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4740B1 -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4740B1
KR100654740B1 KR1020050046373A KR20050046373A KR100654740B1 KR 100654740 B1 KR100654740 B1 KR 100654740B1 KR 1020050046373 A KR1020050046373 A KR 1020050046373A KR 20050046373 A KR20050046373 A KR 20050046373A KR 100654740 B1 KR100654740 B1 KR 100654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holder
unit
sorting
eg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444A (ko
Inventor
윤택진
Original Assignee
윤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택진 filed Critical 윤택진
Priority to KR102005004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474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4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3/00Packaging fragile or shock-sensitive articles other than bottles; Unpacking eggs
    • B65B23/02Packaging or unpacking eggs
    • B65B23/06Arranging, feeding, or orientating the eggs to be packed; Removing eggs from tray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65B35/205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linked to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3/00Testing, sorting or cleaning eggs ; Conveying devices ; Pick-up devices
    • A01K43/04Grading eggs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등급별로 선별되어 난좌의 열수에 맞게 배열되어 이송되는 계란을 그 계란의 수에 일대일 대응하게 설치되는 푸시부를 통하여 그 등급별로 난좌에 신속하게 삽입하게 한 것이다. 이 때문에 기존과 같은 작업 시간의 지연을 상쇄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한 것이다.
계란 선별장치, 계란, 난좌, 중량, 선별, 홀더, 브러시

Description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Apparutus for selecting and packing eg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에서 포장부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도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도2에서 포장부의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계란 2:난좌
100:계란 정렬부 200:계란 선별부
300:계란 포장부 310:이송부
311:홀더 312:컨베이어
320:푸시부 321:기판
322:전자밸브 323:회동부재
324:탄성체 325:푸시부재
330:제1브러시 340:제2브러시
400:난좌 공급부 500:제어부
본 발명은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로 등급별로 선별된 계란을 신속하게 그러면서도 깨지지 않게 난좌에 삽입하여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키도록 한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는 집란부에서 보내지는 계란을 등급별로 선별한 다음 그 선별된 등급별로 난좌에 삽입하여 출하함으로써 인력의 소요를 획기적으로 줄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 것인데, 그러나 기존의 장치는 등급별로 선별된 계란을 난좌에 삽입되도록 하는 장치부가 복잡하여 전체적으로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등급별로 선별된 계란을 신속하게 그러면서도 깨지지 않게 난좌에 삽입하여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키도록 한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집란부에서 보내지는 계란의 방향을 고정하고 정렬하기 위한 계란 정렬부와, 상기 계란 정렬부와 일렬로 배치되어 그 정렬부로부터 이송되는 계란을 등급별로 선별하기 위한 계란 선별부와, 상기 계란 선별부로부터의 계란을 포장하기 위해 난좌를 공급 및 반출하기 위한 난좌 공급부와, 상기 난좌 공급부와 계란 선별부에 전기적인 회로를 형성하게 연결되어 그 작동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 계란 선별 및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란 선별부와 난좌 공급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계란 선별부로부터의 계란을 상기 난좌의 열(列)수에 맞게 일열로 배열하여 홀딩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 홀더와 연결되며 상기 홀더가 상기 난좌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난좌의 상측에 위치하게 그 홀더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부; 및 상기 난좌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홀더와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되 그 홀더에 홀딩된 계란의 수와 대응하도록 다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홀더에 홀딩된 계란을 상기 난좌에 삽입되도록 푸싱하기 위한 푸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난좌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홀더와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게 연결되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기판으로부터 회동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하기 전 위치로 복귀하게 한 탄성체와, 일단을 절곡하여 그 절곡된 일단이 상기 홀더에 홀딩된 계란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타단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선상에 위치하게 상기 기판으로부터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홀더에 홀딩된 계란을 상기 난좌에 삽입되도록 푸싱하는 푸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더에 홀딩된 계란이 상기 계란 선별부에서 선별된 등급별로 상기 난좌에 삽입되도록 상기 전자밸브의 작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푸시부재의 일단은 자중에 의한 시이소의 원리로 회동하기 전 위치 로 복귀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계란의 낙하선상인 상기 홀더와 난좌와의 사이에는 낙하하는 계란의 속도를 완화하기 위한 제1브러시가 더 설치되고, 상기 홀더의 하측에는 상기 난좌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브러시를 통하여 상기 난좌에 삽입되는 계란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2브러시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에서 포장부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도2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도2의 포장부의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는 계란 정렬부(100), 계란 선별부(200), 계란 포장부(300), 난좌 공급부(400) 및 제어부(500)로 대별된다. 상기 계란 정렬부(100)는 집란부(10)에서 보내지는 계란(1)의 방향을 고정하고 정렬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상기 계란 선별부(200)는 상기 계란 정렬부(100)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정렬부(100)로부터 이송되는 계란(1)의 중량 검출, 이송방향 전환 및 등급별 적출 등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난좌 공급부(400)는 상기 계란 선별부(300)로부터의 계란(1)을 포장하기 위해 난좌(2)를 공급 및 반출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난좌 공급부(400)와 계란 선별부(200)에 전기적인 회로를 형성하게 연결되어 그 작동들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계란 정렬부(100), 계란 선별부(200), 난좌 공급부(400) 및 제어부(500)의 구조 및 그 작동방법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37994호에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부인 계란 포장부(300)만을 설명한다.
상기 계란 포장부(300)는 상기 계란 선별부(200)와 난좌 공급부(400)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계란 선별부(200)로부터의 계란(1)을 상기 난좌(2)에 삽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계란 포장부(300)는 이송부(310)와 푸시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부(310)는 상기 계란 선별부(200)와 난좌 공급부(400)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계란 선별부(200)로부터의 계란(1)을 상기 난좌(2)의 열(列)수에 맞게 일렬로 배열하여 홀딩하기 위한 홀더(311)와, 상기 홀더(311)와 연결되며 상기 홀더(311)가 상기 난좌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난좌(2)의 상측에 위치하게 그 홀더(311)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312)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311)는 H자형의 홀더부재(311a)를 상기 컨베이어(312)에 소정 거리를 두고 다수개로 설치하여 상기 난좌(2)의 열수에 맞게 계란 안착홈(312b)을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난좌(2)의 열수가 대개 5∼6개이기 때문에 상기 계란 안착홈(312b)이 그 수에 대응하도록 상기 홀더부재(311a)를 상기 컨베이어(312)에 설치하여 상기 계란(1)을 홀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선별부(200)로부터의 계란(1)은 상 기 홀더(311)에 일렬로 배치되어 홀딩된다. 이와 같은 상기 홀더(311)는 상기 난좌 공급부(400)의 수에 대응하게 상기 컨베이어(312)에 다수개로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312)는 상기 홀더(311)가 상기 난좌 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된 난좌(2)의 상측에 위치하게 상기 홀더(311)를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312)의 이송은 상기 제어부(500)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312)는 체인 형태를 이루어 상기 홀더(311)를 상기 난좌(2)의 상측에 정확히 이송시키고 있다. 상기 컨베이어(312)는 구동모터에 의해서 회동한다.
상기 푸시부(320)는 상기 난좌(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홀더(311)와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되 그 홀더(311)에 홀딩된 계란(1)의 수와 일대일 대응하도록 다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홀더(311)에 홀딩된 계란(1)을 상기 난좌(2)에 삽입되도록 푸싱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상기 푸시부(320)는 상기 난좌(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홀더(311)와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기판(321)과, 상기 기판(321)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500)와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게 연결되는 전자밸브(322)와, 상기 전자밸브(322)와 연결되어 상기 기판(321)으로부터 회동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323)와, 상기 기판(321)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323)와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재(323)에 복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체(324)와, 일단(325a)을 절곡하여 그 절곡된 일단(325a)이 상기 홀더(311)에 홀딩된 계란(1)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타단(325b)이 상기 회동부재(323)의 회동선상에 위치하게 상기 기판(321)으로부터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홀더(311)에 홀딩된 계란(1)을 상기 난좌(2)에 삽입되도록 푸싱하는 푸시 부재(32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홀더(311)에 홀딩된 계란(1)이 상기 계란 선별부(200)에서 선별된 등급별로 상기 난좌(2)에 삽입되도록 상기 전자밸브(322)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회동부재(323)는 상기 전자밸브(322)의 수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이때 상기 푸시부재(325)의 타단(325b)을 타격하여 상기 푸시부재(325)의 일단(325a)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한다. 상기 회동부재(323)는 상기 전자밸브(322)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체(324)에 의한 탄성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다시 회동하여 회동하기 전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푸시부재(325)의 일단(325a)은 자중에 의한 시이소의 원리로 시계방향으로 다시 회동하여 상기 회동부재(323)에 의해 회동하기 전 위치로 복귀하는데, 이는 상기 푸시부재(325)의 일단(325a)에 설치되는 무게부재(325c)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무게부재(325c)는 상기 계란(1)과의 충격을 줄이도록 고무 등과 같은 탄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311)에 홀딩된 계란(1)은 상기 선별부(200)에서 등급별로 선별된 것으로서, 그 정보는 상기 제어부(500)에 입력되어 있다. 즉, 상기 홀더(311)에 5개의 계란(1)이 홀딩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그 5개 각각의 계란(1) 등급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제어부(500)에는 계란(1)을 1∼4등급으로 분류하여 선별하도록 기 프로그램되어 있고, 난좌(2)가 그 등급에 맞게 4열로 배열되어 공급되며, 이때 첫번째 난좌(2)에는 1등급의 계란(1)이, 두번째 난좌(2)에는 2등급의 계란(1)이, 세번째 난좌(2)에는 3등급의 계란(1)이 그리고 네번째 난좌(2)에는 4등급 의 계란(1)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어부(500)에 기 프로그램되어 있고, 상기 홀더(311)에 홀딩된 5개의 계란(1) 중 첫번째와 세번째의 계란(1)이 1등급으로, 두번째 계란(1)이 2등급으로, 네번째 계란(1)이 4등급으로, 다섯번째 계란(1)이 3등급으로 선별되어 그 정보가 상기 제어부(500)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컨버이어(312)의 구동으로 그 5개의 계란(1)을 홀딩한 홀더(311)가 상기 푸시부(320)와 첫번째 난좌(2)와의 사이에 위치하면, 이때 상기 푸시부재(325)의 일단(325a)은 그 5개의 계란(1) 하부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5개의 계란(1) 중 1등급을 받은 첫번째와 세번째 계란(1)이 첫번째 난좌(2)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어부(500)가 그 첫번째와 세번째 계란(1)에 위치하는 상기 푸시부재(325)가 회동하게 그 푸시부재(325)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상기 전자밸브(322)에 신호를 주어 작동시키면, 상기 회동부재(32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첫번째와 세번째 계란(1)에 위치하는 상기 푸시부재(325)의 타측(325b)을 타격하여 그 일단(325a)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데, 이때 회동하는 상기 푸시부재(325)의 일단(325a)의 푸시로 첫번째와 세번째 계란(1)이 상기 홀더(311)로부터 이탈하고 낙하하여 첫번째 난좌(2)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두번째, 네번째 및 다섯번째의 계란(1)에 위치하는 상기 푸시부재(325)에 회동력을 부여하는 상기 전자밸브(322)의 작동은 정지된 상태에 있다.
이후 두번째, 네번째 및 다섯번째의 계란(1)을 홀딩하고 있는 홀더(311)는 상기 컨베이어(312)의 구동으로 두번째 난좌(2)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그 두번째 난좌(2)에는 상기와 같은 푸시부(320)의 작동으로 두번째 계란(1)만이 삽입 되며, 이후 동일한 과정으로 세번째 및 네번째의 난좌(2)에는 다섯번째 계란(1)과 네번째 계란(1)이 각각 삽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부(300)는 상기 선별부(200)로부터 선별되어 난좌(1)의 열수에 맞게 배열되어 이송되는 계란(1)을 그 계란(1)의 수에 대응하게 설치되는 상기 푸시부(320)를 통하여 그 등급별로 난좌(1)에 신속하게 삽입하게 함으로써 기존과 같은 작업 시간의 지연을 상쇄하여 그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한다.
한편, 상기 계란(1)의 낙하선상인 상기 홀더(311)와 난좌(2)와의 사이에는 낙하하는 계란(1)의 속도를 완화하기 위한 제1브러시(33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홀더(311)의 하측에는 상기 난좌(2)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브러시(330)를 통하여 상기 난좌(2)에 삽입되는 계란(1)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2브러시(34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브러시(330)는 낙하하는 계란(1)의 속도를 효과적으로 완화하기 위해 상기 홀더(311)와 난좌(2)와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브러시(340)는 공급되는 난좌(2)를 통해 그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홀더(311)의 하측을 가로질러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1및 제2브러시(330)는 유연성을 갖는 다수개의 수지섬유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분리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등급별로 선별된 계란을 신속하게 그러면서도 깨지지 않게 난좌에 삽입함으로써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키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집란부에서 보내지는 계란의 방향을 고정하고 정렬하기 위한 계란 정렬부와, 상기 계란 정렬부와 일렬로 배치되어 그 정렬부로부터 이송되는 계란을 등급별로 선별하기 위한 계란 선별부와, 상기 계란 선별부로부터의 계란을 포장하기 위해 난좌를 공급 및 반출하기 위한 난좌 공급부와, 상기 난좌 공급부와 계란 선별부에 전기적인 회로를 형성하게 연결되어 그 작동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진 계란 선별 및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계란 선별부와 난좌 공급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계란 선별부로부터의 계란을 상기 난좌의 열(列)수에 맞게 일열로 배열하여 홀딩하기 위한 홀더와, 상기 홀더와 연결되며 상기 홀더가 상기 난좌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난좌의 상측에 위치하게 그 홀더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이송부; 및
    상기 난좌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홀더와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되 그 홀더에 홀딩된 계란의 수와 대응하도록 다수개로 설치되어 상기 홀더에 홀딩된 계란을 상기 난좌에 삽입되도록 푸싱하기 위한 푸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는 상기 난좌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홀더와 일측으로 인접하게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게 연결되는 전자밸브와, 상기 전자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기판 으로부터 회동하게 설치되는 회동부재와,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회동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하기 전 위치로 복귀하게 한 탄성체와, 일단을 절곡하여 그 절곡된 일단이 상기 홀더에 홀딩된 계란의 하부에 위치하고 그 타단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선상에 위치하게 상기 기판으로부터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홀더에 홀딩된 계란을 상기 난좌에 삽입되도록 푸싱하는 푸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더에 홀딩된 계란이 상기 계란 선별부에서 선별된 등급별로 상기 난좌에 삽입되도록 상기 전자밸브의 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의 일단은 자중에 의한 시이소의 원리로 회동하기 전 위치로 복귀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란의 낙하선상인 상기 홀더와 난좌와의 사이에는 낙하하는 계란의 속도를 완화하기 위한 제1브러시가 더 설치되고, 상기 홀더의 하측에는 상기 난좌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브러시를 통하여 상기 난좌에 삽입되는 계란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제2브러시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KR1020050046373A 2005-05-31 2005-05-31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KR100654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73A KR100654740B1 (ko) 2005-05-31 2005-05-31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73A KR100654740B1 (ko) 2005-05-31 2005-05-31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444A KR20060124444A (ko) 2006-12-05
KR100654740B1 true KR100654740B1 (ko) 2006-12-08

Family

ID=3772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373A KR100654740B1 (ko) 2005-05-31 2005-05-31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47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14B1 (ko) * 2007-07-18 2009-04-21 심승원 계란 팩커의 완충바스켓용 파란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12B1 (ko) * 2007-11-14 2009-05-29 이종숙 란 포장장치
KR101237480B1 (ko) * 2010-06-24 2013-02-26 윤택진 이상란 추출장치
CN111332524B (zh) * 2020-03-17 2022-04-12 叶县红太阳食品有限公司 一种鸡蛋定向排列装盒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993A (en) 1982-06-16 1986-03-18 Pieter Meyn Machine for packaging eggs
JPH0243128A (ja) * 1988-07-30 1990-02-13 Kyowa Kikai Kk コンベヤから放出される被処理物の落下位置安定装置
EP0684195A1 (en) 1994-05-27 1995-11-29 FPS Food Processing Systems B.V. Apparatus for releasing articles from the article holders of a conveyor at a desired position
KR970023374U (ko) * 1995-11-01 1997-06-18 김국경 계란선별기의 포장장치
KR0127987Y1 (ko) * 1995-02-10 1998-12-01 김국경 계란선별기의 포장장치
KR100437994B1 (ko) 2000-06-24 2004-07-02 김장권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5993A (en) 1982-06-16 1986-03-18 Pieter Meyn Machine for packaging eggs
JPH0243128A (ja) * 1988-07-30 1990-02-13 Kyowa Kikai Kk コンベヤから放出される被処理物の落下位置安定装置
EP0684195A1 (en) 1994-05-27 1995-11-29 FPS Food Processing Systems B.V. Apparatus for releasing articles from the article holders of a conveyor at a desired position
KR0127987Y1 (ko) * 1995-02-10 1998-12-01 김국경 계란선별기의 포장장치
KR970023374U (ko) * 1995-11-01 1997-06-18 김국경 계란선별기의 포장장치
KR100437994B1 (ko) 2000-06-24 2004-07-02 김장권 계란의 자동 선별 포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14B1 (ko) * 2007-07-18 2009-04-21 심승원 계란 팩커의 완충바스켓용 파란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444A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740B1 (ko) 계란의 선별 및 포장장치
EP2018528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batching of objects
CN101088634B (zh) 预烧分拣机及使用该预烧分拣机的分拣方法
JPH07187380A (ja) 複数の進出路を備えたメリーゴーラウンド型搬送装置で被搬送容器を選択的に把持するための保持エレメント
ES2312938T3 (es) Metodo para clasificar recipientes.
CA25859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imming wood blocks
US4248027A (en)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JPH10181857A (ja) 供給コンベヤから包装装置に卵および果物のごとき個々の製品を転送するための転送装置
JP5866726B2 (ja) 物品分類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5436835B2 (ja) 供給装置及び該供給装置を備えるワーク搬送システム
CN106229526B (zh) 一种扣式电池清洗检测装盘一体机
JP3787133B2 (ja) 分注チップ整列収納装置
KR20180127444A (ko) 난의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
CN217595445U (zh) 具有阻挡元件的容器清洁机
JP2005515770A (ja) 洗卵システムおよび洗卵方法
KR20190143560A (ko) 시험관 자동정렬 라벨 부착 장치
CN106470921B (zh) 零件供给装置
JP5036032B2 (ja) 卵の充填装置
KR100612954B1 (ko) 너트 공급장치
JP5054399B2 (ja) 遊技媒体補給回収システム
JP5192217B2 (ja) 搬送装置
GB2108379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rushes
RU2407994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создания порций объектов
JPH081454A (ja) 連続ビス打機
KR102635128B1 (ko)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