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576B1 -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576B1
KR102169576B1 KR1020180167874A KR20180167874A KR102169576B1 KR 102169576 B1 KR102169576 B1 KR 102169576B1 KR 1020180167874 A KR1020180167874 A KR 1020180167874A KR 20180167874 A KR20180167874 A KR 20180167874A KR 102169576 B1 KR102169576 B1 KR 102169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fuel
fuel tank
baff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203A (ko
Inventor
이민규
고세훈
기광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희산업
Priority to KR102018016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5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76Valves with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89Float valves; Floa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comprising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5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for reducing movement or slash noise of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연료탱크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료 유동에 의한 소음진동을 저감하는 배플바디; 배플바디에 마련되어 연료탱크의 내벽면에 결합됨으로써 배플바디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배플바디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기둥 형상이고, 내부공간에 연료탱크 밸브의 밸브바디가 위치됨으로써 연료의 유동에 의한 밸브의 이상작동을 방지하는 격막;을 포함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BAFFLE FOR FUEL TANK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탱크 분야에서, 연료탱크 내부에 결합되어 연료의 유동에 의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는 연료를 주입받고, 필요시 엔진에 연료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연료탱크 내부에서는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에 의해서 연료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 경우 연료가 연료탱크 내벽면과 부딪히며 소음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연료탱크는 내부에 배플을 구비함으로써 연료의 유동에너지를 흡수하여 소음 또는 진동을 감소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연료탱크에는 밸브 등이 마련되어 연료탱크 내부에 기체상태의 연료를 외부로 내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밸브의 내부에는 플로트가 마련되어 연료 수위에 따라서 플로트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고, 연료탱크 내부에서 연료수위가 높아지는 경우 플로트가 상승하여 밸브가 잠기게 된다.
한편, 종래의 연료탱크는 밸브의 하방에 배플을 배치시킴으로써 연료탱크 내부에서 연료가 급작스럽게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경우 연료가 밸브로 유입되어 연료수위가 높지 않은 경우에도 밸브가 닫히는 등 이상작동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512932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연료탱크 내부에 결합되어 연료의 유동에 의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은,
연료탱크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료 유동에 의한 소음진동을 저감하는 배플바디; 배플바디에 마련되어 연료탱크의 내벽면에 결합됨으로써 배플바디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배플바디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기둥 형상이고, 내부공간에 연료탱크 밸브의 밸브바디가 위치됨으로써 연료의 유동에 의한 밸브의 이상작동을 방지하는 격막;을 포함할 수 있다.
격막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격막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연료탱크의 상부 내벽면 및 하부 내벽면과 이격될 수 있다.
격막의 내주면과 밸브의 외주면은 일정거리 이격됨으로써, 내부공간의 격막과 밸브바디 사이에서 연료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격막의 하단부가 밸브바디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되도록 연장됨으로써, 연료의 수평방향 유동시 격막의 하단부에 가로막혀 밸브바디의 플로트홀로 연료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격막에는 격막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격막패널이 마련되고, 격막패널은 밸브바디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됨으로써 연료의 수직방향 유동시 격막패널에 가로막혀 밸브바디의 하부에 배치된 플로트홀로 연료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격막패널의 중앙부에는 격막패널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격막패널의 중앙부에는 격막패널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격막의 하단부를 따라서 격막과 격막패널을 관통하는 복수의 유통홈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밸브바디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플로트홀과 격막의 복수의 유통홈은 밸브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교차될 수 있다.
격막의 상단부를 따라서 격막을 관통하는 복수의 유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에 따르면, 연료탱크 내부에 결합되어 연료의 유동에 의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연료의 수평방향 유동이 격막에 의해 가로막힘으로써 밸브의 이상작동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이 연료탱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을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의 격막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밸브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이 연료탱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의 격막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밸브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은 연료탱크(400)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료 유동에 의한 소음진동을 저감하는 배플바디(100); 배플바디(100)에 마련되어 연료탱크(400)의 내벽면에 결합됨으로써 배플바디(100)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200); 및 배플바디(100)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기둥 형상이고, 내부공간에 연료탱크(400) 밸브(500)의 밸브바디(500)가 위치됨으로써 연료의 유동에 의한 밸브(500)의 이상작동을 방지하는 격막(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격막(300)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에는 배플바디(100)가 마련된다. 연료탱크(400)에 연료가 주입되어 있는 경우,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시에 연료가 연료탱크의 내벽면 등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료탱크(400) 내부에 배플바디(100)을 마련함으로써 연료의 유동에 따른 에너지를 배플(100)이 흡수하게 되어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되어 차량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도 1 및 5와 같이 일반적으로 밸브(500)는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기체상태의 연료를 연료탱크 외부로 내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밸브(500)는 연료탱크 외부로 도출된 니플(540), 연료탱크 내부에 위치된 밸브바디(500)로 구성된다. 밸브바디(500)의 하부에는 밸브바디(500) 내부로 연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복수의 플로트홀(560)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서, 밸브바디(500)의 내부에 마련된 플로트는 연료의 상하방향 연직 유동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연료탱크(400) 내부에 연료가 주입되는 경우, 연료탱크(400) 내부의 기체 상태의 연료는 니플(540)을 통해 연료탱크(400) 외부로 내보내짐으로써, 연료가 주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또한, 연료가 주입되어 연료탱크(400) 내부의 연료 수위가 높아지게 되는 경우 플로트가 상승되어 니플(540)이 폐쇄됨으로써 밸브(500)가 잠기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은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게 되는 연료의 수평방향 유동의 경우 복수의 플로트홀로 연료가 유입되어 연료 수위가 낮은 경우에도 플로트가 상승되어 밸브가 잠기는 등 이상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에는 도 2, 3 및 5와 같이 격막(300)이 마련된다. 격막(300)은 배플바디(100)에 마련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기둥 형상이고, 내부공간에 연료탱크 밸브(500)의 밸브바디(500)가 위치된다. 따라서, 밸브바디(500)의 복수의 플로트홀(560)이 격막(300)에 의해 가려지게 됨으로써,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시에 플로트홀(560)로 연료가 유입되는 경우가 방지된다. 결국, 격막(300)은 밸브(500)의 이상작동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의 격막(300)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연료탱크(400)의 상부 내벽면 및 하부 내벽면과 이격될 수 있다. 고정부(200)를 통해 배플바디(100)가 지지되고, 배플바디(100)에 마련된 격막(300)이 연료탱크 내부에서 연료탱크의 내벽면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격막(300)의 상부 및 하부가 모두 연료 수위에 따라서 연료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및 2와 같이 격막(300)의 내주면과 밸브의 외주면은 일정거리 이격됨으로써, 내부공간의 격막과 밸브바디 사이에서 연료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를 주입하거나 연료가 소비되어 연료의 수위가 변하는 경우 격막(300)과 밸브바디(500) 사이에서 연료가 상하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내부공간의 연료 수위와 연료탱크(400) 내부의 연료 수위가 같아지게 된다. 결국, 밸브(500) 내부에 플로트의 상하 방향 움직임이 연료탱크(400) 내부 연료 수위에 의해 조절되므로 밸브(500)가 이상작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6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은, 격막(300)의 하단부가 밸브바디(500)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되도록 연장됨으로써, 연료의 수평방향 유동시 격막(300)의 하단부에 가로막혀 밸브바디(500)의 플로트홀(560)로 연료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시에 연료가 플로트홀(5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막(300)의 하단부가 밸브바디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수평방향의 유동이 격막(300)에 의해 가로막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6과 같이 본 발명의 경우, 격막(300)에는 격막(300)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격막패널(320)이 마련되고, 격막패널(320)은 밸브바디(500)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됨으로써 연료의 수직방향 유동시 격막패널(320)에 가로막혀 밸브바디(500)의 하부에 배치된 플로트홀(560)로 연료가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1 및 4와 같이 격막패널(320)의 중앙부에는 격막패널(32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료탱크(400) 내부에서 연료 수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경우 관통홀(322)을 통해서 연료가 이동이 가능하므로 격막(300) 내부공간에서 격막(300) 내외부의 연료 수위가 동일하게 유지된다. 결국, 연료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밸브(500)의 이상작동을 방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2, 4 및 6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에는 격막(300)의 하단부를 따라서 격막(300)과 격막패널(320)을 관통하는 복수의 유통홈(340)이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브바디(500)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플로트홀(560)과 격막(300)의 복수의 유통홈(340)은 밸브바디(5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교차될 수 있다. 복수의 유통홈(340)이 형성됨으로써 유통홈(340)을 통해 연료가 유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연료의 주입 또는 연료의 소비로 인해 연료의 수위가 변하는 경우 격막(300)의 내부공간에서 격막(300)의 외부와 연료의 수위가 동일하게 유지된다. 한편, 복수의 유통홈(340)을 통해 연료가 유동하여 밸브바디(500)의 플로트홀(560)로 갑작스럽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통홈(340)과 플로트홀(560)을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게 교차하여 배치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격막(300)의 상단부를 따라서 격막(300)을 관통하는 복수의 유입홈(36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에 따르면, 연료탱크 내부에 결합되어 연료의 유동에 의한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연료의 수평방향 유동이 격막에 의해 가로막힘으로써 밸브의 이상작동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배플바디 200 : 고정부
300 : 격막 400 : 연료탱크
500 : 밸브

Claims (10)

  1. 연료탱크의 내부에 위치되어 연료 유동에 의한 소음진동을 저감하는 배플바디;
    배플바디에 마련되어 연료탱크의 내벽면에 결합됨으로써 배플바디의 설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배플바디에 마련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공간을 갖는 기둥 형상이고, 내부공간에 연료탱크 밸브의 밸브바디가 위치됨으로써 연료의 유동에 의한 밸브의 이상작동을 방지하는 격막;을 포함하고,
    격막의 하단부가 밸브바디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되도록 연장되며, 격막에는 격막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격막패널이 마련되고, 격막패널은 밸브바디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되며,
    밸브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서 격막과 격막패널을 관통하는 복수의 유통홈이 격막의 하단부를 따라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격막은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3. 청구항 1에 있어서,
    격막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연료탱크의 상부 내벽면 및 하부 내벽면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4. 청구항 1에 있어서,
    격막의 내주면과 밸브의 외주면은 일정거리 이격됨으로써, 내부공간의 격막과 밸브바디 사이에서 연료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의 수평방향 유동시 격막의 하단부에 가로막혀 밸브바디의 플로트홀로 연료가 유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의 수직방향 유동시 격막패널에 가로막혀 밸브바디의 하부에 배치된 플로트홀로 연료가 유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7. 청구항 1에 있어서,
    격막패널의 중앙부에는 격막패널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밸브바디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플로트홀과 격막의 복수의 유통홈은 밸브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교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10. 청구항 1에 있어서,
    격막의 상단부를 따라서 격막을 관통하는 복수의 유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KR1020180167874A 2018-12-21 2018-12-21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KR102169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874A KR102169576B1 (ko) 2018-12-21 2018-12-21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874A KR102169576B1 (ko) 2018-12-21 2018-12-21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203A KR20200078203A (ko) 2020-07-01
KR102169576B1 true KR102169576B1 (ko) 2020-10-23

Family

ID=7160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874A KR102169576B1 (ko) 2018-12-21 2018-12-21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795B1 (ko) * 2020-12-30 2023-11-22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WO2023008206A1 (ja) * 2021-07-26 2023-02-02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899A (ja) * 2002-07-05 2004-02-12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JP2012066660A (ja) * 2010-09-22 2012-04-05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搭載タンク
WO2016167018A1 (ja) 2015-04-15 2016-10-20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
KR101690027B1 (ko) 2015-06-29 2016-12-28 (주)동희산업 플라스틱 연료탱크 조립체 및 이의 성형장치
US20170232834A1 (en) * 2014-10-30 2017-08-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uel tank for a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0889B2 (en) * 2009-09-18 2015-06-09 Ti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Gmbh Fuel tank support
KR101512932B1 (ko) 2014-02-25 2015-04-16 주식회사 동희산업 배플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899A (ja) * 2002-07-05 2004-02-12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JP2012066660A (ja) * 2010-09-22 2012-04-05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搭載タンク
US20170232834A1 (en) * 2014-10-30 2017-08-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uel tank for a motor vehicle
WO2016167018A1 (ja) 2015-04-15 2016-10-20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
JP6253848B2 (ja) * 2015-04-15 2018-01-31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
KR101690027B1 (ko) 2015-06-29 2016-12-28 (주)동희산업 플라스틱 연료탱크 조립체 및 이의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203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576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배플
US8042564B2 (en) Fuel cutoff valve
KR101389653B1 (ko) 연료탱크용 밸브 장치
US20090038896A1 (en) Fluid filled type vibration damping device
EP2829428B1 (en) Valve device for fuel tank
CN110043595B (zh) 缓冲器
JP2009202703A (ja) 燃料遮断弁
US7886759B2 (en) Fuel cutoff valve
US10946737B2 (en) Fuel valve
CN101746259B (zh) 浮子阀装置
JP2010143498A (ja) 燃料遮断弁
US20150068617A1 (en) Valve and fuel tank structure
JP6705055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5216498B2 (ja) 燃料漏れ防止弁
KR20130006980U (ko) 플로우트 밸브
JP4501809B2 (ja) リザーブタンク
US20110278482A1 (en) Fuel shut-off valves
US8424819B2 (en) Fuel tank unit
US20100071785A1 (en) Fuel cutoff valve
JP2006177164A (ja) 満タン規制バルブ
JP6070453B2 (ja) 燃料遮断装置
JP4207875B2 (ja) 燃料遮断弁
WO2012118118A1 (ja) 燃料遮断弁
KR102644618B1 (ko)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CN212054946U (zh) 一种外置式燃油泵及用于燃油泵的阀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