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674B1 -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674B1
KR102010674B1 KR1020170184546A KR20170184546A KR102010674B1 KR 102010674 B1 KR102010674 B1 KR 102010674B1 KR 1020170184546 A KR1020170184546 A KR 1020170184546A KR 20170184546 A KR20170184546 A KR 20170184546A KR 102010674 B1 KR102010674 B1 KR 102010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component
supply
guide
autom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776A (ko
Inventor
문석현
Original Assignee
문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석현 filed Critical 문석현
Priority to KR102017018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6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2Measures preceding sorting, e.g.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orientating

Landscapes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대량으로 생산되는 부품을 일련의 자동화 공정에 의해 일렬로 선별하여 자동화 공정에 부품을 투입하는 방식에 의해 대량 공급이 가능하여 품질향상 및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selectin unit of electronic components}
본 발명은 대량으로 생산되는 부품을 일련의 자동화 공정에 의해 일렬로 선별하여 자동화 공정에 대량으로 부품 투입이 가능하여 품질향상 및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량으로 생산되는 부품을 자동차의 조립하기 위한 자동화 공정 라인에 적용하기 위해서 대량 투입되는 부품을 일렬적인 모양으로 선별하여 공급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자동차를 조립하기 위해 생산되는 부품은 자동차의 특성상 스틱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틱의 좌우 양단이 서로 다른 모양으로 형성된 상태로 대량 생산되면 이를 일렬적인 형상으로 정리하여 박스에 수납하여 다음 자동화 공정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자동화 공정 라인에 부품을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부품은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자세로 공급이 연속되어야 한다.
자동화 공정 라인에서 정확한 위치와 정확한 모양을 갖도록 부품을 공급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행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부품이송 공정에서는 공급되는 부품이 정자세가 아닌 오자세로 공급될 경우 후 작업의 지연이나 불량조립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 부품을 공급하는 과정에서도부품의 정확한 자세, 정확한 위치로의 공급 과정이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더욱 필요한 공정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같이 대량으로 생산된 부품은 한곳으로 쏟아진 상태에서 서로 뒤죽박죽 섞여 쌓이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선별하여 정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자동화 공정 라인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좌우 양단이 다른 부품을 일렬로형태로 선별하여 박스에 정리하여야 하나, 대량으로 생산되는 부품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작업자가 선별작업에 투입되어 작업을 함으로 인해 생산 비용이 상승되고, 수작업에 의한 선별 작업으로 생산성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11 - 0030408호 "길이에 따른 전자부품 선별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량으로 생산되고 좌우 양단이 다른 부품을 자동화 공정에 의해 일렬적 형상으로 선별하여 제품을 조립하는 공정에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자세로 연속적으로 대량 공급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자동화 공정 라인에서 정확한 위치와 정확한 모양을 갖도록 부품을 공급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량으로 생산되는 부품을 부품 선별부로 공급하는 부품 공급부와, 상기 공급되는 부품을 고정 가이드와 업앤다운 가이드에 의해 일렬로 선별하여 부품 받침부로 이송하는 부품 선별부와, 상기 부품 선별부 이송된 부품을 안착하여 지지하는 부품 받침부와, 상기 부품 받침부로 이송된 부품을 집게로 집어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부품 집게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는 대량으로 생산되는 부품을 자동화 공정에 투입할 수 있도록 일렬적 형상으로 선별하여 제품을 조립하는 공정에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자세로 연속적으로 대량 공급할 수 있어 생산비용을 낮추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부품을 사용하여 자동차를 조립함은 국한하지않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대량으로 부품이 투입되는 자동화 공정에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서 설치 가능하여 다양한 제품군에서 규칙적ㅇ로 투입되는 공정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본 발명은 선별과정에서 부품의 각도 및 배열을 조정할 수 있으며 선별된 부품의 투입 수량등을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1)는 대량으로 생산되는 부품을 일련의 자동화 공정에 의해 일렬로 선별하여 자동화 공정에 부품을 투입하는 방식에 의해 대량 공급이 가능하여 품질향상 및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1)는 크게 부품 공급부(2), 부품 선별부(3), 부품 받침부(4), 부품 집게부(5)로 구성된다.
상기 부품 공급부(2)는 호퍼(29)를 통해 경사지게 위치한 공급 플레이트(10)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29) 내부에는 공급 실린더(8)가 위치하고, 상기 공급 실린더의 공급 실린더 로드(9)는 공급 플레이트(10) 상면으로 인출되어 끝단에는 하부 방향으로 입설되어 공급 플레이트(10)의 상면에 하부가 밀착되도록 가압편(11)이 부착된다.
따라서 공급 플레이트(10)의 상면으로 공급된 부품(32)을 공급 실린더(8)의 공급 실린더 로드(9) 끝단에 가압편(11)을 부착하여 공급 실린더 로드(9)가 인출된 상태에서 공급 실린더 로드(9)가 공급 실린더(8)로 인입되면서 가압판(11)은 부품(32)을 가압 낙하시켜 부품 선별부(3)로 공급한다.
또한, 부품 공급부(2)로 공급되는 부품(32)을 일렬로 선별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베이스 플레이트(17)가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7)의 상면 양측에는 하부 링크 고정 브라켓(15)이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7)의 상면 중앙에는 승강 실린더(7)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 실린더(17)의 승강 실린더 로드에는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도록 샤프트(18)의 중앙이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18)의 양단에는 상·하부 링크편(14, 14')의 일측을 링크할 수 있도록 로드 홀더(13, 13')가 결합된다.
상기 승강 실린더(7)의 상부에는 저면 양측으로 업앤다운 링크 브라켓(12)이 부착된 업앤다운 플레이트(16)가 위치한다.
따라서 로드 홀더(13, 13')에는 상부 링크편(14)의 하부와 하부 링크편(14')의 상부가 링크핀(19)에 의해 링크되어 접혀졌다 펼쳐진다.
상기 하부 링크편(14')의 하부는 하부 링크 고정 브라켓(15)에 링크되고, 상부 링크편(14)의 상부는 업앤다운 링크 브라켓(12)에 링크된다.
상기 업앤다운 플레이트(16)의 상면에는 고정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가 위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7)의 상면에서 지지랙(3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업앤다운 플레이트(16)의 상면에는 승강홀(24)로 삽입되어 승강 작동할 수 있도록 톱니 모양이 일렬로 형성된 다수개의 업앤다운 가이드(21)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상면에는 톱니 모양이 일렬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가이드(20)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20)사이에는 승강홀(24)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홀(24)에는 업앤다운 가이드(21)가 삽입되면 고정 가이드(20)와 서로 교호되게 배열된 상태를 유지하면 승강 작동한다.
따라서 부품 선별부(3)는 지면에서 이격된 높이로 고정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면에는 톱니 모양이 일렬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가이드(20)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설치된 고정 가이드(20)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승강홀(2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저면에는 업앤다운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3)가 위치하고, 상기 업앤다운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3)의 상면에는 톱니 모양이 일렬로 형성된 다수개의 업앤다운 가이드(21)가 종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승강홀(24)로 삽입되어 고정 가이드(20)와 교호되게 설치되고, 상기 업앤다운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저면 중앙에는 승강 실린더(7)가 위치하고, 상기 승강 실린더(7)의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7)가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 실린더(7)의 승강 실린더 로드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18)의 좌우 양단에는 로드 홀더(13, 13')가 결합된 상태에서 로드 홀더(13, 13')의 상부에는 상부 링크편(14)과, 하부에는 하부 링크편(14')의 일측이 링크핀(19)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상부 링크편(14)의 타측 단부는 업앤다운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3)의 저면에 링크되고, 하부 링크편(14')은 베이스 플레이트(17)에 링크된 상태에서 부품 공급부(2)를 통해 고정 가이드(20)의 상면 일측으로 부품(32)이 낙하되어 위치하면 승강 실린더(7)의 작동에 의해 승강 실린더 로드와 연동하는 샤프트(18)도 승강 작동하여 업앤다운 가이드(21)가 승강홀(24)을 통해 상승 및 하강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부품을 한 개씩 일렬로 선별하여 고정 가이드(20)와 업앤다운 가이드(21)의 타측 단부로 이송하여 부품 받침부(4)로 이송한다.
상기 부품 받침부(4)는 부품 선별부(3)에서 한 개씩 일렬로 이송된 부품(32)을 받침대(27)에 안착하여 지지하고, 받침 실린더(26)의 받침 실린더 로드(28)에 받침대(27)가 결합되어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부품 받침부(4)의 받침대에 안착된 부품은 부품 집게부(5)의 집게(25)에 의해 들어올려 다음 공정으로 이송한다.
상기 부품 선별부(3)에는 도면에 미 도시 하였으나 부품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선별되어 부품의 수량을 체크한 데이터 값을 통신시스템에 적용하여 스마트 기기 및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 가이드(20)와 업앤다운 가이드(21)는 톱니가 하부 경사면(30)과 상기 하부 경사면(30)의 일측 단부에는 상부 경사면(3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 경사면(30)과 상부 경사면(31)의 각도를 달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도시해 보인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진이다.
본 발명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1)는 대량으로 생산된 부품을 호퍼(29)를 통해 공급 플레이트(10)로 공급한 다음 공급 실린더(8)의 공급 실린더 로드(9)를 공급 실린더(8)로 인입되도록 당기면 가압편(11)이 공급 플레이트(10)의 상면에 위치한 부품(22)을 당기면 고정 가이드(20)의 상부로 낙하하면 승강 실린더(7)의 승강실린더 로드와 샤프트(18)가 연동하여 상승하면서 샤프트(18)에 링크된 상·하부 링크편(14, 14')이 수직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업앤다운 가이드(21)와 업앤다운 플레이트(16)가 상승하고, 업앤다운 플레이트(16)의 상면에 위치한 업앤다운 가이드(21)는 승강홀(24)을 통해 상승하면서 고정 가이드(20)에 안착된 부품(22)을 밀어올리면 고정 가이드(20)에서 부품(22)이 분리된 상태에서 업앤다운 가이드(21)의 하부 경사면(30)을 통해 미끄러져 이송되어 하나의 부품(32)이 안착되고 다른 부품(32)은 고정 가이드(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업앤다운 가이드(21)의 톱니 폭만큼 하나씩 이동한 다음 승강 실린더 로드가 하강하면 상·하부 링크편(14, 14')이 접혀지면 업앤다운 가이드(21)와 업앤다운 플레이트(16)도 하강함과 동시에 업앤다운 가이드(21)는 고정 가이드(20)의 상면 높이보다 낮게 하강하면 업앤다운 가이드(21)에 안착된 부품(32)은 업앤다움 가이드(21)의 바로 앞에 위치한 고정 가이드(20)의 하부 경사면(30)을 타고 이송되는 방식을 반복하여 고정 가이드(20)와 업앤다운 가이드(21)에 하나씩 부품(32)이 일렬로 선별되어 부품 선별부(3)의 끝단에 위치한 부품 받침부(4)로 이송한다.
상기 부품 받침부(4)로 이송한 부품(32)은 부품 집게부(5)의 집게(25)에 의해 다음 자동화 공정으로 집어서 이송한다.
상기 고정 가이드(20)는 고정된 상태에서 업앤다운 가이드(21)가 승강 작동에 의해 이동하고, 고정 가이드(20)와 업앤다운 가이드(21)의 하부 경사면(30)의 폭만큼 이동한다.
또한, 고정 가이드(20)와 업앤다운 가이드(21)가 이송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부품을 앞뒤를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1: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2: 부품 공급부
3: 부품 선별부 4: 부품 받침부
5: 부품 집게부 6: 받침대
7: 승강 실린더 8: 공급 실린더
9: 공급 실린더 로드 10: 공급 플레이트
11: 공급편 12: 업 앤 다운 링크 브라켓
13, 13': 로드 홀더 14, 14': 상하부 링크편
15: 하부 링크 고정 브라켓 16, 16: 업앤다운 플레이트
17: 베이스 플레이트 18: 샤프트
19: 링크핀 20: 고정 가이드
21: 업앤다운 가이드 22: 고정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
23: 업앤다운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 24: 승강홀
25: 집게 26: 받침 실린더
27: 받침대 28: 받침 실린더 로드
29: 호퍼 30: 하부 경사면
31: 상부 경사면 32: 부품
33: 지지랙

Claims (4)

  1. 호퍼(29)를 통해 경사지게 위치한 공급 플레이트(10)의 상면으로 공급된 부품(32)을 공급 실린더(8)의 공급 실린더 로드(9) 끝단에 가압편(11)을 부착하여 공급 실린더 로드(9)가 인출된 상태에서 공급 실린더 로드(9)가 공급 실린더(8)로 인입되면서 가압판(11)은 부품(32)을 가압 낙하시켜 부품 선별부(3)로 공급하는 부품 공급부(2); 와
    지면에서 이격된 높이로 고정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면에는 톱니 모양이 일렬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가이드(20)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에 설치된 고정 가이드(20) 사이에는 길이방향으로 승강홀(2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저면에는 업앤다운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3)가 위치하고, 상기 업앤다운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3)의 상면에는 톱니 모양이 일렬로 형성된 다수개의 업앤다운 가이드(21)가 종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승강홀(24)로 삽입되어 고정 가이드(20)와 교호되게 설치되고, 상기 업앤다운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2)의 저면 중앙에는 승강 실린더(7)가 위치하고, 상기 승강 실린더(7)의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7)가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 실린더(7)의 승강 실린더 로드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샤프트가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18)의 좌우 양단에는 로드 홀더(13, 13')가 결합된 상태에서 로드 홀더(13, 13')의 상부에는 상부 링크편(14)과, 하부에는 하부 링크편(14')의 일측이 링크핀(19)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상부 링크편(14)의 타측 단부는 업앤다운 가이드 베이스 플레이트(23)의 저면에 링크되고, 하부 링크편(14')은 베이스 플레이트(17)에 링크된 상태에서 부품 공급부(2)를 통해 고정 가이드(20)의 상면 일측으로 부품(32)이 낙하되어 위치하면 승강 실린더(7)의 작동에 의해 승강 실린더 로드와 연동하는 샤프트(18)도 승강 작동하여 업앤다운 가이드(21)가 승강홀(24)을 통해 상승 및 하강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부품을 한 개씩 일렬로 선별하여 고정 가이드(20)와 업앤다운 가이드(21)의 타측 단부로 이송하여 부품 받침부(4)로 이송하는 부품 선별부(3); 와
    상기 부품 선별부(3)에서 한 개씩 일렬로 이송된 부품(32)을 받침대(27)에 안착하여 지지하고, 받침 실린더(26)의 받침 실린더 로드(28)에 받침대(27)가 결합되어 높이를 조절하는 부품 받침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선별부(3)는 승강 실린더(7)에서 승강 실린더로드의 승강 작동시 샤프트(18)와 연동되어 승강 작동하면 상·하부 링크편(14, 14')이 접혀졌다 펼쳐져 업앤다운 플레이트(16)가 승강 작동하면 업앤다운 가이드(21)가 승강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받침부(4)의 받침대에 안착된 부품은 부품 집게부(5)의 집게(25)에 의해 들어올려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선별부(3)에는 부품 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선별되어 부품의 수량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KR1020170184546A 2017-12-29 2017-12-29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KR102010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46A KR102010674B1 (ko) 2017-12-29 2017-12-29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546A KR102010674B1 (ko) 2017-12-29 2017-12-29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76A KR20190081776A (ko) 2019-07-09
KR102010674B1 true KR102010674B1 (ko) 2019-08-13

Family

ID=6726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546A KR102010674B1 (ko) 2017-12-29 2017-12-29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6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473B1 (ko) * 2019-11-08 2020-05-28 송문천 막대모양의 가공품 공급 이송장치
KR102109546B1 (ko) * 2019-11-08 2020-05-13 주식회사 한주이엔지 막대모양의 가공품 공급 및 정렬 자동화 시스템
KR102321050B1 (ko) * 2021-07-11 2021-11-03 김한수 등속 조인트 볼 선별 및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185A (ja) 1998-06-30 2000-01-18 Kinugawa Rubber Ind Co Ltd 部品自動判別整列方法及びその装置
JP3379912B2 (ja) 1998-10-14 2003-02-24 マリノ技研株式会社 物品の整列供給装置
JP4932549B2 (ja) 2007-03-12 2012-05-16 株式会社加納製作所 被選別果実の自動供給装置
CN107054998A (zh) 2017-03-07 2017-08-18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柱形物料的移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9551B4 (de) 2009-09-17 2013-12-2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alvanischen Beschichtung von Substrat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5185A (ja) 1998-06-30 2000-01-18 Kinugawa Rubber Ind Co Ltd 部品自動判別整列方法及びその装置
JP3379912B2 (ja) 1998-10-14 2003-02-24 マリノ技研株式会社 物品の整列供給装置
JP4932549B2 (ja) 2007-03-12 2012-05-16 株式会社加納製作所 被選別果実の自動供給装置
CN107054998A (zh) 2017-03-07 2017-08-18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柱形物料的移送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776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674B1 (ko) 자동화 부품 선별장치
US9895775B2 (en) System and method with drag conveyor for high rate production welding
KR101638161B1 (ko) 자동차 부품의 너트 자동용접 시스템
CN101609807B (zh) 分料机构
CN109759832A (zh) 一种可穿戴智能设备的自动化生产方法及系统
CA1110669A (en) Cylindrical article conveyor-layering device-and stacker with single row manipulator
CN110977451A (zh) 灯芯装配线
KR100598027B1 (ko) 유로폼 자동조립장치
KR20130093617A (ko) 엔진 밸브의 자동 열처리 시스템
CN110803509A (zh) 一种多工位自动上料机
JPH10218120A (ja) 果菜類の移載装置
CN109904510A (zh) 一种圆柱形锂电池的端部极片自动压平组件及方法
CN110102992B (zh) 一种适用钢丝球自动拉松处理的方法
CN209406718U (zh) 点胶装配一体机
CN211728157U (zh) 上料设备
CN211917717U (zh) 送管设备
CN111103537A (zh) 交流接触器测试总装
CN211197727U (zh) 随行工装分料及二次定位装置
KR101042878B1 (ko) 자동차 판넬 자동공급장치
KR200372300Y1 (ko) 유로폼 자동조립장치
TWM510911U (zh) 電子料件多流道載料設備
KR101845839B1 (ko) 로드 낱개 토출용 공급 피더
KR102536684B1 (ko) 건조대용 선반의 조립장치
CN211728227U (zh) 灯芯装配线
CN211741511U (zh) 交流接触器测试总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