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363A -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363A
KR20190008363A KR1020187036744A KR20187036744A KR20190008363A KR 20190008363 A KR20190008363 A KR 20190008363A KR 1020187036744 A KR1020187036744 A KR 1020187036744A KR 20187036744 A KR20187036744 A KR 20187036744A KR 20190008363 A KR20190008363 A KR 20190008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granular material
head
conveying
io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이와사
구니토시 마츠다
고다이 다카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190008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11Pre-treatment or treatment during printing of the recording material, e.g. heating,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41M5/0047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by ink-j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82Digital 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 B41M5/0088Digital 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by ink-jet prin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이 인쇄 장치는 반송 기구 (30) 와, 헤드 (721) 와, 이오나이저 (71) 를 갖는다. 반송 기구 (30) 는, 유지부 (62) 에 입상물 (9) 을 유지하면서,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헤드 (721) 는, 잉크 액적을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갖고, 반송 기구 (30) 에 의해 반송되는 입상물 (9) 의 표면을 향하여 잉크 액적을 토출하여 인쇄 처리를 실시한다. 이오나이저 (71) 는, 헤드 (721) 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 (711) 를 갖는다. 이오나이저 (71) 는, 입상물 (9) 의 주위를 부유하는 부유분에 대해 이온을 공급한다. 이로써, 부유분을 제전하여, 대전된 부유분에서 기인하여 인쇄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입상물의 표면에 대해 인쇄 처리를 실시하는 잉크젯 방식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부유분에서 기인하는 인쇄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본 발명은, 정제나 정과 등의 입상물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인 정제의 표면에는, 제품을 식별하기 위한 문자나 코드가 인자된다. 또, 정과에는, 마크나 일러스트레이션이 인쇄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잉크젯식의 인쇄 장치를 사용하여 정제나 정과 등의 입상물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인쇄 장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인쇄 장치에서는, 반송 기구 (반송 컨베이어)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에 대해 잉크젯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시켜, 정제에 인쇄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3711호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입상물의 주위에는, 분상 (粉狀) 의 물질이 부유하는 경우가 있다. 입상물의 주위를 부유하는 분상의 물질을, 이하에서는 「부유분 (浮游粉)」이라고 한다. 특히, 입상물이 소정 (素錠) (나정 (裸錠)) 이나 라무네 과자인 경우, 분말을 원료로 하여 입상물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상물을 구성하는 분말이 부유분이 될 우려가 있다. 또, 입상물끼리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입상물의 표면에 분말이 묻어 있는 경우, 당해 분말이 부유분이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부유분이 정전기를 띠면, 잉크젯 헤드의 노즐 부근에 부유분이 부착되어, 잉크의 토출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노즐 부근에 부착된 부유분은, 예를 들어, 노즐이 막혀 잉크의 토출을 방해하는, 소위 노즐 결함을 일으키거나, 잉크의 토출 방향을 변화시켜 잉크의 착탄 위치를 어긋나게 하거나 한다. 한편, 노즐과 입상물 사이에 대전된 부유분이 존재함으로써, 정전기의 영향에 의해 토출 후의 잉크의 궤도가 변화하여 잉크의 착탄 위치를 어긋나게 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부유분의 대전에 의해, 인쇄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잉크젯 방식의 인쇄 장치에 있어서, 부유분에서 기인하는 인쇄 품질의 저하를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의 제 1 발명은, 입상물의 표면에 대해, 잉크젯식의 헤드에 의해 인쇄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인쇄 장치로서, 유지부에 상기 입상물을 유지하면서,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잉크 액적을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갖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입상물의 표면을 향하여 상기 잉크 액적을 토출하여 인쇄 처리를 실시하는 잉크젯식의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갖는 이오나이저를 갖고,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입상물의 주위를 부유하는 부유분에 대해 이온을 공급한다.
본원의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인쇄 장치로서, 상기 헤드의 상류측 단부 (端部) 와, 상기 이온 발생부의 반송 방향의 거리는, 150 ㎜ 이하이다.
본원의 제 3 발명은,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인쇄 장치로서, 상기 유지부와, 상기 이온 발생부의 높이 방향의 거리는, 150 ㎜ 이하이다.
본원의 제 4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인쇄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이오나이저를 갖고, 복수의 상기 이오나이저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본원의 제 5 발명은,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인쇄 장치로서, 상기 입상물은, 정제이고 또한 소정이다.
본원의 제 6 발명은,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입상물의 표면에 대해, 잉크젯식의 헤드에 의해 인쇄 처리를 실시하는 인쇄 방법으로서, a) 이오나이저의 이온 발생부로부터 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입상물 주위의 부유분에 대해 이온을 공급하는 공정과, b) 상기 이오나이저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의 표면을 향하여, 상기 헤드의 복수의 노즐로부터 잉크 액적을 토출하여 인쇄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갖는다.
본원의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의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헤드의 상류측 단부와, 상기 이온 발생부의 반송 방향의 거리는, 150 ㎜ 이하이다.
본원의 제 8 발명은, 제 6 발명 또는 제 7 발명의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 a) 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과, 상기 이온 발생부의 높이 방향의 거리는, 150 ㎜ 이하이다.
본원의 제 9 발명은, 제 6 발명 내지 제 8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의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입상물은, 정제이고 또한 소정이다.
본원의 제 1 발명 ∼ 제 9 발명에 의하면, 부유분을 효율적으로 제전 (除電)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전된 부유분에서 기인하여 인쇄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제 2 발명, 제 3 발명, 제 7 발명 및 제 8 발명에 의하면, 부유분의 제전 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대전된 부유분에서 기인하는 인쇄 불량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인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반송 드럼 부근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인쇄부의 하면도이다.
도 4 는 제어부와 인쇄 장치 내의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 는 인쇄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은 이오나이저의 위치와, 노즐에 대한 부유분의 부착 상황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이오나이저의 위치와, 노즐에 대한 부유분의 부착 상황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입상물이 반송되는 방향을 「반송 방향」이라고 하고, 반송 방향에 대해 수직 또한 수평인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한다.
<1. 인쇄 장치의 구성>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인쇄 장치 (1) 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인쇄 장치 (1) 는, 의약품인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하면서, 각 정제 (9) 의 표면에, 제품명, 제품 코드, 회사명, 로고 마크 등의 문자나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정제 (9) 는, 소정 (나정) 이어도 되고, 필름 코팅정 (FC 정) 등의 코팅정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에는, 구강내 붕괴정 (OD 정) 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정제 (9) 는, 경캡슐제 및 연캡슐제를 포함하는 캡슐제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인쇄 장치의 인쇄 대상은 정제에 한정되지 않고, 라무네 등의 정과여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인쇄 장치 (1) 는, 공급 기구 (20), 반송 기구 (30), 인쇄부 (40), 검사 기구 (50) 및 제어부 (10) 를 갖는다.
공급 기구 (20) 는, 호퍼 (21), 직진 피더 (22), 회전 피더 (23) 및 경사 피더 (24) 를 갖는다. 공급 기구 (20) 는, 장치 내에 투입된 정제 (9) 를, 반송 기구 (30) 로 건네주기 위한 기구이다.
호퍼 (21) 는, 다수의 정제 (9) 를 일괄로 장치 내에 수용하기 위한 투입부이다. 호퍼 (21) 는, 인쇄 장치 (1) 의 케이싱 (100) 의 최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호퍼 (21) 는, 케이싱 (100) 의 상면에 위치하는 개구부 (211) 와,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수속되는 깔때기상의 경사면 (212) 을 갖는다. 개구부 (211) 에 투입된 복수의 정제 (9) 는, 경사면 (212) 을 따라 직진 피더 (22) 에 흘러 들어간다.
직진 피더 (22), 회전 피더 (23) 및 경사 피더 (24) 는, 호퍼 (21) 에 투입된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 기구 (30) 까지 반송하는 기구이다. 직진 피더 (22) 는, 평판상의 진동 트로프 (221) 를 갖는다. 호퍼 (21) 로부터 진동 트로프 (221) 에 공급된 복수의 정제 (9) 는, 진동 트로프 (221) 의 진동에 의해, 회전 피더 (23) 측으로 반송된다.
회전 피더 (23) 는, 원판상의 회전대 (231) 를 갖는다. 진동 트로프 (221) 로부터 회전대 (231) 의 상면으로 낙하한 복수의 정제 (9) 는, 회전대 (231) 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회전대 (231) 의 외주부 부근으로 모인다.
경사 피더 (24) 는, 회전대 (231) 의 외주부에서부터 반송 기구 (30) 의 후술하는 반송 드럼 (31) 까지,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판상의 슬로프 (241) 를 갖는다. 도 2 는, 경사 피더 (24) 의 일부, 반송 드럼 (31) 및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의 일부를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로프 (241) 의 상면에는, 복수의 반송홈 (242)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의 예에서는, 슬로프 (241) 의 상면에는, 8 개의 반송홈 (242) 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대 (231) 의 외주부로 반송된 복수의 정제 (9) 는, 각각, 복수의 반송홈 (242) 중 어느 1 개에 공급되고, 반송홈 (242) 을 따라 하향으로 경사지게 흘러 떨어진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정제 (9) 는, 복수의 반송홈 (242) 에 분산 공급됨으로써, 복수의 반송열로 정렬된다. 그리고, 각 반송열의 복수의 정제 (9) 가, 선두의 것부터 순서대로 반송 드럼 (31) 으로 공급된다.
반송 기구 (30) 는, 반송 드럼 (31),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및 반출 컨베이어 (34) 를 갖는다.
반송 드럼 (31) 은, 경사 피더 (24) 로부터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로, 복수의 정제 (9) 를 건네주는 기구이다. 반송 드럼 (31) 은, 대략 원통 형상의 외주면을 갖는다. 반송 드럼 (31) 은, 도시를 생략한 모터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에 의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도 1 및 도 2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드럼 (31) 의 외주면에는,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흡착부 (310) 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흡착부 (310) 는, 경사 피더 (24) 의 반송홈 (242) 의 각각에 대응하는 폭 방향 위치에 있어서, 반송 드럼 (31) 의 외주면에 배열되어 있다.
흡착부 (310) 는 각각, 반송 드럼 (31) 의 표면에 형성된 관통공이다. 반송 드럼 (31) 의 내부에는, 도시를 생략한 흡인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흡인 기구를 동작시키면, 복수의 흡착부 (310) 의 각각에,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이 생긴다. 흡착부 (310) 는, 당해 부압에 의해, 경사 피더 (24) 로부터 공급되는 정제 (9) 를, 1 개씩 흡착 유지한다.
그리고, 반송 드럼 (31) 상에 있어서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흡착부 (310) 에는,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을 작용시킨다. 이로써, 당해 흡착부 (310)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된다. 반송 드럼 (31) 은, 이와 같이, 경사 피더 (24) 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정제 (9) 를 흡착 유지하면서 회전하며, 이들 정제 (9) 를,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에 건네준다. 반송 드럼 (31) 으로부터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에 정제 (9) 가 건네질 때, 반송 드럼 (31) 이 흡착 유지하는 정제 (9) 의 면과,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가 흡착 유지하는 정제 (9) 의 면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반송 드럼 (31) 에 유지되고 있는 동안과,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에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 정제 (9) 의 표리가 반전된다.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는, 1 쌍의 풀리 (61) 와, 반송 벨트 (62) 와, 도시를 생략한 흡인 기구를 갖는 제 1 반송부이다. 반송 벨트 (62) 는, 1 쌍의 풀리 (61) 사이에, 환상으로 걸쳐져 있다. 반송 벨트 (62) 의 일부분이, 반송 드럼 (31) 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1 쌍의 풀리 (61) 의 일방은, 도시를 생략한 모터로부터 얻어지는 동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반송 벨트 (62) 가, 도 1 및 도 2 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 (回動) 한다. 이 때, 1 쌍의 풀리 (61) 의 타방은, 반송 벨트 (62) 의 회동에 수반하여 종동 회전한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벨트 (62) 에는, 복수의 흡착부 (60) 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흡착부 (60) 는, 반송 드럼 (31) 의 흡착부 (310) 와 마찬가지로, 반송 벨트 (62) 의 표면에 형성된 관통공이다. 복수의 흡착부 (60) 는, 복수의 반송열의 각각에 대응하는 폭 방향 위치에 있어서, 반송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반송 벨트 (62) 에 있어서의 복수의 흡착부 (60) 의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의 간격은, 반송 드럼 (31) 에 있어서의 복수의 흡착부 (60) 의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의 간격과 동일하다.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는, 반송 드럼 (31) 과 마찬가지로, 도시를 생략한 흡인 기구를 갖는다. 흡인 기구는, 풀리 (61) 및 반송 벨트 (62) 의 내측의 공간에 부압을 일으킨다. 흡인 기구를 동작시키면, 복수의 흡착부 (60) 의 각각에, 대기압보다 낮은 부압이 생긴다. 흡착부 (60) 는, 당해 부압에 의해, 반송 드럼 (31) 으로부터 넘겨받은 정제 (9) 를, 1 개씩 흡착 유지한다. 이로써,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는, 복수의 흡착부 (60) 에 부압을 작용시켜, 복수의 정제 (9) 를,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흡착 유지하면서, 반송한다. 이와 같이, 반송 벨트 (62) 는, 정제 (9) 를 유지하는 유지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상에 있어서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흡착부 (60) 에는,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을 작용시킨다. 이로써, 당해 흡착부 (60)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는,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로 정제 (9) 를 건네준다.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로부터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에 정제 (9) 가 건네질 때,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가 흡착 유지하는 정제 (9) 의 면과,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가 흡착 유지하는 정제 (9) 의 면이 상이하다. 이 때문에,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에 유지되고 있는 동안과,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에 유지되고 있는 동안에, 정제 (9) 의 표리가 반전된다.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의 구성은,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와 거의 동등하다.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는,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와 마찬가지로, 1 쌍의 풀리 (61) 와, 반송 벨트 (62) 와, 도시를 생략한 흡인 기구를 갖는다.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의 구성 중,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와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의 하방에는,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와 반출 컨베이어 (34) 를 접속하는 슈트 (341) 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상에 있어서 슈트 (341) 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흡착부 (60) 에는, 대기압보다 높은 양압을 작용시킨다. 이로써, 당해 흡착부 (60)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흡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는, 슈트 (341) 안으로 정제 (9) 를 낙하시킨다. 이로써,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로부터 슈트 (341) 를 통해 반출 컨베이어 (34) 로 정제 (9) 가 건네진다.
반출 컨베이어 (34) 는, 인쇄 후의 복수의 정제 (9) 를, 인쇄 장치 (1) 의 케이싱 (100) 의 외부로 반출하는 기구이다. 반출 컨베이어 (34) 의 상류측의 단부는, 슈트 (341) 의 하방에 위치한다. 반출 컨베이어 (34) 의 하류측의 단부는, 케이싱 (100) 의 외부에 위치한다. 반출 컨베이어 (34) 의 하류측의 단부는, 예를 들어, 인쇄 처리 후의 정제 (9) 를 포장하는 포장 장치와 접속된다. 반출 컨베이어 (34) 에는, 예를 들어, 벨트 반송 기구가 사용된다.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로부터 반출 컨베이어 (34) 로 건네진 복수의 정제 (9) 는, 반출 컨베이어 (34) 에 의해, 케이싱 (100) 의 외부로 반출된다.
인쇄부 (40) 는, 제 1 인쇄부 (41) 와, 제 2 인쇄부 (42) 를 갖는다.
제 1 인쇄부 (41) 는, 정제 (9) 의 일방측의 표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처리부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인쇄부 (41) 는, 2 개의 이오나이저 (71) 와, 4 개의 헤드 (721) 를 갖는 헤드 유닛 (72) 을 갖는다. 도 3 은, 제 1 인쇄부 (41) 의 하면도이다. 도 3 에는, 반송 벨트 (62) 와, 반송 벨트 (62) 에 유지된 복수의 정제 (9) 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2 개의 이오나이저 (71) 는, 각각, 4 개의 헤드 (721) 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이오나이저 (71) 는,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킨다. 인쇄 처리 중에 이오나이저 (71) 를 구동시키면, 이오나이저 (71) 는, 반송 기구 (30) 의 반송 벨트 (62) 상에 유지된 정제 (9) 의 주위를 부유하는 부유분에 대해 이온을 공급한다. 이로써, 이오나이저 (71) 는, 당해 부유분을 제전한다. 이오나이저 (71) 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헤드 유닛 (72) 이 갖는 4 개의 헤드 (721) 는 각각, 반송 기구 (30)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의 표면을 향하여 잉크 액적을 토출하여 인쇄 처리를 실시하는 잉크젯식의 헤드이다. 4 개의 헤드 (721) 는, 서로 상이한 색의 잉크 액적을 토출한다. 4 개의 헤드 (721) 는, 예를 들어, 시안, 마젠타, 옐로 및 블랙의 각 색의 잉크 액적을 토출한다. 이들 각 색에 의해 형성되는 단색 화상의 중첩에 의해, 정제 (9) 의 표면에, 다색 화상이 기록된다. 또한, 각 헤드 (721) 로부터 토출되는 잉크에는, 예를 들어, 식품 위생법에서 인가된 원료에 의해 제조된 가식성 (可食性) 잉크가 사용된다.
도 3 중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721) 의 하면에는, 잉크 액적을 토출 가능한 복수의 노즐 (720)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 (721) 의 하면에, 복수의 노즐 (720) 이 반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2 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노즐 (720) 은, 폭 방향으로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노즐 (720) 을 2 차원적으로 배치하면, 각 노즐 (720) 의 폭 방향의 위치를 서로 접근시킬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노즐 (720) 은,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어 있어도 된다.
노즐 (720) 로부터의 잉크 액적의 토출 방식에는, 예를 들어, 압전 소자인 피에조 소자에 전압을 가하여 변형시킴으로써, 노즐 (720) 내의 잉크를 가압하여 토출시키는, 이른바 피에조 방식이 사용된다. 또한, 잉크 액적의 토출 방식은, 히터에 통전하여 노즐 (720) 내의 잉크를 가열 팽창시킴으로써 토출하는, 이른바 서멀 방식이어도 된다.
제 2 인쇄부 (42) 는, 정제 (9) 의 타방측의 면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제 2 인쇄부 (42) 의 구성은, 제 1 인쇄부 (41) 와 동등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검사 기구 (5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외관 검사 카메라 (51) 와, 제 2 외관 검사 카메라 (52) 와, 제 1 인쇄 검사 카메라 (53) 와, 제 3 외관 검사 카메라 (54) 와, 제 2 인쇄 검사 카메라 (55) 와, 불량품 회수부 (56) 를 갖는다.
제 1 외관 검사 카메라 (51) 는, 반송 드럼 (31)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의 타방측의 표면을 촬영한다. 제 2 외관 검사 카메라 (52) 는, 제 1 인쇄부 (41) 의 상류측에 있어서,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의 일방측의 표면을 촬영한다. 제 1 외관 검사 카메라 (51) 및 제 2 외관 검사 카메라 (52) 에 의해, 각 흡착부 (60) 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유무, 각 정제 (9) 의 형상 불량의 유무, 각 정제 (9) 의 방향 등이 검출된다.
제 1 인쇄 검사 카메라 (53) 는, 제 1 인쇄부 (41) 의 하류측에 있어서,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의 일방측의 표면을 촬영한다. 제 1 인쇄 검사 카메라 (53) 에 의해, 제 1 인쇄부 (41) 에 의한 인쇄 처리의 불량의 유무가 검출된다.
제 3 외관 검사 카메라 (54) 는, 제 2 인쇄부 (42) 의 상류측에 있어서,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의 타방측의 표면을 촬영한다. 제 3 외관 검사 카메라 (54) 에 의해,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의 각 흡착부에 있어서의 정제 (9) 의 형상 유무, 각 정제 (9) 의 불량의 유무, 각 정제 (9) 의 방향 등이 검출된다.
제 2 인쇄 검사 카메라 (55) 는, 제 2 인쇄부 (42) 의 하류측에 있어서,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 (9) 의 타방측의 표면을 촬영한다. 제 2 인쇄 검사 카메라 (55) 에 의해, 제 2 인쇄부 (42) 에 의한 인쇄 처리의 불량의 유무가 검출된다.
불량품 회수부 (56) 는, 상기의 5 개의 카메라 (51 ∼ 55) 에 의해 검출된 형상 불량 및 인쇄 불량이 있는 정제 (9) 를 회수한다. 불량품 회수부 (56) 는, 가압 기구 (도시 생략) 와 회수 상자 (561) 를 갖는다. 가압 기구가, 불량이 검출된 정제 (9) 를 유지하는 흡착부 (60) 에 대해,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의 내측으로부터 국소적으로 가압된 기체를 분사함으로써, 당해 정제 (9) 의 흡착을 해제한다. 이로써, 불량이 검출된 정제 (9) 가, 회수 상자 (561) 로 회수된다.
제어부 (10) 는, 인쇄 장치 (1) 내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4 는, 제어부 (10) 와, 인쇄 장치 (1) 내의 각 부의 접속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중에 개념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 (10) 는, CPU 등의 연산 처리부 (101), RAM 등의 메모리 (102),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기억부 (103) 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기억부 (103) 내에는, 인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 이나 데이터 (D) 가 인스톨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 (10) 는, 직진 피더 (22), 회전 피더 (23), 반송 드럼 (31) (모터, 흡인 기구를 포함한다), 제 1 반송 컨베이어 (32) (모터, 흡인 기구를 포함한다), 제 2 반송 컨베이어 (33) (모터, 흡인 기구를 포함한다), 반출 컨베이어 (34), 제 1 인쇄부 (41) 및 제 2 인쇄부 (42) 의 이오나이저 (71) 및 헤드 (721), 제 1 외관 검사 카메라 (51), 제 2 외관 검사 카메라 (52), 제 1 인쇄 검사 카메라 (53), 제 3 외관 검사 카메라 (54), 제 2 인쇄 검사 카메라 (55) 및 불량품 회수부 (56) 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 (10) 는, 기억부 (103) 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P) 이나 데이터 (D) 를 메모리 (102) 에 일시적으로 판독 출력하고,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 (P) 에 기초하여, 연산 처리부 (101) 가 연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의 각 부를 동작 제어한다. 이로써, 복수의 정제 (9) 에 대한 인쇄 처리가 진행된다.
<2. 인쇄부의 구성에 대하여>
다음으로, 인쇄부 (40) 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제 1 인쇄부 (41) 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오나이저 (71) 는, 반송 벨트 (62) 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이온 발생부 (711) 를 갖는다.
이오나이저 (71) 는, 방전에 의해, 이온 발생부 (711) 로부터 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오나이저 (71) 에는, 예를 들어, 주식회사 TRINC 의 TAS-112SPOT 이 사용된다. 이 이오나이저 (71) 는, 플러스 마이너스 양극의 방전침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을 실시하는, 이른바 양극형 직류 방식의 이오나이저이다. 이오나이저 (71) 를 구동시키면, 이오나이저 (71) 는, 이온 발생부 (711) 로부터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을 방출한다. 이로써, 반송 기구 (30) 의 반송 벨트 (62) 상에 유지된 정제 (9) 의 주위를 부유하는 부유분에 대해 이온을 공급한다. 이로써, 이오나이저 (71) 는, 당해 부유분을 제전한다.
정제 (9) 의 주위를 부유하는 부유분은, 정전기를 띠고 있다. 헤드 (721) 의 주위에 대전된 부유분이 부유하고 있으면, 부유분이 헤드 (721) 의 노즐 부근에 부착될 우려가 있다. 부유분이 노즐 (720) 부근에 부착되면, 노즐 막힘의 원인이 되거나, 노즐 (720) 로부터 토출되는 잉크 액적의 궤도에 영향을 주거나 한다. 이것들이, 인쇄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 노즐 (720) 과 정제 (9) 사이에 대전된 부유분이 부유하고 있으면, 노즐 (720) 로부터 정제 (9) 를 향하여 토출된 잉크 액적이 정전기에 의해 궤도를 변경하여, 인쇄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헤드 (721) 의 상류측에 이오나이저 (71) 를 배치하고, 헤드 (721) 바로 앞에서 부유분을 제전함으로써, 이와 같은 인쇄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여기에서, 정제 (9) 의 유지부인 반송 벨트 (62) 와, 이온 발생부 (711) 와의 높이 방향의 거리를 거리 (D1) 라고 한다. 또, 헤드 유닛 (72) 의 상류측 단부와, 이오나이저 (71) 의 이온 발생부 (711) 의 반송 방향의 거리를 거리 (D2) 라고 한다. 즉, 거리 (D2) 는, 헤드 유닛 (72) 의 가장 상류측의 헤드 (721) 의 상류측 단부와, 이온 발생부 (711) 의 반송 방향의 거리이다.
거리 (D1) 가 작을수록, 이온 발생부 (711) 와, 제전 대상인 부유분의 거리가 작아진다. 이로써, 부유분의 제전 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대전된 부유분에서 기인하는 인쇄 불량의 억제 효율이 향상된다. 또, 거리 (D2) 가 작을수록, 부유분의 제전 효과가 헤드 (721) 의 노즐 (720) 부근까지 계속되기 쉽다. 이로써, 대전된 부유분에서 기인하는 인쇄 불량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은, 이오나이저 (71) 의 위치와, 헤드 (721) 의 노즐 (720) 에 대한 부유분의 부착 상황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에는, 10 분간 연속해서 인쇄 처리를 실시한 경우의 「노즐 결함」 및 「단면 (端面) 오염」의 발생 상황이, 거리 (D1) 및 거리 (D2) 의 값마다 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정제를 대상으로 한 인쇄 장치에서는, 10 분마다 헤드 (721) 의 클리닝을 실시한다. 도 7 에는, 30 분간 연속해서 인쇄 처리를 실시한 경우의 「노즐 결함」 및 「단면 오염」의 발생 상황이, 거리 (D1) 및 거리 (D2) 의 값마다 표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서는, 거리 (D1) 를 50 ㎜, 100 ㎜ 및 150 ㎜ 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 거리 (D2) 를 50 ㎜, 100 ㎜, 150 ㎜ 및 180 ㎜ 로 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도 6 및 도 7 중, 「노즐 결함」의 란에서는, 노즐 (720) 에 부유분이 부착됨으로써, 토출 불량을 일으킨 노즐 (720) 의 개수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즐 결함이 「◎」는, 1 개의 헤드 (721) 중에, 노즐 결함을 일으킨 노즐 (720) 이 3 개 이내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노즐 결함이 「○」는, 1 개의 헤드 (721) 중에, 노즐 결함을 일으킨 노즐 (720) 이 8 개 이내인 것을 나타내고 있어, 사용 가능한 범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노즐 결함이 「△」는, 노즐 결함을 일으킨 노즐 (720) 이 8 개보다 많아,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범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도 7 중, 「단면 오염」의 란에서는, 노즐 (720) 의 단면에 대한 부유분의 부착 상황을 단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노즐 (720) 의 단면에 대한 부유분의 부착의 정도가 커지면, 노즐 (720) 로부터 토출되는 잉크 액적의 궤도가 벗어난다고 하는 토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단면 오염이 「◎」는, 노즐 (720) 의 단면에 대한 부유분의 부착량이 충분히 작아, 잉크 액적의 궤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단면 오염이 「○」는, 노즐 (720) 의 단면에 대한 부유분의 부착량이 비교적 작아, 잉크 액적의 궤도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작아서 사용 가능한 범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단면 오염이 「△」는, 노즐 (720) 의 단면에 대한 부유분의 부착량이 비교적 커, 잉크 액적의 궤도에 주는 영향이 비교적 커서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범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 (D1) 및 거리 (D2) 가 작을수록, 노즐 결함이나 단면 오염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 (D1) 가 150 ㎜ 에 가까워짐에 따라, 노즐 (720) 에 대한 부유분의 부착에서 기인하는 인쇄 품질의 저하가 발생되기 쉽게 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 분간 연속해서 인쇄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거리 (D1) 를 1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리 (D2) 가 150 ㎜ 에 가까워짐에 따라, 노즐 (720) 에 대한 부유분의 부착에서 기인하는 인쇄 품질의 저하가 발생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거리 (D2) 를 15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거리 (D1) 및 거리 (D2) 를 각각 150 ㎜ 이하로 함으로써, 부유분의 제전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어, 인쇄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0 분간 연속해서 인쇄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거리 (D1) 및 거리 (D2) 를 각각 10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오나이저 (71) 를 이와 같은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헤드 (721) 의 클리닝 간격을 10 분마다에서 30 분마다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인쇄 처리의 효율이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이오나이저 (71) 가,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와 같이, 폭 방향으로 복수의 이오나이저 (71) 를 배치함으로써,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전 효과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의 이오나이저 (71) 는, 내장의 팬을 사용하여, 발생시킨 이온을 운반하기 위한 기류를 일으킬 수 있다. 인쇄 공정에 있어서, 당해 기류를 발생시켜도 되고, 당해 기류를 발생시키지 않아도 된다. 다만, 이오나이저 (71) 가 기류를 발생시키는 경우, 헤드 (721) 에 있어서의 잉크 액적의 토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 풍량으로 기류를 발생시킬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이 하면, 당해 기류에서 기인하여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으로 복수의 이오나이저 (71) 를 배치함으로써, 이오나이저 (71) 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의 풍량을 억제하면서, 반송 벨트 (62) 상의 반송 방향의 각 위치에, 충분한 양의 이온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이오나이저 (71) 의 수는, 1 개여도 되고,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정제 (9) 가 소정 (나정) 인 경우, 정제 (9) 가 코팅정인 경우와 비교하여, 부유분이 발생하기 쉽다. 이 때문에, 정제 (9) 가 소정 (나정) 인 경우, 본 발명의 제전 시스템을 갖는 인쇄 장치 (1) 는, 특히 유용하다.
<3.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주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인쇄 장치 (1) 는, 제 1 인쇄부 (41) 및 제 2 인쇄부 (42) 에 의해, 정제 (9) 의 양면에 인쇄를 실시하는 장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제 인쇄 장치는, 정제 (9) 의 편면에만 인쇄를 실시하는 장치여도 된다.
또, 인쇄 장치 (1) 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본원의 각 도면과 상이해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등장한 각 요소를,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1 : 인쇄 장치
9 : 정제
10 : 제어부
30 : 반송 기구
40 : 인쇄부
41 : 제 1 인쇄부
42 : 제 2 인쇄부
60 : 흡착부
62 : 반송 벨트
71 : 이오나이저
72 : 헤드 유닛
711 : 이온 발생부
720 : 노즐
721 : 헤드

Claims (9)

  1. 입상물의 표면에 대해, 잉크젯식의 헤드에 의해 인쇄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인쇄 장치로서,
    유지부에 상기 입상물을 유지하면서,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잉크 액적을 토출하는 복수의 노즐을 갖고, 상기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입상물의 표면을 향하여 상기 잉크 액적을 토출하여 인쇄 처리를 실시하는 잉크젯식의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방전에 의해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부를 갖는 이오나이저를 갖고,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입상물의 주위를 부유하는 부유분에 대해 이온을 공급하는, 인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상류측 단부와, 상기 이온 발생부의 반송 방향의 거리는, 150 ㎜ 이하인, 인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와, 상기 이온 발생부의 높이 방향의 거리는, 150 ㎜ 이하인, 인쇄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이오나이저를 갖고,
    복수의 상기 이오나이저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인쇄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정제이고 또한 소정인, 인쇄 장치.
  6.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입상물의 표면에 대해, 잉크젯식의 헤드에 의해 인쇄 처리를 실시하는 인쇄 방법으로서,
    a) 이오나이저의 이온 발생부로부터 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입상물 주위의 부유분에 대해 이온을 공급하는 공정과,
    b) 상기 이오나이저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의 표면을 향하여, 상기 헤드의 복수의 노즐로부터 잉크 액적을 토출하여 인쇄 처리를 실시하는 공정을 갖는, 인쇄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상류측 단부와, 상기 이온 발생부의 반송 방향의 거리는, 150 ㎜ 이하인, 인쇄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a) 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과, 상기 이온 발생부의 높이 방향의 거리는, 150 ㎜ 이하인, 인쇄 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정제이고 또한 소정인, 인쇄 방법.
KR1020187036744A 2016-09-27 2017-07-25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KR201900083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8679A JP6908981B2 (ja) 2016-09-27 2016-09-27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JP-P-2016-188679 2016-09-27
PCT/JP2017/026798 WO2018061431A1 (ja) 2016-09-27 2017-07-25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363A true KR20190008363A (ko) 2019-01-23

Family

ID=6175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744A KR20190008363A (ko) 2016-09-27 2017-07-25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08981B2 (ko)
KR (1) KR20190008363A (ko)
CN (1) CN109641452A (ko)
WO (1) WO2018061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5888B2 (en) 2018-03-19 2022-02-08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e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a plurality of captured images of a traveling surface where a moveable apparatus travels
JP7149169B2 (ja) * 2018-09-21 2022-10-06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7300261B2 (ja) * 2018-11-12 2023-06-29 アルテミラ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缶体の製造方法
JP7286243B2 (ja) * 2019-03-15 2023-06-05 株式会社京都製作所 錠剤搬送装置
JP7426207B2 (ja) * 2019-09-13 2024-02-0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7306929B2 (ja) * 2019-09-13 2023-07-1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搬送処理装置および搬送処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3711A (ja) 2011-06-09 2013-01-24 Kyoto Seisakusho Co Ltd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5589A (en) * 1987-02-06 1990-03-06 Ackley E Michael Ink-jet system for marking pellet-shaped articles
JPH11290806A (ja) * 1998-04-15 1999-10-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錠剤表面の粉取り装置
JP3979354B2 (ja) * 2002-11-08 2007-09-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膜状構成要素の製造方法
JP2007144791A (ja) * 2005-11-28 2007-06-14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551357B2 (ja) * 2006-05-15 2010-09-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281009B2 (ja) * 2007-08-22 2013-09-04 アステラス製薬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製造方法並びに錠剤
JP5869314B2 (ja) * 2011-11-22 2016-02-24 株式会社Okiデータ・インフォテック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13052686A (ja) * 2012-12-06 2013-03-21 Eisai R & D Management Co Ltd 可食体用レーザマーキング装置
JP2014176842A (ja) * 2013-02-18 2014-09-25 Fasse Co Ltd 固形物の粉取り装置
US9475312B2 (en) * 2014-01-22 2016-10-25 Seiko Epson Corporation Ink 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JP6357351B2 (ja) * 2014-05-28 2018-07-11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2016041122A (ja) * 2014-08-15 2016-03-31 株式会社Fasse 粉取り装置
JP2016112221A (ja) * 2014-12-16 2016-06-23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錠剤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3711A (ja) 2011-06-09 2013-01-24 Kyoto Seisakusho Co Ltd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1452A (zh) 2019-04-16
JP2018051843A (ja) 2018-04-05
JP6908981B2 (ja) 2021-07-28
WO2018061431A1 (ja) 201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8363A (ko)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CN109996525B (zh) 搬送装置及印刷装置
JP6644648B2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CN109982947B (zh) 搬运装置、印刷装置及搬运方法
JP6817720B2 (ja) 錠剤印刷装置
TWI732600B (zh) 搬送裝置及錠劑印刷裝置
CN110936716A (zh) 搬运装置以及搬运方法
JP2023121822A (ja) 搬送処理装置および搬送処理方法
TWI724586B (zh) 粒狀物搬送裝置及粒狀物處理裝置
JP2024045130A (ja) 搬送処理装置
KR102176136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정제 인쇄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정제 인쇄 방법
JP2018143615A (ja) 粒状物印刷装置および粒状物印刷方法
JP2021109745A (ja) 搬送処理装置
JP2019072497A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7221147B2 (ja) 検査装置
JP6991920B2 (ja) 振動フィーダおよび印刷装置
JP6666676B2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6541495B2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2023040456A (ja) 搬送装置
WO2020090495A1 (ja) 錠剤印刷装置
JP2020062468A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2021001078A (ja) 搬送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2023112886A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2011136517A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