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6995A - 곤포재 및 이 곤포재를 이용한 곤포체 및 이 곤포체의반송방법 - Google Patents

곤포재 및 이 곤포재를 이용한 곤포체 및 이 곤포체의반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6995A
KR20030006995A KR1020020033218A KR20020033218A KR20030006995A KR 20030006995 A KR20030006995 A KR 20030006995A KR 1020020033218 A KR1020020033218 A KR 1020020033218A KR 20020033218 A KR20020033218 A KR 20020033218A KR 20030006995 A KR20030006995 A KR 2003000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material
package
plate
side wall
low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시모토야스히코
카메에켄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99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Buffer Packag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과제) 장기간에 걸쳐 형상변화가 적고, 판상체의 출납조작이 용이한 곤포재 및 곤포체를 제공하고, 또한 작업능률의 개선을 도모하면서, 위치이동을 원활히 행할 수 있는 곤포체 및 그 반송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세로면패드부(2aa(2ba))와 가로면패드부(2ab(2bb))를 대략 단면 L자형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기체부(2a(2b))를 갖는 곤포재(2a(2b))에 있어서, 기체부(2a(2b))의 양측에 측벽부(6(10))를 일체로 부설한다. 또, 네 개의 곤포재(2, 21, 22, 22)에 의해 복수매의 판상체(G)의 각 모서리부가 일체적으로 수납유지되어 이루어지는 곤포체(1)에 있어서 하측 곤포재(21, 21)의 기체부(2a, 2a) 및/또는 상측 곤포재(22, 22)의 기체부(2b, 2b)의 양측에 측벽부(6, 10)를 일체로 부설한다. 그리고, 하측 곤포재(21, 21) 및/또는 상측 곤포재(22, 22)의 외벽에 운반용의 오목부(23)를 형성한다.

Description

곤포재 및 이 곤포재를 이용한 곤포체 및 이 곤포체의 반송방법{PACKAGING MATERIALS, PACKAGED STRUCTURE USED THIS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 FOR CARRYING THIS PACKAGED STRUCTURE}
본 발명은 취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복수매의 판상체를 대략 직립자세로 병렬배치시켜 수납유지하기 위한 곤포재 및 이것을 이용한 곤포체 및 이 곤포체의 반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디스플레이(ELD),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FED) 등의 각종 화상표시기구용의 유리패널의 제작에 이용되는 유리판 및 각종 전자표시기능소자나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로서 이용되는 유리판은 복수매를 1세트로 하여 수납유지한 상태로, 곤포체로서 유리메이커 등으로부터 디스플레이메이커 등에 반송되는 것이 통례이다.
이 종류의 유리판은 얇아서 깨지기 쉬움에도 불구하고, 고품위를 유지하면서 적정하게 또한 저렴하게 반송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수납유지에 이용되는 곤포재는 제작용이성, 고청정성, 내진유지성, 내파손성, 고보관성, 고수송성, 출납용이성 등의 여러가지의 높은 특성이 요청된다.
이러한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서, 예컨대 특허 제 2916836호 공보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L자형 형상으로, 내벽에 복수개의 기판유지 홈(51)을 갖고, 외벽에 결속밴드(52)를 장착하기 위한 밴드장착용 홈(53)을 갖는 유리기판용의 곤포재(50)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곤포재(50)를 이용하여 제작된 곤포체(60)는 복수매의 유리기판(G)을 소정간격 걸러 평행배치하여 입방체를 형성하고, 각 유리기판(G)의 모서리부를 상기 곤포재(50)의 기판유지홈(51)에 삽입하여 상기 입방체의 네모서리부를 각 곤포재(50)에 의해 끼워맞춰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곤포재는 종래의 소위 박스형 곤포재에 비해, 재료비나 제작비가 저렴한 것, 각종 치수의 유리기판을 동일한 것으로 곤포할 수 있는 것, 비어 있는 상태에서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는 것, 운반에 의한 반복사용에 의해 오염된 경우라도 세정이나 건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 및 거대한 세정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이들 이외에도, 수송 중에 있어서의 유리기판의 진동을 억지할 수 있고, 유리기판을 수납한 상태에서의 보관이나 수송효율이 높고, 또한 유리기판의 수납시 및 취득 시에, 인접하는 유리기판과의 접촉이나 간섭의 우려가 없고, 출납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등의 이점도 있다.
그런데, 상술의 각종 화상표시기기 등의 제조에 있어서는, 복수매의 유리패널이 한 장의 소판유리로 만들어지는 수법이 채용되기에 이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리메이커로 성형 및 가공되는 소판유리는 대판화가 추진되고 있는 것이 현상이다. 상술하면,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의 유리패널의 크기는 대각으로 10∼20인치 정도의 것이 주류이지만, 제조비용의 저감 및 생산효율(스루풋)의 향상을 목적으로 대판의 소판유리에 다수의 유리패널을 만들어 넣는 멀티방식이 채용되기에 이른 것으로부터, 유리메이커에서 제작하는 소판유리를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용화양산의 초기에는 소판유리의 크기가 300 ×400㎜사이즈 정도이었지만, 그 후, 유리패널의 채용매수의 증가에 따라, 370 ×470㎜사이즈, 550 ×650㎜사이즈, 680 ×680㎜사이즈 등에의 대판화가 진행하고 있어, 현재는 1000 ×1200㎜사이즈 정도의 소판유리가 제작되기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판유리가 대판화하는 것에 기인하여, 그 취급이 곤란해지고, 곤포나 수송에 점점 더 배려할 필요가 생겨 종래의 곤포재를 이용한 곤포수법에 맡기고 있었던 것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불량이 생긴다.
즉, 도 8에 예시한 종래의 곤포재(50)는 반복사용되는 사이에 대략 L자형 형상의 굴곡부분의 직각도가 변화하여 외측으로 열기 쉽기 때문에, 특히 대판유리를 곤포할 때에 홈 어긋남을 일으켜, 유리기판끼리가 접촉함으로써 깨질 위험성이 있다. 또한, 가장 외부에 배치되는 유리기판의 노출부가 커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조금의 기계적 충격이 가해진 것만으로도 깨질 위험성이 있다.
더욱, 종래에 있어서는 작업자 등이 곤포체의 탑재장소를 바꾸기 위해, 상기 곤포체를 이동 내지 반송할 때에는 작업자 등이 곤포재의 하단부를 잡고 들어 올리는 수법, 혹은 결속밴드를 잡고 들어 올리는 수법 등이 채용되고 있었다. 이들의 수법은 유리판이 소판인 경우에는 그다지 지장이 생기지 않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판이 대판이 되면, 중량의 증가가 현저해지는 동시에, 균형잡힌 안정된 상태로 곤포체를 들어 올리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작업의 용이화가 저해되고, 곤포체를 원활히 이동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기간에 걸쳐 형상변화가 적고, 또한 대형의 판상체를 곤포할 때라도, 외부로부터의 기계적 충격에 의해서 가장 외부에 위치하는 판상체가 깨지기 어렵고, 더욱이, 수납되는 판상체가 오염되기 어렵고, 수송 중에 진동하지 않도록 판상체를 고정할 수 있고, 판상체 수납상태에서의 보관이나 수송효율이 높고, 또한 판상체의 수납 시 및 취득 시에 인접하는 판상체와의 접촉이나 간섭의 우려가 없고, 출납 조작이 용이한 곤포재 및 곤포체를 제공하는 것 및 판상체가 대형인 것으로써 어쩔 수 없이 곤포체의 중량증가나 취급성악화의 조건하에서라도, 작업성 또는 작업능률의 개선을 도모하면서, 위치이동을 원활히 행할 수 있는 곤포체 및 그 반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곤포체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곤포체의 구성요소인 하측 곤포재의 정면도, 도 2의 (b)는 그 종단측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곤포체의 구성요소인 상측 곤포재의 정면도, 도 3의 (b)는 그 종단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곤포체의 구성요소인 하측 곤포재에의 상측 곤포재의 수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곤포체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곤포체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a)는 본 발명의 곤포체의 반송방법에 사용하는 반송용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b)는 그 반송방법의 실행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종래 예에 관한 곤포체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부호의 설명)
1, 1', 1", 1"' : 곤포체
21, 21', 21", 21"' : 곤포체(하측 곤포재)
22, 22', 22", 22"' : 곤포재(상측 곤포재)
2a, 2a', 2a" : 기체부(하측 곤포재의 기체부)
2b, 2b', 2b" : 기체부(상측 곤포재의 기체부)
2ac : 굴곡부(하측 곤포재의 코너부)
2bc : 굴곡부(상측 곤포재의 코너부)
3, 3' : 결속밴드 4 : 유지부
5, 5', 9, 9' : 밴드장착용 홈
6, 6" : 측벽부(하측 곤포재의 측벽부) 6a : 경사변부
6b : 단차 8 : 유지홈
10, 10" : 측벽부 23, 23' : 오목부
24 : 반송용 밴드 25 : 걸기부재
30 : 반송용 시트 G : 유리기판(판상체)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복수매의 판상체를 대략 직립으로 병렬배치시켜 수납유지하기 위한 곤포재로서, 단면이 대략 L자형 형상을 나타내며 또한 내벽에 각 판상체의 모서리부를 삽입하는 복수개의 유지홈이 형성된 기체부와, 상기 기체부의 양측에 형성된 측벽부를 갖는 것에 특징을 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단면이 대략 L자형 형상의 기체부의 양측에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곤포재가 장기에 걸쳐 반복 사용되더라도, 측벽부의 존재에 의해 대략 L자형 형상의 직각도(약 90도)가 적정하게 유지되고, 그 각도를 열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대형의 판상체를 곤포하는 경우라도, 판상체가 곤포재의 유지홈으로부터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고, 판상체끼리가 접촉됨에 따른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곤포재에 형성되는 유지홈의 개수나 형상은 곤포하는 판상체의 크기나 두께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되며, 예컨대 홈개수는 10∼100개정도, 홈형상은 깊이가 2∼20 mn정도의 V자형, U자형, 역 ㄷ자형 등으로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이 곤포재는 각종 치수의 판상체를 곤포하는 것이 가능하며, 비어 있는 상태에서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고, 운반에 의한 반복사용에 의해서 오염된경우에도, 세정·건조가 용이하고, 거대한 세정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각 곤포재를 밴드 등으로 결속함으로써 수송 중에 판상체가 진동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판상체 수납상태에서의 보관이나 수송효율이 높고, 판상체의 수납 시 및 취득 시에 인접하는 판상체와의 접촉이나 간섭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출납 조작이 용이하다.
이 경우, 상기 측벽부는 직사각형상 또는 그 밖의 다각형상을 나타내고 있어도 되지만, 상기 기체부의 높이방향 선단부와 깊이방향 선단부를 잇는 경사변부를 갖는 대략 직각삼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재료낭비 없이, 가장 유효하게 기체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제조비용의 부당한 앙등을 초래하는 일없이, 장기의 반복사용에 대한 직각도의 적정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대략 직립으로 병렬배치된 복수매의 판상체의 네모서리부가 4개의 곤포재를 각각 구성하는 단면이 대략 L자형 형상의 각 기체부의 내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지홈에 삽입되고, 각 판상체가 4개의 곤포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수납유지되어 이루어지는 곤포체에 있어서, 각 판상체의 하측 모서리부를 유지하는 하측 곤포재의 기체부의 양측 및/또는 상측 모서리부를 유지하는 상측 곤포재의 기체부의 양측에 측벽부를 형성한 것에 특징을 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측 곤포재 및 상측 곤포재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의 기체부의 직각도가 측벽부의 존재에 의해 장기에 걸쳐 적정하게 유지되므로, 상술의 경우와 같은 이점을 누릴 수 있는 것에 덧붙여, 그 측벽부에 의해서 가장 외부에 위치하는 판상체의 노출부분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기계적 충격에 기인하여 판상체가 깨지는 등의 위험성이 저감된다. 또, 측벽부는 하측 곤포재와 상측 곤포재의 양자에 관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컨대 하측 곤포재와 상측 곤포재의 높이치수가 상이한 경우에는, 높이치수의 긴 측의 곤포재에 관해서만 측벽부를 형성하는 등의 방안을 강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상기 측벽부가 상기 기체부의 높이방향 선단부와 깊이방향 선단부를 잇는 경사변부를 갖는 대략 직각삼각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면, 재료낭비 없이, 가장 유효하게 기체부의 강성이 높아진 곤포재에 의해서, 판상체가 양호하게 수납유지되는 동시에, 가장 외부에 위치하는 판상체의 노출부분도 적절하게 감소한다.
더욱이, 상기 하측 곤포재의 높이치수가 상기 상측 곤포재의 높이치수보다도 길며, 또한 상기 하측 곤포재의 기체부의 양측에 상기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상태 하에서, 하측 곤포재의 세로방향치수가 판상체의 세로방향치수의 1/2 이상, 혹은 2/3 이상, 나아가서는 3/4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결속밴드를 떼었을 때나, 상측 곤포재를 떼었을 때에도, 하측 곤포재에 의해서 판상체의 하측 모서리부가 안정되게 유지되므로, 판상체를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자동취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하측 곤포재에 있어서의 측벽부의 경사변부를 서로 합치시킴으로써 대략 직방체형상의 박스체가 제작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박스체의 내부공간에 한 쌍의 상기 상측 곤포재가 수용가능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비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한 쌍의 하측 곤포재의 부피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는 뿐만 아니라, 그 내부공간에 한 쌍의 상측 곤포재를 수용할 수 있는 것부터, 비어 있는 상태에서의 반송의 용이화 및 반송스페이스의 협소화가 도모되어 뛰어난 취급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측 곤포재의 기체부 및 상측 곤포재의 기체부의 쌍방에 상기 측벽부가 형성되고, 또한 그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측벽부의 경사변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한 쌍의 하측 곤포재의 각 경사변부끼리 및/또는 한 쌍의 상측 곤포재의 각 경사변부끼리를 합치시킴에 있어서, 각 단차를 결합시키면, 각 곤포재가 경사변부를 따라 미끄러지 않게 되고, 비어 있는 상태에서의 반송의 용이성 및 취급성의 향상이 더욱 도모된다.
한 편, 판상체를 수납유지한 상태에 있는 곤포체의 운반 혹은 위치이동을 원활히 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측 곤포재의 외벽 및/또는 상기 상측 곤포재의 외벽에 운반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대판의 판상체임으로써 중량이 커지더라도 작업자 등은 하측 곤포재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상측 곤포재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용이하게 곤포체를 위치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상측 곤포재 또는 하측 곤포재의 하단부 혹은 결속밴드를 잡고 곤포체를 들어올리는 수법을 채용할 필요가 없어져, 작업능률이 대폭 개선된다.
또한, 상기 하측 곤포재의 외벽 및 상기 상측 곤포재의 외벽에 걸쳐 반송용 벨트를 감고, 또한 상기 반송용 벨트에 운반용의 걸기부재를 고착한다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작업자 등은 반송용 벨트에 고착되어 있는 걸기부재를 잡고 들어올림으로써, 용이하게 곤포체를 위치이동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하여 작업능률이 대폭 개선된다.
더욱이,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술의 곤포체를 반송하는 반송방법으로서, 상기 하측 곤포재와 탑재면 사이에 반송용시트를 개재시키고, 상기 반송용 시트를 탑재면 상에서 미끄러지게 하는 것에 특징을 둔다. 이 경우, 반송용 시트로서는 곤포체와의 상대 미끄러짐이 생기지 않도록 하측 곤포재와의 접촉면의 마찰저항이 크면서 탑재면과의 상대 미끄러짐이 생기기 쉽도록 상기 탑재면과의 접촉면의 마찰저항이 작은 것, 반복사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것, 물이나 약품에 강한 것, 위생적인 것, 경량인 것, 경제적인 것 등의 특성이 요청된다. 그래서, 이들 요망을 채운 수지제의 시트가 적합하고, 구체적으로는 수지제의 예컨대 닛세키 시트팰릿(닛세키 시트팰릿 시스템 주식회사·일본석유화학 주식회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바닥면 등의 탑재면 상에 깔린 반송용 시트 상에 곤포체를 실음으로써, 상기 하측 곤포재와 탑재면 사이에 반송용 시트를 개재시킨 상태로 하고, 이러한 상태 하에서, 반송용 시트를 끌어 탑재면 상을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곤포체는 반송용시트와 함께 위치이동한다. 이로 인해, 곤포체의 하측 곤포재 및 탑재면에 찰상 등이 생기는 일없이, 용이하게 곤포체를 위치이동할 수 있고,하측 곤포재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작업능률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발명에 있어서, 곤포재는 각종 수지발포체로부터 제작할 수 있지만, 특히 발포배율이 5∼20배의 발포폴리에틸렌이나 발포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작하면, 저렴한 점, 사출성형 등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점, 변형하기 어려운 점, 완충효과가 큰 점 및 먼지가 적고 발진성이 작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곤포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그 곤포체의 구성요소인 하나의 곤포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종단측면도, 도 3의 (a) 및 (b)는 그 곤포체의 구성요소인 다른 곤포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종단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곤포체(1)는 10∼100장 정도의 복수매의 유리기판(G)을 병렬배치시킨 상태로, 이들 유리기판(G)의 각 하측 모서리부를 한 쌍의 하측 곤포재(21)에 유지시키는 동시에, 각 상측 모서리부를 한 쌍의 상측 곤포재(22)에 유지시키고, 이 합계 네 개의 곤포재(21, 22)의 외벽에 걸쳐, 두 개의 폴리프로필렌제의 결속밴드(3)를 유리기판(G)의 외주가장자리에 따르도록 감은 것이다. 이들 곤포재(21, 22)는 모두 발포배율이 8∼10배의 폴리에틸렌 발포체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리기판(G)으로서, 세로, 가로, 두께가 1200 ×1000 ×0.7㎜의 치수를 갖고, #500번수의 다이아몬드 호일을 이용하여 외주가장자리의 모따기가공을 실시한 액정 디스플레이용 무알칼리 유리기판(니폰덴끼가라스 주식회사제 OA-10)이 사용된다. 또, 이 곤포체(1)는 방진을 위해, 전체가 폴리비닐제 등의 자루체(도시생략)로 피복된다.
상기 하측 곤포재(21)는 도 2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면패드부(2aa)와 가로면패드부(2ab)를 단면 대략 L자형 형상으로 일체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기체부(2a)를 갖고, 그 내벽에는 복수매의 유리기판(G)의 하측 모서리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유지홈(4)이 형성되고, 그 외벽에는 복수개(도예에서는 두 개)의 결속밴드(3)가 감음장착되는 복수개(도예에서는 두 개)의 밴드장착용홈(5)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이 기체부(2a)의 양측에는 세로면패드부(2aa)와 가로면패드부(2ab)의 유지홈 배열방향의 양단부에 늘어선 측벽부(6)가 일체로 부설되어 있다. 이 측벽부(6)는 기체부(2a)의 높이방향 선단부(2ax) 즉 세로면패드부(2aa)의 상단부와, 기체부(2a)의 깊이방향 선단부(2ay) 즉 가로면패드부(2ab)의 전단부를 잇는 경사변부(6a)를 갖는 대략 직각삼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이 경사변부(6a)에는 그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에 단차(6b)가 형성되어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기체부(2a)의 높이방향 선단부(2ax)로부터 깊이방향 선단부(2ay)에 이르는 가상경사직선(x6)의 대략 중앙부에 이 직선(x6)을 그 양측에 대칭으로 넘는 단차(6b)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단차(6b)의 고단위치로부터 기체부(2a)의 높이방향 선단부(2ax)를 향해 직선형상의 상측 경사변부가 형성되고, 이 단차(6b)의 저단위치로부터 기체부(2a)의 깊이방향 선단부(2ay)를 행해 직선형상의 하측 경사변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6b)는 상측 및 하측의 경사변부에 둔각형상으로 늘어서 있고, 또한 상측 및 하측의 경사변부는 모두 가상경사직선(x6)보다도 세로면패드부(2aa)와 이루는 각도가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이 하측 곤포재(21)는 굴곡부(2ac)를 기준으로 하여 세로면패드부(2aa)의 상단부(2ax)까지의 치수가 850㎜, 굴곡부(2ac)를 기준으로 하여 가로면패드부(2ab)의 전단부(2ay)까지의 치수가 390㎜, 폭방향치수(유지홈 배열방향치수)가 520㎜, 두께가 35㎜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로면패드부(2aa)에서의 유지홈(4)의 최상부는 유리기판(G)의 삽입을 쉽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상방을 향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상기 밴드장착용홈(5)은 세로면패드부(2aa)의 외벽으로부터 가로면패드부(2ab)의 외벽에 걸쳐 늘어서 있고, 도예에서는 세로면패드부(2aa)의 상단부(2ax) 주변영역을 제외하고 밴드장착용홈(5)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가로면패드부(2ab)에서의 밴드장착용홈(5)은 굴곡부(2ac)로부터 그 전단부(2ay)에 이르기까지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한 편, 상기 상측 곤포재(22)는 도 3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면패드부(2ba)와 가로면패드부(2bb)를 단면 대략 L자형 형상으로 일체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기체부(2b)를 갖고, 그 내벽에는 복수매의 유리기판(G)의 상측 모서리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유지홈(8)이 형성되고, 그 외벽에는 복수개(도예에서는 두 개)의 결속밴드(3)가 감음장착되는 복수개(도예에서는 두 개)의 밴드장착용홈(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측곤포재(22)에 관해서도, 기체부(2b)의 양측에 세로면패드부(2ba)와 가로면패드부(2bb)의 유지홈 배열방향의 양단부에 늘어서는 측벽부(10)가 일체로 부설되어 있다. 이 측벽부(10)도 기체부(2b)의 높이방향 선단부(2bx) 즉 세로면패드부(2ba)의 상단부와, 기체부(2b)의 깊이방향선단부(2by) 즉 가로면패드부(2bb)의 전단부를 잇는 경사변부(10a)를 갖는 대략 직각삼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이 측벽부(10)의 경사변(10a)에도 상술의 하측 곤포재(21)의 경우와 같이 단차를 형성해도 된다.
또, 이 상측곤포재(22)는 굴곡부(2bc)를 기준으로 하여 세로면패드부(22a)의 상단부(2bx)까지의 치수가 170㎜, 굴곡부(2bc)를 기준으로 하여 가로면패드부(2bb)의 전단부(2by)까지의 치수가 450㎜, 폭방향치수(유지홈 배열방향치수)가 520㎜, 두께가 35㎜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세로면패드부(2ba)에서의 유지홈(8)의 최상부도 유리기판(G)의 삽입을 쉽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상방을 향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또한, 이 상측곤포재(22)의 밴드장착용홈(9)은 세로면패드부(2ba)의 외벽으로부터 가로면패드부(2bb)의 외벽에 걸쳐 늘어서 있다.
더욱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곤포재(21)의 세로면패드부(2aa)와 측벽부(6)의 연접부 근방에는 하측 곤포재(21)의 높이방향 대략 중앙부에 작업자가 손을 삽입하는 등으로 곤포체(1)를 들어 올리기 위한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23)는 1개의 하측 곤포재(21)에 관해서 그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곤포체(1)에는 합계 4개의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오목부(23)의 형성위치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작업자의 손 등으로 들어올릴 수 있으면 오목부(23)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동도로부터도 분명하듯이, 하측 곤포재(21)의 높이치수는 상측 곤포재(22)의 높이치수보다도 훨씬 길며(3배에서 6배정도), 게다가 하측 곤포재(21)의높이치수는 유리기판(G)의 높이치수의 1/2 이상(바람직하게는 2/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4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곤포재(21, 22) 및 곤포체(1)에 의하면, 유리기판(G)의 수납동작, 반송동작, 취득동작 등은 아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우선, 한 쌍의 하측 곤포재(21)를 그 각 가로면패드부(2ab)가 유리기판(G)의 하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또한, 서로의 세로면패드부(2aa)의 내벽면이 대향하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한 뒤, 복수매의 유리기판(G)이 한 장씩 대략 직립이 되도록, 각 유리기판(G)의 하측 모서리부를 양 하측 곤포재(21)의 유지홈(4)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유리기판(G)을 모든 하측 곤포재(21)의 유지홈(4)에 삽입을 마친 뒤, 한 쌍의 상측 곤포재(22)를 각 유리기판(G)의 상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도록 위치시키고, 각 유리기판(G)의 상측 모서리부를 양 상측 곤포재(22)의 각 유지홈(8) 내에 삽입한다. 이 후, 각 곤포재(21, 22)의 외벽에 형성된 밴드장착용홈(5, 9)에 두 개의 결속밴드(3)를 감음장착하여 각 곤포재(21, 22)를 결속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곤포체(1)를 얻는다.
이 후, 곤포체(1)의 전체가 폴리비닐제의 자루체로 피복되지만, 이 피복이 행해지기 전 또는 그 후에 있어서, 곤포체(1)를 유리기판(G)의 수납작업위치로부터 예를 들면 팰릿상 등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하측 곤포재(21)에 형성된 오목부(23)에 손을 삽입하여 들어 올린 상태로 곤포체(1)의 위치이동이 행해진다. 그리고, 전체가 폴리비닐제의 자루체로 피복된 곤포체(1)는 유리메이커로부터 디스플레이메이커 등에 수송되지만, 실제로 이 곤포체(1)를 팰릿상에 탑재한 상태로 트럭으로 100㎞의 도정을 5왕복한 뒤, 각 유리기판(G)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한 바, 깨짐이나 균열 등의 외관불량은 확인되지 않았다.
더욱이, 디스플레이메이커 등으로 이 곤포체(1)로부터 유리기판(G)을 한 장씩 로봇핸드 등에 의해 취득할 때는 상기 자루체 및 결속밴드(3)를 떼고, 또한 한 쌍의 상측 곤포재(22)를 떼게 되지만, 이들을 뗀 후에도, 각 유리기판(G)은 한 쌍의 하측 곤포재(21)에 의해서 높이치수의 1/2∼3/4이상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로봇핸드 등은 각 유리기판(G)을 상방을 향해 적절히 또한 안전하게 취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각 유리기판(G)의 취득 작업이 모두 완료된 뒤는 비어 있는 상태의 각 곤포재(21, 22)가 이하와 같이 하여 보관 또는 반환된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한 쌍의 상측 곤포재(22)에 있어서의 측벽(10)의 경사변부(10a)를 서로 접합시켜 직방체형상의 작은 박스체를 제작하고, 이 작은 박스체를 한 쪽의 하측 곤포재(21)의 내벽측에 양자의 방향이 서로 90도 상이하도록, 즉 상측 곤포재(22)의 유지홈(8)과 하측 곤포재(21)의 유지홈(4)이 직각이 되도록 탑재한다. 다음에, 이 한 쪽의 하측 곤포재(21)의 상방으로부터 다른 쪽의 하측 곤포재(21)를 서로의 측벽부(6)의 경사변부(6a)가 접합하도록, 또한 서로의 단차(6b)가 결합하도록 덮어 씌워 직방체형상의 큰 박스체를 제작한다. 이 결과, 대략 밀폐상태의 큰 박스체의 내부공간에 상기 작은 박스체가 수용된 상태가 되어, 매우 콤팩트화된 상태로 보관 또는 반환이 이루어진다.
도 5는 상술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곤포체(1') 및 이에 사용하는곤포재(21', 2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변형예가 상술의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복수매의 유리기판(G)의 네모서리부에 배치되는 합계 4개의 곤포재(21', 22')가 각각 서로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과, 이들 곤포재(21', 22')에 측벽부(6, 10)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곤포재(21', 22')가 대략 L자형 형상의 기체부(2a', 2b')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하측 곤포재(21')에 작업자가 손을 삽입하는 등으로 곤포체(1')를 들어 올리기 위한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필요하면, 이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상측 곤포재(22')에 오목부(23')를 형성해도 되며, 또한, 오목부(23')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볼록부를 형성해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곤포체(1") 및 이에 사용하는 곤포재(21", 2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제 2 실시예가 상술의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하측 곤포재(21")에 오목부(23)를 형성하는 것을 폐지하고, 각 곤포재(21", 22")의 외벽에 걸쳐 유리기판(G)의 외주가장자리에 따르는 방향에 반송용 벨트(24)를 감고, 또한 상기 반송용 벨트(24)에 작업자가 잡기 위한 등의 걸기부재(25)를 고착한 점이다. 이 걸기부재(25)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곤포체(1")의 일측면부에 2개, 타측면부에 2개(도시생략)의 합계 4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용 벨트(24)의 단부(24a)는 예컨대 면형상 파스너 등의 계지수단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이러한 구성은 각 곤포재(21", 22")가 측벽부를 갖고 있는 곤포체(1")에 한하지 않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곤포체, 즉 각 곤포재가 측벽부를 갖고 있지 않는 곤포체에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곤포체의 반송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동도의 (a)는 그 반송방법에 사용하는 반송용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동도의 (b)는 그 반송방법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반송용 시트(30)는 수지제의 닛켄 시트팰릿(닛켄 시트팰릿 시스템 주식회사·일본석유화학 주식회사제)으로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곤포체(1"')와의 상대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측 곤포재(21"')와의 접촉면의 마찰저항이 크면서 또한 탑재면과의 상대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쉽도록 상기 탑재면과의 접촉면의 마찰저항이 작은 것, 반복사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것, 물이나 약품에 강한 것, 위생적인 것, 경량인 것과, 경제적인 것 등의 이점을 갖고 있다. 이 시트(30)를 사용하고, 곤포체(1"')를 예를 들면 팰릿(31) 상으로부터 다른 작업면(32) 상에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우선 팰릿(31) 상에 반송용시트(30)를 깔고, 그 위에 곤포체(1"')를 싣지만, 이 시점에 있어서는, 반송용시트(30)의 적어도 이동방향측의 단부(30a)를 곤포체(1"')의 해당 단부보다도 바깥쪽에 소정치수만큼 연장시켜 놓는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작업자(S)가 반송용시트(30)의 단부(30a)를 손으로 쥐고 화살표(Z) 방향으로 뺌으로써, 곤포체(1"')는 용이하게 이동하여 팰릿(31) 상으로부터 다른 작업면(32) 상에 이동탑재된다. 또한, 반송용시트(30)는 닛켄 시트팰릿 이외의 것이라도, 상기 열거한 요구특성을 채우는 것이면, 다른 시트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곤포체의 반송방법은 각 곤포재(21", 22")가 측벽부를 갖고 있는 곤포체(1"')에 한하지 않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측벽부를 갖지 않는 각 곤포재를 사용하여이루어지는 곤포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복수매의 유리기판을 대상으로 한 곤포재 및 이것을 이용한 곤포체 및 그 반송방법에 본 발명을 적용했지만, 유리기판 이외의 취성재료로 이루어지는 다른 판상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곤포재에 의하면, 내벽에 각 판상체의 모서리부를 삽입하는 복수개의 유지홈이 형성된 단면 대략 L자형 형상의 기체부의 양측에 측벽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장기에 걸치는 반복사용을 행해도, 측벽부의 존재에 의해서 대략 L자형 형상의 굴곡부의 각도에 부당한 변화가 생기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대형의 판상체를 곤포하는 경우라도, 판상체가 곤포재의 유지홈으로부터 어긋남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고, 판상체끼리 접촉함에 따른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벽부의 형상을 기체부의 높이방향 선단부와 깊이방향 선단부를 잇는 경사변부를 갖는 대략 직각삼각형상으로 하면, 직사각형상이나 그 밖의 다각형상으로 한 경우에 비해, 재료낭비 없이, 가장 유효하게 기체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비용이 부당한 앙등을 초래하는 일없이, 장기의 반복사용에 대한 굴곡부의 각도의 적정한 유지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곤포체에 의하면, 하측 곤포재 및/또는 상측 곤포재의 기체부의 양측에 측벽부를 형성한 것으로부터, 그 기체부에서의 굴곡부의 각도가 측벽부의 존재에 의해 장기에 걸쳐 적절하게 유지되고, 상술의 경우와 같은 이점을누릴 수 있는 것에 덧붙여, 그 측벽부에 의해서 가장 외부에 위치하는 판상체의 노출부분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기계적 충격에 기인하여 판상체 깨지는 등의 위험성이 저감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측벽부의 형상을 기체부의 높이방향 선단부와 깊이방향 선단부를 잇는 경사변부를 갖는 대략 직각삼각형상으로 하면, 재료낭비 없이, 가장 유효하게 기체부의 강성이 높아진 곤포재에 의해서, 판상체가 양호하게 수납유지되는 동시에, 가장 외부에 위치하는 판상체의 노출부분도 적절히 감소하여, 판상체의 깨짐 등의 발생율이 효율적으로 저하한다.
또한, 하측 곤포재의 높이치수를 상측 곤포재의 높이치수보다도 길게 하고, 또한 하측 곤포재의 기체부의 양측에 측벽부를 형성함으로써, 나아가서는, 측벽부가 형성된 하측 곤포재의 세로방향치수를 판상체의 세로방향치수의 1/2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결속밴드를 떼었을 때나, 상측 곤포재를 떼었을 때에도, 하측 곤포재에 의해서 판상체의 하측 모서리부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판상체를 자동적으로 취득하는 취득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또한 안전하게 취득할 수 있다.
게다가, 한 쌍의 하측 곤포재에 있어서의 측벽부의 경사변부를 서로 합치시킴으로써 대략 직방체형상의 박스체가 제작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박스체의 내부공간에 한 쌍의 상측 곤포재가 수용가능해지도록 구성하면, 비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한 쌍의 하측 곤포재의 부피를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부공간에 한 쌍의 상측 곤포재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비어 있는 상태에서의반송의 용역화 및 반송공간의 협소화가 도모되어, 뛰어난 취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하측 곤포재의 기체부 및 상측 곤포재의 기체부의 쌍방에 측벽부를 형성하고 또한 그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측벽부의 경사변부에 단차를 형성하면, 한 쌍의 하측 곤포재의 각 경사변부끼리 및/또는 한 쌍의 상측 곤포재의 각 경사변부끼리를 합치시킨 경우에 각 단차의 결합에 의해 각 곤포재가 경사변부에 따라 미끄러지지 않게 되고, 비어 있는 상태에서의 반송의 용이화 및 취급 성의 향상이 더욱 도모된다.
한 편, 하측 곤포재의 외벽 및/또는 상측 곤포재의 외벽에 운반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하면, 대판의 판상체임으로써 중량이 커져 있더라도, 작업자 등은 하측 곤포재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 또는 상측 곤포재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잡고 들어 올림으로써, 용이하게 곤포체를 위치이동할 수 있게 되며, 곤포체의 운반에 관한 작업능률이 대폭 개선된다.
또한, 하측 곤포재의 외벽 및 상측 곤포재의 외벽에 걸쳐 반송용벨트를 감고, 또한 상기 반송용 벨트에 운반용의 걸기부재를 고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라도, 작업자 등은 반송용 벨트에 고착되어 있는 걸기부재를 잡고 들어 올림으로써, 용이히게 곤포체를 위치이동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하여 작업능율이 대폭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곤포체의 반송방법에 의하면, 탑재면과 하측 곤포재 사이에 반송용시트를 개재시키고, 상기 반송용 시트를 탑재면 상에서 미끄러지게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측 곤포재 및 탑재면에 찰상 등이 생기는 일없이, 용이하게 곤포체를 반송할 수 있고, 하측 곤포재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작업능률의 개선이 도모된다.

Claims (11)

  1. 복수매의 판상체를 대략 직립으로 병렬배치시켜 수납유지하기 위한 곤포재로서, 단면이 대략 L자형 형상을 나타내고 또한 내벽에 각 판상체의 모서리부를 삽입하는 복수개의 유지홈이 형성된 기체부와, 상기 기체부의 양측에 형성된 측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기체부의 높이방향 선단부와 깊이방향 선단부를 잇는 경사변부를 갖는 대략 직각삼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재.
  3. 대략 직립으로 병렬배치된 복수매의 판상체의 네모서리부가 4개의 곤포재를 각각 구성하는 단면이 대략 L자형 형상의 각 기체부의 내벽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지홈에 삽입되고, 각 판상체가 4개의 곤포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수납유지되어 이루어지는 곤포체에 있어서,
    각 판상체의 하측 모서리부를 유지하는 하측 곤포재의 기체부의 양측 및/또는 상측 모서리부를 유지하는 상측 곤포재의 기체부의 양측에 측벽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기체부의 높이방향 선단부와 깊이방향 선단부를 잇는 경사변부를 갖는 대략 직각삼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체.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곤포재의 높이치수가 상기 상측 곤포재의 높이치수보다도 길고, 또한 상기 하측 곤포재의 기체부의 양측에 상기 측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체.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곤포재의 높이치수가 판상체의 높이치수의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체.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하측 곤포재에 있어서의 측벽부의 경사변부를 서로 합치시킴으로써, 대략 직방체형상의 박스체가 제작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박스체의 내부공간에 한 쌍의 상기 상측 곤포재가 수용가능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곤포재의 기체부 및 상측 곤포재의 기체부의 쌍방에 상기 측벽부가 형성되고, 또한 그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측벽부의 경사변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체.
  9.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곤포재의 외벽 및/또는 상기 상측 곤포재의 외벽에 운반용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체.
  10.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곤포재의 외벽 및 상기 상측 곤포재의 외벽에 걸쳐 반송용 벨트가 감겨지고, 또한 상기 반송용 벨트에 운반용의 걸기부재가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체.
  11. 제 3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곤포체를 반송하는 반송방법으로서, 상기 하측 곤포재와 탑재면 사이에 반송용 시트를 개재시키고, 상기 반송용 시트를 탑재면 상에서 미끄러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포체의 반송방법.
KR1020020033218A 2001-07-11 2002-06-14 곤포재 및 이 곤포재를 이용한 곤포체 및 이 곤포체의반송방법 KR200300069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10992 2001-07-11
JP2001210992 2001-07-11
JPJP-P-2001-00373127 2001-12-06
JP2001373127A JP3948012B2 (ja) 2001-07-11 2001-12-06 梱包体及びこの梱包体の搬送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995A true KR20030006995A (ko) 2003-01-23

Family

ID=26618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218A KR20030006995A (ko) 2001-07-11 2002-06-14 곤포재 및 이 곤포재를 이용한 곤포체 및 이 곤포체의반송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948012B2 (ko)
KR (1) KR20030006995A (ko)
TW (1) TW57935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568B1 (ko) * 2006-05-01 2008-04-30 김봉희 바닥면의 보호가 가능한 글래스 기판 운반 상자
KR101046177B1 (ko) * 2009-06-25 2011-07-05 이상경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가변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4280B2 (ja) * 2008-07-29 2013-11-2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体
JP5868211B2 (ja) * 2012-02-22 2016-02-24 シャープ株式会社 積載梱包具及び梱包方法
JP6024124B2 (ja) * 2012-02-29 2016-11-0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矩形薄板パネルの搬送ユニ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568B1 (ko) * 2006-05-01 2008-04-30 김봉희 바닥면의 보호가 가능한 글래스 기판 운반 상자
KR101046177B1 (ko) * 2009-06-25 2011-07-05 이상경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가변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95340A (ja) 2003-04-03
TW579357B (en) 2004-03-11
JP3948012B2 (ja)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4895B2 (ja) 薄板搬送用コンテナ
JP2010120690A (ja) 板状物品搬送用トレイ
JP4391479B2 (ja) 基板搬送用トレイ
JP4251290B2 (ja) ガラス板梱包箱、梱包方法及び開梱方法
JP6129467B2 (ja) 基板保持用枠体と基板の梱包体
JP5186340B2 (ja) 板材搬送用トレイの緩衝部材、およびその緩衝部材が取付けられた板材搬送用トレイ
KR20030006995A (ko) 곤포재 및 이 곤포재를 이용한 곤포체 및 이 곤포체의반송방법
JP5849471B2 (ja) 基板保持用枠体及びそれを用いた基板搬送方法
JP2007326584A (ja) 梱包用具、梱包容器、梱包体、ガラス基板の梱包方法および梱包体の開梱方法
KR102327990B1 (ko) 곤포용 부재, 곤포체, 및 곤포체의 제조 방법
JP3904108B2 (ja) 梱包材
JP2017065729A (ja) 梱包構造
KR20040034181A (ko) 글래스 기판 운반용 상자
KR20070044362A (ko) 유리 기판용 반송 상자
JP5375442B2 (ja) 基板搬送用パレット
JP2649903B2 (ja) 液晶ガラス板運搬用容器
CN207293106U (zh) 玻璃板包装体
JP4811064B2 (ja) コンテナ
JP4973083B2 (ja) 板状物用トレイ
JP6357898B2 (ja) 板状物の梱包方法
WO2012147533A1 (ja) 梱包構造体および梱包方法
JP4281499B2 (ja) 薄板搬送用コンテナ
JP4569553B2 (ja) 梱包体
JP2006111328A (ja) 薄板搬送用コンテナ
JP2007250793A (ja) 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