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296B1 - 낚시 정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 정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296B1
KR101114296B1 KR1020040098765A KR20040098765A KR101114296B1 KR 101114296 B1 KR101114296 B1 KR 101114296B1 KR 1020040098765 A KR1020040098765 A KR 1020040098765A KR 20040098765 A KR20040098765 A KR 20040098765A KR 101114296 B1 KR101114296 B1 KR 101114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th data
clutch
display
depth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4443A (ko
Inventor
쿠리야마히로아키
카와베유조
히라야마히로카즈
야마모토카즈히토
노무라마사카즈
후지모토히로야스
후쿠다야스시
하마토히로유키
코바야시코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57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6386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5726A external-priority patent/JP42427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91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01799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50054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6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t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Landscapes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과제] 채비의 위치와 바닥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어탐 모니터는, 스풀로부터 방출된 낚싯줄에 계지된 채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수심 데이터(LX)와, 어군 탐지기로부터 송신되는 낚시터의 바닥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수심 데이터(ED2)를 표시 가능한 장치이며, 케이스와, 모니터 표시부와, 정보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정보 표시부는, 전동 릴로부터 제1 수심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것과 함께 어군 탐지기로부터 제2 수심 데이터(ED2)를 수신하고, 수신한 제1 및 제2 수심 데이터를 모니터 표시부의 수심에 따른 위치에 도형 표시시킨다.
전동 릴, 수심 표시부, 릴 제어부, 어탐 모니터, 정보 통신부

Description

낚시 정보 표시 장치{FISHING DAT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채용된 낚시 정보 표시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릴을 포함하는 낚시 정보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어탐 모니터의 정면도.
도 4는 상기 어탐 모니터의 측면도.
도 5는 상기 어탐 모니터의 배면도.
도 6은 어탐 모니터와 접속 가능한 전동 릴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전동 릴의 평면도.
도 8은 전동 릴의 종단면도.
도 9는 모터 장착 부분의 단면 확대도.
도 10은 카운터의 수심 표시부 주위의 평면 확대도.
도 11은 클러치 온일 때의 핸들측의 측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측면도.
도 12는 클러치 오프일 때의 핸들측의 측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측면도.
도 13은 클러치 온시의 핸들과 역측 측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측면도.
도 14는 제1 클러치 반환 기구를 중심으로 한 분해 사시도.
도 15는 클러치 온일 때의 제1 원웨이 클러치 및 제1 클러치 반환 기구를 중심으로 한 측면 확대도.
도 16은 클러치 오프일 때의 제1 원웨이 클러치 및 제1 클러치 반환 기구를 중심으로 한 측면 확대도.
도 17은 모터 정회전시의 제1 원웨이 클러치 및 제1 클러치 반환 기구를 중심으로 한 측면 확대도.
도 18은 릴 제어부의 메인 루틴의 제어 플로차트.
도 19는 릴 제어부의 키 입력 처리의 제어 플로차트.
도 20은 릴 제어부의 모터 구동 처리의 제어 플로차트.
도 21은 릴 제어부의 각 동작 모드 처리의 제어 플로차트.
도 22는 릴 제어부의 오토 유인 처리의 제어 플로차트.
도 23은 릴 제어부의 유인 처리의 제어 플로차트.
도 24는 릴 제어부의 전원 전압 검지 처리의 제어 플로차트.
도 25는 정보 표시 제어부의 메인 루틴의 제어 플로차트.
도 26는 정보 표시 제어부의 표시 처리의 제어 플로차트.
도 27는 정보 표시 제어부의 키 입력 처리의 제어 플로차트.
도 28은 어탐 모니터의 메뉴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어탐 모니터의 어탐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어탐 모니터의 어탐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제2 실시예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
도 32는 제2 실시예의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도 33은 제2 실시예의 도 18에 상당하는 도면.
도 34는 제2 실시예의 도 26에 상당하는 도면.
도 35는 제2 실시예의 도 27에 상당하는 도면.
도 36은 제2 실시예의 도 28에 상당하는 도면.
도 37은 제2 실시예의 도 30에 상당하는 도면.
도 38은 다른 실시예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250: 전동 릴
98, 298: 수심 표시부
100, 310: 릴 제어부
105, 315: 정보 통신부
120: 어탐 모니터
122: 모니터 표시부
124: 정보 표시 제어부
125: 정보 통신부
본 발명은, 낚시 정보 표시 장치, 특히, 스풀로부터 방출된 낚싯줄에 계지된 채비의 제1 수심 데이터와, 어군 탐지기로부터의 낚시터의 바닥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수심 데이터와, 물고기가 군집하고 있는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수심 정보를 표시 가능한 정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에 있어서, 릴 본체에 카운터라고 불리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수심 표시 장치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수심 표시 장치에 어군 탐지기로부터 수신한 낚시터의 바닥 위치 데이터 (제2 수심 데이터의 일례)를 표시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낚시용 릴에서는, 예를 들어, 스풀의 회전수에 의존하는 줄 길이 데이터에 의하여 채비의 위치 데이터 (제1 수심 데이터의 일례)를 산출하고, 그것과 바닥 위치를 표시하는 것과 함께, 바닥으로부터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파악한 경우의 바닥으로부터의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낚시용 릴에서는, 어군 탐지기로부터의 바닥 위치 데이터에 의하여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파악하여 낚싯줄의 방출을 정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바닥 상황에 따라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파악하거나 바닥 위치의 파악을 행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2003-274823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어군 탐지기로부터의 바닥 위치 데이터를 수심 표시 장치에 수치로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바닥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채비의 위치 데이터나 바닥 위치 데이터가 수치 표시되어 있는 것뿐이기 때문에, 이들의 위치 관계를 순간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게다가 어군이 있는 물고기 서식층 위치는, 릴의 물고기 서식층 메모 스위치를 조작하여 설정된 물고기 서식층 위치이기 때문에, 물고기 서식층 위치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면,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채비의 위치와 바닥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물고기 서식층 위치가 시시각각 변화하여도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 정보 표시 장치는, 스풀로부터 방출된 낚싯줄에 계지된 채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수심 데이터와, 어군 탐지기로부터 송신되는 낚시터의 바닥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수심 데이터를 표시 가능한 장치이고, 케이스와, 제1 접수 수단과, 제2 접수 수단과, 표시부와,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는, 제1 수심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낚시용 릴과 별도로 설치된다. 제1 접수 수단은 케이스에 설치되어, 제1 수심 데이터를 접수하는 수단이다. 제2 접수 수단은 케이스에 설치되어, 제2 수심 데이터를 접수하는 수단이다. 표시부는 케이스에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은 케이스에 설치되어, 접수된 제1 및 제2 수심 데이터를 표시부의 수심에 따른 위치에 도형 표시시키는 수단이다. 어군 탐지기는 물고기가 군집하고 있는 어군의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수심 데이터를 출력 가능하고, 제2 접수 수단은 출력된 제3 수심 데이터를 접수하며,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은 제1 및 제2 수심 데이터에 더하여 제3 수심 데이터를 표시부의 수심에 따른 위치에 도형 표시시킨다.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은, 제1, 제2 및 제3 수심 데이터를 표시부에 시계열적으로 도형 표시하는 것과 함께, 제2 및 제3 수심 데이터를 에코 데이터의 화상으로 도형 표시한다.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은, 제1 수심 데이터의 시계열적인 변화의 궤적을 표시부의 수심에 따른 위치에 도형 표시한다.
이 낚시 정보 표시 장치에서는, 채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수심 데이터를 접수하는 것과 함께, 어군 탐지기로부터 낚시터의 바닥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접수하면, 그것들이 표시부의 수심에 따른 위치에 겹쳐서 도형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채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수심 데이터나 바닥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수 심 데이터가 수치가 아니라 도형으로 수심에 따른 위치에 표시되기 때문에, 채비의 위치와 바닥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순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군 탐지기로부터 출력된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수심 데이터도 제1 및 제2 수심 데이터와 함께 수심에 따른 위치에 표시되기 때문에, 물고기 서식층 위치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여도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채비와 물고기 서식층 위치와의 관계가 도형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채비가 정확하게 물고기 서식층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일목요연하게 된다. 나아가, 채비의 위치, 바닥 위치 및 물고기 서식층 위치가 시계열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그들의 변화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또한, 낚시용 릴과 별도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면적의 제한이 완화되어 보다 넓은 면적의 표시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낚시용 릴로부터 따로 놓아두어도 표시되는 수심 데이터를 눈으로 확인하기 쉽게 된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 정보 표시 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은, 제1 및/또는 제2 수심 데이터를 표시부에 수치 표시시킨다. 이 경우에는, 도형에 더하여 수치도 표시되기 때문에, 채비의 위치나 바닥의 위치를 보다 파악하기 쉽게 된다.
삭제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 정보 표시 장치는, 발명 1 또는 발명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보정 개시 신호를 출력 가능한 보정 개시 수단과, 보정 개시 수단이 보정 개시 신호를 출력하였을 때에 제1 및 제2 접수 수단에서 접수한 제1 수심 데이터 및 제2 수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제1 수심 데이터를 보정하여 보정 제1 수심 데이터를 얻은 수심 데이터 보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은, 제1 접수 수단에서 접수한 제1 수심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과 함께, 수심 데이터 보정 수단에 의하여 제1 수심 데이터가 보정되면, 보정 제1 수심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시킨다. 이 경우에는, 조류 등의 영향에 의하여 스풀의 줄 방출량이 실제의 채비의 수심보다 많아져도, 비교적 정확한 수심이 얻어지는 제2 수심 데이터에 의하여 제1 수심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채비의 수심을 얻을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제1 실시예〕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된 낚시 정보 표시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 릴(1)과, 전동 릴(1)과 송수신 가능하게 배치된 어탐 모니터(120, 낚시 정보 표시 장치의 일례)와, 어군 탐지기(140)를 구비하고 있다.
전동 릴(1)과 어탐 모니터(120)는 유선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으로서의 배터리(136)로부터 두 갈래로 분기(分岐)하여 전동 릴(1)과 어탐 모니터(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130)에 삽입된 통신선에 의하여 전동 릴(1)과 어탐 모니터(120) 간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통신선은 전원 코드(130)의 분기 부분을 통하여 전동 릴(1)과 어탐 모니터(120)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모니터(120)는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예를 들어, 특정 소전력 방식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정보를 수신한다. 덧붙여 어탐 모니터(120)는 복수의 어군 탐지기(140)가 주위에 있을 때, 혼신(混信)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 강한 전파만을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어탐 모니터의 구성〕
어탐 모니터(120)는,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얻어진 어장의 바닥의 수심 ( 제2 수심 데이터의 일례)이나 어군의 위치를 나타내는 물고기 서식층 위치 (제3 수심 데이터의 일례)를 에코 표시 가능한 것과 함께, 전동 릴(1)로부터 얻어진 채비의 수심 데이터 (제1 수심 데이터의 일례)를 에코 표시된 바닥의 수심이나 물고기 서식층 위치와 함께 수심에 따른 위치에 도형에 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어탐 모니터(120)는, 물고기 서식층 정지의 온/오프나 물고기 서식층 위치의 설정, 유인 모드의 온/오프나 유인 폭의 설정, 오토 유인의 온/오프, 모터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낚싯줄을 방출하는 줄 보내기 온/오프, 입질 검지의 온/오프 등의 전동 릴(1)에 관한 설정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덧붙여 어탐 모니터(120)는, 전동 릴(1)과 접속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어군 탐지기(140)로부터의 물고기 서식층 위치나 바닥 위치를 표시하는 어군 탐지기(140)의 원격 모니터로서 기능한다.
어탐 모니터(1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21)와, 케이스(121)에 장착된,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니터 표시부(122)와, 케이스(121)로부터 노출하여 모니터 표시부(122)의 우측에 상하로 배치된 5개의 버튼(131 ~ 135)을 포함하는 조작키부(123)를 가지고 있다.
어탐 모니터(120)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브래킷(160, bracket)이 장착되어 있다. 어탐 모니터(120)를 장대 받침(RK)과 함께 뱃전(FB)에 장착하는 경우는, 장착 브래킷(160)을 고정 대좌(170)에 장착한다. 고정 대좌(170)는 장대 받침(RK)의 바이스(180, vice)를 이용하여 뱃전(FB)에 고정된다. 또한 지깅과 같이 장대 받침을 사용하지 않는 낚시를 행하는 경우, 전용의 바이스 ( 도시하지 않음)에 장착 브래킷(160)을 직접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낚싯배에 미리 나사 고정 가능한 대좌가, 예를 들어 배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대좌에 장착 브래킷(160)을 직접 장착할 수 있다.
케이스(12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 변이 둥글게 된 표시부(121a)와, 표시부(121a)의 내측에 설치된 박스부(121b)를 가지고 있다. 박스부(121b)의 양 측면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 구멍(127c)을 가지는 한 쌍의 장착부(127a, 127b)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상하의 장착부(127a, 127b)의 어느 한 쪽에 장착 브래킷(160)이 나사 부재(161, 도 1)에 의하여 장착되고, 장착 브래킷(160)에 어탐 모니터(120)가 장착된다.
박스부(121b)의 배면(背面)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128)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28)에는 상하로 나란한 두 개의 나사식의 콘센트부(129)가 장착되어 있다. 콘센트부(129)에는, 어탐 모니터(120)를 전동 릴(1)과 연동(連動)하여 사용하기 위한 전원 코드(130)가 접속 가능하다. 따라서 콘센트부(129)에는 두 개의 전원 단자(129b)에 더하여 전동 릴(1)과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선이 접속되는 각각 두 개의 통신 단자(129c, 129d)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송신용 및 수신용의 각각 두 개의 통신 단자(129c, 129d) 중 각각 한 개는 접지 단자이다. 또한 각각의 콘센트부(129)에는 전원 코드의 접속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둘레 방향의 위치 결정 돌기(129e)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키부(123)의 화면 전환 버튼(131)은, 모니터 표시부(122)의 표시를 메뉴 표시와 어탐 표시로 전환하는 버튼이다. 커서 버튼(132)은, 어탐 모니터(120)나 전동 릴(1)의 각종 설정을 행하는 메뉴 처리에 있어서 상하 좌우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결정 버튼(133)은, 각종 설정시에 설정된 항목을 결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유인 온/오프 버튼(134)은, 유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사용되는 버튼이다. 온/오프 버튼(135)은, 표시를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이다.
케이스(121)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나 유인을 제어하는 CPU, RAM, ROM, I/O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나 액정 구동 회로로 이루어지는 정보 표시 제어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정보 표시 제어부(124)에는, 어군 탐지기(140) 및 전동 릴(1)과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정보 통신부(125), 조작키부(123)의 5개의 버튼(131 ~ 135), 각종 표시를 행하기 위한 모니터 표시부(122),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126) 및 타 입출력부가 접속되어 있다.
모니터 표시부(122)는, 예를 들어, 세로 320도트, 가로 240도트의 흑백 4계조의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고 있다.
정보 표시 제어부(124)는, 전동 릴(1)로부터 채비의 수심 데이터(LX)가 얻어지면, 그것을 도형으로 모니터 표시부(122)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어장의 바닥 위치의 에코 데이터, 바닥 위치의 수치 데이터 및 물고기 서식층 위치의 에코 데이터를 취득하면, 그것을 모니터 표시부(122)에 전동 릴(1)로부터 송신된 채비의 수심 데이터(LX)와 함께 표시한다. 또한 메뉴 조작에 의하여 전동 릴(1)의 각종 설정, 예를 들어, 유인 모드 (유인 온/오프 버튼(134)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 패턴으로 모터를 온/오프하는 모드)의 온/오프나 오토 유인 모드 (물고기 서식층 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설정된 패턴으로 모터를 온/오프하는 모 드)의 온/오프나 오토 유인 모드 또는 유인 모드시의 유인 폭 (물고기 서식층 위치로부터 또는 유인 개시 위치로부터 어느 정도의 수심까지 유인을 행할 것인가)이나 유인 패턴 (어떠한 간격으로 모터(4)를 온/오프할 것인가)의 설정을 행할 수도 있다.
〔전동 릴의 전체 구성〕
전동 릴(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장대 받침(RK)에 의하여 낚싯배의 뱃전(FB)에 장착된 낚싯대(R)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릴(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핸들(2a)이 장착된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3)과, 스풀(3) 내에 장착된 모터(4)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의 상부에는, 수심 표시부(98)를 가지는 카운터(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2)의 전측부(前側部)에는, 스풀(3)을 가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정 레버(101)가, 후측부(後側部)에는 클러치 기구(7, 후술)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 레버(50)가 각각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정 레버(101)는, 대략 140도의 범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조정 레버(101)의 요동축 (도시하지 않음)에는 요동 각도를 검출하기 위한 전위차계(104, 도 2 참조)가 연결되어 있다. 이 전위차계(104)는, 0도에서 270도의 범위에서 회전 각도를 검출 가능하고, 예를 들어, 50도에서 190도의 범위에서 조정 레버(101)의 요동 각도를 검출한다.
릴 본체(2)의 내부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2a)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모터(4)의 회전을 스풀(3)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 (6)와, 회전 전달 기구(6)의 도중에 설치된 클러치 기구(7)와, 클러치 기구(7)를 전환하는 클러치 전환 기구(8, 도 11)와, 핸들(2a)의 줄 방출 방향의 역회전을 금지하는 제1 원웨이 클러치(9)와, 모터(4)의 줄 방출 방향의 역회전을 금지하는 제2 원웨이 클러치(10)와, 모터(4)의 역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7)를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와, 핸들(2a)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7)를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제2 클러치 반환 기구(12, 도 1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2)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3)과, 프레임(13)의 양 측방을 덮는 측커버(14, 15)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13)은 알루미늄 합금 다이캐스트의 일체 성형된 부재이고, 좌우 한 쌍의 측판(16, 17)과, 측판(16, 17)을 복수 개소에서 연결하는 연결 부재(18)를 가지고 있다. 하부의 연결 부재(18)에는, 낚싯대를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 다리(19)가 장착되어 있다.
측커버(15)는 측판(17)에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측커버(15)에는, 회전 전달 기구(6) 등을 장착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20)이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측커버(15)를 측판(17)으로부터 떼어내면, 고정 프레임(20)도 회전 전달 기구(6)의 일부나 측커버(15)와 함께 측판(17)으로부터 떼어진다.
측커버(14)는 측판(16)에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어 있다. 측커버(14)에는, 외부에 설치된 축전지 등의 전원과 접속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용의 커넥트부(14a, 도 6 참조)가 앞쪽 비스듬히 하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측판(16)은 주연부(周緣部)에 리브(rib)를 가지는 합성 수지제의 판상(板狀) 부재이고, 중심부에는 모터(4)를 장착하기 위한 팽출부(27)가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27)에는, 모터(4)의 단부(端部)측을 덮기 위한 커버 부재(28)가 탈착(脫着)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3)은, 내부에 모터(4)를 수납 가능한 통상(筒狀)의 권사 몸통부(3a)와, 권사 몸통부(3a)의 외주부(外周部)에 간격을 두고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3b)를 가지고 있다. 스풀(3)의 일단은 플랜지부(3b)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연장된 단부의 내주면(內周面)에 베어링(25)이 배치되어 있다. 스풀(3)의 타단에는, 기어판(3c)이 고정되어 있다. 기어판(3c)은 레벨 와인드 기구 (도시하지 않음)에 스풀(3)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기어판(3c)의 스풀 중심측부에 있어서, 기어판(3c)과 고정 프레임(20) 간에는 롤링 베어링(26)이 장착되어 있다. 이 2개의 베어링(25, 26)에 의하여, 스풀(3)은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터의 구성〕
모터(4)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계자(界磁)나 전기자(電機子)를 가지는 직류 모터이고, 스풀(3)의 줄 감기용, 줄 방출용 및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의 동작용의 구동체로서 기능한다. 모터(4)는, 기단(基端)이 개구(開口)하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케이스 부재(31)와, 개구를 막기 위하여 케이스 부재(31)의 기단에 고정된 캡 부재(32)와, 케이스 부재(31)와 캡 부재(32)와에 회전 가능하 게 장착된 출력축(30)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 부재(31)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부재이고, 저부(底部)에 돌출하는 원형의 지지부(31a)로 출력축(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지지부(31a)의 외주면에는, 스풀(3)의 내주면과의 간극(間隙)을 막는 씰 부재(31b)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만일 베어링(25) 측으로부터 액체가 침입하여도 그것보다 내측의 기구 부분에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출력축(30)은 케이스 부재(31)와 캡 부재(32)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출력축(30)의 좌단은 캡 부재(32)에서 돌출하여 있고, 거기에는, 세레이션(30a, 도 14)이 형성되어, 기구 장착축(75)이 예를 들어 세레이션 결합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출력축(30)의 우단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31)의 선단(先端)에서 돌출하여 있다. 이 돌출한 선단(30b)에는, 회전 전달 기구(6)를 구성하는 2단 감속의 유성 톱니바퀴 기구(40)가 장착되어 있다. 기구 장착축(75)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측에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대경(大徑)의 제1 축부(75a)와,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75c)가 형성되고 제1 축부(75a)보다 소경(小徑)의 제2 축부(75b)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제2 축부(75b)보다 직경이 작은 제3 축부(75d)를 가지고 있다.
〔카운터의 구성〕
카운터(5)는, 낚싯줄의 선단에 장착된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것과 함께, 모터(4)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5)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나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수면으로부터와 바닥으로부터의 2개의 기준으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수심 표시 부(98)와, 수심 표시부(98)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조작키부(99)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키부(99)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심 표시부(98)의 우측에 상하로 배치된 물고기 서식층 메모용의 물고기 서식층 메모 버튼(TB)과, 스풀(3)을 가장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빨리 감기용 빨리 감기 버튼(HB)과, 수심 표시부(98)의 하측에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메뉴 버튼(MB)과, 결정 버튼(DB)을 가지고 있다. 물고기 서식층 메모 버튼(TB)은 조작하였을 때의 채비의 수심을 물고기 서식층 위치로서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빨리 감기 버튼(HB)은 채비를 회수할 때 등에 스풀(3)을 고속으로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사용되는 버튼이다. 메뉴 버튼(MB)은 수심 표시부(98) 내의 표시 항목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버튼이다. 결정 버튼(DB)은 선택 결과를 확정하여 설정하는 버튼이다. 또한 결정 버튼(DB)을 예를 들어 3초 이상 길게 누르면, 그 때의 수심 데이터(LX)가 수심 0의 기준 위치로서 세트되는 0세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후에는 세트된 기준 위치로부터의 줄 길이로 수심 데이터(LX)가 표시된다. 덧붙여 낚시꾼은 통상, 채비가 해면에 착수(着水)하였을 때에 결정 버튼을 길게 눌러 0세트한다. 또한 6m 이하의 수심에서 물고기 서식층 메모 버튼(TB)과 빨리 감기 버튼(HB)을 동시에 길게 누르는 조작에 의하여 스풀 회전수와 줄 길이와의 관계를 학습하는 권사 학습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카운터(5)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심 표시부(98)나 모터(4)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릴 제어부(100)가 설치되 어 있다. 릴 제어부(100)에는, 조작키부(99)와, 스풀(3)의 회전수와 회전 방향을, 예를 들어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 2개의 홀 소자(hall element)로 검출하는 스풀 센서(102)와, 전동 릴(1)에 접속되는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원 전압 센서(103)와, 스풀(3)의 속도나 낚싯줄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레버(101)에 연결된 전위차계(104)와, 어탐 모니터(120)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정보 통신부(10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릴 제어부(100)에는, 각종 알림용의 버저(106)와, 수심 정보를 표시하는 수심 표시부(98)와,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107)와, 모터(4)를 펄스 폭 변조(PWM)한 듀티비로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108)와, 타 입출력부가 접속되어 있다. 카운터(5) 내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회로 기판(150)과, 제1 회로 기판(150)의 하방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 회로 기판(155)이 수납되어 있다. 제1 회로 기판 (150)에는, 표면에 수심 표시부(98)를 구성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액정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하는 전기 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이면(裏面)에는 릴 제어부(100)를 구성하는 CPU나 기억부(107)를 구성하는 EEPROM 등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제2 회로 기판(155)에는, 모터 구동 회로(108)를 구성하는 2개의 FET나 버저(106)나 스풀 센서(102)를 구성하는 2개의 홀 소자 등을 포함하는 전기 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제1 회로 기판(150)과 제2 회로 기판(155)은, 수지 케이스에 장착되어 양 기판(150, 155)에 끼워진 인터커넥터(156)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수심 표시부(98)는, 7세그멘트의 수치 표시를 포함하는 세그멘트 방식의 액 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고 있고, 거기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채비의 수심이나 물고기 서식층 위치나 바닥 위치나 각종 모드 (물고기 서식층 정지 모드, 바닥으로부터 표시 모드, 줄 보내기 모드, 유인 모드)를 나타내는 문자 등이 표시된다. 이 중, 유인의 문자는, 전동 릴(1)과 어탐 모니터(120)가 전원 코드(130)에 의하여 접속되어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점등된다. 이것에 의하여, 전동 릴(1)과 어탐 모니터(120)가 통신 가능하게 된 것을 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부분에는,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수심 표시 부분(98a)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설정된 단계(ST)나 물고기 서식층 위치 등을 표시하는 세트 표시 부분(98b)이나 전원 전압의 저하를 표시하는 전원 도형(98c)이 설치되어 있다.
릴 제어부(100)는 전위차계(104)의 출력 (즉 조정 레버(101)의 요동 각도)에 따라서 예를 들어 모터(4)의 오프를 포함하는 31단계로 모터(4)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위차계(104)의 50도에서 190도까지의 140도의 범위를 적당한 31 단계로 구분하고, 그 출력에 의하여 31단계 중 어느 단계(ST)인지를 판단하고 있다. 또한 31단계 중, 아무런 조작을 하지 않는 가장 바로 앞측에 배치된 단계 (ST = 0)에서 모터(4)를 오프한다. 그리고 다음의 예를 들어 4단계 (ST = 1 ~ 4)에서는 스풀(3)의 회전 속도가 단계적으로 커지도록 스풀 센서(102)의 출력을 참조하여 제1 듀티비(D1)를 제어하는 피드백 속도 제어를 행한다. 나머지의 26단계 (ST = 5 ~ 30)에서는, 단계(ST) 마다 커지고 또한 권사 직경에 따라 보정된 제1 듀티비(D1)로 모터(4)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피드가 느린 처음의 4 단계에서 속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고부하가 작용하여도 스풀(3)이 회전 정지하지 않는다. 또한 그 것 이후의 나머지 26단계에서는, 단계마다 권사 직경에 의하여 보정된 일정한 제1 듀티비(D1)로 제어하기 때문에, 스풀(3)에 작용하는 장력이 거의 일정하게 되어, 목줄의 끊김 등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덧붙여 조정 레버(101)의 조작에서는, 최대 단계에서도 제1 듀티비(D1)는 85%를 초과하는 일은 없다. 또한 빨리 감기 버튼(HB)의 조작에서는, 예를 들어 최대에서도 95%의 제1 듀티비(D1)로 모터(4)를 고속 구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4)의 과열에 의한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릴 제어부(100)는, 스풀 센서(102)의 출력에 의하여 낚싯줄의 선단에 장착되는 채비의 수심을 산출하고, 그것을 수심 표시 부분(98a)에 표시한다. 또한 조작키부(99)의 조작에 의하여 바닥 위치나 물고기 서식층 위치가 설정되면, 산출된 수심과 설정된 바닥 위치나 물고기 서식층 위치가 일치하여 채비가 물고기 서식층 위치나 바닥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모터(4)를 역회전시켜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를 통하여 클러치 전환 기구(8)를 동작시켜 클러치 기구(7)를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하여, 채비가 그 위치에 배치된다.
기억부(107)에는, 스풀 센서(102)의 소정 펄스 마다의 계수값과 각종 낚싯줄에서의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로 환산하기 위한 복수의 맵 데이터가 격납(格納)된다. 이 복수의 맵 데이터는, 줄 직경이나 권사 직경에 따라서 계수값과 수심 데이터(LX)가 변화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그 사이즈의 전동 릴(1)에서 자주 사용되는 복수의 낚싯줄에 대해서는 미리 맵 데이터가 기억부(107)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미리 기억되어 있지 않은 낚싯줄에 대해서는 학습에 의하여 맵 데이터를 작성하 여 기억부(107)에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릴 제어부(100)는, 스풀 센서(102)의 계수값이 출력되면, 그것을 기초로 기억부(107)에 격납된 복수의 맵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낚싯줄의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용의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를 산출하고, 산출된 수심 데이터(LX)를 수심 표시부(98)에 표시시킨다. 또한 어탐 모니터(120)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정보 통신부(105) 및 전원 코드(130)의 통신선을 통하여 어탐 모니터(120)에 출력한다.
덧붙여 모터(4)의 역회전에 의한 클러치 반환 동작시, 릴 제어부(100)는, 모터 구동 회로 (108)에 부여하는 듀티비를 20% 정도에서 70% 정도로 서서히 올려간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4)에 인가되는 전압은 서서히 상승하고, 모터(4)의 역회전시에 출력축(30)에 고정되는 기구 장착축(75)이 공회전하기 어렵게 된다.
덧붙여 리튬 전지를 사용하고 전원 전압(PV)이 15볼트가 된 경우, 듀티비(D1)는 전원 전압(PV)의 상승분을 보정하도록, 예를 들어 12/15의 값으로 보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리튬 전지나 니켈 수소 전지와 같이 납전지보다 전원 전압이 높은 축전지를 사용하여도, 조정 레버(101)의 조작에 의한 모터(4)의 정회전시에 인가되는 전압 및 역회전 개시시에 모터(4)에 인가되는 전압은 변동하기 어렵게 되어, 조정 레버(101)의 조작에 의한 모터(4)의 정회전시의 속도 및 토크의 변동이 줄어드는 것과 함께, 모터(4)의 역회전시에 출력축(30)에 고정되는 기구 장착축(75)이 한층 공전하기 어렵게 된다.
〔회전 전달 기구의 구성〕
회전 전달 기구(6)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2a)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축(33)과, 핸들축(3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 기어(34)와, 메인 기어(34)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35)와, 핸들축(33)의 주위에 배치된 드랙 기구(36)와, 모터(4)의 회전을 2 단계로 감속하는 유성 톱니바퀴 기구(40)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33)은, 고정 프레임(20)에 베어링(37)과 핸들축(3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롤러 클러치(3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축(33)의 선단에 핸들(2a)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내측에 드랙 기구(36)의 스타 드랙(39)이 나사 감합(嵌合)하고 있다.
메인 기어(34)에는, 드랙 기구(36)를 통하여 핸들축(33)의 회전이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35)는, 측커버(15)에 세워 설치된 피니언 기어축(47)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축(47)은, 모터(4)의 출력축(30)과 동심에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5)의 도 8 좌단에는, 계합 오목부(35a)가 형성되고, 우단에는 메인 기어(34)에 맞물리는 톱니부(35b)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사이에는 직경이 작은 축소부(35c)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 오목부(35a)는, 유성 톱니바퀴 기구(40)의 제2 캐리어(46, 후술)의 선단 (도 8 우단)에 형성된 계합 볼록부(46a)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한다. 클러치 기구(7)는, 이 계합 오목부(35a)와 계합 볼록부(46a)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5)는, 축소부(35c)에 계합하는 클러치 전환 기구(8)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축(47)의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드랙 기구(36)는 스풀(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이고, 스타 드랙(39)과, 스타 드랙(39)에 의하여 메인 기어(34)에 대한 압압력(押壓力, 드랙력)이 변화하는 드랙 디스크(48)를 가지는 공지의 기구이다.
유성 톱니바퀴 기구(4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4)의 도 9 우측의 출력축(30)에 고정된 제1 태양 기어(41)와, 제1 태양 기어(41)에 맞물리는, 예를 들어 원주 상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제1 유성 기어(43)와, 제1 유성 기어(4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캐리어(45)와, 제1 캐리어(45)에 고정된 제2 태양 기어(42)와, 제2 태양 기어(42)에 맞물리는 예를 들어 원주 상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제2 유성 기어(44)와, 제2 유성 기어(4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캐리어(4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유성 기어(43) 및 제2 유성 기어(44)는, 스풀(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치(內齒) 기어(3d)에 맞물리고 있다. 제1 캐리어(45) 및 제2 캐리어(46)는 통상축으로 되어 있고, 내부를 모터(4)의 출력축(30)이 관통하고 있다. 제2 태양 기어(42) 및 제2 캐리어(46)는 출력축(3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캐리어(46)는 기어판(3c)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유성 기어(44)와, 제1 캐리어(45) 간에는, 미끄러지기 쉬운 성질의 합성 수지제의 와셔 부재(29)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와셔 부재(29)를 장착하면, 제1 캐리어(45)의 공회전이 감소하여 유성 톱니바퀴 기구(40)의 소음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클러치 기구의 구성〕
클러치 기구(7)는, 스풀(3)을 줄 감기 가능한 상태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 로 전환 가능한 기구이다. 클러치 기구(7)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35)의 계합 오목부(35a)와 제2 캐리어(46)의 계합 볼록부(46a)로 구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5)가 좌방으로 이동하여 계합 오목부(35a)와 제2 캐리어(46)의 계합 볼록부(46a)가 계합한 상태가 클러치 온 상태이고, 이반(離反)한 상태가 클러치 오프 상태이다. 클러치 온 상태에서는 스풀(3)은 줄 감기 가능한 상태가 되고,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스풀(3)은 자유 회전 가능 상태가 된다. 덧붙여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모터(4)를 줄 감기 방향으로 돌리면 유성 톱니바퀴 기구(40)의 마찰 저항이 작아진다. 이 결과, 스풀(3)의 자유 회전 속도가 증가하고, 채비를 빠르게 물고기 서식층 위치에 내릴 수 있다. 이것이 줄 보내기 처리이다.
〔클러치 전환 기구의 구성〕
클러치 전환 기구(8)는, 클러치 기구(7)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다. 클러치 전환 기구(8)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커버(15)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클러치 조작 레버(50)와, 클러치 조작 레버(50)의 요동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축(47) 주위에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하는 것)하는 클러치 캠(51)과, 클러치 캠(51)의 회동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축(47) 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러치 요크(52)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조작 레버(50)는, 스풀(3)의 후방 또는 상방에서 측커버(15)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조작 레버(50)는, 클러치 온 위치 (도 11에 도시)와 클러치 오프 위치 (도 12에 도시) 간에서 요동 가능하다.
클러치 캠(51)은, 클러치 조작 레버(50)의 요동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축(47) 주위에 회동하는 부재이고, 회동에 의하여 클러치 요크(52)를 스풀축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클러치 캠(51)은, 피니언 기어축(47)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회동부(55)와, 회동부(55)로부터 클러치 조작 레버(50) 측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부(56a)와, 회동부(55)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부(56b)와, 회동부(55)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3 돌출부(56c)와, 회동부(55)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 캠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캠 돌기(57a, 57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캠 돌기(57a, 57b)에 대향하는 클러치 요크(52)의 양단에는, 캠 돌기(57a,57b)에 얹히는 캠 받침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55)는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 요크(52)와 고정 프레임(20) 간에 배치되어 있다. 회동부(55)는 고정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돌출부(56a)는 회동부(55)로부터 상후방으로 연장되고, 선단은 두 갈래로 나누어져 클러치 조작 레버(50)에 계합하고 있다. 이 제1 돌출부(56a)는, 클러치 조작 레버(50)의 요동에 따라 클러치 캠(51)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 돌출부(56b)는 클러치 전환 기구(8)를 제2 클러치 반환 기구(12)에 연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 돌출부(56b)는 릴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메인 기어(34)와 고정 프레임(20) 간에 배치된 제1 원웨이 클러치(9)의 래칫 휠(62)의 외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돌출부(56b)에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로 이 루어지는 제1 토글 용수철(65)이 계지되어 있다. 제1 토글 용수철(65)의 타단은 고정 프레임(20)에 계지되어 있다. 이 제1 토글 용수철(65)에 의하여, 클러치 캠(51)은 클러치 온 위치 (도 11에 도시)와, 클러치 오프 위치 (도 12에 도시) 간에 유지된다. 또한 제2 돌출부(56b)에는 요동축(51a)이 장착되어 있고, 이 요동축(51a)에 제2 클러치 반환 기구(12)의 계합 부재(61)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3 돌출부(56c)는 클러치 전환 기구(8)를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에 연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3 돌출부(56c)는 릴의 후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에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가 연결되어 있다.
캠 돌기(57a, 57b)는 클러치 요크(52)를 스풀축 방향 바깥쪽으로 압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클러치 캠(51)이 클러치 온 위치 (도 11에 도시)에서 클러치 오프 위치 (도 12에 도시)로 회동하면, 캠 돌기(57a, 57b)에 클러치 요크(52)가 걸려 스풀축 방향의 바깥쪽 (도 11, 도 12 지면(紙面)에서 올라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클러치 요크(52)는 피니언 기어축(47)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고, 두 개의 가이드축(53)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축(47)의 축심과 평행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52)는 그 중앙부에 피니언 기어(35)의 축소부(35c)에 계합하는 반원호상(半圓弧狀)의 계합부(52a)를 가지고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52)를 지지하는 가이드축(53)의 외주에서 클러치 요크(52)와 측커버(15) 간에는 코일 용수철(54)이 압축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클러치 요크(52)는 코일 용수철 (54)에 의하여 항상 안쪽 (측판(17)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통상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5)는 안쪽의 클러치 계합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그 계합 오목부(35a)와 제2 캐리어(46)의 계합 볼록부(46a)가 계합하여 클러치 기구(7)가 클러치 온 상태로 된다. 한편 클러치 요크(52)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35)가 바깥쪽으로 이동한 경우는, 계합 오목부(35a)와 계합 볼록부(46a)와의 계합이 떨어져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제1 원웨이 클러치의 구성〕
제1 원웨이 클러치(9)는, 핸들축(3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하는 것에 의하여, 모터(4) 구동시에 핸들(2a)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원웨이 클러치(9)는, 핸들축(33)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래칫 휠(62)과, 래칫 톱니 멈춤쇠(71)와, 협지(挾持) 부재(72)를 가지고 있다.
래칫 휠(62)은 메인 기어(34)와 고정 프레임(20) 간에서 핸들축(33)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래칫 휠(62)의 외주측에는 톱니상의 래칫 톱니(62a)가 형성되어 있다.
래칫 톱니 멈춤쇠(71)는 측판(17)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협지 부재(72)는 래칫 톱니 멈춤쇠(71)의 선단에 장착되고, 래칫 휠(62)의 외주면을 협지 가능하다. 이 협지 부재(72)와 래칫 휠(62)과의 마찰에 의하여, 래칫 휠(62)의 시계 방향 (줄 감기 방향)의 회전시에는 래칫 톱니 멈춤쇠(71)가 래칫 톱니(62a)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떨어질 수 있고, 래칫 휠(62)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시에 래칫 톱니 멈춤쇠(71)가 접촉하지 않게 되어 정음화(靜音化)할 수 있다. 한편 반시계 방향 (줄 방출 방향)의 회전시에는 래칫 톱니 멈춤쇠(71)가 래칫 톱니(62a)와 간섭하는 위치까지 끌어 들여져,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덧붙여 이 전동 릴에는, 이러한 제1 원웨이 클러치(9)에 더하여, 핸들축(33)의 역회전을 순간적으로 금지하는 롤러 클러치(38)가 측커버(15)와 핸들축(33) 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원웨이 클러치의 구성〕
제2 원웨이 클러치(10)는, 핸들(2a)의 조작시에 모터(4)가 역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유성 톱니바퀴 기구(40)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2 원웨이 클러치(1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구 장착축(75)의 제2 축부(75b)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래칫(81)과, 래칫(81)에 대하여 접리(接離)하는 요동 톱니 멈춤쇠(82)와, 요동 톱니 멈춤쇠(82)를 래칫을 향하여 압박하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83)과, 모터(4)의 줄 감기 방향의 정회전시에 요동 톱니 멈춤쇠(82)를 제어하는 톱니 멈춤쇠 제어 기구(84)를 가지고 있다.
래칫(81)은, 중심에 기구 장착축(75)의 제2 축부(75b)에 형성된 모따기부(75c)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하는 타원 구멍(81b)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외주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예를 들어 2개의 돌기부(81a)를 가지고 있다.
요동 톱니 멈춤쇠(82)는, 측판(16)의 팽출부(27)에 세워 설치된 요동축(80)에 요동 가능하게 기단이 장착되어 있다. 요동 톱니 멈춤쇠(82)의 선단에는, 도 14 내측으로 돌출하는 톱니 멈춤쇠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 멈춤쇠부(82a)는, 래칫(81)의 돌기부(81a)에 접촉하여 래칫(81, 출력축(30))의 역회전을 저지하 는 것과 함께, 톱니 멈춤쇠 제어 기구(84)의 정음 캠(85, 후술)에 접촉하여 돌기부(81a)를 교차하는 위치까지 요동 톱니 멈춤쇠(82)를 요동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요동 톱니 멈춤쇠(82)는,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에 의하여, 돌기부(81a)에 접촉 가능한 역회전 금지 위치 (도 15에 도시)와, 역회전 허가 위치 (도 16에 도시) 간에서 요동하는 것과 함께,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4)의 정회전시에 래칫(81)의 돌기부(81a)를 교차하는 위치까지 약간 역회전 허가 위치 측으로 요동한다.
톱니 멈춤쇠 제어 기구(84)는, 모터(4)가 정회전하면 래칫(81)의 돌기부(81a)를 교차하는 위치까지 요동 톱니 멈춤쇠(82)를 역회전 허가 위치 측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톱니 멈춤쇠 제어 기구(84)는, 기구 장착축(75)의 제1 축부(75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에 요동 톱니 멈춤쇠(82)를 역회전 금지 위치 측으로 압압하기 위한 돌출한 압압부(85a)를 가지는 정음 캠(85)과, 정음 캠(85)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회동 규제부(86)를 가지고 있다. 정음 캠(85)은 제1 축부(75a)에 마찰 계합하고 있고, 기구 장착축(75)의 회동에 연동하여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과 함께, 회동 규제부(86)에 의하여 정음 캠(85)의 회동이 규제되어도 기구 장착축(75)은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회동 규제부(86)는 정음 캠(85)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일체 형성된 계지편(86a)과, 커버 부재(28)에 형성되어 계지편(86a)이 계지되는 노치부(86b)를 가지고 있다. 노치부(86b)는 커버 부재(28)의 원호상의 측면을 요동 범위만 원호상(圓弧狀)으로 노치(notch)되어 형성 되어 있다. 정음 캠(85)과 래칫(81) 간에는 와셔(87)가 장착되어 있다.
〔제1 클러치 반환 기구의 구성〕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는 모터(4)의 역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전환 기구(8)를 통하여 클러치 기구(7)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다.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는,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칫(81)과 나란한 기구 장착축(75)에 장착되어 적어도 모터(4)의 역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압압 기구(88)와, 클러치 전환 기구(8)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연동 기구(89)를 가지고 있다.
압압 기구(88)는 래칫(81)과 나란한 기구 장착축(75)의 제3 축부(75d)에 배치되어, 모터(4)의 역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압압 기구(88)는, 제3 축부(75d)에 장착된 롤러 클러치(90)와, 롤러 클러치(90)의 외주 측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압압 부재(91)를 가지고 있다. 롤러 클러치(90)는, 외륜(90a)과, 외륜(90a)에 수납된 복수의 롤러(90b)를 가지는 외륜 공회전형 원웨이 클러치이다. 또한 내륜은 기구 장착축(75)의 제3 축부(75d)와 일체화되어 있다. 롤러 클러치(90)는 모터(4)의 역회전만 압압 부재(91)에 전달하는 것이다. 여기서, 압압 부재(91)에 롤러 클러치(90)를 장착한 것은,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연동 기구(89)가 압압 부재(91)에 근접하여 모터(4)를 정회전시키는 줄 방출 모드일때, 압압 부재(91)가 연동 기구(89)에 접촉하여도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압압 부재(91)는, 모터(4)가 역회전하면 그 회전이 롤러 클러치(90)를 통하여 전달되어 회전한다. 압압 부재(91)는 롤러 클러치(90)의 외륜(90a)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통상부(91a)와, 통상부(91a)의 외주측에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여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예를 들어 3개의 돌기부(91b)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91b)는 연동 기구(89)를 압압 가능한 돌기이다.
연동 기구(89)는 클러치 전환 기구(8)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고, 클러치 전환 기구(8)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7)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요동 톱니 멈춤쇠(82)에 접촉하여 요동 톱니 멈춤쇠(82)를 래칫(81)으로부터 이반시키는 것과 함께 압압 기구(88)에 의한 압압이 가능한 해방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4)가 역회전 허가 상태가 된다. 또한 연동 기구(89)는 그 상태에서 모터(4)가 역회전하면 압압 기구(88)에 의하여 압압되어 압압이 불가능한 계지 위치로 이동한다. 계지 위치로 이동하면 요동 톱니 멈춤쇠(82)로부터 이반하여 요동 톱니 멈춤쇠(82)가 래칫(81)에 계지한다.
연동 기구(89)는 측판(16, 17)을 관통하여 측판(16, 1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일단이 고정 프레임(20)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연결축(93)과, 연결축(93)의 양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 레버 부재(94, 95)와, 제2 레버 부재(95)의 선단에 연결된 진퇴 부재(96)를 가지고 있다.
연결축(93)은 측판(16, 1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일단이 고정 프레임(20)의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타단이 측판(16)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축 부재이다. 연결축(93)이 돌출한 양단에는, 제1 및 제2 레버 부재(94, 95)를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서로 평행한 모따기부(93a, 93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레버 부재(94)는 기단이 연결축(93)의 고정 프레임(20) 측의 모따기부 (93a)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부재이다. 제1 레버 부재(94)의 선단은, 클러치 전환 기구(8)를 구성하는 클러치 캠(51)의 제3 돌출부(56c)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고 또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캠(51)의 회동이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로 전달되는 것과 함께,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의 반환 동작이 클러치 캠(51)에 전달되어 클러치 전환 기구(8)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2 레버 부재(95)는 기단이 연결축(93)의 측판(16)측의 모따기부(93b)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부재이다. 제2 레버 부재(95)의 선단은, 진퇴 부재(96)의 기단에 회동 가능하고 또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전환 기구(8)의 동작에 연동하여 진퇴 부재(96)가 진퇴하는 것과 함께, 진퇴 부재(96)의 후퇴 동작에 의하여, 클러치 전환 기구(8)가 클러치 오프 방향으로 동작한다.
진퇴 부재(96)는 팽출부(27)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27a, 27b)에 의하여 요동 톱니 멈춤쇠(82) 및 압압 부재(88)를 향하여 직선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고 있다. 진퇴 부재(96)는 기단에 제2 레버 부재(95)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소정 범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판상 부재이다. 진퇴 부재(96)는 요동 톱니 멈춤쇠(82)로 갈라져 연장되어 요동 톱니 멈춤쇠(82)의 하면에 접촉 가능한 제1 접촉부(96a)와, 제1 접촉부(96a)의 근원으로부터 압압 부재(91)를 향하여 접어 구부러진 제2 접촉부(96b)를 선단에 가지고 있다. 진퇴 부재(96)는 제2 접촉부(96b)가 압압 부재(91)에 의한 압압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제1 접촉부(96a)가 요동 톱니 멈춤쇠 (82)를 압압하여 역회전 허가 위치로 요동시키는 해방 위치 (도 16에 도시)와, 제1 접촉부(96a)가 요동 톱니 멈춤쇠(82)로부터 이반하고 또한 압압 부재(91)에 의한 압압이 불가능한 계지 위치 (도 15에 도시) 간에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클러치 전환 기구(8)가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 측으로 이동하면, 제1 및 제2 레버 부재(94, 95)가 요동하여 진퇴 부재(96)는 해방 위치로 진출하고, 모터(4)의 역회전에 의하여 압압 부재(91)에 의하여 압압되면 계지 위치로 후퇴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및 제1 레버 부재(95, 94)를 통하여 클러치 캠(51)이 클러치 온 방향으로 회동하고, 클러치 조작 레버(50)가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아오는 것과 함께 클러치 기구(7)가 클러치 온 상태로 된다.
〔제2 클러치 반환 기구의 구성〕
제2 클러치 반환 기구(12)는 핸들(2a)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따라서 클러치 오프 위치에 배치된 클러치 캠(51)을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려 클러치 기구(7)를 클러치 온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과 함께, 클러치 캠(51)에 의하여 클러치 조작 레버(50)를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다. 제2 클러치 반환 기구(12)는 계합 부재(61, 상술)와, 래칫 톱니(62a)가 외주에 형성된 래칫 휠(62)과, 계합 부재(61)를 계합 위치와 비계합 위치를 향하여 나누어 압박하는 제2 토글 용수철(66)로 구성되어 있다. 계합 부재(6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 캠(51)의 제2 돌출부(56b)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선단에 래칫 휠(62)의 래칫 톱니(62a)에 계합하는 제1 돌기(61a)와, 제1 돌기(61a)의 도 11 좌방으로 연장되는 제2 돌기(61b)를 가지고 있다.
제1 돌기(61a)는 래칫 휠(62)의 바깥쪽을 향하여 접어 구부러져 있고, 제2 돌기(61b)는 고정 프레임(20) 측에 역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있다. 고정 프레임(20)에는 제2 돌기(61b)에 계합하는 변형 사다리꼴 형상의 가이드 돌기(20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20a)는 제2 돌기(61b)에 계합하는 것으로 계합 부재(61)의 요동 방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계합 부재(61)는 계합 위치에 배치되면, 래칫 휠(62)의 외주보다 내주측에 제1 돌기(61a)가 위치하여 래칫 톱니(62a)에 계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비계합 위치에 배치되면, 래칫 휠(62)의 외주로부터 약간 이반한 위치에 제1 돌기(61a)가 위치한다. 이 계합 부재(61)는 래칫 휠(62)의 축심의 전방 또는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래칫 휠(62)의 후방에 배치되는 종래예에 비하여 래칫 휠(62)의 후방측의 공간이 작아지게 된다. 계합 부재(61)의 제1 돌기(61a)는 래칫 톱니(62a)에 의하여 당겨져 계합 위치 (도 12에 도시)로부터 비계합 위치 (도 11에 도시)로 회동한다.
덧붙여 레벨 와인드 기구나 캐스팅 컨트롤 기구에 대해서는, 종래 공지된 전동 릴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클러치 전환 동작〕
다음으로, 전동 릴의 클러치 전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클러치 요크(52)는 코일 용수철(54)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 축방향 안쪽으로 눌려 있고, 이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35)는 클러치 온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5)의 계합 오목부(35a)와 제2 캐 리어(46)의 계합 볼록부(46a)가 맞물려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채비를 투입하는 경우에는, 클러치 조작 레버(50)를 클러치 오프 위치 (도 12에 도시)로 요동시킨다. 클러치 조작 레버(50)가 클러치 온 위치 (도 11에 도시)로부터 클러치 오프 위치 (도 12에 도시)로 요동하면, 클러치 캠(51)이 도 11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결과, 클러치 캠(51)의 캠 돌기(57a, 57b)에 클러치 요크(52)가 걸려, 클러치 요크(52)는 피니언 기어 축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클러치 요크(52)는 피니언 기어(35)의 축소부(35c)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클러치 요크(52)가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35)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5)의 계합 오목부(35a)와 제2 캐리어(46)의 계합 볼록부(46a) 간의 맞물림이 떨어져,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스풀(3)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결과, 채비의 중량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3)로부터 방출된다.
그리고 줄 보내기 모드일 때에는, 예를 들어 방출량이 소정량 (예를 들어, 채비의 수심 표시가 6m)을 초과하거나, 스풀(3)의 회전 속도가 소정 속도를 초과하면, 모터(4)가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제2 캐리어(46)가 회전하기 때문에, 모터(4)를 정회전시켜도 유성 톱니바퀴 기구(40)는 감속 동작하지 않지만, 유성 톱니바퀴 기구(40)와 스풀(3) 간의 마찰이 감소하여, 스풀(3)이 자유 회전 상태보다 고속으로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클러치 캠(51)이 클러치 오프 위치로 회동하면, 제2 클러치 반환 기구(12)의 계합 부재(61)가 가이드 돌기(20a)에 안내되어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사 점을 초과한 시점에서 제2 토글 용수철(66)에 의하여 래칫 휠(62)의 안쪽으로 압박된다. 이 결과, 계합 부재(61)는 래칫 톱니(62a)에 계지되는 계합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클러치 캠(51)이 클러치 오프 위치로 회동하면,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의 연동 기구(89)의 진퇴 부재(96)가, 계지 위치 (도 15에 도시)로부터 해방 위치 (도 16에 도시)로 진출한다. 진퇴 부재(96)가 해방 위치로 진출하면, 제2 원웨이 클러치(10)의 요동 톱니 멈춤쇠(82)에 제1 접촉부(96a)가 접촉하여 요동 톱니 멈춤쇠(82)를 역회전 금지 위치 (도 15에 도시)로부터 역회전 허가 위치 (도 16에 도시)로 요동시킨다. 이 결과, 모터(4)가 역회전 가능 상태가 된다. 또한 진퇴 부재(96)가 해방 위치에 진출하면, 압압 부재(91)의 돌기부(91b)가 압압 가능한 위치에 제2 접촉부(96b)가 배치된다.
채비가 소정의 물고기 서식층에 배치되면, 모터(4)를 역회전시키거나, 핸들(2a)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클러치 조작 레버(50)를 클러치 온 위치로 요동시켜 스풀(3)의 줄 방출을 정지한다. 자동 물고기 서식층 정지 모드일 때에는, 모터(4)의 역회전에 의하여 스풀(3)의 줄 방출이 자동적으로 물고기 서식층 위치에서 정지한다.
모터(4)를 역회전시키면,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에 의하여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아온다. 모터(4)를 역회전시키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 부재(91)가 역회전 (도 16 시계 방향의 회전)하고, 3개의 돌기부(91b) 중 어느 한 쪽이 진퇴 부재(96)의 제2 접촉부(96b)를 압압하여 진퇴 부재(96)를 해방 위치로부터 계지 위치를 향하여 후퇴시킨다. 그러면, 제2 레버 부재(95), 연결축(93)을 통하여 제1 레버 부재(94)에 연결된 클러치 캠(51)이 도 12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 제1 토글 용수철(65)이 사점을 초과하면 클러치 캠(51)이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아오고, 이것에 의하여 진퇴 부재(96)도 계지 위치로 되돌아온다. 또한 클러치 캠(51)이 시계 방향으로 클러치 온 위치를 향하여 회동하면, 클러치 캠(51)의 캠 돌기(57a, 57b)에 걸려 있던 클러치 요크(52)가 캠 돌기(57a, 57b)로부터 물러나, 코일 용수철(54)의 압박력에 의하여 스풀축 방향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피니언 기어(35)도 스풀축 방향 내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러치 온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클러치 캠(51)이 도 12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 돌출부(56a)에 계지된 클러치 조작 레버(50)도 클러치 온 위치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클러치 조작 레버(50)를 조작하는 일 없이 클러치 기구(7)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진퇴 부재(96)가 계지 위치로 되돌아오면, 비틀림 코일 용수철(83)에 의하여 압박된 요동 톱니 멈춤쇠(82)는 역회전 금지 위치로 되돌아오고, 제1 원웨이 클러치(9)는 역회전 금지 상태가 되어, 모터(4)의 역회전은 금지된다.
이 모터(4)의 역회전시에, 기구 장착축(75)에 롤러 클러치(90)를 통하여 장착된 압압 부재(91)가 진퇴 부재(96)의 제2 접촉부(96b)에 충돌하여 그것을 압압한다. 이 때, 압압 부재(91)에 충격이 작용하고, 그것에 의한 토크가 기구 장착축(75)과 출력축(30) 간의 고정 부분의 세레이션(30a)에 작용한다. 이 부분은 소경이기 때문에, 접선 방향의 힘이 커져, 전원 전압을 그대로 모터(4)에 인가하면 그 부분에서 공회전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4)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서서히 커지는 듀티비로 제어하고, 모터(4)에 인가하는 전압을 진퇴 부재(96)를 압압 가능한 전압까지 서서히 올리고 있다. 이 결과, 역회전 개시시에 압압 부재(91)가 진퇴 부재(96)에 충돌할 때의 토크가 작아져, 압압 부재(91)가 장착된 기구 장착축(75) 등의 출력축(30)에 장착된 구동 부품이 공회전하기 어렵게 된다.
핸들(2a)을 줄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클러치 반환 기구(12)에 의하여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아온다. 핸들(2a)을 줄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축(33)이 도 1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따라서 핸들축(33)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래칫 휠(62)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래칫 휠(6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 톱니(62a)에 계합 부재의 제1 돌기(61a)가 걸려 계합 부재(61)가 당겨진다.
계합 부재(61)가 당겨지면, 계합 부재(61)가 가이드 돌기(20a)로 안내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제2 토글 용수철(66)의 사점을 초과한 시점에서 계합 부재(61)가 래칫 휠(62)의 바깥쪽으로 압박된다. 그리고 래칫 휠(62)에 계합하지 않는 비계합 위치를 향하여 바깥쪽으로 계합 부재(61)가 요동한다.
또한 계합 부재(61)가 당겨지면, 계합 부재(61)에 연결된 클러치 캠(51)이 도 12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 온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것에 의하여, 여기에서도, 클러치 조작 레버(50)를 조작하는 일 없이 클러치 기구(7)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제2 클러치 반환 기구(12)의 계합 부재(61)는 핸들축(33)의 상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핸들축(33)의 상전방의 위치는, 카운터(5)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빈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 빈 공간에 계합 부재(61)를 설치하면, 계합 부재를 종래와 마찬가지로 핸들축의 후방 또는 하방에 배치하는 구성에 비하여 릴 본체의 팽창을 작게 할 수 있다.
덧붙여 제1 및 제2 클러치 반환 기구(11, 12)는, 클러치 조작 레버(50)를 클러치 오프 위치로부터 클러치 온 위치로 조작하여도, 진퇴 부재(96)가 계지 위치로 돌아오는 것과 함께 계합 부재(61)가 비계합 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클러치 온 상태에서 채비에 물고기가 걸리면, 핸들(2a) 또는 모터(4)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스풀(3)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켜, 낚싯줄을 감아 올린다.
수동 감기시에는, 핸들(2a)의 줄감기 방향의 회전 (도 11 시계 방향의 회전)은 핸들축(33), 메인 기어(34), 피니언 기어(35) 및 유성 톱니바퀴 기구(40)를 통하여, 스풀(3)에 증속하여 전달된다. 이 때, 모터(4)의 역회전 (도 8 우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제2 원웨이 클러치(10)에 의하여 금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성 톱니바퀴 기구(40)의 제1 태양 기어(41)가 역회전하지 않게 되고, 줄감기 방향 (도 8 우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의 회전)으로 회전하는 제2 캐리어(46)로부터 제2 유성 기어(44), 제1 캐리어, 제1 유성 기어(43)를 통하여 내치 기어(3d)에 회전이 전달되어, 스풀(3)이 줄 감기 방향으로 증속 구동된다.
또한 모터 구동시는, 정회전 (도 8 우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의 회전)하는 모터(4)의 회전은 유성 톱니바퀴 기구(40)를 통하여 스풀(3)에 전달된다. 이 때, 제1 원웨이 클러치(9)에 의하여 핸들축(33)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 (도 9 우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캐리어(46)의 역회전 (도 9 우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감속된 제2 태양 기어(42)의 회전이 제2 유성 기어(44)를 통하여 내치 기어(3d)에 전달되어 스풀(3)이 감속 구동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온 상태에서 모터(4)가 정회전(도 17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하면, 톱니 멈춤쇠 제어 기구(84)의 정음 캠(85)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회동 규제부(86)에 의하여 요동 톱니 멈춤쇠(82)의 톱니 멈춤쇠부(82a)를 압압부(85a)가 압압하는 위치에 멈춘다. 이 때, 정음 캠(85)은 기구 장착축(75)에 마찰 계합하고 있는 것뿐이기 때문에, 모터(4)는 그대로 회전한다. 이 결과, 요동 톱니 멈춤쇠(82)가 압압부(85a)에 의하여 압압되어 래칫(81)의 돌기부(81a)를 교차하는 위치까지 역회전 허가 위치 측으로 요동하고, 래칫(81)이 요동 톱니 멈춤쇠(82)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모터(4)가 정회전하면, 제1 원웨이 클러치(9)의 요동 톱니 멈춤쇠(82)가 래칫(81)으로의 접촉을 반복하는 것에 의한 클릭음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모터(4)가 역회전하면, 정음 캠(85)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 규제부(86)에 의하여 압압부(85a)가 톱니 멈춤쇠부(82a)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에서 정지하고, 요동 톱니 멈춤쇠(82)는 비틀림 코일 용수철(83)에 의하여 압박되어 역회전 금지 위치로 되돌아온다.
또한 줄 보내기 모드와 같이 클러치 오프 상태로 모터(4)가 정회전하면, 역시, 정음 캠(85)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때, 압압 부재(91)는 모터(4)의 역회전만을 전달하는 롤러 클러치(90)를 통하여 기구 장착축(75)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기구 장착축(75)의 회전은 압압 부재(91)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진퇴 부재(96)가 압압 부재(91)에 접촉 가능하게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압압 부재(91)가 진퇴 부재(96)를 압압하는 일이 없어, 그것에 의한 오작동은 생기지 않는다.
〔릴 제어부의 동작〕
다음으로, 릴 제어부(100)에 의하여 행해지는 구체적인 제어 처리를, 도 18 이후의 제어 플로차트를 따라서 설명한다.
전동 릴에 외부 전원이 접속되면, 도 18의 스텝(S1)에서 초기 설정을 행한다. 이 초기 설정에서는 스풀 회전수의 계수값을 리셋하거나 각종 변수나 플래그를 리셋하거나 한다. 스텝(S2)에서는 전원 전압 센서(103)에서 검출된 전원 전압(PV)를 받아들인다. 스텝(S3)에서는 전원 전압(PV)이 Vh1 (예를 들어 12 볼트)보다 높은지의 여부, 즉, 납축전지와 다른 전원 전압이 높은 종류의 축전지가 릴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원 전압(PV)이 높은 종류의 전지 (예를 들어, 리튬 전지나 니켈 수소 전지 등)가 접속된 경우는, 스텝(S3)에서 스텝(S4)으로 이행하여 모터 정회전시의 듀티비(D1)를 검출된 전원 전압(PV)에 따라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기본의 듀티비(D1)에 Vh1 (예를 들어 12)를 전원 전압(PV)으로 나눈 값 (Vh1 / PV)을 곱한 것을 새로운 듀티비(D1)로 한다. 이것에 의하여, 전원 전압 (PV)이 변동하여도, 정회전시 (줄 감기시)에 듀티 제어하여도 스풀(3)의 회전 상태가 변동하기 어렵게 되는 것과 함께, 역회전시 (클러치 복귀시)에 모터(4)에 인가되는 전압이 변동하기 어렵게 된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전원이 접속되는 초기 설정에 이어 1회만 전원의 판별을 위한 전원 전압의 판정을 행하고 있는데, 전원 접속 후에 여러 차례의 판정을 행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스텝(S5)에서는 표시 처리를 행한다. 표시 처리에서는, 수심 표시 등의 각종 표시 처리를 행한다. 스텝(S6)에서는 조작키부(99)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나 조정 레버(101)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 스텝(S7)에서는 스풀(3)이 회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 센서(102)의 출력에 의하여 판단한다. 스텝(S8)에서는 전압 이상을 감시하기 위한 전원 전압 검지 처리 (도 24에 도시)를 행한다. 스텝(S9)에서는 스풀 센서(102)의 출력에 의하여 산출된 수심 데이터(LX)가 6m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0a)에서는 수심 데이터(LX)가 6m 이하일 때에, 스풀(3)이 6초를 초과하여 정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0b)에서는 어탐 모니터(120)에 송신하는 요구의 유무를 판단한다. 스텝(S11)에서는 어탐 모니터(120)로부터 테이터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2)에서는 기타 지령이나 입력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들의 판단이 끝나면, 스텝(S5)으로 되돌아온다.
조작키부(99)나 조정 레버(101)에 의한 키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S6)에서 스텝(S13)으로 이행하여 키 입력 처리 (도 19에 도시)를 실행한다. 스풀(3)의 회전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S7)에서 스텝(S14)으로 이행한다. 스텝(S14) 에서는 각 동작 모드 처리 (도 21에 도시)를 실행한다. 수심 데이터(LX)가 6m를 초과하고 있을 때는, 스텝(S9)에서 스텝(S15)으로 이행한다. 스텝(S15)에서는 그 수심 데이터(LX)에서의 채비의 정지 시간이 6초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6초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는, 채비가 물고기 서식층에서 정지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텝(S16)으로 이행하여 그 수심 데이터(LX)를 물고기 서식층 위치(M)로 세트한다. 수심 데이터(LX)가 6m 이하일 때에, 스풀(3)이 6초를 초과하여 정지하고 있는 경우는, 채비가 뱃전에서 정지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텝(S10a)에서 스텝(S17)으로 이행하여 그 수심 데이터(LX)를 뱃전 줄 길이(FB)로 세트한다. 송신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 스텝(S10b)에서 스텝(S18)으로 이행한다. 스텝(S18)에서는, 어탐 모니터(120)에 요구가 있었던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수심 데이터(LX)나 릴측에서 설정한 항목이 어탐 모니터(120)에 송신된다. 어탐 모니터(1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11)에서 스텝(S19)으로 이행한다. 스텝(S19)에서는 수신한 내용에 의하여 유인 모드나 오토 유인 모드 등의 각종 설정을 행하는 수신 설정 처리를 행한다. 기타 지령 혹은 입력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S12)에서 스텝(S20)으로 이행하여 기타 처리를 실행한다.
도 18의 스텝(S13)의 키 입력 처리에서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S21)에서 조정 레버(101)에 의하여 조작된 단계(ST)가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단계(ST)가 0일 때는, 스텝(S22)으로 이행하여 모터(4)를 정지 (오프)한다. 덧붙여 이미 정지하고 있는 경우는 그대로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스텝 (S23)에서는 메뉴 버튼(MB)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24)에서는 결정 버튼(DB)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25)에서는 빨리 감기 버튼(HB)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26)에서는 다른 키 조작, 예를 들어 물고기 서식층 메모 버튼(TB)의 조작이나 물고기 서식층 메뉴 버튼(MB)과 빨리 감기 버튼(HB)의 소정 시간의 조작에 의한 학습 모드의 설정 등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조정 레버(101)의 단계(ST)가 0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S21)에서 스텝(S27)으로 이행한다. 스텝(S27)에서는 수심 데이터(LX)가 0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낚싯대의 수선(穗先)을 보호하기 위하여 뱃전 모드 (채비가 회수되기 쉬운 상태에서 스풀의 줄 감기를 자동적으로 정지하는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는, 조정 레버(101)를 조작하여도 수심 데이터(LX)가 0 이하일 때에는, 그 이상 감을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덧붙여 뱃전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심 데이터(LX)가 6m 이하일 때에 소정 시간 (예를 들어 6초) 이상 스풀(3)이 정지 상태일 때에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수심 데이터(LX)가 0 이하가 아닐 때에는, 스텝(S28)으로 이행하여 모터 구동 처리 (도 20에 도시)를 실행한다. 수심 데이터(LX)가 0 이하일 때에는, 스텝(S27)에서 스텝(S29)으로 이행한다. 스텝(S29)에서는, 뱃전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뱃전 모드가 아닐 때에는 스텝(S28)으로 이행하여 모터 구동 처리를 실행한다. 뱃전 모드일 때에는 스텝(S30)으로 이행하여 조정 레버(101)를 요동 개시 위치인 단계 (ST = 0)를 향하여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초) 이내에 2회의 클릭 동작 (즉 3회 이상 다른 방향의 요동 조작)을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특별한 클릭 동작에 의하여, 뱃전 모드에서 또한 수심 데이터(LX)가 0 이하일 때에서도 스풀(3)을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클릭 동작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면, 스텝(S28)으로 이행하여 모터 구동 처리를 실행한다. 클릭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모터의 구동을 금지하기 위하여 아무런 처리없이 스텝(S23)으로 이행한다.
메뉴 버튼(MB)이 조작되면, 스텝(S23)에서 스텝(S31)으로 이행하여 수심 표시부(98)에 표시된 문자나 물고기 서식층 위치의 항목을 점멸하면서 조작할 때마다 이동하여 항목의 선택을 행한다.
결정 버튼(DB)이 조작되면, 스텝(S24)에서 스텝(S32)으로 이행한다. 스텝(S32)에서는, 결정 버튼(DB)가 3초 이상 길게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길게 누르지 않은 경우는 스텝(S33)으로 이행한다. 스텝(S33)에서는 선택된 항목을 결정하여 스텝(S34)으로 이행한다. 스텝(S34)에서는 결정된 항목을 어탐 모니터(120)에 송신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S35)으로 이행하여 그 항목의 송신 요구를 행하고, 불필요한 경우는 스텝(S35)을 스킵하여 스텝(S25)으로 이행한다. 한편 길게 눌렀다고 판단하면, 스텝(S32)에서 스텝(S36)으로 이행한다. 스텝(S36)에서는, 현재의 수심 데이터(LX)를 줄 길이의 기준으로 되는 기준 줄 길이로서 0으로 세트한다. 이것에서, 이후의 수심은, 세트된 위치의 수심 데이터(LX)를 0으로 하고, 이후의 줄 길이로 표시된다.
빨리 감기 버튼(HB)이 조작되면, 스텝(S25)에서 스텝(S37)으로 이행한다. 스텝(S37)에서는 수심 데이터(LX)가 뱃전 줄 길이(FB)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다. 수심 데이터(LX)가 뱃전 줄 길이(FB) 이상일 때에는 스텝(S38)으로 이행하고, 전원 전압 검지 처리 (후술)에서 세트되는 모터(4)의 구동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 플래그(FP)가 세트 (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금지 플래그(FP)가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는 스텝(S39)로 이행하여, 제1 듀티비(D1)를 예를 들어 95%로 세트하여 최고속으로 모터(4)를 구동한다. 수심 데이터(LX)가 뱃전 줄 길이(FB) 미만일 때에는, 빨리 감기 버튼(HB)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기 위하여 스텝(S26)으로 이행한다. 메모 버튼(TB)이나 줄 감기 학습 모드로 들어가는 조작 등의 다른 키 입력이 행해진 경우에는, 스텝(S26)에서 스텝(S40)으로 이행하여 조작에 따른 키 입력 처리를 행하고,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온다.
도 19의 스텝(S28)의 조정 레버(101)에 의한 모터 구동 처리에서는, 단계(ST)가 1단계에서 4단계까지는 스풀(3)의 회전 속도 (모터(4)의 회전 속도의 일례)를 검출하여 모터(4)를 속도 일정 제어하고, 5단계에서 30단계까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이 일정하게 되도록 모터(4)를 토크 제어한다. 모터 구동 처리에서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S41a)에서 금지 플래그(FP, 상술)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금지 플래그(FP)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처리를 끝내고 키 입력을 처리로 되돌아온다. 금지 플래그(FP)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41b)으로 이행한다. 스텝(S41b)에서는 조정 레버(101)의 요동 각도에 의한 단계(ST)가 1 내지 4단 중 어느 단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덧붙여 이 판단은, 전위차계(104)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전압에 의하여 행한다. 스텝(S42)에서는 단계(ST)가 5 내지 30단 중 어느 단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T)가 1 내지 4단인 경우는 스텝(S41b)에서 스텝(S43)으로 이행한다. 스텝(S43)에서는 스풀 센서(102)로부터 출력되는 속도(V)를 받아들인다. 스텝(S44)에서는 스풀(3)의 속도(V)가 단계(ST)에 따른 하한 속도(Vst1)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45)에서는 스풀(3)의 속도(V)가 단계(ST)에 따른 상한 속도(Vst2)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덧붙여 속도 제어를 행하는 단계(ST)가 1 내지 4단에서 단계(ST)마다 하한 속도(Vst1) 및 상한 속도(Vst2)를 설치한 것은, 양 속도(Vst1, Vst2) 간에서 속도가 변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듀티비가 변화하지 않고, 듀티비가 빈번하게 변동하는 스피드 플럭츄에이트(speed fluctuates)가 생기지 않게 되어, 피드백 제어가 안정되기 때문이다. 이 상한 속도(Vst2)와 하한 속도(Vst1)는 목표 속도(Vst)의, 예를 들어 ±10% 이내로 설정되어 있다.
속도(V)가 하한 속도(Vst1) 미만인 경우에는, 스텝(S44)에서 스텝(S46)으로 이행하여 현재의 제1 듀티비(D1)를 읽어들인다. 이 제1 듀티비(D1)는 기억부(107)에 설정이 변경될 때마다 기억되어 있다. 또한 각 단계(ST)마다 최대치(DUst)와 최소치(DLst)가 설정되어 있어, 최초로 각 단계(ST)에 설정되었을 때에는, 예를 들어 그 중간의 제1 듀티비(D1) = ((Dust + DLst) / 2)로 세트된다. 스텝(S47)에서는 현재의 제1 듀티비(D1)가 설정된 단계의 최대치(DUst)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초과하고 있는 경우는 스텝(S48)으로 이행하여 제1 듀티비(D1)에 최대치(DUst)를 세트한다.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47)에서 스텝(S49)으로 이행하여, 제1 듀티비(D1)를 소정의 증가분(DI, 예를 들어 1%)만 늘려 스텝(S45)로 이행한다. 덧붙여 최고 단계 (ST = 4)의 최대치(DUst)는 85%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정 레버(101)에 의한 조정 조작의 상한은 듀티비가 85%이다.
속도(V)가 상한 속도(Vst2)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S45)에서 스텝(S50)으로 이행하여 현재의 제1 듀티비(D1)를 읽어들인다. 이 제1 듀티비(D1)도 스텝(S46)과 같다. 스텝(S51)에서는 현재의 제1 듀티비(D1)가 설정된 단계의 최소치(DLst)를 하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하회하고 있는 경우는 스텝(S52)으로 이행하여 제1 듀티비(D1)에 최소치(DLst)를 세트한다. 하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51)에서 스텝(S53)으로 이행하여, 제1 듀티비(D1)를 소정의 감소분(DI, 예를 들어 1%)만 줄여 스텝(S42)으로 이행한다.
단계(ST)가 5 내지 30단인 경우는 스텝(S42)에서 스텝(S54)으로 이행한다. 스텝(S54)에서는 제1 듀티비(D1)를 단계(ST)에 따른 듀티비(Dst)로 세트한다. 이것에 의하여, 단계(ST)가 5 내지 30단인 경우는, 모터(4)에 흐르는 전류가 단계마다 커지도록 제어되어, 모터(4)가 토크 제어된다. 각 단계(ST)에 따른 듀티비(Dst)는, 단계(ST)에 대하여 기준으로 되는 권사 직경 (예를 들어 스풀 몸통 직경)에서의 값이고, 듀티비(Dst)는 권사 직경이 커지면 권사 직경에 비례하여 단계적으로 서서히 커진다. 이것에 의하여, 권사 직경에 따라서 토크가 커지고, 권사 직경이 커짐에 따라서 토크가 커지는 낚싯줄의 장력이 대략 일정하게 된다. 덧붙여 속도 일정 제어의 최고 단계 (ST = 4)의 최대치(DUst)나 토크 제어의 최고 단계 (ST = 30)에서의 최대 듀티비는, 85%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조정 레버(101)에 의한 조정 조작의 상한은 듀티비가 85%이다.
도 18의 스텝(S14)의 각 동작 모드 처리에서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S61)에서 스풀(3)의 회전 방향이 줄 방출 방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스풀 센서(102) 중 어느 한 쪽의 홀 소자가 먼저 펄스를 발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판단한다. 스풀(3)의 회전 방향이 줄 방출 방향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61)에서 스텝(S62)으로 이행한다. 스텝(S62)에서는 스풀 센서(102)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의 계수값이 감소할 때마다 계수값에 기초하여 릴 제어부(100) 내에 기억된 수심과 계수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읽어내어 수심 데이터(LX)를 산출한다. 이 수심 데이터(LX)가 스텝(S5)의 표시 처리에서 수심 표시부(98)의 중앙 부분에 큰 7세그멘트의 문자로 표시된다. 스텝(S63)에서는 이 수심 데이터(LX)의 송신 요구를 행한다.
스텝(S64)에서는 줄 보내기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65)에서는 물고기 서식층 정지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66)에서는 다른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각 동작 모드 처리를 끝내고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줄 보내기 모드일 때에는, 스텝(S64)에서 스텝(S67)으로 이행한다. 스텝(S67)에서는 수심 데이터(LX)가 6m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줄 보내기 모드에서는, 최초부터 모터(4)를 정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낚싯줄이 확실히 방출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수심까지 낚싯줄의 방출을 기다린다. 수심 데이터(LX)가 6m를 초과한 경우에는, 스텝(S68)으로 이행하고 모터(4)를 정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성 톱니바퀴 기구(40)와 스풀(3)과의 마찰이 작아져, 스풀(3)이 보다 고속으로 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수심 데이터(LX)가 6m 이하일 때는 스텝(S68)을 스킵한다.
물고기 서식층 정지 모드라고 판단하면 스텝(S65)에서 스텝(S69)으로 이행한다. 스텝(S69)에서는 얻어진 수심 데이터(LX)가 물고기 서식층 위치(M)에 일치하였는지, 즉, 채비가 물고기 서식층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물고기 서식층 위치는, 상술한 소정 시간 이상의 정지에 의한 자동 세트 외에, 채비가 물고기 서식층에 도달하였을 때에 메모 버튼(TB)을 누르는 것으로 세트된다. 채비가 물고기 서식층 위치에 도달하면 스텝(S69)에서 스텝(S70)으로 이행한다. 스텝(S70)에서는 채비가 물고기 서식층에 있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버저(106)를 울린다. 스텝(S71)에서는 모터(4)를 소정 시간 역회전시킨다. 이 때, 서서히 듀티비를 올려, 모터(4)에 인가하는 전압을 서서히 올려 간다. 이것에 의하여, 기구 장착축(75)에 충격에 의한 과대한 토크가 작용하기 어렵게 되어, 모터(4)의 출력축(30)에 장착된 기구 장착축(75)이 공회전하기 어렵게 된다. 이 모터(4)의 역회전에 의하여, 상술한 동작으로 제1 클러치 반환 기구(11)에 의하여 클러치 전환 기구(8)를 통하여 클러치 기구(7)를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이 정지한다. 수심 데이터(LX)가 물고기 서식층 위치(M)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S70, S71)을 스킵한다. 다른 모드라고 판단하면 스텝(S66)에서 스텝(S72)으로 이행하여, 설정된 다른 모드 처리를 실행한다.
스풀(3)의 회전이 줄 감기 방향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61)에서 스텝(S73)으로 이행한다. 스텝(S73)에서는, 스풀 센서(102)의 계수값이 증가할 때마다 릴 제 어부(100) 내에 기억된 데이터를 읽어내어 수심 데이터(LX)를 산출한다. 이 수심이 스텝(S5)의 표시 처리에서 표시된다. 스텝(S74)에서는 스텝(S63)과 마찬가지로 송신 요구를 출력한다. 스텝(S75)에서는 오토 유인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오토 유인 모드는 어탐 모니터(120)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 오토 유인 모드 또는 유인 모드 (후술)를 설정하면 나아가, 유인 모드 또는 오토 유인 모드의 유인 동작을 행하는 범위인 유인 폭과, 모터(4)를 온/오프하는 간격에 의한 유인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유인 폭을 설정하면,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탐 모니터(120) 측에 유인 폭(SA)이 빗금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심에 따른 위치에 표시된다. 덧붙여 어탐 모니터(120)에는, 도 29에 도시하는 어탐 화면에서 그 외에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출력되는 물고기 서식층 위치(ED3)나 수심 데이터(LX)에 의한 채비의 위치(FL)나 해저(ED2)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어탐 모니터(120) 측에서의 메뉴 화면에서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토 유인의 설정이나 유인 폭(SA)을 포함하는 전동 릴(1) 측의 각종 설정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텝(S76)에서는, 유인 모드가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유인 모드는, 어탐 모니터(120)의 유인 온/오프 버튼(134)이 조작되면, 그 수심으로부터 설정된 유인 폭의 범위에서 설정된 유인 패턴으로 유인 동작을 행하는 모드이다. 스텝(S77)에서는 뱃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오토 유인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75)에서 스텝(S78)으로 이행한다. 스텝(S78)에서는 오토 유인 처리 (도 22에 도시)가 실행된다. 이 오토 유인 처리는, 물고기 서식층 위치(M)로부터 설정된 유인 패턴에 의하여 설정된 범위 (유인 폭(SA))에서 모터(4)를 온/오프하는 유인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S90, 도 22)에서 수심 데이터(LX)가 물고기 서식층 위치(M)보다 유인 폭(SA)을 초과하여 감기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채비가 유인 폭(SA) 안에 있는 경우에는 스텝(S91)으로 이행한다. 스텝(S91)에서는 유인시의 1회의 감아 올리는 시간을 규정하는 유인 횟수를 설정하는 타이머(TN)가 온 (스타트)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타이머(TN)의 값은 유인 패턴에 의하여 달라지는 것이 된다. 이 타이머(TN)가 스타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처음으로 유인 동작을 행한다고 말할 수 있다. 타이머(TN)가 온하고 있지 않을 때는 스텝(S92)으로 이행하여 타이머(TN)를 온한다 (스타트시킨다). 스텝(S93)에서는, 모터(4)의 듀티비(D1)를 듀티비(DN)로 세트하고, 모터(4)를 유인 패턴에 따른 속도로 속도 제어한다. 이 속도 제어의 처리 내용은 모터 구동 처리에 의한 제어 내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듀티비(DN)도 유인 패턴에 의하여 달라지는 것이다. 타이머(TN)가 이미 온하고 있을 때는, 스텝(S92)을 스킵한다. 스텝(S94)에서는 타이머(TN)가 시간이 만료하고 있는지, 유인 패턴에 따른 시간에서 1회의 감아 올리기를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1회의 감아 올리기 동작이 끝나면, 스텝(S95)으로 이행하여, 모터(4)의 듀티비(D1)를 0으로 하여 모터(4)를 소정 시간 정지시킨다. 스텝(S96)에서는 타이머(TN)를 오프한다. 채비가 유인 폭(SA)을 지난 경우에는, 스텝(S97)로 이행하여 변수(N)를 0으로 클리어하여 각 모드 동작 처리로 되돌아온다. 각 동작 모드 처리 로 되돌아오면 계속하여 뱃전까지 모터(4)의 감아 올리기 처리가 행해진다.
유인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76)에서 스텝(S79)으로 이행한다. 스텝(S79)에서는 유인 처리 (도 23에 도시)가 실행된다. 이 유인 처리는, 유인 온/오프 버튼(134)이 조작되었을 때의 개시 수심(RLX)으로부터 설정된 유인 패턴에 의하여 설정된 범위 (유인 폭(SA))에서 모터(4)를 온/오프하는 유인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S99, 도 23)에서, 유인 온/오프 버튼(134)이 눌려진 것을 수신 수단에서 수신하여 유인 모드로 들어간 것을 표시하는 유인 플래그(IF)가 온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유인 온/오프 버튼(134)이 조작된 후에 처음으로 유인 모드 처리로 들어갔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행해지고 있다. 유인 플래그(IF)가 온하고 있지 않을 때, 즉, 처음으로 유인 모드로 들어갔을 때는, 스텝(S100)으로 이행하여 유인 플래그(IF)를 온한다. 스텝(S101)에서는 그 때의 수심 데이터(LX)를 개시 수심(RLX)으로 세트한다. 유인 플래그(IF)가 이미 온하고 있을 때는, 이들 2개의 스텝을 스킵하여 스텝(S102)으로 이행한다. 스텝(S102)에서 스텝(S108)까지의 처리 내용은, 오토 유인 모드의 스텝(S90)에서 스텝(S97)과 개시 수심(RLX)과 물고기 서식층 위치(M)가 다를 뿐 그 외는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유인 폭(SA)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뱃전까지 유인 동작이 행해진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오토 유인 모드 및 유인 모드일 때에, 유인 횟수에 의하여 동일한 감아 올리기 시간 또한 동일한 정지 시간으로 스풀(3)을 회전시켜 낚싯줄을 감아 내고 있다. 그러나 유인 패턴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가변 올리기 시간과 가변 정지 시간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유인 중에 속도도 가변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뱃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77, 도 21)에서 스텝(S80)으로 이행한다. 스텝(S80)에서는 수심이 뱃전 정지 위치에 일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뱃전 정지 위치까지 감아 올리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온다. 뱃전 정지 위치에 도달하면 스텝(S80)에서 스텝(S81)으로 이행한다. 스텝(S81)에서는 채비가 뱃전에 있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버저(106)를 울린다. 스텝(S82)에서는 모터(4)를 오프한다. 이것에 의하여 물고기를 낚았을 때에 잡기 쉬운 위치에 물고기가 배치된다. 이 뱃전 정지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심 6m 이하에서 소정 시간 이상 스풀(3)이 정지하고 있으면 세트된다.
도 18의 스텝(S8)의 전원 전압 검지 처리에서는, 도 24의 스텝(S110)에서 전원 전압(PV)을 받아들인다. 스텝(S111)에서는, 예를 들어 모터(4)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모터(4)가 회전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모터(4)가 회전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S112)으로 이행한다. 스텝(S112)에서는 전원 전압(PV)이 허용 최고 전압(Vh2, 예를 들어 18볼트)을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원 전압(PV)이 허용 최고 전압(Vh2)을 초과하고 있으면, 스텝(S112)에서 스텝(S113)으로 이행한다. 스텝(S113)에서는 허용 최고 전압(Vh2)을 초과하고 있는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T1)가 이미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타이머(T1)에 의하여, 예를 들어, 배낚시에서 공통의 전원을 복수의 전동 릴에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 순간적인 돌입 전압에 의한 전압 상승을 배제할 수 있다. 타이머(T1)가 아 직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스텝(S114)으로 이행하여 타이머(T1)를 세트한다. 이 타이머(T1)의 값은, 예를 들어, 0.1초에서 1초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에 있으면, 예를 들어 전압 상승이 계속되어도 전기 기기에 대한 손상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타이머(T1)가 이미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114)을 스킵한다. 스텝(S115)에서는 타이머(T1)가 시간이 만료하였는지의 여부, 즉 전원 전압(PV)이 시간(T1) 동안 계속하여 허용 최고 전압(Vh2)를 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원 전압(PV)가 시간(T1) 동안 계속하여 허용 최고 전압(Vh2)을 초과한 경우에는, 스텝(S116)으로 이행하여 수심 표시부(98)의 수심 표시 부분(98a)에 수심 표시를 대신하여, 예를 들어 Err1의 문자를 표시한다. 스텝(S117)에서는, 그 후, 전원 전압이 허용 최고 전압(Vh2) 이하로 내릴 때까지 모터(4)에 대한 조정 레버(101)나 빨리 감기 버튼(HB)에 의한 조작을 무효로 하여 모터(4)의 구동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 플래그(FP)를 세트 (온)한다. 스텝(S118)에서는 타이머(T1)를 리셋하여 스텝(S121)으로 이행한다.
전원 전압(PV)이 허용 최고 전압(Vh2) 이하인 경우는, 스텝(S112)에서 스텝(S119)으로 이행한다. 스텝(S119)에서는 금지 플래그(FP)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것에 의하여, 전압 초과에 의하여 금지 상태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금지 플래그(FP)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S120)으로 이행하여 금지 플래그(FP)를 리셋 (오프)하고 스텝(121)으로 이행한다. 즉, 모터 구동 금지 상태에서 전원 전압(PV)이 허용 최고 전압(Vh2) 이하가 되면 모터 구동 금지가 해제된다.
스텝(S121)에서는, 전원 전압(PV)이 허용 최저 전압(Vm, 예를 들어 9 볼트) 미만으로 저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전원 전압(PV)이 허용 최저 전압 이상인 경우는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전원 전압(PV)이 허용 최저 전압(Vm) 미만으로 저하하면, 스텝(S121)에서 스텝(S122)으로 이행한다. 스텝(S122)에서는 허용 최저 전압(Vm)을 하회하고 있는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T2)가 이미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타이머(T2)에 의하여, 예를 들어, 부하의 증가에 의한 순간적인 전압 저하를 배제할 수 있다. 타이머(T2)가 아직 세트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스텝(S123)으로 이행하여 타이머(T2)를 세트한다. 이 타이머(T2)의 값은, 예를 들어, 0.1초에서 1초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에 있으면 순간적인 전압 저하를 확실히 배제할 수 있다. 타이머(T2)가 이미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123)을 스킵한다. 스텝(S124)에서는 타이머(T2)가 시간이 만료하였는지의 여부, 즉 전원 전압(PV)이 시간(T2) 동안 계속하여 허용 최저 전압(Vm)을 하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원 전압(PV)이 시간(T2) 동안 계속하여 허용 최저 전압(Vh2)을 하회한 경우에는, 스텝(S125)으로 이행하여, 예를 들어 수심 표시부(98)의 전원 도형(98c)을 점멸시킨다. 스텝(S126)에서는 타이머(T2)를 리셋하여 메인 루틴으로 되돌아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전동 릴에서는, 모터(4)의 역회전에 의하여 연동 기구(89)를 동작시켜 클러치 온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에만, 압압 기구(88)에 의하여 연동 기구(89)를 압압하여 압압 기구(88)를 이반시키고 있기 때문에, 모터(4)와 연동 기구(89)를 상시 연동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클러치 전환 기구 (8)를 수동 조작하여 클러치 기구(7)를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 클러치 온 상태로 전환할 때에는 모터(4)가 회전하지 않게 되어, 수동에 의한 복귀 조작을 행하기 쉽게 된다.
또한 모터(4)가 정회전하면, 톱니 멈춤쇠 제어 기구(84)에 의하여 요동 톱니 멈춤쇠(82)가 래칫(81)을 교차하는 위치까지 요동하기 때문에, 모터(4)의 정회전시에 역회전 방지를 위한 요동 톱니 멈춤쇠(82)가 진동하지 않게 되어 정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압압 기구(88)의 압압 부재(91)와 출력축(30) 간에 롤러 클러치(90)를 설치하여 출력축(30)의 정회전을 압압 부재(91)에 전달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줄 보내기 모드일 때에, 압압 부재(91)가 연동 기구(89)에 접촉하여도 압압하지 않게 되어, 줄 보내기 모드를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모터(4)의 역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복귀 조작시에, 모터(4)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1 전압(V1)에서 제2 전압(V2)으로 서서히 상승시키고 있기 때문에, 회전 기동시부터 전환 동작 개시시에 걸쳐 충격적인 토크 하중이 되지 않고, 모터(4)의 출력축(30)에 고정된 기구 장착축(75)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기구 장착축(75)의 공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투입시에, 전원 전압을 검출하여 전원 전압이 높을 때에, 듀티비(D1) 등을 검출된 전원 전압에 따라서 보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듀티비가 보정 전에 비하여 작은 값이 되어, 전원 전압이 상승하여도 정회전시의 모터(4)의 각 설정단의 회전 상태나 역회전시의 회전 상태를 가급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 다. 게다가 전원 투입 후에 즉시 전원 전압을 검지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된 전원 전압과 소정 전압 간의 비교에 의하여 다른 타입의 전원이 접속된 것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조정 레버(101)의 소정 시간 내의 요동 개시 위치로의 클릭 조작이라고 하는 오동작하기 어려운 특별한 조작에 의하여, 뱃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어도 기준 줄길이에서 줄 감기 방향으로 모터(4)를 구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오조작에 의한 수선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기준 줄 길이에서 감아 올리는 측으로 스풀(3)을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모터(4)가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의 전원 전압에 의하여 전원 전압의 이상을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 중인 전원 이상에 의하여 모터(4)의 회전이 정지하는 일이 없다. 게다가 모터(4)가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는 전원 전압에 대한 판단을 상시 행하기 때문에 사용 중의 전원 전압의 이상에 의한 기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또한 N단계 중 최초의 M단 (예를 들어 4단)까지의 낮은 단계에서는, 단계마다 속도가 빨라지도록 설정된 목표 속도에 검출된 속도가 되도록 모터가 속도 제어되기 때문에, 낮은 단계에서 각 단에 따른 목표 속도로 모터가 제어된다. 또한 높은 단계 (예를 들어 5단에서 30단)에서는 모터가 토크 제어된다. 이 때문에, 낮은 단계에서는 부하가 커도 모터의 회전이 멈추기 어렵게 되는 것과 함께, 부하가 작아도 모터가 고속 회전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낮은 단계에서 모터의 회전이 안정된다.
〔어탐 모니터의 제어 동작〕
다음으로, 어탐 모니터(120)의 정보 표시 제어부(124)의 구체적인 제어 동작에 대하여,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하는 제어 플로차트 및 도 28 이후에 도시하는 표시 화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이후의 설명에서는 어탐 모니터(120)에 전동 릴(1)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어탐 모니터(120)에 전원 코드(130)가 접속되면, 도 25의 스텝(P1)에서 초기 설정이 이루어진다. 이 초기 설정 처리에서는, 이어지는 표시 처리에서 표시 모드가 오프닝 화면을 표시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채비의 수심 데이터(LX)의 보정 계수(K)가 1로 세트된다. 스텝(P2)에서는, 어군 탐지기(140)로부터의 어탐 데이터 (구체적으로는, 낚시터의 해저의 수심의 에코 데이터(ED2), 물고기 서식층 위치의 에코 데이터(ED3) 및 바닥의 수심의 수치 데이터(ED4))를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어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는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어탐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는 스텝(P3)으로 이행하여, 수신한 어탐 데이터(ED2 ~ ED4)를 받아들여, 기억부(126)에 격납한다. 스텝(P4)에서는 전동 릴(1)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동 릴(1)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P5)으로 이행하여, 전동 릴(1)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표시하는 플래그(NC)를 온한다. 전동 릴(1)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P4)에서 스텝(P6)으로 이행하여 플래그(NC)를 오프한다. 스텝(P7)에서는 전동 릴(1)로부터 송신되는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나 설정 데이터 등의 릴 데이터를 받아들인다.
스텝(P8)에서는 표시 처리 (도 26에 도시, 후술)를 행한다. 이 표시 처리에 서는, 오프닝 화면에 더하여 전동 릴(1)로부터 얻어진 수심 데이터(LX)나 어군 탐지기(140)로부터의 어탐 데이터(ED2 ~ ED4)를 표시하는 어탐 화면(210, 도 29에 도시)과, 각종 설정을 행하는 메뉴 화면(200, 도 28에 도시)으로 전환한다. 스텝(P9)에서는 조작키부(123)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P10)에서는 설정된 항목 등을 전동 릴(1)에 송신하는 송신 요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P11)에서는, 예를 들어, 은폐 명령에 의한 유지 관리 처리 등의 기타 처리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이 'No'인 경우, 스텝(P2)으로 되돌아온다. 조작키부(123)가 조작된 경우는, 스텝(P9)에서 스텝(P12)으로 이행하여, 키 입력 처리 (후술)를 행한다. 송신 요구가 있었던 경우는, 스텝(P10)에서 스텝(P13)으로 이행하여, 메뉴 처리 (후술)에서 설정된 설정 데이터를 정보 통신부(125)를 통하여 전동 릴(1)에 송신한다. 다른 처리가 선택되면, 스텝(P11)에서 스텝(P14)으로 이행하여, 지정된 다른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P2)으로 되돌아온다.
스텝(P8)의 표시 처리에서는, 오프닝 화면이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스텝(P21, 도 26)에서 판단한다. 이 오프닝 화면은 전원 코드(130)가 접속되어 전원이 투입되면 한 번만 표시된다. 스텝(P22)에서는 화면 전환 버튼(131)에 의하여 메뉴 화면이 설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P23)에서는 화면 전환 버튼(131)에 의하여 어탐 화면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어탐 화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메인 루틴 (도 25에 도시)으로 되돌아온다.
오프닝 화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P21)에서 스텝(P25)으로 이행하여 오프닝 화면을 표시한다. 메뉴 화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P22)에서 스텝(P26)으로 이행한다. 스텝(P26)에서는 메뉴 화면(200, 도 28에 도시)을 표시한다. 이 메뉴 화면(200)에서는, 화면의 좌측 상부에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의 수신 상태(201)를 표시한다. 덧붙여 이 전파의 수신 상태(201)는 안테나 마크(201a)와 3개 선(201b)으로 표시되고, 이 표시는 모든 표시 모드에서 표시된다. 그 아래에는, 전동 릴(1)의 각종 모드의 설정 항목(202, 구체적으로는, 물고기 서식층 정지 모드, 유인 모드, 유인 폭, 오토 유인 모드, 줄 보내기 모드, 위 바닥 전환 및 입질 검지 모드) 및 그 설정 내용(203) 및 어탐 모니터(120)의 모드의 설정 항목(204, 구체적으로는 위치 보정 모드, 채비 궤적 모드, 데모 화면, 콘트라스트 및 백 라이트) 및 그 설정 내용(205)이 계층적으로 메뉴 표시되어 있다. 이들 설정 항목(202, 204)은 커서 버튼(132)에 의하여 선택되고, 결정 버튼(133)에 의하여 설정 내용이 확정된다. 유인 모드가 선택되면, OFF와 5개의 유인 패턴(1, 2, 3, 4, 5)의 합계 6개의 팝업 메뉴가 표시된다. 여기서, 5개의 유인 패턴 중, 1, 2, 3의 3개의 패턴은 이미 결정된 유인 패턴이고, 4, 5는 학습에 의하여 등록 가능한 유인 패턴이다. 미리 결정된 3개의 유인 패턴은, 모터(4)의 회전 속도 및 감아 올리는 시간의 정지 시간의 2개의 요소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유인 모드 또는 오토 유인 모드일 때에는, 모터(4)는 속도 일정 제어된다. 유인 학습에서 학습된 유인 패턴은, 그 때의 유인 조작 내용에 따라서 2개의 요소 (상술)로 규정된다. 또한 전동 릴(1)의 설정 내용은, 전동 릴(1)에서 설정된 경우에는, 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 내용이 메뉴 화면의 설정 내용에 반영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위치 보정은, 전동 릴로부터 얻어진 채비의 수심 데이터를 보정하고 싶을 때에 설정된다. 또한 채비의 궤적은, 채비의 수심 데이터의 시계열적인 변화의 궤적을 표시하고 싶을 때에 설정된다. 또한 유인 모드는, 유인 온/오프 버튼(134)이 조작된 수심으로부터 유인 동작을 행하고 싶을 때에 설정된다. 오토 유인 모드는, 물고기 서식층 정지 위치로부터 유인 동작을 행하고 싶을 때에 설정된다.
어탐 화면(22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P23)에서 스텝(P27)으로 이행한다. 스텝(P27)에서는, 플래그(NC)에 의하여 전동 릴(1)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동 릴(1)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P27)에서 스텝(P28)으로 이행한다. 스텝(P28)에서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어탐 화면(210)을 표시한다. 스텝(P28)에서는, 어탐 화면(210)의 우단에 수심의 스케일(SC)을 표시하는 것과 함께, 스케일(SC)의 우측 횡단에 전동 릴(1)로부터 얻어진 채비의 수심 데이터(LX)에 보정 계수(K)를 곱한 값 (K × LX)을, 예를 들어, 채비를 심볼화한 바늘의 도형(FL)으로 수심에 따른 위치에 표시한다. 덧붙여 이 실시예에서는, 보정 전은 보정 계수가 1로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보정 전의 수심 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는 것이 되지만, 보정을 행하기 전은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를 그대로 표시하고, 보정을 행한 후는 보정된 수심 데이터(K × LX)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수신한 해저의 수심의 에코 데이터(ED2) 및 물고기 서식층 위치의 에코 데이터(ED3)를 스케일(SC)의 좌측의 수심에 따른 위치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해저의 수심 데이터의 수치(ED4)를 어탐 화면(210)의 좌측 하방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어탐 화면(210)의 좌측 위에 채비의 수심 데 이터(K × LX)의 수치(LXn)도 표시한다. 나아가 또한 물고기 서식층 타이머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자동 설정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채비의 정지 시간)의 값도 수심 데이터(LXn) 아래에 표시된다.
스텝(P29)에서는 메뉴 화면(200)과 마찬가지로 어군 탐지기(140)로부터의 전파의 수신 상태(201)를 안테나 마크(201a)와 3개 선(201b)으로 어탐 화면(210)의 좌측 상부에 표시한다. 스텝(P30)에서는 채비의 궤적의 표시 설정이 온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설정은, 메뉴 화면(200)에서 채비 궤적이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판단한다. 채비 궤적 표시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P31)로 이행한다. 스텝(P31)에서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채비의 수심 데이터(K × LX)의 시계열적인 변화인 채비의 궤적(TR)을 도트 표시한다. 스텝(P32)에서는 유인 모드의 유인 폭(SA)을 스케일(SC)의 우측에 빗금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한다. 이 표시는 유인 모드나 오토 유인 모드가 오프인 경우는 표시되지 않는다.
스텝(P33)에서는 확대 표시 모드가 세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키 입력 처리에서 화면 전환 버튼(131)을 3초 이상 길에 누르면 확대 표시 모드를 세트할 수 있다. 스텝(P34)에서는 다른 표시 처리를 행한다. 다른 표시 처리에서는,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조작의 설명문(206) 등을 어탐 화면(210) 내에 부착하여 표시한다. 이것에 의하여, 정보가 어탐 화면에 파묻히는 일 없이 표시되어, 조작자가 조작의 의미를 즉각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처음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도 안심하고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전동 릴(1)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P27)에서 스텝(P35)으로 이행한다. 스텝(P35)에서는 수심 데이터(K × LX)를 제외한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만을 표시한다. 스텝(P36)에서는 스텝(S29)과 마찬가지로 전파 상태를 표시하여 스텝(P33)으로 이행한다.
확대 표시 모드가 세트되어 있으면, 스텝(P33)에서 스텝(P37)으로 이행하여 확대 화면(220)을 표시한다. 확대 화면(220)에서는,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케일(SC)의 최대치의 절반의 수심으로부터의 수심에 대응한 위치에 데이터(ED2, ED3)나 도형(FL)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하여, 수심이 깊은 장소에서도 표시를 크게 할 수 있어, 바닥 부근의 표시가 보기 쉽게 된다.
이러한 어탐 화면(210)에서는, 전동 릴(1)이 접속되면, 채비의 수심 데이터가 도형(FL)으로 해저의 수심 데이터(ED2) 및 물고기 서식층 위치의 수심 데이터(ED3)와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물고기 서식층에 대한 채비의 위치를 순간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유인하는 타이밍을 확실히 판단할 수 있다.
도 25의 스텝(P9)에 있어서, 조작키부(123)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조작되면 스텝(P9)에서 스텝(P12)으로 이행하여 키 입력 처리 (도 27에 도시)를 실행한다. 키 입력 처리에서는, 스텝(P41, 도 27)에서 화면 전환 버튼(131)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P42)에서는 커서 버튼(132)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P43)에서는 결정 버튼(133)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P44)에서는 유인 온/오프 버튼(134)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P45)에서는 온/오프 버튼(135)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화면 전환 버튼(131)이 조작되면, 스텝(P41)에서 스텝(P50)으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P50)에는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전동 릴(1)의 모터(4)가 회전하고 있는 경우는, 이 화면 전환 버튼(131)의 키 입력은 무효가 된다. 이것은 감아 올리는 중에는, 화면을 전환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스텝(P50)에서는, 예를 들어 3초 이상의 길이로 화면 전환 버튼(131)이 길게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화면 전환 버튼(131)이 길게 눌려졌다고 판단하면, 스텝(P50)에서 스텝(P51)으로 이행한다. 스텝(P51)에서는 확대 표시 모드를 세트한다. 이것에 의하여, 표시 처리 (상술)에서, 어탐 화면(210)에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수면으로부터의 수심이 아니라, 스텝(S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바닥까지의 수심의 대략 절반의 수심으로부터 표시한다. 덧붙여 길게 누르는 조작을 행할 때마다, 확대 표시 모드와 표준 표시 모드를 교대로 설정할 수 있다. 길게 누르지 않은 경우는, 스텝(P50)에서 스텝(P52)으로 이행한다. 스텝(P52)에서는 오프닝 화면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오프닝 화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P54b)으로 이행하여 표시 모드를 메뉴 화면에 설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텝(P8, 도25)의 표시 처리에서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오프닝 화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P53)으로 이행하여 메뉴 화면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메뉴 화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P54a)으로 이행하여 표시 모드를 어탐 화면에 설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텝(P8)의 표시 처리에서 어탐 화면이 표시된다. 메뉴 화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P54b)으로 이행하여 표시 모드를 메뉴 화면에 설정한다. 이러한 처리가 끝나면 스텝(P42)으로 이행한다.
커서 버튼(132)이 조작되면 스텝(P42)에서 스텝(P55)으로 이행한다. 스텝(P55)에서는, 조작된 커서 버튼(132)의 조작 방향에 따라서 메뉴 화면에서 설정 항목이나 설정 내용에서 커서를 하나씩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유인 모드나 오토 유인 모드의 온/오프 등이 설정된다. 유인 모드 또는 오토 유인 모드가 설정된 경우는, 유인 폭(SA, 상술)을 설정할 수 있다. 유인 폭을 설정할 때에는, 유인 폭의 수치의 장소로 커서를 이동하고, 커서 버튼(132)의 상하 조작에 의하여 수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유인 패턴의 설정시에는, 유인 패턴의 표시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ON, OFF와 패턴(1) 내지 패턴(5)의 문자가 팝업 메뉴로 상하로 표시되고, 그 중 어느 하나에 커서를 맞추어 결정 버튼(133)을 누르면, 그 패턴이 설정된다. 덧붙여 패턴(4) 및 패턴(5)을 선택하면 유인 패턴을 한층 더 학습할 수 있다.
결정 버튼(133)이 조작되면 스텝(P43)에서 스텝(P56)으로 이행한다. 스텝(P56)에서는 어탐 화면(210)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어탐 화면(210)이라고 판단하면 스텝(P57)으로 이행한다. 스텝(P57)에서는 위치 보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위치 보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P58)으로 이행하여 위치 보정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어탐 화면일 때에 결정 버튼(133)을 조작하면 보정 개시 신호가 출력되어 보정 처리가 행해진다.
통상, 이 조작은, 낚시꾼이 채비를 바닥까지 내리는 바닥 위치 파악시에, 채비의 수심 데이터(LX)가 실제의 해저 데이터(ED2)와 크게 변화하여 표시에 모순이 생긴 경우에 행해진다. 예를 들어, 실제 해저의 수심(ED2)은 73미터인데 대하여, 해류 등의 영향에 의하여 채비가 해저에 도달하였을 때에 수심 데이터(LX)는 85m 방출되었을 때, 낚시꾼이 결정 버튼(133)을 조작하면, 스텝(P56)을 경유하여 스텝(P57)으로 이행하고, 이 타이밍에서 수신한 실제 해저의 수심 데이터(ED2)를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로 나누어 보정 계수(K)를 산출한다. 이 보정 계수(K)가 표시 처리에서 수심 데이터(LX)에 곱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의 경우, 보정 계수(K)가 73/85이 되고,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는, 그 후는 다음의 보정 처리가 행해질 때까지 이 보정 계수(K)를 곱하여 표시된다. 이 결과, 도형(FL)으로 표시된 수심 데이터나 수치 표시의 데이터(LXn)가 보정되어 보정 수심 데이터 (= 73m)가 된다. 덧붙여 전원 코드(130)가 빠져 전원이 차단되면 보정 계수는 초기 설정에서 1로 세트된다. 또한 전동 릴(1) 측에서는 이러한 보정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것은, 전동 릴(1)에서 이러한 보정을 행하면, 낚싯줄을 감아 올릴때 뱃전 정지 위치 등이 보정분만큼 어긋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정은 어디까지나 어탐 모니터(120)만에서 행해진다.
스텝(P57)에서 위치 보정이 오프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P44)으로 이행한다. 어탐 화면(210)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P56)에서 스텝(P59)으로 이행한다. 스텝(P59)에서는 커서로 선택된 설정 항목의 내용을 결정하여 기억부(126)에 세트한다. 스텝(P60)에서는 설정 항목이 전동 릴(1)에 관한 것인지의 여부, 즉 전동 릴(1)에 송신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결정된 설정을 송신하도록 송신 요구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텝(P13)에서 전동 릴(1)에 설정 데이터가 송신되어, 전동 릴(1) 측에서는 스텝(S11, 도 18)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어탐 모니터(120)에서 설정된 각종 모드를 전동 릴(1) 측에 세트한다.
유인 온/오프 버튼(134)이 조작되면 스텝(P44)에서 스텝(P62)으로 이행한다. 스텝(P62)에서는, 모터(4)를 설정된 유인 폭에서 설정된 유인 패턴으로 온/오프하도록 같은 송신 요구를 출력한다.
온/오프 버튼(135)이 조작되면 스텝(P45)에서 스텝(P63)으로 이행한다. 스텝(P63)에서는 모니터 표시부(122)가 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모니터 표시부(122)가 아직 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P64)으로 이행하여 모니터 표시부(51)를 온한다. 모니터 표시부(122)가 이미 온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P65)으로 이행하여 모니터 표시부(122)를 오프한다.
여기에서는, 전동 릴(1)로부터 얻어진 채비의 수심 데이터(LX)와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얻어진 비교적 정확한 해저의 수심 데이터(ED2)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수심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고, 보정 제1 수심 데이터를 모니터 표시부(51)에 표시하기 때문에, 낚싯줄이 조수의 흐름에 의하여 만곡하여도 채비의 수심을 보다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채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수심 데이터(LXn)나 바닥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수심 데이터가 수치(ED4)가 아니라 도형(ED2)으로 수심에 따른 위치에 표시되기 때문에, 채비의 위치와 바닥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순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출력된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수심 데이터(ED3)도 제1 및 제2 수심 데이터(FL, ED2)와 함께 수심에 따른 위치에 표시되기 때문에, 물고기 서식층 위치가 시시각각 변화하 여도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채비와 물고기 서식층 위치와의 관계가 도형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채비가 정확하게 물고기 서식층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가 일목요연하게 된다.
또한 유인 폭을 설정하여 유인 모드나 오토 유인 모드일 때에, 유인을 개시하면 설정된 유인 폭 안에서만 유인 패턴에 따른 온/오프 제어를 행하는 유인 모드가 행해지기 때문에, 유인 폭을 물고기가 군집하고 있는 물고기 서식층의 폭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물고기 서식층에서만 효율적으로 유인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인 동작을 개시하여도 유인 폭만큼의 감아 올리는 것을 종료하면 유인 동작이 자동적으로 종료하기 때문에, 이 종료한 시점에서 낚싯줄을 감아 올리는 것에 의하여 불필요한 모터의 온/오프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지고, 간단한 조작으로 감아 올리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편의적으로 어탐 모니터측에서 유인 폭이나 유인 패턴의 설정을 행하였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어군 탐지기(140)로부터의 화면 표시나 릴의 각종 설정을 어탐 모니터를 이용하지 않고 전동 릴 측에서 모두 행하고 있다. 덧붙여 이후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하고 동일 또는 같은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1에 있어서, 전동 릴(250)은, 주로 핸들(252a)이 장착된 릴 본체(252)와, 릴 본체(25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253)과, 스풀(253) 내에 장착된 모터(254)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252)의 상부에는, 수심 표시부(298)를 가지는 카운터(255)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252)의 전측부에는, 스풀(253)을 가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정 레버(301)가, 후측부에는 클러치 기구(257, 후술)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한 클러치 조작 레버(300)가 각각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정 레버(301)는, 대략 140도의 범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조정 레버(301)의 요동축 (도시하지 않음)에는 전위차계(314, 도32)가 장착되며, 중심 부분에는 빨리 감기 버튼(302)이 설치되어 있다.
릴 본체(252)의 내부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회전 전달 기구와, 회전 전달 기구의 도중에 설치된 클러치 기구와, 클러치 기구를 전환하는 클러치 전환 기구와, 핸들(252a)의 줄 방출 방향의 역회전을 금지하는 제1 원웨이 클러치와, 모터(254)의 줄 방출 방향의 역회전을 금지하는 제2 원웨이 클러치와, 모터(254)의 역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제1 클러치 반환 기구와, 핸들(252a)의 줄감기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를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제2 클러치 반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카운터(255)는 낚싯줄의 선단에 장착된 채비의 수심이나 어군 탐지기(140)로부터의 낚시 정보를 표시하는 것과 함께, 모터(254)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255)에는,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나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수면으로부터와 바닥으로부터의 2개의 기준으로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수심 표시부(298)와, 수심 표시부(298)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스위치 로 이루어지는 조작키부(299)가 설치되어 있다.
수심 표시부(298)는, 예를 들어, 세로 160도트, 가로 120도트의 컬러 256 계조의 도트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하고 있다. 수심 표시부(298)에는 채비의 수심 데이터(LX)가 도형으로 표시되는 것과 함께,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어장의 바닥 위치의 에코 데이터, 바닥 위치의 수치 데이터 및 물고기 서식층 위치의 에코 데이터를 취득하면, 그것이 채비의 수심 데이터(LX)와 함께 표시된다. 또한 각종 모드 (물고기 서식층 정지 모드, 바닥으로부터 표시 모드, 줄 보내기 모드, 유인 모드 등)을 나타내는 문자나 도형 등이 표시된다.
조작키부(299)는 수심 표시부(298)의 하부에 나란히 배치된 5개의 버튼(331 ~ 335)을 가지고 있다. 화면 전환 버튼(331)은 수심 표시부(298)의 표시를 메뉴 표시와 낚시 표시로 전환하는 버튼이다. 커서 버튼(332)은 전동 릴(250)의 각종 설정을 행하는 메뉴 처리에 있어서 상하 좌우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결정 버튼(333)은 각종 설정시에 설정된 항목을 결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메모 버튼(334)은 물고기 서식층 위치나 바닥 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버튼이다. 유인 온/오프 버튼(335)은 유인 동작을 개시할 때에 사용되는 버튼이다.
또한 카운터(255)의 내부에는,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심 표시부(298)나 모터(254)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릴 제어부(310)가 설치되어 있다. 릴 제어부(310)에는, 조작키부(299)와, 스풀(253)의 회전수와 회전 방향을, 예를 들어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홀 소자로 검출하는 스풀 센서(312)와, 스풀(293)의 속도나 낚싯줄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 레버 (301)에 연결된 전위차계(314)와, 어군 탐지기(140)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정보 통신부(31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릴 제어부(310)에는, 각종 알림용의 버저(316)와, 수심 정보를 표시하는 수심 표시부(298)와,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317)와, 모터(254)를 펄스 폭 변조(PWM)한 듀티비로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318)와, 타 입출력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구성 요소는, 상기 제1 실시예와 같다. 다만, 정보 통신부(315)는 어군 탐지기(140)와의 사이에 특정 소전력 방식이나 Bluetooth(상표) 방식이나 무선 LAN 방식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릴 제어부(310)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도 33 이후의 제어 플로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동 릴에 외부 전원이 접속되면, 도 33의 스텝(S131)에서 초기 설정을 행한다. 이 초기 설정에서는 도 18의 스텝(S1)과 마찬가지로, 스풀 회전수의 계수값을 리셋하거나, 각종 변수나 플래그를 리셋하거나 한다. 스텝(S132) 내지 스텝(S134), 스텝(S136) 내지 스텝(S138), 스텝(S139), 스텝(S143) 내지 스텝(S147), 스텝(S149)의 처리는, 도 18의 스텝(S2) 내지 스텝(S4), 스텝(S6), 스텝(S7), 스텝(S9), 스텝(S10a), 스텝(S13) 내지 스텝(S17), 스텝(S20)과 같은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135)의 표시 처리에서는 표시 처리 (도 34에 도시)를 행한다. 스텝(S140)에서는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35)의 표시 처리에서는, 스텝(S161, 도 34)에서 메뉴 화면이 선택되 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메뉴 화면의 선택은 키 입력 처리의 화면 전환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행해진다. 메뉴 화면이 선택되면 스텝(S161)에서 스텝(S163)으로 이행하여 화면(400, 도 36에 도시)을 표시한다. 이 메뉴 화면(400)에서는, 메뉴 화면(200, 도 28)과 마찬가지로, 화면의 좌측 상부에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출력되는 전파의 수신 상태(401)를 표시한다. 덧붙여 이 전파의 수신 상태(401)는, 안테나 마크(401a)와 3개 선(401b)으로 표시되어, 이 표시는 모든 표시 모드에서 표시된다. 그 아래에는, 전동 릴(250)의 각종 모드의 설정 항목(402, 구체적으로는, 물고기 서식층 정지 모드, 유인 모드, 유인 폭, 오토 유인 모드, 줄 보내 모드, 위 바닥 전환, 확대 표시 모드, 위치 보정 모드, 채비 궤적 모드, 데모 화면, 콘트라스트 및 백 라이트) 및 그 설정 내용(403)이 계층적으로 메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확대 표시의 항목을 제외하고 하기와 같은 항목은 제1 실시예 (도 28에 도시)와 같고, 위치 보정은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얻어진 해저의 수심 데이터에 의하여 수심 데이터(LX)를 보정하고 싶을 때에 설정된다. 또한 채비 궤적은, 채비의 수심 데이터의 시계열적인 변화의 궤적을 표시하고 싶을 때에 설정된다. 또한 유인 모드는, 유인 온/오프 버튼(334)이 조작된 수심으로부터 유인 동작을 행하고 싶을 때에 설정된다. 오토 유인 모드는, 물고기 서식층 정지 위치로부터 유인 동작을 행하고 싶을 때에 설정된다. 확대 표시 모드는 화면 전환 버튼(131)을 길게 눌러 설정되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실시예에서는, 메뉴 화면에서 설정된다. 이 확대 표시 모드가 설정되면, 표시 처리에 있어서, 도 37에 도시하는 어탐 화면(420)에서 표시되는 스케일(SC)의 최대치(SCM)가 100m를 초과하여 표시되 면, 통상은 해면으로부터 어탐 데이터가 표시되지만, 최대치(SCM)의 절반의 수심으로부터 어탐 데이터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37에서는, 최대치(SCM)가 200m이기 때문에, 100m의 수심으로부터 어탐 데이터가 표시된다.
어탐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162)에서 스텝(S164)으로 이행한다. 스텝(S164)에서 스텝(S173)까지의 처리는, 도 26의 스텝(P27) 에서 스텝(P36)까지의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지만,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탐 화면(420)의 우단에 수심의 스케일(SC)을 표시하는 것과 함께, 스케일(SC)의 우측 횡단에 채비의 수심 데이터(LX)에 보정 계수(K)를 곱한 값 (K × LX)을, 예를 들어, 채비를 심볼화한 바늘의 도형(FL)으로 수심에 따른 위치에 표시한다. 덧붙여 보정을 행하기 전은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를 그대로 표시하고, 보정을 행한 후는 보정된 수심 데이터(K × LX)를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수신한 해저의 수심의 에코 데이터(ED2) 및 물고기 서식층 위치의 에코 데이터(ED3)를 스케일(SC)의 좌측의 수심에 따른 위치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해저의 수심 데이터의 수치(ED4)를 어탐 화면(420)의 좌측 하부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어탐 화면(420)의 좌측 상부에 채비의 수심 데이터(K × LX)의 수치(LXn)도 표시한다. 나아가 또한 물고기 서식층 타이머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자동 설정하기 위하여 설정되는 장치의 정지 시간)의 값도 수심 데이터(LXn) 아래에 표시된다. 또한 채비 궤적 표시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채비의 수심 데이터(K × LX)의 시계열적인 변화인 채비의 궤적(TR)을 도트로 표시하는 것과 함께, 유인 모드의 유인 폭(SA)을 스케일(SC)의 우측에 빗금으로 나타내도록 표시한다. 이 표시는 유인 모드나 오토 유인 모드가 오프인 경우는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스텝(S170)의 다른 표시 처리에 있어서, 어탐 화면(420)에서는, 전동 릴(250)의 모드 설정 내용이 화면의 좌측 중앙부 부근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물고기 서식층 정지 모드, 유인 모드, 줄 보내기 모드, 위로부터의 모드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수면으로부터 표시하는 모드) 및 위치 보정 모드가 도 37에 도시되어 있다. 이 설정된 모드의 표시는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표시되지 않는다.
확대 표시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S170)에서 스텝(S174)으로 이행한다. 스텝(S174)에서는, 어탐 화면 (후술)에서도 표시되는 수심을 나타내는 스케일(SC)의 최대치(SCM)가 100m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스케일(SC)은 수심 데이터(LX)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최대치(SCM)가 100m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는, 스텝(S175)으로 이행하여 확대 표시를 행한다. 이 확대 표시에서는,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스케일(SC)의 최대치의 절반의 수심으로부터의 수심에 대응한 위치에 데이터(ED2, ED3)나 도형(FL)이 표시된다. 이것에 의하여, 수심이 깊은 장소에서도 표시를 크게 할 수가 있어, 바닥 부근의 표시가 보기 쉽게 된다.
조작키부(299)나 조정 레버(301)나 빨리 감기 버튼(302)이 조작되면 스텝(S136)에서 스텝(S143)으로 이행한다. 스텝(S143)에서는 키 입력 처리 (도 35에 도시)가 행해진다. 키 입력 처리에서는 스텝(S181, 도 31)에서 화면 전환 버튼 (331)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82)에서는 커서 버튼(332)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83)에서는 결정 버튼(333)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84)에서는 유인 온/오프 버튼(334)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85)에서는 조정 레버(301)에 의하여 조작된 단계(ST)가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단계(ST)가 0일 때는, 스텝(S186)으로 이행하여 모터(254)를 정지 (오프)한다. 덧붙여 이미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그대로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스텝(S187)에서는 빨리 감기 버튼(302)의 조작이나 물고기 서식층 메모 버튼(334)의 조작이나 길게 누르는 조작 등의 다른 키 입력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키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스텝(S187)에서 스텝(S200)으로 이행하여 조작된 조작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빨리 감기 버튼(302)이 조작되면, 예를 들어 95% 듀티비로 모터(254)를 제어하고, 물고기 서식층 메모 버튼(334)이 조작되면, 물고기 서식층 위치나 바닥 위치를 세트한다. 예를 들어, 물고기 서식층 메모 버튼(334)이 길게 눌러지면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를 바닥 위치로 세트한다.
화면 전환 버튼(131)이 조작되면, 스텝(S181)에서 스텝(S190)으로 이행한다. 덧붙여 스텝(S190)에는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전동 릴(250)의 모터(254)가 회전하고 있는 경우는, 이 화면 전환 버튼(331)의 키 입력은 무효가 된다. 이것은 감아 올리기 중에는, 화면을 전환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스텝(S190)에서는, 예를 들어 3초 이상의 길이로 화면 전환 버튼(331)이 길게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화면 전환 버튼(331)을 길게 누르면, 채비의 수심 데이터(LX)를 0으로 하 는 0세트 처리를 행한다. 통상, 낚시꾼은 낚시 개시시 채비가 수면에 이르면 화면 전환 버튼(331)을 길게 눌러 0세트 처리한다. 길게 누르지 않은 경우는, 스텝(S190)에서 스텝(S192)으로 이행한다. 스텝(S192)에서는, 메뉴 화면, 어탐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전환하는 설정을 행한다. 이 화면 전환은, 화면 전환 버튼(331)을 조작할 때마다, 메뉴 화면(400)과 어탐 화면(420)을 교대로 설정할 수 있다. 이들의 설정에 의하여 표시 처리에 있어서 설정된 화면이 표시된다. 이러한 처리가 끝나면 스텝(S182)으로 이행한다.
커서 버튼(332)이 조작되면 스텝(S182)에서 스텝(S193)으로 이행한다. 스텝(S193)에서는 조작된 커서 버튼(332)의 조작 방향에 따라 메뉴 화면에서 설정 항목이나 설정 내용에서 커서를 하나씩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유인 모드나 오토 유인 모드의 온/오프 등이 설정된다. 유인 모드 또는 오토 유인 모드가 설정된 경우는, 유인 폭(SA, 상술)을 설정할 수 있다. 유인 폭을 설정할 때에는, 유인 폭의 수치의 장소에 커서를 이동하여, 커서 버튼(332)의 상하 조작에 의하여 수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유인 패턴의 설정 시에는, 유인 패턴의 표시 위치에 커서를 이동시키면, 패턴(1) 내지 패턴(5)의 문자가 팝업 메뉴로 상하로 표시되어, 그 중 어느 하나에 커서를 맞추어 결정 버튼(333)을 누르면, 그 패턴이 설정된다. 덧붙여 패턴(4) 및 패턴(5)을 선택하면 유인 패턴을 한층 더 학습할 수 있다.
결정 버튼(333)이 조작되면 스텝(S183)에서 스텝(S194)으로 이행한다. 스텝(S194)에서는 어탐 화면(420)인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어탐 화면(420)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195)으로 이행한다. 스텝(S195)에서는 위치 보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 는지 (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위치 보정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196)으로 이행하여 위치 보정을 행한다. 여기에서는, 어탐 화면일 때에 결정 버튼(333)을 조작하면 보정 개시 신호가 출력되어 보정 처리가 행해진다.
통상, 이 조작은, 어탐 모니터(120)를 사용하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채비의 수심 데이터(LX)가 실제의 해저 데이터(ED2)와 크게 변화하여 표시에 모순이 생긴 경우에 행해진다.
스텝(S195)에서 위치 보정이 오프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184)으로 이행한다. 어탐 화면(420)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194)에서 스텝(S197)으로 이행한다. 스텝(S197)에서는 커서로 선택된 설정 항목의 내용을 결정하여 기억부(317)에 세트하고, 스텝(S184)로 이행한다.
유인 온/오프 버튼(355)이 조작되면 스텝(S184)에서 스텝(S198)으로 이행한다. 스텝(S198)에서는, 모터(254)를 설정된 유인 폭에서 설정된 유인 패턴으로 온/오프하도록 유인 모드를 설정한다.
조정 레버(301)의 단계(ST)가 0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S185)에서 스텝(S199)으로 이행한다. 스텝(S199)에서는,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은 모터 구동 처리를 행하여 스텝(S187)으로 이행한다. 즉, 조정 레버(301)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모터(254)를 속도 제어 또는 토크 제어를 행한다. 덧붙여 속도 제어만을 행하여도 무방하며 토크 제어만을 행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에서도, 채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수심 데이터(LXn)나 바닥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수심 데이터가 수치(ED4)가 아니라 도형(ED2)으로 수심에 따른 위치 에 표시되기 때문에, 채비의 위치와 바닥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순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군 탐지기(140)로부터 출력된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수심 데이터(ED3)도 제1 및 제2 수심 데이터(FL, ED2)와 함께 수심에 따른 위치에 표시되기 때문에, 물고기 서식층 위치가 시시각각 변화하여도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채비와 물고기 서식층 위치와의 관계가 도형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채비가 정확하게 물고기 서식층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가 일목요연하게 된다.
또한 전동 릴(250)로부터 얻어진 채비의 수심 데이터(LX)와 어군 탐지기 (140)로부터 얻어진 비교적 정확한 해저의 수심 데이터(ED2)와에 근거하여 표시하는 수심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고, 보정 제1 수심 데이터를 수심 표시부(298)에 표시하기 때문에, 낚싯줄이 조수의 흐름에 의하여 만곡하여도 채비의 수심을 보다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보정 전의 수심 데이터(LX)도 기억부(317)에 항상 기억되어 있고, 낚싯줄의 굴곡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0세트 위치나 뱃전 정지 위치는, 보정 전의 수심 데이터(LX)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유인 폭을 설정하여 유인 모드나 오토 유인 모드시에, 유인를 개시하면 설정된 유인 폭의 사이에서만 유인 패턴에 따른 온/오프 제어를 행하는 유인 모드가 행해지기 때문에, 유인 폭을 물고기가 군집하고 있는 물고기 서식층의 폭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물고기 서식층에서만 효율적으로 유인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인 동작을 개시하여도 유인 폭만큼 감아 올리는 것을 종료하면 유인 동작이 자동적으로 종료하기 때문에, 이 종료한 시점에서 낚싯줄을 감아 올리는 것에 의하여 불필요한 모터의 온/오프 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져, 간단한 조작으로 감아 올리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바늘을 심볼화한 도형으로 채비를 나타내었지만, 도형의 형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지 원이나 사각의 도형으로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채비의 위치를 스케일(SC)의 우측 횡단에 표시하였지만, 좌측 횡단에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결정 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위치를 보정을 행하도록 하였지만, 보정 개시 수단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같이 수동 조작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수심 데이터의 증감을 감시하고, 어느 간격에서 제일 깊은 제1 수심 데이터를 전동 릴(1) 측의 해저로 인식하며, 그것과 제2 수심 데이터를 비교하여, 소정 이상 양자의 값이 어긋나 있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보정 개시 신호를 출력하여 보정을 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두 개의 실시예에서는, 어군 탐지기(140)로부터의 정보를 무선에 의하여 수신하였지만, 유선에 의하여 수신하여도 무방하다.
(e) 상기 두 개의 실시예에서는, 확대 표시 모드에 있어서, 바닥 수심의 절반의 수심으로부터 낚시 정보를 표시하였지만, 확대 표시 모드에 있어서의 낚시 정보의 표시 형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준 수심 (예를 들어 50m)을 설정하고, 그 수심보다 깊어지면, 바닥을 기준으로 하여 수심에 따라 서 다른 배율로 확대하여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는, 바닥의 수심이 80m인 경우에는, 80/50 = 1.6배로 확대 표시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f) 보정의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탐 모니터에 선택된 낚싯줄의 맵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하고, 그 맵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전동 릴(1)로부터는 스풀 카운터의 값을 수신하면 된다.
(g) 상기 실시예에서는, 혼신 방지를 위하여, 복수의 어군 탐지기(140)로부터의 전파가 있는 경우, 제일 강한 전파를 수신하고 다른 전파를 수신하지 않도록 구성하였지만, 어군 탐지기 측에서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어탐 모니터 측에서도 그것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어군 탐지기와 어탐 모니터에서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혼신을 방지하여도 무방하다.
(h)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동 릴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동의 양 베어링 릴(401)에도 본 발명의 낚시 정보 표시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양 베어링 릴(401)은, 핸들(402a)이 장착된 릴 본체(402)와, 릴 본체(40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403)을 가지고 있다. 또한 양 베어링 릴의 채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출력 가능하다.
덧붙여 도 38에서는, 채비의 수심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가지는 카운터가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카운터가 설치된 양 베어링 릴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어탐 모니터를 이용하지 않고 양 베어링 릴 측에서 어군 탐지기(140)로부터의 화면 표시나 릴의 각종 설정을 행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채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수심 데이터나 바닥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수심 데이터가 수치가 아니라 도형으로 수심에 따른 위치에 표시되기 때문에, 채비의 위치와 바닥의 위치와의 위치 관계를 순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군 탐지기로부터 출력된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수심 데이터도 제1 및 제2 수심 데이터와 함께 수심에 따른 위치에 표시되기 때문에, 물고기 서식층 위치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여도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채비와 물고기 서식층 위치와의 관계가 도형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채비가 정확하게 물고기 서식층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일목요연하게 된다. 나아가, 채비의 위치, 바닥 위치 및 물고기 서식층 위치가 시계열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그들의 변화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또한, 낚시용 릴과 별도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면적의 제한이 완화되어 보다 넓은 면적의 표시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낚시용 릴로부터 따로 놓아두어도 표시되는 수심 데이터를 눈으로 확인하기 쉽게 된다.

Claims (15)

  1. 스풀로부터 방출된 낚싯줄에 계지된 채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수심 데이터와, 어군 탐지기로부터 송신되는 낚시터의 바닥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수심 데이터를 표시 가능한 낚시 정보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심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낚시용 릴과 별도로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심 데이터를 접수하는 제1 접수 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심 데이터를 접수하는 제2 접수 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하게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접수된 상기 제1 및 제2 수심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수심에 따른 위치에 도형 표시시키는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어군 탐지기는 물고기가 군집하고 있는 어군의 물고기 서식층 위치를 나타내는 제3 수심 데이터를 출력 가능하고,
    상기 제2 접수 수단은, 출력된 상기 제3 수심 데이터를 접수하며,
    상기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수심 데이터에 더하여 상기 제3 수심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수심에 따른 위치에 도형 표시시키고,
    상기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수심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시계열적으로 도형 표시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2 및 제3 수심 데이터를 에코 데이터의 화상으로 도형 표시하고,
    상기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수심 데이터의 시계열적인 변화의 궤적을 상기 표시부의 상기 수심에 따른 위치에 도형 표시하는,
    낚시 정보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및/또는 제2 수심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수치 표시시키는, 낚시 정보 표시 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보정 개시 신호를 출력 가능한 보정 개시 수단과,
    상기 보정 개시 수단이 상기 보정 개시 신호를 출력하였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 접수 수단에서 접수한 상기 제1 수심 데이터 및 상기 제2 수심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수심 데이터를 보정하여 보정 제1 수심 데이터를 얻는 수심 데이터 보정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수심 데이터 표시 수단은, 상기 제1 접수 수단에서 접수한 제1 수심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것과 함께, 상기 수심 데이터 보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 수심 데이터가 보정되면, 상기 보정 제1 수심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낚시 정보 표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40098765A 2003-12-04 2004-11-29 낚시 정보 표시 장치 KR101114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05727 2003-12-04
JPJP-P-2003-00405726 2003-12-04
JP2003405727A JP4638668B2 (ja) 2003-12-04 2003-12-04 釣り情報表示装置
JP2003405726A JP4242756B2 (ja) 2003-12-04 2003-12-04 釣り情報表示装置
JP2004009177A JP2005201799A (ja) 2004-01-16 2004-01-16 釣り情報表示装置
JPJP-P-2004-00009177 2004-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443A KR20050054443A (ko) 2005-06-10
KR101114296B1 true KR101114296B1 (ko) 2012-03-05

Family

ID=34557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765A KR101114296B1 (ko) 2003-12-04 2004-11-29 낚시 정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61872B2 (ko)
EP (1) EP1548463B1 (ko)
KR (1) KR101114296B1 (ko)
CN (1) CN1623382B (ko)
AT (1) ATE391302T1 (ko)
DE (1) DE602004012830T2 (ko)
MY (1) MY138885A (ko)
SG (1) SG112957A1 (ko)
TW (1) TWI3366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89431B (en) * 2002-09-30 2007-11-11 Shimano Kk Fishing reel, fish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fishing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4535742B2 (ja) * 2004-02-03 2010-09-01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JP4334381B2 (ja) * 2004-03-25 2009-09-3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US8082100B2 (en) 2007-10-19 2011-12-20 Grace Ted V Watercraft automation and aquatic effort data utilization
JP5054553B2 (ja) * 2008-01-31 2012-10-2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情報表示装置
US9135731B2 (en) 2009-05-21 2015-09-15 Navico Holding As Systems, devices, methods for sensing and processing fishing related data
US8154953B1 (en) 2010-02-01 2012-04-10 Sims Henry F Remote controlled fish locating system
JP5460404B2 (ja) * 2010-03-24 2014-04-02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カウンタケース
JP5707074B2 (ja) * 2010-09-17 2015-04-22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JP5883241B2 (ja) * 2011-06-30 2016-03-09 株式会社シマノ カウンタケース取付構造
US8919034B2 (en) * 2012-01-03 2014-12-30 Fahad M. F. S. Alhuwaishel Fish trap system
US8934318B2 (en) * 2012-07-18 2015-01-13 Reelsonar, Inc. System and method for fish finding using a sonar device and a remote computing device
US9104697B2 (en) 2012-07-24 2015-08-11 Navico Holdings As Aquatic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20150223440A1 (en) * 2014-02-12 2015-08-13 Joseph H. Schmau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retaining and positioning fishing devices
JP6560903B2 (ja) * 2015-05-27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649801B2 (ja) * 2016-02-26 2020-02-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554059B2 (ja) * 2016-03-31 2019-07-3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US10365366B2 (en) 2016-06-21 2019-07-30 Navico Holding As Adjustable range viewing of sonar imagery during trip replay
TWI629230B (zh) * 2016-08-03 2018-07-11 冲壓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Reel device
US9986197B2 (en) 2016-08-24 2018-05-29 Navico Holding As Trip replay experience
JP7262167B2 (ja) * 2017-11-22 2023-04-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1872943B1 (ko) * 2017-11-27 2018-06-29 주식회사 씨투놀로지 이동객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JP7112306B2 (ja) * 2018-10-05 2022-08-03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
US11528897B1 (en) * 2019-06-19 2022-12-20 BlueBite Tension measuring system that determine tension on a fishing line
USD999650S1 (en) * 2019-11-05 2023-09-26 Jerry Petersen Fish finder picture frame
CN110954091B (zh) * 2019-12-05 2023-06-16 南京快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姿态检测的智能渔轮
US11473893B2 (en) * 2019-12-14 2022-10-18 Duane Adolph Silkworth Method to achieve a trolling depth by analyzing line angles
US11484018B2 (en) * 2020-07-07 2022-11-01 Pure Hope Investments Limited Electronic fishing system
JP7390994B2 (ja) * 2020-08-27 2023-12-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20110305A1 (en) * 2020-10-08 2022-04-14 KOBO Labs LLC Motor-driven fishing reel
USD1015898S1 (en) * 2022-06-23 2024-02-27 Brunswick Corporation Display screen for a marine drive
US11940532B1 (en) * 2022-09-07 2024-03-26 Furuno Electric Co., Ltd. Fish finder system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111A (ja) * 2001-06-26 2003-01-07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5009A (en) * 1990-08-03 1991-02-19 Altmire Jeffrey J Castable fish/depth finder
JPH05196732A (ja) 1991-07-19 1993-08-06 Furuno Electric Co Ltd 棚捕り表示システム
US5253220A (en) * 1992-05-26 1993-10-12 Wilson Sr John E Fish finder
US5771205A (en) * 1996-04-18 1998-06-23 Lowrance Electronics, Inc. Buoyant transducer assembly for assisting an angler
US6595315B1 (en) * 1999-09-17 2003-07-22 Furuno Electric Company, Limited Underwater detecting apparatus, depth measur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2002095390A (ja) * 2000-09-22 2002-04-0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TW518206B (en) * 2001-02-26 2003-01-21 Shimano Kk Display device of fishing reel
JP2002369644A (ja) * 2001-06-14 2002-12-2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表示装置
US6628569B1 (en) * 2002-01-09 2003-09-30 Techsonic Industries, Inc. Fishfinder device with integrated controller
JP2003274823A (ja) 2002-03-22 2003-09-30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111A (ja) * 2001-06-26 2003-01-07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61872B2 (en) 2007-01-09
DE602004012830D1 (de) 2008-05-15
US20050162976A1 (en) 2005-07-28
ATE391302T1 (de) 2008-04-15
CN1623382B (zh) 2010-05-05
EP1548463A1 (en) 2005-06-29
TWI336612B (en) 2011-02-01
CN1623382A (zh) 2005-06-08
SG112957A1 (en) 2005-07-28
MY138885A (en) 2009-08-28
KR20050054443A (ko) 2005-06-10
EP1548463B1 (en) 2008-04-02
DE602004012830T2 (de) 2009-05-07
TW200526114A (en) 2005-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296B1 (ko) 낚시 정보 표시 장치
DE602005002061T2 (de) Angelrolle, Angeldatenanzeigesystem und Verwendung einer Angeldatenanzeigevorrichtung
JP4334381B2 (ja)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US20070045601A1 (en) Winch for underwater fish-gathering ligh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884773A1 (en) Fishing reel and history data management system equipped with the reel
US11819014B2 (en) Fishing reel, braking force control system and braking force setting device
JP4408378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5201799A (ja) 釣り情報表示装置
KR20050063671A (ko)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JP2005201799A5 (ko)
JP4427337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11050270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5269929A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5192528A5 (ko)
JP4451652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4934640B2 (ja) 釣り情報表示装置
JP2011250705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5176777A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4638668B2 (ja) 釣り情報表示装置
JP2003274823A (ja) 魚釣用リール
JP4242756B2 (ja) 釣り情報表示装置
JP2005160421A5 (ko)
JPH0576272U (ja) 釣り用リール
JP2005160420A5 (ko)
CN118252129A (en) Fishing-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gram, fishing reel, and fishing r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