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637A -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637A
KR20190042637A KR1020197008195A KR20197008195A KR20190042637A KR 20190042637 A KR20190042637 A KR 20190042637A KR 1020197008195 A KR1020197008195 A KR 1020197008195A KR 20197008195 A KR20197008195 A KR 20197008195A KR 20190042637 A KR20190042637 A KR 20190042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resin
resin layer
less
m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582B1 (ko
Inventor
세이이치 이소지마
유스케 하시모토
준 사토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접힘 가능한 광 투과성 광학 필름(10)이며, 수지 기재(11)와, 수지 기재(11)의 한쪽 면(11A)측에 마련된 수지층(12)을 구비하고, 광학 필름(10)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1㎫ 이상 200㎫ 이하이고, 광학 필름(10)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0.1㎫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10)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본원은, 선행하는 일본 출원인 일본 특허 출원 제2016-171336호(출원일: 2016년 9월 1일) 및 일본 특허 출원 제2016-171337호(출원일: 2016년 9월 1일)의 우선권 이익을 향수하는 것이며, 그 개시 내용 전체는 인용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가 된다.
본 발명은,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 등의 화상 표시 장치가 알려져 있지만, 현재, 접힘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다. 통상,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 등은 커버 글래스로 덮여 있지만, 화상 표시 장치에 커버 글래스를 사용한 경우, 경도가 우수하기는 하지만, 접으려고 하면 깨져 버릴 우려가 높다. 이 때문에, 접힘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에는, 커버 글래스 대신에 수지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25063호 공보).
이러한 접힘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에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는, 광학 필름의 표면이 파이는 경우가 있고, 또한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학 필름보다 내부에 존재하는 부재(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 등의 표시 패널)가 손상을 받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현재,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필름의 표면의 파임이 억제되고, 또한 광학 필름보다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부재가 손상을 받지 않는 내충격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필름의 표면의 파임이 억제되고, 또한 광학 필름보다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부재가 손상을 받지 않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즉,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접힘 가능한 광학 필름, 이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바, 수지 기재 상에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을 각각 소정의 범위로 하면, 우수한 내충격성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바, 수지 기재의 한쪽 면측에 하드 코팅층 및 다른 쪽 면측에 수지층을 구비하는 구조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를 30㎛ 이상 200㎛ 미만으로 하고,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을 각각 소정의 범위로 하면, 우수한 내충격성 및 우수한 경도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접힘 가능한 광 투과성 광학 필름이며,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의 한쪽 면측에 마련된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1㎫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0.1㎫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접힘 가능한 광 투과성 광학 필름이며,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의 한쪽 면측에 마련된 하드 코팅층과, 상기 수지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 면과는 반대측의 다른 쪽 면측에 마련된 막 두께가 30㎛ 이상 200㎛ 미만인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1㎫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0.1㎫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대향하는 변부의 간격이 3㎜가 되도록 180° 접는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 상기 수지 기재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기재여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접힘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이며,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보다 관찰자측에 배치된 상기 광학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수지층이, 상기 수지 기재보다 관찰자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접힘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이며,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보다 관찰자측에 배치된 상기 광학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하드 코팅층이, 상기 수지 기재보다 관찰자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 및 다른 태양에 따르면,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접힘 가능한 광학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이러한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접힘 시험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 「시트」 등의 용어는, 호칭의 차이에만 기초하여, 서로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필름」은 시트라고도 불리는 부재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접힘 시험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광학 필름>>>
도 1에 도시한 광학 필름(10)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며, 접힘 가능하고, 또한 광 투과성을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광 투과성」이라 함은, 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전광선 투과율이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인 것을 포함한다. 광 투과성이라 함은,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고, 반투명해도 된다.
광학 필름(10)은, 수지 기재(11)와, 수지 기재(11)의 한쪽 면(11A)측에 마련된 수지층(12)을 구비하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은, 수지층(12)의 표면(12A)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의 표면은 광학 필름의 편측의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광학 필름의 표면과는 반대측의 면은, 광학 필름의 표면과 구별하기 위해 이면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광학 필름(10)의 이면(10B)은, 수지 기재(11)에 있어서의 한쪽 면(11A)과는 반대측의 면으로 되어 있다.
광학 필름(10)에 있어서는,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1㎫ 이상 200㎫ 이하로 되어 있다. 광학 필름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1㎫ 미만이면,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광학 필름의 표면이 크게 변형되어 버리고, 또한 광학 필름의 경도가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200㎫를 초과하면, 접힘 시에 광학 필름이 균열될 우려가 있다. 광학 필름(10)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의 하한은, 10㎫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광학 필름(10)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의 상한은, 10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에 있어서는,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0.1㎫ 이상 100㎫ 이하로 되어 있다. 광학 필름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0.1㎫ 미만이면, 충격 흡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100㎫를 초과하면, 광학 필름의 표면에 점착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광학 필름(10)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의 하한은, 0.5㎫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광학 필름(10)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의 상한은, 5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은,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DMA)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DMA)에 의해, 광학 필름(10)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을 측정할 때에는, 먼저 광학 필름(10)을 10㎜×5㎜의 직사각형으로 펀칭하여, 샘플을 얻는다. 그리고 이 샘플을 2매 준비하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제품명 「Rheogel-E4000」, 유비엠사 제조)의 측정 지그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지그는, 수평 방향으로 3매의 판(두께가 1㎜인 1매의 금속제의 중간판과, 이 중간판의 양측에 배치된 2매의 금속제의 외판)을 구비하고 있고, 중간판과 한쪽 외판 사이에 한쪽 샘플을 끼우고, 또한 중간판과 다른 쪽 외판 사이에 다른 쪽 샘플을 끼운다. 이 경우, 수지층이 중간판측이 되고, 기재가 외판측이 되도록 샘플을 끼운다. 그리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제품명 「Rheogel-E4000」, 유비엠사 제조)에, 측정 지그를 척간 거리 20㎜로 설치하고, 2℃/min으로 승온하여 설정 온도를 25℃로 한다. 이 상태에서, 중간판을 고정하면서 2매의 외판에 변형량 1%, 또한 주파수 500㎐ 이상 1000㎐ 이하의 범위의 세로 진동을 부여하면서, 25℃에서의 고체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광학 필름(10)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을 측정한다. 여기서,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은, 외판에 주파수 500㎐, 750㎐, 950㎐의 세로 진동을 각각 부여하여, 각각의 주파수에 있어서 광학 필름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을 측정하여, 이들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의 산술 평균값을 구하고, 이 측정을 3회 더 반복하여, 각각 얻어진 3개의 산술 평균값을 다시 산술 평균한 값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으로 한 것은, 이 주파수 영역의 주파수가, 수 ㎝의 높이로부터 물체를 자유 낙하시켰을 때, 광학 필름의 표면이 수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변형되는 주파수이고, 또한 광학 필름으로부터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표시 패널 등의 부재에 손상을 미치는 주파수이기 때문이다.
광학 필름(10)은, 접힘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10)에 대해 다음에 설명하는 접힘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라도, 광학 필름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힘 시험을 2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라도, 광학 필름(10)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라도, 광학 필름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에 대해 접힘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에, 광학 필름(10)에 균열 등이 발생하면, 광학 필름(10)의 접힘성이 불충분해진다. 접힘 시험은, 수지층(12)이 내측이 되도록 광학 필름(10)을 접도록 행해져도 되고, 또한 수지층(12)이 외측이 되도록 광학 필름(10)을 접도록 행해져도 되지만, 어느 경우라도, 광학 필름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 시험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힘 시험에 있어서는, 먼저 광학 필름(10)의 변부(10C)와, 변부(10C)와 대향하는 변부(10D)를, 평행하게 배치된 고정부(20)로 각각 고정한다. 또한, 광학 필름(10)은 임의의 형상이어도 되지만, 접힘 시험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10)은 직사각형(예를 들어, 30㎜×100㎜의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20)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20)를 서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광학 필름(10)이 접히도록 변형시키고, 또한 도 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학 필름(10)의 고정부(20)로 고정된 대향하는 두 변부의 간격이 3㎜가 되는 위치까지 고정부(20)를 이동시킨 후, 고정부(20)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광학 필름(10)의 변형을 해소시킨다.
도 2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20)를 이동시킴으로써, 광학 필름(10)을 180° 접을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10)의 굴곡부(10E)가 고정부(20)의 하단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접힘 시험을 행하고, 또한 고정부(20)가 최접근하였을 때의 간격을 3㎜로 제어함으로써, 광학 필름(10)의 대향하는 두 변부의 간격을 3㎜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굴곡부(10E)의 외경을 3㎜로 간주한다. 또한, 광학 필름(10)의 두께는, 고정부(20)의 간격(3mm)과 비교하여 충분히 작은 값이기 때문에, 광학 필름(10)의 접힘 시험의 결과는, 광학 필름(10)의 두께 차이에 의한 영향은 받지 않는다고 간주할 수 있다.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수지층(12)의 표면(12A))은, JIS K5600-5-4:1999에서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으로 측정되었을 때의 경도(연필 경도)가 3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H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H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필 경도 시험은, 연필에 1㎏의 하중을 가함과 함께, 연필의 이동 속도를 1㎜/초로 한 상태에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연필 경도는, 연필 경도 시험에 있어서 광학 필름의 표면에 흠집이 나지 않은 가장 높은 경도로 한다. 또한, 연필 경도의 측정 시에는, 경도가 다른 연필을 복수 개 사용하여 행하지만, 연필 1개에 대해 5회 연필 경도 시험을 행하고, 5회 중 4회 이상 광학 필름의 표면에 흠집이 나지 않은 경우에는, 이 경도의 연필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 흠집이 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상기 흠집은, 연필 경도 시험을 행한 광학 필름의 표면을 형광등 아래에서 투과 관찰하여 시인되는 것을 가리킨다.
광학 필름(10)은, 옐로우 인덱스(YI)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의 YI가 15를 초과하면, 광학 필름의 황색감이 두드러져,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적용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옐로우 인덱스(YI)는, 분광 광도계(제품명 「UV-3100PC」, 시마즈 세이사꾸쇼 제조, 광원: 텅스텐 램프 및 중수소 램프)를 사용하여, 5㎝×10㎝의 크기로 잘라낸 광학 필름에 대해 측정된 값으로부터 JIS Z8722:2009에 기재된 연산식에 따라서 색도 3자극값 X, Y, Z를 계산하고, 3자극값 X, Y, Z로부터 ASTM D1925:1962에 기재된 연산식에 따라서 산출된 값이다. 광학 필름(10)의 옐로우 인덱스(YI)의 상한은,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의 옐로우 인덱스(YI)를 조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수지 기재(11)나 수지층(12)에, 황색의 보색이 되는 청색의 색소를 함유시켜도 된다. 수지 기재로서, 폴리이미드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황색감이 문제가 되는 경우라고 해도, 수지 기재(11)나 수지층(12)에 청색의 색소를 포함시킴으로써, 광학 필름(10)의 옐로우 인덱스(YI)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청색의 색소로서는, 안료 또는 염료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예를 들어 광학 필름(10)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경우, 내광성이나 내열성을 겸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색의 색소로서, 다환계 유기 안료나 금속 착체 유기 안료 등은, 염료의 분자 분산에 비해 자외선에 의한 분자 열단의 정도가 적어 내광성이 현저히 우수하기 때문에, 내광성 등이 요구되는 용도에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탈로시아닌계의 유기 안료 등을 적합하게 들 수 있다. 단, 안료는 용제에 대해 입자 분산되므로, 입자 산란에 의한 투명성 저해는 존재하기 때문에, 안료 분산체의 입도를 레일리 산란 영역에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학 필름의 투명성이 중요시되는 경우에는, 상기 청색의 색소로서는, 용제에 대해 분자 분산되는 염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의 파장 380㎚의 광의 투과율은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의 상기 투과율이 8%를 초과하면, 광학 필름을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한 경우, 편광자가 자외선에 노출되어, 열화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상기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제품명 「UV-3100PC」, 시마즈 세이사꾸쇼사 제조, 광원: 텅스텐 램프 및 중수소 램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3회 측정하여 얻어진 값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광학 필름(10)의 상기 투과율의 상한은 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필름(10)의 상기 투과율은, 수지층(12) 중의 후술하는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을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광학 필름(10)의 헤이즈값(총 헤이즈값)은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의 상기 헤이즈값이 2.5%를 초과하면, 광학 필름을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한 경우, 화상 표시면이 백화될 우려가 있다. 상기 헤이즈값은, 헤이즈 미터(제품명 「HM-150」, 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쯔 겐뀨죠 제조)를 사용하여 JIS K7136:2000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헤이즈값은, 5㎝×10㎝의 크기로 잘라낸 광학 필름에 대해 3회 측정하여 얻어진 값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상기 헤이즈값은,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필름(10)의 상기 헤이즈값은, 수지층(12) 중의 후술하는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을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근년, 퍼스널 컴퓨터나 태블릿 단말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적극적으로 채용되고 있는데, 이 발광 다이오드는, 블루 라이트라고 불리는 광을 강하게 발하고 있다. 이 블루 라이트는, 파장 380 내지 495㎚의 광이며 자외선에 가까운 성질을 갖고 있고, 강한 에너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각막이나 수정체에서 흡수되지 않고 망막에 도달함으로써, 망막의 손상, 눈의 피로, 수면에의 악영향 등의 원인이 된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광학 필름을,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표시 화면의 색감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블루 라이트 차폐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블루 라이트를 차광하는 관점에서, 광학 필름(10)은, 파장 38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1% 미만이고, 파장 41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10% 미만이고, 파장 44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장 38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1% 이상이거나, 파장 41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10% 이상이거나 하면, 블루 라이트에 의한 문제를 해소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파장 44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70% 미만이면, 광학 필름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색감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광학 필름(10)은, 블루 라이트의 파장 중, 파장 410㎚ 이하의 파장 영역의 광을 충분히 흡수시키는 한편, 파장 440㎚ 이상의 광을 충분히 투과시켜, 표시 화면의 색감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블루 라이트의 차폐성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블루 라이트의 차폐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10)을 화상 표시 장치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열화 억제에도 효과적이다.
광학 필름(10)의 광 투과율은, 파장 380㎚까지는 거의 0%이고, 파장 410㎚부터 점점 광의 투과가 커지고, 파장 440㎚ 부근에서 급격하게 광의 투과가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파장 410㎚ 내지 440㎚ 사이에서 분광 투과율이 시그모이드형 곡선을 그리도록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장 38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미만이고, 파장 41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고, 파장 44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또한, 광학 필름(10)은, 파장 42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분광 투과율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광학 필름(10)은, 파장 440㎚ 부근에서 급격하게 투과율이 향상되게 되어, 표시 화면의 색감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매우 우수한 블루 라이트 차폐성을 얻을 수 있다.
광학 필름(10)에 있어서의 파장 38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은 0.1%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파장 41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은 7%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파장 44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은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10)은, 최소 제곱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파장 415 내지 435㎚의 범위의 투과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2.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기가 2.0 이하이면, 블루 라이트의 광파장 영역, 예를 들어 파장 415 내지 435㎚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충분히 광을 커트하지 못해 블루 라이트 커트 효과가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블루 라이트의 광파장 영역(파장 415 내지 435㎚)을 지나치게 커트하였을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고, 그 경우, 화상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나 발광 파장 영역(예를 들어, OLED의 파장 430㎚로부터의 발광)에 간섭해 버려, 색감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기울기는, 예를 들어 0.5% 간격으로 측정 가능한 분광 광도계(제품명 「UV-3100PC」, 시마즈 세이사꾸쇼사 제조)를 사용하여, 전후 1㎚의 사이에서 최저 5포인트분의 투과율의 데이터를 415 내지 435㎚ 사이에서 측정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광학 필름(10)은, 블루 라이트의 차폐율이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루 라이트의 차폐율이 40% 미만이면, 상술한 블루 라이트에 기인한 문제를 충분히 해소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블루 라이트의 차폐율은, 예를 들어 JIS T7333:2005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다. 또한, 이러한 블루 라이트 차폐율은, 예를 들어 수지층(12)이 후술하는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를 포함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광학 필름(10)은, 원하는 크기로 커트되어 있어도 되지만, 롤형이어도 된다. 광학 필름(10)이 원하는 크기로 커트되어 있는 경우, 광학 필름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PC), 웨어러블 단말기, 디지털 사이니지, 텔레비전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10)의 크기는, 예를 들어 1인치 이상 500인치 이하로 되어 있어도 된다.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10)의 배치 개소는, 화상 표시 장치 내여도 되지만,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사용되는 경우, 광학 필름(10)은, 커버 글래스 대신에 사용되는 커버 필름으로서 기능한다.
<<수지 기재>>
수지 기재(11)는, 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이다. 수지 기재(11)의 두께는, 10㎛ 이상 10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기재의 두께가 10㎛ 미만이면, 광학 필름의 컬이 커지고, 또한 경도도 불충분해져 연필 경도를 3H 이상으로 하지 못할 우려가 있고, 또한 광학 필름을 롤 투 롤로 제조하는 경우,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외관의 악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수지 기재의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광학 필름의 접힘 성능이 불충분해져, 후술하는 접힘 시험의 요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광학 필름이 무거워져, 경량화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수지 기재(11)의 두께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수지 기재(11)의 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면의 화상에 있어서 수지 기재(11)의 막 두께를 10개소 측정하고, 그 10개소의 막 두께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수지 기재(11)의 하한은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수지 기재(11)의 상한은 8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기재(11)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접힘 시험에 있어서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우수한 경도 및 투명성도 갖고, 또한 내열성도 우수하고, 소성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경도 및 투명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는 관점에서,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아민 성분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테트라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아민 성분의 중합에 의해 폴리아미드산을 얻어 이미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드화는, 열 이미드화로 행해도 되고, 화학 이미드화로 행해도 된다. 또한, 열 이미드화와 화학 이미드화를 병용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지방족의 폴리이미드계 수지여도 되지만, 방향족 환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환을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성분 및 디아민 성분 중 적어도 한쪽에 방향족 환을 포함하는 것이다.
테트라카르복실산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이 적합하게 사용되고, 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디시클로헥산-3,4,3',4'-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2',3,3'-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2',3,3'-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2,2-비스(2,3-디카르복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에테르 이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술폰 이무수물, 1,1-비스(2,3-디카르복시페닐)에탄 이무수물, 비스(2,3-디카르복시페닐)메탄 이무수물,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메탄 이무수물, 2,2-비스(3,4-디카르복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이무수물, 2,2-비스(2,3-디카르복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이무수물, 1,3-비스〔(3,4-디카르복시)벤조일〕벤젠 이무수물, 1,4-비스〔(3,4-디카르복시)벤조일〕벤젠 이무수물, 2,2-비스{4-〔4-(1,2-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2,2-비스{4-〔3-(1,2-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프로판 이무수물, 비스{4-〔4-(1,2-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케톤 이무수물, 비스{4-〔3-(1,2-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케톤 이무수물, 4,4'-비스〔4-(1,2-디카르복시)페녹시〕비페닐 이무수물, 4,4'-비스〔3-(1,2-디카르복시)페녹시〕비페닐 이무수물, 비스{4-〔4-(1,2-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케톤 이무수물, 비스{4-〔3-(1,2-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케톤 이무수물, 비스{4-〔4-(1,2-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술폰 이무수물, 비스{4-〔3-(1,2-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술폰 이무수물, 비스{4-〔4-(1,2-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술피드 이무수물, 비스{4-〔3-(1,2-디카르복시)페녹시〕페닐}술피드 이무수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무수물, 3,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무수물, 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무수물, 2,3,6,7-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2,5,6-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2,3,4-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3,4, 9,10-페릴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2,3,6,7-안트라센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1,2,7,8-페난트렌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디아민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o-페닐렌디아민, 3,3'-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3,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3,3'-디아미노디페닐술피드, 3,4'-디아미노디페닐술피드, 4,4'-디아미노디페닐술피드, 3,3'-디아미노디페닐술폰, 3,4'-디아미노디페닐술폰,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3,3'-디아미노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3,4'-디아미노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3,3'-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3,4'-디아미노디페닐메탄, 2,2-디(3-아미노페닐)프로판, 2,2-디(4-아미노페닐)프로판, 2-(3-아미노페닐)-2-(4-아미노페닐)프로판, 2,2-디(3-아미노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2,2-디(4-아미노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2-(3-아미노페닐)-2-(4-아미노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1,1-디(3-아미노페닐)-1-페닐에탄, 1,1-디(4-아미노페닐)-1-페닐에탄, 1-(3-아미노페닐)-1-(4-아미노페닐)-1-페닐에탄, 1,3-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 1,3-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1,4-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 1,4-비스(4-아미노페녹시)벤젠, 1,3-비스(3-아미노벤조일)벤젠, 1,3-비스(4-아미노벤조일)벤젠, 1,4-비스(3-아미노벤조일)벤젠, 1,4-비스(4-아미노벤조일)벤젠, 1,3-비스(3-아미노-α,α-디메틸벤질)벤젠, 1,3-비스(4-아미노-α,α-디메틸벤질)벤젠, 1,4-비스(3-아미노-α,α-디메틸벤질)벤젠, 1,4-비스(4-아미노-α,α-디메틸벤질)벤젠, 1,3-비스(3-아미노-α,α-디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벤젠, 1,3-비스(4-아미노-α,α-디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벤젠, 1,4-비스(3-아미노-α,α-디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벤젠, 1,4-비스(4-아미노-α,α-디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벤젠, 2,6-비스(3-아미노페녹시)벤조니트릴, 2,6-비스(3-아미노페녹시)피리딘,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 9,9-비스(4-아미노페닐)플루오렌, 2,2'-디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2,2'-디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3,3'-디클로로-4,4'-디아미노비페닐, 3,3'-디메톡시-4,4'-디아미노비페닐, 3,3'-디메틸-4,4'-디아미노비페닐, 4,4'-비스(3-아미노페녹시)비페닐, 4,4'-비스(4-아미노페녹시)비페닐,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케톤,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케톤,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술피드,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피드,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에테르,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에테르, 2,2-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2,2-비스[3-(3-아미노페녹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1,3-비스[4-(3-아미노페녹시)벤조일]벤젠, 1,3-비스[4-(4-아미노페녹시)벤조일]벤젠, 1,4-비스[4-(3-아미노페녹시)벤조일]벤젠, 1,4-비스[4-(4-아미노페녹시)벤조일]벤젠, 1,3-비스[4-(3-아미노페녹시)-α,α-디메틸벤질]벤젠, 1,3-비스[4-(4-아미노페녹시)-α,α-디메틸벤질]벤젠, 1,4-비스[4-(3-아미노페녹시)-α,α-디메틸벤질]벤젠, 1,4-비스[4-(4-아미노페녹시)-α,α-디메틸벤질]벤젠, 4,4'-비스[4-(4-아미노페녹시)벤조일]디페닐에테르, 4,4'-비스[4-(4-아미노-α,α-디메틸벤질)페녹시]벤조페논, 4,4'-비스[4-(4-아미노-α,α-디메틸벤질)페녹시]디페닐술폰, 4,4'-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녹시]디페닐술폰, 3,3'-디아미노-4,4'-디페녹시벤조페논, 3,3'-디아미노-4,4'-디비페녹시벤조페논, 3,3'-디아미노-4-페녹시벤조페논, 3,3'-디아미노-4-비페녹시벤조페논, 6,6'-비스(3-아미노페녹시)-3,3,3',3'-테트라메틸-1,1'-스피로비인단, 6,6'-비스(4-아미노페녹시)-3,3,3',3'-테트라메틸-1,1'-스피로비인단, 1,3-비스(3-아미노프로필)테트라메틸디실록산, 1,3-비스(4-아미노부틸)테트라메틸디실록산, α,ω-비스(3-아미노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α,ω-비스(3-아미노부틸)폴리디메틸실록산, 비스(아미노메틸)에테르, 비스(2-아미노에틸)에테르, 비스(3-아미노프로필)에테르, 비스(2-아미노메톡시)에틸]에테르, 비스[2-(2-아미노에톡시)에틸]에테르, 비스[2-(3-아미노프로톡시)에틸]에테르, trans-시클로헥산디아민, trans-1,4-비스메틸렌시클로헥산디아민, 2,6-비스(아미노메틸)비시클로 [2,2,1]헵탄, 2,5-비스(아미노메틸)비시클로[2,2,1]헵탄, 또한 상기 디아민의 방향족 환상 수소 원자의 일부 혹은 전부를 플루오로기, 메틸기, 메톡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톡시기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한 디아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폴리이미드계 수지로서는, 방향족 환을 포함하고, 또한 (i) 불소 원자, (ii) 지방족 환, 및 (iii) 방향족 환끼리의 전자 공액을 절단하는 연결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계 수지에 방향족 환을 포함하면 배향성이 높아져, 강성이 향상되지만, 방향족 환의 흡수 파장에 의해 투과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이미드계 수지가 (i)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폴리이미드 골격 내의 전자 상태를 전하 이동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 투과성이 향상된다. 또한, 폴리이미드계 수지가 (ii) 지방족 환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폴리이미드 골격 내의 π 전자의 공액을 절단함으로써 골격 내의 전하의 이동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 투과성이 향상된다. 또한, 폴리이미드계 수지가 (iii) 방향족 환끼리의 전자 공액을 절단하는 연결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폴리이미드 골격 내의 π 전자의 공액을 절단함으로써 골격 내의 전하의 이동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광 투과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방향족 환끼리의 전자 공액을 절단하는 연결기로서는, 예를 들어 에테르 결합, 티오에테르 결합, 카르보닐 결합, 티오카르보닐 결합, 아미드 결합, 술포닐 결합 및 술피닐 결합, 그리고 불소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렌기 등의 2가의 연결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방향족 환을 포함하면서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인 것이,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에 있어서의 불소 원자의 함유 비율은, 폴리이미드계 수지의 표면을 X선 광전자 분광법에 의해 측정한 불소 원자수(F)와 탄소 원자수(C)의 비율(F/C)이,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불소 원자의 함유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폴리이미드계 수지의 본래의 내열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상기 불소 원자수(F)와 탄소 원자수(C)의 비율(F/C)이,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8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여기서, X선 광전자 분광법(XPS)의 측정에 의한 상기 비율은, X선 광전자 분광 장치(예를 들어, Thermo Scientific사 Theta Probe)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각 원자의 원자%의 값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계 수지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되는 수소 원자의 70% 이상이, 방향족 환에 직접 결합되는 수소 원자인 폴리이미드계 수지인 것이,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이미드계 수지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되는 모든 수소 원자(개수) 중의, 방향족 환에 직접 결합되는 수소 원자(개수)의 비율은, 8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8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되는 수소 원자의 70% 이상이, 방향족 환에 직접 결합되는 수소 원자인 폴리이미드인 경우에는, 대기 중에 있어서의 가열 공정을 거쳐도, 예를 들어 200℃ 이상에서 연신을 행해도, 광학 특성, 특히 전광선 투과율이나 옐로우 인덱스(YI)의 변화가 적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계 수지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되는 수소 원자의 70% 이상이, 방향족 환에 직접 결합되는 수소 원자인 폴리이미드인 경우에는, 산소와의 반응성이 낮기 때문에, 폴리이미드계 수지의 화학 구조가 변화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된다.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는 그 높은 내열성을 이용하여, 가열을 수반하는 가공 공정이 필요한 디바이스 등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폴리이미드계 수지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되는 수소 원자의 70% 이상이, 방향족 환에 직접 결합되는 수소 원자인 폴리이미드계 수지인 경우에는, 이들 후속 공정을 투명성 유지를 위해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실시할 필요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설비 비용이나 분위기 제어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폴리이미드계 수지에 포함되는 탄소 원자에 결합되는 전체 수소 원자(개수) 중의, 방향족 환에 직접 결합되는 수소 원자(개수)의 비율은, 폴리이미드의 분해물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계 및 NMR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샘플을, 알칼리 수용액, 또는 초임계 메탄올에 의해 분해하고, 얻어진 분해물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고, 당해 분리한 각 피크의 정성 분석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계 및 NMR 등을 사용하여 행하고,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량함으로써 폴리이미드에 포함되는 전체 수소 원자(개수) 중의, 방향족 환에 직접 결합되는 수소 원자(개수)의 비율을 구할 수 있다.
또한,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폴리이미드계 수지로서는, 그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 (1) 및 하기 일반식 (3)으로 나타내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R1은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인 4가의 기, R2는, trans-시클로헥산디아민 잔기, trans-1,4-비스메틸렌시클로헥산디아민 잔기,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3,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및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내는 2가의 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가의 기를 나타낸다. n은 반복 단위수를 나타내며, 1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라 함은, 테트라카르복실산으로부터, 4개의 카르복실기를 제외한 잔기를 말하며,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부터 산 이무수물 구조를 제외한 잔기와 동일한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디아민 잔기」라 함은, 디아민으로부터 2개의 아미노기를 제외한 잔기를 말한다.
Figure pct00002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알킬기, 또는 퍼플루오로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상기 일반식 (3)에 있어서, R5는 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디시클로헥산-3,4,3',4'-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및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4가의 기, R6은, 디아민 잔기인 2가의 기를 나타낸다. n'은 반복 단위수를 나타내며, 1 이상이다.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의, R1은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이며, 상기 예시된 테트라카르복실산 이무수물로부터 산 이무수물 구조를 제외한 잔기로 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의 R1로서는, 그 중에서도,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잔기,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피로멜리트산 잔기, 2,3',3,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4,4'-옥시디프탈산 잔기, 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및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잔기, 4,4'-옥시디프탈산 잔기, 및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1에 있어서, 이들 적합한 잔기를 합계로, 5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9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R1로서, 3,3',4,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3,3',4,4'-벤조페논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및 피로멜리트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같은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A)과,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잔기, 2,3',3,4'-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4,4'-옥시디프탈산 잔기, 시클로헥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및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같은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B)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A)과,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B)의 함유 비율은,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B) 1몰에 대해, 상기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군(그룹 A)이 0.05몰 이상 9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몰 이상 5몰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3몰 이상 4몰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의 R2로서는, 그 중에서도,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3,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및 상기 일반식 (2)로 나타내는 2가의 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가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3,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그리고 R3 및 R4가 퍼플루오로알킬기인 상기 일반식 (2)로 나타내는 2가의 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가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3)에 있어서의 R5로서는, 그 중에서도,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4,4'-(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리덴)디프탈산 잔기, 3,3',4,4'-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잔기, 및 옥시디프탈산 잔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5에 있어서, 이들 적합한 잔기를, 5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9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3)에 있어서의 R6은 디아민 잔기이며, 상기 예시된 디아민으로부터 2개의 아미노기를 제외한 잔기로 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3)에 있어서의 R6으로서는, 그 중에서도, 광 투과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강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지딘 잔기,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잔기,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잔기,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잔기, 4,4'-디아미노-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디페닐에테르 잔기, 1,4-비스[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벤젠 잔기, 2,2-비스[4-(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잔기, 4,4'-디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디페닐에테르 잔기,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잔기,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 잔기, 및 9,9-비스(4-아미노페닐)플루오렌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가의 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지딘 잔기,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잔기, 및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2가의 기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R6에 있어서, 이들 적합한 잔기를 합계로, 5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90몰%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한, R6으로서,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잔기,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잔기, N,N'-비스(4-아미노페닐)테레프탈아미드 잔기, 파라페닐렌디아민 잔기, 메타페닐렌디아민 잔기, 및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같은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C)과,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지딘 잔기,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잔기, 2,2-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잔기, 비스[4-(3-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잔기, 4,4'-디아미노-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디페닐에테르 잔기, 1,4-비스[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벤젠 잔기, 2,2-비스[4-(4-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 페녹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판 잔기, 4,4'-디아미노-2-(트리플루오로메틸)디페닐에테르 잔기, 및 9,9-비스(4-아미노페닐)플루오렌 잔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같은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D)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C)과,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D)의 함유 비율은,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D) 1몰에 대해, 상기 강직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한 디아민 잔기군(그룹 C)이 0.05몰 이상 9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몰 이상 5몰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0.3몰 이상 4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 (1) 및 상기 일반식 (3)로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 n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반복 단위수를 나타내고, 1 이상이다. 폴리이미드에 있어서의 반복 단위수 n은, 후술하는 바람직한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조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균 반복 단위 수는, 통상 10 내지 2000이고, 15 내지 10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그 일부에 폴리아미드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폴리아미드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멜리트산 무수물과 같은 트리카르복실산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이미드 구조나, 테레프탈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구조를 들 수 있다.
폴리이미드계 수지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2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7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연신 용이성이나 베이크 온도 저감의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8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하기 식 중, n은, 반복 단위이며,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지방족 폴리아미드뿐만 아니라, 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는, 일반적으로, 하기 식 (21) 및 (22)로 나타내는 골격을 갖는 것이며,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 (2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하기 식 중, n은, 반복 단위이며,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상기 식 (4) 내지 (20) 및 (23)으로 나타내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츠비시 가스 가가꾸사 제조의 네오프림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레이사 제조의 미크트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4) 내지 (20) 및 (23)으로 나타내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합성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식 (4)로 나타내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의 합성 방법은,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32091호에 기재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24)로 나타내는 4,4'-헥사플루오로프로필리덴비스프탈산 이무수물(FPA)과 2,2'-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4,4'-디아미노비페닐(TFDB)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24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000 이상 50만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 내지 30만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만 이상 20만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 미만이면,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50만을 초과하면 점도가 상승하여, 용해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표면이 평활하고 막 두께가 균일한 기재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 함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값이다.
상기 폴리이미드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중에서도,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분자 내 또는 분자 사이의 전하 이동이 일어나기 어려운 구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 (4) 내지 (11) 등의 불소화 폴리이미드계 수지, 상기 식 (13) 내지 (16) 등의 지환 구조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상기 식 (23) 등의 할로겐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식 (4) 내지 (11) 등의 불소화 폴리이미드계 수지에서는, 불소화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높은 내열성을 갖고 있고,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제조 시의 열에 의해 착색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다.
수지 기재(11)는, 수지층(12)의 표면(12A)에 있어서의 JIS K5600-5-4:1999에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하중: 1kg, 속도: 1㎜/초)의 조건에서 측정된 경도를, 3H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관점에서, 상기 식 (4) 내지 (11) 등으로 나타내는 불소화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상기 식 (23) 등의 할로겐기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연필 경도를 3H 이상의 매우 우수한 경도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식 (4)로 나타내는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1종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들 수 있다.
<<수지층>>
수지층(12)은, 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수지층(12)은, 하드 코팅성 및 충격 흡수성을 갖는 층이다. 수지층은, 두 개 이상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 수지층은, 제1 수지층과, 제1 수지층보다 연필 경도가 높은 제2 수지층과,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보다 연필 경도가 높고, 내찰상성을 향상시키는 제3 수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제3 수지층의 표면이 광학 필름의 표면이 된다. 제1 수지층의 표면에 직접 제3 수지층을 형성하면, 내찰상성이 향상되기는 하나, 접힘 성능이 저하되어, 광학 필름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제1 수지층과 제3 수지층 사이의 연필 경도를 갖는 제2 수지층을 제1 수지층과 제3 수지층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내찰상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접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수지층(12)의 막 두께는, 50㎛ 이상 30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12)의 막 두께가 50㎛ 미만이면, 수지층의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한 300㎛를 초과하면, 막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기 때문에, 박형화에 적합하지 않은 동시에, 가공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수지층(12)의 막 두께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수지층(12)의 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면의 화상에 있어서 수지층(12)의 막 두께를 20개소 측정하고, 그 20개소의 막 두께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수지층(12)의 하한은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수지층(12)의 상한은 2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층(12)을 구성하는 수지는, 광학 필름(10)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상기 범위 내가 되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우레탄계 수지, 우레탄계 겔, 아크릴계 겔, 실리콘계 겔,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우레탄계 수지는, 인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우수한 접힘 성능을 얻는다는 관점 및 연필 경도가 3H 이상이 되는 우수한 경도를 얻는다는 관점에서, 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겔」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고점도이며 유동성을 잃은 분산계를 말한다. 또한, 수지층(12)은, 우레탄계 수지나 에폭시계 수지 등 외에, 고무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우레탄계 수지는, 우레탄 결합을 갖는 수지이다. 우레탄계 수지로서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나 열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내찰상성 및 고경도가 얻어지고,또한 경화 속도도 빨라 양산성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전리 방사선 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열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모노머, 올리고머 및 프리폴리머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라 함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중의 (메트)아크릴로일기의 수(관능기 수)는, 2 이상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중의 (메트)아크릴로일기의 수가 2 미만이면, 연필 경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고, 또한 4를 초과하면, 경화 수축이 커져, 광학 필름이 컬링되어 버리고, 또한 구부러질 때에 수지층에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중의 (메트)아크릴로일기의 수의 상한은,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라 함은,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의 양쪽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500 이상 2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500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한 20000을 초과하면, 전리 방사선 경화성 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도공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하한은 2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은 15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조를 갖는 반복 단위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25), (26), (27) 또는 (28)로 나타내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5
상기 일반식 (25) 중, R7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8은 분지쇄상 알킬기 또는 포화 환상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m은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6
상기 일반식 (26) 중, R7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8은 분지쇄상 알킬기 또는 포화 환상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7
상기 일반식 (27) 중, R7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8은 분지쇄상 알킬기 또는 포화 환상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m은 0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8
상기 일반식 (28) 중, R7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나타내고, R8은 분지쇄상 알킬기 또는 포화 환상 지방족기를 나타내고, R9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n은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x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아크릴계 겔)
아크릴계 겔로서는, 점착제 등에 사용되고 있는, 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모노머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머이면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겔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i-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i-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i-미리스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i-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i-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i-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라 함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공)중합할 때에 사용하는 아크릴산에스테르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 2종류 이상 병용해도 된다.
또한, 수지층(12)을 구성하는 수지가, 어떠한 구조의 고분자쇄(반복 단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지는, 예를 들어 열분해 GC-MS 및 FT-IR에 의해 수지층(12)을 분석함으로써 판단 가능하다. 특히, 열분해 GC-MS는, 수지층(12)에 포함되는 단량체 단위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수지층(12)은, 광학 필름(10)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상기 범위 내로 되어 있으면, 자외선 흡수제, 분광 투과율 조정제, 방오제,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 입자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
광학 필름은, 접힘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에 특히 적합하게 사용되지만,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는 옥외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그 때문에, 광학 필름보다 표시 소자측에 배치된 편광자가 자외선에 노출되어 열화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수지층은, 편광자의 표시 화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지층에 자외선 흡수제가 함유되어 있으면, 편광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에 의한 열화를 적합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UVA)는, 수지 기재(11)에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자외선 흡수제(UVA)는, 수지층(12)에 함유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4-[1-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4,6-비스(4-페닐페닐)-1,3,5-트리아진, 2-[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2-히드록시-3-트리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및 2-[4-[(2-히드록시-3-(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TINUVIN460, TINUVIN477(모두, BASF사 제조), LA-46(ADEKA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벤조페논,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삼수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CHMASSORB81/FL(BASF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에틸헥실-3-〔3-tert-부틸-4-히드록시-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H-벤조트리아졸-2-일)-6-(직쇄 및 측쇄 도데실)-4-메틸페놀,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tert-부틸)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6-디-tert-펜틸페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도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및 2-(2'-히드록시-3'-ter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KEMISORB71D, KEMISORB79(모두, 케미프로 가세이사 제조), JF-80, JAST-500(모두, 조호쿠 가가꾸사 제조), ULS-1933D(잇포샤 제조), RUVA-93(오츠카 가가꾸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그 중에서도,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자외선 흡수제는,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과의 용해성이 높은 쪽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술한 내구 접힘 시험 후의 블리드 아웃이 적은 쪽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폴리머화 또는 올리고머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 트리아진, 벤조페논 골격을 갖는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벤조트리아졸이나 벤조페논 골격을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를 임의의 비율로 열 공중합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시 장치에 광학 필름을 적용하는 경우, 자외선 흡수제는, OLED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지층용 조성물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1질량부 이상 6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질량부 미만이면, 상술한 자외선 흡수제를 수지층에 함유시키는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6질량부를 초과하면, 수지층에 현저한 착색이나 강도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의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5질량부 이하이다.
<분광 투과율 조정제>
분광 투과율 조정제는, 광학 필름의 분광 투과율을 조정하는 것이다. 수지층에, 예를 들어 하기 일반식 (29)로 나타내는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를 포함시킨 경우에는, 상술한 분광 투과율을 적합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
Figure pct00029
식 중, R1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R12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상기한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인 물질명으로서는, 2-[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에틸메타크릴레이트, 2-[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에틸아크릴레이트, 3-[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3-[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프로필아크릴레이트, 4-[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부틸메타크릴레이트, 4-[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부틸아크릴레이트, 2-[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2-[3-{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프로파노일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3-{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프로파노일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4-[3-{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프로파노일옥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4-[3-{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프로파노일옥시]부틸아크릴레이트, 2-[3-{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프로파노일옥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3-{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일}프로파노일옥시]에틸아크릴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카르복실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카르복실레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카르복실레이트, 4-(아크릴로일옥시)부틸2-(6-히드록시벤조[1,3]디옥솔-5-일)-2H-벤조트리아졸-5-카르복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는 1종류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류 이상 사용해도 된다.
상기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는, 수지층(12)에 함유되어 있어도 되지만, 수지층이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인 경우에는, 1층 이상의 수지층에 함유되어, 상기 분광 투과율의 요건을 만족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 중 하나에 파장 38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만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를 함유하고, 다른 수지층에 파장 410㎚ 및 파장 44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의 조건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를 함유하고 있는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층이 3층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수지층에서 상술한 분광 투과율의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상기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가 수지층(12)에 함유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는, 수지층(12)층 중 15 내지 30질량%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에서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가 함유되어 있음으로써, 상술한 분광 투과율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사몰형 벤조트리아졸계 단량체는, 수지층(12)에 있어서, 수지층(12)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과 반응하여 일체적으로 함유되어 있어도 되고, 수지층(12)을 구성하는 수지 성분과 반응하는 일 없이 단독으로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방오제>
방오제는, 수지층에 균일하게 방오제가 분산되어 있어도 되지만, 적은 첨가량으로 충분한 방오성을 얻음과 함께 수지층의 강도 저하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수지층의 표면측에 편재되어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오제를 수지층의 표면측에 편재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지층을 형성 시에 있어서, 후술하는 수지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도막을 건조시키고, 경화시키기 전에, 도막을 가열하여, 도막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점도를 낮춤으로써 유동성을 높여, 방오제를 수지층의 표면측에 편재시키는 방법이나, 표면 장력이 낮은 방오제를 선정하여 사용하고, 도막의 건조 시에 열을 가하지 않고 도막의 표면에 방오제를 들뜨게 하고, 그 후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방오제를 수지층의 최표면측에 편재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방오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방오제, 불소계 방오제, 실리콘계이면서 불소계 방오제를 들 수 있고,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방오제로서는, 아크릴계 방오제여도 된다.
방오제의 함유량으로서는, 상술한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 0.01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중량부 미만이면, 수지층에 충분한 방오 성능을 부여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또한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층의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방오제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방오 성능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해, 반응성 관능기를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다. 그 중에서도, 2개 이상의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방오제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내찰상성을 부여할 수 있다.
방오제가 반응성 관능기를 갖지 않는 경우, 광학 필름이 롤형인 경우나, 시트형인 경우라도, 겹쳤을 때에 광학 필름의 이면으로 방오제가 전이되어 버려, 광학 필름의 이면에 다른 층을 부착 또는 도포하려고 하면, 다른 층의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복수 회의 접힘 시험을 행함으로써 용이하게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방오제는, 방오 성능의 성능 지속성(내구성)이 양호해지고, 그 중에서도, 상술한 불소계 방오제를 포함하는 수지층은, 지문이 묻기 어렵고(눈에 띄기 어렵고), 닦아냄성도 양호하다. 또한, 수지층용 조성물의 도공 시의 표면 장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레벨링성이 좋아, 형성하는 수지층의 외관이 양호한 것이 된다.
실리콘계 방오제를 포함하는 수지층은, 슬립성이 좋고, 내 스틸울성이 양호하다. 수지층에 이러한 실리콘계 방오제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탑재한 터치 센서는,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접촉하였을 때의 미끄러짐이 좋아지기 때문에, 촉감이 좋아진다. 또한, 수지층에 지문도 묻기 어렵고(눈에 띄기 어렵고), 닦아냄성도 양호해진다. 또한, 수지층용 조성물의 도공 시의 표면 장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레벨링성이 좋고, 형성하는 수지층의 외관이 양호한 것이 된다.
실리콘계 방오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SUA1900L10(신나카무라 가가꾸사 제조), SUA1900L6(신나카무라 가가꾸사 제조), Ebecryl1360(다이셀 사이텍사 제조), UT3971(닛폰 고세이사 제조), BYKUV3500(빅케미사 제조), BYKUV3510(빅케미사 제조), BYKUV3570(빅케미사 제조), X22-164E, X22-174BX, X22-2426, KBM503.KBM5103(신에쓰 가가꾸사 제조), TEGO-RAD2250, TEGO-RAD2300.TEGO-RAD2200N, TEGO-RAD2010, TEGO-RAD2500, TEGO-RAD2600, TEGO-RAD2700(에보닉 재팬사 제조), 메가팍 RS854(DIC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방오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옵툴 DAC, 옵툴 DSX(다이킨 고교사 제조), 메가팍 RS71, 메가팍 RS74(DIC사 제조), LINC152EPA, LINC151EPA, LINC182UA(교에이샤 가가꾸사 제조), 프터젠트 650A, 프터젠트 601AD, 프터젠트 602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이면서 실리콘계이고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방오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메가팍 RS851, 메가팍 RS852, 메가팍 RS853, 메가팍 RS854(DIC사 제조), 옵스타 TU2225, 옵스타 TU2224(JSR사 제조), X71-1203M(신에쓰 가가꾸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10)은, 수지층(12)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12)이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할 수 있다. 먼저, 수지 기재(11)의 한쪽 면(11A) 상에 바 코터 등의 도포 장치에 의해, 수지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수지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한다.
<수지층용 조성물>
수지층용 조성물은,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수지층용 조성물은, 그 밖에,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분광 투과율 조정제, 방오제, 무기 입자, 레벨링제, 용제,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층용 조성물은, 총 고형분이 25 내지 95%인 것이 바람직하다. 25%보다 낮으면 잔류 용매가 남거나, 백화가 발생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55%를 초과하면, 수지층용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도공성이 저하되어 표면에 얼룩이나 줄무늬가 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고형분은, 30 내지 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매)
상기 용매로서는,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부탄올, t-부탄올, 벤질알코올, PGME, 에틸렌글리콜, 디아세톤 알코올), 케톤(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헵타논, 디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아세톤 알코올), 에스테르(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이소프로필, 포름산메틸, PGMEA), 지방족 탄화수소(예, 헥산, 시클로헥산),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방향족 탄화수소(예,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아미드(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에테르(예,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테르알코올(예, 1-메톡시-2-프로판올), 카르보네이트(탄산디메틸, 탄산디에틸, 탄산에틸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용매로서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성분, 및 다른 첨가제를 용해 혹은 분산시키고, 상기 수지층용 조성물을 적합하게 도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
중합 개시제는, 전리 방사선 조사 또는 열에 의해 분해되어, 라디칼을 발생시켜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가교)을 개시 또는 진행시키는 성분이다.
중합 개시제는, 전리 방사선 조사 또는 열에 의해 라디칼 중합을 개시시키는 물질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힐러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밀옥심에스테르, 티오크산톤류, 프로피오페논류, 벤질류, 벤조인류, 아실포스핀옥시드류를 들 수 있다. 또한, 광증감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한 후, 건조시키고, 그 후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거나, 또는 가열하여, 수지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경화시켜, 수지층(12)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되는 광학 필름(10)이 얻어진다.
<<<화상 표시 장치>>>
광학 필름(10)은, 접힘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에 내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30)는, 관찰자측을 향해, 주로 전지 등이 수납된 하우징(31), 보호 필름(32), 표시 패널(33), 터치 센서(34), 원 편광판(35) 및 광학 필름(10)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표시 패널(33)과 터치 센서(34) 사이, 터치 센서(34)와 원 편광판(35) 사이, 원 편광판(35)과 광학 필름(10) 사이에는, 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 등의 광 투과성 접착층(36)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부재는 광 투과성 접착층(36)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광학 필름(10)의 이면(10B)의 일부에는, 흑색층(37)이 마련되어 있다.
광학 필름(10)은, 수지층(12)이 수지 기재(11)보다 관찰자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30)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10)의 수지층(12)의 표면(12A)이, 화상 표시 장치(30)의 표면(30A)을 구성하고 있다.
화상 표시 장치(30)에 있어서는, 표시 패널(33)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로 되어 있다. 터치 센서(34)는, 원 편광판(35)보다 표시 패널(33)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원 편광판(35)과 광학 필름(10)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터치 센서(34)는, 온셀 방식이나 인셀 방식이어도 된다.
충격 흡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종래부터 전단 손실 정접 tanδ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지 기재 상에 수지층을 갖는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을 전단 손실 정접 tanδ로 나타내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전단 손실 정접 tanδ에서는, 광학 필름의 표면(수지층의 표면)에 충격을 가하였을 때, 광학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임부 및 광학 필름보다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손상의 양쪽을 억제하지는 못하였다. 이것은, 전단 손실 정접 tanδ가, 전단 손실 탄성률 G"과 전단 저장 탄성률 G'의 비(G"/G')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더욱 거듭한 바,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을 가하였을 때의 광학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임부 및 광학 필름보다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손상의 양쪽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의 밸런스가 중요한 것을 알아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지 기재(11) 상에 수지층(12)을 갖는 광학 필름(10)에 있어서, 광학 필름(10)에 있어서의 상기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1㎫ 이상 200㎫ 이하로 되어 있고, 또한 광학 필름(10)의 상기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0.1㎫ 이상 100㎫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힘 가능하면서,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에 충격을 가한 경우에, 광학 필름(10)의 표면(10A)의 파임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화상 표시 장치(30)의 내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33) 등의 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수한 내충격성을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광학 필름의 개략 구성도이다.
<<<광학 필름>>>
도 4에 도시된 광학 필름(50)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며, 접힘 가능하고, 또한 광 투과성을 갖는 것이다.
광학 필름(50)은, 수지 기재(51)와, 수지 기재(51)의 한쪽 면(51A)측에 마련된 하드 코팅층(52)과, 수지 기재(51)의 한쪽 면(51A)과는 반대측의 다른 쪽 면(51B)측에 마련된 수지층(53)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수지층(53)에 있어서의 수지 기재(51)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이형 필름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단,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어 있는 광학 필름(50)의 물성 등은, 이형 필름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값이고, 또한 이형 필름은 사용 시에 박리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형 필름은, 광학 필름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50)의 표면(50A)은, 하드 코팅층(52)의 표면(52A)으로 되어 있다. 광학 필름(50)의 이면(50B)은, 수지층(53)에 있어서의 수지 기재(51)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53A)으로 되어 있다.
광학 필름(50)에 있어서는,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1㎫ 이상 200㎫ 이하로 되어 있다. 광학 필름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1㎫ 미만이면,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광학 필름의 표면이 크게 변형되어 버리고, 또한 수지층의 경도가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200㎫를 초과하면, 접힘 시에 광학 필름이 균열될 우려가 있다. 광학 필름(50)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의 상한은, 10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0)에 있어서는,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0.1㎫ 이상 100㎫ 이하로 되어 있다. 광학 필름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0.1㎫ 미만이면, 충격 흡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100㎫를 초과하면, 수지층의 경도가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광학 필름(50)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의 하한은, 0.5㎫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광학 필름(50)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의 상한은, 5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0)에 있어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은, 광학 필름(10)에 있어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과 마찬가지로 하여 측정할 수 있다.
광학 필름(50)은, 접힘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50)에 대해 접힘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라도, 광학 필름(50)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접힘 시험을 2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라도, 광학 필름(50)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라도, 광학 필름(50)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0)에 대해 접힘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에, 광학 필름(50)에 균열 등이 발생하면, 광학 필름(50)의 접힘성이 불충분해진다. 접힘 시험은, 하드 코팅층(52)이 내측이 되게 광학 필름(50)을 접도록 행해져도 되고, 또한 하드 코팅층(52)이 외측이 되게 광학 필름(50)을 접도록 행해져도 되지만, 어느 경우라도, 광학 필름(50)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힘 시험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접힘 시험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필름(50)의 표면(50A)(하드 코팅층(52)의 표면(52A))은, JIS K5600-5-4:1999에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의 경도(연필 경도)가, B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H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0)의 연필 경도는, 광학 필름(10)의 연필 경도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광학 필름(50)은, 광학 필름(10)의 란에서 설명한 이유와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옐로우 인덱스(YI)가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0)의 옐로우 인덱스는, 광학 필름(10)의 옐로우 인덱스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광학 필름(50)의 옐로우 인덱스(YI)의 상한은,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필름(50)의 옐로우 인덱스(YI)를 조정하기 위해, 광학 필름(10)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수지 기재(51)나 수지층(53)에 청색의 색소를 함유시켜도 된다. 청색의 색소로서는, 광학 필름(10)의 란에서 설명한 청색의 색소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필름(10)의 란에서 설명한 이유와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광학 필름(50)의 파장 380㎚의 광의 투과율은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0)에 있어서의 파장 380㎚의 광의 투과율은, 광학 필름(10)에 있어서의 파장 380㎚의 광의 투과율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광학 필름(50)의 상기 투과율의 상한은 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필름(50)의 상기 투과율은, 수지층(53) 중의 후술하는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을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광학 필름(50)의 헤이즈값(전체 헤이즈값)은, 광학 필름(10)의 란에서 설명한 이유와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0)의 헤이즈값은, 광학 필름(10)의 헤이즈값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헤이즈값은,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필름(50)의 상기 헤이즈값은, 수지층(53) 중의 후술하는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을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광학 필름(50)에 있어서도, 광학 필름(10)의 란에서 설명한 이유와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파장 38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1% 미만이고, 파장 41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10% 미만이고, 파장 44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0)의 광의 투과율은, 파장 380㎚까지는 거의 0%이고, 파장 410㎚로부터 점점 광의 투과가 커져, 파장 440㎚ 부근에서 급격하게 광의 투과가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파장 410㎚ 내지 440㎚ 사이에 분광 투과율이 시그모이드형 곡선을 그리도록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장 38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미만이고, 파장 41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이고, 파장 44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또한, 광학 필름(50)은, 파장 42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이 5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0)에 있어서의 파장 38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은 0.1%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파장 41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은 7%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파장 440㎚에 있어서의 분광 투과율은 8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50)은, 광학 필름(10)의 란에서 설명한 이유와 마찬가지의 이유로부터, 최소 제곱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파장 415 내지 435㎚의 범위의 투과 스펙트럼의 기울기가 2.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블루 라이트의 차폐율이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기나 블루 라이트 차폐율은, 광학 필름(10)의 란에서 설명한 기울기나 블루 라이트 차폐율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광학 필름(50)은, 원하는 크기로 커트되어 있어도 되지만, 롤형이어도 된다. 광학 필름(50)이 원하는 크기로 커트되어 있는 경우, 광학 필름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PC), 웨어러블 단말기, 디지털 사이니지, 텔레비전 등의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광학 필름(50)의 크기는, 예를 들어 1인치 이상 500인치 이하로 되어 있어도 된다.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50)의 배치 개소는, 화상 표시 장치 내여도 되지만,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표시 장치의 표면에 사용되는 경우, 광학 필름(50)은, 커버 글래스 대신에 사용되는 커버 필름으로서 기능한다.
<<수지 기재>>
수지 기재(51)는, 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이다. 수지 기재(51)는, 수지 기재(11)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하드 코팅층>>
하드 코팅층(52)은, 하드 코팅층(52)의 단면 중앙에 있어서의 마르텐스 경도가 375㎫ 이상인 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르텐스 경도」라 함은, 나노인덴테이션법에 의한 경도 측정에 의해, 압자를 500㎚ 밀어 넣었을 때의 경도이다. 상기 나노인덴테이션법에 의한 마르텐스 경도의 측정은, 측정 샘플에 대해 HYSITRON(하이지트론)사 제조의 「TI950 TriboIndenter」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1㎜×10㎜로 잘라낸 광학 필름을 포매 수지에 의해 포매한 블록을 제작하고, 이 블록으로부터 일반적인 절편 제작 방법에 의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두께 70㎚ 이상 100㎚ 이하의 절편을 잘라낸다. 절편의 제작에는, 「울트라 마이크로톰 EM UC7」(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절편이 잘라내어진 나머지 블록을 측정 샘플로 한다. 이어서, 이러한 측정 샘플에 있어서의 상기 절편이 잘라내어짐으로써 얻어진 단면에 있어서, 이하의 측정 조건에서, 상기 압자로서 버코비치(Berkovich) 압자(삼각뿔)를 하드 코팅층의 단면 중앙으로 500㎚ 밀어넣고, 일정 시간 유지하여 잔류 응력의 완화를 행한 후, 하중 제거시켜, 완화 후의 최대 하중을 계측하고, 당해 최대 하중 Pmax(μN)와 깊이 500㎚의 파임부 면적 A(nm2)를 사용하여, Pmax/A에 의해, 마르텐스 경도를 산출한다. 마르텐스 경도는, 10개소 측정하여 얻어진 값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측정 조건)
·하중 속도: 10㎚/초
·유지 시간: 5초
·하중 제하 속도: 10㎚/초
·측정 온도: 25℃
하드 코팅층(52)의 막 두께는, 1㎛ 이상 2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52)의 막 두께가, 1㎛ 미만이면, 하드 코팅층의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한 20㎛를 초과하면,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운 것에 기인하여 가공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라 함은, 하드 코팅층이 다층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하드 코팅층의 막 두께를 합계한 막 두께(총 두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하드 코팅층(52)의 막 두께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하드 코팅층(52)의 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면의 화상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52)의 막 두께를 20개소 측정하고, 그 20개소의 막 두께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하드 코팅층(52)의 상한은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은 단층 구조여도 되지만, 접힘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하드 코팅층(52)이, 제1 하드 코팅층(52B)과, 제1 하드 코팅층(52B) 상에 적층된 제2 하드 코팅층(52C)으로 구성되어 있는 예가 나타나 있다.
<제1 하드 코팅층>
제1 하드 코팅층(52B)은, 주로 광학 필름에 경도를 부여하기 위한 층이다. 제1 하드 코팅층(52B)은, 제1 하드 코팅층(52B)의 단면 중앙에 있어서의 마르텐스 경도가 500㎫ 이상 1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00㎫ 미만이면, 하드 코팅층의 경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1000㎫를 초과하면, 광학 필름의 접힘 성능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제1 하드 코팅층(52B)의 단면 중앙에 있어서의 마르텐스 경도의 하한은 6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한은 9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드 코팅층(52B)의 마르텐스 경도는, 제2 하드 코팅층(52C)의 마르텐스 경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마르텐스 경도의 관계를 가짐으로써, 광학 필름(50)은, 연필 경도가 특히 양호해진다. 이것은, 광학 필름(50)에 연필 경도 시험을 실시하여 연필에 하중을 가하여 밀어 넣었을 때, 광학 필름(50)의 변형이 억제되어, 흠집이나 파임 변형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제1 하드 코팅층(52B)의 마르텐스 경도를 제2 하드 코팅층(52C)의 마르텐스 경도보다 크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무기 입자의 함유량을 제1 하드 코팅층(52B)측에 보다 많이 함유하도록 제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하드 코팅층이 단층 구조인 경우에는, 하드 코팅층에 무기 입자가 수지 기재측에 편재되도록, 즉, 상기 하드 코팅층에 있어서의 무기 입자의 존재 비율이, 수지 기재측에서 보다 크고, 광학 필름의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서 작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드 코팅층(52B)은,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하드 코팅층(52B)은, 수지 중에 분산된 무기 입자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수지는, 중합성 화합물(경화성 화합물)의 중합체(경화물)를 포함한다. 중합성 화합물은, 분자 내에 중합성 관능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이다. 중합성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라 함은,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의 양쪽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옥타(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펜타에리트리톨데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탄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나, 이들을 PO, EO, 카프로락톤 등으로 변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상술한 마르텐스 경도를 적합하게 만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3 내지 6관능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TA),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DPPA),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옥타(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펜타에리트리톨데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라 함은,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또한, 경도나 조성물의 점도 조정, 밀착성의 개선 등을 위해,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모노머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시네이트,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이미드,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프릴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아다만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모노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수지층의 경도를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1000 미만이 바람직하고, 200 이상 8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합성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 2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이상 1만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이상 7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
무기 입자로서는,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우수한 경도를 얻는다는 관점에서,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실리카 입자 중에서도, 반응성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실리카 입자는,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의 사이에서 가교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실리카 입자이며, 이 반응성 실리카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제1 하드 코팅층(52B)의 경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실리카 입자는, 그 표면에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반응성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한 중합성 관능기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반응성 실리카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65040호 공보에 기재된 반응성 실리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성 실리카 입자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닛산 가가꾸 고교사 제조; MIBK-SD, MIBK-SDMS, MIBK-SDL, MIBK-SDZL, 닛키 쇼쿠바이 가세이사 제조; V8802, V8803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카 입자는, 구형 실리카 입자여도 되지만, 이형 실리카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 실리카 입자와 이형 실리카 입자를 혼합시켜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구형 실리카 입자」라 함은, 예를 들어 진구형, 타원 구형 등의 실리카 입자를 의미하고 또한, 「이형 실리카 입자」라 함은, 감자형의 랜덤한 요철을 표면에 갖는 형상의 실리카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이형 실리카 입자는, 그 표면적이 구형 실리카 입자와 비교하여 크기 때문에, 이러한 이형 실리카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의 접촉 면적이 커져, 상기 하드 코팅층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형 실리카 입자인지 아닌지는, 하드 코팅층의 전자 현미경에 의한 단면 관찰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5㎚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5㎚ 미만이면, 입자 자신의 제조가 곤란해져, 입자끼리가 응집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이형으로 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더욱이 상기 도공 전의 잉크 단계에서 이형 실리카 입자의 분산성이 나빠 응집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상기 이형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200㎚를 초과하면, 하드 코팅층에 큰 요철이 형성되거나, 헤이즈의 상승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실리카 입자가 구형 실리카 입자인 경우에는,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또는 주사 투과형 전자 현미경(STEM)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처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또한, 실리카 입자가 이형 실리카 입자인 경우에는, 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상기 하드 코팅층의 단면 현미경 관찰에서 나타난 이형 실리카 입자의 외주의 2점간 거리의 최댓값(긴 직경)과 최솟값(짧은 직경)의 평균값이다.
상기 무기 입자의 크기 및 배합량을 제어함으로써 제1 하드 코팅층(52B)의 경도(마르텐스 경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드 코팅층(52B)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실리카 입자는 직경이 5㎚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중합성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해 25 내지 6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드 코팅층>
제2 하드 코팅층(52C)은, 상술한 접힘 시험을 충족시키기 위한 층이다. 제2 하드 코팅층(52C)은, 제2 하드 코팅층(52C)의 단면 중앙에 있어서의 마르텐스 경도가 375㎫ 이상 15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375㎫ 미만이면, 하드 코팅층의 내찰상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1500㎫를 초과하면, 광학 필름의 내 접힘 성능이 불충분해져 상술한 접힘 시험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제2 하드 코팅층(52C)의 단면 중앙에 있어서의 마르텐스 경도의 하한은 4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한은 57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하드 코팅층(52C)은,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제2 하드 코팅층(52C)은, 수지 중에 분산된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지)
수지는, 중합성 화합물(경화성 화합물)의 중합체(경화물)를 포함한다.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제1 하드 코팅층(52B) 란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제2 하드 코팅층(52C)은, 상기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외에도,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다관능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이 포함되어도 된다.
(무기 입자)
무기 입자로서는, 제1 하드 코팅층(52B) 란의 무기 입자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제2 하드 코팅층(52C)에 있어서의 무기 입자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제2 하드 코팅층(52C)에 대해 0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드 코팅층(52B) 및 제2 하드 코팅층(52C) 중 적어도 어느 것은, 상술한 마르텐스 경도를 충족시키는 범위에서, 상술한 재료 이외의 재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수지 성분의 재료로서,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물을 형성하는 중합성 모노머나 중합성 올리고머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합성 모노머 또는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어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모노머, 또는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상기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모노머, 또는 분자 중에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플루오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합성 모노머 또는 중합성 올리고머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다관능(6관능 이상)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만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층(52)(제1 하드 코팅층(52B) 및 제2 하드 코팅층(52C) 중 적어도 어느 것)은, 자외선 흡수제, 분광 투과율 조정제, 및/또는 방오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 분광 투과율 조정제, 및 방오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자외선 흡수제, 분광 투과율 조정제, 및 방오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지층>>
수지층(53)은, 광 투과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수지층(53)은, 충격 흡수성을 갖는 층이다. 수지층은, 2층 이상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층(53)의 막 두께는, 30㎛ 이상 200㎛ 미만으로 되어 있다. 수지층(53)의 막 두께가 30㎛ 미만이면, 수지층의 경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또한 200㎛ 이상이면 막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기 때문에, 박형화에 적합하지 않은 데다가, 가공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수지층(53)의 막 두께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수지층(53)의 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면의 화상에 있어서 수지층(53)의 막 두께를 20개소 측정하고, 그 20개소의 막 두께의 산술 평균값으로 한다. 수지층(53)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수지층(53)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미만」이라고 하는 문언은, 기준값을 포함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200㎛ 미만」이라고 하는 문언은, 200㎛는 포함하지 않는다.
수지층(53)을 구성하는 수지는, 광학 필름(50)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상기 범위 내가 되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아크릴계 겔, 우레탄계 겔, 실리콘계 겔,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계 겔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53)은, 아크릴계 겔이나 우레탄계 수지 등 외에, 고무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겔이나 우레탄계 수지는, 수지층(12) 란에서 설명한 아크릴계 겔이나 우레탄계 수지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수지층(53)은, 광학 필름(50)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상기 범위 내로 되어 있으면, 자외선 흡수제, 분광 투과율 조정제, 방오제, 무기 입자 및/또는 유기 입자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 등은, 하드 코팅층(52) 란에서 설명한 자외선 흡수제 등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50)은, 수지층(53)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앙한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53)이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층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할 수 있다. 먼저, 수지 기재(51)의 한쪽 면(51A) 상에, 바 코터 등의 도포 장치에 의해, 제1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1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한다.
<제1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제1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제1 하드 코팅층(52B)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제1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그 밖에,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분광 투과율 조정제, 방오제, 무기 입자, 레벨링제, 용제,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용매 및 중합 개시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용매 및 중합 개시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한 후, 각종 공지의 방법으로 도막을, 예를 들어 30℃ 이상 120℃ 이하의 온도에서 10초간 내지 120초간 가열함으로써 건조시켜, 용제를 증발시킨다.
도막을 건조시킨 후, 도막에 자외선 등의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도막을 반경화(하프 큐어)시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반경화」라 함은, 전리 방사선을 더 조사하면 경화가 실질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단, 이 단계에서, 도막을 완전 경화(풀 큐어)시켜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완전 경화」라 함은, 더 이상 전리 방사선을 조사해도 경화가 실질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도막을 반경화시킨 후, 도막 상에, 바 코터 등의 도포 장치에 의해, 제2 하드 코팅층(52C)을 형성하기 위한 제2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2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한다.
<제2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제2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제2 하드 코팅층(52C)을 형성하기 위한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제2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그 밖에,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흡수제, 용제,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제2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은, 제1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과 마찬가지로, 총 고형분이 25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 및 중합 개시제는, 제1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에서 설명한 용제 및 중합 개시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형성한 후, 각종 공지의 방법으로 도막을 예를 들어 30℃ 이상 120℃ 이하의 온도에서 10초간 내지 120초간 가열함으로써 건조시켜, 용제를 증발시킨다.
도막을 건조시킨 후, 제2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도막에 자외선 등의 전리 방사선을 조사하여, 제1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도막 및 제2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도막을 완전 경화(풀 큐어)시켜, 제1 하드 코팅층(52B) 및 제2 하드 코팅층(52C)을 형성하여, 하드 코팅층(52)을 얻는다. 그 후, 하드 코팅층(52)이 형성된 수지 기재(51)에 있어서의 다른 쪽 면(51B)에 수지층(53)을 부착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광학 필름(50)이 얻어진다.
<<<화상 표시 장치>>>
광학 필름(50)은, 접힘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에 내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60)는, 관찰자측을 향해, 주로 전지 등이 수납된 하우징(61), 보호 필름(62), 표시 패널(63), 터치 센서(64), 원 편광판(65) 및 광학 필름(50)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표시 패널(63)과 터치 센서(64) 사이, 터치 센서(64)와 원 편광판(65) 사이, 원 편광판(65)과 광학 필름(50) 사이에는, 광 투과성 접착층(66)이 배치되어 있고, 이 부재들은 광 투과성 접착층(66)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광학 필름(50)의 이면(50B)의 일부에는, 흑색층(67)이 마련되어 있다.
광학 필름(50)은, 하드 코팅층(52)이 수지 기재(51)보다 관찰자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화상 표시 장치(60)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50)의 하드 코팅층(52)의 표면(52A)(제2 하드 코팅층(52C)의 표면)이, 화상 표시 장치(60)의 표면(60A)을 구성하고 있다.
광 투과성 접착층(66)으로서는, 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할 수 있지만, 내충격성을 향상시켜, 표시 패널(63)의 손상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 투과성 접착층(66)에 상기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점착층을 사용하는 경우, 표시 패널(63)과 터치 센서(64) 사이, 터치 센서(64)와 원 편광판(65) 사이, 원 편광판(65)과 광학 필름(5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상기 점착층을 배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겔은 점착성이 있기 때문에, 수지층(63)이 상기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원 편광판(65)과 광학 필름(50) 사이에 광 투과성 접착층(66)을 마련하지 않아도, 원 편광판(65)에 직접 수지층(53)을 부착함으로써, 원 편광판(65)과 광학 필름(5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충격 흡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종래부터 전단 손실 정접 tanδ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지 기재의 한쪽 면측에 하드 코팅층 및 다른 쪽 면측에 수지층을 구비하는 구조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을 전단 손실 정접 tanδ로 나타내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전단 손실 정접 tanδ로는, 광학 필름의 표면(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충격을 가하였을 때, 광학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임부 및 광학 필름보다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손상의 양쪽을 억제하지는 못하였다. 이것은, 전단 손실 정접 tanδ가, 전단 손실 탄성률 G"과 전단 저장 탄성률 G'의 비(G"/G')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를 더욱 거듭한 바, 광학 필름의 표면에 충격을 가하였을 때의 광학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의 파임부 및 광학 필름보다 화상 표시 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손상의 양쪽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의 밸런스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지 기재(51)의 한쪽 면(51A)측에 하드 코팅층(52) 및 다른 쪽 면(51B)측에 수지층(53)을 구비하는 구조의 광학 필름(50)에 있어서, 수지층(53)의 막 두께가 30㎛ 이상 200㎛ 미만으로 얇게 되어 있고, 광학 필름(50)에 있어서의 상기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1㎫ 이상 200㎫ 이하로 되어 있고, 또한 광학 필름(50)에 있어서의 상기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0.1㎫ 이상 100㎫ 이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힘 가능하면서, 광학 필름(50)의 표면(50A)에 충격을 가한 경우에, 광학 필름(50)의 표면(50A)의 파임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화상 표시 장치(60)의 내부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63) 등의 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수한 내충격성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기하는 「고형분 환산값」이라 함은, 용제 희석품 중의 고형분을 100%로 하였을 때의 값이다.
<수지층용 조성물의 조제>
먼저,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이 되도록 각 성분을 배합하여, 수지층용 조성물을 얻었다.
(수지층용 조성물 1)
·우레탄아크릴레이트(제품명 「UV3310B」, 닛폰 고세이 가가꾸사 제조, 2관능): 90질량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제품명 「비스코트#192」, 오사카 유키 가가꾸 고교사 제조): 10질량부
·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상표)184」, BASF 재팬사 제조): 5질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10질량부
(수지층용 조성물 2)
·우레탄아크릴레이트(제품명 「UA-160TM」, 신나카무라 가가꾸사 제조): 90질량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제품명 「비스코트#192」, 오사카 유키 가가꾸 고교사 제조): 10질량부
·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상표)184」, BASF 재팬사 제조): 5질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10질량부
(수지층용 조성물 3)
·우레탄아크릴레이트(제품명 「UV2000B」, 닛폰 고세이 가가꾸사 제조, 2관능): 50질량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제품명 「비스코트#192」, 오사카 유키 가가꾸 고교사 제조): 50질량부
·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상표)184」, BASF 재팬사 제조): 5질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10질량부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의 조제>
하기에 나타내는 조성이 되도록 각 성분을 배합하여,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얻었다.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1)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제품명 「M403」, 도아 고세이사 제조): 25질량부
·디펜타에리트리톨 EO 변성 헥사아크릴레이트(제품명 「A-DPH-6E」, 신나카무라 가가꾸사 제조): 25질량부
·이형 실리카 미립자(평균 입자 직경 25㎚, 닛키 쇼쿠바이 가세이사 제조): 50질량부(고형분 환산값)
·광 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상표)184」, BASF 재팬사 제조): 4질량부
·불소계 레벨링제(제품명 「F568」, DIC사 제조): 0.2질량부(고형분 환산값)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150질량부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2)
·우레탄아크릴레이트(제품명 「UX5000」, 닛폰 가야꾸사 제조): 25질량부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제품명 「M403」, 도아 고세이사 제조): 50질량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폴리머(제품명 「아크리트 8KX-012C」, 다이세이 파인케미컬사 제조): 25질량부(고형분 환산값)
·방오제(제품명 「BYKUV3500」, 빅케미사 제조): 1.5질량부(고형분 환산값)
·광 중합 개시제(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제품명 「Irgacure(등록상표)184」, BASF 재팬사 제조): 4질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150질량부
<실시예 A1>
수지 기재로서, 두께 30㎛의 상기 식 (4)로 나타내는 폴리이미드 골격을 갖는 폴리이미드 기재를 준비하고, 폴리이미드 기재의 한쪽 면에, 바 코터로 수지층용 조성물 1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형성한 도막에 대해, 70℃, 1분간 가열시킴으로써 도막 내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 재팬사 제조, 광원 H 벌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공기 중에서 적산 광량이 1200mJ/㎠가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켜, 막 두께가 200㎛인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에 의해, 폴리이미드 기재 상에 수지층이 형성된 광학 필름을 얻었다. 또한, 폴리이미드 기재의 두께는 두께 측정 장치(제품명 「디지매틱 인디케이터 IDF-130」, 미츠토요사 제조)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기재의 두께를 10점 측정하고, 그 산술 평균값으로 하였다. 또한, 수지층의 막 두께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기재 및 수지층의 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면의 화상에 있어서 수지층의 막 두께를 각각 20개소 측정하고, 그 20개소의 막 두께의 산술 평균값으로 하였다. 실시예 A2 내지 실시예 A8 및 비교예 A1 및 A2에 있어서도, 실시예 A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기재의 두께나 수지층의 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A2>
실시예 A2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를 9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A3>
실시예 A3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를 1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A4>
실시예 A4에 있어서는, 폴리이미드 기재 대신에 두께가 30㎛인 상기 식 (22)로 나타내는 아라미드 골격을 갖는 아라미드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A5>
실시예 A5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 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 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A6>
실시예 A6에 있어서는, 수지층용 조성물 1 대신에 수지층용 조성물 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A7>
실시예 A7에 있어서는, 폴리이미드 기재에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하는 대신에 막 두께가 200㎛인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제품명 「메이 클린 겔」, 교도 기껜 가가꾸사 제조)을 폴리이미드 기재에 부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A8>
실시예 A8에 있어서는, 폴리이미드 기재 대신에 두께가 30㎛인 상기 식 (22)로 나타내는 아라미드 골격을 갖는 아라미드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7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A1>
비교예 A1에 있어서는, 폴리이미드 기재에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하는 대신에 막 두께가 200㎛인 실리콘계 겔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제품명 「αGEL(등록상표)」, 타이카사 제조)을 폴리이미드 기재에 부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또한, 비교예 A1의 수지층은, 막 두께 1㎜의 αGEL의 시판품을 200㎛로 슬라이스하여 얻었다.
<비교예 A2>
비교예 A2에 있어서는, 폴리이미드 기재 대신에 두께가 30㎛인 상기 식 (22)로 나타내는 아라미드 골격을 갖는 아라미드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G', G", tanδ의 측정>
실시예 A1 내지 A8 및 비교예 A1, A2에 관한 광학 필름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정접 tanδ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광학 필름을 100㎜×50㎜의 직사각형으로 펀칭하여, 샘플로 하였다. 그리고 이 샘플을 2매 준비하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제품명 「Rheogel-E4000」, 유비엠사 제조)의 측정 지그에 설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지그는, 수평 방향으로 3매의 판(두께가 1㎜인 1매의 금속제의 중간판과, 이 중간판의 양측에 배치된 2매의 금속제의 외판)을 구비하고 있고, 중간판과 한쪽 외판 사이에 한쪽 샘플을 끼우고, 또한 중간판과 다른 쪽 외판 사이에 다른 쪽 샘플을 끼웠다. 이 경우, 수지층이 중간판측이 되고, 기재가 외판측이 되도록 샘플을 끼웠다. 그리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제품명 「Rheogel-E4000」, 가부시키가이샤 유비엠사 제조)에, 측정 지그를 척간 거리 20㎜로 설치하고, 2℃/min으로 승온하여 설정 온도를 25℃로 하였다. 이 상태에서, 중간판을 고정하면서 2매의 외판에 변형량이 1%, 또한 주파수 500㎐ 이상 1000㎐ 이하의 범위의 세로 진동을 부여하면서, 25℃에서 고체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광학 필름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정접 tanδ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정접 tanδ는, 외판에 주파수 500㎐, 750㎐, 950㎐의 세로 진동을 각각 부여하여, 각각의 주파수에 있어서 광학 필름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정접 tanδ를 측정하고, 이들 전단 저장 탄성률 G',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정접 tanδ의 산술 평균값을 구하고, 이 측정을 3회 더 반복하여, 각각 얻어진 3개의 산술 평균값을 다시 산술 평균한 값으로 하였다.
<내충격성 시험>
두께 0.7mm의 소다 유리 상에, 소다 유리측이 기재측이 되도록 실시예 A1 내지 A8 및 비교예 A1, A2에 관한 광학 필름을 놓고, 높이 30㎝의 위치로부터 중량 100g, 직경 30㎜의 철구를 광학 필름의 수지층의 표면에 낙하시키는 시험을 각 3회 행하였다. 또한, 철구를 낙하시키는 위치는 그때마다 바꾸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눈으로 보아 수지층의 표면에 파임부가 확인되는지를 평가함과 함께,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는지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이하와 같이 하였다.
(수지층의 표면의 파임 평가)
◎: 수지층을 정면 및 사선에서 관찰한 경우의 양쪽에 있어서, 수지층의 표면에 파임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 수지층을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는 수지층의 표면에 파임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사선에서 관찰한 경우에는 수지층의 표면에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의 파임부가 확인되었다.
×: 수지층을 정면 및 사선에서 관찰한 경우의 양쪽에 있어서, 수지층의 표면에 명확한 파임이 관찰되었다.
(소다 유리의 균열 평가)
◎: 소다 유리가 균열되지 않았다.
○: 소다 유리에 흠집이 생겼지만 균열되지 않았다.
△: 1 내지 2회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 3회 모두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접힘 시험>
실시예 A1 내지 A8 및 비교예 A1, A2에 관한 광학 필름을, 30㎜×100㎜의 직사각형으로 커트하여 제작한 샘플을, 내구 시험기(제품명 「DLDMLH-FS」, 유아사 시스템 기끼사 제조)에, 샘플의 짧은 변(30㎜)측을 고정부에서 각각 고정하고,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두 변부의 최소의 간격이 3㎜(굴곡부의 외경 3.0㎜)가 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샘플의 수지층측의 면을 180° 접는 시험(수지층이 내측이 되고, 기재가 외측이 되도록 접는 시험)을 10만회 행하여,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실시예 A1 내지 A8 및 비교예 A1, A2에 관한 광학 필름으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작한 새로운 샘플을, 상기한 내구 시험기에,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설치하고, 샘플의 기재측의 면을 180° 접는 시험(수지층이 외측이 되고, 기재가 내측이 되도록 접는 시험)을 10만회 행하여,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조사하였다. 접힘 시험의 결과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어느 접힘 시험에 있어서도,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다.
×: 어느 접힘 시험에 있어서,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였다.
<연필 경도>
실시예 A1 내지 A8 및 비교예 A1, A2에 관한 광학 필름의 표면(수지층의 표면)에 있어서의 연필 경도를, JIS K5600-5-4:1999에 기초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연필 경도의 측정 시에는, 연필에 1㎏의 하중을 가하면서, 연필을 속도 1㎜/초로 이동시켰다. 연필 경도는, 연필 경도 시험에 있어서 광학 필름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은 가장 높은 경도로 한다. 또한, 연필 경도의 측정 시에는, 경도가 다른 연필을 복수 개 사용하여 행하지만, 연필 1개에 대해 5회 연필 경도 시험을 행하고, 5회 중 4회 이상 형광등 아래에서 광학 필름의 표면을 투과 관찰하였을 때에 광학 필름의 표면에 흠집이 시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 경도의 연필에 있어서는 광학 필름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이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30
이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비교예 A1 및 A2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의 밸런스가 나쁘기 때문에, 수지층의 표면의 파임양이 크고, 또한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에 비해, 실시예 A1 내지 A8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의 밸런스가 좋기 때문에, 수지층의 표면 파임부가 확인되지 않거나, 또는 약간 확인되었지만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이며, 또한 소다 유리에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A1 내지 A8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접힘 시험의 결과도 양호하고, 또한 실시예 A1 내지 A6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연필 경도도 높았다.
실시예 A1에 관한 광학 필름의 수지층(이하, 이 수지층을 「제1 수지층」이라고 칭함)의 표면에, 연필 경도가 제1 수지층보다 높은 제2 수지층 및 연필 경도가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보다 높은 제3 수지층을 이 순서로 적층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 광학 필름의 표면(제3 수지층의 표면)을, #0000번의 스틸울(제품명 「BON STAR」, 닛폰 스틸울사 제조)을 사용하여, 1kg/㎠의 하중을 가하면서, 10회 왕복 마찰시키고, 그 후의 광학 필름의 표면에 흠집의 유무를 눈으로 보아 확인한 바, 흠집이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B1>
수지 기재로서, 두께 30㎛의 상기 식 (4)로 나타내는 폴리이미드 골격을 갖는 폴리이미드 기재를 준비하고, 폴리이미드 기재의 한쪽 면에, 바 코터로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1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형성한 도막에 대해, 70℃에서 1분간 가열시킴으로써 도막 내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 재팬사 제조, 광원 H 벌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공기 중에서 적산 광량이 100mJ/㎠가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반경화(하프 큐어)시켰다. 이어서, 반경화시킨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1의 도막의 표면에, 바 코터로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 2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도막에 대해, 70℃에서 1분간 가열시킴으로써 도막 내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 재팬사 제조, 광원 H 벌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산소 농도가 200ppm 이하인 조건하에서 적산 광량이 200mJ/㎠가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완전 경화(풀 큐어)시켰다. 이에 의해, 폴리이미드 기재 상에, 막 두께가 10㎛인 제1 하드 코팅층과, 제1 하드 코팅층 상에 적층된 막 두께가 5㎛인 제2 하드 코팅층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폴리이미드 기재 상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후, 폴리이미드 기재의 다른 쪽 면에 막 두께가 75㎛인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제품명 「메이크린겔」, 교도 기껜 가가꾸사 제조)을 부착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또한, 폴리이미드 기재의 두께는 두께 측정 장치(제품명 「디지매틱 인디케이터 IDF-130」, 미츠토요사 제조)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기재의 두께를 10점 측정하고, 그 산술 평균값으로 하였다. 또한, 하드 코팅층 및 수지층의 막 두께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하드 코팅층 및 수지층의 단면을 촬영하고, 그 단면의 화상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 및 수지층의 막 두께를 각각 20개소 측정하고, 그 20개소의 막 두께의 산술 평균값으로 하였다. 실시예 B2 내지 실시예 B7 및 비교예 B1 내지 B5에 있어서도, 실시예 B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기재의 두께, 하드 코팅층 및 수지층의 막 두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B2>
실시예 B2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를 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B3>
실시예 B3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를 18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B4>
실시예 B4에 있어서는, 두께 30㎛의 폴리이미드 기재 대신에 두께 50㎛의 폴리이미드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B5>
실시예 B5에 있어서는, 폴리이미드 기재 대신에 두께가 30㎛인 상기 식 (22)로 나타내는 아라미드 골격을 갖는 아라미드 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B6>
실시예 B6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수지층 대신에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은, 이하와 같이 하여 형성되었다. 먼저, 하드 코팅층이 형성된 폴리이미드 기재의 다른 쪽 면에, 바 코터로 수지층용 조성물 1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형성한 도막에 대해, 70℃에서 1분간 가열시킴으로써 도막 내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자외선 조사 장치(퓨전 UV 시스템 재팬사 제조, 광원 H 벌브)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공기 중에서 적산 광량이 1200mJ/㎠가 되도록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켜, 막 두께가 75㎛인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B7>
실시예 B7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를 18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6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B1>
비교예 B1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를 2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B2>
비교예 B2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를 25㎛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B3>
비교예 B3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수지층 대신에 막 두께가 75㎛인 실리콘계 겔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제품명 「αGEL(등록상표)」, 타이카사 제조)을 폴리이미드 기재에 부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또한, 비교예 B3의 수지층은, 막 두께 1㎜의 αGEL의 시판품을 75㎛로 슬라이스하여 얻었다.
<비교예 B4>
비교예 B4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수지층 대신에 막 두께가 50㎛인 실리콘계 겔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제품명 「αGEL(등록상표)」, 타이카사 제조)을 폴리이미드 기재에 부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또한, 비교예 B4의 수지층은, 막 두께 1㎜의 αGEL의 시판품을 50㎛로 슬라이스하여 얻었다.
<비교예 B5>
비교예 B5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겔로 이루어지는 수지층 대신에 막 두께가 200㎛인 실리콘계 겔로 이루어지는 수지층(제품명 「αGEL(등록상표)」, 타이카사 제조)을 폴리이미드 기재에 부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B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또한, 비교예 B5의 수지층은, 막 두께 1㎜의 αGEL의 시판품을 200㎛로 슬라이스하여 얻었다.
<G', G", tanδ의 측정>
실시예 B1 내지 B7 및 비교예 B1 내지 B5에 관한 광학 필름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정접 tanδ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광학 필름을 100㎜×50㎜의 직사각형으로 펀칭하여, 샘플로 하였다. 그리고 이 샘플을 2매 준비하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제품명 「Rheogel-E4000」, 유비엠사 제조)의 측정 지그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지그는, 수평 방향으로 3매의 판(두께가 1㎜인 1매의 금속제의 중간판과, 이 중간판의 양측에 배치된 2매의 금속제의 외판)을 구비하고 있고, 중간판과 한쪽 외판 사이에 한쪽 샘플을 끼우고, 또한 중간판과 다른 쪽 외판 사이에 다른 쪽 샘플을 끼웠다. 이 경우, 수지층이 중간판측이 되고, 하드 코팅층이 외판측이 되도록 샘플을 끼웠다. 그리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제품명 「Rheogel-E4000」, 가부시키가이샤 유비엠사 제조)에, 측정 지그를 척간 거리 20㎜로 설치하고, 2℃/min으로 승온하여 설정 온도를 25℃로 하였다. 이 상태에서, 중간판을 고정하면서 2매의 외판에 변형량이 1%, 또한 주파수 500㎐ 이상 1000㎐ 이하의 범위의 세로 진동을 부여하면서, 25℃에서 고체의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고, 광학 필름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정접 tanδ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정접 tanδ는, 외판에 주파수 500㎐, 750㎐, 950㎐의 세로 진동을 각각 부여하여, 각각의 주파수에 있어서 광학 필름의 전단 저장 탄성률 G',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정접 tanδ를 측정하고, 이들 전단 저장 탄성률 G', 전단 손실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정접 tanδ의 산술 평균값을 구하고, 이 측정을 3회 더 반복하여, 각각 얻어진 3개의 산술 평균값을 다시 산술 평균한 값으로 하였다.
<내충격성 시험>
두께 0.7mm의 소다 유리 상에, 소다 유리측이 수지층측이 되도록 실시예 B1 내지 B7 및 비교예 B1 내지 B5에 관한 광학 필름을 놓고, 높이 30㎝의 위치로부터 중량 100g, 직경 30㎜의 철구를 광학 필름의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낙하시키는 시험을 각 3회 행하였다. 또한, 철구를 낙하시키는 위치는 그때마다 바꾸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눈으로 보아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파임이 발생하였는지를 평가함과 함께,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는지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이하와 같이 하였다.
(하드 코팅층의 표면의 파임 평가)
○: 하드 코팅층을 정면 및 사선에서 관찰한 경우의 양쪽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파임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 하드 코팅층을 정면에서 관찰한 경우에는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파임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사선에서 관찰한 경우에는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파임부가 확인되었다.
×: 하드 코팅층을 정면 및 사선에서 관찰한 경우의 양쪽에 있어서, 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명확한 파임이 관찰되었다.
(소다 유리의 균열 평가)
◎: 소다 유리가 균열되지 않았다.
○: 소다 유리에 흠집이 생겼지만 균열되지 않았다.
△: 1 내지 2회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 3회 모두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접힘 시험>
실시예 B1 내지 B7 및 비교예 B1 내지 B5에 관한 광학 필름을, 30㎜×100㎜의 직사각형으로 커트하여 제작한 샘플을, 내구 시험기(제품명 「DLDMLH-FS」, 유아사 시스템 기끼사 제조)에, 샘플의 짧은 변(30㎜)측을 고정부에서 각각 고정하고,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두 변부의 최소의 간격이 3㎜(굴곡부의 외경 3.0㎜)가 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샘플의 하드 코팅층측의 면을 180° 접는 시험(하드 코팅층이 내측이 되고, 수지층이 외측이 되도록 접는 시험)을 10만회 행하여,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광학 필름으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작한 새로운 샘플을, 상기한 내구 시험기에,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설치하고, 샘플의 수지측의 면을 180° 접는 시험(하드 코팅층이 외측이 되고, 수지층이 내측이 되도록 접는 시험)을 10만회 행하여,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조사하였다. 접힘 시험의 결과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어느 접힘 시험에 있어서도,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다.
×: 어느 접힘 시험에 있어서, 굴곡부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였다.
이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31
이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비교예 B1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가 지나치게 두껍기 때문에, 하드 코팅층의 표면의 파임양이 컸다. 비교예 B2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가 지나치게 얇기 때문에,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B3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하드 코팅층의 표면의 파임양이 컸다. 비교예 B4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가 얇지만,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하드 코팅층의 표면의 파임부가 확인되고, 또한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충격을 흡수할 수 없어,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비교예 B5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운 데다가,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하드 코팅층의 표면의 파임양이 크고, 또한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소다 유리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에 비해, 실시예 B1 내지 B7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막 두께, 전단 저장 탄성률 G' 및 전단 손실 탄성률 G"의 밸런스가 좋기 때문에, 하드 코팅층의 표면의 파임부가 확인되지 않고, 또한 소다 유리에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실시예 B1 내지 B7에 관한 광학 필름에 있어서는, 접힘 시험의 결과도 양호하였다.
또한, 실시예 B1 내지 B7에 관한 광학 필름의 제1 하드 코팅층 및 제2 하드 코팅층의 마르텐스 경도를 사용하여 측정한 바, 제1 하드 코팅층의 마르텐스 경도는 830㎫이고, 제2 하드 코팅층의 마르텐스 경도는 500㎫였다. 마르텐스 경도는, 측정 샘플에 대해 HYSITRON(하이지트론)사 제조의 「TI950 TriboInden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1㎜×10㎜로 잘라낸 광학 필름을 포매 수지에 의해 포매한 블록을 제작하고, 이 블록으로부터 일반적인 절편 제작 방법에 의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두께 70㎚ 이상 100㎚ 이하의 절편을 잘라냈다. 절편의 제작에는, 「울트라 마이크로톰 EM UC7」(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 구멍 등이 없는 균일한 절편이 잘라내어진 나머지 블록을 측정 샘플로 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측정 샘플에 있어서의 상기 절편이 잘라내어짐으로써 얻어진 단면에 있어서, 압자로서 Berkovich 압자(삼각뿔)를 사용하여, 이하의 측정 조건에서, 각 하드 코팅층의 측면으로부터 500㎚ 밀어넣고, 일정 시간 유지하여 잔류 응력의 완화를 행한 후, 하중 제거하고, 완화 후의 최대 하중을 계측하고, 당해 최대 하중 Pmax(μN)와 깊이 500㎚의 파임부 면적 A(nm2)를 사용하여, Pmax/A에 의해, 마르텐스 경도를 산출하였다.
(측정 조건)
·하중 속도: 10㎚/초
·유지 시간: 5초
·하중 제하 속도: 10㎚/초
·측정 온도: 25℃
또한, 실시예 B1 내지 B7에 관한 광학 필름의 표면(하드 코팅층의 표면)에 대해, #0000번의 스틸울(제품명 「BON STAR」, 닛폰 스틸울사 제조)을 사용하여, 1kg/㎠의 하중을 가하면서, 속도 50㎜/초로 10회 왕복 마찰시키고, 그 후의 광학 필름의 표면에 흠집의 유무를 눈으로 보아 확인한 바, 흠집이 확인되지 않았다.
10, 50 : 광학 필름
10A, 12A, 50A, 52A : 표면
11, 51 : 수지 기재
12, 53 : 수지층
30, 60 : 화상 표시 장치
33, 63 : 표시 패널
52 : 하드 코팅층

Claims (7)

  1.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접힘 가능한 광 투과성 광학 필름이며,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의 한쪽 면측에 마련된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1㎫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0.1㎫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2.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접힘 가능한 광 투과성 광학 필름이며,
    수지 기재와,
    상기 수지 기재의 한쪽 면측에 마련된 하드 코팅층과,
    상기 수지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 면과는 반대측의 다른 쪽 면측에 마련된 막 두께가 30㎛ 이상 200㎛ 미만인 수지층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저장 탄성률 G'이, 1㎫ 이상 200㎫ 이하이고,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25℃, 500㎐ 이상 1000㎐ 이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전단 손실 탄성률 G"이, 0.1㎫ 이상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의 대향하는 변부의 간격이 3㎜가 되도록 180° 접는 시험을 10만회 반복하여 행한 경우에 균열 또는 파단이 발생하지 않는, 광학 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기재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5. 접힘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이며,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보다 관찰자측에 배치된 제1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수지층이, 상기 수지 기재보다 관찰자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접힘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이며,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보다 관찰자측에 배치된 제2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하드 코팅층이, 상기 수지 기재보다 관찰자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인, 화상 표시 장치.
KR1020197008195A 2016-09-01 2017-08-31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348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1337 2016-09-01
JPJP-P-2016-171336 2016-09-01
JP2016171336 2016-09-01
JP2016171337 2016-09-01
PCT/JP2017/031313 WO2018043627A1 (ja) 2016-09-01 2017-08-31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637A true KR20190042637A (ko) 2019-04-24
KR102348582B1 KR102348582B1 (ko) 2022-01-07

Family

ID=6130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195A KR102348582B1 (ko) 2016-09-01 2017-08-31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92901B2 (ko)
JP (1) JP6773118B2 (ko)
KR (1) KR102348582B1 (ko)
CN (1) CN109844847B (ko)
TW (1) TWI717550B (ko)
WO (1) WO2018043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607B1 (ko) * 2017-11-08 2022-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그 윈도우의 제조 방법 및 그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9109289A (ja) * 2017-12-15 2019-07-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477318B1 (ko) * 2018-04-13 2022-12-13 주식회사 쿠라레 다층 필름 및 그것을 구비하는 성형체
JP6568290B1 (ja) * 2018-04-27 2019-08-28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7452415B2 (ja) * 2018-04-27 2024-03-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611895B2 (ja) * 2018-04-27 2019-11-2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JP2021536030A (ja) * 2018-08-14 2021-12-23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ied Materials, Incorporated フレキシブルカバーレンズのための多層乾湿ハードコート
JP2020030395A (ja) * 2018-08-20 2020-02-27 住友化学株式会社 複合前面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843266A (zh) * 2018-08-20 2020-02-28 住友化学株式会社 复合前面板及其制造方法
WO2020138149A1 (ja) * 2018-12-27 2020-07-02 ユニチカ株式会社 積層体
US20220137266A1 (en) * 2019-03-01 2022-05-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Resin lay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200145277A (ko) * 2019-06-21 2020-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WO2021060559A1 (ko) * 2019-09-27 2021-04-01
CN114981341A (zh) * 2020-01-30 2022-08-30 Skc株式会社 薄膜、薄膜的制造方法、覆盖膜及多层电子设备
WO2021171807A1 (ja) * 2020-02-28 2021-09-02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KR102247137B1 (ko) * 2020-04-24 2021-05-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윈도우 커버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US20220398975A1 (en) * 2021-06-10 2022-12-15 Sensortek Technology Corp. Organic display device
CN114464753B (zh) * 2022-01-19 2023-10-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盖板组件
WO2024071391A1 (ja) * 2022-09-29 2024-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用積層体、表示装置および支持板付き表示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0159A1 (ja) * 2005-10-04 2007-04-12 The Inctec Inc. 特定の表面形状と物性を有する構造体及びその構造体形成用の(メタ)アクリル系重合性組成物
JP2007108553A (ja) * 2005-10-17 2007-04-26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266473A (ja) * 2007-04-20 2008-11-06 Nitto Denko Corp 透明粘着シート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JP2009186955A (ja) * 2007-04-04 2009-08-20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9300506A (ja) * 2008-06-10 2009-12-24 Hitachi Chem Co Ltd ディスプレイ用耐衝撃フィルム
WO2010143503A1 (ja) * 2009-06-12 2010-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防止膜、表示装置及び透光部材
WO2013047875A1 (ja) * 2011-09-30 2013-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フィルム、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声帯マイクロフォンおよび楽器用センサー
JP2014224179A (ja) * 2013-05-15 2014-12-04 日立化成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及びこれら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6126130A (ja) * 2014-12-26 2016-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有機el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978A (ja) * 1998-06-22 2000-01-11 Toyo Ink Mfg Co Ltd コーティング材及び積層体
US9024312B2 (en) * 2009-09-30 2015-05-05 Dai Nippon Printing Co., Ltd. Substrate for flexible devic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for flexible device, flexible device, substrate for thin film element, thin film element, thin film transistor, method for manufacturing substrate for thin film el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JP6158479B2 (ja) * 2012-05-23 2017-07-05 名阪真空工業株式会社 タッチスクリーン用透明シート、透明導電シート及びタッチスクリーン
JP6075009B2 (ja) * 2012-10-31 2017-02-08 Dic株式会社 加飾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加飾ハードコート粘着フィルム。
WO2014141866A1 (ja) 2013-03-13 2014-09-18 Dic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保護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US9224980B2 (en) * 2013-03-28 2015-12-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JP2016163933A (ja) * 2013-07-02 2016-09-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ガスバリア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05934339B (zh) * 2014-01-31 2018-01-23 东丽株式会社 叠层膜
KR102232773B1 (ko) 2014-06-24 2021-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102289082B1 (ko) * 2014-08-13 2021-08-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KR101757057B1 (ko) * 2014-09-30 2017-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N105542670B (zh) * 2014-10-24 2019-07-16 三星Sdi株式会社 用于偏光板的粘着膜、包含粘着膜的偏光板以及包含偏光板的光学显示器
KR20160083738A (ko) 2015-01-02 201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508330B2 (ja) 2015-03-31 2019-05-0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体
JP2016193520A (ja) * 2015-03-31 2016-11-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透明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54524B1 (ko) 2015-08-06 2018-05-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KR102494986B1 (ko) 2016-01-11 2023-0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0159A1 (ja) * 2005-10-04 2007-04-12 The Inctec Inc. 特定の表面形状と物性を有する構造体及びその構造体形成用の(メタ)アクリル系重合性組成物
JP2007108553A (ja) * 2005-10-17 2007-04-26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186955A (ja) * 2007-04-04 2009-08-20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8266473A (ja) * 2007-04-20 2008-11-06 Nitto Denko Corp 透明粘着シート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JP2009300506A (ja) * 2008-06-10 2009-12-24 Hitachi Chem Co Ltd ディスプレイ用耐衝撃フィルム
WO2010143503A1 (ja) * 2009-06-12 2010-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反射防止膜、表示装置及び透光部材
WO2013047875A1 (ja) * 2011-09-30 2013-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気音響変換フィルム、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声帯マイクロフォンおよび楽器用センサー
JP2014224179A (ja) * 2013-05-15 2014-12-04 日立化成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用粘着剤、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及びこれら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6126130A (ja) * 2014-12-26 2016-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有機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8043627A1 (ja) 2019-06-24
TWI717550B (zh) 2021-02-01
TW201812341A (zh) 2018-04-01
CN109844847A (zh) 2019-06-04
WO2018043627A1 (ja) 2018-03-08
US20190315105A1 (en) 2019-10-17
US10792901B2 (en) 2020-10-06
JP6773118B2 (ja) 2020-10-21
KR102348582B1 (ko) 2022-01-07
CN109844847B (zh)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2637A (ko)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0249376B (zh) 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JP7155472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331829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196384B2 (ja) ポリイミ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409456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1060560A1 (ja) 樹脂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435640B2 (ja) 保護フィルム付き光透過性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
JP2024050846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1177288A1 (ja) 表示装置用部材、光学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JP2022073319A (ja) 積層体および表示装置
TWI731228B (zh) 光學膜及影像顯示裝置
JP2022051295A (ja) 表示装置用部材、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22058298A (ja) ガラス積層体、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樹脂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