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511A -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 Google Patents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511A
KR20220052511A KR1020200136542A KR20200136542A KR20220052511A KR 20220052511 A KR20220052511 A KR 20220052511A KR 1020200136542 A KR1020200136542 A KR 1020200136542A KR 20200136542 A KR20200136542 A KR 20200136542A KR 20220052511 A KR20220052511 A KR 20220052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at
glove
pad
c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경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2511A/ko
Publication of KR20220052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haped as gloves or finger-stalls or other special holding ways, e.g. by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rush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묘의 털 관리를 효율적이고 기능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헤어볼을 최소화하여 반려묘의 건강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고양이가 좋아하는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빗질 거부감을 없애 반려묘의 털 관리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을 끼울 수 있게 형성되는 장갑 본체; 상기 장착 본체에 구비되며, 캣닢 및 마따따비 잎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 및 상기 장갑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며, 브러시 핀이 형성된 브러시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GLOOVE TYPE BRUSH FOR CAT}
본 발명은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묘의 털 관리를 효율적이고 기능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헤어볼을 최소화하여 반려묘의 건강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고양이가 좋아하는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빗질 거부감을 없애 반려묘의 털 관리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고령화, 독신자의 증가와 같은 사회적 현상에 기인하여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되고 있다. 애완동물 중에서 반려견과 반려묘의 사육수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주변에서 다양한 애견용품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털이 많은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털을 빗질하여 양호한 위생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애완동물의 털은 손질을 게을리하는 경우에 쉽게 헝클어지고 더러워지는 것은 물론 애완동물 자체의 피부 질환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털을 보다 청결하게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각종 기능성 빗이나 브러쉬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하여 왔다.
특히, 고양이의 경우, 그루밍하다가 죽은 털을 많이 먹어서 헤어볼을 토하는데, 이를 줄여주기 위해서도 빗질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빗이나 브러쉬를 이용하여 사람이 손수 애완동물의 털을 손질하는 경우, 빗이나 브러쉬에 묻어나오는 털을 수거하여 폐기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빗이나 브러쉬를 사용하는 순간 애완동물의 털중 일부는 공기중에 비산되기 때문에 청소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최근에는 털에서 배출되는 각종 병원균이 사람에게 각종 호흡기 질환은 물론 피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애완견의 털을 손질하는 브러시는 필수적인 애견용품으로서 달라붙은 털을 제거하는 기능성 제품으로 발전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9097호(선행문헌 1) 및 등록록실용신안공보 제0331251호(선행문헌 2) 등의 특허문헌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은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와, 상기 몸체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빗살과, 상기 빗살이 고정된 몸체의 바닥면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빗질 시 빠진 머리카락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이물질 제거판을 포함한다. 이에,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으로 이물질 제거판이 돌출되어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한번에 간단하고 빠르게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몸체부의 중앙에 관통 공을 포함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관통 공을 관통하는 지지축이 형성된 버튼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의 하단에는 상기 브러시 핀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관통 공들이 형성된 분리판이 장착된다. 이에, 머리카락들이 브러시 핀 하부로 이동되면서 깨끗하게 제거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에 의하면 제거판 또는 분리판이 빗살과 어느 정도 틈새를 유지해야 하므로 애완견 털이 끼기 쉽고, 빗살의 간격이 벌어진 형태의 브러시에서 제거운동의 원활성이 보장되지 않는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종래의 반려동물 브러시는 상대적으로 단가가 싼 수지 제품이 주를 이루며, 냄새에 민감한 반려동물들은 화학적 냄새로 인해 거부감으로 원활한 빗질을 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09097(2011.09.26.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1251(2003.10.30.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86624(2018.08.0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00057(2020.01.02.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려묘의 털 관리를 효율적이고 기능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헤어볼을 최소화하여 반려묘의 건강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양이가 좋아하는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빗질 거부감을 없애 반려묘의 털 관리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손을 끼울 수 있게 형성되는 장갑 본체; 상기 장착 본체에 구비되며, 캣닢 및 마따따비 잎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 및 상기 장갑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며, 브러시 핀이 형성된 브러시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는, 소정 사이즈로 형성되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에 수용되는 캣닙(catnip) 또는 마따따비 잎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패드는, 플레이트 형상의 패드 베이스, 및 상기 패드 베이스의 일면에 형성되는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패드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러시 패드는 상기 장갑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패드의 파우치는, 상기 장갑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패드의 일면에 구비되며, 분리가능하게 적층 형성되는 복수의 털 제거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반려묘의 털 관리를 효율적이고 기능적으로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반려묘의 헤어볼을 최소화하여 반려묘의 건강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고양이가 좋아하는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빗질 거부감을 없애 반려묘의 털 관리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털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세척이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를 구성하는 장갑 본체와 브러시 패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를 구성하는 장갑 본체와 브러시 패드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장갑 본체(100);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200); 및 브러시 패드(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을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장갑 본체(100); 고양이가 선호하는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본체(100)에 구비되는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200); 및 상기 장갑 본체(100)의 일면(내면)에 구비되며, 브러시 핀(320)가 형성된 브러시 패드(300);를 포함한다.
상기 장갑 본체(100)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섯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장갑 형태 또는 네 손가락과 엄지를 분리하여 끼울 수 있는 엄지 장갑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갑 본체(100)는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의 직물 재질,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200)는 소정 사이즈로 형성되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에 수용되는 캣닙(catnip) 및/또는 마따따비 잎을 포함한다.
상기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200)의 파우치는, 상기 장갑 본체(100)와 브러시 패드(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200)의 파우치는, 아래에서 설명될 브러시 패드(300)가 장갑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벨크로 또는 암수버튼 등의 착탈 수단을 통해 장갑 본체(100)와 브러시 패드(300) 사이에 개재되면서 그 장갑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캣닙 및/또는 마따따비 잎 중 적어도 하나는 분말 형태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200)가 파우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 수명을 다할 때 캣닙 또는 마따따비 잎을 리필하거나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200)는 파우치의 구성 대신에, 캣닢 또는 마따따비 잎의 추출물이 상기 장갑 본체(100)에 코팅되거나 침적시켜 그 장갑 본체(100) 자체에 구비되는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브러시 패드(300)는 상기 장갑 본체(100)의 일면(내면)에 구비되며, 브러시 핀(320)가 형성되는 것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드 베이스(310), 및 상기 패드 베이스의 일면에 복수 형성되는 브러시 핀(320)를 포함한다.
상기 브러시 패드(300)의 패드 베이스(310)와 브러시 핀(32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패드(300)는 상기 장갑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경우 상기 브러시 패드(300)와 장갑 본체(100) 간에 구성되는 벨크로 또는 암수버튼 등의 착탈 수단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브러시 패드(300)가 장갑 본체(100)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경우, 그 브러시 패드(300)만을 분리하여 털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세척 한 후 다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에서 상기 브러시 패드(300)에는 그 브러시 패드(300)의 일면에 구비되며, 분리가능하게 적층 형성되는 복수의 털 제거 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털 제거 필름은 복수 적층 형성되고, 브러시 핀(320)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그 브러시 패드(300)에서 필름 한장씩을 제거할 수 있게(뜯어낼 수 있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털 제거 필름이 구비되는 경우, 브러시 패드(300)를 분리하지 않고 일정 주기마다 털 제거 필름만을 브러시 패드(300)로부터 제거하여 그 브러시 패드(300)의 상부에 끼인 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에 의하면, 반려묘의 털 관리를 효율적이고 기능적으로 행할 수 있으며, 반려묘의 헤어볼을 최소화하여 반려묘의 건강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양이가 좋아하는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빗질 거부감을 없애 반려묘의 털 관리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고, 털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세척이 용이하여 유지관리가 뛰어난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장갑 본체
200: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
300: 브러시 패드
310: 패드 베이스
320: 브러시 핀

Claims (3)

  1. 손을 끼울 수 있게 형성되는 장갑 본체;
    상기 장착 본체에 구비되며, 캣닢 및 마따따비 잎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 및
    상기 장갑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며, 브러시 핀이 형성된 브러시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반려묘선호 향발산물질 함유부재는, 소정 사이즈로 형성되는 파우치, 및 상기 파우치에 수용되는 캣닙(catnip) 또는 마따따비 잎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패드는, 플레이트 형상의 패드 베이스, 및 상기 패드 베이스의 일면에 형성되는 브러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패드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러시 패드는 상기 장갑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브러시 패드의 파우치는, 상기 장갑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패드의 일면에 구비되며, 분리가능하게 적층 형성되는 복수의 털 제거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KR1020200136542A 2020-10-21 2020-10-21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KR20220052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542A KR20220052511A (ko) 2020-10-21 2020-10-21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542A KR20220052511A (ko) 2020-10-21 2020-10-21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511A true KR20220052511A (ko) 2022-04-28

Family

ID=8144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542A KR20220052511A (ko) 2020-10-21 2020-10-21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251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251Y1 (ko) 2003-07-05 2003-10-30 조인규 헤어브러시
KR20110009097A (ko) 2008-04-03 2011-01-27 바르타 미크로바테리 게엠베하 전기화학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86624B1 (ko) 2017-01-31 2018-08-09 (주)솔로몬기술단기술사사무소 애완견 브러시용 털제거 기구
KR20200000057A (ko) 2018-06-22 2020-01-02 김선호 반려견용 자외선 브러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251Y1 (ko) 2003-07-05 2003-10-30 조인규 헤어브러시
KR20110009097A (ko) 2008-04-03 2011-01-27 바르타 미크로바테리 게엠베하 전기화학 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886624B1 (ko) 2017-01-31 2018-08-09 (주)솔로몬기술단기술사사무소 애완견 브러시용 털제거 기구
KR20200000057A (ko) 2018-06-22 2020-01-02 김선호 반려견용 자외선 브러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29532A1 (en) Cleanable Hair Brush
KR101867795B1 (ko) 고양이 스크래쳐
US20130055963A1 (en) Grooming tool for pets
US8082886B2 (en) Direct application brush with sponge
US20180020820A1 (en) Anti-static hair brush
KR102226597B1 (ko) 펫 스타일러
KR20220052511A (ko) 반려묘 전용 장갑형 브러시
US20220061518A1 (en) Animal hairbrush
KR20210029737A (ko) 펫 피부케어용 스타일러
US20060249094A1 (en) Dog self-cleaning brush
KR20170081814A (ko) 헤어 브러시
KR200493928Y1 (ko)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KR101986121B1 (ko) 다기능 실리콘 크리너 패드
KR20190002685U (ko) 고양이 전용 칫솔
CN220292788U (zh) 毛发收集器
JPH0440455Y2 (ko)
KR20220063607A (ko) 사용편의성을 갖는 펫 브러쉬
US20170318783A1 (en) Pet Cleaning Apparatus
KR200285832Y1 (ko) 집진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미용장치
KR20240067487A (ko) 펫브러쉬
KR102247912B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JP7199583B2 (ja) 被毛回収装置置き台
KR102300869B1 (ko)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포함하는 글러브
US20070295280A1 (en) Heated pet brush and associated method
KR102559272B1 (ko) 핸드 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