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098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098A
KR20170101098A KR1020160164124A KR20160164124A KR20170101098A KR 20170101098 A KR20170101098 A KR 20170101098A KR 1020160164124 A KR1020160164124 A KR 1020160164124A KR 20160164124 A KR20160164124 A KR 20160164124A KR 20170101098 A KR20170101098 A KR 20170101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rating lever
outer ring
spool shaft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니오 타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7010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7Centrifug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6Line tension responsive actu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88Axially engag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Abstract

[과제] 조작 레버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실 엉킴 등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조작 레버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스풀과, 스풀축과, 원웨이 클러치(5)와, 조작 레버(6)를 구비한다. 원웨이 클러치(5)는, 스풀축에 취부(取付)된다. 원웨이 클러치(5)는, 외륜(外輪) 및 전동체를 가진다. 외륜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전동체는, 스풀축(4)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외륜에 전달한다. 조작 레버(6)는, 릴 본체(2)에 취부되어 있다. 조작 레버(6)는, 편평상(扁平狀)이며, 경(徑)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 BEARING FISH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양 베어링 릴은, 일반적으로, 캐스팅 컨트롤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스풀축에 마찰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기구이다. 이것에 의하여, 줄 방출 시의 스풀축의 회전 속도를 억제하고,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한다. 또한, 배 낚시 등에서, 채비를 낙하시킬 때에, 채비의 해중(海中)에서의 낙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도,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이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양 베어링 릴은, 캐스팅 컨트롤 기구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 레버가 릴 본체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취부(取付)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를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하고, 채비의 낙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75861호
상술한 바와 같은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조작 레버를 이용하여 적절한 제동력으로 조정한 경우, 낚시꾼에게 있어서 조작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조작 레버가 연장된 상태로 되어 버리는 일이 있다. 예를 들어, 조작 레버가 낚싯대 장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된 경우, 낚시꾼이 조작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낚싯줄이 조작 레버에 걸려 엉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작 레버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줄 엉킴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조작 레버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스풀과, 스풀축과, 원웨이 클러치와,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축은, 스풀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원웨이 클러치는, 외륜(外輪) 및 전동체를 가진다. 외륜은,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전동체는, 스풀축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외륜에 전달한다. 원웨이 클러치는, 스풀축에 취부된다. 조작 레버는, 릴 본체에 취부되어 있다. 조작 레버는, 경(徑)방향으로 연장되는 것과 함께 편평상(扁平狀)이다. 조작 레버는, 외륜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풀축이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풀축의 회전이 전동체를 통하여 외륜에 전달된다. 즉, 스풀축과 외륜이 연동하여 회전한다. 외륜은 조작 레버에 의하여 제동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축도 제동된다. 이 결과, 줄 방출 시의 스풀축의 회전 속도가 억제되고, 백래시가 방지된다. 한편, 스풀축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풀축의 회전은 외륜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스풀축과 외륜과는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스풀축은 제동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줄 감기 시에 있어서 스풀축에 회전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스풀축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 외륜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레버는,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밍(palming)하면서 조작 레버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조작 레버가 편평상이기 때문에, 조작 레버의 조작성이 향상하고, 또한, 조작 레버에 낚싯줄이 엉키기 어렵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제1 연재부(延在部), 제2 연재부, 및 연결부를 가진다. 제1 및 제2 연재부는, 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1 및 제2 연재부는,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연결부는, 제1 및 제2 연재부의 각 선단부(先端部)끼리를 연결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스풀과, 스풀축과, 원웨이 클러치와,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축은, 스풀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원웨이 클러치는, 외륜 및 전동체를 가진다. 외륜은,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전동체는, 스풀축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외륜에 전달한다. 원웨이 클러치는, 스풀축에 취부된다. 조작 레버는, 릴 본체에 취부된다. 조작 레버는, 외륜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조작 레버는, 제1 연재부, 제2 연재부, 및 연결부를 가진다. 제1 및 제2 연재부는, 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및 제2 연재부는,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연결부는, 제1 및 제2 연재부의 각 선단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것과 같은 이유에서, 줄 방출 시의 스풀축의 회전 속도가 억제되고, 백래시가 방지된다. 또한, 줄 감기 시에 있어서 스풀축에 회전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스풀축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 외륜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레버는,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밍하면서 조작 레버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조작 레버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연재부를 가지기 때문에, 조작 레버의 조작성이 향상하고, 또한, 이 조작 레버에 낚싯줄이 엉키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의 경방향 외측 단부는, 상기 릴 본체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 조작 레버의 오목한 부분에 손가락을 대어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의 경방향 외측 가장자리는,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오목한 부분에 손가락을 대어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의 선단 측의 각부(角部)는, 모따기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에 낚싯줄이 걸렸다고 하여도, 낚싯줄이 조작 레버로부터 부드럽게 빠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의 선단부는, 조작 레버의 기단부에 대하여, 릴 본체 측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에 낚싯줄이 걸렸다고 하여도, 낚싯줄이 조작 레버로부터 부드럽게 빠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개구부(開口部)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를 경량화할 수 있다.
조작 레버는, 릴 본체 측으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 오목부에 손가락을 대어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경방향 외측의 단부가 경방향 내측의 단부보다도 폭이 작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에 낚싯줄이 걸렸다고 하여도, 낚싯줄이 조작 레버로부터 부드럽게 빠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원통부와, 레버부를 가진다. 원통부는, 릴 본체에 나합(螺合)하고, 회전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레버부는, 원통부로부터 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부의 폭 방향의 일방(一方)의 단연(端緣)은, 원통부와의 접점으로부터 연장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원통부와 레버부와의 사이의 단차가 없어지고, 낚싯줄이 레버부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바람직하게는, 레버부는, 원통부의 직경(直徑)과 같은 치수의 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의 요동에 의하여, 제동력이 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조작 레버는, 릴 본체에 나합하고, 축 방향에 있어서 외륜을 압압(押壓)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동체는, 스풀축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과 외륜의 회전을 연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조작성이 향상하는 것과 함께, 실 엉킴의 발생이 저감한다.
도 1은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3은 양 베어링 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양 베어링 릴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조작 레버의 정면도.
도 6은 조작 레버의 측면도.
도 7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조작 레버의 정면도.
도 8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조작 레버의 정면도.
도 9는 변형예에 관련되는 조작 레버의 정면도.
도 10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조작 레버의 정면도.
도 11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조작 레버의 정면도.
도 12는 변형예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덧붙여, 축 방향이란, 스풀축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경방향이란 스풀축을 중심으로 한 원의 경방향을 의미하고, 둘레 방향이란 스풀축을 중심으로 한 원의 둘레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폭 방향이란, 조작 릴의 폭 방향을 의미한다.
[양 베어링 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2), 스풀(3), 스풀축(4), 원웨이 클러치(5), 및 조작 레버(6)를 구비하고 있다. 양 베어링 릴(100)은, 제1 마찰 플레이트(7), 압박 부재(8), 및 핸들(9)을 더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2)는,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축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는, 복수의 연결부(2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릴 본체부(21)는, 제1 측판(21a) 및 제1 커버(21b)를 가지고 있다. 제1 릴 본체부(2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수용 공간 내에, 회전 전달 기구(11) 등이 수용되어 있다. 제2 릴 본체부(22)는, 제2 측판(22a) 및 제2 커버(22b)를 가지고 있다. 제1 측판(21a)과 제2 측판(22a)은, 연결부(2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제1 측판(21a)과 제2 측판(22a)과 연결부(2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릴 본체(2)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릴 본체부(21)는, 돌출부(24)를 더 가진다. 돌출부(24)는, 원통상이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24)는, 제1 커버(21b)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조작 레버(6)가, 이 돌출부(24)에 취부된다. 상세하게는, 돌출부(24)의 외주면(外周面)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6)가, 돌출부(24)에 나합한다. 돌출부(24)는, 제1 릴 본체부(21)의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連通)하고 있다. 이 돌출부(24) 내에 있어서, 스풀축(4)의 일방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3)은,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풀(3)은, 대략 원통상이며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3)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스풀(3)은, 스풀축(4)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
스풀축(4)은, 스풀(3)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스풀축(4)은, 제1 릴 본체부(21)와 제2 릴 본체부(2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덧붙여, 스풀축(4)은,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12a, 12b)를 통하여, 제1 릴 본체부(21) 및 제2 릴 본체부(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5)는, 스풀축(4)에 취부된다. 원웨이 클러치(5)는, 외륜(51), 및 복수의 전동체(52)를 가지고 있다. 외륜(51)은, 릴 본체(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외륜(51)은, 돌출부(2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외륜(51)은, 돌출부(24)의 내주면(內周面)과 간극(間隙)을 두고 배치된다.
외륜(51)은,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마찰 플레이트(7)와 제2 마찰 플레이트(13)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7, 13)에 의하여, 외륜(51)의 회전이 제동된다.
전동체(52)는, 스풀축(4)과 외륜(51)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동체(52)는, 스풀축(4)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외륜(51)에 전달한다. 한편, 전동체(52)는, 스풀축(4)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을 외륜(51)에 전달하지 않는다.
[조작 레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는, 릴 본체(2)에 취부되어 있다. 조작 레버(6)는, 편평상이며,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작 레버(6)의 선단 측의 양 각부는, 모따기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6)의 선단 측의 양 각부는, R 모따기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C 모따기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조작 레버(6)는, 릴 본체(2)의 돌출부(24)에 나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6)는, 릴 본체(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다. 조작 레버(6)가 요동하면, 조작 레버(6)는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조작 레버(6)는, 외륜(51)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조작 레버(6)를 요동시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외륜(51)을 압압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륜(51)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는, 원통부(61)와 레버부(62)를 가지고 있다. 조작 레버(6)의 길이 L은, 예를 들어, 20 ~ 40mm 정도이다. 덧붙여, 조작 레버(6)의 길이 L이란, 경방향에 있어서의 스풀축(4)의 회전축으로부터의 길이이다. 또한, 조작 레버(6)의 길이 방향은 경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어 있고, 조작 레버(6)의 폭 방향은 조작 레버(6)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있다.
원통부(61)는,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61)는, 돌출부(24)에 나합한다. 이 때문에, 원통부(61)는,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원통부(61)의 외경(外徑)은, 예를 들어, 15 ~ 25mm 정도이다.
레버부(62)는, 원통부(61)로부터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레버부(62)의 폭 W는, 예를 들어 15 ~ 25mm 정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레버부(62)의 폭 W는, 원통부(61)의 직경과, 대략 같다고 하고 있다. 즉, 폭 방향에 있어서의 레버부(62)의 양 단연은, 원통부(61)와의 접점으로부터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축 방향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레버부(62)와 원통부(61)와의 사이에서 단차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레버부(62)는, 제1 연재부(621)와 제2 연재부(622)와 연결부(623)를 가지고 있다. 제1 연재부(621)와 제2 연재부(622)는,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연재부(621) 및 제2 연재부(622)는,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연재부(621) 및 제2 연재부(622)는, 릴 본체(2)의 형상을 따르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재부(621) 및 제2 연재부(622)는, 각각, 경방향의 중앙부에 단차부(624)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연재부(621) 및 제2 연재부(622)의 선단부는, 기단부에 대하여, 릴 본체(2) 측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1 연재부(621) 및 제2 연재부(622)의 기단부는, 원통부 측의 단부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623)는, 제1 연재부(621)의 선단부와 제2 연재부(622)의 선단부를 연결한다. 연결부(623)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623)는, 제1 연재부(621) 및 제2 연재부(62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61)의 내주면과 돌출부(2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실(seal) 부재(63)가 배치되어 있다. 이 실 부재(63)에 의하여, 릴 본체(2)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 부재(63)에 의하여, 조작 레버(6)가 낚시꾼의 뜻에 반(反)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조작 레버(6)에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원웨이 클러치(5)의 외륜(51)과 조작 레버(6)와의 사이에 제1 마찰 플레이트(7)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마찰 플레이트(7)는, 환상(環狀)의 플레이트이며, 외륜(51)과 접촉하고 있다. 덧붙여, 제1 마찰 플레이트(7)는, 외륜(51)과 접촉하는 한편, 전동체(52)와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제1 마찰 플레이트(7)는, 예를 들어, 카본 클로스제이다. 조작 레버(6)는, 제1 마찰 플레이트(7)를 통하여 외륜(51)을 축 방향으로 압압하고 있다.
[압박 부재]
압박 부재(8)는, 원웨이 클러치(5)의 외륜(51)을 조작 레버(6)를 향하여 압박한다. 즉, 압박 부재(8)는, 외륜(51)이 제1 마찰 플레이트(7)로부터 멀어지지 않도록 외륜(51)을 압박하고 있다. 덧붙여, 압박 부재(8)는, 제2 마찰 플레이트(13)를 통하여 외륜(51)을 압박하고 있다. 제2 마찰 플레이트(13)는, 환상이며, 원웨이 클러치(5)의 외륜(51)과 접촉하고 있다. 덧붙여, 제2 마찰 플레이트(13)는, 전동체(52)와 접촉하고 있지 않다.
압박 부재(8)는, 축 방향에 있어서, 원웨이 클러치(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박 부재(8)는, 제1 베어링 부재(12a)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제1 베어링 부재(12a)는, 돌출부(24)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241)에 의하여, 원웨이 클러치(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압박 부재(8)는, 예를 들어 접시 용수철이다. 압박 부재(8)의 외주부가 제2 마찰 플레이트(13)를 통하여 원웨이 클러치(5)의 외륜(51)을 압박한다. 또한, 압박 부재(8)의 내주부가 제1 베어링 부재(12a)의 내륜에 지지되어 있다.
축 방향에 있어서, 스풀축(4)의 일방의 단면(4a)과 조작 레버(6)의 원통부(61)의 저면(底面)(61a)과의 거리 L1은, 압축하고 있지 않는 상태와 최대 압축한 상태와의 사이의 압박 부재(8)의 신축량 L2보다도 크다(L1>L2). 이것에 의하여, 압박 부재(8)가 완전히 압축하여도, 스풀축(4)의 단면(4a)이 원통부(61)의 저면(61a)에 접촉하지 않는다.
[핸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9)은, 스풀축(4)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이며, 제1 릴 본체부(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9)이 회전하면, 회전 전달 기구(11)를 통하여 스풀축(4)을 회전시킨다.
[회전 전달 기구]
회전 전달 기구(11)는, 핸들(9)의 회전을 스풀축(4)에 전달하는 기구이다. 회전 전달 기구(11)는, 구동축(11a), 구동 기어(11b), 피니언 기어(11c), 및 클러치 기구(11d)를 가진다. 구동축(11a)은, 핸들(9)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구동 기어(11b)는, 구동축(11a)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1c)는, 구동 기어(11b)와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11c)는 통상(筒狀)이며, 스풀축(4)이 피니언 기어(11c) 내를 관통하고 있다.
클러치 기구(11d)는,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을 스풀축(4)에 전달하거나, 차단하거나 한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기구(11d)는, 계합 핀(11e)과 계합 오목부(11f)에 의하여 구성된다. 계합 핀(11e)은, 스풀축(4)을 경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계합 오목부(11f)는, 피니언 기어(11c)의 일방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이다. 계합 핀(11e)이 계합 오목부(11f)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이 스풀축(4)에 전달된다. 한편, 피니언 기어(11c)가 계합 핀(11e)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계합 핀(11e)과 계합 오목부(11f)와의 계합이 해제되면, 피니언 기어(11c)의 회전이 스풀축(4)에 전달되지 않는다.
[동작]
다음으로, 양 베어링 릴(10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낚싯줄을 스풀(3)로부터 방출하는 캐스팅 시에는, 스풀축(4)은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스풀축(4)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은, 원웨이 클러치(5)의 전동체(52)를 통하여 외륜(51)에 전달되고, 외륜(51)이 회전한다. 외륜(51)은, 제1 마찰 플레이트(7)를 통하여, 조작 레버(6)에 의하여 압압되어 있다. 즉, 외륜(51)은 조작 레버(6)에 의하여 제동되어 있기 때문에, 외륜(51)의 회전 속도가 억제된다. 외륜(51)과 스풀축(4)과는 연동하여 있기 때문에, 줄 방출 시의 스풀축(4)의 회전 속도도 억제되고, 백래시가 방지된다.
또한, 조작 레버(6)를 요동시키면, 조작 레버(6)는 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외륜(51)에 대한 조작 레버(6)의 압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작 레버(6)를 요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스풀축(4)에 대한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낚싯줄을 감을 때, 스풀축(4)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전동체(52)는, 이 스풀축(4)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을 외륜(51)에 전달하지 않는다. 즉, 스풀축(4)과 외륜(51)과는 연동하지 않고, 조작 레버(6)에 의한 제동력이 스풀축(4)에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줄 감기 시에는, 조작 레버(6)에 의한 회전 저항이 스풀축(4)에 생기지 않고, 스풀축(4)은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의 연결부(623)는, 릴 본체(2) 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엄지손가락이 연결부(623)에 피트(fit)하고, 이 결과, 조작 레버(6)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6)의 연결부(623)의 경방향 외측 가장자리가, 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레버부(62)가, 제1 연재부(621), 제2 연재부(622), 및 연결부(623)를 가지고 있었지만, 레버부(62)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부(62)는, 한 매의 편평상의 판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경량화 등의 관점으로부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부(62)의 중앙에 적어도 1개의 개구부(64)가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레버부(62)는, 개구부(64) 대신에 릴 본체(2) 측으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를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부(62)는, 경방향 외측의 단부가, 경방향 내측의 단부보다도 폭이 작은 것과 같은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레버부(62)는, 폭 방향에 있어서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것과 같은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5)는, 내륜(53)을 더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내륜(53)은, 스풀축(4)에 취부되어 있다. 전동체(52)는, 외륜(51)과 내륜(53)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압박 부재(8)는, 제1 베어링 부재(12a)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었지만, 특별히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압박 부재(8)는, 돌출부(24)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웨이 클러치(5)는, 제1 릴 본체부(21) 내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2 릴 본체부(22) 내에 원웨이 클러치(5)가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조작 레버(6)도 제2 릴 본체부(22)에 요동 가능하게 취부된다. 덧붙여, 조작 레버(6)는, 제2 릴 본체부(22) 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조작 레버(6)의 일부가, 제2 릴 본체부(22)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된다.
2: 릴 본체
3: 스풀
4: 스풀축
5: 원웨이 클러치
51: 외륜
52: 전동체
6: 조작 레버
61: 원통부
62: 레버부
621: 제1 연재부
622: 제2 연재부
623: 연결부
100: 양 베어링 릴

Claims (16)

  1.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스풀과,
    상기 스풀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스풀축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외륜(外輪), 및 상기 스풀축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상기 외륜에 전달하는 전동체,를 가지고, 상기 스풀축에 취부(取付)되는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릴 본체에 취부되고, 경(徑)방향으로 연장되는 것과 함께 편평상(扁平狀)이고, 상기 외륜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레버
    를 구비하는,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경방향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연재부(延在部)와,
    상기 제1 및 제2 연재부의 각 선단부(先端部)끼리를 연결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3.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스풀과,
    상기 스풀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스풀축과,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외륜, 및 상기 스풀축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상기 외륜에 전달하는 전동체,를 가지고, 상기 스풀축에 취부되는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릴 본체에 취부되고, 상기 외륜의 회전을 제동하는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레버
    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는,
    경방향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 연재부와,
    상기 제1 및 제2 연재부의 각 선단부끼리를 연결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경방향 외측(外側) 단부는, 상기 릴 본체 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경방향 외측 가장자리는, 경방향 내측(內側)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선단 측의 각부(角部)는, 모따기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선단부는, 상기 조작 레버의 기단부에 대하여, 상기 릴 본체 측에 배치되는,
    양 베어링 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개구부(開口部)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릴 본체 측으로 오목하게 되는 오목부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경방향 외측의 단부가 경방향 내측의 단부보다도 폭이 작은,
    양 베어링 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릴 본체에 나합(螺合)하고, 회전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상기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레버부
    를 가지는,
    양 베어링 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의 폭 방향의 일방(一方)의 단연(端緣)은, 상기 원통부와의 접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양 베어링 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원통부의 직경(直徑)과 같은 치수의 폭을 가지는,
    양 베어링 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릴 본체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고,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에 의하여, 상기 제동력이 조정되는,
    양 베어링 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릴 본체에 나합하고,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외륜을 압압(押壓)하는,
    양 베어링 릴.
  1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는, 상기 스풀축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과 상기 외륜의 회전을 연동시키는, 양 베어링 릴.
KR1020160164124A 2016-02-26 2016-12-05 양 베어링 릴 KR20170101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6391 2016-02-26
JP2016036391A JP6649801B2 (ja) 2016-02-26 2016-02-26 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098A true KR20170101098A (ko) 2017-09-05

Family

ID=5967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124A KR20170101098A (ko) 2016-02-26 2016-12-05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01084B2 (ko)
JP (1) JP6649801B2 (ko)
KR (1) KR20170101098A (ko)
CN (1) CN107125219B (ko)
MY (1) MY183389A (ko)
TW (1) TWI6964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2081B2 (ja) * 2016-09-08 2022-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86344B2 (ja) * 2017-05-17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10602730B2 (en) * 2017-06-23 2020-03-31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7008454B2 (ja) * 2017-09-28 2022-0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262167B2 (ja) * 2017-11-22 2023-04-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100979B2 (ja) * 2018-01-11 2022-07-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10993426B2 (en) * 2018-07-06 2021-05-04 Accurate Grinding And Mfg. Corp. Dba Accurate Fishing Products Twinstardrag fishing reel
JP7122897B2 (ja) * 2018-07-19 2022-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7227781B2 (ja) * 2019-02-08 2023-02-2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5986A (en) * 1994-09-08 1999-03-02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of double bearing type having improved fishline releasing characteristic
JP3210552B2 (ja) * 1995-06-07 2001-09-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ル
JPH09275861A (ja) 1996-04-19 1997-10-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H10174540A (ja) * 1996-12-18 1998-06-30 Mamiya Op Co Ltd 両軸受リール
US6053444A (en) * 1997-03-18 2000-04-25 Diawa Seiko, Inc. Fishline guide device for double bearing type reel
US5988547A (en) * 1997-11-26 1999-11-23 Koelewyn; Robert W. Adjustable drag system for fishing spool with clutch members between spool-supporting bearings
JP2000157120A (ja) * 1998-11-27 2000-06-1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機構
JP2000262194A (ja) * 1999-03-19 2000-09-26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US6530535B2 (en) * 2000-03-16 2003-03-11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US6568516B2 (en) * 2000-08-03 2003-05-27 U.S. Reel - Missouri, L.L.C. Switchable clutch
JP4011400B2 (ja) * 2002-05-17 2007-11-2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3339283A (ja) * 2002-05-30 2003-12-02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ル
KR101114296B1 (ko) * 2003-12-04 2012-03-0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 정보 표시 장치
US7334749B2 (en) * 2004-04-14 2008-02-26 Daiwa Seiko, Inc. Electric-powered fishing reel
JP2009124942A (ja) * 2007-11-19 2009-06-1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US8807471B2 (en) * 2012-02-03 2014-08-19 Pure Fishing, Inc. IAR drag release
KR101998897B1 (ko) * 2012-05-29 2019-07-10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릴
JP6368525B2 (ja) * 2014-04-16 2018-08-0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6488098B2 (ja) * 2014-10-10 2019-03-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560903B2 (ja) *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649699B2 (ja) * 2015-05-27 2020-02-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25219A (zh) 2017-09-05
CN107125219B (zh) 2021-08-20
TW201729676A (zh) 2017-09-01
JP2017148027A (ja) 2017-08-31
US20170245484A1 (en) 2017-08-31
TWI696420B (zh) 2020-06-21
JP6649801B2 (ja) 2020-02-19
MY183389A (en) 2021-02-18
US9901084B2 (en)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01098A (ko) 양 베어링 릴
KR20160140344A (ko) 양 베어링 릴
JP7142133B2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KR20160140343A (ko) 양 베어링 릴
EP2749165B1 (en) Dual-bearing reel
KR20150146382A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기구
KR20040068020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레벨 와인딩 기구
KR102491582B1 (ko) 듀얼 베어링 릴
CN108967378B (zh) 钓用绕线轮
CN106172291B (zh) 双轴承渔线轮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JP6876159B2 (ja) 両軸受リール
JP6775059B2 (ja) 両軸受リールの操作レバー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KR101380666B1 (ko) 드래그파워 정밀 조절이 가능한 낚시릴
JPH086462Y2 (ja) 両軸受リール
JP2019004865A (ja) 両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