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466A -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 Google Patents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466A
KR20190032466A KR1020197004973A KR20197004973A KR20190032466A KR 20190032466 A KR20190032466 A KR 20190032466A KR 1020197004973 A KR1020197004973 A KR 1020197004973A KR 20197004973 A KR20197004973 A KR 20197004973A KR 20190032466 A KR20190032466 A KR 20190032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uide
tube
fitt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367B1 (ko
Inventor
히로시 스가하라
다츠로우 바바
나오야 츠다
마사히로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7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profiled sheets or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0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0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32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by winding hel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4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sealing material being introduced inside the pipe by means of a tool moving in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a pipe being formed inside the old pipe by winding strip-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2063/006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of surfaces having irregularities or 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7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external form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as reinfor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내주 규제체를 생략할 수 있어, 간소한 구성으로 나선관을 제관할 수 있는 제관 장치를 제공한다. 제관 장치(3)의 구동부(10)에 의해, 후속 띠부(92)를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를 향해 장치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압입한다. 관단 가이드(20)를 관단부(91e)에 대하여 장치 폭 방향(WD)으로 구속함과 함께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지한다. 후속 띠부(92)로의 압입력이, 후속 띠부(92)와 관단부(91e)끼리 감합력과 추진 전방으로의 추진력이 된다. 관단부(91e)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관 장치(3)가 설치된 부분 이외의 부분을 제관 장치(3)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한다.

Description

나선관의 제관 장치
본 발명은 나선관의 제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띠상 부재를 나선상으로 권회함으로써 나선관을 제조하는 제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화된 하수관 등의 기설관을 갱생관으로 라이닝함으로써 갱생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등에는, 갱생 방법의 일례로서, SPR(Spiral Pipe Renewal) 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해당 공법에 의하면, 제관 장치를 사용하여, 합성 수지제의 띠상 부재를 기설관의 내벽을 따라서 나선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나선관 형상으로 형성된 선행 나선관부와 후속 띠부의 서로 인접하는 테두리의 감합부끼리를 감합시킨다. 선행 나선관부가 제관되어감에 따라 제관 장치가 추진(자주)된다. 이에 의해, 나선관이 점차 연신된다.
이러한 종류의 제관 장치에는, 선행 나선관부의 내부에 내주 규제체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제관 장치는, 내주 규제체(링크 롤러)로서, 복수의 안내 롤러와 환상의 프레임을 갖고 있다. 복수의 안내 롤러가 환상 프레임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선행 나선관부가 각 안내 롤러에 눌러진다. 이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 나아가서는 나선관의 단면(형상 및 직경 내지 둘레 길이를 포함함)이 내주측으로부터 규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제관 장치는, 내주 규제체로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각 프레임의 선단부에 안내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안내 롤러에 선행 나선관부의 내주면이 눌러짐으로써, 선행 나선관부에 장력이 작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의 단면이 내주측으로부터 규제되어 있다. 후속 띠부를 선행 나선관부와의 감합 위치를 향해 압입하면, 선행 나선관부가 상기 장력에 의한 반력만으로 대항함으로써, 후속 띠부의 감합부가 선행 나선관부의 감합부와 감합된다.
일본 특허 제4866428호 공보 일본 특허 제4505142호 공보
종래의 제관 장치는, 내주 규제체가 있기 때문에 구조가 대규모이며 중량도 컸다. 또한, 기설 하수관 등의 도수관을 나선상의 갱생관(나선관)에 의해 라이닝하여 갱생하는 경우, 갱생관(나선관)의 내부에 내주 규제체가 배치되기 때문에, 유수 저해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내주 규제체를 생략할 수 있어, 간소한 구성으로 나선관을 제관할 수 있고, 기설 하수관 등의 도수관을 나선상의 갱생관(나선관)에 의해 라이닝하여 갱생하는 경우에는, 시공 중의 유수 저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제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과제로 한다.
기설관이 원형 단면(둘레 방향의 곡률이 일정)이면, 내주 규제체는, 제관 장치의 회전 위치에 무관하게 일정 형상 그대로이면 된다. 한편, 기설관이 비원형 단면인 경우, 제관 장치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내주 규제체의 형상을 바꿀 필요가 있다. 그러한 내주 규제체는 대규모의 구조가 된다.
그래서, 발명자들은, 선행 나선관부의 연신 방향의 전방의 관단부의 둘레 방향의 대부분을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하는 관단 해방형의 제관 장치를 개발하였다. 해당 제관 장치는,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후속 띠부를, 구동부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의 내주측으로부터 선행 나선관부와의 감합 위치를 향해 압입함으로써, 선행 나선관부와 접합시킴과 함께 추진력을 얻고, 또한 감합 위치 근처의 선행 나선관부에 가이드부를 외주측으로부터 계합(係合)시킨다. 이에 의해, 내주 규제체가 없어도 제관 가능하다. 내주 규제체를 생략함으로써, 장치를 대규모로 하지 않고, 비원형 단면의 기설관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한편, 비원형의 기설관에 있어서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내주면의 곡률이 바뀌거나 코너 등에서 각도가 바뀌거나 하는 개소가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부가, 곡률이나 각도가 바뀌기 전의 자세 그대로 변한 후의 둘레면부에 진입함으로써, 가이드부의 선단부가 상기 둘레면부에 맞부딪칠 우려가 있다. 그렇게 하면, 제관 장치의 원활한 추진이 저해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내주 규제체를 생략 가능하면서, 또한 비원형 단면의 기설관에 대응 가능한 제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맞부딪침을 방지하여, 제관 장치를 원활하게 추진시키는 것을 제2 과제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제관용의 띠상 부재는, 나선상으로 권회하면 축경하려고 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특허문헌 1, 2의 내주 규제체 부착의 제관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축경성을 이용하여, 띠상 부재를 내주 규제체에 바싹 감아서 제관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갱생관 내부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비해, 상기 관단 해방형의 제관 장치에 있어서는, 띠상 부재를 내외 방향의 예를 들면 외주측으로 압입하여 기설관의 내벽에 붙도록 제관함으로써, 갱생관 내부의 단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을 주안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기설관의 단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관 직경을 확축(擴縮) 제어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관단부에 있어서의 구동부가 있는 표측과는 반대의 이측(예를 들어 외주측)의 가이드부 상에서 감합 제관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한 경우, 감합 위치가 이측으로 변위하려고 해도 이측의 가이드부에 의해 방해되어 버린다. 또한, 표측(예를 들어 내주측)의 가이드부를 생략하여, 구동부에 의한 압입력만으로 감합 제관하는 구조로 하면, 축경 제관 시에 압입력이 충분하지 않아 감합 제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관단 해방형의 제관 장치에 있어서, 확축 직경 제어와 감합의 안정화를 양립시키는 것을 제3 과제로 한다.
상기 제1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띠상 부재를 나선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감합시킴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장치로서,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의 관축을 따르는 연신 방향의 선단측의 관단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 상에, 추진 전후 방향을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권회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되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미(未)제관의 후속 띠부를,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상기 일부분 또는 그 근처를 향해,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내외 방향을 따르는 장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압입하는 구동부와,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장치 높이 방향의 바닥부에 설치되며, 상기 관단부에 대하여, 상기 추진 전후 방향 및 장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으로 구속됨과 함께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되는 관단 가이드
를 구비하고, 상기 압입력이, 상기 감합을 위한 감합력과 추진 전방으로의 추진력이 되고, 상기 관단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부분을 당해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특징에 관한 제관 장치에 의하면, 구동부와 관단 가이드의 협동 작용에 의해, 후속 띠부를 선행 나선관부에 보내어 후속 띠부와 선행 나선관부의 감합부끼리를 감합할 수 있음과 함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관단 가이드가, 띠상 부재의 폭 방향으로 구속됨으로써, 제관 장치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주 규제체가 없어도 나선관을 제관할 수 있다. 내주 규제체를 생략함으로써, 제관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기설의 하수관 등의 도수관을 나선관으로 라이닝하여 갱생하는 경우에는, 시공 중의 유수 저해를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제관 장치는, 상기 관단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부분을 당해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하는, 관단 해방형의 제관 장치이다. 그 때문에, 당해 제관 장치는, 전술한 특허문헌 1, 2의 것과는 달리,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관단부의 단면(형상, 둘레 길이, 직경)을 내주측으로부터 규제하는 내주 규제체를 갖지 않는 비내주 규제 구조로 되어 있다.
관단 해방형의 제관 장치에 의하면, 기설관 등의 외주 규제 구조체의 내주면을 따라서 나선관을 제관할 뿐만 아니라, 기둥체 등의 내주 규제 구조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나선관을 제관할 수도 있고, 외주 규제 구조체 및 내주 규제 구조체가 없는 프리(free)한 상태에서 나선관을 제관할 수도 있다.
상기 띠상 부재에는 연장 방향을 따라서 계지(係止)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상기 일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계지 홈부의 홈 개구가 상기 바닥부측으로 향해 있고,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바닥부측으로부터 상기 계지 홈부에 계지되는 계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관 장치를 선행 나선관부에 대하여 장치 폭 방향으로 확실하게 구속하면서 띠상 부재의 연장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나선관을 원활하게 제관할 수 있다.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을 따르는 편평 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관단부를 상기 바닥부측으로부터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에 의해 상기 압입력에 대한 반력을 얻을 수 있어, 후속 띠부와 선행 나선관부의 상기 인접하는 테두리의 감합부끼리를 확실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감합 시에 압력이 상기 감합부에 걸려도, 상기 수용부에 의해 상기 감합부를 상기 바닥부측으로부터 받음으로써, 감합부가 변형되지 않고, 확실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기설관의 내벽을 따라서 갱생관(나선관)을 구축하는 경우, 수용부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수용부를 삽입하기 위한, 기설관 내벽으로부터의 선행 나선관부의 분리(引離)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는, 자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전동체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체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장치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용부와 선행 나선관부 사이의 마찰을 작게 할 수 있어, 제관 장치를 원활하게 추진시키면서, 나선관을 제관할 수 있다. 또는, 기설관의 내벽을 따라서 갱생관(나선관)을 구축하는 경우, 수용부와 기설관 사이의 마찰을 작게 할 수 있어, 제관 장치를 원활하게 추진시킬 수 있다.
상기 띠상 부재에는, 상기 인접하는 테두리와의 감합부보다도 상기 바닥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상기 띠상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두께가, 상기 돌출부의 상기 감합부로부터의 돌출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돌출부와 감합부의 고저차로 생기는 갭에 수용부를 삽입할 수 있다.
기설관의 내벽을 따라서 갱생관(나선관)을 구축하는 경우, 선행 나선관부를 기설관의 내벽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수용부를 기설관 내벽과 선행 나선관부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수용부, 나아가서는 관단 가이드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어, 관단 가이드의 손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관단부에 대하여 상기 장치 폭 방향으로 구속됨과 함께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지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장치 폭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요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설관 등의 곡률에 맞추어 나선관을 제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회전」은, 어떤 각도 범위 내에서 요동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회전」은, 각도 유지 가능한 회전(각도 조절)과 자유 회전을 포함한다.
상기 관단 가이드가 추진 전후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복수의 가이드부를 가지고, 이들 복수의 가이드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 둘레로 회전(요동) 가능해도 된다.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회전축 둘레로 자유 회전(자유 요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설관 등의 곡률의 변화에 따라서, 가이드부의 각도가 자유 자재로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원형 단면의 나선관은 물론, 비원형 단면의 나선관도 제관할 수 있다. 제관 장치를 선행 나선관부 또는 나선관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축 둘레로 상기 가이드부의 각도가 자유롭게 조정 가능(프리하게 변화 가능)하며, 제관 장치가 선행 나선관부에 계합되어 있는 제관 시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각도가, 상기 관단부의 곡률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회전축 둘레의 각도를 유지하는 각도 유지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각도 유지부에 의한 각도 유지를 해제한 상태에서, 가이드부의 각도를 조절한다. 조절 후, 상기 각도 유지부를 발휘시킴으로써, 가이드부의 각도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원하는 곡률로 안정적으로 제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원형 단면의 나선관을 만드는 데에 적합하다.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관단부를 상기 바닥부측과는 반대의 표측으로부터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관단 가이드가 관단부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제관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압출된 후속 띠부보다도 상기 연신 방향의 선단측과는 반대의 연신 후방측에 인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누름부가 상기 후속 띠부와 간섭하지 않고, 감합 위치가 추진 전후 방향으로 변동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안정적으로 제관할 수 있다.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압출된 후속 띠부의 추진 후방이면서 또한 상기 관단부보다도 상기 바닥부측과는 반대의 표측에 있어서 상기 장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누름부와,
상기 가동 누름부를, 해당 가동 누름부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추진 전방 또는 상기 바닥부측을 향해 부세(付勢)하는 누름부 부세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감합 위치가 추진 전후 방향으로 변동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후속 띠부를 상시, 관단부측으로 압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제관할 수 있다.
상기 장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부와 상기 관단 가이드의 상대 위치가 가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원형 단면의 나선관은 물론, 비원형 단면의 나선관도 제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관단 가이드가 계합하는 관단부의 곡률에 맞추어, 구동부와 관단 가이드의 상대 위치를 가변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관 곡률의 변화에 따라서 축경 제관이나 확경 제관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어, 관단 가이드가 관단부로부터 벗어나거나, 관단 가이드나 관단부가 파괴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단부의 곡률의 변화에 따라, 구동부와 관단 가이드의 위치 관계가 변경됨으로써, 관단 가이드가 관단부를 파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단부가, 둘레 방향으로 직선부와 곡선부를 갖고 있는 경우, 직선부의 제관 시와 곡선부의 제관 시에서, 구동부와 관단 가이드의 위치 관계가 바뀜으로써, 관단부에 대한 후속 띠부의 압입 각도가 크게 변동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관단 가이드에 의해 관단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대 위치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관단 가이드의 상대 각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가,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위치 변화(각도 변화를 포함함)됨으로써, 구동부와 관단 가이드의 상대 위치가 바뀌도록 되어 있어도 되고, 장치 프레임이 변형됨으로써, 구동부와 관단 가이드의 상대 위치가 바뀌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복수의 가이드부를 갖고 있으며, 이들 복수의 가이드부의 위치 관계가 바뀜으로써, 구동부와 관단 가이드의 상대 위치가 바뀌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제관 장치를 선행 나선관부 또는 나선관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관단 가이드의 상대 위치가 자유롭게 조정 가능(프리하게 변화 가능)하며, 제관 장치가 선행 나선관부에 계합되어 있는 제관 시에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관단 가이드의 상대 위치가, 상기 관단부의 곡률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 나선관부와의 계합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로부터 받는 힘, 기설관으로의 압박에 대한 반력, 중력, 기타의 외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와 상기 관단 가이드의 상대 위치가 변화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동부와 관단 가이드의 상대 위치를 조절 후, 고정 가능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단면 원형의 나선관을 만드는 데에 적합하다.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복수의 가이드부를 가지고,
각 가이드부가, 상기 관단부에 대하여 상기 장치 폭 방향으로 구속됨과 함께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지되는 계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관 장치를 관단부에 안정적으로 계지되게 할 수 있고, 제관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감합 위치를 피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합 위치가 추진 전후 방향으로 변위되어도 된다.
감합 위치가 후단의 가이드부보다 추진 후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감합 위치가 전후의 가이드부끼리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끼리의 상기 장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가 가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원형 단면의 나선관은 물론, 비원형 단면의 나선관도 제관할 수 있다. 제관 곡률의 변화에 대한 추종성이 높아지고, 관단 가이드가 관단부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즉, 제관 장치가 탈선하기 어려워진다.
제관 장치를 선행 나선관부 또는 나선관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끼리의 상대 위치가 자유롭게 조정 가능(프리하게 변화 가능)하며, 제관 장치가 선행 나선관부에 계합되어 있는 제관 시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끼리의 상대 위치가, 상기 관단부의 곡률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 나선관부와의 계합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로부터 받는 힘, 기설관으로의 압박에 대한 반력, 중력, 기타의 외력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끼리의 상대 위치가 변화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가이드부끼리의 상대 위치를 조절 후, 고정 가능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단면 원형의 나선관을 만드는 데에 적합하다.
각 가이드부는, 상기한 계지부, 수용부 및 누름부 중 적어도 계지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지부가, 상기 회전축 둘레로 회전(요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의 수는, 위치 결정 정밀도나 곡률 제어의 관점에서는 3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관 장치의 구조의 간이화의 관점에서는 가능한 한 소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양쪽의 관점에서, 가이드부의 수는 3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띠상 부재를 기설관의 내주면을 따라서 나선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접합시킴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장치로서,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지지되며, 또한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후속 띠부를,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내주측으로부터 상기 선행 나선관부 상의 감합 위치를 향해 압입하여 상기 선행 나선관부와 접합시킴과 함께 추진력을 얻는 구동부와,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추진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향하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감합 위치 근처의 선행 나선관부를 외주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비원형의 외주 가이드와,
상기 외주 가이드를 상기 기설관 또는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을 따르게 하도록 작용하는 작용부
를 구비한 것을 제2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특징은, 띠상 부재를 기설관의 둘레면을 따라서 나선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장치로서,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의 관축을 따르는 연신 방향의 선단측의 관단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 상에, 추진 전후 방향을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권회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되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후속 띠부를, 상기 선행 나선관부를 향해 압입하여 상기 선행 나선관부와 접합시킴과 함께 추진력을 얻는 구동부와,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추진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으로 향하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설관과 면하는 측의 둘레면에 대어지는 비원형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기설관 또는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을 따르게 하도록 작용하는 작용부
를 구비하고, 상기 관단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부분을 당해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하는, 관단 해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특징에 관한 제관 장치에 의하면, 구동부와 가이드부의 협동 작용에 의해, 후속 띠부를 선행 나선관부에 보내어 서로의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접합시킬 수 있음과 함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주 규제체가 없어도 나선관을 제관할 수 있다. 내주 규제체를 생략함으로써, 기설관이 비원형 단면이어도 그 내주면을 따라서 나선관을 용이하게 제관할 수 있다. 또한, 추진 방향을 따라서 기설관의 곡률 변화나 각도 변화가 있어도, 작용부에 의해, 가이드부를 기설관 또는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을 따르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가이드부의 선단부가 기설관의 내주면에 맞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관 장치를 기설관 또는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추진시키면서 제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특징에 관한 제관 장치는, 관단 해방형 이외의, 예를 들어 링크 롤러 등의 내주 규제체 부착의 제관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2 특징에 관한 제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편평 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용부가, 상기 수용부를 상기 기설관 또는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을 따르게 하도록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의 두께 방향은, 기설관의 내외 방향을 따르는 장치 높이 방향을 향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의 두께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추진 방향을 따르는 치수 및 상기 폭 방향을 따르는 치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수용부를 선행 나선관부의 외주(기설관 내주면과 선행 나선관부 사이)에 배치하기 위해 필요한, 선행 나선관부의 기설관 내주면으로부터의 이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추진 방향을 따라서 기설관의 곡률 변화나 각도 변화가 있어도, 작용부에 의해, 편평 형상의 수용부를 기설관 또는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에 따르게 함으로써, 가이드부의 선단부가 기설관의 내주면에 맞부딪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작용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추진 방향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기설관 또는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과 접촉 가능한 선도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도 롤러가 가이드부에 선행하여 기설관 또는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과 접촉됨으로써, 추진 방향을 따라서 기설관의 곡률 변화나 각도 변화가 있어도, 가이드부를 기설관 또는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에 확실하게 따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도 롤러와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회전축 둘레로 서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간이한 구조로, 가이드부를 기설관 또는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에 확실하게 따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용부가 부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추진 방향의 전단부가 기설관측과는 반대의 표측을 향하도록, 상기 부세 수단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회전축 둘레로 회전 부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추진 방향을 따라서 기설관의 곡률 변화나 각도 변화가 있어도, 가이드부를 선행 나선관부에 확실하게 따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특징에 관한 제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선행 나선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부와는 반대의 표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의 회전 기구를 선행 나선관부의 내주측에 여유를 가지고 배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가이드부의 회전 기구를 선행 나선관부와 기설관 사이에 배치할 필요가 없고, 가이드부를 충분히 편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특징에 관한 제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복수의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고, 각 가이드 유닛이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관 장치를 선행 나선관부에 안정적으로 계지할 수 있고, 기설관이 비원형이어도, 그의 곡률에 의존하지 않고, 각 가이드부를 기설관 또는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을 따르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제관할 수 있다.
상기 제2 특징에 관한 제관 장치에 있어서의 가이드부의 회전 기구는, 관단 해방형에 한정되지 않고, 링크 롤러 등의 내주 규제체를 갖는 관단 구속형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3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띠상 부재를 나선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감합시킴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장치로서,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의 관축을 따르는 연신 방향의 선단측의 관단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 상에, 추진 전후 방향을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권회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되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를,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상기 일부분 또는 그 근처를 향해,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내외 방향을 따르는 장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압입하는 구동부와,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부로부터 추진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관단부에 상기 장치 높이 방향의 바닥부측으로부터 계합되는 이측 가이드부와,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이측 가이드부로부터 추진 후방으로 어긋나게 설치되고, 상기 관단부에 상기 장치 높이 방향의 바닥부측과는 반대의 표측으로부터 계합되는 표측 가이드부
를 구비하고, 상기 후속 띠부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이측 가이드부와 상기 표측 가이드부 사이의 가이드 간극간을 향해 압출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관단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부분을 당해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하는 것을 제3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특징에 관한 제관 장치에 의하면, 확경 제관하려고 할 때는, 구동부에 의한 후속 띠부의 관단부로의 압입력을 강하게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선행 나선관부 및 후속 띠부가, 이측 가이드부에 방해되는 일없이 외주측으로 변위되면서, 가이드 간극간 또는 그 근처에서 감합된다. 따라서, 갱생관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 확경 제관 시에는, 강한 압입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감합 제관할 수 있다.
한편, 축경 제관하려고 할 때는, 구동부에 의한 후속 띠부의 압입력을 약하게 한다. 그러면, 띠상 부재의 제관 시의 축경성에 의해, 가이드 간극간에 있어서의 선행 나선관부 및 후속 띠부가 내주측으로 변위되어, 표측 가이드부에 눌러진다. 이에 의해, 축경 제관 시에 있어서도 안정적으로 감합할 수 있다.
이 결과, 제관 시의 확축 직경 제어와 감합의 안정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특징에 있어서, 「관단부」란, 선행 나선관부가 관축을 따라서 연신되어가는 방향(연신 방향)의 전단의 약 일주 부분을 말한다. 연신 방향의 전방을 「연신 전방」이라 칭하고, 연신 방향의 후방을 「연신 후방」이라 칭한다.
상기 장치 높이 방향은, 개략적으로 나선관의 관 내외 방향으로 향해진다. 상기 장치 높이 방향의 기부(基部)측은 나선관의 외주측으로 향해지고, 장치 높이 방향의 정상부측은 나선관의 내주측으로 향해진다.
상기 압출 방향은, 상기 구동부로부터, 장치 높이 방향의 기부측이면서 또한 추진 후방으로 향해진다.
상기 구동부의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한 위치는, 장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구동부의 위치, 및 추진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구동부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장치 폭 방향을 따르는 축선 둘레의 구동부의 각도를 포함한다.
상기 이측 가이드부의 추진 전후 방향의 중앙부와, 상기 표측 가이드부의 추진 전후 방향의 중앙부가, 추진 전후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 있으면 되고, 상기 이측 가이드부의 추진 후방측의 부분과 상기 표측 가이드부의 추진 전방측의 부분이, 추진 전후 방향에 있어서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중복되는 부분이 없고, 상기 표측 가이드부의 전체가, 상기 이측 가이드부로부터 추진 후방으로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제관 장치는, 상기 관단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부분을 당해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하는, 관단 해방형의 제관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관단부의 단면(형상, 둘레 길이, 직경)을 내주측으로부터 규제하는 내주 규제체를 갖지 않는 비내주 규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축경」은, 나선관이 원형 단면일 때, 직경이 작아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나선관이 임의의 단면일 때의, 둘레 길이가 작아지는 것(둘레 길이 축소)도 포함한다.
또한, 「확경」은, 나선관이 원형 단면일 때, 직경이 커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나선관이 임의의 단면일 때의, 둘레 길이가 커지는 것(둘레 길이 확대)도 포함한다.
상기 제3 특징에 관한 제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위치 조절 기구를 통해, 상기 이측 가이드부 혹은 표측 가이드부 또는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조절 기구가, 조절 후의 구동부의 위치를 유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의 위치 조절에 의해, 후속 띠부의 압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압출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후속 띠부의 관단부로의 압입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갱생관을 확실하게 확축 직경 제관할 수 있다.
상기 제3 특징에 관한 제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기구가, 상기 구동부를, 상기 장치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르는 회전 축선 둘레로 각도 조절 가능한 각도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조절 기구가, 조절 후의 구동부의 각도를 유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를 각도 조절함으로써, 후속 띠부의 압출 방향(압출 각도)을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고, 후속 띠부의 압입력을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진 전후 방향에 대한 후속 띠부의 압출 각도를 크게 하면, 후속 띠부의 압입력이 강해진다. 이에 의해, 갱생관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 상기 압출 각도를 작게 하면, 후속 띠부의 압입력이 약해진다. 이에 의해, 갱생관을 축경 제관할 수 있다.
상기 제3 특징에 관한 제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이측 가이드부보다도 추진 전방에는, 상기 관단부를 외주측 및 내주측으로부터 끼움 부착 가능한 협지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협지 가이드부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의 끼움 부착력(저항력)을 조절함으로써, 후속 띠부의 압입력을 증감시킬 수 있고, 갱생관을 확축 직경 제어할 수 있다. 즉, 끼움 부착력을 높임으로써, 후속 띠부의 압입력이 강해지고, 띠상 부재의 축경성에 저항하여 확경 제관할 수 있다. 끼움 부착력을 약화시킴으로써, 후속 띠부의 압입력이 약해지고, 띠상 부재의 축경성에 의해 축경 제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띠상 부재는,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나선관이 되는 띠상 부재로서,
띠 폭 방향의 일방측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제1 감합부와,
상기 띠 폭 방향의 타방측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감합부에 있어서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나선관의 내외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끼워지는 제2 감합부와,
상기 띠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감합부와 상기 제2 감합부 사이에 설치되며, 이들 제1, 제2 감합부보다도 상기 내외 방향의 타방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돌출부와 감합부의 고저차로 생기는 갭에 관단 가이드를 삽입할 수 있다. 기설관의 내벽을 따라서 갱생관(나선관)을 구축하는 경우, 선행 나선관부를 기설관 내벽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관단 가이드를 기설관 내벽과 선행 나선관부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관단 가이드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어, 관단 가이드의 손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관 장치에 의하면, 내주 규제체를 생략할 수 있어, 간소한 구성으로 나선관을 제관할 수 있다. 기설의 하수관 등의 도수관을 나선상의 갱생관(나선관)에 의해 라이닝하여 갱생하는 경우, 내주 규제체를 생략함으로써, 시공 중의 유수 저해 등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에 의해 기설관을 갱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의 (b)는, 갱생 시공 완료된 기설관을, 동일 도의 (a)보다도 축척을 작게 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공 도중의 갱생관(나선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관 중의 제관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상기 갱생관을 구성하는 띠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르는, 상기 갱생관의 선행 나선관부와 후속 띠부의 감합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선을 따르는, 상기 제관 장치의 전방측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VII-VII선을 따르는, 상기 제관 장치의 후방측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제관 중의 제관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의 (b)는, 동일 도의 (a)의 원부 VIIIb의 확대도이다. 도 8의 (c)는, 동일 도의 (a)의 원부 VIIIc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의 해설 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제관 장치의 해설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의 해설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해설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을 따르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의 후방측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의 해설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의 해설 측면도이다.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전개 상태에서, 또한 장치 높이 방향을 상하로 향해 나타내는 해설 측면도이다. 도 16의 (b)는, 상기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전개 상태와 격납 상태의 중간 상태에서, 또한 장치 높이 방향을 상하로 향해 나타내는 해설 측면도이다. 도 16의 (c)는, 상기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격납 상태에서, 또한 장치 높이 방향을 상하로 향해 나타내는 해설 측면도이다.
도 17은,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갱생 완료된 기설관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둘레 방향의 3개의 위치에 있어서 제관 시의 제관 장치를 가상선으로 하여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제관 장치의 후방측 가이드부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에 의해 기설관을 갱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공 도중의 갱생관(나선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XXI-XXI선을 따르는, 상기 제관 장치의 해설 평면도이다.
도 22는, 기설관의 관축 방향에서 본 제관 중의 상기 제관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XXIII-XXIII선을 따르는, 상기 갱생관을 구성하는 띠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XXIV-XX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5의 (a) 내지 도 25의 (d)는 제관 장치가, 기설관의 코너부를 포함하는 둘레면부를 이동하면서 제관하는 모습을 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6의 (a)는, 갱생 시공 완료된 기설관을, 도 19보다도 축척을 작게 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의 (b)는, 도 26의 (a)의 XXVIb-XXVIb선을 따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제관 중의 상태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8은, 상기 제11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9의 (a) 내지 도 29의 (c)는, 상기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관 장치가, 기설관의 코너부를 포함하는 둘레면부를 이동하면서 제관하는 모습을 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제관 중의 상태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1의 (a)는, 상기 제12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의 후방측 가이드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31의 (b)는, 상기 후방측 가이드 유닛이 기운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2의 (a) 및 도 32의 (b)는, 상기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관 장치가, 기설관의 코너부를 포함하는 둘레면부를 이동하면서 제관하는 모습을 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3의 (a)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의 후방측 가이드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33의 (b)는, 상기 제13 실시 형태의 후방측 가이드 유닛이 기운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에 의해 기설관을 갱생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4는, 상기 제관 장치를, 갱생관의 제관 중의 상태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6은, 상기 제관 장치에 의해 제관 중의 갱생관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제관 중의 상기 제관 장치 및 갱생관의 해설 평면도이다.
도 38은, 상기 갱생관이 되어야 하는 띠상 부재를 나타내고, 도 35의 XXXVIII-XXXV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35의 XXXIX-XXXIX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5의 XL-XL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갱생관 제관 중의 상태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2는, 상기 제15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에 의한 확경 제관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3은, 상기 제15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에 의한 확경 제관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갱생관 제관 중의 상태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갱생관 제관 중의 상태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를, 갱생관 제관 중의 상태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의 (a)는, 노화된 기설관(1)을 갱생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기설관(1)으로서는, 하수도관, 상수도관, 농업용수관, 가스관 등을 들 수 있다. 기설관(1)의 내벽에 갱생관(9)(나선관)이 라이닝되고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갱생관(9)은, 발진 맨홀(4)로부터 도달 맨홀(4B)까지 사이의 기설관(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된다. 갱생관(9)은 긴 하나의 띠상 부재(90)에 의해 구성되고, 나선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띠상 부재(90)가 나선상으로 권회되고, 또한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가 서로 접합되어 있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관 도중의 띠상 부재(90)는 선행 나선관부(91)와 후속 띠부(9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가, 도 2에 있어서 예를 들어 시계 방향의 권회 방향으로 권회됨으로써, 나선관 형상의 선행 나선관부(9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는, 기설관(1)에 있어서의 발진 맨홀(4)측(도 1의 (a)에 있어서 우측)의 단부로부터 기설관(1)의 내벽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권회 방향의 선단부로부터 미제관의 후속 띠부(92)가 이어지고 있다. 후속 띠부(92)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내부 및 발진 맨홀(4)의 내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는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도 4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띠상 부재(90)의 표측면(내측면)은 선행 나선관부(91), 나아가서는 갱생관(9)에 있어서의 내주측(도 4에 있어서 상측)으로 향해 있다. 띠상 부재(90)의 이측면(외측면)은 선행 나선관부(91), 나아가서는 갱생관(9)에 있어서의 외주측(도 4에 있어서 하측)으로 향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는 띠 본체(90a)와 보강 띠재(96)를 구비하고 있다. 띠 본체(90a)의 재질은,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이다. 띠 본체(90a)는 평탄한 띠판부(90c)와, 복수의 리브(90b)와, 한 쌍의 감합부(93, 94)를 포함하고, 도 4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띠판부(90c)의 이측면(외측면)에는, 복수의 리브(90b)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판부(90c)의 폭 방향의 일방측(도 4에 있어서 좌측)의 테두리부에, 제1 감합부(9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감합부(93)는 띠판부(90c)보다 이측(외주측, 도 4에 있어서 하측)으로 오목해진 위치로부터 표측(내주측, 도 4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표측으로 개구된 요철 단면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감합부(93)는 3개(복수)의 벽부(93a, 93b, 93c)와 바닥부(93d)를 갖고 있다. 3개의 벽부(93a, 93b, 93c)는, 띠상 부재(90)의 띠 폭 방향(도 4에 있어서 좌우)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또한 띠상 부재(90)의 연장 방향(도 4에 있어서 지면 직교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어 있다. 바닥부(93d)는 띠판부(90c)보다도 이측(도 4에 있어서 하측)에 배치되고, 3개의 벽부(93a, 93b, 93c)를 연결하고 있다. 인접하는 벽부(93a, 93b, 93c)끼리의 사이에 감합 오목부(93e, 93f)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벽부(93a, 93b, 93c)에 의해 2개의 감합 오목부(93e, 93f)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벽부에 의해 감합 오목부가 1개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4개 이상의 벽부에 의해 3개 이상의 감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각 감합 오목부(93e, 93f)는, 표측(도 4에 있어서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감합 오목부(93e)에는, 시일 부재(97)가 설치되어 있다.
띠판부(90c)의 폭 방향의 타방측(도 4에 있어서 우측)의 테두리부에, 제2 감합부(9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감합부(94)는 띠판부(90c)와 거의 편평한 위치로부터 이측(외주측, 도 4에 있어서 하측)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이측으로 개구된 요철 단면으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2 감합부(94)는 3개(복수)의 벽부(94a, 94b, 94c)와 바닥부(94d)를 갖고 있다. 3개의 벽부(94a, 94b, 94c)는, 띠상 부재(90)의 띠 폭 방향(도 4에 있어서 좌우)으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또한 띠상 부재(90)의 연장 방향(도 4에 있어서 지면 직교 방향)을 따라서 각각 연장되어 있다. 바닥부(94d)는 띠판부(90c)와 단차없이 연속됨과 함께, 3개의 벽부(94a, 94b, 94c)를 연결하고 있다. 인접하는 벽부(94a, 94b, 94c)끼리의 사이에 감합 오목부(94e, 94f)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벽부(94a, 94b, 94c)에 의해 2개의 감합 오목부(94e, 94f)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제1 감합부(93)와 동일하게, 2개의 벽부에 의해 감합 오목부가 1개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4개 이상의 벽부에 의해 3개 이상의 감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각 감합 오목부(94e, 94f)는, 이측(도 4에 있어서 하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 나아가서는 갱생관(9)(도 1의 (b))에 있어서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감합부(93, 94)끼리 요철 감합되어 있다. 제2 감합부(94)가, 제1 감합부(93)에 있어서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부분에, 선행 나선관부(91), 나아가서는 갱생관(9)(나선관)의 내외 방향(도 5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표측(일방측, 도 5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 제1 감합부(93)가 제2 감합부(94)보다 이측(상기 내외 방향의 타방측, 도 5에 있어서 하측)에 위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감합 오목부(93e)에 벽부(94b)가 끼워지고, 감합 오목부(93f)에 벽부(94a)가 끼워져 있다. 또한, 감합 오목부(94e)에 벽부(93a)가 끼워지고, 감합 오목부(94f)에 벽부(93b)가 끼워져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에는, 상기 감합부(93, 94)의 요철 감합을 포함하는 나선상 이음매(9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본체(90a)의 이측(도 4에 있어서 하측)에 한 쌍의 보강 띠재(96)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띠재(96)는 강판 등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보강 띠재(96)는 돌출부(96a)와 한 쌍의 정착판부(96b)를 가지고, 띠 본체(90a)를 따라서 도 4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96a)는 띠 폭 방향(도 4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제1 감합부(93)와 제2 감합부(94)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96a)는 바닥부(96d)와 한 쌍의 아암부(96e, 96e)를 가지고,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아암부(96e, 96e)는 띠 두께 방향(도 4에 있어서 상하)의 중간부에 있어서 약간 절곡되고, 이측(도 4에 있어서 하측)을 향해 서로의 간격이 확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출부(96a)가 하방을 향해 확대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닥부(96d)는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한 쌍의 아암부(96e, 96e)의 이측 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돌출부(96a)를 하방을 향해 확대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내하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갱생관(9)의 제관 후에, 기설관(1)과 갱생관(9) 사이에 되메움재를 충전하였을 때, 되메움재의 돌출부(96a)에 대한 정착력을 높일 수 있다.
돌출부(96a)가 리브(90b)의 외측에 덮여 있다. 또한, 돌출부(96a)는 띠 본체(90a), 나아가서는 감합부(93, 94)보다도 이측(후기 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돌출부(96a)의 바닥부(96d)가 제1 감합부(93)의 바닥부(93d)보다도 이측(나선관(9)의 내외 방향의 타방측, 도 4에 있어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되어 있다. 감합부(93)로부터의 돌출부(96a)의 돌출량 H96(도 6)은 바람직하게는 H96=3mm 내지 10mm 이상이며, H96=10mm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돌출부(96a)의 양단부로부터 정착판부(96b)가 띠 폭 방향(도 4에 있어서 좌우)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정착판부(96b)는 띠판부(90c)의 이측면에 첨부되어 정착되어 있다. 정착판부(96b)의 외단부에는, 단부 리브(96f)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 리브(96f)는, 정착판부(96b) 이측(도 4에 있어서 하측)을 향해, 띠 폭 방향의 외측으로 조금 비스듬하게 돌출되어 있다. 제1 감합부(93)측(도 4에 있어서 좌측)의 보강 띠재(96)에 있어서의, 제1 감합부(93)측의 단부 리브(96f)가 벽부(93c)를 따르고 있다. 제2 감합부(94)측(도 4에 있어서 우측)의 보강 띠재(96)에 있어서의, 제2 감합부(94)측의 단부 리브(96f)가 벽부(94c)를 따르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의 이측부(외측부)에는, 인접하는 리브(90b) 및 돌출부(96a), 그리고 감합부(93, 94)끼리에 의해,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 감합부(93, 94)와 그의 인접한 돌출부(96a) 사이에는, 계지 홈부(95b)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계지 홈부(95b)는, 각 감합부(93, 94)의 벽부(93c, 94c)를 따르는 단부 리브(96f)와, 돌출부(96a)의 아암부(96e)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계지 홈부(95b)는 띠상 부재(90)의 연장 방향(도 4의 지면 직교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계지 홈부(95b)의 홈 개구는,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외주측(후기 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 도 4에 있어서 하측)으로 향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나선상 이음매(91a)를 사이에 두고 양측(도 5에 있어서 좌우)의 돌출부(96a)끼리의 사이에는, 이음매 외주홈(95)이 형성되어 있다. 이음매 외주홈(95)의 폭 방향의 양측부에, 각각 계지 홈부(95b)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띠상 부재(90)에 있어서의 감합부(93, 94), 리브(90b), 보강 띠재(96), 이음매 외주홈(95), 계지 홈부(95b) 등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1의 (a)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관축을 따라서 연신되어가는 연신 방향(ED)의 선단(도 1의 (a)에 있어서 좌측 단부)의 약 일주 부분을 「관단부(91e)」라고 칭한다. 관단부(91e)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 상에 제관 장치(3)가 배치되어 있다. 제관 장치(3)가 추진 전방으로 추진(자주)하면서, 띠상 부재(90)로부터 갱생관(9)을 제관한다.
제관 장치(3) 내에 감합 위치(9p)가 설정되어 있다. 감합 위치(9p)에 있어서, 선행 나선관부(91)의 제1 감합부(93)와, 후속 띠부(92)의 제2 감합부(94)의 상기 요철 감합(접합)이 행해지고 있다.
또한, 감합 위치(9p)는, 제관 곡률이나 띠상 부재(90)의 강성 등에 따라서 제관 장치(3)의 추진 전후 방향으로 변동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관 장치(3)는, 이점 쇄선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장치 프레임(30)과, 구동부(10)와, 관단 가이드(20)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프레임(30), 나아가서는 제관 장치(3)의 추진 전후 방향(LD)은, 연신 방향(ED)에 대하여 교차하고, 선행 나선관부(91)의 권회 방향(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을 따르도록 향해 있다. 장치 프레임(30), 나아가서는 제관 장치(3)에 있어서의, 추진 전후 방향(LD)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WD)이, 기설관(1)의 축선에 대하여 선행 나선관부(91)의 리드각의 분만큼 기울어져 있다. 장치 프레임(30), 나아가서는 제관 장치(3)에 있어서의, 추진 전후 방향(LD) 및 장치 폭 방향(WD)과 직교하는 장치 높이 방향(HD)은, 기설관(1) 및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외 방향 내지 직경 방향으로 향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30)은 하우징(31)과 가이드 연결부(3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1)은, 장치 프레임(30)에 있어서의 장치 높이 방향(HD)의 헤드부측(내주측 내지 표측, 도 3에 있어서 상측)이면서 또한 추진 전방측(도 3에 있어서 좌측)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연결부(32)는 전방측 연결 아암(32a)과 후방측 연결 아암(32b)을 포함한다. 전방측 연결 아암(32a)은 하우징(31)으로부터 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외주측 내지 이측, 도 3에 있어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방측 연결 아암(32b)은, 하우징(31)으로부터 추진 후방이면서 또한 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 후방측 연결 아암(32b)의 표측(도 3에 있어서 상방)에 후속 띠부(92)가 첨부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 연결 아암(32b)의 선단 근처 부분은, 감합 위치(9p)의 외주측 내지 이측(도 3, 도 5에 있어서 하측)으로부터 이음매 외주홈(95)으로 삽입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30)에 구동부(10) 및 관단 가이드(20)가 설치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30)에 의해, 구동부(10) 및 가이드부(21, 22)끼리의 상대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31) 내에 구동부(10)가 수용되어 있다. 구동부(10)는 감합 위치(9p)에 대하여 추진 전방(도 3에 있어서 좌측)이면서 또한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도 3에 있어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10)는 한 쌍의 구동 롤러(13, 13)를 포함한다. 구동 롤러(13)의 축선은, 제관 장치(3)의 장치 폭 방향(WD)(도 3에 있어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있다. 한 쌍의 구동 롤러(13, 13)에 의해, 후속 띠부(92)가 내주측(표측)과 외주측(이측) 사이에 끼움 부착되어 있다. 적어도 한쪽의 구동 롤러(13)에 모터 등의 회전 구동 기구(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 롤러(13)가 자축 둘레로 회전 구동된다. 구동 롤러(13)의 회전 방향은, 후속 띠부(92)를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으로부터 감합 위치(9p)를 향해,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 방향(장치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압입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30)에 있어서의 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도 3에 있어서 하측)에 관단 가이드(20)가 설치되어 있다. 관단 가이드(20)는 구동부(10)로부터 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외주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관단 가이드(20)는,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에 대하여 장치 폭 방향(WD)으로 구속됨과 함께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단 가이드(20)는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서로 떨어진 2개(복수)의 가이드부(21, 22)를 포함한다. 전방측 가이드부(21)는 전방측 연결 아암(32a)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전방측 가이드부(21)는 감합 위치(9p)보다도 추진 전방측(도 3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 가이드부(21)는 수용부(21a)와 계지부(21b)를 갖고 있다. 수용부(21a)는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를 따르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수용부(21a)의 두께 t21은 감합부(93)로부터의 돌출부(96a)의 돌출량 H96 이하이다(t21≤H26). 수용부(21a)의 폭 방향의 일단부(선행 나선관부(91)의 안측으로 향하는 단부, 도 6에 있어서 우측 단부)에, 계지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부(21b)는 수용부(21a)로부터 내주측(도 6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용부(21a)가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도 6에 있어서 좌측 단부)에 있어서의 감합부(93)를,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측(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으로부터 받는다. 또한 계지부(21b)가,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측(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으로부터 계지 홈부(95b)에 계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방측 가이드부(21)가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또한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장치 폭 방향 D로 이동 규제(구속)되어 있다.
계지부(21b)는 계지 홈부(95b)의 양측의 단부 리브(96f)와 아암부(96e) 사이에 납입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띠재(96)가 전방측 가이드부(21)보다도 외주측(도 6에 있어서 하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는, 보강 띠재(96) 및 수용부(21a)의 외주측 단부면끼리(도 6에 있어서 하면끼리)가 면일(面一)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 가이드부(21)의 추진 후방으로 이격되어, 후방측 가이드부(22)가 배치되어 있다. 후방측 가이드부(22)는 후방측 연결 아암(32b)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지지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측 가이드부(22)는 감합 위치(9p)보다도 추진 후방(도 3에 있어서 우측)의 나선상 이음매(91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측 가이드부(21)와 후방측 가이드부(22) 사이에 감합 위치(9p)가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방측 가이드부(22)는 전방측 가이드부(21)보다도 감합 위치(9p)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감합 위치(9p)로부터 후방측 가이드부(22)까지의 거리가, 감합 위치(9p)로부터 전방측 가이드부(21)까지의 거리보다 작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 가이드부(22)는 수용부(22a)와 계지부(22b)를 갖고 있다. 수용부(22a)는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를 따르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수용부(22a)의 두께 t22는 돌출부(96a)의 돌출량 H96 이하이다(t22≤H26). 수용부(22a)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계지부(22b)가 설치되어 있다. 각 계지부(22b)는 수용부(22a)로부터 내주측(도 7에 있어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용부(22a)가 이음매 외주홈(95)에 수용되어 있다. 수용부(22a)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나선상 이음매(91a)의 주변 부분을, 외주측(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으로부터 받고 있다. 또한, 한 쌍의 계지부(22b)가 이음매 외주홈(95)의 양측의 계지 홈부(95b)에 외주측(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으로부터 각각 계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후방측 가이드부(22)가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며, 또한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장치 폭 방향 D로 이동 규제(구속)되어 있다.
계지부(22b)는 계지 홈부(95b)의 양측의 단부 리브(96f)와 아암부(96e) 사이에 들어간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띠재(96)가 후방측 가이드부(22)보다도 외주측(도 7에 있어서 하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는, 보강 띠재(96) 및 수용부(22a)의 외주측 단부면끼리(도 7에 있어서 하면끼리)가 면일일 수 있다.
제관 장치(3)에 의해, 다음과 같이 하여 갱생관(9)이 제관된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설관(1)의 내벽을 따라서 선행 나선관부(91)가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띠상 부재(90)(후속 띠부(92))를, 발진 맨홀(4)로부터 선행 나선관부(91)의 내부를 거쳐,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에 배치된 제관 장치(3)에 도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10)의 구동 롤러(13)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후속 띠부(92)를 감합 위치(9p)를 향해 압입한다. 압입력 F10은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향해진다. 이에 따라서, 선행 나선관부(91)가 가이드부(21, 22)에 압박된다. 그의 반작용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전방측 가이드부(21)와의 접촉부에, 수직 항력 F21이 작용한다.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후방측 가이드부(22)와의 접촉부에는 수직 항력 F22가 작용한다. 압입력 F10의 직경 방향 분력 F11과 수직 항력 F21, F22에 의해, 감합 위치(9p)에 있어서, 후속 띠부(92)의 제2 감합부(94)와 선행 나선관부(91)의 제1 감합부(93)끼리가 감합된다(도 5).
또한, 압입력 F10의 둘레 방향 분력 F12를 추진 반력으로 하여, 제관 장치(3)가 선행 나선관부(91)의 권회 방향의 전방(도 3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추진된다. 이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를 연신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갱생관(9)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제관 장치(3)가 설치된 부분(일부분) 이외의 부분이, 제관 장치(3)로부터 해방된 상태에서, 제관이 행해진다. 제관 장치(3)에 의하면, 내주 규제체가 불필요하다. 내주 규제체가 없어도, 구동부(10)와 관단 가이드(20)의 협동 작용에 의해 갱생관(9)을 제관할 수 있다. 내주 규제체를 생략함으로써, 제관 장치(3)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내주 규제체가 없기 때문에, 기설관(1)에 있어서의 유수 저해를 완화시킬 수 있다. 기설관(1)이 비원형의 단면으로 되어 있다고 해도, 갱생관(9)이 기설관(1)의 단면 형상으로 확실하게 모방하도록 제관할 수 있다.
띠상 부재(90)의 감합부(93, 94)보다 이측으로 돌출되는 부재, 구체적으로는 보강 띠재(96)가 있어도, 압입력 F10으로 감합부(93, 94)가 이측(외주측)으로 구부러져서 감합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지부(21b, 22b)가 계지 홈부(95b)에 계지됨으로써, 관단 가이드(20)를 띠상 부재(90)의 폭 방향(선행 나선관부(91)의 축 방향)으로 구속하면서, 띠상 부재(90)의 연장 방향(선행 나선관부(91)의 권회 방향 내지 둘레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관단 가이드(20)가 띠상 부재(90)의 폭 방향으로 구속됨으로써, 제관 장치(3)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구동부(10)와 2개의 가이드부(21, 22)의 합계 3군데에 있어서 제관 장치(3)를 띠상 부재(90)에 머무르게 할 수 있어, 제관 장치(3)의 자세를 한층 안정시킬 수 있다.
계지부(21b, 22b)는, 금속제의 보강 띠재(96)의 단부 리브(96f)와 아암부(96e) 사이에 계지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장치 폭 방향(WD)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가이드부(21, 22)가 감합 위치(9p)를 피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감합 위치(9p)에 있어서의 선행 나선관부(91)가, 압입력 F10의 작용으로 확경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를 기설관(1)의 내벽으로 누를 수 있어, 갱생관(9)과 기설관(1)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제관할 수 있다.
또한, 편평 박판상의 수용부(21a, 22a)의 두께 t21, t22를 돌출부(96a)의 돌출량 H26 이하(t21≤H26, t22≤H26)로 함으로써, 선행 나선관부(91)를 기설관(1)의 내벽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가이드부(21, 22)를 기설관(1)의 내벽과 선행 나선관부(91) 사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21, 22)의 손상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형태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적절히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3B)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B)의 가이드부(21, 22)의 수용부(21, 22a)에는, 각각 전동체(24, 26)가 장치 높이 방향(HD)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전동체(24, 26)는 자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도 8의 (b) 및 동일 도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전동체(24)(전동체)는 수용부(21a, 22a)의 내주면(도 8에 있어서 상면)으로부터 조금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내측 전동체(24)의 축선은 구동 롤러(13)의 축선과 평행하게 향해 있다. 내측 전동체(24)는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면에 접하여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부(21a, 22a)는 선행 나선관부(91)에 접해 있지 않다.
외측 전동체(26)는 수용부(21a, 22a)의 외주면(도 8에 있어서 하면)으로부터 조금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외측 전동체(26)의 축선은 구동 롤러(13)의 축선과 평행하게 향해 있다. 외측 전동체(26)는 기설관(1)의 내주면(내벽)에 접하여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부(21a, 22a)는 기설관(1)에 접해 있지 않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갱생관(9)의 제관 시, 제관 장치(3B)의 추진에 따라, 내측 전동체(24)가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면 상을 전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21, 22)와 선행 나선관부(91) 사이의 마찰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측 전동체(26)가 기설관(1)의 내주면 상을 전동시킨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21, 22)와 기설관(1) 사이의 마찰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제관 장치(3B)를 원활하게 추진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3C)를 나타낸 것이다. 제관 장치(3C)에 있어서는, 전방측 가이드부(21)가, 도 9의 지면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WD)을 따르는 회전축(21c)을 통해, 장치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방측 가이드부(21), 나아가서는 수용부(21a)가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회전축(21c)의 둘레로 각도 조절 가능(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축(21c)은 선행 나선관부(91)보다 내주측(바닥부측과는 반대의 표측, 도 9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21c)과 수용부(21a)가 연결부(21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1c)이 수용부(21a)의 중앙부 등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방측 가이드부(21)에는, 각도 유지부(21f)가 설치되어 있다. 각도 유지부(21f)는, 예를 들어 볼트를 포함한다. 각도 유지부(21f)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전방측 가이드부(21)를 각도 조절한 후, 각도 유지부(21f)를 조임으로써, 전방측 가이드부(21)를 원하는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동일하게, 후방측 가이드부(22)가, 도 9의 지면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WD)을 따르는 회전축(22c)을 통해, 장치 프레임(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방측 가이드부(22), 나아가서는 수용부(22a)가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회전축(22c)의 둘레로 각도 조절 가능(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축(22c)은 선행 나선관부(91)보다 내주측(도 9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22c)과 수용부(22a)가 연결부(22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2c)이 수용부(22a)의 중앙부 등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후방측 가이드부(22)에는, 각도 유지부(22f)가 설치되어 있다. 각도 유지부(22f)는, 예를 들어 볼트를 포함한다. 각도 유지부(22f)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후방측 가이드부(22)를 각도 조절한 후, 각도 유지부(22f)를 조임으로써, 후방측 가이드부(22)를 원하는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C)에서는, 기설관(1)(도 1 참조)의 내주의 곡률에 맞추어, 각 가이드부(21, 22)를 각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설관(1)의 단면이 비원형이어도, 그의 내주를 확실하게 따르게 하여 제관할 수 있다. 곡률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는, 각도 유지부(21f, 22f)에 의해 가이드부(21, 22)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제관할 수 있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다. 해당 변형예에 있어서는, 전방측 가이드부(21)에 각도 유지부(21f)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전방측 가이드부(21)는 회전축(21c)의 둘레로 자유 회전하게 되어 있다.
동일하게, 후방측 가이드부(22)에 각도 유지부(22f)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후방측 가이드부(22)는 회전축(22c)의 둘레로 자유 회전하게 되어 있다.
당해 형태에 의하면, 기설관(1)(도 1 참조)의 곡률의 변화에 따라서, 가이드부(21, 22)가 자유 자재로 각도 변화된다. 이에 의해, 곡률이 바뀔 때마다 가이드부(21, 22)의 가이드부(21, 22)의 각도 조절을 행할 필요가 없이, 원활하게 제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3D)를 나타낸 것이다. 제관 장치(3D)에 있어서는, 관단 가이드(20)가 3개의 가이드부(21, 25, 22)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부(21, 25, 22)가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중간 가이드부(25)는 전후의 가이드부(21, 22)와 동일하게, 수용부(25a), 계지부(25b), 각도 유지부(25f)를 갖고 있다.
제관 장치(3D)에 의하면, 3개의 가이드부(21, 25, 22)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에 안정적으로 계지되게 할 수 있다. 3개의 가이드부(21, 25, 22)의 각도를 서로 조절함으로써, 제관 곡률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관 장치(3D)의 각 가이드부(21, 25, 22)가, 도 10과 동일하게 자유 회전 가능해도 된다. 또는, 각 가이드부(21, 25, 22)의 각도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부의 수는 4개 이상이어도 된다. 4개 이상의 가이드부가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3E)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E)에 있어서는, 감합 위치(9p) 근처의 후방측 가이드부(22)가 누름부(22e)를 갖고 있다. 누름부(22e)는, 예를 들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도 12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누름부(22e)와 수용부(22a)가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를 사이에 두고, 장치 높이 방향(HD)으로 대치하고 있다.
또한, 누름부(22e)가 수용부(22a)에 대하여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어긋나 있어도 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22e)는 관단부(91e)를 내주측(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과는 반대의 표측)으로부터 누른다. 누름부(22e)와 수용부(22a)에 의해, 관단부(91e)를 끼움 부착한다.
이에 의해, 계지부(22b)가 계지 홈부(95b)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가이드부(22)가 관단부(91e)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부(22) 근처의 감합 위치(9p)에 있어서의 감합 조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부(22e)는 구동 롤러(13)에 있어서의 후속 띠부(92)와의 접촉부(13a)보다 장치 폭 방향(WD)의 연신 후방측(도 13에 있어서 우측)으로 인입되어 있다. 나아가서는, 누름부(22e)는 구동 롤러(13)로부터 압출된 후속 띠부(92)보다 연신 후방측으로 인입되어 있다.
따라서, 감합 위치(9p)가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변동됨으로써, 구동부(10)로부터 감합 위치(9p)까지 사이의 후속 띠부(92)가, 장치 높이 방향(HD)으로 상하 이동해도, 누름부(22e)와 후속 띠부(92)가 간섭하는 일이 없다. 반대로 말하면, 감합 위치(9p)의 변동을 허용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3F)를 나타낸 것이다. 제관 장치(3F)에 있어서는, 관단 가이드(20)가 후단 누름부(23)(누름부)를 포함한다. 후단 누름부(23)는 원통상의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롤러상의 후단 누름부(23)의 축선은, 도 14의 지면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WD)으로 향해 있다. 해당 축선 둘레로 후단 누름부(23)가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단 누름부(23)는 장치 폭 방향(WD)(도 14의 지면 직교 방향)에 있어서의 구동 롤러(13)와 동일 위치, 또한 후방측 가이드부(22)보다도 추진 후방(도 14에 있어서 우측)이면서, 또한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도 14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후단 누름부(23)가 관단부(91e)의 내주면에 대어져있다.
제관 장치(3F)에 의하면, 구동부(10)에 의한 압입력 F10으로는, 감합부(93, 94)(도 5 참조)끼리의 임시 감합을 행하고, 그 후, 후단 누름부(23)에 의한 눌러 붙임으로써, 정식 감합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압입력 F10만으로 감합부(93, 94)끼리를 감합시킬 필요가 없다.
<제7 실시 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3G)를 나타낸 것이다. 제관 장치(3G)에 있어서는, 롤러상의 후단 누름부(23G)가 가동식으로 되어 있다. 가동 누름부(23G)는, 구동부(10)로부터 압출된 후속 띠부(92)의 추진 후방(도 15에 있어서 우측)이면서, 또한 관단부(91e)의 내주측(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과는 반대의 표측)에 배치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30)에는, 안내 레일(37)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 레일(37)은, 후방측 가이드부(22)의 근처로부터 추진 후방측(도 15에 있어서 우측)으로 멀어짐에 따라서, 장치 높이 방향(HD)의 헤드부측(도 15에 있어서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가동 누름부(23G)가, 안내 레일(37)을 따라서 장치 폭 방향(WD)과 직교하는 면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부(22)는 제3 실시 형태(도 9)와 동일하게, 각도 조절 가능하면서 또한 조절 후의 각도로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되고, 도 10과 동일하게 자유 회전 가능해도 된다.
또한, 관단 가이드(20)에는, 누름부 부세 수단(27)이 설치되어 있다. 누름부 부세 수단(27)은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고, 가동 누름부(23G)를 후방측 가이드부(22)의 측으로 부세하고 있다.
감합 위치(9p)는 후방측 가이드부(22)보다도 추진 후방측(도 15에 있어서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가동 누름부(23G)보다도 추진 후방측(도 15에 있어서 우측)에 배치 가능하다.
제7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G)에 의하면, 누름부 부세 수단(27)의 부세력에 의해, 가동 누름부(23G)가, 감합 위치(9p) 근처의 미(未)감합의 후속 띠부(92)에 눌러지고, 또한 후속 띠부(92)를 외주측(도 15에 있어서 하측)으로 압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후속 띠부(92)를 선행 나선관부(91)와 확실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기설관(1)(도 1 참조)의 내주면의 곡률 변화 등에 의해, 감합 위치(9p)가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변동되면, 감합 위치(9p) 근처의 후속 띠부(92)가 장치 높이 방향(HD)으로 상하 이동된다. 그러면, 가동 누름부(23G)가 후속 띠부(92)에 의해 밀어올려지거나, 누름부 부세 수단(27)에 의해 눌려 내려가거나 함으로써, 안내 레일(37)을 따라서 변위된다. 이에 의해, 후속 띠부(92)의 상하 이동이 허용되고, 나아가서는 감합 위치(9p)의 변동이 허용된다. 변위 위치에 무관하게, 상시로 가동 누름부(23G)가 후속 띠부(92)를 외주측으로 압박함으로써, 후속 띠부(92)와 선행 나선관부(91)의 감합 조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8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H)에 있어서는, 장치 프레임(30)이 다관절 링크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장치 폭 방향(WD)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의 구동부(10)와 관단 가이드(20)의 상대 위치(상대 각도를 포함함)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관 장치(3H)의 장치 프레임(30)은 기복 프레임 부재(33)와, 슬라이드 블록(34)과, 원 궤도(35)와, 궤도 블록(36)과, 전방측 링크(38)와, 중간 링크(39)를 포함한다.
하우징(31)의 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로부터 중간 링크(39)가 추진 전방(도 16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간 링크(39)의 후단부(도 16에 있어서 우측 단부)가, 하우징(31)에 대하여 장치 폭 방향(WD)(도 16의 지면 직교 방향)을 따르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중간 링크(39)에 있어서의 전단부(도 16에 있어서 좌측 단부) 근처의 부분에는, 중간 가이드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 가이드부(25)는, 중간 링크(39)에 대하여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중간 링크(39), 나아가서는 구동부(10)에 대하여 회전축(25c) 둘레로 회전 가능(각도 조절 가능)해도 된다. 또한 중간 가이드부(25)는 자유 회전 가능해도 되고, 각도 조절 후의 각도를 유지 가능해도 된다.
중간 링크(39)의 전단부에는, 전방측 링크(38)가 장치 폭 방향(WD)(도 16의 지면 직교 방향)을 따르는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방측 링크(38)는 중간 링크(39)로부터 추진 전방(도 16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측 링크(38)의 전단부(도 16에 있어서 좌측 단부)에는, 전방측 가이드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 가이드부(21)는, 전방측 링크(38)에 대하여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도 되고, 전방측 링크(38), 나아가서는 구동부(10)에 대하여 회전축(21c) 둘레로 회전 가능(각도 조절 가능)해도 된다. 또한 전방측 가이드부(21)는 자유 회전 가능해도 되고, 각도 조절 후의 각도를 유지 가능해도 된다.
전방측 링크(38)와 하우징(31) 사이에 기복 프레임 부재(33)가 놓여 있다. 기복 프레임 부재(33)는 장치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그 전단부는, 전방측 링크(38)에 대하여 회전축(21c)과 동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기복 프레임 부재(33)의 후단부에는, 궤도 블록(3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1)에는, 원 궤도(35)가 설치되어 있다. 원 궤도(35)는, 하우징(31)의 외주를 따르는 개략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원 궤도(35)를 따라서 궤도 블록(36)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원 궤도(35)의 형상은, 상세하게는 진원호 형상이 아니라, 제관 곡률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서 기복 프레임 부재(33)가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관 장치(3H)의 크기나 링크(38, 39)의 길이 등에 따라서, 원 궤도(35)의 형상이 상이하다.
기복 프레임 부재(33)의 중간부에는, 슬라이드 블록(34)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블록(34)은 기복 프레임 부재(33)에 대하여, 기복 프레임 부재(33)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지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34)은 하우징(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후방측 가이드부(22)는 후방측 연결 아암(32b)을 통해, 장치 프레임(30)의 하우징(31)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어 있고, 나아가서는 구동부(10)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8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H)는, 비원형 단면의 기설관(1H)의 내주면을 따라서 갱생관(9H)(나선관)을 제관하기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기설관(1H)은, 직선 단면의 한 쌍의 측벽면(1d)과, 반원형 단면의 천장면(1e)과, 평탄하면서 또한 폭이 좁은 바닥면(1f)을 가지고, 말굽형의 단면으로 되어 있다. 해당 기설관(1H)을 따르는 갱생관(9H)은, 각 측벽면(1d)을 따르는 직선 단면부(9d)와, 천장면(1e)을 따르는 원형 단면부(9e)와, 바닥면(1f)으로부터 한 쌍의 측벽면(1d)의 바닥부에 걸친 소직경 원형 단면부(9f)를 포함한다. 소직경 원형 단면부(9f)는 원형 단면부(9e)보다도 곡률 반경이 작다.
도 17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설관(1H)의 내주면의 곡률, 나아가서는 갱생관(9H)의 제관 곡률에 따라서, 제관 장치(3H)가 전개 상태(3Hd)와 격납 상태(3Hf) 사이에서 변형된다.
기설관(1H)의 측벽면(1d) 상에 있어서 직선 단면부(9d)를 제관할 때는, 제관 장치(3H)를 전개 상태(3Hd)로 한다. 도 1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어서는, 기복 프레임 부재(33)가 하우징(31)으로부터 추진 전방이면서 또한 바닥부측(도 16의 (a)에 있어서 경사 좌측 하방)으로 크게 인출되고, 전방측 가이드부(21)가 하우징(31)의 추진 전방(도 16의 (a)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크게 인출되어 이격된다. 또한, 하우징(31)이, 중간 링크(39)에 대하여 비교적 큰 각도가 되도록 일으켜진다. 이에 의해, 전방측 가이드부(21)와, 중간 가이드부(25)와, 후방측 가이드부(22)가 거의 일직선 상에 배열되고, 갱생관(9H)을 직선 형상으로 제관할 수 있다. 후속 띠부(92)는 비교적 큰 각도로 관단부(91)에 압입된다.
도 17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설관(1H)의 천장면(1e) 상에 있어서 원형 단면부(9e)를 제관할 때는, 제관 장치(3H)를 전개 상태와 격납 상태의 중간 상태(3He)로 한다. 이에 의해, 도 1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3Hd)의 때보다도, 기복 프레임 부재(33)의 상부가 하우징(31)에 들어가고, 전방측 가이드부(21)가 하우징(31)의 전단부에 근접하여, 중간 링크(39)와 하우징(31)의 각도가 작아진다. 이에 의해, 전방측 가이드부(21)와, 중간 가이드부(25)와, 후방측 가이드부(22)가 원하는 곡률의 원주 상에 배열되고, 천장면(1e)을 따라서 갱생관(9H)을 제관할 수 있다. 후속 띠부(92)의 압입 각도는, 직선 형상으로 제관할 때(도 16의 (a))보다도 작아진다.
도 17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설관(1H)의 바닥면(1f)으로부터 한 쌍의 측벽면(1d)의 바닥부에 걸쳐서, 소직경 원형 단면부(9f)를 제관할 때는, 제관 장치(3H)를 중간 상태(3He)보다도 격납 상태(3Hf)에 접근시킨다. 또는, 격납 상태(3Hf)로 한다. 도 1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납 상태에 있어서는, 기복 프레임 부재(33)가 하우징(31)에 충분히 들어가고, 전방측 가이드부(21)가 하우징(31)에 충분히 근접한다. 또한, 하우징(31)이 중간 링크(39)를 향해 충분히 넘어진다. 이에 의해, 전방측 가이드부(21)와, 중간 가이드부(25)와, 후방측 가이드부(22)가 충분히 작은 곡률 반경의 원주 상에 배열되고, 충분히 작은 곡률 반경으로 제관할 수 있다. 후속 띠부(92)의 압입 각도는 충분히 작아진다.
3개의 가이드부(21, 25, 22)를 포함하는 관단 가이드(20)가, 관단부(91)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안내됨으로써, 가이드부(21, 25, 22)끼리의 위치 관계가, 저절로 관단부(91)의 곡률에 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장치 프레임(30)이 전개 상태와 격납 상태 사이에서 변형되고, 구동부(10)와 가이드부(21, 25)의 상대 위치가 변화된다. 반대로 말하면, 장치 프레임(30)이 변형 가능하고, 구동부(10)와 가이드부(21, 25)의 상대 위치가 변화 가능함으로써, 가이드부(21, 25, 22)끼리의 위치 관계가, 관단부(91)의 곡률에 따르는 것이 허용된다.
이 결과, 관단 가이드(20)가 관단부(91)로부터 빗나가거나, 관단 가이드(20)나 관단부(91)가 파괴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제관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격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변화될 때의 저항이, 전개 상태에서 격납 상태로 변화될 때의 저항보다 큰 경우에는, 제관 장치(3H)에 스프링 등의 부세 수단을 설치하고, 해당 부세 수단에 의해 전개 상태를 향해 부세해도 된다. 상기 저항의 대소 관계가 반대일 때는, 격납 상태를 향해 부세해도 된다.
<제9 실시 형태>
도 1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제관 장치(3I)를 나타낸 것이다. 제관 장치(3I)에 있어서는, 가이드부(22)의 수용부(22a)(도 6 참조)가 생략되고, 가이드부(22)가 계지부(22b)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어도 계지부(22b)가 계지 홈부(95b)에 끼워져 있으면, 제관 장치(3I)가 선행 나선관부(91)에 대하여 장치 폭 방향(WD)으로 구속됨으로써, 제관 장치(3I)가 선행 나선관부(91)로부터 어긋나지 않고 제관할 수 있다.
띠상 부재(90)의 강성이 비교적 높은 경우에는, 수용부(22a)가 없어도, 띠상 부재(90)만으로 후속 띠부(92)의 압입에 대한 항력을 발현할 수 있어, 확실하게 감합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
도 19는, 노화된 기설관(1)을 갱생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기설관(1)으로서는, 하수도관, 상수도관, 농업용수관, 가스관 등을 들 수 있다. 도 2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설관(1)은 예를 들어 아치상의 상측 둘레면부(1a)와, 대략 평탄 내지 비교적 평탄한 바닥측 둘레면부(1b)와, 이들 둘레면부(1a, 1b) 사이의 코너부(1c)(대곡(大曲) 둘레면부)를 가지고, 비원형 단면(진원이 아닌 단면)으로 되어 있다. 기설관(1)의 내주면에 갱생관(9)(나선관)이 라이닝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갱생관(9)은 긴 하나의 띠상 부재(90)에 의해 구성되고, 나선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갱생관(9)은 발진 맨홀(4)로부터 도달 맨홀(4B)까지 사이의 기설관(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관 도중의 띠상 부재(90)는 선행 나선관부(91)와 후속 띠부(92)를 포함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가 동일 도에 있어서, 예를 들어 시계 방향의 나선상의 권회 방향으로 권회됨으로써, 나선관 형상의 선행 나선관부(9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는, 기설관(1)에 있어서의 발진 맨홀(4)측(도 19에 있어서 우측)의 단부로부터 기설관(1)의 내주면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권회 방향의 선단부로부터 미제관의 후속 띠부(92)가 이어진다. 후속 띠부(92)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내부 및 발진 맨홀(4)의 내부로 통과되어 있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는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동일 도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띠상 부재(90)의 띠 본체(90a)의 재질은,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이다. 띠상 부재(90)의 이측(외주측, 도 23에 있어서 하측)에 보강 띠재(96)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띠재(96)는 강판 등의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띠 본체(90a)와 보강 띠재(96)의 외주측의 면(도 23에 있어서 하면)은 서로 편평하게 되어 있지만, 보강 띠재(96)가 띠 본체(90a)보다도 외주측(도 23에 있어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보강 띠재(96)가 생략되어 있어도 된다. 평판 형상의 보강 띠재가 수지제의 띠 본체(90a)에 매립되어 있어도 된다.
띠상 부재(90)의 폭 방향의 일방측(도 23에 있어서 좌측)의 테두리부에, 오목홈상의 제1 감합부(93)가 형성되어 있다. 띠상 부재(90)의 폭 방향의 타방측(도 23에 있어서 우측)의 테두리부에, 볼록조상의 제2 감합부(94)가 형성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 나아가서는 갱생관(9)(도 26의 (a))에 있어서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의 감합부(93, 94)끼리 서로 요철 감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의 연신 방향(ED)의 선단부(91e)(도 19에 있어서 좌측 단부)에 제관 장치(3J)가 배치되어 있다. 제관 장치(3J)는, 선행 나선관부(91)의 권회 방향(도 20에 있어서 시계 방향)을 따라서 추진(자주)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J)의 추진 전후 방향(LD)(도 21에 있어서 상방)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WD)(도 21에 있어서 좌우 방향)은 기설관(1), 나아가서는 선행 나선관부(91)의 관축을 대략 따르고 있다. 엄밀하게는 장치 폭 방향(WD)은, 상기 관축에 대하여 선행 나선관부(91)의 리드각의 분만큼 기울어져 있다. 제관 장치(3J)에 의해 띠상 부재(90)로부터 갱생관(9)이 제관된다.
제관 장치(3J) 내에 감합 위치(9p)가 설정되어 있다. 감합 위치(9p)에 있어서, 선행 나선관부(91)의 제1 감합부(93)와, 후속 띠부(92)의 제2 감합부(94)의 상기 요철 감합(접합)이 행해지고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J)는, 이점 쇄선으로 간략적으로 나타내는 장치 프레임(30)과, 구동부(10)와, 관단 가이드(20)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프레임(30)에 구동부(10) 및 관단 가이드(20)가 지지되어 있다.
구동부(10)는 감합 위치(9p)에 대하여, 제관 장치(3J)의 추진 전방(도 22에 있어서 좌측)이면서, 또한 장치 높이 방향(HD)의 헤드부측(내주측, 도 22에 있어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10)는 한 쌍의 구동 롤러(13, 13)를 포함한다. 구동 롤러(13)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도 22에 있어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해 있다. 한 쌍의 구동 롤러(13, 13)에 의해, 후속 띠부(92)가 내주측(표측)과 외주측(이측)로부터 끼움 부착되어 있다. 적어도 한쪽의 구동 롤러(13)에 모터 등의 회전 구동 기구(도시 생략)가 접속되어 있다. 회전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 롤러(13)가 자축 둘레로 회전 구동된다. 구동 롤러(13)의 회전 방향은, 후속 띠부(92)를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측으로부터 선행 나선관부(91) 상의 감합 위치(9p)를 향해,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 방향, 나아가서는 장치 높이 방향(HD)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압입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10)보다도 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외주측)에 관단 가이드(20)가 설치되어 있다. 관단 가이드(20)는 2개(복수)의 가이드 유닛(60, 70)을 포함한다. 2개의 가이드 유닛(60, 70)은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유닛(60, 70)끼리의 사이에 감합 위치(9p)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감합 위치(9p)가 어느 가이드 유닛(60, 70) 내에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진 전방측의 전방측 가이드 유닛(60)은 지지판(61)과, 전방측 가이드부(63)와, 전방측 이너 롤러(65)를 포함한다. 지지판(61)은 장치 폭 방향(WD)(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과 직교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도 22에 있어서 상측)이면서 또한 선행 나선관부(91)보다도 연신 방향의 선단측(도 21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61)의 중앙부에 전방측 회전축(62)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 회전축(62)의 축선은 제관 폭 방향(WD)(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향해 있다.
지지판(61)의 외주측(도 22에 있어서 하측)의 단부에, 전방측 가이드부(63)가 연결되어 있다. 전방측 가이드부(63)는 선행 나선관부(91)로 외주측(도 22에 있어서 하측)으로부터 대어져있다. 전방측 가이드부(63)와 지지판(61)이 서로 일체가 되어,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전방측 회전축(6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전방측 가이드부(63)는 전방측 가이드 본체(63a)와 전동체(63c, 63d)를 갖고 있다. 전방측 가이드 본체(63a)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전방측 가이드 본체(63a)의 두께(도 22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전후 방향(도 22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작고, 폭 방향(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의 치수보다 충분히 작다. 편평한 전방측 가이드 본체(63a)가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를 따르게 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전방측 가이드 본체(63a)에는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계지부가 띠상 부재(90)의 홈부(95b)(도 24)에 계지되어 있다.
전방측 가이드 본체(63a)에 전동체(63c, 63d)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전동체(63c)는 전방측 가이드 본체(63a)로부터 내주측(도 22에 있어서 상측)으로 조금 돌출되고,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면에 접해 있다. 내측 전동체(63c)의 축선은 제관 폭 방향(WD)(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향해 있다. 내측 전동체(63c)는 자축 둘레로 종동 회전 가능, 나아가서는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면을 따라서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측 전동체(63d)는 전방측 가이드 본체(63a)로부터 외주측(도 22에 있어서 하측)으로 조금 돌출되고, 기설관(1)의 내주면에 접해 있다. 외측 전동체(63d)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향해 있다. 외측 전동체(63d)는 자축 둘레로 종동 회전 가능, 나아가서는 기설관(1)의 내주면을 따라서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측 가이드 본체(63a)는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면에도 기설관(1)의 내주면에도 접해 있지 않다.
지지판(61)의 추진 전방측(도 22에 있어서 좌측 방향)에는, 연결 부재(61b)를 통해, 전방측 이너 롤러(65)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 이너 롤러(65)가 선행 나선관부(91)로 내주측(도 22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대어져있다. 전방측 가이드부(63)와 전방측 이너 롤러(65) 사이에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가 끼워져 있다. 전방측 이너 롤러(65)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향해 있다. 전방측 이너 롤러(65)는 자축 둘레로 종동 회전 가능, 나아가서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면을 따라서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방측 이너 롤러(65)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외 방향(도 22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추진 후방측의 후방측 가이드 유닛(70)은 지지판(71)과, 후방측 가이드부(73)와, 후방측 이너 롤러(75)를 포함한다. 지지판(71)은 장치 폭 방향(WD)(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과 직교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도 22에 있어서 상측)이면서 또한 선행 나선관부(91)보다도 연신 방향의 선단측(도 21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71)의 중앙부에 긴 구멍(71d)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71d)은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외 방향 내지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긴 구멍(71d)에 후방측 회전축(72)(회전축)이 통과된다. 후방측 회전축(72)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향해 있다. 지지판(71)이 후방측 회전축(72)을 통해 장치 프레임(30)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판(71)의 외주측(도 22에 있어서 하측)의 단부에, 후방측 가이드부(73)가 연결되어 있다. 후방측 가이드부(73)는 선행 나선관부(91)에 외주측으로부터 대어져있다. 후방측 가이드부(73)와 지지판(71)이 서로 일체가 되어,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후방측 회전축(7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후방측 가이드부(73)는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긴 구멍(71d)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방측 가이드부(73)는 후방측 가이드 본체(73a)(가이드 본체)와 전동체(73c, 73d)를 갖고 있다. 후방측 가이드 본체(73a)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후방측 가이드 본체(73a)의 두께(도 22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전후 방향(도 22의 좌우 방향)의 치수보다 작고, 폭 방향(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의 치수보다 충분히 작다. 편평한 후방측 가이드 본체(73a)가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를 따르게 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 가이드 본체(73a)에는 계지부(73f)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부(73f)는 띠상 부재(90)의 홈부(95b)에 계지됨으로써, 띠상 부재(9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규제됨과 함께, 띠상 부재(90)의 성장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 가이드 본체(73a)에 전동체(73c, 73d)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전동체(73c)는 후방측 가이드 본체(73a)로부터 내주측(도 22에 있어서 상측)으로 조금 돌출되고,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면에 접해 있다. 내측 전동체(73c)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향해 있다. 내측 전동체(73c)는 자축 둘레로 종동 회전 가능, 나아가서는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면을 따라서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외측 전동체(73d)는 후방측 가이드 본체(73a)로부터 외주측(도 22에 있어서 하측)으로 조금 돌출되고, 기설관(1)의 내주면에 접해 있다. 외측 전동체(73d)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향해 있다. 외측 전동체(73d)는 자축 둘레로 종동 회전 가능, 나아가서는 기설관(1)의 내주면을 따라서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방측 가이드 본체(73a)는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면에도 기설관(1)의 내주면에도 접해 있지 않다.
지지판(71)의 추진 후방측(도 22에 있어서 우측 방향)에는, 연결 부재(71b)를 통해, 후방측 이너 롤러(75)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 이너 롤러(75)가 선행 나선관부(91)에 내주측(도 22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대어져있다. 후방측 가이드부(73)와 후방측 이너 롤러(75) 사이에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가 끼워져 있다. 후방측 이너 롤러(75)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향해 있다. 후방측 이너 롤러(75)는 자축 둘레로 종동 회전 가능, 나아가서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면을 따라서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방측 이너 롤러(75)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외 방향(도 22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71)에는, 연결 부재(71c)를 통해 선도 롤러(41)(작용부)가 설치되어 있다. 선도 롤러(41)는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추진 방향의 전방측(도 22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선도 롤러(41)는 선행 나선관부(91)의 관축 방향을 따라서 관단부(91e)보다도 선단측(도 21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선도 롤러(41)가 기설관(1)의 내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선도 롤러(41)의 중심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도 22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향해 있다. 선도 롤러(41)는 자축 둘레로 종동 회전(자전) 가능, 나아가서는 기설관(1)의 내주면을 따라서 전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선도 롤러(41)는 지지판(71) 및 후방측 가이드부(73)와 일체적으로, 장치 프레임(30)에 대하여 후방측 회전축(72) 둘레로 회전(공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관 장치(3J)에 의해, 다음과 같이 하여 갱생관(9)이 제관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설관(1)의 내주면을 따라서 선행 나선관부(91)가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띠상 부재(90)(후속 띠부(92))를 발진 맨홀(4)로부터 선행 나선관부(91)의 내부를 거쳐,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의 제관 장치(3J)에 도입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10)의 구동 롤러(13)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후속 띠부(92)를 감합 위치(9p)를 향해 압입한다. 압입 방향은 선행 나선관부(9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향해진다. 이에 따라서, 선행 나선관부(91)가 가이드부(63, 73)에 압박된다. 그의 반작용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가이드부(63, 73)와의 접촉부에 각각 수직 항력이 작용한다. 이 수직 항력과 상기 압입의 직경 방향 분력에 의해, 감합 위치(9p)에 있어서, 후속 띠부(92)의 제2 감합부(94)와 선행 나선관부(91)의 제1 감합부(93)끼리가 감합된다(도 24).
또한, 이너 롤러(65, 75)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를 내주측(도 22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억제함으로써, 감합부(93, 94)끼리의 감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압입의 둘레 방향 분력을 추진 반력으로 하여, 제관 장치(3J)가, 선행 나선관부(91)의 권회 방향의 전방(도 22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추진된다. 이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를 연신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갱생관(9)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부(63, 73)를 편평 형상으로 하여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선행 나선관부(91)의 기설관(1)의 내주면으로부터의 이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관 장치(3J)에 의하면, 내주 규제체가 없어도, 구동부(10)와 가이드부(63, 73)의 협동 작용에 의해 갱생관(9)을 제관할 수 있다. 내주 규제체를 생략함으로써, 기설관(1)이 비원형 단면이어도 그 내주면을 따라서 갱생관(9)을 용이하게 제관할 수 있다. 선행 나선관부(91)를, 구동부(10)와 전후 2개의 가이드부(63, 73)의 적어도 3개의 개소에 있어서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제관할 수 있다.
도 2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관 장치(3J)가 바닥측 둘레면부(1b)로부터 상측 둘레면부(1a)로 이행할 때는, 우선, 전방측 가이드 유닛(60)이 코너부(1c)를 거쳐 상측 둘레면부(1a)를 향한다. 뒤늦게, 후방측 가이드 유닛(70)이 바닥측 둘레면부(1b)로부터 코너부(1c)에 진입한다.
도 2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부(1c)에 있어서는, 구부러짐이 급하기 때문에, 선행 나선관부(91)가 기설관(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후방측 가이드부(73)는 코너부(1c)의 내주면으로부터 부상한다.
드디어, 도 2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도 롤러(41)가 기설관(1)의 상측 둘레면부(1a) 또는 코너부(1c)의 내주면에 닿는다. 이 때,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전후 방향은, 선도 롤러(41)와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기설관(1)의 내주면의 접선(L1c)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
그 후, 제관 장치(3J)의 추진에 따라, 선도 롤러(41)가 상측 둘레면부(1a)의 내주면을 따라서 안내되고,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전후 방향이 상측 둘레면부(1a)의 접선 방향으로 점근된다. 그리고, 도 25의 (d)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 가이드부(73)가 상측 둘레면부(1a)에 원활하게 착지된다.
이와 같이, 제관 장치(3J)에 의하면,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전방에 선도 롤러(41)를 선행시킴으로써, 후방측 가이드부(73)를 전방의 기설관(1)의 내주면에 따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추진 방향을 따라서 기설관(1)의 곡률 변화나 각도 변화가 있어도, 후방측 가이드부(73)가 추진 방향의 하류측의 둘레면부에 비스듬하게 맞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25의 (d)의 이점 쇄선의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제관 장치(3J)를 원활하게 추진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갱생관(9)의 제관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후방측 회전축(72)이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에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후방측 가이드부(73)의 회전 기구를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측에 여유를 가지고 배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후방측 가이드부(73)의 회전 기구를 선행 나선관부(91)와 기설관(1) 사이에 배치할 필요가 없어, 선행 나선관부(91)와 기설관(1) 사이의 간극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제11 실시 형태>
도 27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1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K)에 있어서는, 선도 롤러(42)(작용부)가 선행 나선관부(91)보다 내주측(도 27에 있어서 상측)에 배치되고,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관 장치(3K)가 바닥측 둘레면부(1b)로부터 상측 둘레면부(1a)로 이행할 때는, 제10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우선, 전방측 가이드 유닛(60)이 코너부(1c)를 거쳐 상측 둘레면부(1a)를 향한다. 뒤늦게, 후방측 가이드 유닛(70)이 바닥측 둘레면부(1b)로부터 코너부(1c)로 진입한다. 후방측 가이드 유닛(70)에 있어서의 선도 롤러(42)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내주면을 따라서 안내된다.
도 2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부(1c)에 있어서는, 구부러짐이 급하기 때문에, 선행 나선관부(91)가 기설관(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후방측 가이드부(73)는 코너부(1c)의 내주면으로부터 부상한다. 이 때, 선도 롤러(42)의 안내 작용에 의해, 후방측 가이드부(73)는 코너부(1c)에 있어서의 선행 나선관부(91)의 접선 방향을 거의 따르는 자세로 유지된다.
도 2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후방측 가이드 유닛(70)이 코너부(1c)로부터 상측 둘레면부(1a)로 이행하는 것에 따라, 선행 나선관부(91)가 기설관(1)에 점근하는 것과 함께, 후방측 가이드부(73)가 기설관(1)에 점근된다. 또한, 선도 롤러(42)의 선도에 의해,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전후 방향이 기설관(1)의 내주면의 접선 방향으로 점근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부(73)가 기설관(1)의 내주면에 원활하게 착지된다.
<제12 실시 형태>
도 30 내지 도 3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2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L)에 있어서는, 작용부로서 압축 코일 스프링(50)(부세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도 3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71)에는, 복수(도면에서는 2개)의 원호 구멍(71g)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원호 구멍(71g)은 후방측 회전축(72)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원호 구멍(71g)은 상기 동심원을 따르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원호 구멍(71g)에 축상의 스프링 받침 부재(46)가 통과되어 있다. 스프링 받침 부재(46)는 장치 프레임(30)의 원판 형상의 가이드 지지부(3g)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지지부(3g)의 중앙부에 후방측 회전축(72)이 설치되어 있다.
각 원호 구멍(71g)에 압축 코일 스프링(50)이 수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50)의 일단부가 원호 구멍(71g)의 일단부측의 테두리에 맞부딪혀 있다. 코일 스프링(50)의 타단부가 스프링 받침 부재(46)에 맞부딪혀 있다.
도 3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추진 방향의 전단부(동일 도에 있어서 좌측 단부)가 외주측(동일 도에 있어서 하측)을 향해 경사졌을 때는, 스프링 받침 부재(46)가 원호 구멍(71g) 내를 상대 슬라이드됨으로써, 코일 스프링(50)이 압축된다. 이에 의해, 코일 스프링(50)이 지지판(71), 나아가서는 후방측 가이드부(73)를 도 31의 (b)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부세한다. 즉, 후방측 회전축(72)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전단부(도 31에 있어서 좌측 단부)가 내주측(동일 도에 있어서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 부세한다.
이에 의해,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전단부가 선행 나선관부(91)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률이 큰 코너부(1c)에 있어서도,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전단부가 선행 나선관부(91)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후방측 가이드부(73)가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면을 상시로 따르게 된다. 따라서, 후방측 가이드부(73)가 기설관(1)의 내주면에 비스듬하게 맞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관 장치(3L)를 원활하게 추진시킬 수 있다.
<제13 실시 형태>
도 3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1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작용부로서 코일 스프링(50) 대신에 비틀림 스프링(51)(부세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비틀림 스프링(51)은 비틀림 스프링부(51a)와 한 쌍의 스프링 단부(51b, 51c)를 갖고 있다. 비틀림 스프링부(51a)가 후방측 회전축(72)에 감겨 있다. 한쪽의 스프링 단부(51b)는 하나의 스프링 받침 부재(46)에 계지되고, 나아가서는 장치 프레임(30)에 계지되어 있다. 다른 쪽의 스프링 단부(51c)는 지지판(71)에 계지되어 있다.
도 3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추진 방향의 전단부(동일 도에 있어서 좌측 단부)가 외주측(동일 도에 있어서 하측)을 향해 경사졌을 때는, 스프링 받침 부재(46)가 원호 구멍(71g) 내를 상대 슬라이드됨으로써, 비틀림 스프링부(51a)가 비틀림으로써, 비틀림 스프링(51)이 지지판(71), 나아가서는 후방측 가이드부(73)를 도 33의 (b)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부세한다. 즉, 후방측 회전축(72)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전단부(도 33에 있어서 좌측 단부)가 내주측(동일 도에 있어서 상측)을 향하도록 회전 부세한다. 이에 의해, 후방측 가이드부(73)의 전단부가 선행 나선관부(91)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후방측 가이드부(73)가 선행 나선관부(91)의 외주면을 상시로 따르게 된다. 따라서, 후방측 가이드부(73)가 기설관(1)의 내주면에 비스듬하게 맞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관 장치(3M)를 원활하게 추진시킬 수 있다.
<제14 실시 형태>
도 34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4는, 노화된 기설관(1)을 갱생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기설관(1)으로서는, 하수도관, 상수도관, 농업용수관, 수력 발전용 도수관, 가스관 등을 들 수 있다. 기설관(1)의 내벽에 갱생관(9)(나선관)이 라이닝된다. 갱생관(9)은 긴 띠상 부재(90)에 의해 구성되고, 나선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는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동일 도의 지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띠상 부재(90)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제 띠 본체(90a)와, 강철 등의 금속제 보강 띠재(96)를 구비하고 있다.
띠 본체(90a)의 표측면(갱생관(9)이 되었을 때 내주측으로 향하는 면, 도 38에 있어서 상면)은 평탄하게 되어 있다.
띠 본체(90a)의 이측부(갱생관(9)이 되었을 때 외주측으로 향하는 측부, 도 38에 있어서 하측부)에 보강 띠재(96)가 설치되어 있다. 띠상 부재(90)의 이측부에는, 띠 본체(90a)의 리브(95)나 보강 띠재(96)에 의해 안내 홈(95b)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홈(95b)은 띠상 부재(9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의 폭 방향의 일방측(도 38에 있어서 좌측)의 테두리부에는, 오목형의 제1 감합부(93)가 형성되어 있다. 띠상 부재(90)의 폭 방향의 타방측(도 38에 있어서 우측)의 테두리부에는, 볼록형의 제2 감합부(9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관 도중의 띠상 부재(90)는, 선행하여 제관 완료된 선행 나선관부(91)와, 이것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92)를 포함한다.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행 나선관부(91), 나아가서는 갱생관(9)에 있어서는, 띠상 부재(90)가 기설관(1)의 내주를 따라서 나선상의 권회 방향으로 감기고, 또한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의 감합부(93, 94)끼리가 요철 감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관축을 따라서 연신되어가는 연신 방향(ED)의 전단부(도 34에 있어서 좌측 단부)의 약 일주 부분을 「관단부(91e)」라고 칭한다.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 상에 제관 장치(3N)가 배치되어 있다.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속 띠부(92)가 제관 장치(3N)에 도입됨과 함께, 관단부(91e)의 둘레 방향의 최단부와 연속되어 있다.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속하는 바로 근처의 후속 띠부(92)의 폭 방향, 및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띠상 부재(90)의 폭 방향은, 각각 연신 방향(ED)을 거의 따르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감합부(93)가 연신 전방(동일 도에 있어서 좌측 방향)으로 향해지며, 제2 감합부(94)가 연신 후방(동일 도에 있어서 우측 방향)으로 향해 있다.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N)는 관단 해방형의 제관 장치이다. 즉, 제관 장치(3N)는, 관단부(9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당해 제관 장치(3N)의 배치 부분 이외의 부분을 제관 장치(3N)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한다. 따라서, 제관 장치(3N)는 비내주 규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의 단면(형상, 둘레 길이, 직경)을 내주측으로부터 규제하는 내주 규제체를 갖지 않는다. 관단부(91e)가 내주측으로 해방된 상태에서, 제관이 행해진다.
상세하게는, 도 35 및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N)는 장치 프레임(30)(도 35에 있어서 이점 쇄선에 의해 모식적으로 도시)과, 구동부(10)와, 관단 가이드부(80)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프레임(30)이 관단부(91e)에 배치된다.
도 34 및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30), 나아가서는 제관 장치(3N)의 추진 전후 방향(LD)은, 상기 나선상의 권회 방향을 따르고 있다. 장치 프레임(30), 나아가서는 제관 장치(3N)의 폭 방향(WD)은 상기 권회 방향과 직교되고, 나선관(9)의 관축을 거의 따르고 있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30), 나아가서는 제관 장치(3N)의 높이 방향(HD)은, 장치 폭 방향(WD) 및 추진 전후 방향(LD)과 직교하고, 나선관(9)의 관 내외 방향(직경 방향)으로 향해 있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30)에 있어서의 추진 전방측(도 35에 있어서 좌측)이면서 또한 장치 높이 방향(HD)의 정상부측(도 35에 있어서 상측)의 부분에, 구동부(10)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구동부(10)는 2대의 구동 롤러(11) 외에도, 구동 모터 및 동력 전달 기구(기어 등)를 포함한다.
구동부(10)는 장치 프레임(30)의 하우징(31)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구동 롤러(11)는 2쌍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1쌍이어도 되고, 3쌍 이상이어도 된다.
각 구동 롤러(11)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도 35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향해 있다.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가, 기어 등의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각 구동 롤러(11)에 접속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구동 롤러(11, 11) 사이에 후속 띠부(92)가 끼워져 있다. 구동부(10)는 후속 띠부(92)에 대하여, 추진 후방측(도 35에 있어서 우측)이면서 또한 장치 높이 방향(HD)의 기부측(도 35에 있어서 하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압출력을 부여한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30)의 기부(도 35에 있어서 하측부)는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연장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30)의 기부에 있어서의 추진 전방측(도 35에 있어서 좌측)의 부분에 협지 가이드부(81)(전방측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 가이드부(81)는 구동부(10)에 대하여, 연신 후방(도 37에 있어서 상측)으로 1 피치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 가이드부(81)는 플레이트 형상의 수용부(81a)(수용부, 외주 가이드 부재)와 누름 부재(81d)(누름부, 내주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수용부(81a)는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관단부(91e)에 외주측(이측)로부터 계지되어 있다. 수용부(81a)에는, 띠상 부재(90)의 안내 홈(95b)에 계지되는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81a)는 선행 나선관부(91)의 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부(81a)의 전후 양측부에는, 롤러(81c)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81c)가 기설관(1)의 내주에 접하여 전동된다.
누름 부재(81d)는 관단부(91e)의 내주측(표측)에 배치되고, 관단부(91e)를 내주측으로부터 누르고 있다. 누름 부재(81d)는 관단부(91e)를 사이에 두고 수용부(81a)와 대향하고 있다. 누름 부재(81d)와 수용부(81a) 사이에 관단부(91e)가 끼워져 있다. 나아가서는, 협지 가이드부(81)가 관단부(91e)를 외주측 및 내주측으로부터 끼움 부착한다.
제관 장치(3N)의 추진에 따라, 협지 가이드부(81)와 선행 나선관부(91) 사이에 마찰 저항이 발생한다.
도 35 및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30)에 있어서의 협지 가이드부(81)로부터 추진 후방(도 35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측 가이드부(83)가 설치되어 있다. 이측 가이드부(83)는, 장치 높이 방향(HD)에 있어서의 구동부(10)로부터 기부측(도 35에 있어서 하측부)이면서 또한 구동부(10)로부터 추진 후방(도 35에 있어서 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이측 가이드부(83)가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관단부(91e)를 외주측(도 39에 있어서 하측)으로부터 가이드되어 있다. 이측 가이드부(83)에는, 계지부(83f)가 설치되어 있다. 계지부(83f)가 관단부(91e)의 안내 홈(95b)에 외주측으로부터 계지되어 있다. 계지부(83f)는 안내 홈(95b)의 길이 방향 (도 39의 지면 직교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이측 가이드부(83)가 관단부(91e)의 둘레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측 가이드부(83)의 전후 양측부에는, 롤러(83c)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83c)가 기설관(1)의 내주에 접하여 전동된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30)의 기부(도 35에 있어서 하측부)에 있어서의 이측 가이드부(83)로부터 추진 후방(도 35에 있어서 우측)에, 표측 가이드부(82)가 설치되어 있다.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측 가이드부(82)는 원주상 롤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측 가이드부(82)의 축선은 장치 폭 방향(WD)을 향해 있다. 표측 가이드부(82)는, 선행 나선관부(91)에 있어서의 관단부(91e)로부터 그의 일주 선행 부분(91b)에 약간 걸쳐, 선행 나선관부(91)를 내주측(도 40에 있어서 상측)으로부터 가이드한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측 가이드부(83)와 표측 가이드부(82)는,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조금 어긋나 있다. 적어도, 이측 가이드부(83)에 있어서의 추진 전후 방향(LD)의 중앙부와, 표측 가이드부(82)의 중심부가, 추진 전후 방향(LD)으로 어긋나 있다. 이측 가이드부(83)와 표측 가이드부(82) 사이에는, 가이드 간극간(84)이 설정되어 있다.
후속 띠부(92)가 구동부(10)로부터 가이드 간극간(84)을 향해 압출되도록, 구동부(10)의 장치 프레임(30)에 대한 위치(각도를 포함함)가 조정되어 있다.
제관 장치(3N)에 의해, 다음과 같이 하여 갱생관(9)(나선관)이 제관되고, 기설관(1)이 갱생된다.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설관(1) 내에 선행 나선관부(91)가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띠상 부재(90)의 후속 띠부(92)는, 지상(地上)의 권회 드럼(5)으로부터 맨홀(4)을 거쳐, 선행 나선관부(91)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관 장치(3N)의 구동부(10)에 도입되어 있다.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11)의 회전 구동에 의해, 후속 띠부(92)를, 구동부(10)로부터 가이드 간극간(84)을 향해 비스듬하게 압출한다(압출 공정).
이에 의해, 도 39 내지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간극간(84)의 감합 위치(9q)에 있어서, 후속 띠부(92)의 테두리의 제2 감합부(94)와, 선행 나선관부(91)의 1주 선행하는 대향 테두리의 제1 감합부(93)가 감합된다(감합 공정). 이 때, 전후의 수용부(81a, 83)가, 선행 나선관부(91)를 외주측으로부터 유지함으로써, 상기 감합력을 받는다. 또한, 표측 가이드부(82)가, 가이드 간극간(84)을 통과 후의 선행 나선관부(91)를 내주측으로부터 누름으로써, 상기 감합부(93, 94)끼리를 한층 확실하게 감합할 수 있어, 감합이 불충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합에 의해, 추진 반력이 발생하여, 제관 장치(3N)가 나선상의 권회 방향을 따라서 도 36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추진된다(추진 공정). 이에 의해, 제관 장치(3N)를 자주시키면서, 기설관(1)의 내면을 따라서 갱생관(9)을 제관할 수 있다.
관단 가이드(80)가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의 권회 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전동 가능하게 계합됨으로써, 제관 장치(3N)을 상기 권회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관 장치(3N)에 의하면, 기설관(1)의 단면 변화 등에 따라서, 구동부(10)에 의한 후속 띠부(92)의 압입력을 조절함으로써, 제관 직경을 확축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입력은, 협지 가이드부(81)에 의한 선행 나선관부(91)의 끼움 부착력(저항력)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경 제관하고자 할 때에는, 협지 가이드부(81)에 의한 선행 나선관부(91)의 끼움 부착력을 강하게 한다. 그러면, 제관 장치(3N)의 추진 저항이 높아지고, 후속 띠부(92)의 반송량에 비해 제관 장치(3N)의 추진량이 작아지기 때문에, 구동부(10)에 의한 후속 띠부(92)의 압입력이 높아진다. 이 압입력에 의해, 가이드 간극간(84)에 있어서의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 및 후속 띠부(92)의 감합부(93, 94)끼리가 감합된다. 게다가, 도 35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간극간(84)에 있어서는,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 및 후속 띠부(92)가 이측 가이드부(83)에 방해되는 일없이 외주측으로 변위할 수 있다.
요컨대, 가이드 간극간(84)에 있어서,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 및 후속 띠부(92)의 감합부(93, 94)끼리가 외주측으로 변위되면서 감합된다. 이에 의해, 갱생관(9)을 확실하게 확경 제관할 수 있다. 확경 제관 시에는, 강한 압입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감합 제관할 수 있다.
한편, 축경 제관하려고 할 때는, 협지 가이드부(81)에 의한 선행 나선관부(91)의 끼움 부착력을 약화시킨다. 이에 의해, 제관 장치(3N)의 추진 저항이 저하되고, 구동부(10)에 의한 후속 띠부(92)의 압입력이 낮아진다. 그러면, 도 35의 3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상 부재(90)의 제관 시의 축경성(나선상으로 권회하면 축경하려고 하는 성질)에 의해, 가이드 간극간(84)에 있어서의 선행 나선관부(91)의 관단부(91e) 및 후속 띠부(92)가 내주측으로 변위되어, 표측 가이드부(82)에 눌러진다. 이 때, 이측 가이드부(83)의 추진 후방측의 모서리부와, 표측 가이드부(82)에 의해 관단부(91e) 및 후속 띠부(92)가 끼움 부착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감합부(93, 94)끼리를 안정적으로 감합할 수 있어, 갱생관(9)을 확실하게 축경 제관할 수 있다.
이 결과, 확축 직경 제어와 감합의 안정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제15 실시 형태>
도 41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5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X)에 있어서의 구동부(10)는, 각도 조절 기구(31a)(위치 조절 기구)를 통해 장치 프레임(30)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부(10)가 장치 프레임(30) 또는 가이드부(83, 82)에 대하여 회전 축선(31c) 둘레로 각도 조절 가능(위치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 축선(31c)은 장치 폭 방향(WD)(도 41에 있어서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고 있다.
회전 축선(31c)은, 예를 들어 구동부(10)에 있어서의 관단 가이드(80)를 향하는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축선(31c)은 구동부(1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회전 축선(31c)이 구동부(10)로부터 가이드부(82, 83)까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가이드부(82, 83) 근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도 46 참조).
각도 조절 기구(31a)가, 각도 조절 후의 구동부(10)를 장치 프레임(30)에 위치 고정하는 볼트나 로크 기구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42 및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관 장치(3X)에 의하면, 구동부(10)를 각도 조절 기구(31a)에 의해 각도 조절(위치 조절)함으로써, 제관 직경을 확축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경 제관하고자 할 때는, 도 42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10)를 동일 도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변위하게 각도 조절한다. 그러면, 후속 띠부(92)의 압출 각도(α92)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10)로부터 후속 띠부(92)에 가해지는 힘 F0 중 외주측(도 42에 있어서 하측)으로의 힘 성분 F1이 커지게 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간극간(84)에 있어서, 후속 띠부(92)를 선행 나선관부(91)에 강하게 압입할 수 있다. 이 강한 압입력에 의해, 선행 나선관부(91) 및 후속 띠부(92)의 감합부(93, 94)끼리를 안정적으로 감합할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 간극간(84)에 있어서의 선행 나선관부(91) 및 후속 띠부(92)는, 이측 가이드부(83)에 방해되는 일없이 외주측으로 변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갱생관(9)을 확경 제관할 수 있다.
또한, 도 42의 이점 쇄선은, 구동부(10)가 중간 각도에 있는 상태(도 41)를 나타낸다.
축경 제관하고자 할 때는, 도 43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10)를 동일 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변위하게 각도 조절한다. 그러면, 후속 띠부(92)의 압출 각도(α92)가 작아진다. 이 때문에, 후속 띠부(92)를 외주측(도 43에 있어서 하측)으로 누르는 힘 성분 F1이 약해지고, 띠상 부재(90)의 축경성에 의해, 후속 띠부(92)가 표측 가이드부(82)에 눌러진다. 이 결과, 선행 나선관부(91) 및 후속 띠부(92)의 감합부(93, 94)끼리를 감합할 수 있어, 갱생관(9)을 안정적으로 축경 제관할 수 있다.
또한, 도 43의 이점 쇄선은, 구동부(10)가 중간 각도에 있는 상태(도 41)를 나타낸다.
<제16 실시 형태>
도 44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16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P)에 있어서는, 표측 가이드부(82)가 제14, 제15 실시 형태(도 34, 도 41)보다도 장치 높이 방향(HD)의 정상부측(도 44에 있어서 상측), 즉 갱생관(9)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간극간(84)이 제14, 제15 실시 형태보다도 장치 높이 방향(HD)으로 크게 개방되어 있다.
후속 띠부(92)가 선행 나선관부(91)와 감합되는 위치(9q)는, 갱생관(9)의 관 직경, 후속 띠부(92)의 권취 불량, 띠상 부재(90)의 경도 등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제관 장치(3P)에 있어서는, 가이드 간극간(84)을 크게 함으로써, 후속 띠부(92)의 통로에 어느 정도의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도 44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속 띠부(92)의 통로에 따라서는, 감합 위치(9q)가, 가이드 간극간(84) 내가 아니라, 표측 가이드부(82)보다도 추진 후방측(도 44에 있어서 우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축경 제관 시에는, 후속 띠부(92)의 압출 각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감합 위치(9q)가 표측 가이드부(82)보다도 추진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7 실시 형태>
도 45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17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Q)에 있어서는, 표측 가이드부(82)가 제14, 제15 실시 형태(도 34, 도 41)보다도 장치 높이 방향(HD)의 정상부측(도 45에 있어서 상측)이면서, 또한 제14, 제15 실시 형태(도 34, 도 41)보다도 추진 후방측(도 45에 있어서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간극간(84)이 제14, 제15 실시 형태보다도 장치 높이 방향(HD) 및 추진 방향(LD)으로 크게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후속 띠부(92)의 통로에 충분한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도 45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속 띠부(92)의 통로에 따라서는, 감합 위치(9q)가 표측 가이드부(82)보다도 추진 후방측(도 45에 있어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은, 제16 실시 형태(도 44)와 동일하다.
각도 조절 기구(31a)(위치 조절 기구)의 회전 축선(31c)의 위치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제18 실시 형태>
도 46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18 실시 형태의 제관 장치(3R)에 있어서는, 회전 축선(31c)이 제15 실시 형태보다도 가이드부(82, 83)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각도 조절 기구(31a)(위치 조절 기구)가 아암(31b)을 갖고 있다. 아암(31b)이, 구동부(10)로부터 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도 46에 있어서 하측)이면서 또한 추진 후방측(도 46에 있어서 우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나와 있다. 아암(31b)의 선단에 회전 축선(31c)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 축선(31c)을 장치 높이 방향(HD)의 바닥부측에 배치함으로써, 장치 프레임(30)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개변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관 장치는, 기설관(1)을 갱생하기 위한 갱생관(9)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나선관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관 장치는, 주상체 등의 관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나선관을 제관하는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보강 띠재(96)를 생략해도 된다. 리브(90b)가 감합부(93, 94)보다도 외주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돌출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띠상 부재(90)가 감합부(93, 94)보다도 외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지 않아도 된다. 가이드부(21, 22)의 배치 개소에 있어서는, 후속 띠부(92)를 기설관(1)으로부터 조금 분리하여, 가이드부(21, 22)의 개재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수용부(21a, 22a)를 편평한 박판상으로 함으로써, 후속 띠부(92)의 상기 분리량을 작게 할 수 있다.
후방측 가이드부(22)가 감합 위치(9p)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후방측 가이드부(22)가 전방측 가이드부(21)와 감합 위치(9p)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관단 가이드(20)가 단일의 가이드부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전방측 가이드부(21)와 후방측 가이드부(22)가 서로 연결되고, 하나의 가이드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가이드부는 감합 위치(9p)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부(21, 22)가 가이드 롤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가이드부는 롤러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롤러상의 가이드부의 직경분의 높이나 회전축을 배치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가이드부(21, 22)의 내주측(도 3, 8에 있어서 상측)에 각각 협지 롤러를 설치하고, 가이드부(21, 22)와 상기 협지 롤러 사이에 띠상 부재(90) 또는 선행 나선관부(91)를 협지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도 8)에 있어서, 전동체(24, 26)가 전방측 가이드부(21) 및 후방측 가이드부(22)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도 8)에 있어서, 외측 전동체(26)를 생략해도 된다.
복수의 실시 형태를 서로 조합해도 된다.
제10, 제11 실시 형태(도 19 내지 도 29)와, 제12, 제13 실시 형태(도 30 내지 도 33)를 서로 조합해도 된다. 즉, 제관 장치가, 작용부로서 선도 롤러(41 또는 42)와 부세 수단(50 또는 51)의 양쪽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작용부의 부세 수단으로서, 스프링(50, 51)(도 30 내지 도 33) 대신에 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작용부가, 기설관(1)의 내주면의 접선 방향이나 가이드 유닛(70)의 각도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그 검지 각도에 기초하여 가이드 유닛(70)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작용부를 전방측 가이드 유닛(60)에 설치해도 된다.
이너 롤러(65, 75)를 생략해도 된다.
전방측 가이드 유닛(60)과 후방측 가이드 유닛(70)은, 장치 프레임(30)에 직접 설치되어도 되지만, 별도의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장치 프레임(30)에 설치되어도 된다. 띠상 부재(90)의 인접하는 테두리부(감합부(93)와 감합부(94))끼리가, 띠상 부재(90)와는 다른 연결 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제관하기 전에 띠상 부재(90)에 다른 연결 부재를 감합시키고, 그 후, 제관 장치(3)에 공급하면 된다.
제15 내지 제18 실시 형태(도 41 내지 도 46)에 있어서, 위치 조절 기구(31a)에 의해, 구동부(10)가 추진 전후 방향(LD)이나 장치 높이 방향(HD)으로 평행 이동하도록 위치 조절 가능해도 된다.
협지 가이드부(81)와 위치 조절 기구(31a)를 조합하여, 후속 띠부(92)의 압출력을 조절함으로써 확축 제어해도 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하수도관, 농업용수관 등의 기설관을 갱생관의 라이닝에 의해 구성하는 기설관 갱생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ED 연신 방향
LD 추진 전후 방향
HD 장치 높이 방향
WD 장치 폭 방향
1 기설관
3, 3B 내지 3R 제관 장치
9 갱생관(나선관)
9p 감합 위치
10 구동부
13 구동 롤러
20 관단 가이드
21, 22, 25 가이드부
21a, 22a, 25a 수용부
21b, 22b, 25b 계지부
21c, 22c, 25c 회전축
21f, 22f, 25f 각도 유지부
22e 누름부
23 후단 누름부
23G 가동 누름부
24 내측 전동체(전동체)
26 외측 전동체(전동체)
27 누름부 부세 수단
30 장치 프레임
31a 각도 조절 기구(위치 조절 기구)
41, 42 선도 롤러(작용부)
51 비틀림 스프링(작용부, 부세 수단)
60, 70 가이드 유닛
63, 73 가이드부
63d, 73d 외측 전동체
73f 계지부
80 관단 가이드
81 협지 가이드부
81a 수용부
81b 계지부
81d 누름부
82 표측 가이드부
83 이측 가이드부
83f 계지부
84 가이드 간극간
90 띠상 부재
91 선행 나선관부
91e 관단부
92 후속띠2
95b 홈부

Claims (28)

  1. 띠상 부재를 나선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감합시킴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장치로서,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의 관축을 따르는 연신 방향의 선단측의 관단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 상에, 추진 전후 방향을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권회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되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를,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상기 일부분 또는 그 근처를 향해,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내외 방향을 따르는 장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압입하는 구동부와,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장치 높이 방향의 바닥부에 설치되며, 상기 관단부에 대하여, 상기 추진 전후 방향 및 장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으로 구속됨과 함께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되는 관단 가이드
    를 구비하고, 상기 압입력이, 상기 감합을 위한 감합력과 추진 전방으로의 추진력이 되고, 상기 관단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부분을 당해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상 부재에는 연장 방향을 따라서 계지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상기 일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계지 홈부의 홈 개구가 상기 바닥부측으로 향해 있고,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바닥부측으로부터 상기 계지 홈부에 계지되는 계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추진 전후 방향을 따르는 편평 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관단부를 상기 바닥부측으로부터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자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전동체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체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장치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띠상 부재에는, 상기 인접하는 테두리와의 감합부보다도 상기 바닥부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상기 띠상 부재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두께가 상기 돌출부의 상기 감합부로부터의 돌출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관단부에 대하여 상기 장치 폭 방향으로 구속됨과 함께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지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장치 폭 방향을 따르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회전축 둘레로 자유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회전축 둘레의 각도를 유지하는 각도 유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관단부를 상기 바닥부측과는 반대의 표측으로부터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압출된 후속 띠부보다도 상기 연신 방향의 선단측과는 반대의 연신 후방측에 인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압출된 후속 띠부의 추진 후방이면서 또한 상기 관단부보다도 상기 바닥부측과는 반대의 표측에 있어서 상기 장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 누름부와,
    상기 가동 누름부를, 해당 가동 누름부의 가동 방향을 따라서 추진 전방 또는 상기 바닥부측을 향해 부세(付勢)하는 누름부 부세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부와 상기 관단 가이드의 상대 위치가 가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단 가이드가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복수의 가이드부를 가지고,
    각 가이드부가, 상기 관단부에 대하여 상기 장치 폭 방향으로 구속됨과 함께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지되는 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끼리의 상기 장치 폭 방향과 직교하는 면 내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가 가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수가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6. 띠상 부재를 기설관의 둘레면을 따라서 나선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접합함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장치로서,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의 관축을 따르는 연신 방향의 선단측의 관단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 상에, 추진 전후 방향을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권회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되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후속 띠부를, 상기 선행 나선관부를 향해 압입하여 상기 선행 나선관부와 접합시킴과 함께 추진력을 얻는 구동부와,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추진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을 향하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설관과 면하는 측의 둘레면에 대어지는 비원형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기설관 또는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을 따르게 하도록 작용하는 작용부
    를 구비하고, 상기 관단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부분을 당해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편평 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용부가, 상기 수용부를 상기 기설관 또는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을 따르게 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추진 방향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기설관 또는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둘레면과 접촉 가능한 선도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도 롤러와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회전축 둘레로 서로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부가 부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의 추진 방향의 전단부가 기설관측과는 반대의 표측을 향하도록, 상기 부세 수단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회전축 둘레로 회전 부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이, 상기 선행 나선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부와는 반대의 표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복수의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고, 각 가이드 유닛이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작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23. 띠상 부재를 나선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감합시킴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장치로서,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의 관축을 따르는 연신 방향의 선단측의 관단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 상에, 추진 전후 방향을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권회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되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를,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상기 일부분 또는 그 근처를 향해,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내외 방향을 따르는 장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압입하는 구동부와,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부로부터 추진 후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관단부에 상기 장치 높이 방향의 바닥부측으로부터 계합되는 이측 가이드부와,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이측 가이드부로부터 추진 후방으로 어긋나게 설치되고, 상기 관단부에 상기 장치 높이 방향의 바닥부측과는 반대의 표측으로부터 계합되는 표측 가이드부
    를 구비하고, 상기 후속 띠부가,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이측 가이드부와 상기 표측 가이드부 사이의 가이드 간극간을 향해 압출되도록, 상기 구동부의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관단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부분을 당해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의 제관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가, 위치 조절 기구를 통해, 상기 이측 가이드부 혹은 표측 가이드부 또는 상기 장치 프레임에 대하여 위치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 기구가, 상기 구동부를, 상기 장치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르는 회전 축선 둘레에 각도 조절 가능한 각도 조절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이측 가이드부보다도 추진 전방에는, 상기 관단부를 외주측 및 내주측으로부터 끼움 부착 가능한 협지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장치.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관 장치에 의해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나선관이 되는 띠상 부재로서,
    띠 폭 방향의 일방측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제1 감합부와,
    상기 띠 폭 방향의 타방측의 테두리부에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한 상기 압입에 의해 상기 제1 감합부에 있어서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부분에 상기 나선관의 내외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끼워지는 제2 감합부와,
    상기 띠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감합부와 상기 제2 감합부 사이에 설치되며, 이들 제1, 제2 감합부보다도 상기 내외 방향의 타방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감합부와 상기 돌출부의 고저차에 의해 제1항의 관단 가이드, 제16항의 가이드부 또는 제23항의 이측 가이드부를 삽입 가능한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상 부재.
  28. 제관 장치에 의해 띠상 부재를 나선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띠상 부재의 일주 차이로 인접하는 테두리끼리를 감합시킴으로써 나선관을 형성하는 제관 방법으로서,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선행하여 제관된 선행 나선관부의 관축을 따르는 연신 방향의 선단측의 관단부의 둘레 방향의 일부분 상에, 상기 제관 장치의 장치 프레임을, 추진 전후 방향을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권회 방향을 따르게 하여 배치하고,
    상기 장치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부에 의해, 상기 띠상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선행 나선관부에 이어지는 미제관의 후속 띠부를,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상기 일부분 또는 그 근처를 향해, 상기 선행 나선관부의 내외 방향을 따르는 장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압입하고,
    상기 장치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기 장치 높이 방향의 바닥부에 설치된 관단 가이드를, 상기 관단부에 대하여, 상기 추진 전후 방향 및 장치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치 폭 방향으로 구속하며, 또한 상기 관단 가이드를 상기 추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계합하고,
    상기 압입력이, 상기 감합을 위한 감합력과 추진 전방으로의 추진력이 되고, 상기 관단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분 이외의 부분을 상기 제관 장치로부터 해방시킨 상태에서 제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관 방법.
KR1020197004973A 2016-08-30 2017-08-30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KR102143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7491 2016-08-30
JPJP-P-2016-167491 2016-08-30
JPJP-P-2016-178380 2016-09-13
JP2016178380 2016-09-13
JPJP-P-2017-152491 2017-08-07
JP2017152491 2017-08-07
PCT/JP2017/031282 WO2018043619A1 (ja) 2016-08-30 2017-08-30 螺旋管の製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466A true KR20190032466A (ko) 2019-03-27
KR102143367B1 KR102143367B1 (ko) 2020-08-12

Family

ID=61305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973A KR102143367B1 (ko) 2016-08-30 2017-08-30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11148352B2 (ko)
EP (3) EP3812127A1 (ko)
JP (1) JP6687740B2 (ko)
KR (1) KR102143367B1 (ko)
CN (1) CN109641383B (ko)
AU (1) AU2017321721B2 (ko)
CA (3) CA3097151C (ko)
NZ (1) NZ752208A (ko)
RU (1) RU2717517C1 (ko)
WO (1) WO2018043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2427B2 (ja) * 2019-09-26 2023-09-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の製管方法及び製管装置
JP7352426B2 (ja) * 2019-09-26 2023-09-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の製管方法及び製管装置
JP7449146B2 (ja) 2020-04-14 2024-03-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1545A (ja) * 2003-08-15 2005-03-10 Adachi Kensetsu Kogyo Kk 管渠内用ライニング施工装置及びそ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
JP4505142B2 (ja) 1998-09-22 2010-07-21 リブ ロック オーストラリア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螺旋パイプをその内側から巻回形成する方法及び装置
JP4866428B2 (ja) 2006-12-18 2012-02-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およびこの製管装置を用いた既設管の更生工法
JP2013256048A (ja) * 2012-06-12 2013-12-26 Sekisui Chem Co Ltd 螺旋管の製管装置およびその製管方法
JP2014104610A (ja) * 2012-11-26 2014-06-09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更生用帯状部材
JP2014213458A (ja) * 2013-04-22 2014-11-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補強材入り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238152A (ja) * 2013-06-10 2014-12-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補強材入り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JP2015006744A (ja) * 2013-06-25 2015-01-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補強材入り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12790A (ja) * 2013-12-11 2015-06-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
JP2015200410A (ja) * 2014-03-31 2015-11-12 タキロン株式会社 内面材押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216009B (hu) * 1991-10-02 1999-04-28 Rib Loc Australia Pty. Ltd. Spirális, tekercselt, megerősített bordázott, összetett szerkezet
CN1046994C (zh) * 1994-08-25 1999-12-0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管道内衬面施工方法
JP3657029B2 (ja) * 1995-07-10 2005-06-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既設管ライニング用プロファイル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既設管のライニング工法
JPH09152059A (ja) * 1995-11-28 1997-06-10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のライニング工法
AUPO494897A0 (en) * 1997-02-05 1997-02-27 Rib Loc Australia Pty. Ltd. Improved means and method for lining underground pipes using a spirally wound plastic strip
JP3790624B2 (ja) * 1998-03-13 2006-06-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周長の調整を伴う管渠内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
WO2009008505A1 (ja) * 2007-07-12 2009-01-15 Sekisui Chemical Co., Ltd. 補強材付き帯状部材の巻き癖形成装置、螺旋管の製管方法、および螺旋管の製管装置
KR101783491B1 (ko) * 2009-07-27 2017-10-23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관기 및 제관 방법
WO2013046343A1 (ja) 2011-09-27 2013-04-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供給装置および帯状部材の供給方法
JP2014100817A (ja) * 2012-11-19 2014-06-05 Kubota Corp 管路更生部材
JP6170360B2 (ja) 2013-07-09 2017-07-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
WO2016115592A1 (en) 2015-01-23 2016-07-28 Sekisui Rib Loc Australia Pty Ltd Locking means and method of producing strip windable into a pipe
WO2016175243A1 (ja) 2015-04-28 2016-11-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の製管装置及び製管方法
RU2620479C1 (ru) * 2016-01-11 2017-05-25 Николай Алексеевич Перминов Способ бестраншейног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опропускной системы
EP3725495B1 (en) 2016-03-31 2023-10-11 Sekisui Chemical Co., Ltd. Pipe-making apparatus and pipe-making method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5142B2 (ja) 1998-09-22 2010-07-21 リブ ロック オーストラリア プロプライエタリー リミテッド 螺旋パイプをその内側から巻回形成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5061545A (ja) * 2003-08-15 2005-03-10 Adachi Kensetsu Kogyo Kk 管渠内用ライニング施工装置及びそ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
JP4866428B2 (ja) 2006-12-18 2012-02-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およびこの製管装置を用いた既設管の更生工法
JP2013256048A (ja) * 2012-06-12 2013-12-26 Sekisui Chem Co Ltd 螺旋管の製管装置およびその製管方法
JP2014104610A (ja) * 2012-11-26 2014-06-09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更生用帯状部材
JP2014213458A (ja) * 2013-04-22 2014-11-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補強材入り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238152A (ja) * 2013-06-10 2014-12-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補強材入り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JP2015006744A (ja) * 2013-06-25 2015-01-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補強材入り帯状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12790A (ja) * 2013-12-11 2015-06-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製管装置
JP2015200410A (ja) * 2014-03-31 2015-11-12 タキロン株式会社 内面材押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97148C (en) 2023-01-03
US20210129418A1 (en) 2021-05-06
CA3097148A1 (en) 2018-03-08
NZ752208A (en) 2020-01-31
CA3097151A1 (en) 2018-03-08
CA3035325C (en) 2022-03-01
CA3035325A1 (en) 2018-03-08
JP6687740B2 (ja) 2020-04-28
US11602884B2 (en) 2023-03-14
US11148352B2 (en) 2021-10-19
EP3508328A4 (en) 2020-06-24
CA3097151C (en) 2023-01-31
US11383427B2 (en) 2022-07-12
AU2017321721A1 (en) 2019-04-18
JPWO2018043619A1 (ja) 2019-06-24
EP3812127A1 (en) 2021-04-28
EP3508328A1 (en) 2019-07-10
CN109641383A (zh) 2019-04-16
EP3812128A1 (en) 2021-04-28
US20190193324A1 (en) 2019-06-27
US20210129417A1 (en) 2021-05-06
EP3508328B1 (en) 2023-09-13
RU2717517C1 (ru) 2020-03-23
WO2018043619A1 (ja) 2018-03-08
EP3812128B1 (en) 2024-01-31
KR102143367B1 (ko) 2020-08-12
CN109641383B (zh) 2021-01-05
AU2017321721B2 (en)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2466A (ko) 나선관의 제관 장치 및 제관 방법
US8448486B2 (en) Apparatus for forming curls in reinforcing material-attached profile strip, method for producing spiral pipe,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piral pipe
JP6637593B2 (ja) 製管装置および製管方法
JP5291399B2 (ja) 既設管の更生方法
JP2019084728A (ja) 螺旋管の製管装置
KR20190112802A (ko) 나선관용 띠상 부재 및 기설관의 갱생 방법
JP6927782B2 (ja) 螺旋管の製管装置
JP7010759B2 (ja) 製管装置
JP6927778B2 (ja) 螺旋管の製管装置
JP5166896B2 (ja) 製管装置および製管方法
JP7352426B2 (ja) 螺旋管の製管方法及び製管装置
JP2022101024A (ja) 巻き出し治具及び巻き出し方法
JP2013111921A (ja) 製管装置、及び既設管の更生方法
JP2024093129A (ja) 製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