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78U -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78U
KR20210000878U KR2020190004164U KR20190004164U KR20210000878U KR 20210000878 U KR20210000878 U KR 20210000878U KR 2020190004164 U KR2020190004164 U KR 2020190004164U KR 20190004164 U KR20190004164 U KR 20190004164U KR 20210000878 U KR20210000878 U KR 202100008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at
collected
brush
coll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928Y1 (ko
Inventor
김은석
김효정
문지희
Original Assignee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90004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928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9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4/00Removing the fleece from live sheep or simi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과 상부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가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개구된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내측으로 홈이 파여져 있어 고양이를 유도하기 위한 캣닢(catnip) 또는 캣닢(catnip) 추출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대와, 상기 수납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은 내측으로 파여져 있고 파여진 면에는 다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납대에 수용된 캣닢(catnip) 향을 배출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고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기 위한 다수 개의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양이가 몸을 문지르면 고양이 몸으로부터 털을 수집하는 수집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Cat fur collection device for collecting cat fur and removing the collected fur}
본 고안은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양이 몸으로부터 빠진 털을 수거하기 위해 고양이를 수집 장치로 유도하고 고양이의 행위를 기반으로 빠진 털 수집이 가능한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애완고양이 또는 다른 여타 동물들을 애완용으로 기르는 사람들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며, 애완동물의 급속한 팽창과 더불어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애완동물 관련사업의 양적인 성장은 물론 다양화, 전문화되어가는 추세에 있다.
털이 많은 애완고양이들은 털이 지속적으로 빠지기 때문에 수시로 털을 깎아 정리하거나 빗질을 통해 빠진 털이 공기 중으로 날리지 않도록 관리를 해줘야 한다.
통상적으로 애완동물 미용실에 가면 털깎이로 털을 깎아 주게 되는 데, 털깎이는 전기로 작동하는 클리퍼(Clipper)라는 기기를 이용하며, 털을 깎으면 사람들이 미용실에서 털을 깎는 것과 같이 클리퍼에 의해 절단된 털은 바닥에 떨어지고, 작은 털들은 먼지처럼 날리게 된다.
애완고양이의 털을 깎은 경우 털 빠짐이 상대적으로 덜하지만 털을 깎지 않은 경우 고양이로부터 빠지는 털은 공기 중으로 쉽게 비산될 수 있게 되며, 애완고양이의 털에는 박테리아나 기타 미생물이 기생하여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호흡기 질환 및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어 사람에게 무척 해롭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98291호는 자기 세정되는 애완동물 털 손질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빗들의 변조된 어레이에 의해 애완동물의 외측 털을 손질하고 빠진 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털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일반적인 빗의 구조가 특이한 것일 뿐 여전히 사용자가 애완동물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빗질을 해야 되므로 애완동물이 움직이거나 거부하는 경우 털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2018-009829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양이의 털을 수집할 수 있도록 고양이 스스로가 수집 장치 내부로 인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고양이의 행위를 기반으로 털이 자동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양이의 털이 수집되면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고 수집된 털을 한 번에 제거할 수 있는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양이가 시간에 관계없이 수시로 수집 장치로 인입되도록 유도하여 고양이의 털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는 전면과 상부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가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개구된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내측으로 홈이 파여져 있어 고양이를 유도하기 위한 캣닢(catnip) 또는 캣닢(catnip) 추출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대와, 상기 수납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은 내측으로 파여져 있고 파여진 면에는 다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납대에 수용된 캣닢(catnip) 향을 배출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고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기 위한 다수 개의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양이가 몸을 문지르면 고양이 몸으로부터 털을 수집하는 수집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상기 수집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판상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면에는 밸크로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양이의 털을 채집할 수 있도록 수직하게 돌출되는 브러시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가 돌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브러시에 채집된 털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상기 수거필름은 다수 장이 적층되어 있어 상기 브러시에 털이 쌓이면 상기 수거필름을 한 장씩 분리시켜 뜯어내어 상기 브러시에 묻은 털을 한 번에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상기 수거필름은 표면에 점착 성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양이가 몸을 문지를 때 비산되는 털이 수거필름 표면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브러시에는 상기 수납함에 수용된 캣닢(catnip) 향을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러시는 상기 캣닢(catnip) 향을 발산하여 상기 고양이가 상기 브러시에 몸을 문지르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집진기에 의해 상기 흡입홀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하우징 외부로 비산되는 털을 수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에 의하면, 고양이의 털을 수집할 수 있도록 고양이 스스로가 수집 장치 내부로 인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고양이의 행위를 기반으로 털이 자동으로 수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에 의하면, 고양이의 털이 수집되면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고 수집된 털을 한 번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에 의하면, 고양이가 시간에 관계없이 수시로 수집 장치로 인입되도록 유도하여 고양이의 털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수집대를 분리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수납대를 분리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조립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수집대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확대도.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고안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양이 몸으로부터 빠진 털을 수거하기 위해 고양이를 수집 장치로 유도하고 고양이의 행위를 기반으로 빠진 털 수집이 가능한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수집대를 분리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수납대를 분리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는 전면과 상부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가 형성된 받침대(100)와, 받침대(100)의 개구된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내측으로 홈이 파여져 있어 고양이를 유도하기 위한 캣닢(catnip) 또는 캣닢(catnip) 추출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대(200)와, 수납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은 내측으로 파여져 있고 파여진 면에는 다수 개의 통기공(320)이 형성되어 있어 수납대(200)에 수용된 캣닢(catnip) 향을 배출시키는 하우징(300)과, 하우징(300)의 상부면에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고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기 위한 다수 개의 브러시(420)가 형성되어 있어 고양이가 몸을 문지르면 고양이 몸으로부터 털을 수집하는 수집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받침대(100)는 각종 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고양이가 움직일 때 장치가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받침대(100)의 하부면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대(200)는 캣닢 또는 캣닢 추출액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면은 내측으로 파여져 있어 캣닢 또는 캣닢 추출액이 수납대(20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납대(200)는 받침대(100)의 개구된 상부면에 위치되며 받침대(100)의 개구된 전면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받침대(100)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수납대(200)에 수용되는 캣닢은 마른 잎으로 형성되거나 분쇄된 잎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수납대(200)가 슬라이딩되면서 캣닢이 수납대(200)외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수납대(200)의 상부면은 관통홀이 형성된 커버가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수납대(200)에 캣닢 추출액을 수용하는 경우 수납대(200) 내부에는 추출액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면 재질로 이루어진 천이 깔려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천에 캣닢 추출액을 뿌린 후 캣닢 추출액이 증발할 때 발생하는 향기로 고양이를 수집 장치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캣닢 추출액이 완전히 다 말라서 증발할 때까지만 효과가 발생되기 때문에 고양이의 털을 정리해야 될 시기에만 캣닢 추출액을 수납대(200)에 뿌리면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00)은 수집대(400)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부면 가장자리는 외면으로 돌출되어 수납대(200) 및 받침대(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수납대(200)의 상부면을 밀폐시키게 되고, 하우징(300)의 전면은 개구되어 있어 하우징(300)이 수납대(200) 상부에 위치되더라도 수납대(200)를 자유롭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00)은 상부면은 고양이가 인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져 있으며, 수집대(400) 및 고양이가 하우징(30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격판(3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이격판(310)은 하부에 위치된 수납대(200)의 상부면으로부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게 되며, 수납대(200)에 수납된 캣닢 또는 캣닢 추출액이 하우징(300)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격판(310)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다수 개의 통기공(320)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공(320)을 통해 유입되는 캣닢 향은 하우징(300) 상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며, 향기가 퍼지면 고양이가 하우징(300)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수집대(400)는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면에는 고양이가 몸을 문지를 때 고양이의 몸에 붙은 털을 수거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갈고리 또는 직모 형상으로 이루어진 브러시(420)가 돌출되어 있다.
고양이는 캣닢 향이 발생되는 수집대(400)의 표면에 몸을 문지르게 되며 고양이의 몸에서 빠진 털은 브러시(420)에 걸리면서 고양이의 몸으로부터 분리되어 수집대(400)에 수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300)의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집진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흡입홀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하우징(300) 외부로 비산되는 털을 수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양이가 하우징(300) 내부로 인입하였을 때 고양이의 움직임에 따라 고양이의 털이 공기 중으로 비산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300)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기홀이 형성되어 집진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하우징(3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집진기를 통해 고양이의 털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고양이가 하우징(300) 내부에 들어왔을 때만 집진기가 동작되도록 형성할 수 도 있다.
이때 고양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가 하우징(300)의 내측면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감지센서는 초음파센서, 열감지센서로 이루어져 있어 고양이의 인입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집진기에는 흡입된 공기가 배출될 때 고양이의 털을 거르기 위한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수집대 구조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의 수집대(400)는 하우징(300)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판상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면에는 밸크로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410)과, 지지판(410)의 상부에 형성되며 고양이의 털을 채집할 수 있도록 수직하게 돌출되는 브러시(420)와, 지지판(41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브러시(420)가 돌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판(410)으로부터 분리되면 브러시(420)에 채집된 털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필름(4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거필름(430)은 다수 장이 적층되어 있어 브러시(420)에 털이 쌓이면 수거필름(430)을 한 장씩 분리시켜 뜯어내어 브러시(420)에 묻은 털을 한 번에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판(410)은 하우징(300)에 형성된 이격판(31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지판(410)의 하부면에는 밸크로가 형성되어 있어 이격판(310)의 상부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격판(310)의 상부면에는 밸크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밸크로를 통해 지지판(410)을 쉽게 탈부착 할 수 있게 된다.
브러시(420)는 모 또는 합성수지를 다수 개의 갈고리 또는 직모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캣닢 향에 의해 유도된 고양이가 몸을 지지판(410)에 밀착시켜 문지르게 되면 브러시(420)가 고양이의 몸에 밀착되면서 빠져있는 털을 수거할 수 있게 된다.
브러시(420)는 고양이가 다치지 않도록 일반적으로 털 관리를 사용할 때 빗에 사용되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끝단은 날카롭지 않도록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필름(430)은 고양이가 몸을 문지르고 난 후 브러시(420)에 수거된 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판(410)의 상부에 형성되며 브러시(420)가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브러시(420)에 대응되는 크기 및 수량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수거필름(430)은 여러 장이 적층되어 있으며 고양이가 몸을 문질러 브러시(420)에 털이 수거되면 사용자가 수거필름(430) 중 최상단에 위치된 수거필름(430) 한 장을 상부 방향으로 떼어내게 되며, 수거필름(430)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브러시(420)에 붙은 털을 제거하게 된다.
즉, 수거필름(430)이 떼어질 때 브러시(420)의 와면을 쓸어내듯이 떼어지기 때문에 브러시(420)에 수거된 털을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수집대(400)에 수거된 털을 별도로 제거할 필요 없이 수거필름(430)에 떼는 것만으로 한 번에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수거필름(430)은 표면에 점착 성분이 형성되어 있어 고양이가 몸을 문지를 때 비산되는 털이 수거필름(430) 표면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거필름(430)은 여러 장이 적층된 상태로 붙어있게 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고양이털을 수집할 수 있도록 수거필름(430)의 상부면은 점착성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점착성분은 끈적이는 성분이 아닌 정전기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고양이가 몸을 비빌 때 정전기가 발생되면서 비산되는 털이 수거필름(430) 상부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브러시(420)와 더불어 수거필름(430)을 통해 고양이의 털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되며, 수거필름(430)을 떼어낼 때 수거된 털이 비산되지 않아 더욱 효과적으로 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떼어낸 수거필름(430)은 뭉쳐서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게 되며, 이때 정전기를 통해 털이 수거필름(430)에 접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공기 중으로 털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판(410) 및 브러시(420)에는 수납함에 수용된 캣닢(catnip) 향을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브러시(420)는 캣닢(catnip) 향을 발산하여 고양이가 브러시(420)에 몸을 문지르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양이가 캣닢 향에 의해 하우징(300)에 유도된 후 몸을 지지판(410) 및 브러시(420)에 문지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지판(410) 및 브러시(420)에는 다수 개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공을 통해 캣닢 향이 지지판(410) 및 브러시(420)를 통과해 공기 중으로 퍼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브러시(420)는 지지판(410)으로부터 캣닢 향을 전달받아 공기 중으로 향을 퍼트리는 디퓨져 역할을 하게 되며, 고양이는 캣닢 향을 발산하는 브러시(420)에 흥미를 가지고 하우징(300) 내부로 인입한 후 브러시(420)에 몸을 문지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에 의하면, 고양이의 털을 수집할 수 있도록 고양이 스스로가 수집 장치 내부로 인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고양이의 행위를 기반으로 털이 자동으로 수집될 수 있으며, 고양이의 털이 수집되면 비산되지 않도록 방지고 수집된 털을 한 번에 제거할 수 있고, 고양이가 시간에 관계없이 수시로 수집 장치로 인입되도록 유도하여 고양이의 털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받침대
200 : 수납대
300 : 하우징
310 : 이격판
320 : 통기공
400 : 수집대
410 : 지지판
420 : 브러시
430 : 수거필름

Claims (6)

  1. 전면과 상부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가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개구된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내측으로 홈이 파여져 있어 고양이를 유도하기 위한 캣닢(catnip) 또는 캣닢(catnip) 추출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납대와;
    상기 수납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면은 내측으로 파여져 있고 파여진 면에는 다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납대에 수용된 캣닢(catnip) 향을 배출시키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고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기 위한 다수 개의 브러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양이가 몸을 문지르면 고양이 몸으로부터 털을 수집하는 수집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판상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면에는 밸크로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고양이의 털을 채집할 수 있도록 수직하게 돌출되는 브러시와;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브러시가 돌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브러시에 채집된 털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필름은 다수 장이 적층되어 있어 상기 브러시에 털이 쌓이면 상기 수거필름을 한 장씩 분리시켜 뜯어내어 상기 브러시에 묻은 털을 한 번에 수거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필름은 표면에 점착 성분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양이가 몸을 문지를 때 비산되는 털이 수거필름 표면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 및 상기 브러시에는 상기 수납함에 수용된 캣닢(catnip) 향을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러시는 상기 캣닢(catnip) 향을 발산하여 상기 고양이가 상기 브러시에 몸을 문지르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흡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집진기에 의해 상기 흡입홀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하우징 외부로 비산되는 털을 수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KR2020190004164U 2019-10-15 2019-10-15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KR200493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64U KR200493928Y1 (ko) 2019-10-15 2019-10-15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164U KR200493928Y1 (ko) 2019-10-15 2019-10-15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78U true KR20210000878U (ko) 2021-04-23
KR200493928Y1 KR200493928Y1 (ko) 2021-06-29

Family

ID=7573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164U KR200493928Y1 (ko) 2019-10-15 2019-10-15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9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160A (ko) 2021-06-22 2022-12-29 오현민 애완동물 털갈이 도움용 기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4280A1 (en) * 1992-10-19 1994-04-27 McCance, Donald A. Animal scratching pad and amusement device
US7011046B1 (en) * 2004-12-14 2006-03-14 Jack Randall Kidwell Device for collecting pet hair
KR101682852B1 (ko) * 2016-04-05 2016-12-05 이우정 반려동물용 배변패드 어셈블리
KR20180098291A (ko) 2015-12-17 2018-09-03 루모 엘엘씨 자기 세정되는 애완 동물 털 손질 기구
US20180271060A1 (en) * 2017-03-24 2018-09-27 Kyle Raymond Hansen Pet scratching device and method
KR20190058165A (ko) * 2017-11-21 2019-05-29 최하영 반려동물의 배뇨를 확인할 수 있는 배변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049065B1 (ko) * 2018-07-06 2020-01-08 김신자 애완견용 용변 처리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4280A1 (en) * 1992-10-19 1994-04-27 McCance, Donald A. Animal scratching pad and amusement device
US7011046B1 (en) * 2004-12-14 2006-03-14 Jack Randall Kidwell Device for collecting pet hair
KR20180098291A (ko) 2015-12-17 2018-09-03 루모 엘엘씨 자기 세정되는 애완 동물 털 손질 기구
KR101682852B1 (ko) * 2016-04-05 2016-12-05 이우정 반려동물용 배변패드 어셈블리
US20180271060A1 (en) * 2017-03-24 2018-09-27 Kyle Raymond Hansen Pet scratching device and method
KR20190058165A (ko) * 2017-11-21 2019-05-29 최하영 반려동물의 배뇨를 확인할 수 있는 배변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049065B1 (ko) * 2018-07-06 2020-01-08 김신자 애완견용 용변 처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160A (ko) 2021-06-22 2022-12-29 오현민 애완동물 털갈이 도움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928Y1 (ko) 202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340B2 (en) Soft-surface remedi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039264B2 (en) Grooming box
KR200493928Y1 (ko)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KR20110100481A (ko) 애완동물 털 청소기
JP3680135B2 (ja) ダニ等の微小生物の飼育方法、選別器具、飼育容器、飼育容器の収集器具及び産卵容器
US5655481A (en) Hand-held pet grooming apparatus
CN220292788U (zh) 毛发收集器
JPH0440455Y2 (ko)
KR100526115B1 (ko) 애완동물용 진공청소기 헤드 조립체
KR200285832Y1 (ko) 집진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미용장치
JP2019076029A (ja) 被毛回収装置
KR20220052511A (ko)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JP2018117599A (ja) 愛玩動物用の檻
KR20210039695A (ko) 반려동물용 미용 테이블
CN213587169U (zh) 一种宠物用的梳子
KR102247912B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JPS6322856Y2 (ko)
JP7199583B2 (ja) 被毛回収装置置き台
KR200331705Y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JP2019076030A (ja) 被毛回収装置
CN214289532U (zh) 一种宠物体内植入式芯片读码设备
JP2004298151A (ja) 動物用トリミングテーブル
JP3220945U (ja) ペット集毛機
KR20210000818U (ko) 동물 미용테이블용 털받이
KR101888759B1 (ko) 동물털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