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2631A - 횡인형 도막 전사구 - Google Patents

횡인형 도막 전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631A
KR20190022631A KR1020197001090A KR20197001090A KR20190022631A KR 20190022631 A KR20190022631 A KR 20190022631A KR 1020197001090 A KR1020197001090 A KR 1020197001090A KR 20197001090 A KR20197001090 A KR 20197001090A KR 20190022631 A KR20190022631 A KR 20190022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transfer
rotation
base member
supply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631B1 (ko
Inventor
히로미치 후지사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돔보 엔피쓰
Publication of KR2019002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B65H37/005Hand-held apparatus
    • B65H37/007Applicators for applying coatings, e.g. correction, colour or adhesive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 B43M11/06Hand-hel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7Ratch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 Toy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사 작업 후의 전사 테이프의 절단을 양호하게 하여, 실끌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제공한다. 전단에 전사 헤드(5)가 부착되고, 후반부에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할 수 있는 공급릴용 계지 폴(20a)을 갖는 회전 제지부재(20)가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19)를, 몸체에 마련된 베이스 부재 추지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압축 스프링(23a)에 의해,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는,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공급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고, 전사 헤드의 가압 해제시에는, 베이스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공급릴의 회전이 제지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전사 헤드에서의 전단의 가압 연부(5a)의 방향과, 공급릴 및 권취릴의 회전 지축(8, 13)이 직교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횡인형 도막 전사구
본 발명은, 수정용 또는 첩착용(貼着用) 등의 전사 테이프를 구비하는 횡인형(橫引型) 도막(塗膜) 전사구(傳寫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막 전사구는, 몸체 내에 전사 테이프를 권장(卷裝)한 공급릴과 사용 후의 전사 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릴이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연동함과 함께, 스프링 등의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부품 사이의 활주면에 생기게 한 마찰력에 의해 권취릴 또는 공급릴의 회전 토오크를 발생시키도록 한 자동 권취식의 도막 전사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용시에는, 종이 등의 피전사면에 전사 헤드를 가압하여 이동시킴에 의해, 전사 이프가 공급릴로부터 인출됨과 함께, 피전사면에 전사 테이프의 도막이 전사된다.
전사 종료와 동시에, 도막 전사구를 피전사면으로부터 이간함에 의해, 피전사면에 전사된 도막과, 미전사의 전사 테이프측의 도막을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에, 「실끌림(絲引き)」이라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실끌림 현상은, 도막이 양호하게 절단되지 않고서, 전사 테이프가 필요 이상으로 공급릴로부터 인출되거나, 피전사면에 전사한 도막의 일부가 박리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도막 전사구를 피전사면으로부터 이간할 때에 공급릴이 회전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 많다.
이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스프링성을 갖는 원호형상 암의 회전 저지 부재를 전사 헤드와 일체로 마련하고, 불사용시에는, 상기 회전 저지 부재가 공급릴용 기어의 회전을 저지하고, 전사 헤드를 피전사면에 가압하는 사용시에는, 공급릴용 기어의 회전 저지가 해제되는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 저지 부재가 변형하기 쉽고, 의도하지 않는 해제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회전 저지의 확실성에 뒤떨어진다.
또한,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문헌 2에는, 일단에 권취릴용 기어와 맞물리는 스토퍼를 마련한 전사 헤드를 회동 자유롭게 마련하고, 불사용시에 권취릴용 기어의 회전을 저지하는 발명이 기재되어 있는데, 공급릴은, 권취릴용 기어와 슬립 기구를 통하여 연동되어 있고, 공급릴을 완전히 정지시킬 수는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수단에서는, 공급릴의 회전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본 출원인은, 피전사면에의 전사 작업을 종료하는 동시에, 확실하게 공급릴의 회전을 제지(制止)하여, 전사 테이프의 절단을 양호하게 하여, 실끌림 현상을 방지함과 함께, 전사 작업의 시작시에 있어서의 전사 헤드의 필요없는 움직임을 가급적 적게 하여, 양호한 사용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도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특허문헌 3의 특허출원을 행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3은, 실시례로서는, 종인형(縱引型) 도막 전사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기호나 용도에 의해 일반적으로, 종인형 도막 전사구와 마찬가지로, 횡인형 도막 전사구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실시례의 구체적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여도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구성할 수는 없다.
일본 특개평5-178525호 공보 일본 특개평11-1095호 공보 일본 특개2016-12413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현재의 상태를 감안하여, 피전사면에의 전사 작업을 종료하는 동시에, 확실하게 공급릴의 회전을 제지하여, 전사 테이프의 절단을 양호하게 하여, 실끌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바람직한 양태로서, 도막 전사구의 불사용시에는, 권취릴의 회전이 제지되어 있음과 함께, 사용시에는, 권취릴의 회전 저항을 경감하고,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탄성 래칫 폴의 당접에 의해 생기는 소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제공하는 것도 아울러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해결된다.
(1) 몸체 내에 전사 테이프를 권장한 공급릴과, 상기 공급릴로부터 인출된 전사 테이프를 피전사면에 전사하는 전사 헤드와, 전사 후의 전사 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릴과,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連動)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를 적어도 구비하는 도막 전사구에 있어서, 전단에 전사 헤드가 일체적, 또는 카트리지식으로 교환 가능하게 부착되고, 후반부에 공급릴의 회전을 제지할 수 있는 공급릴용 계지(係止) 폴을 갖는 회전 제지부재가, 일체적 또는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를, 상기 전사 헤드와 회전 제지부재 사이에서, 몸체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베이스 부재 추지부(樞支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몸체 사이에 탄성 복귀 기구를 개재시킴에 의해,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는,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공급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고, 전사 헤드의 가압 해제시에는 상기 탄성 복귀 기구에 의해, 베이스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공급릴의 회전이 제지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전사 테이프를 상기 피전사면에 가압하기 위한 상기 전사 헤드에서의 전단의 가압 연부(緣部)의 방향과, 공급릴 및 권취릴의 회전 지축(支軸)이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용이하게 횡인형 도막 전사구로서 구성할 수 있음과 함께, 피전사면에의 전사 작업을 종료하는 동시에, 확실하게 공급릴의 회전을 제지하여, 전사 테이프의 절단을 양호하게 하여, 실끌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 있다.
(2) 상기 (1)항에 있어서, 회전 제지부재에서의 공급릴용 계지 폴이, 공급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의 원면상(圓面上) 또는 원주연(圓嗾緣)에 마련된 피계지치(彼係止齒)에 계지할 수 있는 공급릴용 계지 폴로서,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는,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피계지치와 상기 공급릴용 계지 폴과의 계지가 풀림에 의해, 공급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고, 전사 헤드의 가압 해제시에는, 탄성 복귀 기구에 의해, 베이스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피계지치에 상기 공급릴용 계지 폴이 계지됨에 의해, 공급릴의 회전이 제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상기 (1)항의 효과가 이루어지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3) 상기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회전 제지부재에, 권취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의 원면상 또는 원주연에 마련된 피계지치에 계지할 수 있는 권취릴용 계지 폴이 마련되고,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는,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피계지치와 상기 권취릴용 계지 폴과의 계지가 풀림에 의해, 권취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고, 전사 헤드의 가압 해제시에는, 탄성 복귀 기구에 의해, 베이스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피계지치에 상기 권취릴용 계지 폴이 계지됨에 의해, 권취릴의 회전이 제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도막 전사구의 불사용시에는, 권취릴의 회전이 제지되어 있음과 함께, 사용시에는, 권취릴의 회전 저항을 경감하고, 또한 탄성 래칫 폴의 당접에 의해 생기는 소리(音)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 있다.
(4) 상기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동력 전달 기구가 복수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 제지부재에, 이들 복수의 기어의 임의의 기어에 마련된 피계지치에 계지할 수 있는 기어용 계지 폴이 마련되고,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는,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피계지치와 상기 기어용 계지 폴과의 계지가 풀림에 의해, 권취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고, 전사 헤드의 가압 해제시에는, 탄성 복귀 기구에 의해, 베이스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피계지치에 상기 기어용 계지 폴이 계지됨에 의해, 권취릴의 회전이 제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상기 (3)항과 같은 효과가 이루어지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 있다.
(5) 상기 (2)항을 인용하는 상기 (3)항, 또는 상기 (2)항을 인용하는 상기 (4)항에 있어서,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 있어서의 베이스 부재의 회동에 의해, 권취릴의 플랜지의 피계지치와 권취릴용 계지 폴과의 계지, 또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의 임의의 기어에 마련된 피계지치와 기어용 계지 폴과의 계지가, 공급릴의 피계지치와 공급릴용 계지 폴과의 계지보다도 먼저 풀려서, 권취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불사용시의 느슨해짐을 없앨 때에도, 몸체 부재에 마련된 개구창(開口窓)을 통하여, 공급릴용 기어를 회전시킴에 의해, 공급릴의 회전이 정지한 상태 그대로 권취릴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전사 테이프의 느슨해짐을 없앨 수 있다.
(6) 상기 (2)항∼(5)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급릴용 계지 폴, 권취릴용 계지 폴, 기어용 계지 폴의 적어도 1 이상이, 전사 테이프를 피전사면에 가압하기 위한 전사 헤드에서의 전단의 가압 연부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전사 헤드의 가압 연부의 피전사면에의 비가압과 가압의 각각에 의해, 공급릴용 계지 폴, 권취릴용 계지 폴, 기어용 계지 폴이, 각각이 계지한 피계지치와의 계지와 그 해제를 할 수 있는 기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7) 상기 (1)항∼(6)항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가, 전사 헤드의 긴변 방향의 축선과, 권취릴의 회전 지축 사이의 공간 내에 배설되어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공간을 낭비없이 이용하여 베이스 부재 등을 몸체 내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컴팩트한 몸체를 갖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전사면에의 전사 작업을 종료하는 동시에, 확실하게 공급릴의 회전을 제지하여, 전사 테이프의 절단을 양호하게 하여, 실끌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양태로서, 도막 전사구의 불사용시에는, 권취릴의 회전이 제지되어 있음과 함께, 사용시에는, 권취릴의 회전 저항을 경감하고, 또한 탄성 래칫 폴의 당접에 의해 생기는 소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제1 실시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상방 사시 분해도.
도 3은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하방 사시 분해도.
도 4는 플랜지를 공급릴에 조립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조립 전의 상방 사시도, (b)는 조립 후의 상방 사시도, (c)는 (b)에서의 c-c선 화살표(矢視) 종단면 사시도.
도 5는 전단에 전사 헤드가 부착되고, 후반부에 회전 제지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a)에서의 파선원(c) 내의 부분 확대도, (d), (e)는, 각각 (b)에서의 d-d선 화살표 종단면도, e-e선 화살표 종단면도.
도 6은 전단에 전사 헤드가 부착되고, 후반부에 회전 제지부재가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가, 몸체에 마련된 베이스 부재 추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하고, 실선은,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불사용시, 가상선은,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사용시에 있어서의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불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b), (c), (d), (e)는, 각각 (a)에서의 b-b선 화살표 종단면도, c-c선 화살표 종단면도, d-d선 화살표 종단면도, e-e선 화살표 종단면도.
도 8은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b), (c), (d), (e)는, 각각 (a)에서의 b-b선 화살표 종단면도, c-c선 화살표 종단면도, d-d선 화살표 종단면도, e-e선 화살표 종단면도.
도 9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불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몸체 등을 생략한 우측면도, (d)는 (c)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 (e)는 (c)에서의 원(e) 내의 부분 확대도.
도 10은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몸체 등을 생략한 우측면도, (d)는 (c)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 (e)는 (c)에서의 원(e) 내의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제2 실시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상방 사시 분해도.
도 13은 마찬가지로, 도 11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하방 사시 분해도.
도 14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불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몸체와 권취릴 등을 생략한 우측면도, (d)는 (c)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
도 15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몸체와 권취릴 등을 생략한 우측면도, (d)는 (c)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제3 실시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상방 사시 분해도.
도 18은 마찬가지로, 도 16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하방 사시 분해도.
도 19는 베이스 부재와 회전 제지부재의 몸체에의 조립과 회전 제지부재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하방 사시도로서, (a)는 불사용시, (b)는 사용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회전 제지부재의 확대 사시도로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
도 21은 상부 몸체 부재의 사시도로서, (a)는 상부 몸체 부재의 위아래를 역으로 한 상방 사시도, (b)는 (a)에서의 원(b) 내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22는 베이스 부재와 회전 제지부재의 조립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상방 사시도.
도 23은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불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a)에서의 원(c) 내의 부분 확대도, (d)는 (a)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
도 24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a)에서의 원(c) 내의 부분 확대도, (d)는 (a)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
도 25는 본 발명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제4 실시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상측의 몸체 부재(2a)를 제외한 상태의 사시도, (b)는 하측의 몸체 부재(2b)를 제외한 상태의 하방 사시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사시 분해도.
도 27은 전단에 전사 헤드가 부착되고, 후반부에 회전 제지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사시 분해도, (c)는 (a)에서의 B화살표도.
도 28은 전사 헤드가 부착된 베이스체, 스프링 및 하측의 몸체 부재(2b)를 도시하는 사시 분해도.
도 29는 불사용시 및 사용시의 베이스체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평면도, (b)는 불사용시에 있어서의 (a)의 D-D선 화살표 단면도, (c)는 사용시에 있어서의 (a)의 D-D선 화살표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제5 실시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평면도, (b)는 불사용시에 있어서의 (a)의 E-E선 화살표 단면도, (c)는 사용시에 있어서의 (a)의 E-E선 화살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대표적인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의 제1 실시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1)의 상방 사시 분해도, 도 3은,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1)의 하방 사시 분해도이다. 또한, 전사 헤드로 피전사면에 가압되는 전사 테이프에 관해서는, 일부의 도면을 제외하여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1)는,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한 쌍의 몸체 부재(2a, 2b)로 이루어지는 전단이 개구하는 몸체(2) 내에, 전사 테이프(3)를 권장한 공급릴(4)과, 이 공급릴(4)로부터 인출되어 전사 테이프(3)를 피전사면에 전사하는 전사 헤드(5)와, 전사 후의 전사 테이프(3)를 권취하는 권취릴(6)과, 공급릴(4)과 권취릴(6)을 연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상하 한 쌍의 몸체 부재(2a, 2b)는, 일방의 몸체 부재(2a)에 세워진 감삽소편(嵌揷小片)(2c)을, 타방의 몸체 부재(2b)에 마련된 감입오목부(嵌入凹部)(2d)에 감삽함에 의해, 몸체(2)가 구성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실시 형태에서는, 몸체(2)는, 투명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공급릴(4)은, 공급릴용 기어(7)와 함께, 다음과 같이 하여, 몸체 부재(2b) 내에 세워진 공급릴의 회전 지축(8)에 축지(軸支)된다. 공급릴용 기어(7)는, 단부에 계지부(7a)를 갖는 통형상의 회전축(7b)을 구비하고 있고, 이 회전축(7b)에 압축 스프링(9), 환형상의 제1 스페이서(10), 환형상의 탄성체 스토퍼(11), 환형상의 제2 스페이서(12)의 4자를 순차적으로, 외감하여 상기 계지부(7a)로써 빠짐방지한 후에, 공급릴용 기어(7)의 회전축(7b)이, 몸체(2) 내에 돌설된 공급릴의 회전 지축(8)에 회전 가능하게 외감된다.
환형상의 탄성체 스토퍼(11)의 외주면에는, 계지 돌기(11a)가 부설되어 있고, 상기 계지 돌기(11a)가 공급릴(4)의 상기 리브형상 피계지부(4a)에 계지함에 의해, 탄성체 스토퍼(11)는 공급릴(4)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공급릴용 기어(7)의 회전축(7b)은 상반부에서 외주면이 거의 등간격으로 절삭되어 4개소의 평면부(7c)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1 스페이서(10)와 제2 스페이서(12)의 속구멍(內孔)(10a, 12a)은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모서리부가 원호형상(弧狀)의 4변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스페이서(10)와 제2 스페이서(12)를 상기 공급릴용 기어(7)의 회전축(7b)에 회전 불능으로 감합시킬 수 있고, 공급릴용 기어(7)와 압축 스프링(9)과 제1 스페이서(10)와 제2 스페이서(12)가 일체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사 작업에 의해, 공급릴(4)에 권장한 전사 테이프(3)가 투입됨에 의해 제1 스페이서(10)와 탄성체 스토퍼(11) 사이의 활주면, 및 탄성체 스토퍼(11)와 제2 스페이서(12)의 사이의 활주면, 및 공급릴(4)과 공급릴용 기어(7) 사이의 활주면에 생기는 마찰력이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하여 권취릴(6)의 회전 토오크로 되어 있다.
또한, 권취릴(6)은 몸체 부재(2b)에 세워진 권취릴의 회전 지축(13)에 축지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취릴(6)에는 권취릴용 기어(14)가 부설되어 있다. 공급릴용 기어(7)와 권취릴용 기어(14) 사이에는, 제1 소기어(15) 및 제2 소기어(16)가 마련되어 있고, 공급릴용 기어(7)와 제1 소기어(15), 제1 소기어(15)와 제2 소기어(16), 제2 소기어(16)와 권취릴용 기어(14)가, 각각 맞물리고 있다. 이들의 공급릴용 기어(7), 제1 소기어(15), 제2 소기어(16), 권취릴용 기어(14)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 기구(17)를 통하여, 상기 마찰력에 의해, 권취릴(6)은 공급릴(4)과 연동하고, 권취릴(6)의 회전 토오크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공급릴(4)에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1)의 불사용시와 사용시의 공급릴(4)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플랜지(18)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플랜지(18)의 원주연(圓周緣)에는, 후기하는 피계지치(18c)(도 3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플랜지(18)를 공급릴에 조립하는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조립 전의 상방 사시도, (b)는 조립 후의 상방 사시도, (c)는 (b)에서의 c-c선 화살표 종단면 사시도이다.
플랜지(18)의 이면에는, 노치(18a)를 갖는 부착편(18b)이 마련되어 있다. 이 부착편(18b)의 노치(18a)에, 공급릴(4)의 리브형상 피계지부(4a)를 계지시킴에 의해, 공급릴(4)과 플랜지(18)는 일체로서 회전하도록 조립된다.
본 발명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는, 전단에 전사 헤드(5)가 일체적, 또는 카트리지식으로 교환 가능하게 부착되고, 후반부에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할 수 있는 공급릴용 계지 폴(20a)을 갖는 회전 제지부재(20)가, 일체적 또는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19)를, 상기 전사 헤드(5)와 회전 제지부재(20) 사이에서, 몸체(2)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베이스 부재 추지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베이스 부재(19)와 상기 몸체(2) 사이에 탄성 복귀 기구(23)를 개재시킴에 의해, 피전사면(S)에의 전사 헤드(5)의 가압시에는, 베이스 부재(19)가 회동함으로써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고, 전사 헤드(5)의 가압 해제시에는 상기 탄성 복귀 기구(23)에 의해, 베이스 부재(19)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공급릴(4)의 회전이 제지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전사 테이프(3)를 상기 피전사면(S)에 가압하기 위한 상기 전사 헤드(5)에서의 전단의 가압 연부(5a)의 방향과, 공급릴(4) 및 권취릴(6)의 회전 지축(8, 13)이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공급릴의 회전이 제지된다는 것은, 적어도 공급릴에 권장된 전사 테이프가 인출되는 방향의 회전이 제지되는 것을 칭하고, 권취릴의 회전이 제지된다는 것은, 적어도 전사 테이프가 권취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이 제지되는 것을 칭한다.
이하, 순서를 쫓아 설명한다.
도 5는, 전단에 전사 헤드(5)가 부착되고, 후반부에 회전 제지부재(20)가 배치되어 있는 베이스 부재(19)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a)에서의 파선원(c) 내의 부분 확대도, (d), (e)는, 각각 (b)에서의 d-d선 화살표 종단면도, e-e선 화살표 종단면도이다.
도 5(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의 전단에 전사 헤드(5)가 부착되고, 후반부에 회전 제지부재(20)가 배설되어 있다.
전사 헤드(5)의 베이스 부재(19)의 전단에의 부착은, 본 실시례에서는, 일체적으로 부착하고 있지만, 기타, 카트리지식으로 교환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회전 제지부재(20)의 베이스 부재(19)의 후반부에의 배설은, 본 실시례에서는, 일체적으로 배설하고 있지만, 후기하는 제3 실시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와 연계하여 작동한 형태로 배설되어 있어도 좋다.
회전 제지부재(20)에는, 도 5(c)∼(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부에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할 수 있는 공급릴용 계지 폴(20a), 전부(前部)에 권취릴(6)의 회전을 제지할 수 있는 후기하는 권취릴용 계지 폴(20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9)의 긴변 방향의 중앙부에는, 몸체(2)에 마련된 베이스 부재 추지부(21)에, 베이스 부재(19)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좌우 방향의 지축(19a)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축(19a)의 후방에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몸체 부재(2b)에 세워진 압축 스프링용 핀(22)에 외감함과 함께, 탄성 복귀 기구(23)로서의 압축 스프링(23a)을 감입하기 위한 상하 방향의 하방이 개구한 비관통의 구멍부(19b)(도 6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은, 전단에 전사 헤드(5)가 부착되고, 후반부에 회전 제지부재(20)가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19)가, 몸체(2)에 마련된 베이스 부재 추지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불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몸체 부재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횡인형 도막 전사구, (b), (c), (d), (e)는, 각각 (a)에서의 b-b선 화살표 종단면도, c-c선 화살표 종단면도, d-d선 화살표 종단면도, e-e선 화살표 종단면도이다. 도 8은,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몸체 부재를 가상선으로 도시한 횡인형 도막 전사구, (b), (c), (d), (e)는, 각각 (a)에서의 b-b선 화살표 종단면도, c-c선 화살표 종단면도, d-d선 화살표 종단면도, e-e선 화살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불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몸체를 생략한 우측면도, (d)는 (c)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 (e)는 (c)에서의 원(e) 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몸체를 생략한 우측면도, (d)는 (c)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 (e)는 (c)에서의 원(e) 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 도 7(b),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의 지축(19a)이, 몸체 부재(2b)의 베이스 부재 추지부(21)에 지지되고, 베이스 부재(19)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6, 도 7(c),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23a)이, 몸체 부재(2b)에 세워진 압축 스프링용 핀(22)에 외감됨과 함께, 이들의 압축 스프링용 핀(22)과 압축 스프링(23a)이, 베이스 부재(19)의 구멍부(19b) 내에 감입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23a)은, 하단이 몸체 부재(2b)의 저면, 상단이 구멍부(19b)의 천면(19c)에, 각각 당접하여 있고, 도 6에서, 베이스 부재(1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가세력을 주도록 작용한다.
한편,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릴(4)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플랜지(18)의 원주연에는, 회전 제지부재(20)의 공급릴용 계지 폴(20a)과 맞물리는 피계지치(18c), 권취릴(6)의 좌우 2개의 플랜지(6a, 6b)의 일방의 플랜지(6b)의 원주연에는, 회전 제지부재(20)의 권취릴용 계지 폴(20b)과 맞물리는 피계지치(6c)가 마련되어 있다.
불사용시에는, 도 7(a) (d)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23a)의 가세력에 의해, 회전 제지부재(20)의 공급릴용 계지 폴(20a), 권취릴용 계지 폴(20b)이 각각 공급릴(4)과 일체가 된 플랜지(18)의 피계지치(18c), 권취릴(6)의 플랜지(6b)의 피계지치(6c)와 계지하고 있고, 공급릴(4), 권취릴(6)의 회전은 제지되어 있다.
한편, 사용시에는, 도 8(a), (d),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사 헤드(5)가 피전사면(S)에 가압되고, 그 가압력에 의해, 베이스 부재(19)가 회동하여, 그 베이스 부재(19)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회전 제지부재(20)도 회동하고, 이 회전 제지부재(20)에 마련되어 있는 공급릴용 계지 폴(20a), 권취릴용 계지 폴(20b)과, 상기 피계지치(18c, 6c)와의 계지가 해제되어, 공급릴(4), 권취릴(6)이 회전 가능해진다.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사용 시작시에, 권취릴용 계지 폴(20b)과 권취릴(6)의 플랜지(6b)의 피계지치(6c)와의 계지가, 공급릴용 계지 폴(20a)과 공급릴(4)의 플랜지(18)의 피계지치(18c)의 계지보다도 먼저 풀려서, 권취릴(6)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의해, 불사용시의 느슨해짐을 없앨 때에도, 권취릴(6)의 플랜지(6b)의 피계지치(6c)의 형상은, 래칫 형상이 되어 있어서, 권취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고, 역회전 방향으로는 회전 불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릴용 계지 폴(20a)과 공급릴(4)의 플랜지(18)의 피계지치(18c)의 계지가 해제되지 않는 상태에서, 몸체 부재(26)에 마련된 개구창(2e)(도 3 참조)을 통하여, 공급릴용 기어(7)를 회전시킴에 의해, 공급릴(4)의 회전이 정지한 상태 그대로 권취릴(6)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저서, 전사 테이프(3)의 느슨해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사용 후에 전사 헤드(5)의 피전사면(S)에의 가압 해제에 따라, 압축 스프링(23a)에 의해, 베이스 부재(19)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공급릴(4)과 권취릴(6)의 회전이 제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의해, 공급릴(4) 및 권취릴(6)의 회전 토오크를 크게 설정하는 일 없이 불사용시에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시키기 때문에, 공급릴(4) 및 권취릴(6)의 회전 토오크를 작게 설정해도 전사 종료시에, 이른바 「실끌림」 현상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하는 기분이 가벼운 횡인형 도막 전사구(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9)는, 압축 스프링(23a)에 의해 후단부(회전 제지부재(20))가 항상 상측으로 가세되고, 불사용시에는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시에 전사 헤드(5)의 하면이 피전사면에 가압되면, 베이스 부재(19)는 시소와 같은 움직임으로 후단부가 공급릴(4)로부터 떨어져서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기 때문에, 도막의 전사를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뒤이어, 도막의 전사를 마쳐서 전사 헤드(5)를 피전사면으로부터 뗀 경우에는, 베이스 부재(19)는 압축 스프링(23a)에 의해 항상 후단이 밀어올려져 있기 때문에, 베이스 부재(19)의 후단측에 배치된 회전 제지부재(20)에 의해 공급릴(4)의 움직임이 로크되고, 공급릴(4)의 회전이 제지된다. 이에 의해, 도막의 전사가 종료된 후에, 횡인형 도막 전사구(1)를 피전사면으로부터 떼여서 도막이 절단될 때에, 공급릴(4)이 도막의 절단에 의한 힘으로 전방으로 당겨져서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도막을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사 테이프(3)를 피전사면(S)에 가압하기 위한 전사 헤드(5)에서의 전단의 가압 연부(5a)의 방향과, 공급릴(4)의 회전 지축(8), 및 권취릴(6)의 회전 지축(13)이 실질적으로 직교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에 의해, 사용하기에 편리한 횡인형 도막 전사구(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몸체 부재(2b)에는, 공급릴(4)로부터 인출되는 전사 테이프(3)를 전사 헤드(5)에 안내하는 제1 안내핀(24), 전사 헤드(5)로부터 전사 후의 전사 테이프(3)를 권취릴(6)에 안내하는 제2 안내핀(25)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공급릴용 계지 폴(20a), 권취릴용 계지 폴(20b)이 각각 피계지치(18c), 피계지치(6c)와 계지 및 그 해제가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급릴용 계지 폴(20a), 권취릴용 계지 폴(20b)은, 전사 헤드(5)에서의 가압 연부(5a)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a), 도 5(b), 도 9(a),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가, 전사 헤드(5)의 긴변 방향의 축선(5b)과, 권취릴(6) 회전 지축 사이의 공간 내에 배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부재(19)를 상기한 바와 같이 배설함에 의해, 몸체(2) 내의 공간을 낭비없이 이용하여,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컴팩트한 몸체(2)를 갖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1)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30)의 사시도로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30)의 상방 사시 분해도, 도 13은, 하방 사시 분해도이다.
제2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30)는, 제1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와 비교하여, 일체적으로 구성된 전사 헤드(31), 베이스 부재(32), 회전 제지부재(33)의 구체적 구성이 다를 뿐으로, 기타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와 마찬가지이다.
즉, 한 쌍의 몸체 부재(34a, 34b)로 이루어지는 몸체(34) 내에, 제1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와 마찬가지로 하여, 전사 테이프(35)를 권장한 공급릴(36), 권취릴(37), 공급릴용 기어(38), 압축 스프링(39), 제1 스페이서(40), 탄성체 스토퍼(41), 제2 스페이서(42), 플랜지(43), 권취릴용 기어(44), 제1 소기어(45), 제2 소기어(46)가 조립된다.
전사 헤드(31), 베이스 부재(32), 회전 제지부재(33)는, 제1 실시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제지부재(33)에는, 공급릴용 계지 폴(33a)이 마련되어 있지만, 권취릴용 계지 폴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1 실시례에서는, 베이스 부재(19)가, 전사 헤드(5)의 긴변 방향의 축선(5b)과, 권취릴(6) 회전 지축 사이의 공간 내에 배설되어 있지만, 제2 실시례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몸체가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도 14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30)의 불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몸체와 권취릴을 생략한 우측면도, (d)는 (c)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30)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몸체와 권취릴 등을 생략한 우측면도, (d)는 (c)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이다.
불사용시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릴용 계지 폴(33a)은, 플랜지(43)의 피계지치(43a)에 계지하고 있지만, 사용시에는, 전사 헤드(31)가, 피전사면(S)에 가압됨에 의해, 베이스 부재(32)가 지축(32a)을 회전축으로서 회동하고, 공급릴용 계지 폴(33a)과 플랜지(43)의 피계지치(43a)와의 계지가 해제되고, 전사 테이프(35)가 공급릴(36)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 후에 전사 헤드(31)의 피전사면에의 가압 해제에 따라, 압축 스프링(47)에 의해, 베이스 부재(32)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공급릴(36)의 회전이 제지된다.
다음에 제3 실시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은, 제3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50)의 사시도로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50)의 상방 사시 분해도, 도 18은, 하방 사시 분해도이다.
제3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50)는, 제1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와 비교하여, 전사 헤드(51), 베이스 부재(52), 회전 제지부재(53)의 조립 등의 구체적 구성이 다를 뿐으로, 기타는 기본적으로 제1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와 마찬가지이다.
즉, 한 쌍의 몸체 부재(54a, 54b)로 이루어지는 몸체(54) 내에, 제1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와 마찬가지로, 전사 테이프(55)를 권장한 공급릴(56), 권취릴(57), 공급릴용 기어(58), 압축 스프링(59), 제1 스페이서(60), 탄성체 스토퍼(61), 제2 스페이서(62), 플랜지(63), 권취릴용 기어(64), 제1 소기어(65), 제2 소기어(66)가 조립된다.
전사 헤드(51)와 베이스 부재(52)는, 제1 실시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회전 제지부재(53)는, 베이스 부재(52)와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베이스 부재(52)의 후반부에 배설되어 있다.
도 19는, 베이스 부재(52)와 회전 제지부재(53)의 몸체(54)에의 조립과 회전 제지부재(53)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하방 사시도로서, (a)는 불사용시, (b)는 사용시를 나타낸다. 도 20은 회전 제지부재(53)의 확대 사시도로서, (a)는 상방 사시도, (b)는 하방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부 몸체 부재(54a)의 사시도로서, (a)는 상부 몸체 부재(54a)의 위아래를 역으로 한 상방 사시도, (b)는 (a)에서의 원(b) 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2는, 베이스 부재(52)와 회전 제지부재(53)의 조립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상방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제지부재(53)는, 공급릴용 계지 폴(53a)이 마련된 공급릴용 계지 폴 암(53c)과, 권취릴용 계지 폴(53b)이 마련된 권취릴용 계지 폴 암(53d)이 2갈래형상으로 배설되고, 양자의 기부(基部)가 축통체(軸筒體)(53e)로 연결되어 있다. 도 2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릴용 계지 폴 암(53c)에는, 비틀림 스프링(67)의 일단을 계지하는 계지구멍(53f)이 마련된 삼각형상의 비틀림 스프링 고정판(53g)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통체(53e)의 상부에는, 회전 제지부재(53)를, 상부 몸체 부재(54a)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축구멍(53h)이 마련되어 있다. 이 축구멍(53h)은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일부 노치(53i)를 갖는 축경부(縮經部)(53j)가 마련되어 있다.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통체(53e)의 하부에는, 오르는(登り) 구배의 곡선홈(53k)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몸체 부재(54a)의 내면에는, 회전 제지부재용 지축(68)과, 비틀림 스프링(67)의 일단을 계지하는 스프링 계지부(69)가 각각 세워져 있다. 회전 제지부재용 지축(68)의 상단에는 계지편(68a)이 부설되어 있다.
회전 제지부재(53)를 회전 제지부재용 지축(68)에 축지(軸支)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회전 제지부재(53)에서의 축통체(53e)의 축구멍(53h) 내에, 회전 제지부재용 지축(68)을, 회전 제지부재용 지축(68)의 계지편(68a)을 축구멍(53h) 내의 노치(53i)에 위치맞춤한 상태에서 감삽함에 의해, 상기 계지편(68a)이 축구멍(53h) 내의 축경부(53j)를 통과한 후, 확경부에 이름과 함께, 계지편(68a)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회전 제지부재(53)는, 회전 제지부재용 지축(68)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된다.
또한, 비틀림 스프링(67)의 일단을 회전 제지부재(53)에서의 비틀림 스프링 고정판(53g)의 계지구멍(53f)에 계지시킴과 함께, 비틀림 스프링(67)의 타단을 상부 몸체 부재(54a)의 스프링 계지부(69)의 노치홈(69a)에 계지시킨다. 이에 의해, 회전 제지부재(53)는, 공급릴용 계지 폴(53a), 권취릴용 계지 폴(53b)이, 각각 공급릴(56)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플랜지(63)의 피계지치(63a), 권취릴(57)의 플랜지 57a의 피계지치(57b)와의 계지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조립된다.
한편, 베이스 부재(52)의 중앙 후부에는, 압축 스프링(70)의 상단을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용 돌기(52b)(도 18, 도 22 참조)가 마련되어 있고, 압축 스프링(70)은 상단이 상기 고정용 돌기(52b)에 고정되고, 하단은, 하부 몸체 부재(54b)의 내면에 당접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52)의 지축(52a)은, 하부 몸체 부재(54b)의 베이스 부재 추지부(71)에 회동 가능하게 추지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52)와 회전 제지부재(53)와의 연계는 다음과 같이 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 부재(52)의 후단 상부에는, 반구형상의 계지부(52c)(도 17, 도 22 참조)가 마련되어 있고, 이 계지부(52c)가 회전 제지부재(53)에서의 축통체(53e)의 곡선홈(53k)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67)은, 공급릴용 계지 폴(53a), 권취릴용 계지 폴(53b)이, 각각이 계지하는 피계지치(63a), 피계지치(57b)와의 계지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가세력을 주고 있지만, 압축 스프링(70)이 비틀림 스프링(67)보다도 강한 힘으로 가세하고 있기 때문에, 불사용시에는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릴용 계지 폴(53a), 권취릴용 계지 폴(53b)은, 각각 피계지치(63a), 피계지치(57b)와 계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전사 헤드(51)의 피전사면(S)의 가압력이, 압축 스프링(70)의 가세력보다도 크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67)의 가세력의 작용에 의해, 공급릴용 계지 폴(53a), 권취릴용 계지 폴(53b)은, 각각 피계지치(63a), 피계지치(57b)와의 계지가 해제되어, 공급릴(56), 권취릴(57)은 회전 가능해진다.
도 23은,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불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a)에서의 원(c) 내의 부분 확대도, (d)는 (a)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4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a)는 상방 사시 정면도, (b)는 (a)의 우측면도, (c)는 (a)에서의 원(c) 내의 부분 확대도, (d)는 (a)에서의 원(d) 내의 부분 확대도이다.
불사용시에는, 1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릴용 계지 폴(53a), 권취릴용 계지 폴(53b)은, 각각 피계지치(63a), 피계지치(57b)와 계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사용시에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계지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사용 후에 전사 헤드(51)의 피전사면(S)에의 가압 해제에 따라, 압축 스프링(70)에 의해, 베이스 부재(52)와 회전 제지부재(5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재차, 상기 계지 상태가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제4 실시례에 관해, 도 25∼도 2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4 실시례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례와 동일 구성요건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4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A)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로, 전사 헤드(5A), 베이스 부재(19A) 및 회전 제지부재(20) 및 탄성 복귀 기구(194)의 구성 등에서 제1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와 다른 외는, 제1 실시례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4 실시례에서는, 베이스 부재(19A)와 전사 헤드(5A)는 별개 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사 헤드(5A)는, 전사 헤드(5A)의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베이스 부재(19A)에 부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4 실시례에서는, 도 2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A)의 선단부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돌기부(191)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19A)의 선단측의 측면의 각각에는, 제1 돌기부(191)가 늘어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좌우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2 돌기부(192)가 형성된다.
또한, 전사 헤드(5A)의 후단면에는, 제1 돌기부(191)가 삽입된 제1 구멍부(501)가 형성된다. 또한, 전사 헤드(5A)는, 이 전사 헤드(5A)의 측부로부터 후단면보다도 후방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측벽부(502)를 구비하고, 한 쌍의 측벽부(502)에는, 상하 방향(전사 헤드(5A)의 전사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다란 긴구멍(503)이 형성된다. 한 쌍의 측벽부(502)는, 제1 구멍부(501)에 베이스 부재(19A)의 제1 돌기부(191)가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9A)의 선단측의 측면을 덮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긴구멍(503)에는, 베이스 부재(19A)의 제2 돌기부(192)가 삽입되고, 이에 의해, 전사 헤드(5A)는 베이스 부재(19A)에 연결된다.
여기서, 긴구멍(503)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제2 돌기부(192)의 직경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A)의 선단에 연결된 전사 헤드(5A)는, 제1 구멍부(501)에 삽입된 제1 돌기부(191)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사 헤드(5A)는, 제2 돌기부(192)가 긴구멍(503)을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회동 가능해진다. 즉, 긴구멍(503)의 상하 방향의 길이에 의해, 전사 헤드(5A)의 회동 범위가 결정된다. 환언하면, 긴구멍(503)에 의해 전사 헤드(5A)의 회동 범위는 규제된다.
또한, 제4 실시례에서는, 베이스 부재(19A)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에 의해 회전 제지부재(20)가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은, 코일부(194a)와, 코일부(194a)의 일단측부터 늘어나는 제1 스프링부(194b)와, 코일부(194a)의 타단측부터 늘어나는 제2 스프링부(194c)를 구비한다. 그리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은, 베이스 부재(19A)의 지축(19a)에 코일부(194a)를 외감시킴과 함께, 제1 스프링부(194b)를 베이스 부재(19A)의 하면측에 고정하고, 제2 스프링부(194c)를 하측의 몸체 부재(2b)의 내면에 고정함으로써, 베이스 부재(19A)를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하는 방향으로 가세한다.
또한, 제4 실시례에서는, 베이스 부재(19A)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권취릴용 계지 폴(20b)은,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형상으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4 실시례에서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1A)는, 사용시에 피전사면에 전사 헤드(5A)를 가압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9A)가, 회전 제지부재(20)에 의한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 위치로부터 더욱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193)를 구비한다.
제4 실시례에서는, 도 29(b) 및 도 2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규제부(193)는 베이스 부재(19A)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19A)의 하면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193)는, 베이스 부재(19A)의 지축(19a)의 근방에서의 지축(19a)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상의 규제부(193)를 구비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1A)에 의하면, 불사용시에는, 도 2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A)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에 의해 지축(19a)보다도 후단측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가세되고, 회전 제지부재(20)의 공급릴용 계지 폴(20a)이 공급릴(4)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플랜지(18)의 피계지치(18c)에 계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공급릴(4)의 회전은 제지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규제부(193)와 하측의 몸체 부재(2b)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횡인형 도막 전사구(1A)의 사용시(전사시)에는, 도 2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사 헤드(5A)가 피전사면에 가압됨에 의해, 베이스 부재(19A)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전사 헤드(5A)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지축(19a)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래서, 지축(19a)에 대해 전사 헤드(5A)와 반대측에 배치된 회전 제지부재(20)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불사용시에 피계지치(18c)에 계합하고 있던 공급릴용 계지 폴(20a)이 피계지치(18c)로부터 벗겨져서,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다.
또한, 회전 제지부재(20)에 의한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 위치까지 베이스 부재(19A)가 회동한 상태에서, 규제부(193)가 몸체 부재(2b)의 내면에 접촉하여 베이스 부재(19A)의 이 이상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례에서는, 권취릴용 계지 폴(20b)이 암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불사용시의 느슨해짐을 없앨 때에, 공급릴용 계지 폴(20a)과 공급릴(4)의 플랜지(18)의 피계지치(18c)와의 계지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권취릴용 계지 폴(20b)이 탄성 변형함에 의해, 권취릴(6)의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4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A)에 의하면, 제1 실시례와 같은 효과를 이루는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이룬다.
횡인형 도막 전사구(1A)를,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 위치로부터 베이스 부재(19A)가 더욱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193)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전사 대상물에 도막을 전사할 때에, 베이스 부재(19A)의 선단에 부착한 전사 헤드(5A)를 전사 대상물에 눌러대면, 베이스 부재(19A)는, 지축(19a)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와 같이 움직여서 후단측은 하방으로 압하된다. 그리고, 규제부(193)가 몸체 부재(2b)에 접촉하여 베이스 부재(19A)의 회동이 규제된 위치에 도달하면,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어 전사 헤드(5A)에 의한 도막의 전사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규제부(193)(베이스 부재(19A))와 몸체 부재(2b)는 직접 당접하고, 쿠션체 등의 압력을 흡수하는 탄성체는 개재하지 않는다. 그때문에, 몸체 부재(2b) 및 규제부(193)(베이스 부재(19A))를 경질 부재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도막의 전사를 위해 가하는 힘을 전사 헤드(5A)에 확실하게 전달시키기 때문에, 도막의 전사를 행하는 경우에, 전사 헤드(5A)에 불필요한 요동 등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피전사면에 전사 헤드(5A)를 가압하여 도막의 전사를 행하는 경우에, 베이스 부재(19A)가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 위치로부터 더욱 회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막의 전사를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사 헤드(5A)가 가압 방향(상하 방향)으로 과도하게 움직여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도막의 전사시에 있어서의 전사 헤드(5A)의 위치를 안정시키게 하여, 전사 대상물에 도막을 알맞게 전사할 수 있다.
또한, 도막 전사구에 의한 도막의 전사가 능숙하게 행하여지지 않는 원인으로서, 도막 전사구를 갖는 손이 좌우에 다소 요동하여, 전사 헤드의 전연(前緣)이 피전사면에 올바르게 당접하지 않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사 헤드의 편측(片側)이 들떠서 도막이 편측 칠함으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전사 헤드(5A)를,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제1 돌기부(191))를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베이스 부재(19A)에 부착하였다. 이에 의해, 전사 헤드(5A)의 전사면을,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에 기울어지게 한다. 따라서, 피전사면에 대한 전사 헤드(5A)의 전사면의 추종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도막의 전사를 알맞게 행할 수 있고, 이른바 편측 전사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도막의 전사시에 횡인형 도막 전사구(1A)가 다소 좌우로 요동하여도, 하향 방향의 힘이 걸려 있으면, 전사 헤드(5A)의 선단연이 베이스 부재(19A)의 요동을 보정하여 전사 헤드(5A)를 피전사면에 알맞게 당접시킨다.
또한, 제4 실시례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탄성 복귀 기구)에 의한,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 위치로부터 더욱 규제부(193)에 의해 회동이 규제되는 위치까지 베이스 부재(19A)를 회동시키는데 필요한 하중이, 피전사면에 도막이 도포되기 위해 필요한 하중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탄성 복귀 기구(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는 범위에서는 도막이 도포되지 않기 때문에, 도막의 전사를 행하는 상태에서, 전사 헤드(5A)가 요동하는 것(즉 쿠션성을 가져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례에서는, 탄성 복귀 기구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에 의해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탄성 복귀 기구를 압축 스프링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에 비하고, 감합된 상측의 몸체 부재(2a)와 하측의 몸체 부재(2b)가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탄성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의 몸체 부재(2a)와 하측의 몸체 부재(2b)와의 감합이 의도하지 않게 벗겨져 버리기 어려운 횡인형 도막 전사구(1A)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례에서 설명한 규제부(193)에 관해, 제1 실시례∼제3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도, 도시는 하지 않지만 같은 규제부를 구비한다. 즉, 제1 실시례∼제3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에 대해서도, 규제부를 가짐에 의한 상기 효과를 이룬다.
다음에, 본 발명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의 제5 실시례에 관해, 도 3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5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B)는, 베이스 부재(19B)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194)이 아니라, 인장 스프링(195)에 의해 가세하고 있는 점에서, 제4 실시례와 다르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실시례에서는, 인장 스프링(195)에 의해, 회전 제지부재(20)가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 스프링(195)은, 코일부(195a)와, 코일부(195a)의 일단측부터 코일부(195a)의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제1 스프링부(195b)와, 코일부(195a)의 타단측부터 코일부(195a)의 축방향으로 늘어나는 제2 스프링부(195c)를 구비한다. 또한, 제5 실시례에서는, 하측의 몸체 부재(2b)는, 내면에서 상방으로 늘어남과 함께, 선단측에 훅 부가 형성된 거는 부재(19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인장 스프링(195)은, 코일부(195a)의 축방향이 상하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됨과 함께, 제1 스프링부(195b)가 베이스 부재(19B)의 상면측에 고정되고, 제2 스프링부(195c)가 거는 부재(196)에 고정됨으로써, 베이스 부재(19B)를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하는 방향으로 가세한다.
제5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B)에 의하면, 불사용시에는, 도 3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9B)는, 인장 스프링(195)에 의해 지축(19a)보다도 후단측이 상방으로 당겨짐에 의해, 회전 제지부재(20)의 공급릴용 계지 폴(20a)이 공급릴(4)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플랜지(18)의 피계지치(18c)에 계합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공급릴(4)의 회전은 제지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규제부(193)와 하측의 몸체 부재(2b)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횡인형 도막 전사구(1A)의 사용시(전사시)에는, 도 30(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사 헤드(5B)가 피전사면에 가압됨에 의해, 베이스 부재(19B)는, 인장 스프링(195)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전사 헤드(5B)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지축(19a)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러면, 지축(19a)에 대해 전사 헤드(5B)와 반대측에 배치된 회전 제지부재(20)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불사용시에 피계지치(18c)에 계합하고 있던 공급릴용 계지 폴(20a)이 피계지치(18c)로부터 벗겨져서,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다.
또한, 회전 제지부재(20)에 의한 공급릴(4)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 위치까지 베이스 부재(19B)가 회동한 상태에서, 규제부(193)가 몸체 부재(2b)의 내면에 접촉하여 베이스 부재(19B)의 이 이상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상 설명한 제5 실시례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1B)에 의하면, 제4 실시례와 같은 효과를 이루는 외에, 이하와 같은 효과를 이룬다.
제5 실시례에서는, 탄성 복귀 기구를 인장 스프링(195)에 의해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감합된 상측의 몸체 부재(2a)와 하측의 몸체 부재(2b)가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베이스 부재(19B)를 공급릴(4)의 회전을 제지한 방향으로 가세시킨다. 따라서, 상측의 몸체 부재(2a)와 하측의 몸체 부재(2b)의 감합이 의도하지 않게 벗겨져 버리는 것을 보다 알맞게 막을 수 있다.
이상, 대표적인 실시 형태로서, 제1 실시례∼제5 실시례를 들여 본 발명의 횡인형 도막 전사구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동력 전달 기구가 복수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 제지부재에, 이들 복수의 기어의 임의의 기어에 마련된 피계지치에 계지할 수 있는 기어용 계지 폴이 마련되고,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는,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피계지치와 상기 기어용 계지 폴과의 계지가 풀림에 의해, 권취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고, 전사 헤드의 가압 해제시에는, 탄성 복귀 기구에 의해, 베이스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피계지치에 상기 기어용 계지 폴이 계지됨에 의해, 권취릴의 회전이 제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2) 상기 (1)에 있어서,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 있어서의 베이스 부재의 회동에 의해,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의 임의의 기어에 마련된 피계지치와 기어용 계지 폴과의 계지가, 공급릴의 피계지치와 공급릴용 계지 폴과의 계지보다도 먼저 풀려서, 권취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기어용 계지 폴이, 전사 테이프를 피전사면에 가압하기 위한 전사 헤드에서의 전단의 가압 연부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4) 회전 제지부재에서의 공급릴용 계지 폴이 계지하는, 공급릴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플랜지에 마련된 피계지치는, 플랜지의 원주연에 마련되는 형태 이외에, 플랜지의 원면상에 마련된 형태라도 좋다. 또한, 플랜지는, 공급릴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나아가서는, 피계지치는 공급릴의 원면상에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여기서 원주연이란 원주 단면(端面)도 포함한다.
(5) 회전 제지부재에서 권취릴용 계지 폴이 계지하는, 권취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에 마련된 피계지치도, 상기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랜지의 원주연에 마련되는 형태 이외에, 플랜지의 원면상에 마련된 형태라도 좋다. 또한, 여기서 원주연이란 원주 단면도 포함한다.
(6) 또한, 공급릴용 계지 폴, 권취릴용 계지 폴, 및 이들의 계지 폴이 계지하는 피계지치의 구체적 형상은, 기능을 갖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공급릴용 계지 폴과, 그 계지 폴이 계지한 피계지치의 구체적 형상은, 적어도 공급릴에 권장된 전사 테이프가 인출되는 방향의 회전이 제지된 것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권취릴용 계지 폴과, 그 계지 폴이 계지한 피계지치의 구체적 형상은, 적어도 전사 테이프가 감기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이 제지되는 것이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7) 실시례에서는, 공급릴과 권취릴의 회전 지축이 별체인 것을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공급릴과 권취릴이 동일한 회전 지축으로 축지되어 있는 것도 포함한다.
(8) 본 발명의 탄성 복귀 기구는, 압축 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고, 인장 스프링이나 기타의 탄성 복귀 작용을 갖는 임의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복귀 기구는, 베이스체이나 몸체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1 : 횡인형 도막 전사구
1A : 횡인형 도막 전사구
1B : 횡인형 도막 전사구
2 : 몸체
2a, 2b : 몸체 부재
2c : 감삽소편
2d : 감입오목부
2e : 개구창
3 : 전사 테이프
4 : 공급릴
4a : 리브형상 피계지부
5 : 전사 헤드
5A : 전사 헤드
5B : 전사 헤드
5a : 가압 연부
5b : 전사 헤드의 긴변 방향의 축선
6 : 권취릴
6a, 6b : 플랜지
6c : 피계지치
7 : 공급릴용 기어
7a : 계지부
7b : 회전축
7c : 평면부
8 : 공급릴의 회전 지축
9 : 압축 스프링
10 : 제1 스페이서
10a : 속구멍
11 : 탄성체 스토퍼
11a : 계지 돌기
12 : 제2 스페이서
12a : 속구멍
13 : 권취릴용 회전 지축
14 : 권취릴용 기어
15 : 제1 소기어
16 : 제2 소기어
17 : 동력 전달 기구
18 : 플랜지
18a : 노치
18b : 부착편
18c : 피계지치
19 : 베이스 부재
19A : 베이스 부재
19B : 베이스 부재
19a : 지축
19b : 구멍부
19c : 천면
20 : 회전 제지부재
20a : 공급릴용 계지 폴
20b : 권취릴용 계지 폴
21 : 베이스 부재 추지부
22 : 압축 스프링용 핀
23 : 탄성 복귀 기구
23a : 압축 스프링
24 : 제1 안내핀
25 : 제2 안내핀
30 : 횡인형 도막 전사구
31 : 전사 헤드
32 : 베이스 부재
32a : 지축
33 : 회전 제지부재
33a : 공급릴용 계지 폴
34 : 몸체
34a, 34b : 몸체 부재
35 : 전사 테이프
36 : 공급릴
37 : 권취릴
38 : 공급릴용 기어
39 : 압축 스프링
40 : 제1 스페이서
41 : 탄성체 스토퍼
42 : 제2 스페이서
43 : 플랜지
43a : 피계지치
44 : 권취릴용 기어
45 : 제1 소기어
46 : 제2 소기어
50 : 횡인형 도막 전사구
51 : 전사 헤드
52 : 베이스 부재
52a : 지축
52b : 스프링 고정용 돌기
52c : 계지부
53 : 회전 제지부재
53a : 공급릴용 계지 폴
53b : 권취릴용 계지 폴
53c : 공급릴용 계지 폴 암
53d : 권취릴용 계지 폴 암
53e : 축통체
53f : 계지구멍
53g : 비틀림 스프링 고정판
53h : 축구멍
53i : 노치
53j : 축경부
53k : 곡선홈
54 : 몸체
54a, 54b : 몸체 부재
55 : 전사 테이프
56 : 공급릴
57 : 권취릴
57a : 플랜지
57b : 피계지치
58 : 공급릴용 기어
59 : 압축 스프링
60 : 제1 스페이서
61 : 탄성체 스토퍼
62 : 제2 스페이서
63 : 플랜지
63a : 피계지치
64 : 권취릴용 기어
65 : 제1 소기어
66 : 제2 소기어
67 : 비틀림 스프링
68 : 회전 제지부재용 지축
68a : 계지편
69 : 스프링 계지부
70 : 압축 스프링
71 : 베이스 부재 추지부
194 : 비틀림 코일 스프링
195 : 인장 스프링

Claims (11)

  1. 몸체 내에 전사 테이프를 권장한 공급릴과, 상기 공급릴로부터 인출된 전사 테이프를 피전사면에 전사하는 전사 헤드와, 전사 후의 전사 테이프를 권취하는 권취릴과, 공급릴과 권취릴을 연동시키는 동력 전달 기구를 적어도 구비하는 도막 전사구에 있어서,
    전단에 전사 헤드가 일체적, 또는 카트리지식으로 교환 가능하게 부착되고, 후반부에 공급릴의 회전을 제지할 수 있는 공급릴용 계지 폴을 갖는 회전 제지부재가, 일체적 또는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배설되어 이루어지는 베이스 부재를, 상기 전사 헤드와 회전 제지부재 사이에서, 몸체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베이스 부재 추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몸체 사이에 탄성 복귀 기구를 개재시킴에 의해,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는,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공급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고, 전사 헤드의 가압 해제시에는 상기 탄성 복귀 기구에 의해, 베이스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공급릴의 회전이 제지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전사 테이프를 상기 피전사면에 가압하기 위한 상기 전사 헤드에서의 전단의 가압 연부의 방향과, 공급릴 및 권취릴의 회전 지축이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 제지부재에서의 공급릴용 계지 폴이, 공급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의 원면상 또는 원주연에 마련된 피계지치에 계지할 수 있는 공급릴용 계지 폴로서,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는,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피계지치와 상기 공급릴용 계지 폴과의 계지가 풀림에 의해, 공급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고, 전사 헤드의 가압 해제시에는, 탄성 복귀 기구에 의해, 베이스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피계지치에 상기 공급릴용 계지 폴이 계지됨에 의해, 공급릴의 회전이 제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 제지부재에, 권취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의 원면상 또는 원주연에 마련된 피계지치에 계지할 수 있는 권취릴용 계지 폴이 마련되고,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는,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피계지치와 상기 권취릴용 계지 폴과의 계지가 풀림에 의해, 권취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고, 전사 헤드의 가압 해제시에는, 탄성 복귀 기구에 의해, 베이스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피계지치에 상기 권취릴용 계지 폴이 계지됨에 의해, 권취릴의 회전이 제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동력 전달 기구가 복수의 기어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 제지부재에, 이들 복수의 기어의 임의의 기어에 마련된 피계지치에 계지할 수 있는 기어용 계지 폴이 마련되고,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는, 베이스 부재가 회동함으로써 상기 피계지치와 상기 기어용 계지 폴과의 계지가 풀림에 의해, 권취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고, 전사 헤드의 가압 해제시에는, 탄성 복귀 기구에 의해, 베이스 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피계지치에 상기 기어용 계지 폴이 계지됨에 의해, 권취릴의 회전이 제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5. 제2항을 인용하는 제3항 또는 제2항을 인용하는 제4항에 있어서,
    피전사면에의 전사 헤드의 가압시에 있어서의 베이스 부재의 회동에 의해, 권취릴의 플랜지의 피계지치와 권취릴용 계지 폴과의 계지, 또는 동력 전달 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어의 임의의 기어에 마련된 피계지치와 기어용 계지 폴과의 계지가, 공급릴의 피계지치와 공급릴용 계지 폴과의 계지보다도 먼저 풀려서, 권취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급릴용 계지 폴, 권취릴용 계지 폴, 기어용 계지 폴의 적어도 1 이상이, 전사 테이프를 피전사면에 가압하기 위한 전사 헤드에서의 전단의 가압 연부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가, 전사 헤드의 긴변 방향의 축선과, 권취릴의 회전 지축 사이의 공간 내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전사면에 상기 전사 헤드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회전 제지부재에 의한 상기 공급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 위치로부터 더욱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헤드는, 그 전사 헤드의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 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귀 기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귀 기구에 의한, 상기 공급릴의 회전 제지가 해제된 위치로부터 더욱 상기 규제부에 의해 회동이 규제되는 위치까지 상기 베이스 부재를 회동시키는데 필요한 하중은, 피전사면에 도막이 도포되기 위해 필요한 하중보다도 낮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인형 도막 전사구.
KR1020197001090A 2016-06-24 2017-03-23 횡인형 도막 전사구 KR102266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5689 2016-06-24
JPJP-P-2016-125689 2016-06-24
PCT/JP2017/011867 WO2017221490A1 (ja) 2016-06-24 2017-03-23 横引型塗膜転写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631A true KR20190022631A (ko) 2019-03-06
KR102266631B1 KR102266631B1 (ko) 2021-06-17

Family

ID=6078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090A KR102266631B1 (ko) 2016-06-24 2017-03-23 횡인형 도막 전사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476619B1 (ko)
JP (1) JP6836800B2 (ko)
KR (1) KR102266631B1 (ko)
CN (1) CN109414951B (ko)
TW (1) TWI711547B (ko)
WO (1) WO20172214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62849A (ja) * 2018-10-19 2020-04-23 プラス株式会社 塗膜転写具
JP6754143B2 (ja) * 2018-12-27 2020-09-0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525A (ja) 1991-12-26 1993-07-20 Fujicopian Co Ltd 塗膜転写具
JPH111095A (ja) 1997-06-12 1999-01-06 Tombow Pencil Co Ltd 塗布具の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機構
JP3516188B2 (ja) * 1995-10-27 2004-04-05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の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部
US20050056374A1 (en) * 2003-09-15 2005-03-17 Sanford, L.P. Tape dispenser with a cushioned applicator tip
JP2016124131A (ja) 2014-12-26 2016-07-11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5895B2 (ja) * 1996-08-09 1999-11-10 シードゴム工業株式会社 塗膜転写用ヘッド、塗膜転写具および塗膜転写具の組立方法
JPH10181289A (ja) * 1996-12-27 1998-07-07 Fujicopian Co Ltd 塗膜転写具
JP4281147B2 (ja) * 1999-04-14 2009-06-17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
DE19936445B4 (de) * 1999-08-03 2004-03-04 SOCIéTé BIC Handgerät zum Übertragen eines Filmes von einem Trägerband auf ein Substrat
JP2001162989A (ja) * 1999-12-08 2001-06-19 Seed Rubber Kogyo Kk 塗膜転写用ヘッド装置および塗膜転写具
JP4553340B2 (ja) * 2001-08-13 2010-09-29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US6582514B1 (en) * 2002-04-23 2003-06-24 Jacky Yang Correction tape
CN100413709C (zh) * 2004-05-06 2008-08-27 国誉株式会社 转印工具
JP4652955B2 (ja) * 2005-11-21 2011-03-16 プラス株式会社 塗布膜転写具
EP1808395B1 (en) * 2006-01-12 2008-07-16 Société BIC Correction system with rubber elastic tension element for a gear mechanism correction tape
JP2011110786A (ja) * 2009-11-26 2011-06-09 Plus Corp 塗布膜転写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8525A (ja) 1991-12-26 1993-07-20 Fujicopian Co Ltd 塗膜転写具
JP3516188B2 (ja) * 1995-10-27 2004-04-05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布具の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部
JPH111095A (ja) 1997-06-12 1999-01-06 Tombow Pencil Co Ltd 塗布具の転写テープ送出、巻取り機構
US20050056374A1 (en) * 2003-09-15 2005-03-17 Sanford, L.P. Tape dispenser with a cushioned applicator tip
JP2016124131A (ja) 2014-12-26 2016-07-11 株式会社トンボ鉛筆 塗膜転写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631B1 (ko) 2021-06-17
WO2017221490A1 (ja) 2017-12-28
CN109414951A (zh) 2019-03-01
TW201806789A (zh) 2018-03-01
TWI711547B (zh) 2020-12-01
JP6836800B2 (ja) 2021-03-03
EP3476619A4 (en) 2020-02-12
EP3476619A1 (en) 2019-05-01
CN109414951B (zh) 2020-08-07
EP3476619B1 (en) 2022-11-09
JPWO2017221490A1 (ja)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7642B2 (ja) 粘着転写具
JP6321537B2 (ja) 塗膜転写具
JPH09123690A (ja) 塗膜転写具用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塗膜転写具
TW522101B (en) Tape cartridge for coat film transfer tool and coat film transfer tool
US10150640B2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including a roller for removing debris adhered to a transfer roller
US11693331B2 (en) Developer cartridge
KR20190022631A (ko) 횡인형 도막 전사구
TWI460084B (zh) 塗膜轉印器
JP7095856B2 (ja) 塗膜転写具
JP2008279719A (ja) 塗膜転写具
TWI523769B (zh) 塗覆膜轉印具
JP2020062849A (ja) 塗膜転写具
JP6355661B2 (ja) 塗膜転写具
JP6899591B2 (ja) 塗膜転写具
JP7491076B2 (ja) 転写具
JP6633692B2 (ja) 塗膜転写具
CN112644210A (zh) 转印用具
JP6257068B2 (ja) 塗膜転写具
JP2019119159A (ja) 転写具
JP2021030442A (ja) 塗膜転写具
JPH09104563A (ja) 塗膜転写具のテープ巻戻し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WO2019008687A1 (ja) 塗膜転写具
JP2008273063A (ja) 転写体装填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