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8702A - 신규 실리콘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신규 실리콘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8702A
KR20190028702A KR1020197001137A KR20197001137A KR20190028702A KR 20190028702 A KR20190028702 A KR 20190028702A KR 1020197001137 A KR1020197001137 A KR 1020197001137A KR 20197001137 A KR20197001137 A KR 20197001137A KR 20190028702 A KR20190028702 A KR 20190028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sio
represented
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8336B1 (ko
Inventor
에미 아카바네
토모유키 고토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 C08G77/5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in which at least two but not all the silicon atoms are connected by linkages other than oxygen atoms by carbon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2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 hydroxy group, e.g. dimethico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4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tan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6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1)로 표시되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합물이다. 이에 따라, 실리콘유 및 기타 유제를 연속상으로 하는 안정된 조성물(유화물, 분체분산물 등)을 부여할 수 있는 다가 알코올변성 실리콘 화합물이 제공된다.
R1 aR2 bR3 cR4 dSiO(4-a-b-c-d)/2 (1)
(R1은 유기기이며, R2는 -Y-O-X로 표시되는 기이며(Y는 에테르결합 및 에스테르결합의 적어도 일방을 함유할 수도 있는 탄소수 3~20의 이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수산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가 알코올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3은 식(4)로 표시되는 1가의 분지형 오가노실록산기이며, R4는 식(5) 또는 식(6)으로 표시되는 1가의 오가노실록산기이다.)
MoMR pDqDR rTsTR tQu (4)
MMRDv - 1 (5)
Mw Dv - 1DR v - 2TR v - 3 (6)

Description

신규 실리콘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본 발명은, 신규한 다가 알코올변성 실리콘 화합물 및 그것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에는, 실리콘유, 에스테르유, 탄화수소유 등 다양한 유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특징 및 그 사용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유는 가벼운 감촉이나 끈적임이 없다는 사용성의 장점이나, 우수한 발수성이나 높은 안전성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이들 유제는, 단독 혹은, 병용되며 화장료 중에 배합되어 있다.
유제와 물이 배합된 유화형의 화장료에서는,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데, 유제가 실리콘유인 경우, 폴리옥시알킬렌지방산에스테르계 등의 유화제를 이용해도 안정성이 좋은 유화물을 얻는 것은 곤란하므로, 실리콘유와 상용성이 좋은 폴리옥시알킬렌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폴레에테르변성 실리콘)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5).
또한, 실리콘유뿐만 아니라, 다른 유제와의 상용성을 높이기 위해, 장쇄알킬기와 폴리옥시알킬렌기, 더 나아가 직쇄실리콘을 겸비한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유화제로서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6, 7).
한편, 폴레에테르변성 실리콘과는 상이한 비이온계의 친수성 실리콘으로서, 글리세린변성 실리콘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8~10). 최근에는, 글리세린변성 실리콘이 폴레에테르변성 실리콘과 비교했을 때 산화안정성이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점에서, 보다 안전성이 높은 계면활성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글리세린변성 실리콘은, 분체를 포함하는 분체분산형 화장료에 있어서, 우수한 분체분산 안정성을 갖는 것도 알고 있다(특허문헌 11).
그러나, 실리콘류나 기타 유제를 포함하는 유화조성물에 있어서, 우수한 유화안정성을 갖고, 경시안정성을 확보하기에는 아직 문제가 있다. 특히, 자외선흡수제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있어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일본특허공개 S61-293903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S61-29390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S62-18740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S62-215510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S62-21663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S61-9073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1-039819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H04-10879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2-17979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5-34407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6-21847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리콘유나 기타 유제를 연속상으로 하는 안정된 조성물(유화물, 분체분산물 등)을 부여할 수 있는 다가 알코올변성 실리콘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평균조성식(1)로 표시되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합물을 제공한다.
R1 aR2 bR3 cR4 dSiO(4-a-b-c-d)/2 (1)
(상기 평균조성식(1) 중, a, b, c, d는 각각, 1.0≤a≤2.5, 0.001≤b≤1.5, 0.001≤c≤1.5, 0≤d≤1.0이며,
R1은 탄소수 1~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치환 알킬기, 및, 일반식(2)-ClH2l-O-R5로 표시되는 유기기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서로 동종 또는 이종의 유기기이며,
(식 중, R5은 수소원자, 탄소수 4~30의 탄화수소기, 또는 R6-(CO)-로 표시되는 유기기이며, R6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이며, l은 0≤l≤15의 정수이다.)
R2는 일반식(3)-Y-O-X로 표시되는 기이며(식 중, Y는 에테르결합 및 에스테르결합의 적어도 일방을 함유할 수도 있는 탄소수 3~20의 이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수산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가 알코올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알콕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R3은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1가의 분지형 오가노실록산기이며,
MoMR pDqDR rTsTR tQu (4)
(식 중, M=R7 3SiO0.5, MR=R7 2R8SiO0.5, D=R7 2SiO, DR=R7R8SiO, T=R7SiO1.5, TR=R8SiO1.5, Q=SiO2, R7은 탄소수 1~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및 불소치환 알킬기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종 또는 이종의 유기기이며, R8은 -CnH2n-로 표시되는 유기기이다. n은 1≤n≤5의 정수이고, o는 1 이상의 정수, q 및 s는 각각 0 이상의 정수이며, p, r, t, u는 각각 0 또는 1이다. 단, s, t 및 u가 동시에 0이 되는 일은 없고, p, r 및 t의 합계는 1이며, q=0일 때, o는 2 이상이고 또한 s와 u의 합계가 1 이상이다.)
R4는 하기 일반식(5) 또는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1가의 오가노실록산기이다.
MMRDv1 (5)
Mw Dv1DR v2TR v3 (6)
(식 중, M, MR, D, DR, TR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v1은 0≤v1≤500, v2와 v3은 각각 0 또는 1의 수이다. 단, v2와 v3의 합계는 1이며, v1과 v3이 동시에 1 이상이 되는 일은 없다. w는 2~3의 정수이다.))
이러한 상기 평균조성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은, 실리콘유, 에스테르유, 탄화수소유 등의 각종 유제와의 친화성이 매우 높고, 우수한 유화성능과 유화안정성을 가지며, 자외선흡수제 존재하에서도 더욱 양호한 유화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화장용도로 매우 유효하다.
또한,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1-1)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구조식(1-1) 중, R1, R2, R3, R4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R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고, R1, R2, R3, R4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다. a1은 0~1000, b1은 0~200, c1은 0~200, d1은 0~100의 범위의 수이다. 단, b1=0일 때, R의 적어도 일방은 R2이며, c1=0일 때, R의 적어도 일방은 R3이다.)
이러한 상기 구조식(1-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은, 중합반응이 용이하게 진행되므로, 합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상기 일반식(4) 중의 p가 p=1인 것이 바람직하다.
p가 p=1인 실리콘 화합물은, 합성할 때의 입체장해가 적으므로 합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로서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경시안정성과 양호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은, 화장품에 사용되는 실리콘유, 에스테르유, 탄화수소유 등, 일반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유제 및 이들의 혼합유제에 대하여 우수한 유화성능 및 유화안정성을 갖고, 자외선흡수제 존재하에서도 더욱 양호한 유화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경시에서도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양호한 사용감을 가짐과 함께, 보존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 평균조성식(1)로 표시되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합물을 유화제로서 이용하면, 실리콘유 등의 각종 유제 및 이들의 혼합유제와의 친화성이 매우 높고, 우수한 유화능력과 그 유화물의 안정성이 매우 양호하며, 화장용도로 매우 유효한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평균조성식(1)로 표시되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합물을 제공한다.
R1 aR2 bR3 cR4 dSiO(4-a-b-c-d)/2 (1)
(상기 평균조성식(1) 중, a, b, c, d는 각각, 1.0≤a≤2.5, 0.001≤b≤1.5, 0.001≤c≤1.5, 0≤d≤1.0이며,
R1은 탄소수 1~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치환 알킬기, 및, 일반식(2)-ClH2l-O-R5로 표시되는 유기기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서로 동종 또는 이종의 유기기이며,
(식 중, R5은 수소원자, 탄소수 4~30의 탄화수소기, 또는 R6-(CO)-로 표시되는 유기기이며, R6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이며, l은 0≤l≤15의 정수이다.)
R2는 일반식(3)-Y-O-X로 표시되는 기이며(식 중, Y는 에테르결합 및 에스테르결합의 적어도 일방을 함유할 수도 있는 탄소수 3~20의 이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수산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가 알코올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알콕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R3은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1가의 분지형 오가노실록산기이며,
MoMR pDqDR rTsTR tQu (4)
(식 중, M=R7 3SiO0.5, MR=R7 2R8SiO0.5, D=R7 2SiO, DR=R7R8SiO, T=R7SiO1.5, TR=R8SiO1.5, Q=SiO2, R7은 탄소수 1~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및 불소치환 알킬기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종 또는 이종의 유기기이며, R8은 -CnH2n-로 표시되는 유기기이다. n은 1≤n≤5의 정수이고, o는 1 이상의 정수, q 및 s는 각각 0 이상의 정수이며, p, r, t, u는 각각 0 또는 1이다. 단, s, t 및 u가 동시에 0이 되는 일은 없고, p, r 및 t의 합계는 1이며, q=0일 때, o는 2 이상이고 또한 s와 u의 합계가 1 이상이다.)
R4는 하기 일반식(5) 또는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1가의 오가노실록산기이다.
MMRDv1 (5)
Mw Dv1DR v2TR v3 (6)
(식 중, M, MR, D, DR, TR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v1은 0≤v1≤500, v2와 v3은 각각 0 또는 1의 수이다. 단, v2와 v3의 합계는 1이며, v1과 v3이 동시에 1 이상이 되는 일은 없다. w는 2~3의 정수이다.))
상기 식(1) 중의 R1은 탄소수 1~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치환 알킬기, 및, 일반식(2)-ClH2l-O-R5로 표시되는 유기기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서로 동종 또는 이종의 유기기이다.
R1의 알킬기의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의 구체예로는, 페닐기, 톨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랄킬기의 구체예로는, 벤질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불소치환 알킬기의 구체예로는, 트리플로로프로필기, 헵타데카플로로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1은, 일반식(2)-ClH2l-O-R5로 표시되는 유기기로부터 선택되는 동종 또는 이종의 알콕시기, 에스테르기, 알케닐에테르잔기, 혹은 알케닐에스테르잔기여도 된다. 단, (2)식 중의 R5는, 수소원자, 탄소수 4~30의 탄화수소기, 또는, R6-(CO)-로 표시되는 유기기이며, R6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이며, l은 0≤l≤15의 정수이다.
R5의 탄소수 4~30의 탄화수소기의 예로는,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페닐기, 톨릴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고, R6의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의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페닐기, 톨릴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l이 0인 경우는, 실라놀(-OH) 혹은 탄소수 4~30의 알콕시기이며, 그 구체예로는, 부톡시기 등의 저급알콕시기부터 올레일옥시기, 스테아록시기 등의 고급알콕시기까지를 들 수 있다. 혹은, 아세트산, 유산, 부티르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등의 에스테르기일 수도 있다.
또한, l이 1 이상인 경우는, 특히 l이 3, 5 혹은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R1은, 알릴에테르잔기, 펜테닐에테르잔기, 운데세닐에테르잔기이며, R5의 치환기에 의해, 예를 들어 알릴스테아릴에테르잔기, 프로페닐베헤닐에테르잔기 혹은 운데세닐올레일에테르잔기 등이 예시된다.
여기서, l이 15보다 크면 유취(油臭)가 강해지므로, l은 15 이하이며, 더 나아가 3~5인 것이, 내가수분해성의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1)식에 있어서의 R1 전체의 50% 이상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 메틸기이며, 메틸기가 100%라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식(1) 중의 R2는 일반식(3)-Y-O-X로 표시되고, 여기서, Y는 에테르결합 및 에스테르결합의 적어도 일방을 함유할 수도 있는 탄소수 3~20의 이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CH2)3-, -CH2CH(CH3)CH2-, -(CH2)4-, -(CH2)5-, -(CH2)6-, -(CH2)7-, -(CH2)8-, -(CH2)2-CH(CH2CH2CH3)-, -CH2-CH(CH2CH3)-, -(CH2)3-O-(CH2)2-, -(CH2)3-O-(CH2)2-O-(CH2)2-, -(CH2)3-O-CH2CH(CH3)-, -CH2-CH(CH3)-COO(CH2)2- 등을 예시할 수 있다. X는 수산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가 알코올치환 탄화수소기로서, 알콕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린 및 당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부터 유도되는, 수산기를 적어도 2개 갖는 탄화수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린유도체이다.
X가 폴리글리세린유도체인 경우의 상기 식(1) 중의 R2의 예로는, 아래 식의 기를 들 수 있고, 아래 식 중의 Y는 식(3) 중의 Y와 동일하며, 식 중의 g 및 h는 1~20의 정수이다. 또한, 하기 화합물중의 수산기의 일부가 알콕시기 혹은 에스테르기로 치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상기 식(1) 중의 R3은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1가의 분지형 오가노실록산기이다.
MoMR pDqDR rTsTR tQu (4)
(식 중, M=R7 3SiO0.5, MR=R7 2R8SiO0.5, D=R7 2SiO, DR=R7R8SiO, T=R7SiO1.5, TR=R8SiO1.5, Q=SiO2를 나타낸다.)
R7은, 탄소수 1~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치환 알킬기로 표시되는 유기기로부터 선택되는 동종 또는 이종의 유기기이며, 구체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톨릴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페네틸기 등의 아랄킬기, 트리플로로프로필기, 헵타데카플로로데실기 등의 불소치환 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R7은 전체의 50% 이상이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 메틸기이며, 메틸기가 100%일 수도 있다.
R8은 -CnH2n-로 표시되는 유기기이다. n은 1~5의 정수로서, 바람직하게는 n=2이다.
o는 1 이상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200의 정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의 정수이다. q는, 0 이상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0~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의 정수이다. s는 0 이상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0~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의 정수, u는 0 또는 1이며, 바람직하게는 1이다. p, r, t는 각각 0 또는 1이며, p, r, t의 합계는 1이나, 합성면에서는 입체장해가 적은 p=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 t, 및 u가 동시에 0이 되는 일은 없고, q=0일 때, o는 2 이상이고 또한 s와 u의 합계는 1 이상이어야 한다.
상기 식(1) 중의 R4는 하기 일반식(5) 혹은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1가의 오가노실록산기이다.
MMRDv1 (5)
Mw Dv1DR v2TR v3 (6)
여기서, M, MR, D, DR 및 TR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으며, v1은, 0~500이며, 바람직하게는 3~50이다. v1이 500보다 크면, 합성할 때의 반응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v2와 v3은 각각 0 또는 1의 수이고, v2와 v3의 합계는 1이다. 또한, v1과 v3이 동시에 1 이상이 되는 일은 없다. w는 2~3의 정수이다.
a는, 1.0~2.5, 바람직하게는 1.2~2.3이다. a가 1.0보다 작으면 유제와의 상용성이 뒤떨어지므로, 안정된 유화물을 얻기 어렵고, 2.5보다 크면, 친수성이 뒤떨어지므로, 역시 안정된 유화물을 얻기 어렵다. b는 0.001~1.5, 바람직하게는, 0.05~1.0이다. b가 0.001보다 작으면 친수성이 뒤떨어지므로, 안정된 유화물을 얻기 어렵고, 1.5보다 크면, 친수성이 지나치게 높아지므로, 안정된 유화물을 얻기 어렵다. c는 0.001~1.5, 바람직하게는, 0.05~1.0이다. c가 0.001보다 작으면, 실리콘유와의 상용성이 뒤떨어지므로, 안정된 유화물을 얻기 어렵고, 1.5보다 크면, 친수성이 뒤떨어지므로, 역시 안정된 유화물을 얻기 어렵다. d는 0~1.0, 바람직하게는, 0~0.5이다. d가 1.0보다 크면, 친수성이 뒤떨어지므로, 안정된 유화물을 얻기 어려워진다.
유화제로는,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200000이며, 1000~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500 미만이면, 안정된 유화물을 얻는 것이 어렵고, 또한, 200000보다 크면 핸들링이 나쁘고, 또한 양호한 사용감을 얻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중량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 분석에 있어서의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구할 수 있다(이하 동일).
또한,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1-1)로 표시되는 것이면,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상기 구조식(1-1) 중, R1, R2, R3, R4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R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고, R1, R2, R3, R4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다. a1은 0~1000, b1은 0~200, c1은 0~200, d1은 0~100의 범위의 수이다. 단, b1=0일 때, R의 적어도 일방은 R2이며, c1=0일 때, R의 적어도 일방은 R3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은,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 반응성 불포화기를 1분자 중에 1개 갖는 다가알코올치환 탄화수소유도체와, CnH(2n-1)-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로 말단알켄 화합물을, 백금촉매 또는 로듐촉매의 존재하에 부가반응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n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은, 직쇄상, 분지형, 환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되나, 중합반응을 원활히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직쇄상인 것, 주로 하기 식(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직쇄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상기 식(1-2) 중, R1은 상기한 기를 나타내고, x는 0≤x≤1000, 바람직하게는 0≤x≤300, 더욱 바람직하게는 0≤x≤100이다. X가 1000 이하이면, 반응성의 저하의 원인이 될 우려가 없고, 사용성이 나빠질 우려가 없다. y는, 0≤y≤300이며, 바람직하게는 1≤y≤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y≤50이다. y가 300 이하이면, 친수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안정된 유화물을 얻기 어려워질 우려가 없다. 또한, 반응이 완결되기 쉽다. z는 0~2이며, 바람직하게는 0~1이다.
반응성불포화기를 1분자 중에 1개 갖는 다가알코올치환 탄화수소유도체로는, 바람직하게는, 분자쇄말단에 CmH(2m-1)-기로 표시되는 반응성 불포화기를 갖고, 여기서, m은 1~15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3~5이며, C3H5-O-X(X는 상기와 동일)로 표시되는 유도체가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CnH(2n-1)-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로는, 하기 일반식(7)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 하기 일반식(8) 또는 일반식(9)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MoMR’ pDqDR’ rTsTR’ tQu (7)
(식 중, M=R7 3SiO0.5, MR’=R7 2R15SiO0.5, D=R7 2SiO, DR’=R7R15SiO, T=R7SiO1.5, TR’=R15SiO1.5, Q=SiO2, R15는 CnH(2n-1)-로 표시되는 유기기이다. R7, n, o, p, q, r, s, t 및 u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또한, p=1이면, 입체장해가 적으므로, 높은 반응성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일반식(7)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은, 1개의 CnH(2n-1)-로 표시되는 유기기를 갖고, 높은 기능성을 갖는 분지구조(s, t 및 u가 동시에 0이 되는 일은 없고, p, r 및 t의 합계는 1이며, q=0일 때, o는 2 이상이고 또한 s와 u의 합계가 1 이상임)를 갖는다. 이러한 화합물은, 반응성이 매우 양호하며,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의 원료에 적합한 것이다.
MMR Dv1 (8)
Mw Dv1DR’ v2TR’ v3 (9)
(식 중, M=R7 3SiO0.5, MR’=R7 2R15SiO0.5, D=R7 2SiO, DR’=R7R15SiO, TR’=R15SiO1.5이며, R15는 CnH(2n-1)-로 표시되는 유기기이다. R7, v1, v2, v3은 각각 상기와 같다. 또한, 식 중의 v-1이 500보다 크면,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과의 반응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일반식(8) 또는 일반식(9)로 표시되는, 직쇄상 또는 저분자량의 분지형 오가노실록산을 부가하여 얻어진 실리콘 화합물은, 화장료에 함유한 경우에, 보다 산뜻한 가벼운 감촉이 얻어진다.
말단알켄 화합물로는, 탄소수 6~30의 말단알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다. 1-도데센 등의 장쇄의 말단알켄 화합물을 부가하여 얻어진 실리콘 화합물이면, 실리콘유, 에스테르유, 탄화수소유 등, 일반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유제와의 친화성이 더욱 높아지고, 우수한 유화능력을 갖는 실리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 반응성 불포화기를 1분자 중에 1개 갖는 다가알코올치환 탄화수소유도체, CnH(2n-1)-기를 갖는 실리콘 화합물, 그리고 말단알켄 화합물과의 합계의 혼합비율은, SiH기 1몰에 대한 말단불포화기의 몰비로 0.5~2.0이 바람직하고, 특히 0.8~1.2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가반응은, 백금촉매 또는 로듐촉매의 존재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염화백금산, 알코올변성 염화백금산, 염화백금산-비닐실록산착체 등의 촉매가 호적하게 사용된다. 한편, 촉매의 사용량은 촉매량으로 할 수 있으나, 특히 사용원료의 합계질량에 대하여 백금 또는 로듐량으로 0.01~50ppm, 바람직하게는 0.1~20ppm이다. 촉매의 양이 상기 범위 이내이면 반응스피드가 느려지지 않아 부가반응이 진행되고,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상기 부가반응은, 필요에 따라 유기용제중에서 행할 수도 있다. 유기용제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n-펜탄,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으나, 특히 화장품용도로서 이용하려면 에탄올, 2-프로판올(이소프로필알코올)이 호적하다. 부가반응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환류하에서 1~10시간 반응시키는 것이 호적하다. 용제의 양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알칼리성 물질을 사용한 잔존SiH기의 가수분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처리는 물만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나, 반응을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알칼리성 물질을 첨가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존SiH기의 가수분해일 때 첨가하는 알칼리성 물질의 첨가량은, 사용하는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01~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10질량부이다. 0.0001 이상이면, 충분한 가수분해효과가 얻어지고, 10질량부 이하이면, 실록산쇄의 절단 등,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이 일어날 우려가 없다. 또한, 알칼리성 물질은 그대로 첨가해도 되나, 오가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과의 접촉효율을 고려하여, 1~50질량% 수용액으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성 물질첨가후의 처리조건은, 10~80℃, 특히 10~5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수분해 종료후에 중화반응을 행하기 위해, 산성 물질을 첨가할 수도 있다. 산성 물질을 그대로 첨가할 수도 있으나, 1~50질량% 수용액으로 해도 상관없다. 첨가량은 상기 알칼리성 물질과, 산성 물질과의 관능기당량이, 바람직하게는 1/0.1~0.1/1,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3/1이며, 중화후의 pH가 5~8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산성 물질을 이용한 정제처리를 실시해도 상관없다. 처리는 물만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나, 반응을 일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산성 물질을 첨가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 물질의 첨가량은, 상기 평균조성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00001~1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00001~1질량부이다. 0.0000001질량부 이상이면 탈취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고, 10질량부 이하이면 처리후의 조성물중에 다량의 중화염이 석출될 우려가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산성 물질은 그래도 첨가해도 되나, 1~50%의 수용액으로서 첨가하는 것이 처리액과의 접촉효율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산성 물질첨가후의 처리조건은, 가열하지 않아도 되나, 20~150℃, 특히 50~10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화반응을 행하는 경우는 알칼리성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그대로 첨가해도 되나, 1~50질량% 수용액으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가량은 상기 산성 물질과 알칼리성 물질의 관능기당량이, 1/0.1~0.1/1, 바람직하게는 1/0.3~0.3/1이며, 중화후의 pH가 5~8이 되도록 조정된다. 알칼리성 중화제 첨가후의 처리조건은, 20~150℃, 바람직하게는 20~80℃이다.
알칼리성 물질의 구체예로는,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으나, 특히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수산화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산성 물질로는, 무기산 및 유기산이나 그 염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탄산, 인산 등을 들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로로아세트산 등의 카르본산, 설폰산, 설핀산, 페놀산, 제1급 및 제2급 니트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처리효율의 점에서는, 강산인 염산, 트리플로로아세트산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중화반응은, 중화되어 생성하는 염이 pH의 완충제효과를 갖는 조합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냄새의 저감화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pH안정화 효과를 얻는 것이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처리방법의 구체적인 방법은, 특허문헌 7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준한다.
부가반응후에 일반식(4)로 표시되는 1가의 분지형 오가노실록산기가 되는, 상기 일반식(7)로 표시되는 CnH(2n-1)-기를 갖는 분지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은, 분자 중에 1개만 실라놀기를 갖는 오가노실록산을, 염기존재하, 유기클로로실란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에 나타낸 [공정 1]과 [공정 2]에 의해, 또는 [공정 1]과 [공정 2]를 반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공정 1]은, 하기 일반식(10)
Mo-1MH p-1Dq-1DH r-1Ts-1TH t-1Qu-1 (10)
(M=R7 3SiO0.5, MH=R7 2HSiO0.5, D=R7 2SiO, DH=HR7SiO, T=R7SiO1.5, TH=HSiO1.5, Q=SiO2이며, R7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으며, o-1은 1 이상의 정수, q-1 및 s-1은 각각 0 이상의 정수이며, p-1, r-1, t-1, u-1은 각각 0 또는 1이다. 단, s-1, t-1 및 u-1이 동시에 0이 되는 일은 없고, p-1, r-1, t-1의 합계는 1이며, q-1이 0일 때, o-1은 2 이상이고 또한 s-1과 u-1의 합계는 1 이상이다.)
으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을, 촉매존재하, 물과 반응시킴으로써 분자 중에 1개만 실라놀기를 갖는 오가노실록산을 얻는 공정이다.
상기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의 제조방법은 이미 공지기술이나, SiH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과 알킬기를 갖는 유기규소 화합물의 가수분해축합이나 리빙중합에 의한 것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증류 등의 정제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판품을 구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하는 촉매로는, 천이금속촉매 또는 루이스산촉매를 들 수 있다. 천이금속촉매로는, 루테늄촉매, 로듐촉매, 팔라듐촉매, 이리듐촉매, 백금촉매, 금촉매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팔라듐촉매가 바람직하다. 또한, 루이스산촉매로는, 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염화제이주석, 황산염화제이주석, 염화제이철, 삼불화붕소, 펜타플루오로페닐붕소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펜타플루오로페닐붕소가 바람직하다.
[공정 1]에서는 필요에 따라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용매로는, 원료인 상기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이나 촉매와 비반응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펜탄, 헥산, 헵탄, 데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4-디옥산 등의 에테르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용제의 양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공정 1]에서, 분자 중에 1개만 실라놀기를 갖는 오가노실록산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0)의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과 촉매와의 배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응성, 생산성의 점에서, 상기 일반식(10)의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1몰에 대하여, 촉매를 0.000001~0.1몰, 특히 0.000001~0.01몰의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0001몰 이상의 경우는, 반응속도가 느려지지 않으므로, 반응시간이 짧아지고, 0.1몰 이하의 경우는, 반응생성물인 분자 중에 1개만 실라놀기를 갖는 오가노실록산이 재분배반응에 의해 고분자화하여 수율이 저하될 우려가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분자 중에 1개만 실라놀기를 갖는 오가노실록산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0)의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과 물과의 배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응성, 생산성의 점에서, 상기 일반식(10)의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1몰에 대하여, 물 1~5몰, 특히 1.05~3.0몰의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몰 이상의 경우에는, 반응이 완전히 진행되고, 수율이 충분한 것이 되며, 5몰 이하의 경우는, 수율을 향상시키면서, 포트일드(pot yeild)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공정 1]의 반응온도는 1℃~70℃, 특히 5℃~40℃의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시간은, 반응의 진행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30분~10시간, 특히 1시간~8시간의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증류 등의 정제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압하 혹은 감압하에서, 상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공정 2]는, [공정 1]에서 얻어진 분자 중에 1개만 실라놀기를 갖는 오가노실록산을, 염기존재하, 유기클로로실란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공정이다.
[공정 2]에 있어서 필요시되는 원료인 염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탄산나트륨이나,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암모니아, 메틸아민, 에틸아민, 디메틸아민, N-헥실아민, N-에틸디이소프로필아민, 이미다졸, N-메틸이미다졸 등의 아민계의 염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원료의 유기클로로실란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얻어진 화합물을, 상기 일반식(7)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로서 이용하는 것이면, CnH(2n-1)-기를 갖는 유기클로로실란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디메틸비닐클로로실란이 시판되고 있어 입수용이하다. 또한, 얻어진 화합물을 [공정 1]에 있어서의 일반식(10)으로서 사용하고, 보다 고도의 분지구조를 갖는 고분자량체를 얻는 경우는, 디메틸클로로실란, 메틸디클로로실란, 트리클로로실란이 시판되고 있어 입수용이하다.
[공정 2]에서는 필요에 따라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용매로는, 원료인 상기 일반식(10)으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이나 염기, 유기클로로실란 화합물과 비반응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펜탄, 헥산, 헵탄, 데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4-디옥산 등의 에테르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용제의 양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반식(7)의 CnH(2n-1)-기를 갖는 분지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을 제조함에 있어서, [공정 1]에서 얻어진 분자 중에 1개만 실라놀기를 갖는 오가노실록산과 유기클로로실란 화합물과의 배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응성, 생산성의 점에서, [공정 1]에서 얻어진 오가노실록산 1몰에 대하여, 유기클로로실란 화합물중의 Si-Cl기를 0.01~2.0몰, 특히 0.4~1.2몰의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몰 이상의 경우는, 모노관능성 분지형 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의 수율이 충분한 것이 되며, 2.0몰 이하의 경우는, 수율을 향상시키면서, 팟일드도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공정 2]에 있어서 유기클로로실란 화합물과 염기의 배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반응성, 생산성의 점에서, 유기클로로실란 화합물중의 Si-Cl기 1몰에 대하여, 염기를 0.1~6.0몰, 특히 0.4~3.0몰의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0.1몰 이상의 경우는, 반응속도가 느려지지 않으므로, 반응시간이 짧아지고, 6.0몰 이하의 경우는, 반응생성물의 모노관능성 분지형 오가노실록산 화합물의 단리가 용이해지고, 수율이 충분한 것이 된다.
[공정 2]의 반응온도는, 1℃~80℃, 특히 5℃~40℃가 바람직하다. 반응시간은, 30분~20시간, 특히 1시간~10시간의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2]에 있어서, 염기로서 암모니아 등의 아민류를 사용하는 경우, 먼저 유기클로로실란을 반응시키고, 유기실라잔을 경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법에서는, 염의 부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의 반응온도는, 1℃~80℃, 바람직하게는 5℃~50℃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시간은, 30분~20시간, 특히 1시간~10시간의 범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제조방법에서는 필요에 따라 증류 등의 정제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압하 혹은 감압하에서, 상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화합물은,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피부나 모발에 외용되는 모든 화장료의 원료로서 호적하다. 이 경우, 상기 평균조성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종류 및 제형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략, 화장료 전체의 0.1~50질량%의 범위인 것이 호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평균조성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에 더하여, 실리콘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유는 구체적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트리메티콘, 페닐트리메티콘,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도데카메틸펜타실록산, 헵타메틸에틸트리실록산, 카프릴릴메티콘, 테트라키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이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조성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은, 특히 실리콘유에 대한 유화성능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실리콘유를 포함함으로써, 유화화장료의 안정성이 증대된다. 또한, 끈적임이 없는 화장료가 얻어진다. 이들 실리콘유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실리콘유의 배합량으로는, 화장료 전체의 2~40질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5~20질량%가 되도록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40질량%의 범위내이면, 유화안정성이 손상될 우려가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추가로 비유화성 실리콘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유화성 실리콘엘라스토머는 오스트왈드 점도계에 의한 동점도가 0.65~10.0mm2/s(25℃)인 저점도 실리콘에 대하여, 자중 이상의 저점도 실리콘을 포함하여 팽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비유화성 실리콘엘라스토머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비닐성 반응부위를 갖는 가교제와 규소원자에 직접 결합한 수소원자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한 가교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 비유화성 실리콘엘라스토머는, 알킬부분, 알케닐부분, 아릴부분, 및 플루오로알킬부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부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유화성 실리콘엘라스토머를 이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량에 대하여 0.1~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유화성 실리콘엘라스토머로서 구체적으로는, 신에쯔화학공업(주)제(KSG-15, KSG-16)의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신에쯔화학공업(주)제(KSG-18 등)의 디메티콘/페닐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신에쯔화학공업(주)제(KSG-41 등)의 비닐디메티콘/라우릴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INCI에 지정되어 있는 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비유화성 실리콘엘라스토머로는 신에쯔화학공업(주)제(KMP-400 등) 디메티콘/비닐디메티콘크로스폴리머, 신에쯔화학공업(주)제(KMP-100 등) 비닐디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비유화성 실리콘엘라스토머를 포함함으로써, 더욱 유화안정성이 증가하고, 끈적임이 없으며, 화장유지가 우수하고, 촉촉한 감촉을 부여하는 화장료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알코올류, (상기에서 예시한 실리콘유 이외의)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유제, 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이하에 예를 드나, 본 발명은 이것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알코올류로는, 에탄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자당, 유당, 자일리톨, 솔비톨, 만니톨, 말티톨, 카라기난, 한천, 구아검, 덱스트린, 트라간트검, 로커스트빈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계 고분자,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계 고분자,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키틴키토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알코올류의 화장료중에 대한 함유율은 통상 0.1~90.0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50.0질량%이다. 0.1질량% 이상이면 보습성, 방균, 방미성에 대하여 충분하며, 90.0질량% 이하이면, 본 발명의 화장료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고급알코올류로는,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팔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헥사데실알코올, 올레일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헥실도데칸올, 옥틸도데칸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데실테트라데시놀,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POE콜레스테롤에테르, 모노스테아릴글리세린에테르(바틸알코올), 모노올레일글리세린에테르(세라킬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리콘유 이외의 유제로는, 하기의 것이 예시된다. 단, POE는 폴리옥시에틸렌을 의미한다.
천연동식물유지류 및 반합성유류로는, 아보카도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충백랍, 들기름, 올리브유, 카카오지, 카폭랍, 카야유, 카나우바납, 간유, 캔데릴라납,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우지, 행인유, 경납, 경화유, 소맥배아유, 참깨유, 쌀배아유, 쌀겨유, 사탕수수납, 산다화유, 사플라워유, 시어버터, 구동중유, 시나몬유, 셸락납, 터틀유, 대두유, 차실유, 동백나무유, 월견초유, 옥수수유, 돈지, 유채씨유, 일본참오동나무유, 겨납, 배아유, 마지, 팜유, 팜핵유, 피마자유, 경화피마자유, 피마자유지방산 메틸에스테르, 해바라기유, 포도유, 베이베리납, 호호바유, 마카다미아너트유, 밀납, 밍크유, 면실유, 면납, 목랍, 목랍핵유, 몬탄납, 야자유, 경화야자유, 트리야자유지방산글리세라이드, 양지,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라놀린, 환원라놀린, 라놀린알코올, 경질라놀린, 아세트산라놀린, 라놀린지방산이소프로필, POE라놀린알코올에테르, POE라놀린알코올아세테이트, 라놀린지방산폴리에틸렌글리콜, POE수소첨가라놀린알코올에테르, 난황유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유류로는, 오조케라이트, 스쿠알란, 스쿠알렌,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왁스, 이소데칸, 이소도데칸, 이소헥사데칸, 유동파라핀, 프리스탄, 폴리이소부틸렌,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바세린, 고급지방산류로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도코사헥사엔산, 이소스테아르산,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유류로는, 아디프산디이소부틸, 아디프산2-헥실데실, 아디프산디-2-헵틸운데실, 모노이소스테아르산N-알킬글리콜,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올프로판, 디-2-에틸헥산산에틸렌글리콜, 디-2-에틸헥산산네오펜틸글리콜, 2-에틸헥산산세틸,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스리톨, 옥탄산세틸, 옥틸도데실검에스테르, 올레산올레일, 올레산옥틸도데실, 올레산데실, 디카프르산네오펜틸글리콜, 구연산트리에틸, 숙신산2-에틸헥실, 아세트산아밀,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세바스산디이소프로필, 세바스산디-2-에틸헥실, 유산세틸, 유산미리스틸, 팔미트산이소프로필, 팔미트산2-에틸헥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2-헵틸운데실,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디펜타에리스리톨지방산에스테르, 이소노난산이소노닐, 트리이소헥사노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2-옥틸도데실, 미리스트산2-헥실데실,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디메틸옥탄산헥실데실, 라우르산에틸, 라우르산헥실, N-라우로일-L-글루타민산-2-옥틸도데실에스테르, 사과산디이소스테아릴, 덱스트린팔미트산에스테르, 덱스트린스테아르산에스테르, 덱스트린2-에틸헥산산팔미트산에스테르, 자당팔미트산에스테르, 자당스테아르산에스테르, 모노벤졸리덴솔비톨, 디벤질리덴솔비톨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세라이드유류로는, 아세트글리세릴, 디이소옥탄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트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디-2-헵틸운데칸산글리세릴, 트리미리스트산글리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실리콘유 이외의 유제는, 필요에 따라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유제를 화장료 전체의 0~90질량% 함유시킬 수 있으나, 특히 1~90질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성성분으로서 물을 함유시키는 경우의 물의 사용량은 1~99질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상기 구성성분만으로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으나, 더욱 필요에 따라 이하의 성분i), ii), iii)을 추가할 수 있다.
i) 하기 예시의 분체 및/또는 착색제
무기분체로는,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백운모, 합성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규산, 무수규산,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금속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버미큐라이트, 하이질라이트,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파우더, 제이인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유기분체로는, 폴리아미드파우더, 폴리에스테르파우더, 폴리에틸렌파우더, 폴리프로필렌파우더, 폴리스티렌파우더, 폴리우레탄파우더, 벤조구아나민파우더,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파우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파우더, 셀룰로오스파우더, 실크파우더, 12나일론, 6나일론 등의 나일론파우더, 기타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디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미결정섬유분체, 전분, 라우로일리신 등의 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 금속염분체(금속석탄)로서,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세틸인산아연, 세틸인산칼슘, 세틸인산아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유색안료로서, 산화철, 수산화철, 티탄산철의 무기적색계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블랙 등의 무기흑색계 안료, 망간바이올렛, 코발트바이올렛 등의 무기자색계 안료, 수산화크롬,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녹색계 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청색계 안료, 타르계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천연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및 이들의 분체를 복합화한 복합분체 등을 들 수 있다.
펄안료로는, 산화티탄피복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피복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피복탈크, 어린박, 산화티탄피복착색운모 등, 금속분말안료로는, 알루미늄파우더, 카퍼파우더, 스테인레스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
타르색소로는,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404호, 녹색 3호, 녹색 201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등색 201호, 등색 203호, 등색 204호, 등색 206호, 호박색 207호 등, 천연색소로는, 카르민산, 락카인산, 카르타민, 브라질린, 크로신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되는 것이면, 그 형상(구상, 침상, 판상 등)이나 입자경(연무상, 미립자, 안료급 등), 입자구조(다공질, 무공질 등)를 불문하고,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분체끼리를 복합화할 수 있는 것 외에, 유제나 상기 일반식(1)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실리콘, 또는 불소 화합물 등으로 표면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상기 예시의 분체 및/또는 착색제를 이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량에 대하여 0~9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1~99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ii) 하기 예시의 계면활성제
스테아르산나트륨, 올레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비누, 알킬에테르카르본산 및 그 염, 아미노산과 지방산의 축합물 등의 카르본산염, 아미드에테르카르본산염, α-설포지방산에스테르염, α-아실설폰산염, 알킬설폰산염, 알켄설폰산염, 지방산에스테르의 설폰산염, 지방산아미드의 설폰산염, 알킬설폰산염 및 그 포르말린축합물의 설폰산염,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제이급 고급알코올황산에스테르염, 알킬 및 알릴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에스테르의 황산에스테르염, 지방산알킬올아미드의 황산에스테르염, 로트유 등의 황산에스테르염류, 알킬인산염, 알케닐인산염, 에테르인산염, 알킬알릴에테르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N-아실아미노산계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아민염, 폴리아민 및 아미노알코올지방산 유도체 등의 아민염, 알킬4급암모늄염, 방향족 4급암모늄염, 피리듐염, 이미다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탄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탄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콜레스테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알킬공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플루오로알킬공변성 오가노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오가노폴리실록산블록 공중합체, 알칸올아미드, 당에테르, 당아미드 등, 양성 계면활성제로는, 베타인, 아미노카르본산염, 이미다졸린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량에 대하여 0.1~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2~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iii) 아크릴/실리콘의 그래프트 또는 블록공중합체, 그리고 실리콘망상 화합물 등의 실리콘수지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그 목적에 따라 아크릴/실리콘의 그래프트 또는 블록공중합체, 실리콘망상 화합물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실리콘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실리콘수지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아크릴실리콘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리콘수지는, 피롤리돈부분, 장쇄알킬부분, 폴리옥시알킬렌부분 및 플루오로알킬부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분자 중에 함유하는 아크릴실리콘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리콘수지는 실리콘망상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실리콘의 그래프트 또는 블록공중합체, 실리콘망상 화합물 등의 실리콘수지를 이용하는 경우의 배합량은, 화장료의 총량에 대하여 0.1~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외에도,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자외선흡수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평균조성식(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자외선흡수제 존재하에서도 양호한 유화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자외선흡수제로는, 파라아미노안식향산 등의 안식향산계 자외선흡수제, 안트라닐산메틸 등의 안트라닐산계 자외선흡수제, 살리실산메틸 등의 살리실산계 자외선흡수제,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등의 계피산계 자외선흡수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우로카닌산에틸 등의 우로카닌산계 자외선흡수제,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등의 디벤조일메탄계 자외선흡수제 등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이외에도,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통상의 화장료에 사용되는, 수용성 고분자, 피막형성제, 유용성 겔화제, 유기변성 점토광물, 수지, 보습제, 방부제, 항균제, 향료, 염류, 산화방지제, pH조정제, 킬레이트제, 청량제, 항염증제, 피부미용용 성분,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핵산, 호르몬, 포접 화합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구체적인 용도는, 스킨케어제품, 메이크업제품, 자외선방어제품, 제한제, 헤어케어제품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제품의 형태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으나, 액상, 유액상, 크림상, 고형상, 페이스트상, 겔상, 분말상, 다층상, 무스상, 스프레이상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정 1에 있어서, Si-H의 소실과 Si-OH의 생성은, 푸리에변환 적외분광광도계(FT-I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1H-NMR분석은, AVANCE-III(브루커·바이오스핀주식회사제)을 이용하여, 측정용매로서 중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중, 반응생성물의 순도는, 이하의 조건에 의해 열전도율형 검출기를 구비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확인을 행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측정조건
가스크로마토그래프: Agilent사제
검출기: FID(Flame Ionization Detector), 온도 300℃
캐필러리컬럼: J&W사 HP-5MS(0.25mm×30m×0.25μm)
승온프로그램: 50℃(2분)→10℃/분→250℃(유지)
주입구온도: 250℃
캐리어가스: 헬륨(1.0ml/분)
스플릿비: 50:1
주입량: 1μl
(합성예 1) CnH(2n-1)-기를 갖는 분지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합성
[공정 1]
반응기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4g, 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107g, 팔라듐탄소(30wt% 활성탄담지) 0.011g을 투입하고, 빙수욕에서 냉각하여 내온을 10℃ 이하로 하였다. 여기에, 물 9.45g을 내온도 5~1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조금씩 온도를 높여 25℃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지여과하고, 이배폴레이터로 용매를 제거하여, 순도 96%의 화합물A를 얻었다. 수율은 93%였다. 또한, FT-IR을 측정하여, 2200~2300cm-1의 피크의 소실 및, 3500~3700cm-1의 피크의 생성으로부터, 목적물이 얻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공정 2]
반응기에, 화합물A 71.0g, n-헥산 313g, 트리에틸아민 24.3g을 투입하고, 빙수욕에서 냉각하여, 내온을 15℃ 이하로 하였다. 여기에, 디메틸비닐클로로실란 28.8g을 내온도 5~15℃로 유지하면서 적하한 후, 20~23℃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물 400g으로 2회 세정한 후, 감압농축하여, 순도 98%의 화합물B를 얻었다. 수율은 88%였다.
1HNMR: 6.09~6.19ppm(1H,m), 5.89~5.99ppm(1H,d), 5.70~5.79ppm(1H,d), -0.18~0.32ppm(33H,m)
[화학식 6]
Figure pct00006
(합성예2) CnH(2n-1)-기를 갖는 분지형 오가노폴리실록산의 합성
[공정 1]
교반기, 환류냉각기, 적하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30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0g, 물 122g, 팔라듐탄소(30wt% 활성탄담지) 0.3g을 투입하고, 빙수욕에서 냉각하여, 내온을 10℃ 이하로 하였다. 1,1,1,3,5,5,5-헵타메틸트리실록산 500g을 내온도 5~10℃로 유지하면서 적하한 후, 25℃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지여과, 감압농축후에 증류하여, 비점 91~99℃/42~43mmHg의 유분으로서 순도 98.4%의 화합물C를 얻었다. 수율은 92%였다. FT-IR을 측정하고, 2100~2200cm-1의 피크의 소실 및, 3500~3700cm-1의 피크의 생성으로부터, 목적물이 얻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공정 2]
교반기, 환류냉각기, 적하깔때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2000ml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화합물C 303.8g, n-헥산 500g, 트리에틸아민 124.4g을 투입하고, 빙수욕에서 냉각하여, 내온을 15℃ 이하로 하였다. 여기에, 메틸비닐디클로로실란 86g을 내온도 5~10℃로 유지하면서 적하한 후, 15~2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반응액을, 물 400g으로 2회 세정한 후, 이배폴레이터로 용매를 유거하고, 순도 95%의 화합물D를 얻었다. 수율은 97%였다.
1HNMR: 6.09~6.19ppm(1H,m), 5.89~5.99ppm(1H,d), 5.70~5.79ppm(1H,d), -0.18~0.32ppm(45H,m)
[화학식 8]
Figure pct00008
다음에, 상기 화합물B 및 화합물D를 사용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하기 조성식에 있어서 Me3SiO기(또는, Me3Si기)를 「M」, Me2SiO기를 「D」, HMeSiO기를 「H」로 표기하고, M 및 D중의 메틸기를 어느 하나의 치환기R에 의해 변성한 단위를 MR 및 DR로 표기한다.
(실시예 1)
반응기에 평균조성식 M2D42H3으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100g과, 화합물B를 23g을 투입하고,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5g을 첨가하여 내온 8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트리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 6.7g,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8g, 이소프로필알코올 58.4g을 첨가하고, 용제의 환류하, 5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유거하고, 중량평균 분자량 7500의 평균조성식 M2D42DR21 2DR3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I〕을 수율 90%로 얻었다. 식 중, R21 및 R31은 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R31=-C3H6O{CH2CH(CH2OH)O}3H
(실시예 2)
반응기에 평균조성식 M2D70H7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100g과, 화합물B를 27.5g을 투입하고,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5g을 첨가하여 내온 8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디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 9.1g,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8g, 이소프로필알코올 61.4g을 첨가하고, 용제의 환류하, 5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0.005N의 염산수를 19.8g을 첨가하고, 미반응의 디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의 알릴에테르기를 가수분해하고, 5질량%의 중조수 0.2g으로 중화하였다. 이어서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유거하고, 중량평균 분자량 9200의 평균조성식 M2D70DR21 4DR32 3으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II〕을 수율 92%로 얻었다. 식 중, R21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고, R32는 하기를 나타낸다.
R32=-C3H6O{CH2CH(CH2OH)O}2H
(실시예 3)
반응기에 평균조성식 M2D35H21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100g과, 트리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 12.2g, 이소프로필알코올 106.3g,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6g을 첨가하여 용매의 환류하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화합물D를 57.4g을 첨가하고 1시간 반응시킨 후, 1-도데센 66.5g,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14g을 첨가하고, 다시 5시간 반응시켰다.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유거하고, 중량평균 분자량 10800의 평균조성식 M2D35DR22 4DR31 2DC12 15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III〕을 수율 89%로 얻었다. 식 중, R31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고, R22는 하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실시예 4)
반응기에 H4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100g과, 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 96.7g, 화합물D를 453g, 및 이소프로필알코올 300g을 혼합하고, 이것에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4g을 첨가하여, 용제의 환류하에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유거한 후 여과를 행하여 DR22 2DR33 2로 표시되는 중량평균 분자량 1800의 실리콘 화합물〔IV〕을 수율 93%로 얻었다. R22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고, R33은 하기를 나타낸다.
R33=-C3H6OCH2CH(CH2OH)OH
(실시예 5)
반응기에 평균조성식 M2D42H3으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100g과, 화합물B를 11.5g 및 MMR23D6을 17.9g 투입하고,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5g을 첨가하여 내온 8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트리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 6.7g,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8g, 이소프로필알코올 63.2g을 첨가하고, 용제의 환류하, 5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유거하고, 중량평균 분자량 8100의 평균조성식 M2D42DR21DR24DR3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V〕을 수율 90%로 얻었다. 식 중, R21 및 R31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고, R23 및 R24는 하기를 나타낸다.
R23=-C2H3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실시예 6)
반응기에 평균조성식 M2D400H5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100g과, 트리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 2.3g, 이소프로필알코올 160g,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6g을 첨가하여 용매의 환류하에서 3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화합물B를 2.63g과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4g을 첨가하고 다시 5시간 반응시켰다.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유거하고, 중량평균 분자량 51000의 평균조성식 M2D400DR21 2DR31 3으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VI〕을 수율 92%로 얻었다. 식 중, R21 및 R31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비교예 1)
반응기에 평균조성식 M2D42H3으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100g과, MMR23D6을 35.8g 투입하고,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5g을 첨가하여 내온 8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트리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 6.7g,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8g, 이소프로필알코올 64.5g을 첨가하고, 용제의 환류하, 5시간 반응시켰다. 얻어진 반응물을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유거하고, 중량평균 분자량 9030의 평균조성식 M2D42DR24 2DR31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VII〕을 수율 93%로 얻었다. 식 중, R24 및 R31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비교예 2)
반응기에 평균조성식 M2D70H7로 표시되는 오가노하이드로젠실록산 100g과, MMR23D6을 42.9g을 투입하고,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5g을 첨가하여 내온 8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디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 9.1g, 염화백금산 0.5질량%의 이소프로필알코올용액 0.09g, 이소프로필알코올 68.4g을 첨가하고, 용제의 환류하, 5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에, 0.005N의 염산수를 22.0g을 첨가하고, 미반응의 디글리세린모노알릴에테르의 알릴에테르기를 가수분해하여, 5질량%의 중조수 0.2g으로 중화하였다. 이어서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용제를 유거하고, 중량평균 분자량 10200의 평균조성식 M2D70DR24 4DR32 3으로 표시되는 실리콘 화합물〔VIII〕을 수율 90%로 얻었다. 식 중, R24 및 R32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7~8, 비교예 3~4)
하기 표 1에 나타낸 배합으로, 유중수형 유화물을 조제하고, 이하에 나타낸 평가방법 및 판단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 결과도 표 1에 병기한다. 한편, OMC는, 4-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이다.
[표 1]
Figure pct00012
[유중수형 유화물의 조제방법]
A. 성분1~3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B. 성분4~6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C. A에 B를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유화하였다.
[평가기준]
1. 경시안정성
(평가방법)
조제직후, 또한, 50℃에서, 1일, 3일, 10일 보존한 후에, 상태를 육안에 의해 관찰하고, 하기의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 분리는 확인되지 않고 균일한 유화물이다
△: 상층에 약간 오일의 분리를 확인
×: 분리를 확인
2. 관능평가
<1> 도포시의 퍼짐 발림, <2> 도포후의 피부의 매끄러움
(평가방법)
8명의 전문패널에게, 각 시료를 사용하도록 하고, <1> 도포시의 퍼짐 발림, <2> 도포후의 피부의 매끄러움에 대하여, 하기 평가기준을 이용하여 평가받았다.
5점 좋음
4점 약간 좋음
3점 잘 모르겠음
2점 약간 나쁨
1점 나쁨
상기에서 얻어진 평가의 평균점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평균점의 판정:
얻어진 평균점이 4.5점 이상 A
얻어진 평균점이 3.5점 이상 4.5점 미만 B
얻어진 평균점이 2.5점 이상 3.5점 미만 C
얻어진 평균점이 1.5점 이상 2.5점 미만 D
얻어진 평균점이 1.5점 미만 E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7, 8에서 사용한 실리콘 화합물〔II〕은, 비교예 3, 4에서 사용한 실리콘 화합물〔VIII〕과 비교했을 때, OMC첨가시에도 높은 경시안정성을 나타내고, 또한 양호한 도포시의 퍼짐 발림, 도포후의 피부의 매끄러움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9~12, 비교예 5~6)
하기 표 2에 나타낸 배합으로, 분체분산물을 조제하고, 이하에 나타낸 평가방법 및 판단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이 결과도 표 2에 병기한다. 평가방법은 상기 서술한 방법에 준한다.
「배합」
(실시예 9, 10, 비교예 5) MTR-07/분산제(실리콘 화합물)/시클로펜타실록산(주1)=40/10/50
(실시예 11, 12, 비교예 6) Mz506X/분산제(실리콘 화합물)/시클로펜타실록산(주1)/OMC=55/5/30/1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F-995
「조정방법」
페인트쉐커/15h(비즈 150g)
[표 2]
Figure pct00013
(주2)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F-9909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9-12에서 사용한 실리콘 화합물〔I〕 및 실리콘 화합물〔V〕은, 비교예 5, 6에서 사용한 실리콘 화합물〔VII〕에 비해 OMC배합시에도 높은 경시안정성과 도포시, 도포후에 양호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하, 화장료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처방예 1) 메이크업제거제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메이크업제거제를 조제하였다.
(성분) 질량(%)
1. POE(10)솔비탄모노라우레이트 10.0
2. 실록산 화합물〔IV〕 20.0
3. 솔비톨 10.0
4. 카라기난 0.5
5. 글리세린 5.0
6. 방부제 적량
7. 향료 적량
8. 정제수 잔량
(제조방법)
A: 성분1~6 및 8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다.
B: A에 성분7을 첨가하여 메이크업제거제를 얻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메이크업제거제를 이용하여 파운데이션을 제거한 결과, 파운데이션과의 스며듦도 좋고, 클렌징도 매우 양호하며, 사용시의 퍼짐도 가볍고, 클렌징후의 살결(後肌)도 산뜻하여, 사용성도 사용감도 매우 좋은 메이크업제거제였다.
(처방예 2): 세안료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세안료를 조제하였다.
(성분) 질량(%)
1. 폴리옥시에틸렌(6)라우릴에테르 5.0
2. 실록산 화합물〔IV〕 10.0
3. 에탄올 10.0
4.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2.0
5. 프로필렌글리콜 3.0
6. 방부제 적량
7. 향료 적량
8.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제조방법)
A: 성분1~6 및 8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다.
B: A에 성분7을 첨가하여 세안료를 얻는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세안료를 이용한 결과, 화장료나, 피지오염과의 스며듦도 좋고, 클렌징도 매우 양호하며, 사용시의 퍼짐도 가볍고, 사용후의 끈적임도 없어 클렌징후의 살결도 산뜻하고, 사용성도 사용감도 매우 좋은 세안료였다.
(처방예 3) 유화크림파운데이션
(성분) 질량(%)
1. 알킬변성 가교형 글리세린변성 실리콘(주1) 2.0
2. 알킬변성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2) 2.0
3. 유동파라핀 2.0
4. 트리옥타노인 5.0
5.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9.0
6. 실리콘 화합물〔III〕 1.5
7. 하이브리드실리콘복합분체(주3) 3.0
8.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티콘 (주4) 처리 산화철 2.5
9.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티콘 (주4) 처리 산화티탄 7.5
10. 1,3-부틸렌글리콜 5.0
11. 구연산나트륨 3.0
12. 황산마그네슘 3.0
13. 방부제 적량
14. 향료 적량
15.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810
(주2)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41
(주3)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P-100
(주4)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F-9909
(제조방법)
A: 성분1~6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성분7~9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B: 성분10~13 및 15를 용해하였다.
C: 교반하, A에 B를 서첨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14를 첨가해서 유화크림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유화크림파운데이션은, 점도가 낮고 살결이 부드러우며(キメが細かく), 퍼짐 발림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기름기가 없는데다가, 부드러운 사용감인 것과 동시에 피부의 형태보정효과도 있어, 화장유지가 좋고 또한, 온도변화나 경시에 따른 변화가 없어,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처방예 4) 아이라이너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39.0
2. 실리콘 화합물〔III〕 3.0
3. 유기실리콘수지(주1) 15.0
4.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염변성 몬모릴로나이트 3.0
5. 메틸하이드로젠폴리실록산처리 흑산화철 10.0
6. 1,3-부틸렌글리콜 5.0
7. 데하이드로아세트산나트륨 적량
8. 방부제 적량
9.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F-7312J
(제조방법)
A: 성분1~4를 혼합하고, 성분5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분산하였다.
B: 성분6~9를 혼합하였다.
C: B를 A에 서첨하여 유화하고, 아이라이너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아이라이너는, 퍼짐이 가벼워 그리기 쉽고, 청량감이 있어 산뜻하고, 나아가 끈적임이 없는 사용감이었다. 또한, 온도변화나 경시에 따른 변화도 없고, 사용성도 안정성도 매우 우수하며, 내수성, 내한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 화장유지도 매우 좋은 것이 확인되었다.
(처방예 5) 파운데이션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45.0
2. 디메틸폴리실록산(6mm2/s(25℃)) 5.0
3. 실리콘 화합물〔I〕 3.5
4. 옥타데실디메틸벤질암모늄염변성 몬모릴로나이트
1.5
5. 하이브리드실리콘복합분체(주1) 2.0
6.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티콘(주2) 처리산화철
2.5
7. 트리에톡시실릴에틸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헥실디메티콘(주2) 처리산화티탄
7.5
8. 디프로필렌글리콜 5.0
9.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3
10. 향료 적량
11.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P-105
(주2)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F-9909
(제조방법)
A: 성분1~4를 가열혼합하고, 성분5~7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B: 성분8~9 및 11을 용해하였다.
C: 교반하, A에 B를 서첨하여 유화하고, 냉각한 후 성분10을 첨가하여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운데이션은, 살결이 부드러운데다가, 퍼짐 발림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기름기가 없으며, 부드러운 사용감임과 동시에 피부의 형태보정효과도 있고, 화장유지도 좋아, 온도변화나 경시에 따른 변화가 없어,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처방예 6) 크림아이섀도우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5.0
2. 디메틸폴리실록산(6mm2/s(25℃)) 4.0
3. 아크릴실리콘수지(주1) 5.0
4. 실리콘 화합물〔III〕 1.5
5. 아크릴실리콘수지처리 안료(주2) 16.0
6. 염화나트륨 2.0
7. 프로필렌글리콜 8.0
8. 방부제 적량
9.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P-545L
(주2)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P-574처리
<화장료의 조제>
A: 성분1~4를 혼합하고, 성분5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 분산하였다.
B: 성분6~9를 혼합하였다.
C: B를 A에 첨가하여 유화해서, 크림아이섀도우를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아이섀도우는, 퍼짐 발림이 가볍고 기름기나 가루날림이 없으며, 유지도 좋았다.
(처방예 7) 선컷크림
(성분) 질량(%)
1. 가교형 글리세린변성 실리콘(주1) 3.0
2.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2) 2.0
3. 실리콘 화합물〔II〕 1.0
4. 아크릴실리콘수지(주3) 7.0
5.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5.5
6. 메톡시계피산옥틸 6.0
7. 아크릴실리콘수지용해품(주4) 10.0
8. 친유화처리 미립자산화아연(주5) 20.0
9. 1,3-부틸렌글리콜 2.0
10. 구연산나트륨 0.2
11. 염화나트륨 0.5
12. 향료 적량
13.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840
(주2)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15
(주3)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F-545
(주4)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P-575
(주5) 신에쯔화학공업(주)제: AES-3083처리
<화장료의 조제>
A: 성분5의 일부에 성분7을 더하여 균일하게 하고, 성분8을 첨가하여 비즈밀로 분산하였다.
B: 성분1~4 및 성분5의 잔부, 성분6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성분9~11, 및 성분13을 혼합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D: C를 B에 첨가하여 유화하고, A 및 성분12를 첨가하여 선컷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컷크림은, 끈적임이 없고 퍼짐 발림이 가벼우며, 기름기가 없어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유지도 양호하였다.
(처방예 8) 선컷크림
(성분) 질량(%)
1. 가교형 글리세린변성 실리콘(주1) 2.0
2.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2) 3.0
3. 실리콘 화합물〔V〕 1.5
4. 아크릴실리콘수지(주3) 4.5
5.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5.8
6.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1.2
7. 산화티탄분산물(주4) 20.0
8. 산화아연분산물(주5) 15.0
9. 1,3-부틸렌글리콜 5.0
10. 구연산나트륨 0.2
11. 염화나트륨 0.5
12.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810
(주2)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15
(주3)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P-549
(주4) 신에쯔화학공업(주)제: SPD-T6
(주5) 신에쯔화학공업(주)제: SPD-Z6
<화장료의 조제>
A: 성분1~8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9~12를 혼합하였다.
C: B를 A에 첨가하여 유화해서, 선컷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컷크림은, 끈적임이 없고, 퍼짐 발림이 가벼우며, 기름기가 없고, 화장유지도 좋았다.
(처방예 9) 선탠크림
(성분) 질량(%)
1. 알킬변성 가교형 글리세린변성 실리콘(주1) 4.0
2. 알킬변성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2) 2.0
3. 실리콘 화합물〔III〕 1.0
4. 유기실리콘수지(주3) 5.0
5.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5
6. 스테아릴변성 아크릴실리콘(주4) 1.0
7. 디메틸옥틸파라아미노안식향산 1.5
8.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1.5
9. 카올린 0.5
10. 안료 8.0
11. 산화티탄코티드마이카 8.0
12. 디옥타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1
13. L-글루타민산나트륨 3.0
14. 1,3-부틸렌글리콜 5.0
15. 구연산나트륨 0.2
16. 염화나트륨 0.5
17. 산화방지제 적량
18. 방부제 적량
19. 향료 적량
20.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820
(주2)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42
(주3)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F-7312J
(주4)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P-561P
<화장료의 조제>
A: 성분1~8 및 17, 18을 가열혼합하였다.
B: 성분12 및 20의 일부를 가열교반후, 성분9~11을 첨가하고 분산처리하였다.
C: 성분13~16 및 20의 잔부를 균일용해하고, B와 혼합하였다.
D: 교반하, A에 C를 서첨하여 유화하고, 냉각하여 성분19를 첨가해서 선탠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선탠크림은, 살결이 부드러우며, 퍼짐 발림이 가벼워 끈적임이나 기름기가 없고,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유지도 좋았다.
(처방예 10) 헤어크림
(성분)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6.0
2. 메틸페닐폴리실록산(주1) 2.0
3. 유기실리콘수지(주2) 4.0
4. 스쿠알란 5.0
5. 아크릴실리콘수지(주3) 2.0
6.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솔비탄 1.5
7. 실리콘 화합물〔VI〕 2.0
8. 솔비톨황산나트륨 2.0
9. 콘드로이틴황산나트륨 1.0
10. 히알루론산나트륨 0.5
11. 프로필렌글리콜 3.0
12. 방부제 1.5
13. 비타민E 아세테이트 0.1
14. 산화방지제 적량
15. 향료 적량
16.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F-54
(주2)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F-7312T
(주3)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P-545
<화장료의 조제>
A: 성분1~7, 성분12~14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8~11, 및 16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교반하, A에 B를 서첨하여 유화하고, 성분15를 첨가하여, 헤어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헤어크림은, 기름기가 없고, 퍼짐 발림이 가벼우며, 내수성, 발수성, 내한성이 있어 유지도 좋았다.
(처방예 11) O/W형 크림
(성분) 질량(%)
1.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1) 8.0
2. 가교형 메틸페닐폴리실록산(주2) 2.0
3.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5.0
4. 디프로필렌글리콜 7.0
5. 글리세린 5.0
6. 메틸셀룰로오스(2%수용액)(주3) 7.0
7.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유화제(주4) 2.0
8. 실리콘 화합물〔IV〕 0.5
9. 구아닌 1.0
10. 방부제 0.1
11. 향료 0.1
12. 정제수 잔량
합계 100.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16
(주2)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18A
(주3) 신에쯔화학공업(주)제: 메토로스 SM-4000
(주4) 세픽사제: 세피겔 305
<화장료의 조제>
A: 성분1~3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4~10, 및 12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교반하, A를 B에 서첨하여 유화하고, 성분11을 첨가하여, 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크림은, 살결이 부드러우며, 퍼짐 발림이 가볍고 끈적임이나 기름기가 없는데다가 촉촉하게 윤이 나고,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화장유지도 매우 좋고, 온도변화나 경시에 따른 변화가 없어 안정성이 우수한 O/W형 크림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방예 12) O/W에몰리언트크림
(성분) 질량(%)
1.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1) 7.0
2. 가교형 디메틸폴리실록산(주2) 30.0
3. 아크릴실리콘수지(주3) 3.0
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8.0
5. 1,3-부틸렌글리콜 4.0
6. 분지형 폴리글리세린변성 실리콘(주4) 0.6
7. 실리콘 화합물〔IV〕 0.3
8. (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Na) 코폴리머(주5)
0.6
9. 아크릴산디메틸타우린암모늄/VP코폴리머(주6)
0.7
10. 염화나트륨 0.1
11. 정제수 45.7
합계 100.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15
(주2)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G-16
(주3)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P-545
(주4)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F-6104
(주5) 세픽사제: 시멀겔 600
(주6) 클라리언트사제: 아리스토플렉스 AVC
<화장료의 조제>
A: 성분1~4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5~11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C: 교반하, B에 A를 서첨하여 혼합해서, O/W에몰리언트크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O/W에몰리언트크림은, 기름기가 없어 바슬바슬하며, 퍼짐 발림이 가볍고, 피부를 지키는 효과가 지속되었다.
(처방예 13) 립스틱
(성분) 질량(%)
1. 캔데릴라왁스 8.0
2. 폴리에틸렌왁스 8.0
3. 장쇄알킬함유 아크릴실리콘수지(주1) 12.0
4. 메틸페닐폴리실록산(주2) 3.0
5.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20.0
6. 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16.0
7. 실리콘 화합물〔III〕 0.5
8. 옥타데실디메틸벤질암모늄염변성 몬모리나이트(モンモリナイト)
0.5
9. 트리이소스테아르산폴리글리세릴 27.3
10. 실리콘처리 적색202(주3) 0.8
11. 실리콘처리 벵갈라(주3) 1.5
12. 실리콘처리 황산화철(주3) 1.0
13. 실리콘처리 흑산화철(주3) 0.2
14. 실리콘처리 산화티탄(주3) 1.0
15. 방부제 0.1
16. 향료 0.1
합계 100.0
(주1)신에쯔화학공업(주)제: KP-561P
(주2)신에쯔화학공업(주)제: KF-54
(주3)신에쯔화학공업(주)제: KP-541
<화장료의 조제>
A: 성분1~8 및 9의 일부를 가열혼합하여 용해하였다.
B: 성분10~16, 및 9의 잔부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A에 더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립스틱은, 표면의 광택이 있고, 퍼짐이 가벼우며 기름기나 가루날림이 없는데다가,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또한, 내수성이나 발수성이 양호하고 유지도 좋아, 안정성도 우수한 것이었다.
(처방예 14) 파우더파운데이션
(성분) 질량(%)
1. 바세린 2.5
2. 스쿠알란 3.0
3. 실리콘 화합물〔VI〕 0.5
4. 트리옥탄산글리세릴 2.0
5. 실리콘처리 마이카(주1) 40.0
6. 실리콘처리 탈크(주1) 22.2
7. 실리콘처리 산화티탄(주1) 10.0
8. 실리콘처리 미립자산화티탄(주1) 5.0
9. 실리콘처리 황산바륨(주1) 10.0
10. 안료 0.1
11. 페닐변성 하이브리드실리콘복합분체(주2) 2.0
12. 실리콘분체(주3) 2.5
13. 방부제 0.1
14. 향료 0.1
합계 100.0
(주1)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P-541
(주2)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SP-300
(주3) 신에쯔화학공업(주)제: KMP-590
<화장료의 조제>
A: 성분5~12를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B: 성분1~4 및 13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A에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C: 성분14를 첨가한 후, 금형에 프레스성형하여 파우더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파우더파운데이션은, 끈적임이 없고, 퍼짐 발림도 가벼우며, 게다가, 밀착감이 우수하고, 화장유지가 우수한, 광택이 있는 마무리가 얻어지는 파우더파운데이션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어떠한 것이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함유된다.

Claims (4)

  1. 하기 평균조성식(1)로 표시되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합물.
    R1 aR2 bR3 cR4 dSiO(4-a-b-c-d)/2 (1)
    (상기 평균조성식(1) 중, a, b, c, d는 각각, 1.0≤a≤2.5, 0.001≤b≤1.5, 0.001≤c≤1.5, 0≤d≤1.0이며,
    R1은 탄소수 1~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불소치환 알킬기, 및, 일반식(2)-ClH2l-O-R5로 표시되는 유기기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서로 동종 또는 이종의 유기기이며,
    (식 중, R5는 수소원자, 탄소수 4~30의 탄화수소기, 또는 R6-(CO)-로 표시되는 유기기이며, R6은 탄소수 1~30의 탄화수소기이며, l은 0≤l≤15의 정수이다.)
    R2는 일반식(3)-Y-O-X로 표시되는 기이며(식 중, Y는 에테르결합 및 에스테르결합의 적어도 일방을 함유할 수도 있는 탄소수 3~20의 이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수산기를 적어도 2개 갖는 다가 알코올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알콕시기 또는 에스테르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R3은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1가의 분지형 오가노실록산기이며,
    MoMR pDqDR rTsTR tQu (4)
    (식 중, M=R7 3SiO0.5, MR=R7 2R8SiO0.5, D=R7 2SiO, DR=R7R8SiO, T=R7SiO1.5, TR=R8SiO1.5, Q=SiO2, R7은 탄소수 1~30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및 불소치환 알킬기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동종 또는 이종의 유기기이며, R8은 -CnH2n-로 표시되는 유기기이다. n은 1≤n≤5의 정수이고, o는 1 이상의 정수, q 및 s는 각각 0 이상의 정수이며, p, r, t, u는 각각 0 또는 1이다. 단, s, t 및 u가 동시에 0이 되는 일은 없고, p, r 및 t의 합계는 1이며, q=0일 때, o는 2 이상이고 또한 s와 u의 합계가 1 이상이다.)
    R4는 하기 일반식(5) 또는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1가의 오가노실록산기이다.
    MMRDv1 (5)
    Mw Dv1DR v2TR v3 (6)
    (식 중, M, MR, D, DR, TR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v1은 0≤v1≤500, v2와 v3은 각각 0 또는 1의 수이다. 단, v2와 v3의 합계는 1이며, v1과 v3이 동시에 1 이상이 되는 일은 없다. w는 2~3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구조식(1-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00014

    (상기 구조식(1-1) 중, R1, R2, R3, R4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R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고, R1, R2, R3, R4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다. a1은 0~1000, b1은 0~200, c1은 0~200, d1은 0~100의 범위의 수이다. 단, b1=0일 때, R의 적어도 일방은 R2이며, c1=0일 때, R의 적어도 일방은 R3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4) 중의 p가 p=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197001137A 2016-07-14 2017-04-17 신규 실리콘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KR102198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9063 2016-07-14
JP2016139063A JP6546127B2 (ja) 2016-07-14 2016-07-14 新規シリコーン化合物およびこれを含む化粧料
PCT/JP2017/015406 WO2018012072A1 (ja) 2016-07-14 2017-04-17 新規シリコーン化合物およびこれを含む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702A true KR20190028702A (ko) 2019-03-19
KR102198336B1 KR102198336B1 (ko) 2021-01-05

Family

ID=6095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137A KR102198336B1 (ko) 2016-07-14 2017-04-17 신규 실리콘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87544B2 (ko)
EP (1) EP3492514B1 (ko)
JP (1) JP6546127B2 (ko)
KR (1) KR102198336B1 (ko)
CN (1) CN109476847B (ko)
WO (1) WO2018012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7558A (zh) 2018-03-16 2020-10-30 信越化学工业株式会社 化妆料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732A (ja) 1984-10-03 1986-05-08 ツエ−ハ−.ゴ−ルドシユミツ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ポリシロキサン−共重合体を、水/油−型エマルジヨンの製造用乳化剤として用いる方法
JPS61293904A (ja) 1985-05-20 1986-12-24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S61293903A (ja) 1985-05-20 1986-12-24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S62187406A (ja) 1986-02-13 1987-08-15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S62215510A (ja) 1986-03-18 1987-09-22 Shiseido Co Ltd 乳化組成物
JPS62216635A (ja) 1986-03-18 1987-09-24 Shiseido Co Ltd 油中水および多価アルコ−ル型乳化組成物
JPH04108795A (ja) 1990-08-30 1992-04-09 Kao Corp 新規シロキサ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1039819A (ja) 1999-07-30 2001-02-13 Shin Etsu Chem Co Ltd 新規シリコーン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JP2002179798A (ja) 2000-12-08 2002-06-26 Shin Etsu Chem Co Ltd 多価アルコール変性シリコーン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4169015A (ja) * 2002-11-01 2004-06-17 Shin Etsu Chem Co Ltd 粉体組成物及び油中粉体分散物.並びにそれらを有する化粧料
JP2005232088A (ja) * 2004-02-19 2005-09-02 Kose Corp 水中油型化粧料
JP2005344076A (ja) 2004-06-07 2005-12-15 Shin Etsu Chem Co Ltd Aba型グリセリン変性シリコーン
JP2006218472A (ja) 2005-01-17 2006-08-24 Shiseido Co Ltd 粉体分散安定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粉体分散組成物
JP2010253472A (ja) * 2009-04-16 2010-11-11 Evonik Goldschmidt Gmbh グリセリン変性有機ポリシロキサンを含む乳化剤
JP2013151657A (ja) * 2011-12-27 2013-08-08 Dow Corning Toray Co Ltd 新規な共変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それを含有してなる処理剤および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10967T3 (es) 1990-08-30 1998-03-01 Kao Corp Producto derivado de polisiloxano, utilizacion como emulsionante y preparaciones cosmeticas.
JP4949550B2 (ja) * 2000-12-11 2012-06-1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
JP4490817B2 (ja) * 2002-09-12 2010-06-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重合物及びペースト状組成物並びにその組成物を用いた化粧料
US7998903B2 (en) 2004-05-19 2011-08-16 Shin-Etsu Chemical Co., Ltd. Glycerol-modified silicone spreading agent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8080239B2 (en) 2005-01-17 2011-12-20 Shiseido Co., Ltd. Cosmetic
KR101014618B1 (ko) * 2005-01-17 2011-02-16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화장료
CN102666663A (zh) * 2009-10-23 2012-09-12 道康宁东丽株式会社 新的有机聚硅氧烷共聚物
CN103079538B (zh) * 2010-07-30 2016-05-25 道康宁东丽株式会社 包含共改性的有机聚硅氧烷的毛发用化妆品
EP2914241B1 (en) * 2012-11-02 2018-10-03 Dow Silicones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hydrophilic organosilanes
KR102270897B1 (ko) * 2013-06-13 2021-07-01 듀폰 도레이 스페셜티 머티리얼즈 가부시키가이샤 장쇄 탄화수소기 함유 다이글리세린 유도체 변성 실리콘 및 그 이용
JP6480309B2 (ja) * 2015-11-16 2019-03-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シリコーン化合物およびこれを含む化粧料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732A (ja) 1984-10-03 1986-05-08 ツエ−ハ−.ゴ−ルドシユミツ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ポリシロキサン−共重合体を、水/油−型エマルジヨンの製造用乳化剤として用いる方法
JPS61293904A (ja) 1985-05-20 1986-12-24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S61293903A (ja) 1985-05-20 1986-12-24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S62187406A (ja) 1986-02-13 1987-08-15 Shiseido Co Ltd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S62215510A (ja) 1986-03-18 1987-09-22 Shiseido Co Ltd 乳化組成物
JPS62216635A (ja) 1986-03-18 1987-09-24 Shiseido Co Ltd 油中水および多価アルコ−ル型乳化組成物
JPH04108795A (ja) 1990-08-30 1992-04-09 Kao Corp 新規シロキサ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1039819A (ja) 1999-07-30 2001-02-13 Shin Etsu Chem Co Ltd 新規シリコーン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JP2002179798A (ja) 2000-12-08 2002-06-26 Shin Etsu Chem Co Ltd 多価アルコール変性シリコーン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2004169015A (ja) * 2002-11-01 2004-06-17 Shin Etsu Chem Co Ltd 粉体組成物及び油中粉体分散物.並びにそれらを有する化粧料
JP2005232088A (ja) * 2004-02-19 2005-09-02 Kose Corp 水中油型化粧料
JP2005344076A (ja) 2004-06-07 2005-12-15 Shin Etsu Chem Co Ltd Aba型グリセリン変性シリコーン
JP2006218472A (ja) 2005-01-17 2006-08-24 Shiseido Co Ltd 粉体分散安定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粉体分散組成物
JP2010253472A (ja) * 2009-04-16 2010-11-11 Evonik Goldschmidt Gmbh グリセリン変性有機ポリシロキサンを含む乳化剤
JP2013151657A (ja) * 2011-12-27 2013-08-08 Dow Corning Toray Co Ltd 新規な共変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それを含有してなる処理剤および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2072A1 (ja) 2018-01-18
CN109476847A (zh) 2019-03-15
EP3492514B1 (en) 2023-05-10
CN109476847B (zh) 2021-06-22
EP3492514A4 (en) 2020-06-03
JP6546127B2 (ja) 2019-07-17
EP3492514A1 (en) 2019-06-05
US20190211156A1 (en) 2019-07-11
US10787544B2 (en) 2020-09-29
JP2018009100A (ja) 2018-01-18
KR102198336B1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0309B2 (ja) 新規シリコーン化合物およびこれを含む化粧料
JP4949550B2 (ja) 化粧料
JP3678420B2 (ja) 粘度鉱物を有する化粧料
JP2004169015A (ja) 粉体組成物及び油中粉体分散物.並びにそれらを有する化粧料
KR102566065B1 (ko) 경화 실리콘 입자, 이를 배합한 화장료
JP2003292415A (ja) 化粧料
KR20130126525A (ko) 블록형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사용 방법, 화장료 및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제조 방법
KR20060037267A (ko) 화장료
JP2009185296A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その製法ならびに該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20190096809A (ko) (메타)아크릴실리콘계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13730A (ja) 化粧料
JP2017197490A (ja) 乳化化粧料
JP2002179797A (ja) シリコーン分岐型ポリエーテル変性シリコーン化合物の製造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化合物を含有する化粧料
JP5570841B2 (ja) フッ素変性シリコーンを含有する化粧料
JP5345309B2 (ja) 化粧料
KR102198336B1 (ko) 신규 실리콘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KR102674461B1 (ko) 신규 실리콘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화장료
JP6875256B2 (ja) 化粧料の製造方法
JP6923487B2 (ja) 分散性粉体
JP2015113344A (ja) 化粧料
WO2023223800A1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及び粉体処理剤、並びに該粉体処理剤で処理された処理粉体及び化粧料
JP2899964B2 (ja) パーフルオロアルキル化合物
WO2019093019A1 (ja) 化粧料
KR20200067155A (ko) 요소기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 요소기함유 오가노폴리실록산의 제조방법, 및 화장료
JP2009084188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