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993A - 약액 공급 기구 및 약액 공급구 - Google Patents

약액 공급 기구 및 약액 공급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993A
KR20180093993A KR1020187019430A KR20187019430A KR20180093993A KR 20180093993 A KR20180093993 A KR 20180093993A KR 1020187019430 A KR1020187019430 A KR 1020187019430A KR 20187019430 A KR20187019430 A KR 20187019430A KR 20180093993 A KR20180093993 A KR 20180093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chemical liquid
supply body
contain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고미야마
Original Assignee
고바야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바야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바야시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3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2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Supply contr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2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pads or like contents-appl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61J1/1487Inlet or outlet ports with friction fit, e.g. connecting tubes directly to a protruding 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약액 공급 기구(1)로서, 용기(10)와, 입구부(14)에 접속된 상태에서 용기(10) 내가 밀폐된 상태와 수용부(12) 내의 약액을 용기(10) 바깥으로 공급 가능한 상태를 전환 가능한 약액 공급구(20)를 구비한다. 약액 공급구(20)는, 기체(30)와, 공급체(50)를 갖는다. 기체(30)는, 이탈 방지부(40)와, 누름부(42)와, 누름부(42)의 가압력에 저항하도록 공급체(50)가 압압되었을 때에 공급체(50)와 맞닿음으로써 공급체(50)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34)를 갖는다. 공급체(50)는, 이탈 방지부(4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공급 유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이탈 방지부(40)와 접촉함으로써 공급 유로를 차단한다.

Description

약액 공급 기구 및 약액 공급구
본 발명은, 약액을 공급하기 위한 약액 공급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피부 등의 피공급부에 약액을 공급하기 위한 약액 공급 기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약액을 수용하는 용기와, 용기에 접속된 마개체(栓體)와, 마개체에 접속된 안쪽 뚜껑(內蓋)과, 스펀지를 구비하는 약액 도포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마개체는, 용기의 입구부에 접속(압입)되어 있다. 안쪽 뚜껑에는, 약액의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안쪽 뚜껑 중 상기 유출구를 둘러싸는 유출부는, 용기의 내부에서 외부로 향함에 따라 점차 상기 유출구가 작아지도록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마개체에는, 스프링 및 가동밸브가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은, 안쪽 뚜껑의 내측으로부터 안쪽 뚜껑을 향해 가동밸브를 탄성 가압한다. 가동밸브는, 상기 유출부에 면접촉하는 형상을 갖는 숄더부와, 숄더부로부터 용기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를 갖고 있다. 돌기부의 외형은, 상기 유출구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 돌기부는, 안쪽 뚜껑의 외면보다 외부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스펀지의 바깥 가장자리는, 안쪽 뚜껑의 바깥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스펀지는, 내측에서 외측을 향해 돌기부에 탄성 가압됨으로써 바깥쪽으로 볼록해지도록 팽출하는 형상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 약액 도포 기구를 이용한 약액의 피부로의 도포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우선, 스펀지의 외면이 아래를 향하는 자세로 당해 외면을 피부에 누른다. 이 때, 돌기부가 스프링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안쪽 뚜껑의 내측을 향해 압압(押壓)됨으로써 유출부와 숄더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므로, 유출구를 통해 용기 내의 약액이 안쪽 뚜껑 바깥으로 유출된다. 이 약액은, 스펀지에 함침된다. 그 후, 약액 도포 기구를 그대로 피부를 따라 옆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스펀지에 유지된 약액이 피부에 도포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약액 공급 기구에서는, 피공급부(피부 등)의 더러움이 스펀지에 부착됨으로써 당해 스펀지가 막혀, 약액의 공급량이 부족해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스펀지를 사용하지 않는 것(제거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단순히 스펀지가 제거된 경우, 약액의 공급량이 과잉이 된다. 구체적으로, 스펀지는, 약액을 함침시키는(유지하는) 기능과 피공급부(피부 등)에 거의 정량의 약액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그 스펀지가 제거되면, 유출구를 통해 유출된 약액의 전량이 한번에 피공급부에 공급되게 된다. 이는, 가동밸브의 압압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해진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소51-47562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약액의 공급 부족의 회피와 약액의 과잉 공급의 억제를 양립 가능한 약액 공급 기구 및 약액 공급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른 약액 공급 기구는, 약액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특정 방향으로 개구하는 입구부를 갖는 용기와,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당해 입구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가 밀폐된 상태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약액을 상기 용기 바깥으로 공급 가능한 상태를 전환 가능한 약액 공급구를 구비하고, 상기 약액 공급구는,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상기 용기 내와 상기 용기 바깥을 연통시키는 형상을 갖는 기체(基體)와, 상기 기체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용기 내의 폐색 및 피공급부로의 상기 약액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체를 가지며, 상기 기체는, 당해 기체로부터의 상기 공급체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입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와 반대측에서 상기 공급체에 접촉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용기 내가 폐색되도록 상기 공급체를 상기 이탈 방지부를 향해 누르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가압력에 저항하도록 상기 공급체가 압압되었을 때에 당해 공급체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공급체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공급체는, 상기 이탈 방지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당해 공급체와 상기 이탈 방지부의 사이에 상기 약액의 상기 용기 바깥으로의 공급 유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이탈 방지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공급 유로를 차단한다.
또,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른 약액 공급구는, 약액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특정 방향으로 개구하는 입구부를 갖는 용기의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당해 입구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가 밀폐된 상태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약액을 상기 용기 바깥으로 공급 가능한 상태를 전환 가능한 약액 공급구로서,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상기 용기 내와 상기 용기 바깥을 연통시키는 형상을 갖는 기체와, 상기 기체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용기 내의 폐색 및 피공급부로의 상기 약액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는, 당해 기체로부터의 상기 공급체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입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와 반대측에서 상기 공급체에 접촉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용기 내가 폐색되도록 상기 공급체를 상기 이탈 방지부를 향해 누르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가압력에 저항하도록 상기 공급체가 압압되었을 때에 당해 공급체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공급체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공급체는, 상기 이탈 방지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당해 공급체와 상기 이탈 방지부의 사이에 상기 약액의 상기 용기 바깥으로의 공급 유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이탈 방지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공급 유로를 차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약액 공급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약액 공급 기구의 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약액 공급 기구의 기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되는 약액 공급 기구의 공급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되는 약액 공급 기구의 공급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와는 다른 각도에서의 공급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되는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공급체가 압압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되는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공급체가 경사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약액 공급구의 제1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약액 공급구의 제2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약액 공급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캡의 압압면이 팽출부에 접촉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되는 약액 공급 기구로부터 캡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되는 약액 공급 기구의 공급체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약액 공급 기구(1)에 대해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약액 공급 기구(1)는, 용기(10)와, 약액 공급구(20)와, 캡(70)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10)는, 약액(도시 생략)을 수용하는 수용부(12)와, 수용부(12)에 접속된 입구부(14)를 갖는다. 입구부(14)는, 특정 방향(도 1의 상하방향)으로 개구하는 형상을 갖는다. 입구부(14)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약액 공급구(20)는, 입구부(14)에 접속된 상태에서 용기(10) 내가 밀폐된 상태와 수용부(12) 내의 약액을 용기(10) 바깥으로 공급 가능한 상태를 전환 가능한 유닛이다. 구체적으로, 약액 공급구(20)는, 입구부(14)에 접속 가능한 기체(30)와, 기체(30)에 유지된 공급체(50)를 갖는다.
기체(30)는, 입구부(14)에 접속된 상태로 용기(10) 내와 용기(10) 바깥을 연통시키는 형상을 갖는다. 기체(30)는, 피접속부(32)와, 규제부(34)와, 이탈 방지부(40)와, 누름부(42)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접속부(32), 규제부(34), 이탈 방지부(40) 및 누름부(42)는 일체 성형되어 있다. 단, 이들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도 된다.
피접속부(32)는 원통형이다. 피접속부(32)의 외경은, 입구부(14)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탈 방지부(40)는, 피접속부(32)가 입구부(14)에 접속(압입)되었을 때의 용기(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탈 방지부(40)는, 기체(30)로부터의 공급체(50)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입구부(14)를 기준으로 하여 수용부(12)와 반대측(도 1에서는 상측)에서 공급체(50)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이탈 방지부(40)는, 피접속부(32)의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의 전역에 걸쳐 공급체(50)에 접촉하는 형상을 갖는다.
누름부(42)는, 피접속부(32)의 내측에 접속되어 있으며, 공급체(50)를 이탈 방지부(40)를 향해 누른다. 누름부(42)는, 공급체(50)를 유지하는 유지부(44)와, 유지부(44)를 용기(10)의 외측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46)를 갖는다.
유지부(44)는, 공급체(50)를 유지한 상태로 피접속부(32)의 내측에서 상기 중심축(C)을 따라 변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유지부(44)의 외경은, 피접속부(32)의 내경보다 작다. 유지부(44)는, 탄성 가압부(46)의 탄성 가압력의 작용 방향(도 1에서는 위쪽)과 평행한 중심축(C) 둘레로 공급체(50)가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당해 공급체(50)를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지부(44)에는 십자형의 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5) 내에, 후술하는 공급체(50)의 축부(62)가 삽입됨으로써 공급체(50)의 기체(30)에 대한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탄성 가압부(46)는, 피접속부(32)의 내주면 중 수용부(12)에 가까운 쪽(도 1에서는 하측)의 단부와 유지부(44)를 접속하는 나선형의 스프링 부재이다. 이 탄성 가압부(46)의 신축에 의해, 유지부(44), 즉, 공급체(50)가 탄성 가압부(46)의 탄성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변위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탄성 가압부(46)는, 자연길이(自然長)에 있어서 유지부(44)의 상단면이 이탈 방지부(40)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피접속부(32)와 유지부(44)를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급체(50)가 이탈 방지부(40)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탄성 가압부(46)는 자연길이보다 압축되어 있다. 즉, 탄성 가압부(46)는, 공급체(50)를 항상 이탈 방지부(40)에 누르고 있으며, 도 1은, 공급체(50)가 이탈 방지부(40)에 눌러짐으로써, 용기(10) 내가 밀폐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규제부(34)는, 피접속부(32)와 이탈 방지부(4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34)는, 누름부(42)의 가압력에 저항하도록 공급체(50)가 압압되었을 때에 당해 공급체(50)와 맞닿음으로써 공급체(50)의 변위를 규제한다. 규제부(34)는, 피접속부(32)의 중심축(C)과 직교하는 원환형의 규제면(36)과, 규제면(36)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환상이며 또한 공급체(50)에 선접촉하는 형상을 갖는 환상 돌기(38)를 갖고 있다. 또한, 환상 돌기(38)는 생략되어도 된다.
공급체(50)는, 기체(30)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용기(10) 내의 폐색 및 피공급부(피부 등)로의 약액의 공급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공급체(50)는, 공급체 본체(52)와, 축부(62)를 갖고 있다. 공급체 본체(52)와 축부(62)는, 일체 성형되어 있다.
공급체 본체(52)는, 피공급부에 약액을 공급하는 공급면(54)과, 복수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팽출부(56)와, 이탈 방지부(40)에 맞닿는 접촉부(58)와, 규제부(34)와 대향하는 대향부(60)를 갖고 있다.
공급면(54)은, 용기(1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해지도록 만곡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각 팽출부(56)는, 공급면(5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하는 형상을 갖고 있다. 즉, 각 팽출부(56)의 곡률 반경은, 공급면(54)의 곡률 반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팽출부(56)는, 공급면(54) 중 당해 공급면(5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팽출부(56)는, 상기 중심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58)는, 이탈 방지부(40)에 대해 상기 탄성 가압력(가압력)의 작용 방향으로 맞닿는다. 접촉부(58)는, 공급면(54)의 바깥 가장자리에 접속되어 있다. 접촉부(58)는, 공급면(54)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점차 당해 접촉부(58)의 외경이 커지는 형상(원뿔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부(58)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4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공급체(50)와 이탈 방지부(40)의 사이에 약액의 용기(10) 바깥으로의 공급 유로(S)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는, 피공급부로의 약액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접촉부(58)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40)와 접촉(밀착)함으로써 공급 유로(S)를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는, 용기(10) 내가 밀폐된다.
축부(62)는, 공급체 본체(52) 중 공급면(54)과는 반대측의 면으로부터 당해 면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부(62)는, 중앙축(64)과, 복수의(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측판(66)을 갖고 있다.
중앙축(64)은 원기둥형이다. 이 중앙축(64)은, 유지부(44)의 홈(45) 내에 삽입 통과 가능한 외경으로 설정된다.
각 측판(66)은, 중앙축(64)으로부터 당해 중앙축(64)의 경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고 있다. 각 측판(66)은, 중앙축(64)의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측판(66)은, 홈(45) 내에 삽입 통과 가능한 두께로 설정된다. 이들 측판(66)이 홈(45) 내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공급체(50)의 기체(30)에 대한 상기 중심축(C) 둘레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규제」란, 공급체(50)의 기체(30)에 대한 상대 회전을 일절 허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체(50)의 원주방향으로의 변위량이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향부(60)는, 축부(62)가 홈(45)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규제부(34)와 대향하는 부위이다. 대향부(60)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향부(60)는, 공급면(54) 내지 팽출부(56)가 탄성 가압부(46)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압되었을 때에 규제부(34)의 환상 돌기(38)와 맞닿는다(선접촉). 이 상태에서는, 약액의 용기(10) 바깥으로의 유출이 규제된다.
또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40)는, 상기 중심축(C)에 대해 축부(62)의 중심축(A)이 경사지도록 공급체(50)가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탈 방지부(40)는, 공급체(50) 중 상기 중심축(A)으로부터 당해 중심축(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편의부(偏倚部)(예를 들면 팽출부(56))가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중심축(A)을 기준으로 하여 공급체(50) 중 편의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당해 이탈 방지부(40)의 접촉 개소(P)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대향부(60)가 환상 돌기(38)에 맞닿을 때까지 공급체(50)가 기체(30)에 대해 기울어져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캡(70)은, 입구부(14)에 나사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캡(70)의 내주면에는, 입구부(14)에 형성된 수나사부(15)에 나사식 결합하는 암나사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캡(70)은, 이탈 방지부(40)에 맞닿음으로써 용기(10) 내를 밀폐하는 환상의 돌출부(74)를 갖고 있다.
다음으로, 약액 공급 기구(1)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피공급부가 피부인 경우, 즉, 본 약액 공급 기구(1)를 이용하여 피부에 약액을 도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공급면(54)이 아래를 향하는 자세로 당해 공급면(54)을 피부에 누른다. 이 때, 대향부(60)가 환상 돌기(38)에 접촉할 때까지 공급체(50)가 탄성 가압부(46)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압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촉부(58)와 이탈 방지부(40)의 사이에 공급 유로(S)가 형성되므로, 당해 공급 유로(S)를 통해 용기(10) 내의 약액이 용기(10) 바깥으로 공급된다. 한편, 환상 돌기(38)와 대향부(60)의 접촉에 의해 용기(10) 내가 밀폐되므로, 그 이상의 약액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리고, 그대로 약액 공급 기구(1)를 피부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약액이 피부의 원하는 영역에 도포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약액 공급 기구(1)에서는, 탄성 가압부(46)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공급체(50)가 압압되었을 때에 공급 유로(S)를 통해 약액이 공급되므로, 약액의 공급 부족이 회피되며, 또한, 공급체(50)가 규제부(34)에 맞닿음으로써 공급체(50)의 변위(압압 스트로크)가 규제되므로, 공급 유로(S)를 통한 약액의 과잉 공급이 억제된다. 따라서, 약액의 공급량을 일정한 범위 내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부(34)는, 대향부(60)에 선접촉하는 환상 돌기(38)를 갖고 있으므로, 대향부(60)가 환상 돌기(38)에 접촉함으로써 약액의 유출이 유효하게 규제된다. 따라서, 약액의 과잉 공급이 보다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 유지부(44)는, 상기 탄성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C) 둘레로 공급체(50)가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당해 공급체(50)를 유지하므로, 환상 돌기(38)의 마모가 저감된다. 예를 들면, 공급체(50)가 유지부(44)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면, 공급체(50)가 환상 돌기(38)에 접촉한 상태로 당해 공급체(50)가 유지부(44)에 대해 상대 회전한 경우에 환상 돌기(38)의 마모가 생기는데, 본 약액 공급 기구(1)에서는, 공급체(50)의 유지부(44)에 대한 상대 회전이 규제되므로, 환상 돌기(38)의 마모가 저감된다.
또 이탈 방지부(40)는, 상기 중심축(C)에 대해 축부(62)의 중심축(A)이 경사지도록 공급체(50)가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공급체(50) 중 상기 편의부가 압압된 경우여도, 공급 유로(S)가 확보되며, 이에 따라 약액이 매끄럽게 공급된다.
또한, 공급체(50)의 유지부(44)에 대한 상대 회전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공급체(50) 중 상기 편의부에 작용한 외력은, 공급체(50)를 기울어지게 하는 방향의 압압력으로서 작용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공급체(50)가 경사지기 쉬워지므로, 약액의 공급량이 유효하게 확보된다.
또 각 팽출부(56)는, 공급면(54) 중 당해 공급면(54)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당해 팽출부(56)가 압압된 경우에 공급체(50)의 경사가 촉진되며, 이에 따라 공급 유로(S)가 유효하게 형성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약액 공급 기구(1)에 대해 도 11~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이 행해지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조, 작용, 효과 등의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출부(56)의 공급면(54)으로부터의 팽출량은, 제1 실시형태의 그것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팽출부(56)의 배면측(도 11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방향에 대해 각 팽출부(56)와 겹치는 위치에는, 3개의 보강 리브(61)가 형성되어 있다. 각 팽출부(56)는, 환상 돌기(38)의 경방향에 대해 당해 환상 돌기(38)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점은, 제1 실시형태에서도 동일하다.
또 축부(62)의 길이는, 제1 실시형태의 그것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도 11~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40)의 외주면에는, 약액을 유지하는 약액 유지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약액 유지부(48)는, 이탈 방지부(40)의 외주면의 다른 부위로부터 당해 이탈 방지부(40)의 경방향(도 11의 좌우방향)의 안쪽으로 오목하게 패임과 더불어 당해 이탈 방지부(40)의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약액 유지부(48)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약액을 유지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70)은, 당해 캡(70)이 입구부(14)에 접속(나사식 결합)된 상태에서 공급체(50)의 대향부(60)가 규제부(34)의 환상 돌기(38)에 접촉하도록 당해 공급체(50)를 압압하는 압압면(71)을 갖고 있다. 환언하면, 캡(70)이 입구부(14)에 접속되었을 때에 대향부(60)가 환상 돌기(38)에 눌러지도록 각 팽출부(56)의 팽출량이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74)는, 캡(70)이 입구부(14)에 접속된 상태에서의 압압면(71)의 공급체(50)의 압압량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74)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이탈 방지부(40)의 상면이 스토퍼를 받치는 받침부(41)에 상당한다.
도 12는, 캡(70)이 입구부(14)에 접속(나사식 결합)되는 과정에서 압압면(71)과 공급체(50)의 각 팽출부(56)가 접촉한 순간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압면(71)과 각 팽출부(56)가 접촉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스토퍼(돌출부(74))와 받침부(41)의 거리 D1은, 압압면(71)과 각 팽출부(56)가 접촉했을 때에 있어서의 대향부(60)와 환상 돌기(38)의 거리 D2보다 크다. 또, 각 팽출부(56) 중 환상 돌기(38)의 중심축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팽출부(56)와 압압면(71)의 접촉부(점접촉 및 면접촉을 포함한다)로부터 환상 돌기(38)까지의 환상 돌기(38)의 경방향에 대한 거리 D3은, 팽출부(56)와 압압면(71)이 접촉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스토퍼와 받침부(41)의 거리 D1과 대향부(60)와 환상 돌기(38)의 거리 D2의 차의 0.1배 이상 18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1배 이상 90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30)는, 폴리아세탈 수지(POM)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탄성 가압부(46)의 소성 변형(탄성 가압력의 저하)이 억제된다. 공급체(50)도, 폴리아세탈 수지로 형성되어도 된다. 단, 공급체(50)는, 기체(30)를 구성하는 폴리아세탈 수지보다 낮은 경도를 갖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팽출부(56)의 배면측에 리브(6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지에 의해 공급체(50)를 성형했을 때에 있어서의 각 팽출부(56)로의 싱크마크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각 팽출부(56)의 배면측에 각 리브(61)가 설치됨으로써, 각 팽출부(56)와 위치가 어긋나게 각 리브(61)가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팽출부(56)와 압압면(71)의 접촉에 의한 압압력이 팽출부(56)에 작용할 때의 공급면(54)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므로, 공급면(54)의 파손(균열 등)이 억제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약액 공급 기구(1)에서는, 캡(70)을 입구부(14)에 접속함으로써, 공급체(50)가 규제부(34)에 접촉하므로, 용기(10) 내가 밀폐된다. 따라서, 약액이 용기(10) 내지 공급체(50)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캡(70)의 돌출부(74)가 스토퍼를 구성함과 더불어 이탈 방지부(40)가 받침부(41)를 가지며, 또한, 상기 거리 D1이 상기 거리 D2보다 크기 때문에, 캡(70)을 입구부(14)에 나사식 결합시킴으로서 공급체(50)의 규제부(34)로의 접촉이 확보되며, 또한, 압압면(71)에 의한 공급체(50)의 규제부(34)로의 압압력이 과대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즉, 용기(10) 내의 밀폐와 공급체(50)의 파손의 억제가 양립된다.
또 상기 거리 D3은, 상기 거리 D1과 D2의 차의 0.1배 이상 180배 이하이므로, 공급체(50)의 파손이 보다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한, 금회 개시된 상기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형태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또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공급체(50)의 기체(30)에 대한 상기 중심축 둘레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면, 유지부(44)의 홈(45)의 형상 및 축부(62)의 형상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의 약액 공급구(20)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약액 공급구(21)에서는, 공급면(54)에 저항 발생부(57A)가 형성되어 있다. 저항 발생부(57A)는, 공급면(54)과 피공급부의 마찰 저항보다 당해 저항 발생부(57A)와 피공급부의 마찰 저항을 크게 한다. 이 예에서는, 저항 발생부(57A)는, 상기 중심축(A)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양태에서는, 공급체(50)를 피공급부(피부)에 대해 누른 상태로부터 당해 약액 공급 기구를 피공급부를 따라 이동시켰을 때에 있어서의 저항 발생부(57A)와 피공급부의 마찰 저항이, 공급면(54)과 피공급부의 마찰 저항보다 커지기 때문에, 공급체(50)가 기체(30)에 대해 경사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유효하게 공급 유로(S)가 형성된다. 또한 저항 발생부(57A)는, 각 원통간에 약액을 유지하는 기능 및 피부를 자극함으로써 피부의 가려움을 완화시키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의 약액 공급구(20)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약액 공급구(22)에서도, 공급면(54)에 저항 발생부(57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저항 발생부(57B)는, 각각이 공급면(54)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작은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양태에서도, 도 9에 나타내어지는 약액 공급구(21)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에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발명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약액 공급 기구는, 약액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특정 방향으로 개구하는 입구부를 갖는 용기와,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당해 입구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가 밀폐된 상태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약액을 상기 용기 바깥으로 공급 가능한 상태를 전환 가능한 약액 공급구를 구비하고, 상기 약액 공급구는,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상기 용기 내와 상기 용기 바깥을 연통시키는 형상을 갖는 기체와, 상기 기체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용기 내의 폐색 및 피공급부로의 상기 약액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체를 가지며, 상기 기체는, 당해 기체로부터의 상기 공급체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입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와 반대측에서 상기 공급체에 접촉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용기 내가 폐색되도록 상기 공급체를 상기 이탈 방지부를 향해 누르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가압력에 저항하도록 상기 공급체가 압압되었을 때에 당해 공급체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공급체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공급체는, 상기 이탈 방지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당해 공급체와 상기 이탈 방지부의 사이에 상기 약액의 상기 용기 바깥으로의 공급 유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이탈 방지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공급 유로를 차단한다.
본 약액 공급 기구에서는, 누름부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공급체가 압압되었을 때에 공급 유로를 통해 약액이 공급되므로, 약액의 공급 부족이 회피되며, 또한, 공급체가 규제부에 맞닿음으로써 공급체의 변위(압압 스트로크)가 규제되므로, 공급 유로를 통한 약액의 과잉 공급이 억제된다. 따라서, 약액의 공급량을 일정한 범위 내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직교하는 환상의 규제면과, 상기 규제면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환상이며 또한 상기 공급체에 선접촉하는 형상을 갖는 환상 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공급체가 환상 돌기에 접촉함으로써 약액의 유출이 유효하게 규제되므로, 약액의 과잉 공급이 보다 확실하게 억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 둘레로 상기 공급체가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당해 공급체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환상 돌기의 마모가 저감된다. 예를 들면, 공급체가 유지부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면, 공급체가 환상 돌기에 접촉한 상태로 당해 공급체가 유지부에 대해 상대 회전한 경우에 환상 돌기의 마모가 생기는데, 본 약액 공급 기구에서는, 공급체의 유지부에 대한 상대 회전이 규제되므로, 환상 돌기의 마모가 저감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규제」란, 공급체의 유지부에 대한 상대 회전을 일절 허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체의 원주방향으로의 변위량이 미리 설정된 허용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상기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공급체 중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으로부터 당해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편의부가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공급체 중 상기 편의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당해 이탈 방지부의 접촉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공급체가 상기 규제부에 맞닿을 때까지 상기 공급체가 상기 기체에 대해 기울어져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공급체 중 편의부가 압압된 경우여도, 약액이 매끄럽게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이탈 방지부는, 편의부가 압압되었을 때에, 공급체와 이탈 방지부의 접촉 개소를 지점으로 하여 공급체가 규제부에 맞닿을 때까지 공급체가 기체에 대해 기울어져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공급 유로가 확보된다.
또 상기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공급체는, 상기 피공급부에 접촉 가능한 공급면과, 상기 공급면 중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 둘레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공급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팽출부가 압압된 경우에 공급체의 경사가 촉진되므로, 유효하게 공급 유로가 형성된다.
또 상기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접속 가능하며, 또한, 상기 입구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약액 공급구를 피복하는 형상을 갖는 캡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캡은, 당해 캡이 상기 입구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체가 상기 규제부에 접촉하도록 당해 공급체를 압압하는 압압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캡을 입구부에 접속함으로써, 공급체가 규제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용기 내가 밀폐된다. 따라서, 약액이 용기 내지 공급체의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단, 캡의 입구부로의 접속 강도가 너무 큰 경우, 즉, 압압면에 의한 공급체의 규제부로의 압압력이 너무 큰 경우, 공급체가 파손될 염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기체 중 어느 한쪽은 상기 캡 및 상기 기체 중 다른 쪽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다른 쪽은 상기 스토퍼를 받치는 받침부를 갖거나, 혹은, 상기 캡 및 상기 용기 중 어느 한쪽은 상기 캡 및 상기 용기 중 다른 쪽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다른 쪽은 상기 스토퍼를 받치는 받침부를 가지며, 상기 압압면과 상기 공급체가 접촉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스토퍼와 상기 받침부의 거리는, 상기 압압면과 상기 공급체가 접촉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체와 상기 규제부의 거리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캡을 입구부에 접속함으로써 공급체의 규제부로의 접촉이 확보되며, 또한, 압압면에 의한 공급체의 규제부로의 압압력이 과대해지는 것이 억제된다. 즉, 용기 내의 밀폐와 공급체의 파손의 억제가 양립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캡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기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스토퍼가 캡에 설치되며, 받침부가 용기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각 부재의 공차의 영향이 적어지므로, 보다 확실하게 공급체의 파손이 억제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압압면으로부터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에 대한 상기 이탈 방지부의 외측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양태에서는, 받침부가 이탈 방지부의 단면으로부터 가압력의 작용 방향으로(캡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경우에 비해, 피부로의 약액의 공급 시에 받침부가 피부에 접촉하는 것이 회피된다.
또 상기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 둘레로 환상으로 연결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스토퍼가 상기 중심축 둘레의 전역에서 받침부에 접촉하므로, 보다 확실하게 공급체의 파손이 억제되며, 또한, 스토퍼 및 받침부에 의해 스토퍼 내의 공간이 밀폐되므로, 약액이 공급체 바깥으로 새어나왔다고 해도, 당해 약액이 스토퍼의 외측(수용부의 외주면측)에 도달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상기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직교하는 환상의 규제면과, 상기 규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환상이며 또한 상기 공급체에 선접촉하는 형상을 갖는 환상 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공급체는, 상기 피공급부에 접촉 가능한 공급면과, 상기 공급면 중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 둘레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공급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는, 상기 환상 돌기의 중심축 상에 형성된 단일한 팽출부여도 된다.
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는, 당해 팽출부와 상기 압압면의 접촉부가 상기 환상 돌기와 동심원형으로 늘어서도록 간헐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팽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팽출부는, 상기 환상 돌기의 경방향에 대해 당해 환상 돌기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양태에서는, 각 팽출부가 환상 돌기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에 대해 환상 돌기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각 팽출부의 형상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 상기 약액 공급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 중 상기 환상 돌기의 중심축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팽출부와 상기 압압면의 접촉부로부터 상기 환상 돌기까지의 상기 환상 돌기의 경방향에 대한 거리는, 상기 팽출부와 상기 압압면이 접촉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스토퍼와 상기 받침부의 거리와 대향부와 환상 돌기의 거리의 차의 0.1배 이상 18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1배 이상 90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공급체의 파손이 보다 확실하게 억제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약액 공급구는, 약액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특정 방향으로 개구하는 입구부를 갖는 용기의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당해 입구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가 밀폐된 상태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약액을 상기 용기 바깥으로 공급 가능한 상태를 전환 가능한 약액 공급구로서,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상기 용기 내와 상기 용기 바깥을 연통시키는 형상을 갖는 기체와, 상기 기체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용기 내의 폐색 및 피공급부로의 상기 약액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는, 당해 기체로부터의 상기 공급체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입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와 반대측에서 상기 공급체에 접촉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용기 내가 폐색되도록 상기 공급체를 상기 이탈 방지부를 향해 누르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가압력에 저항하도록 상기 공급체가 압압되었을 때에 당해 공급체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공급체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공급체는, 상기 이탈 방지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당해 공급체와 상기 이탈 방지부의 사이에 상기 약액의 상기 용기 바깥으로의 공급 유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이탈 방지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공급 유로를 차단한다.
본 약액 공급구는, 용기의 입구부에 접속됨으로써, 누름부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공급체가 압압되었을 때에 공급 유로를 통해 약액이 공급되므로, 약액의 공급 부족이 회피되며, 또한, 공급체가 규제부에 맞닿음으로써 공급체의 변위(압압 스트로크)가 규제되므로, 공급 유로를 통한 약액의 과잉 공급이 억제된다. 따라서, 약액의 공급량을 일정한 범위 내에 들어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6)

  1. 약액 공급 기구로서,
    약액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특정 방향으로 개구하는 입구부를 갖는 용기와,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당해 입구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가 밀폐된 상태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약액을 상기 용기 바깥으로 공급 가능한 상태를 전환 가능한 약액 공급구를 구비하고,
    상기 약액 공급구는,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상기 용기 내와 상기 용기 바깥을 연통시키는 형상을 갖는 기체(基體)와,
    상기 기체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용기 내의 폐색 및 피공급부로의 상기 약액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체를 가지며,
    상기 기체는,
    당해 기체로부터의 상기 공급체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입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와 반대측에서 상기 공급체에 접촉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용기 내가 폐색되도록 상기 공급체를 상기 이탈 방지부를 향해 누르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가압력에 저항하도록 상기 공급체가 압압(押壓)되었을 때에 당해 공급체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공급체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공급체는, 상기 이탈 방지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당해 공급체와 상기 이탈 방지부의 사이에 상기 약액의 상기 용기 바깥으로의 공급 유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이탈 방지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공급 유로를 차단하는, 약액 공급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직교하는 환상의 규제면과,
    상기 규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환상이며 또한 상기 공급체에 선접촉하는 형상을 갖는 환상 돌기를 갖는, 약액 공급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 둘레로 상기 공급체가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당해 공급체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약액 공급 기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공급체 중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으로부터 당해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된 편의부(偏倚部)가 압압되었을 때에,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공급체 중 상기 편의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위와 당해 이탈 방지부의 접촉 개소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상기 공급체가 상기 규제부에 맞닿을 때까지 상기 공급체가 상기 기체에 대해 기울어져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갖는, 약액 공급 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체는,
    상기 피공급부에 접촉 가능한 공급면과,
    상기 공급면 중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 둘레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공급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를 갖는, 약액 공급 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접속 가능하며, 또한, 상기 입구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약액 공급구를 피복하는 형상을 갖는 캡을 더 구비하고,
    상기 캡은, 당해 캡이 상기 입구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체가 상기 규제부에 접촉하도록 당해 공급체를 압압하는 압압면을 갖는, 약액 공급 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캡 및 상기 기체 중 어느 한쪽은 상기 캡 및 상기 기체 중 다른 쪽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다른 쪽은 상기 스토퍼를 받치는 받침부를 갖거나, 혹은, 상기 캡 및 상기 용기 중 어느 한쪽은 상기 캡 및 상기 용기 중 다른 쪽에 접촉하는 스토퍼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다른 쪽은 상기 스토퍼를 받치는 받침부를 가지며,
    상기 압압면과 상기 공급체가 접촉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스토퍼와 상기 받침부의 거리는, 상기 압압면과 상기 공급체가 접촉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체와 상기 규제부의 거리보다 큰, 약액 공급 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캡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기체에 설치되는, 약액 공급 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압압면으로부터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반대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받침부는,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에 대한 상기 이탈 방지부의 외측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약액 공급 기구.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 둘레로 환상으로 연결되는 형상을 갖는, 약액 공급 기구.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직교하는 환상의 규제면과,
    상기 규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환상이며 또한 상기 공급체에 선접촉하는 형상을 갖는 환상 돌기를 갖는, 약액 공급 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공급체는,
    상기 피공급부에 접촉 가능한 공급면과,
    상기 공급면 중 상기 가압력의 작용 방향과 평행한 중심축 둘레의 부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공급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팽출하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를 갖는, 약액 공급 기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는, 상기 환상 돌기의 중심축 상에 형성된 단일한 팽출부인, 약액 공급 기구.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는, 당해 팽출부와 상기 압압면의 접촉부가 상기 환상 돌기와 동심원형으로 늘어서도록 간헐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팽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팽출부는, 상기 환상 돌기의 경방향에 대해 당해 환상 돌기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약액 공급 기구.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출부 중 상기 환상 돌기의 중심축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팽출부와 상기 압압면의 접촉부로부터 상기 환상 돌기까지의 상기 환상 돌기의 경방향에 대한 거리는, 상기 팽출부와 상기 압압면이 접촉했을 때에 있어서의 상기 스토퍼와 상기 받침부의 거리와 대향부와 환상 돌기의 거리의 차의 0.1배 이상 180배 이하인, 약액 공급 기구.
  16. 약액을 수용 가능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특정 방향으로 개구하는 입구부를 갖는 용기의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당해 입구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내가 밀폐된 상태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약액을 상기 용기 바깥으로 공급 가능한 상태를 전환 가능한 약액 공급구로서,
    상기 입구부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상기 용기 내와 상기 용기 바깥을 연통시키는 형상을 갖는 기체와,
    상기 기체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용기 내의 폐색 및 피공급부로의 상기 약액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는,
    당해 기체로부터의 상기 공급체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상기 입구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용부와 반대측에서 상기 공급체에 접촉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용기 내가 폐색되도록 상기 공급체를 상기 이탈 방지부를 향해 누르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가압력에 저항하도록 상기 공급체가 압압되었을 때에 당해 공급체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공급체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며,
    상기 공급체는, 상기 이탈 방지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당해 공급체와 상기 이탈 방지부의 사이에 상기 약액의 상기 용기 바깥으로의 공급 유로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이탈 방지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공급 유로를 차단하는, 약액 공급구.
KR1020187019430A 2015-12-10 2016-12-09 약액 공급 기구 및 약액 공급구 KR201800939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41553 2015-12-10
JP2015241553 2015-12-10
PCT/JP2016/086782 WO2017099236A1 (ja) 2015-12-10 2016-12-09 薬液供給器具及び薬液供給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993A true KR20180093993A (ko) 2018-08-22

Family

ID=5901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430A KR20180093993A (ko) 2015-12-10 2016-12-09 약액 공급 기구 및 약액 공급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1122881B2 (ko)
EP (2) EP3388361A4 (ko)
JP (2) JP6935332B2 (ko)
KR (1) KR20180093993A (ko)
CN (1) CN108367842B (ko)
AU (2) AU2016367586B2 (ko)
CA (2) CA3007189A1 (ko)
MY (1) MY193061A (ko)
PH (1) PH12018501191A1 (ko)
SG (1) SG11201804622RA (ko)
WO (2) WO20170992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8361A4 (en) * 2015-12-10 2019-08-21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DEVICE FOR SUPPLYING A CHEMICAL SOLUTION AND APPENDIX FOR SUPPLYING A CHEMICAL SOLUTION
JP7339156B2 (ja) * 2019-12-26 2023-09-05 小林製薬株式会社 薬液供給具、薬液供給器具及び薬液供給具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7562U (ko) 1974-10-07 1976-04-08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7647A (en) * 1926-12-02 1928-10-16 Garvey Jennie Sinclair Inscribing instrument
US2210662A (en) * 1940-03-25 1940-08-06 Edward S Garvey Writing instrument
US2975466A (en) * 1957-05-13 1961-03-21 Owens Illinois Glass Co Ball-type liquid applicators
US3336626A (en) 1961-01-03 1967-08-22 Owens Illinois Inc Ball applicator assembly
US3263265A (en) * 1964-03-05 1966-08-02 David L Judson Baster
US3468611A (en) 1966-05-10 1969-09-23 Lawrence T Ward Liquid applicator
US3520450A (en) 1968-06-06 1970-07-14 Dart Ind Inc Fluids dispensing valve
US3690515A (en) 1970-12-16 1972-09-12 Pittway Corp Co-dispensing valve
US4089609A (en) * 1976-10-15 1978-05-16 Gring Frank M Combination applicator and closure cap means for shaving cream containers
GB1515078A (en) 1976-11-29 1978-06-21 Costa A Roll-on tap for dispensing a liquid
US4359292A (en) * 1979-04-13 1982-11-16 The Gillette Company Cosmetic dispenser
US4848947A (en) 1985-06-05 1989-07-18 Pittway Corporation Liquid applicator device with tilt valve
US5056949A (en) * 1990-10-05 1991-10-15 The Gillette Company Correction fluid dispenser with ball valve
JP2547559Y2 (ja) * 1991-09-11 1997-09-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塗布容器
US5897267A (en) * 1994-11-18 1999-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oll-on applicator
JPH08207952A (ja) 1995-02-02 1996-08-13 Yoshino Kogyosho Co Ltd 塗布容器
JPH08217123A (ja) 1995-02-09 1996-08-27 Kamaya Kagaku Kogyo Co Ltd 塗布栓
MX9709111A (es) * 1995-05-25 1998-02-28 Procter & Gamble Aplicador de rodillo con respiradero.
US6179505B1 (en) 1995-06-20 2001-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enting roll-on applicator
CA2318283C (en) 1998-01-23 2007-08-28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Vessel for pouring out and applying a constant amount
FR2799740B1 (fr) 1999-10-18 2001-12-14 Lir France Sa Emballage distributeur a applicateur rotatif
JP4567176B2 (ja) * 2000-11-22 2010-10-20 キタノ製作株式会社 塗布容器
DE10211483A1 (de) 2002-03-15 2003-09-25 Beiersdorf Ag Auftragsvorrichtung
AU2003281372A1 (en) * 2002-07-08 2004-01-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tainer for attaching to a measuring implement and method of use therefor
JP4449412B2 (ja) * 2003-10-30 2010-04-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定量注出塗布容器
JP4869762B2 (ja) 2006-03-31 2012-02-08 大成化工株式会社 塗布容器
JP4869039B2 (ja) 2006-11-27 2012-02-01 ニプロ株式会社 薬液容器
ES2373250T3 (es) 2008-12-24 2012-02-01 Unilever Nv Composiciones antiperspirantes y productos.
JP6116259B2 (ja) 2013-01-25 2017-04-19 小林製薬株式会社 吐出器
EP3297490A4 (en) 2015-06-24 2019-01-16 Dab-O-Matic, Corp. ROLLER LIQUID APPLICATOR
EP3388361A4 (en) * 2015-12-10 2019-08-21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DEVICE FOR SUPPLYING A CHEMICAL SOLUTION AND APPENDIX FOR SUPPLYING A CHEMICAL SOLU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7562U (ko) 1974-10-07 1976-04-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367586A1 (en) 2018-06-28
SG11201804622RA (en) 2018-07-30
US11122881B2 (en) 2021-09-21
CN108367842A (zh) 2018-08-03
US20180332947A1 (en) 2018-11-22
JPWO2017099235A1 (ja) 2018-10-04
AU2016367587B2 (en) 2021-12-09
EP3388360A4 (en) 2019-08-21
EP3388360A1 (en) 2018-10-17
PH12018501191A1 (en) 2019-01-21
JPWO2017099236A1 (ja) 2018-09-27
WO2017099235A1 (ja) 2017-06-15
AU2016367586B2 (en) 2021-12-09
CN108367842B (zh) 2020-12-18
AU2016367587A1 (en) 2018-06-28
CA3007310A1 (en) 2017-06-15
US20180360193A1 (en) 2018-12-20
JP6935333B2 (ja) 2021-09-15
WO2017099236A1 (ja) 2017-06-15
EP3388361A4 (en) 2019-08-21
JP6935332B2 (ja) 2021-09-15
US10932542B2 (en) 2021-03-02
MY193061A (en) 2022-09-26
CA3007189A1 (en) 2017-06-15
EP3388361A1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0559B (zh) 压力调节阀
CN106573709A (zh) 瓶盖
KR20180093993A (ko) 약액 공급 기구 및 약액 공급구
JP6840460B2 (ja) 薬液塗布器具及び薬液塗布具
JP7183060B2 (ja) 塗布容器
JP6768583B2 (ja) 塗布容器
WO2021131869A1 (ja) 薬液供給具、薬液供給器具及び薬液供給具の製造方法
JP6956593B2 (ja) 塗布容器
JP2021134767A (ja) 吐出器
WO2022238984A1 (ja) 塗布容器
JP2023045152A (ja) 塗布容器
JP7158253B2 (ja) 吐出器
JP2023020382A (ja) 塗布容器
TW202402633A (zh) 塗佈容器
JP7126408B2 (ja) 吐出容器
JP6920951B2 (ja) 吐出器
WO2021131870A1 (ja) 薬液供給具及び薬液供給器具
JP6956653B2 (ja) 塗布容器
JP6976184B2 (ja) 内容物を計量して塗布する塗布容器
JP6994966B2 (ja) 内容物を計量して塗布する塗布容器
JP2021134768A (ja) 吐出器
JP6514484B2 (ja) 止液機能を備えた注出蓋構造
JP2024019994A (ja) 塗布栓
JP2019077463A (ja) 塗布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