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655A - 화상 플레어 보정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플레어 보정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655A
KR20220051655A KR1020200135314A KR20200135314A KR20220051655A KR 20220051655 A KR20220051655 A KR 20220051655A KR 1020200135314 A KR1020200135314 A KR 1020200135314A KR 20200135314 A KR20200135314 A KR 20200135314A KR 20220051655 A KR20220051655 A KR 20220051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re
manuscript
sensing device
image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록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135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1655A/ko
Priority to PCT/US2021/035356 priority patent/WO2022086598A1/en
Publication of KR20220051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1Compensating positionally unequal response of the pick-up or reproducing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7Control or modification of tonal gradation or of extreme levels, e.g. background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9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58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e.g. colour misregistration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Abstract

화상독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독취장치는 원고를 독취하는 센싱 장치, 메모리 및 부주사 방향으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이 변경되는 원고에 대한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원고에 대해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플레어(flare) 보정을 위한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플레어 계수 산출 이후에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값에 저장된 플레어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신호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Description

화상 플레어 보정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IAMGE SCANN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OPTICAL FLARE}
화상독취장치는 문서, 그림 또는 필름 등의 원본 이미지를 스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이 경우 디지털 데이터는 컴퓨터의 모니터에 표시되거나 프린터에 의해 인쇄되어 출력 이미지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독취장치의 예로는,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테스트 원고에 포함되는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플레어 계수의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복수의 이미지 센서 별로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이미지의 형성 또는 이미지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독취장치"란 원고의 이미지를 독취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독취장치의 예로는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eripheral, MFP)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화상독취장치가 화상 형성 작업도 가능한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인 경우, 화상독취장치는 화상형성장치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스캔 데이터"란 화상독취장치를 이용하여 생성한 스캔 이미지를 의미하며, 흑백 이미지, 컬러 이미지일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파일 포맷(예를 들어, BMP, JPG, TIFF, PDF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주주사 방향"이란 이미지 센서가 원고를 스캔하는 스캔 방향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인쇄용지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부주사 방향"이란 용지의 이동방향을 의미한다.
화상독취장치에서는 원고 스캔 시 원고의 백색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센싱 장치 내부에서 난반사되어 발생하는 플레어(flare)에 의해 원고의 전체적인 밝기 레벨이 증가하여 스캔 이미지의 전체적인 톤(tone)이 내려갈 수 있으며, 색상 측면에서는 일정량의 백색광이 전 영역에 더해진 효과를 주기 때문에 색 농도가 저하됨에 따라 화상독취장치의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플레어 현상을 보정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개선된 화상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화상독취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하나의 원고를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여 스캔하는 다중 광학계를 이용하는 화상독취장치에 플레어 보정을 적용하는 경우, 복수의 이미지 센서 별로 발생하는 플레어에 대해 각각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캔되는 원고의 각 영역에 대한 스캔 이미지에 발생할 수 있는 레벨 단차를 감소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 레벨을 가지는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화상독취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화상독취장치(100)는 센싱 장치(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장치(110)는 원고를 독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미지 센서는 원고에서 반사된 광(또는 빛)으로부터 원고의 이미지 정보를 독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주주사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MOS imag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플랫베드(flatbed) 하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자동공급장치(Automatic Document Feeder: ADF)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이미지 처리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후술할 프로세서(130)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센싱 장치(110)에서 독취된 신호 또는 프로세서(13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플레어(flare) 보정을 위해 산출된 플레어 계수(flare factor)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독취장치(100)는 스캔 작업 시 메모리(120)에 저장된 플레어 계수를 이용하여 센싱 장치(110)에서 독취된 신호에 대해 플레어 보정 처리하여 보정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플레어 계수의 산출 및 이를 이용한 플레어 보정과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메모리(12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이거나,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ge Drive), 플래시 메모리 등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으며,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화상독취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CPU, ASIC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스캔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캔 명령은 화상독취장치(100)에 구비된 입력 장치(180)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외부 장치의 신호로써 통신 장치(160)를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특정 원고에 대한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스캔 작업이 수행되도록 센싱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테스트 이미지를 포함하는 테스트 원고에 대한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테스트 원고를 독취하는 스캔 작업을 수행하도록 센싱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스트 원고는 부주사 방향으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이 변경되는 테스트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고일 수 있다. 이 경우, 테스트 원고에 대해 스캔 작업을 수행하면, 각각의 스캔 라인에 대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이 달라짐에 따라, 각각의 스캔 라인에 대해 출력되는 신호에서 블랙 레벨(black level)이 달라지게 된다. 즉, 스캔 라인에서 백색 영역의 비율이 높은 경우 플레어의 영향이 커지므로 출력 신호의 블랙 레벨이 높아지게 되고, 흑색 영역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출력 신호의 블랙 레벨이 낮아지게 된다.
프로세서(130)는 센싱 장치(110)에서 각각의 스캔 라인에 대해 출력되는 복수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플레어 보정을 위한 플레어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레어 보정은 플레어에 의해 전체적으로 높아진 출력 신호 레벨을 낮추도록 보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센싱 장치(110)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표면 거칠기의 편차나 제작 공정에서 추가되는 이물, 오염 등으로 인한 화상독취장치(100)의 제품 공차에 따라 센싱 장치(110)에서 발생하는 플레어의 영향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각각 원고의 일 영역을 독취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각각의 이미지 센서에서 발생하는 플레어의 영향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이미지 센서 별로 플레어 계수가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각각의 이미지 센서에 대한 테스트 원고 스캔을 수행하고, 각각의 이미지 센서 별로 산출한 플레어 계수를 통해 스캔 이미지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 공차와 관계 없이, 각각의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플레어 계수를 산출함으로써 동일한 수준의 플레어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산출한 플레어 계수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센싱 장치(110)가 주주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 별로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고, 각각의 플레어 계수를 메모리(12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플레어 계수 산출 이후에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화상독취장치(100)에 제공된 원고를 독취하는 스캔 작업을 수행하도록 센싱 장치(110)를 제어하고, 센싱 장치(110)에서 출력되는 신호 값을 메모리(120)에 저장된 플레어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보정된 신호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어 현상이 보정된 스캔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어, 화상독취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화상독취장치(100)는 센싱 장치(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조명 장치(140), 구동 장치(150), 통신 장치(160), 디스플레이(170) 및 입력 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장치(110)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110-1, 110-2, ..., 110-n)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이미지 센서는 주주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원고를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조명 장치(140)는 LED 광원을 이용하여 원고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LED 광원은 밝기 값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광원은 입력되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되는 밝기 값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LED 광원의 전류의 입력 여부에 따라 연속적으로 광을 출력하거나 단속적으로 광을 출력할 수도 있다. LED 광원은 W LED 광원이거나 R LED, G LED, B LED가 결합된 모듈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조명 장치(140)는 광을 일정하게 원고에 조사하기 위하여, 편광판 등의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구동 장치(150)는 원고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100)가 자동공급장치 형태인 경우, 구동 장치(150)는 원고를 원고 이동 경로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기구 구조물 및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화상독취장치(100)가 플랫베드 및 자동공급장치 모두를 갖는 장치인 경우, 구동 장치(150)는 원고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또는 센싱 장치(110)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별개의 구동원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60)는 모바일 기기(Smart Phone, Tablet PC), PC, 노트북 PC,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의 단말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메모리(120)에 기저장된 스캔 이미지 또는 스캔 데이터를 타 단말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60)는 화상독취장치(100)를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802.11a/b/g/n, NFC, Bluetooth) 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화상독취장치(100)가 인쇄 작업 및 복사 작업도 가능한 복합기(MFP)인 경우, 스캔 명령은 스캔 기능을 이용하는 복사 명령일 수도 있다. 한편, 화상독취장치(100)는 입력 장치(180)를 통하여 스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캔 명령은 통신 장치(160)를 통하여 단말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70)는 화상독취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70)는 화상독취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기능 또는 옵션을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7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CRT(Cathode Ray Tub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후술할 입력 장치(18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70)는 화상독취장치(10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상에서 스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캔 명령은 스캔 작업만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일 수 있으며, 스캔된 작업을 특정의 서버로 전송하는 스캔-투-서버, 스캔-투-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스캔-투-클라우드 등의 명령일 수도 있다.
입력 장치(18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 선택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은 스캔 기능, 복사 기능, 팩스 전송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180)는 복수의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17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화상독취장치(100)는 평판 위에 놓인 원고를 스캔하는 플랫베드 형태의 제1 스캔 장치(201) 및 자동 급지대에 놓인 원고를 연속하에 스캔할 수 있는 자동용지공급 형태의 제2 스캔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캔 장치(201)는 플랫베드 형태의 스캔 장치로, 평판 위에 원고가 놓이고, 원고가 놓인 평판의 하부에서 이미지 센서를 갖는 센싱 장치가 이동하여 원고를 스캔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캔 장치(202)는 자동용지공급 형태의 스캔 장치로, 급지대에 원고가 놓이고, 원고가 순차적으로 용지 이동 패스로 이동하고, 용지 이송 패스 상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서가 원고를 스캔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스캔 장치(202)는 원고의 단면만을 스캔할 수 있는 단면 스캔 장치일 수 있으며, 원고의 양면을 스캔할 수 있는 양면 스캔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제1 스캔 장치(201) 및 제2 스캔 장치(202)가 개별적인 센싱 장치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하나의 센싱 장치가 제1 스캔 장치(201)와 제2 스캔 장치(202)에 공통적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플레어 계수 산출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테스트 원고에 포함되는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테스트 원고는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화상독취장치(100)에 제공되는 원고로, 특정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테스트 원고는 부주사 방향(S)으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이 변경되는 테스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스캔 라인에 포함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이 달라지며, 각각의 스캔 라인에 대해 센싱 장치(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블랙 레벨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스캔 라인에서 백색 영역의 비율이 높은 경우 플레어의 영향이 커지므로 출력 신호의 블랙 레벨이 높아지게 되고, 흑색 영역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출력 신호의 블랙 레벨이 낮아지게 된다.
다만, 테스트 원고에 포함된 이미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이 부주사 방향(S)을 따라 선형적으로 변경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흑백 비율이 변경되는 다양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아닌, 부주사 방향(S)을 따라 상대적으로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의 비율이 변경되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각각의 스캔 라인 별로 센싱 장치(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블랙 레벨(y) 및 평균 레벨(x)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평균 레벨(x)은 해당 스캔 라인의 평균 밝기 레벨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센싱 장치(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평균 레벨(x) 변화에 따른 블랙 레벨(y) 변화 값을 플레어 계수로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플레어 계수의 산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테스트 원고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한 센싱 장치(110)에서 출력된 복수의 신호에 대해 획득한, 평균 레벨(x)에 대한 블랙 레벨(y)을 표로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산출한 플레어 계수를 메모리(120)에 저장하고, 이후 원고 스캔 시 플레어 계수를 이용하여 센싱 장치(110)에서 출력된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원고에 대해 센싱 장치(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평균 레벨(y) 값에 플레어 계수를 적용하여 플레어 보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스캔 라인에 포함된 흑색 영역(어두운 영역)과 백색 영역(밝은 영역)의 비율에 따라 플레어의 영향이 상이하므로, 독취된 신호의 평균 레벨에 따라 플레어 보정 값이 상이해진다. 즉, 원고 스캔 시 스캔 라인의 평균 레벨이 높으면 플레어 보정 값도 커지게 된다.
프로세서(130)는 산출한 보정 값을 이용하여, 원고에 대해 센싱 장치(110)에서 출력되는 신호 값이 플레어 보정 값만큼 감소되도록 보정할 수 있고, 보정된 신호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레어 현상을 보정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개선된 화상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조명 장치(140)가 오프된 상태에서 센싱 장치(110)가 출력하는 신호 값을 기본 보정 값으로 산출하여, 센싱 장치(110)에서 출력되는 신호 값이 기본 보정 값과 플레어 보정 값만큼 감소되도록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본적으로 발생하는 블랙 레벨에 대하여도 보정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복수의 이미지 센서 별로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센싱 장치(110)는 주주사 방향(M)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110-1, 110-2, ..., 110-n)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미지 센서는 하나의 원고를 주주사 방향(M)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영역, 즉 복수의 이미지 센서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대한 스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주주사 방향(M)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화상독취장치(100)에서 하나의 스캔 라인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스캔 라인은 주주사 방향(M)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영역은 서로 다른 이미지 센서에 의해 스캔 작업이 수행된다.
도 7을 참고하면, i-2번째 영역과 i-1번째 영역에서 스캔되는 이미지는 흑색 영역만을 포함하므로, 플레어 현상의 영향이 크지 않다. 그러나, i번째 영역의 경우, 흑색 영역 및 백색 영역을 포함하므로, 백색 영역에 의해 반사된 광으로 인해 흑색 영역의 블랙 레벨이 상승하게 되어, 이를 보정할 필요성이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영역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출력된 신호에서 획득되는 평균 레벨, 그리고 각각의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플레어 계수 값이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각 영역에 대해 획득된 평균 레벨, 각 영역을 스캔한 이미지 센서의 플레어 계수를 고려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플레어 보정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이미지 센서의 제품 공차에 관계 없이, 그리고 각 분할된 영역의 평균 레벨에 맞는 플레어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캔되는 원고의 각 영역에 대한 스캔 이미지에 발생할 수 있는 레벨 단차를 감소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한 밝기 레벨을 가지는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먼저, 화상독취장치(100)는 부주사 방향으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이 변경되는 원고에 대한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원고에 대해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플레어 보정을 위한 플레어 계수를 산출(S81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고에 대해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평균 레벨 변화에 따른 블랙 레벨 변화 값을 플레어 계수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독취장치(100)는 산출된 플레어 계수를 메모리에 저장(S820)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어 계수 산출 이후에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화상독취장치(100)는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값에 저장된 플레어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S830)할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100)는 스캔 명령 입력에 따라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각각의 스캔 라인에 대한 출력 신호 각각의 평균 레벨 값을 획득하고, 각각의 스캔 라인에 대응되는 평균 레벨 값에, 저장된 플레어 계수를 곱하여 각 스캔 라인에 대한 플레어 보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100)는 플레어 계수를 이용하여 산출한 보정 값과 기본 보정 값을 더하여 최종 보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본 보정 값은 조명 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센싱 장치가 출력하는 신호 값 또는 이미지 센서에서 제공하는 optical black 값일 수 있다. 그리고, 화상독취장치(100)는 각각의 스캔 라인에 대한 출력 신호가 각 스캔 라인에 대응되는 최종 보정 값만큼 감소되도록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독취장치(100)는 보정된 신호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S840)할 수 있다. 화상독취장치(100)는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다른 장치에 전송하거나, 스캔 이미지에 대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화상독취장치(100)는 플레어 현상이 보정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여, 스캔 이미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예에 따른 플레어 보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화상독취장치 110: 센싱 장치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Claims (15)

  1. 화상독취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독취하는 센싱 장치;
    메모리; 및
    부주사 방향으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이 변경되는 원고에 대한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원고에 대해 상기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플레어(flare) 보정을 위한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레어 계수 산출 이후에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값에 상기 저장된 플레어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보정된 신호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화상독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주주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센서 별로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는, 화상독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고에 대해 상기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평균 레벨 변화에 따른 블랙 레벨(black level) 변화 값을 상기 플레어 계수로 산출하는, 화상독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원고에 대해 상기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평균 레벨 값에 상기 플레어 계수를 적용하여 플레어 보정 값을 산출하는, 화상독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명 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 장치가 출력하는 신호 값을 기본 보정 값으로 산출하는, 화상독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플레어 계수 산출 이후에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값이 상기 플레어 보정 값과 상기 기본 보정 값만큼 감소되도록 보정된 신호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화상독취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에 포함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은 상기 부주사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변경되는, 화상독취장치.
  8. 화상독취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부주사 방향으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이 변경되는 원고에 대한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원고에 대해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플레어 보정을 위한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플레어 계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플레어 계수 산출 이후에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값에 상기 저장된 플레어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신호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주주사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미지 센서 별로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는,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원고에 대해 상기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평균 레벨 변화에 따른 블랙 레벨(black level) 변화 값을 상기 플레어 계수로 산출하는,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원고에 대해 상기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평균 레벨 값에 상기 플레어 계수를 적용하여 플레어 보정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 장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 장치가 출력하는 신호 값을 기본 보정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레어 계수 산출 이후에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값이 상기 플레어 보정 값과 상기 기본 보정 값만큼 감소되도록 보정하고,
    상기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신호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에 포함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은 상기 부주사 방향을 따라 선형적으로 변경되는, 제어 방법.
  15. 화상독취장치의 플레어 보정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부주사 방향으로 흑색 영역과 백색 영역의 비율이 변경되는 원고에 대한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원고에 대해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신호 값을 이용하여 플레어 보정을 위한 플레어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플레어 계수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플레어 계수 산출 이후에 스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센싱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값에 상기 저장된 플레어 계수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정된 신호 값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200135314A 2020-10-19 2020-10-19 화상 플레어 보정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KR20220051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314A KR20220051655A (ko) 2020-10-19 2020-10-19 화상 플레어 보정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PCT/US2021/035356 WO2022086598A1 (en) 2020-10-19 2021-06-02 Image scanning apparatus for compensating optical fl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314A KR20220051655A (ko) 2020-10-19 2020-10-19 화상 플레어 보정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55A true KR20220051655A (ko) 2022-04-26

Family

ID=8129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314A KR20220051655A (ko) 2020-10-19 2020-10-19 화상 플레어 보정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51655A (ko)
WO (1) WO202208659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7976B2 (ja) * 2004-07-27 2010-04-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US7612805B2 (en) * 2006-07-11 2009-11-03 Neal Solomon Digital imaging system and methods for selective image filtration
US7924478B2 (en) * 2007-07-11 2011-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er module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CN103414838B (zh) * 2013-06-20 2015-12-23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图像扫描装置及其控制方法
JP6156746B2 (ja) * 2014-03-31 2017-07-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6598A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931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8937753B2 (en) Image scanning apparatus, image compens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76977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tored binary images
JP201300545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
KR20220051655A (ko) 화상 플레어 보정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US2014006356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0602032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US11445087B2 (en) Skew compensation based on scale factor
US9185263B2 (en)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8061096A (ja) 読取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0798264B2 (en)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canning thereof
US11943407B2 (en) Using pre-scan to improve scan speed by detecting a document loaded on the image reading apparatus
US20080204823A1 (en) Compensating Method for Image Scanning, Image Scann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System
JP2009194762A (ja) 画像処理装置
JP5245883B2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形成装置と画像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JP201011464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JP6288514B2 (ja) 画像読取装置
JP6081874B2 (ja) 画像読取装置
JP2014179732A (ja)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021524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90090252A (ko) 원고의 그림자 검출이 가능한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독취방법
KR20060010219A (ko) 화상 스캐닝 장치에서의 원고 양면의 이미지 존재 유무판단 방법
JP2006157447A (ja) カラー画像読み取り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色補正方法
KR20060027965A (ko) 스캐닝된 원고의 이면 이미지 유무를 판단하여 이미지를출력하는 방법
JP201219585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