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647A - 도막 전사구 - Google Patents

도막 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647A
KR20190004647A KR1020180070053A KR20180070053A KR20190004647A KR 20190004647 A KR20190004647 A KR 20190004647A KR 1020180070053 A KR1020180070053 A KR 1020180070053A KR 20180070053 A KR20180070053 A KR 20180070053A KR 20190004647 A KR20190004647 A KR 20190004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tape
transfer head
main body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609B1 (ko
Inventor
히로미치 후지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Publication of KR20190004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2Hand-held or table apparatus
    • B65H35/0026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B65H35/0033Hand-held or table apparatus for delive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ffixing it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20Force systems, e.g. composition of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1Pivot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30Forces; Stresses
    • B65H2515/34Pressure, e.g.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전사 헤드의 가압 테두리부에서의 도막의 중앙부에서 도막이 전사되지 않는 상태를 방지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도막 전사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막 전사구(1)는, 도막 전사 전의 전사 테이프(3)가 감겨지는 공급릴(4), 및, 도막 전사 후의 전사 테이프(3)가 권취되는 권취릴(6)이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2)와, 몸체(2)의 긴변 방향의 일방인 전측에 배치되고, 전단부에서, 긴변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고 또한 도막을 피전사면에 전사하는 가압 테두리부(5a)가 마련된 본체부(5b)를 갖는 전사 헤드(5)를 구비하고, 몸체(2) 또는 몸체(2) 내에 수용된 베이스 부재(1919)는, 전사 헤드(5)측으로 늘어나는 돌출부(191)를 가지며, 전사시에 있어서, 돌출부(191)는, 본체부(5b)에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일부의 영역을 피전사면측으로 가압한다.

Description

도막 전사구{COATING FILM TRANSFER TOOL}
본 발명은, 수정용 또는 점착용 등의 전사 테이프를 전사하는 도막 전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막 전사구는, 1면에 도막을 유지하는 전사 테이프가 감겨진 공급릴과, 도막 전사 후의 전사 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릴이 몸체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전사 테이프는, 공급릴로부터 인출되고, 몸체로부터 돌출한 전사 헤드에서 도막이 피전사면에 전사되고, 그 후, 권취릴에 권취된다.
여기서, 도막이 피전사면에 양호하게 전사되기 위해서는, 전사 헤드의 전단에 마련된 전사 테이프를 가압하는 가압 테두리부가 피전사면에 균일한 힘으로 가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의 전사 작업시에 있어서, 전사 헤드의 가압 테두리부에서의 좌우 방향(폭방향)의 가압력이 불균일하게 되면, 도막의 중앙부에서 도막이 전사되지 않는 상태(이른바 가운데 빠짐)가 생기거나 하는 일이 있다. 또한, 불균일한 가압력에 의해, 도막의 피전사면에의 밀착성이 불충분한 부분이 발생하고, 전사 후의 도막에 크랙이 생기거나, 필기시에 있어서의 도막의 깎여짐이 발생하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전사 헤드에서의 좌우 방향의 가압력이 불균일하게 된 경우, 가압력은 폭방향 중앙부에서 양측부분에 비하여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전사 헤드의 가압 테두리부 중에서도, 전사 테이프를 가이드하는 테이프 가이드가 배치되는 양측부에서, 강성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이른바 가운데 빠짐의 문제가 생긴다.
이 때문에, 종래, 전사 헤드를 강한 힘으로 전사 대상에 꽉눌러서, 가압 테두리부를 탄성 변형시킴에 의해 피전사면에 강하게 밀착시키고, 가압력을 균일하게 하고 있다.
또한, 기부를 케이스에 부착한 탄성 변형 가능한 주체부편의 선단에 전사 테이프에 대한 가압 테두리부편을 마련하고, 가압 테두리부편의 후단에, 전사 테이프를 통하여 상대하는 안내부편을 연설하고, 이 안내부편과 주체부편과의 사이에 후단측 개구의 슬릿을 마련한 전사 헤드도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경우는, 주체부편을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주체부편을 얇게 할 필요가 있어서, 강도가 뒤떨어지는 것이나, 가압 테두리부편을 피전사체에 꽉 누르는 힘뿐만 아니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전사 하중이 더욱 필요하여, 사용상의 문제가 있다.
한편, 전사 헤드를 몸체 등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함에 의해 가벼운 힘으로 전사 가능한 도막 전사구가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전사 헤드가 회동 가능한 경우, 전사 헤드를 피전사면에 대해 근소한 힘으로 꽉누를 뿐으로, 전사 헤드가 회동하여 가압 테두리부를 피전사면에 대해 평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벼운 힘으로 전사할 수 있는 도막 전사구에서는, 전사 헤드를 강한 힘으로 전사 대상에 가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앙부에서 도막이 전사되지 않는 상태가 생기기 쉽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1-8901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9-83403호 공보
발명은, 전사 헤드의 가압 테두리부에서의 도막의 중앙부에서 도막이 전사되지 않는 상태를 방지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도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제공한다.
(1) 도막 전사 전의 전사 테이프가 감겨지는 공급릴, 및, 도막 전사 후의 전사 테이프가 권취되는 권취릴이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의 일방인 전측에 배치되고, 전단부에서,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고 또한 도막을 피전사면에 전사하는 가압 테두리부가 마련된 본체부를 갖는 전사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또는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된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전사 헤드측으로 늘어나서 상기 전사 헤드에 연결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전사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에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일부의 영역을 상기 피전사면측으로 가압하는, 도막 전사구.
(2) 상기 전사에서,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일부 영역에, 상기 긴변 방향의 후측부터 전측으로 늘어나는 구멍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멍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전사 헤드는, 상기 돌출부를 축으로 하여 회동 자유로운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돌출부의 전단은, 적어도 상기 가압 테두리부의 부근까지 늘어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전사 헤드의 상기 가압 테두리부의 전단과 상기 돌출부의 전단 사이의 거리가, 0.3㎜∼8㎜인 것이 바람직하고, 0.5㎜∼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6) 상기 가압 테두리부의 늘어나는 방향과, 상기 공급릴 및 상기 권취릴의 회전축이 직교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상기 전사 헤드는, 상기 본체부의 좌우의 측에 배치된 1쌍의 테이프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테이프 가이드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서의, 상기 도막 전사 전의 상기 전사 테이프가 통과하는 측에 배치된 하측 테이프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에서의, 상기 도막 전사 후의 상기 전사 테이프가 통과하는 측에 배치된 상측 테이프 가이드를 가지며, 1쌍의 상기 상측 테이프 가이드 사이의 간격은, 1쌍의 상기 하측 테이프 가이드 사이의 가장 간격이 좁은 위치의 간격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전사 헤드의 가압 테두리부에서의 도막의 중앙부에서 도막이 전사되지 않는 상태를 방지하고, 사용하기 편리한 도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막 전사구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도막 전사구의 상방 사시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도막 전사구의 하방 사시 분해도.
도 4는 플랜지를 공급릴에 조립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조립 전의 상방 사시도, (b)는 조립 후의 상방 사시도, (c)는 (b)에서의 c-c선 화살표 종단면 사시도.
도 5는 전단에 전사 헤드가 부착되고, 후반부에 회전 제지 부재가 마련된 베이스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사시 분해도, (c)는 (a)에서의 B 화살표도, (d)는 단면도.
도 6은 전사 헤드가 부착된 베이스 부재, 비틀림 코일 스프링 및 하측의 몸체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 분해도.
도 7은 불사용시 및 사용시의 베이스체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평면도, (b)는 불사용시에 있어서의 (a)의 D-D선 화살표단면도, (c)는 사용시에 있어서의 (a)의 D-D선 화살표 단면도.
도 8은 제2 실시 형태로서, (a)는 전사 헤드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의 일부를 포함하는 부분의 사시도, (b)는 전사 헤드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의 일부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제2 실시 형태로서, (a)는 전사 헤드와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의 일부의 상면도, (b)는 (a)의 AA-AA 단면도, (c)는 (a)의 AB-AB 단면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막 전사구(1)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도막 전사구(1)의 상방 사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도막 전사구(1)의 하방 사시 분해도이다. 또한, 전사 헤드(5)에서의 피전사면에 가압되는 전사 테이프(3)에 관해서는, 일부의 도면을 제외하고 생략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막 전사구(1)의 몸체(2)(후술)의 긴변 방향에서의 전사가 행하여지는 방향을 전, 역방향을 후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긴변 방향(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후술하는 전사 헤드(5)에서 도막 전사 전의 전사 테이프(3)가 통과하는 측을 하, 도막 전사 후의 전사 테이프(3)가 통과하는 측을 상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도막 전사구(1)는, 이른바 횡인형으로서, 상부몸체 부재(21)와 하부몸체 부재(22)로 이루어지는 1쌍의 몸체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몸체(2)를 구비한다.
몸체(2)의 내부(상부몸체 부재(21)와 하부몸체 부재(22)와의 사이)에는, 전사 테이프(3)가 감겨진 공급릴(4)과, 이 공급릴(4)로부터 인출되는 전사 테이프(3)를 피전사면에 전사하는 전사 헤드(5)가 부착되는 베이스 부재(19)와, 전사 후의 전사 테이프(3)를 권취하는 권취릴(6)과, 공급릴(4)과 권취릴(6)을 연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17)가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몸체 부재(22)의 내면에는, 공급릴용 지축(8)과, 권취릴용 지축(13)과, 공급릴(4)로부터 인출되는 전사 테이프(3)를 전사 헤드(5)에 안내하는 제1 안내핀(24)과, 전사 헤드(5)로부터 전사 후의 전사 테이프(3)를 권취릴(6)에 안내하는 제2 안내핀(25)이, 상부몸체 부재(21)를 향하여 늘어나도록 세워져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몸체 부재(21)의 내면에는, 공급릴용 지축(8)이 내삽되는 공급릴용 지축 받이부(8a)와, 권취릴용 지축(13)이 외삽되는 권취릴용 지축 받이부(13a)와, 제1 안내핀(24)이 내삽되는 제1 안내핀 받이부(24a)와, 제2 안내핀(25)이 내삽되는 제2 안내핀 받이부(25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몸체 부재(21)의 측부에는, 복수의 감삽소편(2c)이 하부몸체 부재(22)를 향하여 늘어나도록 세워지고, 하부몸체 부재(22)의 측부에는, 복수의 감삽소편(2c)이 감입되는 복수의 감입오목부(2d)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몸체 부재(21)의 감삽소편(2c)이, 하부몸체 부재(22)의 감입오목부(2d)에 감입됨에 의해 상하 1쌍의 상부몸체 부재(21)와 하부몸체 부재(22)가 결합되어 몸체(2)가 형성된다.
하부몸체 부재(22)의 내면에 마련된 공급릴용 지축(8)은, 공급릴용 기어(7)와, 공급릴(4)이 회전 가능하게 외삽된 상태에서 공급릴용 지축 받이부(8a)에 내삽된다.
공급릴용 기어(7)는, 단부에 계지부(7a)가 마련된 통형상의 회전축(7b)을 구비한다. 회전축(7b)에는, 압축 스프링(9), 환형상의 제1 스페이서(10), 환형상의 탄성체 스토퍼(11), 환형상의 제2 스페이서(12)가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계지부(7a)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 스토퍼(11)의 외주면에는, 계지 돌기(11a)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공급릴(4)의 내주면에는, 그 계지 돌기(11a)가 계지하는 리브형상 피계지부(4a)가 마련되어 있다. 계지 돌기(11a)가 리브형상 피계지부(4a)에 계지함에 의해, 탄성체 스토퍼(11)와 공급릴(4)이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공급릴용 기어(7)의 회전축(7b)의 상반부는, 외주면이 거의 등간격으로 절삭되어 4개소의 평면부(7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스페이서(10)와 제2 스페이서(12)의 속구멍(10a, 12a)은 평면시에 있어서 모서리부가 호형상의 4변형상으로 되어 있다.
회전축(7b)의 평면부(7c)와, 제1 스페이서(10) 및 제2 스페이서(12)의 속구멍(10a, 12a)의 사변형의 변이 접함에 의해, 제1 스페이서(10) 및 제2 스페이서(12)가, 공급릴용 기어(7)의 회전축(7b)에 회전 불능으로 감합된다. 이에 의해 공급릴용 기어(7)와 압축 스프링(9)과 제1 스페이서(10)와 제2 스페이서(12)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하부몸체 부재(22)의 내면에 세워진 권취릴용 지축(13)에는, 권취릴(6)이 외삽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릴(6)의 하측 측면에는 권취릴용 기어(14)가 마련되어 있다. 공급릴용 기어(7)와 권취릴용 기어(14)의 사이에는, 제1 소기어(15), 제2 소기어(16)가 마련되어 있다. 공급릴용 기어(7)와 제1 소기어(15), 제1 소기어(15)와 제2 소기어(16), 제2 소기어(16)와 권취릴용 기어(14)가, 각각 맞물려 있다.
도막의 전사 작업에 의해, 공급릴(4)에 감겨진 전사 테이프(3)가 조출되면, 공급릴(4)의 회전력은, 탄성체 스토퍼(11)에 전달되고, 탄성체 스토퍼(11)의 측면과 제2 스페이서(12)의 측면의 사이, 탄성체 스토퍼(11)의 측면과 제1 스페이서(10)의 측면의 사이, 및 공급릴(4)과 일체로서 회전하는 후술하는 플랜지(18)의 측면과 공급릴용 기어(7) 사이의 측면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공급릴용 기어(7)에 전달된다.
그리고, 공급릴용 기어(7)가 회전하면, 공급릴용 기어(7), 제1 소기어(15), 제2 소기어(16), 권취릴용 기어(14)로 된 동력 전달 기구(17)를 이용하여, 권취릴(6)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또한, 공급릴(4)에는, 도막 전사구(1)의 불사용시와 사용시의 공급릴(4)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플랜지(18)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플랜지(18)의 원주 테두리에는, 후기하는 피계지치(18c)(도 3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플랜지(18)를 공급릴(4)에 조립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조립 전의 상방 사시도, (b)는 조립 후의 상방 사시도, (c)는 (b)에서의 c-c선 화살표 종단면 사시도이다. 플랜지(18)의 상면에는, 노치(18a)를 갖는 부착편(18b)이 마련되어 있다. 이 부착편(18b)의 노치(18a)에, 공급릴(4)의 리브형상 피계지부(4a)를 계지시킴에 의해, 공급릴(4)과 플랜지(18)는 일체로서 회전하도록 조립된다.
도 1로부터 3으로 되돌아와, 도막 전사구(1)는, 베이스 부재(19)와, 베이스 부재(19)와 별도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전사 헤드(5)를 구비한다.
도 5는, 전단에 전사 헤드(5)가 부착되고, 후반부에 회전 제지 부재(20)가 마련된 베이스 부재(19)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사시 분해도, (c)는 (a)에서의 B 화살표도, (d)는 단면도이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의 선단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9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9)의 선단측의 측면의 각각에는, 돌출부(191)가 늘어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좌우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1쌍의 돌기부(192)가 형성되어 있다.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사 헤드(5)는, 긴변 방향에 따른 수직 단면이 개략 삼각형이 되는 가압 테두리부(5a)가 전단에 마련된 본체부(5b)를 갖는다. 가압 테두리부(5a)는, 도막을 피전사체에 전사하는 부분으로, 긴변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본체부(5b)의 후단면에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긴변 방향의 후측부터 전측으로 늘어나는 구멍부(501)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멍부(501)에, 돌출부(191)가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전사 헤드(5)와 베이스 부재(19)는 연결된다.
구멍부(501)의 전단은, 가압 테두리부(5a)의 부근에 위치하고 있고, 구멍부(501)에 돌출부(191)가 삽입되면, 돌출부(191)의 전단은, 적어도 가압 테두리부(5a)의 부근까지 삽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구멍부(501)에, 돌출부(191)가 삽입된 때의, 전사 헤드(5)의 가압 테두리부(5a)의 전단과 돌출부(191)의 전단 사이의 거리(d1)는, 0.3㎜∼8㎜인 것이 바람직하고, 0.5㎜∼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돌출부(191)의 전단을 이와 같이 배치함에 의해, 돌출부(191)에 의해 전사 헤드(5)가 가압된 때에, 그 가압력을 가압 테두리부(5a)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막의 피전사면(S1)(후술하는 도 7에 도시)에의 전사시에, 전사 헤드(5)의 가압 테두리부(5a)의 하면(도막 전사 전의 전사 테이프(3)가 통과하는 측)을 피전사면(S1)에 꽉누르도록 몸체(2)에 경사 하향의 힘을 가하면, 돌출부(191)는, 구멍부(501)의 내면을 하측으로 가압하고, 본체부(5b)에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의 영역(좌우 방향의 전체가 아니라 일부 영역)이 가압된다.
이때, 본체부(5b)는 돌출부(191)를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가압 테두리부(5a)는 전사면(S1)과 평행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이에 전사 테이프(3)를 끼운 상태에서, 가압 테두리부(5a)가 피접촉면(S1)에 대해 가압되어 피접촉면(S1)상을 이동하면, 전사 테이프(3)에 유지되어 있는 도막이 피전사면(S1)에 전사된다.
또한, 전사 헤드(5)에서의, 가압 테두리부(5a)를 포함하는 본체부(5b)는, 약간,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테두리부(5a)가 약간 탄성을 갖고 있으면, 가압 테두리부(5b)와 피전사면(S1)과의 밀착성이 향상하고, 전사감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전사 헤드(5)는, 본체부(5b)의 좌우 양측부로부터, 본체부(5b)의 후단면을 넘어서 더욱 후방까지 늘어나는 1쌍의 테이프 가이드(50)를 구비한다.
1쌍의 테이프 가이드(50)의 본체부(5b)보다도 후방측에는, 상하 방향(전사 헤드(5)의 전사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다란 긴구멍(503)이 형성된다. 1쌍의 테이프 가이드(50)는, 구멍부(501)에 베이스 부재(19)의 돌출부(191)가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9)의 선단측의 측면도 덮는다.
긴구멍(503)에는, 베이스 부재(19)의 돌기부(192)가 삽입되고, 이에 의해, 전사 헤드(5)는 베이스 부재(19)에 연결된다.
여기서, 긴구멍(503)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돌기부(192)의 직경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의 선단에 연결된 전사 헤드(5)는, 구멍부(501)에 삽입된 돌출부(191)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사 헤드(5)는, 돌기부(192)가 긴구멍(503)을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 회동 가능해진다. 즉, 긴구멍(503)의 상하 방향의 길이에 의해, 전사 헤드(5)의 회동 범위가 결정된다. 환언하면, 긴구멍(503)에 의해 전사 헤드(5)의 회동 범위는 규제된다.
전사 헤드(5)의 회동에 의해, 전사 헤드(5)의 가압 테두리부(5a)를, 피전사면에 대해 용이하게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 헤드(5)의 가압 테두리부(5a)를 피전사면과 평행에 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사 헤드(5)를 강하게 가압하여 가압 테두리부(5a)를 탄성 변형시키는 필요가 없다. 때문에, 가벼운 전사 하중으로 균일하게 도막을 전사할 수 있다.
도 6은, 전사 헤드(5)가 부착된 베이스 부재(19),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 및 하측의 몸체 부재(22)를 도시하는 사시 분해도이다.
베이스 부재(19)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에 의해 회전 제지 부재(20)가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은, 코일부(194a)와, 코일부(194a)의 일단측부터 늘어나는 제1 스프링부(194b)와, 코일부(194a)의 타단측부터 늘어나는 제2 스프링부(194c)를 구비한다. 그리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은, 베이스 부재(19)의 지축(19a)에 코일부(194a)를 외감시킴과 함께, 제1 스프링부(194b)를 베이스 부재(19)의 하면측에 고정하고, 제2 스프링부(194c)를 하측의 하부몸체 부재(22)의 내면에 고정함으로써, 베이스 부재(19)를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하는 방향으로 가세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19)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권취릴용 계지 폴(20b)은, 암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고 있다.
도 7은, 불사용시 및 사용시의 베이스체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도막 전사구의 평면도, (b)는 불사용시에 있어서의 (a)의 D-D선 화살표 단면도이고, (c)는 사용시에 있어서의 (a)의 D-D선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막 전사구(1)는, 사용시에 피전사면(S1)에 전사 헤드(5)를 가압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9)가, 회전 제지 부재(20)에 의한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 위치로부터 더욱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193)를 구비한다.
도 7(b) 및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193)는 베이스 부재(19)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19)의 하면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193)는, 베이스 부재(19)의 지축(19a)의 부근에서의 지축(19a)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상의 규제부(193)를 구비하는 도막 전사구(1)에 의하면, 불사용시에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에 의해 지축(19)보다도 후단측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가세되고, 회전 제지 부재(20)의 공급릴용 계지 폴(20a)이 공급릴(4)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플랜지(18)의 피계지치(18c)에 계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공급릴(4)의 회전은 제지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규제부(193)와 하측의 하부몸체 부재(22)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막 전사구(1)의 사용시(전사시)에는,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사 헤드(5)가 피전사면(S1)에 가압됨에 의해, 베이스 부재(19)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전사 헤드(5)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지축(19a)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러면, 지축(19a)에 대해 전사 헤드(5)와 반대측에 배치된 회전 제지 부재(20)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불사용시에 피계지치(18c)에 계합하고 있던 공급릴용 계지 폴(20a)이 피계지치(18c)로부터 벗어나,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다.
또한, 회전 제지 부재(20)에 의한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는 위치까지 베이스 부재(19)가 회동한 상태에서, 규제부(193)가 하부몸체 부재(22)의 내면에 접촉하여 베이스 부재(19)의 이 이상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릴용 계지 폴(20b)이 암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불사용시의 느슨해짐을 취할 때에, 공급릴용 계지 폴(20a)과 공급릴(4)의 플랜지(18)의 피계지치(18c)와의 계지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권취릴용 계지 폴(20b)이 탄성 변형함에 의해, 권취릴(6)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로 되돌아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사 헤드(5)는, 본체부(5b)의 좌우에 1쌍의 테이프 가이드(50)를 구비한다. 1쌍의 테이프 가이드(50)는, 서로 평행한 우 테이프 가이드(51)와 좌 테이프 가이드(52)로 이루어진다.
우 테이프 가이드(51)와 좌 테이프 가이드(52)는, 각각, 본체부(5b)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와, 하부에 위치하는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를 구비한다.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에 마련된 1쌍의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의 간격(dd)은, 예를 들면, 전사 테이프(3)의 폭에 대해 -0.03㎜∼+0.3㎜이다.
도 5(d)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52d만 도시)의 전단은,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52u만 도시)의 전단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가압 테두리부(5a)의 선단부터 일정한 거리 떨어져 있다.
그리고,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의 전변(前邊)은, 전단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의 전단이 가압 테두리부(5a)로부터 일정한 거리 떨어지고, 또한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의 전변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 테두리부(5a)의 피전사면(S1)과의 접촉이 방해되지 않고,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는 전사의 지장이 되지 않는다.
좌우에 마련된 1쌍의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의 전단에서의 간격(du)은,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의 간격(dd)보다도 넓고, 예를 들면, 테이프의 폭에 대해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 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는, 그 전단이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보다도 전측의 가압 테두리부(5a) 부근에 있다.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의 전변은, 전단부터 상방을 향함에 따라 후방을 향하는 원호형상이고,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는 부채형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의 전단은, 가압부(5c)의 전단의 약간의 후방(즉, 가압부(5c)로부터 거의 후퇴하지 않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의 전단이란,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에서, 테이프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중 가장 앞(前)에 위치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의 전단의 간격(du)은,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의 테이프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가장 간격이 좁은 위치의 간격보다도 넓다. 또한,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의 전단의 간격(du)은,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의 테이프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가장 간격이 넓은 위치의 간격보다도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 테이프(3)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필름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두께 3㎛∼60㎛의 장척형상체의 편면 또는 양면에 실리콘 수지 등의 이형층을 형성하여 기재(基材)로 하고, 이 기재의 편면에, 공지의 방법으로 점착제 등을 도포함에 의해 제작된다.
점착제로서는, 아크릴 수지계, 비닐 수지계, 로진계, 고무계 등의 점착제, 또는 이들의 점착제에 가교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 노화 방지제, 충전제, 증점제, pH 조정제, 소포제 등의 조제를 적절히 배합한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의 편면에 점착층을 마련한 것이 점착 테이프(테이프 풀), 기재의 편면에 은폐력이 있는 안료와 바인더로서의 고분자 수지 등으로 되는 은폐층을 마련하고, 그 위에 점착층을 마련한 것이 수정 테이프, 기재의 편면에 형광 착색층을 마련하고, 그 위에 점착층을 마련한 것이 형광 테이프이다. 기재의 편면에 형성되는 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건조 후에 있어서 0.3㎛∼60㎛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사 테이프(3)로서는, 2㎜∼15㎜ 정도의 폭의 것이 사용된다.
(1)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의 선단부에 돌출부(191)가 형성되고, 전사 헤드(5)의 후단면에는, 긴변 방향의 후측부터 전측으로 늘어나는 구멍부(50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부(501)에, 돌출부(191)가 삽입되고, 전사시에, 전사 헤드(5)의 가압 테두리부(5a)를 피전사면에 가압하도록 몸체(2)에 힘을 가하면, 돌출부(191)는, 구멍부(501)의 내면을 하측으로 가압하고, 본체부(5b)에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일부의 영역이 가압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비교례 1로서 본 실시 형태와 달리, 본체부(5b)의 일부의 영역이 아니라, 전체가 가압되도록 한 경우, 가압 테두리부(5a)의 좌우 중앙부가, 좌우단에 대비하여 가압력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고, 도막의 중앙부에서 도막이 전사되지 않는 상태(이른바 가운데 빠짐)가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압 테두리부(5a)의 중앙부가 가압되고, 중앙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힘이 분산된다. 때문에, 전사 하중에 관계없이, 도막의 중앙부에서 도막이 전사되지 않는 상태가 생기기 어렵고, 전사 후의 도막에 크랙이나 필기시에 있어서의 도막의 깎여짐 등의 발생이 생기기 어렵다.
(2)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사 헤드(5)는, 구멍부(501)에 삽입된 돌출부(191)를 축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다.
전사 헤드(5)의 회동에 의해, 전사 헤드(5)의 가압 테두리부(5a)를, 피전사면(S1)에 대해 용이하게 평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 헤드(5)의 가압 테두리부(5a)를 피전사면(S1)과 평행에 하기 위해, 사용자가 전사 헤드(5)를 강하게 가압하여 가압 테두리부(5a)를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없다. 때문에, 가벼운 전사 하중으로 균일하게 도막을 전사할 수 있다.
(3) 또한, 본체부(5b)는 돌출부(191)를 중심으로 하고` 회동 가능하여서, 돌출부(191) 자체가 비틀리거나 휘거나 하지 않아도, 가압 테두리부(5a)를 피전사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돌출부(191)의 강성을 약하게 하거나, 돌출부(191)를 얇게 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때문에, 몸체(2)와 전사 헤드(5)와의 연결 부분으로서의 돌출부(191)의 강도를 올릴 수 있고, 도막 전사구(1)로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또한, 돌출부(191)와 본체부(5b)가 별도부재이므로, 다른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때문에, 본체부(5b)를, 돌출부(191)와 달리, 약간의 탄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부(5b)를 돌출부(191)에 비하여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함에 의해, 본체부(5b)(가압 테두리부(5a))와 피전사면(S1)과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전사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도막의 중앙부에서 도막이 전사되지 않는 상태의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5) 예를 들면, 비교례 2로서 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축을 연장시키고, 그 축을 몸체나 베이스 부재에 연결하는 형태로 하면, 몸체나 베이스 부재에 그 축을 회동 가능하게 받는 구조가 필요해진다. 그러면, 그 만큼, 몸체가 두꺼워진다.
그러나, 몸체는 수납 등의 면에서, 얇은 쪽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축을 받는 구조(돌출부(191)와 구멍부(501))가 전사 헤드(5)측이 된다. 따라서 몸체(2)가 두꺼워지는 일이 없다. 또한, 전사 헤드(5)측은 스페이스적으로 여유가 있기 때문에 돌출부(191)를 받는 구멍부(501) 등의 구조를 마련하여도, 도막 전사구(1)가 전체로서 커지는 일이 없다.
(6) 예를 들면, 비교례 2와 마찬가지로 본체부로부터 후방으로 축을 연장시키고, 그 축을 몸체나 베이스 부재에 연결하는 형태로 하면, 본 실시 형태에 비하여 회전한 전사 헤드가 무겁게 됨과 함께, 전사 헤드 전체로서 긴변 방향으로 길어진다. 그러면, 본 실시 형태에 비하여, 전사 헤드의 피전사면의 형상에 맞춘 회동이 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사 헤드(5)가 컴팩트하기 때문에, 피전사면에 맞춘 회동이 하기 쉬워진다.
(7)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막 전사구(1)의 사용시에 있어서, 전사 테이프(3)가 조출되어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의 사이를 통과할 때, 전사 테이프(3)는,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에 의해 좌우로의 어긋남이 규제된다.
여기서, 전사 헤드(5)가 회동한 경우,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의 간격은 전사 테이프(3)의 폭과 개략 동등하기 때문에,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와 전사 테이프(3)와 접촉하고, 전사 테이프(3)의 테두리부가 약간 꼬일(윌, 변형할, 비뚤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전사 테이프(3)의 테두리부는 약간 꼬였다고 하여도, 전사 테이프(3)가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와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다시 조출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면, 전사 테이프(3)의 복원력이나 장력에 의해 원래대로 되돌아온다.
(8) 예를 들면, 전사 테이프(3)가 가압 테두리부(5a)를 통과할 때에, 전사 헤드(5)가 회동하여 기울어져 있으면, 가압 테두리부(5a)의 부근에 마련되어 있는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와 전사 테이프(3)의 테두리부가 접촉하고, 전사 테이프(3)가 꼬일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이 가압 테두리부(5a) 부근에서 전사 테이프(3)가 꼬이면, 가압할 때에 전사 테이프(3)의 테두리부가 절곡된 상태로 전사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 도막에서 피전사면과 접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고, 그 부분이 피전사면에 전사되지 않고, 도막의 폭이 좁아지거나, 또한, 도막에 일부 결손이 생기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 테두리부(5a) 부근에 배치된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의 간격이, 하측 테이프 가이드(51d, 52d)의 간격보다도 넓다. 따라서 전사 헤드(5)가 기울어져도, 상측 테이프 가이드(51u, 52u)가 접촉할 가능성이 낮다.
때문에, 전사 테이프(3)를 피전사면에 전사할 때에, 도막의 폭이 좁아지거나 일부 결손이 생기거나 할 가능성이 저감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다면 전사가 끝나서 전사 헤드(5)의 피전사면에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전사 테이프(3)의 복원력 또는 장력에 의해, 전사 헤드(5)는 규정 위치(전사 헤드(5)가 회전하지 않는 위치, 가압 테두리부(5a)가, 전사 테이프(3)의 진행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되돌아온다.
(7) 또한, 본 발명은, 전사 테이프(3)를 피전사면에 가압하기 위한 전사 헤드(5)에서의 전단의 가압 테두리부(5a)의 방향과, 공급릴(4)의 회전 지축(8), 및 권취릴(6)의 회전 지축(13)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는 이른바 횡인의 도막 전사구(1)이다. 이에 의해, 사용하기에 편리한 도막 전사구(1)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서의, (a)는 전사 헤드(5), 및 돌출부(191)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19)의 일부를 포함하는 부분의 사시도이고, (b)는 전사 헤드(5), 및 돌출부(191)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19)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로서, (a)는 전사 헤드(5), 및 돌출부(191)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19)의 일부의 상면도, (b)는 (a)의 AA-AA 단면도, (c)는 (a)의 AB-AB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전사 헤드(5)와 베이스 부재(19)의 연결 부분의 구조이다.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라고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베이스 부재(19)는, 전단부에서, 전단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일정 영역이 상부에 소정 높이 융기한 제1 부분(195)과, 제1 부분(195)의 상단부터 절곡되어 전방으로 늘어나는 제2 부분(196)과, 제2 부분(196)부터 절곡되어 하방으로 늘어나는 제3 부분(197)과, 제3 부분(197)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늘어나는 돌출부(191)를 구비한다.
돌출부(191)는, 수평 단면이 장방형 부분의 선단에, 수평 단면이 삼각형상의 부분이 부착된 수직 방향의 두께가 개략 일정한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 부재(19)의 전단면과, 제1 부분(195)의 전면과, 제2 부분(196)의 하면과, 제3 부분(197)의 후면과, 돌출부(191)의 후방으로서 제3 부분(197)의 후면부터 약간 후방으로 돌출한 제4 부분(198)의 상면에서, 좌우로 늘어나고 또한 수직 단면이 개략 사각형의 공간인 괘합부(199)가 형성된다. 괘합부(199)에는, 후술하는 횡봉부(5c)가 괘합한다.
한편, 전사 헤드(5)는, 사각형의 본체부(5b)와, 본체부(5b)의 전방에 마련되고, 수평 단면이 직방체이고, 긴변 방향에 따른 수직 단면이 개략 삼각형의 가압 테두리부(5a)가 마련되어 있다.
가압 테두리부(5a)의 본체부(5b)와의 연결측이 되는 후면에는, 후면으로부터 전측으로 늘어나는 구멍부(501)가 마련되어 있다. 구멍부(501)의 수평 단면은, 돌출부(191)의 선단의 삼각형상에 대응한 삼각형상이다.
구멍부(501)의 상하의 폭은 돌출부(191)의 상하의 폭에 대응하여 개략 일정하고, 돌출부(191)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멍부(501)의 수평 저면은, 본체부(5b)의 상면부터 연속하고 있고, 돌출부(191)가 매끈하게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5b)의 후단부의 상방에는, 좌우의 테이프 가이드(51, 52) 사이에 걸쳐진 횡봉부(5c)가 마련되어 있다. 구멍부(501)에 돌출부(191)가 삽입되면, 횡봉부(5c)는, 상술한 괘합부(199)와 괘합하고, 전사 헤드(5)가 베이스 부재(19)에 부착된다.
이때 제4 부분(198)가 횡봉부(5c)에 의해 눌려져서. 전사 헤드(5)의 베이스 부재(19)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도, 구멍부(501)의 전단은, 가압 테두리부(5a)의 부근에 위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이 구멍부(501)에, 돌출부(191)가 삽입된 때의, 전사 헤드(5)의 가압 테두리부(5a)의 전단과 돌출부(191)의 전단 사이의 거리(d1)는, 0.3㎜∼8㎜인 것이 바람직하고, 0.5㎜∼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돌출부(191)의 전단을 이와 같이 배치함에 의해, 돌출부(191)에 의해 전사 헤드(5)가 가압된 때에, 그 가압력을 가압 테두리부(5a)에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달리, 전사 헤드(5)가 베이스 부재(19)에 대해 회동은 하지 않다. 그러나,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사시에, 전사 헤드(5)의 가압 테두리부(5a)를 피전사면에 가압하도록 몸체(2)에 힘을 가하면, 돌출부(191)는, 구멍부(501)의 내면을 하측으로 가압하고, 본체부에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일부의 영역이 가압된다. 이에 의해, 도막의 중앙부에서 도막이 전사되지 않는 상태가 생기기 어렵고, 전사 후의 도막에 크랙이나 필기시에 있어서의 도막의 깎여짐 등의 발생이 생기기 어렵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돌출부와 구멍부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의 형상으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돌출부가 원기둥이고, 구멍부가 그것에 대응하는 형상이라는, 회동 가능해지는 다른 형상의 관계라도 좋다. 또한, 회동하지 않는 구조에서는, 돌출부가, 직방체나 삼각 기둥 등이라도 좋다.
1 : 도막 전사구 2 : 몸체
3 : 전사 테이프 4 : 공급릴
5 : 전사 헤드 5a : 가압 테두리부
5b : 본체부 5c : 횡봉부
6 : 권취릴 19 : 베이스 부재
21 : 상부몸체 부재 22 : 하부몸체 부재
50 : 테이프 가이드 51 : 우 테이프 가이드
51d : 하측 테이프 가이드 51u : 상측 테이프 가이드
52 : 좌 테이프 가이드 52d : 하측 테이프 가이드
52u : 상측 테이프 가이드 191 : 돌출부
192 : 돌기부 501 : 구멍부

Claims (7)

  1. 도막 전사 전의 전사 테이프가 감겨지는 공급릴, 및, 도막 전사 후의 전사 테이프가 권취되는 권취릴이 내부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의 일방인 전측에 배치되고, 전단부에서,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고 또한 도막을 피전사면에 전사하는 가압 테두리부가 마련된 본체부를 갖는 전사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 또는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된 베이스 부재는, 상기 전사 헤드측으로 늘어나서 상기 전사 헤드에 연결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전사시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에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일부의 영역을 상기 피전사면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일부 영역에, 긴변 방향의 후측부터 전측으로 늘어나는 구멍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멍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헤드는, 상기 돌출부를 축으로 하여 회동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전단은, 상기 가압 테두리부의 부근까지 늘어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헤드의 상기 가압 테두리부의 전단과 상기 돌출부의 전단 사이의 거리가, 0.3㎜부터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테두리부의 늘어나는 방향과, 상기 공급릴 및 상기 권취릴의 회전축이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헤드는,
    상기 본체부의 좌우의 측에 배치된 1쌍의 테이프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테이프 가이드는, 각각,
    상기 본체부에서의, 상기 도막 전사 전의 상기 전사 테이프가 통과하는 측에 배치된 하측 테이프 가이드와,
    상기 본체부에서의, 상기 도막 전사 후의 상기 전사 테이프가 통과하는 측에 배치된 상측 테이프 가이드를 가지며,
    1쌍의 상기 상측 테이프 가이드 사이의 간격은,
    1쌍의 상기 하측 테이프 가이드 사이의 가장 간격이 좁은 위치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 전사구.
KR1020180070053A 2017-07-04 2018-06-19 도막 전사구 KR102462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31409A JP7095856B2 (ja) 2017-07-04 2017-07-04 塗膜転写具
JPJP-P-2017-131409 2017-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647A true KR20190004647A (ko) 2019-01-14
KR102462609B1 KR102462609B1 (ko) 2022-11-03

Family

ID=6287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053A KR102462609B1 (ko) 2017-07-04 2018-06-19 도막 전사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81746B2 (ko)
EP (1) EP3424855A1 (ko)
JP (1) JP7095856B2 (ko)
KR (1) KR102462609B1 (ko)
CN (1) CN109203794B (ko)
TW (1) TWI7747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574143S (ko) * 2016-07-01 2017-04-17
EP3689634B1 (en) * 2017-09-29 2023-10-04 Fujicopian Co., Ltd. Coating film transfer tool
USD880586S1 (en) * 2017-12-21 2020-04-07 Tombow Pencil Co., Ltd. Correction tape dispens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9011A (ja) 1999-09-21 2001-04-03 Plus Kogyo Kk 塗布膜転写具における転写ヘッド
JP2002274097A (ja) * 2001-03-16 2002-09-25 Plus Stationery Corp 塗布膜転写具
JP2008162052A (ja) * 2006-12-27 2008-07-17 Kokuyo Co Ltd 転写具
JP2009083403A (ja) 2007-10-02 2009-04-23 Union Chemicar Co Ltd 塗膜転写具
EP2070856A1 (en) * 2007-12-14 2009-06-17 Société BIC A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deposit of for example adhesive, covering or coloured material onto a correction surface
WO2013180101A1 (ja) * 2012-05-31 2013-12-05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

Family Cites Families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499A (en) 1980-06-13 1982-01-14 Mitsubishi Chem Ind Ltd Improved preparation of steroid 17-ester
IT1207824B (it) 1987-01-22 1989-06-01 Conti Giuseppe Off Mec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ei punti di nastro collato per legatrice di moduli continui di tabulatrici
JPH0288057A (ja) 1988-09-26 1990-03-28 Oji Paper Co Ltd 衛生用品の表面材
KR920701028A (ko) 1989-05-20 1992-08-10 아까시로 다로오 전사막 전사구
JPH085277B2 (ja) 1990-10-05 1996-01-24 秀雄 浜田 転写シート
JPH05178525A (ja) 1991-12-26 1993-07-20 Fujicopian Co Ltd 塗膜転写具
DE4137936A1 (de) 1991-11-18 1993-05-19 Pelikan Ag Transferklebeband
JPH0673025U (ja) 1993-03-30 1994-10-11 三菱鉛筆株式会社 修正テープの貼付具
GB9422905D0 (en) * 1994-11-14 1995-01-04 Gillette Co Tape dispensers
JP3027309B2 (ja) 1994-12-12 2000-04-04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2943134B2 (ja) 1995-11-01 1999-08-30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JPH0971097A (ja) 1995-09-07 1997-03-18 Tombow Pencil Co Ltd 塗布具の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部
JP2876301B2 (ja) 1995-10-06 1999-03-31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JP3516188B2 (ja) 1995-10-27 2004-04-05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の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部
JP2975895B2 (ja) 1996-08-09 1999-11-10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用ヘッド、塗膜転写具および塗膜転写具の組立方法
JPH10181289A (ja) 1996-12-27 1998-07-07 Fujicopian Co Ltd 塗膜転写具
JP3813681B2 (ja) 1997-02-10 2006-08-23 ゼネラル株式会社 感圧転写具
JP3870986B2 (ja) 1997-04-24 2007-01-24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の供給リール
JPH111095A (ja) 1997-06-12 1999-01-06 Tombow Pencil Co Ltd 塗布具の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機構
JPH11227385A (ja) * 1998-02-12 1999-08-24 Fujicopian Co Ltd 塗膜転写具
JP2000025392A (ja) 1998-07-08 2000-01-25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US5991568A (en) 1998-12-23 1999-11-23 Eastman Kodak Company Blade cleaning apparatus with associated dust seal and method of cleaning
DE19936445B4 (de) 1999-08-03 2004-03-04 SOCIéTé BI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3069561B1 (ja) 1999-10-15 2000-07-24 ニチハ株式会社 建築板の製造方法及び建築板
JP3518469B2 (ja) 2000-03-01 2004-04-12 株式会社トンボ鉛筆 感圧転写粘着テープ
JP2002264587A (ja) * 2001-03-07 2002-09-18 Tombow Pencil Co Ltd 塗膜転写具
US6510884B1 (en) 2001-04-12 2003-01-28 C. C. & L Company Limited Adhesive tape dispenser
JP4677626B2 (ja) 2001-06-21 2011-04-27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4603738B2 (ja) * 2001-09-28 2010-12-22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JP3747285B2 (ja) * 2003-03-07 2006-02-22 光浩 柳 接着テープ転写具
JP4172308B2 (ja) 2003-03-31 2008-10-2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フロア構造組み立て方法およびフロアマット
JP4205518B2 (ja) 2003-07-31 2009-01-07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US7228882B2 (en) 2003-09-15 2007-06-12 Sanford, L.P. Tape dispenser with a cushioned applicator tip
US6997229B2 (en) * 2003-09-16 2006-02-14 Sanford, L.P. Rotatable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JP4144798B2 (ja) 2003-11-28 2008-09-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密閉型電池
US7163040B2 (en) 2004-01-13 2007-01-16 Sanford L.P. Correction tape applicator tip with cylindrical projection
US7070051B2 (en) 2004-03-26 2006-07-04 Atrion Medical Products, Inc. Needle counter device including troughs of cohesive material
TWM271730U (en) 2004-10-26 2005-08-01 Sdi Corp Pushbutton controlled correction tape
JP2006281495A (ja) 2005-03-31 2006-10-19 Tombow Pencil Co Ltd 塗膜転写具
US20060263596A1 (en) 2005-05-06 2006-11-23 Bamborough Derek W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 laminates
US20060251890A1 (en) 2005-05-06 2006-11-09 Richard La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laminates
US20060251888A1 (en) 2005-05-06 2006-11-09 Richard La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laminates
US20060251889A1 (en) 2005-05-06 2006-11-09 Richard La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laminates
JP4652955B2 (ja) * 2005-11-21 2011-03-16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JP2007154022A (ja) 2005-12-05 2007-06-21 Nippon Ester Co Ltd 難燃性ポリ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1808395B1 (en) 2006-01-12 2008-07-16 Société BIC Correction system with rubber elastic tension element for a gear mechanism correction tape
JP4769964B2 (ja) 2006-02-06 2011-09-07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5085145B2 (ja) 2006-03-15 2012-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070231571A1 (en) 2006-04-04 2007-10-04 Richard La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laminates
JP4762044B2 (ja) 2006-04-27 2011-08-31 矢崎総業株式会社 負荷回路の保護装置
JP4824470B2 (ja) 2006-05-22 2011-11-30 ゼネラル株式会社 転写具
JP2008096389A (ja) 2006-10-16 2008-04-2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子機器、時刻管理装置、時刻設定プログラム、時刻設定方法
JP4737642B2 (ja) 2007-05-09 2011-08-03 ニチバン株式会社 粘着転写具
JP4929477B2 (ja) 2007-07-27 2012-05-09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CN201154628Y (zh) * 2007-12-24 2008-11-26 上海橘林文具有限公司 按压式修正带
JP5005561B2 (ja) 2008-01-18 2012-08-22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5685697B2 (ja) 2008-05-29 2015-03-18 有限会社フジカ 人工降雨発生方法
JP2010002733A (ja) 2008-06-20 2010-01-07 Fuji Xerox Co Ltd 平板状素子付き基板、これを用いた表示媒体および平板状素子付き基板の製造方法
US20100139707A1 (en) 2008-09-08 2010-06-10 Eastman Chemical Company Washable filmic laminates
JP5747143B2 (ja) 2009-12-08 2015-07-08 コクヨ株式会社 転写具
EP2552599B1 (en) 2010-04-02 2014-05-21 Advenira Enterprises, Inc Roll coater
JP5644178B2 (ja) 2010-05-25 2014-12-24 ぺんてる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2012195747A (ja) 2011-03-16 2012-10-11 Nippon Signal Co Ltd:The 個別情報保護システム
US8951381B2 (en) 2011-04-25 2015-02-10 First Solar, Inc. Quick release head for tape applicator
JP5857892B2 (ja) 2012-07-03 2016-02-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多極コネクタ
JP5989434B2 (ja) 2012-07-18 2016-09-07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ート
KR101558167B1 (ko) 2012-08-09 2015-10-12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광 커넥터 청소공구 및 광 커넥터 청소방법
BR112015024217A2 (pt) 2013-04-26 2017-07-18 Avery Dennison Corp aparelho para dispensa de etiquetas adesivas sensíveis à pressão sobre um substrato
JP6247199B2 (ja) 2014-12-09 2017-12-13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JP6321537B2 (ja) 2014-12-26 2018-05-0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JP2017149034A (ja) 2016-02-25 2017-08-31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US9969590B2 (en) 2016-06-24 2018-05-15 Tombow Pencil Co., Ltd. Horizontal-pull coating film transferring too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9011A (ja) 1999-09-21 2001-04-03 Plus Kogyo Kk 塗布膜転写具における転写ヘッド
JP2002274097A (ja) * 2001-03-16 2002-09-25 Plus Stationery Corp 塗布膜転写具
JP2008162052A (ja) * 2006-12-27 2008-07-17 Kokuyo Co Ltd 転写具
JP2009083403A (ja) 2007-10-02 2009-04-23 Union Chemicar Co Ltd 塗膜転写具
EP2070856A1 (en) * 2007-12-14 2009-06-17 Société BIC A hand-held device for applying a deposit of for example adhesive, covering or coloured material onto a correction surface
WO2013180101A1 (ja) * 2012-05-31 2013-12-05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塗膜転写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81746B2 (en) 2021-04-20
JP2019014086A (ja) 2019-01-31
CN109203794A (zh) 2019-01-15
JP7095856B2 (ja) 2022-07-05
TW201906745A (zh) 2019-02-16
CN109203794B (zh) 2022-05-24
US20190010009A1 (en) 2019-01-10
TWI774782B (zh) 2022-08-21
EP3424855A1 (en) 2019-01-09
KR102462609B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4647A (ko) 도막 전사구
US4891090A (en) Two-reel dispenser for a transfer adhesive
EP1982844B1 (en) Coating transfer tool
JPS5876290A (ja) プリンタ用のリボンカ−トリツジ
US4533969A (en) Tape cassette anti-static member
JP5011558B2 (ja) 転写具
US6997229B2 (en) Rotatable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JP3879078B2 (ja) 塗布具
EP0755889A1 (en) Film transfer roller and film transfer apparatus having the film transfer roller
KR20190022631A (ko) 횡인형 도막 전사구
KR102418033B1 (ko) 도막 전사구
US10717316B2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2005067153A (ja) 転写具
JP4316770B2 (ja) 塗膜転写具
JP5283447B2 (ja) 塗膜転写具
JP6245434B2 (ja) 塗膜転写具
JPH11170770A (ja) 塗膜転写具
JP3796699B2 (ja) 塗布具の転写ヘッド
US20050056375A1 (en) Applicator tip for a corrective tape dispenser
JPH11170776A (ja) 転写具
JP2011031401A (ja) 転写具
JPH11170771A (ja) 塗膜転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