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754A - 포켓이 달린 편성포 및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포켓이 달린 편성포 및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754A
KR20190055754A KR1020180139503A KR20180139503A KR20190055754A KR 20190055754 A KR20190055754 A KR 20190055754A KR 1020180139503 A KR1020180139503 A KR 1020180139503A KR 20180139503 A KR20180139503 A KR 20180139503A KR 20190055754 A KR20190055754 A KR 20190055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pocket
base
knitted fabric
st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171B1 (ko
Inventor
가즈야 우에미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53385A external-priority patent/JP721760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90055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3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upper parts of panties; pa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종래보다도 외관의 미려함이 향상된 포켓이 달린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본 발명은, 베이스 편성포부(2)와, 자루모양으로 연결되는 일측 포켓부(3F)와 타측 포켓부(3B)를 구비하고 베이스 편성포부(2)의 코스방향의 도중에 연결되는 포켓 편성포부(3)와, 일측 포켓부(3F)와 베이스 편성포부(2)의 경계(23)에 의하여 형성되는 포켓 편성포부(3)의 개구 가장자리부(4)를 구비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1)에 관한 것이다. 이 포켓이 달린 편성포(1)에서는, 개구 가장자리부(4)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 가장자리부(4)의 시단(4b)에 대하여 베이스 편성포부(2)의 웨일방향으로도 코스방향으로도 벗어난 위치에 있고, 타측 포켓부(3B)와 베이스 편성포부(2)가 코스방향으로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편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포켓이 달린 편성포 및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POCKET-EQUIPPED KNITTED FABRIC AND POCKET-EQUIPPED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본 발명은, 베이스 편성포부에 포켓을 구성하는 포켓 편성포부를 형성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디건이나 스웨터, 팬츠 등의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에 자루모양의 포켓 편성포부(pocket 編成布部)를 형성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베이스 편성포부와 포켓 편성포부를 독립하여 편성하면서, 베이스 편성포부의 코스방향 단부와 포켓 편성포부의 코스방향 단부를 인타샤 편성(intarsia knitting)으로 접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1에서는,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측 베이스부와 타측 베이스부를 코스방향으로 옮겨 가면서 포켓 편성포부를 베이스 편성포부에 접합함으로써,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경사지게 하고 있다.
일본국 특허 제5959555호 공보
특허문헌1의 편성방법에서는, 인타샤 편성으로 베이스 편성포부와 포켓 편성포부를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양 편성포부의 스티치의 방향이 달라져, 양 편성포부의 접합경계가 눈에 띄게 되어 버린다. 또한 접합경계의 강도가 다른 부분의 강도보다도 낮아지기 쉬워,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編絲)의 종류에 따라서는 접합경계에서 편사가 끊어지기 쉽게 될 우려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1에서는, 일측 베이스부와 타측 베이스부를 코스방향으로 옮겨 가면서 포켓 편성포부를 접합하기 때문에, 트임부(opening)가 없는 통모양의 베이스 편성포부에 포켓 편성포부를 접합할 수 없다는 과제도 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종래보다도 외관의 미려함이 향상된 포켓이 달린 편성포와 그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編成布)는,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와,
자루모양으로 연결되는 일측 포켓부(一側 pocket部)와 타측 포켓부(他側 pocket部)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의 도중에 연결되는 포켓 편성포부(pocket 編成布部)와,
상기 일측 포켓부와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경계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구비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에 있어서,
상기 개구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 가장자리부의 시단(始端)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웨일방향으로도 코스방향으로도 벗어난 위치에 있고,
상기 타측 포켓부와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가, 코스방향으로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편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서로 대향(對向)하는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일측 베이스부와 타측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편성포부에 대하여, 자루모양으로 연결되는 일측 포켓부와 타측 포켓부를 구비하는 포켓 편성포부를 연결시키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상기 일측 니들베드와 상기 타측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의 접합위치까지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독립하여 편성하는 공정A와,
상기 접합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접합하여, 상기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시단을 형성하는 공정B와,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편성하면서 양 편성포부를 연결시키는 공정C를
구비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C에서는,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코스방향으로 연속해서 편성하는 일체편성(integration knitting)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연결시켜 편성하고,
상기 일체편성을 반복하는 도중에, 상기 일측 포켓부와 상기 일측 베이스부 중의 어느 일방(一方)을 타방측(他方側)으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포켓부의 접합측의 단부 스티치(端部 stitch)와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접합측의 단부 스티치를 접합하는 경계편성(boundary knitting)을 한다.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공정A에 있어서, 상기 일측 베이스부와 상기 타측 베이스부를 코스방향의 일단측(一端側)과 타단측(他端側)에서 연결시켜 편성하고,
상기 공정C에 있어서, 상기 타측 포켓부의 접합측과 반대측의 단부 스티치를 상기 일측 포켓부의 코스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로테이션(rotation)을 하고, 또는 상기 타측 베이스부의 접합측과 반대측의 단부 스티치를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코스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로테이션을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공정A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각각에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편성하고,
상기 공정C에 있어서,
상기 경계편성으로서, 상기 일측 포켓부 전체를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포켓부의 접합측의 단부 스티치를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접합측의 단부 스티치에 접합하고,
상기 로테이션으로서, 상기 타측 포켓부의 접합측과 반대측의 단부 스티치를, 상기 일측 포켓부의 코스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경계편성은, 상기 일측 포켓부의 상기 단부 스티치와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스티치를 포개는 폭줄임 편성(narrowing knitting)인 형태를 들 수 있다. 폭줄임 편성은 공지의 편성기술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113329호 공보 등).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경계편성은, 상기 일측 베이스부와 상기 일측 포켓부를 접합하는 코빼기 처리(bind-off process)인 형태를 들 수 있다. 코빼기 처리는 공지의 편성기술(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10284호 공보 등)로서, 여기에서는 일측 베이스부와 일측 포켓부를 웨일방향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트랜스퍼와 니트편성을 사용하여 일측 베이스부의 스티치와 일측 포켓부의 스티치를 접합하여 마무리하는 편성이다.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공정C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일체편성을 연속해서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공정C에서 상기 일측 포켓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終端部)를 구성하는 제1스티치열과, 상기 타측 포켓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를 구성하는 제2스티치열을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접합하지 않고 남겨 두고,
상기 제1스티치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스티치열의 적어도 일부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합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공정C에서 상기 일측 포켓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를 구성하는 제1스티치열과, 상기 타측 포켓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를 구성하는 제2스티치열을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접합하지 않고 남겨 두고,
상기 일측 베이스부와 상기 일측 포켓부의 경계에서 상기 일측 포켓부를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접고, 상기 제1스티치열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스티치에 포개어 접합하고,
상기 일측 포켓부와 상기 타측 포켓부의 경계에서 상기 타측 포켓부를 상기 일측 포켓부의 접은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접고, 상기 제2스티치열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스티치에 포개어 접합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제2스티치열의 스티치를 일측 베이스부의 스티치에 포개어 접합한다」에는, 「제2스티치열의 스티치를 제1스티치열의 스티치와 일측 베이스부의 스티치의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에 포개어 접합한다」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에서는, 그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디자인성이 높아 다양한 요구에 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경사지거나 L자형, 원호형으로 된 포켓이 달린 편성포를 들 수 있다. 또한 포켓 편성포부의 타측 포켓부와 베이스 편성포부의 사이에 이음매가 없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다.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포켓 편성포부를 무봉제(無縫製)로 베이스 편성포부에 일체(一體)로 편성할 수 있다. 게다가 경계편성에 의하여 포켓 편성포부의 일측 포켓부와 베이스 편성포부의 일측 베이스부의 경계를 형성함으로써, 그 경계에 의하여 형성되는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경사지게 하거나 L자형, 원호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포켓 편성포부의 타측 포켓부와 베이스 편성포부의 사이에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그 점에 있어서도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외관이 미려하다.
공정A에서 일측 베이스부와 타측 베이스부를 코스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에서 연결시키면, 공정C에서 일측 베이스부와 일측 포켓부를 접합하는 경계편성을 할 때에, 일측 니들베드와 타측 니들베드에서 코스방향의 스티치수에 차가 생긴다. 타측 포켓부 또는 타측 베이스부의 단부 스티치를 로테이션함으로써, 상기 스티치수의 차를 해소할 수 있어 실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공정A에 있어서, 베이스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의 양 단부에 포켓 편성포부를 1개씩 형성하고, 공정C에서 양 포켓 편성포부를 베이스 편성포부에 접합함으로써, 좌우의 포켓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타측 포켓부의 단부 스티치를 로테이션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경계편성을 할 수 있다.
폭줄임 편성에 의하여 일측 베이스부와 일측 포켓부를 접합함으로써,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코스방향과 웨일방향의 양방과 교차하는 경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일측 베이스부와 일측 포켓부를 접합함으로써,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코스방향과 평행한 수평부를 형성할 수 있다.
공정C에 있어서 일체편성을 연속해서 함으로써,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베이스 편성포부의 웨일방향과 평행한 수직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편성포부에 접합하지 않고 남겨 둔 포켓 편성포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 중의 적어도 일부를 코빼기 처리함으로써, 개구 가장자리부의 종단부에 있어서 포켓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의 깊이를 깊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켓에 손을 넣었을 때에 손가락이 포켓 편성포부의 상단부(上端部)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일측 포켓부와 타측 포켓부의 경계가 일측 베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일측 포켓부와 타측 포켓부가 접혀 일측 베이스부에 접합됨으로써, 포켓 편성포부의 종단부가 확실하게 일측 베이스부에 고정된다. 그 때문에, 포켓에 물건이나 손을 넣어도 포켓 편성포부나 베이스 편성포부의 형태가 흐트러지기 어렵다.
도1에 있어서, (A)는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팬츠(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개략도, (B)는 (A)의 B-B 단면도이다.
도2는, 도1(A)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포켓 근방의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의 (A)∼(C)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설명하는 편성공정의 이미지도이다.
도5의 (A)∼(C)는, 포켓 편성포부의 웨일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부의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6의 (A)∼(D)는, 다른 형상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개략도이다.
도7의 (A)∼(C)는, 실시형태2의 포켓 편성포부의 웨일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부의 처리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서는,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編成布)의 일례로서, 도1, 2에 나타내는 팬츠(1)를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는, 팬츠(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의 니트웨어, 예를 들면 카디건이나 스웨터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포켓이 달린 편성포는, 자동차의 시트커버(seat cover) 등의 산업자재이더라도 상관없다.
도1에 나타내는 팬츠(1)는, 통모양의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2)와, 베이스 편성포부(2)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베이스 편성포부(2)에 연결되는 자루모양의 포켓 편성포부(pocket 編成布部)(3)를 구비한다. 베이스 편성포부(2)는, 착용자의 앞부분을 덮는 앞쪽 몸통(일측 베이스부(一側 base部)(2F))과, 착용자의 뒷부분을 덮는 뒤쪽 몸통(타측 베이스부(他側 base部)(2B))이 통모양으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베이스 편성포부(2)에는, 베이스 편성포부(2)를 좌우로 분리하는 트임부(opening)는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카디건의 몸통과 같은 트임부를 구비하는 통모양의 베이스 편성포부(2)이더라도 무방하다. 도1, 2의 좌우방향의 화살표는 베이스 편성포부(2)의 코스방향, 상측방향의 화살표는 베이스 편성포부(2)의 웨일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포켓 편성포부(3)는,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 포켓부(3F)와 타측 포켓부(3B)가 자루모양으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일측 베이스부(2F)에서 개구(開口)하고 있다. 포켓 편성포부(3)의 개구부 이외의 가장자리부, 구체적으로는 도1(A)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전부 닫혀 있다. 이 포켓 편성포부(3)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켓 편성포부(3)의 바닥이 되는 부분을 시단부(始端部)(3S)로 하여 편성되고, 상방의 종단부(終端部)(3E)에서 닫혀 있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켓 편성포부(3)의 일측 포켓부(3F)와 베이스 편성포부(2)의 일측 베이스부(2F)의 사이에는 폭줄임 스티치(narrowing stitch)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계(23)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경계(23)를 접음선(fold line)으로 하여,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켓 편성포부(3)는 베이스 편성포부(2)의 내부에 끼워 넣어져, 당해 경계(23)가 포켓 편성포부(3)의 개구 가장자리부(4)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포켓 편성포부(3)의 타측 포켓부(3B)와 베이스 편성포부(2)는, 코스방향으로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편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3의 사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켓 편성포부(3)의 개구부 근방의 외관이 매우 우수하다.
본 예의 개구 가장자리부(4)는, 그 시단(4b)에서부터 종단(4t)으로 갈수록 베이스 편성포부(2)의 중앙측으로 경사지는 경사 형상(경사부만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적어도 시단(4b) 이외의 부분이, 시단(4b)보다도 베이스 편성포부(2)의 웨일방향으로도 코스방향으로도 벗어나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일측 베이스부(2F)에 있어서의 개구 가장자리부(4)에 근접하는 부분(개구 가장자리부(4)를 따르는 가늘고 긴 사다리꼴 영역)에서는, 그 외의 부분과는 다른 조직패턴으로 하여 개구 가장자리부(4)를 눈에 띄게 할 수도 있다.
본 예의 팬츠(1)에서는, 포켓 편성포부(3)의 스티치의 방향이 도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웨일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포켓 편성포부(3)의 스티치의 방향과 베이스 편성포부(2)의 스티치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3의 사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츠(1)의 외관이 매우 우수하다. 양 편성포부(2, 3)의 스티치의 방향이 일치하는 것은, 본 예의 팬츠(1)가 후술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팬츠(1)의 구체적인 편성방법을 도4, 도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팬츠(1)의 편성에 사용하는 횡편기(橫編機)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를 구비하는 2베드 횡편기나 4베드 횡편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횡편기에서는, 일측 니들베드와 타측 니들베드가 상대적으로 래킹(racking) 가능하고, 일측 니들베드와 타측 니들베드의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transfer)를 할 수 있다.
도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편성포부(2)와 포켓 편성포부(3)의 접합위치까지 베이스 편성포부(2)와 포켓 편성포부(3)를 독립하여 편성한다(공정A). 본 예에서는, 베이스 편성포부(2)의 일측 베이스부(2F)를 일측 니들베드(이하, FB)에서, 타측 베이스부(2B)를 타측 니들베드(이하, BB)에서 편성한다. 또한 포켓 편성포부(3)의 일측 포켓부(3F)를 FB에서, 타측 포켓부(3B)를 BB에서 편성한다. 양 편성포부(2, 3)는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그 편성순서는 불문한다.
다음에 도4(A)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위치에서 베이스 편성포부(2)와 포켓 편성포부(3)를 접합하여, 포켓 편성포부(3)의 개구 가장자리부(4)의 시단(4b)(도1(A))을 형성한다(공정B). 양 편성포부(2, 3)를 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양 편성포부(2, 3)의 접합 후에는, 도4(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편성포부(2, 3)를 편성하면서 양 편성포부(2, 3)를 연결한다(공정C). 구체적으로는, 도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 포켓부(3F) 전체를 일측 베이스부(2F)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일측 포켓부(3F)의 접합측(베이스 편성포부(2) 측)의 단부 스티치를 일측 베이스부(2F)의 스티치에 접합하는 경계편성(boundary knitting)을 한다. 본 예에서는 경계편성으로서, 일측 포켓부(3F)의 접합측의 단부 스티치를 일측 베이스부(2F)의 접합측의 단부 스티치에 포개어, 일측 포켓부(3F)의 코스방향의 스티치를 줄이는 폭줄임 편성(narrowing knitting)을 하고 있다.
또한 도4(B)에서는, 타측 포켓부(3B)의 접합측과 반대측의 단부 스티치를 상기 일측 포켓부(3F)의 코스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로테이션(rotation)을 한다. 로테이션은, FB와 BB에 결합되는 코스방향의 스티치수를 대략 맞추기 위해서 한다. 예를 들면 일측 포켓부(3F)의 스티치를 2개 줄일 때마다 타측 포켓부(3B)의 스티치를 1개 로테이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일측 포켓부(3F)로 로테이션되는 타측 포켓부(3B)의 스티치는 비틀림 스티치(twisted stitch)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리 비튼 스티치인 비틀림 스티치를 대향하는 니들베드로 트랜스퍼하면 꼬임이 풀어지기 때문에, 포켓 편성포부(3)의 외관의 미려함이 향상된다. 비틀림 스티치의 편성은 공지의 편성기술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9851호 공보 참조).
도4(C)에서는, 베이스 편성포부(2)와 포켓 편성포부(3)를 코스방향으로 연속해서 편성하는 일체편성(integration knitting)을 한다. 이 일체편성을 하는 동안에 경계편성을 하면, 일측 베이스부(2F)와 일측 포켓부(3F)의 사이에 경계(23)가 형성된 상태로 양 편성포부(2, 3)가 성형(成型)된다. 이때에, 포켓 편성포부(3)의 타측 포켓부(3B)와 베이스 편성포부(2)는 코스방향으로 이음매 없이 연속한다.
여기에서 도4(C)의 일체편성은, 일방향으로 주회(周回)하는 주회편성이더라도 좋고, 반환단(返還端)을 구비하는 C자모양 편성이더라도 좋다. 도4(B)에서 로테이션되는 좌우의 타측 포켓부(3B)의 스티치를 비틀림 스티치로 하는 것이라면, 팬츠(1)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C자모양으로 일체편성을 할 필요가 있다. 본 예의 경우에는, 일측 베이스부(2F)의 중앙(일점쇄선을 참조)을 반환단으로 하는 C자모양의 일체편성을 하고 있다.
도4(B)의 경계편성과 도4(C)의 일체편성을 하는 횟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4(A)의 직후에 하는 편성은, 도4(C)의 일체편성이더라도 상관없다. 그 밖에, 도4(B)의 폭줄임 편성만을 한 후에 도4(C)의 일체편성을 하고, 그 다음에 도4(B)의 폭줄임 편성과 로테이션을 할 수도 있다.
도4(B)의 편성과 도4(C)의 편성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일측 베이스부(2F)와 일측 포켓부(3F)의 경계(23)가 일측 베이스부(2F) 상에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경계(23)에서는, 일측 베이스부(2F)의 스티치에 일측 포켓부(3F)의 접합측의 단부 스티치를 포갠 폭줄임 스티치가 배열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도5에 나타내는 팬츠(1)의 각 부를 평면전개한 형지(型紙)를 참조하여, 포켓 편성포부(3)의 웨일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부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5에서는, 팬츠(1)의 좌측(지면상에서는 우측)의 일부만을 나타낸다.
도5(A)는, 일측 베이스부(2F)와 일측 포켓부(3F)의 경계(23)의 편성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형지상에서는, 경계(23)에 있어서의 일측 베이스부(2F)와 일측 포켓부(3F)는 서로 떨어져 있지만, 실제로는 연결되어 있다. 도5(A)에서는, 포켓 편성포부(3)의 웨일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부(3E)는 어디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종단부(3E)는, 일측 포켓부(3F)의 웨일방향의 종단부를 구성하는 제1스티치열(31)과, 타측 포켓부(3B)의 웨일방향의 종단부를 구성하는 제2스티치열(32)로 나눌 수 있다.
도5(B)에서는, 일측 포켓부(3F)의 제1스티치열(31)과 타측 포켓부(3B)의 제2스티치열(32)의 경계측에서, 제1스티치열(31)의 일부와 제2스티치열(32)의 일부를 코빼기 처리(bind-off process)로 접합한다(빗금친 부분을 참조). 양 포켓부(3F, 3B)의 종단부인 제1스티치열(31)과 제2스티치열(32)을 코빼기 처리로 접합함으로써,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가장자리부(4)의 종단(4t)으로부터 팬츠(1)의 중앙을 향하여 평행하게 포켓 편성포부(3)의 공간이 형성되어, 포켓 편성포부(3)에 손을 넣었을 때에 손가락이 포켓 편성포부(3)에 걸리기 어렵게 된다.
도5(C)에서는, 종단부(3E) 중에서 도5(B)에서 코빼기 처리하지 않은 부분을 접고, 일측 베이스부(2F)에 포켓 편성포부(3)를 접합한다. 도5(C)의 검게 칠한 부분은, 도5(B)에서 코빼기 처리한 부분을 나타낸다. 삼중(三重)으로 된 부분의 각 부의 상태를, 도5(C) 우측의 원으로 둘러싼 부분에 나타낸다. 원으로 둘러싼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 베이스부(2F)의 안쪽에 일측 포켓부(3F)가 포개지고, 또 그 일측 포켓부(3F)의 안쪽에 타측 포켓부(3B)가 포개져 있다. 즉 포켓 편성포부(3)가 일측 베이스부(2F)의 내측으로 접히고, 그 접힌 부분 그대로 일측 베이스부(2F)에 접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개구 가장자리부(4)의 종단(4t)(도1)에 일측 베이스부(2F)와 접힌 포켓 편성포부(3)에 의하여 단면(斷面)이 S자모양인 주름(pleat)이 형성된다. 종단(4t)에 주름을 형성함으로써, 종단(4t)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개구 가장자리부(4)의 종단(4t)은, 포켓 편성포부(3)의 내부에 손이나 물건을 삽입하였을 때에 큰 부하가 걸리는 부분이다. 주름으로 종단(4t)의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종단(4t)의 파단(破斷)을 억제할 수 있고, 포켓 편성포부(3)에 손이나 물건을 넣었을 때에 베이스 편성포부(2)의 모양이 보기 싫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베이스 편성포부(2)에 대한 포켓 편성포부(3)의 접합이 종료되면, 베이스 편성포부(2)의 잔부(殘部)를 편성하여 팬츠(1)를 완성시킨다. 횡편기로 편성된 직후의 팬츠(1)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편성포부(2)의 외측에 포켓 편성포부(3)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 편성포부(3)를 베이스 편성포부(2)의 내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도1의 팬츠(1)를 완성시킬 수 있다.
〈변형예〉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응용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개구 가장자리부(4)를 구비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1)를 편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 가장자리부(4)의 형상은, 도6(A)에 나타내는 수평부와 수직부가 L자형으로 연결된 L자형 형상이더라도 좋고, 도6(B)에 나타내는 수평부와 수직부가 경사부로 연결된 형상이더라도 좋다. 또는 도6(C)에 나타내는 원호모양의 개구 가장자리부(4)로 할 수도 있다.
도6(A), (B)의 수평부를 편성하기 위해서는, 일체편성을 정지하고, 일측 베이스부(2F)와 일측 포켓부(3F)를 접합하는 코빼기 처리를 연속으로 하면 좋다. 이 경우에, 타측 포켓부(3B)의 스티치를 로테이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6(A), (B)의 수직부를 편성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편성포부(2)를 코스방향에 있어서 증감하지 않고, 도4(C)에 나타내는 일체편성만을 연속으로 하면 좋다. 또한 베이스 편성포부(2)와 포켓 편성포부(3)의 일체편성을 하는 도중에 베이스 편성포부(2)의 일측 베이스부(2F)의 편성폭을 늘림으로써, 도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단부(3E) 측으로 갈수록 베이스 편성포부(2)의 코스방향의 외측으로 만곡하는 개구 가장자리부(4)를 형성할 수 있다.
포켓 편성포부(3)의 개구 가장자리부(4)의 형상은, 도6(A)∼(C)의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경사부, 수평부 및 수직부를 조합하거나,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 등에 의하여 일측 베이스부(2F)의 접합측의 가장자리부에 완만한 경사 등을 형성하면, 개구 가장자리부(4)의 형상은 무한히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포켓 편성포부(3)의 형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켓 편성포부(3)의 내측의 측단(側端)이 포켓 편성포부(3)의 바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켓 편성포부(3)에서는, 손이나 물건을 삽입하였을 때에 포켓 편성포부(3)에 손이나 물건이 걸리기 어려워, 포켓 편성포부(3)에 손이나 물건을 삽입하기가 쉽다. 이와 같은 포켓 편성포부(3)는, 포켓 편성포부(3)의 베이스 편성포부(2)와의 접합측과 반대측의 단부 근방에서 포켓 편성포부(3)의 편성폭을 줄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포켓 편성포부(3)의 웨일방향에 있어서의 종단부(3E)를 전부 베이스 편성포부(2)에 접합하는 예를 도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7을 보는 방법은, 도5에서와 거의 동일하다. 도7에서는, FB와 BB의 위치를 이점쇄선으로 나타내어, 팬츠(1)의 각 부가 결합되는 니들베드를 명확하게 하고 있다. 또한 도7의 검은 동그라미는 스티치를 나타내고 있다.
일측 베이스부(2F)와 일측 포켓부(3F)의 경계(23)의 편성이 종료된 상태(도5(A)의 상태)로부터, 도7에 나타내는 편성을 시작한다. 도7(A)에서는, 일측 포켓부(3F)가 FB에 결합되고, 타측 포켓부(3B)가 BB에 결합된 상태로 한다. 도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 베이스부(2F)와 일측 포켓부(3F)를 접합할 때에 타측 포켓부(3B)의 일부가 일측 포켓부(3F) 측(FB측)으로 로테이션되고 있다(도4(C)를 참조). 그래서 실시형태2의 도7(A)에서는, 타측 포켓부(3B)에 있어서의 FB측에 결합되어 있는 부분을 원호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B측으로 로테이션하여, 타측 포켓부(3B) 전체가 일측 포켓부(3F)에 대향하는 상태로 되돌린다.
또한 도7(A)에서는, 일측 포켓부(3F)와 타측 포켓부(3B)를,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화살촉 부분에 색이 없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위치를 참조)에 공침(空針)을 형성한 하프 게이지 상태(half gauge state)로 한다.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의 공침의 수는, 1개이더라도 좋고, 2개 이상이더라도 좋다. 일측 포켓부(3F)(타측 포켓부(3B))를 공침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일측 포켓부(3F)(타측 포켓부(3B))의 인접하는 스티치 상호간을 포개면 좋다.
도7(B)에서는, 일측 베이스부(2F)와 일측 포켓부(3F)의 경계(23)에서 일측 포켓부(3F)를 일측 베이스부(2F)의 내측으로 접고, 제1스티치열(31)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일측 베이스부(2F)의 스티치에 포갠다. 구체적으로는 제1스티치열(31)에 있어서의 일측 베이스부(2F) 측의 단부 스티치(310)를, 그 단부 스티치(310)의 근방에 있는 일측 베이스부(2F)의 접합 대상 스티치(210)에 포개는 조작을 반복한다. 그 반복을 할 때에, 스티치를 포개는 위치를 서서히 일측 베이스부(2F)의 편성폭방향의 내측으로 옮긴다. 본 예에서는, 먼저 제2스티치열(32)의 편성폭 내에 있는 공침으로 제1스티치열(31)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BB를 좌측방향으로 래킹시키고, 일측 베이스부(2F)에 있어서의 일측 포켓부(3F) 측의 단부에 있는 접합 대상 스티치(210)로 단부 스티치(310)를 트랜스퍼한다. 그 결과, 단부 스티치(310)를 접합 대상 스티치(210)에 포갠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가 형성된다. 계속하여 도면 중의 단부 스티치(310)의 우측에 인접하는 스티치를 새로운 단부 스티치(310)로 하고, 접합 대상 스티치(210)에 좌측 2번째로 인접하는 스티치를 새로운 접합 대상 스티치(210)로 하여, 래킹과 단부 스티치(310)의 트랜스퍼에 의하여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들 단부 스티치(310)와 접합 대상 스티치(210)의 재정의(再定義)와 더블 스티치의 형성을, 제1스티치열(31)의 스티치가 없어질 때까지 한다.
여기에서 BB의 래킹양의 제한을 넘어 버리는 경우에, 일단 BB에 결합되는 모든 스티치를 FB에 맡겨 두고, FB에 대하여 지면의 좌측으로 벗어나 있는 BB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FB와 BB의 편차량을 적게 하면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BB의 래킹과 단부 스티치(310)의 트랜스퍼에 의한 더블 스티치의 형성을 계속할 수 있다.
도7(C)에서는, 일측 포켓부(3F)와 타측 포켓부(3B)의 경계에서 타측 포켓부(3B)를 일측 포켓부(3F)의 접은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접고, 제2스티치열(32)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일측 베이스부(2F)의 스티치에 포갠다. 구체적으로는 제2스티치열(32)에 있어서의 제1스티치열(31) 측의 단부 스티치(320)를, 그 단부 스티치(320)의 근방에 있는 일측 베이스부(2F)의 접합 대상 스티치(220)에 포개는 조작을 반복한다. 그 반복을 할 때에, 스티치를 포개는 위치를 서서히 일측 베이스부(2F)의 편성폭방향의 외측으로 옮긴다. 단부 스티치(320)를 일측 베이스부(2F)의 스티치에 포개면, 도면 중의 단부 스티치(320)의 좌측에 인접하는 스티치가 새로운 단부 스티치(320)가 된다. 여기에서 단부 스티치(320)를 포개는 일측 베이스부(2F)의 접합 대상 스티치(220)는, 도7(B)에서 형성한 더블 스티치(더블 스티치는 일측 베이스부(2F)의 스티치를 포함한다)이더라도 좋고, 그 더블 스티치에 인접하는 스티치이더라도 좋다. 본 예에서는, 더블 스티치에 인접하는 스티치를 접합 대상 스티치(220)로 하고 있다. 본 예와는 다르게 더블 스티치를 접합 대상 스티치로 하는 경우에, 삼중의 더블 스티치가 형성된다. 제2스티치열(32)의 스티치가 없어질 때까지, 단부 스티치(320)와 접합 대상 스티치(220)를 포개는 조작을 반복한다. 그 결과, 도7(C)의 원으로 둘러싼 부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 베이스부(2F)의 안쪽에 일측 포켓부(3F)가 포개지고, 또 그 일측 포켓부(3F)의 안쪽에 타측 포켓부(3B)가 포개져, 일측 베이스부(2F)와 접힌 포켓 편성포부(3)에 의하여 단면이 S자모양인 주름이 형성된다.
도7(C)의 처리가 끝나면, 더블 스티치를 포함하는 FB와 BB에 결합된 모든 스티치에 통모양 편성(tubular knitting)을 하여 베이스 편성포부(2)의 잔부를 편성함으로써, 팬츠(1)를 완성시킨다. 그 결과, 일측 포켓부(3F)와 타측 포켓부(3B)의 경계가 일측 베이스부(2F)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일측 포켓부(3F)와 타측 포켓부(3B)가 접힌 상태로, 포켓 편성포부(3)의 종단부(3E)가 일측 베이스부(2F)에 접합된다. 포켓 편성포부(3)의 종단부(3E) 전체가 일측 베이스부(2F)에 접합됨으로써, 포켓 편성포부(3)에 손이나 물건을 넣었을 때의 하중을 종단부(3E) 전체로 분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포켓 편성포부(3)의 모양이 보기 싫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2의 편성을 함에 있어서,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면 베이스 편성포부(2)를 총침상태(full gauge state)(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공침이 없는 상태)에서 편성할 수 있다.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면 베이스 편성포부(2)를 1×1의 하프 게이지 상태(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하나의 공침이 배치된 상태)에서 편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3〉
일측 베이스부와 타측 베이스부의 코스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베이스 편성포부에 대하여 포켓 편성포부를 연결시키는 경우에, 로테이션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측 베이스부와 타측 베이스부의 코스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단측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베이스 편성포부에 대하여, 일단측에 포켓 편성포부를 접합하는 경우에, 일측 베이스부를 일측 포켓부를 향하여 이동시켜 일측 베이스부와 일측 포켓부를 접합한다. 트랜스퍼와 래킹을 이용하여 일단측에서 일측 베이스부를 일측 포켓부로 이동시키더라도, 타단측에서 일측 베이스부와 타측 베이스부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타단측에서 실끊어짐의 문제가 일어나지 않아, 로테이션을 할 필요가 없다.
1 : 포켓이 달린 편성포(팬츠)
2 : 베이스 편성포부
23 : 경계
2F : 일측 베이스부 2B : 타측 베이스부
210, 220 : 접합 대상 스티치
3 : 포켓 편성포부
3F : 일측 포켓부 3B : 타측 포켓부
3E : 종단부 3S : 시단부
31 : 제1스티치열 32 : 제2스티치열
310, 320 : 단부 스티치
4 : 개구 가장자리부
4b : 시단 4t : 종단

Claims (9)

  1.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와,
    자루모양으로 연결되는 일측 포켓부(一側 pocket部)와 타측 포켓부(他側 pocket部)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의 도중에 연결되는 포켓 편성포부(pocket 編成布部)와,
    상기 일측 포켓부와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경계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를
    구비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編成布)에 있어서,
    상기 개구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개구 가장자리부의 시단(始端)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웨일방향으로도 코스방향으로도 벗어난 위치에 있고,
    상기 타측 포켓부와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가, 코스방향으로 이음매 없이 연속하여 편성되어 있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
  2. 서로 대향(對向)하는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일측 베이스부와 타측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편성포부에 대하여, 자루모양으로 연결되는 일측 포켓부와 타측 포켓부를 구비하는 포켓 편성포부를 연결시키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상기 일측 니들베드와 상기 타측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의 접합위치까지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독립하여 편성하는 공정A와,
    상기 접합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접합하여, 상기 포켓 편성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의 시단을 형성하는 공정B와,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편성하면서 양 편성포부를 연결시키는 공정C를
    구비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C에서는,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코스방향으로 연속해서 편성하는 일체편성(integration knitting)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와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연결시켜 편성하고,
    상기 일체편성을 반복하는 도중에, 상기 일측 포켓부와 상기 일측 베이스부 중의 어느 일방(一方)을 타방측(他方側)으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포켓부의 접합측의 단부 스티치(端部 stitch)와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접합측의 단부 스티치를 접합하는 경계편성(boundary knitting)을 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A에 있어서, 상기 일측 베이스부와 상기 타측 베이스부를 코스방향의 일단측(一端側)과 타단측(他端側)에서 연결시켜 편성하고,
    상기 공정C에 있어서, 상기 타측 포켓부의 접합측과 반대측의 단부 스티치를 상기 일측 포켓부의 코스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로테이션(rotation)을 하고, 또는 상기 타측 베이스부의 접합측과 반대측의 단부 스티치를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코스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로테이션을 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A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의 코스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각각에 상기 포켓 편성포부를 편성하고,
    상기 공정C에 있어서,
    상기 경계편성으로서, 상기 일측 포켓부 전체를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일측 포켓부의 접합측의 단부 스티치를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접합측의 단부 스티치에 접합하고,
    상기 로테이션으로서, 상기 타측 포켓부의 접합측과 반대측의 단부 스티치를, 상기 일측 포켓부의 코스방향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경계편성은, 상기 일측 포켓부의 상기 단부 스티치와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스티치를 포개는 폭줄임 편성(narrowing knitting)인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상기 경계편성은, 상기 일측 베이스부와 상기 일측 포켓부를 접합하는 코빼기 처리(bind-off process)인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C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일체편성을 연속해서 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8.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C에서 상기 일측 포켓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終端部)를 구성하는 제1스티치열과, 상기 타측 포켓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를 구성하는 제2스티치열을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접합하지 않고 남겨 두고,
    상기 제1스티치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스티치열의 적어도 일부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합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9. 제2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C에서 상기 일측 포켓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를 구성하는 제1스티치열과, 상기 타측 포켓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를 구성하는 제2스티치열을 상기 베이스 편성포부에 접합하지 않고 남겨 두고,
    상기 일측 베이스부와 상기 일측 포켓부의 경계에서 상기 일측 포켓부를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내측으로 접고, 상기 제1스티치열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스티치에 포개어 접합하고,
    상기 일측 포켓부와 상기 타측 포켓부의 경계에서 상기 타측 포켓부를 상기 일측 포켓부의 접은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접고, 상기 제2스티치열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상기 일측 베이스부의 스티치에 포개어 접합하는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180139503A 2017-11-15 2018-11-14 포켓이 달린 편성포 및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110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0332 2017-11-15
JPJP-P-2017-220332 2017-11-15
JP2018153385A JP7217600B2 (ja) 2017-11-15 2018-08-17 ポケット付き編地、およびポケット付き編地の編成方法
JPJP-P-2018-153385 2018-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754A true KR20190055754A (ko) 2019-05-23
KR102110171B1 KR102110171B1 (ko) 2020-05-13

Family

ID=6633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503A KR102110171B1 (ko) 2017-11-15 2018-11-14 포켓이 달린 편성포 및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10171B1 (ko)
CN (1) CN109778410B (ko)
DE (1) DE1020182194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487A (ko) * 2020-12-03 2022-06-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19396A1 (de) * 2019-07-17 2021-01-21 Julius Zorn Gmbh Medizinisches Gestrick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Gestrickteils
CN111020842B (zh) * 2019-11-22 2021-04-06 针知运纺织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带有口袋的c字状针织物的编织方法
CN110952220B (zh) * 2019-11-22 2021-05-11 针知运纺织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带口袋的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
CN110760988B (zh) * 2019-12-31 2021-04-23 惠州学院 一种双针床横机编织无缝平插袋罗纹袋口的方法
CN111778621B (zh) * 2020-06-23 2022-04-22 内蒙古鹿王羊绒有限公司 具有附件的一体编织物的编织方法
JP7341960B2 (ja) * 2020-08-06 2023-09-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CN112760791B (zh) * 2020-12-29 2022-08-23 内蒙古鹿王羊绒有限公司 立体交叠复合结构针织物的编织方法
CN113106612B (zh) * 2021-04-20 2022-08-05 无锡太平针织有限公司 一种四针床横机编织的全成形满针移针花型织物及其编织方法
CN115897033B (zh) * 2022-11-24 2024-01-12 惠州学院 一种无缝斜插袋罗纹袋口的编织方法及编织物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8208A (ja) * 1994-12-02 1996-06-18 Shima Seiki Mfg Ltd 切りポケット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0123801B1 (ko) * 1989-12-08 1997-11-27 시마 마사히로 리브편을 가지는 포켓이 부착된 편지(編地) 및 그 편성방법
KR100229116B1 (ko) * 1991-04-10 1999-11-01 시마 마사히로 첩부형포켓을 가지는 편지 및 그 편성방법
JP2005089887A (ja) * 2003-09-12 2005-04-07 Shima Seiki Mfg Ltd ポケットを有する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ポケットを有する筒状編地
JP2015010284A (ja) * 2013-06-26 2015-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ポケット付編地の編成方法
KR20150106364A (ko) * 2014-03-11 2015-09-2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포켓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0275A (en) * 1974-04-11 1977-08-09 Castello Leo J Knit-in pocket and method
JPH0781228B2 (ja) 1991-07-05 1995-08-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立体的なシルエットを有する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4344210B2 (ja) 2003-10-08 2009-10-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ラグラン袖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およびラグラン袖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
CN103628243B (zh) * 2012-08-23 2015-06-17 江苏景盟针织企业有限公司 一种带有口袋的针织衫与编织用针织机及其编织方法
CN105483921B (zh) * 2015-12-18 2017-12-29 江南大学 一种双针床横机上满针编织全成形毛衫的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801B1 (ko) * 1989-12-08 1997-11-27 시마 마사히로 리브편을 가지는 포켓이 부착된 편지(編地) 및 그 편성방법
KR100229116B1 (ko) * 1991-04-10 1999-11-01 시마 마사히로 첩부형포켓을 가지는 편지 및 그 편성방법
JPH08158208A (ja) * 1994-12-02 1996-06-18 Shima Seiki Mfg Ltd 切りポケット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05089887A (ja) * 2003-09-12 2005-04-07 Shima Seiki Mfg Ltd ポケットを有する編地の製造方法およびポケットを有する筒状編地
JP2015010284A (ja) * 2013-06-26 2015-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ポケット付編地の編成方法
KR20150106364A (ko) * 2014-03-11 2015-09-2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포켓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JP5959555B2 (ja) 2014-03-11 2016-08-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ポケットを備える編地の編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487A (ko) * 2020-12-03 2022-06-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219464A1 (de) 2019-05-16
KR102110171B1 (ko) 2020-05-13
CN109778410B (zh) 2021-06-22
CN109778410A (zh)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5754A (ko) 포켓이 달린 편성포 및 포켓이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JP4848365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4856635B2 (ja) 身頃筒状部に開き部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1116807A1 (en) Knitting method for knit clothing
KR100854959B1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칼라를 부착한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JP5567565B2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4002891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20080109620A (ko) 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의 편성방법 및손가락부를 구비하는 양말 또는 장갑
JP5443250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KR101013363B1 (ko) 편성포의 접합방법
JP5905221B2 (ja) 編地の接合方法、および編地
JP6037759B2 (ja) 編地、および編地の編成方法
JP4002889B2 (ja) 衿形成方法
JP6195867B2 (ja) 指袋付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7217600B2 (ja) ポケット付き編地、およびポケット付き編地の編成方法
JP7162455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102554111B1 (ko) 편성방법
WO2003102284A1 (fr) Procede de tricotage de vetements tricotes a col devant et vetement tricote a col devant
JP4252752B2 (ja) 横編機によるニットウエアの衿ぐり編成方法およびそのニットウエア
KR101985828B1 (ko) 편성포의 접합방법
JP2008163528A (ja) ニットウエアの編成方法
KR20200102368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2012031529A (ja) 指袋付き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6211402B2 (ja) ニットパンツの編成方法
JP2019218668A (ja) リセスのある編地の編成方法と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