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912B1 -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912B1
KR102247912B1 KR1020190075426A KR20190075426A KR102247912B1 KR 102247912 B1 KR102247912 B1 KR 102247912B1 KR 1020190075426 A KR1020190075426 A KR 1020190075426A KR 20190075426 A KR20190075426 A KR 20190075426A KR 102247912 B1 KR102247912 B1 KR 10224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s
dryer
work ball
hole
nos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401A (ko
Inventor
최종은
김도우
이승원
조정한
Original Assignee
(주)체리나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체리나무 filed Critical (주)체리나무
Priority to KR102019007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9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07Transportable fodder pails or troug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구조가 단순하고 중량이 가벼워 휴대 및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를 개시한다.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부분이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로 분리가 가능하며, 내부에 애완동물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사방과 상면이 막힌 구조를 형성되는 몸체; 몸체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는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 몸체의 상부면 상에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에 설치된 드라이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조립 설치되는 드라이기 고정수단; 사용자의 손을 넣을 집을 수 있게 몸체의 양쪽 측면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작업구멍; 몸체의 전방 일측에 마련되는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에 설치되는 노즈워크볼; 몸체의 전방 일측에 형성되는 털 배출구; 및 털 배출구에 설치되는 필터;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Dry room for pets}
이 발명은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고 중량이 가벼워 휴대 및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 관련 시장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애완동물 상품 및 서비스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개나 고양이는 털을 깍아주거나 목욕을 시켜주기 위한 상품 및 서비스의 개발이 대표적일 것이다.
개의 경우에는 미용 및 위생을 위해서 다른 애완동물에 비하여 더 자주 털을 깍아주게 되거나 목욕을 시키게 된다. 또한, 개를 목욕시킨 후에는 청결, 건강 등을 포함한 여러 이유에서 털을 건조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개를 목욕시킨 후에 건조해주기 위한 상품들이 있다.
그런데 시중에 나와 있는 애완동물 드라이 룸 제품들을 제품 자체에 전기적인 장치, 기계적인 장치들이 필요 이상으로 포함이 됨으로써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설치 및 휴대 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87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748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7773호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중량이 가벼워 휴대 및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은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부분이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로 분리가 가능하며, 내부에 애완동물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사방과 상면이 막힌 구조를 형성되는 몸체; 몸체의 상부면 상에 형성되는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 몸체의 상부면 상에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에 설치된 드라이기를 고정시키기 위해 조립 설치되는 드라이기 고정수단; 사용자의 손을 넣을 집을 수 있게 몸체의 양쪽 측면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작업구멍; 몸체의 전방 일측에 마련되는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에 설치되는 노즈워크볼; 몸체의 전방 일측에 형성되는 털 배출구; 및 털 배출구에 설치되는 필터;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에서 드라이기 고정수단은 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부착되는 패드; 및 패드의 양쪽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는 체결 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에서 노즈워크볼의 외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내부에는 외부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배출이 가능한 크기의 애완동물용 사료가 수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에서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의 하측에는 노즈워크볼의 일부를 받치기 위한 노즈워크볼 시트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에서 필터는 애완동물의 털이 달라붙는 거친 섬유재가 얼기설기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털 배출구의 외측에는 필터가 수납되기 위한 필터 수납구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에 의하면 별도의 전자, 전기, 또는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종래의 제품들에 비하여 구조가 단순한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 구성이 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워 유지 관리 등의 측면에서 고가의 장치에 비하여 많은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에는 목욕을 마친 강아지 등의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애완동물의 주의를 돌릴 수 있는 노즈워크볼이 설치될 수 있어 애완동물이 털 건조작업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일측에는 털 배출구 및 필터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애완동물의 건조 작업에서 발생하는 털의 수집 및 뒷정리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은 하부 몸체 내에 상부 몸체가 수납된 상태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분리 사시도.
도2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사시도.
도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단면도.
도4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사용상태도.
도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구성도.
도6은 이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보관상태를 보인 도면.
도7은 이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구성 및 사용상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2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사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을 지시한다.
도1 및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100)의 몸체(100)는 그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부분이 하부 몸체(112)와 상부 몸체(114)로 분리와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몸체(100)는 강아지,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을 가둘 수 있는 내부 용적을 갖는 크기로 갖으며, 사방과 상면이 막힌 구조로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완전히 밀폐되는 구조가 아니라 위에서 설명할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120), 작업구멍(140),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150), 털 배출구(170) 등이 형성됨으로써 몸체(100) 내부에 수용되는 애완동물이 정상적으로 호흡할 수 있게 구성된다.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100)의 몸체(100)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의 폭이 좌우방향의 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이 타원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몸체(100)가 하부 몸체(112)와 상부 몸체(114)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이 되면, 사용 과정에서 하부 몸체(112)에 강아지 등 애완동물을 넣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애완동물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하부 몸체(112)에 상부 몸체(114)를 조립할 수 있어 애완동물이 갑작스럽게 갖히게 됨에 따른 불안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100)의 몸체(100) 중에서 상부 몸체(114) 상에는 가정 등으로 흔히 사용하고 있는 드라이기를 설치할 수 있는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120)이 마련된다. 그리고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120)의 일측에는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120)에 드라이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드라이기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드라이기 고정수단(130)이 마련된다. 드라이기 고정수단(130)은 몸체(1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패드(132)와, 패드(132)의 양쪽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는 체결 밴드(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 밴드(134)는 일단은 고정되고 다른 일단은 필요에 따라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 밴드(134)는 탄성을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 몸체(114) 상에는 내부에 수용된 애완동물을 관리하기 위해 작업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크기의 작업구멍(140)이 관통형성된다. 작업구멍(140)은 양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작업구멍(140)을 통해 사용자의 손을 넣은 상태에서 애완동물을 관리하는 작업을 육안으로 살피면서 할 수 있도록 몸체(110)는 투명한 또는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1 및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 몸체(112)의 전방 일측에는 노즈워크볼(160)이 설치되는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150)이 형성된다.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150)에 설치되는 노즈워크볼(160)은 몸체(110) 내부에 수용된 강아지 등 애완동물이 드라이기에 의한 건조 작업 중에서 주의가 산만해지지 않고 얌전히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노즈워크볼(160)의 외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관통되고, 그 내부에는 사료 등 먹이가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강아지 등 애완동물이 이를 회전 등 이동시키게 되면 먹이 등이 토출되어, 건조 작업 시에 애완동물의 주의를 돌릴 수 있다.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150)의 하측에는 노즈워크볼(160)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 동작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반구형의 노즈워크볼 시트(15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의 지름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노즐워크볼의 지름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10)의 후방 일측에는 털 배출구(170)가 형성되고, 털 배출구(170)의 외측에는 필터(180)의 장착을 위한 필터 수납구(172)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필터 수납구(172)에는 필터(180)가 설치된다. 필터(180)는 애완동물의 털이 달라붙는 거친 섬유재가 얼기설기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단면도이고, 도4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사용상태도면이다.
앞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도3 및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 몸체(112)에 상부 몸체(114)가 조립되어 형성된 몸체(110)의 내측에는 강아지 등의 애완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사용자는 하부 몸체(112)의 위치를 먼저 잡은 상태에서, 강아지 등 애완동물을 수용공간에 넣은 후, 상부 몸체(114)를 하부 몸체(112)에 조립하는 순서로 몸체를 조립하면 애완동물의 불안감을 줄일 수 있다.
이후, 도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드라이기(200)를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120)에 끼워 조립하고, 핸들 부분은 드라이기 고정수단(130)을 통해 고정시키게 된다. 드라이기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몸체(110)의 양쪽에 마련된 작업구멍(140)을 통해 손을 넣어 강아지 등의 물에 젖은 애완동물의 털을 관리하면서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업 과정에서 강아지 등 애완동물의 주의가 다른 데 쏠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150)에 위치되는 노즈워크볼(16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드라이기(200)에서 제공되는 바람과 애완동물에서 분리되는 털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털 배출구(170)는 충분한 크기의 구멍으로 관통형성된다. 이렇게 털 배출구(170)를 통과하는 털은 필터(180)에 부착된 후 처리된다.
도5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의 구성도이다.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 몸체(112)에 대하여 상부 몸체(114)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위해서 하부 몸체(112) 또는 상부 몸체(114)에는 결합편과 같은 결합수단(116)이 마련될 수 있다. 도5는 결합수단(116)으로 결합편이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형성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100)은 도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 몸체(112) 내에 상부 몸체(114)가 수납된 상태로 보관하거나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통, 보관, 휴대 시에 보관 공간을 줄일 수 있고,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이 될 수 있어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을 동반한 여름 여행이나 바캉스 시에는 전기 사용이 필요한 드라이기가 없더라도 도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휴대용 선풍기(210) 등을 사용하여 물에 젖은 애완동물을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100)은 목욕을 마친 강아지 등의 애완동물의 털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애완동물의 주의를 노즈워크볼(160)에 돌려 털 건조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목욕을 마친 강아지 등 애완동물을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100)에 넣은 상태에서 가정에 흔히 있는 드라이기(200)를 사용하여 털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강아지는 노즈워크볼(160)에 있는 먹이에 집중하는 가운데, 사용자는 강아지의 털을 말릴 수 있게 된다. 이때, 강아지로부터 분리되는 털은 몸체(11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바람에 의해서 털 배출구(170) 쪽으로 향하게 되고, 필터(180)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애완동물의 건조 작업을 마친 후에 뒷정리를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100)의 몸체(110)는 별도의 전자, 전기, 또는 기계 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단순한 구조로,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 구성이 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워 유지 관리 등의 측면에서 고가의 장치에 비하여 많은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이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110 : 몸체
112 : 하부 몸체 114 : 상부 몸체
116 : 결합수단 120 :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
130 : 드라이기 고정수단 140 : 작업구멍
150 :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 160 : 노즈워크볼
170 : 털 배출구 180 : 필터
200 : 드라이기

Claims (5)

  1. 내부에 애완동물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사방과 상면이 막힌 구조를 형성되는 몸체의 상부면 상에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드라이기 설치용 구멍에 설치된 드라이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드라이기 고정수단이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을 집어 넣을 수 있게 상기 몸체의 양쪽 측면 양쪽에 각각 작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 일측에 형성된 털 배출구에 필터가 설치되는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중간부분이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로 분리가 가능하게 형성되되 상기 하부 몸체 내에 상기 상부 몸체가 수납된 상태로 보관 또는 휴대가 가능토록 하부에서 상부를 향할수록 점차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의 전방 일측에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의 하측에는 노즈워크볼의 일부를 받쳐 제자리에서 회전 동작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반구형의 노즈워크볼 시트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노즈워크볼 설치용 구멍의 지름은 상기 노즈워크볼의 지름에 비해 작게 형성되고,
    상기 노즈워크볼의 외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노즈워크볼의 내부에는 상기 외부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을 통해 배출이 가능한 크기의 애완동물용 사료가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기 고정수단은,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부착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의 양쪽에 양단이 각각 체결되는 체결 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애완동물의 털이 달라붙는 거친 섬유재가 얼기설기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털배출구의 외측에는 상기 필터가 수납되기 위한 필터 수납구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4. 삭제
  5. 삭제
KR1020190075426A 2019-06-25 2019-06-25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KR102247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426A KR102247912B1 (ko) 2019-06-25 2019-06-25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426A KR102247912B1 (ko) 2019-06-25 2019-06-25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01A KR20210000401A (ko) 2021-01-05
KR102247912B1 true KR102247912B1 (ko) 2021-05-04

Family

ID=7414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426A KR102247912B1 (ko) 2019-06-25 2019-06-25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9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503Y1 (ko) 2003-06-18 2003-09-03 주식회사 다이와테쿠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0348736Y1 (ko) 2004-02-11 2004-04-29 주식회사 다이와테쿠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871Y1 (ko) 2007-09-29 2008-01-04 주식회사 벤지 애완동물 건조기
KR20100008637U (ko) * 2009-02-23 2010-09-01 김창수 애완동물의 목욕장치
KR200476748Y1 (ko) 2014-10-01 2015-03-30 김용원 애완동물 건조장치
KR101710121B1 (ko) * 2015-03-16 2017-02-27 강의수 반려동물 드라이 룸
KR20180067773A (ko) 2016-12-12 2018-06-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을 위한 이동식 드라이룸
KR102036371B1 (ko) * 2017-11-16 2019-10-25 김주회 애완동물 목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503Y1 (ko) 2003-06-18 2003-09-03 주식회사 다이와테쿠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0348736Y1 (ko) 2004-02-11 2004-04-29 주식회사 다이와테쿠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 "강아지 릭패드" (2018.11.26.) (URL : blog.naver.com/lohas800/22140664214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01A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812B1 (en) Portable animal bathing apparatus
US4926796A (en) Grooming device
US20080229532A1 (en) Cleanable Hair Brush
KR101710121B1 (ko) 반려동물 드라이 룸
US4747371A (en) Grooming device
US20080190375A1 (en) Animal Grooming Apparatus
KR20160011469A (ko) 다기능 팬 모듈과 드라이룸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가방의 조립체
KR102401045B1 (ko) 센서감지를 통해 작동하는 공기청정기 및 집진기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배변케이지
US4807569A (en) Grooming device
KR102247912B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 룸
KR200492618Y1 (ko) 반려 동물 스크래쳐
US20060272594A1 (en) Therapeutic apparatus and method for animal
KR102031072B1 (ko) 반려동물 목욕대
US20140299066A1 (en) Shield for use in animal bathing
KR100563399B1 (ko) 애완 동물용 미용기구
CN220292788U (zh) 毛发收集器
JP6914836B2 (ja) アレルゲンの環境濃度を生成及び測定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方法
JP3164896U (ja) 動物用タオル
US7469660B1 (en) Combined dwelling and play area for cats and like feline animals
KR200493928Y1 (ko) 고양이의 털을 수집하고 수집된 털의 제거가 용이한 고양이 털 수집 장치
US6412442B1 (en) Pet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285832Y1 (ko) 집진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미용장치
KR102331916B1 (ko) 애완동물 관리용 하우스 조립체
JP2007259746A (ja) ペットの静風乾燥機
KR101860290B1 (ko) 애완동물용 드라이 타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