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7737A -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7737A
KR20190047737A KR1020197012306A KR20197012306A KR20190047737A KR 20190047737 A KR20190047737 A KR 20190047737A KR 1020197012306 A KR1020197012306 A KR 1020197012306A KR 20197012306 A KR20197012306 A KR 20197012306A KR 20190047737 A KR20190047737 A KR 20190047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leakage
plant
fluid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242B1 (ko
Inventor
도모아키 요코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Publication of KR2019004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67Fault communication, e.g. human machine interface [HMI]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입력부에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이고, 플랜트의 구성도 화상에 대해, 입력부에 입력된 각 유체 누설 개소의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구성도 화상 상의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

Description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관리 시스템{FLUID LEAKAGE DATA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석유 정제, 석유화학, 일반화학, 철강, 중공업, 자동차, 식료·음료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의 플랜트의 생산 활동에서, 여러 가지 가스(수소, 질소, 도시가스, 아르곤, 이산화탄소, 탄산 가스 등), 에어, 증기 등 여러 가지 유체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플랜트에 있어서, 플랜트의 생산 활동에 수반하는 배관계나 용기계(容器系)의 경년(經年) 열화, 플랜트의 정비·시공 불량에 의해, 배관계나 용기계로부터 유체 누설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체 누설에 의해 플랜트의 생산 활동에서 에너지나 비용을 쓸데없이 소비하게 되고, 또한, 누설되는 유체가 가연성이나 독성이 있는 가스일 경우에는 사고로도 연결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플랜트에서 유체 누설이 생기는 개소를 정확하게 진단하여 그 개소를 보수하는 것(즉, 플랜트의 유지 관리)은, 에너지 절약·비용 절약과 안전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유체 누설 개소의 보수 작업은, 유체 누설 개소의 진단 작업에 의해 유체 누설 개소를 특정하고 나서, 후일에 행해진다. 그리고, 검출한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한 보수를 실시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유체 누설 개소의 진단 작업에 이용하는 누설 검출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는,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마이크로폰과, 누설 개소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그 누설 개소를 촬영하는 촬상 수단과,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한 위치 정보 및 촬상 수단에 의해 촬영한 누설 개소의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동일한 누설 개소에 대한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와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위치 정보와 촬상 수단에 의한 촬영 화상을 관련지은 보관 상태로 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과, 대응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을 마련하는 이동식 누설 검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장치에 의하면, 각 누설 개소에 대한 마이크로폰의 출력 데이터와 입력 위치 정보와 촬영 화상을 관련지은 데이터가 보관되기 때문에, 이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보수 작업자가 유체 누설 개소를 특정하기 쉬워지고, 작업 효율이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06927호
그러나, 상기에 나타내는 데이터의 이용법은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참조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상기 특허문헌 1의 장치에 의해 수집한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 활용법에 대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예를 들면, 유체 누설 개소의 보수 작업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고, 이 노력과 시간을 덜기 위해서, 단지 유체 누설 개소의 특정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보수 작업 계획을 입안할 수 있는 것 같은 데이터의 활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은 플랜트의 생산 활동에 수반하는 배관계나 용기계의 경년 열화에 의해 생기는 것이므로, 유체 누설 개소의 보수를 완벽하게 해도, 언젠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플랜트의 어디에선가 유체 누설이 다시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유체 누설에 의한 에너지 절약·비용 절약, 안전면에서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 플랜트에 대한 유지 보수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다만, 정기적으로 유지 보수를 실시한다고 해도, 플랜트별로 유체 누설의 발생 빈도는 다른 것이고, 또한, 같은 플랜트 중에서도 유체 누설이 잇달아 발생하는 구역과 그렇지 않은 구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향을 고려한 유지 보수의 계획을 입안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하에,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데이터 활용법이 요구된다.
이 실정에 입각하여, 본 개시의 주된 과제는,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와 관련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는,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로서,
상기 플랜트의 구성도 화상에 대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해, 상기 구성도 화상상의 상기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랜트의 구성도 화상 상의 표시자 분포로부터, 유체 누설이 잇달아 발생하는 구역이나 유체 누설이 별로 생기지 않는 구역 등,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향을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어느 구역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진단을 실시해야 할 것인지 등,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향을 고려한 향후 유지 보수의 효율적인 계획을 입안할 수 있다. 또한, 대상 플랜트에서 유체 누설 개소 수가 많은 구역에 대해서는 설비의 열화가 진행되는 점이 추정되거나, 유체 누설 개소수가 이상하게 많은 경우에는 설비에 어떠한 불량이 생기는 것으로 추정되는 등, 표시자의 분포에 의해 나타나는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향으로부터 설비의 열화 정도나 설비 불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이용함으로써,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향에 근거하는 여러 가지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누설 개소 표시 화상 상의 표시자의 위치 관계로부터, 각 유체 누설 개소의 플랜트에서의 위치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어떠한 순서로 유체 누설 개소를 보수할까 등, 효율적인 보수 작업 계획을 입안할 수 있다.
여기서,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이란, 플랜트에서의 배관계나 용기계에 대해서 그 각 부로부터의 유체 누설을 진단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개시와 관련되는 유체 누설 데이터 관리 장치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기재하는 적합한 형태의 예에 의해,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 상에 표시하는 상기 표시자를, 대응하는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과 관련지은 상태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의 분포뿐만 아니라 그 유체 누설량의 분포도 포함하여,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 의해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을 더욱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향에 근거하여 실시하는 향후의 유지 보수 계획의 입안이나 설비의 열화 정도··불량 추정 등의 분석을 보다 정밀도 높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유체 누설량이 일정량 이상의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해서만 보수 작업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는 경우, 상기 구성에 의한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이용함으로써 보수 작업을 실시하는 유체 누설 개소를 용이하게 좁힐 수 있어서, 그 보수 작업의 계획을 용이하게 입안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 상에 표시하는 상기 표시자를, 대응하는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누설 유체종과 관련지은 상태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의 분포 뿐만이 아니라 그 누설 유체종의 분포도 포함하여,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 의해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을 한층 더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향에 근거하여 실시하는 향후 유지 보수 계획의 입안이나 설비의 열화 정도·불량 추정 등의 분석을 보다 정밀도 높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누설 유체종과 관련되는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해서만 보수 작업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는 경우에, 상기 구성에 의한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이용하여 보수 작업을 실시하는 유체 누설 개소를 용이하게 좁힐 수 있고, 그 보수 작업의 계획을 용이하게 입안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누설 유체종을 선택 지시하는 누설 유체종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누설 유체종 선택부에 대한 선택 지시에 따라,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상기 누설 유체종과 관련지은 상기 표시자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주목하는 누설 유체종을 나타내는 표시자만을 누설 개소 표시 화상 상에 표시하기 때문에, 주목하는 누설 유체종에 관한 유체 누설의 경향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특정 누설 유체종에 착안한 분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의 확대 또는 축소를 지시하는 확대 축소 지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확대 축소 지시부에 대한 지시에 따라,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해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랜트에서 주목하는 영역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특정 영역에 관한 유체 누설의 경향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특정의 영역에 착안한 분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기 표시자의 사이즈를 정해진 비율로 모든 표시자에 대해 일률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비율을 지시하는 비율 지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비율 지시부에 대한 지시에 따른 비율로 상기 모든 표시자의 사이즈를 일률적으로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서의 표시자가 서로 겹치게 되어 그 분포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 표시자의 사이즈를 조정함으로써 표시자의 분포를 파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상기 표시자를 선택하는 표시자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표시자 선택부에 대한 선택 지시에 따라, 선택된 상기 표시자에 대응하는 유체 누설 개소의 상세 데이터로서, 유체 누설을 일으키는 장치와 그 부위,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누설 유체종, 및 유체 누설 개소의 촬영 화상 중 적어도 1개를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 포개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체 누설 개소의 상세 데이터에 의해,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에 더하여, 유체 누설 개소별로 상세한 정보를 가미하여, 여러 가지 분석이나 보수 작업 계획의 입안을 실시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축적적으로 보존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기억부에 축적적으로 보존된 동일한 플랜트에 대한 여러 차례의 유체 누설 진단별로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생성하며, 상기 여러 차례의 유체 누설 진단별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나열한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과거에서 현재에 걸친 대상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별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나열한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나 누설 유체종, 유체 누설량 분포의 추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시적인 경향을 파악할 수 있고, 이 경시적인 경향도 가미함에 따라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을 더욱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향에 근거하여 실시하는 향후 유지 보수 계획의 입안이나 설비의 열화 정도·불량 추정 등의 분석을 보다 정밀도 높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과거에서 현재에 걸친 대상 플랜트의 유체 누설의 추이로부터, 유체 누설 진단과 이 진단 결과에 근거하는 보수를 계속해서 실시함에 따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축적적으로 보존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기억부에 축적적으로 보존된 복수의 플랜트 각각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별로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생성하며, 상기 복수의 플랜트 각각의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나열한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플랜트 각각의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나열한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대비하는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차이(유체 누설 개소, 누설 유체종, 유체 누설량 분포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대비하는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차이와 대비하는 플랜트 운전 조건의 차이(플랜트의 설비 구성, 가동 시간, 각종 유체의 사용량 등)의 관련성을 분석하면, 대비하는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차이가 플랜트의 어떠한 운전 조건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지, 즉 유체 누설 차이의 원인을 추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의 도중에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체 누설 진단을 실시한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 누설 유체종, 유체 누설량 분포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단이 완료된 영역에 대해 실시한 진단 계획이 타당한 것인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유체 누설 진단을 실시한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으로부터 미진단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을 추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본래 진단 예정이 없었던 영역에서 유체 누설이 잇달아 발생할 가능성이 추정된 경우에는 진단 계획을 변경하여 그 영역에 대해서 진단하도록 하는 등, 추측된 미진단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향에 근거하여 미진단 영역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 계획을, 유체 누설의 경향에 맞춘 효과적인 계획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상기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진단 완료 영역과 미진단 영역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누설 개소 표시 화상 상에 표시자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 진단이 완료되었지만 유체 누설 개소가 발견되지 않았던 것인지, 단지 미진단 영역인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등,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의 어느 영역이 진단이 끝난 상태인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진단이 완료된 영역에 대해서 실시한 진단 계획이 타당한 것인지를 더욱 적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동시에, 미진단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을 한층 더 적확하게 추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진단 영역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의 계획을 한층 더 효과적인 계획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되는 유체 누설 개소의 관리 시스템은,
본 개시와 관련되는 어느 하나의 관리 장치와 상기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이용하는 이동식 누설 검출 장치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개소의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누설 검출 장치에 의해 수집된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상기 누설 검출 장치로부터 상기 관리 장치에서의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고,
상기 누설 검출 장치는, 검출한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검출 위치 데이터를 상기 누설 검출 장치에 대해서 입력 가능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검출 위치 데이터를 상기 위치 데이터로 하여,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서, 상기 구성도 화상 상의 상기 검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상기 표시자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관리 장치로의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 입력을 누설 검출 장치로 실시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를 하나하나 입력한다고 하는 번잡한 수고로움을 덜고, 관리 장치로의 데이터 입력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를 표시자 배치로서 누설 개소 표시 화상 상에 표시자를 표시하기 때문에,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의 검출과 함께 누설 검출 개소의 위치인 검출 위치 데이터를 누설 검출 장치에 입력해 둠에 따라, 번잡한 작업을 수반하지 않고, 누설 검출 장치로부터 관리 장치로의 데이터 입력 조작만으로, 자동으로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서 유체 누설 개소의 위치에 표시자를 배치시킬 수 있다.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서 검출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표시자를 배치하는 데에는, 데이터 처리부가 입력부에 입력한 검출 위치 데이터를 구성도 화상에서의 좌표값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좌표값이 나타내는 배치를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서의 표시자 배치로 하거나, 또는 누설 검출 장치가 검출 위치 데이터를 구성도 화상에서의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보존해 두며, 좌표값으로 변환한 검출 위치 데이터를 관리 장치에 입력하여, 좌표값이 나타내는 배치를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서의 표시자 배치로 하는 등 적당한 수단으로 실시하면 좋다.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누설 검출 장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진단 구역을 나타내는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표시한 상태로 그 표시 화상 중에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진단 구역 중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인위적인 위치 지시 조작에 따라서 부착했을 때, 상기 마크의 표시 화상상 지시 위치를 상기 검출 위치 데이터로 하여, 상기 누설 검출 장치에 대해서 상기 검출 위치 데이터의 입력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이른바 마킹 조작에 의해 진단 구역을 나타내는 화상을 참조하면서 유체 누설 개소 위치인 검출 위치 데이터를 입력하기 때문에, 누설 검출 장치에 대한 검출 위치 데이터의 입력을 적확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와 관련되는 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누설 개소의 탐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누설 검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휴대 검출기의 후단 확대도이다.
도 5는 휴대 검출기의 선단 확대도이다.
도 6은 데이터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위치 정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연산 조건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촬영 화상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구역도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누설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관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리스트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상세 데이터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상세 데이터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c는 상세 데이터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맵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b는 맵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c는 맵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보수 스케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금액 환산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진단 보고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는,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 및 이 관리 장치와 유체 누설 진단에 이용하는 누설 검출 장치로 구성되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개략을 나타내고, 본 개시에서는,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을 이동식 누설 검출 장치(R)를 이용해서 실시하며, 수집한 데이터를 관리 장치인 호스트 컴퓨터(24)에 입력한다.
누설 검출 장치(R)를 이용하여 유체 누설 진단으로서 플랜트의 배관계나 용기계에 대해 그 각 부로부터의 유체 누설을 진단하고, 누설 검출 장치(R)에 의해 유체 누설이 검출된 경우에는(도 1 중 부호 L), 누설 검출 장치(R)에 대한 각종 정보(누설 유체종, 검출 일시, 유체 누설 개소를 일으키는 장치 등)의 입력, 그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의 연산 지시, 유체 누설 개소의 촬영, 진단 구역의 구역도 화상(Pa) 및 촬영 화상(Pb)으로의 유체 누설 개소의 마킹을 실시하여, 이들 입력 정보나 연산된 유체 누설량, 촬영 화상(Pb), 구역도 화상(Pa) 및 촬영 화상(Pb)으로의 지시 위치가, 그 누설 개소에 부여한 관리 번호에 관련지어진 수집 데이터(D)를 작성한다. 즉, 수집 데이터(D)는, 유체 누설 상태(유체 누설량, 누설 유체종, 누설을 일으키는 장치 등)와 그 구체적인 위치(촬영 화상(Pb)나 구역도 화상(Pa) 및 촬영 화상(Pb)으로의 마킹 위치 등)가 하나로 된 데이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차례대로 각 개소에 대한 진단을 실시하여, 유체 누설이 검출될 때마다 유체 누설 개소 별로 수집 데이터(D)를 작성하고, 이 수집 데이터(D)를 축적하여 보관한다.
그리고, 소정의 진단 행정을 끝낸 후, 축적된 수집 데이터(D)를 호스트 컴퓨터(24)에 입력한다. 이 호스트 컴퓨터(24)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입력된 수집 데이터(D)에 근거하여, 수집 데이터(D)를 단순히 유체 누설 개소의 특정에 이용할 뿐만 아니라, 유체 누설 개소를 포집함으로써 얻어지는 경제 효과, 발견된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한 보수 작업의 계획이나 향후 유지 보수 계획의 입안, 플랜트의 설비 개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본 개시에 의하면,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수집 데이터의 유효한 활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유체 누설 진단에 이용하는 누설 검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고, 계속해서 누설 검출 장치를 이용한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과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 수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며, 그 후 관리 장치(이하의 설명에서는 호스트 컴퓨터(24))를 이용한 수집 데이터의 관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누설 검출 장치의 구성〕
도 2, 도 3에 나타내듯이, 누설 검출 장치(R)는, 주체 장치로서의 건(gun) 형상의 휴대 검출기(1) 및 그 휴대 검출기(1)에 장착한 휴대 컴퓨터(2)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검출기(1)의 선단부에는,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발생 초음파를 검출하는 지향성 마이크로폰(3) 및 광 빔 출사 광원(4)을 배치하고, 휴대 검출기(1)의 후단부에는, 초음파 검출값(구체적으로는 검출음압)을 바 그래프 표시와 디지털 표시를 가지고 표시하는 표시부(5) 및 각종 키(6)를 배치하고 있으며, 또한, 이 휴대 검출기(1)에는, 검출 초음파를 가청화한 탐지음을 출력하는 이어 폰(7)을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휴대 검출기(1)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폭부(8), 필터부(9), 검파부(10), 정류부(11)를 통해서 마이크로폰(3)의 출력 신호를 입력하고, 이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초음파 검출값을 표시부(5)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가청화한 탐지음을 이어폰(7)으로 출력시키는 연산부(12), 및 각종 데이터류를 격납하는 기억부(13)를 장비하고 있다.
마이크로폰(3)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복수 개를 그것들의 지향 범위(S)에 공통의 겹침 부분(SS)이 생기는 상태에 같은 방향으로 정다각형(K)(본 예에서는 정육각형)의 정점 위치에 분산 배치하고, 이에 대해서, 광 빔 출사 광원(4)은, 마이크로폰 지향 범위(S)의 공통 겹침 부분(SS)에 대해서 광 빔을 출사하는 상태로 마이크로폰 지향 방향시로 상기 정다각형(K)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검출기(1)의 선단 방향을 변화시켜서 마이크로폰(3)의 지향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초음파 검출값 및 탐지음에 근거하여 누설 개소를 탐지할 즈음, 광 빔 조사 포인트의 목시에 의해 그 시점의 탐지 대상 개소를 순서대로 명확하게 목시 확인하면서 누설 개소를 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초음파 검출 감도(즉, 증폭부(8)에서의 신호 증폭도)는 키(6)의 조작에 의해 설정 변경할 수 있고, 또한, 그 설정 감도는 초음파 검출값과 함께 표시부(5)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누설 개소를 탐지했을 때 키(6)를 조작함으로써 연산부(12)는, 그 누설 개소에서의 마이크로폰 출력 데이터로서 그 누설 개소에서의 초음파 검출값을, 그 누설 개소에 대한 부여 관리 번호에 의해 그때의 설정 감도와 관련지어서 그 설정 감도와 함께 기억부(13)에 보관한다.
14는 선단에 소개구(15)를 형성한 원뿔 모양의 캡이고, 누설 개소라고 생각되는 개소를 탐지했을 때에는, 필요에 따라 이 캡(14)을 휴대 검출기(1)의 선단부에 장착하여 복수 마이크로폰(3)의 전체로서의 지향성을 강하게 한 상태에서 누설 개소에 접근하며, 그때의 초음파 검출값 및 탐지음에 의해 누설 개소를 확인한다.
16은 방아쇠와 같은 조작 형태로 조작하는 전원 스위치로서, 이 전원 스위치(16)를 ON으로 조작하면 초음파 검출 상태에 들어간다. 또한, 광 빔 출사의 ON/OFF는 키(6)의 조작으로 실시한다.
휴대 컴퓨터(2)는, 도 1,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산부(17) 및 기억부(18)와 함께 디스플레이(19) 및 각종 키(20)를 구비하고, 또한, 소형 디지털 카메라(21)의 장착이 가능한 것이다. 이 휴대 컴퓨터(2)는, 장착구(22)에 의해 휴대 검출기(1)의 상부에 착탈 및 자세 조정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한, 유선 내지 무선 통신부(23)에 의해 휴대 검출기(1)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였다.
〔유체 누설 진단〕
유체 누설 진단에 있어서는, 우선, 이 휴대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진단 대상 플랜트의 진단 구역의 구역도 화상(Pa)(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을 격납한다. 그 후, 진단 구역 안을 이동하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휴대 검출기(1)를 이용하여 초음파 검출값 및 탐지음에 근거해서 누설 개소의 진단을 실시하고, 누설 개소가 발견되면, 그 누설 개소에서의 초음파 검출값을 전술한 바와 같이 키(6) 조작에 의해 휴대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보관한다.
이 보관 조작을 하면, 휴대 검출기(1)의 연산부(12)는 휴대 컴퓨터(2)의 연산부(17)를 호출하고, 그에 응답하며, 휴대 컴퓨터(2)의 연산부(17)는, 관리 번호에 의해 관련지어져 휴대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보관된 초음파 검출값 및 설정 감도를 읽어들이는 동시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 화면(Ga)을 디스플레이(19)에 표시하고, 그 데이터 입력 화면(Ga) 중에 그 누설 개소에 대한 관리 번호, 초음파 검출값, 설정 감도 검출 일시, 진단 담당자명(또는 ID), 및 수리 완료 체크란을 표시한다.
또한, 데이터 입력 화면(Ga) 중에서의 키 조작에 의해 누설량 연산을 지시하면, 연산부(17)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산 조건 입력 화면(Gb)을 디스플레이(19)에 표시하고, 이 연산 조건 입력 화면(Gb)에서 거리, 타입, 방향, 유체의 각 항목에 대해서, 그 누설 개소에 대한 연산 조건을 입력하면, 연산부(17)는 그 누설 개소의 초음파 검출값과 입력된 연산 조건에 근거하여, 그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을 산출하며, 그 산출 누설량을 연산 조건 입력 화면(Gb) 중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항목에서 거리는, 누설점과 검출기(1)의 이간 거리, 타입은 누설이 있던 배관 부재 등의 종별, 방향은 누설점에 대한 초음파 검출 방향, 유체는 누설 유체의 종별을 의미한다.
연산 조건 입력 화면(Gb)에서의 조건 입력시에, 타입, 방향, 유체의 각 항목에 대해서는 화면(Gb) 중에서의 키 조작에 의해 일람 표시를 지시하면, 연산부(17)는 각 항목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연산 조건 데이터의 일람(풀다운 메뉴)을 화면(Gb) 중에 표시하고, 이 일람 중에서 대응하는 누설 개소에 해당하는 연산 조건 데이터를 선택하면, 연산부(17)는, 그 선택 데이터를 입력 연산 조건으로서 상기 연산을 실행한다.
일람중의 연산 조건 데이터는, 일련의 탐지 작업에 앞서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 것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선 내지 무선의 통신부(25)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24)로부터 휴대 컴퓨터(2)로 보내어 휴대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보관한 것이고, 같은 조작에 의해 대상으로 하는 진단 구역이나 탐지 대상으로 하는 누설 개소의 종별 등에 따라서 수시로 고쳐쓸 수 있다.
누설량의 연산 기능은, 휴대 컴퓨터(2)를 휴대 검출기(1)로부터 떼어내어 휴대 검출기(1) 단독 사용으로 누설 개소를 탐지하는 경우에도 누설량의 연산을 할 수 있도록 휴대 검출기(1)에도 구비하도록 하고 있고, 초음파 검출값을 휴대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보관할 때, 표시부(5)에서 입력 데이터를 확인하면서 키(6) 조작에 의해 각 항목에 대해서 연산 조건을 입력하면, 휴대 검출기(1)의 연산부(12)는, 초음파 검출값과 입력된 연산 조건에 근거하여 유체 누설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 누설량을 표시부(5)에 표시하는 동시에, 그 산출 누설량과 초음파 검출값과 설정 감도를 대응하는 누설 개소에 대한 부여 관리 번호에 의해 관련어서 기억부(13)에 보관한다.
또한, 휴대 컴퓨터(2)를 휴대 검출기(1)에 장비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휴대 검출기(1) 측에서 누설량을 연산한 경우, 휴대 컴퓨터(2)의 연산부(17)는, 휴대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보관된 초음파 검출값 및 설정 감도를 읽어들일 때, 산출 누설량도 맞추어 휴대 검출기(1)의 기억부(13)로부터 읽어들인다. 그리고, 휴대 컴퓨터(2)측 내지 휴대 검출기(1)측에서 연산된 누설량은, 그 누설 개소에 대한 관리 번호, 초음파 검출값, 설정 감도, 검출 일시, 진단 담당자명, 및 수리 완료 체크란과 함께 상기 데이터 입력 화면(Ga) 중에 표시된다.
데이터 입력 화면(Ga)에서, 그 화면(Ga) 중의 키 조작에 의해 위치 정보 입력 화면의 표시를 지시하면, 연산부(17)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정보 입력 화면(Gc)을 디스플레이(19)에 표시하고, 이 위치정보 입력 화면(Gc)에서는 구역, 층, 대상 부재, 대상 부위, 사용 유체종의 각 항목에 대해, 그 누설 개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입력한다(또한, 대상 부위, 사용 유체종에 대해서는 도 7에서는 숨기고 있고, 스크롤 바의 조작에 의해 대상 부위, 사용 유체종의 항목을 표시시켜서 입력한다). 또한, 이 위치 정보 입력 화면(Gc)에서의 정보 입력시, 구역, 층, 대상 부재, 대상 부위, 사용 유체종의 각 항목에 대해서 화면(Gc) 중에서의 키 조작에 의해 일람표시를 지시하면, 연산부(17)는 각 항목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위치 데이터의 일람(풀다운 메뉴)을 화면(Gc) 중에 표시하고, 이 일람 중에서 대응 누설 개소에 해당하는 위치 데이터를 선택하면, 연산부(17)는, 그 선택 데이터를 누설 개소에 대한 입력 위치 정보로 한다.
또한, 상기 항목에서, 구역은 진단을 실시하는 구역명, 층은 진단 구역 플랜트에서의 층수, 대상 부재는 유체 누설을 일으키는 장치(배관, 밸브 등)의 종별, 대상 부위는 대상 부재에서의 누설이 있던 부위(본체 부분, 이음새 부분, 플랜지 부분 등), 사용 유체종은 대상 부재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체의 종별을 의미한다.
일람 중의 위치 데이터 및 구역, 층, 대상 부재, 대상 부위 항목의 항목명은, 상기한 연산 조건 데이터와 같이, 일련의 탐지 작업에 앞서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작성한 것을 휴대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보관한 것이고, 대상으로 하는 진단 구역이나 탐지 대상으로 하는 누설 개소의 종별 등에 따라서 수시로 재작성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입력 화면(Gc)의 하부에는 비고란을 마련하고 있고, 구역 내에서의 구체적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의 상세 정보(「북측 메인 라인 밸브」등)가 입력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 화면(Ga)에서, 그 화면(Ga) 중에서의 키 조작에 따라 구역도의 표시를 지시하면, 연산부(17)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역도 화면(Gd)을 디스플레이(19)에 표시하고, 기억부(18)에 보관하는 구역도 화상(Pa)을 그 구역도 화면(Gd)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 표시된 구역도 화상(Pa) 상에서 누설 개소의 위치(즉, 누설 개소의 진단 구역 중의 위치)를 지시하는 마킹 조작(인위적인 위치 지시 조작에 상당)을 소정의 조작 순서로 행하면, 연산부(17)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한 구역도 화상(Pa) 중에 누설 개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Ma)(본 예에서는 지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원 표시)를 표시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휴대 컴퓨터(2)에 장착한 카메라(21)로 누설 개소를 촬영한 다음, 데이터 입력 화면(Ga)에서 그 화면(Ga) 중에서의 키 조작에 의해 촬영 화상의 표시를 지시하면, 연산부(17)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영 화상 화면(Ge)을 디스플레이(19)에 표시하고, 누설 개소의 촬영 화상(Pb)을 그 촬영 화상 화면(Ge)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 표시된 촬영 화상(Pb) 상에서 누설 상세 위치를 지시하는 마킹 조작을 소정의 조작 순서로 실시하면, 연산부(17)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의 촬영 화상(Pb) 중에 누설 상세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Mb)(본 예에서는 지시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둥근 표시)를 표시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촬영 화상(Pb)으로서, 누설 위치를 줌 업하여 촬영한 도 9에 나타내는 것 같은 화상 외에, 필요에 따라서, 누설 위치의 주변 설비도 포함하도록 줌 다운한 화상도 촬영해 두어, 이에 대해서도 같은 마킹 조작을 실시한다.
또한, 누설 개소의 탐지와 동시에, 상기 누설 개소의 보수도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가 있고, 동시에 보수를 실시했을 경우에는 데이터 입력 화면(Ga) 중의 키 조작에 의해 수리 완료란에 체크한다.
그리고, 연산부(17)는 상기 각 화면(Ga~Ge)에서의 입력이 확정되면, 그 누설 개소에 대한 초음파 검출값, 설정 감도, 누설량, 검출 일시, 진단 담당자명, 입력 위치 정보(구역, 층, 대상 부재, 대상 부위, 사용 유체종, 비고란에 기입한 장소 상세 정보), 입력 연산 조건(거리, 타입, 방향, 유체), 표시한 구역도 화상(Pa) 중의 마크(Ma) 지시 위치, 촬영 화상(Pb), 및 표시한 누설 개소의 촬영 화상(Pb) 중의 마크(Mb) 지시 위치, 수리 완료 체크의 유무를 그 누설 개소에 부여한 관리 번호에 의해 관련지어서, 수집 데이터(D)로서 기억부(18)에 보관한다. 표시한 구역도 화상(Pa) 중의 마크(Ma) 지시 위치는 구역도 화상(Pa)에서의 좌표값으로 변환되어 기억부(18)에 보관된다. 촬영 화상(Pb) 중의 마크(Mb) 지시 위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촬영 화상(Pb)에서의 좌표값으로 기억부(18)에 보관된다.
즉, 진단 구역 안을 이동하여 누설 개소를 차례대로 탐지해 감에 있어서, 누설 개소의 각각에 대해 상기 처리 조작을 실시함으로써, 각 누설 개소에 대한 수집 데이터 D(각 누설 개소의 관리 번호에 의해 관련지어진 동일 누설 개소에 대한 초음파 검출값, 설정 감도, 누설량, 검출 일시, 진단 담당자명, 입력 위치 정보, 입력 연산 조건, 마크(Ma) 지시 위치, 촬영 화상(Pb), 마크(Mb)의 지시 위치, 수리 완료 체크의 유무)가 휴대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축적된다.
일련의 진단 작업을 완료하면, 연산 조건 데이터나 위치 데이터 기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보관하는 수집 데이터(D)를 유선 내지 무선의 통신부(25)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24)에 입력한다.
또한, 휴대 검출기(1)에 대해서도 그 단독 사용의 경우를 위해서 호스트 컴퓨터(24)와의 사이에서의 유선 내지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휴대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보관하는 수집 데이터(D)를 호스트 컴퓨터(24)에 입력하거나 휴대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대해서 여러 가지 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24)로부터 직접 기입할 수도 있다.
또한, 배관을 포함하여 플랜트에서의 장치에 관리용 ID를 부여한 경우에는, 미리 관리용 ID와 플랜트에서의 구역·층·대상 부재·사용 유체종·장소의 상세 정보를 대응시키고, 그 대응표를 기억부(18)에 기억시켜 두어, 위치 정보 입력 화면(Gc)에서 입력하는 위치 정보로서 관리용 ID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연산부(17)가 관리용 ID를 대응하는 구역·층·대상 부재·사용 유체종·장소 상세 정보로 변환하여, 이들 위치 정보가 누설 개소에 부여한 관리 번호와 관련지은 상태로 기억부(18)에 보관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미리 관리용 ID를 구역도 화상(Pa)에서의 좌표값과 대응시켜, 그 대응표를 기억부(18)에 기억해 두고, 관리용 ID의 입력에 의해, 연산부(17)가 관리용 ID를 대응하는 구역도 화상(Pa)에서의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구역도 화상(Pa) 상에서의 마킹 조작을 실시하지 않고, 마크(Ma)의 좌표값이 누설 개소에 부여한 관리 번호와 관련지은 상태에서 기억부(18)에 보관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관리용 ID의 위치 정보나, 마크(Ma)의 좌표값으로의 변환은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로 실시해도 좋다.
구역도 화상(Pa)을 대신하여 플랜트의 구성도 화상을 기억부(18)에 격납해도 좋고, 이 경우, 구성도 화상 상에서 누설 개소의 위치를 지시하는 마킹 조작을 실시하여, 구성도 화상에 누설 개소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Ma)를 표시하며, 또한, 구성도 화상에서의 마크(Ma)의 좌표값을 누설 개소에 부여한 관리 번호와 관련지은 상태에서 기억부(18)에 보관한다.
〔수집 데이터의 관리〕
호스트 컴퓨터(관리 장치에 상당)(2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보드나 마우스로 이루어지는 조작부(26(누설 유체종 선택부, 확대 축소 지시부, 비율 지시부, 표시자 선택부에 상당))와, 휴대 컴퓨터(2) 또는 휴대 검출기(1)용 전용 단자, 적외선 통신 기기 등의 무선통신 수단, CD 드라이브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27)와, 하드 디스크로 이루어지는 기억부(28)와, 내장 CPU로 이루어지는 연산부(데이터 처리부에 상당)(29)와,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부(30)를 구비한다. 기억부(28)에는 관리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베이스(Db)를 격납하고 있다. 호스트 컴퓨터(24)는 연산부(29)에 의한 관리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입력 데이터 처리 등의 동작을 실시한다.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된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수집 데이터 D(휴대 컴퓨터(2)의 기억부(18) 또는 휴대 검출기(1)의 기억부(13)에 보관하는 수집 데이터 D)의 호스트 컴퓨터(24)로의 입력은, 입력부(27)에 의해 실시한다. 입력한 수집 데이터(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Db)에 축적적으로 기록된다.
호스트 컴퓨터(24)는, 표시부(30)를 통한 조작부(26)의 간단한 조작으로 지령의 입력을 받기 위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GUI부(31)를 구비하고, 이 GUI부(31)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 분석 처리부(33), 진단 보고서 작성부(42)의 각종 기능부와 제휴하고 있다. 또한, 분석 처리부(33)는, 누설 개소 맵 작성부(34), 누설 경향 추정부(35),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36), 진단 계획 평가부(37), 배관 접속 추정부(38), 보수 스케줄 작성부(39), 금액 환산부(40), 및 컴프레서 판정부(41)의 기능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24)는, 조작부(26)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각종 기능부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시한다. 이하, 각 기능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는, 데이터베이스(Db) 관리 및 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된 데이터 표시를 실시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는, 데이터베이스 기록 기능으로써, 수집 데이터(D)를 입력부(27)로부터 읽어들여 데이터베이스(Db)에 축적적으로 기록하고, 또한, 유체 누설 진단의 대상으로 하는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 화상(또는 부분 구성도 화상, 이하 같다)을 입력부(27)로부터 읽어들여서 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한다. 또한, 배관을 포함해서 플랜트에서의 장치에 관리용 ID를 부여한 경우에는, 미리 관리용 ID와 플랜트에서의 구역·층·대상 부재·사용 유체종·장소 상세 정보를 대응시켜, 그 대응표를 기억부(28)에 기억시키고, 관리용 ID를 대응하는 구역·층·대상 부재·사용 유체종·장소 상세 정보로 변환하여, 이들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해도 좋다. 또한, 미리 관리용 ID를 구역도 화상(Pa)에서의 좌표값과 대응시켜서 그 대응표를 기억부(28)에 기억시키고, 관리용 ID를 대응하는 구역도 화상(Pa)에서의 좌표값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해도 좋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표시 기능으로써,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된 수집 데이터(D) 등의 데이터를 표 형식으로 표시한 리스트 화상(Pc)을 표시부(30)에 표시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편집 기능으로, 이 리스트 화상(Pc) 상에서, 조작부(26)의 조작에 의해 리스트 중의 각 데이터에 대하여 재작성이나 기입 등 데이터 편집이 가능해져, 데이터 편집을 한 경우에는 이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Db)가 갱신된다. 리스트 화상(Pc)에서는, 조작부(26)에 의해 리스트를 스크롤 함으로써 원하는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필터 기능을 갖고 있고(도면 중 상부의 구역, 층, 진단원 란을 참조), 예를 들면, 지정한 구역 중의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만 표시하거나, 특정 진단원에 의해 진단된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만 표시하는 등, 특정 조건의 유체 누설 개소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에 의해, 전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고, 또한, 필요한 데이터만을 표시시킬 수 있어, 데이터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수집 데이터(D)에 오류가 있던 경우에는 데이터 편집으로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에서는, 금액 환산부(40)에서의 연산으로 필요한 연간 플랜트 가동 시간, 사용 유체의 단가, 가동 시간 및 단가를 제한할 것인지의 체크 입력·편집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편집 기능으로, 연간 플랜트 가동 시간의 일괄 입력란(도시하지 않음)과 사용 유체의 단가의 일괄 입력란(도시하지 않음)을, 사용 유체종과 플랜트에서의 구역과의 조합마다 마련하고, 이들 일괄 입력란에 대해서 연간 플랜트의 가동 시간과 사용 유체의 단가를 각각 입력함에 따라, 대상의 유체 누설 개소의 가동 시간란과 사용 유체 단가란에 대해서 입력한 가동 시간과 사용 유체의 단가를 각각 일괄하여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리스트 화상(Pc)에 표시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가동 시간란이나 사용 유체 단가란에 대해서도 각각의 값을 직접 입력할 수 있고, 유체 누설 개소별로 개별적으로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내용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Db)가 갱신된다. 가동 시간 및 단가를 제한할 것인지 체크란에 체크함으로써, 연간 플랜트 가동 시간의 일괄 입력란(도시하지 않음) 또는 사용 유체 단가의 일괄 입력란에 대해서 새롭게 가동 시간 또는 단가를 입력해도, 상기 체크란에 체크한 누설 개소의 란에 대해서는, 상기 일괄 입력란에 입력한 값이 입력되지 않고, 원래 입력하던 값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연간 플랜트 가동 시간이나 사용 유체의 단가를 일괄 입력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금액 환산부(39)에서의 연산 조건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시간 및 단가를 제한할 것인지 체크란을 마련하여, 가동 시간이나 단가의 일괄 입력에 대해 값을 고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플랜트의 가동에서 특정 시간에만 가동하는 장소에 유체 누설 개소가 위치하는 경우나, 특수한 환경에 위치함으로써 사용 유체의 단가가 다른 개소에서의 동일종의 사용 유체 단가에 비해 높아지는 것 같은 경우 등, 가동 시간이나 사용 유체의 단가가 다른 개소와 다른 값으로 설정되는 유체 누설 개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연간 플랜트 가동 시간의 일괄 입력란은, 사용 유체종별로만, 또는 플랜트에서의 구역별로만 마련하고, 또한, 사용 유체 단가의 일괄 입력란은 사용 유체종별로만 마련하고 있다. 또한, 입력한 가동 시간 및 단가, 가동 시간 및 단가를 제한할 것인지 체크란에 대한 체크는 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는, 상세 데이터 표시 기능을 갖고 있고, 리스트 화상(Pc) 중의 항목을 조작부(26)에 의해 선택한 경우, 데이터베이스(Db)에 액세스 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며, 선택한 항목에 대응하는 유체 누설 개소에 관한 상세 데이터 화상(Pd)을 리스트 화상(Pc)에 중복으로 표시한다. 자세하게는, 호스트 컴퓨터(24)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세 데이터 화상(Pd)으로서, 선택한 유체 누설 개소의 유체 누설 정보, 위치 정보, 촬영 화상(Pb) 등을 표시하는 화상(Pd1)과, 선택한 유체 누설 개소의 플랜트 전체 구성도 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배치도 화상(Pd2)과, 보충 정보를 표시하는 보충 정보 화상(Pd3)을 조작부(26)의 조작에 의해 전환하여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Pd1)에서는, 도 14a에 나타내듯이, 유체 누설 정보로서 초음파 검출값(측정 음압), 설정 감도, 검출 일시, 누설량(리크(leak) 양), 입력 연산 조건(거리, 타입, 방향, 유체)을 상단에 표시하고, 위치 정보로서 입력 위치 정보(구역, 층, 대상 부재, 대상 부위, 사용 유체종)를 중단에 표시하며, 마크(Mb)가 붙은 촬영 화상(Pb)을 하단에 표시한다. 하단에 표시하는 촬영 화상(Pb)은, 누설 위치를 줌 업 하여 촬영한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화상(도면 중, 업에 대응)과 누설 위치의 주변 설비도 포함하도록 줌 다운한 화상(도면 중, 당김에 대응)이며, 줌 다운한 화상을 촬영하지 않았으면, 그 부분은 공란으로 한다. 또한, 그 외의 정보로서 진단 담당자명(측정자명), 연간 플랜트 가동 시간이나 사용 유체의 단가, 가동 시간 및 단가를 제한할 것인지의 체크란, 수리가 끝난 상태인지의 체크란을 중단에 표시한다. 여기에서도, 조작부(26)의 조작에 의해 각 정보의 재작성이나 기입, 촬영 화상(Pb)의 교체, 촬영 화상(Pb) 상의 마크(Mb) 위치 변경 등 여러 가지 데이터 편집이 가능해지고 있고, 데이터 편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에 따라서 데이터베이스(Db)가 갱신된다.
배치도 화상(Pd2)에서는, 도 14b에 나타내듯이, 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된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 화상 상에, 선택한 유체 누설 개소에 대응하는 마크(Ma)의 지시 위치에 따라서 마크(Ma)를 교부한 화상을 표시한다. 조작부(26)의 조작에 의해 마크(Ma)의 위치가 편집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데이터 편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에 따라 기억부(28)에 기억된 수집 데이터(D)의 내용이 갱신된다. 또한, 조작부(26)의 조작에 따라서, 표시되는 전체 구성도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표시하거나, 전체 구성도 화상을 스크롤 함으로써 전체 구성도 화상의 표시 개소를 변경하는 구성이다.
보충 정보 화상(Pd3)에서는, 도 14c에 나타내듯이, 장소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비고란(도면 중의 note에 대응)이나, 진단원으로부터의 전달 사항이 기입되는 진단원 비고란, 화상(Pd1, Pd2)에 대해서 실시한 데이터 편집 내용을 기입하는 편집란(도면 중 주문 항목에 대응)을 표시한다. 여기에서도, 조작부(26)의 조작에 의해 각 란에 대해서 재작성이나 기입 등의 데이터 편집이 가능하게 되고, 데이터 편집이 있던 경우에는 이것에 따라 데이터베이스(Db)가 갱신된다.
이 상세 데이터 표시 기능에 의해,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를 유체 누설 개소마다 일괄하여 파악·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표시 기능과 조합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Db)를 유효하게 관리할 수 있다.
〔누설 개소 맵 작성부(34)〕
누설 개소 맵 작성부(34)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Db)에 액세스하고, 도 15a에 나타내듯이, 대상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 화상(또는 부분 구성도 화상)에 대해서, 각 유체 누설 개소의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전체 구성도 화상 상의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맵 화상(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 상당)(Pe)을 작성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마크(Ma)의 지시 위치로서의 구역도 화상(Pa)에서의 좌표값을, 전체 구성도 화상에서의 좌표값으로 변환한 것을 위치 데이터로 하고, 변환한 좌표값이 나타내는 배치를 표시자의 배치로 한다. 맵 화상(Pe)에 있어서, 표시자는 대응하는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 및 누설 유체종과 각각 관련지은 상태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15a에서는, 유체 누설량을 4단계로 구분하여 유체 누설량이 많은 단계에 속하는 표시자일수록 표시자를 크게 표시하고, 또한, 누설 유체종 별로 설정한 색으로 표시자를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또한, 여기에서는, 표시자를 각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 및 누설 유체종과 관련지은 것을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각 유체 누설 개소가 속하는 구역, 층과, 유체 누설을 일으키고 있는 장치나 그 부위(즉, 수집 데이터(D) 중 대상 부재나 대상 부위), 검출 일시, 진단 담당자명 등, 다른 데이터와 관련지어 표시해도 좋다.
누설 개소 맵 작성부(34)는, 조작부(26)에 의한 지시에 따라, 특정 표시자만을 맵 화상(Pe) 상에 표시하거나, 맵 화상(Pe)을 확대 또는 축소해서 표시하거나, 표시자의 표시 형태를 변경해서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26)에 의해 선택한 1 또는 2 이상의 누설 유체종과 관련지은 표시자만을 맵 화상(Pe)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b에서는 유체 누설종이 유체종(4)인 표시자만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누설 유체종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부(26)에 의해 선택한 유체 누설량의 단계에 속하는 표시자만 맵 화상(Pe)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자를 다른 수집 데이터(D)와 관련지은 경우, 표시자와 관련지은 각 데이터 중에서의 분류종(예를 들면, 유체 누설을 일으키는 장치와 표시자를 관련지었을 경우에는, 그 장치의 종별) 중에, 조작부(26)에 의해 선택한 분류종에 속하는 표시자만 맵 화상(Pe)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수리 완료 유체 누설 개소에 대응하는 표시자를 비표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맵 화상(Pe)의 확대 또는 축소에 더해서, 표시 화면의 스크롤에 의해 맵 화상(Pe)의 표시 개소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5c는, 맵 화상(Pe)의 확대 및 스크롤에 의해, 도 15a에서 파선으로 둘러싸고 있는 개소를 확대 표시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조작부(26)에 의한 지시에 따른 비율로 전 표시자의 사이즈를 일률적으로 변경(확대 또는 축소)하여 맵 화상(Pe)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하는 표시자의 형상(○나 △나 □ 등)이나 색, 크기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또한, 각 데이터와 관련지은 형태(즉, 각 데이터의 분류종별로 어떠한 표시자의 표시 형태를 변경할 것인지)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15c에 나타내듯이, 조작부(26)에 의해 표시자를 선택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Db)에 액세스하고, 선택된 표시자에게 대응하는 유체 누설 개소의 상세 데이터로서 유체 누설을 일으키고 있는 장치와 그 부위(즉, 수집 데이터(D) 중 대상 부재나 대상 부위),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누설 유체종, 및 유체 누설 개소의 촬영 화상(Pb)을 맵 화상(Pe)에 나열하여 표시한다.
또한, 복수의 플랜트에 대한 수집 데이터(D)가 데이터베이스(Db)에 축적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플랜트 중 조작부(26)에 의해 선택한 플랜트에 대한 맵 화상(Pe)을 표시하고, 조작부(26)에 의한 지시에 따라 목적 플랜트의 맵 화상(Pe)으로 적당히 전환하여 변경한다.
이 누설 개소 맵 작성부(34)에 의해, 대상 플랜트에서 유체 누설 개소수가 많은 구역에 대해서는 설비의 열화가 진행되는 것이 추정되거나, 유체 누설 개소수나 유체 누설량이 이상하게 많은 경우에는 설비에 어떠한 불량이 생기고 있는 것이 추정되는 등, 맵 화상(Pe)에 표시되는 표시자의 분포 경향으로부터 설비의 열화 정도나 설비 불량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자의 분포로부터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데이터 분포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고, 어느 구역이나 사용 유체종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진단을 실시해야 할 것인지 또는 빈번하게 진단을 실시해야 할 것인지 등, 향후 유체 누설 진단의 효율적인 계획을 입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설 개소 맵 작성부(34)를 이용해서 여러 가지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누설 경향 추정부(35)〕
데이터베이스(Db)에 과거에 동일한 플랜트에 대해 실시한 유체 누설 진단의 결과가 축적되어 보존되어 있는 경우, 누설 경향 추정부(35)에서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를 때까지 실시된 여러 차례의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플랜트 유체 누설 개소에 관한 정보를 정리하여, 대상 플랜트에서의 경시적인 유체 누설 경향을 나타내는 유체 누설 경향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부(30)에 표시한다. 유체 누설 진단이 실시된 경우, 그 진단 결과에 근거하여 유체 누설 개소의 보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과거에서 현재에 걸친 여러 차례의 유체 누설 진단 데이터는, 그 전에 실시된 유체 누설 진단으로부터 그때의 유체 누설 진단까지의 사이에 새롭게 발생한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로 된다. 이 때문에, 유체 누설 경향 정보는, 과거에서 현재에 걸친 여러 차례의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각 기간(전에 실시된 유체 누설 진단으로부터 그때의 유체 누설 진단까지의 기간)에 새롭게 발생한 유체 누설 개소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예를 들면, 유체 누설 경향 정보로서, 누설 개소 맵 작성부(34)에 의해 작성되는 각 회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맵 화상(Pe)(즉, 대상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 화상에 대해, 전체 구성도 화상 상의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임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하는 화상)을 나열한 화상을 생성한다. 또는, 대상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 화상에 대해, 전체 구성도 상의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임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하는 동시에, 각 회의 유체 누설 진단 마다 그 진단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를 나타내는 표시자의 표시 형태(색 또는 형상(○나 △나 □ 등))를 바꾸어 표시한 맵 화상(Pe)을 생성해도 좋다. 또한, 유체 누설 경향 정보로서, 대상 플랜트 전체에 대하여, 또는, 대상 플랜트에서의 각 구역에 대해서, 각 회의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누설 유체종별 합계 유체 누설 개소 수나 합계 유체 누설량 등을 나열한 데이터를 생성시켜도 좋다. 유체 누설 경향 정보로서 표시하는 유체 누설 진단 데이터는, 과거부터 현재에 걸친 전 유체 누설 진단에 대한 데이터여도 좋고, 전 유체 누설 진단 중 선택된 회(回)의 데이터에만 대해서도 좋다.
이 유체 누설 경향 정보에 의하면, 과거부터 현재에 걸친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나 누설 유체종, 유체 누설량의 추이를 파악할 수 있고, 경시적인 경향도 포함하여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대상 플랜트에서 유체 누설을 일으키는 빈도가 높은 구역에 대해서는 설비의 열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과거의 경향에 비해 유체 누설 개소수나 유체 누설량이 이상하게 증가하는 방향으로 유체 누설을 추이한 경우에는 설비에 어떠한 불량이 생기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등,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 분포 경향에 더하여 유체 누설의 경시적인 경향도 가미한 추정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설비의 열화 정도나 설비 불량을 한층 더 적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 분포 경향에 더하여 유체 누설의 경시적인 경향도 고려함으로써, 대상 플랜트에서의 적절한 유체 누설 진단의 간격이나, 어느 구역이나 사용 유체종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진단해야 할 것인지, 또는 빈번하게 진단을 해야할 것인지 등, 향후의 유체 누설 진단 계획으로서 한층 더 효율적인 것을 입안할 수 있다. 또한, 과거에서 현재에 걸친 대상 플랜트의 유체 누설의 추이로부터, 유체 누설 진단과 이 진단 결과에 근거하는 보수를 계속해 실시함에 따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누설 경향 추정부(35)는, 유체 누설 경향 정보 등 각 회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추이에 근거하여, 대상 플랜트에서의 경시적인 유체 누설 경향을 분석하고, 유체 누설의 추이 및 경시적인 유체 누설의 경향으로부터 대상 플랜트에서의 설비의 열화 정도 및 설비 불량을 평가하는 알고리즘이나, 유체 누설의 추이·경향에 따른 향후의 유체 누설 진단 계획을 작성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이에 따라, 누설 경향 추정부(35)는 유체 누설 경향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할 뿐만 아니라, 설비의 열화 정도나 설비 불량에 대한 평가 정보, 향후의 유체 누설 진단 계획을 생성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36)〕
데이터베이스(Db)에 복수의 플랜트에 대해 실시한 유체 누설 진단의 결과가 축적되어 보존되고 있는 경우,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36)에서는, 대비 대상으로 하는 2 이상의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을 대비하는 플랜트 대비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플랜트 대비 정보로서 누설 개소 맵 작성부(34)에 의해 작성되는 각 플랜트에서의 맵 화상(Pe)을 플랜트별로 나열한 것을 생성한다. 또한, 플랜트 대비 정보로서, 대비하는 플랜트 전체에 대해, 또는 대비하는 플랜트에서의 각 구역에 대해,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각 누설 유체종의 합계 유체 누설 개소수 및 합계 유체 누설량을 나열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대비하는 플랜트에 대해, 데이터베이스(Db)에 과거부터 현재에 걸칠 때까지의 여러 차례의 유체 누설 진단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된 여러 차례의 유체 누설 진단중 조작부(26)에 의해 선택한 회의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데이터에 대하여 플랜트 대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플랜트 대비 정보로서 누설 경향 추정부(35)에 의해 생성하는 유체 누설 경향 정보를 대비하는 플랜트별로 나열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플랜트 대비 정보에서 대비하는 플랜트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어떠한 수여도 좋다.
이 플랜트 대비 정보에 의하면, 대비하는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차이(유체 누설 개소의 분포, 누설 유체종, 유체 누설량 등 각종 데이터 경향의 차이나, 과거부터 현재에 걸칠 때까지의 유체 누설의 경시적인 경향의 차이)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유체 누설의 차이와, 대비하는 플랜트의 운전 조건의 차이(플랜트의 설비 구성, 가동 시간, 각종 유체의 사용량 등)의 관련성을 분석함에 따라, 대비하는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차이가 플랜트의 어떠한 운전 조건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는지, 즉 유체 누설 차이의 원인을 추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또한,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36)는, 대비하는 플랜트의 운전 조건을 외부로부터 읽어들이고, 대비하는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차이와 운전 조건의 차이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이나, 분석한 관련성에 근거하여 대비하는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차이의 원인을 추정하며,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에 대한 대책을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이에 따라서,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36)는 플랜트 대비 정보를 생성해서 표시할 뿐만 아니라, 대비하는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차이와 운전 조건 차이의 관련성의 분석 결과, 유체 누설 차이의 원인, 유체 누설에 대한 대책을 생성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진단 계획 평가부(37)〕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은, 미리 계획한 진단 행정에 따라서 여러 날에 걸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유체 누설 진단은 반드시 플랜트의 전 개소에 대해서 실시되는 것은 아니고, 플랜트의 규모나 그 설비의 복잡함과 진단에 필요한 비용의 균형으로부터, 한정된 일정 속에서, 미리 플랜트에 진단하는 구역이나 장치 등을 한정하여 유체 누설 진단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어떠한 기준에 근거해서 진단 계획으로 진단하는 구역이나 장치, 진단 경로 등을 정하게 되지만, 이 진단 계획은 진단을 실시하는 플랜트에 대해서 반드시 적절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유체 누설 진단 도중에, 상정되는 수의 유체 누설 개소의 발견이 없는 것과 같은 경우도 있을 수 있고, 그러면 나머지의 진단에서 진단 계획 변경을 검토할 필요가 생긴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 진단 계획 평가부(37)에서는, 유체 누설 진단 도중의 플랜트에 대해서,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 화상(또는 부분 구성도 화상)을 유체 누설 진단에서 진단 완료 영역과 미진단 영역으로 구별하여 표시하는 동시에,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 상에, 진단된 영역에서 탐지된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위치 데이터(마크(Ma)의 지시 위치)에 대응하는 각 배치에 표시자를 각각 겹쳐서 표시한 진단 범위 표시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한다. 진단 완료 영역과 미진단 영역으로 구별해서 표시하는 형태로는, 진단된 영역을 선으로 둘러싸거나, 진단된 영역과 미진단 영역을 색으로 나누어 표시하는 등으로 실시한다. 누설 개소 맵 작성부(34)와 마찬가지로, 표시자는, 대응하는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 및 누설 유체종과 각각 관련지은 상태로 표시한다.
이 진단 범위 표시 화상에 의하면, 유체 누설 진단을 실시한 영역과 그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 누설 유체종, 유체 누설량의 분포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단 완료 영역에 대해서 실시한 진단 계획이 타당한 것인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진단된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으로부터 미진단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을 추측할 수 있다. 진단 계획의 평가나, 미진단의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의 추측은 예를 들면, 진단된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에 근거해서, 과거 그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이나 다른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 등을 참조하여 실시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본래 진단 예정에 없었던 영역에서 유체 누설이 잇달아 발생할 가능성이 추정된 경우에는 진단 계획을 변경하여 그 영역에 대해서 진단하도록 하는 등, 추측된 미진단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에 근거하여 미진단 영역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 계획을 유체 누설 경향에 맞춘 효과적인 계획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단 계획 평가부(37)에 의해, 유체 누설 진단을 실시하면서, 수시로 유체 누설 진단 계획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그 계획을 보다 효과적인 계획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진단 행정 표시부는, 진단된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으로부터 현재의 진단 계획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미진단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을 추측하는 알고리즘이나, 추측된 미진단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에 근거하여 미진단 영역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의 계획을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이에 따라, 진단 행정 표시부는 진단 범위 표시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대상 플랜트에서의 진단 계획을 읽어내어, 현재의 진단 계획의 타당성에 대한 평가 정보, 미진단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의 정보나 미진단 영역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의 계획을 생성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유체 누설 진단을 실시하는 과거의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으로 수집한 데이터나 다른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진단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Db)에 축적하여 기억시켜 두고, 이 축적한 데이터에 근거해서 현재의 진단 계획의 타당성 평가나 미진단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을 추측하도록 해도 좋다.
〔배관 접속 추정부(38)〕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가스, 에어, 증기 등 다양한 유체가 사용되고 있는 플랜트에서는, 그 플랜트 시공 후에 배관이나 장치의 수리나 교환 등에 수반하여 배관에 지관이 더해지고 있다. 그렇게 하면, 배관의 접속 상태가 복잡하게 되어, 어느 배관과 어느 배관이 접속되고 있는지 등, 그 파악이 곤란해진다. 또한, 플랜트 시공시의 배관도에서 갱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관도에 실리지 않는 배관이 플랜트 중에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배관의 접속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것은 플랜트의 관리상 문제이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 배관 접속 추정부(38)에서는, 대상 플랜트에서의 배관도를 외부로부터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배관도 상에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위치 데이터(마크(Ma)의 지시 위치를 배관도에서의 위치로 변환한 것)에 대응하는 각 배치에 표시자를 각각 겹쳐서 표시한 배관 접속 추정 화상을 생성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한다. 또는, 배관 접속 추정부(38)는, 읽어들인 배관도와,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또는 부분 구성도) 상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상기 맵 화상(Pe) 중 상기 배관도가 나타내는 범위와 대응하는 범위의 화상을 나열하여 표시한 배관 접속 추정 화상을 생성해도 좋다.
이들 배관 접속 추정 화상에 근거하면, 예를 들면, 읽어들인 배관도 상에서 배관이 없는 위치에 유체 누설 개소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위치에 플랜트 시공시부터 새롭게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체 누설 개소의 분포 경향(예를 들면, 유체 누설 개소가 특정의 배관열(列)에 대해서 연속하고 있는, 특정의 배관열에는 유체 누설 개소의 발생을 볼 수 없는 등)에 근거하여, 배관도 상에서 접속 상태인 배관의 열을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관 접속 추정 화상으로부터 배관의 접속 상태를 추정할 수 있고, 이에 근거하여 배관도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유체의 유통을 끊고 있는 미사용 배관 상에 유체 누설 개소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미사용 배관에 대한 유체의 유통이 완전히 끊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읽어들인 배관도 상에서 배관이 없는 위치에 유체 누설 개소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유체 누설 개소에 대응하는 표시자가 강조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그 위치에 플랜트 시공시부터 새롭게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읽어들인 배관도 상에서, 유체의 유통을 끊고 있는 미사용 배관에 대해서는 색을 바꾸어 표시하는 등, 사용중인 배관과 구별해서 표시해도 좋고, 또한, 미사용 배관 상에 유체 누설 개소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유체 누설 개소에 대응하는 표시자가 강조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미사용 배관에 유체 누설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미사용 배관으로의 유체의 유통이 완전하게 끊어지지 않은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표시자를 강조하는 방법으로는, 표시자를 크게 표시하거나, 표시자의 색을 바꾸어 표시하거나, 표시자의 선을 굵게 표시하는 등, 다른 표시자에 비해 강조해서 표시되는 방법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배관 접속 추정부(38)는, 유체 누설 개소의 분포 경향으로부터 배관도 상에서 접속 상태로 된 배관의 열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이에 따라, 배관 접속 추정부(38)가 배관 접속 상태의 추정 정보를 생성하여, 이 추정 정보에 따라, 접속 상태라고 추정된 배관의 열을, 강조해서 표시하거나, 동일한 색으로 표시하거나, 선 위에 덧그려서 표시하는 등, 배관이 접속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에서 배관 접속 추정 화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보수 스케줄 작성부(39)〕
보수 스케줄 작성부(39)에서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위치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플랜트의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한 보수 스케줄(S)을 작성하고, 표시부(30)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보수 대상의 유체 누설 개소의 위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보수 작업에서의 총 이동거리 또는 총 이동시간이 짧아지는 보수 작업 순서를 연산으로 구한다. 그리고, 각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해서,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누설 유체종, 대상 부재(유체 누설을 일으키고 있는 장치), 대상 부위(유체 누설을 일으키는 장치에서의 부위), 장소 상세 정보, 및 유체 누설 개소의 촬영 화상(Pb), 배치도 화상(Pd2)을 정리한 보수 전표를 생성하고, 보수 스케줄(S)로서,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연산한 보수 작업 순서로 보수 전표를 나열한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경우, 플랜트 구역마다, 각 구역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의 보수 작업 순서를 구해도 좋다.
또한, 유체 누설량이 적은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해서는 보수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방치하는 것도 있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수 스케줄(S)의 작성에서, 각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으로부터 보수 작업을 실시하는 유체 누설 개소를 좁히고, 좁힌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해서 보수 스케줄을 작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대상 부재 및 대상 부위에 따라서, 그 유체 누설 개소의 보수에 필요한 교환 부재나 도구 등 보수 작업의 종류가 달라지고, 보수에 필요한 교환 부재나 도구 상의 요청으로부터, 효율적인 보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보수 작업에서의 총 이동거리를 중시하기보다, 보수 작업의 종류가 같은 유체 누설 개소를 우선하여 보수를 실시하는 편이 좋은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수 작업의 연산에서, 유체 누설 개소의 위치 데이터 뿐만 아니라, 대상 부재 및 대상 부위를 고려하여 보수 작업 순서를 구해도 좋다.
〔금액 환산부(40)〕
금액 환산부(40)는, 각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으로부터 그 금액 환산값을 연산하여, 금액 환산표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Db)에 기록된 각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이 단위시간당 유체 누설량인 경우, 수리 완료된 유체 누설 개소를 제외한 전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해, 누설 유체종별로 단위시간당 합계 유체 누설량을 연산하여, 이 누설 유체종별 단위시간당 합계 유체 누설량과 연간 플랜트의 가동 시간과 각 사용 유체에서의 단위 유체량당 단가에 근거하여, 합계 유체 누설량×가동시간×단가로부터, 누설 유체종별 금액 환산값을 연산하는 동시에, 전 누설 유체종에서의 금액 환산값을 합산하고, 대상 플랜트에서의 연간 유체 누설에 의한 손실액을 연산한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누설 유체종별 금액 환산값(즉, 각 누설 유체종에 대한 연간 유체 누설에 의한 손실액)과 대상 플랜트에서의 연간 유체 누설에 의한 손실액으로 이루어지는 금액 환산표(M)를 생성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한다.
이 금액 환산부(40)에 의해, 현재, 유체 누설에 의해 얼마만큼의 손실이 플랜트에 생기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체 누설 개소를 보수함으로써 얼마만큼의 경제 효과가 있는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컴프레서 판정부(41)〕
컴프레서 판정부(41)에서는,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한 합계 유체 누설량에 근거하여,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를 보수했다고 가정했을 때의 보수 후 플랜트에 대해, 대상 플랜트에서의 컴프레서 대수 및 형식이 적정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컴프레서 판정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대상 플랜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컴프레서의 대수와 각 형식과 그 형식에 따른 송출 가능 유체량(Ld), 및 대상 플랜트에서의 각 사용 유체종의 단위시간당 유체 사용량(La)을 외부로부터 읽어들여 취득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Db)에 기억된 각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으로부터 각 유체종의 단위시간당 합계 유체 누설량(Lb)을 연산하고, 또한, 각 사용 유체종의 유체 용량(La)으로부터 각 유체종의 합계 유체 누설량(Lb)을 감산함으로써, 보수 후 플랜트의 가동에 필요한 보수 후 유체 사용량(Lc)을 연산한다.
또한, 각 유체종의 단위시간당 합계 유체 누설량(Lb)은, 대상 플랜트에서의 각 사용 유체종의 단위시간당 유체 사용량(La) 중, 유체 누설 개소의 보수에 의해 삭감 가능한 유체 누설량이고, 또한, 플랜트의 가동과는 관련하지 않고 플랜트에서 컴프레서로부터 쓸데없이 발생되고 있는 유체의 양에 상당한다. 즉, 각 사용 유체종의 유체 사용량(La)으로부터 각 유체종의 합계 유체 누설량(Lb)을 감산하여 얻어지는 필요 유체 사용량(Lc)은 플랜트의 가동에서 정말로 필요 충분한 유체 사용량을 의미한다.
또한, 각 사용 유체종에 대해, 그 유체의 송출에 이용하는 컴프레서별로, 그 형식의 기종이 송출 가능한 유체량인 송출 가능 유체량(Ld)을 합산한 합계 송출 가능 유체량(Le)를 연산한다.
그리고, 플랜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컴프레서의 대수와 각 형식에 대한 판정을 위해, 컴프레서 판정부(41)는, 컴프레서 판정 정보로서, 사용 유체종 마다, 대상 플랜트에서의 단위시간당 유체 사용량(La)과, 단위시간당 합계 유체 누설량(Lb)과, 단위시간당 보수 후 유체 사용량(Lc)과, 사용 유체의 송출에 이용하는 컴프레서별 형식에 따른 송출 가능 유체량(Ld)과 합계 송출 가능 유체량(Le)을 나열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한다. 이 컴프레서 판정 정보에 의해, 보수 후 유체 사용량(Lc)과 송출 가능 유체량(Ld) 및 합계 송출 가능 유체량(Le)을 비교함으로써, 보수 후 유체 사용량(Lc)에 상당하는 양의 유체를 송출하는데, 필요 이상의 대수의 컴프레서를 이용하게 되는 점이나, 필요 이상으로 송출 가능 유체량(Ld)이 많은 컴프레서를 이용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등, 유체 누설에 의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프레서에 얼마나 쓸모없는 점이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보수 후 유체 사용량(Lc)에 근거하여, 최적의 컴프레서 대수나 형식의 조합을 고안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액 환산부(40)에 의해 파악할 수 있는 유체 누설 그 자체에 의한 플랜트에서의 손실뿐만 아니라, 유체 누설에 수반하는 컴프레서 사용 상황의 낭비에 의한 손실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유체 누설 개소를 보수함으로써 얼마만큼의 경제 효과가 있는지를 한층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각종 단위시간당 유체량(La~Le)을 컴프레서 판정 정보로서 표시부(30)에 표시하여 컴프레서의 대수와 각 형식에 대해 판정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유체량(La~Le)에 대응하는 전력량(Wa~We)을 입력 또는 연산하고, 이들 전력량(Wa~We)을 컴프레서 판정 정보로서 표시부(30)에 표시하여 컴프레서의 대수와 각 형식에 대한 판정을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 표시하는 컴프레서 판정 정보는, 대상 플랜트에서의 단위시간당 컴프레서의 전력 소비량(Wa)과, 단위시간당 합계 유체 누설량(Lb)을 전력으로 환산한 환산 전력량(Wb)과, 단위시간당 보수 후 전력 사용량(Wc)과, 사용 유체의 송출에 이용하는 컴프레서별 형식에 따른 최대 전력 소비량(Wd)과 그 합계 전력 소비량(We)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컴프레서 판정부(41)는, 컴프레서 판정 정보에 근거하여, 유체 누설 개소를 보수했다고 가정했을 때의 보수 후 플랜트에 대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프레서의 대수와 각 형식이 적정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알고리즘이나, 컴프레서 판정 정보에 근거하여 보수 후 유체 사용량(Lc)에 대한 최적 컴프레서의 대수나 형식의 조합을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이에 따라, 컴프레서 판정부(41)가, 플랜트에서 사용하고 있는 컴프레서의 대수와 각 형식에 대한 판정이나 유체 누설 개소의 보수 후의 최적인 컴프레서 조합을 도출하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컴프레서의 판정 정보와 보수 후 최적인 컴프레서 조합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부(30)에 표시해도 좋다.
〔진단 보고서 작성부(42)〕
진단 보고서 작성부(42)는, 상기 각종 기능부에 의해 작성한 데이터 및 화상의 전부 또는 그 중 선택한 것을 정리한 진단 보고서(X)를 작성한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듯이, 진단 보고서로서 금액 환산부(40)에 의한 금액 환산표(M),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2)의 데이터를 추출한 누설 개소 일람표, 누설 개소 맵 작성부(34)에 의한 맵 화상(Pe), 보수 스케줄 작성 기능에 의한 보수 스케줄(S)을 정리한 것을 작성한다.
〔본건 발명의 실시〕
본건 발명을 이용한 플랜트의 유지 보수는, 예를 들면 다음 (a) 내지 (e)의 순서대로 실시한다.
(a) 플랜트의 유지 보수 의뢰자와의 협의에 의해,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의 범위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체 누설 진단을 실시하는 것을 플랜트의 전 범위로 할지 또는 일부 영역으로 할지, 유체 누설 진단을 전 설비에 대해서 실시할지 또는 특정 장치에 대해서만 실시할지 등을 의뢰자와 협의하여 결정한다. 이 경우, 적어도 발견한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한 보수를 실시한 후에 그 효과를 파악할 수 있는 진단 범위를 설정한다.
(b) 의뢰자로부터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또는 부분 구성도)나 진단 대상으로 하는 구역의 구역도를 취득하여, 호스트 컴퓨터(24)나 누설 검출 장치(R)에 전체 구성도 화상이나 구역도 화상을 입력한다. 또한, 이들 전체 구성도나 구역도를 기초로 하여 유체 누설 진단의 계획을 입안한다.
(c) 의뢰자와의 협의에 의해 결정한 범위에 대해서, 입안한 진단 계획에 근거하여 유체 누설을 진단하고, 수집한 데이터(D)를 호스트 컴퓨터(24)에 입력하여 수집 데이터(D)를 축적적으로 데이터베이스(Db)에 격납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진단 계획 평가부(37)에 의한 진단 범위 표시 화상에 근거하여, 진행중인 유체 누설 진단 계획을 평가하는 동시에, 나머지 개소에 대한 계획의 변경을 검토한다.
(d) 전 진단 행정을 끝내고 전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한 수집 데이터(D)를 호스트 컴퓨터(24)에 입력하면, 호스트 컴퓨터(24)의 분석 처리부(33)에 의해 각종 분석을 실시한다. 그리고, 진단 보고서 작성부(42)에 의해 분석 처리부(32)가 생성하는 화상이나 정보를 정리한 진단 보고서(X)를 작성한다. 또한, 유체 누설 개소를 포집함으로써 얻어지는 경제 효과, 발견된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한 보수 작업 계획이나 향후의 유지 보수 계획의 입안, 플랜트의 설비 개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것이다.
(e) 진단 보고서(X)의 작성 후, 이 진단 보고서(X)에서의 보수 스케줄(S)에 근거하여 보수 작업을 실시한다. 또한, 의뢰자에게 진단 보고서(X)를 제시하고, 예를 들면, 금액 환산표(M)나 컴프레서 판정 정보로부터 유체 누설 개소의 보수를 실시하는 것의 경제 효과를 제시하거나, 다른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진단 결과를 이용하여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36)에 의해 플랜트 대비 정보를 생성한 경우, 플랜트 대비 정보에 근거하는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거나 하는 등, 플랜트의 유지 보수에 의한 효과를 의뢰자에게 제시한다.
그리고, 진단 보고서(X)의 제시와 함께, 의뢰자에 대해 향후 플랜트의 유지 보수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는, 아웃소싱에 의해 정기적인 유체 누설 진단을 실시할 것인지, 또는 누설 검출 장치(R) 등의 장치를 구입해서 의뢰자 자신이 유체 누설 진단을 할 것인지, 어떤 방법에 의해 플랜트의 유지 보수를 실시할지를 제안한다.
의뢰자가 아웃소싱에 의한 유체 누설 진단을 선택한 경우, 대상 플랜트에 대해서 유체 누설 진단을 실시하지 않은 범위가 있으면, 나머지 범위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의 계획을 입안하고, 유체 누설 진단과 진단에 의해 발견한 유체 누설 개소의 보수를 실시한다. 그리고, 진단 보고서(X)를 참조하면서, 향후 플랜트의 유지 보수의 계획(주기 등)을 협의하여 결정한다.
의뢰자가 누설 검출 장치(R) 등의 장치를 구입하여 의뢰자 자신이 유체 누설 진단을 실시할 것을 선택한 경우, 진단 보고서(X)를 참조하면서, 어떠한 기준으로 플랜트의 유지 보수를 운용해야 할 것인지를 의뢰자에 대해서 제안한다. 또한, 진단 담당자를 결정하여, 진단 담당자에 대해서 누설 검출 장치(R)를 이용한 유체 누설 진단 트레이닝을 실시한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한 누설 경향 추정부(35)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24)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의 결과로써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검출된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축적적으로 보존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이며,
상기 기억부에 축적적으로 보존된 동일한 플랜트에 대한 여러 차례의 유체 누설 진단 결과로부터, 대상 플랜트에서의 경시적인 유체 누설 경향을 나타내는 유체 누설 경향 정보를 생성하는 누설 경향 추정부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
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1)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설 경향 추정부는, 상기 유체 누설 경향 정보로서, 상기 대상 플랜트의 구성도 화상에 대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대상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구성도 화상 상의 상기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각 회 유체 누설 진단 마다 생성하고,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나열한 화상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1)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설 경향 추정부는, 상기 유체 누설 경향 정보로서, 상기 대상 플랜트의 구성도 화상에 대해, 전체 회의 유체 누설 진단에 대한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대상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구성도 화상 상의 상기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하는 동시에, 각 회 유체 누설 진단별로 그 진단으로 검출된 유체 누설 개소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자의 표시 형태를 바꾸어 표시한 화상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1)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설 경향 추정부는, 상기 유체 누설 경향 정보로서, 상기 대상 플랜트 전체에 대해, 또는 상기 대상 플랜트에서의 각 구역에 대해, 각 회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누설 유체종별 합계 유체 누설 개소수 및 합계 유체 누설량을 나열한 것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1)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설 경향 추정부는, 각 회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로부터 나타나는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추이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플랜트에서의 경시적인 유체 누설 경향을 분석하고, 유체 누설의 추이 및 경시적인 유체 누설의 경향으로부터 상기 대상 플랜트에서의 설비의 열화 정도 및 설비 불량을 평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한, 유체 누설의 추이 및 경시적인 유체 누설의 경향으로부터 장래의 유체 누설 진단의 계획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1)의 관리 장치는 상기한 구성을 단독으로 채용할 뿐만 아니라, 조합해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1)의 관리 장치는, 호스트 컴퓨터(24)가 갖는 그 외의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2) 상기한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36)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24)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의 결과로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검출된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축적적으로 보존하는 기억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이며,
상기 기억부에 축적적으로 보존된 복수의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의 결과로부터, 대비 대상으로 하는 2 이상의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경향을 대비하는 플랜트 대비 정보를 생성하는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
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2)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는, 상기 플랜트 대비 정보로서, 상기 대비 대상 플랜트의 각 구성도 화상에 대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대상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각 전체 구성도 화상 상의 상기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상기 대비 대상 플랜트별로 생성하고,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나열한 화상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으며, 또한, 상기 플랜트 대비 정보로서 상기 대비 대상 플랜트 전체에 대해, 또는 상기 대비 대상 플랜트 각각의 구역에 대해, 누설 유체종별 합계 유체 누설 개소수 및 합계 유체 누설량을 나열한 것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2)의 관리 장치는, 상기 기억부에 축적적으로 보존된 동일한 플랜트에 대한 여러 차례의 유체 누설 진단의 결과로부터, 대상 플랜트에서의 경시적인 유체 누설 경향을 나타내는 유체 누설 경향 정보를 생성하는 누설 경향 추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는, 상기 플랜트 대비 정보로서 상기 대비 대상 플랜트에서의 상기 유체 누설 경향 정보를 나열한 것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2)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대비 대상 플랜트에서의 운전 조건이 입력되고, 상기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비 대상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로부터 나타나는 상기 대비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의 차이와, 상기 대비 대상 플랜트에서의 상기 운전 조건의 차이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분석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한, 상기 플랜트 대비 정보 생성부는, 분석한 상기 관련성에 근거하여 대비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차이의 원인을 추정한 평가 정보 및 상기 원인에 대한 대비 대상 플랜트에 대한 대책안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2)의 관리 장치는 상기한 구성을 단독으로 채용할 뿐만 아니라, 조합해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랜트 대비 정보에서 대비하는 유체 누설 경향 정보는 누설 경향 추정부(35)에서 생성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2)의 관리 장치는 호스트 컴퓨터(24)가 갖는 그 외의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여기서, 유체 누설의 차이란, 유체 누설 개소의 분포, 누설 유체종, 유체 누설량 등 각종 데이터의 경향의 차이나, 과거부터 현재에 걸칠 때까지의 유체 누설의 경시적인 경향의 차이 등이며, 플랜트의 운전 조건의 차이란, 플랜트의 설비 구성, 가동 시간, 각종 유체의 사용량 등을 말한다.
(3) 상기한 진단 계획 평가부(37)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24)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이며,
소정의 진단 계획에 따라서 실시되는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 도중에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상기 진단 계획에 대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 계획 평가부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
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3)의 관리 장치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 계획 평가부는, 상기 평가 정보로서, 상기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 화상을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진단 완료 영역과 미진단 영역으로 구별해서 표시하는 진단 범위 표시 화상으로서, 상기 진단 범위 표시 화상에 대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진단 범위 표시 화상 상의 상기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상기 진단 범위 표시 화상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3)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단 계획 평가부는, 상기 평가 정보로서, 상기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 경향을 분석하고, 분석한 경향에 근거하여 상기 진단 계획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으며, 또한, 분석한 경향에 근거하여 미진단 영역에서의 유체 누설 경향을 추측한 경향 추측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3)의 관리 장치는,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축적적으로 보존하는 기억부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 계획 평가부는, 상기 기억부에 축적적으로 보존된 동일 또는 다른 플랜트에 대한 과거의 유체 누설 진단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 경향과 상기 분석한 경향에 근거하여, 상기 경향 추측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3)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단 계획 평가부는, 상기 경향 추측 정보에 근거하여 미진단 영역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의 계획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3)의 관리 장치는 상기한 구성을 단독으로 채용할 뿐만 아니라, 조합해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3)의 관리 장치는 호스트 컴퓨터(24)가 갖는 그 외의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4) 상기한 배관 접속 추정부(38)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이고, 상기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 화상에 대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 중 상기 플랜트의 배관에 생긴 상기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전체 구성도 화상 상의 상기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플랜트에서의 배관도와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서의 표시자의 배치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플랜트에서의 배관의 접속 상태를 추정하는 배관 접속 추정 방법
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4)의 배관 접속 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관도 상에서 배관이 없는 위치에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 상에 상기 표시자가 있을 때, 상기 표시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새롭게 배관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추정해도 좋고,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 상의 상기 표시자의 분포로부터, 상기 배관도 상에서 접속 상태로 되어 있는 배관열을 추정해도 좋으며,
상기 배관도 상에서의 유체의 유통을 끊고 있는 미사용 배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 상에 상기 표시자가 있을 때, 상기 미사용 배관에 대한 유체의 유통이 끊어지지 않은 것을 추정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배관 접속 추정부(38)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24)나 상기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이며,
상기 플랜트의 배관도 화상에 대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위치 데이터 중, 상기 플랜트의 배관에 생긴 상기 유체 누설 개소의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배관도 화상 상의 상기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임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배관 접속 추정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 또는,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이고,
상기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 화상에 대해,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위치 데이터 중, 상기 플랜트의 배관에 생긴 상기 유체 누설 개소의 각 위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전체 구성도 화상 상의 상기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임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플랜트의 배관도 화상과,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서의 상기 배관도 화상에 대응하는 범위의 화상을 나열하여 표시한 배관 접속 추정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관리 장치
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4)의 상기한 어느 한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배관 접속 추정 화상에 있어서, 배관이 없는 위치에 상기 표시자가 위치하고 있을 때, 그 표시자를 강조해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상기 배관 접속 추정 화상에서의 상기 표시자의 분포에 근거하여 접속 상태로 되어 있는 배관열을 추정하여, 상기 배관 접속 추정 화상에서, 접속 상태에 있다고 여겨지는 배관의 열을, 배관이 접속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으며,
상기 배관 접속 추정 화상에 있어서, 유체의 유통을 끊고 있는 미사용 배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표시자가 위치할 때에, 그 표시자를 강조해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 구성에 추가로, 상기 배관 접속 추정 화상에서의 배관 중 상기 미사용 배관에 대해서는 다른 배관과 구별해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4)의 관리 장치는 상기한 구성을 단독으로 채용할 뿐만 아니라, 조합해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4)의 관리 장치는, 호스트 컴퓨터(24)가 갖는 그 외의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표시자를 강조하는 방법으로는, 표시자를 크게 표시하거나, 표시자의 색을 바꾸어 표시하거나, 표시자의 선을 굵게 표시하는 등, 다른 표시자에 비해 강조해서 표시되는 방법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배관이 접속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로는, 접속 상태에 있다고 추정된 배관의 열을 강조해서 표시하거나, 동일한 색으로 표시하거나, 선으로 덧씌워서 표시하는 등, 배관이 접속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5) 상기한 보수 스케줄 작성부(39)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24)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한 데이터를 정리한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유체 누설 개소별로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이며,
상기 보수 작업용 데이터는, 유체 누설을 일으키고 있는 장치와 그 상세 부위, 유체 누설 개소의 촬영 화상으로서 그 촬영 화상 중의 유체 누설 개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크를 부여한 화상, 및 상기 플랜트의 구성도 화상으로서 그 구성도 화상 중의 유체 누설 개소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크를 부여한 화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보수 대상으로 하는 유체 누설 개소에 대한 상기 보수 작업용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대로 나열한 보수 스케줄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관리 장치
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5)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부는 보수 대상으로 하는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각 위치 데이터에 의해 연산하는 보수 작업에서의 총 이동거리 또는 총 이동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보수 스케줄에서의 순서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한, 추가로 유체 누설을 일으키고 있는 장치와 그 상세 부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수 작업종도 고려하여 상기 보수 스케줄에서의 순서를 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으며, 보수 대상으로 하는 유체 누설 개소를 유체 누설 개소에서의 유체 누설량에 근거하여 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5)의 관리 장치는 상기한 구성을 단독으로 채용할 뿐만 아니라, 조합해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5)의 관리 장치는, 호스트 컴퓨터(24)가 갖는 그 외의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6) 상기한 컴프레서 판정부(4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24)와 같은 관리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이며,
대상 플랜트에서의 총 유체 누설량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개소를 보수했다고 가정했을 때의 보수 후 플랜트에 대해, 상기 대상 플랜트에서 사용하는 컴프레서의 대수 및 형식이 적정한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정보를 생성하는 컴프레서 판정부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
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6)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컴프레서 판정부는,
상기 대상 플랜트에서의 총 유체 사용량으로부터 상기 총 유체 누설량을 감산함으로써 상기 보수 후 플랜트에서의 보수 후 유체 사용량을 연산하여, 상기 판정 정보로서 상기 보수 후 유체 사용량과, 상기 컴프레서별로 그 형식의 기종이 송출 가능한 유체량인 송출 가능 유체량을 정리한 유체량 비교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상기 총 유체 누설량을 전력으로 환산한 환산 전력량을 연산하는 동시에, 상기 플랜트에서의 상기 컴프레서의 총 전력 소비량으로부터 상기 환산 전력량을 감산함으로써 상기 보수 후 플랜트에서의 상기 컴프레서의 보수 후 전력 소비량을 연산하고, 상기 판정 정보로서 상기 보수 후 전력 소비량과, 상기 컴프레서별 그 형식의 기종에서의 최대 전력 소비량을 정리한 전력량 비교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6)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컴프레서 판정부는, 누설 유체종별로 상기 유체량 비교 정보 또는 상기 전력량 비교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6)의 관리 장치에 있어서, 컴프레서 판정부는, 상기 유체량 비교 정보 또는 상기 전력량 비교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보수 후 플랜트에 대해 상기 컴프레서의 대수 및 형식이 적정한지를 판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또한, 상기 보수 후 플랜트에 대한 최적의 상기 컴프레서의 대수 및 형식의 조합을 제안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6)의 관리 장치는 상기한 구성을 단독으로 채용할 뿐만 아니라, 조합해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6)의 관리 장치는, 호스트 컴퓨터(24)가 갖는 그 외의 기능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7) 그 외의 다른 실시형태
휴대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격납하는 구역도 화상(Pa)은, 예를 들면,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24)로부터 휴대 컴퓨터(2)로 입력하는 등, 적당한 수단에 의해 휴대 컴퓨터(2)에 입력하면 좋고, 또한, 진단 작업 중의 이동에 의해 기억부(18)에 격납하고 있는 구역도 화상(Pa)과 다른 구역으로 이동했을 때 등, 필요에 따라서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시로 새로운 구역도 화상(Pa)을 누설 검출 장치(R) 측에 보내도록 해도 좋다.
휴대 컴퓨터(2)의 기억부(18)에 축적해서 보관한 수집 데이터(D)를 일괄하여 호스트 컴퓨터(24) 측에 입력하도록 했지만, 무선 통신에 의해 진단 작업 중에 유체 누설 개소의 수집 데이터(D)를 수시로 호스트 컴퓨터(24) 측으로 보내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개시의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관리 시스템은 각종 분야에서의 여러 가지 플랜트에서의 유체 누설 데이터 관리에 적용할 수 있다.
19  디스플레이
24  호스트 컴퓨터(관리 장치)
26  조작부(누설 유체종 선택부, 확대 축소 지시부, 비율 지시부, 표시자 선택부)
27  입력부
28  기억부
29  연산부(데이터 처리부)
30  표시부
D   수집 데이터(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
Ma  마크
Pa  구역도 화상(진단 구역을 나타내는 화상)
Pe  맵 화상(누설 개소 표시 화상)
R   이동식 누설 검출 장치

Claims (8)

  1.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이며,
    상기 플랜트의 배관도 화상에 대하여,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위치 데이터 중, 상기 플랜트의 배관에 발생한 상기 유체 누설 개소의 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도 화상 상의 상기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하는 배관 접속 추정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
  2.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이며,
    상기 플랜트의 구성도 화상에 대하여,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각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위치 데이터 중, 상기 플랜트의 배관에 발생한 상기 유체 누설 개소의 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성도 화상 상의 상기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플랜트의 배관도 화상과,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서의 상기 배관도 화상에 대응하는 범위의 화상을 나란히 표시한 배관 접속 추정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관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배관 접속 추정 화상에 있어서, 배관이 없는 위치에 상기 표시자가 위치하고 있을 때에, 당해 표시자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관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배관 접속 추정 화상에서의 상기 표시자의 분포에 기초하여 접속 상태로 되어 있는 배관 열을 추정하고, 접속 상태에 있다고 추정된 배관 열을, 상기 배관 접속 추정 화상에 있어서, 배관이 접속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로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관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배관 접속 추정 화상에 있어서, 유체의 유통을 끊고 있는 미사용 배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표시자가 위치할 때에, 당해 표시자를 강조하여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배관 접속 추정 화상에서의 배관 중 상기 미사용 배관에 대해서는 다른 배관과 구별하여 표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관리 장치.
  7.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플랜트의 구성도 화상에 대하여,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 중, 상기 플랜트의 배관에 발생한 상기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각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성도 화상 상의 상기 각 위치 데이터에 대응하는 배치에, 유체 누설 개소인 것을 나타내는 표시자를 겹쳐서 표시한 누설 개소 표시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플랜트에서의 배관도와 상기 누설 개소 표시 화상에서의 표시자의 배치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플랜트에서의 배관의 접속 상태를 추정하는, 배관 접속 추정 방법.
  8. 플랜트에 대한 유체 누설 진단에 의해 수집되는 각 유체 누설 개소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상기 각 유체 누설 개소 중, 상기 플랜트의 배관에 발생한 상기 유체 누설 개소의 상기 플랜트에서의 위치인 각 위치 데이터와 상기 플랜트의 배관도 화상에서의 배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플랜트에서의 배관의 접속 상태를 추정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구비하는, 유체 누설 데이터 관리 장치.
KR1020197012306A 2014-10-07 2015-08-07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배관 접속 추정 방법 KR102144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6546 2014-10-07
JP2014206546 2014-10-07
PCT/JP2015/072539 WO2016056297A1 (ja) 2014-10-07 2015-08-07 流体漏洩データの管理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521A Division KR101986923B1 (ko) 2014-10-07 2015-08-07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737A true KR20190047737A (ko) 2019-05-08
KR102144242B1 KR102144242B1 (ko) 2020-08-12

Family

ID=556529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306A KR102144242B1 (ko) 2014-10-07 2015-08-07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배관 접속 추정 방법
KR1020177012521A KR101986923B1 (ko) 2014-10-07 2015-08-07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521A KR101986923B1 (ko) 2014-10-07 2015-08-07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422053B2 (ko)
EP (2) EP3739413A1 (ko)
JP (2) JP5986336B1 (ko)
KR (2) KR102144242B1 (ko)
CN (2) CN111504565B (ko)
AU (2) AU2015329347B2 (ko)
ES (1) ES2839250T3 (ko)
MX (1) MX358192B (ko)
MY (1) MY185588A (ko)
SG (1) SG11201702753SA (ko)
WO (1) WO20160562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3584A1 (de) * 2016-07-25 2018-01-25 Deere & Company Verfahren, tragbares Gerät und Kombination aus einer mobilen Arbeitsmaschine und einem tragbaren Gerät zur Unterstützung des Auffindens einer zu Fehlerbehebungs -, Störungsbeseitigungs- oder Wartungsarbeiten aufzusuchenden Position an einer mobilen Arbeitsmaschine oder einem damit gekoppelten Gerät
JP6682411B2 (ja) * 2016-09-16 2020-04-15 横河電機株式会社 プラント状態表示装置、プラント状態表示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状態表示方法
DE102016117813A1 (de) 2016-09-21 2018-03-22 Samson Aktiengesellschaft Tragbare Vorrichtung zum Diagnostizieren eines prozessfluidführenden Stellgeräts und Verfahren zur Diagnose des Zustands eines prozessfluidführenden Stellgeräts
JP2019008654A (ja) * 2017-06-27 2019-01-17 大陽日酸株式会社 保安システム及び保安方法
JP7156291B2 (ja) * 2017-09-21 2022-10-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ス検査レポート作成支援装置、ガス検査レポート作成支援方法、及び、ガス検査レポート作成支援プログラム
FR3073046B1 (fr) * 2017-10-27 2019-11-15 Pfeiffer Vacuum Module de detection de fuites et procede de controle de l'etancheite d'un objet a tester par gaz traceur
JP7109929B2 (ja) * 2018-01-31 2022-08-01 株式会社関電工 測定データ入力支援装置
JP7073850B2 (ja) * 2018-03-29 2022-05-24 株式会社リコー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入力方法
CN110866130B (zh) * 2018-08-07 2022-03-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存储器、炼厂密封点管理方法和设备
WO2020090125A1 (ja) * 2018-10-29 2020-05-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検査支援方法、検査支援装置および検査支援用プログラム
US10969296B2 (en) * 2018-11-19 2021-04-06 General Electric Company Leak-detection systems including inspection vehicles and leak-detection devices
JP6823898B2 (ja) * 2018-11-29 2021-02-03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配管診断履歴表示装置、配管診断履歴表示方法、および配管診断履歴表示プログラム
US11035749B2 (en) 2019-02-07 2021-06-15 Georg Fischer, LLC Leak test system and method for thermoplastic piping
WO2021070924A1 (ja) * 2019-10-11 2021-04-15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診断システム、診断システムの運転方法、および診断プログラム
JP7036989B2 (ja) * 2019-10-11 2022-03-15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診断システム、診断システムの運転方法、および診断プログラム
EP4085240A4 (en) * 2019-12-31 2024-01-03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LEAK DETECTION SYSTEM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JPWO2021181675A1 (ko) * 2020-03-13 2021-09-16
JP2022032077A (ja) * 2020-08-11 2022-02-2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監視装置、集音装置及び監視方法
JP2022079836A (ja) * 2020-11-17 2022-05-27 株式会社ミヤワキ 診断装置
JP7171781B2 (ja) * 2021-01-25 2022-11-15 エクシオグループ株式会社 施工記録写真管理補助システム
WO2022180748A1 (ja) * 2021-02-25 2022-09-01 Jfeアドバンテック株式会社 漏洩量推定方法、漏洩量推定装置及び漏洩量推定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6927A (ja) 2001-02-20 2003-04-09 Tlv Co Ltd 可搬式漏洩検出装置
JP2005190196A (ja) * 2003-12-25 2005-07-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巡視点検支援方法、巡視点検支援装置
US20100268489A1 (en) * 2007-10-10 2010-10-21 Terje Lennart Lie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nd measuring leaks and flow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4209B2 (ja) 1992-12-16 1999-04-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配管内状態表示方法および装置
JPH08171414A (ja) 1994-12-20 1996-07-02 Takenaka Komuten Co Ltd 設備検査装置
JP3543426B2 (ja) * 1995-07-06 2004-07-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管路網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3318705B2 (ja) * 1997-03-27 2002-08-26 清水建設株式会社 作業検査用タッチパネル式携帯型端末器
JPH1139030A (ja) 1997-07-15 1999-02-12 Tlv Co Ltd 設備管理装置及び設備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FR2772881B1 (fr) * 1997-12-24 2000-01-14 Alpes Systeme Automation Dispositif de distribution d'un gaz de travail et installation de fourniture d'un gaz de travail equipee d'un tel dispositif
JP2000048047A (ja) 1998-01-19 2000-02-18 Asahi Glass Co Ltd 時系列デ―タの保存方法及び時系列デ―タベ―スシステム、時系列デ―タの処理方法及び時系列デ―タ処理システム、時系列デ―タ表示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JPH11231909A (ja) * 1998-02-16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協調作業支援装置
JPH11249731A (ja) * 1998-02-27 1999-09-17 Osaka Gas Co Ltd プラント点検管理装置
JPH11249729A (ja) * 1998-03-03 1999-09-17 Mitsubishi Electric Corp 運転監視操作装置
JP3390806B2 (ja) 1999-12-28 2003-03-31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位置認識装置及びこの位置認識装置を備えた測定装置並びに測定システム
JP2001337002A (ja) * 2000-05-29 2001-12-07 Tokyo Gas Co Ltd 漏洩地点推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漏洩地点推定方法
JP4061922B2 (ja) * 2002-02-21 2008-03-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ケーブル配線作業支援システム
JP2003343761A (ja) * 2002-05-30 2003-12-03 Idemitsu Kosan Co Ltd バルブ操作支援システム
JP2004013197A (ja) * 2002-06-03 2004-01-15 Sopac System:Kk 工場における設備情報管理システム
JP3721184B2 (ja) * 2003-10-03 2005-11-30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設備診断用集計システム
US7515977B2 (en) * 2004-03-30 2009-04-07 Fisher-Rosemount Systems, Inc. Integrated configuration system for use in a process plant
JP2006209594A (ja) * 2005-01-31 2006-08-10 Yokogawa Electric Corp メインテナンス支援システム
JP2009199445A (ja) * 2008-02-22 2009-09-03 Toshiba Corp 灯火設備保守支援装置及び灯火設備保守支援システム
JP5374071B2 (ja) * 2008-05-23 2013-12-25 株式会社Pfu 携帯端末および領域特定処理実行方法
WO2010041960A1 (en) 2008-10-06 2010-04-15 Institutt For Energiteknikk Improved plant process display
JP5456414B2 (ja) * 2009-03-31 2014-03-26 日本ノーベル株式会社 エリア監視用の表示方法、同監視装置
JP4560128B1 (ja) * 2009-08-13 2010-10-13 株式会社パスコ 地図画像統合データベース生成システム及び地図画像統合データベース生成プログラム
KR101086142B1 (ko) * 2010-02-02 2011-11-2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카메라 영상신호를 이용한 누설판별 방법 및 시스템
JP5289379B2 (ja) * 2010-05-11 2013-09-11 ヤフー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地図表示サーバ
JP5390502B2 (ja) * 2010-12-22 2014-01-15 日立Geニュークリア・エナジー株式会社 図面表示装置
JP2013077134A (ja) * 2011-09-30 2013-04-25 Mitsubishi Electric Corp 状態表示・指示入力装置
JP2013174581A (ja) * 2012-01-25 2013-09-05 Canon Inc 画像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生成方法
JP2013195063A (ja) * 2012-03-15 2013-09-3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センサ取り付け方法及び気体漏れ監視システム
JP5679521B2 (ja) * 2012-05-18 2015-03-04 横河電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システム
JP5970243B2 (ja) * 2012-06-04 2016-08-17 東邦瓦斯株式会社 疑似ガス漏洩箇所検査システム
US10242414B2 (en) * 2012-06-12 2019-03-26 TaKaDu Ltd. Method for locating a leak in a fluid network
JP5469764B1 (ja) * 2013-03-26 2014-04-16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建造物表示装置及び建造物表示システム及び建造物表示方法及び建造物表示プログラム
US10685283B2 (en) * 2018-06-26 2020-06-16 Sas Institute Inc. Demand classification based pipeline system for time-series data forecas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6927A (ja) 2001-02-20 2003-04-09 Tlv Co Ltd 可搬式漏洩検出装置
US20040122602A1 (en) * 2001-02-20 2004-06-24 Mamoru Nagase Portable leak detector
JP2005190196A (ja) * 2003-12-25 2005-07-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巡視点検支援方法、巡視点検支援装置
US20100268489A1 (en) * 2007-10-10 2010-10-21 Terje Lennart Lie Method and system for registering and measuring leaks and flo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6002B1 (en) 2020-10-21
US20170307465A1 (en) 2017-10-26
JP6560169B2 (ja) 2019-08-14
AU2015329347A1 (en) 2017-05-11
KR101986923B1 (ko) 2019-09-30
AU2018205069B2 (en) 2020-01-02
EP3206002A1 (en) 2017-08-16
MX2017004591A (es) 2017-06-27
WO2016056297A1 (ja) 2016-04-14
CN106796156B (zh) 2020-03-13
MY185588A (en) 2021-05-24
KR102144242B1 (ko) 2020-08-12
KR20170066608A (ko) 2017-06-14
SG11201702753SA (en) 2017-06-29
MX358192B (es) 2018-05-18
CN111504565B (zh) 2022-08-12
EP3206002A4 (en) 2018-05-23
ES2839250T3 (es) 2021-07-05
US11422053B2 (en) 2022-08-23
AU2015329347B2 (en) 2018-04-12
JP5986336B1 (ja) 2016-09-06
AU2018205069A1 (en) 2018-07-26
JP2017003597A (ja) 2017-01-05
CN106796156A (zh) 2017-05-31
JPWO2016056297A1 (ja) 2017-04-27
CN111504565A (zh) 2020-08-07
EP3739413A1 (en)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7737A (ko) 유체 누설 데이터의 관리 장치 및 관리 시스템
EP1914689B1 (en) Analysis system used in a maintenance inspection operation
JP3766232B2 (ja) 機器カルテ管理評価装置および同装置を用いた機器カルテ管理評価方法
JP5377174B2 (ja) 漏水調査対象路線抽出システム
CN101238491A (zh) 机器管理方法、该机器管理方法所采用的分析系统、以及分析用数据结构、其机器管理方法所采用的维修检查支援装置
US20040135821A1 (en) Activity record maintenance and display tool
JP2001125631A (ja) 開放点検結果管理方法
JP2007232564A (ja) 設備診断支援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266816A (ja) 機器設備の保全診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