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285A - 냉동 사이클 장치 - Google Patents

냉동 사이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285A
KR20180061285A KR1020187011907A KR20187011907A KR20180061285A KR 20180061285 A KR20180061285 A KR 20180061285A KR 1020187011907 A KR1020187011907 A KR 1020187011907A KR 20187011907 A KR20187011907 A KR 20187011907A KR 20180061285 A KR20180061285 A KR 20180061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evaporator
refrigerant
contro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2132B1 (ko
Inventor
히로키 이시야마
유스케 시마즈
사토루 야나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1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0/00Subcoolers, desuperheaters or superheaters
    • F25B40/06Super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3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11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expansion valve or capillary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6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on-of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3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F25B2600/112Fan speed control of evaporator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25B31/004Lubrication oil recircu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냉동 사이클 장치(1)는, 압축기(10)와, 응축기(20)와, 팽창밸브(30)와, 증발기(40)와, 제어 장치(100)를 구비한다. 압축기(10)는, 냉매를 압축한다. 응축기(20)는,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응축된다. 팽창밸브(30)는, 응축기(20)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감압한다. 증발기(40)는, 팽창밸브(30)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증발시켜서 압축기(10)에 출력한다. 제어 장치(100)는, 압축기(10)를 정지하는 경우에, 증발기(40)로부터 압축기(10)에 출력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고 나서 압축기(10)를 정지한다.

Description

냉동 사이클 장치 및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 장치 및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매와 함께 윤활유가 순환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개2013-140010호 공보(특허 문헌 1)는, 압축기와, 방열기(응축기)와, 전동 밸브(팽창밸브)와, 증발기를 구비하는 냉동 장치를 개시한다. 이 냉동 장치는, 압축기 내의 윤활유를 가열하는 크랭크 케이스 히터와, 크랭크 케이스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또한 구비한다. 제어 장치는, 압축기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 압축기 내의 냉매의 포화 온도에 대해 소정 온도를 가하여 얻어지는 유온(油溫) 목표치에 압축기 내의 윤활유의 유온이 달하도록, 크랭크 케이스 히터를 제어한다. 소정 온도는, 냉매의 압력에서의 용해 평형시의 오일농도 또는 오일점도가 소정의 설정 범위에 들어가도록 설정된다.
이 냉동 장치에 의하면, 압축기 내의 윤활유에 관해 적절한 오일농도 또는 오일점도의 유지가 용이하고, 또한, 대기 전력을 삭감할 수가 있다고 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3-140010호 공보
압축기 내에는, 압축기의 윤활성을 확보하기 위해 윤활유(이하, 간단히 「오일」이라고도 칭한다.)가 존재한다. 압축기의 정지 중에는, 압축기 내의 냉매는 응축되어 액냉매가 되고, 압축기 내의 오일의 중에 액냉매가 용해한다. 압축기의 운전이 시작되면, 압축기로부터 가스 냉매가 냉매 회로에 출력되는 흐름과 함께, 액냉매와 오일과의 혼합액이 냉매 회로에 가져나온다. 그리고, 혼합액으로서 압축기로부터 냉매 회로에 섞여나온 오일은, 냉매와 함께 냉매 회로를 순환하여 압축기에 되돌아온다.
압축기의 정지 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축기 내에서 냉매가 응축되어 액냉매가 되기 때문에, 압축기 내의 액면(오일과 액냉매)이 상승한다. 액면이 상승하여 있는 상태에서 압축기의 운전이 시작되면, 오일을 포함하는 다량의 혼합액이 압축기로부터 냉매 회로에 섞여나온다. 또한, 압축기의 정지 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축기 내의 오일 중에 액냉매가 용해됨에 의해, 압축기 내의 오일농도가 저하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기의 운전 시작시는, 다량의 혼합액이 압축기로부터 냉매 회로에 섞여 나옴과 함께 압축기 내의 오일농도도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의 윤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냉동 장치는, 압축기의 정지 중에, 압축기 내의 윤활유에 관해 적절한 오일농도 또는 오일점도를 유지 가능한 점에서 유용하지만, 압축기의 운전 시작시에 발생할 수 있는 상기한 윤활 불량을 억제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냉매와 함께 윤활유가 순환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에 있어서, 압축기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의 윤활 불량을 억제하기 위해 압축기로의 반유량(返油量)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냉동 사이클 장치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와,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한다. 응축기는, 압축기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응축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감압한다. 증발기는, 팽창밸브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증발시켜서 압축기에 출력한다. 제어 장치는, 증발기로부터 압축기에 출력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고 나서 압축기를 정지한다.
본 발명에 관한 냉동 사이클 장치에서는, 압축기가 정지하기 전에, 증발기로부터 압축기에 출력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가 실행된다. 이에 의해, 증발기 내의 가스 단상(單相)의 영역이 증가하고, 증발기 내의 오일농도 및 오일점도가 상승한다. 증발기 내의 오일점도가 상승하면, 냉매 회로에 섞여나온 액냉매와 오일과의 혼합액이 증발기 내에서 흐르기 어려워지고, 증발기 내의 오일 체류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가 실행되고 나서 압축기가 정지한다.
따라서 이 냉동 사이클 장치에 의하면, 압축기가 정지할 때에 증발기 내에 체류시켜진 오일이 압축기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에 공급되기 때문에, 압축기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로의 반유량이 증가한다. 그 결과, 압축기의 운전 시작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압축기 내의 오일 고갈을 억제하고, 압축기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압축기 내의 액면 높이와, 압축기의 운전시에 압축기로부터 냉매 회로에 섞여나오는 오일량과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압축기 내에서 윤활유 중에의 냉매의 용해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혼합액이 혼합한 냉매의 건조도와 혼합액의 오일농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오일의 농도와 동점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압축기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7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1에서, 압축기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8은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2에서, 압축기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9는 압축기의 운전이 시작할 때에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0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11은 실시의 형태 2에서, 압축기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2는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에서, 압축기의 운전이 시작할 때에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3은 실시의 형태 3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14는 실시의 형태 3에서, 압축기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5는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에서, 압축기의 운전이 시작할 때에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6은 실시의 형태 4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17은 실시의 형태 4에서, 압축기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8은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1에서, 압축기의 운전이 시작할 때에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19는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2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설명하지만, 각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된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는 것은 출원시부터 예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실시의 형태 1]
(냉동 사이클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동 사이클 장치(1)는, 압축기(10)와, 응축기(20)와, 응축기 팬(22)과, 팽창밸브(30)와, 증발기(40)와, 증발기 팬(42)과, 관(90, 92, 94, 96)을 구비한다. 또한, 냉동 사이클 장치(1)는, 압력 센서(52)와, 온도 센서(54)와, 제어 장치(100)를 또한 구비한다.
관(90)은, 압축기(10)와 응축기(20)를 접속한다. 관(92)은, 응축기(20)와 팽창밸브(30)를 접속한다. 관(94)은, 팽창밸브(30)와 증발기(40)를 접속한다. 관(96)은, 증발기(40)와 압축기(10)를 접속한다.
압축기(10)는, 관(96)으로부터 흡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관(90)에 출력한다. 압축기(10)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받는 제어 신호에 의해 운전 주파수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다.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변경함에 의해 압축기(10)의 출력이 조정된다. 압축기(10)로는 여러 가지의 타입을 채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로터리 타입, 왕복 타입, 스크롤 타입, 스크류 타입 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응축기(20)는, 압축기(10)로부터 관(90)에 출력된 냉매를 응축하여 관(92)에 출력한다. 응축기(20)는,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고온 고압의 과열증기(냉매)가 외기와 열교환(방열)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열교환에 의해, 냉매는 응축되어 액화한다. 응축기 팬(22)은, 응축기(20)에 병설되어, 제어 장치(100)로부터 받는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응축기 팬(22)의 회전수를 변경함에 의해, 응축기(20)에서 냉매와 외기와의 열교환량을 조정할 수 있다.
팽창밸브(30)는, 응축기(20)로부터 관(92)에 출력된 냉매를 감압하여 관(94)에 출력한다. 팽창밸브(30)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받는 제어 신호에 의해 개방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팽창밸브(30)의 개방도를 폐쇄 방향으로 변화시키면, 팽창밸브(30) 출구측의 냉매 압력은 저하되고, 냉매의 건조도는 상승한다. 한편, 팽창밸브(30)의 개방도를 개방 방향으로 변화시키면, 팽창밸브(30) 출구측의 냉매 압력은 상승하고, 냉매의 건조도는 저하된다.
증발기(40)는, 팽창밸브(30)로부터 관(94)에 출력된 냉매를 증발시켜서 관(96)에 출력한다. 증발기(40)는, 팽창밸브(30)에 의해 감압된 냉매가 외기와 열교환(흡열)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열교환에 의해, 냉매는 증발하여 과열증기가 된다. 증발기 팬(42)은, 증발기(40)에 병설되고, 제어 장치(100)로부터 받는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수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증발기 팬(42)의 회전수를 변경함에 의해, 증발기(40)에서 냉매와 외기와의 열교환량을 조정할 수 있다.
압력 센서(52)는, 증발기(40) 출구의 냉매의 압력을 검출하고, 그 검출치를 제어 장치(100)에 출력한다. 온도 센서(54)는, 증발기(40) 출구의 냉매의 온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치를 제어 장치(100)에 출력한다.
제어 장치(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기억 장치, 입출력 버퍼 등을 포함하고(모두 도시 생략), 냉동 사이클 장치(1)에서의 각 기기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 제어에 관해서는,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로 한정되지 않고, 전용의 하드웨어(전자 회로)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장치(100)의 주요한 제어로서, 제어 장치(100)는, 압축기(10)의 운전 지시에 응답한 압축기(10)의 운전, 및 압축기(10)의 정지 지시에 응답한 압축기(10)의 정지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냉동 사이클 장치(1)가 소망하는 성능을 발휘하도록,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 팽창밸브(30)의 개방도, 응축기 팬(22)의 회전수, 및 증발기 팬(42)의 회전수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증발기(40) 출구에 마련된 압력 센서(52) 및 온도 센서(54)의 각 검출치에 의거하여,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냉매의 포화 압력과 포화 가스 온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압력 온도 맵 등을 이용하여, 압력 센서(52)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기(40) 출구의 압력으로부터 포화 가스 온도(Tg)를 추정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온도 센서(54)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기(40) 출구의 온도(Teo)로부터 포화 가스 온도(Tg)를 공제함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산출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압축기(10)를 정지하는 경우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고, 그 후, 압축기(10)를 정지한다. 압축기(10)의 정지 전에 이와 같은 제어가 실행됨에 의해, 증발기(40) 내에 윤활유가 체류하고, 다음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이 증가한다. 이하, 이 내용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압축기(10) 내에는, 압축기(10)의 윤활성을 확보하기 위해 윤활유가 존재한다. 압축기(10)의 정지 중은, 압축기(10) 내의 냉매는 응축되어 액냉매가 되고, 압축기(10) 내의 오일 중에 액냉매가 용해한다.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되면, 압축기(10)로부터 가스 냉매가 냉매 회로에 출력되는 흐름과 함께, 액냉매와 오일과의 혼합액이 냉매 회로에 섞여나온다. 그리고, 혼합액으로서 압축기(10)로부터 냉매 회로에 섞여나온 오일은, 냉매와 함께 냉매 회로를 순환하여 압축기(10)에 되돌아온다.
압축기(10)의 정지 중은, 압축기(10) 내에서 냉매가 응축되어 액냉매가 되기 때문에, 압축기(10) 내의 액면(오일과 액냉매)이 상승한다. 액면이 상승하고 있는 상태에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되면, 오일을 포함하는 다량의 혼합액이 압축기(10)로부터 냉매 회로에 섞여나온다.
도 2는, 압축기(10) 내의 액면 높이와, 압축기(10)의 운전시에 압축기(10)로부터 냉매 회로에 섞여나오는 오일량과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압축기(10) 내의 액면이 상승하면, 압축기(10)의 운전시에 압축기(10)로부터 냉매 회로에 섞여나오는 오일량(혼합액)은 증가한다. 압축기(10)의 타입에도 의존하지만, 압축기(10) 내의 액면이 어느 높이(H1)를 초과하면, 압축기(10)로부터 섞여나오는 오일량이 급증하는 변곡점이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면, 압축기(10)가 로터리 타입인 경우, 액면 높이(H1)는 모터부의 하단에 상당하고, 압축기(10) 내의 혼합액의 액면이 모터부의 하단에 달하면, 압축기(10)로부터 냉매 회로에 섞여나오는 오일량이 급증한다.
도 3은, 압축기(10) 내에서 윤활유 중에의 냉매의 용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횡축은 오일 중에의 냉매의 용해도를 나타내고, 종축은 압력을 나타낸다. 온도가 낮은 때는, 압력이 낮아도 냉매가 오일의 중에 용해한다. 따라서 압축기(10)의 운전 중보다도 온도가 낮아지는 압축기(10)의 정지 중은, 압축기(10) 내에서 오일 중에의 냉매의 용해량이 많아지고, 그 결과, 압축기(10) 내의 혼합액의 오일농도는 저하된다.
이와 같이, 압축기(10)의 정지 중은, 압축기(10) 내에서 혼합액의 액면이 상승하고, 또한 압축기(10) 내의 혼합액의 오일농도도 저하된다. 따라서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는, 다량의 혼합액이 압축기(10)로부터 냉매 회로에 섞여 나옴과 함께 압축기(10) 내의 오일농도도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10)의 윤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실시의 형태 1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1)에서는, 압축기(10)를 정지하는 경우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제어 장치(100)는, 팽창밸브(30)의 개방도를 폐쇄 방향으로 변화시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킨다. 팽창밸브(30)의 개방도를 폐쇄 방향으로 변화시키면, 팽창밸브(30) 출구측의 압력이 저하되고, 냉매의 건조도가 증가한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킴에 의해,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이 내용에 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혼합액이 혼합한 냉매의 건조도와 혼합액의 오일농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조도가 상승(액 단상에 대해 가스 단상의 영역이 증가)하면, 혼합액의 오일농도는 높아진다. 도 5는, 오일의 농도와 동점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혼합액의 오일농도가 높을수록, 혼합액의 점도는 높아진다. 따라서 도 4, 5로부터, 건조도를 높이면, 혼합액의 점도는 높아진다.
그래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높임에 의해, 증발기(40) 내의 건조도를 높여서 증발기(40) 내의 오일농도 및 오일점도를 높일 수 있다. 증발기(40) 내의 오일점도가 높아짐에 의해, 증발기(40) 내에서 혼합액이 흐르기 어려워지고,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이와 같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높임으로써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을 증가시키고 나서 압축기(10)를 정지한다. 이에 의해, 다음에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이 증가한다. 그 결과, 압축기(10) 내의 오일 고갈이 억제되고, 압축기(10)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한다.
(제어 장치(100)의 동작 설명)
도 6은,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과 함께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는, 압축기(10)의 정지 지시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 압축기(10)의 정지 지시는, 냉동 사이클 장치(1)의 이용자에 의한 정지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라도 좋고, 정지조건이 성립함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압축기(10)의 정지 지시는 없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0에서 NO), 제어 장치(100)는, 이후의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일 없이 스텝 S7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0에서 압축기(10)의 정지 지시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0에서 YES), 제어 장치(100)는, 팽창밸브(30)의 개방도를 조인다(스텝 S20).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팽창밸브(30)를 전부 폐쇄로 하는 것이 아니라, 팽창밸브(30)의 개방도를 폐쇄 방향으로 일정량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뒤이어, 제어 장치(100)는, 증발기(40) 출구에 마련된 온도 센서(54)로부터, 증발기(40) 출구의 온도의 검출치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증발기(40) 출구에 마련된 압력 센서(52)로부터, 증발기(40) 출구의 압력의 검출치를 취득한다(스텝 S30).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스텝 S30에서 취득된 증발기(40) 출구의 압력 및 온도의 검출치로부터,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산출한다(스텝 S40).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는, 압력 검출치로부터 추정되는 포화 가스 온도를 온도 검출치로부터 공제함에 의해 산출된다.
뒤이어, 제어 장치(100)는, 스텝 S40에서 산출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0). 이 목표치는,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킴에 의해 운전 시작시에 증발기(40)로부터 소망하는 반유량을 확보 가능한 값으로 설정되고, 실험 등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스텝 S50에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보다도 낮다고 판정되면(스텝 S50에서 NO), 제어 장치(100)는, 스텝 S20으로 처리를 되돌려서, 팽창밸브(30)의 개방도가 더욱 조여진다. 한편, 스텝 S50에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스텝 S50에서 YES), 제어 장치(100)는, 압축기(10)를 정지한다(스텝 S60).
(냉매와 오일(혼합액)의 흐름의 설명)
재차 도 1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의한 냉매 및 오일(혼합액)의 흐름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비교를 위해, 통상 운전시(정지 직전이나 운전 시작 직후가 아닌 운전시)의 흐름에 관해 먼저 설명한다.
<통상 운전시>
압축기(10)로부터 관(90)에,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과열증기)와 함께 액냉매와 오일과의 혼합액이 출력된다. 관(90)으로부터 응축기(20)에 유입한 가스 냉매 및 혼합액은, 응축기(20) 내에서 외기와 열교환(방열)을 행한다. 응축기(20)에서, 냉매의 건조도는 저하되고, 냉매는 응축되어 액화한다. 혼합액의 오일농도는 저하된다. 응축기(20)로부터 관(92)에 출력된 냉매 및 혼합액은, 팽창밸브(30)에 의해 감압된다(등엔탈피 팽창). 팽창밸브(30)로부터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 및 오일농도가 낮은 혼합액이 출력되고, 관(94)을 통하여 증발기(40)에 유입한다. 증발기(40)에 유입한 가스 냉매 및 혼합액은, 증발기(40) 내에서 외기와 열교환(흡열)을 행한다. 증발기(40)에서, 냉매의 건조도는 상승하고, 냉매는 과열증기가 된다. 혼합액의 오일농도는 상승한다. 그리고, 증발기(40)로부터 출력된 가스 냉매 및 혼합액은, 관(96)을 통하여 압축기(10)에 유입하고, 오일을 포함하는 혼합액이 압축기(10)에 되돌아온다.
<압축기(10)가 정지할 때>
압축기(10)의 정지가 지시되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증가시키는 운전 모드가 되어, 팽창밸브(30)의 개방도가 조여진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내의 건조도가 상승하고, 가스 단상(單相)의 영역이 증가한다. 증발기(40) 내의 혼합액의 오일농도는 상승하고, 오일점도가 상승한다. 증발기(40) 내의 혼합액의 오일점도가 상승함에 의해, 증발기(40) 내에서 혼합액은 흐르기 어려워지고,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 이상이 됨에 의해 증발기(40) 내에 오일이 충분히 체류(滯留)한 것으로 판정되면, 압축기(10)가 정지한다.
또한, 압축기(10)의 정지 중은, 증발기(40) 내에 오일이 체류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기(10) 내의 오일량은 저하된다. 또한, 압축기(10) 내에서, 액냉매가 오일에 용해하여, 혼합액의 액면이 상승함과 함께 오일농도는 저하된다.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되면, 오일농도가 낮은 혼합액이 가스 냉매와 함께 냉매 회로에 섞여나온다. 이에 의해, 압축기(10) 내의 액면은 저하되고, 액면의 저하에 따라 냉매 회로에의 혼합액의 섞여나오는량도 감소한다. 한편, 증발기(40) 내에 체류하고 있던 오일농도가 높은 혼합액이 압축기(10)에 유입한다(압축기(10)로의 반유량의 증가). 따라서 혼합액의 섞여나오는량이 감소함과 함께 오일농도가 높은 혼합액이 압축기(10)에 유입하기 때문에, 압축기(10) 내의 오일농도는 상승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 내의 오일 고갈이 억제되고, 압축기(10)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팽창밸브(30)의 개방도를 폐쇄 방향으로 변화시켜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킨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이 증가하고, 그 후 압축기(10)가 정지한다. 따라서 이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압축기의 운전 시작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압축기 내의 오일 고갈을 억제하고, 압축기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1]
상기한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팽창밸브(30)의 개방도를 폐쇄 방향으로 변화시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하였는데,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높여도 좋다.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가 높아지면, 냉매 회로에 흐르는 냉매 오일량이 증가하고, 증발기(40) 및 응축기(20)가 처리하여야 할 열량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증발기(40)에서 냉매의 증발 온도가 저하됨과 함께, 응축기(20)에서 냉매의 응축 온도가 상승한다. 그 결과,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가 높아지는 전과 비교하고, 냉매 회로 내에서 냉매량이 응축기(20)측으로 추이(推移)하고, 증발기(40)측에서 건조도가 상승함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는 상승한다.
도 7은, 이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1에서,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 플로우 차트는, 도 6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의 플로우 차트에서, 스텝 S20에 대신하여 스텝 S21을 포함한다.
즉, 스텝 S10에서 압축기(10)의 정지 지시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0에서 YES), 제어 장치(100)는,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높인다(스텝 S21).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높이는 방향으로 일정량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스텝 S21의 실행 후, 제어 장치(100)는, 스텝 S3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또한, 스텝 S21 이외의 기타의 스텝에서의 처리는, 도 6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와 같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2]
상기한 변형례 1에서는,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높이는 것으로 하였지만, 증발기 팬(42)의 회전수를 높여도 좋다. 증발기 팬(42)의 회전수가 높아지면, 증발기(40)에서 냉매 및 혼합액과 외기와의 열교환(냉매 및 혼합액의 흡열)이 촉진된다. 그 결과,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도 8은, 이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2에서,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 플로우 차트는, 도 6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의 플로우 차트에서, 스텝 S20에 대신하여 스텝 S22를 포함한다.
즉, 스텝 S10에서 압축기(10)의 정지 지시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0에서 YES), 제어 장치(100)는, 증발기 팬(42)의 회전수를 높인다(스텝 S22).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증발기 팬(42)의 회전수를 높이는 방향으로 일정량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스텝 S22의 실행 후, 제어 장치(100)는, 스텝 S3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또한, 스텝 S22 이외의 기타의 스텝에서의 처리는, 도 6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와 같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3]
상기한 실시의 형태 1 및 그 변형례 1, 2에서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이 변형례 3에서는,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가, 압축기(10)가 정지한 경우뿐만 아니라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도 실행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있어서의 압축기(10)에의 액백(liquid back)이 억제된다.
즉,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액화한 냉매(액냉매)가 압축기(10)에 유입하면(액백의 발생), 압축기(10)의 동작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에의 액백이 발생하면, 압축기(10) 내의 액면이 상승함과 함께 압축기(10) 내의 오일농도가 저하됨으로써,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액백이 발생하면,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압축기(10)의 윤활 불량이 발생할 가능은 더욱 높아진다.
그래서, 이 변형례 3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1)에서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 제어(실시의 형태 1 또는 그 변형례 1 또는 변형례 2)를 실행하는 것에 더하여,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도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 제어가 실행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 입구의 과열도가 상승하고,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된다.
도 9는,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할 때에 제어 장치(100)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9와 함께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100)는,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10).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이 아닌 때는(스텝 S110에서 NO), 제어 장치(100)는, 이후의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일 없이 스텝 S17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스텝 S110에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된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10에서 YES), 제어 장치(100)는,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스텝 S120).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는, 팽창밸브(30)의 개방도를 조여도 좋고(도 6의 스텝 S20), 압축기(10)의 운전 주파수를 높여도 좋고(도 7의 스텝 S21), 증발기 팬(42)의 회전수를 높여도 좋다(도 8의 스텝 S22).
뒤이어, 제어 장치(100)는, 증발기(40) 출구에 마련된 온도 센서(54)로부터, 증발기(40) 출구의 온도의 검출치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 장치(100)는, 증발기(40) 출구에 마련된 압력 센서(52)로부터, 증발기(40) 출구의 압력의 검출치를 취득한다(스텝 S130). 그리고, 제어 장치(100)는, 스텝 S130에서 취득된 증발기(40) 출구의 압력 및 온도의 검출치로부터,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산출한다(스텝 S140). 또한, 제어 장치(100)는, 스텝 S140에서 산출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50). 이들의 스텝 S130∼S150의 처리는, 각각 도 6에 도시한 스텝 S30∼S50의 처리와 같다.
스텝 S150에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보다도 낮다고 판정되면(스텝 S150에서 NO), 제어 장치(100)는, 스텝 S120으로 처리를 되돌려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가 또한 실행된다. 한편, 스텝 S150에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스텝 S150에서 YES), 제어 장치(100)는,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를 종료한다(스텝 S160).
이상과 같이, 이 변형례 3에서는,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가,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도 실행된다. 따라서 이 변형례 3에 의하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있어서의 압축기(10)에의 액백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실시의 형태 1에서는 팽창밸브(30)의 개방도가 조여지고,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1에서는 압축기(10)의 운전 회전수가 높아지고,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에서는 증발기 팬(42)의 회전수가 높아졌다.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고온 고압의 과열증기의 일부가 증발기(40)의 입구측에 직접 공급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의 정지 전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킴과 함께, 압축기(10)로부터 증발기(40)에 오일농도가 높은 혼합액이 공급된다. 그 결과, 압축기(10)의 정지시에 증발기(40) 내에 윤활유를 체류시켜서,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0은, 이 실시의 형태 2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 냉동 사이클 장치(1A)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냉동 사이클 장치(1)의 구성에서, 바이패스관(62)과, 조정밸브(64)를 또한 구비하고, 제어 장치(100)에 대신하여 제어 장치(100A)를 구비한다.
바이패스관(62)은, 관(90)에 마련된 분기부(60)와, 관(94)에 마련된 합류부(66)를 접속한다. 조정밸브(64)는, 바이패스관(62)에 마련되고, 제어 장치(100A)로부터 받는 제어 신호에 의해 개방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조정밸브(64)는, 개폐 동작을 행할수 있을 뿐의 간이한 것이라도 좋다.
제어 장치(100A)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A)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조정밸브(64)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제어한다. 그러면,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고(高)오일농도의 혼합액의 일부가, 관(90)의 분기부(60)로부터 바이패스관(62)을 통하여 관(94)의 합류부(66)에 공급되고, 팽창밸브(30)로부터 출력되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 및 저오일농도의 혼합액과 합류한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함과 함께, 압축기(10)로부터 섞여나온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의 일부가 증발기(40)에 공급된다. 그리고,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까지 상승하면, 제어 장치(100A)는 압축기(10)를 정지한다.
또한, 이 냉동 사이클 장치(1A)의 기타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냉동 사이클 장치(1)와 같다.
도 11은, 이 실시의 형태 2에서,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A)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과 함께 도 10을 참조하면, 이 플로우 차트는, 도 6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의 플로우 차트에서, 스텝 S20에 대신하여 스텝 S23을 포함한다.
즉, 스텝 S10에서 압축기(10)의 정지 지시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0에서 YES), 제어 장치(100A)는, 바이패스관(62)에 마련된 조정밸브(64)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한다(스텝 S23). 이에 의해,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의 일부가 증발기(40)에 공급되고,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스텝 S23의 실행 후, 제어 장치(100A)는, 스텝 S3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또한, 스텝 S23 이외의 기타의 스텝에서의 처리는, 도 6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와 같다.
(냉매와 오일(혼합액)의 흐름의 설명)
재차 도 10을 참조하여, 이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냉동 사이클 장치(1A)에서의 냉매 및 오일(혼합액)의 흐름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통상 운전 중은, 조정밸브(64)는 폐쇄가 된다. 따라서 통상 운전 중은, 바이패스관(62)에 흐름은 발생하지 않고, 냉매 및 혼합액의 흐름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냉동 사이클 장치(1)의 통상 운전 중과 같다.
<압축기(10)가 정지할 때>
압축기(10)의 정지가 지시되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증가시키는 운전 모드가 되어, 조정밸브(64)가 폐쇄로부터 개방이 된다.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은, 관(90)을 통하여 응축기(20)에 유입함과 함께, 일부가 분기부(60)로부터 바이패스관(62)에 유입한다. 바이패스관(62)에 유입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은, 팽창밸브(30)로부터 출력되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 및 저오일농도의 혼합액과 관(94)의 합류부(66)에서 합류하여 증발기(40)에 유입한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함으로써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이 증가하는 것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 이상이 되어, 증발기(40) 내에 오일이 충분히 체류한 것이라고 판단되면, 압축기(10)가 정지한다. 또한, 압축기(10)의 정지 중은, 압축기(10) 내에서, 액냉매가 오일에 용해하여, 혼합액의 액면이 상승함과 함께 오일농도가 저하되는 것도,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되면, 저오일농도의 혼합액이 가스 냉매와 함께 냉매 회로에 섞여나오고, 압축기(10) 내의 액면은 저하된다. 액면의 저하에 따라 냉매 회로에의 혼합액의 섞여나오는량은 감소한다. 한편, 증발기(40) 내에 체류하고 있던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압축기(10)에 유입한다. 따라서 혼합액의 섞여나오는량이 감소함과 함께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압축기(10)에 유입하기 때문에, 압축기(10) 내의 오일농도는 상승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 내의 오일 고갈이 억제되고, 압축기(10)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고온 고압의 과열증기의 일부가 바이패스관(62)을 통하여 증발기(40)의 입구측에 직접 공급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의 정지 전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킴과 함께, 압축기(10)로부터 증발기(40)에 오일농도가 높은 혼합액이 공급된다. 따라서 이 실시의 형태 2에 의하면, 압축기(10)의 정지시에 증발기(40) 내에 윤활유를 체류시켜서,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
상기한 실시의 형태 에서는, 관(90)과 관(94)을 접속하는 바이패스관(62)이 마련되고,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조정밸브(64)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이에 더하여, 이 변형례에서는,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도 조정밸브(64)가 개방으로 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됨과 함께,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이 증가한다.
즉,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도, 조정밸브(64)가 개방으로 됨으로써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 입구의 과열도가 상승하고,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된다. 또한, 압축기(10)로부터 섞여나온 혼합액이 바이패스관(62)을 통하여 증발기(40)에 공급되기 때문에,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있어서의 압축기(10)로의 반유량도 증가한다. 이와 같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도 조정밸브(64)가 개방으로 됨에 의해,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되고, 또한, 압축기(10)로의 반유량도 확보된다.
도 12는, 이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에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할 때에 제어 장치(100A)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 플로우 차트는, 도 9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3의 플로우 차트에서, 스텝 S120, S160에 대신하여 각각 스텝 S122, S162를 포함한다.
즉, 스텝 S110에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된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10에서 YES), 제어 장치(100A)는, 바이패스관(62)에 마련된 조정밸브(64)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한다(스텝 S122).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되고, 또한, 압축기(10)로의 반유량도 증가한다. 스텝 S122의 실행 후, 제어 장치(100A)는, 스텝 S13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또한, 스텝 S150에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스텝 S150에서 YES), 제어 장치(100A)는, 바이패스관(62)에 마련된 조정밸브(64)를 폐쇄로 한다(스텝 S162).
또한, 스텝 S122, S162 이외의 기타의 스텝에서의 처리는, 도 9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와 같다.
이 실시의 형태 2의 변형례에 의하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에의 액백을 억제함과 함께,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과, 팽창밸브(30)로부터 출력되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증발기(40)에 유입하는 가스 냉매 및 혼합액의 건조도가 증가하고,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그 결과, 압축기(10)의 정지시에 증발기(40) 내에 윤활유를 체류시켜서,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3은, 이 실시의 형태 3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 냉동 사이클 장치(1B)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냉동 사이클 장치(1)의 구성에서, 내부 열교환기(70)와, 분기관(76)과, 조정밸브(78)를 또한 구비하고, 제어 장치(100)에 대신하여 제어 장치(100B)를 구비한다.
내부 열교환기(70)는,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과, 팽창밸브(30)로부터 출력되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한 예로서, 내부 열교환기(70)는, 관(94)에 마련되어, 관(90)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76)을 통류(通流)하는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과, 관(94)을 통류하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분기관(76)은, 관(90)의 분기부(72)로부터 분기되고, 내부 열교환기(70)를 경유하여 관(90)의 합류부(74)(분기부(72)보다도 응축기(20)측에 마련된다.)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조정밸브(78)는, 분기관(76)에 마련되고, 제어 장치(100B)로부터 받는 제어 신호에 의해 개방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조정밸브(78)는,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을 뿐의 간이한 것이라도 좋다.
제어 장치(100B)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B)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조정밸브(78)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제어한다. 그러면,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의 일부가, 관(90)의 분기부(72)로부터 분기관(76)을 통하여 내부 열교환기(70)에 공급되고, 팽창밸브(30)로부터 출력되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과 열교환을 행한다.
팽창밸브(30)로부터 출력되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은, 내부 열교환기(70)에서 흡열함에 의해 건조도를 증가시켜서 증발기(40)에 유입한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하고,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까지 상승하면, 제어 장치(100B)는 압축기(10)를 정지한다.
또한, 이 냉동 사이클 장치(1B)의 기타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냉동 사이클 장치(1)와 같다.
도 14는, 이 실시의 형태 3에서,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B)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와 함께 도 13을 참조하면, 이 플로우 차트는, 도 6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의 플로우 차트에서, 스텝 S20에 대신하여 스텝 S24를 포함한다.
즉, 스텝 S10에서 압축기(10)의 정지 지시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0에서 YES), 제어 장치(100B)는, 분기관(76)에 마련된 조정밸브(78)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한다(스텝 S24). 이에 의해, 내부 열교환기(70)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스텝 S24의 실행 후, 제어 장치(100)는, 스텝 S3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또한, 스텝 S24 이외의 기타의 스텝에서의 처리는, 도 6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와 같다.
(냉매와 오일(혼합액)의 흐름의 설명)
재차 도 13을 참조하면, 이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냉동 사이클 장치(1B)에서의 냉매 및 오일(혼합액)의 흐름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통상 운전 중은, 조정밸브(78)는 폐가 된다. 따라서 통상 운전 중은, 분기관(76)에 흐름은 발생하지 않고, 냉매 및 혼합액의 흐름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냉동 사이클 장치(1)의 통상 운전 중과 같다.
<압축기(10)가 정지할 때>
압축기(10)의 정지가 지시되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증가시키는 운전 모드가 되어, 조정밸브(78)가 폐쇄로부터 개방이 된다.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은, 관(90)을 통하여 응축기(20)에 유입함과 함께, 일부가 분기관(76)을 통하여 내부 열교환기(70)에 유입한다. 팽창밸브(30)로부터 출력되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은, 내부 열교환기(70)에서 열교환(흡열)을 행함에 의해, 건조도가 증가한 상태에서 증발기(40)에 유입한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또한,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은, 내부 열교환기(70)에서 열교환(방열)을 행함에 의해, 건조도가 저하된 상태에서 응축기(20)에 유입한다. 이에 의해, 응축기(20) 내의 오일 체류량은 저하되고, 그 결과, 증발기(40)에의 오일 유입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 점도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의 증가에 기여한다.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함으로써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이 증가하는 것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 이상이 되어, 증발기(40) 내에 오일이 충분히 체류한 것이라고 판단되면, 압축기(10)가 정지한다.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되면, 증발기(40) 내에 체류하고 있던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압축기(10)에 유입함에 의해 압축기(10) 내의 오일농도가 상승하는 것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의해, 압축기(10) 내의 오일 고갈이 억제되고, 압축기(10)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한, 관(90)에서의 분기부(72)와 합류부(74)의 사이에 또한 조정밸브를 마련하고, 분기관(76)에 마련된 조정밸브(78)가 개방일 때는 상기 조정밸브를 폐쇄로하고, 조정밸브(78)가 폐쇄일 때는 상기 조정밸브를 개방으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혼합액의 전량을 내부 열교환기(70)에 통류시켜서, 내부 열교환기(70)에서의 열교환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내부 열교환기(70)는 관(94)에 마련되고, 관(90)에 분기관(76)을 마련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내부 열교환기(70)를 관(90)에 마련하고, 관(94)에 분기관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는, 관(90, 94)에 내부 열교환기(70)를 마련하는 일 없이, 관(90, 94)의 각각에 내부 열교환기(70)와 접속되는 분기관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내부 열교환기(70)가 마련됨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 열교환기(70)에 의해, 응축기(20) 내의 오일 체류량을 저하시켜, 증발기(40)에의 오일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의 형태 3에 의하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압축기의 운전 시작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압축기 내의 오일 고갈을 억제하고, 압축기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
상기한 실시의 형태 3에서는, 분기관(76)이 마련되어,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조정밸브(78)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이에 더하여, 이 변형례에서는,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도 조정밸브(78)가 개방으로 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있어서의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된다.
즉,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도, 조정밸브(78)가 개방으로 됨으로써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 입구의 과열도가 상승하고,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된다.
도 15는, 이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에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할 때에 제어 장치(100B)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 플로우 차트는, 도 9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3의 플로우 차트에서, 스텝 S120, S160에 대신하여 각각 스텝 S124, S164를 포함한다.
즉, 스텝 S110에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된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10에서 YES), 제어 장치(100B)는, 분기관(76)에 마련된 조정밸브(78)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한다(스텝 S124).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된다. 스텝 S124의 실행 후, 제어 장치(100B)는, 스텝 S13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또한, 스텝 S150에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스텝 S150에서 YES), 제어 장치(100B)는, 분기관(76)에 마련된 조정밸브(78)를 폐쇄로 한다(스텝 S164).
또한, 스텝 S124, S164 이외의 기타의 스텝에서의 처리는, 도 9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와 같다.
이 실시의 형태 3의 변형례에 의하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을 증가시킴과 함께, 압축기(10)에의 액백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이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압축기(10)로부터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 및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출력된 관(90)에 오일 분리기가 마련되고,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오일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고온 고압이면서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증발기(40)의 입측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의 정지 전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킴과 함께, 오일 분리기로부터 증발기(40)에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공급된다. 그 결과, 압축기(10)의 정지시에 증발기(40) 내에 윤활유를 체류시켜서,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6은, 이 실시의 형태 4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 냉동 사이클 장치(1C)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냉동 사이클 장치(1)의 구성에서, 오일 분리기(80)와, 반유관(返油管)(82)과, 조정밸브(84)를 또한 구비하고, 제어 장치(100)에 대신하여 제어 장치(100C)를 구비한다.
오일 분리기(80)는, 관(90)에 마련되고,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와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을 분리한다. 반유관(82)은, 오일 분리기(80)와, 관(94)에 마련되는 합류부(85)를 접속한다. 조정밸브(84)는, 반유관(82)에 마련되고, 제어 장치(100C)로부터 받는 제어 신호에 의해 개방도를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조정밸브(84)는,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을 뿐의 간이한 것이라도 좋다.
오일 분리기(80)에 의해 분리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관(90)에 출력된다. 오일 분리기(80)에서 가스 냉매와 분리된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은, 조정밸브(84)가 개방일 때에 반유관(82)을 통하여 관(94)의 합류부(85)에 공급된다.
제어 장치(100C)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100C)는, 압축기(10)를 정지하는 경우에, 조정밸브(84)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제어한다. 그러면, 오일 분리기(80)에서 분리된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오일 분리기(80)로부터 반유관(82)을 통하여 관(94)의 합류부(85)에 공급되고, 팽창밸브(30)로부터 출력되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 및 저오일농도의 혼합액과 합류한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함과 함께, 압축기(10)로부터 섞여나온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증발기(40)에 공급된다. 그리고,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까지 상승하면, 제어 장치(100C)는 압축기(10)를 정지한다.
또한, 이 냉동 사이클 장치(1C)의 기타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냉동 사이클 장치(1)와 같다.
도 17은, 이 실시의 형태 4에서,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100C)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과 함께 도 16을 참조하면, 이 플로우 차트는, 도 6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의 플로우 차트에서, 스텝 S20에 대신하여 스텝 S25를 포함한다.
즉, 스텝 S10에서 압축기(10)의 정지 지시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0에서 YES), 제어 장치(100C)는, 반유관(82)에 마련된 조정밸브(84)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한다(스텝 S25). 이에 의해, 오일 분리기(80)에서 분리된 고온 고압의 혼합액이 증발기(40)에 공급되고,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스텝 S25의 실행 후, 제어 장치(100C)는, 스텝 S3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또한, 스텝 S25 이외의 기타의 스텝에서의 처리는, 도 6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와 같다.
(냉매와 오일(혼합액)의 흐름의 설명)
재차 도 16을 참조하면, 이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냉동 사이클 장치(1C)에서의 냉매 및 오일(혼합액)의 흐름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통상 운전 중은, 조정밸브(84)는 폐쇄가 된다. 따라서 통상 운전시 중, 반유관(82)에 흐름은 발생하지 않고, 냉매 및 혼합액의 흐름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냉동 사이클 장치(1)의 통상 운전 중과 같다.
<압축기(10)가 정지할 때>
압축기(10)의 정지가 지시되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증가시키는 운전 모드가 되어, 조정밸브(84)가 폐쇄로부터 개방이 된다. 그러면, 오일 분리기(80)에서 가스 냉매와 분리된 혼합액이 오일 분리기(80)로부터 반유관(82)에 유입한다. 반유관(82)에 유입한 고온 고압이면서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은, 팽창밸브(30)로부터 출력되는 저온 저압의 가스 냉매 및 저오일농도의 혼합액과 관(94)의 합류부(85)에서의 합류하고, 증발기(40)에 유입한다. 이에 의해,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함으로써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이 증가하는 것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 이상이 되어, 증발기(40) 내에 오일이 충분히 체류한 것이라고 판단되면, 압축기(10)가 정지한다. 또한, 압축기(10)의 정지 중은, 압축기(10) 내에서, 액냉매가 오일에 용해하여, 혼합액의 액면이 상승함과 함께 오일농도가 저하되는 것도,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되면, 증발기(40) 내에 체류하고 있던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압축기(10)에 유입함에 의해 압축기(10) 내의 오일농도가 상승하는 것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의해, 압축기(10) 내의 오일 고갈이 억제되고, 압축기(10)의 동작 신뢰성이 향상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오일 분리기(80)에 의해 분리된 고온 고압이면서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반유관(82)을 통하여 증발기(40)의 입구측에 직접 공급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의 정지 전에,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상승시킴과 함께, 오일 분리기(80)에서 분리된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증발기(40)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 실시의 형태 4에 의하면, 압축기(10)의 정지시에 증발기(40) 내에 윤활유를 체류시켜서,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1]
상기한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오일 분리기(80) 및 반유관(82)이 마련되고,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 조정밸브(84)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이에 더하여, 이 변형례 1에서는,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도 조정밸브(84)를 개방으로 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됨과 함께,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이 증가한다.
즉,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도, 조정밸브(84)가 개방으로 됨으로써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상승한다. 이에 의해, 압축기(10) 입구의 과열도가 상승하고,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된다. 또한, 오일 분리기(80)에 의해 분리된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반유관(82)을 통하여 증발기(40)에 공급되기 때문에,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있어서의 압축기(10)로의 반유량도 증가한다. 이와 같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도 조정밸브(84)가 개방으로 됨에 의해,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되고, 또한, 압축기(10)로의 반유량도 확보된다.
도 18은, 이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1에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할 때에 제어 장치(100C)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 플로우 차트는, 도 9에 도시한 실시의 형태 1의 변형례 3의 플로우 차트에서, 스텝 S120, S160에 대신하여 각각 스텝 S126, S166을 포함한다.
즉, 스텝 S110에서 압축기(10)의 운전이 시작된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10에서 YES), 제어 장치(100C)는, 반유관(82)에 마련된 조정밸브(84)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한다(스텝 S126).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10)에의 액백이 억제되고, 또한, 압축기(10)로의 반유량도 증가한다. 스텝 S126의 실행 후, 제어 장치(100C)는, 스텝 S130으로 처리를 이행한다.
또한, 스텝 S150에서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가 목표치 이상이라고 판정되면(스텝 S150에서 YES), 제어 장치(100C)는, 반유관(82)에 마련된 조정밸브(84)를 폐쇄로 한다(스텝 S166).
또한, 스텝 S126, S166 이외의 기타의 스텝에서의 처리는, 도 9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와 같다.
이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1에 의하면,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 압축기(10)에의 액백을 억제함과 함께, 압축기(10)로의 반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2]
상기한 실시의 형태 4 및 그 변형례 1에서는, 오일 분리기(80)에서 분리된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을, 반유관(82)을 통하여 증발기(40)의 입구측에 공급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이 변형례 2에서는, 오일 분리기(80)에서 분리된 고오일농도의 혼합액이 압축기(10)로 직접 되돌아온다. 이에 의해, 냉매 회로에의 오일이 섞여나오는량을 저감할 수 있고, 압축기(10)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는, 이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2에 따르는 냉동 사이클 장치(1D)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 냉동 사이클 장치(1D)는, 도 16에 도시한 냉동 사이클 장치(1C)의 구성에서, 분기부(86)와, 바이패스관(87)과, 합류부(88)를 또한 구비한다.
분기부(86)는, 반유관(82)에서 오일 분리기(80)와 조정밸브(84)와의 사이에 마련된다. 바이패스관(87)은, 분기부(86)와 관(96)에 마련되는 합류부(88)를 접속한다. 이와 같은 바이패스관(87)이 마련됨에 의해, 조정밸브(84)가 폐쇄로된 통상 운전 중은, 오일 분리기(80)에서 분리된 혼합액이 반유관(82), 분기부(86), 바이패스관(87) 및 합류부(88)를 통하여 압축기(10)로 되돌아온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 4 및 그 변형례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정밸브(84)가 개방으로 되는 경우에도, 오일 분리기(80)에 의해 분리된 혼합액의 일부가 바이패스관(87)을 통하여 압축기(10)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이 실시의 형태 4의 변형례 2에 의하면, 냉매 회로에의 오일이 섞여나오는량을 저감하고, 압축기(10)의 윤활성을 충분히 확보함에 의해 압축기(10)의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각 변형례에서, 압축기(10)의 출구측에, 압축기(10)로부터 출력되는 냉매 및 혼합액을 증발기(40)에 공급하고, 응축기(20)로부터 출력되는 냉매 및 혼합액을 압축기(10)로 되돌리기 위한 4방밸브를 구비하고, 난방 운전, 냉방 운전 및 디프로스트 운전의 선택에 응하여 4방밸브를 적절히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각 변형례에 관해서는,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몇가지의 실시의 형태 또는 변형례를 조합함에 의해, 압축기(10)가 정지하는 경우에는, 증발기(40) 출구의 과열도를 신속하게 높여서 증발기(40) 내의 오일 체류량을 신속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기(10)의 운전 시작시에는, 액백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함과 함께, 압축기(10)로의 반유량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의 형태의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1A∼1D : 냉동 사이클 장치 10 : 압축기
20 : 응축기 22 : 응축기 팬
30 : 팽창밸브 40 : 증발기
42 : 증발기 팬 52 : 압력 센서
54 : 온도 센서 60, 72, 86 : 분기부
62, 87 : 바이패스관 64, 78, 84 : 조정밸브
66, 74, 85, 88 : 합류부 70 : 내부 열교환기
76 : 분기관 80 : 오일 분리기
82 : 반유관 90∼96 : 관
100, 100A∼100C : 제어 장치

Claims (11)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증발시켜서 상기 압축기에 출력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상기 압축기에 출력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고 나서 상기 압축기를 정지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는, 상기 팽창밸브의 개방도를 폐쇄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는, 상기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에 공기를 송풍하는 팬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는, 상기 팬의 회전수를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상기 응축기에 공급하는 제1의 관과,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상기 증발기에 공급하는 제2의 관을 접속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에 마련되는 조정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는, 상기 조정밸브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하는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로부터 출력되는 냉매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출력되는 냉매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도록 구성된 내부 열교환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상기 응축기에 공급하는 제1의 관 및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상기 증발기에 공급하는 제2의 관의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내부 열교환기에 접속되는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에 마련되는 조정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는, 상기 조정밸브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하는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상기 응축기에 공급하는 제1의 관에 마련되는 오일 분리기와,
    상기 오일 분리기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상기 증발기에 공급하는 제2의 관을 접속하고, 상기 오일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윤활유를 상기 제2의 관에 출력하기 위한 제3의 관과,
    상기 제3의 관에 마련되는 조정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는, 상기 조정밸브를 폐쇄로부터 개방으로 하는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관에서의 상기 오일 분리기와 상기 조정밸브 사이의 부분과, 상기 증발기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상기 압축기에 공급하는 제4의 관을 접속하는 바이패스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압축기의 운전을 시작할 때에 상기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10.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냉동 사이클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출력되는 냉매를 증발시켜서 상기 압축기에 출력하는 증발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압축기의 정지가 지시되면, 상기 증발기로부터 상기 압축기에 출력되는 냉매의 과열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제어를 실행하는 스텝과,
    상기 제어의 실행 후, 상기 압축기를 정지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운전 시작이 지시되면 상기 제어를 실행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87011907A 2015-11-20 2015-11-20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032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82787 WO2017085886A1 (ja) 2015-11-20 2015-11-20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285A true KR20180061285A (ko) 2018-06-07
KR102032132B1 KR102032132B1 (ko) 2019-10-15

Family

ID=58718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907A KR102032132B1 (ko) 2015-11-20 2015-11-20 냉동 사이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84046B2 (ko)
EP (1) EP3379168B1 (ko)
JP (1) JP6494790B2 (ko)
KR (1) KR102032132B1 (ko)
CN (1) CN108291744B (ko)
AU (1) AU2015415001B2 (ko)
WO (1) WO20170858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04A1 (ko) * 2020-08-27 2022-03-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9763A1 (ja) * 2016-08-08 2018-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9539401B (zh) * 2018-11-13 2023-09-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及控制方法
CN111854207A (zh) * 2019-04-28 2020-10-30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冷柜设备、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CN111854205A (zh) * 2019-04-28 2020-10-30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冷柜设备、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1024443A1 (ja) * 2019-08-07 2021-02-1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US11821663B2 (en) 2020-07-22 2023-11-21 Purdue Research Foundation In-situ oil circulation ratio measurement system for vapor compression cycle systems
CN113108420B (zh) * 2021-03-30 2022-11-11 深圳市共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控制方法及空调系统
US11841151B2 (en) * 2021-12-01 2023-12-1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in an air conditioner unit
WO2023228323A1 (ja) * 2022-05-25 2023-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9958A (en) * 1992-10-15 1994-12-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JP2000329415A (ja) * 1999-05-14 2000-11-30 Sanyo Electric Co Ltd 冷凍装置の過熱度制御方法、冷凍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1153477A (ja) * 1999-12-02 2001-06-0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装置
JP3339040B2 (ja) * 1992-09-30 2002-10-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12072939A (ja) * 2010-09-28 2012-04-12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装置
JP2013140010A (ja) 2011-09-30 2013-07-18 Daikin Industries Ltd 冷凍装置
JP2014228226A (ja) * 2013-05-24 2014-1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3347A (en) * 1974-08-12 1975-10-21 Raymond F Stevens Superheat control system
JP3820664B2 (ja) 1997-02-17 2006-09-1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10238867A (ja) * 1997-02-28 1998-09-08 Matsushita Refrig Co Ltd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3852591B2 (ja) 2002-09-24 2006-11-2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
CN101666562B (zh) * 2006-03-27 2012-10-17 三菱电机株式会社 冷冻空调装置
JP2011178372A (ja) 2010-03-04 2011-09-15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及びその運転切替方法
EP2722616B1 (en) * 2011-06-14 2020-04-2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 conditioner
JP5240392B2 (ja) 2011-09-30 2013-07-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US9285161B2 (en) * 2012-02-21 2016-03-15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and cycle priming action through capacity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US9797634B2 (en) * 2012-04-27 2017-10-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with low outside air temperature mode
WO2014084343A1 (ja) * 2012-11-30 2014-06-05 サ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6440930B2 (ja) * 2013-06-20 2018-12-19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WO2015045011A1 (ja) * 2013-09-24 2017-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9040B2 (ja) * 1992-09-30 2002-10-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5369958A (en) * 1992-10-15 1994-12-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JP2000329415A (ja) * 1999-05-14 2000-11-30 Sanyo Electric Co Ltd 冷凍装置の過熱度制御方法、冷凍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JP2001153477A (ja) * 1999-12-02 2001-06-08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装置
JP2012072939A (ja) * 2010-09-28 2012-04-12 Sanyo Electric Co Ltd 冷却装置
JP2013140010A (ja) 2011-09-30 2013-07-18 Daikin Industries Ltd 冷凍装置
JP2014228226A (ja) * 2013-05-24 2014-1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604A1 (ko) * 2020-08-27 2022-03-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열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132B1 (ko) 2019-10-15
EP3379168B1 (en) 2020-10-28
WO2017085886A1 (ja) 2017-05-26
CN108291744B (zh) 2020-07-31
EP3379168A1 (en) 2018-09-26
JPWO2017085886A1 (ja) 2018-08-02
JP6494790B2 (ja) 2019-04-03
AU2015415001B2 (en) 2019-08-29
CN108291744A (zh) 2018-07-17
AU2015415001A1 (en) 2018-04-26
US20180283746A1 (en) 2018-10-04
US10684046B2 (en) 2020-06-16
EP3379168A4 (en) 201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1285A (ko) 냉동 사이클 장치
JP6529601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制御方法
US9951974B2 (en) Flash tank economizer cycle control
JP6275283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40290292A1 (en)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JP5355016B2 (ja) 冷凍装置及び熱源機
JP2018200145A (ja) 制御装置、空気調和機及び制御方法
JP2006234363A (ja) スクリュ冷凍装置
JP7154426B2 (ja) 室外ユニット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5279105B1 (ja) 二元冷凍装置の立ち上げ制御方法
JPWO2018229826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017405B1 (ko) 히트 펌프
EP4215841A1 (en) Refrigeration-cycle device, air conditioner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ion-cycle device
JP6588645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7474911B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4012112A (ja) 空気調和機とその制御方法
JP6184156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9168258A (ja) 二元冷凍機
JP2014181878A (ja) 空調装置
JP2020024046A (ja) ヒートポンプ装置
JPH04281164A (ja) 冷凍装置
JPH10232076A (ja) 冷凍装置
KR20140123820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