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546A - 만능 가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만능 가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546A
KR20150122546A KR1020140049016A KR20140049016A KR20150122546A KR 20150122546 A KR20150122546 A KR 20150122546A KR 1020140049016 A KR1020140049016 A KR 1020140049016A KR 20140049016 A KR20140049016 A KR 20140049016A KR 20150122546 A KR20150122546 A KR 20150122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rotor
unit
processe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탁
Original Assignee
강성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탁 filed Critical 강성탁
Priority to KR102014004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2546A/ko
Publication of KR20150122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5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26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irradiation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능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만능 가공 시스템의 구성은 내부에 가공 대상물이 투입되기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면에는 가공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가 구비된 케이싱(10); 가공 대상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윙(22)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로테이션 유닛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가공 대상물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로터(20); 상기 로터(20)에 장착된 상기 가공 대상물에 가공을 위한 유효 성분을 공급하도록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된 성분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만능 가공 시스템{All-powerful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만능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소, 과일, 육류, 생선과 같은 모든 종류의 식품 등과 같이 가공이 필요한 것이라면 모두 광범위하게 가공할 수 있는 새로운 만능 가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정크기의 덩어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과일(예를 들면, 사과나 배)이나 식물(예를 들면 감자나 당근)의 경우, 그 가공방법이 상당히 제한적인 것이어서, 이와 같은 덩이 형태의 과일이나 식물들에 대해 색다른 형태로의 2차가공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이들은 어쩔 수 없이 이미 널리 알려진 단순 조리 형태로 가공되어 가공식품으로서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그 형태 변화가 불가능하게 되는 덩이 형태의 과일이나 식물을 2차 가공하여 하나의 독특한 미감을 갖는 가공식품으로서 소비자에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2차 가공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밖에 없게 되므로, 이는 독특한 미감을 갖는 가공식품으로서의 제품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와 함께 일일이 작업자의 손을 빌어 작업이 이루어져야만 하는데 따른 위생상의 문제도 있는 것이다. 덩어리 형태의 과일(귤, 사과, 배 등)을 얇게 슬라이스 가공(얇게 저미는 가공)을 한 다음 건조시켜서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생선, 쇠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등은 소스(양념)를 첨가하여 굽거나 익혀서 먹게 되는데, 이 경우 음식물의 특성에 따라 소스 속에 음식물을 담근 후 일정시간이 지난후 즉 약념이 골고루 침투한 후에 구워서 먹거나, 소스를 음식물 외표면에 바른후에 즉석에서 굽거나 익혀서 먹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소스가 음식물 내면까지 골고루 침투하지 못하여 소스를 통한 음식물의 맛이 일정하지 못하거나 최초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스를 절이거나 소스를 외표면에 발라서 굽게 되면, 강한불로 인해 소스가 타게 되고, 이것을 섭취하게 되면 건강에 이롭지 못한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사람들은 화식, 즉, 열간 가공에 의해 익혀 먹는 식생활을 하므로, 대부분의 식품이 열간 가공된다. 또한, 요즈음에는 식생활 패턴이 개별적인 주방에서의 요리에 의존하기보다는 대형 설비를 이용하여 대량 가공된 식료품에 의존하는 경향이 점점 강화되고 있다. 흔히 이용되는 열간 가공법의 하나로는 습기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익히는 이른바 '굽기 또는 볶기'가 있다. 주방에서의 볶음시에는 미열이 가해지는 솥이나 냄비 속에서 손으로 잘 저어가면서 볶는다. 그러나, 대량의 식품을 굽거나 볶기 위한 경우에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젖기가 곤란하다. 그러므로, 대형 솥 속의 식품을 중심축의 둘레로 선회하는 몇 개의 날개에 의해 저어주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래식 설비는 제대로 뒤섞어주지 못하므로, 식품의 일부가 눋거나 타는 경우가 있었으며, 가장 큰 단점은 젖기를 제외한 모든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공개특허 특1999-0042842호(1999.06.15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4-0108204호(2004.12.23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867198호(2008.10.30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채소, 과일, 육류, 생선과 같은 모든 종류의 식품 등을 비롯하여 가공이 필요한 것이라면 모두 광범위하게 가공할 수 있는 새로운 만능 가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가공 대상물이 투입되기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면에는 가공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구비된 케이싱; 가공 대상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윙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로테이션 유닛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가공 대상물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로터; 상기 로터에 장착된 상기 가공 대상물에 가공을 위한 유효 성분을 공급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된 성분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성분 공급부는, 상기 로터에 장착된 채반 내부의 가공 대상물에 수파쇄된 물분자를 공급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 상기 가공 대상물에 일반 세척용 물을 공급하는 일반수 노즐; 상기 가공 대상물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버블 노즐과 상기 일반수 노즐 및 상기 증기 노즐이 워터 노즐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분 공급부는, 상기 로터에 장착된 채반 내부의 가공 대상물에 항온 항습 제습을 위한 기류를 공급하는 기류 공급부; 상기 가공 대상물의 살균을 위한 살균 램프부; 상기 가공 대상물에 원근 적외선 공급을 위한 원근 적외선 공급부; 상기 가공 대상물에 양념류의 성분을 공급하는 소스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워터 노즐 어셈블리와 상기 기류 공급부와 상기 살균 램프부와 상기 원근 적외선 공급부 및 상기 소스 공급부는 각각 상기 로터와 마주하는 선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에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부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워터 노즐 어셈블, 상기 기류 공급부, 상기 살균 램프부와 상기 원근 적외선 공급부 및 상기 소스 공급부를 구획하는 각각의 하우징마다 상기 도어가 구비되어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워터 노즐 어셈블리, 상기 기류 공급부, 상기 살균 램프부, 상기 원근 적외선 공급부 및 상기 소스 공급부는 상기 로터를 기준으로 양쪽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에 채반에 담겨져 장착된 가공 대상물의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서 가공 성분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터는 전단부에 후단부에 보강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보강 서포터는 중앙부의 보강 서포트판이 상기 로터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 서포트판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포트 아암편이 상기 로터의 방사 방향으로 분기된 각각의 서포트윙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터의 중심부에 구비된 샤프트는 중공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전면과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는 냉각수 배관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 배관에 냉각수 공급장치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된 바텀판; 상기 바텀판의 아래에 구비된 화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텀판에는 화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화기공은 차폐판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텀판은 상기 케이싱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바텀판에는 플로우 가이드홈이 더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된 기류 순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류 순환장치는 상기 케이싱에 구비된 인렛 포트와 아울렛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기류 순환장치는 온풍 유닛의 후단으로는 탈취 유닛과 살균 유닛이 순차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살균 유닛의 후단으로는 제1모드부와 제2모드부가 구획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모드부는 상기 살균 유닛의 후단에서 순차적으로 응축기(46), 증발기(47), 제상 유닛(48)이 구비되고, 상기 제2모드부는 상기 살균 유닛의 후단에서 순차적으로 증발기(47)과 제상 유닛(4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에는 중간의 로터를 기준으로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 기류 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기류 순환장치는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기류 공급부에 연결되며, 상기 기류 공급부와 상기 기류 순환장치 사이의 연결관에는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기류 순환장치와 상기 인렛 포트 및 상기 아울렛 포트 사이의 연결관에 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기류 순환장치와 상기 케이싱 사이의 연결관 상에 구비된 건조룸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룸과 상기 기류 순환장치의 기류 공급단과 상기 건조룸의 유입 포트 사이는 바이패스관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바이패스관에는 두 개의 밸브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싱에는 내부 공간부의 오염성 기류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가공 대상물이 투입되기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면에는 가공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구비된 케이싱과, 가공 대상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윙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케이싱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로테이션 유닛에 의해 회전되면서 가공 대상물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로터와, 이러한 로터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에 가공을 위한 유효 성분을 공급하도록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된 성분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함으로써, 채소, 과일, 육류, 생선과 같은 모든 종류의 식품 등과 같이 가공이 필요한 것이라면 모두 광범위하게 가공할 수 있다는 점이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만능 가공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의 확대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화덕과 차폐판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의 확대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외관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워터 노즐 어셈블리의 구조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워터 노즐 어셈블리의 대향된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도어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로터 고정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기류 순환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만능 가공 시스템은 내부에 가공 대상물이 투입되기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면에는 가공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가 구비된 케이싱(10)과, 가공 대상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윙(22)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케이싱(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로테이션 유닛에 의해 회전되면서 가공 대상물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로터(20)와, 이러한 로터(2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에 가공을 위한 유효 성분을 공급하도록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된 성분 공급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만능 가공할 수 있다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상기 케이싱(10)은 내부에 전면과 후면이 구비되고 전면과 후면 사이에는 가공 대상물(주로 식품)이 투입되어 가공되기 위한 공간부를 구비한 가마 구조이다. 케이싱(10)은 외부 바닥부에 나란한 측벽부가 구비되고, 측벽부의 상단부에는 천정패널(11)이 결합된 구조이다. 측벽부의 상단에 걸침 지지편이 구비되고, 천정패널(11)은 단면 원주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결합 지지편을 구비하여,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 구비된 걸침 지지편에 천정패널(11)의 결합 지지편을 올려놓고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하면 천정패널(11)이 케이싱(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천정패널(11)은 햇빛이 들어올 수 있는 투광성 판으로 구성된다. 천정패널(11)이 햇빛이 통과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 판 구조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의 전면에는 인렛 포트(IP)가 구비되고, 케이싱(10)의 후면에는 아울렛 포트(OP)가 구비된다. 인렛 포트(IP)의 높이에 비해 아울렛 포트(OP)의 높이가 더 높다. 또한, 케이싱(10)의 후면에는 청소구(CH)가 구비된다. 청소구(CH)는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는 막음판으로 막을 수 있으며, 청소구(CH)를 통해 사람이 들어갈 필요가 있을 때에는 막음판을 분리하면 된다. 케이싱(10)의 각 측벽에는 선반이 구비되고, 선반 위쪽에는 케이싱(10) 내외부로 연통된 채반 투입구(12)가 구비된다. 채반 투입구(12)는 케이싱(10) 내부에서 가공 대상물의 가공 도중에 도어(DO)에 의해 밀봉적으로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어(DO)는 상단부가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도어(DO)이든 슬라이딩 레일(SL)에 결합된 슬라이드식 도어(DO)이든 무방하다. 본 발명은 케이싱(10) 내부 공간부에서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질 때에 도어(DO)가 케이싱(10)의 채반 투입구(12)를 밀봉적으로 막을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로터(20)는 중심부에 구비된 샤프트와, 이 샤프트의 둘레부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서포트윙(22)을 포함한다. 서포트윙(22)은 전후면과 선단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상으로서, 서포트윙(22)의 내부에 사각 박스 형상의 채반(2)이 결합된다. 물론, 서포트윙(22)에 결합된 채반(2)은 서포트윙(22)에 구비된 록킹수단에 의해 서포트윙(22)에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록킹수단은 서포트윙(22)에 형성된 록킹핀홀과, 서포트윙(22)에 와이어(28)로 연결되어 록킹핀홀에 끼워지는 록킹핀으로 구성되어, 상기 채반(2)이 서포트윙(22)에 투입된 상태에서 록킹핀홀에 록킹핀이 끼워지면, 록킹핀이 채반(2)의 끝단을 받치고 있기 때문에, 채반(2)이 서포트윙(22)의 선단부측 투입구(12)를 통해 빠지지는 것이 방지된다. 록킹수단은 록킹핀과 록킹핀홀 이외에 채반(2)을 서포트윙(22)에 물어서 고정하는 클램프와 같이 채반(2)이 서포트윙(2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라면 모두 채용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로터(20)는 전단부에 후단부에 보강 서포터(24)에 의해 지지된다. 보강 서포터(24)는 중앙부의 보강 서포트판(24a)이 로터(20)의 중심부에 배치 결합되고 상기 보강 서포트판(24a)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포트 아암편(24b)이 로터(20)의 방사 방향으로 분기된 각각의 서포트윙(22)에 결합된다. 서포트 아암편(24b)은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로터(20)의 각 서포트윙(22) 외측면에 고정된다. 보강 서포트판(24a)의 자체 두께는 로터(20)를 구성하는 각 판들의 두께보다 훨씬 두껍다. 로터(20)를 구성하는 각 판 두께가 1~2mm 정도라면 보강 서포터(24)의 두께는 대략 10mm 정도이다. 상기 로터(20)의 샤프트는 단면 사각으로 이루어져 서포트윙(22)의 기단부가 접합된 아웃터 샤프트와, 이 아웃터 샤프트에 내장된 이너 샤프트로 구성되며, 이너 샤트프가 케이싱(10)의 전면과 후면을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에 베어링 등의 윤활 연결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터(20)의 중심부에 구비된 이너 샤프트는 중공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10)의 전면과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이너 샤프트의 내부에는 냉각수 배관(PL)이 구비되고, 이러한 냉각수 배관(PL)에 냉각수 공급장치가 연결된다. 로터(20)의 중심부 샤프트 내부로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는 구조이다. 물론, 냉각수관은 케이시 외부의 별도의 서포터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반(2)은 둘레부에 내외부로 연통된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복수개의 채반(2)이 로터(20)의 서포트윙(22)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개의 넓은 채반(2)이 로터(20)의 서포트윙(22)에 삽입되기보다는 다수개로 분할된 복수개의 채반(2)이 로터(20)의 서포트윙(22)에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터(20)의 샤프트(이너 샤프트 부분)에는 스프로켓이 구비되고, 스프로켓은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구비된 구동 스프로켓에 체인을 매개로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의 모터축이 회전되면 로터(20)가 중심부의 샤프트를 기준으로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와 구동 스프로켓과 체인 및 상기 이너 샤프트의 스프로켓이 로테이션 유닛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로터(20)의 케이싱(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샤프트는 정지수단에 의해 정지된 상태에서 로터(20)의 각 서포트윙(22)이 케이싱(10)의 채반 투입구(12)와 정렬된 상태(즉, 서포트윙(22) 선단부의 채반(2) 삽입부가 케이싱(10)의 채반 투입구(12)와 만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로터(20)의 이너 샤프트에 구비되며 방사 방향으로 풍차식의 복수개의 바아(27)를 구비한 고정블록(26)과, 이러한 고정블록(26)의 바아(27)와 고정 지지대(예를 들어 지면)에 연결된 고정 와이어(28)(쇠사슬 등)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와이어(28)를 지면 등의 고정 지지대에 연결하면 로터(20)가 돌아가지 않게 되므로, 로터(20)의 각 서포트윙(22)이 케이싱(10)의 채반 투입구(12)와 정렬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고정 와이어(28)를 지면 등에서 고정한 상태를 해제하면 로터(20)가 케이싱(1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정지수단은 풍차형 바아(27)를 구비한 고정블록(26)과 고정 와이어(28) 이외에 로터(20)가 정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은 모두 채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로터(20)에 장착된 상기 가공 대상물에 가공을 위한 유효 성분을 공급하도록 핵심 구성으로서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된 성분 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성분 공급부가 워터 노즐 어셈블리(NA), 기류 공급부(35), 살균 램프부(36), 원근 적외선 공급부(37)를 포함하며, 가공 대상물에 양념류의 성분을 공급하는 소스 공급부(38)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로터(20)는 케이싱(10)에 중앙부의 샤프트(정확하게는 이너 샤프트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싱(10)의 내부 공간부에 장착되되, 케이싱(10)의 양쪽 측벽부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로터(20)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워터 노즐 어셈블리(NA), 기류 공급부(35), 살균 램프부(36), 원근 적외선 공급부(37) 및 가공 대상물에 양념류의 성분을 공급하는 소스 공급부(38)가 로터(20)를 기준으로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로터(20)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 위치(즉, 케이싱(10)의 좌우 양쪽 측벽부)에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하우징(HO) 그룹이 구비된다. 각각의 하우징(HO) 그룹은 케이싱(10)의 측벽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하우징(HO) 그룹은 케이싱(10)의 측벽부에 구비된 워터 노즐 어셈블리(NA)용 하우징(HO)과, 기류 공급부(35)용 하우징(HO), 살균 램프부(36)와 하우징(HO), 원근 적외선 공급부(37)용 하우징(HO), 소스 공급부(38)용 하우징(HO)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HO)들은 각각 로터(20)와 마주하는 선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하우징(HO)들이 로터(20)를 향하는 선단부가 개구되도록 단면 채널 형상으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기류 공급부(35)용 하우징(HO)은 선단부 뿐만 아니라 기단부도 개방부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각각의 하우징(HO)의 선단부측 개방부는 도어(DO)에 의해 개별적으로 개폐된다. 본 발명에서는 각 하우징(HO)의 양단부(즉, 케이싱(10)을 기준으로 전후단)에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플랜지부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HO) 양단부의 플랜지부에는 도어 지지블록(FB)이 결합되어 도어 지지블록(FB)의 체결구 관통홀에 결합된 볼트 등의 체결구를 상기 플랜지부의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주면 도어 지지블록(FB)이 하우징(HO)의 양단부를 막아주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하우징(HO)에는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상하단으로 배치되도록 단면 디귿자 채널 형상의 슬라이딩 레일(SL)이 구비되고, 슬라이딩 레일(SL)은 하우징(HO)과 마찬가지로 케이싱(10)의 전후단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상하부측 슬라이딩 레일(SL)에 도어(DO)의 상하단부를 끼워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하우징(HO)의 선단부측 개방부가 막히게 되며, 도어(DO)가 하우징(HO)의 선단부측 개방부를 막아준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하우징(HO) 양단부에 각각 도어 지지블록(FB)을 결합하면 도어(DO)가 하우징(HO)을 막아주는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지된다.
상기 워터 노즐 어셈블리(NA)는 로터(20)에 장착된 채반(2) 내부의 가공 대상물에 수파쇄된 물분자를 공급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32)과, 가공 대상물에 일반 세척용 물을 공급하는 일반수 노즐(33) 및 가공 대상물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노즐(34)을 포함한다. 상기 워터 노즐 어셈블리(NA)용 한 개의 하우징(HO)에 마이크로 버블 노즐(32)과, 일반수 노즐(33) 및 증기 노즐(34) 총 세 개의 노즐이 한꺼번에 들어가 있다. 마이크로 버블 노즐(32)과, 일반수 노즐(33) 및 증기 노즐(34)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마이크로 버블 노즐(32)과 일반수 노즐(33) 및 증기 노즐(34)은 모두 노즐관에 분사홀이 구비된 구조를 가지며, 마이크로 버블 노즐(32)은 마이크로 버블 발생 장치에 연결관 등을 매개로 연결되고, 일반수 노즐(33)은 일반수 공급장치, 증기 노즐(34)은 증기 발생 장치에 각각 연결관 등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이 분사홀을 개별적으로 개폐하도록 각 분사홀마다 밸브(VA)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워터 노즐 어셈블리(NA)가 케이싱(10)에 내장되는 로터(20)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이 중요하다.
상기 기류 공급부(35)는 로터(20)에 장착된 채반(2) 내부의 가공 대상물에 항온 항습 제습을 위한 기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케이싱(10)의 외부에 있는 기류 순환장치(40)에 배관(PL) 등의 연결수단을 매개로 기류 공급부(35)가 연결될 수 있다. 기류 공급부(35)용 하우징(HO)은 선단부에 기단부에 모두 개방부가 형성되고, 기류 공급부(35)의 하우징(HO)의 상기 개방부들은 케이싱(10)의 측벽부에 형성된 홀과 연통되며, 상기 케이싱(10)의 측벽부 외표면에는 깔떼기가 장착되고, 깔떼기에는 배관(PL)을 통해서 기류 순환 장치에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두 개의 깔데기와 배관(PL)에 의해 케이싱(10) 내부의 양쪽 두 개의 기류 공급부(35)가 기류 순환장치(40)에 연결된다. 상기 기류 순환부와 기류 순환장치(40)를 연결하는 배관(PL)에는 각각 밸브(VA)가 구비된다. 3 포트 분배기의 각 포트 중에서 두 개의 포트와 각각의 깔떼기 사이에 배관(PL)이 연결되고, 각 배관(PL)에 밸브(VA)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살균 램프부(36)는 케이싱(10) 내부에 구비된 하우징(HO)에 살균 램프(36a)가 내장된 구조이다. 살균 램프(36a)는 램프 구동 전원부에 의해 점등되어서 로터(20)에 채반(2)을 매개로 장착된 가공 대상물(식품 등)에 살균 광을 조사하여 살균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살균 램프부(36)도 로터(20)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이 중요하다.
상기 원근 적외선 공급부(37)는 케이싱(10) 내부의 하우징(HO)에 원근 적외선 히터가 내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원근 적외선 히터는 원적외선 물질이 도포된 히터와 근적외선 물질이 도포된 히터가 하우징(HO)의 내부에 같이 내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원근 적외선 발생시에 채반(2)에 담겨서 로터(20)에 수납된 가공 대상물에 대해서 원근 적외선 특성으로 인하여 가공성이 좋아진다.
상기 소스 공급부(38)는 케이싱(10) 내부의 하우징(HO)에 수용된 소스 공급관과, 이 소스 공급관에 구비된 소스 분사홀을 구비하며, 소스 공급관은 케이싱(10) 외부의 소스 저장통에 배관(PL) 등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소스 공급관에 구비된 각각의 소스 분사홀마다 개별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밸브(VA)가 각 분사홀마다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10) 내부의 로터(20)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대향되도록 케이싱(10)의 양쪽 측벽부에 각각 채반 투입구(12)가 구비되고, 상기 채반 투입구(12) 위쪽으로 상기 워터 노즐 어셈블리(NA), 기류 공급부(35), 살균 램프부(36), 원근 적외선 램프부 및 소스 공급부(38)가 위아래로 구비되어, 이러한 워터 노즐 어셈블리(NA), 기류 공급부(35), 살균 램프부(36), 원근 적외선 램프부 및 소스 공급부(38)가 로터(20)를 기준으로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이 구조상으로 상당히 중요하다.
상기 기류 순환장치(40)는 케이싱(10)에 구비된 인렛 포트(IP)와 아울렛 포트(OP)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기류 순환장치(40)는 온풍 유닛(20)의 후단으로는 탈취 유닛(30)과 살균 유닛(42)이 순차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살균 유닛의 후단으로는 제1모드부와 제2모드부가 구획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모드부는 살균 유닛의 후단에서 순차적으로 응축기(46), 증발기(47), 제상 유닛(48)이 구비되고, 상기 제2모드부는 살균 유닛의 후단에서 순차적으로 증발기(47)과 제상 유닛(48)이 구비된다. 상기 기류 순환장치(40)에서 제1모드부와 제2모드부는 별체로 분리될 수 있는 모듈화된 구조를 가진다. 즉, 제1모드부의 응축기(46), 증발기(47), 제상 유닛(48)이 각각 별체로 분리되고 조립될 수 있는 모듈 구조이고, 제2모드부의 증발기(47)과 제상 유닛(48)도 별체로 분리되고 조립될 수 있는 모듈 구조이다.
또한, 상기 기류 순환장치(40)와 케이싱(10)의 전후면 인렛 포트(IP) 및 아울렛 포트(OP) 사이의 연결관에 밸브(VA)가 구비된다. 상기 3 포트 분배기의 나머지 한 개의 포트와 케이싱(10)의 전면에 구비된 인렛 포트(IP) 사이에 배관(PL)이 연결되고, 케이싱(10)의 후면에 구비된 아울렛 포트(OP)와 기류 순환장치(40) 사이에 배관(PL)이 연결됨으로써 케이싱(10)의 내부 공간부도 기류 순환장치(40)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3 포트 분배기를 매개로 연결된 기류 순환장치(40)와 케이싱(10)의 인렛 포트(IP) 사이의 배관(PL)에는 밸브(VA)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10)의 아울렛 포트(OP)와 기류 순환장치(40) 사이의 배관(PL)에도 밸브(VA)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된 바텀판(13)과, 이 바텀판(13)의 아래에 구비된 화덕(16)을 포함한다.
상기 바텀판(13)은 가운데의 플로우 가이드홈(18)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상향 경사진 두 개의 바텀판(13) 포밍패널을 구비한다. 케이싱(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두 개의 바탐판 포밍패널이 좌우 양쪽 위치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고, 두 개의 바텀판(13) 포밍패널의 하단부에는 도랑 형태의 가운데의 플로우 가이드홈(18)이 구비된다. 바텀판(13) 포밍패널이 케이싱(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연장된 판형상이고, 도랑 형태의 플로우 가이드홈(18)도 케이싱(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길게 이어진 오목한 홈 형상이다.
또한, 상기 바텀판(13)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화기공(14)이 형성된다. 화기공(14)은 바텀판(13)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화기공(14)마다 아래 위치에 화덕(16)이 구비된다. 화덕(16)은 케이싱(10)의 측벽부와 나란한 바깥쪽 단부에는 화염 발생장치(17) 투입구(12)가 형성되고, 화염 발생장치(17) 투입구(12)는 도어(DO)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화덕(16)은 내열 벽돌과 같이 화염 발생장치(17)에서 발생하는 화염 열기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단열 기능 및 내열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텀판(13)의 상면에 결합되는 차폐판(15)에 의해 화기공(14)이 개폐될 수 있다. 차폐판(15)은 플랜지부가 있는 원판 형상으로서, 플랜지부에 있는 체결구 관통홀에 결합된 볼트 등의 체결구를 바텀판(13)에 구비된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줌으로써 화기공(14)을 위에서 막아주도록 결합된다. 물론, 상기 차폐판(15)과 바텀판(13)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하여 내열성 패킹이 개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에는 내부 공간부의 오염성 기류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VA)가 구비된다. 케이싱(10)의 성분 공급부의 위쪽에 외부 여유 공간부가 있으며, 외부 여유 공간부에 장착된 밸브(VA)가 케이싱(10)의 내부 공간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밸브(VA)를 열게 되면, 케이싱(10)의 내부 공간부에서 가공 대상물을 가공할 때에 생기는 가스, 연기, 탈취 성분, 습기 등의 오염성 기류가 밸브(VA)를 통해서 빠지도록 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류 순환장치(40)와 케이싱(10) 사이의 연결관 상에 구비된 건조룸(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룸(50)과 기류 순환장치(40)의 기류 공급단과 건조룸(50)의 유입 포트 사이는 바이패스관(54)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바이패스관(54)에는 두 개의 밸브(VA)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류 순환장치(40)의 기류 공급단과 3 포트 분배기 사이의 배관(PL) 상에 2분기 분배기를 설치하여 바이패스관(54)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건조룸(50)의 유입 포트 사이와 케이싱(10)의 아울렛 포트(OP) 사이의 배관(PL) 상에 2분기 분배기를 설치하고, 이러한 2분기 분배기에 바이패스관(54)의 타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두 개의 2분기 분배기를 매개로 기류 순환장치(40)와 건조룸(50) 사이에 바이패스관(54)을 연결하며, 바이패스관(54)에는 두 개의 2분기 분배기 사이에 배치되도록 두 개의 밸브(VA)를 설치한 구조를 취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여 식품류 등에 대한 만능 가공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로터(20)의 각 서포트윙(22)이 케이싱(10)의 채반 투입구(12)에 만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채반 투입구(12)를 통해 로터(20)의 서포트윙(22)마다 채반(2)을 밀어넣는다. 물론, 채반(2)에는 가공 대상물(식품류 등)이 담겨 있는 상태이다. 이때, 케이싱(10)은 채반 투입구(12) 아래에 선반이 있어서 채반(2)을 선반 위에 대고 로터(20)의 서포트윙(22)에 밀어 넣을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로터(20)의 각 서포트윙(22)에 가공 대상물이 담긴 채반(2)을 투입한 다음에는 로테이션 유닛에 의해 로터(20)를 회전시키면, 각 서포트윙(22)이 풍차식으로 돌아가고, 이러한 풍차식으로 돌아가는 로터(20)의 각 서포트윙(22)에 구비된 채반(2) 내부의 가공 대상물에 대해서는 로터(20)를 기준을 케이싱(10)의 내부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 한 쌍의 마이크로 버블 노즐(32), 일반수 노즐(33), 증기 노즐(34), 기류 공급부(35), 살균 램프부(36), 원근 적외선 공급부(37), 소스 공급부(38)가 가동하면서 유효 성분을 공급하게 되므로, 식품류와 같인 가공 대상물에 대한 만능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10)과 로터(20), 마이크로 버블 노즐(32), 일반수 노즐(33), 증기 노즐(34), 기류 공급부(35), 살균 램프부(36), 원근 적외선 공급부(37), 소스 공급부(38)를 포함하는 것을 본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본체만을 가동하거나 본체와 기류 순환장치(40)를 같이 가동하거나 도 13에 도시된 건조룸(50)까지 같이 가동하는 모드로 활용될 수 있다.
<본체의 가동에 의한 가공 모드>
본체만을 가동시키는 가공 모드에서는 케이싱(10)의 아울렛 포트(OP)와 기류 순환장치(40)를 연결하는 밸브(VA), 기류 순환장치(40)와 케이싱(10)의 인렛 포트(IP) 사이를 연결하는 밸브(VA)를 모두 잠근다. 케이싱(10) 내부만을 활용하는 폐회로가 형성된다.
가공 대상물이 식품류인 경우 본체만의 가동 모드에서 로터(20)를 회전시키면서 마이크로 버블 노즐(32), 일반수 노즐(33), 증기 노즐(34)을 통해 각각 마이크로 버블과 일반 세척수와 증기를 가공 대상물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살균 램프부(36), 원근 적외선 공급부(37), 소스 공급부(38)를 가동하여 각각 가공 대상물에 살균 광을 조사하고 원근 적외선을 공급하며 동시에 양념류와 같은 소스를 식품류에 공급함으로써 복합적인 식품류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이크로 버블에 의해 마이크로 버블을 식품류에 공급하면 세척이 마이크로 버블 입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세척 효율이 한층 높아지며 일반 세척수와 증기에 의해서도 가공 대상물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살균 램프부(36)에 의해서는 살균 광을 조사하므로 식품류의 살균 가공이 이루어지며 원근 적외선 공급으로 인하여 식품류의 내부까지 가공이 속속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소스 공급부(38)에서는 이러한 복합적인 가공 작용과 함께 소스를 식품류에 공급하므로 굉장히 좋은 식품류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동시에, 상기 케이싱(10)의 바텀판(13) 아래에 구비된 화덕(16) 내부의 화염 공급장치를 통해서는 열기를 가해서 가공 대상물인 식품류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케이싱(10)의 바텀판(13) 위쪽 공간부에 일정 수위까지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차폐판(15)으로 바텀판(13)의 화기공(14)을 막아준 상태에서 화덕(16) 안의 화염 발생장치(17)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식품류를 가공한다. 바텀판(13) 위의 공간부에 기름을 채워넣고 기름을 끓여서 식품류를 가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의 바텀판(13) 위쪽 공간부에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폐판(15)을 결합시키지 않고 바텀판(13)의 화기공(14)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화염 발생장치(17)의 화염이 화기공(14)을 통해 직접 올라오도록 함으로써 직화 구이 가공을 할 수 있다.
<본체와 기류 순환장치의 동시 가동에 의한 가공 모드>
본체와 기류 순환장치(40)를 동시에 가동하려면 도 12에 도시된 밸브(VA)를 전부 열어서 사용한다. 밸브(VA)를 전부 열어주면 기류 순환장치(40)와 본체의 케이싱(10) 내부 공간 사이가 연결된 회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기류 순환장치(40)를 본체와 함께 가동한다.
본체와 기류 순환장치(40) 동시 가동 모드에서는 케이싱(10)에 구비된 기류 공급부(35)를 통해 기류 순환장치(40)에서 발생하는 유익한 기류가 케이싱(10) 내부의 공간부로 투입되므로, 좋은 기류까지 함께 더해져서 식품류 등에 대한 유익한 기류 조건에서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기류 순환장치(40)에 구비된 제1주댐퍼(46a)를 개방하고 제2주댐퍼(47a)는 닫아놓은 상태에서 기류 순환장치(40)의 팬을 돌려주면, 제1모드부를 구성하는 제상 유닛(48)으로 에어가 지나가면서 제상 유닛(48)에 구비된 히터에 의해 에어가 데워진 다음, 상기 증발기(47)를 지나면서 공기가 차가워진다. 케이싱(10) 내부의 공간부에 차가워진 공기가 투입되는데, 가공 대상물에 대한 저온성 가공이 필요한 경우에 케이싱(10)의 내부 포화 증기나 높아진 온도를 차가워진 공기가 투입되면서 낮추어주게 된다. 저온 건조, 저온 숙성, 저온 가공성이 필요할 때에 케이싱(10) 내부의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질 때에 증발기(47)에서 차가워진 공기를 케이싱(10) 내부에 공급함으로써 의도하는 저온 건조, 저온 숙성 등의 목적을 만족스럽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증발기(47)에서 차가워진 공기가 살균 유닛(42)을 지나서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살균 작용이 일어나고, 상기 탈취 유닛(30)을 지나면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 작용이 일어나며, 이처럼 살균 탈취된 청정한 냉각 에어가 케이싱(10)에 구비된 기류 공급부(35)를 통해서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므로, 케이싱(10) 내부를 항온 항습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한 다른 구성 부분의 복합 작용에 의한 식품류 등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진다. 케이싱(10) 내부의 유해 항온 항습 방해 물질이 사라지고 유익한 기류에 의해서도 식품류 등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기류 순환장치(40)에 구비된 제2주댐퍼(47a)를 개방하고 제1주댐퍼(46a)는 닫아놓은 상태에서 기류 순환장치(40)의 팬을 돌려주면, 제2모드부를 구성하는 제상 유닛(48)을 거쳐서 에어가 지나가면서 제상 유닛(48)에 구비된 히터에 의해 에어가 데워진 다음, 상기 증발기(47)와 응축기(46)를 순차으로 공기가 지나가면서 공기에서 습기가 제거되는 제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증발기(47)와 응축기(46)를 거쳐서 제습이 된 공기가 살균 유닛(42)을 지나서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살균 작용이 일어나고, 상기 탈취 유닛(30)을 지나면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 작용이 일어나며, 이처럼 살균 탈취된 청정한 에어가 상기 케이싱(10)에 구비된 기류 공급부(35)를 통해서 케이싱(10)의 내부 공간부로 투입된다. 케이싱(10) 내부를 제습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한 다른 구성 부분의 복합 작용에 의한 식품류 등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지므로, 케이싱(10) 내부의 유해 제습 물질이 사라지고 유익한 기류에 의해서도 식품류 등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진다. 기류 순환장치(40)에 온풍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온풍 유닛은 히터와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온풍 유닛은 탈취 유닛(471) 앞에 구비될 수 있다.
<건조룸과 기류 순환장치의 가동에 의한 가공 모드>
건조룸(50)과 기류 순환장치(40)만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본체와 건조룸(50) 및 기류 순환장치(40) 사이를 연결하는 밸브(VA)는 모두 잠그고 건조룸(50)과 기류 순환장치(40) 사이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54) 상의 밸브(VA)(즉, 두 개의 밸브(VA))만 개방한다. 그러면, 건조룸(50)과 기류 순환장치(40)만으로 기류가 순환되는 폐회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류 순환장치(40)에서 생성되는 기류가 건조룸(50)에 투입되는데, 건조룸(50)에는 식품류 등의 가공 대상물을 담은 채반(2)을 적재한 대차(52)가 투입될 수 있어서, 대차(52)에 실려있는 식품류 등의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와 건조룸(50)과 기류 순환장치(40)를 모두 연결하여 본체, 건조룸(50) 및 기류 순환장치(40)가 동시에 가동되는 모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본체와 건조룸(50)과 기류 순환장치(40)를 연결하는 밸브(VA)를 모두 개방하면 될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은 로터(20)에 장착된 가공 대상물에 가공을 위한 유효 성분을 공급하도록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된 성분 공급부를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만능 가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기능 내지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로터(20)(회전 로터축) 아래에 준비된 챔버(즉, 케이싱(10)에서 바텀판(13)의 상부측 공간)에 액체성 물질을 투입하여 가공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액체성 물질은 냉수, 온수, 버블수, 오존수 등과 같은 물, 오일, 양념 물질, 항산화 성분, 다양한 식물 추출물, 다양한 유익성 미생물(유산균등이 함유된 액체성 물질)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바텀판(13) 위에 결합된 차폐판(15)이 화기공(14)을 막고, 볼팅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철저하게 밀봉되므로, 액체성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밀봉된 차폐판(15)(덮개) 아래에서는 가스버너, 전기버너, 펠릿버너, 장작 화덕(16) 등이 들어올 수 있다. 화염 발생장치(17)로 가스버너, 전기버너 등을 쓸 수 있는 것이다.
2. 로터(20) 아래에 준비된 챔버에 액체성 물질이 투입되지 않고 운전할 경우에는 챔버의 바텀판(13)의 화기공(14)을 차폐판(15)이 막도록 볼팅되어 있어도 하부열원을 사용하지 않고 운전하는 방법이 있다. 케이싱(10)의 내부 공간부에서만 다른 목적에 의한 상품 생산 시 운전된다. 예를 들어, 하부가 일정한 용기이며, 솥 같은 형태의 구조만으로 사용할 경우에 활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화염 발생장치(17)에서의 화기가 바텀판(13)을 열어서 화기공(14)을 통하여 직접 올라오므로 직화 가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즉, 로터(20) 아래에 구비된 케이싱(10) 내부의 공간부에 액체성 물질이 투입되지 않고 운전할 경우, 케이싱(10)의 내부 바텀판(13)의 화기공(14)이 차폐판(15)으로 막혀 있지 않고 오픈되어 있어서, 화염 발생장치(17)의 직화 열원이 각각의 화기공(14)을 통하여 올라와서 케이싱(10) 내부의 공간부로 직접 전달되어, 상기 로터(20)의 채반(2)에 열원이 직접 전달되어 운전하는 방법이다.
3. 로터(20)를 기준으로 좌우 대향되게 상기 노즐부가 4개의 그룹이며, 그러한 노즐부가 케이싱(10)의 길이 방향(전후면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노즐부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32), 일반수 노즐(33), 증기 노즐(34), 소스 공급 노즐(38a)을 포함한다. 증기 노즐(34)군은 습증기를 포함하는 과열증기 분사 노즐 군이 되고, 일반수 노즐(33)은 일반 세척용 물이나 냉수, 오존수가 함유된 물을 사용하기 위한 노즐 군이며, 마이크로 버블 노즐(32)은 수파쇄에 의한 마이크로버블이 발생되는 노즐군으로서 마이크로 버븐 노즐 군에는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가 구비되며, 일반수 노즐(33)에는 오존수 발생장치 혹은 수돗물과 직결로 연결되며, 냉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냉각장치가 마련된 장치에서 냉각수가 만들어지는 냉각챔버와 연결되며, 증기 노즐(34) 군에는 습증기 보일러 혹은 과열증기보일러 증기 토출구와 연결된다. 또한, 소스 공급 노즐(38a) 군은 양념 성 액체류가 분사되는 노즐이다.
따라서, 로터(20)의 각 서포트윙(22)에 채반(2)이 삽입되고, 채반(2) 전체면에는 천공된 구멍이 구비되어, 소스 공급 노즐(38a) 군에서 분사되는 양념성 소스 액체류가 채반(2) 속 가공품 표면(즉, 식품류 등)에 직접 접촉되므로,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 식품에 의도한 양념을 도포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기체에 가까운 액체성 양념류가 가공품에 직접 안개 모양으로 분사 도포되며, 그 액체성 양념류는 가공품의 맛과 질감 등 식감을 자극하는 소스가 된다. 물론, 소스성 액체류는 다양한 종류로 제조질 수 있다. 또한, 소스 공급 노즐(38a) 군을 특별하게 사용할 경우, 소스 공급 노즐(38a)에 항산화 성분, 피톤치트 등의 성분을 가지는 테르펜, 가공품의 향을 덧 도와주는 향 성분, 다양한 식물류에서 추출한 액상의 성분 등 가공하고자 하는 상품의 고품위 소비자 특성을 살리기 위한 다양한 액체성 분사 물질이 제공되는 장치가 마련되어 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한약재나 산야초 성분의 추출물 혹은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진 다양한 버섯 추출물을 소스 공급 노즐(38a) 군으로부터 분사할 수 있다. 버섯 추출물 이외에 식물의 다양한 허브를 공급할 수도 있고, 블루베리, 복분자, 홍삼, 차가버섯, 상황버섯, 마늘, 등등 다양한 액상의 추출물들도 가공성 성분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4. 마이크로 버블 노즐(32)을 통해서 분사되는 마이크로 버블로 인한 효과도 높다. 살균 주파수가 파동에너지로 전달, 운전될 경우에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32) 군이 가동되어, 마이크로 버블 형태의 물 입자가 이미 케이싱(10)의 내부 공간부에 노출되어 유동되면서 포화 상태로 있을 때, 살균 주파수가 미세한 액체성 물에 직접 조사되면서 살균성 물 상태가 더 많은 케이싱(10) 내의 유해한 균들을 살균하는 특성을 살리게 된다.
5. 워터 노즐 어셈블리(NA), 기류 공급부(35), 살균 램프부(36), 원근 적외선 공급부(37) 및 소스 공급부(38)는 로터(20)를 기준으로 양쪽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20)의 채반(2)에 담겨져 장착된 가공 대상물의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서 가공 성분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처럼 로터(20)의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서 가공 성분을 공급함으로써 가공 성분들이 케이싱(10)의 내부 공간부에서 자기들끼리 충돌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충돌 에너지가 발생함으로 인하여 가공 효율이 7배 내지 10배 정도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워터 노즐 어셈블리(NA), 기류 공급부(35), 살균 램프부(36), 원근 적외선 공급부(37) 및 소스 공급부(38) 등을 포함하는 성분 공급부가 로터(20)를 기준으로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의 중요성이 크다.
6. 워터 노즐 어셈블리(NA), 기류 공급부(35), 살균 램프부(36), 원근 적외선 공급부(37) 및 소스 공급부(38)마다 개별적으로 개폐되는 도어(DO)를 장착하여, 사용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도어(DO)는 닫아놓기 때문에, 가공으로 사용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보호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7. 케이싱(10)의 천정패널(11)(상부 지붕 소재)은 내열성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내열성 강화유리, 석영유리 등 투명성 지붕이 마련되어 태양빛이 조사되어, 챔버 내에 투입되므로, 태양 에너지 조사를 적극 수용할 수 있다. 태양초 고추를 건조할 경우 투광성의 천정패널(11)을 통해 햇빛이 들어오므로 태양초 고추를 가공하는데 만족스러운 효과를 가진다. 즉, 천정패널(11)이 투명상태의 지붕일 때는 태양에너지의 직접 조사에 의한 태양초 고추 생산시 적절히 사용할 수 있어서 더욱 좋다.
8. 로터(20)의 아래에 구비된 케이싱(10)의 공간부에는 바텀판(13)이 구비되되, 바텀판(13)은 가운데의 플로우 가이드홈(18)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대향되게 하향 경사진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가공 대상물의 가공시 생기는 부산물, 예를 들어 오염성 기름과 같은 오염성 물질이 바텀판(13)을 타고 흘러내려와 플로우 가이드홈(18)으로 들어오므로, 플로우 가이드홈(18)에 연결된 밸브(VA)를 열어서 오염성 물질을 빼낼 수도 있고, 식품 가공시에 생기는 필요한 유익 성분, 예를 들어, 다양한 식품성 오일이 경사진 바텀판(13)을 타고 흘러내려와 플로우 가이드홈(18)에 수집되므로, 이처럼 수집된 유익 성분은 케이싱(10) 외부로 빠져나와 밸브(VA)장치를 통해 용기에 담겨지도록 할 수 있다.
9. 기류 순환장치(40)를 병합 사용함으로써, 기류 순환장치(40)에서 생성된 토출 기류가 케이싱(10)의 아래에서 케이싱(10)의 상부부까지 포화된 습증기를 케이싱(10) 아래의 공간부에서 몰아서 상부로 밀고 올라가서 케이싱(10)의 아울렛 포트(OP)를 통해 빠져나오고, 다시 기류 순환장치(40)의 유입 포트에 도착한 습기 또는 오염성 기류를 제거하여, 목적한 기류(즉, 클린한 에어 등)를 만든 다음 다시 기류 순환장치(40)의 기류 공급단을 통해 각각 정해진 부분, 다시 말해, 케이싱(10)의 내부 공간부와 케이싱(10)에 구비된 기류 공급부(35)에 공급된다. 따라서, 케이싱(10) 내부에서 의도한 대로 충분한 제습, 냉각, 열풍, 살균, 탈취, 원적외선, 근적외선 방사 에너지 공급 등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유익한 기류가 케이싱(10)과 기류 순환장치(40) 사이의 계속되는 순환 과정 속에서 계속해서 의도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10. 본 발명에서 열원을 감싸는 화덕(16)은 단열재로 구성되어, 상기 열원, 다시 말해, 화염 발생장치(17)에서 발생된 열이 케이싱(10)의 내부 공간부 상부점으로 향하도록 열원 주변을 열 차단소재(단열재) 등으로 구성된 화덕(16)으로 감싸주므로, 열원에서 발생된 열이 더 이상 불필요하게 다른 곳으로 방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11. 케이싱(10)의 천정 패널(지붕 처마)에 인접한 좌우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밸브(VA)를 설치하여, 케이싱(10) 내의 기류, 연기, 오염성 가스 등을 배출하게 된다. 가공 작업시에 유해 성분의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는 데에 의미가 크다.
12. 소성체 제조시에도 본 발명은 유익하게 활용된다. 소성시 필요온도가 800~1300℃ 정도이기 때문에 소성로의 내부는 세라믹 형태로 고열에 견디어낼 수 있는 소재로 전환될 필요가 있는데, 케이싱(10)의 로터(20) 중심부의 샤프트에 냉각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냉각수 파이프가 구비되어 있어서 소정 온도를 순환하는 냉각수에 의해 충분히 견딜 수 있으므로, 소성체 제조시에도 활용성이 높은 것이다.
13. 본 발명은 본체와 기류 순환장치(40) 및 대차(52)가 다수 준비된 건조룸(5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본체에서 일정 준비된 기류가 사용되고 나면, 남은 에너지를 다시 활용하는 형태가 되며, 본체에서 쓰고 남은 여력의 에너지를, 상기 건조룸(50)에서 모두 사용하고 난 다음 기류 순환장치(40)에 연결되어 제습, 온풍, 열풍, 탈취, 살균, 가습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다시 준비된 기류는 본체로 투입되어 본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본체 챔버 내부에서 충실히 역할을 수행하고 난 후 다시 챔버 외부와 연결된 별도의 건조 챔버 아래 부분 흡입 유로와 연결되어, 남은 에너지 값을 충분히 소진하고 난 후 건조 챔버 상부로 토출되고, 토출되어진 기류는 다시 기류 순환장치(40)로 투입되어, 필요한 새로운 기류를 만들어진 후, 본체에 공급되어 계속 순환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별도의 건조룸(50)(대차(52) 밀집형 건조룸(50))을 제조하여, 기류 순환장치(40) 유로 상에 연결함으로써, 남은 에너지를 재활용하므로, 에너지 사용효율을 극대화하는 생산설비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채반 10. 케이싱
11. 천정패널 12. 투입구
13. 바텀판 14. 화기공
15. 차폐판 16. 화덕
17. 화염 공급장치 18. 플로우 가이드홈
20. 로터 22. 서포트윙
24. 보강 서포터 24a. 보강 서포트판
24b. 서포트 아암편 26. 고정블록
27. 바아 28. 와이어
32. 마이크로 버블 노즐 33. 일반수 노즐
34. 증기 노즐 36. 살균 램프부
36a. 살균 램프 38. 소스 공급부
38a. 소스 공급 노즐 40. 기류 순환장치
50. 건조룸 52. 대차
54. 바이패스관 VA. 밸브
CH. 청소구 IP. 인렛 포트
OP. 아울렛 포트 HO. 하우징
DO. 도어 PL. 배관
SL. 슬라이딩 레일 FB. 도어 지지블록

Claims (14)

  1. 내부에 가공 대상물이 투입되기 위한 공간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측면에는 가공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가 구비된 케이싱(10);
    가공 대상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서포트윙(22)이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로테이션 유닛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가공 대상물이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로터(20);
    상기 로터(20)에 장착된 상기 가공 대상물에 가공을 위한 유효 성분을 공급하도록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된 성분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공급부는,
    상기 로터(20)에 장착된 채반(2) 내부의 가공 대상물에 수파쇄된 물분자를 공급하는 마이크로 버블 노즐(32);
    상기 가공 대상물에 일반 세척용 물을 공급하는 일반수 노즐(33);
    상기 가공 대상물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노즐(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버블 노즐(32)과 상기 일반수 노즐(33) 및 상기 증기 노즐(34)이 워터 노즐 어셈블리(NA)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공급부는,
    상기 로터(20)에 장착된 채반(2) 내부의 가공 대상물에 항온 항습 제습을 위한 기류를 공급하는 기류 공급부(35);
    상기 가공 대상물의 살균을 위한 살균 램프부(36);
    상기 가공 대상물에 원근 적외선 공급을 위한 원근 적외선 공급부(37);
    상기 가공 대상물에 양념류의 성분을 공급하는 소스 공급부(3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워터 노즐 어셈블리(NA)와 상기 기류 공급부(35)와 상기 살균 램프부(36)와 상기 원근 적외선 공급부(37) 및 상기 소스 공급부(38)는 각각 상기 로터(20)와 마주하는 선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된 하우징(HO)에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HO)의 상기 개방부는 도어(DO)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노즐 어셈블리(NA), 상기 기류 공급부(35), 상기 살균 램프부(36)와 상기 원근 적외선 공급부(37) 및 상기 소스 공급부(38)를 구획하는 각각의 하우징(HO)마다 상기 도어(DO)가 구비되어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노즐 어셈블리(NA), 상기 기류 공급부(35), 상기 살균 램프부(36), 상기 원근 적외선 공급부(37) 및 상기 소스 공급부(38)는 상기 로터(20)를 기준으로 양쪽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20)에 채반(2)에 담겨져 장착된 가공 대상물의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서 가공 성분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20)는 전단부에 후단부에 보강 서포터(24)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보강 서포터(24)는 중앙부의 보강 서포트판(24a)이 상기 로터(20)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 서포트판(24a)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포트 아암편(24b)이 상기 로터(20)의 방사 방향으로 분기된 각각의 서포트윙(2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20)의 중심부에 구비된 샤프트는 중공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10)의 전면과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는 냉각수 배관(PL)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 배관(PL)에 냉각수 공급장치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된 바텀판(13);
    상기 바텀판(13)의 아래에 구비된 화덕(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판(13)에는 화기공(14)이 형성되고, 상기 화기공(14)은 차폐판(15)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판(13)은 상기 케이싱(10)에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바텀판(13)에는 플로우 가이드홈(18)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외부에 구비된 기류 순환장치(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류 순환장치(40)는 상기 케이싱(10)에 구비된 인렛 포트(IP)와 아울렛 포트(OP)에 연결되고, 상기 기류 순환장치(40)는 온풍 유닛(20)의 후단으로는 탈취 유닛(30)과 살균 유닛(42)이 순차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살균 유닛의 후단으로는 제1모드부와 제2모드부가 구획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모드부는 상기 살균 유닛의 후단에서 순차적으로 응축기(46), 증발기(47), 제상 유닛(48)이 구비되고, 상기 제2모드부는 상기 살균 유닛의 후단에서 순차적으로 증발기(47)과 제상 유닛(4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는 중간의 로터(20)를 기준으로 양쪽 대향되는 위치에 기류 공급부(35)가 구비되고, 상기 기류 순환장치(40)는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기류 공급부(35)에 연결되며, 상기 기류 공급부(35)와 상기 기류 순환장치(40) 사이의 연결관에는 밸브(VA)가 구비되고, 상기 기류 순환장치(40)와 상기 인렛 포트(IP) 및 상기 아울렛 포트(OP) 사이의 연결관에 밸브(V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순환장치(40)와 상기 케이싱(10) 사이의 연결관 상에 구비된 건조룸(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룸(50)과 상기 기류 순환장치(40)의 기류 공급단과 상기 건조룸(50)의 유입 포트 사이는 바이패스관(54)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바이패스관(54)에는 두 개의 밸브(V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에는 내부 공간부의 오염성 기류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V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능 가공 시스템.
KR1020140049016A 2014-04-23 2014-04-23 만능 가공 시스템 KR201501225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016A KR20150122546A (ko) 2014-04-23 2014-04-23 만능 가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016A KR20150122546A (ko) 2014-04-23 2014-04-23 만능 가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546A true KR20150122546A (ko) 2015-11-02

Family

ID=5459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016A KR20150122546A (ko) 2014-04-23 2014-04-23 만능 가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25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0599A1 (it) * 2019-07-01 2021-01-01 Santomiele S R L Essiccatore e relativo metodo di essiccazione per frutti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0599A1 (it) * 2019-07-01 2021-01-01 Santomiele S R L Essiccatore e relativo metodo di essiccazione per frutti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76938C (en) Food cooking apparatus and heat storage member
RU225403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KR102109966B1 (ko) 직, 간접 열을 동시에 이용하는 복합구이기
RU2395766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материалов растительного, живот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рыбы и морепродук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WO2005089183A2 (en)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DE2736464A1 (de) Mikrowellen-koch- oder backgeraet
CN102824100B (zh) 一种电动蒸饭器
CN100366165C (zh) 改进的食物加工设备
CN104800873B (zh) 一种全自动消毒柜
JP3659397B2 (ja) 乾燥装置及びその乾燥方法
KR20130030231A (ko) 레토르트 살균장치, 가열장치, 가열살균방법 및 가열처리방법
KR101037366B1 (ko) 게르마늄 원적외선 스팀열원 대류 순환 방식의 인삼 및 마늘 발효장치
KR20150122546A (ko) 만능 가공 시스템
US20230160580A1 (en) Device for heating and/or cooking food
CN112569374A (zh) 一种厨具用杀菌装置及操作方法
KR101730971B1 (ko) 신속 저염김치 제조시스템
CN111329363A (zh) 烘烤箱
DE102014114537B4 (de) Backofen für Grossküchen mit Vorrichtung zum Würzen der Speisen
KR20090003562A (ko) 초소형바베큐장치 및 쇠꼬치구동방법
JPH11253311A (ja) 加熱調理殺菌装置
DE102011017022A1 (de) Gar- und/oder Back- und/oder Grillgerät
CN211459786U (zh) 一种卫生高效的蒸饭车
EP4185174A1 (de) Vorrichtung zum erhitzen und/oder garen von lebensmitteln
CN209092243U (zh) 一种碗碟消毒柜
CN107036135B (zh) 便于清洁的微波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