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444A - 난의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난의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444A
KR20180127444A KR1020187030736A KR20187030736A KR20180127444A KR 20180127444 A KR20180127444 A KR 20180127444A KR 1020187030736 A KR1020187030736 A KR 1020187030736A KR 20187030736 A KR20187030736 A KR 20187030736A KR 20180127444 A KR20180127444 A KR 20180127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conveying
eggs
speed
hold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오 키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나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나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나벨
Publication of KR2018012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65B23/06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 B65B23/08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using g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08Eg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난의 처리 장치(1)는, 복수의 유지 부재(2)와 복수의 난수용좌(41∼46)와 복수의 투입 기구(31∼37)를 구비한다. 복수의 유지 부재(2)는, 반송 컨베이어(5)에 서로 간격을 띄어서 부착되고, 난(E)을 유지한다. 난수용좌(41∼46)의 수는, 예를 들면, 6개이다. 난수용좌(41∼46)는, 복수의 유지 부재(2)의 반송 방향에 따라 각각 배치되어, 복수의 유지 부재의 각각(2)에 유지된 난(E)을 수용한다. 투입 기구(31∼37)의 개수는, 난수용좌(41∼46)의 개수보다도 많고, 예를 들면, 7개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난의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
본 발명은, 난(卵)의 반송 속도에 응하여 난의 방출 위치를 변경하여 난을 처리하는 난의 처리 장치 및 난의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향 정렬(整列) 또는 계량(計量) 등이 행하여진 난은, 반송 컨베이어에 등간격으로 부착된 유지 부재로 유지되면서 하류측을 향하여 일렬로 반송된다. 그리고, 이들의 난은, 유지 부재로부터 상향으로 개구하는 난수용좌(卵收容座)(예를 들면, 버킷 또는 트레이 등)에 향하여 소정의 방출 위치에서 방출된다.
그때, 난의 반송 속도에 응하여 다른 포물선을 그리며 난이 낙하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난의 방출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정지 상태로부터 소정의 속도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 소정의 속도로 반송하고 있던 상태로부터 정지할 때, 그리고, 정지한 상태로부터 재차 시동(始動)할 때 등에서는, 유지 부재로 유지된 난의 반송 속도가 시시각각 변화한다. 그렇지만, 난의 처리 장치에는, 난의 반송 속도에 관계없이 안정되게 난수용좌에 떨어뜨려 넣을(落とし入む) 것이 필요하게 되어 왔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난의 처리 장치는, 도 6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에 등간격으로 부착된, 난(E)을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부재(81)와, 이 유지 부재(81)의 상태를 전환하여 유지 부재(81)로부터 복수의 난수용좌(83)를 향하여 난(E)을 방출하는 복수의 투입 기구(82)를 구비한다.
이들의 투입 기구(82)는, 난수용좌(83)와 같은 수로써 유닛화된 것이다. 이 난의 처리 장치는, 또한, 유지 부재(81)의 반송 방향(A)의 상류측을 향하여 유닛화된 투입 기구(82)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때문에, 변화하는 반송 속도에 응하여 이동 기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투입 기구(82)의 위치 변경을 행할 수가 있다. 즉, 유지 부재(81)를 유지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타이밍이 조정 가능해저서,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반송 컨베이어의 저속시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반송 컨베이어의 고속시의 쌍방에 대응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소59-3298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평1-308711호 공보
특허 문헌 1과 같은 이동 기구를 구비한 것은, 이 이동 기구를 구비함에 의한 비용 업 또는 메인터넌스 작업의 증가에 대해, 어떠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동 기구를 없앤 난의 처리 장치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특허 문헌 2에 제안되어 있는 난의 처리 장치도 알려져 있다. 이 난의 처리 장치는, 도 7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91)가 반송 방향(A)에 대해 평행하게 늘어나는 당접부를 구비하고 있고, 반송 속도(저속시의 (i)∼고속시의 (ⅲ))에 응하여, 투입 기구(92)가 당접부의 어느 위치에 당접하는지를 결정한다. 즉, 변화하는 반송 속도에 대응하기 위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접합부를 이용하여, 유지 부재(91)를 유지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타이밍을 조정한다.
이 특허 문헌 2의 난의 처리 장치에서는, 유지 부재의 반송 속도가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대응할 수 있지만, 근래의 기계의 고속화에 수반하고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난을 방출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투입 기구를 반송 속도에 응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난의 반송 속도에 응하여 난을 소정의 난수용좌를 향하여 방출할 수 있는 난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와 같은 난의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난의 처리 장치는, 복수의 유지 부재와 복수의 투입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유지 부재는, 반송 컨베이어에 서로 간격을 띄어서 부착되고, 난을 각각 유지한다. 복수의 투입 기구는,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투입 기구는, 복수의 유지 부재의 각각에 유지된 난을, 반송 방향에 따라 위치하는 제1 수(數)의 목표 위치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한다. 복수의 투입 기구의 수는, 제1 수보다도 많은 제2 수이다. 복수의 유지 부재의 각각에 유지된 난을, 제1 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가 제1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1 상태에서는, 제1 수의 목표 위치에 대해, 제2 수의 투입 기구 중,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투입 기구로부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수에 상당하는 수의 투입 기구에 의해,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목표 위치로부터 상류측의 목표 위치를 향하여 난이 순차적으로 방출된다. 반송 컨베이어가 제1 속도보다도 빠른 제2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2 상태에서는, 제1 수의 목표 위치에 대해, 제2 수의 투입 기구 중, 제1 위치보다도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투입 기구로부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수에 상당하는 수의 투입 기구에 의해,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목표 위치로부터 상류측의 목표 위치를 향하여 난이 순차적으로 방출된다.
난의 처리 장치에서는, 제1 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에는, 난을 수취하는 기능 및 수취한 난을 더욱 하방을 향하여 방출하는 기능을 갖는 제1 난수용좌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난의 처리 장치에서는, 제1 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에는, 난을 수취하는 제2 난수용좌가 배치되어, 제2 난수용좌를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난의 처리 장치에서는, 제2 수의 투입 기구의 각각은, 반송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난의 처리 장치에서는, 반송 컨베이어에 부착된 유지 부재의 반송 속도에 의거하여, 제2 수의 투입 기구의 중에서 작동시키는 투입 기구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장치는, 반송 컨베이어에 서로 간격을 띄어서 부착되고, 난을 각각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부재와,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복수의 유지 부재의 각각에 유지된 난을, 반송 방향에 따라 위치하는 제1 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하는, 제1 수보다도 많은 제2 수의 투입 기구를 구비한 난의 처리 장치의 제어 장치이다. 복수의 유지 부재의 각각에 유지된 난을, 제1 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가 제1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1 상태에서는, 제1 수의 목표 위치에 대해, 제2 수의 투입 기구 중,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투입 기구로부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수에 상당하는 수의 투입 기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반송 컨베이어가 제1 속도보다도 빠른 제2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2 상태에서는, 제1 수의 목표 위치에 대해, 제2 수의 투입 기구 중, 제1 위치보다도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투입 기구로부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수에 상당하는 수의 투입 기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투입 기구를 반송 속도에 응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난의 반송 속도에 응하여 난을 소정의 난수용좌를 향하여 방출할 수 있는 난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난의 처리 장치의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난의 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서, 난의 처리 장치의 저속시의 작동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서, 난의 처리 장치의 중속시의 작동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서, 난의 처리 장치의 고속시의 작동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서, 변형례에 관한 난의 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난의 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도 7은 종래의 다른 난의 처리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개략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해, 도 1∼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난의 처리 장치(1)는, 그레이더라고 불리는 난의 선별 집합 장치의 일부, 또는, 팜 패커라고 불리는 난(E)의 충전 장치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공급 컨베이어(도시 생략)로부터 갈아탄(乘り移った) 난(E)은, 난(E)을 파지하기 위한 복수의 유지 부재(2)가, 서로 간격을 띄어서 부착된 단열(單列)의 반송 컨베이어(5)상에서 난(E)의 장축(長軸)을 세로로 하여 화살표(A) 방향으로 반송되고, 난의 처리 장치(1)로 향한다.
난의 처리 장치(1)는, 복수의 유지 부재(2)와, 복수의 투입 기구(31), 투입 기구(32), 투입 기구(33), 투입 기구(34), 투입 기구(35), 투입 기구(36) 및 투입 기구(37)를 구비한다. 복수의 유지 부재(2)는, 반송 컨베이어(5)에 서로 간격을 띄어서 부착되어 있다. 복수의 투입 기구(31∼37)는, 반송 컨베이어(5)의 반송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투입 기구(31∼37)는, 복수의 유지 부재(2)의 각각에 유지된 난을, 반송 방향에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한다. 목표 위치는, 예를 들면, 6개소 설정되어 있다. 이 난의 처리 장치(1)에서는, 그 6개소의 목표 위치에, 난수용좌(41), 난수용좌(42), 난수용좌(43), 난수용좌(44), 난수용좌(45) 및 난수용좌(46)의 6개의 난수용좌(41∼46)가 배치되어 있다. 투입 기구(31∼37)의 수는, 난수용좌(41∼46)(목표 위치)의 수보다도 많게 설정되어 있고, 여기서는, 7개이다.
복수의 유지 부재(2)의 각각에 유지된 난(E)을, 난수용좌(41∼46)(목표 위치)의 각각에 향하여 방출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5)가 제1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1 상태에서는, 6개의 난수용좌(41∼46)(목표 위치)에 대해, 7개의 투입 기구(31∼37) 중, 투입 기구(31)로부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6개의 투입 기구(31∼36)에 의해,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난수용좌(41)로부터 상류측의 난수용좌(46)를 향하여 난(E)이 순차적으로 방출된다.
반송 컨베이어(5)가 제1 속도보다도 빠른 제2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2 상태에서는, 6개의 난수용좌(41∼46)(목표 위치)에 대해, 7개의 투입 기구(31∼37) 중, 투입 기구(31)보다도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투입 기구(32)로부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6개의 투입 기구(32∼37)에 의해,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난수용좌(41)로부터 상류측의 난수용좌(46)를 향하여 난(E)이 순차적으로 방출된다.
난수용좌(41∼46)는, 반송 컨베이어(5)로부터 방출된 난(E)을 수취하는 기능과, 수취한 난을 하방을 향하여 방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난수용좌(41∼46)로부터 방출된 난은, 포장 용기(7)에 수용된다. 포장 용기(7)는, 용기 컨베이어(9)에 재치되어 있다. 난이 수용된 포장 용기(7)는, 용기 컨베이어(9)에 의해, 예를 들면, 반송 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송된다.
유지 부재(2)는, 반송 컨베이어(5)의 체인(도시 생략)에 서로 간격을 띄어서 부착된다. 유지 부재(2)는, 반송 방향(A)에 따라 늘어나는 프레임(도시 생략)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유지 부재(2)는, 난(E)을 아래로부터 유지하는 쌍을 이루는 버킷편(片)(21)을 구비한 버킷이다. 각 유지 부재(2)에는, 투입 기구(31∼37)가 당접하여 유지 부재(2)의 유지 상태(C)를 해제하는 개방폴(22)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개방폴(22)이 작동함에 의해 유지 부재(2)가 개방하고, 난(E)이 하방에 방출되어, 난수용좌(41∼46)에 투입된다.
투입 기구(31∼37)는, 반송 컨베이어(5)의 프레임에, 서로 간격을 띄어서 부착되고,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투입 기구(31∼37)는, 개방폴(22)을 작동시키기 위한 셔터(31a), 셔터(32a), 셔터(33a), 셔터(34a), 셔터(35a), 셔터(36a) 및 셔터(37a)가 설치된 로터리 솔레노이드이다. 셔터(31a∼37a)는, 유지 부재(2)의 반송 방향(A)에 따라 연재되는 판형상(板狀)이 된다. 유지 부재(2)로부터 난(E)을 방출하기 위한 각 개방폴(22)의 작동은, 유지 부재(2)의 하나에 마련된 개방폴(22)과 투입 기구(31∼37)의 하나에 마련된 셔터(31a∼37a)가 당접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부재(2)의 반송 방향(A)에 따라 나열한 투입 기구(31∼37)의 수는 7개이고, 후술하는 유지 부재(2)의 반송 방향(A)에 따라 나열한 난수용좌(41∼46)의 수보다도 하나 많게 설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종래와 같이 어느 반송 속도인 경우에도 모든 투입 기구가 사용된 것은 아니다. 투입 기구(31∼37)의 수는, 난수용좌(41∼46)(목표 위치)의 수보다도 많게 설정되어 있다. 투입 기구(31∼37)는, 반송 컨베이어(5)의 반송 속도에 응하여, 유지 부재(2)로부터 난수용좌(41∼46)(6개의 목표 위치)를 향하여, 난을 순차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입 기구(31∼37)는, 유지 부재(2)의 반송 속도가 느린 때에만 사용되는 저속시용의 투입 기구(31)와, 유지 부재(2)의 반송 속도가 빠른 때에만 사용된 고속시용의 투입 기구(37)를 구비한다. 저속시용의 투입 기구(31)는, 유지 부재(2)의 반송 방향(A)의 가장 하류측에 위치하는 난수용좌(4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고속시용의 투입 기구(37)는, 유지 부재(2)의 반송 방향(A)의 가장 상류측에 위치하는 난수용좌(46)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더욱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투입 기구(31∼37)의 반송 방향(A) 상류측에는, 방출하여야 할 난(E)을 검출하여 특정하는 특정부(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반송 컨베이어(5)에는, 반송 컨베이어(5)의 반송 속도를 항상 검지하는 펄스 발생부(도시 생략)가 부착되어 있다. 펄스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펄스 신호는 난(E)의 위치와도 대응하고 있다.
난의 처리 장치(1)에는, 특정부 및 펄스 발생부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투입 기구(31∼37)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0)가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10)는, 프로세서, 메모리,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이다. 제어부(10)는, 난의 처리 장치(1)와 물리적으로 일체로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난의 처리 장치(1)와 물리적으로 별체를 이루는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부(10)는, 유지 부재(2)의 반송 속도에 의거하여, 7개의 투입 기구(31∼37) 중 어느 투입 기구(31∼37)를 작동시켜서, 6개의 난수용좌(41∼46)를 향하여 방출하는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소정 시간마다, 펄스 기억부에서 판독한 펄스 출력 상태로부터 유지 부재(2)의 반송 속도를 파악하고, 이 반송 속도에 대응한 방출 위치(X1), 방출 위치(X2), 방출 위치(X3), 방출 위치(X4), 방출 위치(X5), 방출 위치(X6)를 연산한다. 그리고, 방출 위치(X1∼X6)에 대응 가능한 투입 기구(31∼37)를 하나 결정하여 작동시키다. 또한, 방출 위치(X1, X2, X3, X4, X5, X6)는, 각 난수용좌(41, 42, 43, 44, 45, 46)에 각각 난(E)을 투입하기 위한 위치이고, 이 순번대로 하류측부터 나열하여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방출 위치(X1∼X6) 사이의 거리는, 인접하는 난수용좌(41∼46)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저속시의 방출 위치(X1∼X6)는, 난수용좌(41∼46)의 거의 바로 위에 오는 위치이다. 저속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투입 기구(31∼36)를, 투입 기구(31), 투입 기구(32), 투입 기구(33), 투입 기구(34), 투입 기구(35) 및 투입 기구(36)의 순서로 작동시킨다. 즉, 7개의 투입 기구(31∼37) 중, 방출 위치(X1∼X6)에 대응 가능한 6개의 투입 기구(31∼36)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에 의해, 유지 부재(2)로부터는, 반송 방향(A)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난수용좌(41)로부터 상류측에 위치하는 난수용좌(46)를 향하여, 난이 순차적으로 방출된다. 도 2(a)는, 투입 기구(31)를 작동시켜서, 셔터(31a)을 개방폴(22)에 당접시켜서, 난수용좌(41)를 향하여 난(E)을 방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2(b)는, 투입 기구(32)를 작동시켜서, 셔터(32a)를 개방폴(22)에 당접시켜서, 난수용좌(42)를 향하여 난(E)을 방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2(c)는, 투입 기구(36)를 작동시켜서, 셔터(36a)를 개방폴(22)에 당접시켜서, 난수용좌(46)를 향하여 난(E)을 방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중속시 및 고속시의 방출 위치(X1∼X6)는, 저속시의 방출 위치(X1∼X6)보다도 반송 속도에 대응한 보정치의 거리분만큼 상류측에 위치한다. 즉, 유지 부재(2)의 반송 속도의 변화에 응하여, 보정치가, 이 반송 속도에 대응한 값(0을 포함한다)을 취하고, 방출 위치(X1∼X6)가, 이 보정치에 대응하여 변화한다. 또한, 중속시란, 소정의 속도를 향하여 가속 중, 또는, 소정의 속도로부터 감속 중인 경우이다. 고속시란, 소정의 속도인 경우이다.
중속시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7개의 투입 기구(31∼37) 중, 반송 속도에 의거하여 결정된 방출 위치(X1∼X6)에 대응 가능한 6개의 투입 기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에 의해, 유지 부재(2)로부터는, 반송 방향(A)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난수용좌(41)로부터 상류측에 위치하는 난수용좌(46)를 향하여, 난이 순차적으로 방출된다. 도 3(a)는, 투입 기구(31)를 작동시켜서, 셔터(31a)를 개방폴(22)에 당접시켜서, 난수용좌(41)를 향하여 난(E)을 방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3(b)는, 투입 기구(32)를 작동시켜서, 셔터(32a)를 개방폴(22)에 당접시켜서, 난수용좌(42)를 향하여 난(E)을 방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3(c)는, 투입 기구(36)를 작동시켜서, 셔터(36a)를 개방폴(22)에 당접시켜서, 난수용좌(46)를 향하여 난(E)을 방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반송 속도에 따라서는, 투입 기구(31∼37)를 작동시킨 때에, 셔터(31a∼37a)의 하나가 반송 중의 인접하는 복수의 유지 부재(2)의 개방폴(22)에 당접하여, 복수의 유지 부재(2)를 개방 상태(O)로 전환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그 경우에는, 난수용좌(41∼46)의 중심부터 어긋난 위치를 향하여 투입되는 타이밍에 조금 어긋내어 투입 기구(31∼37)를 작동시키면 좋다. 난수용좌(41∼46)는, 상방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난수용좌(41∼46)의 중심부터 다소 어긋난 위치에 낙하하여도, 그 난수용좌(41∼46)의 형상에 따라 소망하는 위치에 수습되기 때문이다.
고속시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투입 기구(32∼37)를, 투입 기구(32), 투입 기구(33), 투입 기구(34), 투입 기구(35), 투입 기구(36) 및 투입 기구(37)의 순서로 작동시킨다. 즉, 7개의 투입 기구(31∼37) 중, 방출 위치(X1∼X6)에 대응 가능한 6개의 투입 기구(32∼37)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킴에 의해, 유지 부재(2)로부터는, 반송 방향(A)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난수용좌(41)로부터 상류측에 위치하는 난수용좌(46)를 향하여, 난이 순차적으로 방출된다. 도 4(a)는, 투입 기구(32)를 작동시켜서, 셔터(32a)를 개방폴(22)에 당접시켜서, 난수용좌(41)를 향하여 난(E)을 방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4(b)는, 투입 기구(33)를 작동시켜서, 셔터(33a)를 개방폴(22)에 당접시켜서, 난수용좌(42)를 향하여 난(E)을 방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4(c)는, 투입 기구(37)를 작동시켜서, 셔터(37a)를 개방폴(22)에 당접시켜서, 난수용좌(46)를 향하여 난(E)을 방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난의 처리 장치(1)를 이용한 난(E)의 처리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난의 처리 장치(1)의 전체에 대한 제어, 예를 들면, 반송 컨베이어(5)의 반송에 수반하는 유지 부재(2)의 반송 위치의 파악 등에 관해서는, 이미 공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방출하여야 할 난(E)을 유지한 유지 부재(2)를 특정부가 파악하여 난(E)을 특정하면, 제어부(10)는, 특정부에서 얻어지는 특정 정보와, 먼저 기억하고 있는 전회의 난의 정보(금회 특정된 난(E) 전에 특정된 난(E)이 어느 난수용좌(41∼46)에 투입되는지)를 기초로, 금회 투입하여야 할 난수용좌(41∼46)가 6개 중 어느 것인지, 즉, 방출 위치(X1∼X6)의 6개의 위치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지를 정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유지 부재(2)의 반송 속도에 의거하여 보정치를 산출하고, 이 보정치에 대응하는 방출 위치(X1∼X6)를 결정하다. 또한, 난(E)을 유지 부재(2)로 유지하고, 순차적으로 반송시키는 반송 컨베이어(5)의 반송 속도는, 펄스 발생부(도시 생략)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출력의 간격(시간)이 긴지 짧은지에 의해 파악된다. 펄스 출력의 간격은, 반송 속도에 응하여 변화한다. 예를 들면, 반송 속도가 저속도라면, 펄스 출력의 간격은 길어진다. 한편 반송 속도가 고속이 될수록 펄스 출력의 간격은 짧아진다. 펄스 출력의 상태는, 입력되는 순서로 제어부(10)의 펄스 기억부에 순차적으로 기억된다.
금회 방출하여야 할 난(E)의 특정과, 그 난(E)을 방출하여야 할 방출 위치(X1∼X6)가 정하여지면, 제어부(10)는, 이 방출 위치(X1∼X6)에 대응 가능한 투입 기구(31∼37)를 하나 결정하여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난(E)의 반송에 대응한 펄스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특정된 난(E)의 위치를 산출함과 함께, 이 특정된 난(E)의 위치와 방출 위치(X1∼X6)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2점 사이의 거리가 없어진 곳에서, 제어부(10)는 선택된 투입 기구(31∼37)에 대해 작동 지령을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난의 처리 장치(1)는, 복수의 유지 부재(2)와, 복수의 투입 기구(31∼37)를 구비한다. 복수의 유지 부재(2)는, 반송 컨베이어(5)에 서로 간격을 띄어서 부착되어 있다. 복수의 투입 기구(31∼37)는, 반송 컨베이어(5)의 반송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투입 기구(31∼37)는, 복수의 유지 부재(2)의 각각에 유지된 난을, 반송 방향에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한다. 목표 위치는, 예를 들면, 6개소 설정되어 있다. 그 목표 위치에, 6개의 난수용좌(41∼46)가 배치되어 있다. 투입 기구(31∼37)의 수는, 난수용좌(41∼46)(목표 위치)의 수보다도 많은 7개이다. 7개의 투입 기구의 각각은, 복수의 유지 부재(2)의 각각에 유지된 난(E)을 난수용좌(41∼46)를 향하여 방출한다.
또한, 달리 말을 하면, 본 실시의 형태의 난의 처리 장치(1)는, 복수의 유지 부재(2)와, 난수용좌(41∼46)가 위치 결정된 이재(移載) 장치와, 복수의 투입 기구(31∼37)를 구비한다. 이재 장치는, 난을 수취하는 기능 및 수취한 난을 다시 하방을 향하여 방출하는 기능을 갖는 난수용좌(41∼46)를 구비하고 있다. 투입 기구(31∼37)는, 유지 부재(2)의 상태를 유지 상태(C)로부터 개방 상태(O)로 전환한다.
이 때문에, 난(E)의 반송 속도에 응하여 난(E)을 소정의 난수용좌(41∼46)를 향하여 방출하는데, 투입 기구(31∼37)를 반송 속도에 응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에 의해, 종래의 난의 처리 장치의 경우에 비하여, 투입 기구(37)의 수가 증가한 분의 비용을 필요로 하는 것이지만, 이동 기구가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난의 처리 장치(1) 전체로서는 비용을 내릴 수 있다. 또한, 이동 기구가 없는 분만큼, 고장의 가능성이 감소하고, 메인터넌스에 필요로 하는 비용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2)는, 반송 컨베이어(5)의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된다. 투입 기구(31∼37)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다. 그때문에, 실시 형태에 관한 난의 처리 장치(1)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 종래의 난의 처리 장치와 같이, 모든 반송 속도에 대해 연속적으로 대응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개방폴(22) 및 셔터(31a∼37a)의 각각의 크기, 형상 및 배치 관계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궁리함으로써, 거의 연속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시 형태에 관한 난의 처리 장치(1)에서는, 종래의 이동 기구를 구비한 난의 처리 장치와 거의 마찬가지로 난을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이동 기구를 없앤 메리트도 얻어진다.
특히, 실시 형태에 관한 난의 처리 장치(1)에서는, 셔터(31a∼37a)가 반송 방향(A)에 대해 평행하게 연재되는 부분(연재부)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셔터(31a∼37a)가 개방폴(22)과 당접하는 위치를, 셔터(31a∼37a)에상호 연재부의 중앙 부분, 중앙 부분보다도 상류측의 부분, 또는, 중앙 부분보다도 하류측의 부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난수용좌(41∼46)의 각각을 향하여, 반송 속도에 대응한 소망하는 방출 위치(X1∼X6), 또는, 그 부근의 위치에서, 난(E)을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관한 난의 처리 장치(1)에서는, 유지 부재(2)의 반송 속도에 의거하여, 복수의 난수용좌(41∼46)의 각각에 대해, 복수의 투입 기구(31∼37) 중 어느 투입 기구(31∼37)를 작동시키는지를 결정하는 제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난의 처리 장치에서는, 유지 부재의 반송 속도에 의거하여 이동 기구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이동량이 결정되어 있다. 이에 대해, 실시 형태에 관한 난의 처리 장치(1)에서는, 제어부(10)에 의해, 복수의 난수용좌(41∼46)의 각각에 대해, 반송부재의 반송 속도에 의거하여 방출 위치(X1∼X6)가 결정되고, 그 방출 위치(X1∼X6)에 대응 가능한 투입 기구(31∼37)가 선택된다. 이에 의해, 투입 기구(31∼37)의 각각의 위치에 대해, 방출 위치(X1∼X6)가 이동하여도, 난(E)을 방출하여 대응하는 난수용좌(41∼46)에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부(10)(제어 장치)는, 복수의 유지 부재(2)와 복수의 투입 기구(31∼37)를 구비한 난의 처리 장치(1)를 제어한다. 복수의 유지 부재(2)는, 반송 컨베이어(5)에 서로 간격을 띄어서 부착되고, 난(E)을 각각 유지한다. 복수의 투입 기구(31∼37)는, 반송 컨베이어(5)의 반송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투입 기구(31∼37)는, 복수의 유지 부재(2)의 각각에 유지된 난(E)을, 반송 방향에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목표 위치(난수용좌(41∼46))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한다. 투입 기구(31∼37)의 수는, 목표 위치의 수보다도 많게 설정되어 있다. 복수의 유지 부재(2)의 각각에 유지된 난(E)을, 복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5)가 제1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1 상태에서는, 복수의 목표 위치에 대해, 복수의 투입 기구(31∼37) 중, 투입 기구(31)로부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목표 위치의 수에 상당하는 투입 기구(31∼36)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반송 컨베이어(5)가 제1 속도보다도 빠른 제2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2 상태에서는, 복수의 목표 위치에 대해, 복수의 투입 기구(31∼37) 중, 투입 기구(31)보다도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투입 기구(32)로부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목표 위치의 수에 상당하는 투입 기구(32∼37)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난(E)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투입 기구(31∼39) 사이의 거리를, 인접하는 난수용좌(41∼46)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게 설정한 등 하여, 6개의 난수용좌(41∼46)에 대해 그 수보다도 많은 투입 기구(31∼39)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난의 처리 장치(1)라면, 반송 속도의 변화에 세밀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투입 기구(31) 등 및 난수용좌(41) 등의 수는, 여러가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투입 기구(31) 등은, 하류측부터 순번대로 연속해서 작동시킬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투입 기구(31), 투입 기구(32), 투입 기구(33), 투입 기구(34), 투입 기구(36), 투입 기구(37)의 순번으로 작동시켜도 좋다. 즉, 목표 위치(난수용좌(41∼46) 등)의 수에 상당하는 수의 투입 기구(31∼39)를, 하류측부터 상류측을 향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면, 방출 위치에 대응할 수 없는 투입 기구를 작동시키는 일 없이, 건너뛰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제1 투입 기구와, 그 제1 투입 기구보다도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2 투입 기구는, 반드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유지 부재(2)는, 난(E)을 하측부터 유지하는 버킷 형상이라도 좋고, 난(E)을 상측에서 잡는 핑거 형상이라도 좋다.
투입 기구(31) 등은, 로터리 솔레노이드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투입 기구(31) 등의 셔터의 형상도 도시한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반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재되는 부분을 셔터로서 형성하는 대신에, 유지 부재(2)의 개방폴에 셔터를 형성하고, 셔터와 닿는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투입 기구(31) 등은, 프레임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투입 기구(31) 등이 이동 가능한 것이라도 좋다.
목표 위치에, 난수용좌(41∼46)를 배치하는 대신에, 난을 수용하는 포장 용기(7)를 직접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되는 난수용좌(41∼46)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 포장 용기(7)를 배치하면 좋다. 포장 용기(7)는, 예를 들면, 트레이 또는 난 팩과 같은 수송용(輸送用)의 용기를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 용기(7)는, 용기 컨베이어(9)에 재치되어 있다. 난이 수용된 포장 용기(7)는, 용기 컨베이어(9)에 의해, 예를 들면, 반송 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포장 용기(7)는, 제2 난수용좌로서, 목표 위치의 각각에 배치된다. 난의 처리 장치(1)는, 그 포장 용기(7)를 반송하는 용기 컨베이어(9)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달리 말을 하면, 본 실시 형태의 난의 처리 장치(1)는, 복수의 유지 부재(2)와, 난수용좌가 위치 결정된 반송부와, 복수의 투입 기구(31∼37)를 구비한다. 반송부는, 난을 수취하는 난수용좌를 구비한 포장 용기(7)가 태워지는 용기 컨베이어(9)이다. 투입 기구(31∼37)는, 유지 부재(2)의 상태를 유지 상태(C)로부터 개방 상태(O)로 전환한다.
반송 컨베이어(5)는 단열(單列)이라도 좋고, 복수열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난의 처리 장치(1)에서는, 이른바 그레이더라고 불리는 난의 선별 집합 장치와 같이, 1열의 반송 컨베이어에 난의 사이즈별로 마련된 복수의 선별 집합부를 배치하고, 복수의 선별 집합부의 각각에 유지 부재(2)와 투입 기구(31) 등을 이용하여, 선별 집합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난수용좌에 난을 투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반송 컨베이어(5)는, 체인의 늘어남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반송 컨베이어(5)라면,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된 작동 지령의 신호에 의거한 투입 기구(31) 등의 작동과, 실제로 반송된 유지 부재(2)와의 관계를 적절하게 감시할 수 있다.
금회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예시이고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범위가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난의 반송 속도에 응하여 난의 방출 위치를 변경하여 적절하게 난을 처리하는 난의 처리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1 : 난의 처리 장치
2 : 유지 부재
31, 32, 33, 34, 35, 36, 37, 38, 39 : 투입 기구
31a, 32a, 33a, 34a, 35a, 36a, 37a : 셔터
41, 42, 43, 44, 45, 46 : 난수용좌
5 : 반송 컨베이어
7 : 포장 용기
9 : 용기 컨베이어
A : 반송 방향
E : 난

Claims (6)

  1. 반송 컨베이어에 서로 간격을 띄어서 부착되고, 난을 각각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부재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유지 부재의 각각에 유지된 난을, 상기 반송 방향에 따라 위치하는 제1 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하는, 상기 제1 수보다도 많은 제2 수의 투입 기구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유지 부재의 각각에 유지된 난을, 상기 제1 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제1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수의 목표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수의 투입 기구 중,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투입 기구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수에 상당하는 수의 투입 기구에 의해,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목표 위치로부터 상류측의 목표 위치를 향하여 난이 순차적으로 방출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제1 속도보다도 빠른 제2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수의 목표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수의 투입 기구 중, 상기 제1 위치보다도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투입 기구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수에 상당하는 수의 투입 기구에 의해, 상기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목표 위치로부터 상류측의 목표 위치를 향하여 난이 순차적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에는, 난을 수취하는 기능 및 수취한 난을 더욱 하방을 향하여 방출하는 기능을 갖는 제1 난수용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에는, 난을 수취하는 제2 난수용좌가 배치되어,
    상기 제2 난수용좌를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의 투입 기구의 각각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에 부착된 상기 유지 부재의 반송 속도에 의거하여, 상기 제2 수의 투입 기구의 중에서 작동시키는 투입 기구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처리 장치.
  6. 반송 컨베이어에 서로 간격을 띄어서 부착되고, 난을 각각 유지하는 복수의 유지 부재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의 반송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유지 부재의 각각에 유지된 난을, 상기 반송 방향에 따라 위치하는 제1 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하는, 상기 제1 수보다도 많은 제2 수의 투입 기구를 구비한 난의 처리 장치의 제어 장치로서,
    복수의 상기 유지 부재의 각각에 유지된 난을, 상기 제1 수의 목표 위치의 각각을 향하여 방출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제1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수의 목표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수의 투입 기구 중,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투입 기구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수에 상당하는 수의 투입 기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가 상기 제1 속도보다도 빠른 제2 속도로써 반송되고 있는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수의 목표 위치에 대해, 상기 제2 수의 투입 기구 중, 상기 제1 위치보다도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투입 기구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수에 상당하는 수의 투입 기구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KR1020187030736A 2017-02-13 2018-02-06 난의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 KR201801274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23952 2017-02-13
JP2017023952A JP6820552B2 (ja) 2017-02-13 2017-02-13 卵の処理装置
PCT/JP2018/003951 WO2018147259A1 (ja) 2017-02-13 2018-02-06 卵の処理装置および制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444A true KR20180127444A (ko) 2018-11-28

Family

ID=6310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736A KR20180127444A (ko) 2017-02-13 2018-02-06 난의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581504B1 (ko)
JP (1) JP6820552B2 (ko)
KR (1) KR20180127444A (ko)
CN (1) CN109071048B (ko)
WO (1) WO20181472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4296B (zh) * 2019-07-26 2021-03-30 东莞市奇趣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蛋类食品的自动分装机构
CN115973497B (zh) * 2023-03-17 2023-06-20 寿光市飞龙食品有限公司 一种鹌鹑蛋自动打包装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9444B2 (en) 1982-07-01 1991-11-26 Egg processing system
JPH01308711A (ja) 1988-05-30 1989-12-13 Nambu Electric Co Ltd 鶏卵の変速投入方法及びその方法を採用した装置に適する保持装置
JPH0243128A (ja) * 1988-07-30 1990-02-13 Kyowa Kikai Kk コンベヤから放出される被処理物の落下位置安定装置
NL9400878A (nl) * 1994-05-27 1996-01-02 Food Processing Systems Inrichting voor het op een gewenste positie vrijgeven van voorwerpen uit de voorwerphouders van een transporteur.
JP3182643B2 (ja) * 1996-06-28 2001-07-03 共和機械株式会社 パ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に於ける鶏卵投入制御システム
JP2004250043A (ja) * 2003-02-20 2004-09-09 Naberu:Kk 鶏卵の処理装置
JP5063241B2 (ja) * 2006-12-29 2012-10-31 株式会社ナベル 卵の移載装置
JP2008296957A (ja) * 2007-05-31 2008-12-11 Naberu:Kk 卵の処理装置の充填本体部
JP6050346B2 (ja) * 2011-07-05 2016-12-21 モバ グループ ベー.フェー. 卵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332272B1 (ko) * 2012-08-14 2013-11-25 윤홍기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을 위한 계란투입제어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
US9521831B2 (en) * 2013-12-17 2016-12-20 Zoetis Services Llc Apparatus for removing eggs from egg carriers, and associ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20552B2 (ja) 2021-01-27
EP3581504A4 (en) 2020-11-04
JP2018131208A (ja) 2018-08-23
EP3581504B1 (en) 2021-09-08
CN109071048B (zh) 2020-06-26
WO2018147259A1 (ja) 2018-08-16
CN109071048A (zh) 2018-12-21
EP3581504A1 (en)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39713A (en) Pill counting and filling mechanism
US3556282A (en) Device for transferring molded parts
KR20180127444A (ko) 난의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
US5102009A (en) Small-article feed machine
JPH10181857A (ja) 供給コンベヤから包装装置に卵および果物のごとき個々の製品を転送するための転送装置
US11407540B2 (en) Packaging device for round articles such as eggs
KR102436228B1 (ko) 개별상품 처리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개별상품을 배출하는 방법
KR101985728B1 (ko) 농산물 선별장치의 포장 중량 제어시스템
EP3184181B1 (en) Washing unit loading
US11613435B2 (en) Article supplying apparatus and combinatorial weighing device
KR100654740B1 (ko)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US3389776A (en) Conveyor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conveyors for foodstuff containers
JP4276889B2 (ja) 自動箱詰め装置
JP2020019553A (ja) 卵の処理装置
JP6971928B2 (ja) 組合せ計量装置
WO2023038024A1 (ja) トレイ供給装置および卵の選別装置
JPH09104524A (ja) 容器整列装置の容器排出装置
JP6021840B2 (ja) 容器排出装置
JP2024031448A (ja) 組合せ計量装置
JP2009018915A (ja) 物品の仕分装置
JP2553432B2 (ja) 物品の取扱い装置
JPH0986649A (ja) 容器切出し装置
JPH08157023A (ja) 物品整列搬送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S5922591B2 (ja) 鶏卵の自動秤量選別包装装置
JP2014019481A (ja) 包装方法および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