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499A -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499A
KR20180059499A KR1020187011500A KR20187011500A KR20180059499A KR 20180059499 A KR20180059499 A KR 20180059499A KR 1020187011500 A KR1020187011500 A KR 1020187011500A KR 20187011500 A KR20187011500 A KR 20187011500A KR 20180059499 A KR20180059499 A KR 20180059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erheated steam
opening
steam
steam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요미 요시무라
미츠코 요시무라
츠토무 카노
유키오 히로세
Original Assignee
키요미 요시무라
츠토무 카노
유키오 히로세
미츠코 요시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요미 요시무라, 츠토무 카노, 유키오 히로세, 미츠코 요시무라 filed Critical 키요미 요시무라
Publication of KR2018005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4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04Air-treatment devices for ovens, e.g. regulating hum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05B6/6479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using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식재료에 포함된 영양소가 손상되기 어렵고, 좋지 않은 냄새가 없어지며, 보존성도 우수한 조리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개구부를 가지는 조리고와 해당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조리기로서, 조리고 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한 가열 히터와, 조리고 내에 과열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과열 증기 발생 수단과, 조리고 내에 물을 분무하기 위한 물 분무 수단을 가지며, 상기 조리고 내부가 환원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
[0001] 본 발명은,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0002]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과열 증기에 의해 가열 조리하는 가열 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열 증기를 이용한 종래의 조리기는, 물을 가열하여 얻어진 증기를 조리고(調理庫) 내에 투입하는 도중에, 추가로 히터 등으로 과열시킬 뿐이며, 조리고 내부는 산화 상태로 되어 있다.
산화 상태에서 가열 조리하면, 식재료가 산화되어 영양소가 손상되거나, 좋지 않은 냄새가 남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과열 증기에 의한 조리기로서 먼저 제안한 바 있는데, 본 발명은 추가로 개량한 것이다(특허 문헌 2).
[0003]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4-206377호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4-228202호
[0004] 본 발명은, 식재료에 포함되는 영양소가 쉽게 손상되지 않고, 좋지 않은 냄새가 사라지며, 보존성도 우수한 조리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0005]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는, 개구부를 가지는 조리고와 해당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조리기로서, 조리고 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한 가열 히터와, 조리고 내에 과열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과열 증기 발생 수단과, 조리고 내에 물을 분무하기 위한 물 분무 수단을 가지며, 상기 조리고 내부가 환원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과열 증기에 의한 조리기에 있어서는, 조리고 내에 과열 상태의 증기(스팀)를 단지 투입할 뿐이며, 이 상태에서는 공기 중의 산소가 충만한 산화 상태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조리고 내에 투입된 과열 증기가 조리고 내의 상하에 배치한 가열 히터에 의한 재가열로 과열 증기의 고온이 유지되는 동시에, 소량의 물을 조리고 내에 분무함으로써, 이 물이 증기가 되어, 조리고 내에 발산된다.
이에 의해, 조리고 내의 산소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가운데 활성 상태인 수소가 유효하게 작용하여, 조리고 내부가 환원 상태가 된다.
여기서, 조리고 내의 환원 상태를 더욱 높이려면, 과열 증기 발생 수단은, 원수(原水)에 수소가 함유되어 있는 수소수이고, 상기 조리고 내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의 온도가 4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6] 또한, 종래의 과열 증기형 조리기는,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보일러 부분이나, 발생된 수증기를 과열시키는 과열 장치가 대규모여서, 컴팩트하게 할 수가 없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열 증기 발생 수단은, 바닥부(底部)의 증기 발생부와, 해당 증기 발생부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연결한 증기의 과열부를 가지는 일체형이도록 함으로써, 비약적으로 컴팩트해진다.
여기서, 바닥부의 증기 발생부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만드는 부분이며, 증기의 과열부는 수증기를 400℃ 이상으로 과열된 드라이 스팀으로 만드는 부분이다.
이 두 가지를 일체형으로 하는 형태예로서는, 전체적인 구조를 대략 L자형, 혹은 대략 역T자형으로 하고, 바닥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히터를 배치한 증기 발생부로 하고, 대략 L자형, 대략 역T자형의 상승부에는 상하방향으로 히터를 배치한 과열부로 하는 구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바닥부에서 발생한 증기가 상승부를 통과할 때, 과열 증기로 과열되므로, 매우 컴팩트해진다.
[0007] 조리고 내에서 가열 조리될 때에는, 식재료로부터 가스 성분이 발생하거나, 조리고 내에 분무한 물 등에 의한 가스 성분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리고 내에서 발생한 가스 등을 탈취 및 배기하기 위한 정화 처리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정화 처리 수단은 흐르는 물(流水)과의 접촉부를 가지도록 해도 된다.
[0008]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는, 식재료를 가열 조리할 때, 상기 식재료(식품)에 환원 작용이 일어나, 식품에 포함된 영양소가 손상되기 어려우며, 단맛이 더해지고, 비린내가 사라지고, 부드럽게 완성되며, 보존성이 높아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고 내부가 400℃ 이상, 바람직하게는 450℃ 정도의 고온으로 유지되므로, 조리 시간이 짧고, 가열 편차도 작아지는 효과도 있다.
예컨대, 냉동식품이라 하더라도 그대로 조리고 내에 넣고, 퀄리티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가열 조리할 수 있는 즐거움이 있다.
이에 의해, 종래와 같은 식재료의 예측 해동이 불필요해져, 조리 로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고온 과열 증기가 개개의 식재료를 감싸므로, 식품 개수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조리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조리 조작이 간단하고, 용이하다.
나아가서는, 조리고 내에도 환원 작용이 일어나, 식품의 좋지 않은 냄새를 옮기는 일이 없고, 생선, 고기 등의 독특한 냄새가 옮겨지는 것에 신경쓰지 않고 연속 조리를 할 수 있으며, 조리고 내에 오염이 부착되기 어려워, 청소가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0009]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본체부의 구조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조리고의 내부 등을 투시도로 나타내고 있으며, (b)는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조리고와 도어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그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제어부 내에 조립되어 있는 각 요소 간의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수소수 생성부와 정화 처리부의 구조예를 나타낸 것이다.
[0011]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구조예를, 이하에서는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0012] 조리기(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고(11)와 도어(12)로 형성한 본체부와, 제어부(20)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0)에는, 전원 스위치(22)와 표시 패널(21)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근거하여 본체부에 대해 설명한다.
조리고(1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12)의 도어 본체부(12a)의 하단부가, 힌지부(12d)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2b)를 잡고 안정적으로 개폐하기 쉽도록, 대략 L자형의 가이드 아암(12e)을 도어 본체부(12a)의 양측의 측부 한 쌍에 부착시켜 두었으며, 조리고측의 가이드 구멍(11a)을 따라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형상의 조리대부(13)가 도어(12)의 개폐 조작에 연동하여,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었다 들어갔다 하도록 되어 있다.
조리대부(13)는,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등의 플레이트에 복수의 관통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측의 단부(端部)에 연동 바(13b)가 연결구(連結具)(13c)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한편, 도어 본체부(12a)의 내측에는, 내부가 중공(中空) 상태인 가이드 케이스(12c)가 부착되어 있다.
그 중공부를 따라 연동 바(13b)를 삽입하고, 상기 연동 바(13b)의 양단부를 상기 연결구(13c)를 통해 조리대부(13)에 연결하였으므로, 도어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중공부를 연동 바(13b)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조리대부(13)의 양측의 측부는, 조리고 내에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부(14a, 14b)를 따라 이동한다.
[0013] 조리고(11)의 내부에는, 상부의 가열 히터(15a)와 하부의 가열 히터(15b)가 설치되고, 과열 증기를 조리고 내로 투입하는 과열 증기구(蒸氣口)(18) 및 물을 분무하기 위한 상하의 샤워 노즐(17a, 17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리고(11)의 개구부 주위 및 천판(天板) 내측에 냉각관(16a, 16b)이 배관되어 있다.
조리고(11)의 개구부에 냉각관(16b)을 배관함으로써, 도어가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천판의 내측의 냉각관(16a)은 천판이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0014] 도 3은, 조리고(11)와 제어부 내에 설치한 과열 증기 발생기(30)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동시에, 수소수 생성부(40) 및 정화 처리부(50)와 물 및 가스의 계통도를 나타낸다.
과열 증기 발생기(30)는, 대략 L자형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바닥부는 증기 발생부(31)로 되어 있어, 소정의 수위까지 물을 채우고, 그 부분에 가로 방향으로부터 히터(31a)를 설치하여 가열함으로써, 증기(수증기)를 발생시킨다.
케이스의 바닥부로부터의 상승부는, 과열부(32)로 되어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히터(32a)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바닥부의 증기 발생부에서 발생한 증기는, 상승부에 설치한 히터를 따라 상승할 때 가열되어 과열 증기가 된다.
과열 증기는, 토출구(32b)가 조리고(11)의 과열 증기구(18)와 연결되어 있어, 조리고 내로 토출된다.
수소수 생성부(40)와 정화 처리부(5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는 전자 밸브(V1) 및 수량계(W)를 경유하여 수소수 생성부(40)의 급수구(給水口)(42)로부터 급수된다.
수소수 생성부(40)에는, 수소 발생제(41)가 투입되어 있어, 물과의 접촉에 의해 수소수가 된다.
수소수의 발생에는 전기분해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장치가 대규모가 되므로 세라믹스 등의 수소 발생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이시카와현(石川縣) 카가시(加賀市) 내에서 채취된 광물에는, 물과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수소가 발생하는 광물이 존재하며, 이것을 이용해도 된다.
이 광물은 규조토 5∼15%, 카올리나이트 30∼50%, 벤토나이트 15∼25%, 규산소다 15∼20%, 마그네슘 15∼25%가 포함되어 있다.
[0015] 수소수 생성부(40)에서 생성된 수소수는, 수소가 300∼700ppb 포함되어 있다.
이 수소수는, 공급구(43)와 증기 발생부(31)의 급수구(31b) 사이의 배관을 경유하여, 상기 증기 발생부(31)에 공급된다.
이때 수소수 생성부의 수위가 일정해지도록, 정화 처리부(50)측으로의 유수구(流水口)(44)를 설치하였으므로, 증기 발생부(31)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한, 이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수위계(33)가 설치되어 있다.
수위계(33)는, 증기 발생부의 연결구(31c)와 이어져 있다.
수소수 생성부(40)의 유수구(44)로부터 흘러나온 물은, 정화 처리부(50)와의 칸막이 벽을 따라 흘러내린다.
정화 처리부(50)의 연결구(51a)가 조리고 내의 배기구(19)와 배관 접속되어 있어, 상기 정화 처리부 내로 조리고(11)로부터 발생한 가스 성분이 이송되어 들어간다.
이때 흐르는 물(流水)에 접촉하여, 가스 성분이 정화된다.
정화된 가스는, 배기구(51b, 51c)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배액(排液)은 배액구(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조리고(11)의 바닥부에 모인 물 등도 바닥부 배수구(11b)로부터, 이 배수부(53)를 경유하여 배수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수부는, 전자 밸브(V2, V3)를 통해 조리고측의 상하의 샤워 노즐(17a, 17b)과 배관 접속되고, 전자 밸브(V4)를 통해 냉각 배관(16a, 16b)에 공급되며, 이들의 배수도 상기 정화 처리부(50)를 경유하여 배수된다.
[0016]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식재료(식품)를 그릇에 넣어, 조리대부(13)에 올린 후, 도어(12)를 닫고, 스위치(22)를 ON으로 한다.
과열 증기구(18)로부터 450∼500℃의 과열 증기가 토출되고, 상하의 가열 히터(15a, 15b)에서도 재가열되어, 고온을 유지한다.
또한, 히터의 온도 조절에 의해, 과열 증기를 더욱 고온인 500∼600℃로 재가열할 수도 있다.
그 사이에 상하의 샤워 노즐(17a, 17b)로부터 소정의 간헐 시간을 설정하여, 물을 분무한다.
고온 중에 분무된 물은, 곧바로 증기화되어, 기체로서 조리고 내에 가득 찬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산소 농도가 내려가, 활성 수소가 포함된 환원 분위기가 된다.
표시부(21)에 조리 상태가 표시되고 조리가 완료되면, 그것을 패널에 표시하거나 버저(buzzer)로 표시한다.
이 조리기로 「감자」를 가열 조리하였는데, 약 3∼5분만에, 먹음직스러운 상태로 조리되었다.
다음으로, 생선인 「꽁치」를 조리기에 넣고 가열하였는데, 약 5∼8분만에 구워졌다.
구워진 「꽁치」는, 표면에 수분이 들러붙지 않고, 그릴로 구운 것 이상으로 생선의 악취가 없이, 「바삭하게」 구워졌다.
조리고 내에는, 생선 비린내나, 악취 등은 남아 있지 않았다.
나아가, 다음으로는 스테이크 형상의 소고기를 약 5∼15분간 가열 조리하였다.
통상, 소고기를 철판 등에서 구우면, 크기가 약간 작아지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에서는, 적당한 수증기 중에서 환원 상태로 굽게 되므로, 크기가 변하는 일 없이 구울 수 있었다.
또한, 앞서 조리한 생선의 비린내가, 소고기로 옮겨가는 일도 없었다.
구운 소고기는 몇 일이 지나도 부드러운 채이고, 보존성도 우수하였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0017]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컴팩트하기 때문에, 업무용, 가정용을 불문하고 적용할 수 있으며, 각종 다양한 식재료의 조리가 가능하다.
[0010] 10 : 조리기
11 : 조리고
12 : 도어
12a : 도어 본체부
12b : 손잡이
13 : 조리대부
15a : 가열 히터(상)
15b : 가열 히터(하)
17a : 샤워 노즐(상)
17b : 샤워 노즐(하)
18 : 과열 증기구
19 : 배기구
20 : 제어부
30 : 과열 증기 발생기
31 : 증기 발생부
32 : 과열부
40 : 수소수 생성부
50 : 정화 처리부

Claims (4)

  1. 개구부를 가지는 조리고와 해당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한 조리기로서,
    조리고 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한 가열 히터와,
    조리고 내에 과열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과열 증기 발생 수단과,
    조리고 내에 물을 분무하기 위한 물 분무 수단을 가지며,
    상기 조리고 내부가 환원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 증기 발생 수단은, 원수(原水)에 수소가 함유되어 있는 수소수이며, 상기 조리고 내에 공급되는 과열 증기의 온도가 4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 증기 발생 수단은, 바닥부(底部)의 증기 발생부와, 해당 증기 발생부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연결한 증기의 과열부를 가지는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고 내에서 발생한 가스 등을 탈취 및 배기하기 위한 정화 처리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정화 처리 수단은 흐르는 물(流水)과의 접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KR1020187011500A 2015-09-24 2016-09-14 조리기 KR201800594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6714 2015-09-24
JP2015186714 2015-09-24
PCT/JP2016/077052 WO2017051754A1 (ja) 2015-09-24 2016-09-14 調理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499A true KR20180059499A (ko) 2018-06-04

Family

ID=58386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500A KR20180059499A (ko) 2015-09-24 2016-09-14 조리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295192B2 (ko)
EP (1) EP3354988B1 (ko)
JP (1) JP6835329B2 (ko)
KR (1) KR20180059499A (ko)
CN (1) CN108291722B (ko)
AU (1) AU2016325845A1 (ko)
MY (1) MY190634A (ko)
RU (1) RU2719850C2 (ko)
SG (1) SG11201802330SA (ko)
WO (1) WO2017051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8316266A1 (en) 2017-08-09 2020-02-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JP2019071857A (ja) * 2017-10-18 2019-05-16 勉 加納 軟体水産物のブランチング処理方法及び冷凍保存方法
JP2019075999A (ja) * 2017-10-20 2019-05-23 勉 加納 食材の加熱処理方法
JP6709432B2 (ja) * 2018-01-12 2020-06-17 有限会社情報科学研究所 還元性水蒸気とその製造方法及び抗酸化還元蒸煮法と抗酸化還元煮練法並びにその装置。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20190254476A1 (en) 2019-02-25 2019-08-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6377A (ja) 2014-08-07 2014-10-30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14228202A (ja) 2013-05-23 2014-12-08 広瀬 幸雄 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22338C1 (ru) * 1997-04-08 1998-11-27 Георгий Галиуллович Валее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100402492B1 (ko) * 2000-11-10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히터가열시스템
JP4033264B2 (ja) * 2003-05-06 2008-01-16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3701295B2 (ja) * 2003-05-15 2005-09-28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242925C (zh) * 2004-06-03 2006-02-22 朴宪哲 净水富氢物质及其制备方法、应用
US7353821B2 (en) * 2004-11-24 2008-04-08 Premark Feg L.L.C. Steam oven system having steam generator with controlled fill process
ITMO20060354A1 (it) * 2006-11-03 2008-05-04 Angelo Grandi Cucine Spa Apparato di cottura
CN200968643Y (zh) * 2006-11-09 2007-10-31 梁永健 一种电蒸炉
US8614408B2 (en) * 2009-07-03 2013-12-24 Sharp Kabushiki Kaisha Heating cooking appliance
JP5064520B2 (ja) * 2010-02-03 2012-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高周波調理装置
CN203273984U (zh) * 2013-05-17 2013-11-06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蒸汽微波炉
CN103405142A (zh) * 2013-07-24 2013-11-27 李镇莲 一种烹饪煲具及其烹饪方法
JP2015077265A (ja) * 2013-10-17 2015-04-23 広瀬 幸雄 複数同時調理器
JP6696709B2 (ja) * 2015-11-09 2020-05-20 清己 吉村 牛乳の濃縮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濃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8202A (ja) 2013-05-23 2014-12-08 広瀬 幸雄 調理器
JP2014206377A (ja) 2014-08-07 2014-10-30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4988A4 (en) 2019-04-10
CN108291722B (zh) 2019-10-01
JPWO2017051754A1 (ja) 2018-07-26
US10295192B2 (en) 2019-05-21
WO2017051754A1 (ja) 2017-03-30
EP3354988A1 (en) 2018-08-01
MY190634A (en) 2022-04-28
JP6835329B2 (ja) 2021-02-24
RU2719850C2 (ru) 2020-04-23
US20180209655A1 (en) 2018-07-26
SG11201802330SA (en) 2018-04-27
AU2016325845A1 (en) 2018-04-26
RU2018114905A3 (ko) 2019-12-09
EP3354988B1 (en) 2020-11-04
RU2018114905A (ru) 2019-10-24
CN108291722A (zh)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9499A (ko) 조리기
KR102053571B1 (ko) 다단 취사기의 제어방법
WO2006137418A1 (ja) 過熱蒸気発生装置、過熱蒸気を用いた食品製造方法および加熱方法
TW328519B (en) Gas-containing cooking system
CN109068695A (zh) 食品消毒
KR20110014969A (ko) 냉동식품 해동장치
CN103704742A (zh) 盐水鸭肫
JP2005080788A (ja) 真空蒸気調理機
RU2552439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а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PT95541B (pt) Dispositivo de cozedura de produtos alimentares por meio de banho em liquido quente
JP2009011211A (ja) 熱処理装置
JP6229887B2 (ja) 殺菌装置
KR200391998Y1 (ko) 쑥 사우나기
CN208887417U (zh) 一种新型的蒸汽换热器
JP2004049255A (ja) 電気加熱式の業務用スチーマー
JP2008125427A (ja) 革新的加熱方法とその用途及び装置
CN103719892A (zh) 盐水鸭爪
JP4055676B2 (ja) 蒸煮冷却機
JP2004202223A (ja) 食品機械の消毒方法
CN109820028A (zh) 一种便于清洗的鸭蛋高温蒸煮杀菌装置
JP2015130824A (ja) 殺菌装置
CN1322900C (zh) 小型节能杀菌锅装置
JP3038431B2 (ja) 麺類茹で装置
KR20150122546A (ko) 만능 가공 시스템
US1768560A (en) Can-hea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