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291A - 자기 세정되는 애완 동물 털 손질 기구 - Google Patents

자기 세정되는 애완 동물 털 손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291A
KR20180098291A KR1020187019699A KR20187019699A KR20180098291A KR 20180098291 A KR20180098291 A KR 20180098291A KR 1020187019699 A KR1020187019699 A KR 1020187019699A KR 20187019699 A KR20187019699 A KR 20187019699A KR 20180098291 A KR20180098291 A KR 20180098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combs
hair
array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언 머리히
엘리자베스 모리세이
Original Assignee
루모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모 엘엘씨 filed Critical 루모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98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빗들의 변조된 어레이에 의해 애완 동물의 외측 털을 손질하고 빠진 털을 제거하는 기구가 개시된다. 빗 어레이는 털 손질 동작의 반대 방향으로 빗살 대 빗살 간격, 열 대 열 간격 및 빗살 지름에 대해 거친 것에서 미세한 것으로 점차 변한다. 곡면에 정렬되는 빗살들은 또한 긴 것에서 짧은 것으로 열마다 변조된 길이를 가지며, 따라서 빗들은 애완 동물의 외측 털의 베이스에서 그리고 외측 털 전반에서 빠진 털을 수집한다. 전술한 변조는 사용자가 이러한 단일 기구를 사용하여 애완 동물의 외측 털에서 엉킴을 풀고 빠진 털을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의 입력을 증폭하여 큰 세정 스트로크를 생성하여 수집된 털을 제거하는 통합 자기 세정 메커니즘도 존재하며, 이는 긴 빗살들을 갖는 거친 영역을 포함한다. 세정 크로스바 서브어셈블리는 기구의 가볍고 인체 공학적인 설계를 유지하는데 최소의 폼 팩터를 갖는다.

Description

자기 세정되는 애완 동물 털 손질 기구
본 발명은 애완 동물(pet)의 외측 털(coat)을 손질하고 그로부터 빠진 털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손 도구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된 빠진 털을 제거하기 위해 자기 세정되는 그러한 도구들과도 관련된다.
사용자가 애완 동물의 외측 털에서 엉킨 털을 푸는 것은 물론 빠진 털을 제거하는 것(detangle and deshed)을 가능하게 하는 애완 동물용의 인체 공학적 털 손질 기구에 대한 전문가 및 소비자 요구가 있다. 현재, 전문 털 손질사들 및 애완 동물 소유자들은 통상적으로 효과적으로 털 손질을 수행하기 위해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먼저 갈퀴, 즉 긴 이를 가진 거친 빗(long toothed coarse comb)으로 애완 동물을 털 손질하여, 애완 동물의 외측 털에서 엉겨붙은 덩어리를 벗기고 엉킨 털을 풀며, 또한 이중 외측 털을 가진 동물들의 속 외측 털을 제거할 것이다. 이어서, 브러시 또는 빗질 블레이드와 같은 짧은 이를 가진 미세한 빗으로 애완 동물을 털 손질하여, 외측 털의 상부로부터 빠진 털을 수집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들의 목표는 빠진 털을 제거하고, 집안의 오염을 방지하며, 애완 동물 외측 털의 외관 및 광택을 개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이들 프로세스는 상당량의 사용자 시간을 소비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세스들을 위한 현재의 도구들은 가변적인 효력을 갖는데, 이는 애완 동물 외측 털 타입들이 다양하고, 종종 이러한 도구들이 애완 동물 외측 털 타입들의 서브세트에 대해서만 유효하며, 다른 애완 동물 외측 털 타입들에 대해서는 유효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짧은 이를 가진 빗질 블레이드는 길고 감긴 외측 털 타입을 갖는 애완 동물에 대해서는 훨씬 덜 적절한데, 이는 블레이드가 그러한 품종들에 대해서는 부드럽게 털 손질을 하지 못하며, 애완 동물의 외측 털을 잡아 당겨 불편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발견되는 많은 도구는 손잡이의 배치 및 빗살들의 배열과 같은 설계 특성들에 대한 열악한 인체 공학적 고려를 제공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도구를 조작할 수 있는 용이성 및 결과적으로 그의 털 손질 효과에 악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소정의 도구들은 빗살들의 열들의 단부에 그리고 그들에 평행하게 핸들을 결합한다. 그러면, 이러한 도구들의 사용자들은 그들의 팔을 옆으로 움직여 털 손질을 해야 하고, 그들의 손목을 통해 상당한 토크를 인가해야 한다. 게다가, 사용자들은 도구의 모든 빗 열들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털 손질 동작 중에 그들의 손목을 현저하게 회전시켜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힘든 손목 움직임은 도구의 털 손질 효과를 저하시킨다.
애완 동물의 외측 털이 손질됨에 따라 빠진 털이 도구 안에 수집된다. 그러나 도구가 빠진 털로 채워짐에 따라, 빠진 털을 추가로 수집하는 도구의 성능이 감소한다. 따라서, 도구를 효과적으로 계속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또한 종종 손으로 도구들을 자주 세정해야 하며, 이는 상당한 양의 그들의 시간을 더 소비한다.
종래 기술에서 발견되는 도구들에 자기 세정 특징들이 포함되는 경우, 이들은 종종 부피가 크고 효과가 제한된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가동 플레이트들을 포함하고, 빗살들은 슬롯 구멍들 안에 위치하며, 도구를 세정하도록 플레이트를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엄지 버튼에 의해 작동된다. 종래 기술에서 발견되는 자기 세정 특징들을 갖는 도구들이 통상적으로 엄지 누름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고려하면, 그러한 자기 세정 도구들은 비교적 짧은 빗살들로 제한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한들을 해결하며, 상당히 능가한다. 본 발명은 단일 털 손질 기구를 사용하여 애완 동물의 외측 털에서 엉킨 털을 푸는 것은 물론 빠진 털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기구는 거친 것(coarse)에서 미세한 것(fine)으로의 일련의 변조된 빗 타입들 및 변조된 열 간격을 포함하며, 따라서 사용자들이 별개의 거친 도구들 및 미세한 도구들을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시간으로 애완 동물 외측 털을 손질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더욱이, 기구는 모든 외측 털 타입의 애완 동물들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보다 더 효과적이다. 현재 도구들을 사용하는 털 손질에 대한 전술한 접근법에서는, 거친 털 손질에서 미세한 털 손질으로의 단일 단계 변화가 존재하며, 이는 미세한 도구가 애완 동물들의 외측 털을 잡아당김에 따라 그들에게 불편을 유발할 수 있다. 기구 내의 빗살들의 변조된 어레이는 사용자와 애완 동물 모두에게 더 편안한 털 손질 경험을 유발하는데, 이는 거친 빗 어레이에서 미세한 빗 어레이로의 점진적인 변화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기구를 잡을 때, 사용자는 그것을 애완 동물의 외측 털 위에 놓고, 선택된 위치에서 애완 동물 위에 거친 빗을 먼저 놓는다. 이어서, 단일 털 손질 동작에서, 사용자는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의 빗살들을 갖는 제2 빗이 선택된 위치에 도달하도록 기구를 당길 것이다. 그 다음, 털 손질 동작이 계속됨에 따라, 점점 더 미세한 빗들이 외측 털을 통해 털 손질하며, 따라서 선택한 위치에 있는 애완 동물의 털은 거친 빗에서 미세한 빗으로의 진행을 경험한다. 상당한 테스트 후에, 본 발명자들은 손잡이의 세로 주축에 가로로 빗들의 열들을 배향하는 것이 상당한 이점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특히, 빗살 어레이에 대한 손잡이의 인체 공학적 위치는 털 손질 동작 중에 사용자의 손목에 대한 토크를 최소화함으로써 더 효과적인 털 손질을 용이하게 한다.
빗살 어레이에 대한 손잡이의 가로 배열은 그의 장점들을 발견하기 위한 다수의 반복 후에 선택되었는데, 이러한 장점들은 무시할만한 토크가 털 손질 동작 중에 손목에 가해지며, 애완 동물의 외측 털을 손질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당김 타입(pull type)의 동작이 가장 편하다는 것이다. 단일 털 손질 동작 중에 빗살 어레이의 더 미세한 부분이 외측 털을 통과하도록 기구의 정면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손목의 약간의 척골 편향(ulnar deviation)이 또한 요구된다. 따라서, 기구는 사용자의 손목의 회전이 최소화되도록 빗살 팁들을 정렬시키기 위한 적절한 곡선의 선택에 의해 곡선 프로파일을 갖는다.
기구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빗들 상에 수집된 빠진 털을 제거할 수 있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self-cleaning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특징은 순간적으로 동작하며, 따라서 사용자가 기구를 세정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크게 줄인다. 사용자가 메커니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기구 상의 노브를 당김에 따라, 그들의 입력 작용이 증폭되어 그것을 작동시키는 데 필요한 스트로크를 줄이며, 따라서 기구는 인체 공학적이다. 빗들의 열들에 평행하고 그들 사이에 있는 크로스바들은 메커니즘이 자기 세정을 위해 늘어남에 따라 기구의 베이스로부터 앞으로 이동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증폭되면, 메커니즘은 작은 동작에 의해 편안하게 구동되어, 빗살들이 긴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빗 어레이를 세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자기 세정 특징이 제공되는 경우, 세정 스트로크는 단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입력 동작과 동일할 뿐이며, 따라서 그것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세정 특징들은 짧은 이를 갖는 도구들에서만 발견된다.
또한, 기구의 세정 크로스바들 및 척추 서브어셈블리(spine sub-assembly)는 종래 기술에서 발견된 통상적으로 부피가 큰 배열들에 비하여 최소한의 폼 팩터(form-factor)를 가지며, 따라서 가볍고, 기구의 인체 공학적 설계를 따른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11개의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지만,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들의 다수의 변형, 변경 및 조합이 가능하다.
제1 실시예는 장발 외측 털들을 갖는 대형 애완 동물들에 사용하도록 의도된 자기 세정 털 손질 기구를 설명한다. 긴 털을 갖는 애완 동물들의 외측 털들은 엉킴과 덩어리지는 성향을 가지며, 따라서 그러한 외측 털들을 손질하는 것은 엉킴 해제 및 빠진 털 제거 프로세스 양자를 필요로 한다. 제1 실시예는 불균일한 빗살 길이, 빗살 간격 및 열 간격의 일련의 빗들을 갖는 기구를 포함한다. 핸들이 빗 어레이 지지체의 베이스에 결합되어 세로 주축을 규정하며, 이에 대해 빗들의 열들이 가로로 배치된다. 사용자가 기구로 털 손질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애완 동물의 외측 털은 먼저 핸들에 가장 가까이서 대응하는 거친 열 간격(coarse row spacing)을 갖는 긴 거친 빗살들로 선택된 위치에서 침투되어, 먼저 외측 털의 엉킴이 풀린다. 털 손질 동작이 계속되어 기구가 선택된 위치를 지나서 당겨짐에 따라, 빗들은 길이가 점차 짧아지고, 빗살 간격 및 열 간격 양자가 더 미세해져 애완 동물 외측 털 전체에서 빠진 털을 수집한다. 또한, 빗살들의 팁들은 인체 공학적으로 곡면에 정렬되어, 털 손질 동안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손목 회전의 양을 최소화한다. 또한, 기구의 정면은 테이퍼 형상을 가지므로, 애완 동물 외측 털의 제한된 영역들이 기구의 좁은 부분을 사용하여 인체 공학적으로 털 손질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거친 빗들의 처음 2개의 열은 기구가 내구성을 갖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큰 지름의 빗살들을 사용한다. 이러한 빗살들의 제1 열들은 기구 내에서 가장 길기 때문에 본체로부터 가장 큰 외팔보를 갖는다. 큰 지름의 빗살들을 제공하는 것은 그들이 애완 동물 외측 털의 엉킴을 풀 때 겪는 힘으로 인한 영구 변형에 저항하고, 또한 우발적인 손상에 견디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을 보장한다. 작은 지름의 빗살들은 애완 동물의 외측 털에서 빠진 털을 모으기 위하여 어레이의 나머지에서 사용된다. 빗살들이 사용 동안 큰 힘을 받는 경우, 이 실시예에서 그들은 고강도 단조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합금의 특정 예는 항공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7075-T6인데, 그 이유는 그것이 높은 수율과 전단 강도를 가지면서도, 유사한 기계적 특성들을 갖는 강철들과 같은 다른 금속 합금들에 비해 가볍기 때문이다.
제1 실시예는 또한, 사용자가 노브를 조작하여 특징을 작동시키며 기구 내에 수집된 빠진 털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빗 자기 세정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동작 시에, 자기 세정 메커니즘은 본체로부터 떨어지게 빗 열 틈새들 내의 크로스바들을 진행시켜, 수집된 빠진 털을 빗살 어레이 밖으로 강제한다. 메커니즘은 팬터그래프(pantograph)와 같은 가위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작동 스트로크를 증폭시키고, 크로스바 서브어셈블리의 더 큰 전진 스트로크를 출력하며, 긴 빗살 길이들이 존재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전체 빗 어레이를 자기 세정한다. 더욱이, 빗 어레이 틈새들로부터 털을 세정하는 중앙 척추 및 수직 크로스바 서브어셈블리는 최소 폼 팩터를 가지며,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슬롯 구멍들을 갖는 플레이트들보다 훨씬 가볍다.
제2 실시예는 기구의 크기, 빗살 어레이 및 자기 세정 특징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이 제2 실시예는 빗살들의 변조된 어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대안적인 수단을 예시하며, 이에 의하면,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개별의 빗살들 대신에 모두가 다수의 빗살을 갖는 빗 플레이트들의 사용에 의해 동일한 어레이가 생성될 수 있다. 기구가 강하고 내구성이 있으면서도 가볍고 인체 공학적이게 하기 위해, 이 실시예의 빗 플레이트들은 제1 실시예의 개별의 빗살들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강도 단조 알루미늄 합금 7075-T6으로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설계 기본들 및 인체 공학적 고려들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장발 외측 털들을 갖는 소형 애완 동물들에 대해 사용하도록 의도된 기구를 묘사한다. 제3 실시예는 빗살들의 축소 어레이를 포함하는데, 이는 소형 애완 동물들이 털 손질할 더 작은 외측 털 표면적을 갖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의 빗살 어레이는 강한 큰 지름의 빗살들을 갖는 거친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이 부분은 먼저 털 손질 동작에서 외측 털의 엉킴을 푸는데, 이는 긴 털이 엉키는 성향을 갖기 때문이다. 실시예가 애완 동물의 외측 털을 통해 당겨짐에 따라, 빗 어레이는 점차적으로 더 미세해져서 외측 털로부터 빠진 털을 수집한다. 또한, 제3 실시예는 테이퍼 형태의 압축 복귀 스프링이 제1 실시예에서 제시된 것에 비해 더 소형(compact)인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를 유발하는 데 사용되는 대안을 예시한다.
제4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핸들들에 의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세로축을 규정하는 핸들이 기구 본체의 후방에 부착된 핸드 스트랩 대신에 생략되는 대안을 제시한다. 이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 것과 동일한 혁신적인 털 손질 개념들을 포함하지만, 더 소형인 폼 팩터를 갖는다.
제5 실시예는 기구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또 다른 대안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이러한 변형에서는, 반전된 핸들이 빗 어레이 지지체의 후방에 결합되며, 다시 핸들 길이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동일한 세로축을 규정한다.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대한 변경을 예시하며, 여기서 자기 세정 메커니즘은 생략되었다. 이 실시예는 장발 외측 털들을 가진 대형 애완 동물들의 소유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인데, 이는 그들이 기구 안에 수집된 빠진 털을 손으로 세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빗살이 없고 기구의 세로축을 따라 배향된 빗 어레이의 중앙 틈 영역은 사용자가 수집된 빠진 털의 덩어리를 쉽게 집어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제7 실시예는 원칙적으로 제6 실시예와 유사하며, 이 실시예는 장발 외측 털들을 갖는 소형 애완 동물들에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제8 실시예는 단발 외측 털들을 가진 대형 애완 동물들에 사용하도록 구상된 자기 세정 털 손질 기구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균일한 빗살 길이의 일련의 밀접하게 이격된 빗 열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열 내의 빗살들은 서로 밀접하게 이격된다. 짧은 털을 가진 애완 동물들은 길고 굵은 빗살들이 침투될 필요가 없는 얇은 외측 털들을 가지며, 그러한 애완 동물들의 외측 털들은 일반적으로 엉키지 않는다. 따라서, 제8 실시예는 빗 어레이가 빗 어레이의 거칠고 굵은 빗살의 엉킴 해제 부분을 배제하고, 균일한 짧은 길이의 가는 빗살들만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이전 실시예들과 다르다. 본질적으로, 제8 실시예의 빗 어레이는 7075-T6과 같은 고강도 단조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되고 미세한 빠진 털을 수집하도록 설계된 짧은 빗살들의 고밀도 배열이다. 또한, 빗살 팁들의 위치는 열마다 엇갈리게 배치되어, 털 손질 중에 털이 빗 어레이를 통과할 명확한 경로를 제공하지 않으며, 빠진 털을 수집하는 효율을 최대화한다.
제8 실시예의 핸들은 빗 어레이 지지체에 결합되며, 어레이 내의 빗들의 열들이 가로로 배치되는 세로축을 나타낸다. 이러한 배열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사용자로 하여금 그들을 향해 도구를 당김으로써 효과적이고 인체 공학적으로 털 손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빗살들의 팁들은 곡선 프로파일에 정렬되어 털 손질 동안 필요한 손목 회전의 양을 줄인다. 마지막으로, 이전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기구의 정면의 테이퍼 형상은 사용자가 빗 어레이의 더 좁은 부분을 사용하여 애완 동물 외측 털의 제한된 영역들을 털 손질할 수 있게 한다.
제9 실시예는 원칙적으로 제8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자기 세정 메커니즘을 갖지 않는다. 이 실시예는 제8 실시예의 저가 버전으로 구상되는데, 이는 사용자들이 기구 내에 수집된 빠진 털을 수동으로 세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자기 세정 메커니즘에 의해 점유되었을 영역은 빗들의 어레이를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빗살이 없는 틈을 형성한다. 통상적인 구성에서, 틈은 대략 사람 손가락의 폭이다. 핸들이 나타내는 세로축을 따라 배향되는, 빗 어레이 내의 틈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중앙 갭은 사용자가 수집된 털을 그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집어서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0 실시예는 단발 외측 털들을 갖는 소형 애완 동물들을 털 손질하기 위해 고안된 자기 세정 털 손질 기구를 제시한다. 이 실시예는 제8 실시예에 의해 개시된 것과 동일한 설계 및 인체 공학적 규칙들을 따른다. 그러나 소형 애완 동물들은 털 손질할 더 작은 외측 털 표면적을 가지므로, 제10 실시예는 빗살들의 축소된 어레이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제11 실시예는 제10 실시예의 수정 버전이며, 여기서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이 배제되었다. 이 제11 실시예는 단발 외측 털들을 갖는 소형 애완 동물들을 털 손질하기 위한 저가의 기구를 제공하는데, 이는 수집된 빠진 털이 손으로 세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의 전술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도면들은 제1 실시예에 의해 심층적으로 예시된 빗살들의 변조된 어레이 및 통합 자기 세정 메커니즘의 기본들을 예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의 도면들은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장발 외측 털들을 갖는 대형 애완 동물들에 대해 사용하도록 의도된 기구의 경사 정면 사시도이며, 여기서는 핸들이 빗 어레이 지지체의 베이스에 결합되고, 자기 세정 메커니즘이 정지 위치에 있다.
도 2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이 최종 작동 위치에 있는 경사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빗살들의 변조된 어레이를 예시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거친 것에서 미세한 것으로의 열마다의 빗살 간격의 변조 및 털 손질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거친 것에서 미세한 것으로 진행하는 빗들의 열들 사이의 대응하는 간격의 변조를 예시하는 빗살 어레이의 일부의 확대 직교 정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의도된 방식 및 털 손질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이 정지 위치에 있는 경사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털 손질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거친 것에서 미세한 것으로 진행하는 빗들의 열들 사이의 간격의 변조를 예시하는 빗살 어레이의 일부의 확대 직교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기구의 인체 공학적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곡선 프로파일에 대한 빗살 팁들의 정렬을 도시한다.
도 7은 내부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가 기구의 본체 및 핸들로부터 제거된 분해도이다.
도 9는 모든 컴포넌트들의 분해도이다.
도 10a는 정지 위치에 있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최종 작동 위치에 있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등가의 빗살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개별의 빗살들 대신 빗 플레이트들을 사용하는 대안을 예시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다음의 도면은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변조된 어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개별 빗살들 대신 빗 플레이트들이 사용되는 대안을 예시하는 경사 정면 사시도이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장발 외측 털들을 가진 소형 애완 동물들에 대해 사용하기 위한 축소된 기구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테이퍼 형상 압축 복귀 스프링에 의해 더 소형인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들에서 설명된다.
도 12는 장발 외측 털들을 가진 소형 애완 동물들에 사용하기 위한 더 작은 크기의 빗살 어레이를 갖는 대안을 예시하는 경사 정면 사시도이다.
도 13a는 서브어셈블리를 더 작게 만들기 위해 테이퍼 형상의 압축 복귀 스프링을 사용하는 대안을 예시하는, 정지 위치에 있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3b는 최종 작동 위치에 있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는 조정 가능한 핸드 스트랩이 기구 본체의 후방에 부착되는 제1 실시예의 대안이다. 다음의 도면들은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a는 기구 본체의 후방에 부착된 핸드 스트랩 대신에 핸들이 생략된 대안을 예시하는 경사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b는 기구 본체의 후방에 부착된 조정 가능한 핸드 스트랩을 도시하는 경사 배면 사시도이다.
도 14c는 제4 실시예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의도된 방식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제5 실시예는 빗 어레이 지지체의 후방에 반전된 핸들을 결합하는 제1 실시예의 추가 대안을 예시한다. 제5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들에 나타난다.
도 15a는 반전된 핸들이 기구 본체의 후방에 부착되는 대안을 예시하는 경사 정면 사시도이다.
도 15b는 기구 본체의 후방에 부착된 반전된 핸들을 도시하는 경사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c는 제5 실시예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의도된 방식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제6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변경 버전이며, 여기서는 자동 세정 메커니즘이 생략되었다. 제6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들에 제시된다.
도 16a는 장발 외측 털들을 갖는 대형 애완 동물들을 위한 기구의 경사 정면 사시도로서, 여기서는 빗살이 없는 수직 틈 영역이 빗 어레이에 제공되어 수집된 빠진 털이 집기 동작(pinching action)에 의해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도 16b는 제6 실시예의 경사 배면 사시도이다.
제7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유사하며, 장발 외측 털들을 갖는 소형 애완 동물들에 사용하기 위한 축소된 기구이다. 이 실시예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을 배제하고, 손으로 세정되도록 설계된다. 제7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들에서 설명된다.
도 17a는 장발 외측 털들을 갖는 소형 애완 동물들을 위한 기구의 경사 정면 사시도이며, 이 기구는 빗 어레이 내에 수집된 빠진 털을 손으로 집어서 제거함으로써 세정된다.
도 17b는 제7 실시예의 경사 배면 사시도이다.
제8 실시예는 단발 외측 털 타입의 애완 동물용으로 설계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모든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8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들에 도시된다.
도 18a는 단발 외측 털들을 갖는 대형 애완 동물들을 위한 기구의 경사 정면 사시도이며, 이 기구는 빗 어레이 내의 가느다란 짧은 빗살들의 고밀도 배열을 포함한다. 이 도면에서, 자동 세정 메커니즘은 최종 작동 위치에 도시된다.
도 18b는 제8 실시예의 경사 배면 사시도이다.
제9 실시예는 제8 실시예의 변경 버전이며, 여기서 자기 세정 메커니즘은 소비자들에게 저가 모델을 제공하기 위해 생략되었지만, 손으로 세정되어야 한다. 후속하는 도면들은 제9 실시예를 개시한다.
도 19는 단발 외측 털들을 갖는 대형 애완 동물들을 위한 기구의 경사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빗 어레이 내의 틈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수직 갭은 사용자들이 집기 동작에 의해 기구로부터 빠진 털을 세정할 수 있게 한다.
도 20은 짧은 빗살들의 고밀도 배열을 예시하는 제9 실시예의 빗살 어레이의 일부의 확대 직교 정면도이며, 여기서 모든 빗 열들의 빗살들은 서로 밀접하게 이격되고, 미세한 빠진 털을 수집하도록 설계된다.
도 21은 제9 실시예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의도된 방식 및 털 손질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는 경사 배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빗들의 열들 사이의 균일한 밀접한 간격을 예시하는 빗살 어레이의 일부의 확대 직교 사시도이며, 여기서 빗살들의 팁들은 곡선에 정렬되어 기구의 인체 공학적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제10 실시예는 단발 외측 털들을 갖는 소형 애완 동물들을 털 손질하기 위해 설계된 자기 세정 기구이다. 제10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들에서 설명된다.
도 23a는 단발 소형 애완 동물들을 위한 기구의 경사 정면 사시도이며, 여기서 축소된 빗 어레이는 가느다란 짧은 빗살들의 고밀도 배열을 포함한다. 이 도면에서, 자동 세정 메커니즘은 초기 정지 위치에 도시된다.
도 23b는 제10 실시예의 경사 배면 사시도이다.
마지막으로, 제11 실시예는 단발 외측 털들을 갖는 소형 애완 동물들을 털 손질하도록 구상된 기구이다. 제11 실시예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이 배제된다는 것 외에는 제10 실시예에 상당하며, 다음의 도면들에 예시된다.
도 24a는 단발 소형 애완 동물들을 위한 기구의 경사 정면 사시도이며, 이 기구는 빗 어레이 내에 수집된 빠진 털을 집어서 제거함으로써 수동으로 세정된다.
도 24b는 제11 실시예의 경사 배면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는 장발 외측 털을 갖는 대형 애완 동물용으로 의도된 기구에서의 변조된 빗살 어레이 원리를 예시한다. 긴 털은 엉키는 경향이 있으므로, 그러한 외측 털들을 갖는 애완 동물들은 그들의 털 손질을 위한 엉킴 해제 및 빠진 털 제거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 단일 털 손질 동작에서, 사용자는 먼저 어레이의 길고 거친 빗 부분으로 애완 동물의 외측 털에 침투하고, 그 후 어레이 내의 빗살들의 더 짧고 더 미세하고 더 밀접하게 이격된 열들이 외측 털을 손질하여 엉킴을 푸는 동시에 빠진 털을 제거할 것이다. 이 실시예는 또한 자기 세정 메커니즘을 포함하여, 기구 내에 수집된 빠진 털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경사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대형 애완 동물을 털 손질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크기의 기구를 나타낸다. 실시예는 핸들(101)이 결합되는 본체(100)를 포함하고, 이 본체는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는 대체로 평행한 빗살들(103, 104)의 복수의 열을 지지한다. 빗살들(103, 104)의 단일 열이 빗(105)을 구성하고, 기구 내의 빗들(105)의 전체 세트는 빗 어레이(106)를 형성한다. 기구 및 빗 어레이(106)의 정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을 가져서 인체 공학적 사용을 용이하게 하며, 하부에서 상부로 폭이 감소하여 더 좁은 부분이 손발 아래 또는 코 주위와 같은 애완 동물 외측 털의 제한된 영역들을 털 손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도면과 관련하여, 제1 실시예의 경계 크기는 길이 230mm, 폭 115mm 및 깊이 80mm이다.
도 1은 큰 지름의 빗살(103)을 포함하는 어레이(106)의 거친 빗 부분에 가장 가까운 빗 어레이 지지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핸들(101)을 도시하며, 핸들(101)의 길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로 주축을 규정하고, 그에 대해 빗들(105)의 열들이 가로로 배치된다. 규칙적으로 이격된 빗살들(103, 104)의 각각의 단일 열은 도 3의 예시적인 빗 열(105)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빗을 구성한다. 빗살들(106)의 어레이에 대한 핸들(101)의 상기 배향으로부터의 여러 이점은 광범위한 실험에 따라 확인되었다. 기구의 인체 공학은 그의 털 손질 효과의 중요한 팩터이며,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의 핸들(101)의 배열은 사용자가 털 손질을 수행하기 위해 그들을 향해 도구를 당길 수 있게 한다. 도구를 당기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 발견된 것보다 더 편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소정의 도구들은 빗들의 열들의 단부에 그리고 그와 평행하게 결합되는 핸들들을 갖는다. 이러한 도구가 사용자의 측방 팔 동작에 의해 작동되고, 빗들이 손잡이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경우, 불편한 사용자 손목 토크는 종종 털 손질 효과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제1 실시예에서, 빗살 어레이(106)에 대한 핸들(101)의 인체 공학적 위치는 털 손질 동작 중에 사용자의 손목에 대한 토크를 최소화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인 털 손질을 용이하게 한다. 제1 실시예의 털 손질의 방향은 도 5의 동작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다. 사용자에게 일반적으로 더 편안한 당기는 타입의 동작에 의해 조작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는 토크가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진다. 또한, 털 손질 동안, 사용자는 약간의 척골 손목 편향(ulnar wrist deviation)을 수행하여 기구의 정면을 회전시키고, 더 짧고 밀접하게 이격된 빗살들(104)을 포함하는 빗살 어레이(106)의 더 미세한 부분이 애완 동물의 외측 털을 통과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따라서, 기구의 빗살들(103, 104)의 팁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107)에 정렬되어, 실시예의 곡선 프로파일(107)은 상기 기구 정면 회전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최소화한다.
빗 어레이 지지체(comb array support, 100) 및 핸들(101)은 파지 영역(102) 내의 연성 중합체 재료(soft polymeric material)로 후속적으로 오버몰딩되는 경질 중합체 재료(rigid polymeric material)로 제조되어, 사용자는 편하게 도구를 파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들(105)의 처음 2개의 열은 큰 지름의 빗살들(103)을 사용하고, 빗들(105)의 후속 열들은 변조된 어레이(106)에서 작은 지름의 빗살들(104)을 사용한다. 제1 실시예의 굵은 빗살들(103)의 베이스 지름은 3.0mm이고, 이는 지름이 1.5mm인 완전히 둥글고 더 미세한 팁을 갖는다. 제1 실시예의 가는 빗살들(104)의 지름은 1.4mm이고, 완전히 둥근 팁들을 갖는다. 큰 지름의 빗살들(103)은 빗살들(103)이 가장 긴 어레이(106)의 거친 부분에 제공된다. 제1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가장 긴 굵은 빗살들(103)은 지지체로부터 25.0㎜ 길이의 외팔보이다. 이들 빗살(103)은 본체(100)로부터의 가장 큰 외팔보를 갖고, 변형될 위험이 있으며, 이는 털 손질 효과를 감소시키고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150)의 이동을 방해할 것이다. 큰 지름의 빗살들(103)은 털 손질 동작 중에 애완 동물의 외측 털에서 엉킴을 풀기 위해 먼저 동작하고, 따라서 정상적인 동작 중에 상당한 끄는 힘(drag forces)을 받는 것들이다. 또한, 우발적으로, 큰 지름의 빗살들(103)은 예를 들어 털 손질 테이블의 높이에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길고 지름이 큰 빗살(103)의 단면은 그의 작은 지름의 빗살 대응 부분(104)보다 큰 휨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기구에 인가될 수 있는 정상적인 힘 및 우발적인 힘 양자로부터의 영구적인 손상에 저항하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어레이(106)의 보다 미세한 부분의 빗살들(104)은 빠진 털을 수집할 때보다 적은 힘을 받기 때문에, 빗살(103, 104) 단면의 두께는 털 손질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지름의 빗살들(104)은 어레이(106)의 나머지를 채우고, 빗살(104) 대 빗살(104) 그리고 빗 열(105) 대 빗 열(105) 간격은 털 손질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거친 것에서 미세한 것으로 진행한다. 제1 실시예에서, 상기 빗살(103, 104) 대 빗살(103, 104) 및 빗 열(105) 대 빗 열(105) 간격은 털 손질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단조적으로 감소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빗살들(103, 104)은 금속 합금 재료로 제조된다. 금속 합금은 털 손질 동안 과도한 굽힘에 저항하고, 애완 동물 외측 털의 털이 빗살들(103, 104)을 통과하고 빠진 털이 수집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그의 항복 강도 및 전단 강도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금속 합금을 선택할 때의 추가적인 관심들 중 하나는 가볍기도 하여 기구가 인체 공학적이라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많은 도구는 빗살들을 위해 주조 알루미늄 합금들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가볍고, 원하는 형상이 후속 기계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대량 제조 프로세스에서 쉽게 몰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조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것의 단점들 중 하나는 부품이 몰딩시에 마무리되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추가 작업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주조 알루미늄 합금 빗살들을 갖는 털 손질 도구들은 내구성이 없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빗살들이 그들의 부적절한 재료 항복 강도 및 전단 강도로 인해 털 손질 중에 쉽게 구부러지고 부서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가장 강한 상용 주조 합금들 중 하나는 강도를 높이기 위해 T7 템퍼(temper)로 열처리된 알루미늄 구리 합성물인 201-T7이다. 이 주조 합금은 항복 강도가 345 N/mm2이고, 전단 강도가 290 N/mm2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발견되는 도구들에서는 훨씬 더 낮은 등급의 주조 알루미늄 합금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에 의한 다양한 재료 옵션의 상당한 테스트에 의해, 적절히 선택된 단조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당한 이점이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특히, 소정의 고강도 단조 알루미늄 합금들은 전술한 가장 강한 주조 합금들 중 어느 것보다도 훨씬 더 높은 기계적 특성들; 항복 강도 및 전단 강도를 나타낸다. 주조 주괴(cast ingot)로 시작되는 단조 합금들은 베이스 재료를 제조할 때 기계 변형 프로세스에서 강도를 얻는다.
제1 실시예의 빗살들(103, 104)을 위해 선택된 베이스 재료는 주 합금 원소로서 아연을 포함하는 7000 시리즈 알루미늄 합금인 단조 알루미늄 합금 등급 7075-T6으로 제조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재료를 T6 템퍼로 인공 에이징하도록 열처리된 와이어이다. 와이어는 기계 가공되어 필요한 빗살(103, 104)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길이로 절단된다. 2000 알루미늄 구리 합성물 시리즈의 7068-T76 또는 2014-T651과 같은 다수의 고강도 단조 알루미늄 합금 등급들도 실행가능하다. 제1 실시예를 위해 선택된 예시적인 재료인 7075-T6은 510 N/mm2의 항복 강도 및 331 N/mm2의 전단 강도를 갖는 가장 강한 상용 단조 알루미늄 합금들 중 하나이다. 이 특정 합금은 매우 높은 강도 대 밀도 비율을 제공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항공 산업에 공헌했으며, 따라서 7075-T6 고강도 단조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털 손질 기구(103, 104)의 빗살들을 제조하며, 이는 기존 도구들보다 강하다. 어레이(106)의 빗살들(103, 104)을 제조하기 위한 베이스 재료로서 7075-T6 고강도 단조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것은 그들이 적절한 강도를 가져서, 애완 동물들을 털 손질하는 데 사용될 때 확실히 영구적으로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기구는 종래 기술에서 발견되는 대다수의 도구보다 훨씬 더 내구성이 있다. 더욱이, 기구는 사용자에 대해 인체 공학적인데, 이는 예를 들어 이 단조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강도가 빗살들(103, 104)에 대한 일반적인 무른 탄소 강 및 스테인리스 강 대안 재료 선택들에 상당하지만 1/3의 밀도를 가져서 기구가 가볍기 때문이다.
빗살들(103, 104)이 정상 및 우발적인 힘으로부터 영구적인 변형에 견디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들의 재료를 선택할 때의 전술한 강도 고려에 더하여, 재료의 고유 탄성도 적절하게 고려해야 한다. 재료의 탄성 계수는 변형에 대한 그의 저항을 정량화하고, 빗살들(103, 104)의 휨 강도를 결정하는 팩터이다. 제1 실시예의 빗살들(103, 104)을 위해 선택된 7075-T6 단조 알루미늄 합금 재료의 탄성 계수는 70,000 N/mm2이다. 빗살들(103, 104)의 휨 강도는 팁들을 단위 거리만큼 측방으로 편향시키는 데 필요한 힘의 척도로서 정의될 수 있다. 25.0mm 길이, 3.0mm 지름의 빗살들(103)의 경우, 휨 강도는 53.4N/mm이고, 가장 긴 1.4mm 지름, 21.2mm 길이의 빗살들(104)의 경우, 휨 강도는 4.2N/mm이다. 직관적인 관점에서,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큰 지름의 빗살(103)을 그것이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지점까지 밀어낼 가능성은 극히 낮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밀어서 의도적으로 작은 지름의 빗살(104)을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할지라도, 사용자는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상당하고 현저한 힘을 가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직관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빗살(103, 104)의 휨 강도의 관련성은, 애완 동물 외측 털을 손질하는 동안, 빗살들(103, 104)이 너무 유연한 경우, 그들이 휘어져서, 애완 동물 외측 털의 털이 빗 어레이(106)를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기구의 아래로 지나게 하여 털 손질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는 것이다. 전술된 빗살들(103, 104)의 휨 강도는 털 손질 중에 크게 편향되지 않고 우수한 털 손질 성능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7075-T6과 같은 고강도 단조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빗살들(103, 104)의 강도 및 강성은 애완 동물 소유자에게 매우 내구성 있는 기구를 제공한다.
비교하면, 종래 기술에서 발견되는 대다수의 도구들은 빗살 재료 선택에 대해 상당히 더 적은 주의를 기울인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도구들은 열등한 털 손질 성능을 갖고, 수명이 떨어지며, 우리의 유한 환경 자원에 해로운 빈번한 교체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슬리커(slicker)는 짧고 매우 작은 지름의 금속 와이어 강모들의 고밀도 배열을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털 손질 브러시이다. 이러한 와이어 강모들은 매우 유연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의 빗살들과는 달리 손가락으로 눌려질 때 쉽게 편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슬리커 브러시는 특히 외측 털이 엉킨 경우에 두꺼운 외측 털을 손질할 때 열악한 성능을 갖는데, 이는 강모들이 휘고, 애완 동물의 털이 브러시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강모들은 광범위한 털 손질 동안 그들에 가해지는 힘 및 예를 들어 제품이 떨어질 때의 우발적인 힘에 의해 영구히 평평해지기가 매우 쉬우며, 따라서 그러한 도구들은 비교적 짧은 수명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체(100)와 일체로 빗살들(103, 104)을 형성하기 위해 가벼운 중합체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단일 고체(single solid)를 위한 재료는 7075-T6 단조 알루미늄 합금 예에 대해 전술한 것과 유사하거나 더 큰 전단 강도, 항복 강도 및 탄성 계수; 331 N/mm2, 510 N/mm2 및 70,000 N/mm2를 각각 가져야 할 것이다. 몇몇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일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빗살들(103, 104)이 빗들(105)을 지지하는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털 손질 동안 과도한 휨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휨 강도를 갖게 할 수 있는 허용 가능한 재료 대안을 제공한다.
도 1에서,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150)는 기구의 본체(100)의 중심에 위치하고, 정지 위치에 도시된다.
도 2는 자기 세정 서브어셈블리(150)가 작동된 상태의 제1 실시예의 경사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애완 동물의 외측 털을 손질하는 기간 후에, 빗 어레이(106)는 빠진 털을 수집할 것이며, 이는 사용자가 자기 세정 메커니즘(150)을 작동시킬 때 기구로부터 후속 제거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때, 메커니즘(150)은 본체(100)로부터 떨어져 빗 열(105) 틈새들 안으로 빗 세정 크로스바들(169)을 신속하게 연장(protract)하여 빗 어레이(106)로부터 수집된 빠진 털이 떨어지도록 강제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세정 기구로 털 손질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정면 사시도를 제공하며, 여기서는 핸들(101)에 의해 규정된 세로축이 표시되고, 그에 대해 빗들(105)의 열들이 가로로 배치된다. 도면의 일부는 빗 어레이(106)의 변조된 빗살 배열을 상세히 도시하도록 의도된 도 4에서 확대된다.
도 4는 빗살 어레이(106)의 일부의 확대 직교 정면도이다. 이 도면은 거친 것에서 미세한 것으로의 빗 열(105) 대 빗 열(105)의 빗살(103, 104) 간격의 변조, 및 털 손질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거친 것에서 미세한 것으로 진행하는 빗 열들(105) 사이의 간격의 대응하는 변조를 예시한다. 기구가 털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당겨지는 방향은 도 5의 동작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다.
도 4에서, 기구의 하부에 있는 빗 열들(105)은 주어진 열(105)에서의 거친 빗살(103) 대 빗살(103) 간격 및 거친 빗 열(105) 대 빗 열(105) 간격을 갖는 길고 지름이 큰 빗살들(103)을 포함한다. 제1 실시예의 빗 어레이(106)의 가장 거친 부분에서, 빗살들(103)은 5.0mm만큼 이격되고, 빗 열들(105)은 12.0mm만큼 이격된다. 큰 지름의 빗살들(103)을 갖는 이러한 거친 빗들(105)은 먼저 선택된 위치에서 외측 털을 엉킴 해제하고, 일반적으로 속 외측 털(undercoat)로 지칭되는 애완 동물 외측 털의 베이스로부터 빠진 털을 제거한다. 털 손질 동작이 계속되고 기구가 선택된 위치를 지나 당겨짐에 따라, 빗살들(104)은 점점 길이가 짧아지고, 주어진 빗 열(105)에서의 빗살(104) 대 빗살(104) 간격은 더 미세해지고, 빗 열(105) 대 빗 열(105) 간격도 더 미세해져서, 애완 동물의 외측 털 전반에서 빠진 털을 수집한다. 제1 실시예의 빗 어레이(106)의 가장 미세한 부분에서, 빗살들(104)은 3.0mm만큼 이격되고, 빗 열들(105)은 5.0mm만큼 이격된다. 따라서, 기구는 하나의 털 손질 동작에서 애완 동물의 외측 털에서 엉킴을 풀고 빠진 털을 제거한다.
또한, 도 4의 확대된 빗 어레이(106)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103, 104) 팁들의 위치들은 빗 열(105) 대 빗 열(105)로 엇갈린다. 하나의 빗 열(105)로부터 다음 빗 열로의 빗살(103, 104) 위치의 교대는 털 손질 동작 동안 빠진 털이 빗 어레이(106)를 쉽게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빗살들(106)의 어레이를 통과하는 명확한 경로가 없기 때문에, 빠진 털은 매우 효과적으로 수집된다.
제1 실시예의 빗 어레이(106)에 의해 설명된 전술한 빗살 배열(103, 104)로부터 여러 이익이 발생한다. 첫째, 기구는 털 손질 효율을 증가시키며,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몇몇 거칠고 미세한 도구를 사용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하나의 도구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애완 동물을 털 손질하는 데 필요한 평균 시간은 현저히 감소된다. 둘째, 기구는 애완 동물에 대한 편안하고 고통 없는 털 손질 경험을 제공하며, 빗살들(106)의 변조된 어레이는 보다 작은 지름의 빗살들(104)의 더 미세한 빗들(105)이 빠진 털을 수집하기 위해 통과하기 전에 큰 지름의 빗살들(103)을 갖는 거친 빗들(105)로 외측 털이 효과적으로 엉킴 해제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기구는 애완 동물의 외측 털을 당기거나 건강한 털을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다. 마지막으로, 주목할 이익은 기구가 빠진 털을 제거함에 따라 애완 동물 외측 털의 외관과 광택이 개선되어, 그렇지 않을 경우에 죽은 빠진 털에 갇힐 피지선의 천연 오일이 털 축을 따라 퍼지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150)이 정지된 기구의 경사 배면 사시도를 제공하고, 제1 실시예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의도된 방식이 표시된다. 털 손질을 수행하기 위해 도구가 애완 동물 외측 털을 통해 당겨지는 방향은 동작 화살표로 도 5에 표시되어 있다. 도면의 일부는 제1 실시예의 측면 프로파일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 6에 확대되어 있다.
도 6은 기구의 일부의 확대 직교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은 상부를 향해 서로 점점 더 가까워지고 털 손질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거친 것에서 미세한 것으로의 변조된 빗살 어레이(106)를 생성하기 위한 빗살(103, 104) 대 빗살(103, 104) 간격의 감소에 적합한 기구의 하부에서의 넓은 빗 열(105) 대 빗 열(105) 간격으로의 빗 열(105) 간격의 변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상당한 실험 후에, 거친 것에서 미세한 것으로의 빗살(103, 104) 간격의 변조와 결합된 빗 열들(105) 사이의 간격의 변조는 기구의 효과에 중요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구가 가장 우수하게 털 손질을 수행하기 위해, 빗살들(103, 104)은 먼저 애완 동물 외측 털에 침투하고, 피부와 접촉하여, 애완 동물의 털이 털 손질 동작 동안 빗 어레이(106)를 통과하고, 빠진 털이 수집되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빗 어레이(106)의 거친 부분은 먼저 털 손질 동작 동안 애완 동물 외측 털과 접촉한다. 빗 어레이(106)의 이 부분에서, 빗살들(103)은 성기게 배치되며, 따라서 애완 동물 외측 털을 통한 빗살들(103)의 침투를 용이하게 한다. 빗 어레이(106)가 애완 동물 피부와 접촉하면, 외측 털을 통해 당겨짐에 따라, 털은 더 밀접하게 이격된 빗살들(104)을 갖는 빗들을 포함하는 빗 어레이(106)의 고밀도 부분들을 계속 통과할 것이다.
제1 실시예의 곡선 프로파일(107)도 도 6에 도시된다. 빗살들(103, 104)의 팁들은 곡선(107)에 정렬된다. 프로파일로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곡선(107)은 반경이 200mm인 원호이다. 빗 어레이(106)의 거친 부분의 빗살들(103)은 길이가 25.0mm이므로, 애완 동물의 두꺼운 장발 외측 털의 베이스에 침투하여 느슨한 속 외측 털을 제거할 수 있다. 빗 어레이(106)의 더 미세한 부분의 빗살들(104)은 길이가 14.0mm로 점차 짧아지고, 각각의 빗 열(105)의 다양한 빗살(103, 104) 길이는 외측 털의 두께 전체에 걸쳐 빠진 털을 제거한다. 기구는 곡선 프로파일(107)을 가지므로, 단일 털 손질 동작 중에 빗살 어레이(106)의 더 미세한 부분이 외측 털을 통과하도록 기구의 정면을 회전시킬 때 사용자의 손목의 회전이 최소화된다.
도 7은 내부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150)를 나타내는 제1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하기 위한 텍스처 표면을 제공하는, 핸들(101)의 배면 상의 연성 중합체 오버몰드(102)의 오버랩핑 폴드들(overlapping folds)을 도시한다. 도 8에서,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150)는 분해된 도면에서 기구(100)의 본체로부터 제거되었다.
도 9는 모든 컴포넌트가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150)로부터 분리된, 제1 실시예의 추가 분해도를 제공한다. 모든 부분들에 대한 명확한 보기를 제공하는 이 도면은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15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는 도 10a 및도 10b의 후속 설명에서 참조될 것이다.
도 10a는 정지 위치에 있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150)의 단면도이고, 도 10b에서 메커니즘(150)은 완전히 작동되었다.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150)는 빗들(105)을 또한 지지하는 기구의 본체(100)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하우징(157) 내에 수용된다. 제1 실시예에서, 메커니즘 하우징(157)은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다. 메커니즘 하우징(157)은 하우징(157)의 상부에서 2개의 나사(155)에 의해 기구(100)의 본체에 연결되고, 다른 곳에서는 초음파 용접 스터드(163, 164)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팬터그래프 서브어셈블리(172)가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150)의 중심에 위치하며, 그 타입은 일반적으로 가위 메커니즘으로 지칭된다. 팬터그래프(172)는 피벗 스페이서 와셔(167)를 통해 리벳(166)에 의해 중심에 함께 결합된 2개의 바(165)에 의해 형성되고, 링크를 개폐하기 위해 작동 바(154)에 연결된다. 팬터그래프(172)의 고정 축은 하우징 측벽(157)을 통해 상부 구멍(160) 내에 위치된 상부 핀(162)에 의해 제공된다. 슬라이딩 축은 하우징 측벽(157)의 하부 안내 구멍(161)에 위치된 하부 핀(162)에 의해 제공된다. 메커니즘 핀(162)은 단부 캡(158)에 의해 적소에 유지되며, 이들은 또한 동작시에 팬터그래프 바(165)를 안내하기 위한 스페이서 와셔의 역할을 하고, 그들을 기구의 세로축에 정렬되게 유지한다.
팬터그래프(172)의 바(165)는 빗 열(105) 틈새들에 위치하는 빗(105) 세정 크로스바(169)를 지지하는 중앙 척추(168)에 2개의 리벳(166)에 의해 연결된다. 대응하는 고정 상부 구멍(170) 및 슬롯 안내 구멍(171)이 척추(168) 내에 제공되어, 하우징 측벽(157)에 제공된 바와 같은 고정(160) 및 슬라이딩 축 구멍들(161)과 매칭된다. 중앙 척추(168)는 중합체 재료로 제조되며, 대체로 평행한 크로스바들(169)은 빗살들(103, 104)에 대해 전술한 이유로 고강도 단조 알루미늄 합금 7075-T6으로 제조된다. 빗살(105) 세정 크로스바 서브어셈블리(168, 169)는 최소의 폼 팩터를 가지며, 따라서 가볍고, 기구의 전체 인체 공학적 설계를 따른다.
메커니즘(150)은 사용자가 작동 바(154)에 연결된 노브(151)를 당길 때 작동하고, 빗들(105)을 지지하는 기구의 본체(100)에 대해 바깥으로 연장하는 팬터그래프(172)에 전력을 공급한다. 팬터그래프 바(165) 및 작동 바(154)는 기구가 가벼운 것을 보장하기 위해 빗살들(103, 104) 및 크로스바들(169)과 동일한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제조된다. 사용자 조작 가능 노브(151)는 커넥터 피스(152)에 의해 작동 바(154)에 연결되고 2개의 리벳(153)에 의해 고정된다.
털 손질 기구가 사용될 때 그 안에 빠진 털이 신속히 축적된다. 제1 실시예의 자기 세정 특징(150)은 사용자가 깨끗한 빗(105)으로 후속 진행하기 전에 수집된 털 전체를 기구로부터 간단하고 순간적으로 밀 수 있게 한다. 팬터그래프(172)를 사용하여 기구를 세정하는 것의 이점은, 사용자가 노브(151)를 당겨 메커니즘을 작동시킬 때 이들의 입력 당김 동작이 증폭되어 크로스바(169)에 의한 보다 큰 측방 세정 동작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측방 세정 동작의 스트로크는 필요한 입력 스트로크보다 커서, 기구는 인체 공학적이며, 빗살들(103, 104)이 상당한 길이를 갖는 빗 열들(105) 사이를 세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자기 세정 메커니즘(150)이 연장되고, 기구로부터 빠진 털이 세정되면, 작동 바 커넥터(152) 및 작동 노브(151)를 통해 하우징(157)의 후크(159)와 리벳(153) 사이에 제공된 2개의 연장 복귀 스프링(156)은 사용자가 작동 노브(151)를 해제할 때 서브어셈블리(150)를 정지 위치로 복귀시킬 것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개별의 빗살들 대신에 각자 다수의 빗살을 갖는 빗 플레이트들이 빗살들의 변조된 어레이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대안을 예시한다.
도 11은 제2 실시예의 경사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기구의 크기, 핸들(201)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세로 주축, 자기 세정 메커니즘(250) 및 변조된 빗 어레이(206)의 빗 플레이트들(203) 내의 빗살들의 길이 및 위치는 동일하다. 그러나, 제2 실시예는 빗 플레이트들(203)이 개별 빗살들 대신에 기구의 지지체(200)에 고정되는 대안을 예시한다. 제1 실시예에서 유사하게 정의된 바와 같이, 핸들(201) 길이는 빗 플레이트들(203)이 가로로 배치되는 세로축을 나타낸다. 핸들(201)은 핸들(201)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영역에서만 연성 중합체 그립(202)으로 오버몰딩된다. 빗 플레이트들(203)은 또한 1.6 ㎜의 두께로 빗살들을 제조하기 위해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7075-T6 고강도 단조 알루미늄 합금 플레이트로 제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는 이전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또한 장발 외측 털들을 갖는 소형 애완 동물들에 사용하도록 의도되는 경우에는 축소된 크기의 기구에서와 같은, 변조된 빗살 어레이 및 자기 세정 메커니즘의 동일한 원리들을 예시한다. 소형 애완 동물은 털 손질할 더 작은 외측 털 표면적 및 더 제한된 공간을 가지며, 따라서 더 작은 기구 내의 빗살들의 축소된 어레이가 더 인체 공학적으로 사용된다. 제3 실시예의 경계 크기(bounding size)는 길이 205mm, 폭 85mm 및 깊이 80mm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의 경사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동일한 설계 기본 및 인체 공학적 고려가 명백하지만, 빗살들(303, 304)의 열들 및 기구의 핸들(301)을 지지하는 본체(300)는 이전의 실시예들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핸들(301)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세로축을 규정하고, 연성 중합체 그립(302)으로 오버몰딩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클래스프 영역(clasp area)을 제공한다.
소형 애완 동물은 통상적으로 대형 애완 동물보다 낮은 밀도의 외측 털을 갖기 때문에, 빗 어레이(306)의 거친 부분에는 큰 지름의 빗살들(303)의 단일 열이 제공된다. 길고 큰 지름의 빗살들(303)의 단일 열은 소형 애완 동물의 장발 외측 털의 엉킴 해제 중에 그들에게 가해지는 인력에 저항하기에 충분하다. 사용자가 털 손질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거친 빗살(303) 대 빗살(303) 간격을 갖는 제1 빗이 선택된 위치에서 애완 동물의 외측 털와 접촉하게 된다. 작은 지름의 빗살들(304)은 빗 어레이(306)의 나머지를 채우며, 선택된 위치에서의 애완 동물의 털은 도구가 기구가 선택된 위치를 지나 당겨짐에 따라 빗살 대 빗살 및 열 대 열 간격에 대해 거친 것에서 미세한 것으로의 털 손질 진행을 경험한다. 제3 실시예의 털 손질 방향은 도 5의 동작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더 큰 제1 실시예의 털 손질 방향과 동일하다. 제3 실시예의 빗 어레이(306)의 가장 거친 부분에서, 빗살들(303)은 5.0mm만큼 이격되며, 빗 열들 사이의 간격은 12.0㎜이다. 이러한 간격은 작은 지름의 빗살들(304)을 포함하는 빗 어레이(306)의 보다 미세한 부분에서 각각 3.0mm 및 5.0mm로 털 손질 동작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점차 감소한다. 제3 실시예에서, 가장 긴 굵은 빗살(303)은 지지체로부터 25.0mm 길이의 외팔보이며, 가장 짧은 가느다란 빗살(304)은 지지체로부터 14.0mm 길이의 외팔보이다. 굵은 빗살들(303)의 지름은 3.0mm이며, 이는 지름이 1.5mm인 완전히 둥글고 더 미세한 팁을 갖는다. 가는 빗살들(304)의 지름은 1.4mm이다. 빗살(303, 304)의 단면의 두께는 털 손질 동작과 반대 방향으로 감소하는데, 이는 빗 어레이(306) 내의 제1 빗살들(303)이 애완 동물 외측 털의 엉킴 해제시에 큰 힘을 받고, 후속 빗살들(304)이 빠진 털을 수집할 때 더 적은 힘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보다 작은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350)가 기구(300)의 본체 중심에 삽입된다.
도 13a는 정지 위치에서의 제3 실시예의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350)의 단면도를 제공하고, 도 13b는 완전히 작동될 때의 서브어셈블리(350)를 도시한다. 이 메커니즘의 기본 원리들 및 구성 재료들은 제1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제3 실시예의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350)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연장 복귀 스프링(156)과 반대로 테이퍼 형상의 압축 복귀 스프링(356)이 사용될 수 있는 대안을 예시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연장 복귀 스프링들(156)은 그들의 본체 길이에 메커니즘이 늘어남에 따라 그들이 연장되는 양을 더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와 비교하면, 제3 실시예의 메커니즘이 작동됨에 따라, 테이퍼 형상 압축 복귀 스프링(356)은 그 자신의 본체의 공간 내에서 수축하여, 더 소형인 서브어셈블리 배열(350)을 유발하며, 따라서 기구는 보다 소형 애완 동물에 대한 사용에 필요한 더 작은 폼 팩터를 가질 수 있다.
제4 실시예는 핸드 스트랩이 손잡이를 위해 기구 본체의 후방에 부착됨으로써 장발 외측 털들을 갖는 대형 애완 동물들에 대해 의도된 기구가 작은 폼 팩터로 생성될 수 있는 예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는 또한 높이 110mm, 폭 85mm 및 깊이 80mm의 더 작은 경계 크기에서, 상세히 설명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혁신적인 털 손질 개념들을 포함한다.
도 14a는 제4 실시예의 경사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4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빗살 어레이(406) 및 자기 세정 메커니즘(450)은 동일하다. 조정 가능한 핸드 스트랩(401) 대안은 도 14b의 경사 배면 사시도에 예시된다. 핸드 스트랩(401)이 나타내는 세로축은 도면에 표시되며, 모든 전술한 실시예의 핸들이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어레이(406) 내의 빗들의 열들은 상기 세로축에 대해 가로로 배열된다.
도 14c는 제4 실시예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의도된 방식을 도시하고, 털 손질의 방향은 동작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다. 조정 가능한 핸드 스트랩(401)은 빗살 어레이(406)를 지지하는 기구 본체(400)의 후방에 부착되고, 빗살 어레이(406)의 열들에 대해 가로로 그리고 그 바로 뒤에 배향된다. 기구의 인체 공학은 그의 털 손질 효과에서 중요한 팩터이며,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빗살 어레이(406)의 열들에 대한 손잡이(401) 세로축의 가로 배향의 중요성을 결정하기 위해 상당한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제4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그의 손목에 무시할 수 있는 토크로 그의 팔을 옆으로 움직여 털 손질하는데, 이는 사용자의 손이 빗살 어레이(406)에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이다.
제5 실시예는 손잡이를 제외하고는 제4 실시예와 유사하다. 제5 실시예에서, 반전된 핸들이 기구의 본체의 후방에 결합되는 추가적인 손잡이 대안이 제시된다. 이 실시예의 경계 크기는 높이 110mm, 폭 85mm 및 깊이 85mm이다.
도 15a는 제5 실시예의 경사 정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빗살 어레이(506)를 지지하는 기구 본체(500)의 후방에 결합된 반전된 핸들(501)은 실시예의 경사 배면 사시도인 도 15b에서 명백하다. 이러한 실시예(501)의 핸들은 모든 이전의 실시예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세로축을 규정하며, 또한 빗 어레이(506)의 빗살들의 열들은 상기 축에 대해 가로로 배치된다. 반전된 핸들(501)은 연성 중합체 그립(502)으로 오버몰딩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편안한 영역을 제공한다.
도 15c는 실시예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는 의도된 방법을 나타낸다. 빗 어레이(506)에 대한 파지 위치의 근접성을 고려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지는 토크는 낮으며, 핸들(501)에 대한 빗 열들의 가로 배향은 사용자가 기구를 그들을 향해 당김으로써 털 손질할 수 있게 한다. 털 손질의 방향은 도 15c의 동작 화살표로 표시된다. 당김 타입의 동작은 종래 기술의 일부 도구들에 비해 사용자가 수행하기에 가장 편안하다. 종래 기술의 소정의 도구들에서, 핸들은 빗들의 열들의 단부에 그리고 그들에 평행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도구들은 측방 팔 동작에 의해 작동되고, 빗들은 파지 위치로부터 소정의 거리가 있고, 사용자 손목 토크의 불편한 레벨이 생성되어, 털 손질 효과를 감소시킨다.
제6 실시예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이 생략된 제1 실시예의 변경이다. 이 실시예는 장발 외측 털을 가진 대형 애완 동물을 털 손질하기 위한 저가의 기구를 애완 동물 소유자에게 제공하는데, 이는 실시예가 수동으로 세정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6a는 제6 실시예의 정면 경사 사시도를 제공한다. 제6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도 8에 도시된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150)가 없다. 제6 실시예에서 자기 세정 메커니즘 서브어셈블리(150)가 생략된 경우, 빗살 어레이(606)에 빗살이 없는 중앙 틈 영역(680)이 남는다. 빗살 어레이(606) 내의 틈 영역(680)은 핸들(601)이 나타내는 세로축을 따라 배향된다. 빗살이 없는 중앙 틈 영역은 대략 사람의 손가락의 폭이다. 이 중앙 틈 영역(680)은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로 빗살 어레이(606)에 수집된 빠진 털의 덩어리를 집어서 기구로부터 세정할 수 있게 하도록 설계된다. 도 16a에 도시된 도면과 관련하여, 제6 실시예의 경계 크기는 길이 230mm, 폭 115mm 및 깊이 80mm이다.
자기 세정되지 않는 종래 기술의 도구들은 수동으로 세정하기가 특히 어렵다. 이러한 도구들은 사용자가 세정하기에 성가신데, 이는 그들이 빗살들의 매우 밀접한 이격으로 인해 수집된 털의 덩어리를 집을 수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제6 실시예는 빗살 어레이(606)에 중심 틈 영역(680)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매우 용이하게 기구를 수동으로 세정할 수 있게 하는 새롭고 혁신적인 접근법을 예시한다. 빗살 어레이(606)의 틈 영역(680)은 사용자의 집게 및 엄지 공간을 제공하여, 빗살 어레이 지지체(600)의 정면에서 집게 한다. 빠진 털은 털 손질(606) 동안 빗살 어레이(606)에 수집됨에 따라 엉키게 되므로, 대부분의 빠진 털 덩어리는 사용자가 덩어리를 집어서 중앙으로 당길 때 기구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와 유사한 제7 실시예는 장발 외측 털을 갖는 소형 애완 동물을 위한 기구를 개시하며, 이는 중앙 틈 영역(780)으로부터 수집된 털을 집어내는 것에 의한 수동 세정을 요구한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길이 205mm, 폭 85mm 및 깊이 80mm의 축소된 경계 크기를 갖는데, 이는 소형 애완 동물이 털 손질할 더 작은 외측 털 표면적 및 더 타이트한 윤곽을 갖기 때문이다.
제8 및 제9 실시예는 단발 외측 털을 갖는 대형 애완 동물을 털 손질하기 위해 설계된 도구들을 개시한다. 이들 실시예는 도 18a에 도시된 제8 실시예가 자기 세정 메커니즘(850)을 포함하는 반면에 도 19에 도시된 제9 실시예가 자기 세정 메커니즘을 포함하지 않고, 빗살 어레이(906) 내에 빗살들이 없는 중앙 틈 영역(980)으로부터 털을 집어냄으로써 수동으로 세정되도록 설계된다는 점 외에는 유사하다. 이들 실시예의 경계 크기는 115mm 폭, 230mm 길이 및 80mm 깊이이다. 인체 공학, 및 자기 세정 및 수동 세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설계와 관련하여, 이들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논의된 것과 동일한 고려 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가 전술한 모든 실시예와 다른 것은 빗살 어레이들(806, 906) 내의 빗살들(804, 904)의 타입 및 배열이다.
제8 및 제9 실시예의 빗살 어레이들(806, 906)은 동일하다. 이들의 장점은 제9 실시예의 빗살 어레이(906)의 확대 직교 정면도인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빗살 어레이(906)는 7075-T6과 같은 고강도 단조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고 미세한 빠진 털을 수집하도록 설계된 짧은 빗살들(904)의 고밀도 배열을 포함한다. 각각의 빗 열(905)은 서로 밀접하게 이격된 작은 지름의 빗살들(904)을 포함한다. 빗살들(904)의 팁들 사이의 간격은 2.5mm이다. 제9 실시예의 가는 빗살들(904)의 지름은 1.4mm이며, 완전히 둥근 팁을 갖는다. 또한, 빗들(905)의 모든 열들은 5.0mm 간격으로 밀접하게 이격된다. 빗 열(905) 대 빗 열(905)로, 빗살들(904)의 팁들의 위치는 엇갈리게 배치되며, 따라서 하나의 빗 열(905)의 빗살들(904)은 인접한 열들(905)의 빗살들(904) 사이의 틈새들에 배치된다. 어레이(906) 내의 빗살들(904)의 이러한 고밀도 공간 배열은 단발 애완 동물들에 대한 털 손질 성능을 최대화하며, 다수의 미세한 빗(905)은 미세한 빠진 털이 빗살 어레이(906)를 통과할 임의의 명확한 경로를 최소화하여 털이 수집될 수 있게 한다.
짧은 털을 가진 애완 동물의 외측 털은 거의 엉키지 않으며, 또한 그들의 외측 털은 얇아서, 이러한 빗살 어레이(906)에서의 길고 굵은 빗살들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한다. 따라서, 빗 어레이(906)는 균일한 짧은 길이의 작은 지름의 빗살들(904)만을 포함한다. 빗들(905)의 열들은 가장 효과적이고 인체 공학적인 털 손질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광범위한 실험 후에 결정된, 핸들(901)이 나타내는 세로축에 대하여 가로로 배치되며, 사용자는 털 손질을 수행하기 위해 기구를 그들을 향해 편안하게 당긴다. 털 손질 동작의 방향 및 제9 실시예가 유지되는 의도된 방식이 도 21에 나타나 있다. 빗살들(904)의 팁들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곡선(907)에 정렬되어, 털 손질 동작 중에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손목 회전 양을 최소화한다.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제9 실시예에서, 곡선(907)은 200mm의 반경을 갖는 원호이다. 또한, 빗 지지체(900) 및 빗살 어레이(906)는 핸들(901)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애완 동물 외측 털의 제한된 영역을 털 손질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제10 및 제11 실시예는 단발 외측 털을 갖는 소형 애완 동물을 털 손질하기 위해 설계된 기구들을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축소된 빗살 어레이(1006, 1106)를 갖는 전술한 제8 및 제9 실시예와 유사한데, 이는 소형 애완 동물이 털 손질할 더 작은 표면적을 갖기 때문이다. 이들 실시예의 경계 크기는 길이 205mm, 폭 85mm 및 깊이 80mm이다.
도 23a에 도시된 제10 실시예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1050)을 포함하는 모델이다. 도 24a에 도시된 제11 실시예는 자기 세정 메커니즘이 배제된다는 점에서 저가 모델인 것으로 의도되며, 중앙 틈 영역(1180)에서 집기 동작에 의해 수동으로 세정되어 수집된 털을 제거한다. 빗살 어레이들(1006, 1106)은 동일하고, 제8 및 제9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빗살 어레이들(806, 906)과 유사한 고밀도 배열을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많은 변형 및 변경이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2)

  1. 동물의 털을 손질하기 위한 기구로서,
    세로축을 규정하는 길이를 갖는 핸들;
    상기 핸들에 결합된 빗 지지체;
    상기 빗 지지체에 장착된 빗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어레이는 복수의 대체로 평행한 열을 갖고, 각각의 열은 빗으로 채워지고, 각각의 빗은 상기 세로축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며, 각각의 빗은 규칙적으로 이격된 대체로 평행한 빗살들의 세트를 가지며;
    상기 빗들의 빗살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빗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세로축을 따른 동작의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1 간격의 빗살들을 갖는 제1 빗이 상기 동물 상의 선택된 위치에 있고, 이어서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의 빗살들을 갖는 제2 빗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선택된 위치에 있는 털이 거친 것에서 더 미세하게 이격된 빗살들로의 진행을 경험하는,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축을 따라 선택되는 임의의 빗의 빗살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동작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선택된 빗의 위치의 제1 함수(function)로서 단조적으로 감소하는,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의 인접한 열들 내의 선택된 빗들의 쌍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세로축을 따라 상기 선택된 빗들의 쌍들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세로축을 따른 동작의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사이에 제1 간격을 갖는 인접한 빗들의 제1 쌍이 상기 동물 상의 선택된 위치에 있고, 이어서 사이에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을 갖는 인접한 빗들의 제2 쌍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선택된 위치에 있는 털이 거친 것에서 더 미세하게 이격된 인접한 빗들의 쌍들로의 진행을 경험하는,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축을 따라 선택되는 상기 어레이의 인접한 열들 내의 빗들의 쌍 사이의 간격은 상기 동작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선택된 빗들의 위치의 제2 함수로서 단조적으로 감소하는,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빗의 상기 빗살들의 상기 길이는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빗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동작의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1 길이의 빗살들을 갖는 제1 빗이 상기 동물 상의 선택된 위치에 있고, 이어서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의 빗살들을 갖는 제2 빗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선택된 위치에 있는 털이 긴 것에서 짧은 빗살들로의 진행을 경험하는,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축을 따라 선택되는 상기 어레이 내의 빗은 균일한 길이의 빗살들의 세트를 가지며, 상기 선택된 빗의 상기 빗살들의 세트의 길이는 상기 동작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선택된 빗의 위치의 제3 함수로서 단조적으로 감소하는,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빗들의 어레이는 상기 어레이 내의 각각의 빗의 상기 빗살들의 세트의 팁들이 만곡된 표면을 공동으로 규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빗 지지체에 장착되는,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빗은 빗살들의 열을 상기 빗 지지체에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빗살들은 그들이 상기 빗 지지체에 장착되는 단면에서 두께를 가지며, 선택된 인접한 빗들의 쌍 내의 상기 빗살들의 두께는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선택된 빗들의 쌍들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동작의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1 두께의 빗살들을 갖는 제1 빗이 상기 동물 상의 선택된 위치에 있고, 이어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의 빗살들을 갖는 제2 빗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선택된 위치에 있는 털이 더 두꺼운 것에서 더 얇은 빗살들로의 진행을 경험하는,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들은 단조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들은 단조 7075-T6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들의 어레이는 빗살이 없는 중앙 틈 영역에 의해 상기 세로축에 대해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며;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동작의 방향으로 당겨진 후, 상기 빗살들 내에 수집된 빠진 애완 동물 털을 상기 틈 영역 안에서 집어서 잡아냄(gain purchase)으로써 상기 기구의 수동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구.
  12. 동물의 털을 손질하기 위한 기구로서,
    세로축을 갖는 빗 지지체;
    상기 빗 지지체에 장착된 빗들의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는 복수의 대체로 평행한 열을 갖고, 각각의 열은 빗으로 채워지고, 각각의 빗은 상기 세로축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며, 각각의 빗은 규칙적으로 이격된 대체로 평행한 빗살들의 세트를 가지며;
    상기 어레이의 인접한 열들 내의 선택된 빗들의 쌍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선택된 빗들의 쌍들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세로축을 따른 동작의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사이에 제1 간격을 갖는 인접한 빗들의 제1 쌍이 상기 동물 상의 선택된 위치에 있고, 이어서 사이에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을 갖는 인접한 빗들의 제2 쌍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선택된 위치에 있는 털이 거친 것에서 더 미세하게 이격된 인접한 빗들의 쌍들로의 진행을 경험하는,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축을 따라 선택되는 상기 어레이의 인접한 열들 내의 빗들의 쌍 사이의 간격은 상기 동작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선택된 빗들의 위치의 제2 함수로서 단조적으로 감소하는, 기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빗 지지체에 부착된 핸들을 더 포함하는,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세로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주축을 갖는, 기구.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빗들의 빗살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빗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세로축을 따른 동작의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1 간격의 빗살들을 갖는 제1 빗이 상기 동물 상의 선택된 위치에 있고, 이어서 상기 제1 간격보다 작은 제2 간격의 빗살들을 갖는 제2 빗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선택된 위치에 있는 털이 거친 것에서 더 미세하게 이격된 빗살들로의 진행을 경험하는,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축을 따라 선택되는 임의의 빗의 빗살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동작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선택된 빗의 위치의 제1 함수로서 단조적으로 감소하는, 기구.
  18. 제12항에 있어서,
    빗의 상기 빗살들의 상기 길이는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빗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동작의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1 길이의 빗살들을 갖는 제1 빗이 상기 동물 상의 선택된 위치에 있고, 이어서 상기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의 빗살들을 갖는 제2 빗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선택된 위치에 있는 털이 긴 것에서 짧은 빗살들로의 진행을 경험하는, 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축을 따라 선택되는 상기 어레이 내의 빗은 균일한 길이의 빗살들의 세트를 가지며, 상기 선택된 빗의 상기 빗살들의 세트의 길이는 상기 동작의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선택된 빗의 위치의 제3 함수로서 단조적으로 감소하는, 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빗들의 어레이는 상기 어레이 내의 각각의 빗의 상기 빗살들의 세트의 팁들이 만곡된 표면을 공동으로 규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빗 지지체에 장착되는, 기구.
  21.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빗은 빗살들의 열을 상기 빗 지지체에 장착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빗살들은 그들이 상기 빗 지지체에 장착되는 단면에서 두께를 가지며, 선택된 인접한 빗들의 쌍 내의 상기 빗살들의 두께는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선택된 빗들의 쌍들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동작의 방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1 두께의 빗살들을 갖는 제1 빗이 상기 동물 상의 선택된 위치에 있고, 이어서 상기 제1 두께보다 작은 제2 두께의 빗살들을 갖는 제2 빗이 상기 선택된 위치에 도달하고, 상기 선택된 위치에 있는 털이 더 두꺼운 것에서 더 얇은 빗살들로의 진행을 경험하는, 기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들은 단조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기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들은 단조 7075-T6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기구.
  2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빗들의 어레이는 빗살이 없는 중앙 틈 영역에 의해 상기 세로축에 대해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세로축을 따른 상기 동작의 방향으로 당겨진 후, 상기 빗살들 내에 수집된 빠진 애완 동물 털을 상기 틈 영역 안에서 집어내어 제거함으로써 상기 기구의 수동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구.
  25. 동물의 털을 손질하기 위한 기구로서,
    세로축을 갖는 빗 지지체;
    상기 빗 지지체에 장착된 빗들의 어레이로서, 상기 어레이는 복수의 대체로 평행한 열을 갖고, 각각의 열은 빗으로 채워지고, 각각의 빗은 상기 세로축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고, 각각의 빗은 규칙적으로 이격된 대체로 평행한 빗살들의 세트를 갖고, 인접한 열들의 각각의 쌍은 틈새를 규정하는, 빗들의 어레이;
    복수의 대체로 평행한 바를 갖는 빗 세정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바는 상기 빗살들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의 동작을 위해 상기 틈새들 중 상이한 하나의 틈새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빗 지지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바들의 동작은 상기 빗살들 내에 수집된 빠진 애완 동물 털이 상기 빗 지지체로부터 떨어지도록 강제하여 상기 기구의 세정을 용이하게 하는, 기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빗 세정기는 상기 대체로 평행한 바들이 결합되는 중앙 척추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척추는 상기 세로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기구.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빗 세정기는 상기 빗 지지체에 결합되고 상기 대체로 평행한 바들이 장착되는 장착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메커니즘은
    사용자 조작 가능 핸들; 및
    상기 빗 세정기와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 핸들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팬터그래프를 포함하며, 상기 팬터그래프는 상기 사용자 조작 가능 핸들의 상기 사용자의 입력 작동 스트로크를 증폭하여 상기 빗 지지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빗 세정기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기구.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빗 세정기 및 장착 메커니즘의 컴포넌트들은 단조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기구.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빗 세정기 및 장착 메커니즘의 컴포넌트들은 단조 7075-T6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기구.
  30. 동물의 털을 손질하기 위한 기구로서,
    빗 지지체;
    상기 빗 지지체에 장착된 빗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빗들은 규칙적으로 이격된 대체로 평행한 빗살들의 세트를 가지며;
    상기 빗살들은 단조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고;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당겨짐에 따라, 가벼운 빗살들은 털 손질 동안 상기 기구에 가해질 수 있는 정상적인 힘 및 우발적인 힘 양자로부터의 영구적인 손상에 저항하기에 충분한 재료 강도를 갖는, 기구.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들은 단조 7075-T6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기구.
  32. 동물의 털을 손질하기 위한 기구로서,
    빗 지지체;
    상기 빗 지지체에 장착된 빗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빗들은 규칙적으로 이격된 대체로 평행한 빗살들의 세트를 가지며;
    상기 빗들의 어레이는 빗살이 없는 임의 배향의 틈 영역에 의해 부분들로 분할되고;
    그 결과, 상기 빗 지지체가 상기 동물의 털의 손질을 실시하기 위해 당겨진 후, 상기 빗살들 내에 수집된 빠진 애완 동물 털을 상기 틈 영역 안에서 집어서 잡아냄으로써 상기 기구의 수동 세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구.
KR1020187019699A 2015-12-17 2016-12-14 자기 세정되는 애완 동물 털 손질 기구 KR201800982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72,095 US10034455B2 (en) 2015-12-17 2015-12-17 Self-cleaning pet grooming implement
US14/972,095 2015-12-17
PCT/US2016/066515 WO2017106260A1 (en) 2015-12-17 2016-12-14 Self-cleaning pet grooming imp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291A true KR20180098291A (ko) 2018-09-03

Family

ID=59057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699A KR20180098291A (ko) 2015-12-17 2016-12-14 자기 세정되는 애완 동물 털 손질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10034455B2 (ko)
EP (1) EP3389370A4 (ko)
JP (1) JP2018537985A (ko)
KR (1) KR20180098291A (ko)
CN (1) CN108430214A (ko)
AU (1) AU2016371895A1 (ko)
CA (1) CA3008001A1 (ko)
WO (1) WO201710626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835A (ko) 2018-10-18 2020-04-28 박현도 브러쉬와 목욕용 타올을 겸용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케어유닛
WO2020105783A1 (ko) * 2018-11-23 2020-05-28 조병규 펫 스타일러
KR20210000878U (ko) 2019-10-15 2021-04-23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4455B2 (en) * 2015-12-17 2018-07-31 Lumo Llc Self-cleaning pet grooming implement
USD848680S1 (en) * 2017-01-25 2019-05-14 Stout Stuff, Llc Pet grooming tool
US10918186B2 (en) * 2018-02-15 2021-02-16 Edward Ott Self cleaning brush with hair collection
CN108990827A (zh) * 2018-10-22 2018-12-14 宁波宏都模塑有限公司 宠物梳子和卸毛机构及梳理方法
EP3718431A1 (en) * 2019-04-03 2020-10-07 Koninklijke Philips N.V. Hair care device having ion generator
CN110169642A (zh) * 2019-06-27 2019-08-27 吴俊杰 一种易清洁的梳子
CN110951926A (zh) * 2019-12-06 2020-04-03 共青城航群电子有限公司 一种电热敷垫加工用原料梳理设备
DE202019106839U1 (de) * 2019-12-09 2020-02-05 Yvonne Fischer Kammgriff und Kamm
CN111139558A (zh) * 2020-02-14 2020-05-12 袁文安 一种刮齿去齿毛的棉花清花机内部去壳打松装置
WO2022012272A1 (zh) * 2020-07-16 2022-01-20 深圳市仪成科技有限公司 一种直发梳
WO2022173801A1 (en) 2021-02-11 2022-08-18 Porter David R Pet grooming tool with multiple pet engageable portions
US20220400652A1 (en) * 2021-06-16 2022-12-22 Hartdesign! Ltd. Pet grooming and massage tool
WO2023278830A1 (en) * 2021-07-02 2023-01-05 Towerstar Pe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t hair removal
CN218451282U (zh) * 2022-06-14 2023-02-07 深圳市古力古利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宠物除毛梳
USD1019152S1 (en) * 2022-09-30 2024-03-26 Ningbo Jinli Technology Co., Ltd. Hairbrush

Family Cites Families (10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349A (en) * 1881-12-06 Half to vaenum k tatloe
US997A (en) 1838-11-03 Nathaniel c
US591273A (en) * 1897-10-05 Combined currycomb and brush
US1303500A (en) 1919-05-13 Morris bosxnbeba
US430077A (en) 1890-06-10 Brush
US186652A (en) * 1877-01-23 Improvement in curry-combs
US749596A (en) * 1904-01-12 Currycomb
US202410A (en) * 1878-04-16 Improvement in curry-combs
US1326782A (en) * 1919-12-30 Cttrrycohb
US578223A (en) 1897-03-02 Currycomb
US248817A (en) * 1881-10-25 Curry-comb
US648845A (en) * 1899-12-21 1900-05-01 William S Callery Legging.
US670254A (en) 1900-09-11 1901-03-19 Vandalia Slater Sr Currycomb.
US717377A (en) 1902-10-16 1902-12-30 Charles E Flanders Currycomb or card-cleaner.
US930678A (en) 1908-06-16 1909-08-10 William J Moore Hair-dressing appliance.
US930878A (en) 1909-01-20 1909-08-10 Cary Albert Neyland Current-motor.
US1012653A (en) * 1909-10-21 1911-12-26 Burton D Knickerbocker Massage-brush.
US1058705A (en) 1910-04-18 1913-04-08 Johann David Guettinger Animal-comb.
US1025793A (en) * 1911-05-23 1912-05-07 Horace F Endsley Currycomb and brush.
US1031485A (en) * 1912-01-13 1912-07-02 Charles W Dobyns Comb.
US1135645A (en) * 1913-05-12 1915-04-13 William E Woodall Combined brush and comb.
US1142698A (en) 1914-04-09 1915-06-08 Edwin W Grove Combination-brush.
US1172544A (en) * 1915-03-08 1916-02-22 Ernst Metzner Brush.
US1280204A (en) * 1918-06-21 1918-10-01 Wilfred D Garber Self-cleaning currycomb.
US1386344A (en) * 1920-07-22 1921-08-02 Halvor A Lund Combination comb and brush
US1401134A (en) * 1921-07-18 1921-12-27 Butterfield Justus Combined currycomb and brush
US1644208A (en) * 1926-01-25 1927-10-04 Jr Hugh Stephens Combination hair comb and brush
US1689209A (en) 1926-12-02 1928-10-30 Majewski Clara Brush cleaner
US1711486A (en) * 1928-02-29 1929-05-07 Bushman Louis Comb brush
GB449580A (en) * 1935-04-04 1936-06-30 Henry Herbert Thomas An improved curry-comb
US2043758A (en) * 1935-09-13 1936-06-09 Harry J Lay Street push broom
US2205200A (en) 1939-03-23 1940-06-18 Delamere Co Inc Comb
US2238603A (en) 1940-03-18 1941-04-15 Garland D Runnels Comb-brush
GB539653A (en) 1940-06-27 1941-09-18 William Huppert Improved hair comb
US2363967A (en) 1942-05-02 1944-11-28 Smith Corp A O Multilayer vessel
US2383967A (en) 1943-01-18 1945-09-04 Hernon Lon Combination comb and brush
US2529927A (en) 1946-05-27 1950-11-14 Fisk Howard Wilson Hairbrush with slidable bristle cleaning means attached thereto
US2801450A (en) 1953-05-25 1957-08-06 Funke Carl Sealing device
US2781739A (en) * 1953-06-17 1957-02-19 Dick Marion Talbert Animal hair groomer
DE950461C (de) 1953-08-03 1956-10-11 Alfredo Bodone Haarbuerste
US2881460A (en) * 1954-08-25 1959-04-14 Baudouin Jacques Brush with cleaning and protecting means
GB794594A (en) 1954-08-25 1958-05-07 Jacques Baudoui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hair or other brushes
US2879777A (en) 1956-12-19 1959-03-31 Miller John Hair cutting guide
US3059260A (en) 1959-11-16 1962-10-23 Lester R Peilet Spring actuated self-cleaning retractable brush or the like
US3107665A (en) 1961-05-03 1963-10-22 Olof N Nordgren Massage device
US3133546A (en) 1961-05-24 1964-05-19 Valden Company Combination comb and brush
FR1334462A (fr) * 1962-06-27 1963-08-09 Brosse-peigne aspirante
US3172139A (en) 1963-10-23 1965-03-09 Marvin M Wire Hairbrush
US3574885A (en) * 1969-04-01 1971-04-13 Genevieve M Jones Pet brush
JPS5191594U (ko) * 1975-01-17 1976-07-22
US4412365A (en) * 1977-03-28 1983-11-01 Jack S. Friedman Brush
US4226251A (en) 1979-02-23 1980-10-07 Albert Wall Hairbrush construction
JPS55160160U (ko) * 1979-05-08 1980-11-17
USD260949S (en) * 1979-11-23 1981-09-29 Megna Salvatore J Hair brush
USD264275S (en) * 1980-04-21 1982-05-11 Megna Salvatore J Hair brush
JPS6079333U (ja) * 1983-11-05 1985-06-03 坂神 康則 ヘアブラシ
US4730361A (en) * 1986-07-21 1988-03-15 Henry Koffler Hairbrush constructed and arranged to lift and shape hair
JPS63135823U (ko) * 1987-02-28 1988-09-06
USD317083S (en) 1989-05-25 1991-05-28 Fargo Chou Retractable fountain brush
US5267528A (en) 1993-03-18 1993-12-07 Murieen Sr R C Animal grooming brush
DE29503203U1 (de) * 1995-02-25 1996-07-04 Vkv Kunststoffanwendung Gmbh Vorrichtung zum Schutze von mindestens einem auf einer Oberfläche aufgebrachten Merkmal gegen Fälschung
US5603137A (en) * 1995-07-20 1997-02-18 Hasan; Tariq Brush with cleaning attachment
US6082307A (en) 1995-07-21 2000-07-04 Landreneau; Randall L. Interchangeable grooming apparatus for animals
US5862780A (en) 1995-07-21 1999-01-26 Landreneau; Randall L. Grooming tool for pets
JPH0965790A (ja) * 1995-09-01 1997-03-11 Haruki Koseki ペット用ブラシ
DE19606052A1 (de) * 1996-02-19 1997-08-21 Klaus Mond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pplikation pastöser Kosmetika
US5922139A (en) * 1997-02-20 1999-07-13 Gilbert; James Rake for cleaning the teeth of carpet stretchers
US5926902A (en) * 1998-05-29 1999-07-27 Pierre; A. Joseph Hairbrushes, combs, or the like having a cleaning plate
USD468541S1 (en) * 2000-01-19 2003-01-14 Joseph S. Kanfer Brush
US6513457B2 (en) 2000-02-22 2003-02-04 Thomas Mitchell Huddleston Catch'em flea brush
US6782846B1 (en) 2000-05-30 2004-08-31 Angela L. Porter Pet grooming tool and method for removing loose hair from a furry pet
US6595219B2 (en) * 2000-09-30 2003-07-22 Mitchell E. Anderson Hairbrush with retractable bristles
US6427633B1 (en) 2000-11-10 2002-08-06 Patsy Ogden Pet brush with hair removal feature
US6510816B2 (en) * 2000-12-27 2003-01-28 Douglas G. Ehrmann Easy clean equine body brush
USD490194S1 (en) * 2002-05-07 2004-05-18 Rolf C. Hagen, Inc. Animal grooming comb
DE10329052A1 (de) 2003-06-27 2005-01-13 Robert Bosch Gmbh Verbindung für Hochdruckräume von Kraftstoffinjektoren
USD513349S1 (en) * 2003-12-12 2005-12-27 Markus Hammer Handle for pet combs
US20050150465A1 (en) 2004-01-14 2005-07-14 Dunn Steven B. Adjustable sliding pet comb
US7353777B2 (en) 2004-05-14 2008-04-08 Michael Keith Morosin Self-cleanable hair brush
US20060249094A1 (en) 2005-05-05 2006-11-09 Hellyer Donald R Dog self-cleaning brush
JP2006345894A (ja) * 2005-06-13 2006-12-28 Aderans Co Ltd ヘアーブラシ
US20070033758A1 (en) * 2005-08-09 2007-02-15 Huo-Pia Wang Brush provided with retractable bristles to facilitate removal of tangled hair strands
US7908700B2 (en) 2006-02-28 2011-03-22 Dipippo Joe J Self-cleaning hair brush
GB2440115A (en) 2006-07-14 2008-01-23 Alpa Shantilal Pabari Nit and lice removal comb
US7650857B2 (en) 2006-07-20 2010-01-26 Furminator, Inc. Pet groom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et grooming tools
US7717067B2 (en) 2006-07-20 2010-05-18 Furminator, Inc. Pet groom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et grooming tools
US7739769B2 (en) 2007-06-28 2010-06-22 Dipippo Joe J Self-cleaning hair brush
US8127773B2 (en) * 2007-06-28 2012-03-06 Dipippo Joe Self-cleaning hair brush with mirror
USD584863S1 (en) * 2007-12-27 2009-01-13 Cynthia Garry Scratching and self-grooming tool
CN201360468Y (zh) * 2009-02-09 2009-12-16 明日产品公司 宠物用梳子
USD616651S1 (en) 2008-12-02 2010-06-01 EA Young Co., Ltd. Pet brush
JP5306004B2 (ja) * 2009-03-19 2013-10-02 花王株式会社 動物用抜け毛捕集用具
US8181304B1 (en) * 2009-03-31 2012-05-22 Kamath Yashavanth K Implement for brushing hair having a tangle reducing prong configuration
USD627565S1 (en) 2010-03-23 2010-11-23 Lynn Tyce Electric self-cleaning pet brush
US20120111282A1 (en) * 2010-06-03 2012-05-10 Topet (H.K.) Co., Limited Hybrid grooming tool
WO2012039519A2 (en) 2010-09-20 2012-03-29 Ruth Sebagereka Hair grooming device
CN202019617U (zh) * 2010-11-15 2011-11-02 郑恬晨 一种宠物刷
US8857005B2 (en) * 2012-02-09 2014-10-14 The Ohio State University Brush with structure for hair removal
CN203399785U (zh) * 2013-08-03 2014-01-22 吴森 多功能保健按摩梳子
JP5649257B1 (ja) * 2014-04-21 2015-01-07 江里子 脇田 ペット用ブラシ
USD749326S1 (en) * 2015-08-24 2016-02-16 Jean Rennette Foldable brush
US10034455B2 (en) 2015-12-17 2018-07-31 Lumo Llc Self-cleaning pet grooming imple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835A (ko) 2018-10-18 2020-04-28 박현도 브러쉬와 목욕용 타올을 겸용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케어유닛
WO2020105783A1 (ko) * 2018-11-23 2020-05-28 조병규 펫 스타일러
KR20210000878U (ko) 2019-10-15 2021-04-23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08001A1 (en) 2017-06-22
US10034455B2 (en) 2018-07-31
AU2016371895A1 (en) 2018-07-12
WO2017106260A1 (en) 2017-06-22
EP3389370A1 (en) 2018-10-24
US20180332820A1 (en) 2018-11-22
JP2018537985A (ja) 2018-12-27
EP3389370A4 (en) 2019-10-23
USD822391S1 (en) 2018-07-10
CN108430214A (zh) 2018-08-21
US20170172105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8291A (ko) 자기 세정되는 애완 동물 털 손질 기구
US20170332600A1 (en) Multi-purpose grooming tools
CN206011158U (zh) 可释放附件梳及切割头
US9120238B2 (en) Hair trimmer device with comb unit
US20180222068A1 (en) Hair container and kit for a hair cutting appliance
EP3258776B1 (en) Grooming tool for pets
EP2140759B1 (en) Vibratory hair grooming tool
CN107094646B (zh) 宠物刮毛工具
US8132540B1 (en) Trimmer
CN106687008B (zh) 用于梳理动物皮毛的刷子所用的梳子
CN201700240U (zh) 自洁宠物梳
US20170215379A1 (en) Pet comb
CN107047362B (zh) 带去毛推板的宠物刮毛工具
JP2020081856A (ja) 毛髪調整器
CN202019617U (zh) 一种宠物刷
KR101986121B1 (ko) 다기능 실리콘 크리너 패드
CN217694844U (zh) 一种宠物用多功能梳毛装置
CN218417926U (zh) 梳理支架和梳理工具
JP6711970B1 (ja) 毛髪調整器
US20140005688A1 (en) Hair removing device and method of use
EP2606720A1 (en) Pet grooming tool
KR20200144956A (ko) 반려동물의 털을 깎는 기능을 갖는 동물용 빗
JP3105866U (ja) ヘアーカット作業用多重連装剃刀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