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823A - 씰링재 및 그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씰링재 및 그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823A
KR20180095823A KR1020187017316A KR20187017316A KR20180095823A KR 20180095823 A KR20180095823 A KR 20180095823A KR 1020187017316 A KR1020187017316 A KR 1020187017316A KR 20187017316 A KR20187017316 A KR 20187017316A KR 20180095823 A KR20180095823 A KR 20180095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al shape
cross
sealing
open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6417B1 (ko
Inventor
케이지 히로에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5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1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corner parts or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10/16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plastic materials having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2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varying cross-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tub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2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integral U-shaped re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Abstract

씰링성의 확보와 양호한 도어 닫힘성을 양립시킨 차량용 씰링재를 제공한다.
차체 개구부(3)와 도어체(2) 사이를 씰링하는 씰링재(예를 들면 웨더 스트립(6))는, 그 횡단면에 있어서,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에 설치된 플랜지부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일체화된 씰링부를 가진다.
씰링재(6)는, 장척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제1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 부분(P1)과, 제2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 부분(P2)과, 이들 제1 및 제2 부분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제3 부분(P3)을 가진다.
상기 제2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씰링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씰링부의 단면 형상보다도 작게 되어 있으며, 제3 부분(P3)은, 그 단면 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씰링재 및 그 설치 구조{SEAL MATERIAL AND FITTING STRUCTURE THEREFOR}
본 발명은, 씰링재 및 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開口緣)에 설치되는 씰링재로서의 웨더 스트립과, 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차체 개구부(예를 들면 측부 도어 개구부, 백 도어 개구부, 트렁크 개구부 등)의 개구연과, 해당 차체 개구부를 폐색(閉塞) 가능한 도어체(예를 들면 측부 도어, 백 도어, 트렁크 리드 등)의 주연부(周緣部) 사이를 씰링하기 위해, 씰링재로서의 웨더 스트립이 설치되어 있다. 단, 웨더 스트립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여러 가지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중공(中空) 웨더 스트립재의 곡선부를 보강하는 방법 및 제조물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에서는, 웨더 스트립의 소망의 중공부(24) 내에, 그 웨더 스트립과는 별체(別體)의 가요성(可撓性) 성형(星形) 플러그(10)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웨더 스트립의 단면(斷面)의 안정화 및 보강을 도모하고 있다(이 문헌의 단락 0001, 0013∼0015, 도 4 참조). 즉, 웨더 스트립을 만곡시키면서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에 설치한 경우에도, 굽힘에 의한 씰링부의 부자연스러운 변형(예를 들면 주름이나 씰링부의 전도)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10-20326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웨더 스트립의 소망의 중공부 내에 별체물(別體物)(즉 성형 플러그)을 삽입함으로써, 오히려, 씰링성에 편차나 차이가 발생한다고 하는 불편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별체물이 존재하는 씰링 부위와, 별체물이 존재하지 않는 씰링 부위 사이에서 씰링성의 차가 크다고 하는 불편이 종종 관찰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별체물이 삽입된 씰링 부위에서는 씰링성이 높아지지만, 개폐 도어를 닫을 때의 저항도 커지는 경향이 있어, 도어가 닫히기 어렵다고 하는 불편(도어 닫힘성의 악화)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씰링성의 확보와 양호한 도어 닫힘성을 양립시킨 차량용의 씰링재(특히 자동차의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에 설치 가능한 웨더 스트립)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청구항 1 발명은, 차량의 차체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 개구부와, 상기 차체 개구부를 폐색(閉塞) 가능한 도어체 사이를 씰링하는 씰링재로서,
해당 씰링재는, 그 횡단면(橫斷面)에 있어서,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에 설치된 플랜지부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일체화된 씰링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씰링재는, 장척(長尺)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제1 단면(斷面) 형상을 가지는 제1 부분과,
제2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있어서 이들 제1 및 제2 부분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제3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2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씰링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씰링부의 단면 형상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상기 제3 부분은, 그 단면 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이다.
청구항 1 발명에 의하면, 씰링재를, 제1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1 부분, 제2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 부분, 및, 변화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3 부분을 가지는 장척인 씰링재로서 구성하고 있으므로, 설치 부위마다 적합한 씰링성을 가진 씰링재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예와 같은 삽입용의 별체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씰링성의 확보와 양호한 도어 닫힘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청구항 2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장척인 씰링재는, 상기 제3 부분을 적어도 2 개소(箇所)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장척인 씰링재 중에, 변화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3 부분을 적어도 2 개소 설치함으로써, 제1 및 제2 부분을 씰링재 중의 소망의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청구항 3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의 길이가, 상기 제1 부분보다도 길고, 또한 상기 제2 부분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및 2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변화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3 부분이, 다른 부분(제1 및 제2 부분)보다도 길어, 씰링재의 전체 길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비교적 커지므로, 도어체를 닫은 때에 하중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기 어려워(하중 변화의 완만화), 도어 닫힘성을 개선할 수 있다.
청구항 4 발명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은, 복수의 변부, 및, 상기 변부에 연속하는 복수의 코너부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져 있고,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 중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와 동등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3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장척인 씰링재에 있어서 가장 강성이 높은 변형에 강한 제1 부분으로, 차체 개구부의 코너부를 그 길이 전체에 걸쳐 씰링할 수 있다.
청구항 5 발명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은, 복수의 변부, 및, 상기 변부에 연속하는 복수의 코너부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져 있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 중의 적어도 하나의 변부와 동등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4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장척인 씰링재에 있어서 가장 단면 형상이 작은 제2 부분을 차체 개구부의 변부에 갖다댐으로써, 씰링재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아울러, 도어 닫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6 발명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은, 복수의 변부, 및, 상기 변부에 연속하는 복수의 코너부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져 있고,
상기 제3 부분이,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 중의 적어도 하나의 변부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5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변화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 제3 부분을 차체 개구부의 변부에 갖다댐으로써, 도어체를 닫은 때의 하중을 변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도어 닫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7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을 구성하는 복수의 변부 중, 닫힌 상태로 있을 때의 도어체의 힌지측 기단(基端)으로부터 반(反)힌지측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부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6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변화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 제3 부분을, 닫힌 상태로 있을 때의 도어체의 힌지측 기단으로부터 반힌지측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부에 갖다댐으로써, 힌지식 도어체를 닫을 때의 하중을 도어체의 측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도어 닫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8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도어체의 힌지측 기단 근처 끝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면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도어체의 반힌지측 선단 근처 끝 위치에서 상기 제2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7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구성에 의하면, 닫힌 상태로 있을 때의 도어체의 힌지측 기단으로부터 반힌지측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부에 대응하는 제3 부분은, 도어체의 힌지측 기단으로부터 반힌지측 선단을 향해서 단면 형상이 점차 작아진다. 이 때문에, 힌지식 도어체를 닫을 때에 공기가 도피하기 쉬워져, 비교적 작은 힘으로 도어체를 닫을 수 있다.
청구항 9 발명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도 씰링부의 높이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8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서 씰링부의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1 및 제2 부분을 각각, 씰링재를 설치하는 장소(차체 개구부의 변부인지 코너부인지)에 적합한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0 발명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도 씰링부의 벽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9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서 씰링부의 벽 두께를 다르게 함으로써, 제1 및 제2 부분을 각각, 씰링재를 설치하는 장소(차체 개구부의 변부인지 코너부인지)에 적합한 단면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1 발명은, 청구항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있어서의 설치부의 단면 형상, 상기 제2 부분에 있어서의 설치부의 단면 형상, 및, 상기 제3 부분에 있어서의 설치부의 단면 형상이, 거의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10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구성에 의하면, 씰링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부의 단면 형상이 거의 동일(거의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씰링재를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의 전체에 걸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씰링성의 확보와 양호한 도어 닫힘성을 양립 가능하게 된다.
[도 1] 승용 차량의 백 도어 개구부의 개요를 나타내며, (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웨더 스트립의 장착 상태에서의 사시도, (B)는 웨더 스트립의 비장착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웨더 스트립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 도 1 및 도 2의 III-III선 위치에서의 웨더 스트립의 단면도.
[도 4] 도 1 및 도 2의 IV-IV선 위치에서의 웨더 스트립의 단면도.
[도 5] 승용 차량의 측부 도어 개구부의 개요를 나타내며, 제2 및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웨더 스트립의 장착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6] (A)는 웨더 스트립의 비장착 상태에서의 프론트 도어 개구부의 측면도, (B)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웨더 스트립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 (A)는 웨더 스트립의 비장착 상태에서의 리어 도어 개구부의 측면도, (B)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웨더 스트립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 도 5 및 도 6 (B)의 VIII-VIII선 위치에서의 웨더 스트립의 단면도.
[도 9] 도 5 및 도 6 (B)의 IX-IX선 위치에서의 웨더 스트립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 (A) 및 (B)는, 일반적인 2 박스 타입의 승용 차량(1)에 있어서, 백 도어(2)를 올린 상태에서의 백 도어 개구부(3)를 나타낸다. 1a는 차량의 루프, 1b는 차량 후부의 필러부이며, 백 도어(2)는, 힌지(2a)(파선으로 나타낸다)에 의해 루프(1a)의 후단부 부근에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은, 4개의 변부(4a, 4b, 4c)와, 4개의 코너부(5a, 5c)의 조합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져 있다. 상기 4개의 변부(邊部)는, 백 도어 개구부(3)의 상연(上緣)을 따라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루프측 변부(4a), 필러부(1b)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필러측 변부(4b), 및, 백 도어 개구부(3)의 하연(下緣)을 따라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측 변부(4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4개의 코너부는, 루프측 변부(4a)와 필러측 변부(4b) 사이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루프측 코너부(5a), 및, 바닥측 변부(4c)와 필러측 변부(4b) 사이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바닥측 코너부(5c)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들 코너부(5a, 5c)는, 이웃하는 두 변부를 매끄럽게 연결하도록 만곡된 부분인 점에서 「만곡부」라고 바꿔 말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A)는,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開口緣)에 웨더 스트립(6)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제1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은,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환형상(環形狀)(또는 무단 끈 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의 전체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장척(長尺)인 고무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백 도어 개구부(3)에 장착되기 전의 웨더 스트립(6)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2 및 도 1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더 스트립(6)은, 상기 루프측 변부(4a)에 대응하는 루프측 변부 대응부(6A), 상기 2개의 필러측 변부(4b)에 대응하는 2개의 필러측 변부 대응부(6B), 상기 바닥측 변부(4c)에 대응하는 바닥측 변부 대응부(6C), 상기 2개의 루프측 코너부(5a)에 대응하는 2개의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D), 및, 상기 2개의 바닥측 코너부(5c)에 대응하는 2개의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E)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 (B)나 도 2에서는,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 및 웨더 스트립(6)을 좌우 대칭 형상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은 반드시 대칭 형상일 필요는 없고, 변부나 코너부의 수가 차량 전체의 디자인 등에 맞춰 적절하게 설정된 비대칭 형상이어도 된다.
웨더 스트립(6)은, 길이방향에 따른 어느 위치에서도 횡단면 형상은 기본적으로 거의 동일(상사형(相似形)을 포함한다)하지만, 위치에 따라 횡단면 형상의 치수 설정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웨더 스트립(6)의 상기 5개의 대응부(6A∼6E)는, 단면 형상의 치수 설정의 특징에 따라, 제1 부분(P1),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으로 분류된다.
제1 부분(P1)은, 길이방향에 따른 어느 위치에서도 일정한 단면 형상(「제1 단면 형상」이라고 부른다)을 가진 부분이며, 웨더 스트립(6) 중에 제1 일정 단면 형상 구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2 부분(P2)은, 길이방향에 따른 어느 위치에서도 일정한 단면 형상(「제2 단면 형상」이라고 부른다)을 가진 부분이며, 웨더 스트립(6) 중에 제2 일정 단면 형상 구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단, 제2 단면 형상은, 제1 단면 형상보다도 작다.
제3 부분(P3)은,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 사이에 있어서 양 부분(P1, P2)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부분이며, 웨더 스트립(6) 중에, 단면 형상이 상기 제1 단면 형상으로부터 상기 제2 단면 형상으로 서서히 변화하는 곳의 서변(徐變) 단면 형상 구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측 변부 대응부(6A) 및 그 좌우에 인접하는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D)가, 제1 부분(P1)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측 변부 대응부(6C)가 제2 부분(P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러측 변부 대응부(6B) 및 그 하측에 인접하는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E)가 제3 부분(P3)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부분(P3)(6B+6E)의 길이는, 제1 부분(P1)(6D+6A+6D)보다도 길고, 또한 제2 부분(P2)(6C)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변화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 제3 부분(P3)이, 다른 부분(제1 부분(P1) 및 제2 부분(P2))보다도 길어, 웨더 스트립(6)의 전체 길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면, 백 도어(2)를 닫은 때에 하중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기 어려워, 도어 닫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제1 부분(P1),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의 길이를 비교한 경우에도, 상기한 길이의 관계(P1<P3, P2<P3)가 성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 (A) 및 도 2의 III-III선 위치에서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간단히 루프측 변부 대응부(6A)의 횡단면을 나타낼 뿐 아니라,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부분(P1)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도 1 (A) 및 도 2의 IV-IV선 위치에서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간단히 바닥측 변부 대응부(6C)의 횡단면을 나타낼 뿐 아니라,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부분(P2)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제3 부분(P3)의 횡단면에 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제1 부분(P1)(도 3) 및 제2 부분(P2)(도 4)의 횡단면 형상과 상사형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의 각 부분(P1, P2 및 P3)은, 설치부(10)와, 그 설치부(10) 상에 인접 배치된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20)를 가지고 있다.
설치부(10)는, 피설치체로서의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부위이며, 웨더 스트립(6)의 어느 위치에서도(즉 P1, P2 및 P3의 어디라도) 설치부(10)의 횡단면의 형상 및 치수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부(10)는, 횡단면 「역U자」 모양으로 굴곡된 금속제의 심재(11)(이하 「심금(11)」이라고 한다)와, 그 심금(11)을 피복하도록 부착된 고무 피복부(12)를 갖고 있다. 그리고, 고무 피복부(12)의 내측 부분에는, 그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4개의 보유지지 립(1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보유지지 립(13)은,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을 구성하고 있는 차 양측 부재(플랜지부)를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해당 웨더 스트립을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에 고정적으로 장착시킨다. 또한, 고무 피복부(12)의 외측 부분 및 설치부(10)의 한쪽 단부 부근(도 3에서는 왼쪽 하단부 부근)에는, 그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3개의 보조 립(차 내측 립(14a), 차 외측 립(14b), 선단측 립(14c))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3개의 보조 립 중의 차 내측 립(14a)은, 카펫이나 직물재 등의 내장재의 단부를 덮기 위한 커버 립이다. 또한, 차 외측 립(14b) 및 선단측 립(14c)은, 해당 웨더 스트립(6)을 백 도어 개구부(3)에 장착한 때에 차체와 설치부(1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간극을 씰링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루프측 변부 대응부(6A)(제1 부분(P1))의 씰링부(20),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닥측 변부 대응부(6C)(제2 부분(P2))의 씰링부(20) 모두, 차 내측의 벽부(21)와 차 외측의 벽부(22)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벽부(21, 22)로 둘러싸임으로써 각 씰링부(20) 내에는, 횡단면이 대략 마름모꼴인 터널 모양 중공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중공 모양 씰링부(20)의 횡단면 형상은, 웨더 스트립(6) 전체를 통해 거의 상사형으로 되어 있지만, 위치에 따라 벽부의 치수 설정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루프측 변부 대응부(6A)(제1 부분(P1))의 차 내측 및 차 외측의 벽부(21, 22)의 벽 두께를 Tin1, Tout1이라 하고, 바닥측 변부 대응부(6C)(제2 부분(P2))의 차 내측 및 차 외측의 벽부(21, 22)의 벽 두께를 Tin2, Tout2이라 하면, Tin2<Tin1, 및, Tout2<Tout1가 되도록 벽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Tin1(또는 Tout1)은, Tin2(또는 Tout2)의 약 1.4∼2.0배의 두께로 설정된다.
또한,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부분(P3)의 씰링부(20)에 있어서의 차 내측 및 차 외측의 벽부(21, 22)의 벽 두께 Tin3, Tout3은, 일정하지는 않고, 제1 부분(P1)측의 단부로부터 제2 부분(P2)측의 단부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해 가도록 한 서변적(또는 가변적)인 벽 두께 설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3 부분(P3)에서의 씰링부(20)의 벽 두께(Tin3, Tout3)는, Tin2<Tin3<Tin1, 및, Tout2<Tout3<Tout1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덧붙여, 제3 부분(P3)에서의 씰링부(20)의 벽 두께(Tin3, Tout3)의 변화율(증감 비율)은, 길이방향 전체를 통해 일정해도 되지만, 도중에서 변화율이 변화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P1, P2 및 P3에서의 씰링부(20)의 벽 두께 설정의 차이를 반영하여, 루프측 변부 대응부(6A)로 대표되는 제1 부분(P1)의 씰링부(20)의 높이 h1(도 3)은, 바닥측 변부 대응부(6C)로 대표되는 제2 부분(P2)의 씰링부(20)의 높이 h2(도 4)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h2<h1). 또한,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 사이에 배치되는 제3 부분(P3)에서의 씰링부(20)의 높이 h3은, 일정하지는 않고, 제1 부분(P1)측의 단부로부터 제2 부분(P2)측의 단부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해 가도록 한 서변적(또는 가변적)인 높이 설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3 부분(P3)에서의 씰링부(20)의 높이 h3은, h2<h3<h1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설치부(10)의 고무 피복부(12) 및 4개의 보유지지 립(13)을 형성하는 고무 재료는, 예를 들면,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에 카본블랙 및 가황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조 과정에서 가황제에 의한 가황(즉 폴리머 가교 반응)을 실시한 것이다. 한편, 설치부(10)에 있어서의 3개의 보조 립(14a∼c) 및 씰링부(20)를 형성하는 고무 재료는, 예를 들면, EPDM에 카본블랙, 가황제 및 발포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조 과정에서 가황제에 의한 가황(즉 폴리머 가교 반응) 및 발포제에 의한 발포(스펀지화)를 실시한 것이다. 덧붙여, 발포제로 발포시킨 스펀지 모양의 EPDM계 고무 재료는, 고무 피복부(12) 등에 사용되는 가황된 EPDM계 고무 재료보다도 연질로 더 높은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은, 상기와 같은 2 종류의 고무 재료를 사용하여 압출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다. 압출 성형법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제3 부분(P1, P2, P3)을 연속적으로 구비한 장척인 고무제의 부재를 제조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D)를 제1 부분(P1)으로 함으로써, 그 씰링부(20)의 벽 두께(Tin1, Tout1)를, 해당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D)에 인접하는 필러측 변부 대응부(6B)(제3 부분(P3))의 씰링부(20)의 벽 두께(Tin3, Tout3)보다도 의미 있게 두껍게 할 뿐 아니라, 웨더 스트립(6) 중에서 씰링부(20)의 벽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D)(제1 부분(P1))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며, 그 결과, 해당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D)를 백 도어 개구부(3)의 루프측 코너부(5a)로 만곡시키면서 설치한 경우에도, 해당 씰링부(20)가 부자연스럽게 찌부러지거나, 해당 씰링부(20)에 주름이 들어가거나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E)를 제3 부분(P3)으로 함으로써, 그 씰링부(20)의 벽 두께(Tin3, Tout3)가, 해당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E)에 인접하는 바닥측 변부 대응부(6C)(제2 부분(P2))의 씰링부(20)의 벽 두께(Tin2, Tout2)보다도 의미 있게 두꺼워져 있다. 이 때문에, 해당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E)에 관해서도,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D)의 경우와 동일하게, 설치 시에 씰링부(20)가 부자연스럽게 찌부러지거나, 씰링부(20)에 주름이 들어가거나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을 백 도어 개구부(3)에 장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바닥측 변부 대응부(6C)(제2 부분(P2))는 바닥측 변부(4c)에 조립되기 때문에, 그 바닥측 변부 대응부(6C)의 씰링부(20)가 어떤 변형 작용을 받는 일은 없어, 장착 후도 해당 씰링부(20)의 높이는 h2(도 4)로 거의 유지된다. 이에 대해, 예를 들면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D)(제1 부분(P1))는 루프측 코너부(5a)에 조립되기 때문에, 장착에 동반하여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D)의 씰링부(20)는 만곡 조작의 영향을 불가피하게 받게 되고, 그 영향은, 대략 마름모꼴인 단면 형상이 높이방향으로 편평화(扁平化)하도록 한 변형 작용으로서 나타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있어서, 씰링부(20)의 상단부(23)가 설치부(10)를 향해 하강하는(또는 내려앉는) 듯한 씰링부(20)의 변형이 생기며, 그 결과, 장착 후에 있어서의 씰링부(20)의 높이는, 초기 설정의 높이인 h1보다도 약간 낮아진다. 이 장착 시의 만곡 변형에 기인하는 씰링부 높이의 하강량(내려앉음량) Δh를 미리 고려함으로써,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D)의 씰링부(20)의 초기 높이를 h1=(h2+Δh)로 치수 설정해 두는 것은, 대단히 바람직하다. 미리 이러한 치수 설정을 해 둠으로써, 웨더 스트립(6)을 백 도어 개구부(3)에 장착한 후의 바닥측 변부(4c)에 대응하는 씰링부(20)의 높이와, 루프측 코너부(5a)에 대응하는 씰링부(20)의 높이를 거의 같은 정도의 높이(즉 h2)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 후의 씰링부 높이의 균등화를 달성하여, 백 도어 개구부(3)에서의 씰링 특성을 개구연의 전체 둘레에 걸쳐 거의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웨더 스트립(6)을, 제1 단면 형상(도 3)을 가진 제1 부분(P1), 제2 단면 형상(도 4)을 가진 제2 부분(P2), 및, 변화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 제3 부분(P3)으로 이루어지는 장척인 고무제 부재로서 구성하고 있으므로, 각각의 부분(P1∼P3)의 설치 대상 부위에 적합한 씰링성을 웨더 스트립(6)에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웨더 스트립(6)에 의하면, 종래예와 같은 삽입용의 별체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백 도어(2)를 닫을 때의 압축하중의 상승도 비교적 완만하고, 적어도 급격하게 오르는 일이 없으므로, 백 도어(2)를 닫을 때에 과대한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에서는, 백 도어(2)가 닫힌 때에 해당 백 도어(2)의 힌지측 기단으로부터 반힌지측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필러측 변부(4b)에 대응하는 필러측 변부 대응부(6B)를, 제3 부분(P3)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서서히 변화하는 제3 부분(P3)을, 백 도어(2)의 힌지측 기단으로부터 반힌지측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러측 변부(4b)에 조립함으로써, 힌지식 도어체인 백 도어(2)를 닫을 때의 하중을 백 도어(2)의 측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도어 닫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부분(P3)(6B+6E)은, 그 상단 위치(힌지측 기단 근처 끝 위치)에 있어서, 제1 단면 형상(도 3)을 가진 제1 부분(P1)(즉 6D)에 연속함과 아울러, 제3 부분(P3)(6B+6E)의 하단 위치(반힌지측 선단 근처 끝 위치)에 있어서, 제2 단면 형상(도 4)을 가진 제2 부분(P2)(즉 6C)에 연속해 있는 점에서, 해당 제3 부분(P3)(6B+6E)은, 상단 위치(힌지측 기단 근처 끝 위치)로부터 하단 위치(반힌지측 선단 근처 끝 위치)를 향해 단면 형상이 점차 작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백 도어(2)를 닫을 때에 공기가 도피하기 쉬워져, 비교적 작은 힘으로 백 도어(2)를 닫는 일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형태의 다른 예]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에서는,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6D)를 제1 부분(P1)으로 했지만, 이를 제3 부분(P3)으로 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에서는,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E)를 제3 부분(P3)으로 했지만, 이를 제2 부분(P2)으로 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백 도어 개구부(3)의 개구연의 각 변부와 각 코너부의 경계와, 웨더 스트립(6)의 제1 내지 제3 부분(P1∼P3)의 경계는, 반드시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6E)를, 제3 부분(P3) 및 제2 부분(P2)의 조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웨더 스트립(6)을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3 부분(P3)으로 형성하는 것, 즉, 제1 부분(P1) 및 제2 부분(P2)을 제3 부분(P3)에 비해 극단적으로 짧게 하여, 마치 제3 부분(P3)끼리가 이어져 있는 것처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및 제3 실시형태 (서문)]
도 5, 6, 8 및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도 5 및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2 및 제3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도 본 발명을 구현화한 것이며, 제1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과 동일하게, 기본적으로 제1 부분(P1),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을 구비하는 것이다. 제2 및 제3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는 웨더 스트립의 적용 대상 개소가 다름과 아울러, 제1∼제3 부분(P1, P2, P3)의 이 배열 방식이 다르다. 이하에서는,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
도 5는, 4 도어 왜건 타입의 승용 차량(30)에 있어서,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를 떼어낸 상태에서의 프론트 도어 개구부(31) 및 리어 도어 개구부(32)를 나타낸다. 30a는 차량 전부(前部)의 프론트 필러부(30b), 30b는 차량 중부(中部)의 미들 필러부(센터 필러부라고도 하다), 30c는 차량 후부(後部)의 리어 필러부이다. 도시하지 않은 프론트 도어 및 리어 도어는, 각각 힌지(33, 34)(파선으로 나타낸다)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의 개구연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웨더 스트립(40)이 장착된다.
도 6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의 개구연은, 4개의 변부(31a∼d)와, 4개의 코너부(31e, f)의 조합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져 있다. 상기 4개의 변부는,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의 상연을 따라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루프측 변부(31a), 프론트 필러부(30a)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필러측 변부(31b), 미들 필러부(30b)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미들 필러측 변부(31c),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의 하연을 따라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측 변부(31d)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4개의 코너부는, 루프측 변부(31a)와 프론트 및 미들 필러측 변부(31b, 31c)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 한 쌍의 루프측 코너부(31e), 및, 바닥측 변부(31d)와 프론트 및 미들 필러측 변부(31b, 31c)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 한 쌍의 바닥측 코너부(31f)로 이루어져 있다.
도 6 (B)는,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에 장착되기 전의 웨더 스트립(40)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 및 도 6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더 스트립(40)은,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의 개구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환형상(또는 무단 끈 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의 개구연의 전체 둘레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장척인 고무제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웨더 스트립(40)은, 상기 루프측 변부(31a)에 대응하는 루프측 변부 대응부(41), 상기 프론트 필러측 변부(31b)에 대응하는 프론트 필러측 변부 대응부(42), 상기 미들 필러측 변부(31c)에 대응하는 미들 필러측 변부 대응부(43), 상기 바닥측 변부(31d)에 대응하는 바닥측 변부 대응부(44), 상기 2개의 루프측 코너부(31e)에 대응하는 2개의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45), 및, 상기 2개의 바닥측 코너부(31f)에 대응하는 2개의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46)를 가지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40)에서는, 도 6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필러측 변부 대응부(42) 및 그 상하에 인접하는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45) 및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46)가, 제1 부분(P1)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미들 필러측 변부 대응부(43)가, 제2 부분(P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루프측 변부 대응부(41) 및 그 후방에 인접하는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45), 및, 바닥측 변부 대응부(44) 및 그 후방에 인접하는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46)가, 제3 부분(P3)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도 5 및 도 6 (B)의 VIII-VIII선 위치에서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단지 미들 필러측 변부 대응부(43)의 횡단면을 나타낼 뿐 아니라,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부분(P2)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9는, 도 5 및 도 6 (B)의 IX-IX선 위치에서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단지 프론트 필러측 변부 대응부(42)의 횡단면을 나타낼 뿐 아니라,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부분(P1)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제3 부분(P3)의 횡단면에 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제1 부분(P1)(도 9) 및 제2 부분(P2)(도 8)의 횡단면 형상과 상사형을 이루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40)의 각 부분(P1, P2 및 P3)은, 설치부(10)와, 그 설치부(10) 상에 인접 배치된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25, 24)를 가지고 있다.
웨더 스트립(40)의 어느 위치에서도(즉 P1, P2 및 P3의 어디에서도) 설치부(10)의 횡단면의 형상 및 치수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부(10)는, 횡단면 U자 모양의 심금(11)과, 그 심금(11)을 피복하는 고무 피복부(12)와, 상기 고무 피복부(12)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3개의 보유지지 볼록부(15) 및 보유지지 립(16)과, 상기 고무 피복부(12)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커버 립(17)을 가지고 있다. 보유지지 볼록부(15) 및 보유지지 립(16)은,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의 개구연을 구성하고 있는 차 양측 부재(플랜지부)를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해당 웨더 스트립(40)을 프론트 도어 개구부(31)의 개구연에 고정적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부위이다. 커버 립(17)은, 카펫이나 직물재 등의 내장재의 단부를 덮기 위한 립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중공 모양 씰링부(24)와 도 8에 나타내는 중공 모양 씰링부(25)는, 대체로 상사형의 단면 형상을 갖지만, 벽부의 치수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9의 씰링부(24)의 벽 두께 T4는, 도 8의 씰링부(25)의 벽 두께 T5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T5<T4), 그 결과, 제1 부분(P1)의 씰링부(24)는, 외형상 및 단면적 모두 제2 부분(P2)의 씰링부(25)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제3 부분(P3)의 씰링부(도시 생략)는, 그 외형상 및 단면적 모두, 제1 부분(P1)의 씰링부(24)로부터 제2 부분(P2)의 씰링부(25)를 향해 서서히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40)은 대체로, 제1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제2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40)에서는, 프론트 도어가 닫힌 때에 해당 프론트 도어의 힌지(33)측 기단으로부터 반힌지측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루프측 및 바닥측 변부(31a, 31d)에 대응하는 루프측 및 바닥측 변부 대응부(41, 44)를, 제3 부분(P3)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서서히 변화하는 제3 부분(P3)을, 프론트 도어의 힌지측(33) 기단으로부터 반힌지측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루프측 및 바닥측 변부(31a, 31d)에 조립함으로써, 힌지식 도어체인 프론트 도어를 닫을 때의 하중을 프론트 도어의 측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서서히 변화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도어 닫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부분(P3)(41+45, 44+46)은, 그 전단(前端) 위치(힌지측 기단 근처 끝 위치)에 있어서, 제1 단면 형상(도 9)을 가진 제1 부분(P1)(45+42+46)에 연속함과 아울러, 제3 부분(P3)(41+45, 44+46)의 후단 위치(반힌지측 선단 근처 끝 위치)에 있어서, 제2 단면 형상(도 8)을 가진 제2 부분(P2)(43)에 연속해 있는 점에서, 해당 제3 부분(P3)(41+45, 44+46)은, 전단 위치(힌지측 기단 근처 끝 위치)로부터 후단 위치(반힌지측 선단 근처 끝 위치)를 향해 단면 형상이 점차 작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프론트 도어를 닫을 때에 공기가 도피하기 쉬워져, 비교적 작은 힘으로 프론트 도어를 닫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의 다른 예]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40)에서는, 프론트 필러측 변부 대응부(42)의 상하에 인접하는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45) 및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46)를 제1 부분(P1)으로 했지만, 이를 제3 부분(P3)으로 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40)에서는, 루프측 변부 대응부(41)의 후방에 인접하는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45), 및, 바닥측 변부 대응부(44)의 후방에 인접하는 바닥측 코너부 대응부(46)(즉, 미들 필러측 변부 대응부(43)의 상하에 인접하는 코너부 대응부(45, 46))를 제3 부분(P3)으로 했지만, 이를 제2 부분(P2)으로 하여 형성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 개구부(32)의 개구연에는,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웨더 스트립(50)이 장착된다.
도 7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도어 개구부(32)의 개구연은, 대체로 4개의 변부(32a∼d)와, 대체로 4개의 코너부(32e∼g)의 조합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져 있다. 상기 4개의 변부는, 리어 도어 개구부(32)의 상연을 따라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루프측 변부(32a), 미들 필러부(30b)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미들 필러측 변부(32b), 리어 필러부(30c)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어 필러측 변부(32c), 리어 도어 개구부(32)의 하연을 따라 거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바닥측 변부(32d)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4개의 코너부는, 루프측 변부(32a)와 미들 및 리어 필러측 변부(32b, 32c)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 한 쌍의 루프측 코너부(32e), 미들 필러측 변부(32b)와 바닥측 변부(32d)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측 전방 코너부(32f), 및, 리어 필러측 변부(32c)와 바닥측 변부(32d)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측 후방 코너부(32g)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바닥측 후방 코너부(32g)는, 후륜(後輪)의 휠 하우스의 상방에 위치하고 대체로 휠 하우스의 윤곽을 따라 만곡함과 함께, 해당 코너부의 상단 위치가 소위 벨트 라인 L(도어체에 있어서의 창과 도어 패널의 경계선)의 근방에까지 이르는 비교적 긴 만곡부이다.
도 7 (B)는, 리어 도어 개구부(32)에 장착되기 전의 웨더 스트립(50)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 및 도 7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더 스트립(50)은, 리어 도어 개구부(32)의 개구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환형상(또는 무단 끈 모양)을 이룸과 아울러, 리어 도어 개구부(32)의 개구연의 전체 둘러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를 가진 장척인 고무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웨더 스트립(50)은, 상기 루프측 변부(32a)에 대응하는 루프측 변부 대응부(51), 상기 미들 필러측 변부(32b)에 대응하는 미들 필러측 변부 대응부(52), 상기 리어 필러측 변부(32c)에 대응하는 리어 필러측 변부 대응부(53), 상기 바닥측 변부(32d)에 대응하는 바닥측 변부 대응부(54), 상기 2개의 루프측 코너부(32e)에 대응하는 2개의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55), 상기 바닥측 전방 코너부(32f)에 대응하는 바닥측 전방 코너부 대응부(56), 및, 상기 바닥측 후방 코너부(32g)에 대응하는 바닥측 후방 코너부 대응부(57)를 가지고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50)에서는, 도 7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측 변부 대응부(51) 및 그 전후에 인접하는 2개의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55)가, 제1 부분(P1)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측 변부 대응부(54)가, 제2 부분(P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미들 필러측 변부 대응부(52) 및 그 하방에 인접하는 바닥측 전방 코너부 대응부(56), 및, 리어 필러측 변부 대응부(53) 및 그 하방에 인접하는 바닥측 후방 코너부 대응부(57)가, 제3 부분(P3)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50)에 있어서의 제1 부분(P1)의 횡단면 형상 및 제2 부분(P2)의 횡단면 형상은, 각각 제2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40)에 있어서의 제1 부분(P1)의 횡단면 형상(도 9) 및 제2 부분(P2)의 횡단면 형상(도 8)과 동일하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3 부분(P3)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3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50)은 대체로, 제1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6) 및 제2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40)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의 다른 예]
상기 제3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50)에서는, 루프측 변부 대응부(51)의 전후에 인접하는 2개의 루프측 코너부 대응부(55)를 제1 부분(P1)으로 했지만, 이들을 제3 부분(P3)으로 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3 실시형태의 웨더 스트립(50)에서는, 바닥측 전방 코너부 대응부(56) 및 바닥측 후방 코너부 대응부(57)(즉, 바닥측 변부 대응부(54)의 전후에 인접하는 코너부 대응부(56, 57))를 제3 부분(P3)으로 했지만, 이들을 제2 부분(P2)으로 하여 형성해도 된다.
P1 제1 부분
P2 제2 부분
P3 제3 부분
1 승용 차량
2 백 도어(도어체)
3 백 도어 개구부(차체 개구부)
4a, 4b, 4c 변부
5a, 5c 코너부
6 웨더 스트립(씰링재)
10 설치부
20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
24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
25 중공 터널 모양의 씰링부
30 승용 차량
31 프론트 도어 개구부(차체 개구부)
31a, 31b, 31c, 31d 변부
31e, 31f 코너부
32 리어 도어 개구부(차체 개구부)
32a, 32b, 32c, 32d 변부
32e, 32f, 32g 코너부
40 웨더 스트립(씰링재)
50 웨더 스트립(씰링재)

Claims (11)

  1. 차량의 차체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체 개구부와, 상기 차체 개구부를 폐색(閉塞) 가능한 도어체 사이를 씰링하는 씰링재로서,
    해당 씰링재는, 그 횡단면(橫斷面)에 있어서,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開口緣)에 설치된 플랜지부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일체화된 씰링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해당 씰링재는, 장척(長尺)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
    제1 단면(斷面) 형상을 가지는 제1 부분과,
    제2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있어서 이들 제1 및 제2 부분을 연속적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제3 부분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2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씰링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제1 단면 형상에 있어서의 씰링부의 단면 형상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상기 제3 부분은, 그 단면 형상이 길이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척인 씰링재는, 상기 제3 부분을 적어도 2 개소(箇所)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의 길이가, 상기 제1 부분보다도 길고, 또한 상기 제2 부분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은, 복수의 변부, 및, 상기 변부에 연속하는 복수의 코너부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져 있으며,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 중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와 동등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은, 복수의 변부, 및, 상기 변부에 연속하는 복수의 코너부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져 있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 중의 적어도 하나의 변부와 동등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은, 복수의 변부, 및, 상기 변부에 연속하는 복수의 코너부에 의해 테두리가 둘러져 있고,
    상기 제3 부분이,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 중의 적어도 하나의 변부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차체 개구부의 개구연을 구성하는 복수의 변부 중, 닫힌 상태로 있을 때의 도어체의 힌지측 기단(基端)으로부터 반(反)힌지측 선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변부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도어체의 힌지측 기단 근처 끝 위치에서 상기 제1 단면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도어체의 반힌지측 선단 근처 끝 위치에서 상기 제2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도 씰링부의 높이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보다도 씰링부의 벽 두께가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 있어서의 설치부의 단면 형상, 상기 제2 부분에 있어서의 설치부의 단면 형상, 및, 상기 제3 부분에 있어서의 설치부의 단면 형상이, 거의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KR1020187017316A 2015-12-22 2016-09-01 씰링재 및 그 설치 구조 KR102316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9188 2015-12-22
JP2015249188A JP6437426B2 (ja) 2015-12-22 2015-12-22 シール材及びその取付構造
PCT/JP2016/075645 WO2017110148A1 (ja) 2015-12-22 2016-09-01 シール材及びそ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823A true KR20180095823A (ko) 2018-08-28
KR102316417B1 KR102316417B1 (ko) 2021-10-21

Family

ID=5909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316A KR102316417B1 (ko) 2015-12-22 2016-09-01 씰링재 및 그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70338B2 (ko)
JP (1) JP6437426B2 (ko)
KR (1) KR102316417B1 (ko)
CN (1) CN108430817B (ko)
WO (1) WO2017110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3607B2 (ja) * 2016-03-28 2020-02-26 東海興業株式会社 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7077274B2 (ja) * 2019-07-04 2022-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シール材
CN114872525A (zh) * 2021-02-05 2022-08-09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辆的后部结构
US11850922B2 (en) * 2022-04-05 2023-12-26 Honda Motor Co., Ltd. Door seal and sensor assembly for motor vehicle
CN115370277A (zh) * 2022-09-01 2022-11-22 中国商用飞机有限责任公司 舱门密封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6542U (ko) * 1979-11-20 1981-06-22
JPH01154948U (ko) * 1988-04-09 1989-10-25
JPH03164327A (ja) * 1989-11-22 1991-07-16 Tokai Kogyo Kk 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203266A (ja) 1997-01-17 1998-08-04 Green Tokai Co Ltd 中空ウェザーストリップ材の曲線部を補強する方法および製造物
JP2007290586A (ja) * 2006-04-26 2007-11-08 Nishikawa Rubber Co Ltd オープニングシールおよび同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446727A1 (es) * 1975-07-08 1977-06-01 Mesnel Sa Ets Perfeccionamientos introducidos en juntas de estancamiento extrusionadas tubularmente, especialmente para carrocerias de automoviles.
JPS5676542A (en) * 1979-11-28 1981-06-24 Hitachi Ltd Resin-sealed semiconductor device
JPS5822739A (ja) * 1981-08-05 1983-02-10 Nissan Motor Co Ltd 縁飾りの取付構造
IT1159954B (it) * 1983-01-06 1987-03-04 Saiag Spa Guarnizione di tenuta per carrozzerie di autoveicoli e testa di estrusione per realizzare tale guarnizione
US5240664A (en) * 1988-04-14 1993-08-31 Toyoda Gosei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door weather strip
US4976069A (en) * 1988-11-02 1990-12-11 Tokai Kogyo Kabushiki Kaisha Automobile door seal, and a molding apparatus thereof
JPH031857A (ja) * 1989-05-31 1991-01-08 New Eeji:Kk 視力矯正具
DE69005987T2 (de) 1989-11-14 1994-08-18 Tokai Kogyo Co Ltd Dichtun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ihrer Herstellung.
US5183522A (en) 1989-11-14 1993-02-02 Tokai 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process for a manufacturing a weather strip
JPH0531784A (ja) * 1991-07-30 1993-02-09 Toyo Tire & Rubber Co Ltd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ツプ及びその成形方法
JP3407179B2 (ja) * 1996-06-18 2003-05-19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ドア構造
JPH11179782A (ja) * 1997-12-22 1999-07-06 Nishikawa Rubber Co Ltd 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製造装置及びドア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TW466190B (en) 1999-07-23 2001-12-01 Toyoda Gosei Kk Weather resistant strip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405489B1 (en) * 1999-10-13 2002-06-18 Toyoda Gosei Co., Ltd. Structure for mounting door weather strip
FR2860055B1 (fr) * 2003-09-23 2006-01-06 Rehau Sa Joint perimetrique tubulaire a monter sur le rebord d'encadrement d'une ouverture, notamment de carrosserie automobile
DE102008010547B3 (de) * 2008-02-22 2009-08-20 Metzeler Automotive Profile Systems Gmbh Abdeckleiste für Kraftfahrzeuge
JP5513750B2 (ja) * 2009-02-03 2014-06-04 東海興業株式会社 ウェザーストリップ及び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CN104684747B (zh) 2012-10-04 2017-10-31 东海兴业株式会社 用于车辆的成型带
JP6228166B2 (ja) * 2015-07-03 2017-11-08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6434398B2 (ja) * 2015-12-22 2018-12-05 東海興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6653607B2 (ja) * 2016-03-28 2020-02-26 東海興業株式会社 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製造方法
JP6496279B2 (ja) * 2016-06-28 2019-04-03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ウェザーストリッ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6542U (ko) * 1979-11-20 1981-06-22
JPH01154948U (ko) * 1988-04-09 1989-10-25
JPH03164327A (ja) * 1989-11-22 1991-07-16 Tokai Kogyo Kk 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H10203266A (ja) 1997-01-17 1998-08-04 Green Tokai Co Ltd 中空ウェザーストリップ材の曲線部を補強する方法および製造物
JP2007290586A (ja) * 2006-04-26 2007-11-08 Nishikawa Rubber Co Ltd オープニングシールおよび同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63238A1 (en) 2019-08-29
WO2017110148A1 (ja) 2017-06-29
JP2017114184A (ja) 2017-06-29
US10870338B2 (en) 2020-12-22
CN108430817B (zh) 2021-08-13
CN108430817A (zh) 2018-08-21
KR102316417B1 (ko) 2021-10-21
JP6437426B2 (ja)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5823A (ko) 씰링재 및 그 설치 구조
JP4640144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5034872B2 (ja) ガラスラン
CN103009974B (zh) 玻璃滑槽
JP5656928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4921258B2 (ja) 自動車用ルーフサイドウエザストリップ
US20100026042A1 (en) Integrated glass run and upper reveal with film
JP6700900B2 (ja) 自動車ドア用シール材
US20060107601A1 (en) Glass run for motor vehicle
KR102316413B1 (ko) 자동차용 웨더 스트립
JP2009056924A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CN103009973B (zh) 密封条
JP2013184627A (ja) ガラスラン
US7178809B2 (en) Roof weather strip for convertible car
US9919590B2 (en) Opening trim weatherstrip
JP2005271677A (ja) ガラスラン
JP2007160978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4735327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US20240066966A1 (en) Vehicle roof assembly
JP2010047157A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JP2003081024A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JP4329033B2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2007153085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2011093416A (ja) ウエザストリップ
JP2004155386A (ja) ウエザスト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