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381A - 바이러스 제거막 및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제거막 및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7381A KR20180087381A KR1020187018371A KR20187018371A KR20180087381A KR 20180087381 A KR20180087381 A KR 20180087381A KR 1020187018371 A KR1020187018371 A KR 1020187018371A KR 20187018371 A KR20187018371 A KR 20187018371A KR 20180087381 A KR20180087381 A KR 201800873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rus removal
- virus
- removal membrane
- less
- diameter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7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1
- 239000012510 hollow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1112 coag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1000710780 Bovine viral diarrhea virus 1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5751 Copper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00431 coppe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60004643 cupric oxid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QKSIFUGZHOUETI-UHFFFAOYSA-N copper;azane Chemical compound N.N.N.N.[Cu+2] QKSIFUGZHOUET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2
- NLXLAEXVIDQMFP-UHFFFAOYSA-N Ammonium chloride Substances [NH4+].[Cl-] NLXLAEXVIDQM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QPLDLSVMHZLSFG-UHFFFAOYSA-N Copper oxide Chemical compound [Cu]=O QPLDLSVMHZLS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1114 ammon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ZBKIUFWVEIBQRT-UHFFFAOYSA-N gold(1+) Chemical compound [Au+] ZBKIUFWVEIBQ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BPQQTUXANYXVAA-UHFFFAOYSA-N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O-][Si]([O-])([O-])[O-] BPQQTUXANYXV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ZURAKLKIKYCUJU-UHFFFAOYSA-N copper;azane Chemical compound N.[Cu+2] ZURAKLKIKYCUJ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UCSJYZPVAKXKNQ-HZYVHMACSA-N streptomycin Chemical compound CN[C@H]1[C@H](O)[C@@H](O)[C@H](CO)O[C@H]1O[C@@H]1[C@](C=O)(O)[C@H](C)O[C@H]1O[C@@H]1[C@@H](NC(N)=N)[C@H](O)[C@@H](NC(N)=N)[C@H](O)[C@H]1O UCSJYZPVAKXKNQ-HZYVHMAC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612 vir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115 Sod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85 cell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20 cytopat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911 sod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NTHWMYGWWRZVTN-UHFFFAOYSA-N sod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Na+].[Na+].[O-][Si]([O-])=O NTHWMYGWWRZV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385 viral inf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700721 Hepatitis B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555 Penicill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JGSARLDLIJGVTE-MBNYWOFBSA-N Penicillin G Chemical compound N([C@H]1[C@H]2SC([C@@H](N2C1=O)C(O)=O)(C)C)C(=O)CC1=CC=CC=C1 JGSARLDLIJGVTE-MBNYWOFB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40049954 pen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27 regenerated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795 sodium meta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322 strept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847 structural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MAGFQRLKWCCTQJ-UHFFFAOYSA-M 4-ethenylbenze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O-]S(=O)(=O)C1=CC=C(C=C)C=C1 MAGFQRLKWCCTQ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5 Dissolving pulp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946 Fibrino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9003 Fibrino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11 Potass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5945 Protoparvo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45 Reed–Muench method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KMRRTOUMJRJIA-UHFFFAOYSA-N ammonia nh3 Chemical compound N.N XKMRRTOUMJRJ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074 biopharmaceutica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33 cyto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72 cyto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2952 fibrino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73 fluorescence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9 in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oxyethylene-naphthy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3 potass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3 potass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NNHHDJVEYQHLHG-UHFFFAOYSA-N potass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K+].[K+].[O-][Si]([O-])=O NNHHDJVEYQHLH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127 sapon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60 silic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TXEYQDLBPFQVAA-UHFFFAOYSA-N tetrafluoromethane Chemical compound FC(F)(F)F TXEYQDLBPFQVA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39 tubu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08 ultra-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6—Coagulation
- B01D67/00165—Composition of the coagulation bath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79—Manufacture of membrane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components
- B01D67/00793—Dispersing a component, e.g. as particles or powder, in another compon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1—Hollow fibre membranes characterised by the fibre diame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7—Details relating to the spinning pro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8—Layers having the same chemical composition, but different properties, e.g. pore size, molecular weight or poros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01D69/148—Organic/inorganic mixed matrix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2—Met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08—Polysaccharides
- B01D71/10—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2—Preparation of spinning solu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D01F2/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from solutions of cellulose in acids, bases or salts
- D01F2/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from solutions of cellulose in acids, bases or salts from cuprammonium solu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4—Ageing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2—Asymmetric memb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2—Asymmetric membranes
- B01D2325/023—Dense layer within the membra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3—Pore size more than 10 and up to 100 n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을 함유하는 용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막으로서,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은, 셀룰로오스를 구비하며, 단백질을 함유하는 용액이 공급되는 1차측의 표면과,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을 투과한 투과액이 배출되는 2차측의 표면을 갖고, 버블 포인트가 0.5 ㎫ 이상 1.0 ㎫ 이하이며, 1차측으로부터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공급하여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금 콜로이드를 포착하고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단면에 있어서 휘도를 측정하면,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값의 표준 편차를,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값의 평균값으로 나눈 값이 0.01 이상 0.30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을 제거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막 및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 혈액 유래의 혈장 분획 제제에 더하여, 바이오 의약품에 있어서도, 바이러스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대책이 필요해져 왔다. 그 때문에 의약품 메이커에 있어서는 제조 공정 중에 바이러스 제거/불활화 공정을 도입하는 검토를 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바이러스 제거막을 이용한 여과에 의한 바이러스 제거법은, 유용한 단백질을 변성시키지 않고, 바이러스를 저감할 수 있는 유효한 방법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막 내벽면으로부터 벽 내부로 진행됨에 따라 면내 공공률(空孔率)이 당초 감소하고, 적어도 1개의 극소부를 경과한 후, 외벽부에서 다시 증대하는 구멍 구조(이하, 「그래디언트 구조」라고도 함)를 갖는 고분자 다공질 중공사막, 및 이 막을 이용하여 단백질 수용액을 여과하는 바이러스 제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그래디언트 구조를 갖고, 특정한 평균 공경(孔徑)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막은, 단백 수용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할 때에, 높은 제거율로 바이러스를 제거하며, 단백질을 변성시키지 않고, 높은 투과 효율로 단백질을 회수하는 데 적합하다고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구리 암모니아 셀룰로오스 용액을 U자관 중에서 응고시킴으로써, 미크로상 분리의 구조 형성 중에, 연신에 의한 구조 파괴를 한없이 억제하여, 높은 바이러스 제거성을 달성할 수 있는 중공사막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평균 공경이 13 ㎚ 이상 21 ㎚ 이하인, 파르보바이러스의 제거에 적합한 바이러스 제거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바이러스나 단백질을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특성 평가가 개시되어 있다.
바이러스 제거막에는, 높은 바이러스 제거 성능, 여과에 따르는 막의 눈 막힘이 억제된 높은 여과 성능, 및 바이러스 제거 성능 및 여과 시간의 제품 간에 있어서의 차이가 작은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여과 성능 및 제품 간의 차이가 작은 것에 의한 안전성이 높은 바이러스 제거막 및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단백질을 함유하는 용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막이 제공된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은, 셀룰로오스를 구비하며, 단백질을 함유하는 용액이 공급되는 1차측의 표면과,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을 투과한 투과액이 배출되는 2차측의 표면을 갖고, 버블 포인트가 0.5 ㎫ 이상 1.0 ㎫ 이하이며, 1차측으로부터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공급하여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금 콜로이드를 포착하고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단면에 있어서 휘도를 측정하면,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값의 표준 편차를,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값의 평균값으로 나눈 값이 0.01 이상 0.30 이하이며,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단면에 있어서, 직경 30 ㎚ 이상 직경 40 ㎚ 이하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의 두께가, 습윤 상태에서, 17.0 ㎛ 이상 20.0 ㎛ 이하이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 습윤 상태의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단면에 있어서, 직경 5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1차측으로부터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의 5% 이상 35% 이하인 곳에 있고,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1차측으로부터 막 두께의 8% 이상 50% 이하인 곳에 있으며,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1차측으로부터 막 두께의 10% 이상 80% 이하인 곳에 있어도 좋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의 로그 제거율이 1.00 이상이고,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의 로그 제거율이 1.00 이상이며, 직경 20 ㎚의 금 콜로이드의 로그 제거율이 0.10 미만이어도 좋다. 직경 2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지 않아도 좋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 공경이 32.0 ㎚ 이상 38.0 ㎚ 이하여도 좋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단면에 있어서, 1차측으로부터 2차측을 향해, 공경이 감소한 후 증가로 바뀌어도 좋다.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공경이 최소가 되는 부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건조 상태의 막 두께가 25.0 ㎛ 이상 45.0 ㎛ 이하여도 좋다. 막 두께의 표준 편차가 5.0 ㎛ 이하여도 좋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 버블 포인트가 0.7 ㎫ 이상 1.0 ㎫ 이하여도 좋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 순수(純水) 투과 속도가, 100 L/㎡/hrs/0.1 ㎫ 이상 500 L/㎡/hrs/0.1 ㎫ 이하여도 좋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이 평막이어도 좋다. 혹은,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이 중공사막이어도 좋다. 이 경우, 건조 상태에서 내경이 250 ㎛ 내지 400 ㎛여도 좋다. 내경의 표준 편차가 15.0 ㎛ 이하여도 좋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 40 ㎚ 이상의 바이러스의 로그 제거율(LRV)이 4.0 이상이어도 좋다. 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BVDV)의 로그 제거율(LRV)이 4.0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셀룰로오스, 구리,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방사(紡絲) 원액을 30℃ 이상 40℃ 이하로 유지하는 에이징 공정과, 방사 원액을 이용하여 제막하는 제막 공정을 구비하는,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에이징 공정을, 45시간 이상 100시간 이하로 행해도 좋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의 제막 공정에 있어서, 셀룰로오스의 농도가 6.0 중량% 이상 8.5 중량% 이하여도 좋다. 셀룰로오스의 농도에 대한 구리의 농도의 비가 0.30 이상 0.40 이하여도 좋다. 이산화규소의 농도가 5 ppm 이상 100 ppm 이하여도 좋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방사 원액이 암모니아를 더 구비하고, 제막 공정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농도에 대한 암모니아의 농도의 비가 0.6 이상 1.0 이하여도 좋다.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의 제막 공정에 있어서, 응고액에 방사 원액을 토출해도 좋다. 방사 원액을, 환형 방출구(紡出口)를 이용하여 토출해도 좋다. 혹은, 지지체 상에 방사 원액을 캐스팅한 후, 응고액에 침지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과 성능 및 제품 간의 차이가 작은 것에 의한 안전성이 높은 바이러스 제거막 및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중공사막의 형상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막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참고예에 따른 중공사막의 형상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바이러스 포착 부위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중공사막의 형상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바이러스 포착 부위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평막의 형상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막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조건을 도시한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평가 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평가 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참고예에 따른 중공사막의 형상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바이러스 포착 부위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중공사막의 형상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바이러스 포착 부위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평막의 형상을 갖는 바이러스 제거막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조건을 도시한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평가 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평가 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구체적인 치수 등을 정확히 나타낸 것이 아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대조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며,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단백질을 함유하는 용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막(10)은, 단백질을 함유하는 용액이 공급되는 1차측의 표면(1)과,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10)을 투과한 투과액이 배출되는 2차측의 표면(2)을 갖는다. 바이러스 제거막(10)에서 측정되는 버블 포인트는, 0.5 ㎫ 이상 1.0 ㎫ 이하, 0.6 ㎫ 이상 1.0 ㎫ 이하, 혹은 0.7 ㎫ 이상 1.0 ㎫ 이하이다.
바이러스 제거막(10)으로 제거되는 바이러스는, 예컨대 30 ㎚ 이상, 35 ㎚ 이상, 혹은 40 ㎚ 이상, 또한 혹은 50 ㎚ 이상, 200 ㎚ 이하, 150 ㎚ 이하, 혹은 100 ㎚ 이하, 또한 혹은 70 ㎚ 이하의 직경을 갖는다. 바이러스의 구체예로서는, 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BVDV), 및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들 수 있다. 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는, 약 50 ㎚ 내지 70 ㎚의 직경을 갖는다. B형 간염 바이러스는, 약 42 ㎚의 직경을 갖는다.
바이러스 제거막(10)은, 그 단면에 있어서, 바이러스가 포착되는 바이러스 포착 부위를 갖는다. 바이러스 제거막(10)에 있어서는, 용액이 진입하는 여과면(1차측의 표면(1)) 상의 장소에 상관없이, 단면에 있어서, 바이러스 포착 부위에 있어서의 바이러스 포착량이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바이러스 포착량이, 여과면 상의 장소에 따라 불균일한 경우, 여과면 상의 어느 개소에 용액이 집중되게 되어, 부분적으로 그 개소에의 바이러스의 부하량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고압 조건하에서 대용량의 여과를 행하면, 그 개소로부터 바이러스가 샐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이러스 제거막(10)이 중공사막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그 실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주회(周回) 방향에 있어서, 바이러스 포착 부위에서의 바이러스 포착량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균일한 일이 없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이러스 제거막(10)은, 바이러스가 포착되는 부위의 두께가, 바이러스 포착 부위 내에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이러스 제거막(10)이 중공사막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주회 방향에 있어서, 바이러스 포착 부위의 두께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러스 포착 부위의 두께가 균일하면, 주회 방향으로 균일하게 용액이 퍼져, 바이러스가 샐 가능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바이러스 제거막(10)의 구조는, 1차측으로부터 2차측을 향해, 공공(空孔)의 공경이 감소한 후, 증가로 바뀌는 비대칭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단면에 있어서, 바이러스 포착 부위는, 공공의 공경이 최소가 되는 부위를 포함한다. 공공의 공경이 최소가 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구조는, 바이러스 제거 성능이 높은 경향에 있다.
여기서, 바이러스 제거막(10)에 포착된 바이러스를 시각적으로 검출하는 것은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금 콜로이드는, 바이러스와 같은 정도의 직경을 가지면서 광을 투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 때문에, 예컨대, 금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바이러스 제거막(10)으로 여과한 후,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단면에 있어서의, 금 콜로이드를 포착한 바이러스 제거막(10)의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상대적인 휘도를 측정함으로써, 바이러스 제거막(10)의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10)에 대해, 1차측의 표면(1)으로부터 바이러스 제거막(10)에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공급하여 바이러스 제거막(10)으로 금 콜로이드를 포착하고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단면에 있어서 휘도를 측정할 때,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값의 표준 편차를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값의 평균값으로 나눈 값이, 0.01 이상 0.30 이하이다. 이 값은, 바이러스 제거막(10)에 있어서의 금 콜로이드의 포착량의 변동 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변동 계수가 작을수록, 바이러스 제거막(10)에 있어서의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에 있어서의 금 콜로이드의 포착량의 균일성이 높고, 바이러스 제거막의 투수 성능 및 바이러스 제거능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10)에 대해, 상기 변동 계수를 나타내는 값은, 0.01 이상 0.30 이하, 0.01 이상 0.29 이하, 0.01 이상 0.28 이하, 0.01 이상 0.27 이하, 0.01 이상 0.26 이하, 혹은 0.01 이상 0.25 이하이다. 변동 계수에 대해, 0.01 미만은 측정 한계이다. 또한, 변동 계수가 0.30보다 크면, 막의 주회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개소에 용액이 집중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샐 가능성이 있다.
상기 변동 계수가 0.01 이상 0.30 이하이면, 막의 바이러스 포착 부위(중공사막에 대해서는 주회 방향)에 있어서, 바이러스가 균일하게 포착되게 되어, 바이러스 제거막에 부하하는 바이러스의 총량(바이러스의 단백 제제에 대한 스파이크량, 또는 총 여과량)이 증가한 경우에 있어서도, 높은 바이러스 제거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변동 계수는, 예컨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금 콜로이드 용액을 여과한 후의 바이러스 제거막으로부터 절편(切片)을 잘라내고, 절편의 단면에 있어서 금 콜로이드에 의해 물든 부분의 복수 개소의 휘도 프로파일을,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한다. 금 콜로이드는 광을 흡수하기 때문에, 휘도 변위는, 금 콜로이드의 포착량에 의존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휘도 프로파일로부터 백그라운드 노이즈를 제거해도 좋다. 그 후, 횡축에 막 두께, 종축에 휘도 변위를 갖는 그래프를 작성하고, 그래프에 나타난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을 산출한다. 또한, 복수 개소에 있어서의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의 표준 편차를, 복수 개소에 있어서의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의 평균으로 나눈 값을, 바이러스 제거막(10)에 있어서의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금 콜로이드의 포착량의 변동 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산출한다.
습윤 상태의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단면에 있어서, 직경 30 ㎚ 이상 40 ㎚ 이하의 금 콜로이드를 포착하는 부위의 두께는, 17.0 ㎛ 이상 20.0 ㎛ 이하, 17.5 ㎛ 이상 19.8 ㎛ 이하, 혹은 18.0 ㎛ 이상 19.6 ㎛ 이하이다.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두께가 20.0 ㎛보다 두꺼우면, 금 콜로이드 함유 용액뿐만이 아니라, 바이러스 함유 용액의 여과의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에 있다. 또한 17.0 ㎛보다 얇으면 바이러스 제거막에 부하하는 바이러스의 총량(바이러스의 단백 제제에 대한 스파이크량 또는 총 여과량)이 증가한 경우에 바이러스가 샐 가능성이 있다.
직경 30 ㎚, 직경 40 ㎚, 및 직경 5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는, 예컨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직경 30 ㎚, 40 ㎚, 및 50 ㎚의 금 콜로이드 용액의 각각을 여과한 바이러스 제거막으로부터 절편을 잘라낸다. 절편의 단면에 있어서 금 콜로이드에 의해 물든 부분 복수 개소의 휘도 프로파일을,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한다. 여기서, 막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바이러스 제거막(10)의 1차측의 표면(1)으로부터,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가장 1차측의 표면에 가까운 부분까지의 제1 거리(a)를 측정한다. 또한, 막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바이러스 제거막(10)의 1차측의 표면(1)으로부터,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가장 2차측의 표면(2)에 가까운 부분까지의 제2 거리(b)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복수 개소의 각각에 있어서, 제1 거리(a)를 습윤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c)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값(A)(=a/c의 백분율 표시)을 산출하고, 복수 개소에 있어서의 값(A)의 평균값을 제1 도달도로서 산출한다. 또한, 복수 개소의 각각에 있어서, 제2 거리(b)를 습윤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c)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값(B)(=b/c의 백분율 표시)을 산출하고, 복수 개소에 있어서의 값(B)의 평균값을 제2 도달도로서 산출한다.
또한, 하기 (1)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한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제2 도달도의 평균값(B30)과,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한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제1 도달도의 평균값(A40)의 차에,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한 습윤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의 평균값(C30)과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하여, 습윤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의 평균값(C40)의 평균값(CAVE)을 곱한 값을,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 및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를 유통시켰을 때에,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단면에 있어서, 직경 30 ㎚ 이상 40 ㎚ 이하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의 두께(T)로서 산출한다.
T=(B30-A40)×CAVE (1)
한편, 상기 방법에서는, 직경 30 ㎚ 이상 직경 40 ㎚ 이하의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를,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한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제1 도달 위치와,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한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제2 도달 위치 사이의 영역의 두께로서 구하고 있으나, 오차의 범위를 제외하고, 직경 30 ㎚ 이상 직경 40 ㎚ 이하의 금 콜로이드이면, 상기 범위에 포착되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직경 50 ㎚의 금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바이러스 제거막(10)으로 여과한 경우, 습윤 상태의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단면에 있어서, 직경 5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는,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면, 예컨대, 1차측의 표면(1)으로부터 막 두께의 5% 이상 35% 이하, 혹은 6% 이상 30% 이하인 곳에 있다.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막 두께의 5% 미만의 부위에서 직경 5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막에서는, 바이러스나 불순물이 막의 1차측의 표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포착되어 버려, 눈 막힘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막 두께의 35%보다 먼 부위에서 직경 5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막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바이러스가 막의 2차측의 표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포착되어 버려, 바이러스를 포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1차측의 표면(1)으로부터, 막 두께의 5% 미만, 또는, 35%보다 먼 영역에, 직경 50 ㎚의 금 콜로이드의 소량이 포착되는 경우라도,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에서, 상수(255)로부터 측정한 휘도 프로파일을 뺀 휘도 변위에 대해, 그 스펙트럼의 절대값이, 스펙트럼의 절대값의 최대값의 10%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바이러스 제거능의 관점에서 상기 영역에 있어서의 금 콜로이드의 포착은 오차의 범위 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직경 5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는, 1차측의 표면(1)으로부터 막 두께의 5% 이상 35% 이하인 곳에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바이러스 제거막(10)으로 여과한 경우, 습윤 상태의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단면에 있어서,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는,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면, 예컨대, 1차측의 표면(1)으로부터 막 두께의 8% 이상 50% 이하, 혹은 9% 이상 40% 이하인 곳에 있다.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막 두께의 8% 미만의 부위에서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막에서는, 바이러스나 불순물이 막의 1차측의 표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포착되어 버려, 눈 막힘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막 두께의 50%보다 먼 부위에서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막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바이러스가 막의 2차측의 표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포착되어 버려, 바이러스를 포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직경 50 ㎚의 금 콜로이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차측의 표면(1)으로부터 막 두께의 8% 미만, 또는, 50%보다 먼 영역에서, 금 콜로이드가 관찰되었다고 해도,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에서, 상수(255)로부터 측정한 휘도 프로파일을 뺀 휘도 변위에 대해, 그 스펙트럼의 절대값이, 스펙트럼의 절대값의 최대값의 10% 이하인 경우에는, 오차의 범위 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바이러스 제거막(10)으로 여과한 경우, 습윤 상태의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단면에 있어서,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는,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면, 예컨대, 1차측의 표면(1)으로부터 막 두께의 10% 이상 80% 이하, 혹은 15% 이상 70% 이하이다.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막 두께의 10% 미만의 부위에서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막에서는, 바이러스나 불순물이 막의 1차측 표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포착되어 버려, 눈 막힘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막 두께의 80%보다 먼 부위에서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막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바이러스가 막의 2차측 표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포착되어 버려, 바이러스를 포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직경 50 ㎚, 40 ㎚의 금 콜로이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차측의 표면(1)으로부터 막 두께의 10% 미만, 또는, 80%보다 먼 영역에서, 금 콜로이드가 관찰되었다고 해도, 광학 현미경에 의한 관찰에서, 상수(255)로부터 측정한 휘도 프로파일을 뺀 휘도 변위에 대해, 스펙트럼의 절대값의 최대값의 10% 이하인 경우에는 오차의 범위 내라고 간주할 수 있다.
금 콜로이드를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2차측의 표면에 걸쳐 막 두께 방향으로 통액(通液)했을 때,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는, 막 구조에 따라, 두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에서는, 1차측의 표면의 내측으로부터 2차측의 표면 내측에 걸쳐, 직경 5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액 방향에 대해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도중에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눈 막힘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직경 50 ㎚, 40 ㎚ 및 30 ㎚의 금 콜로이드의 포착 위치의 측정에 대해서는, 어디까지나, 막에 포착된 금 콜로이드에 대해, 측정을 행한다. 따라서, 막에 포착되지 않고, 막을 투과한 금 콜로이드에 대해서는 측정하지 않는다. 즉, 막에 투과시킨 금 콜로이드 모두에 대해 포착 위치를 측정하는 것은 아니며, 막에 포착된 금 콜로이드에 대해, 그 막 상의 포착 위치를 측정한다.
직경 20 ㎚의 금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바이러스 제거막(10)으로 여과하는 경우,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단면에는 직경 20 ㎚의 금 콜로이드는, 거의 포착되지 않는다. 이것은, 광학 현미경(Biozero, BZ8100, 기엔스사 제조)을 이용한 관찰에서, 휘도의 스펙트럼을 유의한 값으로서 검출할 수 없는 것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로그 제거율이 낮아지는 것으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직경 2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지 않는 것은, 바이러스를 제거하면서, IgG(분자량 150000 정도) 등의 직경 10 ㎚ 정도의 유용 단백질은 물론, 피브리노겐(분자량 340000), 및 IgM(분자량 900000) 등의 분자량이 큰 유용 단백질에 있어서도 높은 투과율로 투과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바이러스 제거막(10)의 재질은,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다. 셀룰로오스로서는, 재생 셀룰로오스, 천연 셀룰로오스,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재생 셀룰로오스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구리 암모니아 셀룰로오스 용액으로부터 작성하는 방법(구리 암모니아법)이나, 아세트산 셀룰로오스를 알칼리로 비누화시켜 작성하는 방법(비누화법)을 들 수 있다.
바이러스 제거막(10)은, 예컨대, 중공사막의 형상을 갖고 있다. 혹은, 바이러스 제거막(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막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중공사막이면, 막 면적이 커도, 막을 용기에 장전하여 소형의 필터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막 두께는, 예컨대, 건조 상태에서 25.0 ㎛ 이상 45.0 ㎛ 이하, 혹은 30.0 ㎛ 이상 40.0 ㎛ 이하이다. 막 두께의 표준 편차는, 5.0 ㎛ 이하, 혹은 4.0 ㎛ 이하이다. 막 두께가 25 ㎛보다 얇으면 막의 강도가 저하되어, 여과압에 견딜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고, 또한 45 ㎛보다 두꺼우면 여과 속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막 두께의 표준 편차가 5.0 ㎛보다 크면, 막 두께의 불균일이 커서, 균일성이 저하되는 경향에 있다.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내경은, 예컨대, 건조 상태에서 250 ㎛ 이상 400 ㎛ 이하, 혹은 300 ㎛ 이상 360 ㎛ 이하이다. 내경의 표준 편차는, 15.0 ㎛ 이하, 혹은 10.0 ㎛ 이하이다. 내경이 250 ㎛보다 작으면 중공사의 입구나 중공사 내에서의 압력 손실이 커져, 여과 속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고, 400 ㎛보다 크면 데드 스페이스인 중공부의 체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필터가 대형화되는 경향에 있다. 또한, 내경의 표준 편차가 15.0 ㎛보다 크면, 중공사막의 구조의 불균일이 커서, 금 콜로이드 포착 위치의 균일성이 저하되는 경향에 있다.
바이러스 제거막(10)이 갖는 공공의 공경은, 예컨대, 32.0 ㎚ 이상 38.0 ㎚ 이하, 혹은 32.0 ㎚ 이상 37.0 ㎚ 이하이다. 공경이 32 ㎚보다 작으면 여과 속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고, 또한, 38 ㎚보다 크면 바이러스가 샐 가능성이 있다.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단면에 있어서, 1차측으로부터 2차측을 향해, 공공의 공경은, 감소한 후 증가로 바뀐다. 예컨대, 바이러스 제거막(10)의 단면에 있어서, 바이러스 포착 부위는, 공공의 공경이 최소가 되는 부위를 포함한다. 예컨대,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는, 공공의 공경이 최소가 되는 부위이다.
바이러스 제거막(10)에서 측정되는 순수 투과 속도는, 예컨대, 100 L/㎡/hrs/0.1 ㎫ 이상 500 L/㎡/hrs/0.1 ㎫ 이하, 100 L/㎡/hrs/0.1 ㎫ 이상 400 L/㎡/hrs/0.1 ㎫ 이하, 혹은 150 L/㎡/hrs/0.1 ㎫ 이상 300 L/㎡/hrs/0.1 ㎫ 이하이다.
바이러스 제거막(10)에 의한 직경이 40 ㎚ 이상인 바이러스의 로그 제거율(LRV: Logarithmic Reduction Value)은, 예컨대 4.00 이상, 4.50 이상, 5.00 이상, 혹은 5.50 이상이다. LRV가 높을수록, 바이러스가 제거된다. LRV가 5.50 이상이면, 거의 바이러스가 새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바이러스 제거막(10)에 의한 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BVDV)의 LRV는, 예컨대 4.00 이상, 4.50 이상, 5.00 이상, 혹은 5.50 이상이다. LRV가 높을수록, BVDV가 제거된다. LRV가 5.50 이상이면, 거의 BVDV가 새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바이러스 제거막(10)에 의한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의 로그 제거율(LRV)은, 예컨대 1.00 이상, 1.20 이상, 혹은 1.40 이상이다. 바이러스 제거막(10)에 의한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의 로그 제거율은, 예컨대 1.00 이상, 1.20 이상, 혹은 1.40 이상이다. 바이러스 제거막(10)에 의한 직경 20 ㎚의 금 콜로이드의 로그 제거율은, 예컨대, 0.10 미만이다.
바이러스 제거막(10)의 파열 강도는, 예컨대 0.28 ㎫ 이상, 0.30 ㎫ 이상, 혹은 0.32 ㎫ 이상이다. 0.28 ㎫ 이하의 경우, 여과압에 견딜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파열 강도가 낮은 경우, 여과압에 의해 구멍 구조가 변형하여, 바이러스 포착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상 설명한 특성을 갖는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은, 예컨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중공사막형의 바이러스 제거막을 제조할 때에는, 먼저, 셀룰로오스를 구리 암모니아 용액에 용해시킨, 셀룰로오스 농도가 예컨대 6.0 중량% 이상 8.5 중량% 이하, 혹은 7.0 중량% 이상 8.5 중량% 이하, 혹은 7.0 중량% 이상 8.0 중량% 이하의 셀룰로오스 구리 암모니아 용액을 준비하고, 이것에 규산염을 첨가하여, 방사 원액으로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산염의 첨가는, 셀룰로오스를 구리 암모니아 용액에 용해시키기 전이어도 동시여도 좋다. 규산염으로서는, 나트륨, 칼륨, 칼슘, 및 마그네슘의 규산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중, 나트륨 및 칼륨의 규산염이 바람직하고, 메타규산나트륨이 보다 바람직하다.
규산염의 첨가량은, 셀룰로오스 구리 암모니아 용액 중의 이산화규소 농도가, 예컨대 5 ppm 이상 100 ppm 이하, 5 ppm 이상 70 ppm 이하, 혹은 5 ppm 이상 60 ppm 이하가 되도록 한다. 또한, 셀룰로오스 농도에 대한 구리의 농도의 비는, 예컨대, 0.30 이상 0.40 이하이다. 셀룰로오스 농도에 대한 암모니아의 농도의 비는, 예컨대, 0.6 이상 1.0 이하이다.
다음으로, 방사 원액을 일정 온도로 가온하여, 방사 원액의 에이징을 행한다. 에이징 온도는 30℃ 이상 40℃ 이하, 30℃ 이상 37℃ 이하, 혹은 30℃ 이상 35℃ 이하이고, 에이징 시간은 45시간 이상 100시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8시간 이상 96시간 이하이다. 에이징 온도는, 예컨대, 상기 범위 내에서 일정하다. 에이징 온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나 에이징 시간이 100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셀룰로오스 용액 중에 산화구리가 발생하여, 제막 시에 구조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가온의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실온을 에이징 온도로 설정하는 방법,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열교환기로서는 재킷식, 이중관식, 셸&튜브식, 및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방사 원액의 에이징은, 방사 원액을 배관 중에 송액하면서 행해도 좋고, 방사 원액을 저장조 내에 체류시켜 행해도 좋다.
다음으로, 수산기를 갖지 않고, 28 중량%의 암모니아 수용액에의 용해도가 10 중량% 이상이며, 또한, 셀룰로오스를 팽윤시키지 않는 유기 용매를 적어도 1종 포함하는, 방사 원액에 대해 미크로상 분리를 발생시키는 용액을 응고액으로서 준비한다. 미크로상 분리에 대해서는, 이후에 설명한다. 예컨대, 응고액은, 아세톤, 암모니아, 및 물로 이루어진다. 중공사막을 제조할 때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응고액과, 외부 응고액을 준비한다. 내부 응고액에 있어서는, 예컨대, 아세톤 농도가 약 40 중량% 이상 약 60 중량% 이하이고, 암모니아 농도가 약 0.5 중량% 이상 약 1.0 중량% 이하이다. 외부 응고액에 있어서는, 예컨대, 아세톤 농도가 약 30 중량% 이상 약 50 중량% 이하이고, 암모니아 농도가 약 0 중량% 이상 약 0.2 중량% 이하이다.
다음으로, 방사 원액을 환형 이중 방사구로부터 1.5 ㏄/분 이상 8.0 ㏄/분 이하의 일정량으로 토출하고, 동시에, 환형 이중 방사구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 방출구로부터 내부 응고액을 토출한다. 토출된 방사 원액 및 내부 응고액을, 즉시 응고 욕조 중의 외부 응고액에 침지한다. 여기서, 내부 및 외부 응고액의 작용으로, 방사 원액에 있어서 미크로상 분리가 발생한다. 미크로상 분리란, 셀룰로오스 농후상(濃厚相)이, 직경 0.01 내지 수 ㎛의 입자로서, 용매 또는 셀룰로오스 희석상으로부터 분리되고, 분산되어 안정화되는 것을 말한다. 미크로상 분리는, 최초, 방사 원액과 내부 및 외부 응고액의 계면에서 발생하고, 점차 방사 원액의 내부에서도 발생해 간다. 미크로상 분리에 의해 형성된 입자는, 충돌이나 융합을 반복하면서 큰 입자를 형성해 간다. 동시에, 응고액의 작용에 의해, 입자는 점차 고화되고, 입자가 3차원적으로 연결된 고분자 다공질 구조를 갖는 중공사막이 형성되어 간다. 형성된 중공사막은, 권취된다.
응고 욕조가 세관(細管)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응고 욕조 중에 있어서의 방사 원액의 유속은, 예컨대, 5 m/분 이상 20 m/분 이하, 8 m/분 이상 15 m/분 이하, 혹은 9 m/분 이상 12 m/분 이하이다. 한편, 응고 욕조 중에 있어서의 방사 원액의 유속은, 형성되는 중공사막의 권취 속도(방속(紡速))와 동일하다. 또한, 응고 욕조에 송액하는 외부 응고액의 유량은, 예컨대, 50 ㏄/분 이상 500 ㏄/분 이하, 60 ㏄/분 이상 300 ㏄/분 이하, 혹은 70 ㏄/분 이상 150 ㏄/분 이하이다.
권취된 중공사막은, 2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의 희황산에 침지되고, 그 후, 순수로 수세(水洗)된다. 이에 의해, 셀룰로오스가 재생된다. 또한, 중공사막의 수분을 유기 용매로 치환한다. 유기 용매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및 아세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후, 중공사막 다발의 양단을 고정하고, 1% 내지 8% 연신한 후, 30℃ 이상 60℃ 이하, 5 ㎪ 이하의 감압하에서 중공사막 다발의 건조를 행하여, 실시형태에 따른 중공사막형의 바이러스 제거막이 얻어진다.
셀룰로오스 구리 암모니아 용액은, 셀룰로오스 용해 시에 반입되는 공기나 구리 암모니아 용액 중에 포함되는 산소와 접촉함으로써 산화 붕괴되어, 중합도의 저하가 발생하고, 나아가서는 점도의 저하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배관에서 송액 중인 방사 원액에 점도 불균일이 발생한다. 방사 원액에 점도 불균일이 발생하면, 방사 원액의 배관 중의 흐름에 맥동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환형 이중 방사구로부터의 방사 원액의 토출 안정성에 영향을 주어, 형성되는 중공사막의 실 길이 방향의 막 두께나 중공사 직경에 변형이 발생하고, 그 결과, 실 끊김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방사 원액에 점도 불균일이 발생하면, 방사구 원주 방향의 방사 원액의 토출량에 변동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형성되는 중공사막의 원주 방향의 막 두께나 중공사 직경에 변동이 발생하고, 그 결과, 원주 방향의 막 구조에도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중합도는 방사 원액의 응고 속도에도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방사 원액에 있어서 중합도의 불균일이 크면, 방사 원액의 응고 속도에 변동이 발생한다. 응고 속도에 변동이 발생하면, 형성되는 막 구조에 변동이 발생하여, 공경 분포가 커진다. 그 결과, 공경의 그래디언트 구조가 브로드해진다. 이것은 예컨대 직경 30 ㎚ 이상 직경 40 ㎚ 이하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의 두께가 확대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셀룰로오스 용해 후의 셀룰로오스 구리 암모니아 용액을 에이징함으로써, 셀룰로오스 구리 암모니아 용액을 배관에서 송액 중에 산화 붕괴가 억제되어, 점도 불균일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때문에, 셀룰로오스 구리 암모니아 용액의 에이징에 의해, 환형 이중 방사구로부터의 방사 원액의 토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경 불균일이나 막 두께 불균일이 적고, 원주 방향으로 균일한 막 구조를 갖는 중공사막을 제막할 수 있다. 또한, 불균일이 적기 때문에, 중공사막의 내파열 강도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셀룰로오스 구리 암모니아 용액 중에 이산화규소를 첨가함으로써, 에이징에 의한 산화구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에이징 시에 방사 원액을 가온하면, 산화구리가 발생한다. 산화구리는 고형 이물이기 때문에, 방사 원액 중에 산화구리가 혼입된 채로 제막되면, 이후의 산으로 재생하는 공정에서 산화구리가 용해되어, 막 구조에 결함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산화구리는, 원주 방향에서의 공경의 변동의 원인이 된다. 또한, 극단적인 경우에는 막에 핀 홀이 형성되는 원인이 되거나, 매크로 보이드 등의 구조 결함이 발생하는 원인이 되거나 한다. 따라서, 셀룰로오스 구리 암모니아 용액의 에이징과, 이산화규소 첨가의 양방을 실시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을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산화구리가 환형 이중 방사구의 토출구에 부착되면, 유로의 일부가 더러워지거나, 폐색되거나 하여, 막 두께의 일부가 얇아진 편육(偏肉)형의 중공사나, 일부에 줄무늬가 생긴 것과 같은 형상의 중공사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산화구리는, 제막되는 중공사막의 버블 포인트나 바이러스 제거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에 대해, 이산화규소는 구리와 착체를 형성하여, 산화구리의 발생을 억제하기 때문에, 이산화규소를 셀룰로오스 구리 암모니아 용액에 첨가함으로써, 산화구리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셀룰로오스 구리 암모니아 용액의 에이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형성되는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가 균일해짐으로써, 막 강도가 향상되고, 여과 가압 시의 누설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이산화규소가 지나치게 많으면, 이산화규소가 이물이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산화규소의 농도는 100 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평막형의 바이러스 제거막은, 예컨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구리 암모니아 셀룰로오스 용액에 규산염을 첨가해서 혼합하여, 제막 용액을 얻는다. 계속해서, 제막 용액을 에이징한 후, 제막 용액을 여과 및 탈(脫)가스 처리한다.
다음으로, 제막 용액을 응고욕 안을 주행하는 지지체 상에 캐스팅하여 유연(流延)하고, 응고시킨다. 지지체의 이동 속도는 매분 약 1.0∼10.0 m로 한다. 형성한 평막을 산으로 재생 처리 후, 추가 수욕(水浴)에 통과시켜 인출하고, 그 후,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다.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중공사, 및 평막형의 바이러스 제거막은, 피여과액 입구측의 1차측 공간과 여과액 출구측의 2차측 공간이 막에 의해 구획된 필터를 작성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해 기재하였으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기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여러 가지 실시형태 등을 포함한다고 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1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코튼 린터(평균 분자량 1.44×105)와 메타규산나트륨(기시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을 공지된 방법으로 조제한 구리 암모니아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산화규소 농도가 도 6에 기재된 바와 같으며, 셀룰로오스 농도가 7.0 중량%, 암모니아 농도가 4.5 중량%, 구리 농도가 2.5 중량%인 구리 암모니아 셀룰로오스 용액을 조제하였다. 셀룰로오스 농도에 대한 구리 농도의 비는 0.36이었다. 셀룰로오스 농도에 대한 암모니아 농도의 비는 0.64였다.
다음으로, 재킷식으로 가온 가능한 저장조 내에서, 구리 암모니아 셀룰로오스 용액을, 도 6에 기재된 온도 및 체류 시간으로 에이징하였다. 그 후, 구리 암모니아 셀룰로오스 용액을 탈포하여 방사 원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환형 이중 방사구의 외측 방출구로부터, 방사 원액을 3.65 ㏄/분으로 토출하고, 동시에, 환형 이중 방사구의 중앙 방출구로부터, 도 6에 도시된 중량비의 아세톤/암모니아/물로 이루어지는 내부 응고액을 1.8 ㏄/분으로 토출하였다. 환형 이중 방사구로부터 토출된 방사 원액 및 내부 응고액을, 도 6에 도시된 중량비의 아세톤/암모니아/물로 이루어지는 외부 응고액으로 채워진 응고 욕조 중에 도입하여 중공사막을 형성하고, 권취 속도(방속) 10 m/분으로 권취하였다. 응고 욕조에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4-371221호 공보에 기재되는 직경 7 ㎜의 U자형 깔때기 세관을 이용하고, 외부 응고액의 유속은 2.6 m/분이었다.
중공사막의 권취는, 30℃의 수중에서 행하였다. 120분간 중공사막을 권취한 후, 권취한 중공사막을 별도의 30℃의 물에 60분간 침지하였다. 그 후, 3 중량%의 황산 수용액으로 중공사막의 셀룰로오스를 재생하고, 또한 수세하였다. 또한, 중공사막 다발의 수분을 메탄올로 치환하였다. 그 후, 중공사막 다발의 양단을 고정하고, 중공사막 다발을 5.0% 연신한 상태에서, 50℃, 3 ㎪의 조건하에서 중공사막 다발을 진공 건조시켰다. 이상의 방법으로 얻어진 중공사막을,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하였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징 조건을 변경한 제조 조건하, 혹은 이산화규소 농도를 변경한 제조 조건하에서,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을 제조하였다.
(바이러스 제거막의 물성)
(1) 내경 및 막 두께(건조 중공사)
120분간 권취한 실 다발 내의 임의의 건조 중공사 10개의 각각의 실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 절편을 투영기(V-12B, Nikon사 제조)로 관찰하고, 하나의 중공사 단면에 대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의 내경 2개소 및 막 두께 4개소를 측정하여, 각각 평균한 것을 내경 및 막 두께의 측정값으로 하였다.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평균 내경, 내경의 표준 편차, 평균 막 두께, 및 막 두께의 표준 편차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았다.
(2) 멸균 전의 순수 투과 속도
막의 액 공급측인 1차측과 여과액이 배출되는 2차측의 양방을 순수로 채우고, 그 후 온도 25℃의 순수를 20 ㎪의 막 간 차압으로 여과하여, 1차측으로부터 2차측으로 나오는 순수 투과량을 건조 중공사의 막 면적 1 ㎡당 L/hrs/0.1 ㎫의 단위로 환산한 값을 산출하였다. 한편, 순수란, 한외 여과에 의해 정제한 물을 말한다.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순수 투과 속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았다.
(3) 평균 공경
공공률(Pr)은 이하의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하기 (2)식을 이용하여, 막 두께, 면적, 및 중량의 측정값으로부터 중공사의 겉보기 밀도(ρa)를 구하고, 또한 하기 (3)식을 이용하여, 공공률(Pr)(%)을 구하였다.
ρa = Wd/Vw=4Wd/πl(Do2-Di2)
(2)
Pr(%) = (1-ρa/ρp)×100 (6)
(3)
여기서, ρa는 중공사의 겉보기 밀도(g/㎤), Wd는 중공사의 절대 건조 중량(g), Vw는 중공사의 겉보기 체적(㎤), l은 중공사의 길이(㎝), Do는 중공사의 외경(㎝), Di는 중공사의 내경(㎝), ρp는 셀룰로오스의 밀도(g/㎤)를 나타낸다.
평균 공경은 이하의 방법으로 산출하였다. 10개의 실을 묶어, 16 ㎝의 유효 길이가 되도록 모듈을 작성하였다. 이 모듈의 일단을 폐쇄로 하고, 타단에 200 mmHg의 압력을 가하여, 37℃에서 물을 통과시켰다. 이때 막을 통해 나오는 물의 양을 투수량으로서 측정하였다. 또한, 미리, 건조 상태에서 내경과 막 두께를 측정하고, 이들 값으로부터 막 면적을 산출하였다. 평균 공경(㎚)은 하기 식 (4)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2r = 2×103×√(V·d·μ/P·A·Pr)
(4)
여기서, 2r은 평균 공경(㎚), V는 투수량(mL/분), d는 막 두께(㎛), μ는 물의 점도(cp), P는 압력차(mmHg), A는 막 면적(㎠), Pr은 공공률(%)을 나타낸다. 이상의 측정 방법은, 일본 특허 제2707274호 공보에 기재된 측정 방법을 참고로 하였다.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평균 공경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았다.
(4) 버블 포인트
표면 장력(γ)(N/m)의 액체로 막을 습윤시킨 후, 그 막에, 기체로 서서히 압력을 가해 가면, 어느 압력에서 막 표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의 기체 압력은, 버블 포인트(㎫)라고 불리고 있다. 버블 포인트의 공지된 측정 방법은 모두, 연속 기포의 발생을 눈으로 보아 확인한 시점에서의 압력을 버블 포인트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판정법은, 막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기포의 발생량이 적어, 못보고 지나칠 우려가 있는 점, 및 가압 이전부터 막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기포(계면 파괴 현상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다)의 막 표면으로부터의 이탈을 계면 파괴 현상에 의한 기포라고 오인할 우려가 있는 점에서, 오차가 나기 쉽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다 측정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 막 면적 1 ㎠당 3.0 mL/분의 정량적인 연속 기포의 발생이 있었던 시점의 압력(㎫)을 가지고 버블 포인트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습윤 액체에는 표면 장력 0.012(N/m)의 퍼플루오로카본(FX3250, 스미또모 쓰리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이용하고, 가압 기체에는 질소를 이용하였다. 이상의 측정 방법은, 국제 공개 2001/014047호에 기재된 측정 방법을 참고로 하였다. 계측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버블 포인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았다.
(5) 파열 강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을 이용하여, 9 ㎝의 유효 길이를 갖는 1개의 실로 이루어지는 모듈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모듈을 25℃의 수중에 침지하고, 중공사막의 일단을 폐색시키며, 타단으로부터 질소로 가압하였다. 가압하는 압력을 서서히 올려 가서, 중공사가 파열되었을 때의 압력을 중공사 파열 강도로 하였다. 계측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의 파열 강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았다.
(금 콜로이드를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평가)
(1) 금 콜로이드 용액의 조제
입자 직경이 20, 30, 40, 및 50 ㎚인 금 콜로이드를 각각 포함하는 용액(Cytodiagnostics사 제조)을 구입하였다. 다음으로, 자외·가시 분광 광도계(UVmini-1240, 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로 측정한 각 금 콜로이드 용액의 금 콜로이드에 따른 최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0.25가 되도록, 금 콜로이드 용액을, 주사용 증류수, 폴리옥시에틸렌-나프틸에테르(1.59 vol%), 및 폴리(4-스티렌술폰산나트륨)(0.20 vol%)으로 희석하였다.
(2) 금 콜로이드 용액의 여과
조제한 금 콜로이드 용액의 각각 40 mL를, 78.4 ㎪의 가압하에서,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였다. 바이러스 제거막의 여과 면적은, 0.001 ㎡였다. 한편, 하나의 바이러스 제거막에 대해, 한 종류의 금 콜로이드 용액을 흘렸다.
(3)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한 금 콜로이드의 제거율
자외·가시 분광 광도계 UVmini-1240(시마즈 세이사쿠쇼 제조)을 이용하여, 금 콜로이드 용액의 각각에 대해, 금 콜로이드의 최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여과 전의 금 콜로이드 용액의 흡광도(A)와, 여과액의 흡광도(B)를 측정하고, 하기 (5)식으로 주어지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에 의한 금 콜로이드의 로그 제거율(LRV)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8에 도시한다.
LRV = log10(A/B)
(5)
(4)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균일성(변동 계수)
금 콜로이드 용액을 여과한 후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으로부터 절편(두께는 8 ㎛)을 잘라내고, 절편의 단면에 있어서 금 콜로이드에 의해 물든 부분 240개소의 휘도 프로파일을, 광학 현미경(Biozero, BZ8100, 기엔스사 제조)으로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상수(255)로부터 측정한 휘도 프로파일을 뺐다. 그 후, 횡축에 막 두께(백분율), 종축에 휘도 변위를 갖는 그래프를 작성하고, 그래프에 나타난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을 산출하였다. 또한, 240개소에 있어서의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의 표준 편차를, 240개소에 있어서의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의 평균으로 나눈 값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금 콜로이드의 포착량의 변동 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산출하였다.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만을 흘렸을 때의 결과를, 도 8에 도시한다.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과 비교하여,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 쪽이, 변동 계수의 값이 작은 경향에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의 제거막에 있어서의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에 있어서의 금 콜로이드의 포착량의 균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의 제거막의 바이러스 포착량의 균일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5)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두께
30 및 40 ㎚의 금 콜로이드 용액을 각각 여과한 습윤 상태의 바이러스 제거막으로부터 절편(두께는 8 ㎛)을 잘라내었다. 습윤 상태의 절편의 단면에 있어서 금 콜로이드에 의해 물든 부분 240개소의 휘도 프로파일을, 광학 현미경(Biozero, BZ8100, 기엔스사 제조)으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막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바이러스 제거막의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금 콜로이드가 포착된 부위의 가장 1차측의 표면에 가까운 부분까지의 제1 거리(a)를 측정하였다. 또한, 막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바이러스 제거막의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금 콜로이드가 포착된 부위의 가장 2차측의 표면에 가까운 부분까지의 제2 거리(b)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240개소의 각각에 있어서, 제1 거리(a)를 습윤 상태의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c)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값(A)(=a/c의 백분율 표시)을 산출하고, 240개소에 있어서의 값(A)의 평균값을 제1 도달도로서 산출하였다. 또한, 240개소의 각각에 있어서, 제2 거리(b)를 습윤 상태의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c)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값(B)(=b/c의 백분율 표시)을 산출하고, 240개소에 있어서의 값(B)의 평균값을 제2 도달도로서 산출하였다.
또한, 상기 (1)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한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제2 도달도의 평균값(B30)과,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한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제1 도달도의 평균값(A40)의 차에,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한 습윤 상태의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의 평균값(C30)과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한 습윤 상태의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의 평균값(C40)의 평균값(CAVE)을 곱한 값을,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두께(T)로서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8에 도시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한 바이러스 제거막과,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를 여과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적어도 2개의 바이러스 제거막을 이용하여, 치밀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그러나, 하나의 바이러스 제거막만을 이용하여, 치밀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하나의 바이러스 제거막을 이용하여, 직경 30 ㎚ 및 40 ㎚의 양방의 금 콜로이드를 포함하는 금 콜로이드 용액을 여과한다. 혹은, 하나의 바이러스 제거막을 이용하여,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 용액을 여과한 후,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 용액을 여과한다.
그 후, 직경 30 ㎚ 및 40 ㎚의 금 콜로이드 용액을 여과한 바이러스 제거막으로부터 절편을 잘라내고, 절편의 단면에 있어서 금 콜로이드에 의해 물든 부분 240개소의 휘도 프로파일을, 광학 현미경(Biozero, BZ8100, 기엔스사 제조)으로 측정한다. 여기서, 막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바이러스 제거막의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가장 1차측의 표면에 가까운 부분까지의 제1 거리(a1)를 측정한다. 또한, 막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바이러스 제거막의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가장 2차측의 표면에 가까운 부분까지의 제2 거리(b1)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240개소의 각각에 있어서, 제1 거리(a1)를 습윤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c)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값(A1)(=a1/c1의 백분율 표시)을 산출하고, 240개소에 있어서의 값(A1)의 평균값을 제1 도달도로서 산출한다. 또한, 240개소의 각각에 있어서, 제2 거리(b1)를 습윤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c)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값(B1)(=b1/c1의 백분율 표시)을 산출하고, 240개소에 있어서의 값(B1)의 평균값을 제2 도달도로서 산출한다.
또한, 하기 (6)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제2 도달도의 평균값(B1)과,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제1 도달도의 평균값(A1)의 차에, 습윤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의 평균값(C)을 곱한 값을, 바이러스 제거막에 있어서의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두께(T)로서 산출한다. (1)식으로 산출되는 두께(T)와, (6)식으로 산출되는 두께(T) 사이에, 큰 차이는 발생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T = (B1-A1)×C
(6)
(6) 바이러스 제거막의 금 콜로이드 포착 부위의 입자 직경 의존성(그래디언트성)
직경 30 ㎚, 40 ㎚ 및 50 ㎚의 금 콜로이드 용액을 각각 여과한 바이러스 제거막으로부터 절편(두께는 8 ㎛)을 잘라내었다. 습윤 상태의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는, 광학 현미경(Biozero, BZ8100, 기엔스사 제조)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절편의 단면에 있어서 금 콜로이드에 의해 물든 부분 240개소의 휘도 프로파일을, 광학 현미경(Biozero, BZ8100, 기엔스사 제조)으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막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바이러스 제거막의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금 콜로이드가 포착된 부위의 가장 1차측의 표면에 가까운 부분까지의 제1 거리(a)를 측정하였다. 또한, 막 두께 방향에 있어서, 바이러스 제거막의 1차측의 표면으로부터, 금 콜로이드가 포착된 부위의 가장 2차측의 표면에 가까운 부분까지의 제2 거리(b)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240개소의 각각에 있어서, 제1 거리(a)를 습윤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c)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값(A)(%)을 산출하고, 240개소에 있어서의 값(A)(%)의 평균값을 제1 도달도로서 산출하였다. 또한, 240개소의 각각에 있어서, 제2 거리(b)를 습윤한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c)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낸 값(B)(%)을 산출하고, 240개소에 있어서의 값(B)(%)의 평균값을 제2 도달도로서 산출하였다. 직경 30 ㎚, 40 ㎚ 및 50 ㎚의 금 콜로이드의 각각에 대해, 제1 도달도의 평균값과, 제2 도달도의 평균값을, 도 8에 도시한다. 한편, 도 8에 있어서, 좌측의 수치가 제1 도달도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우측의 수치가 제2 도달도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직경 50 ㎚, 40 ㎚ 및 30 ㎚의 금 콜로이드의 포착 위치의 측정에 대해, 어디까지나, 막에 의해 포착된 금 콜로이드에 대해 측정한 것이며, 막에 포착되고 있지 않은 금 콜로이드에 대해 측정하는 것은 아니다.
(바이러스 제거막의 바이러스 제거능)
(1) 바이러스 함유 항체 용액의 조제
폴리클로날 항체(인간 IgG)(베노글로불린-1H, 일본 혈액 제제 기구 제조)를 이용하여, 항체 농도가 10 ㎎/mL가 되도록 둘베코 PBS(-)로 희석한 항체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항체 용액에, 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BVDV)를 5.0 vol%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바이러스 함유 항체 용액을 얻었다.
(2) 바이러스 함유 항체 용액의 여과
78.4 ㎪의 여과 압력으로, 제조한 막 면적 0.001 ㎡의 바이러스 제거막을 이용하여, 여과량이 100 L/㎡에 도달할 때까지, 바이러스 함유 항체 용액의 데드 엔드 여과를 행하였다. 여과 압력은 공급액 용기측에 압력계를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3) 바이러스 제거율의 측정
JCRB 세포 뱅크로부터 입수하여, 배양한 MDBK(NBL-1) 세포(JCRB 9028)를 준비하였다. 또한, 56℃의 수욕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비동화시킨 후의 말 혈청(HS, Gibco사 제조) 10 vol%와,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10000 Units/mL 페니실린, +10000 ㎍/mL 스트렙토마이신, 인비트로젠 제조) 1 vol% 함유 D-MEM(인비트로젠 제조, 고(高)글루코오스)의 혼합액을 준비하였다. 이하, 이 혼합액을, 10 vol% HS/D-MEM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MDBK 세포를 10 vol% HS/D-MEM으로 희석하여, 세포 농도 2.0×105(세포/mL)의 희석 세포 현탁액을 조제하였다. 그 후, 96웰 평저(平底) 세포 배양 플레이트(Falcon사 제조)의 모든 웰에, 희석 세포 현탁액을 100 μL씩 분주(分注)하였다.
바이러스 함유 항체 용액의 여과액에 대해, 10% HS/D-MEM에 의한 10배, 102배, 103배, 104배 및 105배 희석액을 조제하였다. 또한, 여과 직전에 채취한 원래 액(바이러스 함유 항체 용액)에 대해서도, 10% HS/D-MEM에 의한 102배, 103배, 104배, 105배, 106배 및 107배 희석액을 조제하였다.
희석 세포 현탁액을 분주한 세포 배양 플레이트의 8웰마다, 바이러스 함유 항체 용액의 여과액 및 동 여과액의 10배, 102배, 103배, 104배 및 105배 희석액과, 원래 액의 102배, 103배, 104배, 105배, 106배 및 107배 희석액의 각각을, 100 μL씩 분주하였다. 그 후, 37℃, 5% 이산화탄소 분위기하에 있는 인큐베이터 안에 세포 배양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세포를 3일간 배양하였다.
3일간 배양한 세포에 대해, 세포 변성 효과(CPE)의 유무를 현미경 관찰에 의해 확인하고, 세포 변성 효과가 확인된 것을 바이러스 감염이 일어난 웰, 세포 변성 효과가 확인되지 않은 것을 바이러스 감염이 일어나지 않은 웰로서 세었다. 또한, 바이러스 함유 항체 용액의 여과액 및 동 여과액의 희석액과, 원래 액 희석액의 각각이 분주된 웰마다, 바이러스 감염의 비율을 확인하고, Reed-Muench법(바이러스 실험학 총론, 국립 예방 위생 연구소 학우회편, p.479-480 참조)에 의해, 감염가로서 log10(TCID50/mL)을 산출하며, 하기 (7)식을 이용하여 바이러스의 로그 제거율(LRV)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도 8에 도시한다. 비교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과 비교하여, 실시예에 따른 바이러스 제거막 쪽이, 바이러스 제거율이 높은 경향에 있었다.
LRV = log10(C0/CF)
(7)
여기서, C0은,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하기 전의 원래 액(바이러스 함유 항체 용액) 중의 감염가를 나타내고, CF는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여과한 후의 여과액 중의 감염가를 나타낸다.
1: 1차측의 표면
2: 2차측의 표면
10: 바이러스 제거막
2: 2차측의 표면
10: 바이러스 제거막
Claims (26)
- 단백질을 함유하는 용액으로부터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바이러스 제거막으로서,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은,
셀룰로오스를 구비하며,
상기 단백질을 함유하는 용액이 공급되는 1차측의 표면과,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을 투과한 투과액이 배출되는 2차측의 표면을 갖고,
버블 포인트가 0.5 ㎫ 이상 1.0 ㎫ 이하이며,
상기 1차측으로부터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에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용액을 공급하여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으로 상기 금 콜로이드를 포착하고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단면에 있어서 휘도를 측정하면, 상기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값의 표준 편차를, 상기 휘도 변위의 스펙트럼의 면적값의 평균값으로 나눈 값이 0.01 이상 0.30 이하이며,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단면에 있어서, 직경 30 ㎚ 이상 직경 40 ㎚ 이하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의 두께가, 습윤 상태에서 17.0 ㎛ 이상 20.0 ㎛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에 있어서, 습윤 상태의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단면에 있어서,
직경 5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상기 1차측으로부터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막 두께의 5% 이상 35% 이하인 곳에 있고,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상기 1차측으로부터 상기 막 두께의 8% 이상 50% 이하인 곳에 있으며,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상기 1차측으로부터 상기 막 두께의 10% 이상 80% 이하인 곳에 있는 것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직경 40 ㎚의 금 콜로이드의 로그 제거율이 1.00 이상이고,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의 로그 제거율이 1.00 이상이며,
직경 20 ㎚의 금 콜로이드의 로그 제거율이 0.10 미만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 2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지 않는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경(孔徑)이 32.0 ㎚ 이상 38.0 ㎚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제거막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1차측으로부터 상기 2차측을 향해, 공경이 감소한 후 증가로 바뀌는 바이러스 제거막.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경 30 ㎚의 금 콜로이드가 포착되는 부위가, 상기 공경이 최소가 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것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건조 상태에서 막 두께가 25.0 ㎛ 이상 45.0 ㎛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막 두께의 표준 편차가 5.0 ㎛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블 포인트가 0.7 ㎫ 이상 1.0 ㎫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수(純水) 투과 속도가, 100 L/㎡/hrs/0.1 ㎫ 이상 500 L/㎡/hrs/0.1 ㎫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막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공사막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3항에 있어서, 건조 상태에서 내경이 250 ㎛ 내지 400 ㎛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의 표준 편차가 15.0 ㎛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40 ㎚ 이상의 바이러스의 로그 제거율(LRV)이 4.0 이상인 바이러스 제거막.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BVDV)의 로그 제거율(LRV)이 4.0 이상인 바이러스 제거막.
- 셀룰로오스, 구리,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방사 원액을 30℃ 이상 40℃ 이하로 유지하는 에이징 공정과,
상기 방사 원액을 이용하여 제막하는 제막 공정
을 구비하는,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징 공정을, 45시간 이상 100시간 이하로 행하는,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막 공정에 있어서 셀룰로오스의 농도가 6.0 중량% 이상 8.5 중량%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막 공정에 있어서 셀룰로오스의 농도에 대한 구리의 농도의 비가 0.30 이상 0.40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막 공정에 있어서 이산화규소의 농도가 5 ppm 이상 100 ppm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원액이 암모니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막 공정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농도에 대한 암모니아의 농도의 비가 0.6 이상 1.0 이하인,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 제18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막 공정에 있어서, 응고액에 상기 방사 원액을 토출하는 것인,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막 공정에 있어서, 상기 방사 원액을, 환형 방출구(紡出口)를 이용하여 토출하는 것인,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막 공정에 있어서, 지지체 상에 상기 방사 원액을 캐스팅한 후, 응고액에 침지하는 것인,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072468 | 2016-03-31 | ||
JPJP-P-2016-072468 | 2016-03-31 | ||
PCT/JP2017/013277 WO2017170874A1 (ja) | 2016-03-31 | 2017-03-30 | ウイルス除去膜及びウイルス除去膜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7381A true KR20180087381A (ko) | 2018-08-01 |
KR102106410B1 KR102106410B1 (ko) | 2020-05-04 |
Family
ID=59964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8371A KR102106410B1 (ko) | 2016-03-31 | 2017-03-30 | 바이러스 제거막 및 바이러스 제거막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2) | US11491446B2 (ko) |
EP (1) | EP3437725A4 (ko) |
JP (1) | JP6576546B2 (ko) |
KR (1) | KR102106410B1 (ko) |
CN (1) | CN108602026B (ko) |
AU (1) | AU2017245025B2 (ko) |
CA (1) | CA3018047C (ko) |
RU (1) | RU2718981C1 (ko) |
WO (1) | WO2017170874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45796A1 (ko) * | 2021-01-04 | 2022-07-07 | 이승범 | 차단막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257229A4 (en) | 2020-12-04 | 2024-07-31 | Asahi Kasei Medical Co Ltd |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AND INTEGRITY TEST METHOD |
CN115025630A (zh) * | 2021-06-02 | 2022-09-09 | 赛普(杭州)过滤科技有限公司 | 一种中空纤维素除病毒过滤膜的制备方法及产品 |
US11826711B2 (en) * | 2022-02-23 | 2023-11-28 |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 Regenerable organic contaminant controller in space application |
CN115770490B (zh) * | 2022-12-16 | 2023-05-09 | 杭州科百特过滤器材有限公司 | 一种不对称纤维素除病毒滤膜及其制备工艺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48305A (ja) | 1986-04-28 | 1989-06-09 | Asahi Chem Ind Co Ltd | 高文子多孔質中空糸及びそれを利用したウイルスの除去方法 |
JPH01250408A (ja) * | 1988-03-30 | 1989-10-05 | Asahi Chem Ind Co Ltd | 再生セルロース多孔膜中空糸の製法 |
JPH04371221A (ja) | 1991-06-19 | 1992-12-24 | Asahi Chem Ind Co Ltd | 銅アンモニア法再生セルロース多孔性中空糸膜の製造方法 |
JP2010014564A (ja) | 2008-07-04 | 2010-01-21 | Asahi Kasei Medical Co Ltd | 高分子膜の粒子捕捉の評価方法 |
WO2015156403A1 (ja) * | 2014-04-11 | 2015-10-15 |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 ウイルス除去膜 |
WO2015156401A1 (ja) | 2014-04-11 | 2015-10-15 |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 ウイルス除去膜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7829409U1 (de) * | 1978-10-02 | 1986-07-31 | Akzo Gmbh, 5600 Wuppertal | Dialysemembranhohlfaden mit größerer Austauschfläche |
JPS57102205A (en) | 1980-12-19 | 1982-06-25 | Asahi Chem Ind Co Ltd | Dialysis membrane made of regenerated cellulose of cuprammonium process and its production |
JPS5889627A (ja) * | 1981-11-25 | 1983-05-28 | Asahi Chem Ind Co Ltd | 再生セルロ−ス微多孔膜 |
US4581140A (en) | 1981-11-25 | 1986-04-08 |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 Porous regenerated cellulose membrane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JPS58114702A (ja) | 1981-12-28 | 1983-07-08 | Kuraray Co Ltd | ポリスルホン中空繊維膜 |
JPS59225708A (ja) | 1983-06-03 | 1984-12-18 | Terumo Corp | セルロ−ス透過膜の製造方法 |
JPS6388007A (ja) * | 1986-10-02 | 1988-04-19 | Asahi Chem Ind Co Ltd | ウイルスフリ−モジユ−ル |
US4857196A (en) * | 1987-08-07 | 1989-08-15 |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and a method for the removal of a virus by using the same |
EP0474267A2 (en) | 1987-08-08 | 1992-03-11 |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 A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and a method for the removal of a virus by using the same |
CN1009901B (zh) * | 1987-08-28 | 1990-10-10 | 武汉大学 | 铜氨法制备再生纤维素多孔膜 |
US4919809A (en) * | 1988-07-20 | 1990-04-24 |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 Hollow fiber membrane |
JPH09285723A (ja) | 1996-04-22 | 1997-11-04 | Nippon Sanso Kk | ポリエーテルスルホン非対称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N1195577C (zh) * | 1999-08-20 | 2005-04-06 | 旭化成制药株式会社 | 生理活性物质溶液用过滤膜 |
SI1647345T1 (sl) * | 2003-07-17 | 2015-06-30 | Asahi Kasei Medical Co., Ltd. | Metal koloidna raztopina |
WO2007102427A1 (ja) * | 2006-03-02 | 2007-09-13 | Sei-Ichi Manabe | 孔拡散式平膜分離装置・平膜濃縮装置・孔拡散用再生セルロース多孔膜および非破壊式の平膜検査方法 |
US8881915B2 (en) | 2006-04-26 | 2014-11-11 |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 Polymeric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
RU2440181C2 (ru) * | 2006-08-10 | 2012-01-20 | Курарэй Ко., Лтд. | Пористая мембрана из винилиденфторидной смолы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
JP2008284471A (ja) * | 2006-11-28 | 2008-11-27 | Toyobo Co Ltd | 高分子多孔質中空糸膜 |
EP2127787B1 (en) | 2007-03-08 | 2013-05-08 | Asahi Kasei Medical Co., Ltd. | Method for test on integrity of microporous membrane |
US9511529B2 (en) * | 2010-04-16 | 2016-12-06 |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 Deformed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production method of deformed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and module, filtration device, and water treatment method in which deformed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is used |
-
2017
- 2017-03-30 RU RU2018134166A patent/RU2718981C1/ru active
- 2017-03-30 CN CN201780009989.4A patent/CN108602026B/zh active Active
- 2017-03-30 AU AU2017245025A patent/AU2017245025B2/en active Active
- 2017-03-30 EP EP17775408.2A patent/EP3437725A4/en active Pending
- 2017-03-30 CA CA3018047A patent/CA3018047C/en active Active
- 2017-03-30 US US16/088,347 patent/US11491446B2/en active Active
- 2017-03-30 WO PCT/JP2017/013277 patent/WO201717087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3-30 JP JP2018509440A patent/JP6576546B2/ja active Active
- 2017-03-30 KR KR1020187018371A patent/KR10210641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10-05 US US17/960,556 patent/US20230026019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48305A (ja) | 1986-04-28 | 1989-06-09 | Asahi Chem Ind Co Ltd | 高文子多孔質中空糸及びそれを利用したウイルスの除去方法 |
JPH01250408A (ja) * | 1988-03-30 | 1989-10-05 | Asahi Chem Ind Co Ltd | 再生セルロース多孔膜中空糸の製法 |
JPH04371221A (ja) | 1991-06-19 | 1992-12-24 | Asahi Chem Ind Co Ltd | 銅アンモニア法再生セルロース多孔性中空糸膜の製造方法 |
JP2010014564A (ja) | 2008-07-04 | 2010-01-21 | Asahi Kasei Medical Co Ltd | 高分子膜の粒子捕捉の評価方法 |
WO2015156403A1 (ja) * | 2014-04-11 | 2015-10-15 |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 ウイルス除去膜 |
WO2015156401A1 (ja) | 2014-04-11 | 2015-10-15 |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 ウイルス除去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45796A1 (ko) * | 2021-01-04 | 2022-07-07 | 이승범 | 차단막 제공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437725A4 (en) | 2019-05-01 |
JPWO2017170874A1 (ja) | 2018-09-06 |
CN108602026B (zh) | 2021-12-28 |
AU2017245025B2 (en) | 2020-01-30 |
US20200298182A1 (en) | 2020-09-24 |
CA3018047C (en) | 2022-07-26 |
CN108602026A (zh) | 2018-09-28 |
RU2718981C1 (ru) | 2020-04-15 |
KR102106410B1 (ko) | 2020-05-04 |
US20230026019A1 (en) | 2023-01-26 |
CA3018047A1 (en) | 2017-10-05 |
JP6576546B2 (ja) | 2019-09-18 |
US11491446B2 (en) | 2022-11-08 |
WO2017170874A1 (ja) | 2017-10-05 |
EP3437725A1 (en) | 2019-02-06 |
AU2017245025A1 (en) | 2018-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20447B2 (ja) | ウイルス除去膜 | |
JP6576546B2 (ja) | ウイルス除去膜及びウイルス除去膜の製造方法 | |
US10577393B2 (en) |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 |
JP2012019891A (ja) | 血液処理用の中空糸膜の製造方法 | |
JP5126459B2 (ja) | セルロースエステル中空糸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EP3854430A1 (en) |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 |
JP6591782B2 (ja) | ポリアリレート中空糸膜及び該製造方法並びに該中空糸膜モジュール | |
JP2005021510A (ja) | 高透水性中空糸型血液浄化器 | |
WO2024128243A1 (ja) | 多孔質膜および精製方法 | |
JP2011020071A (ja) | ポリスルホン系中空糸膜の製造方法 | |
JP2017136555A (ja) | 中空糸膜およ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 |
JP5109083B2 (ja) | チューブインオリフィス型ノズルの検査方法および中空糸膜の製造方法 | |
JP2005342139A (ja) | ポリスルホン系選択透過性中空糸膜 | |
JPH0523554A (ja) | セルロース系中空糸 | |
JP2012019890A (ja) | 血液処理用中空糸膜、及び、中空糸膜型血液処理器 | |
JP2011025222A (ja) | 中空糸膜の製造方法 | |
JP2009136763A (ja) | 中空糸型分離膜の製造方法 | |
JPH0523555A (ja) | 流体分離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