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544A -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및 열전사 시트 - Google Patents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및 열전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544A
KR20180101544A KR1020187023455A KR20187023455A KR20180101544A KR 20180101544 A KR20180101544 A KR 20180101544A KR 1020187023455 A KR1020187023455 A KR 1020187023455A KR 20187023455 A KR20187023455 A KR 20187023455A KR 20180101544 A KR20180101544 A KR 20180101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bsorbing material
thermal transfer
light absorbing
transf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997B1 (ko
Inventor
마사유키 다니
야스시 요네야마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5Storage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game information, e.g. video game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1/00Ink ribbons; Renovating or testing ink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5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transferable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이나 열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 또한,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전사 시트(10)와 피전사체(100)의 조합이며, 열전사 시트(10)는,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이 면순차로 마련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피전사체(100)와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적층체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및 열전사 시트
본 발명은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그리고 열전사 시트에 관한 것이다.
게임 센터나 상업 시설 등에 있어서 설치·이용되고 있는 게임기의 하나로서, 카드에 인쇄된 코드 정보를 읽어내고, 읽어낸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아케이드 게임기가 알려져 있다. 이들 아케이드 게임기에서 이용되는 카드에는, 아케이드 게임기에 재현되는 캐릭터의 화상, 명칭 및 스테이터스, 그리고 이차원 코드 등의 코드 정보가 인쇄되어 있고, 이 코드 정보는 그 캐릭터를 정의하기 위한 정보를 갖고 있다.
최근, 그 내부에 프린터를 구비하고,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라서 캐릭터의 스테이터스가 변화되며, 게임 종료 후에, 게임의 진행 시에 변화된 스테이터스가 반영된 캐릭터의 카드를 온디맨드로 발행할 수 있는 아케이드 게임기가 알려져 있다. 이 아케이드 게임기에 의하면, 게임의 플레이어는, 새롭게 발행된 카드를 다음번 이후의 게임에 이용하여, 캐릭터를 강화하거나 혹은 육성하거나 할 수 있어, 플레이어의 카드에 대한 흥취를 높일 수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게임을 실행하고, 실행된 게임의 결과를 보존하는 휴대 단말로부터 게임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복수의 캐릭터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수신한 게임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캐릭터 화상을 선택하고, 게임 결과 정보에 포함되는 스테이터스 정보와 조합하여 카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데이터 생성부와, 카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카드 화상을 인화지에 프린트하여 게임 카드를 출력하는 프린터를 구비하는 게임 카드 프린트 장치나, 이 게임 카드 프린트 장치와,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부, 게임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게임 카드에 프린트된 코드 정보를 읽어들이는 판독부, 투입된 화폐를 식별 계수하는 과금부 및 읽어들인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내에 캐릭터를 재현하는 재현부를 가지고, 소정 금액의 투입에 따라 게임을 실행하는 아케이드 게임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최근 아케이드 게임기의 사용 형태도 다양화되고 있어, 적외선 스캐너 등을 내장한 아케이드 게임기 등도 제안되어 있다. 이 아케이드 게임기에서는, 캐릭터 등을 나타내는 가시 화상과 함께, 캐릭터 등을 정의하기 위한 코드 정보로서의 비가시 화상이 인화되어 있는 카드가 이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6-22208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이나 열전사 시트를 제공하는 것, 또한,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을 형성할 수 있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은, 상기 열전사 시트가, 기재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제1 전사층, 색재층이 면순차로 마련된 열전사 시트이며, 상기 피전사체와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의 적층체와, 상기 피전사체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은, 상기 열전사 시트가, 기재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제1 전사층, 색재층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전사층은, 수용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 또는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상기 수용층이 위치하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상기 색재층이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피전사체와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성 재료 함유층의 적층체와, 상기 피전사체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이 추가로 안료 또는 유기 염료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이,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층과 안료 또는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층의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층 혹은 상기 안료 또는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층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전사층이, 수용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 또는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상기 수용층이 위치하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는 전사층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를 이용한 인화물의 형성 방법으로서,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피전사체 준비 공정과, 기재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제1 전사층, 색재층이 면순차로 마련된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열전사 시트 준비 공정과, 상기 피전사체의 한쪽의 면에,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전사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특별 화상을 형성하는 특별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특별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 시트의 제1 전사층을 전사하는 제1 전사층 전사 공정과, 상기 전사된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색재층을 열전사하여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열전사 화상 형성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특별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형성되는 상기 피전사체와 상기 특별 화상의 적층체와, 상기 피전사체 준비 공정에 있어서 준비되는 상기 피전사체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전사층 전사 공정이, 상기 특별 화상 및 상기 피전사체의 한쪽의 면의 전면(全面)을 덮도록 상기 제1 전사층을 전사하는 공정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는,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로서, 기재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제1 전사층, 색재층이 면순차로 마련되고, 상기 피전사체와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의 적층체와, 상기 피전사체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는,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열전사 시트는, 기재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제1 전사층, 색재층이 이 순으로 면순차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전사층은, 수용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 또는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상기 수용층이 위치하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상기 색재층은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피전사체와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성 재료 함유층의 적층체와, 상기 피전사체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열전사 시트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며, (a∼(e)는 전부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의 개략 단면도이다.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이하, 본 발명의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많은 다른 양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 예시하는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양태와 비교하여 각 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관해서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와 각 도면에 있어서, 이미 나온 도면에 관해서 상술한 것과 같은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 및 열전사 시트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열전사 시트>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이하, 일 실시형태의 조합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이 면순차로 마련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기재(1),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은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필수적인 구성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마련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을 마련하는 순서에 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각 구성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재)
기재(1)에 관해서 어떠한 한정도 되지 않으며, 열전사 시트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는, 글라신지, 콘덴서지 또는 파라핀지 등의 박지(薄紙),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케톤 혹은 폴리에테르술폰 등의 내열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유도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메틸펜텐 또는 아이오노머 등의 플라스틱의 연신 또는 미연신 필름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재료를 2종 이상 적층한 복합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1)에,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오존 처리, 플레임 처리, 프라이머(앵커 코트, 접착촉진제, 이접착제라고도 불린다) 도포 처리, 예열 처리, 진애 제거 처리, 증착 처리, 알칼리 처리, 대전방지층 부여 등의 이접착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또한, 기재(1)는 필요에 따라서 충전재, 가소제, 착색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기재(1)의 두께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2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의 한쪽의 면(도시하는 형태에서는 기재(1)의 상면)에는, 제1 전사층(5), 색재층(3)으로 면순차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이 마련되어 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은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고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란 적외광이나 자외광 등을 흡수하는 재료를 의미한다.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 의하면, 열전사 시트(10)와 피전사체(100)를 중첩하여, 피전사체(100) 상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용융 전사함으로써, 피전사체(100) 상에 적외광 하 혹은 자외광 하에서 인식할 수 있는 화상(50A)을 형성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가시광을 흡수하지 않거나 혹은 거의 흡수하지 않고, 적외광이나 자외광 등을 흡수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열전사 시트(10)와 피전사체(100)를 중첩하여, 피전사체(100) 상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용융 전사함으로써, 피전사체(100) 상에 가시광 하에서는 시인할 수 없거나 혹은 시인하기 어렵고, 적외광 하 혹 자외광 하에서 인식할 수 있는 화상(5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화상을 「특별 화상」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로서는 예컨대 적외선 흡수 재료나 자외선 흡수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적외선」이란, 극대 흡수 파장(λmax) 영역이 750 nm 이상 2000 nm 이하인 파장 영역을 의미하고, 「자외선」이란, 극대 흡수 파장(λmax) 영역이 280 nm 이상 400 nm 이하인 영역을 의미한다.
적외선 흡수 재료로서는, 예컨대 디이모늄계 화합물, 아미늄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디티올계 유기 금속 착체, 시아닌계 화합물, 아조계 화합물, 폴리메틴계 화합물, 퀴논계 화합물, 디페닐메탄계 화합물, 트리페닐메탄계 화합물, 옥솔계 화합물이나 카본 블랙 등을 들 수 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은, 이들 적외선 흡수 재료의 1종을 단독으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적외선 흡수 재료로서 시아닌계 화합물, 디이모늄계 화합물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 재료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에이트계 화합물 등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 재료나,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철, 황산바륨 등의 무기계 자외선 흡수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은, 자외선 흡수 재료의 1종을 단독으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은, 적외선 흡수 재료와 자외선 흡수성 재료 양쪽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은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와 함께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계 수지 등의 공지된 수지를 들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10)는, 상기한 것과 같이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갖추고 있고,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에 의해, 피전사체(100) 상에, 적외광 하 혹은 자외광 하에서 인식할 수 있는 특별 화상(50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이 함유하고 있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나 바인더 수지 중에는 가시광의 전부 혹은 일부를 흡수해 버리는 것도 있고, 이러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나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이용하여 피전사체(100) 상에 특별 화상(50A)을 형성한 경우에는, 피전사체(100)의 색상에 따라서는 상기 특별 화상(50A)이 가시광 하에서 의도치 않게 시인되어 버려, 가시광 하에서의 의장성을 저하시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는, 피전사체(100)와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적층체(20)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꿔 말하면, 피전사체(100) 상에 열전사 시트(10)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전사함으로써 형성되는 특별 화상(50A)과 피전사체(100)의 적층체(20)(도 6(a) 참조)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피전사체(100)와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적층체, 바꿔 말하면, 피전사체(100)와 특별 화상(50A)의 적층체를 단순히 적층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특징을 갖는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 의하면, 적층체(20)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를 10 이하로 함으로써, 피전사체(100) 상에 형성된 특별 화상(50A)이 가시광 하에서 의도치 않게 인식되어 버리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을 온디맨드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 있어서, 적층체(20)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를 10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적층체(20)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가 10을 넘는 경우에는, 가시광 하에 있어서 특별 화상(50A)이 인식되기 쉽게 되어, 인화물의 의장성을 충분히 높일 수 없음에 의한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의 조합은, 피전사체(100)와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적층체(20)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가 8 이하가 된다.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색차(ΔE*ab)란, 2 색 사이의 차이 또는 거리이며, JIS-Z-8730(2009)에 준거한 것이다. 색차(ΔE*ab)는, 예컨대 분광 측정기(i1 X-rite 사)를 사용함으로써 측색(測色)하여, 국제증명위원회의 L*a*b* 표색계에 있어서의 수치로 정의하는 것이다. 또한, ΔE*ab=((ΔL*)2+(Δa*)2+(Δb*)2)1/2로 나타내어지는 값이고, 값이 클수록 눈으로 확인했을 때의 색의 차이가 현저하다. 또한, (ΔL*), (Δa*), (Δb*)는 적층체(20)와 피전사체(100)와의 L*, a* 및 b*의 값의 차이다. 또한, 적층체(20)의 측색은 피전사체(100)와 특별 화상(50A)이 두께 방향에서 겹쳐 있는 부위에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적층체(20)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를 10 이하로 하는 수단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에 다양한 첨가재를 함유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첨가재의 일례로서는, 색상을 갖는 화합물 등, 예컨대 유기 안료나, 무기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안료로서는, 예컨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등의 유채색 안료나 중공형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안료로서는, 실리카, 산화티탄,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운모티탄, 백운모, 화이트 카본, 탄산칼슘, 황산바륨, 알루미나 백,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안료로 이루어지는 코어의 주위를 유기 안료로 이루어지는 셸로 피복한 코어·셸 안료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옐로우 염료, 마젠타 염료, 시안 염료 등의 유기 염료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피전사체(100)는, 일반적으로 백색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되므로, 색차(ΔE*ab)를 10 이하로 하기 위한 첨가재로서는 산화티탄, 탄산칼슘 등의 백색 화합물이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산화티탄이 특히 적합하다.
또한,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에 안료 또는 유기 염료를 함유시키는 대신에, 도 7(a)∼도 7(c)에 도시한 것과 같이,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층(2A)과 안료를 함유하는 층(2B)의 적층 구성으로 하여, 적층체(20)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를 10 이하로 할 수도 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적층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층(2A)은, 도 7(a)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시키더라도 좋고, 도 7(b)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로부터 가장 멀리에 위치시키더라도 좋고, 도 7(c), 도 7(d)에 도시한 것과 같이,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층(2A), 안료를 함유하는 층(2B) 및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임의의 층(2C)을 포함하는 적층 구성으로 하여, 어느 층 사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층(2A)을 위치시키더라도 좋다. 안료를 함유하는 층(2B)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안료를 함유하는 층(2B)으로서는, 위에서 예시한 유기 안료, 무기 안료의 적어도 1종 및 필요에 따라서 바인더 등의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다. 바인더로서는, 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석유 수지, 염화비닐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염화비닐리덴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불소 수지,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부티랄, 아세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이소부틸렌, 에틸셀룰로오스 또는 폴리아세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바인더로서,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등이 있다. 더욱이, 피셔 트로푸시 왁스(Fischer-Tropsch wax), 각종 저분자량 폴리에틸렌, 목랍, 밀납, 경납, 백랍, 양모납, 세락 왁스, 칸데릴라 왁스, 페트롤라텀, 폴리에스테르 왁스, 일부 변성 왁스, 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아미드 등, 다양한 왁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안료를 함유하는 층(2B)의 두께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0.1 ㎛ 이상 5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 ㎛ 이상 1.5 ㎛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료를 함유하는 층(2B)을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층(2B)으로 할 수도 있다.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층으로서는 후술하는 색재층(3)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10)는,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수용층(5A)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 색재층(3)이 면순차로 마련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과 수용층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의 색상이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과 색재층(3)의 색상이 가까운 경우에는, 프린터 내에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정확히 검지할 수 없어, 인화 시의 위치 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것과 같이,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에 안료 등을 함유시킨 경우에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과 다른 층의 색상에 차를 갖게 할 수 있어, 프린터 내에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정확히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일례로서의 색재층(3)은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에 안료를 함유시킴으로써,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과 색재층(3)의 가시광 투과율에 차를 갖게 할 수 있어, 프린터 내에서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에 색재층(3)의 색상과 다른 유기 염료를 함유시킴으로써, 프린터 내에서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에 안료나 유기 염료를 함유시키는 대신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층(2A)과, 안료 또는 색재층(3)의 색상과 다른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층(2B)의 적층 구성으로 함으로써, 프린터 내에서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첨가재의 함유량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적층체(20)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를 10 이하로 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의 함유량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일례로서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고형분 총 질량에 대하여 0.1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두께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0.1 ㎛ 이상 5 ㎛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이상 1.5 ㎛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두께를 바람직한 범위로 함으로써, 적외광 혹은 자외광에 있어서 충분히 식별 가능한 특별 화상(50A)을 형성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특별 화상(50A)을 검지할 때의 검지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층(2)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테일링(Tailing)이나 글자 으깨짐 등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테일링이란, 전사층을 피전사체 상에 전사할 때에, 전사층의 전사 영역과 비전사 영역의 경계를 기점으로 하여, 그 경계에서 비전사 영역 측으로 불거져 나오는 것처럼 전사층이 전사되어 버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글자 으깨짐이란, 문자로서 나타내어지는 전사 영역에 둘러싸이거나 혹은 사이에 낀 피전사 영역이, 테일링과 같은 현상으로 전사되어 버려, 원래의 문자를 재현하지 못한 현상을 의미한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각종 첨가재를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시클로헥산,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적당한 용매에, 분산 내지 용해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혹은 기재(1) 상에 마련되는 임의의 층 위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의 도포 방법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종래 공지된 도포 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그라비아인쇄법, 스크린인쇄법, 그라비아판을 이용한 리버스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밖의 도포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각종 도공액의 도포 방법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형층)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전사성(이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재(1)와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사이에 이형층(도시하지 않는다)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이형층은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피전사체(100) 위로 이행시킬 때에 기재(1) 측에 남는 층이다. 이형층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실리콘 왁스 등의 각종 왁스류,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의 수용성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세트산계비닐 수지, 아크릴비닐에테르계 수지, 무수말레산 수지 등의 각종 수지 등이나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층의 두께는 통상 0.5 ㎛ 이상 5 ㎛ 이하의 범위 내이다.
(제1 전사층)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 상에는,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색재층(3)으로 면순차로 제1 전사층(5)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전사층(5)은 기재(1)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열전사에 의해서 특별 화상(50A)이 형성된 피전사체(100) 상에 전사되는(이행하는) 층이다.
일 실시형태의 조합을 이용한 인화물의 형성에서는, 피전사체(100) 상에 열전사 시트(10)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에 의해 특별 화상(50A)이 형성되고, 또한, 이 특별 화상(50A) 상에는 제1 전사층(5)이 형성된다. 즉,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 의하면, 이 조합을 이용하여, 피전사체(100) 상에 형성된 특별 화상(50A)을 제1 전사층(5)에 의해서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특별 화상(50A)이 표면에 노출됨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 예컨대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한 특별 화상(50A)의 소실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일례로서의 제1 전사층(5)은 적어도 수용층(5A)을 포함하고 있고, 수용층(5A)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 혹은 기재(1) 측에서부터 수용층(5A), 다른 층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용층(5A)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으로 하는 경우는, 제1 전사층(5)을 구성하는 층 중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수용층(5A)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피전사체 상에 제1 전사층(5)을 전사했을 때에, 상기 전사층(100)의 가장 표면에 수용층(5A)을 위치시키기 위해서이다.
「수용층」
수용층(5A)의 재료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색재층(3)이 함유하는 승화성 염료가 염착하기 쉬운 바인더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 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아크릴에스테르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에틸렌이나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과 다른 비닐계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층(5A)은 이들 바인더 수지의 1종을 단독으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2종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들 바인더 수지의 2종 이상을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전사 계면에 위치하는 층인 수용층(5A)의 전사성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고, 열전사 시트(10)에 인가되는 에너지를 높여 간 경우라도, 수용층(5A)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의 전사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수용층(5A)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는, 수용층(5A)의 염료 염착성이나 수용층(5A)과 색재층(3)과의 이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수용층(5A)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층(5A)은, 인화 시에 있어서의 색재층(3)과의 열융착을 억제하기 위해서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형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아미드 왁스, 테플론(등록상표) 파우더 등의 고형 왁스류, 불소계 또는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실리콘 오일, 반응성 실리콘 오일, 경화형 실리콘 오일 등의 각종 변성 실리콘 오일 및 각종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층(5A)은, 상기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이형제 등의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분산 내지 용해한 수용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혹은 기재(1) 상에 마련되는 임의의 층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수용층(5A)의 두께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통상 0.3 ㎛ 이상 10 ㎛ 이하의 범위이다.
「히트시일층」
피전사체(100)와 제1 전사층(5)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전사층(5)을, 기재(1) 측에서부터 수용층(5A), 히트시일층(5C)을 이 순서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히트시일층(5C)의 재료로서는 피전사체(100)와의 접착성이 양호한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예컨대 에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부티르산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등의 스티렌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일론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이오노머,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의 합성 수지나, 점착부여제로서의 로진, 로진 변성 말레산 수지, 에스테르 고무,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 고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염소화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히트시일층(5C)의 두께는 0.1 ㎛ 이상 2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수용층(5A)과 히트시일층(5C)의 사이에 프라이머층(5B)을 마련할 수도 있다. 프라이머층(5B)를 마련함으로써, 수용층(5A)과 히트시일층(5C)의 밀착성 향상, 수용층(5A)와 색재층의 이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수용층(5A) 상에 형성된 열전사 화상에 생길 수 있는 번짐을 억제하거나 대전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일례로서의 프라이머층(5B)은, 예컨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의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서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티탄, 카본 블랙 등의 무기 입자를 함유하고 있다. 바인더 수지와 함께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프라이머층(5B)에 의하면, 프라이머층(5B)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의 호일 컷팅(foil cutting) 특성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프라이머층(5B)은, 바인더 수지와 함께 알루미나 미립자나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바람직한 형태의 프라이머층(5B)은, 바인더 수지와 함께 알루미나 졸 유래의 알루미나 미립자나 콜로이달 실리카 유래의 실리카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를 이용하지 않고서 프라이머층(5B)을 무기 미립자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염료 이형성의 향상을 주안으로 하는 경우에는, 수용층(5A) 상에 수계 수지를 함유하는 프라이머층(5B)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수계 수지를, 수계 용매에 분산 혹은 용해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이용하여 수용층(5A) 상에 프라이머층(5B)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말하는 「수계 수지」란, 수용성 수지, 혹은 수계 용매에 불용성이지만 에멀젼이나 디스퍼젼과 같이 수계 용매에 분산 가능한 수지를 의미한다. 수계 용매로서는 물이나 물과 알코올과의 혼합 용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수용성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아크릴산, 폴리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수용성(혹은 수분산) 폴리에스테르 수지, 수용성(혹은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 수분산성 염화비닐 수지, 수분산성 염화아크릴계 수지, 수분산성 에폭시 수지, 젤라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수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수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수용성(혹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는, 수용층(5A)과 히트시일층(5C)의 밀착성이나 수용층(5A)과 색재층의 이형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5B)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수용층(5A)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5B)의 두께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0.01 ㎛ 이상 5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2 ㎛ 이상 3 ㎛ 이하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색재층으로서, 열용융 잉크를 포함하는 색재층으로 하는 경우에는, 수용층(5A)을 포함하지 않는 제1 전사층(5)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수용층(5A)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 대신에, 보호층(박리층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으로 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는다). 또한, 보호층 이외의 임의의 층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수용층(5A)이라는 기재를, 보호층 혹은 임의의 층이라고 바꿔 읽으면 된다.
보호층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말레산 변성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부티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및 그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산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메타크릴계 등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비닐계 수지, 말레산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멜라민·알키드 수지, 실리콘 수지, 고무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보호층의 두께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1 ㎛ 이상 15 ㎛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색재층)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의 한쪽의 면에는,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으로 면순차로 색재층(3)이 마련되어 있다. 일례로서의 색재층(3)은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고 있고,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되는 열전사 화상이 모노 컬러인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적절하게 선택한 1색의 층만 형성하여도 좋고, 원하는 화상이 풀 컬러 화상인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옐로우의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는 옐로우 색재층(3Y), 마젠타의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는 마젠타 색재층(3M), 시안의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는 시안 색재층(3C)을, 기재(1)의 동일면에 면순차로 반복해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옐로우 색재층(3Y), 마젠타 색재층(3M), 시안 색재층(3C) 중 2개의 색재층을 마련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일례로서의 색재층(3)이 함유하고 있는 승화성 염료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충분한 착색 농도를 가지고, 빛, 열, 온도 등에 의해 변퇴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승화성 염료로서는, 예컨대 디아릴메탄계 염료, 트리아릴메탄계 염료, 티아졸계 염료, 메로시아닌 염료, 피라졸론 염료, 메틴계 염료, 인도아닐린계 염료, 피라졸로메틴계 염료, 아세토페논아조메틴, 피라졸로아조메틴, 이미다졸아조메틴, 이미다조아조메틴, 피리돈아조메틴 등의 아조메틴계 염료, 크산텐계 염료, 옥사진계 염료, 디시아노스티렌, 트리시아노스티렌 등의 시아노스티렌계 염료, 티아진계 염료, 아진계 염료, 아크리딘계 염료, 벤젠아조계 염료, 피리돈아조, 티오펜아조, 이소티아졸아조, 피롤아조, 피라졸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아디아졸아조, 트리아졸아조, 디스아조 등의 아조계 염료, 스피로피란계 염료, 인돌리노스피로피란계 염료, 플루오란계 염료, 로다민락탐계 염료, 나프토퀴논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SRedG(미쓰이도아츠카가쿠(주)), Macrolex Red Violet R(바이엘사), CeresRed 7B(바이엘사), Samaron Red F3BS(미쓰비시카가쿠(주)) 등의 적색 염료, 홀론브릴리언트옐로우 6GL(클라리안트사), PTY-52(미쓰비시카가쿠(주)), 마크로렉스옐로우 6G(바이엘사) 등의 황색 염료, 카야셋트(등록상표) 블루 714(닛폰가야쿠(주)), 홀론브릴리언트블루 S-R(클라리안트사), MS 블루 100(미쓰이도아츠카가쿠(주)), C. I. 솔벤트블루 63 등의 청색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승화성 염료의 함유량은, 후술하는 바인더 수지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상 350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 300 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승화성 염료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인화 농도나 보존성을 높일 수 있다.
일례로서의 색재층(3)에 포함되며, 상기 승화성 염료를 담지하기 위한 바인더 수지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어느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고, 승화성 염료와 알맞은 친화성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색재층(3)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20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을 20 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색재층(3) 중에 있어서 승화성 염료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어, 보존성을 높일 수 있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치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승화성 염료나 임의의 첨가재의 함유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색재층(3)은 무기 입자, 유기 미립자 등의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무기 입자로서는 탈크, 카본 블랙, 알루미늄, 이황화몰리브덴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미립자로서는 폴리에틸렌 왁스, 실리콘 수지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색재층(3)은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형제로서는 변성 혹은 미변성의 실리콘 오일(실리콘 수지라고 불리는 것도 포함한다), 인산에스테르, 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색재층(3)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바인더 수지, 승화성 염료,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첨가재나 이형제를,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색재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혹은 기재(1) 상에 마련되는 임의의 층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색재층(3)의 두께는 0.2 ㎛ 이상 2.0 ㎛ 이하의 범위가 일반적이다.
(염료 프라이머층)
기재(1)와 색재층(3)의 사이에 기재(1)와 색재층(3)의 밀착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염료 프라이머층(도시하지 않는다)을 마련할 수도 있다.
염료 프라이머층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열전사 시트 분야에서 종래 공지된 염료 프라이머층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의 염료 프라이머층은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염료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이나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염료 프라이머층은 이들 수지 성분과 함께 유기 입자나 무기 입자 등의 각종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염료 프라이머층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위에서 예시한 수지 성분,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염료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염료 프라이머층의 두께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은 0.02 ㎛ 이상 1 ㎛ 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상기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색재층(3) 대신에, 열용융 잉크를 포함하는 색재층(3)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승화성 염료를 포함하는 색재층(3)과, 열용융 잉크를 포함하는 색재층(3)을 면순차로 마련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열용융 잉크를 포함하는 색재층(3)은 바인더 수지와 열용융 잉크로서의 착색제를 함유하고 있다. 착색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유기 또는 무기의 안료 혹은 염료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충분한 착색 농도를 가지고, 빛, 열 등에 의해 변색, 퇴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에 의해 발색하는 물질이나 피전사체의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성분과 접촉함으로써 발색하는 물질이라도 좋다. 착색제의 색으로서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색의 착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형광 안료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형광 안료는 주로 무기계의 형광체 재료이며, Ca, Ba, Mg, Zn, Cd 등의 산화물, 황화물, 규산염, 인산염, 텅스텐산염 등의 결정을 주성분으로 하고, Mn, Zn, Ag, Cu, Sb, Pb 등의 금속 원소 혹은 란탄족류 등의 희토류 원소를 활성제로서 첨가하여 소성하여 얻어지는 안료이다. 이들 무기계의 형광체 재료의 구체적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텅스텐산칼슘, 텅스텐산마그네슘 등의 산화물계, 혹은 황화칼슘·비스무트, 황화아연·은, 황화아연·구리, 황화아연·금·알루미늄 등의 황화물계, 산화아연·아연, 바나듐산이트륨·유로퓸, 산화이트륨·유로퓸, 황산화이트륨·유로퓸, 황산화이트륨·테르븀, 황산화가돌리늄·테르븀, 황산화란탄·테르븀, 산브롬화란탄·테르븀 등의 산화물계 등의 형광체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제2 전사층)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의 한쪽의 면에,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과 함께, 보호층(7A)을 포함하는 제2 전사층(7)을 면순차로 마련할 수도 있다. 제2 전사층(7)은 보호층(7A)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고,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 측에서부터 박리층(7B), 보호층(7A)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또한, 이 밖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어도 좋다.
「보호층」
보호층(7A)를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자외선 흡수성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이들 각 수지를 실리콘 변성시킨 수지, 이들 각 수지의 혼합물, 활성 광선 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활성 광선이란, 활성 광선 경화성 수지에 대하여 화학적으로 작용시켜 중합을 촉진시키는 광선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가시광선, 자외선, 엑스선, 전자선,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등을 의미한다.
보호층(7A)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보호층(7A)의 고형분 총량에 대하여 바인더 수지는 20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의 상한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그 상한은 100 질량%이다. 또한, 보호층(7A)은, 바인더 수지에 더하여, 각종 필러나 형광증백제,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외선흡수제 등, 그 밖의 재료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보호층(7A)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위에서 예시한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보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혹은 기재(1) 상에 마련되는 임의의 층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7A)의 두께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은 2 ㎛ 이상 15 ㎛ 이하의 범위이다.
「박리층」
제2 전사층(7)의 전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전사층(7)을, 기재(1) 측에서부터 박리층(7B), 보호층(7A)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박리층(7B)을 구성하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에틸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메타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산부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비닐 공중합체의 열가소성 수지나, 포화 또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열가교성 에폭시-아미노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등의 열경화형의 수지, 실리콘 왁스, 실리콘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불소 수지, 불소 변성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2 전사층(7)의 호일 컷팅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박리층(7B)에 마이크로 실리카나 폴리에틸렌 왁스 등의 필러를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박리층은, 위에 예시한 수지에 더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가교제, 주석계 촉매, 알루미늄계 촉매 등의 촉매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박리층(7B)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고, 위에서 예시한 바인더 수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박리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박리층(7B)의 두께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은 0.1 ㎛ 이상 5 ㎛ 이하의 범위이다.
(배면층)
또한, 기재(1)의 다른 쪽의 면에 배면층(도시하지 않는다)을 마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배면층은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임의의 구성이다.
배면층의 재료에 관해서 한정은 없으며, 예컨대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탈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아크릴산에틸, 폴리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 변성 또는 불소 변성 우레탄 등의 천연 또는 합성 수지의 단일체 또는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배면층은 고형 혹은 액상의 윤활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윤활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왁스 등의 각종 왁스류, 고급 지방족 알코올,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논이온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유기 카르복실산 및 그 유도체, 금속 비누,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탈크, 실리카 등의 무기 화합물의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배면층의 총 질량에 대한 윤활제의 질량은 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40 질량% 이하의 범위이다.
배면층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수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윤활제 등을,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배면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기재(1) 상에 도포·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면층의 두께는 1 ㎛ 이상 1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변형 형태의 열전사 시트)
이상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로서,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이 면순차로 마련된 구성의 열전사 시트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상기 구성의 열전사 시트 대신에, 이하의 열전사 시트의 조합을 피전사체와 조합하는 열전사 시트로 하여도 좋다.
예컨대, 제1 기재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 중의 어느 하나 또는 2개의 층이 면순차로 마련된 제1 열전사 시트(도시하지 않는다)와, 제2 기재의 한쪽의 면에, 다른 하나 또는 2개의 층이 면순차로 마련된 제2 열전사 시트(도시하지 않는다)의 조합을, 피전사체와 조합되는 열전사 시트로 하여도 좋다. 제1 열전사 시트가 갖는 층, 제2 열전사 시트가 갖는 층은,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 중의 하나 또는 2개를 임의로 선택하면 된다. 예컨대, 제1 기재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이 마련된 제1 열전사 시트와, 제2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제1 전사층(5), 색재층(3)이 면순차로 마련된 제2 열전사 시트의 조합을, 피전사체와 조합되는 열전사 시트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기재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이 면순차로 마련된 제1 열전사 시트와, 제2 기재의 한쪽의 면에 색재층(3)이 마련된 제2 열전사 시트의 조합을, 피전사체와 조합되는 열전사 시트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기재 상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이 마련된 제1 열전사 시트, 제2 기재 상에 제1 전사층(5)이 마련된 제2 열전사 시트, 제3 기재 상에 색재층(3)이 마련된 제3 열전사 시트의 조합을, 피전사체와 조합되는 열전사 시트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색재층(3)을 갖는 열전사 시트가 복수의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인 경우, 예컨대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을 갖는 열전사 시트인 경우, 제3 기재 상에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이 면순차로 마련된 열전사 시트로 하여도 좋고, 옐로우 색재층만을 갖는 열전사 시트, 마젠타 색재층만을 갖는 열전사 시트, 시안 색재층만을 갖는 열전사 시트의 조합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열전사 시트를 적절하게 조합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제1 기재, 제2 기재, 제3 기재로서는, 위에서 설명한 열전사 시트의 기재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이 면순차로 마련된 구성의 열전사 시트 대신에, 기재의 한쪽의 면에 적어도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층(2)이 마련된 열전사 시트를, 피전사체와 조합되는 열전사 시트로 하여도 좋다. 이 조합에 있어서도, 피전사체와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적층체와, 피전사체와의 색차(ΔE*ab)는 10 이하로 된다.
<피전사체>
이어서,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 이용되는 피전사체(100)에 관해서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피전사체(100)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천연섬유지, 코트지, 트레이싱 페이퍼, 플라스틱 필름, 유리, 금속, 세라믹스, 목재, 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피전사체(100)가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테레프탈산-시클로헥산디메탄올-에틸렌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공압출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의 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아라미드,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니트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파이트 등의 엔지니어링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고충격성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셀로판,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니트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상기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 혹은 혼합체(얼로이를 포함한다)라도 좋다.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10)는, 수용층(5A)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을 구비하고 있고, 피전사체(100) 자체는 수용층을 갖추지 않아도 좋지만, 피전사체(100)의 양면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이며,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10)가 피전사체(100)의 한 쪽 측에만 제1 전사층(5)을 전사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는, 피전사체(100)는 한쪽의 면에 수용층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10)가, 후술하는 것과 같이, 피전사체(100)의 양면에 제1 전사층(5)을 전사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에는, 피전사체(100)는 수용층을 갖추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위에서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에 각종 첨가재를 함유하고,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과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를 10 이하로 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을 했지만, 피전사체(100) 측으로부터의 어프로치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피전사체(100)에 각종 첨가재를 함유하고,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과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를 10 이하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과 피전사체(100) 양쪽에 각종 첨가재를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과 피전사체(100) 양쪽에 첨가재를 함유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에 함유시키는 첨가재와 피전사체(100)에 함유시키는 첨가재는 동종의 것이라도 좋고, 다른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에 함유시키는 첨가재와 피전사체(100)에 함유시키는 첨가재는 동종의 첨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종의 첨가재를 이용함으로써 색차(ΔE*ab)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피전사체(100)의 두께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3 ㎛ 이상 800 ㎛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이상 600 ㎛ 이하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전사 시트의 구성예>
도 3∼도 5는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하는 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옐로우 색재층(3Y), 마젠타 색재층(3M), 시안 색재층(3C), 제2 전사층(7), 옐로우 색재층(3Y), 마젠타 색재층(3M), 시안 색재층(3C), 제2 전사층(7)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마련된다.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각 층을 「1 패널」로 했을 때에, 인쇄 상류 측(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도면의 좌측)에서부터 「6 패널」이,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 측에 화상을 형성하기(1번째 화면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패널로 되고 있고, 나머지 「4 패널」이 피전사체(100)의 다른 쪽의 면 측에 화상을 형성하기(2번째 화면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패널로 되어 있다. 또한, 피전사체(100)가 수용층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전사층(7)과 옐로우 색재층(3Y)의 사이에 제1 전사층(5)을 마련하고, 제1 전사층(5), 옐로우 색재층(3Y), 마젠타 색재층(3M), 시안 색재층(3C), 제2 전사층(7)으로 구성되는 「5 패널」에 의해서 피전사체(100)의 다른 쪽의 면 측에 화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 3(a)의 「6 패널」과 「4 패널」을 바꿀 수도 있다. 또한, 제2 전사층(7)을 제외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는다). 또한, 도 3(c)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옐로우 색재층(3Y), 마젠타 색재층(3M), 시안 색재층(3C), 제2 전사층(7), 옐로우 색재층(3Y), 마젠타 색재층(3M), 시안 색재층(3C), 제2 전사층(7)의 「10 패널」을 「1 유닛」으로 했을 때에, 상기 「1 유닛」이 반복해서 마련되어 있다. 이하,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 측에 형성되는 화상을 「1번째 화면의 화상」이라고 하고, 피전사체의 다른 쪽의 면 측에 형성되는 화상을 「2번째 화면의 화상」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인화 시에 있어서의 얼라인먼트나 큐잉은 각 「패널」의 집합체를 「1 유닛」으로 했을 때에 「1 유닛」 단위로 행해지며, 「1 유닛」은 다른 「1 유닛」과 「1 유닛」을 구성하는 「패널」의 배열이 동일하게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 측에 「1번째 화면의 화상」을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6 패널」과, 피전사체의 다른 쪽의 면에 「2번째 화면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4 패널」의 각각을 「1 유닛」으로 할 수는 없고, 「6 패널」과 「4 패널」을 모은 「10 패널」을 「1 유닛」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1 유닛」을 구성하는 「패널」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각 층을 검지하기 위한 프린터의 설계 부하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어, 「1 유닛」을 구성하는 「패널수」는 적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도 4에 도시하는 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옐로우 색재층(3Y), 마젠타 색재층(3M), 시안 색재층(3C), 제2 전사층(7)의 「6 패널」로 이루어지는 집합체를 「1 유닛」으로 했을 때에, 이 「1 유닛」이 반복해서 마련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피전사체의 한쪽의 면 측에 「1번째 화면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패널을 「6 패널」로 구성하고, 피전사체(100)의 다른 쪽의 면 측에 「2번째 화면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패널을 「4 패널」로 구성하고 있는 데 대하여, 도 4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1번째 화면의 화상」 및 「2번째 화면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패널을 함께 「6 패널」로 구성하고, 이 「6 패널」을 「1 유닛」으로 함으로써 「1 유닛」을 구성하는 패널수를 적게 하고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1번째 화면의 화상」을 특별 화상(50A)을 포함하는 화상으로 하고, 「2번째 화면의 화상」을 특별 화상(50A)을 포함하지 않는 화상으로 하는 경우라도, 「1 유닛」을 구성하는 패널수를 적게 하기 위해, 「1 유닛」 모두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포함할 필요가 있어, 낭비가 많아진다고 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도 5에 도시하는 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옐로우 색재층(3Y), 마젠타 색재층(3M), 시안 색재층(3C), 제2 전사층(7)의 「6 패널」로 이루어지는 집합체를 「1 유닛」으로 했을 때에, 1번째 화면의 화상 및 2번째 화면의 화상의 형성에 제공되는 패널을 일체화시켜, 2 화면의 길이의 「패널」로 하고 있다.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옐로우 색재층(3Y), 마젠타 색재층(3M), 시안 색재층(3C) 각각이, 2 화면의 길이의 「패널」로 되어 있다. 즉, 하나의 색재층을, 1번째 화면의 화상 및 2번째 화면의 화상의 형성에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형태의 열전사 시트(10)에 의하면, 피전사체의 한쪽의 면 측 및 다른 쪽의 면 측에 형성되는 화상에 이용되는 층의 「패널」 길이를 2 화면분의 길이로 하고, 어느 한쪽의 면 측에 형성되는 화상에 이용되는 층의 「패널」 길이를 1 화면분의 길이로 함으로써, 사용되지 않는 「패널」에 의한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하는 형태의 열전사 시트(10)에 의하면, 「1 유닛」을 이용하여,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에 1번째 화면의 화상을 형성하고, 이어서, 피전사체(100)를 표리 반전시킴과 더불어 열전사 시트(10)를 되감아, 앞서 사용한 「1 유닛」을 다시 이용하여, 피전사체(100)의 다른 쪽의 면에 2번째 화면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옐로우 색재층(3Y), 마젠타 색재층(3M), 시안 색재층(3C)을, 1번째 화면의 화상 및 2번째 화면의 화상의 형성에 이용하기 위해, 그 「패널」 길이를 2 화면분의 길이로 하고 있지만, 이 밖의 층, 예컨대 제1 전사층(5)이나 제2 전사층(7)의 「패널」 길이를 2 화면분의 길이로 할 수도 있다. 또한 「1 유닛」을 반복해서 마련할 수도 있다.
<<인화물의 형성 방법>>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하,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라고 한다)에 관해서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를 이용한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며, 피전사체(100)를 준비하는 피전사체 준비 공정과,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과, 수용층(5A)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 또는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수용층(5A)이 위치하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는 제1 전사층(5)과,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3)이 이 순으로 면순차로 마련된 열전사 시트(10)를 준비하는 열전사 시트 준비 공정과,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에, 열전사 시트(10)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전사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특별 화상(50A)을 형성하는 특별 화상 형성 공정과,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특별 화상(50A) 상에, 열전사 시트(10)의 수용층(5A)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을 전사하는 제1 전사층 전사 공정과,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사된 제1 전사층(5) 상에,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3)을 열전사하여 열전사 화상(50B)을 형성하는 열전사 화상 형성 공정을 포함하고, 특별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형성되는 피전사체(100)와 특별 화상(50A)의 적층체(20)와, 피전사체 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은,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를 이용한 인화물의 형성 방법이며, 피전사체(100)를 준비하는 피전사체 준비 공정과,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이 면순차로 마련된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열전사 시트 준비 공정과,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에, 열전사 시트(10)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전사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특별 화상(50A)을 형성하는 특별 화상 형성 공정과,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특별 화상(50A) 상에, 열전사 시트(10)의 수용층(5A)을 포함하는 제1 전사층(5)을 전사하는 제1 전사층 전사 공정과,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사된 제1 전사층(5) 상에,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3)을 열전사하여 열전사 화상(50B)을 형성하는 열전사 화상 형성 공정을 포함하고, 특별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형성되는 피전사체(100)와 특별 화상(50A)의 적층체(20)와, 피전사체 준비 공정에서 준비되는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특별 화상(50A)이 가시광 하에서 의도치 않게 시인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각 공정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공정)
본 공정에서 준비되는 피전사체(100)는 상기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설명한 피전사체(100)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피전사체(100)의 특별 화상(50A)이 형성되는 면과는 반대쪽의 면에 수용층이 마련되어 있지만, 피전사체(100)는 수용층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공정)
본 공정에서 준비되는 열전사 시트(10)는 상기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설명한 피전사체(100)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 화상 형성 공정)
본 공정은, 열전사 시트(10)와 피전사체(100)를, 열전사 시트(10)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과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이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에, 열전사 시트(10)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을 용융 전사하여 특별 화상(50A)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특별 화상(50A)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후술하는 열전사 화상(50B)의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이차원 코드 등을 들 수 있다. 특별 화상(50A)의 형성 및 제1 전사층(5)의 전사, 그리고 열전사 화상(50B)의 형성에 이용되는 프린터로서는, 서멀 헤드 등의 가열 수단을 갖는 종래 공지된 프린터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제1 전사층 전사 공정)
본 공정은, 열전사 시트(10)와 특별 화상(50A)이 형성된 피전사체(100)를, 열전사 시트(10)의 제1 전사층(5)과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이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특별 화상(50A)이 형성된 피전사체(100) 상에 열전사 시트(10)의 제1 전사층(5)을 용융 전사하는 공정이다. 제1 전사층(5)은, 후술하는 열전사 화상(50B)이 형성되는 영역에 전사되어 있으면 되고, 그 전사 영역은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의 전면이라도 좋고,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의 일부라도 좋다(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피전사체의 한쪽의 면의 전면).
또한, 제1 전사층(5)은, 특별 화상(50A)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전사하여도 좋다. 또한, 특별 화상(50A)의 보호라는 관점에서는, 특별 화상(50A)을 덮도록 제1 전사층(5)을 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사 화상 형성 공정)
본 공정은, 열전사 시트(10)와 특별 화상(50A) 및 제1 전사층(5)이 형성된 피전사체(100)를, 열전사 시트(10)의 색재층(3)과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이 대향하도록 중첩시키고, 색재층(3)이 함유하고 있는 승화성 염료를 확산 이행시켜,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전사층(5) 상에 열전사 화상(50B)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또는, 색재층(3)이 열용융 잉크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색재층을 용융 혹은 연화시키고, 용융 혹은 연화된 색재층(3)을 층마다 전사하여,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전사층(5) 상에 열전사 화상(50B)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을 거침으로써, 피전사체(100)의 한쪽의 면에 특별 화상(50A) 및 열전사 화상(50B)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인화물(200)을 얻는다.
(제2 전사층 전사 공정)
또한, 도 6(d)에 도시한 것과 같이, 열전사 화상(50B)의 형성 후, 상기 열전사 화상(50B) 상에 제2 전사층(7)을 전사하는 제2 전사층 전사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2 전사층 전사 공정은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의 임의의 공정이다. 제2 전사층(7)의 전사는, 도 2∼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전사층(7)을 갖는 열전사 시트(10)를 이용하여 행하여도 좋고, 위에서 준비한 열전사 시트(10)와는 다른 별도의 열전사 시트(보호층 전사 시트 등)를 이용하여 행하여도 좋다.
(별도의 열전사 화상 형성 공정)
또한, 도 3∼도 5에 도시하는 열전사 시트(10)를 이용하여, 상기한 각종 공정에 앞서서 혹은 상기 각종 공정을 행한 후에, 도 6(e)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전사체(100)의 다른 쪽의 면에 별도의 열전사 화상(50C)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피전사체(100)의 다른 쪽의 면이 수용층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열전사 화상(50C)의 형성을 행하기 전에, 피전사체(100)의 다른 쪽의 면에 제1 전사층(5)을 전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열전사 화상(50C) 상에 제2 전사층(7)을 전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도시하지 않는다). 별도의 열전사 화상 형성 공정을 포함하는 일 실시형태의 인화물의 형성 방법에 의하면, 양면에 열전사 화상이 형성된 인화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피전사체(100)의 다른 쪽의 면에 특별 화상(50A)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이 면순차로 마련된 열전사 시트(10) 대신에, 상기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설명한 변형 형태의 열전사 시트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하여 인화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열전사 시트>>
이어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전사 시트(이하,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라고 한다)에 관해서 설명한다.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화상(50A, 50B)을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이며, 도 1∼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이 면순차로 마련되고, 제1 전사층(5)은 수용층(5A)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 또는 기재(1)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수용층(5A)이 위치하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색재층(3)은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고 있으며, 피전사체(100)와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적층체(20)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화상(50A, 50B)을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이며, 기재(1)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 제1 전사층(5), 색재층(3)이 면순차로 마련되고, 피전사체(100)와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2)의 적층체(20)와, 피전사체(100)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에 의하면, 상기 열전사 시트(10)를 이용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화상(50A)(특별 화상(50A))이 가시광 하에서 의도치 않게 시인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의장성이 높은 인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는, 상기 일 실시형태의 조합에서 설명한 각종 실시형태의 열전사 시트(10)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특별히 양해를 구하지 않는 한, 부는 질량 기준이다.
(열전사 시트 1의 작성)
기재로서 두께 4.5 ㎛ PET 필름을 이용하고, 이 기재의 한쪽의 면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배면층을 형성했다. 또한, 기재의 다른 쪽의 면에, 하기 조성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1을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형성했다. 또한, 기재의 다른 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과 면순차로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수용층을 형성했다. 또한, 기재의 다른 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수용층으로 면순차로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0.2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이 프라이머층 상에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 및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인쇄기에 의해, 각 층의 건조 시의 두께가 0.7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색재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기재의 다른 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수용층,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으로 면순차로 하기 조성의 박리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박리층을 형성하고, 이 박리층 상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1 ㎛가 되도록 도포·건조하여,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한쪽의 면에 배면층이 마련되고, 기재의 다른 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수용층,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 박리층과 보호층의 적층체가 이 순으로 면순차로 마련된 열전사 시트 1을 얻었다.
(배면층용 도공액)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1.8 부
(에스렉크(등록상표) BX-1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5.5 부
(바노크(등록상표) D750 DIC(주))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1.6 부
(플라이서프(등록상표) A208N 다이이치고교세이야쿠(주))
·탈크 0.35 부
(미크로에이스(등록상표) P-3 닛폰타르크고교(주))
·톨루엔 18.5 부
·메틸에틸케톤 18.5 부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1)
·아크릴 수지 6.7 부
(다이야날(등록상표) BR-87 미츠비시레이온(주))
·디이모늄염 0.3 부
(CIR-RL 닛폰카릿트(주))
·산화티탄 2.9 부
(TCA-888 사카이카가쿠고교(주))
·톨루엔 20 부
·메틸에틸케톤 20 부
(수용층용 도공액)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5.8 부
(솔바인(등록상표) CNL 닛신카가쿠고교(주))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 부
(솔바인(등록상표) C 닛신카가쿠고교(주))
·유기 변성 실리콘 오일 1.2 부
(X-22-3000T 신에츠카가쿠고교(주))
·유기 변성 실리콘 오일 1.2 부
(X-24-510 신에츠카가쿠고교(주))
·유기 변성 실리콘 오일 0.8 부
(KF-352A 신에츠카가쿠고교(주))
·톨루엔 40 부
·메틸에틸케톤 40 부
(프라이머층용 도공액)
·알루미나 졸 2.5 부
(알루미나졸 200 닛산카가쿠고교(주))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2.5 부
(PVP K-60 ISP재팬(주))
·물 47.5 부
·이소프로필알코올 47.5 부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
·솔벤트 옐로우 93 2.5 부
·솔벤트 옐로우 201 2.5 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5 부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톨루엔 50 부
·메틸에틸케톤 50 부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
·디스퍼스 레드 60 3 부
·디스퍼스 바이올렛 26 4 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5 부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톨루엔 50 부
·메틸에틸케톤 50 부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
·솔벤트 블루 63 4 부
·디스퍼스 블루 354 4 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5 부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톨루엔 50 부
·메틸에틸케톤 50 부
(박리층용 도공액)
·아크릴 수지 20 부
(다이야날(등록상표) BR-87 미츠비시레이온(주))
·톨루엔 40 부
·메틸에틸케톤 40 부
(보호층용 도공액)
·폴리에스테르 수지 24 부
(바이론(등록상표) 700 도요보(주))
·자외선흡수제 6 부
·톨루엔 35 부
·메틸에틸케톤 35 부
(열전사 시트 2의 작성)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2를 이용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과 같은 작성 방법으로 열전사 시트 2를 얻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2)
·아크릴 수지 6.7 부
(다이야날(등록상표) BR-87 미츠비시레이온(주))
·디이모늄염 0.3 부
(CIR-RL 닛폰카릿트(주))
·탄산칼슘 2.9 부
(호모카르 D 시라이시고교(주))
·톨루엔 20 부
·메틸에틸케톤 20 부
(열전사 시트 3의 작성)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3을 이용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과 같은 작성 방법으로 열전사 시트 3을 얻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3)
·아크릴 수지 6.7 부
(다이야날(등록상표) BR-87 미츠비시레이온(주))
·디이모늄염 0.3 부
(CIR-RL 닛폰카릿트(주))
·아크릴계 미립자 2.9 부
(MA1004 (주)닛폰쇼쿠바이)
·톨루엔 20 부
·메틸에틸케톤 20 부
(열전사 시트 4의 작성)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4를 이용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과 같은 작성 방법으로 열전사 시트 4를 얻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4)
·아크릴 수지 6.7 부
(다이야날(등록상표) BR-87 미츠비시레이온(주))
·디이모늄염 0.3 부
(CIR-RL 닛폰카릿트(주))
·산화티탄 3.3 부
(TCA-888 사카이카가쿠고교(주))
·톨루엔 20 부
·메틸에틸케톤 20 부
(열전사 시트 5의 작성)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5를 이용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과 같은 작성 방법으로 열전사 시트 5를 얻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5)
·아크릴 수지 8.5 부
(다이야날(등록상표) BR-87 미츠비시레이온(주))
·디이모늄염 1.5 부
(CIR-RL 닛폰카릿트(주))
·산화티탄 2.4 부
(TCA-888 사카이카가쿠고교(주))
·톨루엔 20 부
·메틸에틸케톤 20 부
(열전사 시트 6의 작성)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6을 이용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과 같은 작성 방법으로 열전사 시트 6을 얻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6)
·아크릴 수지 6.7 부
(다이야날(등록상표) BR-87 미츠비시레이온(주))
·디이모늄염 0.3 부
(CIR-RL 닛폰카릿트(주))
·톨루엔 20 부
·메틸에틸케톤 20 부
(열전사 시트 7의 작성)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7을 이용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과 같은 작성 방법으로 열전사 시트 7을 얻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7)
·아크릴 수지 6.7 부
(다이야날(등록상표) BR-87 미츠비시레이온(주))
·디이모늄염 0.7 부
(CIR-RL 닛폰카릿트(주))
·톨루엔 20 부
·메틸에틸케톤 20 부
(열전사 시트 8의 작성)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1 대신에 하기 조성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8을 이용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전부 열전사 시트 1과 같은 작성 방법으로 열전사 시트 8을 얻었다.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용 도공액 8)
·아크릴 수지 6.7 부
(다이야날(등록상표) BR-87 미츠비시레이온(주))
·디이모늄염 0.3 부
(CIR-RL 닛폰카릿트(주))
·솔벤트 옐로우 93 0.4 부
·톨루엔 20 부
·메틸에틸케톤 20 부
(피전사체 1의 작성)
두께 35 ㎛의 다공질 폴리올레핀 필름(SP-U 미쓰이카가쿠도셀로(주)) 상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도공액 1을 바코터에 의해 건조 시의 두께가 1.5 ㎛가 되도록 도포·건조(110℃, 1분)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프라이머층 상에, 하기 조성의 수용층용 도공액을 바코터에 의해 건조 시의 두께가 4 ㎛가 되도록 도포·건조(110℃, 1분)하여 수용층을 형성하여, 다공질 폴리올레핀 필름, 프라이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를 얻었다. 이어서, 두께 400 ㎛(평량 310 g/㎡)의 심재지(芯材紙)(OKL 카드 오지세이시(주))의 한쪽의 면 및 다른 쪽의 면 양쪽에, 하기 조성의 접착층용 도공액을 건조 시의 두께가 4 ㎛가 되도록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하고, 이 접착층이 젖은 상태에서, 심재지의 한쪽의 면 및 다른 쪽의 면 양쪽에, 접착층을 통해 위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접합하고, 그 후, 접착층의 건조를 행했다. 이에 따라, 심재지의 한쪽의 면 및 다른 쪽의 면 양쪽에, 접착층을 통해 다공질 폴리올레핀 필름, 프라이머층, 수용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피전사체 1을 얻었다.
(프라이머층용 도공액 1)
·폴리에스테르 수지 4.2 부
(폴리에스터(등록상표) WR-905 닛폰고세이카가쿠고교(주))
·산화티탄 8.4 부
(TCA-888 사카이카가쿠고교(주))
·형광증백제 0.07 부
(유비텍스(등록상표) BAC BASF사)
·이소프로필알코올 7.2 부
·물 21 부
(수용층용 도공액)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10 부
(솔바인(등록상표) C 닛신카가쿠고교(주))
·실리콘 오일 1 부
(X-22-3000T 신에츠카가쿠고교(주))
·톨루엔 20 부
·아세트산에틸 20 부
(접착층용 도공액)
·우레탄 수지 30 부
(타케락(등록상표) A-969V 미쓰이카가쿠(주))
·이소시아네이트 10 부
(타케네이트(등록상표) A-5 미쓰이카가쿠(주))
·아세트산에틸 60 부
(피전사체 2의 작성)
프라이머층용 도공액 1을 하기 프라이머층용 도공액 2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는 피전사체 1과 같은 식으로 피전사체 2를 얻었다.
(프라이머층용 도공액 2)
·폴리에스테르 수지 10 부
(MD-1480 도요보(주))
·합성 헥토라이트 10 부
(라포나이트 JS 록우드어디티브스사)
·소포제 0.05 부
(다이놀 604 닛신카가쿠고교(주))
·이소프로필알코올 10 부
·물 80 부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위에서 작성한 열전사 시트 및 피전사체를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조합으로 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합으로 했다. 또한, 후술하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으로 형성한 피전사체 상에 특별 화상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적층체와, 피전사체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가 되는 조합을 실시예로 하고, 색차(ΔE*ab)가 10을 넘는 조합을 비교예로 하고 있다. 또한, 색차(ΔE*ab)는 분광 측정기(i1 X-rite사)를 사용하여 측색했다.
(인화물의 형성)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함유하는 화상(특별 화상)의 형성>
하기 표 1의 조합에 의해, 하기 테스트 프린터를 이용하여, 피전사체 상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용융 전사하여 특별 화상을 형성했다. 특별 화상의 두께는 1.0 ㎛였다.
(테스트 프린터)
서멀 헤드: KEE-57-12GAN2-STA(교세라(주))
발열체 평균 저항치: 3303(Ω)
주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인화 전압: 18(V)
라인 주기: 1.5(msec./line)
인자 시작 온도: 35(℃)
펄스 Duty비: 85(%)
<수용층의 전사>
상기 테스트 프린터를 이용하여, 위에서 형성한 특별 화상 상에 수용층의 전사를 행했다.
<열전사 화상의 전사>
상기 테스트 프린터를 이용하여, 위에서 전사한 수용층 상에 128/256 계조의 그레이 화상을 형성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얻었다.
(인화물 평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합에 의해 형성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화물을 눈으로 보아 확인하여, 특별 화상의 코드 패턴을 인식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하기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미리 특별 화상의 위치를 알고 있는 사람이 보더라도 그 위치, 형상을 인식할 수 없었다.
B: 미리 특별 화상의 위치를 알고 있는 사람이 보면 그 위치, 형상을 인식할 수 있었지만, 모르는 사람이 본 경우, 그 위치, 형상을 인식할 수 없었다.
NG: 미리 특별 화상의 위치, 형상을 모르는 사람이 보더라도 그 위치, 형상을 인식할 수 있었다.
(프린터 검지 평가)
컬러 센서(CZ-H35S 기엔스(주))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합에서 이용하고 있는 열전사 시트의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각 색재층(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시안 색재층) 및 보호층과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아울러 나타낸다.
「평가 기준」
A: 문제 없이 검지할 수 있고, 오검지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B: 검지할 수 있고, 오검지될 가능성이 낮다.
C: 검지할 수 있지만, 오검지될 가능성이 높다.
Figure pct00001
1: 기재, 2: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2A: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층, 2B: 안료 또는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층, 3: 색재층, 5: 제1 전사층, 5A: 수용층, 5B: 프라이머층, 5C: 히트시일층, 7: 제2 전사층, 7A: 보호층, 10: 열전사 시트, 20: 적층체, 50A: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화상(특별 화상), 50B: 열전사 화상, 100: 피전사체, 200: 인화물

Claims (9)

  1.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으로서,
    상기 열전사 시트가, 기재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제1 전사층, 색재층이 면순차로 마련된 열전사 시트이고,
    상기 피전사체와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의 적층체와, 상기 피전사체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이 추가로 안료 또는 유기 염료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이,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층과 안료 또는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층의 적층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구성하는 층 중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층이,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층, 혹은 상기 안료 또는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사층이, 수용층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성, 또는 상기 기재로부터 가장 가까이에 상기 수용층이 위치하는 적층 구성을 나타내는 전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색재층이 승화성 염료를 함유하는 색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7.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를 이용한 인화물의 형성 방법으로서,
    피전사체를 준비하는 피전사체 준비 공정과,
    기재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제1 전사층, 색재층이 면순차로 마련된 열전사 시트를 준비하는 열전사 시트 준비 공정과,
    상기 피전사체의 한쪽의 면에,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을 전사하여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특별 화상을 형성하는 특별 화상 형성 공정과,
    상기 특별 화상 상에, 상기 열전사 시트의 제1 전사층을 전사하는 제1 전사층 전사 공정과,
    상기 전사된 상기 제1 전사층 상에, 상기 열전사 시트의 상기 색재층을 열전사하여 열전사 화상을 형성하는 열전사 화상 형성 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특별 화상 형성 공정에 있어서 형성되는 상기 피전사체와 상기 특별 화상의 적층체와, 상기 피전사체 준비 공정에 있어서 준비되는 상기 피전사체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사층 전사 공정이, 상기 특별 화상 및 상기 피전사체의 한쪽의 면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제1 전사층을 전사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화물의 형성 방법.
  9. 피전사체 상에 열전사 화상을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열전사 시트로서,
    기재의 한쪽의 면에,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 제1 전사층, 색재층이 면순차로 마련되고,
    상기 피전사체와 상기 비가시광선 흡수 재료 함유층의 적층체와, 상기 피전사체와의 색차(ΔE*ab)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시트.
KR1020187023455A 2016-02-25 2017-02-21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체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및 열전사 시트 KR102110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4894 2016-02-25
JP2016034894 2016-02-25
PCT/JP2017/006312 WO2017146029A1 (ja) 2016-02-25 2017-02-21 熱転写シートと被転写体との組合せ、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並びに熱転写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544A true KR20180101544A (ko) 2018-09-12
KR102110997B1 KR102110997B1 (ko) 2020-05-14

Family

ID=5968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455A KR102110997B1 (ko) 2016-02-25 2017-02-21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체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및 열전사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65800B2 (ko)
KR (1) KR102110997B1 (ko)
CN (1) CN108602370B (ko)
TW (1) TWI701159B (ko)
WO (1) WO20171460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3225B (zh) * 2016-09-23 2021-04-01 日商大日本印刷股份有限公司 熱轉印薄片,印刷物之製造方法,熱轉印薄片與熱轉印列表機之組合,熱轉印列表機及遊戲機
MY197947A (en) * 2018-01-31 2023-07-25 Dainippon Printing Co Ltd Thermal transfer sheet, coating liquid for release lay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mal transfer sheet
JP7047443B2 (ja) * 2018-02-16 2022-04-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印画物の製造方法
CN113365847B (zh) * 2019-04-04 2023-05-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热转印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7882B2 (ja) * 1987-11-05 1998-10-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H11227367A (ja) * 1998-02-19 1999-08-24 Dainippon Printing Co Ltd Idカード
JP2003099751A (ja) * 2001-09-21 2003-04-04 Konica Corp 偽変造防止用画像記録体、偽変造防止用icカード及び偽変造防止用カード製造方法
EP1346844A1 (en) * 1998-03-06 2003-09-24 Dai Nippon Printing Co., Ltd. Intermediate transfer recording medium, method of producing printed product and printed product
EP1547806A1 (en) * 2002-10-04 2005-06-29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Authentication/identification card
JP2016022208A (ja) 2014-07-22 2016-0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ゲームカードプリント装置、注文受付端末、及びアーケードゲー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162A (ja) * 1992-11-04 1994-07-12 Toppan Printing Co Ltd 熱転写材
JPH07257059A (ja) * 1994-03-18 1995-10-09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シート
JP2000238416A (ja) * 1999-02-19 2000-09-05 Dainippon Printing Co Ltd 記録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JP4283424B2 (ja) * 2000-07-10 2009-06-24 株式会社資生堂 偽変造防止用素材
JP4467852B2 (ja) * 2001-09-26 2010-05-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受容層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受像シート
CN101244679A (zh) * 2007-02-15 2008-08-20 中国印钞造币总公司 利用同色异谱磁性配对油墨实现防伪的方法
JP5250289B2 (ja) * 2008-03-31 2013-07-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紫外線吸収剤組成物
CN102935769B (zh) * 2012-11-27 2015-04-15 中国人民银行印制科学技术研究所 一种安全制品及印制防伪标记的方法
CN103981735B (zh) * 2014-05-21 2016-03-30 上海贝通色彩科技有限公司 一种水性热转印色浆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7882B2 (ja) * 1987-11-05 1998-10-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H11227367A (ja) * 1998-02-19 1999-08-24 Dainippon Printing Co Ltd Idカード
EP1346844A1 (en) * 1998-03-06 2003-09-24 Dai Nippon Printing Co., Ltd. Intermediate transfer recording medium, method of producing printed product and printed product
JP2003099751A (ja) * 2001-09-21 2003-04-04 Konica Corp 偽変造防止用画像記録体、偽変造防止用icカード及び偽変造防止用カード製造方法
EP1547806A1 (en) * 2002-10-04 2005-06-29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Authentication/identification card
JP2016022208A (ja) 2014-07-22 2016-0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ゲームカードプリント装置、注文受付端末、及びアーケードゲー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997B1 (ko) 2020-05-14
CN108602370B (zh) 2020-06-30
TW201741153A (zh) 2017-12-01
JP6365800B2 (ja) 2018-08-01
WO2017146029A1 (ja) 2017-08-31
JPWO2017146029A1 (ja) 2018-08-09
TWI701159B (zh) 2020-08-11
CN108602370A (zh)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2371B (zh) 中间转印介质、中间转印介质与热转印片的组合、以及印刷物的形成方法
JP6304463B2 (ja) 印画物の形成方法、熱転写シート、及び熱転写シートと中間転写媒体との組合せ
KR20180101544A (ko)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및 인화물의 형성 방법, 및 열전사 시트
US10737520B2 (en) Thermal transfer sheet
US7507452B2 (en) Printing method using pearl pigment
JP6772733B2 (ja) 中間転写媒体、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CN109562631B (zh) 热转印片、印相物的制造方法以及游戏机
US7166559B2 (en) Image forming method, thermal transfer sheet and intermediate transfer recording medium
JP6745052B2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80283B2 (ja) 熱転写シート
WO2019176323A1 (ja) 熱転写シート、中間転写媒体と熱転写シートの組合せ、印画物の製造方法、及び加飾物
JP6631165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9064153A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JP2017081142A (ja) 画像印刷制御システム
JP2019064154A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KR20230020541A (ko) 열전사 시트, 변소색 인화물 및 변소색 인화물의 제조 방법
JP2009083376A (ja) 熱転写記録方法、及び、画像形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