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532A - 곤포용 부재, 곤포체, 및 곤포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곤포용 부재, 곤포체, 및 곤포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532A
KR20180121532A KR1020187026229A KR20187026229A KR20180121532A KR 20180121532 A KR20180121532 A KR 20180121532A KR 1020187026229 A KR1020187026229 A KR 1020187026229A KR 20187026229 A KR20187026229 A KR 20187026229A KR 20180121532 A KR20180121532 A KR 2018012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bent portion
substrate
plate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990B1 (ko
Inventor
모토키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7/00Internal frames or supports for flexible articles, e.g. stiffeners; 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for preventing adhesion of sticky articles
    • B65D57/002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 B65D57/003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for horizontally placed articles, i.e. for stacked or nested articles
    • B65D57/004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for horizontally placed articles, i.e. for stacked or nested articles the articles being substantially flat panels, e.g. wooden p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6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or protec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7/00Internal frames or supports for flexible articles, e.g. stiffeners; 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for preventing adhesion of stick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7/00Internal frames or supports for flexible articles, e.g. stiffeners; 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for preventing adhesion of sticky articles
    • B65D57/002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 B65D57/003Separators for articles packaged in stacks or groups, e.g. stacked or nested for horizontally placed articles, i.e. for stacked or nes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곤포용 부재(1)는, 굴곡부(G1)끼리가 중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강화 유리(G)의 하측에 배치되는 저면 부재(40)와, 복수의 강화 유리(G)의 상측에 배치되는 천장면 부재(60)를 구비하고, 저면 부재(40)의 상면(42)은, 굴곡부(G1)의 적어도 일부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저판 굴곡부(421)를 갖고, 천장면 부재(60)의 하면(63)은, 굴곡부(G1)의 적어도 일부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천장판 굴곡부(631)를 갖는다.

Description

곤포용 부재, 곤포체, 및 곤포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곤포용 부재, 곤포체, 및 곤포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유리 기판을 반송하기 위한 곤포체나 박스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의 곤포체에서는, 평평한 복수의 유리판을, 각 상호 간에 보호 시트를 개재시키고 수평 배치 적층한 유리판 적층체를 형성하고, 이 유리판 적층체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각각 천장판 및 저판을 배치하고, 이들을 상자체 내에 수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2의 곤포체에서는, 유리 기판의 폭보다도 좁은 간격으로 측판을 대향시키고, 각 측판에 설치된 유도 리브 사이의 세로 홈에 유리 기판의 단부 에지를 삽입하고, 유리 기판을 강제적으로 굴곡시킨 상태에서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곤포체에서는, 작업 시나 반송 시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유리판이 면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유리판에 마찰 흠집이 나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2의 박스를 사용함으로써, 특허문헌 1의 곤포체를 사용했을 때의 결함이 해소된다고 생각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158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67621호 공보
그런데 근년, 적어도 일부가 굴곡된 유리 등의 기재를 적층하여 반송하려는 요구가 있으며, 이와 같은 반송에 특허문헌 2의 박스를 사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기재 사이의 간극이 필요해져, 1회에 반송할 수 있는 매수가 제한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에 흠집을 내지 않고 고효율로 반송 가능한 곤포용 부재, 곤포체, 및 곤포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곤포용 부재는, 굴곡부를 갖는 복수의 기재의 곤포에 사용되는 곤포용 부재이며, 상기 굴곡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상기 기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저면 부재와, 상기 복수의 기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천장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저면 부재의 상면은,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저판 굴곡부를 갖고, 상기 천장면 부재의 하면은,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천장판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하부의 기재를, 그의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하면이 저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저면 부재 상에 적재함으로써, 이 최하부의 기재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최상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면이 천장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천장면 부재를 기재 상에 배치하고, 저면 부재에 대하여 고정함으로써, 최상부의 기판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모든 기판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 가압력에 의해서도 기재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나 반송 시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기판에 마찰 흠집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곤포할 수 있어 고효율로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포용 부재에서는, 상기 복수의 기재가 사이에 배치된 상태의 상기 저면 부재 및 상기 천장면 부재의 측방, 또는 상기 복수의 기재의 측방이면서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의하면, 기재의 곤포체를 적층했을 때, 상측의 곤포체의 하중을 하측의 곤포체의 측면 부재에서 받을 수 있어, 이 하중에 의한 기재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포체는, 상술한 곤포용 부재와, 상기 곤포용 부재의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 사이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기재와,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의하면,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하면이 저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최하부의 기재를 저면 부재 상에 적재함으로써, 이 최하부의 기재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최상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면이 천장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천장면 부재를 기재 상에 배치하고, 저면 부재와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최상부의 기판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모든 기판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 가압력에 의해서도 기재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나 반송 시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기판에 마찰 흠집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곤포할 수 있어 고효율로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포체는, 상기 기재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에 흠집을 내지 않고 고효율로 반송 가능한 곤포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포체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곤포용 부재에 의하여, 굴곡부를 갖는 기재가 곤포된 곤포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굴곡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기재를, 최하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하면이 상기 저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저면 부재 상에 적재하고, 최상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면이 상기 천장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천장면 부재를 상기 최상부의 기재 상에 배치하고, 고정 부재로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곤포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재에 흠집을 내지 않고 고효율로 반송 가능한 곤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포체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곤포용 부재와, 일면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저면 부재, 상기 천장면 부재, 상기 복수의 기재 및 상기 측면 부재를 수용하는 상자 본체부와,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에 의하여, 굴곡부를 갖는 기재가 곤포된 곤포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측면 부재가 상기 저면 부재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를 상기 상자 본체부 내에서 위치 결정하고, 상기 굴곡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기재를, 최하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하면이 상기 저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저면 부재 상에 적재하고, 최상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면이 상기 천장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또한 상기 천장면 부재의 상면이 상기 측면 부재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천장면 부재를 상기 최상부의 기재 상에 배치하고, 상기 덮개부로 상기 천장면 부재를 압박하여, 상기 덮개부와 상기 천장면 부재와 중 적어도 한쪽을 변형시키면서 상기 덮개부를 상기 측면 부재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상기 기재를 하방으로 가압함과 함께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곤포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부로 천장면 부재를 압박하여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작업을 행하는 것만으로 기판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 가압력에 의하여 기재의 슬라이드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포체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곤포용 부재와, 일면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저면 부재, 상기 천장면 부재, 상기 천장면 부재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상판 부재, 상기 복수의 기재 및 상기 측면 부재를 수용하는 상자 본체부와,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에 의하여, 굴곡부를 갖는 기재가 곤포된 곤포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측면 부재가 상기 저면 부재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를 상기 상자 본체부 내에서 위치 결정하고, 상기 굴곡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기재를, 최하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하면이 상기 저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저면 부재 상에 적재하고, 최상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면이 상기 천장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천장면 부재를 상기 최상부의 기재 상에 배치하고, 상기 상판 부재의 상면이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의 높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판 부재를 상기 천장면 부재 상에 배치하고, 상기 덮개부로 상기 상판 부재 또는 상기 천장면 부재를 압박하여, 상기 덮개부와 상기 상판 부재 또는 상기 천장면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변형시키면서 상기 덮개부에 의하여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상기 기재를 하방으로 가압함과 함께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곤포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덮개부로 천장면 부재를 압박하여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작업을 행하는 것만으로 기판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 가압력에 의하여 기재의 슬라이드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포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천장면 부재와 상기 상판 부재가 일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장판 부재와 상판 부재가 일체이기 때문에 부품 개수가 감소하여 간이하게 곤포체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곤포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곤포체의 짧은 변 방향 중심 위치의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곤포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며, 내측 덮개부 및 외측 덮개부를 폐쇄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변형예 1에 따른 곤포체의 종단면도, (B)는 횡단면도.
도 5의 (A), (B)는 본 발명의 변형예 2, 3에 따른 곤포체의 종단면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의 변형예 4, 5에 따른 곤포체의 종단면도.
도 7의 (A)는 본 발명의 변형예 6에 따른 곤포체의 종단면도, (B)는 본 발명의 변형예 7에 따른 곤포체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저면 부재의 사시도.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곤포체의 구성〕
먼저, 곤포체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방향을 표현하는 경우, 도 1의 X축과 평행인 방향을 좌우 방향, Y축과 평행인 방향을 전후 방향, Z축과 평행인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표현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곤포체 P는, 기재로서의 강화 유리 G를 곤포용 부재(1)로 곤포한 것이다.
강화 유리 G는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형이며, 두께 방향 단면으로 보아 긴 변 방향 중앙이 상방으로 실린드리컬상으로 굴곡되는 굴곡부 G1을 갖고 있다.
곤포용 부재(1)는 상자체(10)와 상판 부재(20)와 측면 부재(30)와 저면 부재(40)와 보호 부재(50)와 천장면 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상자체(10) 및 상판 부재(20)는 본 발명의 고정 부재(2)를 구성하고 있다.
상자체(10)는, 적어도 1층의 골판지에 의하여, 평면으로 보아 긴 변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강화 유리 G보다도 큰 직사각형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자체(10)는, 상면이 개구되는 상자 본체부(11)와, 이 상자 본체부(11)의 좌우 양측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내측 덮개부(12)와, 상자 본체부(11)의 전후 양측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외측 덮개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내측 덮개부(12), 외측 덮개부(13) 및 상판 부재(20)는 본 발명의 덮개부(3)를 구성하고 있다.
상자 본체부(11)의 내부 공간은, 상판 부재(20), 측면 부재(30), 저면 부재(40), 보호 부재(50) 및 천장면 부재(60)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내측 덮개부(12)의 연장 돌출 방향의 길이는 상자 본체부(11)의 좌우 방향의 길이의 절반 미만으로 설정되어 있다. 외측 덮개부(13)의 연장 돌출 방향의 길이는 상자 본체부(11)의 전후 방향의 길이의 절반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판 부재(20)는, 적어도 1층의 골판지에 의하여 상자 본체부(11)의 개구부를 폐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판 부재(20)는, 골판지의 면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되도록 상자 본체부(11)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의 힘에 대하여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나 이하의 변형예에 있어서, 골판지로 형성된 구성에 대해서는 A 플루트, B 플루트, E 플루트, W 플루트, F 플루트, G 플루트 등의 골판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라이너로서는 C 라이너, K 라이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K 라이너가 바람직하고, K5(180g/㎡), K6(220g/㎡), K7(280g/㎡)이 보다 바람직하다. 1매의 골판지의 두께로서는 0.8㎜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3㎜ 내지 8㎜가 보다 바람직하다.
측면 부재(30)는 각각 1쌍씩의 짧은 변 부재(31)와 긴 변 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짧은 변 부재(31) 및 긴 변 부재(32)는, 적어도 1층의 골판지를 권회함으로써 형성되며, 강화 유리 G에 대한 완충 기능을 갖고 있다.
짧은 변 부재(31)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상자 본체부(11) 내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자 본체부(11)의 좌우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수용된다. 긴 변 부재(32)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상자 본체부(11)에 수용된 상태의 짧은 변 부재(31) 사이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자 본체부(11)의 전후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수용된다. 짧은 변 부재(31) 및 긴 변 부재(32)는, 골판지의 면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상하 방향의 힘에 대하여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짧은 변 부재(31) 및 긴 변 부재(32)는, 그의 높이와 상판 부재(20)의 두께의 합이, 내측 덮개부(12) 및 외측 덮개부(13)로 상자 본체부(11)를 폐쇄했을 때의 상자 본체부(11)의 내부 공간의 높이와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저면 부재(40)는, 도 1의 원형 영역 C 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로 적층된 골판지에 의하여 형성되며, 강화 유리 G에 대한 완충 기능을 갖고 있다. 저면 부재(40)는, 각각 평면으로 보아 강화 유리 G보다도 크고, 또한 측면 부재(30)로 둘러싸인 공간과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 하면(41) 및 상면(42)과, 측면(43)을 구비하고 있다. 상면(42)은, 강화 유리 G의 굴곡부 G1의 하면 전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저판 굴곡부(421)를 가지며, 이 저판 굴곡부(421)로 강화 유리 G 전체를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면(41) 및 측면(43)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자 본체부(11) 및 측면 부재(30)에 면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저면 부재(40)는, 골판지의 면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되도록 상자 본체부(11)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의 힘에 대하여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보호 부재(50)는, 라미네이트 필름에 의하여, 평면으로 보아 저면 부재(40)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호 부재(50)는, 강화 유리 G 사이에 배치되어, 강화 유리 G의 흠집 방지 기능을 갖고 있다. 보호 부재(50)는 강화 유리 G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려운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 부재(50)끼리가 미끄러지기 어렵게 함으로써 강화 유리 G의 위치 결정을 확실히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 부재(50)의 재질로서 마찰이 큰 수지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천장면 부재(60)는, 평면으로 보아 각각 저면 부재(4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압박 부재(61)와, 상측 대향 부재(62)를 구비하고 있다. 압박 부재(61)는 1층의 골판지에 의하여, 상측 대향 부재(62)는 전후로 적층된 골판지에 의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강화 유리 G에 대한 완충 기능을 갖고 있다.
압박 부재(61)는, 골판지의 면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되도록 상자 본체부(11) 내부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의 힘에 대하여 변형되기 쉽게 되어 있다.
상측 대향 부재(62)의 하면(63)은, 강화 유리 G의 굴곡부 G1의 상면 전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천장판 굴곡부(631)를 가지며, 이 천장판 굴곡부(631)로 강화 유리 G 전체를 가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측 대향 부재(62)의 상면(64) 및 측면(65)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압박 부재(61) 및 측면 부재(30)에 면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측 대향 부재(62)는, 골판지의 면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되도록 압박 부재(61)와 최상부의 보호 부재(50)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의 힘에 대하여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곤포체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곤포용 부재(1)에 의하여 강화 유리 G가 곤포된 곤포체 P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작업은 사람이 행해도 되고, 로봇 등의 기계가 행해도 되며, 공정별로 사람과 기계가 분담하여 행해도 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체(10)의 내측 덮개부(12) 및 외측 덮개부(13)를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자 본체부(11) 내에 측면 부재(30)를 배치한다. 이때, 짧은 변 부재(31)와 긴 변 부재(32)를 인접하는 부재끼리로 밀착시키고, 또한 그들의 하단을 상자 본체부(11)의 저벽에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측면 부재(30)로 둘러싸인 공간에 저면 부재(40)를 배치하고, 하면(41)을 상자 본체부(11)의 저벽에 밀착시킨다. 또한 저면 부재(40)를 측면 부재(30)보다도 먼저 상자 본체부(11) 내에 배치해도 되고, 측면 부재(30)와 저면 부재(40)를 밀착시키고 동시에 상자 본체부(11) 내에 배치해도 된다.
다음으로, 보호 부재(50)를 개재하여 굴곡부 G1이 저판 굴곡부(421)에 대향하도록 강화 유리 G를 저면 부재(40) 상에 적재하고, 그 후, 최상부에 보호 부재(50)가 위치하고 또한 굴곡부 G1끼리가 중첩되도록 보호 부재(50)와 강화 유리 G를 교대로 배치한다. 이때, 보호 부재(50) 및 강화 유리 G는, 압박 부재(61)와 상측 대향 부재(62)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치되었을 때, 압박 부재(61)의 상면이 측면 부재(30)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매수만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최상부의 강화 유리 G의 굴곡부 G1이 보호 부재(50)를 개재하여 천장판 굴곡부(631)에 대향하도록 상측 대향 부재(62)를 보호 부재(50) 상에 적재하고, 그 위에 압박 부재(61)를 적재함으로써, 압박 부재(61)의 상면이 측면 부재(30)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압박 부재(61)는, 그의 두께 미만만큼 측면 부재(30)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덮개부(12)와 외측 덮개부(13)를 상자 본체부(11)의 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상판 부재(20)를 통하여 압박 부재(61)를 압박하여, 상판 부재(20)와 압박 부재(61)의 접촉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변형시키면서 상판 부재(20)의 외주부를 측면 부재(30)의 상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상자 본체부(11)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점착 테이프나 밴드 등으로 외측 덮개부(13)를 고정한다.
이상의 작업에 의하여, 상측 대향 부재(62)가 압박 부재(61)를 통하여 상판 부재(20)에 의하여 압박됨으로써 강화 유리 G가 하방으로 가압되고, 외측 덮개부(13)의 고정에 의하여 저면 부재(40)와 천장면 부재(60)가 고정되어, 곤포체 P가 완성된다. 이때, 이 가압력에 의하여 강화 유리 G가 곤포체 P의 하방으로 가압될 뿐 아니라 전후 좌우 방향으로도 가압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곤포용 부재(1)를 구성하는 저면 부재(40)의 상면에, 강화 유리 G의 굴곡부 G1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저판 굴곡부(421)를 설치하고, 천장면 부재(60)의 상측 대향 부재(62)의 하면에, 굴곡부 G1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천장판 굴곡부(631)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곤포용 부재(1)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곤포체 P에 있어서, 굴곡부 G1의 하면이 저판 굴곡부(421)에 대향하도록 강화 유리 G를 저면 부재(40) 상에 배치할 수 있어 최하부의 강화 유리 G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 G1의 상면이 천장판 굴곡부(631)에 대향하도록 상측 대향 부재(62)를 최상부의 강화 유리 G 상에 배치하고 저면 부재(40)에 대하여 고정함으로써, 최상부의 강화 유리 G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모든 강화 유리 G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 가압력에 의해서도 강화 유리 G의 슬라이드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나 반송 시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강화 유리 G에 마찰 흠집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강화 유리 G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곤포할 수 있어 고효율로 반송할 수 있다.
특히 저판 굴곡부(421), 천장판 굴곡부(631)를 각각 굴곡부 G1의 하면 전체, 상면 전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강화 유리 G와의 대향 면적이 넓어져, 상측 대향 부재(62)에 의한 가압력이나 곤포체 P에 대한 충격 등에 의한 강화 유리 G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곤포체 P는, 상자 본체부(11)의 저면을 하측으로 하여 반송할 필요는 없다. 상자 본체부(11)의 천장면을 하측으로 하여 반송하면, 내부에 있는 곤포용 부재(1)의 가압력이 보다 강해져 강화 유리 G가 고정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상자 본체부(11)의 측면 중 일면을 하측으로 하여 반송하면, 반송기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반송이 가능하다.
곤포용 부재(1)를, 저면 부재(40) 및 천장면 부재(60)의 측방에 배치되는 측면 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곤포체 P를 적층했을 때, 상측의 곤포체 P의 하중을 하측의 곤포체 P의 측면 부재(30)에서 받을 수 있어, 이 하중에 의한 강화 유리 G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상자체(10), 상판 부재(20), 측면 부재(30), 저면 부재(40), 천장면 부재(60)를 골판지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폐기도 용이해진다.
[변형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 등이 가능하고, 그 외의 본 발명의 실시 시의 구체적인 수순 및 구조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재로서는 강화 유리 이외에, 강화되어 있지 않은 유리, 유리와 수지를 적층한 접합 유리, 수지, 금속, 목재로 형성되어도 되며, 본 발명의 곤포용 부재는 특히 유리, 수지 등의, 흠집 나기 쉬운 기재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유리의 강화 처리는 물리 강화여도 화학 강화여도 되지만, 두께가 2㎜ 이하이면 화학 강화가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로서는 0.3㎜ 내지 5㎜가 바람직하고, 0.7㎜ 내지 5㎜가 보다 바람직하고, 1.3㎜ 내지 3㎜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에는, 어느 한쪽 주면에 인쇄 처리, 방현 처리(AG 처리), 반사 방지 처리(AR 처리), 지문 방지 처리(AFP 처리)가 이루어져도 된다. 기재는 적어도 일부가 굴곡되어 있으면 되며, 예를 들어 복수 개소가 상이한 형상으로 굴곡되어도 된다. 기재의 평면 형상은, 정사각형이나 삼각형 등의 다각형, 사다리꼴, 원형, 타원형, 또는 이형이어도 된다. 기재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패널 디스플레이나 스마트폰 등 휴대 기기 등의 커버 유리, 차량용의 창유리여도 된다. 굴곡은, 각종 기재를 고온 등의 환경 하에서 성형하여 형성해도 되고, 유리를 일시적으로 휘게 하여 굴곡시켜도 된다.
특히 저면 부재(40)의 저판 굴곡부(421)와 천장면 부재(60)의 천장판 굴곡부(631) 중 적어도 한쪽은, 곤포체 P가 곤포되었을 때,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부터의 압박력이 전방 및 후방, 또는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의 양쪽으로도 분산되는 형상이면, 기재의 슬라이드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상자체(10), 상판 부재(20), 측면 부재(30), 저면 부재(40), 보호 부재(50), 압박 부재(61), 상측 대향 부재(62)의 재질로서는, 플라스틱 골판지나 발포 스티롤 등의 수지여도 되고, 보호 부재(50) 이외에는 금속이나 목재여도 되며, 보호 부재는 종이여도 된다.
골판지로 구성된 상자체(10), 상판 부재(20), 측면 부재(30), 저면 부재(40), 압박 부재(61), 상측 대향 부재(62)는, 적어도 그의 단부가 필름이나 종이로 감싸져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골판지의 단부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강화 유리 G에 닿은 경우에도 강화 유리 G의 흠집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판 부재(20), 측면 부재(30), 저면 부재(40), 보호 부재(50), 압박 부재(61), 상측 대향 부재(62)는 중공형이어도 된다.
상판 부재(20), 측면 부재(30), 저면 부재(40), 압박 부재(61), 상측 대향 부재(62)는 다른 부재와 점 접촉해도 되고 선 접촉해도 된다.
저면 부재(40), 압박 부재(61), 상측 대향 부재(62)는 복수의 부재로 분할되어도 된다.
상판 부재(20), 측면 부재(30), 저면 부재(40), 압박 부재(61), 상측 대향 부재(62)는 서로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측면 부재(30)와 저면 부재(40)가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되고, 측면 부재(30)와 상측 대향 부재(62)가 일체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압박 부재(61)를 복수 매 사용하여, 보호 부재(50) 및 강화 유리 G가 배치되었을 때,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압박 부재(61)가 그의 두께 미만만큼 측면 부재(30)로부터 돌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1매의 압박 부재(61)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호 부재(50) 및 강화 유리 G의 두께의 합계보다도 두껍게 함으로써, 압박 부재(61)가 그의 두께 미만만큼 측면 부재(30)로부터 돌출된다.
상자 본체부(11)와, 덮개부(3)를 구성하는 내측 덮개부(12) 및 외측 덮개부(13)는, 분리 가능해도 된다. 내측 덮개부(12)는 없어도 된다. 외측 덮개부(13)는 상자 본체부(11)의 개구부를 폐색할 수 있으면 되며, 예를 들어 1쌍의 외측 덮개부(13)의 길이의 합이 상자 본체부(11)의 전후 방향의 길이 이상이면, 각 외측 덮개부(13)의 길이는 상이해도 되고, 길이가 상자 본체부(11)의 전후 방향의 길이 이상인 외측 덮개부(13)를 상자 본체부(11)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만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고정 부재는, 포제나 수지제의 띠상 부재나 끈상 부재여도 된다.
상판 부재(20)와 측면 부재(30)와 보호 부재(50) 중 적어도 하나는 없어도 된다.
상판 부재(20)와 압박 부재(61) 중 한쪽을, 변형되지 않는 재료로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 있어서의 한쪽과의 접촉 부분만을 변형시킴으로써, 강화 유리 G를 하방으로 가압해도 된다.
측면 부재(30)는, 짧은 변 부재(31) 또는 긴 변 부재(32)가 없어도 되고, 짧은 변 부재(31)와 긴 변 부재(32)를 하나의 부재로 형성해도 된다.
측면 부재(30)는, 복수의 강화 유리 G의 측방이면서 저면 부재(40)와 천장면 부재(60) 사이에만 배치되어도 된다.
측면 부재(30)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도 된다. 긴 변 부재(32)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상자 본체부(11) 내부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자 본체부(11)의 전후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수용된다. 짧은 변 부재(31)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상자 본체부(11)에 수용된 상태의 긴 변 부재(32) 사이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자 본체부(11)의 좌우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수용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면 부재(40), 천장면 부재(60)는, 굴곡부 G1의 전체가 아니라 일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저판 굴곡부(421), 천장판 굴곡부(631)를 가지며, 강화 유리 G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저면 부재(40), 천장면 부재(60)의 상면(42), 하면(63)에 강화 유리 G가 끼워넣어지고, 이 강화 유리 G와의 맞닿음 부분에, 저판 굴곡부(421), 천장판 굴곡부(631)가 설치된 끼워맞춤 홈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저면 부재(40)와 천장면 부재(60)에 의하여 강화 유리 G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상자 본체부(11)의 측면 중 일면을 하측으로 하여 반송하더라도 강화 유리 G가 어긋나기 어려워 안정화된다. 이때, 끼워맞춤 홈부 이외의 저판 굴곡부(421)와 천장판 굴곡부(631)에서, 강화 유리 G를 덮는 보호 부재(50)를 끼워넣도록 곤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강화 유리 G가 더 움직이기 어려워져 안정화된다.
상판 부재(20)나 압박 부재(61)에 기재 종류, 로트 번호 등의 기재 정보를 기재해도 되고, 기재 정보가 기재된 시트를 넣는 포켓을 설치해도 된다.
이하에 설명하는 도 4 내지 도 8의 변형예에 상술한 변형예를 적절히 적용 해도 된다.
도 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 1의 곤포체 P는, 곤포용 부재(1)의 측면 부재(30) 대신 측면 부재(30A)를 구비한 곤포용 부재(1A)로 곤포되어도 된다.
측면 부재(30A)는, 짧은 변 부재(31)보다도 전후의 길이가 짧은 복수(도 4의 (B)에서는 4개)의 짧은 변 부재(31A)와, 긴 변 부재(32)보다도 좌우의 길이가 짧은 복수(도 4의 (B)에서는 4개)의 긴 변 부재(32A)를 구비하고 있다. 2개씩의 짧은 변 부재(31A)가 좌우의 내벽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진 상태에서 수용되고, 2개씩의 긴 변 부재(32A)가 전후의 내벽을 따라 소정 간격 떨어진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짧은 변 부재(31A) 사이나 긴 변 부재(32A) 사이에 손이나 로봇의 암을 넣어 강화 유리 G를 용이하게 수용하거나 취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짧은 변 부재(31A)와 긴 변 부재(32A) 중 적어도 한쪽을 내벽을 따라 1개만 설치하여 그의 양측 또는 편측에 손 등을 넣을 수 있도록 해도 되고, 3개 이상을 서로 떨어뜨려 설치해도 된다. 또한 짧은 변 부재(31A) 대신 짧은 변 부재(31)를 설치해도 되고, 긴 변 부재(32A) 대신 긴 변 부재(32)를 설치해도 된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 2의 곤포체 P는, 곤포용 부재(1)의 저면 부재(40) 대신 저면 부재(40B)를 구비한 곤포용 부재(1B)로 곤포되어도 된다. 저면 부재(40B)는, 수지, 금속, 목재 등의, 골판지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는 재료로 평판상으로 형성된 저판 부재(44B)와, 전후로 적층된 골판지에 의하여 형성되고 저면 부재(4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하측 대향 부재(45B)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 대향 부재(45B)의 상면(46B)에는, 저판 굴곡부(421)와 동일한 형상의 저판 굴곡부(461B)가 설치되어 있다. 저판 부재(44B)는, 상자 본체부(11)의 최하부에 수용되며, 그 위에 하측 대향 부재(45B)가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곤포체 P 하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강화 유리 G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 3의 곤포체 P는, 곤포용 부재(1)의 상판 부재(20)를 구비하지 않는 곤포용 부재(1C)로 곤포되어도 된다. 곤포용 부재(1C)에서는, 상자체(10)만으로 본 발명의 고정 부재(2C)가 구성되고, 내측 덮개부(12) 및 외측 덮개부(13)로 본 발명의 덮개부(3C)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곤포용 부재(1C)에 의하면, 내측 덮개부(12)로 직접 압박 부재(61)를 압박함으로써, 내측 덮개부(12)와 압박 부재(61)의 접촉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변형시키면서 강화 유리 G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는 데다, 곤포용 부재(1C)의 부품 개수를 감소시킨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 4의 곤포체 P는, 곤포용 부재(1)의 천장면 부재(60) 대신 천장면 부재(60D)를 구비한 곤포용 부재(1D)로 곤포되어도 된다. 천장면 부재(60D)는, 전후로 적층된 골판지에 의하여 상하 방향의 힘에 대하여 변형되기 어렵도록 형성되며, 상하의 길이가 긴 것을 제외하고는 상측 대향 부재(62)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천장면 부재(60D)의 하면(66D)에는, 천장판 굴곡부(631)과 동일한 형상의 천장판 굴곡부(661D)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곤포용 부재(1D)에 의하면, 상판 부재(20)에 있어서의 천장면 부재(60D)와의 접촉 부분을 찌부러뜨리면서 강화 유리 G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는 데다, 곤포용 부재(1D)의 부품 개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이 경우, 상판 부재(20)의 상면이 상자 본체부(11)의 개구부의 높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판 부재(20)를 천장면 부재(60D) 상에 배치해도 된다. 덮개부(3)로 상판 부재(20) 또는 천장면 부재(60D)를 압박하여, 덮개부(3)와 상판 부재(20) 또는 천장면 부재(60D) 중 적어도 한쪽을 변형시키면서 덮개부(3)에 의하여 상자 본체부(11)의 개구부를 폐색한다. 이것에 의하여, 강화 유리 G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저면 부재(40)와 천장면 부재(60D)에 의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천장면 부재(60D)와 상면 부재(20)가 일체여도 된다. 강화 유리 G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곤포용 부재의 부품 개수를 더욱 감소시킨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5)의 곤포체 P는, 곤포용 부재(1)에 상판 부재(20) 대신 내측 상자체(7E)를 설치한 곤포용 부재(1E)로 곤포되어도 된다. 내측 상자체(7E)는, 적어도 1층의 골판지에 의하여, 측면 부재(30)로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내측 상자체(7E)는, 직사각형 상자형의 상자 본체부로서의 내측 상자 본체부(71E)와, 이 내측 상자 본체부(71E)의 좌우 양측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내측 상자 덮개부(72E)를 구비하고 있다. 곤포용 부재(1E)에서는, 내측 상자체(7E)로 본 발명의 고정 부재(2E)가 구성되고, 내측 상자 덮개부(72E)로 본 발명의 덮개부(3E)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곤포용 부재(1E)에 의하면, 내측 상자 덮개부(72E)로 압박 부재(61)를 압박함으로써, 내측 상자 덮개부(72E)와 압박 부재(61)의 접촉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변형시키면서 강화 유리 G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내측 상자 본체부(71E)와, 덮개부(3E)를 구성하는 내측 상자 덮개부(72E)는, 분리 가능해도 된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 6의 곤포체 P는, 곤포용 부재(1)의 측면 부재(30) 대신 측면 부재(30F)를 구비한 곤포용 부재(1F)로 곤포되어도 된다.
측면 부재(30F)의 짧은 변 부재(31F)와 도시하지 않은 긴 변 부재는, 각각 짧은 변 부재(31), 긴 변 부재(32)에, 저면 부재(40)와 천장면 부재(60)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311F), 도시하지 않은 끼워맞춤부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짧은 변 부재(31F)에만 끼워맞춤부(311F)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고, 도시하지 않은 긴 변 부재에만 끼워맞춤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하는 짧은 변 부재(31A)와 긴 변 부재(32A) 중 적어도 한쪽에, 끼워맞춤부(311F)와 마찬가지의 끼워맞춤부를 설치해도 된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예 7의 곤포체 P는, 곤포용 부재(1)의 측면 부재(30) 대신 측면 부재(30G)를 구비한 곤포용 부재(1G)로 곤포되어도 된다.
측면 부재(30G)의 짧은 변 부재(31G)는, 전후 방향의 길이가 상자 본체부(11) 내부의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변 부재(32G)의 전후 방향의 길이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다. 긴 변 부재(32G)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상자 본체부(11) 내부의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은 변 부재(31G)의 좌우 방향의 길이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다. 짧은 변 부재(31G) 및 긴 변 부재(32G)는 각각 상자 본체부(11)의 좌우, 전후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수용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 부재(40) 대신 저면 부재(40H)를 사용해도 된다. 이 저면 부재(40H)는, 복수의 판상 부재(47H)를 격자상으로 짬으로써, 그의 상면에, 강화 유리 G의 굴곡부 G1의 하면 전체의 형상에 대응하는 저판 굴곡부(471H)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곤포체의 경량화나 비용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상측 대향 부재(62), 도 5의 (B)에 도시하는 하측 대향 부재(45B), 도 6의 (A)에 도시하는 천장면 부재(60D)를, 저면 부재(40H)와 마찬가지로 판상 부재를 격자상으로 짬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본 출원은, 2016년 3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050662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의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1, 1A, 1B, 1C, 1D, 1E, 1F, 1G: 곤포용 부재
2, 2C, 2E: 고정 부재
3, 3C, 3E: 덮개부
11: 상자 본체부
30, 30A, 30F, 30G: 측면 부재
40, 40B, 40H: 저면 부재
42, 46B: 상면
60, 60D: 천장면 부재
63, 66D: 하면
71E: 내측 상자 본체부(상자 본체부)
421, 461B, 471H: 저판 굴곡부
631, 661D: 천장판 굴곡부
G: 강화 유리
G1: 굴곡부
P: 곤포체

Claims (8)

  1. 굴곡부를 갖는 복수의 기재의 곤포에 사용되는 곤포용 부재이며,
    상기 굴곡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상기 기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저면 부재와,
    상기 복수의 기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천장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저면 부재의 상면은,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하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저판 굴곡부를 갖고,
    상기 천장면 부재의 하면은,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의 천장판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재가 사이에 배치된 상태의 상기 저면 부재 및 상기 천장면 부재의 측방, 또는 상기 복수의 기재의 측방이면서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곤포용 부재.
  3. 제1항에 기재된 곤포용 부재와,
    상기 곤포용 부재의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 사이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기재와,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곤포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유리인 곤포체.
  5. 제1항에 기재된 곤포용 부재에 의하여 굴곡부를 갖는 기재가 곤포된 곤포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굴곡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기재를, 최하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하면이 상기 저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저면 부재 상에 적재하고,
    최상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면이 상기 천장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천장면 부재를 상기 최상부의 기재 상에 배치하고,
    고정 부재로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곤포체를 제조하는 곤포체의 제조 방법.
  6. 제2항에 기재된 곤포용 부재와, 일면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저면 부재, 상기 천장면 부재, 상기 복수의 기재 및 상기 측면 부재를 수용하는 상자 본체부와,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에 의하여, 굴곡부를 갖는 기재가 곤포된 곤포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측면 부재가 상기 저면 부재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를 상기 상자 본체부 내에서 위치 결정하고,
    상기 굴곡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기재를, 최하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하면이 상기 저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저면 부재 상에 적재하고,
    최상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면이 상기 천장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또한 상기 천장면 부재의 상면이 상기 측면 부재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천장면 부재를 상기 최상부의 기재 상에 배치하고,
    상기 덮개부로 상기 천장면 부재를 압박하여, 상기 덮개부와 상기 천장면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변형시키면서 상기 덮개부를 상기 측면 부재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상기 기재를 하방으로 가압함과 함께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곤포체를 제조하는 곤포체의 제조 방법.
  7. 제2항에 기재된 곤포용 부재와, 일면에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저면 부재, 상기 천장면 부재, 상기 천장면 부재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상판 부재, 상기 복수의 기재 및 상기 측면 부재를 수용하는 상자 본체부와,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에 의하여, 굴곡부를 갖는 기재가 곤포된 곤포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측면 부재가 상기 저면 부재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측면 부재를 상기 상자 본체부 내에서 위치 결정하고,
    상기 굴곡부끼리가 중첩되도록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기재를, 최하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하면이 상기 저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저면 부재 상에 적재하고,
    최상부의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의 상면이 상기 천장판 굴곡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천장면 부재를 상기 최상부의 기재 상에 배치하고,
    상기 상판 부재의 상면이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의 높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판 부재를 상기 천장면 부재 상에 배치하고,
    상기 덮개부로 상기 상판 부재 또는 상기 천장면 부재를 압박하여, 상기 덮개부와 상기 상판 부재 또는 상기 천장면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변형시키면서 상기 덮개부에 의하여 상기 상자 본체부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상기 기재를 하방으로 가압함과 함께 상기 저면 부재와 상기 천장면 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곤포체를 제조하는 곤포체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면 부재와 상기 상판 부재가 일체인 곤포체의 제조 방법.
KR1020187026229A 2016-03-15 2017-03-10 곤포용 부재, 곤포체, 및 곤포체의 제조 방법 KR102327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0662 2016-03-15
JPJP-P-2016-050662 2016-03-15
PCT/JP2017/009720 WO2017159563A1 (ja) 2016-03-15 2017-03-10 梱包用部材、梱包体および梱包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532A true KR20180121532A (ko) 2018-11-07
KR102327990B1 KR102327990B1 (ko) 2021-11-17

Family

ID=5985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229A KR102327990B1 (ko) 2016-03-15 2017-03-10 곤포용 부재, 곤포체, 및 곤포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22894B2 (ko)
KR (1) KR102327990B1 (ko)
CN (1) CN108778959B (ko)
TW (1) TWI722134B (ko)
WO (1) WO2017159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4752B2 (ja) * 2018-11-28 2024-02-21 Agc株式会社 被梱包体および梱包体
WO2023162638A1 (ja) * 2022-02-25 2023-08-3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二重梱包体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621A (ja) 2003-08-20 2005-03-17 Kyokuhei Glass Kako Kk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KR20080038009A (ko) * 2006-10-27 2008-05-02 김봉희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KR20100068336A (ko) * 2007-10-15 2010-06-2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기판 곤포 상자
JP2012051586A (ja) 2010-08-31 2012-03-1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体
JP2015151184A (ja) * 2014-02-18 2015-08-24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梱包体、およびガラス梱包体の製造方法
JP5782912B2 (ja) * 2011-08-15 2015-09-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保持用枠体と基板の梱包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3733A (en) * 1959-10-09 1960-07-05 Poeschl Ernest Shipping container for mirrors and the like
JPH08164985A (ja) * 1994-12-14 1996-06-25 Fuji Photo Film Co Ltd ガラス乾板の包装容器
JP4855569B2 (ja) * 2000-10-20 2012-01-1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基板を梱包するための容器
JP4608075B2 (ja) * 2000-11-14 2011-0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ート状レンズ製品の梱包構造
JP4924033B2 (ja) * 2004-05-21 2012-04-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収納容器、基板収納体及び基板輸送装置
JP2007084102A (ja) * 2005-09-21 2007-04-05 Fujifilm Corp 包装容器および包装形態
JP2007106419A (ja) * 2005-10-11 2007-04-26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梱包体
JP2008184186A (ja) * 2007-01-30 2008-08-14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スペーサシート及び板状物梱包体
CN103796933B (zh) * 2010-11-30 2016-12-14 康宁股份有限公司 玻璃板的包装和包装玻璃板的方法
US9543175B2 (en) * 2013-09-25 2017-0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ackage assembly for thin wafer shipping and method of u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621A (ja) 2003-08-20 2005-03-17 Kyokuhei Glass Kako Kk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KR20080038009A (ko) * 2006-10-27 2008-05-02 김봉희 유리기판 보관용 이중상자
KR20100068336A (ko) * 2007-10-15 2010-06-23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기판 곤포 상자
JP2012051586A (ja) 2010-08-31 2012-03-15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梱包体
JP5782912B2 (ja) * 2011-08-15 2015-09-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保持用枠体と基板の梱包体
JP2015151184A (ja) * 2014-02-18 2015-08-24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梱包体、およびガラス梱包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78959A (zh) 2018-11-09
CN108778959B (zh) 2020-10-20
JP6922894B2 (ja) 2021-08-18
KR102327990B1 (ko) 2021-11-17
WO2017159563A1 (ja) 2017-09-21
JPWO2017159563A1 (ja) 2019-01-24
TW201733878A (zh) 2017-10-01
TWI722134B (zh) 202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7561B2 (ja) 基板収納体
US20060144392A1 (en) Packaging device for stacked large-sized thin glass panes
KR20180121532A (ko) 곤포용 부재, 곤포체, 및 곤포체의 제조 방법
CN111032534A (zh) 容器及保护部件
CN105501704A (zh) 玻璃板捆包体及玻璃板的捆包方法
JP5353787B2 (ja) ガラス板パレット、ガラス板積載方法、ガラス板梱包体、およびガラス板の取り出し方法
JP2004149149A (ja) 大型ガラス基板用搬送トレイ
WO2022044872A1 (ja) ガラス板梱包体
EP2590873B1 (en) Dual-purpose packaging insert and packaging box for sensitive flat objects
CN106240999B (zh) 具有多个脚梁的纸制托板和具备纸制托板的包装盒
JP2009091031A (ja) ガラス板の収納装置
JP2015151184A (ja) ガラス梱包体、およびガラス梱包体の製造方法
TWI492887B (zh) 組合式緩衝包裝材
JP3904108B2 (ja) 梱包材
JPWO2008041711A1 (ja) ディスプレイ用部材搬送ケース
JP3203231U (ja) 樹脂版収納用段ボールケース
CN212862314U (zh) 玻璃捆包体
TWM545769U (zh) 包裝系統
JP3220466U (ja) 樹脂版収納用ケース
KR20030006995A (ko) 곤포재 및 이 곤포재를 이용한 곤포체 및 이 곤포체의반송방법
WO2023162638A1 (ja) ガラス板梱包体及びガラス板二重梱包体
JP2000327075A (ja) 基板搬送用ボックス
KR100760239B1 (ko) 엘시디 패널 포장용 패킹
TW201441118A (zh) 板體收納用箱
TW200922847A (en) Shipping box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