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312A - 오버 헤드 콘솔, 및 차체 상부 구조 - Google Patents

오버 헤드 콘솔, 및 차체 상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312A
KR20180048312A KR1020170133723A KR20170133723A KR20180048312A KR 20180048312 A KR20180048312 A KR 20180048312A KR 1020170133723 A KR1020170133723 A KR 1020170133723A KR 20170133723 A KR20170133723 A KR 20170133723A KR 20180048312 A KR20180048312 A KR 20180048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verhead console
guiding member
vehicle body
ex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7390B1 (ko
Inventor
하루코 사토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8004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08Sun roof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4Lighting devices embedded in interior trim, e.g. in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4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a single ligh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distributing light among several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preventing the driver from being dazz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spotlighting, e.g. reading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3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extrem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9Light guides with two or more light sources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오버 헤드 콘솔(10)은 광원(22A, 22B)과 도광 부재(23)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 부재(23)는 오버 헤드 콘솔(10)로서, 도중에 굴곡부(34A, 35A, 34B, 35B)를 가지고 상기 입광면(26A, 26B)으로부터 상기 출광면(27)으로 연장되고, 상기 입광면(26A, 26B)에 입사한 광을 상기 굴곡부(34A, 35A, 34B, 35B)에 설치된 반사면(39A, 40A, 39B, 40B)으로 반사하여 상기 출광면(27)에 도달시키는 광로를 내부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입광면(26A,26B) 상의 임의의 점과 상기 출광면(27) 상의 임의의 점과의 사이에 그어질 수 있는 선분에는 상기 도광 부재(23)의 내부만을 통과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오버 헤드 콘솔, 및 차체 상부 구조{OVERHEAD CONSOLE AND VEHICLE-BODY UPPER STRUCTURE}
본 발명은, 오버 헤드 콘솔, 및 오버 헤드 콘솔이 설치된 차체 상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차실의 천정 부분에 장착되는 오버 헤드 콘솔로서, 앞좌석에 앉은 탑승자의 손 부분을 비추는 맵 램프를 구비한 것이 있다. 종래, 맵 램프 부착의 오버 헤드 콘솔로서,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0-132047호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도 16에, 동(同) 문헌에 기재된 오버 헤드 콘솔의 맵 램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 문헌에 기재된 오버 헤드 콘솔은, 차실에 노출되는 의장면을 구성하는 커버(50)에, 깔때기 형상의 내면을 가진 개구(51)를 설치함과 함께, 그 개구(51)의 가장 안쪽부에 렌즈(52)를, 렌즈(52)의 안측의 부분에 광원(53)을, 각각 배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오버 헤드 콘솔에서는, 맵 램프의 광원(53)이, 렌즈(52)를 통과하여 외부로부터 보이기 때문에, 동 광원(53)이 발하는 눈이 부신 광이 눈에 들어가, 탑승자가 눈이 부시다고 느끼는(눈부심이 발생한다) 경우가 있다. 상기 오버 헤드 콘솔에 있어서, 광원(53)을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개구(51)를 크게 패이게 할 필요가 있고, 그러한 경우에는, 오버 헤드 콘솔의 의장면에 깊은 패임이 생겨 버려, 의장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광원에 의한 눈부심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는 오버 헤드 콘솔 및 차체 상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한 차실의 천정 부분에 장착된 오버 헤드 콘솔은, 상기 오버 헤드 콘솔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과; 도광 부재(23)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 부재는, 상기 광원의 발광면과 대향된 입광면과, 상기 오버 헤드 콘솔의 외부로 노출된 출광면을 가짐과 함께, 도중에 굴곡부를 가지고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상기 출광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입광면에 입사한 광을 상기 굴곡부에 설치된 반사면으로 반사하여 상기 출광면에 도달시키는 광로를 내부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입광면 상의 임의의 점과 상기 출광면 상의 임의의 점과의 사이에 그어질 수 있는 선분에는 도광 부재의 내부만을 통과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오버 헤드 콘솔에서는, 광원이 발한 광이, 입광면으로부터 도광 부재의 내부에 입사하고, 도광 부재의 내부를 통과하여 출광면으로부터 외부에 조사된다. 매질의 내부를 투과하는 광은 산란하기 때문에, 광원의 광을, 도광 부재를 통과하여 외부에 조사하도록 하면, 출광면에 도달하는 광의 광도 분포가 균일해진다. 즉, 맵 램프 점등 중의 출광면의 휘도 분포의 피크가 낮아진다. 따라서, 내부에 형성되는 입광면으로부터 출광면까지의 광로가 충분한 길이가 된 도광 부재를 설치하면,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까지, 출광면의 휘도 분포의 피크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도광 부재를, 굴곡부를 가지지 않는, 곧은 형상으로 한 경우, 편평한 형상의 오버 헤드 콘솔의 내부에는, 충분한 길이의 광로를 내부에 형성할 수 있는 만큼의 길이를 가진 도광 부재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오버 헤드 콘솔에 설치된 도광 부재는, 도중에 굴곡부를 갖고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 부재는, 입광면 상의 임의의 점과 출광면 상의 임의의 점과의 사이에 그을 수 있는 선분에는 동 도광 부재의 내부만을 통과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형상, 즉 입광면과 출광면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광로를 내부에 형성할 수 없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도광 부재에서는, 입광면에 입사한 광이, 동 도광 부재의 형상에 맞추어 굴곡진 경로를 통과하여 출광면에 도달하게 된다. 그 때문에, 편평한 오버 헤드 콘솔의 내부에도, 내부에 형성되는 입광면으로부터 출광면까지의 광로가 충분히 긴 도광 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출광면을 외부로부터 보이기 어렵게 하지 않아도, 광원에 의한 눈부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눈부심 방지 대책을 위해 오버 헤드 콘솔의 외관 의장의 자유도가 손상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상기 오버 헤드 콘솔에 의하면, 광원에 의한 눈부심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태양에 있어서, 상기 오버 헤드 콘솔의 내부에는,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발광면 상의 임의의 점과 상기 출광면 상의 임의의 점과의 사이에 그을 수 있는 선분 중, 상기 입광면을 통과하지 않는 선분의 전부와 교차하는 격벽이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이라도, 광원의 누설 광에 의한 출광면의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을 설치하면, 광원의 누설 광이, 동 격벽에 의해 차단되어, 출광면에 직접 도달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동 누설 광의 출광면으로부터의 출사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광원은, 발광면으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확산되도록 광을 발한다. 입광면이 평면이면, 동일한 방사 형상의 확산을 가진 채, 도광 부재 내에 광이 입사한다. 그 때문에, 도광 부재 내에 입사한 광의 대부분이, 입광면으로부터 굴곡부의 반사면에만 반사하여 출광면에 이르는 광로를 벗어나 산일(散逸)되어 버려, 맵 램프의 조도가 저하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입광면은, 볼록하게 구부러진 면이라도 된다. 상기 구성으로 하면, 동 입광면에 입사 후의 광속(光束)의 확산을, 나아가서는 맵 램프의 조도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개의 광원만으로는, 출광면의 전체를 충분한 밝기로 빛나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1개의 광원만으로는, 필요한 조도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단일의 상기 출광면에 대하여 상기 광원이 복수 설치되고, 상기 도광 부재에는, 복수의 광원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입광면이 개별로 설치되어도 된다.
한정된 범위에 광을 조사하는 맵 램프에서는, 출사광의 지향성이 강하고, 점등 중에도 동 맵 램프의 조사 범위 외에는 거의 광이 출사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주위의 밝기에 따라서는, 맵 램프의 조사 범위 외로부터 출광면을 보았을 때에, 맵 램프의 점등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에 대해서는, 상기 출광면은, 상기 출광면의 정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대하여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평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컷트면부를 가져도 된다. 이러한 경우, 평면부를 통과하여 맵 램프의 조사 범위 내에 광을 출사하는 한편으로, 동 맵 램프의 조사 범위 외의 방향에도, 컷트면부를 통과하여 광을 출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점등의 유무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관한 차체 지붕부를 구성하는 차체 상부 구조는, 광원이 내부에 설치되어 차실의 천정 부분에 장착된 오버 헤드 콘솔을 포함한다. 상기 오버 헤드 콘솔은, 상기 광원의 발광면과 대향된 입광면과, 상기 오버 헤드 콘솔의 외부에 노출된 출광면을 가짐과 함께, 도중에 굴곡부를 갖고 상기 입광면으로부터 상기 출광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입광면에 입사한 광을 상기 굴곡부에 설치된 반사면으로 반사하여 상기 출광면에 도달시키는 광로를 내부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입광면 상의 임의의 점과 상기 출광면 상의 임의의 점의 사이에 그어질 수 있는 선분에는 상기 도광 부재의 내부만을 통과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도광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출광면은, 차량의 앞좌석의 등받이의 위치보다도 차체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출광면보다도 차체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광 부재를 구비하는 오버 헤드 콘솔에서는, 광원이 발한 광이, 도광 부재 내의 굴곡진 경로를 통과하여 외부로 출사된다. 그 때문에, 편평한 오버 헤드 콘솔의 내부에, 내부에 형성되는 입광면으로부터 출광면으로의 광로의 길이가 충분히 긴 도광 부재를 설치하고, 그 도광 부재 내에서의 광의 산란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출광면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탑승자가 출광면을 보았을 때에, 눈부시다고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한편, 도광 부재의 입광면에 입사하지 않은 광원의 누설 광이 출광면을 통과하여 탑승자의 눈에 닿으면, 탑승자로부터 본 출광면의 휘도에 불균일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차체 상부 구조에서는, 차체에 장착된 상태의 경우, 차량의 앞좌석의 등받이의 위치보다도 차체 전방으로 출광면을 위치시켜, 출광면보다도 더욱 차체 후방에 광원을 위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광원으로부터 출광면을 통과하여 차실로 출사하는 누설 광의 방향이, 출광면으로부터 보아, 앞좌석에 앉은 탑승자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이 된다. 그 때문에, 앞좌석에 앉은 탑승자가 출광면을 본 경우에, 광원의 누설 광에 의한 동 출광면의 휘도 불균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며,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오버 헤드 콘솔의 일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오버 헤드 콘솔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차체 상부 구조의 일 실시 형태를 차체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차실 내에 있어서의 동 오버 헤드 콘솔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 도면이다.
도 3(b)는, 동 차체 상부 구조를 차체 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차실 내에 있어서의 동 오버 헤드 콘솔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 도면이다.
도 4는, 커버를 벗긴 상태의 동 오버 헤드 콘솔에 있어서의 맵 램프의 광원 및 도광 부재의 설치 부분 주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동 오버 헤드 콘솔에 있어서의 맵 램프의 구성 부품인 도광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6-6선을 따른 동 오버 헤드 콘솔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6-6선을 따른 상기 도광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8-8선을 따른 상기 도광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광 부재의 출광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10-10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도광 부재 내의 광의 진행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굴곡부를 가지지 않는 도광 부재의 단면 구조를, 상기 실시 형태의 오버 헤드 콘솔에 설치된 도광 부재의 단면 구조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입광면이 평면의 경우의 광원으로부터 도광 부재로의 광의 입사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입광면이 볼록하게 구부러진 면이 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으로부터 도광 부재로의 광의 입사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상기 도광 부재의 출광면으로부터의 광의 출사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는, 도광 부재의 출광면의 면 구성을 변경한 오버 헤드 콘솔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출광면의 평면도이다.
도 15(b)는, 도광 부재의 출광면의 면 구성을 변경한 오버 헤드 콘솔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출광면의 평면도이다.
도 15(c)는, 도광 부재의 출광면의 면 구성을 변경한 오버 헤드 콘솔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출광면의 평면도이다.
도 15(d)는, 도광 부재의 출광면의 면 구성을 변경한 오버 헤드 콘솔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출광면의 평면도이다.
도 15(e)는, 도광 부재의 출광면의 면 구성을 변경한 오버 헤드 콘솔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출광면의 평면도이다.
도 15(f)는, 도광 부재의 출광면의 면 구성을 변경한 오버 헤드 콘솔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출광면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오버 헤드 콘솔에 있어서의 맵 램프 주변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오버 헤드 콘솔, 및 차체 상부 구조의 일 실시 형태를, 도 1∼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에서는, 차체 상부 구조, 또는 동 차체 상부 구조에 장착된 상태의 오버 헤드 콘솔에 있어서, 차체 전방이 되는 방향을 화살표 FW로, 차체 후방이 되는 방향을 화살표 RR로, 차체 좌방이 되는 방향을 화살표 LH로, 차체 우방이 되는 방향을 화살표 RH로, 차체 상방이 되는 방향을 화살표 UP로, 차체 하방이 되는 방향을 화살표 DW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오버 헤드 콘솔에 있어서, 차체 상부 구조에 장착되었을 때에 차체 전방, 차체 후방, 차체 좌방, 차체 우방, 차체 상방, 차체 하방이 되는 측을 각각, 당해 오버 헤드 콘솔의 전측, 후측, 좌측, 우측, 상측, 하측이라고 기재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 헤드 콘솔(10)의 박스체는, 차체의 지붕부를 구성하는 차체 상부 구조에의 장착시에 차체의 천정 부분에 고정되는 기부(基部)(11)와, 동 기부(11)의 하측에 장착된 커버(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커버(12)는, 오버 헤드 콘솔(10)에 있어서의, 차실에 면하는 의장면을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부(11) 및 커버(12)는, 차실의 천정 부분과 동일한 계열의 색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12) 전측의 부분 중, 좌우 양측의 부분에는, 약간 패인 오목부(13L, 13R)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오목부(13L)에는, 왼쪽 앞좌석에 앉은 탑승자의 손 부분을 비추는 좌측의 맵 램프의 출광구가 되는 개구(14L)가, 우측의 오목부(13R)에는, 오른쪽 앞좌석에 앉은 탑승자의 손 부분을 비추는 우측의 맵 램프의 출광구가 되는 개구(14R)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개구(14L, 14R)는, 대략 긴 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커버(12)에는, 맵 램프의 조작 스위치 등의 스위치류(15)나, 선글래스 등을 수용하는 유리 케이스(16) 등이 장착되어 있다.
도 3(a), 도 3(b)에, 차체 상부 구조(20)에 있어서의 오버 헤드 콘솔(10)의 장착 위치를 나타낸다. 오버 헤드 콘솔(10)은, 차체 상부 구조(20)에 있어서의 차실(19)측의 부분, 즉 차실(19)의 천정 부분(20A)에 장착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상부 구조(20)에 있어서 오버 헤드 콘솔(10)은, 차량의 앞좌석(17)의 등받이(18)의 위치보다도 차체 전방에 위치하도록, 차실(19)의 천정 부분(20A)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오버 헤드 콘솔(10)의 커버(12)에 설치된 상기 좌우의 개구(14L, 14R)는, 차체 장착시에, 앞좌석(17)에 앉은 탑승자의 헤드부보다도 차체 전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상부 구조(20)에 있어서 오버 헤드 콘솔(10)은, 차실(19)의 천정 부분(20A)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중앙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개구(14L)로부터는, 좌측의 앞좌석(17)에 앉은 탑승자의 손 부분을 향하여 광이 조사되고, 우측의 개구(14R)로부터는, 우측의 앞좌석(17)에 앉은 탑승자의 손 부분을 향하여 광이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오버 헤드 콘솔(10)에 설치된 맵 램프의 구조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좌측의 맵 램프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우측의 맵 램프도, 구성부품의 형상이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는 것 이외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는, 커버(12)를 떼어낸 상태의, 오버 헤드 콘솔(10)의 왼쪽 전측의 부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동 도면에 나타나는 부분은, 커버(12)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좌측의 개구(14L)의 주변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 헤드 콘솔(10)의 내부에는, 개구(14L)의 위치로부터 동 오버 헤드 콘솔(10)의 오른쪽 후측을 향한 위치에, 좌측의 맵 램프용의 광원(22A, 22B)이 2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 오버 헤드 콘솔(10)에서는, 그들의 광원(22A, 22B)으로서, 표면 실장형의 발광 다이오드가 채용되고 있다. 또한, 오버 헤드 콘솔(10)에는, 이들 광원(22A, 22B)이 발한 광을, 개구(14L)로 유도하는 도광 부재(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버 헤드 콘솔(10)의 기부(11)에는, 도광 부재(23)의 주위를 둘러싸는 차폐 부재(24)가 장착되어 있다. 차폐 부재(24)는, 기부(11) 및 커버(12)와 동색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 부재(23)는, 도면 중 하측(차체 장착시에 차체 상방으로 향하는 측)의 부분이 2개로 분기된 형상의 부재이며, 투명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광 부재(23)에 있어서의 2개로 분기된 도면 중 하측의 끝은, 상기 2개의 광원(22A, 22B)의 발광면(25A, 25B)에 각각 대향되는 입광면(26A, 26B)이 되어 있다. 이들 입광면(26A, 26B)은, 볼록하게 구부러진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 부재(23)의 도면 중 상측(차체 장착시에 차체 하방으로 향하는 측)의 끝은, 커버(12)의 개구(14L)를 통과하여 오버 헤드 콘솔(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출광면(27)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광 부재(23)에 있어서의 출광면(27) 근방의 부분에는, 둘레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플랜지부(28)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 부재(23)는, 기부(11) 및 커버(12)와 차폐 부재(24)의 사이에 플랜지부(28)가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오버 헤드 콘솔(1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출광면(27)은, 개구(14L)와 동일하게, 대략 긴 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도광 부재(23)가 오버 헤드 콘솔(10)에 장착되었을 때에, 개구(14L)를 막고, 또한 커버(12)의 의장면에 있어서의 개구(14L)의 주위의 부분과 대략 면일(面一)해진다.
또한, 상기 2개의 광원(22A, 22B)(도 6에는 광원(22A)만을 표시)은, 기부(11)에 장착된 회로 기판(31) 상에 설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31)은, 차광성이 높은 흑색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광 부재(23)는, 오버 헤드 콘솔(10)의 내부에 있어서, 커버(12), 차폐 부재(24), 및 회로 기판(31)에 의해 구획되고, 동 오버 헤드 콘솔(10)의 내부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격리된 수용실(32) 내에 광원(22A, 22B)과 함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광원(22A, 22B)의 광이, 개구(14L)(14R)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차실(19) 내로 누설되어버리는 일이 억제되고 있다.
또한, 차폐 부재(24)에 있어서의, 도광 부재(23)의 입광면(26A, 26B)(도 6에는 입광면(26A)만이 표시) 부근의 부분에는, 수용실(32) 내로 돌출된 격벽(3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격벽(3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원(22A, 22B)의 누설 광의, 출광면(27)으로의 입사를 차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태양에서 오버 헤드 콘솔(10)에 장착된 도광 부재(23)는, 광원(22A)으로부터 입광면(26A)에 입사한 광을 출광면(27)에 있어서의 차체 전측의 부분에 도달시키는 광로, 및 광원(22B)으로부터 입광면(26B)에 입사한 광을 출광면(27)에 있어서의 차체 후측의 부분에 도달시키는 광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7에, 도 4의 6-6선을 따른 도광 부재(23)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광 부재(23)에 있어서, 동 도면에 나타나는 단면이 위치하는 부분은, 광원(22A)으로부터 입광면(26A)에 입사한 광을 출광면(27)에 있어서의 차체 전측의 부분에 도달시키는 광로가 형성되는 부분(이하, 제 1 도광부(29)라고 기재한다)으로 되어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도광부(29)에는, 제 1 굴곡부(34A)와, 동 제 1 굴곡부(34A)와는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는 제 2 굴곡부(35A)와의 2개의 굴곡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도광부(29)에는, 입광면(26A)으로부터 제 1 굴곡부(34A)까지의 입광부(36A)와, 제 1 굴곡부(34A)로부터 제 2 굴곡부(35A)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중간 직선부(37A)와, 제 2 굴곡부(35A)로부터 출광면(27)까지의 출광부(38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광부(36A), 중간 직선부(37A), 및 출광부(38A)는, 입광면(26A)측으로부터 출광면(27)측을 향함에 따라, 굵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광 부재(23)의 제 1 도광부(29)는, 도중에 2개의 굴곡부(34A, 35A)를 갖고 입광면(26A)으로부터 출광면(27)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굴곡부(34A)에는, 입광부(36A)를 통과하여 동 제 1 굴곡부(34A)에 도달한 광을, 중간 직선부(37A)의 연신 방향으로 반사하는 제 1 반사면(39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굴곡부(35A)에는, 중간 직선부(37A)를 통과하여 동 제 2 굴곡부(35A)에 도달한 광을, 출광면(27)을 향하여 반사하는 제 2 반사면(40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도광 부재(23)의 제 1 도광부(29)는, 그 내부를 통과하여 입광면(26A)으로부터 출광면(27)에 이르는 광로로서, 입광면(26A)과 출광면(27)을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광로가 존재하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7에 나타나는 단면에 있어서, 입광면(26A) 상의 임의의 점과 출광면(27) 상의 임의의 점의 사이에 긋는 것이 가능한 선분을 전부 그리면, 동 도면에 해칭으로 나타나는 범위 X가 빈틈없이 칠해지게 된다. 이러한 묘화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도 7에 나타나는 단면에는, 도광 부재(23)의 내부만을 통과하여 입광면(26A)으로부터 곧게 출광면(27)에 도달하는 광로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입광면(26A)과 출광면(27)의 쌍방을 통과하는 단면의 전부에 있어서, 이와 같다고 말할 수 있으면, 도광 부재(23)의 내부만을 통과하여 입광면(26A)으로부터 곧게 출광면(27)에 도달하는 광로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제 1 도광부(29)는, 입광면(26A) 상의 임의의 점과 출광면(27) 상의 임의의 점과의 사이에 그어질 수 있는 선분에는, 도광 부재(23)의 내부만을 통과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8에, 도 4의 8-8선을 따른 도광 부재(23)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광 부재(23)에 있어서, 동 도면에 나타나는 단면이 위치하는 부분은, 광원(22B)으로부터 입광면(26B)에 입사한 광을 출광면(27)에 있어서의 차체 후측의 부분에 도달시키는 광로가 형성되는 부분(이하, 제 2 도광부(30)라고 기재한다)으로 되어 있다.
제 2 도광부(30)는, 상기 제 1 도광부(29)와 동일하게, 제 1 굴곡부(34B) 및 제 2 굴곡부(35B)의 2개의 굴곡부와, 입광부(36B), 중간 직선부(37B) 및 출광부(38B)와, 제 1 반사면(39B) 및 제 2 반사면(40B)의 2개의 반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각 부의 구성은, 중간 직선부(37B)의 길이가, 제 1 도광부(29)의 중간 직선부(37A)보다도 짧은 것 이외는, 제 1 도광부(29)의 것과 대략 동일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제 2 도광부(30)도 제 1 도광부(29)와 동일하게, 도중에 2개의 굴곡부(34B, 35B)를 갖고 입광면(26B)으로부터 출광면(27)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도광부(30)도 제 1 도광부(29)와 동일하게, 입광면(26B) 상의 임의의 점과 출광면(27) 상의 임의의 점의 사이에 그어질 수 있는 선분에는, 도광 부재(23)의 내부만을 통과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도광 부재(23)에서는, 제 1 도광부(29) 및 제 2 도광부(30)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으며, 중간 직선부(37A, 37B), 제 2 굴곡부(35A, 35B), 및 출광부(38A, 38B)의 부분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이에 따라, 도광 부재(23)의 강도, 및 성형성이 확보되고 있다.
도 9에, 도광 부재(23)의 출광면(27)의 평면 구조를, 도 10에, 도 9의 10-10선을 따른 도광 부재(23)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출광면(27)은, 동 출광면(27)의 정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평면부(41)와, 그 평면부(41)에 대하여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져 동 평면부(41)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컷트면부(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출광면(27)의 정면 방향은, 동 출광면(27)을 평탄한 면으로 간주했을 때에 그 면으로부터의 수선(垂線)이 연장되는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의 오버 헤드 콘솔(10)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차체 하방이 출광면(27)의 정면 방향이 된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 헤드 콘솔(10)에서는, 평면부(41)는, 컷트면부(42)를 사이에 끼워 서로 이간해서 설치된, 다수의 육각 형상 또는 삼각 형상의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컷트면부(42)는, 형상, 및 평면부(41)에 대한 경사각이 상이한 복수종의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출광면(27)에 있어서 평면부(41)를 구성하는 부분이, 해칭으로 나타나 있다.
(작용 효과) 계속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오버 헤드 콘솔(10), 및 차체 상부 구조(20)의 작용, 및 그 효과에 대해서 기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 헤드 콘솔(10)에는, 좌우의 맵 램프에 각각 2개의 광원(22A, 22B)이 설치되어 있다. 그들 광원(22A, 22B)이 발한 광은, 도광 부재(23)의 내부를 통과하여, 커버(12)의 개구(14L, 14R)에 설치된 동 도광 부재(23)의 출광면(27)으로 보내지고, 또한, 그 출광면(27)으로부터 차실(19) 내로 출사된다. 이때, 광원(22A)의 광은, 도광 부재(23)의 제 1 도광부(29)를 통과하여 출광면(27)에 있어서의 차체 전측의 부분으로 보내지고, 광원(22B)의 광은, 도광 부재(23)의 제 2 도광부(30)를 통과하여 출광면(27)에 있어서의 차체 후측의 부분으로 보내질 수 있다.
도 11에, 도광 부재(23)의 제 1 도광부(29)에 있어서의 광원(22A)으로부터 차실(19)로의 광의 진행 방법을 나타낸다. 광원(22A)의 발광면(25A)에 의해 발해진 광은, 입광면(26A)으로부터 도광 부재(23)의 내부로 입사한다. 입광면(26A)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입광부(36A)를 지나 제 1 굴곡부(34A)에 도달하고, 그 제 1 굴곡부(34A)에 설치된 제 1 반사면(39A)에서, 중간 직선부(37A)의 연신 방향으로 반사된다. 제 1 반사면(39A)에서 반사된 광은, 중간 직선부(37A)를 지나 제 2 굴곡부(35A)에 도달하고, 그 제 2 굴곡부(35A)에 설치된 제 2 반사면(40A)에서, 출광면(27)을 향하여 반사된다. 제 2 반사면(40A)에서 반사된 광은, 출광부(38A)를 지나 출광면(27)에 도달하고, 그 출광면(27)으로부터 차실(19) 내에 조사된다.
또한, 다른 일방의 광원(22B)의 광도, 입광면(26B)으로부터 도광 부재(23)의 내부에 입사하고, 제 1 굴곡부(34B) 및 제 2 굴곡부(35B)의 2개의 굴곡부를 가진 제 2 도광부(30)를 통과하여, 제 1 반사면(39B) 및 제 2 반사면(40B)에서의 두번의 반사를 거친 후에 출광면(27)에 도달하고, 동 출광면(27)으로부터 차실(19) 내에 조사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 헤드 콘솔(10)에서는, 맵 램프의 출광구가 되는 개구(14L, 14R)가 대략 긴 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러한 개구(14L, 14R)에 배치되는 출광면(27)도 대략 긴 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단일의 광원만으로는, 그러한 출광면(27)의 전체에 광을 보낼 수 없고, 출광면(27)의 휘도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오버 헤드 콘솔(10)에서는, 단일의 출광면(27)에 대하여, 2개의 광원(22A, 22B)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2개의 광원(22A, 22B)에 대하여 각각 개별의 입광면(26A, 26B), 및 도광부(제 1 도광부(29), 제 2 도광부(30))를, 도광 부재(23)에 설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대략 긴 원 형상의 출광면(27)의 전체에 보다 균등하게 광을 보내고, 나아가서는 맵 램프의 조사 부분의 전체를 보다 균등한 밝기로 비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오버 헤드 콘솔(10)에서는, 맵 램프의 광원(22A, 22B)으로서, 발광면(25A, 25B)의 면적이 작고, 동 발광면(25A, 25B)의 휘도가 높은 표면 실장형의 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광원(22A, 22B)의 광을 탑승자가 직접 봐버리면, 눈부시게 느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오버 헤드 콘솔(10)에서는, 광원(22A, 22B)의 광이, 도광 부재(23)의 내부를 통과한 후에 차실(19) 내에 출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의 광은, 도광 부재(23) 내를 통과하고 있는 동안에, 점차 산란한다. 그 때문에, 도광 부재(23)가 충분히 길면, 출광면(27)에 도달하는 광의 광도 분포가 균일해지고, 탑승자가 출광면(27)을 보았을 때의 동 출광면(27)의 휘도 분포의 피크를,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굴곡부를 가지지 않는, 곧은 형상의 도광 부재(S)를 채용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오버 헤드 콘솔(10)은,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부에 있어서의 도광 부재의 설치 스페이스는 한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광 부재를 곧은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오버 헤드 콘솔(10) 내에 설치 가능한 도광 부재의 길이는 한정된 것이 되고, 그러면, 출광면(27)으로의 도달까지 충분히 광을 산란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오버 헤드 콘솔(10)에 설치된 도광 부재(23)는,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광원(22A, 22B)의 광을, 그 굴곡진 형상을 따라 굴곡진 경로를 통과하여 출광면(27)에 도달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편평한 형상의 오버 헤드 콘솔(10)의 내부에도, 입광면(26A, 26B)으로부터 출광면(27)에 이르는 광로의 길이가 충분한 길이가 된 도광 부재(23)의 설정이 가능해 진다. 또한, 이러한 경우, 차실(19) 내에 광이 출사하는 출광면(27)이 외부로부터 보이게 되도, 광원(22A, 22B)의 광에 의한 눈부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출광면(27)을 설치하는 부분을 깊게 패이게 하는 등의 눈부심 방지 대책을 위해 오버 헤드 콘솔(10)의 외관 의장의 자유도가 손상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맵 램프의 광원(22A, 22B)에 의한 눈부심의 발생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오버 헤드 콘솔(10)이 차체 상부 구조(20)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도광 부재(23)의 제 1 도광부(29) 및 제 2 도광부(30)는, 입광면(26A, 26B)으로부터 출광면(27)을 향하여, 차체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연신되어 있으며, 출광면(27)으로부터 차실(19) 내로의 광의 조사 방향도 차체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되어 있다. 한편, 출광면(27)은, 차량의 앞좌석(17)의 등받이(18)의 위치보다도 차체 전방에, 나아가서는 동 앞좌석(17)에 앉은 탑승자의 헤드부보다도 차체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출광면(27)으로부터 차실(19) 내로의 광의 출사 방향은, 출광면(27)으로부터 보아, 앞좌석(17)에 앉은 탑승자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이 되고, 출광면(27)으로부터의 조사광이 탑승자의 눈에 들어오기 어려워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눈부심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다.
그런데, 도광 부재(23)의 입광면(26A, 26B)에 입사하지 않은 광원(22A, 22B)의 누설 광이 출광면(27)을 통과하여 탑승자의 눈에 닿으면, 탑승자로부터 본 출광면(27)의 휘도에 불균일이 발생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오버 헤드 콘솔(10)에서는, 2개의 광원(22A, 22B) 중 1개(22B)는, 출광면(27)보다도 차체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동 광원(22B)으로부터 출광면(27)을 통과하여 차실(19)에 출사하는 누설 광의 방향은, 출광면(27)으로부터 보아, 앞좌석(17)에 앉은 탑승자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이 된다. 따라서, 앞좌석(17)에 앉은 탑승자가 출광면(27)을 본 경우에, 적어도 이 광원(22B)의 누설 광에 의한 동 출광면(27)의 휘도의 불균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다른 일방의 광원(22A)에 대해서도, 광원(22B)보다 조금 차체 전방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동광원(22A)의 누설 광도, 출광면(27)으로부터 보아 앞좌석(17)에 앉은 탑승자가 위치하는 방향에는 거의 출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앞좌석(17)에 앉은 탑승자가 출광면(27)을 보았을 때에, 광원(22A, 22B)의 누설 광에 의해, 동 출광면(27)의 휘도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일은 거의 없다.
또한, 오버 헤드 콘솔(10)에서는, 전술한 격벽(33)을 하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도, 광원(22A, 22B)의 누설 광에 의한 출광면(27)의 휘도 불균일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광원(22A)의 발광면(25A)과 출광면(27)의 사이에, 광을 차단, 반사, 굴절되는 것이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하면, 광원(22A)의 광은, 발광면(25A)으로부터 곧게 출광면(27)에 도달하게 된다. 즉, 이때의 광원(22A)의 광은, 동 단면에 있어서의 광원(22A)의 발광면(25A) 상의 임의의 점과 출광면(27) 상의 임의의 점과의 사이에 그을 수 있는 선분 중 어느 것을 통과하여 출광면(27)에 도달하게 된다.
여기에서, 동 단면에 있어서, 발광면(25A) 상의 임의의 점과 출광면(27) 상의 임의의 점과의 사이에 긋는 것이 가능한 선분을 전부 그리면, 동 도면에 해칭으로 나타나는 범위 Y 및 범위 Z가 빈틈없이 칠해지게 된다. 또한, 동 단면에 있어서, 발광면(25A) 상의 임의의 점과 출광면(27) 상의 임의의 점의 사이에 긋는 것이 가능한 선분 중, 입광면(26A)을 통과하지 않는 선분만을 선택하여 그리면, 범위 Z가 빈틈없이 칠해진다. 따라서, 동 단면에 있어서는, 발광면(25A)과 출광면(27)의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범위 Z를 이분하도록, 광을 차단하는 격벽을 설치하면, 출광면(27)에 도달하는 광원(22A)의 누설 광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원(22A, 22B)의 발광면(25A, 25B) 중 어느 것과 출광면(27)을 통과하는 단면의 전부에 있어서, 상기 범위 Z에 상당하는 범위를 이분하도록, 광을 차단하는 격벽을 설치하면, 도광 부재(23) 내를 통과하지 않고 출광면(27)에 직접 도달하는 광원(22A, 22B)의 누설 광의 전부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오버 헤드 콘솔(10)에서는, 상기 격벽(33)이, 광원(22A, 22B)의 발광면(25A, 25B) 상의 임의의 점과, 출광면(27) 상의 임의의 점과의 사이에 그을 수 있는 선분 중, 입광면(26A, 26B)을 통과하지 않는 선분의 전부와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33)은, 차실(19)의 천정 부분(20A)와 동일한 계열의 색의 수지 재료, 즉 불투명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차폐 부재(24)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격벽(33)을 상기 태양으로 설치함으로써, 도광 부재(23)를 통과하지 않고 출광면(27)에 도달하는 광원(22A, 22B)의 누설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광원(22A, 22B)은, 발광면(25A, 25B)으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확산되도록 광을 발한다. 그 때문에,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광면(26A) (26B)이 평면으로 되어 있으면, 동일한 방사 형상의 확산을 가진 채로, 도광 부재(23) 내에 광이 입사된다. 이러한 경우, 입광면(26A)(26B)으로부터 입사하여 입광부(36A)(36B)를 지나는 광의 대부분이, 동 입광부(36A)(36B)의 연신 방향 이외의 방향을 향하게 되고, 제 1 반사면(39A)(39B) 및 제 2 반사면(40A)(40B)만으로 반사하여 출광면(27)에 도달하는 광로를 벗어나버린다. 그 때문에, 광원(22A, 22B)이 발한 광의 대부분이, 출광면(27)에 도달하기 전에 산일되어 버려, 맵 램프의 조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오버 헤드 콘솔(10)에서는,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광면(26A)(26B)이 볼록하게 구부러진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입광면(26A)(26B)의 끝측을 향할수록, 입광면(26A)(26B)으로의 광의 입사각이 얕아지고, 입광면(26A)(26B)에서의 광의 굴절이 커진다. 그 때문에, 입광면(26A)(26B)으로부터 도광 부재(23) 내로 입사한 광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입광면(26A)(26B)을 볼록하게 구부러진 면으로 하면, 도광 부재(23) 내를 통과하여 출광면(27)에 도달할 때까지의 광의 산일을, 나아가서는 그 산일에 의한 맵 램프의 조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 헤드 콘솔(10)의 맵 램프는, 출광면(27)으로부터 보아, 탑승자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위의 밝기에 따라서는, 점등, 소등의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평면부(41)와 컷트면부(42)에 의해 출광면(27)을 구성함으로써, 점등, 소등의 확인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도 14에, 오버 헤드 콘솔(10)에 있어서의 출광면(27)으로부터의 광의 출사 태양을 나타낸다. 평면부(41)에 대하여 경사진 면에 의해 구성된 컷트면부(42)로부터는, 평면부(41)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광이 출사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출광면(27)에서는, 평면부(41)를 통과하여 맵 램프의 조사 범위 내에 광을 출사하는 한편으로, 동 맵 램프의 조사 범위 외의 방향에도 컷트면부(42)를 통과하여 광을 출사할 수 있고, 점등의 유무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출광면(27)에 있어서의 평면부(41)와 컷트면부(42)의 면적 비율은, 맵 램프의 조사 부분의 조도가 충분히 확보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또한, 평면부(41)나 컷트면부(42)를 구성하는 각 면의 형상이나 배치, 크기, 각도는, 맵 램프의 점등시에 동 출광면(27)이 아름답게 빛나 보이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출광면(27)에 있어서의 평면부(41) 및 컷트면부(42)의 면 구성은, 적절하게 변경해도 된다. 도 15(a)∼도 15(f)에, 그러한 출광면의 면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5(a)의 변형예의 출광면은, 직사각 형상의 면에 의해 구성된 평면부를 가지고 있다. 도 15(b)의 변형예의 출광면은, 평면부, 컷트면부가 설치된 부분이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도 15(c)의 변형예의 출광면은, 평면부가 설치된 부분이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d) 및 도 15(e)의 변형예의 출광면은, 배치가 상이하지만, 모두 평행 사변형의 면에 의해 구성된 평면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5(f)의 변형예의 출광면은, 평면부가, 삼각 형상의 면을 포함하지 않고 육각 형상의 면에 의해서만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출광면(27)의 전체를 평탄한 면으로 해도 된다. 또한, 출광면(27) 전체를 평면으로 하는 것 이외에, 볼록하게 구부러진 면이나 오목하게 구부러진 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러한 경우에는, 면의 곡률에 의해, 출광면(27)으로부터의 광의 조사 범위나 조도 분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제 1 도광부(29)와 제 2 도광부(30)를, 출광면(27)에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각각 분리한 형태로 설치해도 된다. 단일의 출광면(27)에 대하여 설치하는 광원의 수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그러한 경우, 입광면, 및 굴곡부를 가진 도광부를, 광원의 수와 동수씩 도광 부재에 설치하게 된다.
도광 부재(23)의 굴곡부의 수를,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입광면(26A, 26B)을 평면, 또는 오목하게 구부러진 면으로 해도 된다. 그러한 경우에도, 광원(22A, 22B)이, 지향성이 높은 광을 발광면(25A, 25B)으로부터 발하는 것인 경우에는, 출광면(27)에 도달할 때까지의 도광 부재(23)에서의 광의 산일을, 조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 정도에 그치게 할 수 있다.
광원(22A, 22B)의 누설 광에 의한 출광면(27)의 휘도 불균일이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면, 격벽(33)을 할애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출광면(27)의 휘도 불균일이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라면, 앞좌석(17)의 등받이(18)에 대한 출광면(27)의 위치 관계를, 상기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위치 관계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광 부재(23)를 투명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하고 있었지만, 적절하게 산란하여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료이면, 유리 등 수지 이외의 재료에 의해 도광 부재(23)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광원(22A, 22B)으로서, 불릿 타입(bullet-type)의 발광 다이오드나 전구 등, 표면 실장형의 발광 다이오드 이외의 광원을 채용해도 된다.

Claims (6)

  1. 차실의 천정 부분에 장착된 오버 헤드 콘솔에 있어서,
    상기 오버 헤드 콘솔(10)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22A, 22B)과;
    도광 부재(23)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 부재(23)는, 상기 광원(22A, 22B)의 발광면(25A, 25B)과 대향된 입광면(26A, 26B)과, 상기 오버 헤드 콘솔(10)의 외부에 노출된 출광면(27)을 가짐과 함께, 도중에 굴곡부(34A, 35A, 34B, 35B)를 가지고 상기 입광면(26A, 26B)으로부터 상기 출광면(27)으로 연장되고, 상기 입광면(26A, 26B)에 입사한 광을 상기 굴곡부(34A, 35A, 34B, 35B)에 설치된 반사면(39A, 40A, 39B, 40B)으로 반사하여 상기 출광면(27)에 도달시키는 광로를 내부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입광면(26A, 26B) 상의 임의의 점과 상기 출광면(27) 상의 임의의 점과의 사이에 그어질 수 있는 선분에는 상기 도광 부재(23)의 내부만을 통과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는 오버 헤드 콘솔.
  2. 제 1 항에 있어서,
    당해 오버 헤드 콘솔(10)의 내부에는, 불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면(25A, 25B) 상의 임의의 점과 상기 출광면(27) 상의 임의의 점과의 사이에 그어질 수 있는 선분 중, 상기 입광면(26A, 26B)을 통과하지 않는 선분의 전부와 교차하는 격벽(33)이 설치되는 오버 헤드 콘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광면(26A, 26B)은, 볼록하게 구부러진 면인 오버 헤드 콘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의 상기 출광면(27)에 대하여 상기 광원(22A, 22B)이 복수 설치되고;
    상기 도광 부재(23)에는, 복수의 광원(22A, 22B)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입광면(26A, 26B)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오버 헤드 콘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면(27)은, 상기 출광면(27)의 정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대하여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평면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는 컷트면부를 가지는 오버 헤드 콘솔.
  6. 차체 지붕부를 구성하는 차체 상부 구조에 있어서,
    광원(22A, 22B)이 내부에 설치되어 차실(19)의 천정 부분(20A)에 장착된 오버 헤드 콘솔(10)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 헤드 콘솔(10)은 도광 부재(23)를 가지고,
    상기 도광 부재(23)는, 상기 광원(22A, 22B)의 발광면(25A, 25B)과 대향된 입광면(26A, 26B)과, 상기 오버 헤드 콘솔(10)의 외부에 노출된 출광면(27)을 가짐과 함께, 도중에 굴곡부(34A, 35A, 34B, 35B)를 갖고 상기 입광면(26A, 26B)으로부터 상기 출광면(27)으로 연장되고, 상기 입광면(26A, 26B)에 입사한 광을 상기 굴곡부(34A, 35A, 34B, 35B)에 설치된 반사면(39A, 40A, 39B, 40B)으로 반사하여 상기 출광면(27)에 도달시키는 광로를 내부에 형성하고, 또한 상기 입광면(26A, 26B) 상의 임의의 점과 상기 출광면(27) 상의 임의의 점과의 사이에 그어질 수 있는 선분에는 상기 도광 부재(23)의 내부만을 통과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출광면(27)은, 차량의 앞좌석(17)의 등받이(18)의 위치보다도 차체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광원(22A, 22B)은, 상기 출광면(27)보다도 차체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차체 상부 구조.
KR1020170133723A 2016-11-02 2017-10-16 오버 헤드 콘솔, 및 차체 상부 구조 KR101957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5423A JP6540655B2 (ja) 2016-11-02 2016-11-02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及び車体上部構造
JPJP-P-2016-215423 2016-1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312A true KR20180048312A (ko) 2018-05-10
KR101957390B1 KR101957390B1 (ko) 2019-06-19

Family

ID=6008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723A KR101957390B1 (ko) 2016-11-02 2017-10-16 오버 헤드 콘솔, 및 차체 상부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69706B2 (ko)
EP (1) EP3318446B1 (ko)
JP (1) JP6540655B2 (ko)
KR (1) KR101957390B1 (ko)
CN (1) CN108016350B (ko)
BR (1) BR102017021390B1 (ko)
CA (1) CA2981804C (ko)
RU (1) RU2676925C1 (ko)
TW (1) TWI644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2240B2 (en) * 2018-06-20 2021-07-27 Daimay North America Automotive, Inc. Touch-sensitive vehicle console assemblies
JP6744371B2 (ja) * 2018-08-22 2020-08-19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室内照明装置およびルーフモジュール
JP6781211B2 (ja) * 2018-08-22 2020-11-04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室内照明装置およびルーフモジュール
CN109268777B (zh) * 2018-08-31 2021-05-28 嘉兴海拉灯具有限公司 一种汽车前顶灯及其装配结构以及该装配结构的装配方法
JP7110037B2 (ja) 2018-09-04 2022-08-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FR3090824B1 (fr) * 2018-12-19 2021-04-09 Valeo Comfort & Driving Assistance Dispositif d'éclairage pour plafonnier de véhicule
USD895531S1 (en) * 2019-01-07 2020-09-08 Volvo Car Corporation Overhead console
DE102020113177A1 (de) 2020-05-15 2021-11-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DE102021102567A1 (de) * 2021-02-04 2022-08-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JP2023149236A (ja) * 2022-03-30 2023-10-13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車両室内照明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7897A2 (de) * 1996-12-14 1998-06-17 Hella KG Hueck & Co. Leseleuchte
US20050141213A1 (en) * 2003-12-19 2005-06-30 Jean-Claude Gasquet Signalling or light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20060187659A1 (en) * 2005-02-24 2006-08-24 Toyoda Gosei Co., Ltd. Illumin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28924B (it) * 1980-07-10 1986-06-04 Iao Industrie Riunite Spa Gruppo ottico per autoveicoli
JPS59179853A (ja) * 1983-03-21 1984-10-12 カ−ル・マイヤ−・テクステイルマシ−ネンフアブリ−ク・ゲ−エムベ−ハ− 個々に移動可能な有孔針を備えた経編機
JPH0650986U (ja) * 1992-12-18 1994-07-12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室内灯
JPH0740283U (ja) * 1993-12-28 1995-07-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室内灯
US6352359B1 (en) * 1998-08-25 2002-03-05 Physical Optics Corporation Vehicle light assembly including a diffuser surface structure
JP2001334868A (ja) 2000-05-30 2001-12-04 Toyoda Gosei Co Ltd 光拡散防止構造
JP4135528B2 (ja) * 2003-03-05 2008-08-20 豊田合成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05032579A (ja) * 2003-07-04 2005-02-03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JP4085053B2 (ja) * 2003-12-26 2008-04-30 林テレンプ株式会社 イルミネーションモジュール
KR100586968B1 (ko) * 2004-05-28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Led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어셈블리
SE0402233L (sv) * 2004-07-26 2006-02-28 Volvo Constr Equip Holding Se Arrangemang och förfarande för styrning av ett arbetsfordon
JP2006123794A (ja) * 2004-10-29 2006-05-18 Hayashi Telempu Co Ltd 乗物用照明装置およびイルミネーションモジュール
JP2006232185A (ja) 2005-02-28 2006-09-07 Toyoda Gosei Co Ltd 車両室内用の間接照明装置
US7438542B2 (en) * 2005-12-19 2008-10-21 Dana Automotive Systems Group, Llc. Fluid pump assembly
JP2008007002A (ja) * 2006-06-30 2008-01-17 Toyoda Gosei Co Ltd 車室内用発光装置
JP2008094317A (ja) * 2006-10-13 2008-04-24 Hayashi Telempu Co Ltd 自動車用照明装置
JP2009061848A (ja) 2007-09-05 2009-03-26 Kojima Press Co Ltd 自動車室内用の照明装置
IT1391091B1 (it) * 2008-07-15 2011-11-18 Fraen Corp Srl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a fascio luminoso regolabile, in particolare per una torcia elettrica
JP5524476B2 (ja) 2008-12-02 2014-06-18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マップランプ
US8602601B2 (en) * 2009-02-11 2013-12-10 Koninklijke Philips N.V. LED downlight retaining ring
CN101788111B (zh) * 2010-01-15 2012-07-04 上海开腾信号设备有限公司 类荧光led照明单体及用途
JP5518559B2 (ja) 2010-04-22 2014-06-1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灯具ユニット
DE102010020796A1 (de) 2010-05-18 2011-01-05 Daimler Ag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FR2978524B1 (fr) * 2011-07-29 2013-07-05 Saint Gobain Vitrage lumineux de vehicule, fabrications
KR101303172B1 (ko) * 2012-02-29 2013-09-09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조광스위치 어셈블리
JP2013180715A (ja) * 2012-03-05 2013-09-12 Yazaki Corp Ledユニット
JP6036493B2 (ja) * 2012-07-27 2016-11-30 豊田合成株式会社 線状照明装置
DE102012108781A1 (de) * 2012-09-18 2014-03-20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mit lichtumlenkendem Körper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DE102013203823A1 (de) * 2013-03-06 2014-09-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Innenraumbeleuchtung eines Kraftfahrzeugs
JP6135298B2 (ja) 2013-05-21 2017-05-3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ルーフ構造
JP6058794B2 (ja) * 2013-05-23 2017-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モニタ付き照明装置
CZ306764B6 (cs) * 2013-09-30 2017-06-21 Varroc Lighting Systems, s.r.o. Světelné zařízení
JP2016043729A (ja) * 2014-08-20 2016-04-04 河西工業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車両室内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7897A2 (de) * 1996-12-14 1998-06-17 Hella KG Hueck & Co. Leseleuchte
US20050141213A1 (en) * 2003-12-19 2005-06-30 Jean-Claude Gasquet Signalling or light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20060187659A1 (en) * 2005-02-24 2006-08-24 Toyoda Gosei Co., Ltd. Illumin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81804A1 (en) 2018-05-02
CN108016350B (zh) 2020-11-06
CN108016350A (zh) 2018-05-11
US20180118103A1 (en) 2018-05-03
EP3318446A1 (en) 2018-05-09
CA2981804C (en) 2020-12-01
US10569706B2 (en) 2020-02-25
BR102017021390B1 (pt) 2023-04-04
EP3318446B1 (en) 2022-12-28
TW201817617A (zh) 2018-05-16
JP2018070066A (ja) 2018-05-10
RU2676925C1 (ru) 2019-01-11
KR101957390B1 (ko) 2019-06-19
JP6540655B2 (ja) 2019-07-10
BR102017021390A2 (pt) 2018-05-29
TWI644814B (zh) 201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390B1 (ko) 오버 헤드 콘솔, 및 차체 상부 구조
US9266468B2 (en) Linear lighting device
KR101748536B1 (ko) 차량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차량등
US10436406B2 (en) Vehicle lamp fitting
KR101538251B1 (ko) 차량의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차량 램프
KR20030015865A (ko) 차량용 등기구
JP6609135B2 (ja) 車両用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JP2003100116A (ja) 車両用灯具
JP2011175817A (ja) 車両用灯具
JP2008258037A (ja) 車両用前照灯
ES2931226T3 (es) Dispositivo de iluminación y/o señalización de vehículos
US7946742B2 (en) In-vehicle illuminating device
WO2014141597A1 (ja) 車両用灯具
JP2008103273A (ja) 車両用灯具
KR20220074732A (ko) 자동차용 조명 장치 및 그 조명 장치를 포함한 자동차 헤드램프
CN105473935B (zh) 照明系统、机动车辆照明构件及机动车辆
CN109595526B (zh) 车辆用灯具
EP3578876A1 (en) Vehicular lamp
US20220055533A1 (en) Illuminating device for vehicle ceiling lamp
JP2016187986A (ja) 照明装置付車両用内装材
US11590879B2 (en) Vehicle lamp body device
US11754251B2 (en) Vehicular lamp
JP7458238B2 (ja) 車両用灯具
JP4770731B2 (ja) 車室用間接照明装置
EP3578877A1 (en) Vehicular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