 니들(20)은 수용 공간(23), 제1 과류 채널(211), 및 제2 과류 채널(222)을 갖고, 제1 과류 채널(211)은 외부 세계와 연통하고, 제2 과류 채널(222)은 제2 밸브 포트(221)와 연통하는, 밸브 니들; 수용 공간(2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는 밸브 로드(30); 수용 공간(23) 내에 제공된 제1 잡음 감소부(40); 수용 공간(23) 내에 제공되고 제1 음 흡수부(40)와 제2 과류 채널(22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밀봉부(50)로서, 제3 과류 채널(51)이 제1 밀봉부(50) 상에 제공되고, 수용 공간(23)이 제3 과류 채널(51)에 의해 제2 과류 채널(222)과 연통하는, 제1 밀봉부; 및 밸브 로드(30)를 구동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전자식 팽창 밸브의 잡음이 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 시스템
본원은, 냉장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인버터 에어컨에 사용되는 감속형 전자식 팽창 밸브는 크게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 부분은 흐름 조절을 위한 밸브 본체이고, 나머지 부분은 구동을 위한 코일부이다. 코일부는, 영구 자석 스텝퍼 모터(1), 3단 기어 감속기(2), 및 모터의 회전 운동을 나사 로드(3)의 수직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나사 쌍 구조(5)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는, 밸브 시트(10'), 및 밸브 니들(8)을 제어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주름진 파이프(7) 등의 코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술한 전자식 팽창 밸브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컨 시스템의 전자 제어기가 전자식 팽창 밸브의 스텝퍼 모터(1)의 출력 샤프트를 제어하여 회전시키고, 모터(1)가 기어 감속기(2)와 협동하여 기어 감속기(2)의 출력 샤프트를 구동하여 회전시키고, 기어 감속기(2)의 출력 샤프트가 스크류 로드와 협동하여 스크류 로드를 구동하여 회전시킨 후, 스크류 로드가 나사 하부 구조(5)와 협동하여 스크류 로드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스틸 볼(11')은 스크류 로드의 최상부단에 용접되고, 스틸 볼(11')의 하단에는 라이너(6)가 제공되고, 라이너(6)의 하단은 밸브 니들(8)에 연결된다. 스크류 로드가 구동 구성요소에 의해 하향으로 구동되는 경우, 스크류 로드는 스틸 볼(11')을 지지하고, 스틸 볼(11')은 라이너(6)를 지지하고, 라이너(6)는 밸브 니들을 지지하여, 밸브 니들(8)이 밸브 본체(10')에 맞닿는 위치인 폐쇄 위치에 밸브 니들(8)이 있을 때까지 밸브 니들(8)이 스크류 로드와 함께 하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밸브 니들(8)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주름진 파이프(7)는 연속적으로 인장된 상태에 있다. 역방향의 펄스가 인가되면, 스크류 로드(3)는 상향으로 이동하고, 주름진 파이프(7)의 복원 탄성력 및 시스템 압력의 작용 하에서 밸브 니들(8)이 계속해서 상향 이동하여, 밸브 포트(9)의 개방 정도가 변경되며 흐름 영역이 변경됨에 따라, 과열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속 제어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전자식 팽창 밸브는 실제 동작시 잡음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 본체와 밸브 포트 사이의 개방 정도가 작은 경우, 밸브 포트의 작은 개방 정도로 인해, 명백한 스로틀링이 발생한다. 냉매는 큰 유속으로 밸브 포트를 통과하므로, 특정 주파수의 와류를 야기하여, 비정상적인 잡음이 발생하며, 이는 단말 사용자의 편안함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본원의 주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전자식 팽창 밸브에서의 잡음이 큰 문제점을 다루도록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의 일 양태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밸브를 제공하며, 이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제1 밸브 포트를 갖는 밸브 본체;
밸브 니들로서, 밸브 니들은, 제1 밸브 포트에 맞닿는 폐쇄 위치 및 제1 밸브 포트로부터 떨어진 개방 위치를 갖고, 밸브 니들의 최하부에는 제1 밸브 포트와 연통하는 제2 밸브 포트가 제공되고, 밸브 니들에는, 수용 공간 및 수용 공간과 각각 연통하는 제1 유로와 제2 유로가 제공되고, 제1 유로는 밸브 니들의 측벽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통하고, 제2 유로는 제2 밸브 포트의 외주측에 위치하며 제2 밸브 포트와 연통하는, 밸브 니들;
밸브 스템으로서, 밸브 스템은, 밸브 스템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공간 내로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2 밸브 포트에서 유속을 조절하도록 상하로 이동가능한, 밸브 스템;
제1 소음부(silencing portion, 消音部)로서, 제1 소음부는, 제1 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제1 소음부를 통과하여 제2 유로로 흐를 수 있도록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된, 제1 소음부;
제1 밀봉부로서, 제1 밀봉부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제1 소음부와 제2 유로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밀봉부에는 제3 유로가 제공되고, 수용 공간은 제3 유로를 통해 제2 유로와 연통하는, 제1 밀봉부; 및
밸브 스템을 구동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밸브 니들이 정지 부재를 통하여 밸브 스템과 접촉하는 경우 밸브 니들과 밸브 스템이 동기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밸브 스템과 밸브 니들 사이에 정지 부재가 제공되고, 정지 부재는, 또한, 밸브 니들이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밸브 스템을 밸브 니들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밀봉부는 폴리머 물질 또는 연질 금속 물질로 제조된다.
또한, 밸브 니들은 밸브 니들 본체 및 밸브 니들 본체 내에 배치된 밸브 시트 코어를 포함하고, 수용 공간은, 밸브 니들 본체의 내벽과 밸브 시트 코어의 상면에 의해 한정되고, 제2 밸브 포트와 제2 유로는 밸브 시트 코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밀봉부는 제1 밀봉 링이고, 제1 밀봉 링은 밸브 시트 코어와 제1 소음부 사이에 클램핑되고, 제1 밀봉부에는 밸브 스템을 방지하기 위한 제1 간섭 방지 구멍이 제공되고, 제1 밀봉부의 주변 측벽은 밸브 니들의 내벽에 끼워진다.
또한, 제2 유로는 제1 흐름 구멍이고, 복수의 제1 흐름 구멍이 존재하며, 복수의 제1 흐름 구멍은 제2 밸브 포트의 주변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3 유로는 제2 흐름 구멍이고, 복수의 제2 흐름 구멍이 존재하며, 복수의 제2 흐름 구멍은 복수의 제1 흐름 구멍과 일대일 대응관계로 배치된다.
또한, 제2 흐름 구멍은 아치 형상의 구멍이다.
또한, 제1 소음부는 제1 소음 구조와 제2 소음 구조를 포함하고, 제1 소음 구조는 제2 소음 구조 위에 위치하고, 제1 소음 구조는 제1 유로를 차단하고, 제2 소음 구조는 제3 유로를 차단한다.
또한,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제2 밀봉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밀봉부는, 제1 소음 구조를 제2 소음 구조로부터 분리하도록 제1 소음 구조와 제2 소음 구조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2 밀봉부는 제2 밀봉 링이고, 제2 밀봉 링에는 밸브 스템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간섭 방치 구멍이 제공되고, 제2 밀봉부의 주변 측벽은 밸브 니들의 내벽에 끼워진다.
또한, 제2 밀봉부는 폴리머 물질 또는 연질 금속 물질로 제조된다.
또한, 제1 소음 구조와 제2 소음 구조 모두는 메시형 소음 부재이며, 제1 소음 구조와 제2 소음 구조는 일체 형성되고, 제1 소음 구조의 메시 개구의 크기는 제2 소음 구조의 메시 개구의 크기와 다르다.
또한,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제2 밸브 포트 아래에 배치된 제2 소음부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전자식 팽창 밸브를 포함하는, 본원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냉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원의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제1 밀봉부를 포함하고, 제1 밀봉부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제1 소음부와 제2 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밀봉부에는 제3 유로가 제공되고, 수용 공간은 제3 유로를 통해 제2 유로와 연통한다. 밸브 니들이 폐쇄 위치에 있고 밸브 스템이 제2 밸브 포트에 맞닿는 경우, 전자식 팽창 밸브는 작은 흐름 상태에 있다. 유체가 제1 유로로부터 수용 공간에 진입하는 경우, 유체의 일부는, 제1 소음부에 의해 소음된 후 제3 유로 내로 흐르며, 최종적으로 제2 유로로부터 밖으로 흐르며, 제1 소음부에 의해 소음되지 않은 유체의 다른 일부는, 제1 밀봉부에 의해 차단되고, 이전 흐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흘러 잡음 감소를 위한 제1 소음부 내로 흐른다. 소음되는 이러한 유체의 일부는 제3 유로로 흘러 최종적으로 제2 유로로부터 밖으로 흐른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제1 유로로부터 수용 공간에 진입하는 모든 유체가 잡음 감소를 위한 제1 소음부에 진입하며, 이는 잡음 감소 효과를 개선하고 전자식 팽창 밸브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의 전자식 팽창 밸브의 잡음이 큰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원의 일부를 형성하는 도면은 본원을 더 이해하도록 제공된 것이며, 본원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원을 부적절하게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전자식 팽창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밸브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자식 팽창 밸브의 A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자식 팽창 밸브의 밸브 스템과 밸브 니들 간의 협동을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밸브 스템과 밸브 니들 간의 협동을 도시하는 정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전자식 팽창 밸브의 제1 소음부, 제1 밀봉부, 제2 밀봉부, 및 밸브 시트 코어를 도시하는 분해된 개략적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2의 전자식 팽창 밸브의 밸브 니들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밸브의 밸브 스템과 밸브 니들 간의 협동을 도시하는 개략적 종단면 구조도이다.
본원의 실시예들 및 실시예들의 특징부들은 서로 충돌없이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하, 본원을 실시예들과 함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제1 밸브 포트(11)를 갖는 밸브 본체(10);
밸브 니들(20)로서, 밸브 니들은, 제1 밸브 포트(11)에 맞닿는 폐쇄 위치 및 제1 밸브 포트(11)로부터 떨어진 개방 위치를 갖고, 밸브 니들(20)의 최하부에는 제1 밸브 포트(11)와 연통하는 제2 밸브 포트(221)가 제공되고, 밸브 니들(20)에는, 수용 공간(23) 및 수용 공간(23)과 각각 연통하는 제1 유로(211)와 제2 유로(222)가 제공되고, 제1 유로(211)는 밸브 니들(20)의 측벽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통하고, 제2 유로(222)는 제2 밸브 포트(221)의 외주측에 위치하며 제2 밸브 포트(221)와 연통하는, 밸브 니들;
밸브 스템(30)으로서, 밸브 스템은, 밸브 스템(3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공간(23) 내로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밸브 스템(30)은 제2 밸브 포트(221)에서 유속을 조절하도록 상하로 이동가능한, 밸브 스템;
제1 소음부(40)로서, 제1 소음부는, 제1 유로(211)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제1 소음부(40)를 통과하여 제2 유로(222)로 흐를 수 있도록 수용 공간(23) 내에 배치된, 제1 소음부;
제1 밀봉부(50)로서, 제1 밀봉부는,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고 제1 소음부와 제2 유로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밀봉부(50)에는 제3 유로(51)가 제공되고, 수용 공간(23)은 제3 유로(51)를 통해 제2 유로(222)와 연통하는, 제1 밀봉부; 및
밸브 스템(30)을 구동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밸브 니들(20)이 정지 부재를 통하여 밸브 스템(30)과 접촉하는 경우 밸브 니들(20)과 밸브 스템(30)이 동기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밸브 스템(30)과 밸브 니들(20) 사이에 정지 부재가 제공되고, 정지 부재는, 또한, 밸브 니들(20)이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밸브 스템(30)을 밸브 니들(2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에 따르면,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제1 밀봉부(50)를 포함하고, 제1 밀봉부(50)는, 수용 공간(23) 내에 배치되며 제1 소음부(40)와 제2 유로(222)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밀봉부(50)에는 제3 유로(51)가 제공되고, 수용 공간(23)은 제3 유로(51)를 통해 제2 유로(222)와 연통한다. 밸브 니들(20)이 폐쇄 위치에 있고 밸브 스템이 제2 밸브 포트(221)에 맞닿는 경우, 전자식 팽창 밸브는 작은 흐름 상태에 있다. 유체가 제1 유로(211)로부터 수용 공간(23)에 진입하는 경우, 유체의 일부는 제1 소음부(40)에 의해 소음된 후 제3 유로(51) 내로 흘러, 최종적으로 제2 유로(222)로부터 밖으로 흐르며, 제1 소음부(40)에 의해 소음되지 않은 유체의 다른 일부는, 제1 밀봉부(50)에 의해 차단되고, 이전 흐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흘러 잡음 감소를 위한 제1 소음부(40) 내로 흐른다. 이렇게 소음된 유체의 일부는 제3 유로(51) 내로 흐르고 최종적으로 제2 유로(222)로부터 밖으로 흐른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제1 유로(211)로부터 수용 공간(23)으로 진입하는 모든 유체는 잡음 감소를 위한 제1 소음부(40)에 진입하며, 이는 잡음 감소 효과를 개선하며 전자식 팽창 밸브의 잡음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의 전자식 팽창 밸브의 잡음이 큰 문제점을 해결한다.
전자식 팽창 밸브의 동작 원리를 간략히 전술하였다.
구동부에 의해 밸브 스템(30)을 구동하여 하향 이동시키는 경우, 밸브 니들(20)은 자신의 고유한 중량과 압력 차동력으로 인해 정지 부재와 접하게 된다. 밸브 니들(20)은, 밸브 니들(2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까지 정지 부재의 구조로 인해 이 상태에서 밸브 스템(30)과 동기하여 이동할 수 있다. 밸브 니들(2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니들(20)은 정지 부재로부터 분리하기 시작하며, 이때, 밸브 스템(30)은 밸브 니들(20)에 대하여 하향 이동할 수 있다. 밸브 스템(30)이 제2 밸브 포트(221)와 맞닿는 경우, 전자식 팽창 밸브는 작은 흐름 상태에 있다. 구동부에 의해 밸브 스템(30)이 구동되어 상향 이동하는 경우, 밸브 스템(30)은, 밸브 니들(20)이 정치 부재와 접할 때까지 밸브 니들(20)에 대하여 상향 이동할 수 있다. 밸브 니들(20)이 정지 부재와 접하는 경우, 밸브 스템(30)은 밸브 니들(20)을 구동하여 함께 상향 이동하기 시작한다. 모터가 완전 개방 펄스에 도달하도록 기동되는 경우, 전자식 팽창 밸브 전체가 완전 개방 상태에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스템(30)은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이동 거리 L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상술한 구조는, 잡음이 발생하기 쉬운 작은 흐름 규제 섹션이 독립적인 유닛으로서 분리될 수 있게 하며, 즉, L1은 잡음이 발생하는 섹션의 개방 정도에 관련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밀봉부(50)는 폴리머 물질 또는 연질 금속 물질로 제조된다. 폴리머 물질은 고무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고, 연질 금속 물질은 가소성과 낮은 강성을 갖는 다양한 금속 물질일 수 있다. 상술한 구조는, 제1 밀봉부(50)가 가압된 후 불균일한 면이 있는 제1 소음부(40) 내에 내장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제1 소음부(40)와 제1 밑봉부(50) 사이에 갭이 없다. 즉, 제1 유로(221) 또는 제2 유로(222)로부터 진입되는 유체 모두는 잡음 감소를 위한 제1 소음부(40)에 진입하며, 이에 따라 잡음 감소 효과를 개선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밸브 니들(20)은 밸브 니들 본체(21) 및 밸브 니들 본체(21) 내에 배치된 밸브 시트 코어(22)를 포함하고, 수용 공간(23)은 밸브 니들 본체(21)의 내벽과 밸브 시트 코어(22)의 상면에 의해 정의되고, 제2 밸브 포트(221)와 제2 유로(222) 모두는 밸브 시트 코어에 배치된다. 상술한 구조는 제조 및 조립이 간단하고 용이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밸브 시트 코어(22)에는 또한 흐름 안내 홈(223)이 제공되고, 흐름 안내 홈(223)은, 밸브 시트 코어(22)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유로(222)와 연통한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1 밀봉부(50)는 제1 밀봉 링이고, 제1 밀봉 링은 밸브 시트 코어(22)와 제1 소음부(40) 사이에 클램핑되고, 제1 밀봉 링에는 밸브 스템(30)을 방치하기 위한 제1 간섭 방지 구멍(52)이 제공되고, 제1 밀봉부(50)의 주변 측벽은 밸브 니들(20)의 내벽에 끼워진다. 상술한 구조는 가공이 간단하며 용이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밸브 시트 코어(22)와 제1 소음부(40) 사이의 갭이 더 차단되어, 잡음 감소 효과를 개선한다.
제1 소음부(40)의 표면이 불균일하므로, 소음되지 않은 유체의 일부는 불균일한 갭(제1 소음부(40)와 밸브 니들(20)의 내벽 사이의 갭, 및 제1 소음부(40)와 밸브 시트 코어(22)의 상면 사이의 갭)으로부터 제1 유로(211) 또는 제2 유로(222)로 흐른 후 밖으로 흐를 수 있어서, 잡음 감소 효과가 불량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바람직하게, 도 4,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1 밀봉 링의 외경은 밸브 니들의 내경과 일치하고, 제1 밀봉 링의 상면은 가압된 후 불균일한 표면이 있는 제1 소음부(4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제1 밀봉 링의 하면은 밸브 시트 코어(22)의 상면에 맞닿는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제1 소음부(40)와 밸브 시트 코어(22) 사이에 갭이 없으며, 이는 제1 유로(221) 또는 제2 유로(222)로부터 진입되는 유체 모두가 잡음 감소를 위한 제1 소음부(40)에 진입하는 것을 보장하며, 이에 따라 잡음 감소 효과를 개선한다.
또한, 제1 밀봉 링은 폴리머 물질 또는 연질 금속 물질로 제조되고, 폴리머 물질은 고무, 플라스틱 등일 수 있고, 연질 금속 물질은 가소성과 낮은 강성을 갖는 다양한 금속 물질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폴리머 물질 또는 연질 금속 물질은 강성이 낮고 강도가 높은 이점을 가지므로, 제1 소음부(40)와 밸브 시트 코어(22)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잡음 감소 효과를 더욱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전자식 팽창 밸브에 의해 발생하는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2 유로는 제1 흐름 구멍으로서 구체화되고, 다수의 제1 흐름 구멍이 존재하며, 다수의 제1 흐름 구멍은 제2 밸브 포트(221)의 주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전자식 팽창 밸브가 작은 흐름 상태에 있을 때 유체의 유속이 증가되고, 제1 흐름 구멍의 수와 직경은 실제 조건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3 유로(51)는 제2 흐름 구멍으로서 구체화되고, 다수의 제2 흐름 구멍이 존재하며, 다수의 제2 흐름 구멍은 다수의 제1 흐름 구멍과 일대일 대응관계로 배치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전자식 팽창 밸브가 작은 흐름 상태에 있을 때 유체의 유속이 증가되고, 제2 흐름 구멍의 수는 실제 조건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2 흐름 구멍은 아치 형상의 구멍이다. 아치 형상의 구멍은 길기 때문에,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작업자가 설치 동안 제2 흐름 구멍을 제1 흐름 구멍과 정렬시키는 것이 더욱 용이하며, 이는 작업자를 위한 설치를 용이하게 하며, 따라서 작업 효율을 개선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1 소음부(40)는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를 포함하고, 제1 소음 구조(41)는 제2 소음 구조(42) 위에 위치하고, 제1 소음 구조(41)는 제1 유로(221)를 차단하고, 제2 소음 구조(42)는 제3 유로(51)를 차단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제1 소음부(40)의 이용률이 개선되며, 이에 따라 전자식 팽창 밸브의 잡음을 감소시킨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1 소음부(40)의 잡음 감소 효과를 더욱 개선하기 위해,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제2 밀봉부(60)를 더 포함하고, 제2 밀봉부(60)는,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를 분리하도록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밸브 니들(20)이 폐쇄 위치에 있고 밸브 스템(30)이 제2 밸브 포트(221)에 맞닿는 경우, 전자식 팽창 밸브는 작은 흐름 상태에 있다. 유체가 제1 유로(211)로부터 진입되면, 유체의 일부는 제1 소음 구조(41)에 의해 소음된 후 수용 공간(23) 내로 흐른다. 수용 공간(23) 내로 흐르는 유체는 제2 소음 구조(42)로 계속 흐른다. 유체의 다른 일부는, 제2 밀봉부(60)에 의해 차단되어, 수용 공간(23) 내에 진입할 때까지 제1 소음 구조(41) 내에서 반복적으로 소음된다. 수용 공간(23) 내로 흐른 유체가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2 소음 구조(42) 내로 흐르면, 유체의 일부는 제3 유로(51)를 통해 제2 유로(222)로부터 직접 밖으로 흐른다. 유체의 다른 일부는, 제1 밀봉부(50)에 의해 차단되어 이차 잡음 감소를 위해 이전 흐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1 소음부(40) 내로 흐른다. 소음되는 유체의 이러한 일부는 제3 유로(51) 내로 흘러 최종적으로 제2 유로(222)로부터 밖으로 흐른다.
유체가 제2 유로(222)로부터 흐르는 경우, 유체는 잡음 감소를 위해 제3 유로(51)를 통해 제2 소음 구조(42)에 직접 진입하고, 유체가 소음된 후, 유체의 일부가 유체 수용 공간(23)에 직접 진입한다. 수용 공간(23) 내로 흐르는 유체는 제1 소음 구조(41)로 계속 흐른다. 유체의 다른 일부는, 제2 밀봉부(60)에 의해 차단되어, 수용 공간(23) 내로 흐를 때까지 제2 소음 구조(42)에서 반복적으로 소음된다. 수용 공간(23) 내로 흐른 유체 모두는 이차 잡음 감소를 위해 제1 소음부(40) 내로 흐른다.
상술한 구조는 다음에 따르는 두 가지 이점을 갖는다. 제1 밀봉부(50)와 제2 밀봉부(60)의 배치에 의해, 제1 소음부(40)를 반복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이는 이용률을 증가시키며 잡음 감소 효과를 개선한다. 제1 밀봉부(50)와 제2 밀봉부(60)의 배치에 의해, 유체가 소음되는 유효 거리가 길어지고, 이는 유체가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 사이의 갭으로부터 직접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제1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23)의 환형 영역은 플로우스루(flow-through) 채널(211)의 영역보다 훨씬 넓어서, 유체가 수용 공간(23) 내로 흐른 후에 다시 소음될 수 있으며, 이는 잡음 감소 효과를 상당히 개선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구조는 상당히 간단하며 양호한 제조성을 갖는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2 밀봉부(60)는 제2 밀봉 링이고, 제2 밀봉 링에는 밸브 스템(30)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간섭 방치 구멍이 제공된다. 제2 밀봉부(60)의 주변 측벽은 밸브 니들(20)의 내벽에 끼워진다. 상술한 구조는 가공 및 조립이 간단하고 용이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 사이의 갭이 더 차단되어, 잡음 감소 효과를 더 개선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밀봉부(60)는 폴리머 물질 또는 연질 금속 물질로 제조된다. 폴리머 물질은 고무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고, 연질 금속 물질은 가소성과 낮은 강성을 갖는 다양한 금속 물질일 수 있다. 특히, 제2 밀봉 링의 외경은 밸브 니들(20)의 내경과 일치한다. 제2 밀봉 링의 상면은, 가압된 후, 불균일한 표면을 갖는 제1 소음 구조(41) 내에 내장될 수 있고, 제2 밀봉 링의 하면은 불균일한 표면을 갖는 제2 소음 구조(42)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 사이에 갭이 없어서, 제1 소음부(40)에 진입하는 유체가 소음되는 유효 거리가 길고, 이는 제1 소음부(40)의 이용률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전자식 팽창 밸브의 잡음 감소 효과를 개선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제2 소음부(70)를 더 포함하고, 제2 소음부(70)는 제2 밸브 포트(221) 아래에 배치된다. 특히, 유체는, 제1 유로(211)로부터 제2 유로(222)로 흐르는 경우, 먼저 제1 소음부(40)에 의해 소음된 후 제2 소음부(70)에 의해 다시 소음된다. 유사하게, 유체는, 제2 유로(222)로부터 제1 유로(211)로 흐르는 경우, 먼저 제2 소음부(70)에 의해 소음된 후 제1 소음부(40)에 의해 다시 소음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에 의하면, 유체를 두 번 소음할 수 있으므로, 잡음 감소 효과를 상당히 개선할 수 있고 전자식 팽창 밸브의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제1 소음 구조(41)는 원통 형상이고, 제1 소음 구조(41)의 중간부에는 밸브 스템(30)을 방지하기 위한 제3 간섭 방지 구멍(411)에 제공된다. 제2 소음 구조(42)는 환 형상이고, 제2 소음 구조(42)의 중간부에는 밸브 스템(30)을 방지하기 위한 제4 간섭 방지 구멍(421)이 제공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 모두는 메시형 소음 요소들이다. 바람직하게, 제2 소음 구조(42)는 약간 압축될 수 있는 미세 메시 판과 같은 물질에 의해 지지되고, 제2 소음 구조(42)가 가압되는 경우, 제2 소음 구조(42)의 불균일한 부분이 제3 유로(51)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제1 소음부(40)의 특정 구조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밸브와 다르다. 특히, 제2 실시예에서,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 모두는 메시형 소음 요소들이고,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는 일체 형성되고, 제1 소음 구조(41)의 메시 개구의 크기는 제2 소음 구조(42)의 메시 개구의 크기와 다르다. 상술한 구조는 잡음 감소 효과를 더욱 양호하게 한다. 상술한 구조는 흐름 방해 및 잡음 감소의 실제 요건에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소음 구조(41)의 메시 개구는 제2 소음 구조(42)의 메시 개구보다 크도록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전자식 팽창 밸브가 상이한 상태에 있을 때의 유체의 흐름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밸브 니들(2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스템(30)은 제2 밸브 포트(221)와 맞닿고, 유체는 제1 유로(211)로부터 내부로 흐르며,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가 밀봉식으로 격리되므로, 제1 유로(211)로부터 내부로 흐르는 유체는 먼저 제1 소음 구조(41)를 통해 수용 공간(23)에 진입한 후, 제2 소음 구조(42)를 통해 제3 유로(51)에 진입하고, 최종적으로 제2 유로(222)를 통해 하부에 있는 제2 소음부(70)를 통해 흘러 제1 밸브 포트(11)로 흐른다.
밸브 니들(2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스템(30)은 제2 밸브 포트(221)로부터 멀어지면서 이동하기 시작하고, 유체는 제1 유로(211)로부터 내부로 흐르며,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가 밀봉식으로 격리되므로, 제1 유로(211)로부터 내부로 흐르는 유체는 먼저 제1 소음 구조(41)를 통해 수용 공간(23)에 진입한다. 유체의 일부는, 수용 공간(23)에 진입한 후, 제2 소음 구조(42)를 통해 제3 유로(51)에 진입하고, 최종적으로 제2 유로(222)를 통해 하부에 있는 제2 소음부(70)를 통해 흘러 제1 밸브 포트(11)로 흐른다. 유체의 다른 일부는, 밸브 스템(30)과 밸브 시트 코어(22) 사이의 개구 갭을 통해 제2 밸브 포트(221)로부터 밖으로 흐른 후, 잡음 감소를 위한 제2 소음부(70) 내로 흐르고, 최종적으로 제1 밸브 포트(11)로 흐른다.
밸브 니들(2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스템(30)은 제2 밸브 포트(221)와 맞닿고, 유체는 제2 유로(222)로부터 내부로 흐르며,
제2 유로(222)로부터 내부로 흐르는 유체는, 제2 소음부(70)를 롱과한 후, 밸브 시트 코어(22) 상의 흐름 안내 홈(223), 제2 유로(222), 및 제3 유로(51)에 차례대로 흘러, 제2 소음 구조(42)에 진입한다.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는 밀봉식으로 격리되므로, 유체는, 수용 공간(23)에 진입한 후, 제1 소음 구조(41)를 다시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제1 유로(211)로부터 밖으로 흐른다.
밸브 니들(20)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밸브 스템(30)은 제2 밸브 포트(221)로부터 멀어지면서 이동하기 시작하고, 유체는 제2 유로(222)로부터 내부로 흐르며,
제2 유로(222)로부터 내부로 흐르는 유체는 잡음 감소를 위한 제2 소음부(70)에 진입하고, 소음된 유체의 일부는 밸브 시트 코어(22)의 하부에 있는 흐름 안내 홈(223), 제2 유로(222), 및 제2 소음 구조(42)로 차례대로 흘러, 수용 공간(23)에 진입하고, 유체의 다른 일부는, 밸브 스템(30)과 밸브 시트 코어(22) 사이의 개구 갭을 통해 수용 공간(23)에 진입한다.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는 밀봉식으로 격리되므로, 유체는, 수용 공간(23)에 진입한 후, 제1 소음 구조(41)를 다시 통과하고, 최종적으로 제1 유로(211)로부터 밖으로 흐른다.
냉동 시스템은 본원에 따라 추가로 제공되며, 본원에 따른 냉동 시스템의 일 실시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전술한 전자식 팽창 밸브인 전자식 팽창 밸브를 포함한다. 상술한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저 잡음이라는 이점을 가지므로, 전자식 팽창 밸브를 구비하는 냉동 시스템이 상술한 이점을 갖는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일 뿐이며, 본원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원에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원의 사상과 및 원리 내에서 이루어지는 임의의 수정, 균등 대체, 개선 등은 본원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10 밸브 본체 11 제1 밸브 포트
20 밸브 니들 21 밸브 니들 본체
211 제1 유로 22 밸브 시트 코어
221 제2 밸브 포트 222 제2 유로
223 흐름 안내 홈 23 수용 공간
30 밸브 스템 40 제1 소음부
41 제1 소음 구조 411 제3 간섭 방지 구멍
42 제2 소음 구조 421 제4 간섭 방지 구멍
50 제1 밀봉부 51 제3 유로
52 제1 간섭 방지 구멍 60 제2 밀봉부
70 제2 소음부

Claims (14)

  1. 전자식 팽창 밸브로서,
    제1 밸브 포트(11)를 갖는 밸브 본체(10);
    밸브 니들(20)로서, 상기 밸브 니들(20)은, 상기 제1 밸브 포트(11)에 맞닿는 폐쇄 위치 및 상기 제1 밸브 포트(11)로부터 떨어진 개방 위치를 갖고, 상기 밸브 니들(20)의 최하부에는 상기 제1 밸브 포트(11)와 연통하는 제2 밸브 포트(221)가 제공되고, 상기 밸브 니들(20)에는, 수용 공간(23) 및 상기 수용 공간(23)과 각각 연통하는 제1 유로(211)와 제2 유로(222)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유로(211)는 상기 밸브 니들(20)의 측벽에 위치하며 외부와 연통하고, 상기 제2 유로(222)는 상기 제2 밸브 포트(221)의 외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밸브 포트(221)와 연통하는, 밸브 니들;
    밸브 스템(30)으로서, 상기 밸브 스템(30)은, 상기 밸브 스템(3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 공간(23) 내로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밸브 포트(221)에서 유속을 조절하도록 상하로 이동가능한, 밸브 스템;
    제1 소음부(silencing portion; 40)로서, 상기 제1 소음부(40)는, 상기 제1 유로(211)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제1 소음부(40)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유로(222)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수용 공간(23) 내에 배치된, 제1 소음부;
    제1 밀봉부(50)로서, 상기 제1 밀봉부(50)는, 상기 수용 공간(23)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소음부(40)와 상기 제2 유로(22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밀봉부(50)에는 제3 유로(51)가 제공되고, 상기 수용 공간(23)은 상기 제3 유로(51)를 통해 상기 제2 유로(222)와 연통하는, 제1 밀봉부; 및
    상기 밸브 스템(30)을 구동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니들(20)이 정지 부재를 통하여 상기 밸브 스템(30)과 접촉하는 경우 상기 밸브 니들(20)과 상기 밸브 스템(30)이 동기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 스템(30)과 상기 밸브 니들(20) 사이에 상기 정지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정지 부재는, 또한, 상기 밸브 니들(20)이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밸브 스템(30)을 상기 밸브 니들(2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전자식 팽창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50)는 폴리머 물질 또는 연질 금속 물질로 제조된, 전자식 팽창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니들(20)은 밸브 니들 본체(21) 및 밸브 니들 본체(21) 내에 배치된 밸브 시트 코어(22)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공간(23)은, 상기 밸브 니들 본체(21)의 내벽과 상기 밸브 시트 코어(22)의 상면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제2 밸브 포트(221)와 상기 제2 유로(222)는 상기 밸브 시트 코어(22)에 배치된, 전자식 팽창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50)는 제1 밀봉 링이고, 상기 제1 밀봉 링은 상기 밸브 시트 코어(22)와 상기 제1 소음부(40) 사이에 클램핑되고, 상기 제1 밀봉부에는 상기 밸브 스템(30)을 방지하기 위한 제1 간섭 방지 구멍(52)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밀봉부(50)의 주변 측벽은 상기 밸브 니들(20)의 내벽에 끼워지는, 전자식 팽창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222)는 제1 흐름 구멍으로서 구체화되고, 복수의 제1 흐름 구멍이 존재하며, 상기 복수의 제1 흐름 구멍은 상기 제2 밸브 포트(221)의 주변 방향으로 배치된, 전자식 팽창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로(51)는 제2 흐름 구멍으로서 구체화되고, 복수의 제2 흐름 구멍이 존재하며, 상기 복수의 제2 흐름 구멍은 상기 복수의 제1 흐름 구멍과 일대일 대응관계로 배치된, 전자식 팽창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흐름 구멍은 아치 형상의 구멍인, 전자식 팽창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음부(40)는 제1 소음 구조(41)와 제2 소음 구조(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음 구조(41)는 상기 제2 소음 구조(42)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소음 구조(41)는 상기 제1 유로(211)를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소음 구조(42)는 상기 제3 유로(51)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전자식 팽창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제2 밀봉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60)는, 상기 제1 소음 구조(41)를 상기 제2 소음 구조(42)로부터 분리하도록 상기 제1 소음 구조(41)와 상기 제2 소음 구조(42) 사이에 배치된, 전자식 팽창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60)는 제2 밀봉 링이고, 상기 제2 밀봉 링에는 상기 밸브 스템(30)을 방지하기 위한 제2 간섭 방치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제2 밀봉부(60)의 주변 측벽은 상기 밸브 니들(20)의 내벽에 끼워지는, 전자식 팽창 밸브.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부(60)는 폴리머 물질 또는 연질 금속 물질로 제조된, 전자식 팽창 밸브.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음 구조(41)와 상기 제2 소음 구조(42) 모두는 메시형 소음 부재이며, 상기 제1 소음 구조(41)와 상기 제2 소음 구조(42)는 일체 형성되고, 상기 제1 소음 구조(41)의 메시 개구의 크기는 상기 제2 소음 구조(42)의 메시 개구의 크기와 다른, 전자식 팽창 밸브.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포트(221) 아래에 배치된 제2 소음부(70)를 더 포함하는, 전자식 팽창 밸브.
  14. 냉장 시스템으로서,
    전자식 팽창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식 팽창 밸브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밸브인, 냉장 시스템.
KR1020197017856A 2016-11-30 2017-11-30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 시스템 KR102191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1085736.9 2016-11-30
CN201611085736.9A CN108119698B (zh) 2016-11-30 2016-11-30 电子膨胀阀及具有其的制冷系统
PCT/CN2017/113893 WO2018099422A1 (zh) 2016-11-30 2017-11-30 电子膨胀阀及具有其的制冷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527A true KR20190087527A (ko) 2019-07-24
KR102191738B1 KR102191738B1 (ko) 2020-12-17

Family

ID=6222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856A KR102191738B1 (ko) 2016-11-30 2017-11-30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50193B1 (ko)
JP (1) JP6757472B2 (ko)
KR (1) KR102191738B1 (ko)
CN (1) CN108119698B (ko)
WO (1) WO20180994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356A1 (ko) * 2019-10-02 2021-04-08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6416B2 (ja) * 2018-12-27 2021-11-17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弁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CN109654233B (zh) * 2019-01-25 2024-01-16 浙江科博电器有限公司 具有防水垢和消音功能的废水阀
ES2967628T3 (es) * 2019-12-20 2024-05-03 Danfoss As Válvula de expansión
CN114135714B (zh) * 2020-09-03 2024-04-02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节流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0540A (ja) * 2001-04-12 2002-10-23 Saginomiya Seisakusho Inc 絞り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5331153A (ja) * 2004-05-19 2005-12-02 Saginomiya Seisakusho Inc 絞り弁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2117584A (ja) * 2010-11-30 2012-06-21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流量制御弁
CN103511636A (zh) * 2012-06-27 2014-01-15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480B2 (ja) * 1994-11-11 2001-05-08 太平洋工業株式会社 電動膨張弁の構造
JP4103363B2 (ja) * 2001-09-18 200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流量制御装置、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4077340B2 (ja) * 2003-02-06 2008-04-1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絞り弁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CN201934686U (zh) * 2010-12-07 2011-08-17 居琴 电子膨胀阀的阀座连接结构
CN102644785B (zh) * 2011-02-17 2014-04-30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CN102901279B (zh) * 2011-07-27 2015-07-22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WO2013170542A1 (zh) * 2012-05-18 2013-11-2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CN202971946U (zh) * 2012-12-07 2013-06-05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电子膨胀阀
JP6142181B2 (ja) * 2013-03-12 2017-06-07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膨張弁および防振ばね
CN105626876A (zh) * 2014-10-28 2016-06-01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105650337A (zh) * 2014-11-13 2016-06-08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205534555U (zh) * 2016-01-26 2016-08-31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0540A (ja) * 2001-04-12 2002-10-23 Saginomiya Seisakusho Inc 絞り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05331153A (ja) * 2004-05-19 2005-12-02 Saginomiya Seisakusho Inc 絞り弁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2117584A (ja) * 2010-11-30 2012-06-21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流量制御弁
CN103511636A (zh) * 2012-06-27 2014-01-15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膨胀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6356A1 (ko) * 2019-10-02 2021-04-08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0193A4 (en) 2020-08-05
KR102191738B1 (ko) 2020-12-17
WO2018099422A1 (zh) 2018-06-07
CN108119698A (zh) 2018-06-05
EP3550193A1 (en) 2019-10-09
JP2020513512A (ja) 2020-05-14
JP6757472B2 (ja) 2020-09-16
EP3550193B1 (en) 2021-08-25
CN108119698B (zh)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7527A (ko) 전자식 팽창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 시스템
JP2021516319A (ja) 電子膨張弁
EP2992242B1 (en) Hydraulic engine mount inertia track with at least two restrictions
CN113958643A (zh) 振动阻尼器的限制体
KR102038096B1 (ko) 수두손실 저감형 글로브 밸브
CN109882451A (zh) 一种磁悬浮鼓风机放空的消音装置
KR102169576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KR100587811B1 (ko) 머플러의 배압저감장치
JP4543857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KR20210098603A (ko) 수격흡수기의 구조
JP4342240B2 (ja) ケージ弁
KR20210098604A (ko) 그루브 조인트용 수격흡수기의 구조
KR101853865B1 (ko) 게이트밸브
KR200436495Y1 (ko) 진공 게이트 밸브
KR20090024395A (ko)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
KR20020001047A (ko) 수격 방지기
KR101437594B1 (ko) 수충격 방지 디스크장치
CN219712439U (zh) 鼠笼式消能逆止阀
CN210860041U (zh) 一种降噪进水机构
CN217998303U (zh) 一种集成一体式的脉冲冲水阀
KR100290018B1 (ko) 보조 머플러
CN107965584B (zh) 电子膨胀阀及具有其的制冷系统
CN107304852B (zh) 电子膨胀阀及具有其的制冷设备
KR20170070549A (ko)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JP2007327391A (ja) 排気消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