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399B1 -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399B1
KR100193399B1 KR1019960010417A KR19960010417A KR100193399B1 KR 100193399 B1 KR100193399 B1 KR 100193399B1 KR 1019960010417 A KR1019960010417 A KR 1019960010417A KR 19960010417 A KR19960010417 A KR 19960010417A KR 100193399 B1 KR100193399 B1 KR 10019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y
mode
copying
original
cop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2920A (ko
Inventor
추신호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1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399B1/ko
Publication of KR97007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399B1/ko

Links

Landscapes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페이지 안에서도 각각 필요한 모드의 해상도로 복사를 가능하게 하는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원고를 스캔하기 위한 주사선의 수를 카운터하는 라인 카운팅수단;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 데이터의 읽기, 쓰기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어드레스 지정 및 각종 상태를 점검하고 서비스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복사모드와 복사길이에 따라 복사가 수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1저장수단;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 상태, 파라메터,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 원고의 용지크기에 따른 기준 라인수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복사모드 및 상기 복사모드에 해당되는 복사길이가 저장되는 제2저장수단; 사용자가 원고를 복사하기 위해 원고상태에 따른 복사모드와 그에 해당하는 복사길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수단; 및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항을 분석처리하는 것으로, 복사모드와 복사길이가 입력되면 그에 따른 주사선의 다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팩시밀리의 기본적인 처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송신원화 수신기록화의 주사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a)도 내지 제3(b)도는 광전변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구성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를 설명하기 위한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독취부 11 : 스캐너
12 : 스캐너 제어부 13 : 영상 처리부
200 : 인쇄부 21 : 프린터
22 : 프린터 제어부 300 : 영상 저장부
401 : 부호화기 402 : 복호화기
500 : 변복조기 600 : 망조절장치
700,70 : 시스템 저장부 701,71 : 롬(ROM)
702,72 : 램(RAM) 60 : 라인 카운터
800 : 키패드 900,90 :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여러 기능중 원고를 그대로 복사하는 복사기능에서 입력되는 원고의 상태를 보완하기 위해 설정된 복사모드에 따라 복사하는 팩시밀리에서의 복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페이지 안에서도 각각 필요한 모드의 해상도로 복사를 가능하게 하는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는 원서(原書)의 정보를 주사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원격지에서 상기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원서와 거의 같은 수신서(受信書)를 재생하는 기기를 말한다.
팩시밀리의 기본적인 동작을 제1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송신측은 보내려고 하는 정지화상을 주사에 의해 화신호로 분해하고, 이 전기적 신호는 변조되어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로로 보내진다. 수신측에서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복조하여 화신호로 바꾸고 기록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주사하면서 기록지에 가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신측에서는 송신할 원고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화소로 분해하여 시계열의 전기적 신호로 분해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전기적 신호를 송신측과 동일하게 주사하여 기록함으로써 송신원화를 재생하게 되는 것으로 송신원화(a) 수신기록화(b)의 주사상태를 제2도에 나타내었다.
주사는 방향에 따라 수평방향을 주주사, 수직방향(원고 또는 기록지의 진행방향)을 부주사라고 하는데, 평면주사방식에 있어서 근래에는 전자적인 방법이 이용되며, 송신측은 전하결합소자(CCD:Charge Coupled Device), 수신측은 열전(熱電)헤드를 주주사자(main scanner)로 주로 사용하며 부주사는 원고나 기록지를 급지함으로써 행하고, 주로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원화는 주주사 및 부주사에 의하여 최소화면의 크기인 화소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제3도는 광전변환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3(a)도와 같이 원화를 광점(전구)으로 주사하고 그 반사광을 광전변환소자(광전관)를 통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직류 증폭하게 된다. 이에 따른 광전관 출력파형은 제3(b)도와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으로는 백열전구, 형광등, 방전관, 레이저(laser), 음극선관 등이 사용되며, 광전변환소자로는 광전관, 포토 트랜지스터, PDA(Photo Diode Array) 등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CCD 또는 CIS(Contact Image Sensor)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참고로, 상기 주사와 광전변환을 통하여 원화의 흑백이 시간적인 전기신호로 된 것을 화신호라고 하며, 흑백의 반복주기를 화주파수라고 한다.
상기 광전변환된 화신호를 전송로에 보내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조하는데, 유선에서는 진폭변조, 주파수변조, 위상변조 등이 이용되고, 무선에서는 주파수변조가 주로 이용되며, 수신측에서는 변조된 신호로부터 화신호를 재생하기 위하여 복조를 하는데, 이때 잡음 제거, 파형 왜곡에 대한 보상 등도 병행된다.
상기 복조를 통하여 재생된 화신호를 기록하기에 적합하도록 증폭하여 기록지에 화상을 형성시키는데, 기록방식으로는 정전기록, 감열기록, 방전파괴기록, 잉크젯기록 등이 있다.
기능적으로 볼 때 팩시밀리와 복사기의 차이점은 거리적으로 떨어진 장소인가, 동일한 장소인가의 차이로 팩시밀리는 주사하여 화상을 시계열로 얻어내는 것에 비해, 복사기는 정지화상을 공간적인 면으로 포착하여 광학적으로 상을 비추어 복사를 얻고 있다.
상기와 같이 팩시밀리와 복사기는 사용목적이 다름에 따라 화상을 얻어내기 위한 방식이 서로 다르고 그에 따른 해상도의 차이가 있다.
그런데, 일반 가정에서 소량의 복사가 필요한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는데 그때마다 복사 전문점을 이용하거나 복사기를 사기에는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정보화 사회의 발전으로 정보의 교류가 빨라지는 현대에서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팩시밀리를 이용하여 해상도의 차이가 있지만 복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팩시밀리에서의 복사기능을 살펴보면 복사하고자 하는 원고를 급지하고 복사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원고의 상태가 좋지 못할 때에는 상태에 맞추어 해상도를 높이고 문자의 굵기와 농담을 조정하여 보다 선명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즉, 복잡한 도면, 작거나 가는 글씨로 된 서류 등에는 고선명 모드로, 희미한 원고는 진하게 모드로, 사진이나 색상이 들어 있는 원고는 중간조 모드로 설정하면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경우 복사모드가 설정되면 그 페이지가 끝날 때까지 복사모드를 바꿀 수가 없으므로, 노말모드이어도 상관없는 부분까지 스캔속도가 느린 고해상도를 위한 모드(예를 들면, 고선명 모드, 진하게 모드, 중간조 모드)로 동작되어 전체적인 동작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미리 복사길이와 원고 상태에 따른 여러 복사모드를 설정하면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한 페이지내에서도 여러 복사모드로 복사할 수 있도록 한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는 원고를 스캔하기 위한 주사선의 수를 카운터하는 라인 카운팅수단;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 데이터의 읽기, 쓰기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어드레서 지정 및 각종 상태를 점검하고 서비스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복사모드와 복사길이에 따라 복사가 수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1저장수단;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 상태, 파라메터,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 여기에 원고의 용지크기에 따른 기준 라인수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복사모드 및 상기 복사모드에 해당하는 복사길이가 저장되는 제2저장수단; 사용자가 원고를 복사하기 위해 원고상태에 따른 복사모드와 그에 해당하는 복사길이를 입력하기 위한 기입력수단; 및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항을 분석 처리하는 것으로, 복사모드와 복사길이가 입력되면 그에 따른 주사선의 다소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방법은 사용자가 복사할 원고의 복사모드 및 그에 해당하는 복사길이를 설정하고 원고를 입력하는 최초 복사모드 및 복사길이 설정단계; 하나의 주사선을 주사하여 하나의 라인을 독취하고 상기 독취된 데이터를 인쇄하여 상기 원고의 1라인을 복사하는 복사단계; 상기 모든 복사의 끝인가 확인하여 끝이면 종료하고 끝이 아니면 현재 복사모드의 복사길이가 끝인가 확인하는 복사종료 확인단계; 및 현재 복사모드의 복사길이가 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복사단계로 천이하고, 현재 복사모드의 복사길이가 끝인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복사모드 및 복사길이가 설정되기를 대기하여 설정되면 상기 복사단계로 천이하는 새로운 복사모드 및 복사길이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 페이지 내에서도 원고 상태에 따른 복사모드를 달리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복사상태를 개선시키면서도 그에 따른 복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구성 블록도로서, 참조번호 100은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복사하기 위해 원고를 읽어 들이는 독취부(SCANNING PART)로, 이는 팩스 송신하고자 하는 원고의 영상을 아날로그 형태로 획득하는 스캐너(11)와 상기 스캐너(1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캐너 제어부(12) 및 상기 스캐너(11)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틀 형태로 변환하는 것으로, 회색레벨조정, 배경색의 보상 및 중간색의 발생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13)로 구성된다.
참조번호 200은 수신시 상대로부터 받은 화상 데이터를 기록지에 프린트 하는 인쇄부(PRINTING PART)로, 프린트를 수행하는 프린터(21)와 이를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부(22)로 구성되고, 참조번호 300은 원고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영상 처리부(13)에서 변환된 디지틀 신호 또는 전화선을 통해 수신되는 디지틀 신호를 소정의 분량만큼 저장하는 영상 저장부이다.
참조번호 401은 상기 독취부(100)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부호화기이고, 402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복호화기이며, 500은 전화선을 통해 전달되는 각종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틀 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복호화기(402)로 전송하고, 상기 부호화기(401)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틀 신호를 전송로인 전화선에 적합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는 변복조기이고, 600은 전화선을 통해 팩스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는 라인을 상기 변복조기(500)로 절체하고 전화통화를 할 때에는 송수화기로 절체하기 위한 망조절장치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700은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 데이터의 읽기, 쓰기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어드레스 지정 및 각종 상태를 점검하고 서비스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롬(ROM)(701)과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 상태, 파라메터,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램(RAM)(702)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저장부이고, 800은 원고의 송신을 위한 다이얼, 팩시밀리의 각종기능을 성정 및 해제, 복사 등 제반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다수의 조작 버튼이 구비되는 키패드이며, 900은 시스템의 전체를 조정하는 것으로, 각 블록을 통제, 조정하고 이를 위해 발생되는 인터럽트를 체크하고 서비스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상대방 팩스로 보내고자 하는 원고는 스캐너(11)로 공급되어 원본 공급기가 수직적으로 스캐너(11)의 광검출기를 통해 원고를 움직이도록 하고 각 입자의 암레벨을 각 라인 단위로 저장하는데, 이렇게 스캐너(11)로부터 획득된 신호는 아날로그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스캐너(11)의 한 광검출기에서 다음단의 광검출기 사이에 빛의 명암이 바뀌므로, 영상 처리부(13)는 원고를 공급하기전에 표준의 백색라인에 대한 광검출기의 레벨을 조절하며 광감도 변화에 대한 보상을 하고, 아날로그 데이터를 영상을 구서아는 흑과 백의 화소를 표현하는 디지틀 형태로 변환한다.
상기 디지틀 형태로 변환된 원고에 대한 송신 데이터는 영상 저장부(300)에 4줄만큼 혹은 한 장의 데이터만큼 저장된 후, 부호화기(41)에서 압축되고 변복조기(500)에서 전화선으로의 전송을 위해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된다.
한편, 상대방으로부터 팩스를 수신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망조절장치(600)가 전화선으로부터 변조된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상기 변복조기(500)로 보내면 변복조기(500)는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전화선상의 잡음과 왜곡을 극복하여 디지틀 형태로 바꾼다.
이러한 디지틀 신호는 복호화기(42)에서 상호간의 약속된 방법에 의해 신장되어 재생된 영상은 상기 영상 저장부(300)에 일정량만큼 저장된 후, 프린터(21)를 통해 인쇄된다. 이때, 프린터 제어부(22)는 영상이 적당하게 종이위에 재생되도록 제어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제4도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5도에서 참조번호 60은 원고를 스캔하기 위한 주사선의 수를 카운터하는 라인 카운터이고, 참조번호 70은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 데이터의 읽기, 쓰기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어드레스 지정 및 각종 상태를 점검하고 서비스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복사모드와 복사길이에 따라 복사가 수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롬(ROM)(71)과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 상태, 파라메터,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 여기에 원고의 용지크기에 따른 기준 라인수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복사모드 및 상기 복사모드에 해당하는 복사길이가 저장되는 램(RAM)(72)으로 구성되는 시스템 저장부이다.
참조번호 80은 사용자가 원고를 복사하기 위해 원고상태에 따른 복사모드와 그에 해당하는 복사길이를 센티미터(㎝) 단위로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이고, 90은 상기 키패드(80)를 통해 입력되는 사항을 분석처리하는 것으로, 복사모드와 복사길이가 입력되면 그에 따른 주사선의 다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길이 10㎝의 그림과 가는 글씨로 그에 대한 설명이 첨부된 A4 용지를 복사하고자 한다면 키패드(80)를 통해 그림에 대한 복사모드는 중간조 모드로 설정하고 그 복사길이를 대략 12㎝로 입력하며, 설명부분에 대한 복사모드는 고선명 모드, 복사길이는 15㎝ 정도로 입력한다.
그러면, 마이크로 프로세서(90)는 롬(71)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수행절차에 따라 상기 입력되는 복사모드와 그에 따른 복사길이를 램(72)에 저장하되, 1㎜당 7.7라인의 주사선을 가지는 노말모드를 기준으로하여 해당모드에 따른 주사선으로 환산 저장한다.
그리고, 복사가 시작되면 상기 해당 복사모드에 따른 주사간격으로 스캐너(11)가 주사하도록 하고, 라인 카운터(60)가 상기 주사선의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90)에 제공하면 이를 근거로하여 복사길이를 인식 및 제어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를 설명하기 위한 처리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복사할 원고의 복사모드 및 그에 해당하는 복사길이를 설정하고(ST 61 단계), 원고를 입력하여 복사시작키가 선택되면(ST 62 단계), 원고의 1라인을 복사, 즉 스캐너(11)는 하나의 주사선을 주사하여 하나의 라인을 독취하고 프린터(21)는 상기 독취된 데이터를 인쇄하게 된다(ST 63 단계).
그리고, 복사의 끝인가 확인하여(ST 64 단계), 끝이면 종료하고 끝이 아니면 현재 복사모드의 복사길이가 끝인가 확인하여(ST 65 단계), 현재 복사모드의 복사길이가 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1라인 복사하는 단계(ST 63 단계)로 천이하고, 현재 복사모드의 복사길이가 끝인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복사모드 및 복사길이가 설정되기를 대기하여 설정되면 상기 1라인 복사하는 단계(ST 63 단계)로 천이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한 페이지 내에서도 원고 상태에 따른 복사모드를 달리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복사상태를 개선시키면서도 그에 따른 복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

  1. 원고를 스캔하기 위한 주사선의 수를 카운터하는 라인 카운팅수단;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 데이터의 읽기, 쓰기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어드레스 지정 및 각종 상태를 점검하고 서비스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복사모드와 복사길이에 따라 복사가 수행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1저장수단; 시스템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 상태, 파라메터,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 여기에 원고의 용지크기에 따른 기준 라인수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복사모드 및 상기 복사모드에 해당하는 복사길이가 저장되는 제2저장수단; 사용자가 원고를 복사하기 위해 원고상태에 따른 복사모드와 그에 해당하는 복사길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수단; 및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항을 분석처리하는 것으로, 복사모드와 복사길이가 입력되면 그에 따른 주사선의 다소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2. 사용자가 복사할 원고의 복사모드 및 그에 해당하는 복사길이를 설정하고 원고를 입력하는 최초 복사모드 및 복사길이 설정단계; 하나의 주사선을 주사하여 하나의 라인을 독취하고 상기 독취된 데이터를 인쇄하여 상기 원고의 1라인을 복사하는 복사단계; 상기 모든 복사의 끝인가 확인하여 끝이면 종료하고 끝이 아니면 현재 복사모드의 복사길이가 끝인가 확인하는 복사종료 확인단계; 및 현재 복사모드의 복사길이가 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복사단계로 천이하고, 현재 복사모드의 복사길이가 끝인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복사모드 및 복사길이가 설정되기를 대기하여 설정되면 상기 복사단계로 천이하는 새로운 복사모드 및 복사길이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방법.
KR1019960010417A 1996-04-08 1996-04-08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 KR10019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417A KR100193399B1 (ko) 1996-04-08 1996-04-08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417A KR100193399B1 (ko) 1996-04-08 1996-04-08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920A KR970072920A (ko) 1997-11-07
KR100193399B1 true KR100193399B1 (ko) 1999-06-15

Family

ID=6622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417A KR100193399B1 (ko) 1996-04-08 1996-04-08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39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92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208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different scaling methods for scanning
US830566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6271933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20040057087A1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193399B1 (ko) 팩시밀리에서의 멀티모드 지원 복사장치 및 그 방법
JP2020057855A (ja) 複合機
KR100490422B1 (ko) 프리-스캔 동작을 이용한 문서 스캐닝 방법
KR100226224B1 (ko) 부재시 팩스번호 안내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JP2009194762A (ja) 画像処理装置
KR100231005B1 (ko) 칼라 팩스 송수신이 가능한 복합기
KR100334099B1 (ko) 복합기에서 원고의 화상영역을 검출하여 확대 인쇄하는 방법
KR100206316B1 (ko) 팩시밀리의 수신측 원고화질 변경방법
KR100213856B1 (ko) 팩시밀리의 해상도 변환 장치
JP547139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KR100236222B1 (ko) 팩시밀리를 이용한 비상 연락 장치
KR100306757B1 (ko) 컬러 스캐너의 초점/배율 조절용 보조장치
JP3622079B2 (ja) 画像処理装置
KR19990059643A (ko) 색상 용지에 데이터를 인쇄하는 방법
JP2005303560A (ja) 画像読取装置
JP2005130207A (ja) 画像処理装置
US20040084606A1 (en) Scanner
JP2007079680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H046897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6345137A (ja) 画像処理装置
JPH0820496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