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355A - 광섬유 커터 - Google Patents

광섬유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355A
KR20180116355A KR1020187027333A KR20187027333A KR20180116355A KR 20180116355 A KR20180116355 A KR 20180116355A KR 1020187027333 A KR1020187027333 A KR 1020187027333A KR 20187027333 A KR20187027333 A KR 20187027333A KR 20180116355 A KR20180116355 A KR 20180116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rotation
blade member
optical fib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나카무라
다케시 노아케
나오히사 시라후지
Original Assignee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섬유를 절단하는 광섬유 커터로서, 커터 기체와, 커터 기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광섬유에 흠을 내는 칼날 부재와, 칼날 부재에 마련되며, 칼날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칼날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회전 제어 기구는, 커터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커터 기체에 마련된 축 중심으로 요동하는 요동부를 갖고, 요동부는, 슬라이더가 소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회전체와 접촉하여 칼날 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제 1 위치와, 슬라이더의 소정 위치에서 회전체와 접촉하지 않는 제 2 위치로 요동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커터
본 발명은 광섬유 커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섬유 커터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광섬유 커터는, 커터 본체와, 커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광섬유에 흠을 내는 칼날 부재와, 칼날 부재를 회전시키는 칼날 회전 수단과, 칼날 부재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 1 모드와, 슬라이더가 상기 커터 본체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마다 칼날 회전 수단에 의해 칼날 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제 2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회전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회전 동작 모드 설정 수단을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194465 호 공보
광섬유 커터는, 작업자가 한 손으로 보지하고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설계되어 있다. 그 때문에, 광섬유 커터는 소형화가 도모되어 있으며, 회전 동작 모드 설정 수단 등의 칼날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기구를 배치할 공간에도 제한이 있다. 따라서, 광섬유 커터에서는 구성의 간이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성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광섬유 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 일 측면으로서, 광섬유를 절단하는 광섬유 커터로서, 커터 기체와, 커터 기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광섬유에 흠을 내는 칼날 부재와, 칼날 부재에 마련되며, 칼날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칼날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회전 제어 기구는, 커터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커터 기체에 마련된 축 중심으로 요동하는 요동부를 갖고, 요동부는, 슬라이더가 소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회전체와 접촉하여 칼날 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제 1 위치와, 슬라이더의 소정 위치에서 회전체와 접촉하지 않는 제 2 위치로 요동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구성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광섬유 커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광섬유 커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회전 제어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회전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아암이 제 1 위치일 때의 회전 제어 기구를 일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아암이 제 1 위치일 때의 회전 제어 기구를 타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아암이 제 1 위치일 때에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에 있는 도면이다.
도 7b는 아암이 제 1 위치일 때에 슬라이더가 커트 개시 위치에 있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b에 도시하는 회전 제어 기구와 회전체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아암이 제 2 위치일 때의 회전 제어 기구를 일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아암이 제 2 위치일 때의 회전 제어 기구를 타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아암이 제 2 위치일 때에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에 있는 도면이다.
도 10b는 아암이 제 2 위치일 때에 슬라이더가 커트 개시 위치에 있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b에 도시하는 회전 제어 기구와 회전체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a는 도 1에 도시하는 광섬유 커터에 의해 광섬유에 흠을 내는 형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2b는 도 1에 도시하는 광섬유 커터에 의해 광섬유에 흠을 내는 형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2c는 도 1에 도시하는 광섬유 커터에 의해 광섬유에 흠을 내는 형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2d는 도 1에 도시하는 광섬유 커터에 의해 광섬유에 흠을 내는 형태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3a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의 회전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의 회전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의 회전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b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의 회전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의 회전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b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의 회전 제어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그 일 측면으로서, 광섬유를 절단하는 광섬유 커터로서, 커터 기체와, 커터 기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광섬유에 흠을 내는 칼날 부재와, 칼날 부재에 마련되며, 칼날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칼날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회전 제어 기구는, 커터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커터 기체에 마련된 축 중심으로 요동하는 요동부를 갖고, 요동부는, 슬라이더가 소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회전체와 접촉하여 칼날 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제 1 위치와, 슬라이더의 소정 위치에서 회전체와 접촉하지 않는 제 2 위치로 요동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섬유 커터에서는, 회전 제어 기구는 본체부 및 요동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요동부는 본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요동한다. 회전 제어 기구에서는,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요동부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 위치시킨다. 요동부는, 제 1 위치에서는 회전체와 접촉하여 칼날 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고, 제 2 위치에서 회전체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회전 제어 기구는 간이한 구성에 의해 칼날 부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광섬유 커터는 구성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체는 기어이며, 요동부는, 제 1 위치에서 회전체의 치(齒)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칼날 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요동부와 회전체가 확실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요동부에 의해 칼날 부재를 보다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제어 기구는 본체부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본체부의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요동부가 갑자기 요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는 원기둥 형상을 나타내는 부재이며, 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요동부는, 본체부가 제 1 회전 정지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었을 때에 제 1 위치가 되고, 본체부가 제 2 회전 정지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었을 때에 제 2 위치가 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본체부를 제 1 회전 정지 위치 또는 제 2 회전 정지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요동부를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요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의 요동부의 전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는, 제 2 회전 정지 위치에서 요동부를 눌러도 좋다. 이에 의해, 요동부와 회전체가 접촉하지 않는 제 2 위치로 요동부를 요동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당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 커터(1)는 광섬유(2)의 선단 부분의 피복을 제거하여 노출된 유리 섬유(2A)를 절단하는 장치이다.
광섬유 커터(1)는, 커터 기체(3)와, 커터 덮개체(5)와, 슬라이더(7)와, 칼날부(9)와, 회전 제어 기구(11)(도 5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커터 기체(3)는 홀더 가이드부(섬유 가이드)(13)를 갖고 있다. 홀더 가이드부(13)는 커터 기체(3)의 상면(3A)에 마련되어 있다. 홀더 가이드부(13)는 절단해야 할 광섬유(2)를 보지하는 섬유 홀더(15)의 위치를 규정한다. 홀더 가이드부(13)는 대략 직사각형 오목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홀더 가이드부(13)의 일측면 측에는, 클로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다. 클로 부재(17)는, 섬유 홀더(15)가 홀더 가이드부(13)에 세트되어 있지 않은 통상 상태에서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클로 부재(17)는, 섬유 홀더(15)가 홀더 가이드부(13)에 세트되면, 스프링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눌려서 들어간 상태가 된다.
커터 덮개체(5)는 커터 기체(3)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터 덮개체(5)는 커터 기체(3)의 후단부에서 커터 기체(3)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도시하지 않음)를 거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더(7)는 커터 기체(3)에 있어서의 홀더 가이드부(13)의 후방측에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7)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터 기체(3)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슬라이더(7)의 일단부에는 압입부(19)가 마련되어 있다. 커터 기체(3)의 일측면(3B)에는 압입부(19)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방부(3C)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7)의 타단부와 커터 기체(3)의 타측면(3D) 사이에는, 슬라이더(7)를 개방부(3C)측으로 부세하는 스프링(21)(도 12a 내지 도 12d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7)는, 스프링(21)의 부세력에 의해, 통상은 도 1에 도시하는 초기 위치에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칼날부(9)는 칼날 부재(23)와 회전체(25)를 갖고 있다. 칼날 부재(23)는 광섬유(2)의 유리 섬유(2A)에 흠을 내는 원반 형상의 칼날이다. 칼날 부재(23)는 슬라이더(7)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회전체(25)는 칼날 부재(23)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체(25)는 칼날 부재(23)와 일체로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체(25)는 원형의 기어이다. 회전체(25)는 복수의 치(25A)를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25)는, 후술하는 아암(32)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일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터 기체(3)의 전방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 제어 기구(11)는 칼날 부재(23)(칼날부(9))의 회전을 제어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제어 기구(11)는 샤프트(본체부)(30)와, 아암(요동부)(32)와, 스프링(34)과, 회전 규제부(36)를 갖는다. 회전 제어 기구(11)는 고정부(38)에 마련되어 있다. 샤프트(30), 아암(32), 스프링(21) 및 회전 규제부(36)는 고정부(38)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유닛화되어 있다. 고정부(38)는 커터 기체(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부재이며, 커터 기체(3)에 장착되어 있다.
샤프트(30)는 고정부(38)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샤프트(30)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샤프트(30)는 고정부(38)에 마련된 관통 삽입 구멍(38A)에 관통 삽입되어 있다. 샤프트(30)는, 해당 샤프트(3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고정부(38)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샤프트(30)는 헤드부(30A)와 축부(30B)를 갖고 있다. 헤드부(30A)의 직경은 축부(30B)의 직경보다 크다. 헤드부(30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터 기체(3)의 타측면(3D)에 노출되어 있다. 헤드부(30A)에는 홈(30C)이 마련되어 있다. 헤드부(30A)의 표면은 커터 기체(3)의 타측면(3D)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축부(30B)의 선단부(30D)(헤드부(30A)와는 반대측의 단부)는 2면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단부(30D)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평면(30Da, 30Db)이 마련되어 있다. 2개의 평면(30Da, 30Db)은 대략 평행을 이루고 있다. 2개의 평면(30Da, 30Db)은 D커트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평면(30Da, 30Db)은 축부(30B)의 둘레면보다 축부(30B)의 축측(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축부(30B)에는 원형의 오목부(30E, 30F)가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30E, 30F)는 축부(30B)의 둘레 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0E, 30F)는, 후술하는 회전 규제부(36)의 계합부(36A)와 맞물린다. 오목부(30E, 30F)의 각각은, 샤프트(30)의 회전이 정지하는 제 1 회전 정지 위치 및 제 2 회전 정지 위치에서 회전 규제부(36)의 계합부(36A)와 맞물린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0)는, 축부(30B)가 고정부(38)의 관통 삽입 구멍(38A)에 위치하고 있으며,, 축부(30B)의 선단부(30D)가 고정부(38)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30)는 제 1 회전 정지 위치와 제 2 회전 정지 위치 사이에서 회전한다. 제 1 회전 정지 위치는, 도 6a, 도 7b,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30B)의 선단부(30D)에 마련된 평면(30Da, 30Db)이 커터 기체(3)의 전후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는 위치이다. 제 2 회전 정지 위치는, 도 9a, 도 9b,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30B)의 선단부(30D)에 마련된 평면(30Da, 30Db)이 커터 기체의 상하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는 위치이다. 샤프트(30)는, 헤드부(30A)의 홈(30C)에 예컨대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다.
아암(32)은 샤프트(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요동한다. 아암(32)은 고정부(38)(커터 기체(3))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아암(32)은 각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아암(32)은 고정부(38)에 고정된 축(38B)에 축지지되어 있다. 아암(32)은 길이 방향의 일단이 축(38B)에 의해 축지지되며, 축(38B)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아암(32)은 고정부(38)의 규제편(38C)에 의해 요동각이 규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암(32)은, 길이 방향의 타단(선단)에 마련된 돌기부(32A)가 규제편(38C)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커터 기체(3)의 후방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요동이 규제된다.
아암(32)에는 접촉부(33)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33)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접촉부(33)는 아암(32)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부(33)는, 그 길이 방향이 아암(32)의 길이 방향에 대략 직교하도록 아암(32)에 장착되어 있다. 접촉부(33)는 샤프트(30)의 선단부(30D)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아암(32)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체(25)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칼날 부재(23)를 일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커터 기체(3)의 전방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상세하게는, 아암(32)은 회전체(25)의 치(25A)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칼날 부재(23)를 회전시킨다.
아암(32)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요동한다. 제 1 위치는 도 4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이다. 제 2 위치는 도 4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이다. 아암(32)은, 접촉부(33)가 샤프트(30)와 접촉하여 접촉부(33)가 눌림으로써 제 2 위치로 요동한다. 아암(32)은 제 1 위치에서 회전체(25)의 치(25A)와 접촉한다. 아암(32)은 제 2 위치에서 회전체(25)와 접촉하지 않는다.
스프링(34)은 아암(32)을 부세하는 부세 부재이다. 스프링(34)은, 예컨대, 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34)은 아암(32)의 하부와 고정부(3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34)은, 커터 기체(3)의 후방에서 보아, 아암(32)이 축(38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아암(32)을 부세하고 있다. 스프링(34)은, 아암(32)의 접촉부(33)가 샤프트(30)에 의해 눌림으로써 줄어든다.
회전 규제부(36)는 샤프트(30)의 회전 범위를 규제한다. 회전 규제부(36)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회전 규제부(36)는 고정부(38)에 마련된 나사 결합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나사 결합 구멍은 관통 삽입 구멍(38A)과 연통되어 있으며, 관통 삽입 구멍(38A)에 관통 삽입된 샤프트(30)의 오목부(30E, 30F)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회전 규제부(36)의 선단에는 구 형상의 계합부(36A)가 마련되어 있다. 계합부(36A)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회전 규제부(36)의 선단측을 향해 부세되어 있다. 즉, 계합부(36A)는 가압되는 것에 의해 회전 규제부(36)의 내측으로 들어간다. 계합부(36A)는 샤프트(30)의 축부(30B)에 마련된 오목부(30E, 30F)와 맞물린다. 회전 규제부(36)는 계합부(36A)와 오목부(30E, 30F)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샤프트(30)의 회전 범위를 규제한다. 계합부(36A)는, 샤프트(30)가 회전될 때에 샤프트(30)의 축부(30B)에 가압되어 내측으로 들어가서, 샤프트(30)의 회전을 허가한다. 계합부(36A)와 오목부(30E)가 맞물릴 때, 샤프트(30)는 제 1 회전 정지 위치가 된다. 계합부(36A)와 오목부(30F)가 맞물릴 때, 샤프트(30)는 제 2 회전 정지 위치가 된다.
이어서, 회전 제어 기구(1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제어 기구(11)에서는, 샤프트(30)가 제 1 회전 정지 위치인 경우, 아암(32)이 제 1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슬라이더(7)가 도 7a에 도시하는 초기 위치로부터 도 7b에 도시하는 커트 개시 위치(소정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32)과 회전체(25)의 치(25A)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칼날 부재(23)가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제어 기구(11)에서는, 샤프트(30)가 제 2 회전 정지 위치인 경우, 아암(32)이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슬라이더(7)가 도 10a에 도시하는 초기 위치로부터 도 10b에 도시하는 커트 개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32)과 회전체(25)는 접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칼날 부재(23)는 회전하지 않는다.
이어서, 광섬유 커터(1)를 이용한 광섬유(2)의 절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 커터(1)를 이용하여, 광섬유(2)의 절단 작업을 실행할 때는, 우선 커터 기체(3)에 대해 커터 덮개체(5)가 개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7)의 압입부(19)를 압입한다. 그러면,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7)가 스프링(2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개방부(3C)의 반대측(타측면(3D)측)으로 이동하여 커트 개시 위치에 도달한다. 이때, 커터 기체(3)에 마련된 걸림 고정 구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슬라이더(7)는 커트 개시 위치에 보지된 상태가 된다.
또한, 회전 제어 기구(11)에 있어서 샤프트(30)가 제 1 회전 정지 위치인 경우, 즉 아암(32)이 제 1 위치인 경우, 아암(32)이 회전체(25)와 접촉함으로써, 회전체(25)가 소정량만큼 회전하고, 이에 따라서 칼날 부재(23)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7)가 커트 개시 위치에 도달할 때마다, 칼날 부재(23)에 있어서의 광섬유(2)와 접촉하는 부분이 소정량만큼 어긋나게 된다. 또한, 회전 제어 기구(11)에 있어서 샤프트(30)가 제 2 회전 정지 위치인 경우, 즉 아암(32)이 제 2 위치인 경우, 아암(32)이 회전체(25)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칼날 부재(23)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 상태에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2)를 보지한 섬유 홀더(15)를 커터 기체(3)의 홀더 가이드부(13)에 세트한다. 이에 의해, 도 1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섬유(2)가 슬라이더(7)에 대해 위치 결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터 기체(3)에 대해 커터 덮개체(5)를 폐쇄한다. 그러면, 커터 기체(3)에 마련된 걸림 고정 해제부(4)에 의해, 커터 기체(3)에 대한 슬라이더(7)의 걸림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도 12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7)가 스프링(21)의 부세력에 의해 개방부(3C)측으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커트 완료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때, 칼날 부재(23)가 개방부(3C)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칼날 부재(23)가 광섬유(2)의 유리 섬유(2A)에 접촉하고, 칼날 부재(23)에 의해 유리 섬유(2A)에 흠이 나게 되어, 유리 섬유(2A)가 커트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1)는, 회전 제어 기구(11)는 샤프트(30) 및 아암(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아암(32)은 샤프트(30)의 회전에 연동하여 요동한다. 회전 제어 기구(11)에서는, 샤프트(3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아암(32)을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 위치시킨다. 아암(32)은, 제 1 위치에서는 회전체(25)와 접촉하여 칼날 부재(23)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고, 제 2 위치에서 회전체(25)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회전 제어 기구(11)는 간이한 구성에 의해 칼날 부재(23)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광섬유 커터(1)는 구성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1)에서는, 회전체(25)는 기어이다. 아암(32)은 제 1 위치에서 회전체(25)의 치(25A)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칼날 부재(23)를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이 구성에서는, 아암(32)과 회전체(25)가 확실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아암(32)에 의해 칼날 부재(23)를 보다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1)에서는, 회전 제어 기구(11)는 샤프트(30)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헤드부(30A)의 표면은 커터 기체(3)의 타측면(3D)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샤프트(30)의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아암(32)이 갑자기 요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1)에서는, 샤프트(30)는 원기둥 형상을 나타내는 부재이며, 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아암(32)은, 샤프트(30)가 제 1 회전 정지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었을 때에 제 1 위치가 되고, 샤프트(30)가 제 2 회전 정지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었을 때에 제 2 위치가 된다. 이 구성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샤프트(30)를 제 1 회전 정지 위치 또는 제 2 회전 정지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아암(32)을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요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의 아암(32)의 전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커터(1)에서는, 샤프트(30)는 제 2 회전 정지 위치에서 아암(32)을 누른다. 이에 의해, 아암(32)과 회전체(25)가 접촉하지 않는 제 2 위치로 아암(32)을 요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30)의 회전에 의해 선단부(30D)가 아암(32)의 선단에 마련된 접촉부(33)를 누르는 것에 의해, 아암(32)을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요동시키는 형태를 일 예로 설명했다. 그러나, 아암(32)을 요동시키는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아암(32)은,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0)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에 의해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부세되어 제 1 위치가 되고,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0)에 의해 밀어올려지는 것에 의해 제 2 위치가 되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아암(32)은,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0)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에 의해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부세되어 제 1 위치가 되고,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0)에 의해 아암(32)의 축(38B)측의 단부가 눌리는 것에 의해 제 2 위치가 되는 형태라도 좋다.
또한, 아암(32)은,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0)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에 의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부세되어 제 1 위치가 되고,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0)에 의해 아암(32)의 축(38B)측의 단부가 밀어올려지는 것에 의해 제 2 위치가 되는 형태라도 좋다. 요는, 아암(32)이 샤프트(30)의 회전에 따라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요동하는 형태이면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칼날 부재(23)에 마련된 회전체(25)가 기어인 형태를 일 예로 설명했지만, 회전체(25)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전체는, 예컨대, 원반 형상의 부재라도 좋다. 이 경우, 아암(32)과 접촉하는 부분의 마찰 저항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아암(32)과 회전체가 접촉했을 때에, 회전체를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30)에 있어서의 축부(30B)의 선단부(30D)에 평면(30Da, 30Db)을 갖고, 선단부(30D)에 의해 아암(32)의 접촉부(33)를 누르는 형태를 일 예로 설명했다. 그러나, 샤프트(본체부)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부는 커터 기체(3)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회전에 의해 요동부를 요동시키는 형태이면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칼날 부재(23)에 회전체(25)가 장착되어 있는 형태를 일 예로 설명했다. 그러나, 칼날 부재(23)와 회전체(25)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1: 광섬유 커터, 2: 광섬유, 3: 커터 기체, 7: 슬라이더, 11: 회전 제어 기구, 9: 칼날부, 23: 칼날 부재, 25: 회전체, 25A: 치, 30: 샤프트(본체부), 32: 아암(요동부), 38B: 축

Claims (5)

  1. 광섬유를 절단하는 광섬유 커터에 있어서,
    커터 기체와,
    상기 커터 기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광섬유에 흠을 내는 칼날 부재와,
    상기 칼날 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칼날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상기 칼날 부재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 제어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제어 기구는,
    상기 커터 기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커터 기체에 마련된 축 중심으로 요동하는 요동부를 갖고,
    상기 요동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소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회전체와 접촉하여 상기 칼날 부재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제 1 위치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소정 위치에서 상기 회전체와 접촉하지 않는 제 2 위치로 요동하는
    광섬유 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기어이며,
    상기 요동부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회전체의 치(齒)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칼날 부재를 상기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광섬유 커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 기구는 상기 본체부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광섬유 커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원기둥 형상을 나타내는 부재이고, 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요동부는, 상기 본체부가 제 1 회전 정지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위치가 되고, 상기 본체부가 제 2 회전 정지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위치가 되는
    광섬유 커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2 회전 정지 위치에서 상기 요동부를 누르는
    광섬유 커터.
KR1020187027333A 2016-02-29 2016-11-17 광섬유 커터 KR201801163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7335 2016-02-29
JP2016037335A JP6611008B2 (ja) 2016-02-29 2016-02-29 光ファイバカッタ
PCT/JP2016/084130 WO2017149857A1 (ja) 2016-02-29 2016-11-17 光ファイバカッ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355A true KR20180116355A (ko) 2018-10-24

Family

ID=5974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333A KR20180116355A (ko) 2016-02-29 2016-11-17 광섬유 커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20675B2 (ko)
EP (1) EP3425435B1 (ko)
JP (1) JP6611008B2 (ko)
KR (1) KR20180116355A (ko)
CN (1) CN108700711B (ko)
CA (1) CA3014522C (ko)
WO (1) WO2017149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4435B2 (en) * 2017-10-11 2021-05-04 D-Cut Products, Inc. Score cutting tool
KR20240024109A (ko) 2021-06-30 2024-02-23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광 파이버 절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6704A (ja) * 1991-03-05 1992-10-01 Babcock Hitachi Kk 光フアイバの切断装置
IT1283800B1 (it) * 1995-09-01 1998-04-30 Burr Oak Tool & Gauge Dispositivo di taglio stazionario e spostabile in modo graduato
US5761976A (en) * 1997-04-15 1998-06-09 Automatic Handling, Inc. Knife Assembly
EP1521988B1 (en) * 2002-07-16 2013-03-13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Device for cleaving an optical fibre
KR100471083B1 (ko) * 2002-12-2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섬유 절단장치
JP2006251034A (ja) * 2005-03-08 2006-09-21 Fujikura Ltd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5065800B2 (ja) 2007-01-23 2012-11-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CA2618617C (en) * 2007-01-23 2016-03-2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cutting device
JP4956474B2 (ja) * 2008-03-28 2012-06-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5200064B2 (ja) * 2010-06-28 2013-05-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カッタ
JP5217011B2 (ja) 2011-03-17 2013-06-19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カッタ
JP5820183B2 (ja) * 2011-08-12 2015-11-24 Sei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カッタ及び光ファイバカッタユニット
JP6108820B2 (ja) * 2012-12-25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065778B2 (en) * 2017-03-24 2021-07-20 Fujikura Ltd. Optical fiber cu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5435A4 (en) 2019-10-16
EP3425435B1 (en) 2021-04-07
CA3014522C (en) 2023-09-19
JP6611008B2 (ja) 2019-11-27
US20190049667A1 (en) 2019-02-14
CA3014522A1 (en) 2017-09-08
CN108700711B (zh) 2020-09-15
JP2017156419A (ja) 2017-09-07
WO2017149857A1 (ja) 2017-09-08
CN108700711A (zh) 2018-10-23
EP3425435A1 (en) 2019-01-09
US10520675B2 (en)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36269A (ja) 携帯用切断機
US7549229B2 (en) Portable circular saw
JP5064760B2 (ja) 動力打ち込み機のための固定手段供給装置
JP4994740B2 (ja) 切断機における切断刃の開閉カバー
JP4186965B2 (ja) 鼻毛カッター
JP2012008472A (ja) 光ファイバカッタ
JP2007223133A (ja) 携帯用切断機
JP2007223133A5 (ko)
KR20180116355A (ko) 광섬유 커터
KR20160024750A (ko) 체인 텐셔너
JP5774383B2 (ja) 切断機用カバー装置及び切断機用カバー装置を装着した切断機
JP5204860B2 (ja) 刃折り収容ケース
JP2020073982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2007029382A (ja) 鼻毛カッター
JP2008105293A (ja) 電気鉛筆削り機
JP2005158492A (ja) パワーウインドスイッチ装置
US20140331840A1 (en) Cutting machine
JP2019218919A (ja) スロットル操作装置
JP7361432B1 (ja) 円形刃用のホルダ
JP6513935B2 (ja) 電動工具
JP4446285B2 (ja) 携帯用切断機
JP5741120B2 (ja) 携帯用切断機
JP3198017U (ja) 回転可能な当接構造を有するラチェット
EP3869277A1 (fr) Ecrin pour montre
JP2002079414A (ja) 携帯用電動切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