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552A - 홀 플러그 - Google Patents

홀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552A
KR20180100552A KR1020187015866A KR20187015866A KR20180100552A KR 20180100552 A KR20180100552 A KR 20180100552A KR 1020187015866 A KR1020187015866 A KR 1020187015866A KR 20187015866 A KR20187015866 A KR 20187015866A KR 20180100552 A KR20180100552 A KR 20180100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all portion
outer peripheral
plug
peripher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80100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3/00Covers or similar closure members for pressure vessels in general
    • F16J13/02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 F16J13/14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attached exclusively by spring action or elastic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홀 플러그는, 장착부재에 형성된 버링구멍의 원통부 내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외주벽부와; 상기 외주벽부의 삽입방향 반대측의 단부측에서 상기 외주벽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버링구멍의 주변부를 덮는 환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외주벽부에서 상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통부의 선단부에 걸어맞춰지는 돌조부와; 상기 외주벽부의 내측에 걸쳐 놓여지며, 상기 버링구멍을 폐색하는 폐색부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외주벽부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버링구멍의 주연부와 상기 삽입방향에서 오버랩되고, 상기 주연부와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를 가진다.

Description

홀 플러그
본 개시는 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 제5844207호 공보에는 장착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장착되는 홀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이 홀 플러그는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외주벽부와, 외주벽부의 삽입방향 반대측의 단부에서 외주벽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버링구멍의 주변부를 덮는 환형상의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5844207호
그런데, 일본국 특허 제5844207호 공보에 개시된 홀 플러그를 장착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장착할 경우, 홀 플러그를 버링구멍에 필요 이상으로 강하게 압입하면, 플랜지부가 변형되어 버링구멍 내로 끌려들어가게 됨으로써, 홀 플러그가 버링구멍을 꿰뚫고 나가 버릴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장착부재에 형성된 버링구멍으로의 장착시에, 버링구멍을 꿰뚫고 나아가는 것을 억제한 홀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의 홀 플러그는, 장착부재에 형성된 버링구멍의 원통부 내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외주벽부와; 상기 외주벽부의 삽입방향 반대측의 단부측에서 상기 외주벽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버링구멍의 주변부를 덮는 환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외주벽부에서 상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통부의 선단부에 걸어맞춰지는 돌조부와; 상기 외주벽부의 내측에 걸쳐 놓여지며, 상기 버링구멍을 폐색하는 폐색부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외주벽부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버링구멍의 주연부와 상기 삽입방향에서 오버랩되고, 상기 주연부와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를 가지고 있다.
본 개시는, 장착부재에 형성된 버링구멍으로의 장착시에, 버링구멍을 꿰뚫고 나아가는 것을 억제한 홀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홀 플러그를 경사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홀 플러그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홀 플러그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홀 플러그를 장착부재의 버링구멍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홀 플러그의 삽입방향을 따르는 단면도(도 2에 대응하는 단면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홀 플러그를 장착부재의 버링구멍에 과도하게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홀 플러그의 삽입방향을 따르는 단면도(도 2에 대응하는 단면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관한 홀 플러그의 단면도(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관한 홀 플러그의 단면도(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어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홀 플러그(20)를 도 1∼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홀 플러그(20)는 브래킷(10)에 형성된 버링구멍(12)을 폐색하는 부재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5의 일부 도면에 나타내는 화살표 X는 홀 플러그(20){후술하는 외주벽부(22)}의 삽입방향(이하, 적절히 '플러그 삽입방향'이라 기재한다.)을 나타내고, 화살표 Y는 홀 플러그(20){후술하는 외주벽부(22)}의 직경방향(이하, 적절히 '플러그 직경방향'이라 기재한다.)을 나타내고, 부호 CL은 홀 플러그(20){외주벽부(22)}의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플러그 직경방향 내측'이란, 플러그 직경방향을 따라서 중심선(CL)에 가까운 쪽을 가리키고 있다. '플러그 직경방향 외측'이란, 플러그 직경방향을 따라서 중심선(CL)으로부터 먼 쪽을 가리키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10)은 예를 들면 차량의 패널부재(보디 패널 등)(14)에 장착되는 부재이다. 이 브래킷(10)은 판형상부(10A)를 가지고 있으며, 이 판형상부(10A)에 버링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브래킷(10)은 패널부재(14)에 형성된 관통구멍(16)에 버링구멍(12)을 맞춘 상태로 패널부재(14)의 내면(14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링구멍(12)의 직경(D1)은 관통구멍(16)의 직경(D2)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브래킷(10)은 본 개시에 있어서의 장착부재의 일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홀 플러그(20)가 브래킷(10)의 버링구멍(12)에 장착된 상태(도 4의 도시 상태)에서는 패널부재(14)의 관통구멍(16)의 주변부까지가 후술하는 플랜지부(24)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 플러그(20)는 외주벽부(22)와 플랜지부(24)와 돌조부(26)와 폐색부(28)와 맞닿음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홀 플러그(20)는 탄성변형 가능한 수지로 구성된 일체 성형품이다.
외주벽부(22)는 통형상(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패널부재(14)의 관통구멍(16) 및 브래킷(10)의 버링구멍(12)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원통형상에는 그 단면 형상이 정원(正圓) 및 타원인 것이 포함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원환형상에는 정원 및 타원인 것이 포함된다.
플랜지부(24)는 외주벽부(22)의 플러그 삽입방향 반대측의 단부(22A)에서 플러그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원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플랜지부(24)는 그 선단부(24A)에 있어서의 직경(D3)이 패널부재(14)의 관통구멍(16)의 직경(D2)보다도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홀 플러그(20)를 브래킷(10)의 버링구멍(1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플랜지부(24)에 의해서 패널부재(14)의 관통구멍(16)의 주변부가 덮여진다.
돌조부(26)는 외주벽부(22)의 플러그 삽입방향측의 단부(22B)측에서 플러그 직경방향 외측으로 또한 플러그 삽입방향 반대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또, 돌조부(26)는 외주벽부(22)의 외주를 따라서 연속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원환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돌조부(26)의 선단에 있어서의 직경(D4)은 버링구멍(12)의 직경(D1)보다도 큰 직경으로 되어 있다. 환언하면, 돌조부(26)의 선단은 플러그 삽입방향에서 버링구멍(12)의 원통부(12A)의 선단부(24A)와 오버랩되어 있다. 여기서, 홀 플러그(20){외주벽부(22)}의 버링구멍(12)으로의 삽입시에는, 돌조부(26)의 외주면이 버링구멍(12)의 원통부(12A)의 내주면에 맞닿게 됨으로써, 돌조부(26)가 그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직경이 축소된 상태의 돌조부(26)가 원통부(12A)의 선단부(12B)에서 빠져 나가면, 돌조부(26)는 원래 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돌조부(26)의 선단에 있어서의 직경(D4)이 버링구멍(12)의 직경(D1)보다도 큰 직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홀 플러그(20)에 버링구멍(12)에 대해서 발거방향(拔去方向:플러그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돌조부(26)가 선단부(12B)에 걸어맞춰지게(맞닿게) 됨으로써, 발거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폐색부(28)는 외주벽부(22)의 내측에 걸쳐 놓여지며, 외주벽부(22)의 내측을 폐색하고 있다. 따라서, 홀 플러그(20)를 브래킷(10)의 버링구멍(1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폐색부(28)에 의해서 버링구멍(12)이 폐색된다. 이 폐색부(28)는 외주벽부(22)의 플러그 삽입방향측의 단부(22B)에서 플러그 직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원환형상의 내측 돌출부(32)와, 내측 돌출부(32)의 내주 단부에서 플러그 삽입방향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내주벽부(34)와, 내주벽부(34)의 플러그 삽입방향 반대측의 단부 간에 걸쳐 놓여진 면판부(36)를 구비하고 있다.
또, 내주벽부(34)와 외주벽부(22)의 사이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38)가 외주벽부(22)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홀 플러그(20)를 버링구멍(12)에 삽입할 때에는 면판부(36)를 압입함으로써 홀 플러그(20)를 버링구멍(12)에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또, 내주벽부(34)와 외주벽부(22)가 보강 리브(38)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면판부(36)를 압입하는 삽입력을 외주벽부(22)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게다가, 보강 리브(38)에 지지됨으로써, 외주벽부(22)가 플러그 직경방향 내측으로 쓰러져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또, 외주벽부(22)의 플러그 삽입방향의 중간부{플러그 삽입방향에 있어서 단부(22A)와 단부(22B)의 사이의 부분}에는 도중에서 절곡(折曲)되어 플러그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원환형상의 돌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40)의 선단부측(외주 단부측)이 맞닿음부(30)로 되어 있다. 이 돌출부(40)의 선단부측은 버링구멍(12)의 주연부(12C)와 플러그 삽입방향에서 오버랩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홀 플러그(20)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홀 플러그(20)에서는, 폐색부(28)의 면판부(36)를 눌러서 외주벽부(22)를 버링구멍(12)의 원통부(12A) 내로 삽입하면, 돌조부(26)가 원통부(12A)의 선단부(12B)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홀 플러그(20)의 버링구멍(12)으로부터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 돌조부(26)의 걸어맞춤상태에서는 폐색부(28)가 버링구멍(12)을 폐색함과 동시에 플랜지부(24)가 버링구멍(12)의 주변부 및 관통구멍(16)의 주변부를 덮기 때문에, 홀 플러그(20)에 의해서 버링구멍(12) 및 관통구멍(16)이 가려지게 된다.
여기서, 홀 플러그(20)를 버링구멍(12)에 삽입할 때에 필요 이상으로 폐색부(28)를 강하게 압입하면, 플랜지부(24)의 이면(24B)이 관통구멍(16)의 주연부에 맞닿게 됨으로써, 플랜지부(24)가 그 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 직경이 축소되는 변형에 의해서, 플랜지부(24)가 버링구멍(12) 내로 끌려들어가는 것 같이 되게 된다. 그러나, 홀 플러그(20)에서는, 버링구멍(12)의 주연부(12C)와 플러그 삽입방향에서 오버랩되는 맞닿음부(30){돌출부(40)의 선단부측}가 버링구멍(12)의 주연부(12C)와 맞닿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홀 플러그(20)는, 예를 들면 외주벽부(22)에 돌출부(40)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과 비교하여, 브래킷(10)에 형성된 버링구멍(12)으로의 장착시에 버링구멍(12)을 꿰뚫고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또, 홀 플러그(20)에서는, 외주벽부(22)의 중간부에 형성된 돌출부(40)의 선단부측을 맞닿음부(30)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홀 플러그(20)에 버링구멍(12)의 주연부(12C)와 맞닿게 하기 위한 맞닿음부를 전용 부위로서 형성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홀 플러그(20)의 형상을 큰 폭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어 설계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홀 플러그(20)에서는, 외주벽부(22)의 돌출부(40)에서 단부(22A)까지의 벽부분(22C)이 플러그 삽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맞닿음부(30)가 버링구멍(12)의 주연부(12C)에 맞닿았을 때에, 삽입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버티게 된다. 따라서, 플랜지부(24)가 버링구멍(12) 내로 끌려들어가는 것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40)의 선단부측을 맞닿음부(30)로 하고 있으나, 본 개시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홀 플러그(50)와 같이, 외주벽부(22)에 돌출부(40)를 형성하는 것 대신에, 외주벽부(22)의 외주면에서 플러그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원환형상의 돌출부(52)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돌출부(52)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돌출부(40)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삽입방향에서 버링구멍(12)의 주연부(12C)와 오버랩되어 있다. 또,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홀 플러그(60)와 같이, 플랜지부(24)의 이면(24B)에서 플러그 삽입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원통형상의 돌출부(62)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돌출부(62)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돌출부(40)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삽입방향에서 버링구멍(12)의 주연부(12C)와 오버랩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외주벽부(22)에 돌출부(52)를 형성함과 동시에 플랜지부(24)에 돌출부(62)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벽부(22)의 단부(22A)에서 플랜지부(24)가 돌출되어 있으나, 본 개시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주벽부(22)의 단부(22A)측{외주벽부(22)의 플러그 삽입방향의 중앙보다도 단부(22A)측}에서 플랜지부(24)가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외주벽부(22)의 단부(22B)측{외주벽부(22)의 플러그 삽입방향의 중앙보다도 단부(22B)측}에서 돌조부(26)가 돌출되어 있으나, 본 개시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외주벽부(22)의 단부(22B)에서 돌조부(26)가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돌조부(26)를 원환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본 개시는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조부(26)를 외주벽부(22)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상,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이외에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이하의 붙임을 더 개시한다.
(붙임 1)
장착부재에 형성된 버링구멍의 원통부 내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외주벽부와; 상기 외주벽부의 삽입방향 반대측의 단부측에서 상기 외주벽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버링구멍의 주변부를 덮는 환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외주벽부에서 상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통부의 선단부에 걸어맞춰지는 돌조부와; 상기 외주벽부의 내측에 걸쳐 놓여지며, 상기 버링구멍을 폐색하는 폐색부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외주벽부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버링구멍의 주연부와 상기 삽입방향에서 오버랩되고, 상기 주연부와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를 가지는 홀 플러그.
붙임 1의 홀 플러그에서는, 폐색부를 눌러서 외주벽부를 버링구멍의 원통부 내로 삽입하면, 돌조부가 원통부의 선단부에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홀 플러그의 버링구멍으로부터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 돌조부의 걸어맞춤상태에서는 폐색부가 버링구멍을 폐색함과 동시에 플랜지부가 버링구멍의 주변부를 덮기 때문에, 홀 플러그에 의해서 버링구멍이 가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 플러그를 버링구멍에 삽입할 때에 필요 이상으로 폐색부를 강하게 압입하면, 플랜지부가 변형되어 버링구멍 내로 끌려들어가는 것 같이 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홀 플러그에서는, 외주벽부의 삽입방향에서 버링구멍의 주연부와 오버랩되는 맞닿음부가 버링구멍의 주연부와 맞닿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장착부재에 형성된 버링구멍으로의 장착시에 상기 홀 플러그가 버링구멍을 꿰뚫고 나가는 것이 억제된다.
(붙임 2)
붙임 1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부의 상기 삽입방향의 중간부에는 도중에서 절곡되어 상기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측이 상기 맞닿음부로 되어 있는 홀 플러그.
붙임 2의 홀 플러그에서는, 외주벽부의 삽입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의 선단부측을 맞닿음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홀 플러그에 버링구멍의 주연부와 맞닿게 하기 위한 맞닿음부를 전용 부위로서 형성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홀 플러그의 형상을 큰 폭으로 변경할 필요가 없어 설계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017년 2월 1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7-016831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서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서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이고 또한 개개에 기록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내에 참조에 의해서 받아들여진다.

Claims (2)

  1. 장착부재에 형성된 버링구멍의 원통부 내에 삽입되는 통형상의 외주벽부와,
    상기 외주벽부의 삽입방향 반대측의 단부측에서 상기 외주벽부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버링구멍의 주변부를 덮는 환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외주벽부에서 상기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통부의 선단부에 걸어맞춰지는 돌조부와,
    상기 외주벽부의 내측에 걸쳐 놓여지며, 상기 버링구멍을 폐색하는 폐색부와,
    상기 플랜지부 및 상기 외주벽부의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며, 상기 버링구멍의 주연부와 상기 삽입방향에서 오버랩되고, 상기 주연부와 맞닿음 가능한 맞닿음부를 가지는 홀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부의 상기 삽입방향의 중간부에는 도중에서 절곡되어 상기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측이 상기 맞닿음부로 되어 있는 홀 플러그.
KR1020187015866A 2017-02-01 2018-01-31 홀 플러그 KR20180100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16831A JP6803762B2 (ja) 2017-02-01 2017-02-01 ホールプラグ
JPJP-P-2017-016831 2017-02-01
PCT/JP2018/003170 WO2018143257A1 (ja) 2017-02-01 2018-01-31 ホールプラ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552A true KR20180100552A (ko) 2018-09-11

Family

ID=6303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866A KR20180100552A (ko) 2017-02-01 2018-01-31 홀 플러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77158B2 (ko)
EP (1) EP3578858A4 (ko)
JP (1) JP6803762B2 (ko)
KR (1) KR20180100552A (ko)
CN (1) CN110226060B (ko)
WO (1) WO20181432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498A (ko) 2019-12-16 2021-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웨이 플러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6750B (zh) * 2019-09-29 2022-03-15 江苏久维压力容器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良好密封效果的压力容器
US20220381343A1 (en) * 2021-05-31 2022-12-01 Illinois Tool Works Inc. Sealing Pl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207A (ja) 1981-09-10 1983-03-15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9067A (ja) * 1984-08-30 1986-03-26 Kinugawa Rubber Ind Co Ltd グロメツト
JPH0312029U (ko) * 1989-06-14 1991-02-07
JPH0633257Y2 (ja) * 1989-08-11 1994-08-31 カヤバ工業株式会社 盲プラグ
DE4022307A1 (de) * 1990-07-13 1992-01-16 United Carr Gmbh Trw Verschlussdeckel
JP3602986B2 (ja) * 1999-09-10 2004-12-15 矢崎総業株式会社 閉塞栓
DE20107612U1 (de) * 2001-05-04 2001-10-18 Trw Automotive Electron & Comp Verschlussdeckel
DE10333578B3 (de) * 2003-07-24 2004-10-14 A. Raymond & Cie Abdeckkappe
JP2005207513A (ja) * 2004-01-23 2005-08-04 Kayaba Ind Co Ltd シッピングプラグとこのシッピングプラグによるポートの閉塞方法
WO2005114011A1 (ja) * 2004-05-24 2005-12-01 Daiwa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ホールプラグ
JP4896679B2 (ja) * 2006-11-24 2012-03-1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ールプラグ
JP5243914B2 (ja) * 2008-10-08 2013-07-24 株式会社ニフコ ホールプラグ
DE102009018395B4 (de) * 2009-04-22 2011-02-10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Dichtstopfen
JP5746559B2 (ja) * 2011-05-19 2015-07-08 日東電工株式会社 通気構造
ES2415758B1 (es) * 2011-06-20 2014-09-09 Illinois Tool Works, Inc. Tapón obturador de orificios
JP5921353B2 (ja) * 2011-11-16 2016-05-24 株式会社ニフコ ホールプラグ
JP2013155805A (ja) * 2012-01-30 2013-08-15 Toyota Motor Corp ホールプラグ及びこれを備えた車体パネルのシール構造
JP5844207B2 (ja) 2012-04-13 2016-01-13 株式会社ニフコ 両面シール用ホールプラグ
JP2014189025A (ja) * 2013-03-26 2014-10-06 Daihatsu Motor Co Ltd 水抜き孔用ホールプラグ
JP6214335B2 (ja) * 2013-10-24 2017-10-18 株式会社ニフコ ホールプラグ
JP6571367B2 (ja) * 2015-03-31 2019-09-04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ホールプラグ
JP2017016831A (ja) 2015-06-30 2017-01-19 住友理工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シール部材、シール部材ユニット、燃料電池用シール部材の配置方法、針刺し装置
CN110062729B (zh) * 2016-12-14 2022-08-23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密封孔塞
EP3816022B1 (en) * 2019-11-04 2022-05-04 Illinois Tool Works, Inc. Drain pl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4207A (ja) 1981-09-10 1983-03-15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498A (ko) 2019-12-16 2021-06-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원웨이 플러그
US11242094B2 (en) 2019-12-16 2022-02-08 Hyundai Motor Company One-way 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26060B (zh) 2021-06-01
EP3578858A4 (en) 2020-11-11
WO2018143257A1 (ja) 2018-08-09
JP2018123900A (ja) 2018-08-09
EP3578858A1 (en) 2019-12-11
CN110226060A (zh) 2019-09-10
US20190382055A1 (en) 2019-12-19
US11377158B2 (en) 2022-07-05
JP6803762B2 (ja)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0509B2 (en) Hole plug
KR20180100552A (ko) 홀 플러그
US20140319160A1 (en) Hole plug
JP5880457B2 (ja) グロメット
JP5498890B2 (ja) 自動車用の閉塞栓
JP6466310B2 (ja) クリップ
JP6152822B2 (ja) グロメット
JP6088231B2 (ja) ホールプラグ
CN111512075B (zh) 孔塞的安装构造
JP6783748B2 (ja) ホールプラグ
JP2009293661A (ja) プラグ
JP4712672B2 (ja) クリップ
WO2014156495A1 (ja) トルクロッド
JP6282015B2 (ja) グロメット
JP3204936U (ja) バルブステムシール
JP6393150B2 (ja) 防音カバー
JP2015198557A (ja) グロメット
JP6948905B2 (ja) 連結装置
JP7265424B2 (ja) 留め具
JPH0742172U (ja) コード保持構造
JP6298707B2 (ja) 取付具
JP2011025749A (ja) 車両エンジンルームのボンネット用クッションクリップ
JP2020051434A (ja) 密封装置
JP2013217447A (ja) ホールプラグ
JP2012172815A (ja) 閉止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