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765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765A
KR20190053765A KR1020180098804A KR20180098804A KR20190053765A KR 20190053765 A KR20190053765 A KR 20190053765A KR 1020180098804 A KR1020180098804 A KR 1020180098804A KR 20180098804 A KR20180098804 A KR 20180098804A KR 20190053765 A KR20190053765 A KR 20190053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ool
posture
body por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3701B1 (ko
Inventor
히로키 오고세
모토히로 니이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05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1Frame disassembly features
    • A01K89/01923Rotated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낚시꾼이 본체부를 위화감 없이 파지(把持)할 수 있고, 또한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100)은, 스풀(10)과 스풀 축(14)과 스풀 지지부(17)와 릴 본체(1)와 회동(回動) 부재(19)를 구비한다. 회동 부재(19)는,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로부터 떼어냄 가능한 제1 자세, 및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로부터 떼어냄 불가능한 제2 자세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자세에서는, 회동 부재(19)의 경(徑)방향 외측부(19b1, 19b2)가, 경방향 및 축 방향의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의 방향에 있어서, 릴 본체(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자세에서는, 축 방향에 있어서 회동 부재(19)를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경방향 외측부(19b1, 19b2)는, 경방향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외면(外面)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 베어링 릴은, 스풀과, 스풀 축과, 좌(左) 프레임(본체부)과, 좌 프레임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측 커버(회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특허 문헌 1 및 2를 참조).
또한, 종래의 양 베어링 릴은, 스풀과, 스풀 축과, 좌 프레임(본체부)과, 좌 프레임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감합(嵌合)되는 스풀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특허 문헌 3 및 4를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63-263033호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5775298호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평6-20388호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평8-10289호
특허 문헌 1 및 2에 도시한 양 베어링 릴에서는, 좌측 커버(3, 3a; 회동 부재)를 좌 프레임(2a; 본체부)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이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된다.
이 경우, 좌측 커버와 좌 프레임에는, 접합면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낚시꾼이 릴을 파밍(palming)하여, 이 접합면이 낚시꾼의 손바닥에 접촉하면, 이 접촉이 낚시꾼에 대하여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특히, 물고기가 낚싯줄에 걸려, 낚시꾼이 릴을 강하게 파밍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좌측 커버의 접합면 및 좌 프레임의 접합면의 사이에, 간극(間隙)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면, 낚시꾼에 대한 상기의 위화감은, 한층 더 커질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 및 4에 도시한 양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 지지부(7, 6)를 좌 프레임(1, 4)으로부터 떼어내거나, 스풀 지지부를 좌 프레임에 취부(取付)하거나 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이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된다.
이 경우, 특허 문헌 3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 지지부를 좌 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두께가 얇은 회전 멈춤 돌기를 일으켜 손가락으로 잡아당길 필요가 있어, 스풀 지지부를 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내기 어렵다.
특허 문헌 4의 양 베어링 릴에서는, 스풀 지지부를 좌 프레임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스풀 지지부를 회전시킨 후, 얕고 손가락을 걸기 어려운 손가락 걸이 오목부에 손가락을 걸어 무리하게 뽑아 내거나, 스풀의 플랜지를 스풀 지지부를 향하게 하여 누를 필요가 있어, 스풀 지지부를 조작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꾼이 본체부를 위화감 없이 파지(把持)할 수 있고, 또한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스풀과 스풀 축과 스풀 지지부와 본체부와 회동 부재를 구비한다. 스풀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 축은, 스풀의 회전 중심에 배치된다. 스풀 지지부는, 스풀 축의 일단(一端) 측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체부에는, 스풀 지지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동 부재는, 본체부에 대하여 스풀 지지부를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다. 회동 부재는,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떼어냄 가능한 제1 자세 및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떼어냄 불가능한 제2 자세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자세에서는, 회동 부재의 경(徑)방향 외측부가, 스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경방향 및 스풀의 회전 중심을 따르는 제1 축 방향의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의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2 자세에서는,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회동 부재를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경방향 외측부는, 제1 경방향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외면(外面)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본 양 베어링 릴에서는, 회동 부재가 제2 자세인 경우,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회동 부재를 외측으로부터 보아, 경방향 외측부가, 제1 경방향에 있어서의 본체부의 외면보다,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낚시꾼은 본체부를 위화감 없이 파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가 제1 자세인 경우, 회동 부재의 경방향 외측부는, 스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경방향 및 스풀의 회전 중심을 따르는 제1 축 방향의 적어도 어느 일방의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때문에, 회전 부재가 제1 자세인 경우, 낚시꾼은, 회동 부재의 경방향 외측부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회동 부재가 제1 자세인 경우,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경방향 외측부가 상기의 간격에 의하여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회동 부재가 제2 자세인 경우, 본체부를 파지 가능하도록 경방향 외측부가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회동 부재가 제1 자세인 경우에, 낚시꾼은,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회동 부재가 제2 자세인 경우에, 낚시꾼은, 본체부를 보다 위화감 없이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제1 자세에 있어서, 회동 부재가, 스풀로부터 멀어지는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제2 자세에 있어서, 회동 부재는,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제1 자세에 있어서, 회동 부재를 이용하여,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제2 자세에 있어서, 회동 부재를 통하여,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본체부가, 회동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개구부(開口部)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경방향 외측부는, 개구부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회동 부재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에 용이하게 취부하거나, 회동 부재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거나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경방향 외측부가, 돌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는, 회동 부재가 제1 자세인 경우에, 회동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 경방향에 있어서, 본체부보다 외측으로 돌출한다. 여기에서는, 돌출부의 선단부(先端部)가, 제2 경방향에 있어서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낚시꾼은,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돌출부를 이용하여,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돌출부 및 본체부의 외면의 사이에는, 간극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여, 회동 부재를 회동시키는 경우에, 돌출부와 본체부의 외면과의 사이에 접동(摺動) 저항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회동 부재를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본체부가, 단차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부는, 회동 부재가 제2 자세인 경우에,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에 대향한다.
이 구성에서는, 회동 부재가 제2 자세인 경우에, 돌출부를 본체부의 단차부에 대향시키는 것에 의하여, 낚시꾼은, 본체부를 보다 위화감 없이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경방향 외측부가, 대향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부는, 회동 부재가 제1 자세인 경우에, 회동 중심을 따르는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대향부의 외주부가,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낚시꾼은,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대향부를 이용하여,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경방향 외측부가, 돌출부와 대향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는, 회동 부재가 제1 자세인 경우에, 회동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 경방향에 있어서, 본체부보다 외측으로 돌출한다. 돌출부의 선단부는, 제2 경방향에 있어서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대향부는, 회동 부재가 제1 자세인 경우에, 회동 중심을 따르는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대향부의 외주부는,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낚시꾼은,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돌출부 및 대향부를 이용하여,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낚시꾼이 본체부를 위화감 없이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스풀 지지부를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도 1은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a는 양 베어링 릴의 측면도(취부 자세).
도 2b는 양 베어링 릴의 측면도(탈착(脫着) 자세).
도 3a는 제2 측판의 사시도.
도 3b는 제2 측판의 측면도.
도 4는 스풀 지지 구조의 사시도.
도 5는 회동 부재의 사시도.
도 6a는 도 1의 절단선 VIA-VIA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b는 도 2b의 절단선 VIB-VIB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단면도.
<양 베어링 릴의 전체 개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양 베어링 릴(100)은,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본체부의 일례)와 핸들(2)과 스풀(10)(도 1을 참조)과 스풀 축(14)(도 6a 및 도 6b를 참조)과 스풀 지지 구조(15)를 구비한다.
덧붙여, 이하에 이용되는 "축 방향"은, 스풀(10)의 회전 중심 즉 스풀 축심(CA)이 연장되는 방향, 또는 스풀 축심(CA)을 따른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스풀 축심(CA)은, 스풀 축(14)의 축심과 동심(同芯)이다. 이 때문에, "축 방향"은, 스풀 축(14)이 연장되는 방향, 또는 스풀 축(14)을 따른 방향이라고도 해석할 수 있다.
"경방향"은, 스풀 축심(C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둘레 방향"은, 스풀 축심(CA) 둘레의 방향으로서 정의된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에는, 핸들(2)과 스풀(10)(도 1을 참조)과 스풀 축(14)(도 6a 및 도 6b를 참조)과 스풀 지지 구조(15)가 장착된다. 릴 본체(1)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핸들(2)은, 스풀(10)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핸들(2)은, 스풀(10)을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릴 본체(1)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핸들(2)은, 후술하는 측 커버(8a) 측에 설치된다.
덧붙여, 양 베어링 릴(100)을 낚싯대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핸들(2)을 회전하였을 경우에, 핸들(2)이 회전하는 회전 방향을 "줄 감기 방향"이라고 적는 일이 있다. 또한, 낚시줄을 방출하는 방향을 전방(前方)으로 하고, 그 반대를 후방(後方)으로 한다. 낚싯대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하방(下方), 낚싯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上方)으로 한다.
스풀(10)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10)은, 상술한 스풀 축심(CA)을 가진다. 스풀(10)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에서는, 스풀(10)은, 스풀 축(14)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10)은, 스풀 축(14)을 통하여,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 축(14)은, 스풀 축심(CA)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스풀 축(14)은, 스풀(10)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풀 축(14)은,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릴 본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는, 프레임(7)과 측 커버(8a)를 가진다.
프레임(7)은,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과 복수의 연결부(7c)를 가진다.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과의 사이에는, 스풀(10)이 배치된다. 제1 측판(7a)은, 핸들(2) 측에 설치된다. 제1 측판(7a)은,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을 통하여, 스풀 축(1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측판(7b)은, 핸들(2)과는 반대 측에 설치된다. 제2 측판(7b)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측판(7a)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7b)은, 스풀(10)을 착탈하기 위한 개구부(7d)와, 회동 부재(19)의 제1 조작부(19b1)(후술한다)를 배치하기 위한 단차부(7i)를 가진다. 개구부(7d)는, 스풀 축 방향으로 제2 측판(7b)을 관통한다. 개구부(7d)는, 실질적으로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된다.
개구부(7d)에는, 회동 부재(19)가 배치된다. 개구부(7d)는, 안내 오목부(7e)와 바요넷 홈부(7f)와 위치 결정 오목부(7g)를 가진다. 안내 오목부(7e)는, 회동 부재(19)의 바요넷 볼록부(19d)(후술한다)를 바요넷 홈부(7f)에 안내한다. 안내 오목부(7e)는, 개구부(7d)의 내주면(內周面)에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안내 오목부(7e)가, 개구부(7d)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안내 오목부(7e)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이다. 각 안내 오목부(7e)는, 제2 측판(7b)의 외면으로부터 바요넷 홈부(7f)를 향하여,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안내 오목부(7e)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 안내 오목부(7e)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18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각 안내 오목부(7e)는, 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일방의 안내 오목부(7e)가, 낚싯대 측 즉 개구부(7d)의 하방에 배치된다. 타방(他方)의 안내 오목부(7e)는, 낚싯대로부터 멀어진 측 즉 개구부(7d)의 상방에 배치된다. 타방의 안내 오목부(7e)의 구성은, 일방의 안내 오목부(7e)의 구성과 같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요넷 홈부(7f)는, 회동 부재(19)의 바요넷 볼록부(19d)를 둘레 방향으로 안내한다. 바요넷 홈부(7f)는, 개구부(7d)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바요넷 홈부(7f)가, 개구부(7d)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각 바요넷 홈부(7f)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바요넷 홈부(7f)는, 각 안내 오목부(7e)로부터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일방의 바요넷 홈부(7f)는, 하방의 안내 오목부(7e)로부터 상방의 안내 오목부(7e)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7b)을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일방의 바요넷 홈부(7f)는, 하방의 안내 오목부(7e)로부터, 시계 방향의 둘레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일방의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7h)는, 상방의 안내 오목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타방의 바요넷 홈부(7f)의 구성은, 상기의 일방의 바요넷 홈부(7f)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다. 타방의 바요넷 홈부(7f)는, 상방의 안내 오목부(7e)로부터, 하방의 안내 오목부(7e)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세하게는,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7b)을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 타방의 바요넷 홈부(7f)는, 상방의 안내 오목부(7e)로부터, 시계 방향의 둘레 방향을 향하여 연장된다. 타방의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7h)는, 하방의 안내 오목부(7e)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복수의 바요넷 홈부(7f) 각각의 선단부(7h)에는, 바요넷 볼록부(19d)가 당접(當接) 가능하다. 이것에 의하여, 회동 부재(19)가 둘레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오목부(7g)는, 스풀 지지부(17)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 결정 오목부(7g)는, 개구부(7d)의 내주면에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적어도 1개(예를 들어 1개)의 위치 결정 오목부(7g)가, 개구부(7d)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위치 결정 오목부(7g)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이다. 위치 결정 오목부(7g)는, 일방의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7h), 및 상방의 안내 오목부의 둘레 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부(7i)는, 프레임(7)의 제2 측판(7b)에 설치된다. 단차부(7i)는, 개구부(7d)의 경방향 외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단차부(7i)는, 개구부(7d)의 경방향 외측에 있어서, 줄 방출 방향과는 반대 측 예를 들어 제2 측판(7b)의 후방에 설치된다. 도 2a 및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차부(7i)는, 후술하는 회동 부재(19)가 취부 자세인 경우에,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조작부(19b1)에 대향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부(7c)는, 제1 측판(7a)과 제2 측판(7b)을 연결한다. 복수의 연결부(7c)는,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의 전부, 후부, 및 하부에 있어서, 제1 측판(7a) 및 제2 측판(7b)을 서로 연결한다. 하부의 연결부에는, 낚싯대 장착용의 장대 장착 다리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 커버(8a)는, 핸들(2) 측의 프레임(7)을 덮는다. 상세하게는, 측 커버(8a)는, 제1 측판(7a)에 장착되고, 제1 측판(7a)을 덮는다. 측 커버(8a)는,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을 통하여, 스풀 축(14)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풀 지지 구조의 구성>
스풀 지지 구조(15)는, 스풀 축(14)을 지지한다(도 6a 및 도 6b를 참조). 상세하게는, 스풀 지지 구조(15)는, 스풀 축(14)의 타단(他端) 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 구조(15)는, 릴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에서는, 스풀 지지 구조(15)는, 핸들(2)과는 반대 측의 프레임(7)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도 1, 도 3a,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 구조(15)는, 제2 측판(7b)의 개구부(7d)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측판(7b)의 개구부(7d)를 덮는다.
도 4,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 구조(15)는, 스풀 지지부(17)와 회동 부재(19)를 가진다.
(스풀 지지부)
도 1, 도 4,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부(17)는, 회동 부재(19)를 통하여, 릴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 지지부(17)는, 스풀 축심(CA) 및 회동 부재(19)의 경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부(17)는, 스풀 축(14)의 타단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풀 지지부(17)는, 릴 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 지지부(17)는, 회동 부재(19)를 회전 가능하게 보지(保持)한다.
스풀 지지부(17)는, 축 지지부(17a)와 통부(17b)와 원판부(17c)를 가진다. 축 지지부(17a)는, 스풀 축(14)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축 지지부(17a)는, 실질적으로 통상(筒狀)으로 형성된다. 축 지지부(17a)의 중심은, 스풀 축심(CA)과 동심이다.
축 지지부(17a)의 내주부에는, 스풀 축(14)의 타단이 배치된다. 축 지지부(17a)의 내주면과 스풀 축(14)의 타단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베어링(16)이 배치된다. 즉, 축 지지부(17a)는, 베어링(16)을 통하여, 스풀 축(14)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통부(17b)는, 실질적으로 통상으로 형성된다. 통부(17b)는, 경방향에 있어서, 축 지지부(17a)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통부(17b)의 경방향 외측에는, 회동 부재(19)가 배치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17b)는, 구멍부(17d)와 위치 결정 볼록부(17e)(도 4를 참조)를 가진다. 여기에서는, 통부(17b)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구멍부(17d)와, 적어도 1개(예를 들어 1개)의 위치 결정 볼록부(17e)를 가진다.
각 구멍부(17d)는, 빠짐 방지 부재(21)(후술한다)를, 통부(17b)의 내주 측으로부터 회동 부재(19)를 향하여 삽통(揷通)하기 위한 것이다. 각 구멍부(17d)는, 통부(17b)를 경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각 구멍부(17d)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 구멍부(17d)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6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볼록부(17e)는, 릴 본체(1)에 대한 스풀 지지부(17)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 결정 볼록부(17e)는, 통부(17b)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위치 결정 볼록부(17e)는, 통부(17b)의 외주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통부(17b)의 외주부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위치 결정 볼록부(17e)는, 릴 본체(1)(개구부(7d))의 위치 결정 오목부(7g)(도 3a 및 도 3b를 참조)에 배치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부(17c)는, 축 지지부(17a) 및 통부(17b)를 연결한다. 원판부(17c)는, 실질적으로 원판상(圓板狀)으로 형성된다. 원판부(17c)의 내주부에는, 축 지지부(17a)가 일체로 형성된다. 원판부(17c)의 외주부에는, 통부(17b)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부(17c)에는, 조정 다이얼(20)을 조작하기 위한 개구(17g)가 설치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판부(17c)의 내면(內面)에는, 조정 다이얼(20)(도 1 및 도 4를 참조)을 배치하기 위한 환상(環狀) 오목부(17f)가 형성된다. 여기서, 조정 다이얼(20)은, 스풀(10)의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부재이다. 조정 다이얼(20)은, 스풀(10)의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스풀 제동 기구(30)(도 6a 및 도 6b를 참조)를 구성한다. 덧붙여, 스풀 제동 기구(30)의 구성 및 동작 등에 관해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상술(詳述)하지 않는다.
(회동 부재)
회동 부재(19)는,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에 취부하거나,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로부터 떼어내거나 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회동 부재(19)는, 릴 본체(1)에 대하여 스풀 지지부(17)를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9)는, 릴 본체(1) 및 스풀 지지부(17)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회동 부재(19)는, 제2 측판(7b)의 개구부(7d) 및 스풀 지지부(17)의 경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회동 부재(19)의 회동 중심은, 스풀 축심(CA)과 동심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9)는, 취부 자세(제2 자세의 일례; 도 2a를 참조) 및 탈착 자세(제1 자세의 일례; 도 2b를 참조)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릴 본체(1)(예를 들어 프레임(7))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회동 부재(19)는, 취부 자세 및 탈착 자세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프레임(7) 예를 들어 제2 측판(7b)의 개구부(7d)에 계합(係合)한다.
여기서, 취부 자세는,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로부터 떼어냄 불가능한 자세이다. 취부 자세에서는, 회동 부재(19)는,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릴 본체(1)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탈착 자세는,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로부터 떼어냄 가능한 자세이다. 탈착 자세에서는, 회동 부재(19)가, 스풀(10)로부터 멀어지는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릴 본체(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9)는,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9)는, 회동부(19a)와 제1 조작부(19b1)(경방향 외측부의 일례; 돌출부의 일례)와 제2 조작부(19b2)(경방향 외측부의 일례; 대향부의 일례)를 가진다. 회동부(19a)는, 실질적으로 원환상(圓環狀)으로 형성된다. 회동부(19a)는, 스풀 지지부(17)의 외주부, 예를 들어 통부(17b)의 외주면에 배치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부(19a)는, 환상 홈부(19c)와 바요넷 볼록부(19d)를 가진다. 환상 홈부(19c)는, 환상으로 형성된 홈부이다. 환상 홈부(19c)는, 회동부(19a)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환상 홈부(19c)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요넷 볼록부(19d)는, 회동부(19a)의 외주부에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바요넷 볼록부(19d)가, 회동부(19a)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회동부(19a)의 외주부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예를 들어,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18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경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회동 부재(19)가, 릴 본체(1) 예를 들어 제2 측판(7b)의 개구부(7d)에 취부되는 경우,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개구부(7d)의 각 안내 오목부(7e)(도 3a 및 도 3b를 참조)에 배치되고, 스풀(10)에 가까워지는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각 바요넷 홈부(7f)의 위치에 도달하면, 각 바요넷 홈부(7f)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각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7h)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제2 측판(7b)의 개구부(7d)에 위치 결정된다. 이 자세가 취부 자세이다.
회동 부재(19)가, 릴 본체(1) 예를 들어 제2 측판(7b)의 개구부(7d)로부터, 떼어내지는 경우,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각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7h)로부터 각 안내 오목부(7e)를 향하여, 각 바요넷 홈부(7f)를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각 안내 오목부(7e)에 도달한다. 이 자세가 탈착 자세이다. 그리고, 각 바요넷 볼록부(19d)는, 각 안내 오목부(7e)로부터, 스풀(10)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각 바요넷 볼록부(19d)와 제2 측판(7b)의 개구부(7d)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제1 조작부(19b1)는, 회동부(19a)를 릴 본체(1)에 대하여 회동시킬 때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제1 조작부(19b1)는, 회동부(19a)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로부터 떼어낼 때에도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낚시꾼이, 손가락을 제1 조작부(19b1)에 계합시켜, 회전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부(19a)는 회동한다. 또한, 낚시꾼이, 손가락을 제1 조작부(19b1)에 계합시켜, 압압(押壓)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가 떼어내진다.
도 2a, 도 2b,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조작부(19b1)는, 회동부(19a)에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제1 조작부(19b1)는, 회동 부재(19)의 경방향 외측, 예를 들어 회동부(19a)의 경방향 외측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제1 조작부(19b1)는, 회동부(19a)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회동부(19a)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조작부(19b1)는, 개구부(7d)의 외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조작부(19b1)는, 개구부(7d)보다 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조작부(19b1) 및 릴 본체(1)의 외면의 사이에는, 간극 G1, G2가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취부 자세 및 탈착 자세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조작부(19b1) 및 릴 본체(1)의 외면의 사이에는, 간극 G1, G2이 설치된다.
회동 부재(19)가 취부 자세인 경우(도 2a를 참조), 제1 조작부(19b1)는, 릴 본체(1)를 파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회동 부재(19)가 취부 자세인 경우, 축 방향에 있어서 회동 부재(19)를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1 조작부(19b1)는, 경방향에 있어서의 릴 본체(1)의 외면, 예를 들어 경방향에 있어서의 제2 측판(7b)의 외면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 및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조작부(19b1)는, 제1 조작부(19b1)의 선단부가 릴 본체(1)(예를 들어 제2 측판(7b))에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외측의 부분(7j)보다 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제1 조작부(19b1)는, 단차부(7i)의 외주부(7j)보다 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회동 부재(19)가 탈착 자세인 경우(도 2b 및 도 6b를 참조), 제1 조작부(19b1)는, 스풀 축심(CA)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릴 본체(1)보다 외측으로 돌출한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9)가 탈착 자세인 경우, 제1 조작부(19b1)의 선단부는, 스풀 축심(CA)으로부터 멀어지는 경방향에 있어서, 릴 본체(1)의 외면과 간격 D1을 두고 배치된다. 간격 D1은, 경방향에 있어서의 제1 조작부(19b1)의 선단부와 릴 본체(1)와의 거리이다. 이 제1 조작부(19b1)의 선단부와 릴 본체(1)와의 간격 D1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로부터 떼어낼 때에, 제1 조작부(19b1)가 조작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동 부재(19)가 탈착 자세인 경우(도 6b를 참조), 제1 조작부(19b1) 및 릴 본체(1)의 외면의 사이에는, 간극 G2가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이 경우, 릴 본체(1)의 외면에 대향하는 제1 조작부(19b1)의 내면, 및 릴 본체(1)의 외면의 사이에는, 간극 G2가 설치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제2 조작부(19b2)는, 회동부(19a)를 릴 본체(1)에 대하여 회동시킬 때에 이용된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9b2)는, 회동부(19a)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로부터 떼어낼 때에도 이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낚시꾼이, 손가락을 제2 조작부(19b2)에 계합시켜, 회전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부(19a)는 회동한다. 또한, 낚시꾼이, 손가락을 제2 조작부(19b2)에 계합시켜, 압압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가 떼어내진다.
도 2a, 도 2b,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조작부(19b2)는, 회동부(19a)에 설치된다. 여기에서는, 제2 조작부(19b2)는, 회동 부재(19)의 경방향 외측, 예를 들어 회동부(19a)의 경방향 외측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제2 조작부(19b2)는, 회동부(19a)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회동부(19a)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 조작부(19b2)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1 조작부(19b1)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제2 조작부(19b2)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1 조작부(19b1)와 18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2 조작부(19b2)는, 개구부(7d)의 외측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9b2)는, 개구부(7d)보다 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조작부(19b2) 및 릴 본체(1)의 외면의 사이에는, 간극 G3, G4가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취부 자세 및 탈착 자세의 사이에 있어서, 제2 조작부(19b2)의 선단부 및 릴 본체(1)의 외면의 사이에는, 간극 G3, G4가 설치된다.
회동 부재(19)가 취부 자세인 경우(도 2a 및 도 6a를 참조), 제2 조작부(19b2)는, 릴 본체(1)를 파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회동 부재(19)가 취부 자세인 경우, 축 방향에 있어서 회동 부재(19)를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제2 조작부(19b2)는, 경방향에 있어서의 릴 본체(1)의 외면, 예를 들어 경방향에 있어서의 제2 측판(7b)의 외면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조작부(19b2)는, 제2 조작부(19b2)의 선단부가 릴 본체(1)(예를 들어 제2 측판(7b))에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외측의 부분(7k)보다 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제2 조작부(19b2)는, 제2 측판(7b)의 외주부(7k)보다 경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9)가 탈착 자세인 경우, 제2 조작부(19b2)는, 축 방향에 있어서, 릴 본체(1)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회동 부재(19)가 탈착 자세인 경우, 제2 조작부(19b2)의 선단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릴 본체(1)의 외면과 간격 D2를 두고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간격 D2는, 상술한 간극 G4의 축 방향의 간격이다.
상세하게는, 이 경우, 릴 본체(1)의 외면에 대향하는 제2 조작부(19b2)의 내면, 및 릴 본체(1)의 외면의 사이에는, 간격 D2가 설치된다. 이 제2 조작부(19b2)의 선단부와 릴 본체(1)와의 간격 D2에 의하여, 스풀 지지부(17)를 릴 본체(1)로부터 떼어낼 때에, 제2 조작부(19b2)가 조작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회동 부재(19)는, 예를 들어 빠짐 방지 부재(21)를 통하여,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21)의 장착부(21a)가 스풀 지지부(17)의 통부(17b)의 내주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빠짐 방지 부재(21)의 규제부(21b)가, 스풀 지지부(17)의 구멍부(17d)를 통하여 회동 부재(19)의 환상 홈부(19c)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동 부재(19)는,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빠짐 방지되고, 또한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둘레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스풀 지지 구조의 조립>
스풀 지지 구조(15)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할 수 있다. 우선, 회동 부재(19)가, 스풀 지지부(17)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회동 부재(19)의 환상 홈부(19c)가, 경방향에 있어서, 스풀 지지부(17)의 통부(17b)의 각 구멍부(17d)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다음으로, 조정 다이얼(20)이 스풀 지지부(17)의 환상 오목부(17f)에 배치되고, 빠짐 방지 부재(21)가 환상의 덮개 부재(23)를 통하여 스풀 지지부(17)에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빠짐 방지 부재(21) 및 덮개 부재(23)가, 고정 부재 예를 들어 나사 부재(22)에 의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스풀 지지 구조(15)는, 다음과 같이 하여, 릴 본체(1)에 취부된다.
회동 부재(19)를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탈착 자세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하는 회동 부재(19)의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도 3a에 도시하는 릴 본체(1)(개구부(7d))의 각 안내 오목부(7e)에 배치되고, 도 4에 도시하는 스풀 지지부(17)의 위치 결정 볼록부(17e)가, 도 3a에 도시하는 릴 본체(1)(개구부(7d))의 위치 결정 오목부(7g)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풀 지지 구조(15)가 스풀(10) 측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 때에, 스풀 축(14)의 단부(端部)가, 베어링(16)을 통하여, 스풀 지지부(17)의 축 지지부(17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어서,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부재(19)가 회전 방향 R2로 회동되면, 도 4에 도시하는 회동 부재(19)의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도 3a에 도시하는 각 바요넷 홈부(7f)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각 바요넷 볼록부(19d)가 각 바요넷 홈부(7f)의 선단부(7h)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회동 부재(19)의 자세가 탈착 자세(도 2b를 참조)로부터 취부 자세(도 2a를 참조)로 변화하고, 스풀 지지 구조(15)가 릴 본체(1)에 취부된다.
이와 같이 릴 본체(1)에 취부된 스풀 지지 구조(15)는, 상기의 취부 형태와는 반대의 수순(手順)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지지 구조(15)가 릴 본체(1)에서 떼어내진다. 이 때문에, 떼어냄의 수순에 관해서는, 간단하게 설명한다.
회동 부재(19)가, 취부 자세(도 2a를 참조)로부터 탈착 자세(도 2b를 참조)로 변화하도록, 릴 본체(1) 및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회전 방향 R1(도 2a를 참조)로 회동된다.
예를 들어, 회동 부재(19)의 제1 조작부(19b1) 및 제2 조작부(19b2)를 둘레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회동 부재(19)의 자세가, 취부 자세(도 2a를 참조)로부터 탈착 자세(도 2b를 참조)로 변화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간격 D1, D2를 이용하여, 제1 조작부(19b1) 및 제2 조작부(19b2)를, 스풀(10)로부터 멀어지는 축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지지 구조(15)가 릴 본체(1)로부터 떼어내진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동 부재(19)가 탈착 자세인 경우에, 제1 조작부(19b1)가 릴 본체(1)로부터 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제2 조작부(19b2)를 제1 조작부(19b1)와 마찬가지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동 부재(19)가 탈착 자세인 경우에, 제1 조작부(19b1)가 릴 본체(1)로부터 경방향으로 돌출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제1 조작부(19b1)를 제2 조작부(19b2)와 마찬가지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10)이 스풀 축(14)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스풀(10)이 스풀 축(1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회동 부재(19)의 회동 중심이 스풀 축심(CA)과 동심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회동 부재(19)의 회동 중심은, 스풀 축심(CA)으로부터 오프셋하여 있어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21)를 이용하여, 회동 부재(19)가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지만, 회동 부재(19)가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으면, 회동 부재(19)는 스풀 지지부(17)에 대하여 어떻게 계합시켜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f)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정 다이얼(20)이 스풀 지지 구조(15)에 장착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이것에 대신하여, 조정 다이얼(20) 예를 들어 스풀 제동 기구(30)를 가지고 있지 않는 양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100: 양 베어링 릴
1: 릴 본체
7: 프레임
7d: 개구부
10: 스풀
14: 스풀 축
17: 스풀 지지부
19: 회동 부재
19b1: 제1 조작부
19b2: 제2 조작부
CA: 스풀 축심
D1, D2: 간격
G1 ~ G4: 간극

Claims (9)

  1.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회전 중심에 배치되는 스풀 축과,
    상기 스풀 축의 일단(一端) 측을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풀 지지부와,
    상기 스풀 지지부가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스풀 지지부를 연결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스풀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떼어냄 가능한 제1 자세 및 상기 스풀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떼어냄 불가능한 제2 자세의 사이에서 회동(回動)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회동 부재의 경(徑)방향 외측부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경방향 및 상기 회전 중심을 따르는 제1 축 방향의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2 자세에서는, 상기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를 외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상기 경방향 외측부는, 상기 제1 경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의 외면(外面)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제1 자세인 경우, 상기 스풀 지지부를 상기 본체부로부터 떼어내기 위하여, 상기 경방향 외측부가 상기 간격에 의하여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제2 자세인 경우, 상기 본체부를 파지(把持) 가능하도록 상기 경방향 외측부가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세에서는,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스풀로부터 멀어지는 상기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자세에서는,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양 베어링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동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개구부(開口部)를 가지고,
    상기 경방향 외측부는,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방향 외측부는,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제1 자세인 경우에 회동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 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先端部)는, 상기 제2 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면의 사이에는, 간극(間隙)이 설치되는,
    양 베어링 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제2 자세인 경우에 상기 제1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대향하는 단차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방향 외측부는,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제1 자세인 경우에 회동 중심을 따르는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부를 가지고,
    상기 대향부의 외주부는, 상기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방향 외측부는,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제1 자세인 경우에 회동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 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제1 자세인 경우에 상기 회동 중심을 따르는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는, 상기 제2 경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대향부의 외주부는, 상기 제2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KR1020180098804A 2017-11-10 2018-08-23 양 베어링 릴 KR102633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17785A JP7094690B2 (ja) 2017-11-10 2017-11-10 両軸受リール
JPJP-P-2017-217785 2017-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765A true KR20190053765A (ko) 2019-05-20
KR102633701B1 KR102633701B1 (ko) 2024-02-02

Family

ID=6643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804A KR102633701B1 (ko) 2017-11-10 2018-08-23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88303B2 (ko)
JP (1) JP7094690B2 (ko)
KR (1) KR102633701B1 (ko)
CN (1) CN110012878B (ko)
MY (1) MY195153A (ko)
TW (1) TWI7851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191B1 (ko) * 2018-03-02 2019-06-28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팜측 제1 사이드커버 개폐용 락 레버를 구비한 낚시 릴
JP1653953S (ko) * 2019-10-25 2020-03-02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3033A (ja) 1987-04-20 1988-10-3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H0281172U (ko) * 1988-12-09 1990-06-22
JPH0620388A (ja) 1992-07-06 1994-01-28 Sharp Corp ディジタル情報再生装置
JPH0810289A (ja) 1994-07-04 1996-01-16 Mitsubishi Steel Mfg Co Ltd 床ずれ予防用マットレス
JPH0838011A (ja) * 1994-07-27 1996-02-13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ル
KR980007973A (ko) * 1996-07-12 1998-04-30 진 클리포드 더블유. 착탈가능한 사이드커버어셈블리를 가진 낚시릴
US6032894A (en) * 1998-05-14 2000-03-07 Johnson Worldwide Assoicates, Inc. Cartridge spool system for bait cast fishing reel
JP2012139160A (ja) * 2010-12-28 2012-07-26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US10056927B2 (en) * 2016-06-06 2018-08-21 Airbus Ds Sl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by a receiver disrupted by a transmitt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279Y2 (ja) 1989-08-10 1996-03-2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US5429318A (en) * 1991-10-04 1995-07-04 Shimano Inc. Baitcasting reel having a locking device disposed laterally of a reel body
JP2001037382A (ja) * 1999-06-24 2001-02-13 Shin A Sports Co Ltd フライ釣り用リール
KR100320405B1 (ko) * 1999-09-02 2002-01-15 현광호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사이드카바 착탈구조
US6206312B1 (en) * 2000-06-22 2001-03-27 Shin A Sports Co., Ltd. Fly fishing reel with detachable spool shaft supporting plate
JP3961757B2 (ja) * 2000-09-29 2007-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部品支持構造
JP2003319742A (ja) * 2002-05-07 2003-11-1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回転支持構造
JP3977730B2 (ja) * 2002-12-03 2007-09-1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部品
US7150423B2 (en) * 2003-09-12 2006-12-19 Shimano Inc. Reel unit for a dual bearing reel
JP5124435B2 (ja) * 2008-12-16 2013-01-23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805516B2 (ja) * 2011-12-21 2015-11-0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203528856U (zh) * 2013-11-04 2014-04-09 台州市新大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旋转锁定装置的钢筋捆扎机
US9832983B2 (en) * 2014-07-16 2017-12-05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3033A (ja) 1987-04-20 1988-10-3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H0281172U (ko) * 1988-12-09 1990-06-22
JPH0620388A (ja) 1992-07-06 1994-01-28 Sharp Corp ディジタル情報再生装置
JPH0810289A (ja) 1994-07-04 1996-01-16 Mitsubishi Steel Mfg Co Ltd 床ずれ予防用マットレス
JPH0838011A (ja) * 1994-07-27 1996-02-13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ル
KR980007973A (ko) * 1996-07-12 1998-04-30 진 클리포드 더블유. 착탈가능한 사이드커버어셈블리를 가진 낚시릴
US6032894A (en) * 1998-05-14 2000-03-07 Johnson Worldwide Assoicates, Inc. Cartridge spool system for bait cast fishing reel
JP2012139160A (ja) * 2010-12-28 2012-07-26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5775298B2 (ja) 2010-12-28 2015-09-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10056927B2 (en) * 2016-06-06 2018-08-21 Airbus Ds Sl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by a receiver disrupted by a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88303B2 (en) 2020-03-17
CN110012878A (zh) 2019-07-16
MY195153A (en) 2023-01-11
JP7094690B2 (ja) 2022-07-04
TWI785109B (zh) 2022-12-01
CN110012878B (zh) 2022-10-11
JP2019088197A (ja) 2019-06-13
TW201922091A (zh) 2019-06-16
US20190141972A1 (en) 2019-05-16
KR102633701B1 (ko)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7559B1 (en) Centrifuga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KR101217155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KR101614817B1 (ko) 듀얼 베어링 릴
US8985492B2 (en) Dual-bearing reel spool brake device and dual-bearing reel
JP6177550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KR20140112422A (ko) 양 베어링 릴
KR20190053765A (ko) 양 베어링 릴
KR20170101098A (ko) 양 베어링 릴
JP2014176360A5 (ko)
EP2749165A1 (en) Dual-bearing reel
EP1234500B1 (en) Spinning reel spool
KR20140133414A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JP2014217341A5 (ko)
KR102491582B1 (ko) 듀얼 베어링 릴
JP2019088197A5 (ko)
KR100638864B1 (ko) 양베어링릴의 원심제동장치
JP5270507B2 (ja)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KR20180133199A (ko) 낚시용 릴
KR20150000817A (ko) 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양 베어링 릴
US10477846B2 (en) Spool for fishing reel
KR20130110006A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KR20190053767A (ko) 양 베어링 릴
JP2005323586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3747430B2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JP2019004865A (ja) 両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