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3353A - 동력 전달 장치 및 밸브 유닛 - Google Patents

동력 전달 장치 및 밸브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3353A
KR20190003353A KR1020180071611A KR20180071611A KR20190003353A KR 20190003353 A KR20190003353 A KR 20190003353A KR 1020180071611 A KR1020180071611 A KR 1020180071611A KR 20180071611 A KR20180071611 A KR 20180071611A KR 20190003353 A KR20190003353 A KR 20190003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lutch mechanism
clutch
side clutch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152B1 (ko
Inventor
유우지 가토오
즈바사 이모토
세이지 노리타
마나부 모리
유키히로 이나메
유우세이 기소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0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F16D13/648Clutch-plates; Clutch-lamellae for clutches with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2Features relating to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Abstract

소프트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이나 스핀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을 항상 냉각하는 것이 가능한 동력 전달 장치 및 밸브 유닛을 제공한다.
동력 입력축(14)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감속하고 사이드 클러치축(30)으로 전달 가능한 소프트 클러치 기구(70) 및 동력 입력축(14)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역전시키고 사이드 클러치축(30)으로 전달 가능한 스핀 클러치 기구(80)가 배치된 선회 클러치축(60)과, 소프트 클러치 기구(70) 및 스핀 클러치 기구(80)에 대하여,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급배 가능한 밸브 유닛(90)과, 선회 클러치축(60)에 형성된 냉각 유로(66)를 갖고, 냉각 유로(66)를 통해 소프트 클러치 기구(70)의 마찰판군(73) 및 스핀 클러치 기구(80)의 마찰판군(83)에 냉각유를 공급 가능한 냉각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동력 전달 장치 및 밸브 유닛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VALVE UNIT}
본 발명은 동력원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에 의해 기체를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력 전달 장치 및 좌우의 주행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차단 상태를 전환하는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와 복수의 선회 클러치가 구비되어 복수종의 선회 패턴에 의해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동력 전달 장치에 사용되는 밸브 유닛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과 같이 부정지에 있어서의 작업이 필요한 작업기에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동력원으로서의 엔진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동력 전달 장치에 의해 좌우의 주행 장치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력 전달 장치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의 동력이 입력되는 동력 입력축과, 동력 입력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 중 좌측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한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우측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한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가 배치된 사이드 클러치축과, 동력 입력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감속하고 사이드 클러치축으로 전달 가능한 습식 다판식의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동력 입력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역전시키고 사이드 클러치축으로 전달 가능한 습식 다판식의 스핀 클러치 기구가 배치된 선회 클러치축과,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스핀 클러치 기구에 대하여 작동유를 급배 가능한 밸브 유닛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78699호 공보
이와 같은 동력 전달 장치는, 기체의 선회 시에는 소프트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을 미끄러지게 하거나, 스핀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을 미끄러지게 하거나 함으로써, 좌우의 주행 장치에 상대적인 속도차를 발생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소프트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이 소손되거나, 스핀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이 소손되거나 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소프트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이나 스핀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을 항상 냉각하는 것이 가능한 동력 전달 장치 및 밸브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동력 전달 장치의 특징 구성은, 동력원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에 의해 기체를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력 전달 장치이며, 상기 동력원의 동력이 입력되는 동력 입력축과, 상기 동력 입력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좌측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한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우측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한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가 배치된 사이드 클러치축과, 상기 동력 입력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으로 전달 가능한 습식 다판식의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상기 동력 입력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역전시켜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으로 전달 가능한 습식 다판식의 스핀 클러치 기구가 배치된 선회 클러치축과, 상기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스핀 클러치 기구에 대하여,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급배 가능한 밸브 유닛과, 상기 선회 클러치축에 형성된 냉각 유로를 갖고, 상기 냉각 유로를 통해 상기 소프트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 및 상기 스핀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에 냉각유를 공급 가능한 냉각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냉각 기구에 의해, 냉각 유로를 통해 소프트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이나 스핀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에 항상 냉각유를 공급할 수 있다. 소프트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이나 스핀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은 항상 공급되는 냉각유에 의해 항상 냉각되기 때문에, 기체의 선회 시에 있어서의 마찰판군의 미끄럼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한 소손의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냉각 기구는 전용의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밸브 유닛을 냉각 기구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에 대하여 작동유를 급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 유닛에,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에 공급하는 유압 회로와, 상기 유압 회로에 설치된 언로드 밸브 및 릴리프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언로드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를, 상기 냉각유로서 상기 냉각 유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및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에 대하여 공급되는 작동유는 유압 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있다. 이 작동유의 압력으로부터 유압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언로드 밸브 및 릴리프 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언로드 밸브는 유압 회로의 내부 유압이 소정값 이상이 되면 유압 회로를 무부하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고, 릴리프 밸브는 유압 회로의 내부의 유압을 규정값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언로드 밸브나 릴리프 밸브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그 나름의 압력을 갖는다. 그리고, 이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유를 냉각유로서 냉각 유로에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 펌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밸브 유닛을 냉각 기구로서 기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력 전달 장치를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상기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스핀 클러치 기구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언로드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를 수용하는 유닛 케이싱이 구비되고, 상기 유닛 케이싱은 개구부를 갖는 공동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본체 케이싱의 외면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막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공동부는 격벽에 의해, 제1 유실과 제2 유실로 구획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 유닛을 본체 케이싱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유닛 케이싱에 구비된 공동부를 유실로서 기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전용의 유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는 점에서, 동력 전달 장치를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는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스핀 클러치 기구로의 공급 전에는 압력이 높고, 따라서 마찬가지로, 언로드 밸브나 릴리프 밸브로부터 배출된 작동유도 압력이 높다.
이에 비해,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스핀 클러치 기구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압력이 낮다.
밸브 유닛에, 하나의 유실만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이면, 언로드 밸브 및 릴리프 밸브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와,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스핀 클러치 기구로부터 배출된 작동유가, 그 하나의 유실로 회수되기 때문에, 언로드 밸브 및 릴리프 밸브로부터 배출된 작동유가 갖는 높은 압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동부를, 격벽에 의해 제1 유실과 제2 유실로 구획함으로써,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스핀 클러치 기구로부터 배출된 압력이 낮은 작동유를 어느 한쪽의 유실로 회수하고, 언로드 밸브 및 릴리프 밸브로부터 배출된 압력이 높은 작동유를 어느 다른 한쪽의 유실로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언로드 밸브 및 릴리프 밸브로부터 배출된 작동유가 갖는 높은 압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유압 회로에,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와,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와, 상기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스핀 클러치 기구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선회 클러치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유실에,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및 상기 선회 클러치 밸브의 각각에 설치된 드레인 포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2 유실에, 상기 언로드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의 각각에 설치된 드레인 포트가 접속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제1 유실에는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스핀 클러치 기구로부터 배출된 압력이 낮은 작동유가 배출된다. 이 작동유는 본체 케이싱에 윤활유로서 공급할 수 있다.
제2 유실에는 밸브 유닛의 유압 펌프에 의해 가압된 작동유가, 언로드 밸브 및 릴리프 밸브를 통해 배출된다. 이 제2 유실에 배출된 작동유를, 소프트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이나 스핀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의 냉각유로서 냉각 유로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의 일단부 및 상기 선회 클러치축의 일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닛 케이싱은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의 일단부 및 상기 선회 클러치축의 일단부에 걸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압 회로에, 상기 소프트 클러치 기구와 상기 스핀 클러치 기구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상기 선회 클러치 밸브, 상기 전환 밸브 및 상기 언로드 밸브는 직동식의 다포트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됨과 함께, 스풀의 가동 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및 상기 언로드 밸브는 상기 유닛 케이싱의 외주부 중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개소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 클러치 밸브 및 상기 전환 밸브는 상기 유닛 케이싱의 외주부 중 상기 선회 클러치축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개소에 배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각 밸브를, 각 밸브에 구비된 스풀의 가동 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각 밸브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로의 급전선의 배선이 용이해진다. 또한, 각 밸브의 설치부나, 유닛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 유로의 배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 유닛을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어느 밸브가 고장났을 때라도, 밸브 유닛을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떼어내는 일 없이, 고장난 밸브만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유압 회로에,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킨 후의 작동유를, 상기 선회 클러치 밸브에 공급하는 공급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 유로에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유닛 케이싱의 외주부에, 상기 공급 유로에 연통하는 점검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점검구를 통해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필터를, 유닛 케이싱의 외부로부터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격벽은 상기 유닛 케이싱 및 상기 본체 케이싱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격벽의 구비하는 방법에 자유도가 증가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밸브 유닛의 특징 구성은, 좌우의 주행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차단 상태를 전환하는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와 복수의 선회 클러치가 구비되어 복수종의 선회 패턴에 의해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동력 전달 장치에 사용되는 밸브 유닛이며, 상기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및 상기 선회 클러치에 대하여 작동유를 급배하는 유압 회로와, 상기 유압 회로에 설치된 언로드 밸브 및 릴리프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및 상기 선회 클러치를 작동시킨 후의 작동유가 유입되는 제1 유실과, 상기 언로드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로부터의 작동유가 유입되는 제2 유실이 구획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소프트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이나 스핀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을 항상 냉각하는 것이 가능한 밸브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동력 전달 장치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2는 유압 회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밸브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밸브 유닛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동력 전달 장치의 실시 형태를, 수확기의 일례로서의 보통형의 콤바인에 채용한 경우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일례이고, 해당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부의 구체적 구성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가 발휘되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 설계 가능하다.
〔전체 구성〕
벼나 보리 등을 수확 대상으로 하는 보통형의 콤바인의 기체에는 좌우의 주행 장치, 기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콤바인의 전진에 수반하여 포장의 곡물을 기립시켜 예취하는 예취부, 예취부로부터 보내져 온 곡물을 수취하고, 급동에 의해 탈곡하는 탈곡부, 탈곡부로부터 보내져 온 탈곡 처리물을, 비중 선별 등의 선별 방식에 의해, 선별의 목적물인 벼와, 배출된 짚 등의 배출물로 분별하는 선별부, 선별부로부터 보내져 온 벼를 저류하는 저류부,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벼를 콤바인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등의 각 작업부, 각 작업부의 동력원으로서의 엔진, 엔진의 동력을 각 작업부로 전달하는 수확기용 전동 장치, 작업원이 탑승하여 운전 조작을 행하는 조종부 등이 구비되어 있다.
수확기용 전동 장치에는 엔진의 동력이 입력되는 벨트식 전달 기구, 벨트식 전달 기구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무단 변속하는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 해당 무단 변속 장치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고, 좌우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에 의해 기체를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력 전달 장치(10)(도 1 참조)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동력 전달 장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장치(10)는 본체 케이싱(11)의 상부에, 무단 변속 장치의 출력축(12)이 스플라인 결합 가능한 동력 입력부(13)가 구비되어 있다. 동력 입력부(13)는 본체 케이싱(11)에 축지지된 동력 입력축(14)과, 동력 입력축(14)에 스플라인 결합된 고속 기어(15)와 저속 기어(16)로 구성되어 있다.
동력 입력축(14)의 하류에는 본체 케이싱(11)에 축지지된 부변속용 전동축(17)이 구비되어 있다. 부변속용 전동축(17)에, 고속 기어(18)와 저속 기어(19)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고속 기어(15)와 고속 기어(18)가 맞물리고, 저속 기어(16)와 저속 기어(19)가 맞물려 있다.
고속 기어(18)와 저속 기어(19) 사이에,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부변속용 전동축(17)과 일체 회전 가능함과 함께, 부변속용 전동축(17)의 축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시프터(20)가 구비되어 있다. 시프터(20)는 부변속용 전동축(17)의 축심 방향을 따른 위치에 따라 고속 기어(18)나 저속 기어(19)에 스플라인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시프터(20)를 고속 기어(18)측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시프터(20)와 고속 기어(18)를 스플라인 결합시키면, 동력 입력축(14)의 회전이 고속 기어(15), 고속 기어(18) 및 시프터(20)를 통해 부변속용 전동축(17)으로 전달된다.
시프터(20)를 저속 기어(19)측으로 슬라이드시키고, 시프터(20)와 저속 기어(19)를 스플라인 결합시키면, 동력 입력축(14)의 회전이 저속 기어(16), 저속 기어(19) 및 시프터(20)를 통해 부변속용 전동축(17)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시프터(20)의 위치를, 고속 기어(18)에 맞물리는 상태와, 저속 기어(19)에 맞물리는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동력 입력축(14)의 동력이 고저 2단(고속 및 저속)으로 변속되고, 부변속용 전동축(17)으로 전달된다.
부변속용 전동축(17)에는 직진용 전동 기어(21)와 선회용 전동 기어(22)가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변속용 전동축(17)에는 주차 브레이크 기구(23)가 구비되어 있다.
부변속용 전동축(17)의 하류에는 본체 케이싱(11)에 축지지된 사이드 클러치축(30)과 선회 클러치축(60)이 구비되어 있다.
〔사이드 클러치축〕
부변속용 전동축(17)에 배치된 직진용 전동 기어(21)는 사이드 클러치축(30)에 스플라인 결합한 사이드 클러치축 입력 기어(31)와 맞물려 있고, 동력 입력축(14)의 회전이 부변속용 전동축(17), 직진용 전동 기어(21) 및 사이드 클러치축 입력 기어(31)를 통해 사이드 클러치축(30)으로 전달된다.
사이드 클러치축(30)에는 동력 입력축(14)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 중 좌측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한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40) 및 좌우의 주행 장치 중 우측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한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동력 전달 장치(10)는 전방측이 기체의 정면이 되도록 그려져 있기 때문에, 우측으로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40)가 배치되고, 좌측으로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클러치축(30)에는 좌측 출력 기어(32) 및 우측 출력 기어(33)가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좌측 출력 기어(32)는 좌측 주행 장치로 동력을 출력하는 좌측 전동 기어(24)와 맞물려 있고, 우측 출력 기어(33)는 우측 주행 장치로 동력을 출력하는 우측 전동 기어(25)와 맞물려 있다.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40)는 맞물림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클러치축(30)에는 좌측 출력 기어(32)의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사이드 클러치축(30)과 일체 회전 가능함과 함께, 사이드 클러치축(30)의 축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좌측 맞물림부(41)가 구비되어 있다.
좌측 맞물림부(41)는 스프링(42)에 의해 좌측 출력 기어(32)와 맞물리도록 가압되어 있다. 좌측 맞물림부(41)가 좌측 출력 기어(32)와 맞물림으로써, 사이드 클러치축(30)의 회전이 좌측 맞물림부(41), 좌측 출력 기어(32)를 통해 좌측 주행 장치로 전달된다. 이때,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40)는 걸림 결합 상태(동력 전달 상태)라고 한다.
본체 케이싱(11)의 좌측면(도 1에 있어서의 우측의 측면)에 설치된 밸브 유닛(90)으로부터, 사이드 클러치축(3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 유로(34)를 통해 좌측 출력 기어(32)와 좌측 맞물림부(41) 사이에 형성된 유실(43)의 내부에 작동유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44)이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움직이고, 좌측 맞물림부(41)가 스프링(4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움직이므로, 좌측 출력 기어(32)와 좌측 맞물림부(41)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때, 사이드 클러치축(30)의 회전은 좌측 맞물림부(41)를 통해서는 좌측 출력 기어(32)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때,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40)는 걸림 결합 해제 상태(차단 상태)라고 한다. 또한, 유실(43)에 공급된 소정량 이상의 작동유는 사이드 클러치축(30)의 내부에 형성된 반송 유로(36)를 통해 밸브 유닛(90)으로 반송된다.
유실(43)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정지하면, 스프링(42)의 가압력에 의해 좌측 맞물림부(41)가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이동되고, 좌측 맞물림부(41)와 좌측 출력 기어(32)가 맞물린다. 이것에 수반하여, 피스톤(44)도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동유는 유실(43)로부터 배출된다. 이 작동유는 공급 유로(34)를 통해 밸브 유닛(90)으로 반송된다.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50)는 맞물림 클러치로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클러치축(30)에는 우측 출력 기어(33)의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사이드 클러치축(30)과 일체 회전 가능함과 함께, 사이드 클러치축(30)의 축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우측 맞물림부(51)가 구비되어 있다.
우측 맞물림부(51)는 스프링(52)에 의해 우측 출력 기어(33)와 맞물리도록 가압되어 있다. 우측 맞물림부(51)가 우측 출력 기어(33)와 맞물림으로써, 사이드 클러치축(30)의 회전이 우측 맞물림부(51), 우측 출력 기어(33)를 통해 우측 주행 장치로 전달된다. 이때,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50)는 걸림 결합 상태(동력 전달 상태)라고 한다.
밸브 유닛(90)으로부터, 사이드 클러치축(3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 유로(35)를 통해 우측 출력 기어(33)와 우측 맞물림부(51) 사이에 형성된 유실(53)의 내부에 작동유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54)이,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움직이고, 우측 맞물림부(51)가 스프링(5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움직이므로, 우측 출력 기어(33)와 우측 맞물림부(51)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때, 사이드 클러치축(30)의 회전은 우측 맞물림부(51)를 통해서는 우측 출력 기어(33)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때,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50)는 걸림 결합 해제 상태(차단 상태)라고 한다. 또한, 유실(53)에 공급된 소정량 이상의 작동유는 사이드 클러치축(30)의 내부에 형성된 반송 유로(36)를 통해 밸브 유닛(90)으로 반송된다.
유실(53)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정지하면, 스프링(52)의 가압력에 의해 우측 맞물림부(51)가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이동되고, 우측 맞물림부(51)와 우측 출력 기어(33)가 맞물린다. 이것에 수반하여 피스톤(54)도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이동되므로, 작동유는 유실(53)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이 작동유는 공급 유로(35)를 통해 밸브 유닛(90)으로 반송된다.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40) 및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50)가 모두 동력 전달 상태이면, 기체는 직진 주행한다.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40) 또는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50)의 어느 것이 차단 상태이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기체는 선회 주행한다.
〔선회 클러치축〕
선회 클러치축(60)에는 사이드 클러치축(30)에 구비된 우측 맞물림부(51)의 외주부에 배치된 입력 중계 기어(37)와 맞물리는 소프트 클러치 입력 기어(61)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소프트 클러치 기구〕
선회 클러치축(60)과 소프트 클러치 입력 기어(61) 사이에는 동력 입력축(14)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감속하고 사이드 클러치축(30)으로 전달 가능한 습식 다판식의 소프트 클러치 기구(70)가 배치되어 있다.
소프트 클러치 기구(70)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선회 클러치축(60)과 일체 회전 가능한 클러치 하우징(71), 소프트 클러치 입력 기어(61)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선회 클러치축(60)과 클러치 하우징(71) 사이에 위치하는 통축(72), 클러치 하우징(71)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걸림 결합된 복수의 외측 마찰판과 통축(72)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걸림 결합된 복수의 내측 마찰판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마찰판군(73)과, 마찰판군(73)을 압박 조작하는 피스톤(74), 피스톤(74)을 마찰판군(7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5) 등이 구비되어 있다.
밸브 유닛(90)으로부터, 선회 클러치축(6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 유로(62)를 통해 클러치 하우징(71)의 내부에 형성된 유실(76)의 내부에 작동유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74)이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움직이고, 마찰판군(73)이 압박되어 외측 마찰판과 내측 마찰판 사이의 미끄럼이 규제되기 때문에, 클러치 하우징(71)과 통축(72)은 상대 회전이 규제된 동력 전달 상태가 된다. 소프트 클러치 입력 기어(61)의 회전은 통축(72), 마찰판군(73), 클러치 하우징(71)을 통해 선회 클러치축(60)으로 전달된다. 또한, 마찰판군(73)에는 공급 유로(62)를 통해 작동유가 냉각유로서 공급되어 있다.
유실(76)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정지하면, 스프링(75)의 가압력에 의해 피스톤(74)이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이동되고, 마찰판군(73)의 압박이 해제되어 외측 마찰판과 내측 마찰판 사이의 미끄럼이 허용되고, 클러치 하우징(71)과 통축(72)은 상대 회전이 허용된 차단 상태가 된다. 또한, 피스톤(74)의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작동유는 유실(76)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이 작동유는 공급 유로(62)를 통해 본체 케이싱(11)의 내부에 배출된다.
〔스핀 클러치 기구〕
부변속용 전동축(17)에 구비된 선회용 전동 기어(22)는 선회 클러치축(6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스핀 클러치 입력 기어(63)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선회용 전동 기어(22)의 회전 방향과 스핀 클러치 입력 기어(63)의 회전 방향은 반대이다.
선회 클러치축(60)과 스핀 클러치 입력 기어(63) 사이에는 동력 입력축(14)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역전시키고 사이드 클러치축(30)으로 전달 가능한 습식 다판식의 스핀 클러치 기구(80)가 배치되어 있다.
스핀 클러치 기구(80)는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선회 클러치축(60)과 일체 회전 가능한 클러치 하우징(81), 스핀 클러치 입력 기어(63)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선회 클러치축(60)과 클러치 하우징(81) 사이에 위치하는 통축(82), 클러치 하우징(81)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걸림 결합된 복수의 외측 마찰판과 통축(82)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걸림 결합된 복수의 내측 마찰판이 교대로 배치된 마찰판군(83)과, 마찰판군(83)을 압박 조작하는 피스톤(84), 피스톤(84)을 마찰판군(8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85) 등이 구비되어 있다.
밸브 유닛(90)으로부터, 선회 클러치축(6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 유로(64)를 통해 클러치 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된 유실(86)의 내부에 작동유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84)이 도 1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움직이고, 마찰판군(83)이 압박되어 외측 마찰판과 내측 마찰판 사이의 미끄럼이 규제되기 때문에, 클러치 하우징(81)과 통축(82)은 상대 회전이 규제된 동력 전달 상태가 된다. 스핀 클러치 입력 기어(63)의 회전은 통축(82), 마찰판군(83), 클러치 하우징(81)을 통해 선회 클러치축(60)으로 전달된다. 또한, 마찰판군(83)에는 공급 유로(64)를 통해 작동유가 냉각유로서 공급되어 있다.
유실(86)로의 작동유의 공급을 정지하면, 스프링(85)의 가압력에 의해 피스톤(84)이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이동되고, 마찰판군(83)의 압박이 해제되어 외측 마찰판과 내측 마찰판 사이의 미끄럼이 허용되고, 클러치 하우징(81)과 통축(82)은 상대 회전이 허용된 차단 상태가 된다. 또한, 피스톤(84)의 도 1에 있어서의 좌측으로의 이동에 의해, 작동유는 유실(86)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이 작동유는 공급 유로(64)를 통해 본체 케이싱(11)의 내부에 배출된다.
〔선회 출력 기어〕
선회 클러치축(60)에는 클러치 하우징(71)과 클러치 하우징(81) 사이에,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선회 출력 기어(65)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선회 출력 기어(65)는 사이드 클러치축(30)에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좌측 출력 기어(32)와 우측 출력 기어(33) 사이에, 사이드 클러치축(30)과 상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출력 중계 기어(38)에 맞물려 있다.
소프트 클러치 기구(70) 또는 스핀 클러치 기구(80)를 통해 출력된 동력은 선회 출력 기어(65)를 통해 출력 중계 기어(38)로 전달된다.
출력 중계 기어(38)와 좌측 출력 기어(32) 사이에는 좌측 선회 클러치 기구(45)가 구비되고, 출력 중계 기어(38)와 우측 출력 기어(33) 사이에는 우측 선회 클러치 기구(55)가 구비되어 있다.
좌측 선회 클러치 기구(45) 및 우측 선회 클러치 기구(55)는 모두 습식 다판식의 클러치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선회 클러치 기구(45) 및 우측 선회 클러치 기구(55)는 복수의 마찰판군이 서로 밀해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작동유의 공급이 정지되어도 반동력 전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 선회〕
밸브 유닛(90)으로부터, 사이드 클러치축(3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 유로(34)를 통해 유실(43)의 내부에 작동유를 공급할 때에, 좌측 선회 클러치 기구(45)에 구비된 유실(46)에도 작동유가 공급되고, 복수의 마찰판군의 미끄럼이 규제되고, 좌측 선회 클러치 기구(45)는 동력 전달 상태가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40)는 차단 상태이기 때문에, 좌측 출력 기어(32)에는 좌측 맞물림부(41)를 통한 동력의 전달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좌측 출력 기어(32)에는 선회 출력 기어(65), 출력 중계 기어(38) 및 좌측 선회 클러치 기구(45)를 통해 소프트 클러치 기구(70) 또는 스핀 클러치 기구(80)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출력 기어(32)에는 좌측 맞물림부(41)를 통해 동력이 전달될 때보다도 저속의 동력 또는 역방향의 동력이 전달되고, 기체는 좌측으로 완선회 또는 초신지 선회한다.
〔우측 선회〕
밸브 유닛(90)으로부터, 사이드 클러치축(3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급 유로(35)를 통해 유실(53)의 내부에 작동유를 공급할 때에, 우측 선회 클러치 기구(55)에 구비된 유실(56)에도 작동유가 공급되고, 복수의 마찰판군의 미끄럼이 규제되고, 우측 선회 클러치 기구(55)는 동력 전달 상태가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50)는 차단 상태이기 때문에, 우측 출력 기어(33)에는 우측 맞물림부(51)를 통한 동력의 전달은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우측 출력 기어(33)에는 선회 출력 기어(65), 출력 중계 기어(38) 및 우측 선회 클러치 기구(55)를 통해 소프트 클러치 기구(70) 또는 스핀 클러치 기구(80)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우측 출력 기어(33)에는 우측 맞물림부(51)를 통해 동력이 전달될 때보다도 저속의 동력 또는 역방향의 동력이 전달되고, 기체는 우측으로 완선회 또는 초신지 선회한다.
본체 케이싱(11)에는 무단 변속 장치의 출력축(12)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 펌프(26)(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26)는 본체 케이싱(11)의 내부에 저류된 윤활유를 흡인하고, 밸브 유닛(90)에 작동유로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밸브 유닛〕
밸브 유닛(90)은 좌우의 주행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차단 상태를 전환하는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와 복수의 선회 클러치가 구비되어 복수종의 선회 패턴에 의해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동력 전달 장치(10)에 사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펌프(26)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40),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50), 소프트 클러치 기구(70), 스핀 클러치 기구(80), 좌측 선회 클러치 기구(45) 및 우측 선회 클러치 기구(55)의 각각에 급배하는 유압 회로(92)를 구비하고 있다.
유압 회로(92)에,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40)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1)와,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50)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2)와, 소프트 클러치 기구(70) 및 스핀 클러치 기구(80)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선회 클러치 밸브(V3)와, 소프트 클러치 기구(70)와 스핀 클러치 기구(80)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V4)와, 유압 회로(92)의 내부의 유압이 소정값 이상이 되면 유압 회로(92)를 무부하 상태로 하는 언로드 밸브(V5)와, 유압 회로(92)의 내부의 유압을 규정값으로 유지하는 릴리프 밸브(V6)가 구비되어 있다.
특히,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1),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2), 선회 클러치 밸브(V3), 전환 밸브(V4) 및 언로드 밸브(V5)는 직동식의 다포트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밸브의 작동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클러치축(30)의 일단부 및 선회 클러치축(60)의 일단부는 본체 케이싱(11)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유닛(90)의 각 밸브를 수용하는 유닛 케이싱(91)은 사이드 클러치축(30)의 일단부 및 선회 클러치축(60)의 일단부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유닛 케이싱(91)은 주조에 의해 제조되고, 상술한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1),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2), 선회 클러치 밸브(V3), 전환 밸브(V4) 및 언로드 밸브(V5)의 설치부나, 이하에 설명하는 각 유로가 절삭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케이싱(91)에는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1),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2), 선회 클러치 밸브(V3), 전환 밸브(V4) 및 언로드 밸브(V5)의 스풀의 가동 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1),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2) 및 언로드 밸브(V5)는 유닛 케이싱(91)의 외주부 중 사이드 클러치축(30)의 일단부의 삽입부(93)에 가까운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1),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2) 및 언로드 밸브(V5)에 구비된 각 솔레노이드로의 급전선의 배선이 용이하다.
선회 클러치 밸브(V3) 및 전환 밸브(V4)는 유닛 케이싱(91)의 외주부 중 선회 클러치축(60)의 일단부의 삽입부(94)에 가까운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선회 클러치 밸브(V3) 및 전환 밸브(V4)에 구비된 각 솔레노이드로의 급전선의 배선이 용이하다.
또한, 각 밸브의 설치부나, 유닛 케이싱(91)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 유로의 배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밸브 유닛(90)을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어느 밸브가 고장났을 때라도, 밸브 유닛(90)을 본체 케이싱(11)으로부터 제거하는 일 없이, 고장난 밸브만의 교환이 가능해진다.
유닛 케이싱(91)은 개구부를 갖는 공동부(C)가 구비됨과 함께, 본체 케이싱(11)의 외면에 의해 개구부가 막히도록 본체 케이싱(11)에 설치된다. 공동부(C)는 유닛 케이싱(91)에 일체적으로 구비된 격벽(95)(도 7 참조)에 의해, 제1 유실(C1)과 제2 유실(C2)로 구획되어 있다.
밸브 유닛(90)을 본체 케이싱(11)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유닛 케이싱(91)에 구비된 공동부(C)를, 제1 유실(C1)이나 제2 유실(C2)로서 기능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전용의 유실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는 점에서, 동력 전달 장치(10)를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
유닛 케이싱(91)에는 유압 펌프(26)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의 입력부(99)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닛 케이싱(91)에는 입력부(99)로부터,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1),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2), 언로드 밸브(V5) 및 릴리프 밸브(V6)의 각 입력 포트(P1, P2, P5, P6)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입력 유로(L1)가 구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1)의 급배 포트(A1)는 유닛 케이싱(91)에 설치된 사이드 클러치축(30)의 일단부의 삽입부(93)에 있어서, 사이드 클러치축(30)에 형성된 공급 유로(34)로 작동유를 급배하는 급배 유로(L2)에 연통하고 있다.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1)의 드레인 포트(T1)는 배출 유로(L3)를 통해 제1 유실(C1)에 연통하고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2)의 급배 포트(A2)는 유닛 케이싱(91)에 설치된 사이드 클러치축(30)의 일단부의 삽입부(93)에 있어서, 사이드 클러치축(30)에 형성된 공급 유로(35)에 작동유를 급배하는 급배 유로(L4)에 연통하고 있다.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2)의 드레인 포트(T2)는 배출 유로(L5)를 통해 제1 유실(C1)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93)에 있어서, 사이드 클러치축(30)에 형성된 반송 유로(36)로부터의 작동유를 수용하는 공급 유로(L6)가 연통하고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유로(L6)는 선회 클러치 밸브(V3)의 입력 포트(P3)에 연통하고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 유로(L6)에 필터(96)가 구비되어 있다. 유닛 케이싱(91)의 외주부에, 공급 유로(L6)에 연통하는 점검구(97)가 구비되어 있다. 점검구(97)는 분리 가능한 캡(98)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필터(96)는 점검구(97)를 통해, 유닛 케이싱(91)의 외부로부터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클러치 밸브(V3)의 출력 포트(A3)는 공급 유로(L7)에 연통하고, 공급 유로(L7)를 통해 전환 밸브(V4)의 입력 포트(P4)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선회 클러치 밸브(V3)의 드레인 포트(T3)는 배출 유로(L8)를 통해 제1 유실(C1)에 연통하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V4)의 출력 포트(A4)는 유닛 케이싱(91)에 설치된 선회 클러치축(60)의 일단부의 삽입부(94)에 있어서, 선회 클러치축(60)에 형성된 공급 유로(62)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 유로(L9)에 연통하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밸브(V4)의 출력 포트(B4)는 유닛 케이싱(91)에 설치된 선회 클러치축(60)의 일단부의 삽입부(94)에 있어서, 선회 클러치축(60)에 형성된 공급 유로(64)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공급 유로(L10)에 연통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실(C1)에,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1)에 설치된 드레인 포트(T1)에 연통한 배출 유로(L3),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V2)에 설치된 드레인 포트(T2)에 연통한 배출 유로(L5) 및 선회 클러치 밸브(V3)에 설치된 드레인 포트(T3)에 연통한 배출 유로(L8)가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싱(11)의 측면에는, 제1 유실(C1)과 연통하는 드레인구(27)가 구비되어, 제1 유실(C1)에 배출된 작동유는, 드레인구(27)를 통해 본체 케이싱(11)의 내부에 배출되어, 윤활유로서 이용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실(C2)에, 언로드 밸브(V5)에 설치된 출력 포트(A5)[및 드레인 포트(T5)]에 연통한 배출 유로(L11)가 접속되고, 배출 유로(L11)에는 릴리프 밸브(V6)에 설치된 드레인 포트(T6)에 연통한 배출 유로(L12)가 연통하고 있다.
제2 유실(C2)은 본체 케이싱(11)과, 선회 클러치축(60)의 시일 부착 베어링부에 의해 이격되어 있다. 선회 클러치축(60)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 유로(66)는 제2 유실(C2)의 내부에 있어서 개방단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유실(C2)의 작동유는 해당 개방단으로부터 냉각 유로(66)에 공급된다.
기체의 직진 시에는, 제2 유실(C2)에는 유압 펌프(26)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의 거의 전량이, 적어도 언로드 밸브(V5) 또는 릴리프 밸브(V6)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공급된다. 기체의 선회 시라도, 제2 유실(C2)에는 유압 펌프(26)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의 일부가, 언로드 밸브(V5) 또는 릴리프 밸브(V6)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공급된다.
제2 유실(C2)에는 유압 펌프(26)로부터 토출된 유압이 높은 작동유 중 적어도 일부가 항상 공급되고, 이 작동유가 냉각유로서, 상기 개방단으로부터 선회 클러치축(60)의 내부에 형성된 냉각 유로(66)를 통해, 소프트 클러치 기구(70)의 마찰판군(73) 및 스핀 클러치 기구(80)의 마찰판군(83)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소프트 클러치 기구(70)의 마찰판군(73) 및 스핀 클러치 기구(80)의 마찰판군(83)은 소프트 클러치 기구(70)나 스핀 클러치 기구(80)가 동력 전달 상태일 때에 한정되지 않고, 차단 상태일 때라도 항상 냉각된다. 기체의 선회 시에 있어서의 마찰판군(73)의 미끄럼이나, 마찰판군(83)의 미끄럼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한 소손의 우려가 저감된다.
이와 같이, 밸브 유닛(90)은 언로드 밸브(V5) 및 릴리프 밸브(V6)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를, 냉각유로서 냉각 유로(66)에 공급하는 냉각 기구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 기구는 밸브 유닛(90)과는 별도로 구비된 냉각 전용의 기구여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격벽(95)은 유닛 케이싱(91)에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격벽(95)은 본체 케이싱(11)에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어도 되고, 유닛 케이싱(91) 및 본체 케이싱(11)의 각각에 구비되어도 된다. 또한, 격벽(95)은 유닛 케이싱(91) 및 본체 케이싱(11)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별체적으로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관한 동력 전달 장치가, 보통형의 콤바인에 채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수확기로서는 자탈형의 콤바인이어도 되고, 콤바인 이외에도 옥수수 수확기 등의 다양한 수확기에 적용할 수 있다.
10 : 동력 전달 장치
11 : 본체 케이싱
14 : 동력 입력축
26 : 유압 펌프
30 : 사이드 클러치축
40 :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50 :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60 : 선회 클러치축
66 : 냉각 유로
70 : 소프트 클러치 기구
73 : 마찰판군
80 : 스핀 클러치 기구
83 : 마찰판군
90 : 밸브 유닛
91 : 유닛 케이싱
92 : 유압 회로
95 : 격벽
96 : 필터
97 : 점검구
C : 공동부
C1 : 제1 유실
C2 : 제2 유실
L6 : 공급 유로
T1 : 드레인 포트
T2 : 드레인 포트
T3 : 드레인 포트
T5 : 드레인 포트
T6 : 드레인 포트
V1 :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V2 :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V3 : 선회 클러치 밸브
V4 : 전환 밸브
V5 : 언로드 밸브
V6 : 릴리프 밸브

Claims (9)

  1. 동력원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좌우의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에 의해 기체를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력 전달 장치이며,
    상기 동력원의 동력이 입력되는 동력 입력축과,
    상기 동력 입력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좌측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한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좌우의 주행 장치 중 우측 주행 장치로 전달 가능한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가 배치된 사이드 클러치축과,
    상기 동력 입력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으로 전달 가능한 습식 다판식의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상기 동력 입력축으로부터 출력된 동력을 역전시켜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으로 전달 가능한 습식 다판식의 스핀 클러치 기구가 배치된 선회 클러치축과,
    상기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스핀 클러치 기구에 대하여,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급배 가능한 밸브 유닛과,
    상기 선회 클러치축에 형성된 냉각 유로를 갖고, 상기 냉각 유로를 통해 상기 소프트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 및 상기 스핀 클러치 기구의 마찰판군에 냉각유를 공급 가능한 냉각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동력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에 대하여 작동유를 급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밸브 유닛에,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된 작동유를,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에 공급하는 유압 회로와, 상기 유압 회로에 설치된 언로드 밸브 및 릴리프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 유닛은 상기 언로드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배출된 작동유를, 상기 냉각유로서 상기 냉각 유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력 전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상기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스핀 클러치 기구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싱과,
    상기 언로드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를 수용하는 유닛 케이싱이 구비되고,
    상기 유닛 케이싱은 개구부를 갖는 공동부가 구비됨과 함께, 상기 본체 케이싱의 외면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막히도록, 상기 본체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공동부는 격벽에 의해, 제1 유실과 제2 유실로 구획되어 있는 동력 전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회로에,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와,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와, 상기 소프트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스핀 클러치 기구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하는 선회 클러치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유실에,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및 상기 선회 클러치 밸브의 각각에 설치된 드레인 포트가 접속되고,
    상기 제2 유실에, 상기 언로드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의 각각에 설치된 드레인 포트가 접속되어 있는 동력 전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의 일단부 및 상기 선회 클러치축의 일단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닛 케이싱은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의 일단부 및 상기 선회 클러치축의 일단부에 걸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압 회로에, 상기 소프트 클러치 기구와 상기 스핀 클러치 기구에 대한 작동유의 급배를 전환하는 전환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상기 선회 클러치 밸브, 상기 전환 밸브 및 상기 언로드 밸브는 직동식의 다포트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됨과 함께, 스풀의 가동 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밸브 및 상기 언로드 밸브는 상기 유닛 케이싱의 외주부 중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개소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 클러치 밸브 및 상기 전환 밸브는 상기 유닛 케이싱의 외주부 중 상기 선회 클러치축의 상기 일단부에 가까운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동력 전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회로에, 상기 좌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우측 사이드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킨 후의 작동유를, 상기 선회 클러치 밸브에 공급하는 공급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 유로에 필터가 구비되고,
    상기 유닛 케이싱의 외주부에, 상기 공급 유로에 연통하는 점검구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점검구를 통해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동력 전달 장치.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유닛 케이싱 및 상기 본체 케이싱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구비되어 있는 동력 전달 장치.
  8. 좌우의 주행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상태와,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차단 상태를 전환하는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와 복수의 선회 클러치가 구비되어 복수종의 선회 패턴에 의해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동력 전달 장치에 사용되는 밸브 유닛이며,
    상기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및 상기 선회 클러치에 대하여 작동유를 급배하는 유압 회로와,
    상기 유압 회로에 설치된 언로드 밸브 및 릴리프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의 사이드 클러치 및 상기 선회 클러치를 작동시킨 후의 작동유가 유입되는 제1 유실과, 상기 언로드 밸브 및 상기 릴리프 밸브로부터의 작동유가 유입되는 제2 유실이 구획되어 있는 밸브 유닛.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유닛 케이싱 및 상기 본체 케이싱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구비되어 있는 동력 전달 장치.
KR1020180071611A 2017-06-30 2018-06-21 동력 전달 장치 및 밸브 유닛 KR102606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9620 2017-06-30
JP2017129620 2017-06-30
JPJP-P-2018-116429 2018-06-19
JP2018116429A JP6948987B2 (ja) 2017-06-30 2018-06-19 動力伝達装置及びバルブユニット
JPJP-P-2018-116249 2018-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353A true KR20190003353A (ko) 2019-01-09
KR102606152B1 KR102606152B1 (ko) 2023-11-27

Family

ID=65226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611A KR102606152B1 (ko) 2017-06-30 2018-06-21 동력 전달 장치 및 밸브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48987B2 (ko)
KR (1) KR1026061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8785A (ja) * 2007-09-27 2009-04-16 Kubota Corp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009078699A (ja) 2007-09-26 2009-04-16 Kubota Corp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010071389A (ja) * 2008-09-18 2010-04-02 Kubota Corp 作業車の油圧回路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8699A (ja) 2007-09-26 2009-04-16 Kubota Corp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009078785A (ja) * 2007-09-27 2009-04-16 Kubota Corp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010071389A (ja) * 2008-09-18 2010-04-02 Kubota Corp 作業車の油圧回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48987B2 (ja) 2021-10-13
KR102606152B1 (ko) 2023-11-27
JP2019011047A (ja)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9125A (en) Speed control structure
US20160144864A1 (en) Transmission And Integrated Transfer Case
JP4638901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4746597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KR20190003353A (ko) 동력 전달 장치 및 밸브 유닛
JP6887397B2 (ja) 動力伝達装置
JP2007117017A (ja) 作業車の油圧回路構造
JP4827185B2 (ja) コンバイン
JP5517212B2 (ja) トラクタの動力伝達装置
JP2007186174A (ja) 走行用油圧式無段変速装置
JP2002192972A (ja) 作業機の走行用伝動装置
JP5001767B2 (ja) コンバイン
JP4820351B2 (ja) コンバインの走行変速構造
JP4798710B2 (ja) コンバイン
JP4827186B2 (ja) コンバインの油圧構造
JP2009079740A (ja) 作業機のブレーキ構造
JP2014136478A (ja) 車軸駆動装置
JP6758251B2 (ja) 収穫機用伝動装置
JP6598557B2 (ja) 作業車
JP2996325B2 (ja) 油圧作動型操向装置
JP4715121B2 (ja) コンバイン
JP5054478B2 (ja) 作業車の旋回制御装置
JP2009078698A (ja) 作業車のミッションケース
JP2020106090A (ja) 作業車
JP2010058645A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