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128B1 -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128B1
KR102635128B1 KR1020230136781A KR20230136781A KR102635128B1 KR 102635128 B1 KR102635128 B1 KR 102635128B1 KR 1020230136781 A KR1020230136781 A KR 1020230136781A KR 20230136781 A KR20230136781 A KR 20230136781A KR 102635128 B1 KR102635128 B1 KR 102635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rts
injection
capacitor cas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6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욱
Original Assignee
(주)대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현하이텍 filed Critical (주)대현하이텍
Priority to KR1020230136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8Handling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8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of preforms to be moulded, e.g. tablets, fibre reinforced preforms, extruded ribbons, tubes or profiles; Manip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eeding preforms, e.g. support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38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45/4225Take-off members or carriers for the moulded articles, e.g.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2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ejection or removal of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8Detecting defective mould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29C2045/4266Robot grippers movable along three orthogonal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bo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은, 너트 및 와셔로 구성된 인서트부품을 커패시터 케이스에 삽입한 후, 사출공정이 구현되는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너트 및 와셔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부품안착부, 상기 부품안착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치수가 상이한 너트와 와셔가 분류되어 구비된 부품제공부, 상기 부품제공부 상의 인서트부품을 종류별로 그립하여, 상기 부품안착부의 기 설정된 삽입공간에 안착시키는 부품정렬부, 상기 부품정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부품안착부에 안착된 인서트부품을 종류별로 그립한 채, 이동시키는 부품이동부, 상기 부품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인서트부품이 삽입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인서트부품이 포함되도록 사출 성형하는 사출부, 상기 사출부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를 이동시키는 제품이동부 및 상기 사출부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의 게이트 커팅을 구현하는 게이트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Automation System for Automotive Components Insertion Injection Process}
본 발명은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너트 및 와셔로 구성된 인서트부품을 커패시터 케이스에 삽입한 후, 사출공정이 구현되는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서트 사출이란 사출성형기를 통해 합성수지제품을 사출 성형할 때, 조립을 위한 너트와 같은 인서트부재를 인서트 된 상태로 사출하는 기법을 말하는 것으로, 조립을 위한 인서트부재가 안정적이고 정확한 위치에 인서트 된 상태로 사출 됨으로써 다른 부품과의 조립을 간편하게 하고, 조립상태가 견고하며, 조립을 위한 인서트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가진 제품을 제공하는 특징을 가진 사출성형기법이다.
이와 같이 조립을 위한 인서트부재를 인서트 사출성형기법으로 사출 성형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다수의 인서트 부재를 적정위치에 제공하여야 하는 바,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반자동으로 인서트부재를 공급하는 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자동 방식의 인서트부재 공급장치는, 로봇 아암에 금형에 공급할 인서트부재의 위치와 수에 맞도록 장착위치를 설정한 기판을 장착하고, 이 기판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인서트부재를 결합한 후 로봇을 가동시키면, 로봇 아암이 회동 작동하여 사출성형기의 금형에 인서트부재를 공급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어서 사출성형기가 작동하여 제품을 성형하도록 함으로써 인서트부재가 인서트 된 상태로 성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반자동의 인서트부재 공급장치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인서트부재를 기판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장착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과, 인서트부재의 자세를 시각으로 확인하고 장착하여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함, 인서트부재의 크기가 손으로 잡을 수 없을 정도로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핀셋과 같은 수동공구를 이용하여 장착하여야 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819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너트 및 와셔로 구성된 인서트부품을 커패시터 케이스에 삽입한 후, 사출공정이 구현되는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은, 너트 및 와셔로 구성된 인서트부품을 커패시터 케이스에 삽입한 후, 사출공정이 구현되는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너트 및 와셔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부품안착부, 상기 부품안착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치수가 상이한 너트와 와셔가 분류되어 구비된 부품제공부, 상기 부품제공부 상의 인서트부품을 종류별로 그립하여, 상기 부품안착부의 기 설정된 삽입공간에 안착시키는 부품정렬부, 상기 부품정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부품안착부에 안착된 인서트부품을 종류별로 그립한 채, 이동시키는 부품이동부, 상기 부품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인서트부품이 삽입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인서트부품이 포함되도록 사출 성형하는 사출부, 상기 사출부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를 이동시키는 제품이동부 및 상기 사출부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의 게이트 커팅을 구현하는 게이트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상기 제품이동부와 상기 사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동대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대기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평탄면을 제공하는 대기평면부 및 상기 대기평면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커패시터 케이스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대기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이동부는, 상기 사출부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를, 상기 이동대기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품이동부는, 상기 이동대기부에 안착된 커패시터 케이스를, 상기 게이트 커팅부에 의한 게이트 커팅이 구현되도록 그립하며, 상기 부품제공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평면제공부 및 상기 평면제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치수가 상이한 너트와 와셔가 분리되어 수용되는 복수의 부품제공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부품제공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제공편은, 상기 복수의 부품제공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제공편은, 상기 평면제공부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호퍼부, 상기 평면제공부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호퍼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호퍼부로부터 이동된 부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부품수용부, 상기 부품수용부에 수용된 부품이 일렬로 배치된 채, 이동되도록 하는 부품배열부 및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품배열부에 연결된 채, 상기 부품배열부로부터 이동된 부품의 상기 부품정렬부로의 그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부품나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부품제공편 각각의 부품나열부의 끝단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부품정렬부는, 상기 평면제공부의 상면에 안착된 채, 복수의 관절의 회전 및 틸팅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정렬로봇 및 상기 정렬로봇의 끝단에 연결된 채, 복수의 부품을 그립하는 정렬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안착부는, 상기 평면제공부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부품정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안착받침부 및 상기 안착받침부에 장착되어, 복수의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안착삽입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품정렬부는, 상기 부품나열부의 끝단으로부터 회수한 복수의 부품을, 기 설정된 위치의 상기 안착삽입공간부의 삽입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부품이동부는, 상기 부품정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관절의 회전 및 틸팅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이동로봇 및 상기 이동로봇의 끝단에 연결된 채, 복수의 부품을 그립하는 이동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그립부는, 상기 이동로봇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복수의 부품을 그립한 채, 상기 사출부의 장착공간에 복수의 부품을 각각 삽입하는 제1 이동그립편 및 상기 회동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를 그립하는 제2 이동그립편을 구비하고, 상기 사출부는, 외부와 구획된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사출공간제공부 및 상기 사출공간제공부에 안착된 채, 복수의 장착공간을 구비하고 사출 성형을 구현하는 사출공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사출부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가 상기 제2 이동그립편에 그립되도록, 상기 제2 이동그립편이 상기 사출공정부를 대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이동그립편에 그립된 복수의 부품이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이동그립편이 상기 사출공정부를 대향하도록 하며, 상기 게이트 커팅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게이트평면부 및 상기 게이트평면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게이트 커팅이 구현되는 커팅공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품이동부는, 상기 게이트 커팅부와 상기 이동대기부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관절의 회전 및 틸팅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제품로봇 및 상기 제품로봇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이동대기부 상의 커패시터 케이스를 그립하는 제품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품로봇은, 커패시터 케이스를 그립한 상기 제품그립부를 위치 이동시켜, 커패시터 케이스의 상기 커팅공정부에 대한 게이트 커팅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대기평면부에 연결되며, 비젼 센서를 통해 대향한 상기 제1 이동그립편 상의 부품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제1 비전검사부, 상기 게이트평면부에 연결되고, 버전 센서를 통해 상기 커팅공정부에 의해 게이트 커팅이 완료된 커페시터 케이스의 부품 누락 여부 및 게이트 커팅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제2 비전검사부, 상기 게이트 커팅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게이트 커팅이 완료된 커페시터 케이스가 안착된 채,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지그부, 상기 냉각지그부 상에 안착된 커페시터 케이스의 외관검사 및 부품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카메라 비전검사부, 상기 냉각지그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양품의 커페시터 케이스를 외부로 운반하는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제1 비전검사부, 상기 제2 비전검사부 및 상기 카메라 비전검사부에 검사된 값에 따라, 상기 부품이동부 또는 상기 제품이동부 또는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이동부는, 상기 게이트 커팅부에 의해 게이트 커팅이 완료된 커패시터 케이스를 상기 냉각지그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전검사부에 의해 상기 제1 이동그립편 상의 부품 누락이 확인되면, 상기 부품이동부의 상기 부품안착부로의 부품 회수가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비전검사부에 의해 커패시터 케이스의 부품 누락 또는 커팅 불량이 확인되면, 커패시터 케이스가 상기 제품이동부에 의해 불량품 수거를 위한 반출부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카메라 비전검사부에 의해 커패시터 케이스의 부품 누락 또는 외관 불량이 확인되면,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불량품 수거를 위한 수거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패시터 케이스를 구성하는 인서트부품의 나열 및 사출기로의 삽입이 자동으로 구현되도록 하여, 싸이클 시간/공정을 단축하고, 안정적인 인서트부품 제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비전을 통한 인서트부품 누락검사를 실시하여 불량 사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부품안착부, 부품제공부 및 부품정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부품이동부 및 사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제품이동부,이동대기부 및 제1 비전검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게이트 커팅부, 제2 비전검사부, 냉각지그부 및 배출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1, 이하, 자동화 시스템)은, 너트 및 와셔로 구성된 인서트부품을 커패시터 케이스(C)에 삽입한 후, 사출공정이 구현되는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1)이다.
본 발명의 자동화 시스템(1)은, 부품안착부(10), 부품제공부(20), 부품정렬부(30), 부품이동부(40), 사출부(50), 제품이동부(60), 게이트 커팅부(70) 및 이동대기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10)는, 복수의 너트 및 와셔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부품제공부(20)는, 상기 부품안착부(1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치수가 상이한 너트와 와셔가 분류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품제공부(20)는, 치수가 상이한 너트와 와셔가 각각 식별표시 되어 분류되며, 7종류의 부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품정렬부(30)는, 상기 부품제공부(20) 상의 인서트부품을 종류별로 그립하여, 상기 부품안착부(10)의 기 설정된 삽입공간에 안착시킬 수 있다. 22개의 인서트부품을 기 설정된 삽입공간에 안착시켜 상기 부품이동부(40)에 의한 그립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이동부(40)는, 상기 부품정렬부(30)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부품안착부(10)에 안착된 인서트부품을 종류별로 그립한 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사출부(50)는, 상기 부품이동부(40)에 의해 이동된 인서트부품이 삽입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인서트부품이 포함되도록 사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이동부(60)는, 상기 사출부(50)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C)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커팅부(70)는, 상기 사출부(50)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C)의 게이트 커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대기부(80)는, 상기 제품이동부(60)와 상기 사출부(50) 사이에 배치되며,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C)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부품안착부, 부품제공부 및 부품정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품제공부(2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평면제공부(21) 및 상기 평면제공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치수가 상이한 너트와 와셔가 분리되어 수용되는 복수의 부품제공편(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품제공편(23)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제공편(23)은, 호퍼부(231), 부품수용부(233), 부품배열부(235) 및 부품나열부(2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호퍼부(231)는, 상기 평면제공부(21)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수용부(233)는, 상기 평면제공부(21)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호퍼부(231)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호퍼부(231)로부터 이동된 부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부품배열부(235)는, 상기 부품수용부(233)의 테두리를 따라 원형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부품수용부(233)에 수용된 부품이 일렬로 배치된 채,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품나열부(237)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품배열부(235)에 연결된 채, 상기 부품배열부(235)로부터 이동된 부품의 상기 부품정렬부(30)로의 그립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품제공편(23) 각각의 부품나열부(237)의 끝단은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품정렬부(30)는, 정렬로봇(31) 및 정렬그립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렬로봇(31)은, 상기 평면제공부(21)의 상면에 안착된 채, 복수의 관절의 회전 및 틸팅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정렬그립부(33)는, 상기 정렬로봇(31)의 끝단에 연결된 채, 복수의 부품을 그립할 수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10)는, 안착받침부(11) 및 안착삽입공간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받침부(11)는, 상기 평면제공부(21)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부품정렬부(30)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삽입공간부(13)는, 상기 안착받침부(11)에 장착되어, 복수의 삽입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품정렬부(30)는, 상기 부품나열부(237)의 끝단으로부터 회수한 복수의 부품을, 기 설정된 위치의 상기 안착삽입공간부(13)의 삽입공간에 삽입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부품이동부 및 사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제품이동부, 이동대기부 및 제1 비전검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동대기부(8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평탄면을 제공하는 대기평면부(81) 및 상기 대기평면부(81)의 상면에 설치되어 커패시터 케이스(C)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대기안착부(8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이동부(40)는, 상기 사출부(50)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C)를, 상기 이동대기부(8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품이동부(60)는, 상기 이동대기부(80)에 안착된 커패시터 케이스(C)를, 상기 게이트 커팅부(70)에 의한 게이트 커팅이 구현되도록 그립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이동부(40)는, 이동로봇(41) 및 이동그립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로봇(41)은, 상기 부품정렬부(30)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관절의 회전 및 틸팅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그립부(43)는, 상기 이동로봇(41)의 끝단에 연결된 채, 복수의 부품을 그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그립부(43)는, 회동부(431), 제1 이동그립편(433) 및 제2 이동그립편(4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431)는, 상기 이동로봇(41)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그립편(433)은, 상기 회동부(431)의 일측에 형성되며, 복수의 부품을 그립한 채, 상기 사출부(50)의 장착공간에 복수의 부품을 각각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그립편(435)은, 상기 회동부(431)의 타측에 형성되고,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C)를 그립할 수 있다.
상기 사출부(50)는, 외부와 구획된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사출공간제공부(51) 및 상기 사출공간제공부(51)에 안착된 채, 복수의 장착공간을 구비하고 사출 성형을 구현하는 사출공정부(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431)는, 상기 사출부(50)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C)가 상기 제2 이동그립편(435)에 그립되도록, 상기 제2 이동그립편(435)이 상기 사출공정부(53)를 대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이동그립편(433)에 그립된 복수의 부품이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이동그립편(433)이 상기 사출공정부(53)를 대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이동부(60)는, 제품로봇(61) 및 제품그립부(6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품로봇(61)은, 상기 게이트 커팅부(70)와 상기 이동대기부(80)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관절의 회전 및 틸팅에 의해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품로봇(61)은, 커패시터 케이스(C)를 그립한 상기 제품그립부(63)를 위치 이동시켜, 커패시터 케이스(C)의 상기 커팅공정부(73)에 대한 게이트 커팅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품그립부(63)는, 상기 제품로봇(61)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이동대기부(80) 상의 커패시터 케이스(C)를 그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게이트 커팅부, 제2 비전검사부, 냉각지그부 및 배출컨베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게이트 커팅부(70)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게이트평면부(71) 및 상기 게이트평면부(71)의 상측에 설치되어 게이트 커팅이 구현되는 커팅공정부(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팅공정부(73)는, 에어 니퍼(Air Nipper)를 통해 커팅이 구현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화 시스템(1)은 에어블로우부, 제1 비전검사부(92), 제2 비전검사부(93), 냉각지그부(94), 카메라 비전검사부(95), 배출컨베이어(96) 및 제어부(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블로우부는, 상기 게이트 커팅부(70)에 설치된 채, 상기 커팅공정부(73)를 향해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에어블로우부는, 상기 커팅공정부(73)에 의해 게이트 커팅이 구현되는 중에 커패시터 케이스(C)를 향해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전검사부(92)는, 상기 대기평면부(81)에 연결되며, 비젼 센서를 통해 대향한 상기 제1 이동그립편(433) 상의 부품 누락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전검사부(92)는, 상기 게이트평면부(71)로부터 기립되는 제1 기립부(921) 및 상기 제1 기립부(921)의 상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비전센서부(9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전센서부(923)는, 상기 제1 이동그립편(433) 상의 복수의 부품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중에, 상기 부품이동부(40)를 대향하도록 바닥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전센서부(923)는, 상기 대기안착부(83) 상의 커패시터 케이스(C)의 사출 성형 외관 검사를 하는 중에, 상기 대기안착부(83)를 대향하도록 하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비전검사부(93)는, 상기 게이트평면부(71)에 연결되고, 버전 센서를 통해 상기 커팅공정부(73)에 의해 게이트 커팅이 완료된 커페시터 케이스의 부품 누락 여부 및 게이트 커팅 불량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냉각지그부(94)는, 상기 게이트 커팅부(70)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게이트 커팅이 완료된 커페시터 케이스가 안착된 채,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비전검사부(95)는, 상기 냉각지그부(94) 상에 안착된 커페시터 케이스의 외관검사 및 부품 누락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배출컨베이어(96)는, 상기 냉각지그부(94)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양품의 커페시터 케이스를 외부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7)는, 상기 제1 비전검사부(92), 상기 제2 비전검사부(93) 및 상기 카메라 비전검사부(95)에 검사된 값에 따라, 상기 부품이동부(40) 또는 상기 제품이동부(60) 또는 상기 배출컨베이어(96)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품이동부(60)는, 상기 게이트 커팅부(70)에 의해 게이트 커팅이 완료된 커패시터 케이스(C)를 상기 냉각지그부(94)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97)는, 상기 제1 비전검사부(92)에 의해 상기 제1 이동그립편(433) 상의 부품 누락이 확인되면, 상기 부품이동부(40)의 상기 부품안착부(10)로의 부품 회수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97)는, 상기 제2 비전검사부(93)에 의해 커패시터 케이스(C)의 부품 누락 또는 커팅 불량이 확인되면, 커패시터 케이스(C)가 상기 제품이동부(60)에 의해 불량품 수거를 위한 반출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97)는, 상기 카메라 비전검사부(95)에 의해 커패시터 케이스(C)의 부품 누락 또는 외관 불량이 확인되면, 상기 배출컨베이어(96)를 통해 불량품 수거를 위한 수거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
C: 커패시터 케이스
10: 부품안착부
20: 부품제공부
30: 부품정렬부
40: 부품이동부
50: 사출부
60: 제품이동부
70: 게이트 커팅부
80: 이동대기부
92: 제1 비전검사부
93: 제2 비전검사부
94: 냉각지그부
95: 카메라 비전검사부
96: 배출컨베이어
97: 제어부

Claims (3)

  1. 너트 및 와셔로 구성된 인서트부품을 커패시터 케이스에 삽입한 후, 사출공정이 구현되는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너트 및 와셔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제공하는 부품안착부;
    상기 부품안착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치수가 상이한 너트와 와셔가 분류되어 구비된 부품제공부;
    상기 부품제공부 상의 인서트부품을 종류별로 그립하여, 상기 부품안착부의 기 설정된 삽입공간에 안착시키는 부품정렬부;
    상기 부품정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상기 부품안착부에 안착된 인서트부품을 종류별로 그립한 채, 이동시키는 부품이동부;
    상기 부품이동부에 의해 이동된 인서트부품이 삽입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된 인서트부품이 포함되도록 사출 성형하는 사출부;
    상기 사출부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를 이동시키는 제품이동부; 및
    상기 사출부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의 게이트 커팅을 구현하는 게이트 커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품이동부와 상기 사출부 사이에 배치되며,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이동대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대기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평탄면을 제공하는 대기평면부 및 상기 대기평면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커패시터 케이스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대기안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이동부는,
    상기 사출부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를, 상기 이동대기부에 안착시키고,
    상기 제품이동부는,
    상기 이동대기부에 안착된 커패시터 케이스를, 상기 게이트 커팅부에 의한 게이트 커팅이 구현되도록 그립하며,
    상기 부품제공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평면제공부 및 상기 평면제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치수가 상이한 너트와 와셔가 분리되어 수용되는 복수의 부품제공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부품제공편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제공편은,
    상기 평면제공부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호퍼부,
    상기 평면제공부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기 호퍼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호퍼부로부터 이동된 부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부품수용부,
    상기 부품수용부의 테두리를 따라 원형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부품수용부에 수용된 부품이 일렬로 배치된 채, 이동되도록 하는 부품배열부 및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품배열부에 연결된 채, 상기 부품배열부로부터 이동된 부품의 상기 부품정렬부로의 그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부품나열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부품제공편 각각의 부품나열부의 끝단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부품정렬부는,
    상기 평면제공부의 상면에 안착된 채, 복수의 관절의 회전 및 틸팅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정렬로봇 및
    상기 정렬로봇의 끝단에 연결된 채, 복수의 부품을 그립하는 정렬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안착부는,
    상기 평면제공부의 상면에 형성되되, 상기 부품정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안착받침부 및
    상기 안착받침부에 장착되어, 복수의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안착삽입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부품정렬부는,
    상기 부품나열부의 끝단으로부터 회수한 복수의 부품을, 기 설정된 위치의 상기 안착삽입공간부의 삽입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부품이동부는,
    상기 부품정렬부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관절의 회전 및 틸팅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이동로봇 및
    상기 이동로봇의 끝단에 연결된 채, 복수의 부품을 그립하는 이동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그립부는,
    상기 이동로봇의 끝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복수의 부품을 그립한 채, 상기 사출부의 장착공간에 복수의 부품을 각각 삽입하는 제1 이동그립편 및
    상기 회동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를 그립하는 제2 이동그립편을 구비하고,
    상기 사출부는,
    외부와 구획된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사출공간제공부 및 상기 사출공간제공부에 안착된 채, 복수의 장착공간을 구비하고 사출 성형을 구현하는 사출공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사출부에 의해 사출 성형된 커패시터 케이스가 상기 제2 이동그립편에 그립되도록, 상기 제2 이동그립편이 상기 사출공정부를 대향하도록 하고, 상기 제1 이동그립편에 그립된 복수의 부품이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이동그립편이 상기 사출공정부를 대향하도록 하며,
    상기 게이트 커팅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게이트평면부 및 상기 게이트평면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게이트 커팅이 구현되는 커팅공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품이동부는,
    상기 게이트 커팅부와 상기 이동대기부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관절의 회전 및 틸팅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제품로봇 및
    상기 제품로봇의 끝단에 형성된 채, 상기 이동대기부 상의 커패시터 케이스를 그립하는 제품그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품로봇은,
    커패시터 케이스를 그립한 상기 제품그립부를 위치 이동시켜, 커패시터 케이스의 상기 커팅공정부에 대한 게이트 커팅이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평면부에 연결되며, 비젼 센서를 통해 대향한 상기 제1 이동그립편 상의 부품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제1 비전검사부;
    상기 게이트평면부에 연결되고, 버전 센서를 통해 상기 커팅공정부에 의해 게이트 커팅이 완료된 커페시터 케이스의 부품 누락 여부 및 게이트 커팅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제2 비전검사부;
    상기 게이트 커팅부와 이웃하게 배치된 채, 게이트 커팅이 완료된 커페시터 케이스가 안착된 채, 냉각되도록 하는 냉각지그부;
    상기 냉각지그부 상에 안착된 커페시터 케이스의 외관검사 및 부품 누락 여부를 검사하는 카메라 비전검사부;
    상기 냉각지그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채, 양품의 커페시터 케이스를 외부로 운반하는 배출컨베이어; 및
    상기 제1 비전검사부, 상기 제2 비전검사부 및 상기 카메라 비전검사부에 검사된 값에 따라, 상기 부품이동부 또는 상기 제품이동부 또는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품이동부는,
    상기 게이트 커팅부에 의해 게이트 커팅이 완료된 커패시터 케이스를 상기 냉각지그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비전검사부에 의해 상기 제1 이동그립편 상의 부품 누락이 확인되면, 상기 부품이동부의 상기 부품안착부로의 부품 회수가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제2 비전검사부에 의해 커패시터 케이스의 부품 누락 또는 커팅 불량이 확인되면, 커패시터 케이스가 상기 제품이동부에 의해 불량품 수거를 위한 반출부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카메라 비전검사부에 의해 커패시터 케이스의 부품 누락 또는 외관 불량이 확인되면,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불량품 수거를 위한 수거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
KR1020230136781A 2023-10-13 2023-10-13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 KR10263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781A KR102635128B1 (ko) 2023-10-13 2023-10-13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781A KR102635128B1 (ko) 2023-10-13 2023-10-13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128B1 true KR102635128B1 (ko) 2024-02-13

Family

ID=8989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781A KR102635128B1 (ko) 2023-10-13 2023-10-13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12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129A (ko) * 2005-03-09 2006-09-18 (주)디와이일렉트로닉스 인서트 사출성형용 다관절 로봇
KR101306259B1 (ko) * 2011-08-25 2013-09-09 주식회사 우성엠엔피 인서트 공급 및 사출성형물 포장장치와 그의 방법
KR101898142B1 (ko) * 2018-03-27 2018-09-13 박정서 사출성형기용 인서트 공급 및 사출품 이송장치
KR101945834B1 (ko) * 2017-08-31 2019-02-08 이랑산업 주식회사 분리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 취출장치
KR102191379B1 (ko) * 2019-11-29 2020-12-15 주식회사 유일시스템 로봇을 이용한 터미널 자동 인서트 시스템
KR102281975B1 (ko) 2020-11-28 2021-07-27 (주)뉴인텍 인서트 사출식 메탈 플라스틱 이중 재료 케이스를 구비한 커패시터
KR20230056217A (ko) * 2021-10-20 2023-04-27 송해길 비전 카메라를 위한 부품 정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8129A (ko) * 2005-03-09 2006-09-18 (주)디와이일렉트로닉스 인서트 사출성형용 다관절 로봇
KR101306259B1 (ko) * 2011-08-25 2013-09-09 주식회사 우성엠엔피 인서트 공급 및 사출성형물 포장장치와 그의 방법
KR101945834B1 (ko) * 2017-08-31 2019-02-08 이랑산업 주식회사 분리 배출구조를 갖는 사출물 취출장치
KR101898142B1 (ko) * 2018-03-27 2018-09-13 박정서 사출성형기용 인서트 공급 및 사출품 이송장치
KR102191379B1 (ko) * 2019-11-29 2020-12-15 주식회사 유일시스템 로봇을 이용한 터미널 자동 인서트 시스템
KR102281975B1 (ko) 2020-11-28 2021-07-27 (주)뉴인텍 인서트 사출식 메탈 플라스틱 이중 재료 케이스를 구비한 커패시터
KR20230056217A (ko) * 2021-10-20 2023-04-27 송해길 비전 카메라를 위한 부품 정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842B1 (ko) 인서트자동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CN108326545B (zh) 一种遥控器产品组装与测试线体及组装与测试方法
KR101649508B1 (ko) 자동압입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101845261B1 (ko) 자동압입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US5072495A (en) Installation for automatic assembly of socket-bracket
KR20070119061A (ko) 차량 도어 패널의 조립 및 용접 방법 및 장치
KR101873424B1 (ko) 선바이저 자동 조립장치
CN104858579A (zh) 一种空调底座螺栓、底座脚自动焊接生产系统
KR102635128B1 (ko) 자동차부품 인서트 사출공정 자동화 시스템
KR100754774B1 (ko) 휴대폰케이스 제조용 너트 인서트장치의 자동화 공정 및장치
CN208713557U (zh) 一种可转位刀片磨床的自动上下料装置
KR102010674B1 (ko)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KR100966145B1 (ko) 원웨이 클러치 베어링 자동 조립장비
JP6691227B2 (ja) 搬送装置および移送システム
KR101169746B1 (ko) 금속감지센서가 구비된 휴대폰케이스 제조장치의 런너절단장치
JPH07276154A (ja) ホイールナット座マスキングプラグ装着装置および外し装置
KR20090114031A (ko) 자동차 조립라인의 후드 장착유닛 및 그 제어방법
CN112692217A (zh) 铁片可动片接点自动铆接机
CN209255242U (zh) 紧固件的制标检测生产装置
KR102580767B1 (ko) 고속 단품 정렬기
KR102512630B1 (ko) 경첩 자동조립장치
CN216560325U (zh) 一种刀具的自动检测套环系统
CN220128047U (zh) 一种弹簧按钮自动组装及检测装置
CN211728227U (zh) 灯芯装配线
JP4224015B2 (ja) 線状材の自動曲げ加工装置及び自動曲げ加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