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781A -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 Google Patents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781A
KR20180077781A KR1020160182468A KR20160182468A KR20180077781A KR 20180077781 A KR20180077781 A KR 20180077781A KR 1020160182468 A KR1020160182468 A KR 1020160182468A KR 20160182468 A KR20160182468 A KR 20160182468A KR 20180077781 A KR20180077781 A KR 20180077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scan
light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록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7781A/ko
Priority to EP17885479.0A priority patent/EP3528485B1/en
Priority to PCT/KR2017/002489 priority patent/WO2018124391A1/ko
Priority to CN201780080382.5A priority patent/CN110121880B/zh
Publication of KR2018007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781A/ko
Priority to US16/451,327 priority patent/US1079826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H04N1/042Details of the method used
    • H04N1/0446Varying the modulation time or inten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H04N1/042Details of the method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8Scan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4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using an elongated light source, e.g. tubular lamp, LED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02Scanning different formats; Scanning with 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e.g. different numbers of dots per inch (dpi); Conversion of scanning standards
    • H04N1/0408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 H04N1/0414Different densities of dots per unit length in the sub scanning direction

Abstract

화상독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독취장치는 LED 광원을 이용하여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원고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원고의 화상 정보를 독취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캔부, 및 원고의 부주사 방향의 이동 과정 중에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듀티만큼만 광이 조사되도록 조명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IMAGE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CANNING THEREOF}
본 개시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캔 광원의 노출 시간을 조절하여 광원의 부주사 방향의 화상의 해상력을 개선할 수 있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독취장치는 문서, 그림 또는 필름 등의 원본 이미지를 스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 경우 디지털 데이터는 컴퓨터의 모니터에 표시되거나 프린터에 의해 인쇄되어 출력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독취장치의 예로는,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는 원고를 이동하여 스캔하거나 스캔 모듈을 이동하여 스캔 작업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부주사방향으로 이동하는 조건에서 스캔 작업이 수행되는바 단위 픽셀에 대한 실제 독취 영역이 주주사 방향과 같이 정확한 1픽셀 영역이 아닌 최소 2배 이상의 단위 픽셀 영역을 독취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화상독취장치는 부주사 방향에 대해서 주주사 방향의 감도 특성 대비 광학적 해상력(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에 저하가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목적은 스캔 광원의 노출 시간을 조절하여 광원의 부주사 방향의 화상의 해상력을 개선할 수 있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따른 화상독취장치는 LED 광원을 이용하여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원고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원고의 화상 정보를 독취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캔부, 및 상기 원고의 부주사 방향의 이동 과정 중에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듀티만큼만 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시점에 연속적으로 광이 조사되고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대응되는 시간 이후에 상기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반비례하는 밝기값의 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설정된 듀티는 5 내지 50%일 수 있다.
한편, 본 화상독취장치는 상기 원고 또는 상기 스캔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동부의 동작 속도 및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따라 상기 LED 광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캔부는 복수의 CCD(Charge Coupled Device)가 상기 원고의 주주사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인쇄하는 화상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상독취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 및 복합기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에서의 화상 독취 방법은 LED 광원을 이용하여 원고의 부주사 방향의 이동 과정 중에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듀티만큼만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원고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원고의 화상 정보를 독취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시점에 연속적으로 광이 조사되고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대응되는 시간 이후에 상기 광이 조사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반비례하는 밝기값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설정된 듀티는 5 내지 50%일 수 있다.
한편, 본 화상 독취 방법은 원고 또는 스캔부의 이동 속도 및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따라 상기 LED 광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CCD(Charge Coupled Device)가 상기 원고의 주주사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화상 독취 방법은, 상기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상독취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 및 복합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스캔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스캔부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플랫베드 형태에서의 스캔부 및 위치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자동공급장치 형태에서의 스캔부 및 위치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부주사 방향의 실질적인 독취 감도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이미지 센서의 픽셀 사이즈에 따른 주주사/부주사 방향의 독취 감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종래의 광원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원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LED 광원의 듀티 레이트에 따른 독취 감도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LED 광원의 듀티 레이트에 따른 MTF 값을 도시한 표,
도 15는 LED 광원의 듀티 레이트에 따른 MTF 값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독취장치"란 원고의 이미지를 독취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독취장치의 예로는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화상독취장치가 화상 형성 작업도 가능한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인 경우, 화상독취장치는 화상형성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카피(hard copy)”란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소프트 카피(soft copy)”란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란 사진, 이미지 또는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한다면, 파일 그 자체가 인쇄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스캔 데이터"란 스캔부에서 생성한 스캔 이미지를 의미하며, 흑백 이미지, 컬러 이미지일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파일 포맷(예를 들어, BMP, JPG, TIFF, PDF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주주사 방향"이란 스캔부의 스캔 방향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인쇄용지의 이동방향에 수직되는 방향이다.
또한, "부주사 방향"이란 용지의 이동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형성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형성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독취장치(100)는 조명부(110), 프로세서(130), 스캔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조명부(110)는 LED 광원을 이용하여 원고에 광을 조사한다. 여기서 LED 광원은 밝기값 조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LED 광원은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되는 밝기값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LED 광원의 전류의 입력 여부에 따라 연속적으로 광을 출력하거나 단속적으로 광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조명부(110)는 밝기값 정보 및 동작 듀티 정보 등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LED 광원은 W LED 광원이거나 R LED, G LED, B LED가 결합된 모듈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조명부(110)는 일정하게 광을 원고에 조사하기 위하여, 편광판 등의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스캔부(200)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스캔부(200)는 원고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원고의 화상 정보를 독취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부(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이러한 스캔부(200)는 플랫베드(flatbed) 형태 및/또는 자동공급장치(ADF)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화상독취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CPU, ASI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스캔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감지한다. 여기서 스캔 명령은 화상독취장치(100)에 구비된 조작 입력부(160)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외부 장치의 신호로써 통신부(140)를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스캔 작업이 수행되도록 조명부(110) 및 스캔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원고의 부주사 방향의 이동 과정 중에 단위 픽셀(또는 기설정된 시간)(또는 기설정된 거리, 예를 들어 42um)마다 기설정된 듀티만큼만 광이 조사되도록 조명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시점에 연속적으로 광이 조사되고 기설정된 듀티에 대응되는 시간 이후에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조명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설정된 시점은 CCD의 SH 신호 값이 천이되는 시점일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듀티는 5 내지 50%일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프로세서(130)는 구동부의 동작 속도 및 기설정된 듀티에 따라 LED 광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듀티에 반비례하는 밝기값의 광이 조사되도록 조명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프로세서(130)는 LED 조명의 밝기값에 대응되는 전류 값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프로세서(130)는 구동부의 동작 속도 및 기설정된 듀티에 따라 LED 광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조명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원고의 부주사 방향의 이동 과정 중에 픽셀 단위로 주주사 방향의 복수의 화상 정보를 독취하도록 스캔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스캔부(200)에서 스캔 이미지가 생성되면, 스캔된 스캔 이미지를 저장부(170)에 저장하거나 통신부(140)를 통하여 외부 장치에 전송하거나 화상 형성부(180)에서 인쇄되도록 화상독취장치(100) 내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100)는 단위 라인별로 광원을 매우 짧은 시간만 점등하고 나머지 시간은 소등하는바 실질적인 화상 취득 폭을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독취장치(100)는 부주사 방향에 대한 감도 및 MTF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독취장치(100)는 조명부(110), 프로세서(13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조작 입력부(160), 저장부(170), 화상 형성부(180), 및 스캔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조명부(110), 프로세서(130) 및 스캔부(2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140)는 모바일 기기(Smart Phone, Tablet PC), PC, 노트북 PC,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의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파일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40)는 화상독취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부(140)는 스캔부(200)에서 생성된 스캔 이미지 또는 저장부(170)에 기저장된 스캔 이미지를 타 단말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화상독취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0)는 화상독취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선택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0)는 LCD, CRT, OLED 등과 같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후술할 조작 입력부(16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0)는 화상독취장치(10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상에서 스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캔 명령은 스캔 작업만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으며, 스캔된 작업을 특정의 서버로 전송하는 스캔-투-서버, 스캔-투-DLNA, 스캔-투-클라우드 등의 명령일 수도 있다.
또한, 화상독취장치(100)가 인쇄 작업 및 복사 작업도 가능한 복합기(MFP)인 경우, 스캔 명령은 스캔 기능을 이용하는 복사 명령일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조작 입력부(160)를 통하여 스캔 명령을 입력받는 것만을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스캔 명령은 통신부(140)를 통하여 호스트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생성된 스캔 이미지 및 스캔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스캔 이미지는 스캔 이미지 그 자체이거나 스캔 이미지에 대한 프리뷰 이미지일 수도 있다.
조작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인쇄 기능, 복사 기능, 스캔 기능, 팩스 전송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작 입력부(160)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제어 메뉴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조작 입력부(160)는 복수의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5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70)는 통신부(14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70)는 스캔부(200)에서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70)는 기설정된 듀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복수의 듀티 및 복수의 듀티 각각에 대응되는 밝기값(또는 전류 값)에 대한 정보를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70)는 화상독취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80)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부(180)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및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부(180)는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 과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조명부(110)가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광 조사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 조명부(110)는 스캔부(200)의 제어에 따라 정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 조명부(110)는 스캔부(200) 내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화상독취장치(100)의 일반적인 기능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구성뿐만 아니라, 화상독취장치(100)가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 스캔 기능을 수행하는 스캔부, 팩스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팩스 송수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스캔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3의 스캔부는 앞서 설명한 화상독취장치와 구분된 독자적인 스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스캔부(200)는 센서 회로(210), 변환 회로(220), 이미지 처리 회로(230), 메모리 회로(240), 모터 구동부(250), 조명 구동부(260) 및 통신 회로(270)를 포함한다.
센서 회로(210)는 원고의 화상 정보를 독취한다. 구체적으로, 센서 회로(210)는 주주사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복수의 CIS(CMOS imag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 회로(220)는 센서 회로(210)에서 독취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CCD 및 Digital CIS의 경우에는 독취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나, CIS(CMOS Image Sensor)의 경우 독취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한다. 따라서, 센서 회로(210)가 CIS를 포함되는 경우, 변환 회로(220)를 이용하여 독취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이미지 처리 회로(2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독취된 신호에 대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센서 회로(210) 또는 변환 회로(22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스캔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스캔부(2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독취 동작이 수행되도록 센서 회로(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모터 구동부(250)를 이용하여 원고 또는 스캔부(200)를 이동시키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함으로써, 원고 또는 센서 회로(210)의 이동 속도, 위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조명부(11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조명 구동부(260)를 이용하여 조명부(110)에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 및 전원 인가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원고에 조사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원고의 부주사 방향의 이동 과정 중에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듀티만큼만 광이 조사되도록 조명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시점에 연속적으로 광이 조사되고 기설정된 듀티에 대응되는 시간 이후에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조명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설정된 시점은 CCD의 SH 신호 값이 천이되는 시점일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듀티는 5 내지 50%일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프로세서(230)는 기설정된 듀티에 반비례하는 밝기값의 광이 조사되도록 조명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 회로(240)는 이미지 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회로(240)는 이미지 프로세서(230)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241) 및 이미지 센서 회로(210)에서 독취된 신호 또는 이미지 프로세서(23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242)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구동부(250)는 원고 또는 스캔부(200)를 이동하는 구동부(미도시)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모터 구동부(250)는 이미지 프로세서(230)의 제어에 따라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원고 또는 이미지 센서 회로(210)의 이동 속도 및 위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조명 구동부(260)는 조명부(1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조명 구동부(260)는 이미지 프로세서(230)의 제어에 따라 조명부(150)의 광 조사 구간 및 광원의 밝기값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회로(270)는 이미지 프로세서(23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디지털 방식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회로(270)는 이미지 프로세서(230)를 외부의 제어부(160) 또는 외부 장치에 연결하는 커넥터로, USB 커넥터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스캔부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캔부(200)는 평판 위에 놓인 원고를 스캔하는 플랫베드 형태의 제1 스캔부(201) 및 자동 급지대에 놓인 원고를 연속하에 스캔할 수 있는 자동용지공급 형태의 제2 스캔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스캔부(200)가 두 개의 스캔 구성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어느 하나의 스캔 구성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 개의 스캔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스캔부(201)는 플랫베드 형태의 스캔 장치로, 평판 위에 원고가 놓이고, 원고가 놓인 평판의 하부에서 스캔 모듈이 이동하여 원고를 스캔한다. 제1 스캔부(201)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제2 스캔부(202)는 자동용지공급 형태의 스캔 장치로, 급지대에 용지가 놓이고, 용지가 순차적으로 용지 이동 패스로 이동하고, 용이 이동 패스 상에 위치하는 스캔 모듈이 원고를 스캔한다. 제2 스캔부(202)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러한 제2 스캔부(202)는 원고의 단면만을 스캔할 수 있는 단면 스캔 장치일 수 있으며, 원고의 양면을 스캔할 수 있는 양면 스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스캔부(201) 및 제2 스캔부(202)가 개별적인 스캔 모듈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하나의 스캔 모듈이 제1 스캔부(201)와 제2 스캔부(202)에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플랫베드 형태에서의 스캔부 및 위치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스캔부(201)의 스캔 모듈(210)은 플랫베드 상의 하부에 배치하며, 스캔 명령에 따라 홈 영역에서 원고 영역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조명부(110)는 스캔 모듈(210)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스캔 모듈(210)이 원고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조명부(210)는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시점에 연속적으로 광을 조사하고, 기설정된 듀티에 대응되는 시간 이후에 광이 조사하지 않으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원고의 끝단까지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자동공급장치 형태에서의 스캔부 및 위치 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스캔부(202)의 스캔 모듈(210)은 원고 이동 경로 상의 기설정된 영역에 위치하며, 조명부(110)는 스캔 모듈(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부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문서 이동 경로 상에서 원고가 진입하게 되면, 조명부(210)는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시점에 연속적으로 광을 조사하고, 기설정된 듀티에 대응되는 시간 이후에 광을 조사하지 않으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원고가 문서 이동 경로를 통과할 때 까지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부주사 방향의 실질적인 독취 감도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주사 방향의 독취 감도는 주주사 방향과 달리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7a를 참조하면, 이미지센서가 단위 픽셀 길이의 화상을 독취하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이미지를 독취하는 이미지 센서는 부주사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가 단위 시간 동안 화상을 독취하는 영역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주사 방향에 대해서는 단위 픽셀 길이를 갖으나, 부주사 방향에 대해서는 단위 픽셀보다 긴 길이(대략 단위 픽셀 길이의 2배)를 갖게 된다.
도 7c는 하나의 영역에 대한 독취 감도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d는 부주사 방향의 복수의 단위 픽셀에 대한 독취 감도 모양을 표시한 도면이다.
한편, 최근에는 감도 향상을 위하여 부주사 방향으로 단위 픽셀보다 긴(예를 들어, 1.6배) 형태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주사 방향에 대한 감도 폭은 단위 픽셀의 2.6배 정도가 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주사 방향으로 감도 폭이 단위 픽셀의 2배 또는 2.6배가 되는바, 부주사 방향의 광학적 해상력(MTF)은 주주사 방향의 광학적 해상력(MTF)보다 상당히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개시에서는 부주사 방향의 해상력 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원고에 조사되는 광량의 노출 시간을 조정하여, 부주사 방향의 감도를 향상시킨다.
광량의 노출 시간의 조정 방식에 대해서는 종래의 광원 제어 방식과 본 개시의 광원 제어 방식을 상호 비교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9는 종래의 광원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원 제어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조명 광원이 연속적으로 켜진 상태에서 스캔 모듈은 주주사 방향의 라인별 이미지를 취득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는 조명 광원을 단위 라인별로 매우 짧은 시간만 점등하고 나머지 시간은 소등하여 실질적으로 스캔 모듈의 부주사 방향에서의 화상 취득 폭을 축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미지센서 또는 원고가 부주사 방향으로 1 픽셀 거리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라인 노출 시간(line exposure time)이라고 부르면, 라인 노출 시간의 10% 시간 동안만 광원이 점등하고, 90% 시간 동안 소등되면 감도 폭은 기존 2 픽셀에서 1.1 픽셀로 대폭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점등되는 시간은 단속적이지 않고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라인 노출 시간의 10%만 광원을 점등하게 라인 노출 시간 전반에 걸쳐서 예를 들어, 2%씩 다섯 번을 점등하는 경우, 각 점등시의 센싱되는 영역은 종래와 같이 2 픽셀 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한편, 라인 노출 시간 동안 점등되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원고에 조사되는 광량 또한 줄어든다. 따라서, 스캔부(200)는 원고에 조사되는 전체 광량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점등되는 시간 비율(또는 듀티)에 대응되게 LED 광원의 밝기값을 증가하여, 원고에 조사되는 전체 광량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라인 노출 시간의 40% 시간 동안만 광원을 연속적으로 점등하고, 나머지 60& 시간 동안은 광원을 소등하였다. 이에 따라 감도 폭은 1.4 픽셀로 기존의 2.6 픽셀 대비 감도 성능이 상당히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MTF를 계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그에 따른 계산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점등 시간의 듀티가 100%인 경우에서 듀티를 10%로 조정한 경우, MTF 성능은 65.5%에서 73% 수준으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라 생성된 스캔 이미지는 부주사 방향에 대한 개선된 화질을 갖는다.
도 13은 LED 광원의 듀티 레이트에 따른 독취 감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LED 광원의 듀티 레이트가 100%인 경우, 부주사 방향의 독취 감도는 주주사 방향과 달리 삼각형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듀티 레이트가 점차 작아지는 경우, 부주사 방향의 독취 감도는 향상되어 사다리꼴 형태를 갖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와 다른 시스템에서의 듀티 레이트에 따른 MTF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LED 광원의 듀티 레이트에 따른 MTF 값을 도시한 표이고, 도 15는 LED 광원의 듀티 레이트에 따른 MTF 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점등 시간의 듀티가 줄어들수록 MFT 성능이 점차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듀티가 40% 이하가 되는 경우, MTF 성능이 65% 이상이되어 실질적으로 부주사 방향에 대한 개선된 화질을 갖게 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독취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LED 광원을 이용하여 원고의 부주사 방향의 이동 과정 중에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듀티만큼만 광을 조사한다(S1610). 구체적으로,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시점에 연속적으로 광을 조사하고 기설정된 듀티에 대응되는 시간 이후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듀티에 반비례하는 밝기값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픽셀 단위마다 원고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원고의 화상 정보를 독취한다(S1620).
상술한 조사 및 독취 과정을 원고의 모든 영역에 대해서 수행하고, 모든 영역에 대한 화상 정보를 결합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한다(S1630).
스캔 이미지가 생성되면,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호스트 장치에 전송하거나, 스캔 이미지에 대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독취 방법은, 단위 라인별로 광원을 매우 짧은 시간만 점등하고 나머지 시간은 소등하는바 실질적인 화상 취득 폭을 축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독취 방법은 부주사방향에 대한 감도 및 MTF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과 같은 화상 독취 방법은, 도 1 또는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화상독취장치 상에서 실행되거나,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스캔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또는 스캔 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독취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독취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화상독취장치 110: 조명부
130: 프로세서 140: 통신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조작 입력부
170: 저장부 180: 화상 형성부
200: 스캔부

Claims (17)

  1.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LED 광원을 이용하여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원고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원고의 화상 정보를 독취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캔부; 및
    상기 원고의 부주사 방향의 이동 과정 중에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듀티만큼만 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시점에 연속적으로 광이 조사되고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대응되는 시간 이후에 상기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화상독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반비례하는 밝기값의 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듀티는 5 내지 50%인 화상독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 또는 상기 스캔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구동부의 동작 속도 및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따라 상기 LED 광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부에 제공하는 화상독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부는,
    복수의 CCD(Charge Coupled Device)가 상기 원고의 주주사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인쇄하는 화상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독취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 및 복합기 중 하나인 화상독취장치.
  10. 화상독취장치에서의 화상 독취 방법에 있어서,
    LED 광원을 이용하여 원고의 부주사 방향의 이동 과정 중에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듀티만큼만 광을 조사하는 단계; 및
    상기 원고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원고의 화상 정보를 독취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독취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픽셀마다 기설정된 시점에 연속적으로 광이 조사되고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대응되는 시간 이후에 상기 광이 조사하지 않는 화상 독취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반비례하는 밝기값의 광을 조사하는 화상 독취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듀티는 5 내지 50%인 화상 독취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원고 또는 스캔부의 이동 속도 및 상기 기설정된 듀티에 따라 상기 LED 광원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독취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복수의 CCD(Charge Coupled Device)가 상기 원고의 주주사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화상 독취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독취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독취장치는,
    복사기, 팩시밀리 및 복합기 중 하나인 화상 독취 방법.


KR1020160182468A 2016-12-29 2016-12-29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KR20180077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68A KR20180077781A (ko) 2016-12-29 2016-12-29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EP17885479.0A EP3528485B1 (en) 2016-12-29 2017-03-08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scanning method
PCT/KR2017/002489 WO2018124391A1 (ko) 2016-12-29 2017-03-08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CN201780080382.5A CN110121880B (zh) 2016-12-29 2017-03-08 图像扫描设备和图像扫描方法
US16/451,327 US10798264B2 (en) 2016-12-29 2019-06-25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cann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468A KR20180077781A (ko) 2016-12-29 2016-12-29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781A true KR20180077781A (ko) 2018-07-09

Family

ID=6270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468A KR20180077781A (ko) 2016-12-29 2016-12-29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98264B2 (ko)
EP (1) EP3528485B1 (ko)
KR (1) KR20180077781A (ko)
CN (1) CN110121880B (ko)
WO (1) WO20181243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3699A1 (de) * 1983-04-12 1984-10-18 Canon K.K., Tokio/Tokyo Bildverarbeitungssystem
US5343235A (en) * 1990-03-20 1994-08-3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n image including correction for laser beam size
JPH05130321A (ja) * 1991-11-06 1993-05-25 Toshiba Corp ハンドスキヤナ装置
JP3235249B2 (ja) * 1992-12-18 2001-12-04 株式会社デンソー 光学的情報読取り装置
JPH06227033A (ja) * 1993-02-01 1994-08-16 Minolta Camera Co Ltd デジタル画像形成装置
JPH1084458A (ja) * 1996-09-09 1998-03-31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JP3749332B2 (ja) * 1997-02-18 2006-02-22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6757084B2 (en) * 1998-08-20 2004-06-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307357B2 (ja) * 1999-02-15 2002-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キャナ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997668B2 (ja) * 1999-09-20 2007-10-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位置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952294B2 (en) * 1999-11-30 2005-10-04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reading an image, method of forming a color image, device for forming a color image, silver halide color photosensitive material, and a device for processing a photosensitive material
JP2002075815A (ja) * 2000-08-23 2002-03-15 Sony Corp パターン検査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露光装置制御システム
JP2002111963A (ja) * 2000-09-27 2002-04-1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読取装置及び調光装置
GB0224067D0 (en) * 2002-10-16 2002-11-27 Perkinelmer Uk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imaging
JP2004233163A (ja) * 2003-01-29 2004-08-19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パターン欠陥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102004029212B4 (de) * 2004-06-16 2006-07-13 Leica Microsystems Semiconductor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optischen Auf- und/oder Durchlichtinspektion von Mikrostrukturen im IR
US9234852B2 (en) * 2005-07-29 2016-01-12 Mitutoyo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trobe illumination
US8045002B2 (en) * 2005-07-29 2011-10-25 Mitutoyo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trobe illumination
JP4238884B2 (ja) * 2006-06-21 2009-03-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読み取りシステム
JP4913075B2 (ja) * 2008-01-16 2012-04-11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WO2010052934A1 (ja) * 2008-11-10 2010-05-14 株式会社ニコン 評価装置および評価方法
TWI454179B (zh) * 2009-08-11 2014-09-21 Canon Components Kk A white light emitting device for an image reading device, and a linear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891073B1 (ko) * 2011-12-06 2018-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노광 균일도 측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노광 시스템
JP5862294B2 (ja) * 2011-12-28 2016-02-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983431B2 (ja) * 2013-01-28 2016-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5109604A (ja) * 2013-12-05 2015-06-11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JP6489410B2 (ja) * 2014-03-17 2019-03-27 株式会社リコー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14422B2 (ja) * 2014-09-17 2018-10-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808967B2 (ja) * 2016-04-28 2021-0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27377A1 (en) 2019-10-24
EP3528485A4 (en) 2020-05-13
EP3528485B1 (en) 2021-05-19
CN110121880B (zh) 2021-03-09
WO2018124391A1 (ko) 2018-07-05
CN110121880A (zh) 2019-08-13
US10798264B2 (en) 2020-10-06
EP3528485A1 (en)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904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image processing program
EP1703714B1 (en) Image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data
JP2006129494A (ja) カラー媒体にプリントされた原稿をファクシミリ送信する方法
US20150156374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image reading method and a program for measuring black and white reference data
US9898693B2 (en) Document background suppression performed during color space conversion
KR101628238B1 (ko) 화상을 독취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20002249A1 (en) Image scanning apparatus to alternate scanning and method thereof
EP3301899B1 (en) Read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9272891A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CN110121880B (zh) 图像扫描设备和图像扫描方法
JP2012070097A (ja) 原稿読み取り装置
US89476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0057855A (ja) 複合機
JP2010041595A (ja) 画像読み取り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読み取り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254329A (ja) 画像読取装置
JP2009194762A (ja) 画像処理装置
EP2597856A2 (en)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scanning
KR20220051655A (ko) 화상 플레어 보정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JP201028374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90090252A (ko) 원고의 그림자 검출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JP2021197692A (ja) 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4936076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KR20210040584A (ko) 프리스캔을 이용한 스캔 속도 향상 방법
KR100231005B1 (ko) 칼라 팩스 송수신이 가능한 복합기
KR100193399B1 (ko)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