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549A -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 Google Patents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549A
KR20170070549A KR1020150178207A KR20150178207A KR20170070549A KR 20170070549 A KR20170070549 A KR 20170070549A KR 1020150178207 A KR1020150178207 A KR 1020150178207A KR 20150178207 A KR20150178207 A KR 20150178207A KR 20170070549 A KR20170070549 A KR 20170070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ole
lower case
plunger
diaphragm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4770B1 (ko
Inventor
김장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7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 B60K5/1233Resilient supports comprising protective elements, e.g. for protecting against heat, d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2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characterised by adjusting or regulating devices responsive to exterior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내에서 인슐레이터와 다이어프레임 사이에 노즐판이 장착되어 내부가 상측액실과 하측액실로 구획되고, 내부의 체결변화에 따라 봉입된 하이드로액이 노즐판에 형성된 유로 또는 제2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레임 아래로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서 상하로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되 상승했을 때 다이어프레임이 제2유로를 차폐시키도록 상단은 다이어프레임과 결합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장착된 스프링; 및 전류인가에 따라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플런저를 하강시키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플런저의 상승하강에 의한 내부 공간의 압력변화에 따라 공기의 출입이 이뤄지는 벤트홀이 타공된다.
상기 벤트홀에는 하부케이스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탄성변형하여 개방시키고, 내부압력이 하강하면 탄성복원하여 벤트홀을 차폐시키도록 닫히는 체크밸브가 장착된다.

Description

액티브마운트의 구조{Structure of active mount}
본 발명은 전류인가에 따라 감쇠특성이 가변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플런저의 상승 시 발생하는 타격음을 억제하고,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공기의 출입을 유도하여 (보다 더 큰 스프링 강성을 갖는 판 모양의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작은 전류 소모량으로 플런저를 효율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차량의 엔진은 엔진마운트를 통해 차체의 엔진룸에 설치된다. 승용차량에 적용되는 상기 마운트는 러버의 탄성력을 통해 진동을 절연 및 감쇠시키는 러버마운트와 소정량의 하이드로액이 봉입되도록 구성된 하이드로 마운트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중, 하이드로 마운트는 내부에 소정량의 하이드로액이 봉입되어 상기 하이드로액의 유동에 따라 진동을 감쇠시키는 구조를 갖되, 높은 주파수 영역과 낮은 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동시에 감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므로 적용 범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하이드로 마운트에서 더욱 개선되어 특정 주파수 영역대의 진동을 더 효율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도록 감쇠특성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액티브마운트의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상기 액티브마운트는 마운트의 동특성을 온오프(On/Off)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멤브레인의 거동을 제어하는 볼륨스티프니스(Volume-Stiffness) 방식과 상측액실과 하측액실을 개통하는 제2유로를 추가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유로의 개통을 단속하는 바이패스(By-pass)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중, 종래의 바이패스 방식에 따른 액티브마운트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 내부에서 상측에는 탄성재질의 인슐레이터(10)가 장착되고 하단에는 다이어프레임(14)이 결합되되, 상기 인슐레이터(10)와 다이어프레임(14) 사이에는 노즐판(13)이 장착되어, 내부 공간은 상측액실과 하측액실로 구획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노즐판(13)은 둘레를 따라 내부에 환형의 유로가 형성되어 봉입된 하이드로액이 상측액실과 하측액실을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이드로액의 유동은 엔진에서 전달되는 하중 이동 및 진동에 의해서 인슐레이터(10)가 탄성변형하면 상측액실의 내부 체적량이 증감됨에 따라서 이뤄진다.
그리고, 노즐판(13)에는 상측액실과 하측액실을 추가적으로 개통시키는 제2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다이어프레임(14)은 플런저(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20)가 상승하면 제2유로는 폐쇄되고 플런저(20)가 하강하면 제2유로는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액티브마운트는 컵모양으로 형성된 하부케이스(30)가 케이스(12)의 하부에 추가적으로 장착되고, 그 내부에 다이어프레임(14)과 결합된 플런저(20); 상기 플런저(2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장착된 스프링(50); 및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기력에 의해 플런저(20)를 하강시키는 코일(40)을 더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티브마운트는 엔진의 아이들(idle) 시에는 닫혀있던 제2유로를 개방시키고 주행 시에는 제2유로를 폐쇄하여 주행상황에 따라 감쇠특성을 가변시키도록 작동한다.
그러나, 전류가 인가되어 하강했던 플런저(20)는 전류인가가 차단되면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플런저(20)의 상단은 제2유로의 하단에 부딪혀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주행 시에는 제2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상기 스프링(50)은 (코일 스프링보다 상대적으로 스프링 강성이 더 큰) 판스프링을 사용하나, 스프링 강성이 클수록 인가되는 전류량도 증대되어야 하고, 판스프링의 경우 내부공간(X)의 공기압력 변화를 발생시키므로 이러한 압력변화는 플런저(20)의 상승하강시 저항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전류소모를 증대시키는 문제를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판스프링을 사용함에 따라 플런저의 하강시에는 하부케이스 내부에서 공기의 압력이 저항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공기를 배출시키고, 플런저의 상승시에는 공기의 압력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플런저의 타격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 내에서 인슐레이터와 다이어프레임 사이에 노즐판이 장착되어 내부가 상측액실과 하측액실로 구획되고, 내부의 체결변화에 따라 봉입된 하이드로액이 노즐판에 형성된 유로 또는 제2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레임 아래로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서 상하로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되 상승했을 때 다이어프레임이 제2유로를 차폐시키도록 상단은 다이어프레임과 결합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장착된 스프링; 및 전류인가에 따라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플런저를 하강시키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플런저의 상승하강에 의한 내부 공간의 압력변화에 따라 공기의 출입이 이뤄지는 벤트홀이 타공된다.
상기 스프링은 테두리 부분이 하부케이스 내에 끼워지는 판 모양을 갖도록 제조되며, 다이어프레임과 코일 사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벤트홀은 스프링 아래에 위치하며 하부케이스에서 두께가 부분적으로 더 증가된 벽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벤트홀 내에는 먼지를 여과시키는 필터가 장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벤트홀에는 하부케이스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탄성변형하여 개방시키고, 내부압력이 하강하면 탄성복원하여 벤트홀을 차폐시키도록 닫히는 체크밸브가 장착된다.
상기 체크밸브는 벤트홀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판모양의 바디의 일면에서 벤트홀 내부로 진입하도록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는 바디의 테두리부분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다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들이 벤트홀 근방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장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볼록부가 맞닿는 벤트홀의 끝단은 내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체크밸브가 닫힌상태에 있을 때도 미세한 공기 흐름이 발생하도록 우회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벤트홀은 두 개가 타공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벤트홀 각각에 장착되되 어느 하나의 벤트홀에서는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체크밸브가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벨트홀에서는 하부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체크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벤트홀을 통해 공기의 출입이 이뤄지므로 (스프링의 작동시 공기저항이 감소되어) 보다 작은 용량의 코일을 사용하여 컴팩트화될 수 있으며 전류소모를 낮출 수 있고, 플런저의 승강 시 반응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벤트홀에는 필터가 내장되며 체크밸브에 의해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플런저 및 스프링의 작동 시) 작동음의 외부전파를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벤트홀은 우회홀이 추가 형성되거나, (출입용과 배출용으로) 두 개가 타공되어 내부의 공기압력을 외부와 평행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플런저의 상승시 추가적인 에어댐핑 효과가 발생하여 타격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액티브마운트가 종방향으로 절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벤트홀이 추가적으로 타공되고 상기 벤트홀 하단에 체크밸브가 장착된 액티브마운트가 종방향으로 절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벽면부의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모습으로써 체크밸브가 장착된 상태<A>와 탈거된 상태<B> 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4a 는 플런저의 하강에 따라 스프링 하부 공간의 공기압력이 상승하여(양압이 발생하여) 체크밸브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b 는 플런저의 상승에 따라 스프링 하부 공간의 공기압력이 하강하여(음압이 발생하여) 우회홀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벤트홀이 두 개가 형성되고, 하나의 벤트홀에는 외측에 체크밸브가 장착되며 다른 하나의 벤트홀에는 내측에 체크밸브가 장착된 상태를 단순화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티브마운트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티브마운트는 종래의 구조와 같이 케이스(12) 내부에서 상측에는 탄성재질의 인슐레이터가 장착되고 하단에는 다이어프레임(14)이 결합되되, 상기 인슐레이터와 다이어프레임(14) 사이에는 노즐판(13)이 장착되어 내부 공간은 상측액실과 하측액실로 구획되고, 상기 노즐판(13)은 둘레를 따라 환형의 유로가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개통된 제2유로가 추가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레임(14)은 플런저(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20)가 상승하면 제2유로는 폐쇄되고 플런저(20)가 하강하면 제2유로는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런저(20)는 다이어프레임(14) 아래로 케이스(12)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30) 내에서 상기 플런저(20)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장착된 스프링(50) 및 전류인가에 따라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플런저를 하강시키는 코일(40)과 함께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스프링(50)은 판스프링으로써 테두리 부분이 하부케이스(30) 내에 끼워지며, 다이어프레임(14)과 코일(40) 사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플런저(20)의 상승하강에 의한 내부 공간의 압력변화에 따라 공기의 출입이 이뤄지는 벤트홀(32)이 (스프링 아래에서) 상기 하부케이스(30)에 타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벤트홀(32)은 스프링(50) 아래에 위치하며 도 3 에서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30)에서 두께가 부분적으로 더 증가된 벽면부(31)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벽면부(31)의 크기에 따라 벤트홀(32)의 길이가 정해지며 상기 벤트홀(32) 내에는 먼지를 여과시키는 필터(33, 도 2 참조)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벤트홀(32)에는 하부케이스(30)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탄성변형하여 개방시키고, 내부압력이 하강하면 탄성복원하여 벤트홀(32)을 차폐시키도록 닫히는 체크밸브(60)가 장착된다.
상기 체크밸브(6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홀(32)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판모양의 바디(61)의 일면에서 벤트홀(32) 내부로 진입하도록 돌출된 볼록부(62)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61)의 테두리부분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다리부들(6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다리부들(63)은 벤트홀(32) 근방에 형성된 끼움홈(34)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62)가 맞닿는 벤트홀(32)의 끝단은 내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경사면(35)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35)에는 체크밸브(60)가 닫힌상태에 있을 때도 미세한 공기 흐름이 발생하도록 우회홀(36)이 둘레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40)로의 전류인가에 따라 플런저(20)가 하강하여 (스프링 아랫쪽) 내부공간의 압력이 증대되면(내부에 양압[陽壓]이 생성되면), 다리부(63)가 고정된 상태에서 체크밸브(60)는 탄성변형하여 벤트홀(32)은 개방되고 내부공기는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공기토출에 의해 하부케이스(30) 내부의 공기저항은 감소하게 되므로 플런저(20)를 하강시키는 데 요구되는 전류소모량은 적어지며 플런저(20)의 반응속도는 증대될 수 있다.
반대로, 코일(40)로 전류가 차단된 상태에서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20)가 상승하여 (스프링 아랫쪽) 내부공간의 압력이 감소되면(내부에 음압[陰壓]이 생성되면), 체크밸브(60)는 닫힌 상태가 되되 우회홀(36)을 통하여 외부공기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조금씩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공기에 의해 스프링(50)의 탄성복원 속도는 저감되므로(판스프링의 상승시 공기저항에 의한 에어댐핑 효과가 발생하여 플런저의 상승속도는 저감되므로), 플런저(20)가 제2유로의 하단을 타격하는 충격량 또한 감소하여 작동음은 저감된다.
즉, 본 발명의 구조에서는 벤트홀(32)에 체크밸브(60)가 장착되고, 상기 체크밸브(60)는 내부에 양압이 발생했을 때만 개방되도록 구성되되 우회홀(36)을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므로, 양압이 발생했을 때는 공기를 신속히 토출시켜 스프링(50)의 작동시 공기저항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음압이 발생했을 때는 우회홀(36)을 통해 서서히 공기가 주입되므로 스프링(50)의 탄성복원 시 댐핑력이 작용하게 되어 플런저(20)의 타격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는 종래 구조와 대비하여 플런저(20)의 타격음 억제 효과 외에도 (양압이 발생했을 때 공기저항이 줄어들므로) 플런저(20)의 반응속도가 빨라지며 보다 작은 전류량으로 플런저(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벤트홀(32)은 공기 토출용과 공기 흡기용 각각으로 두 개가 타공될 수도 있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벤트홀(32a, 32b)이 두 개 형성되며, 상기 벤트홀(32a, 32b) 중 어느 하나(32a)는 외측에 체크밸브(60a)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32b)는 내측(플런저 및 스프링이 장착된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체크밸브(60b)가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내측에 체크밸브(60b)가 설치된 벤트홀(32b, 도 5 에서 우측)에서 외기의 유입을 단속하므로 별도로 우회홀이 형성되지 않아도 작동은 가능할 것이나, 체크밸브들의 불완전한 작동 시 대응하기 위하여 우회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크밸브들(60a, 60b)은 한 방향으로만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내측압력이 외측압력보다 높을 때(양압이 발생했을 때는), 도 5 에서 좌측의 체크밸브(60a)만 개방되어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고, 내측압력이 외측압력보다 낮을 때(음압이 발생했을 때는), 도 5 에서 우측의 체크밸브(60b)만 개방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작동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벤트홀들(32a, 32b)의 직경과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거나 체크밸브들(60a, 60b)이 개방되는 압력을 다르게 셋팅하여 추가적인 튜닝이 가능하므로, 요구되는 요건에 따라 음압 또는 양압이 발생하는 각각의 상황에 맞게 댐핑력이 각각 서로 다르게 발생되도록 튜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30)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벤트홀(32)을 통해 공기의 출입이 이뤄지므로 내부의 공기저항이 감소되어 보다 작은 용량의 코일(40)을 사용하여 크기가 컴팩트화될 수 있고, 플런저(20)의 승강 시 반응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우회홀(36)을 통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므로 스프링(50)의 복원 시 에어댐핑효과가 발생하여 플런저(20)의 타격음을 낮출 수 있고, 상기 벤트홀(32)은 공기의 배출용과 토출용 각각으로 두 개가 형성되어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 더 다양하게 튜닝이 이뤄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0 : 플런저
30 : 하부케이스
31 : 벽면부
32 : 벤트홀
35 : 경사면
36 : 우회홀
40 : 코일
60 : 체크밸브

Claims (9)

  1. 케이스 내에서 인슐레이터와 다이어프레임 사이에 노즐판이 장착되어 내부가 상측액실과 하측액실로 구획되고, 내부의 체결변화에 따라 봉입된 하이드로액이 노즐판에 형성된 유로 또는 제2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레임 아래로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내에서 상하로 활주가능하게 결합되되 상승했을 때 다이어프레임이 제2유로를 차폐시키도록 상단은 다이어프레임과 결합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장착된 스프링; 및
    전류인가에 따라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플런저를 하강시키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플런저의 상승하강에 의한 내부 공간의 압력변화에 따라 공기의 출입이 이뤄지는 벤트홀이 타공된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테두리 부분이 하부케이스 내에 끼워지는 판 모양을 갖도록 제조되며, 다이어프레임과 코일 사이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은 스프링 아래에 위치하며 하부케이스에서 두께가 부분적으로 더 증가된 벽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벤트홀 내에는 먼지를 여과시키는 필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에는 하부케이스의 내부압력이 상승하면 탄성변형하여 개방시키고, 내부압력이 하강하면 탄성복원하여 벤트홀을 차폐시키도록 닫히는 체크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벤트홀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판모양의 바디의 일면에서 벤트홀 내부로 진입하도록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바디의 테두리부분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며 서로 이격 배치된 다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들이 벤트홀 근방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져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가 맞닿는 벤트홀의 끝단은 내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체크밸브가 닫힌상태에 있을 때도 미세한 공기 흐름이 발생하도록 우회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은 두 개가 타공되고, 상기 체크밸브는 벤트홀 각각에 장착되되 어느 하나의 벤트홀에서는 하부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체크밸브가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벨트홀에서는 하부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체크밸브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KR1020150178207A 2015-12-14 2015-12-14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KR101754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07A KR101754770B1 (ko) 2015-12-14 2015-12-14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207A KR101754770B1 (ko) 2015-12-14 2015-12-14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549A true KR20170070549A (ko) 2017-06-22
KR101754770B1 KR101754770B1 (ko) 2017-07-06

Family

ID=5928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207A KR101754770B1 (ko) 2015-12-14 2015-12-14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5851A (zh) * 2019-11-28 2020-06-09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悬置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632A (ja) 2001-07-16 2003-04-03 Tokai Rubber Ind Ltd 流体封入式防振装置
JP4035468B2 (ja) * 2003-03-26 2008-01-23 株式会社ケーヒン 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
KR101565051B1 (ko) * 2014-10-21 2015-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챔버를 이용한 바이패스 유로 개폐형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5851A (zh) * 2019-11-28 2020-06-09 浙江零跑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悬置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4770B1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374B1 (ko) 액티브마운트
KR101628532B1 (ko) 자동차용 액티브 엔진 마운트
US9261160B2 (en) Piston valve of shock absorber
KR101769301B1 (ko) 세미액티브 마운트 구조
KR101565051B1 (ko) 에어챔버를 이용한 바이패스 유로 개폐형 능동 엔진 마운트 장치
KR101510350B1 (ko)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 장치
KR102371005B1 (ko) 엔진 마운트
US10029553B2 (en) Hydraulic engine mount with two channels
KR101416415B1 (ko)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 장치
KR101754770B1 (ko)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CN104847836A (zh) 一种半主动控制式液压悬置及具有其的车辆
KR100952776B1 (ko) 엔진 마운트 장치
KR20130027667A (ko) 스토퍼를 구비한 유동식 멤브레인 타입의 엔진마운트
KR102169368B1 (ko) 엔진마운트
KR20210122422A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KR101896776B1 (ko) 소음이 저감되는 가변흡기 장치
KR101846708B1 (ko) 엔진 마운트
JP2011038595A (ja) 防振装置
KR101776828B1 (ko) 액티브마운트의 구조
KR102347074B1 (ko) 엔진마운트의 구조
KR102169365B1 (ko) 엔진마운트의 노즐 구조
KR20170029677A (ko) 엔진마운트
JP2020193706A (ja) 流体封入型エンジンマウント
KR101834836B1 (ko) 자동차용 하이드로 엔진 마운팅 구조
KR20100064593A (ko) 액체 봉입식 엔진 마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