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363A -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363A
KR20180044363A KR1020187008300A KR20187008300A KR20180044363A KR 20180044363 A KR20180044363 A KR 20180044363A KR 1020187008300 A KR1020187008300 A KR 1020187008300A KR 20187008300 A KR20187008300 A KR 20187008300A KR 20180044363 A KR20180044363 A KR 20180044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eceding vehicle
display
marker image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154B1 (ko
Inventor
노리오 고사카
데츠야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3Virtual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60W30/165Automatically following the path of a preceding lead vehicle, e.g. "electronic tow-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20Linear transl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7Augmented re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6Type of output information
    • B60K2360/179Distances to obs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47Optical elements for superposition of display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표시 장치는, 추종 주행하고 있는 선행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선행 차량의 위치에 따른 마커 화상을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차량용 표시 장치는, 선행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의 내측에 선행 차량이 위치하거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나는지를 판정하고, 선행 차량이 표시 영역 중 어느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벗어난 측의 측단 주위에 있어서, 마커 화상을 계속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방법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서는 최근 들어, 차량의 프론트 윈도우 너머에 운전자에게 시인되는 물체와 겹쳐서 화상을 표시하는, 소위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가 사용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선행 차량에 추종하여 차량의 속도나 차간 거리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선행 차량을 포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마커 화상을, 일정 시간만큼 선행 차량의 위치에 맞춰서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5-067514호 공보
그런데, 선행 차량을 포착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마커 화상은, 프론트 윈도우의 위치와 중복하도록 설치된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만, 당해 표시 영역은, 프론트 윈도우의 영역보다도 폭 및 높이가 좁게 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추종하고 있는 선행 차량이 구부러진 도로에 당도하면, 선행 차량이 표시 영역의 좌측 측단(좌 커브의 경우) 또는 우측의 측단(우 커브의 경우)의 외측으로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한창 커브를 주행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마커 화상이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구체적으로는, 선행 차량에 추종한 차량의 속도나 차간 거리의 제어가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선행 차량의 위치가 표시 영역의 측방으로 벗어난 경우에도, 선행 차량에 추종한 제어가 작동하고 있음을 운전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차량용 표시 장치는, 차량에 구비된 프론트 윈도우의 위치와 중복하도록 설치된 표시 영역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차량용 표시 장치는, 추종 주행하고 있는 선행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선행 차량 검출부와, 검출된 선행 차량의 위치에 따른 마커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부와, 선행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의 내측에 선행 차량이 위치하거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나는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다. 표시 처리부는, 선행 차량이 표시 영역 중 어느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벗어난 측의 차폭 방향 측단의 주위 부분에 있어서, 마커 화상을 계속하여 표시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표시 장치(100)를 탑재한 차량 V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차량용 표시 장치(100)의 마커 화상 표시 동작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1의 설명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2의 설명도이다.
도 6의 (a) 내지 (d)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3의 설명도이다.
도 7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4의 설명도이다.
도 8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5의 설명도이다.
도 9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6의 설명도이다.
도 10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7의 설명도이다.
도 11의 (a) 내지 (f)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8의 설명도이다.
도 12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9의 설명도이다.
도 13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10의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기능이나 구성에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차량용 표시 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표시 장치(100)를 탑재한 차량 V의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은 차량 V의 운전석으로부터의 광경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V에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가 탑재된다.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차량 V에 구비된 프론트 윈도우 FW의 위치와 중복하도록 설치된 표시 영역 DA에 화상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프론트 윈도우 FW 너머에 운전자에게 시인되는 물체에 맞추어, 표시 영역 DA에 화상을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차량 V의 전방의 선행 차량 Vp에 대하여 추종 주행할 때에 선행 차량 Vp에 중첩시켜서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즉,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구비한다. 특히,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프론트 윈도우 FW 너머에 운전자에게 시인되는 물체와 겹쳐서 가상적인 심볼(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확장 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AR-HUD)로서 기능한다.
표시 영역 DA는,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의 시점에 있어서, 프론트 윈도우 FW의 일부의 영역과 중복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인 표시 영역 DA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프론트 윈도우 FW의 운전석측을 포함하는 일부의 영역에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에 의해 포착된 선행 차량 Vp에 대한 마커 화상(200)이 표시 영역 DA에 표시되기 때문에, 프론트 윈도우 FW의 하부에 표시 영역 D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란, 선행 차량 Vp에 추종하여 차량 V의 속도 및 선행 차량 Vp의 차간 거리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차량 제어이고,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기어 시프트 포지션 및 브레이크의 제어에 의해 실현된다. 단, 기어 시프트 포지션 및 브레이크의 제어는 필수적이지는 않다.
마커 화상(200)은 선행 차량 Vp의 리어뷰의 하방에 있어서, 선행 차량 Vp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으로 표시되는 바 형상의 화상이다. 즉, 차량 V와 선행 차량 Vp의 거리가 이격되면, 선행 차량 Vp의 사이즈도 작아지기 때문에, 마커 화상(200)의 폭도 연동하여 작아진다. 반대로, 차량 V와 선행 차량 Vp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선행 차량 Vp의 사이즈도 커지기 때문에, 마커 화상(200)의 폭도 연동하여 커진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커 화상(200)의 표시 형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차량용 표시 장치(100)가 탑재되는 차량 V는, 전형적으로는 사륜의 승용 자동차(SUV 및 미니밴을 포함함)이지만, 트럭이나 버스 등이어도 물론 상관없다.
(차량용 표시 장치의 기능 블록 구성)
도 2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검출부(110), 판정부(120), 표시 처리부(130) 및 HUD 화상 표시부(140)를 구비한다. 또한, 각 기능 블록은, CPU 등의 정보 처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선행 차량 검출부(110)는, 차량 V에 선행하여 주행하고 있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선행 차량 검출부(110)는 선행 차량 검출 센서(111), 좌표 검출부(113) 및 사이즈 검출부(115)에 의해 구성된다.
선행 차량 검출 센서(111)는, 선행 차량 Vp를 검출하는 센서 군으로 구성된다. 당해 센서 군으로서는, 선행 차량 Vp를 포함하는 차량 V의 진행 방향 전방의 화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및 선행 차량 Vp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더가 사용된다.
또한, 카메라는, 단안이어도 스테레오여도 되고, CCD 또는 CMOS 등을 사용한 촬상 소자에 의해 구성된다. 레이더는, 밀리미터파 레이더여도 레이저 레이더여도 된다. 또한, 선행 차량 검출 센서(111)는, 카메라 단체 또는 레이더 단체에 의해 구성되어도 상관없다.
좌표 검출부(113)는, 선행 차량 검출 센서(111)에 의해 검출된 선행 차량 Vp의 화상 및 거리에 기초하여, 삼차원에 있어서의 선행 차량 Vp의 좌표 데이터를 검출한다.
사이즈 검출부(115)는, 좌표 검출부(113)에 의해 검출된 선행 차량 Vp의 좌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시인되는 선행 차량 Vp의 사이즈를 검출한다.
판정부(120)는, 선행 차량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선행 차량 Vp의 위치에 기초하여,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120)는 좌우 차 연산부(121)와 영역 내외 판정부(123)에 의해 구성된다.
좌우 차 연산부(121)는 차량 V(자차)와, 선행 차량 Vp의 좌우 차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차 연산부(121)는 선행 차량 검출부(110)로부터 제공된 선행 차량 Vp의 좌표 데이터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의 자차와 선행 차량 Vp의 좌우 차를 연산한다.
영역 내외 판정부(123)는 좌우 차 연산부(121)에 의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영역 DA의 좌측의 측단 DL과 우측의 측단 DR 사이, 즉, 차폭 방향 측단의 내측에 선행 차량 Vp가 위치하는지,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나는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영역 내외 판정부(123)은 선행 차량 Vp가 측단 DL 또는 측단 DR의 외측(외측 DOL, 외측 DOR, 도 2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음, 도 4의 (a) 참조)으로, 어느 정도 벗어났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 차량 Vp의 리어뷰의 전체 폭을 기준으로 하여, 표시 영역 DA로부터 벗어난 폭(비율)이 판정된다.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선행 차량 Vp의 위치에 따른 마커 화상(200)을 HUD 화상 표시부(140)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처리부(130)는 마커 화상(200)을 표시 영역 DA에 표시시킨다.
특히,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중 어느 차폭 방향 측단(측단 DL, 측단 DR, 이하 동일)의 외측으로 벗어났음이 판정부(120)에 의해 판정된 경우에도, 벗어난 측의 차폭 방향 측단의 주위 부분에 있어서, 마커 화상(200)을 계속하여 표시한다. 「주위 부분」이란, 선행 차량 Vp가 벗어난 측의 차폭 방향 측단의 위치, 당해 위치의 근방 또는 주변을 의미한다.
즉,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에도,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에 의해 선행 차량 Vp가 포착되고 있는 경우,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 마커 화상(200)을 계속하여 표시한다.
이하, 표시 처리부(130)에 의한 구체적인 마커 화상(200)의 표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선행 차량 Vp의 하방에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의 일부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선행 차량 Vp의 폭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
또한, 마커 화상(200)의 폭이란, 표시 영역 DA의 가로 방향(좌우 방향)을 따른 마커 화상(200)의 크기를 의미한다.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선행 차량 Vp를 나타내는 아이콘(300)(도 2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음, 도 5의 (c) 참조)을 마커 화상(200)에 인접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선행 차량 Vp의 하방에 있어서 마커 화상(200)을 표시하지만,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을 선행 차량 Vp의 측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처리부(130)은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을 선행 차량 Vp의 측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마커 화상(200)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도 있다.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선행 차량 Vp의 하방에 있어서, 선행 차량 Vp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한 원호 상의 마커 화상(200)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처리부(130)는 소정 위치로서, 선행 차량 Vp의 리어뷰의 중심 CT(도 2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음, 도 7의 (a) 참조)를 기준으로 한 원호 형상의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또한, 선행 차량 Vp의 리어뷰의 중심 CT는, 예를 들어 선행 차량 Vp의 좌측 상단부와 우하단을 연결하는 직선과, 선행 차량 Vp의 우상단과 좌하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교차하는 점으로 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위치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선행 차량 Vp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선행 차량 Vp의 차고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이 교차하는 점이어도 된다. 또한, 당해 교차하는 점으로부터 다소 어긋나 있어도 된다.
또한,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선행 차량 Vp의 당해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마커 화상(200)을 선행 차량 Vp의 측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마커 화상(200)의 원호 길이를 짧게 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의 소정 위치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마커 화상(200)의 원호 길이를 고정해도 된다.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선행 차량 Vp의 하방에 있어서, 마커 화상(200)을 소정 폭으로 표시하지만,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에도 마커 화상(200)을 당해 소정 폭으로 계속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마커 화상(200)의 폭이란, 표시 영역 DA의 가로 방향(좌우 방향)을 따른 마커 화상(200)의 크기이고, 소정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적합하게는, 선행 차량 Vp의 리어뷰의 하방에 있어서, 선행 차량 Vp의 전체 폭과 동일한 폭이다.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색(예를 들어, 녹색)으로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한편,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의 일부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제1 색과 다른 제2 색(예를 들어, 청색)으로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제1 색 및 제2 색과 다른 제3 색(예를 들어, 오렌지색)으로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굵기를 가늘게 해도 된다. 마커 화상(200)의 굵기란, 폭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사이즈를 의미한다.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공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마커 화상(200)의 공간 주파수란, 단위 길이에 포함되는 선수의 수를 의미하고, 공간 주파수가 낮으면, 흐릿한 화상이 되고, 공간 주파수가 높으면, 선명한 화상이 된다.
표시 처리부(13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시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마커 화상(200)의 시간 주파수란, 화상의 표시 빈도를 의미하고, 시간 주파수가 낮으면, 천천히 점멸하는 화상이 되고, 시간 주파수가 높으면, 빨리 점멸하는 화상 또는 상시 표시된 화상이 된다.
또한, 상술한 표시 처리부(130)의 구체적인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에 대해서는, 추가로 후술한다.
HUD 화상 표시부(140)는, 표시 영역 DA에 화상을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HUD 화상 표시부(140)는 표시부를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HUD 화상 표시부(140)는, 프론트 윈도우 FW 너머에 운전자에게 시인되는 물체와 겹쳐서 가상적인 심볼(마커 화상(200) 등)을 표시할 수 있는 확장 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AR-HUD)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HUD 화상 표시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원하는 화상을 표시시켜, 미러에서 반사시킨 당해 화상을 허상으로서 프론트 윈도우 FW에 표시시킨다.
(차량용 표시 장치의 동작)
도 3은, 차량용 표시 장치(100)의 마커 화상 표시 동작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를 검출한다(S10). 또한,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의 사이즈를 검출한다(S20). 또한, 여기에서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에 의해 선행 차량 Vp가 포착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의 좌표 데이터를 검출함과 함께,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시인되는 선행 차량 Vp의 사이즈를 검출한다.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검출한 선행 차량 Vp의 위치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자차와, 선행 차량 Vp의 좌우 차를 연산한다(S30).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표시 영역 DA에 있어서의 자차와 선행 차량 Vp의 좌우 차를 연산한다.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연산한 좌우 차에 기초하여,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40).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의 리어뷰의 전체 폭이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통상의 마커 화상(200)을 생성한다(S50). 한편, 선행 차량 Vp의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표시 영역 DA 외에 선행 차량 Vp의 일부 또는 전부가 위치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마커 화상(200)을 생성한다(S60).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생성한 마커 화상(200)을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에 의해 표시 영역 DA에 표시한다(S70).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통상의 마커 화상(200) 또는 표시 영역 DA 외에 선행 차량 Vp의 일부 또는 전부가 위치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차량용 표시 장치에 의한 화상 표시예)
이어서,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표시예 1
도 4의 (a) 내지 (d)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1의 설명도이다.
도 4의 (a)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4의 (b)는, 선행 차량 Vp의 일부가 표시 영역 DA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4의 (c)는,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한다」란,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즉, 표시 영역 DA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의미한다.
한편, 표시 영역 DA의 세로 방향에 대해서는,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의 일부가 표시 영역 DA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통상이다. 물론, 이러한 위치 관계가 되는지 여부는, 차량 V의 종별(승용차, SUV/미니밴 또는 트럭/버스)의 차이에 의한 운전자의 시점 위치나 표시 영역 DA의 세로 방향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진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측단 DL과 측단 DR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의 하방에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한편,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의 일부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의 외측 DOL로 벗어난 경우,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선행 차량 Vp의 폭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폭을 좁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선행 차량 Vp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의 외측 DOL로 벗어난 경우에도, 마커 화상(200)을 소거하지 않고 계속하여 표시한다. 도 4의 (c)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둥근 점 형상의 마커 화상(200)이 표시되어 있지만, 다른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도 4의 (a) 내지 (c)에서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외측 DOL로 벗어나 가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우측의 측단 DR의 외측 DOR으로 벗어나 가는 경우도 측단 DR측에 있어서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이하 동일).
도 4의 (d)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와, 마커 화상(200)의 사이즈(M)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측단 DL 또는 측단 DR로부터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사이즈(폭)이 작아진다. 또한,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외측 DOL 또는 외측 DOR로부터 벗어나도, 마커 화상(200)은 최소 사이즈(Mmin)로 계속해서 표시된다.
(2) 표시예 2
도 5의 (a) 내지 (c)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2의 설명도이다. 이하, 상술한 표시예 1과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또한, 측단 DL, 측단 DR 및 외측 DOL, 외측 DOR의 도시는, 적절히 생략한다.
도 5의 (a) 및 (b)는, 도 4의 (a) 및 (b)에 나타낸 표시예 1과 동일하다. 도 5의 (c)도, 도 4의 (c)에 나타낸 표시예 1과 동일하지만, 마커 화상(200)과 함께 아이콘(300)이 표시된다.
아이콘(300)은, 선행 차량 Vp를 나타내는 화상이다.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마커 화상(200)에 인접하여 아이콘(300)을 표시한다. 표시예 2에서는, 선행 차량 Vp의 리어뷰를 모방한 화상이 아이콘(300)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즉,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선행 차량 Vp를 나타내는 아이콘(300)을 마커 화상(200)에 인접하여 표시한다.
단, 아이콘(300)은 이러한 화상에 한정되지 않고, 선행 차량 Vp를 나타내고 있음이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면, 다른 화상이어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선행 차량 Vp의 종별(SUV/미니밴 또는 트럭/버스 등)을 검출하고, 당해 종별에 따라서 미리 규정된 차량의 리어뷰를 나타내는 아이콘(300)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3) 표시예 3
도 6의 (a) 내지 (d)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3의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의 (b)는, 선행 차량 Vp의 일부가 표시 영역 DA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의 (c)는,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의 하방에 있어서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예 3에서는, 초승달 형상의 마커 화상(200)이 표시되어 있다.
도 6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로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을 선행 차량 Vp의 측방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로부터 벗어남에 따라서, 초승달 형상의 마커 화상(200)을 회전시켜, 마커 화상(200)을 선행 차량 Vp의 하방으로부터 측방으로 서서히 이동시킨다.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의 외측 DOL로 벗어나면, 마커 화상(200)은 도 6의 (a)의 위치와 비교하여, 약 90도 회전하고, 선행 차량 Vp의 우측으로 표시된다. 또한,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의 외측 DOR로 벗어나면, 마커 화상(200)은 선행 차량 Vp의 좌측으로 표시된다.
도 6의 (d)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와, 마커 화상(200)의 각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측단 DL 또는 측단 DR로부터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각도가 커진다. 도 6의 (d)에서는, 수평 방향을 0도로 하고, 수직 방향을 90도로 하고 있다.
또한, 표시예 3에서는, 초승달 형상의 마커 화상(200)이 사용되고 있지만, 마커 화상(200)은 초승달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표시예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표시예 3에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로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을 선행 차량 Vp의 측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마커 화상(200)의 사이즈를 작게 한다. 단, 이러한 사이즈의 변경은 필수적이지 않다.
(4) 표시예 4
도 7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4의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의 (b)는, 선행 차량 Vp의 일부가 표시 영역 DA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의 (c) 및 (d)는,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의 하방에 있어서, 선행 차량 Vp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한 원호 형상의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중심 CT를 기준으로 한 원호 형상의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중심 CT와 마커 화상(200)의 양단을 연결하는 법선이 이루는 각도는, d0이다. 표시예 4에서는, d0은 직각보다도 크다.
도 7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로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중심 CT(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마커 화상(200)을 선행 차량 Vp의 측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마커 화상(200)의 원호 길이를 짧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중심 CT를 기준으로 하여 원호 형상의 마커 화상(200)을 회전시켜, 마커 화상(200)을 선행 차량 Vp의 측방으로 이동시킨다.
동시에,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할 때보다도 마커 화상(200)의 원호 길이를 짧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중심 CT와 마커 화상(200)의 양단을 연결하는 법선이 이루는 각도를 d0보다도 작은 d1로 한다.
또한, 표시예 4에서는, 마커 화상(200)의 원호 길이란, 원호 형상의 마커 화상(2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의 외측 DOL로 벗어나면,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마커 화상(200)의 길이를 더이상 짧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중심 CT와 마커 화상(200)의 양단을 연결하는 법선이 이루는 각도를 d1보다도 작은 d2로 한다.
또한, 도 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의 중심 CT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로부터 소정 거리 X 이상 이격된 경우, 마커 화상(200)의 원호 길이를 고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선행 차량 Vp의 중심 CT가 측단 DL로부터 거리 X 이상 이격된 경우,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도 7의 (c)에 나타낸 상태와 동일하게, 중심 CT와 마커 화상(200)의 양단을 연결하는 법선이 이루는 각도를 d2로 하고, 마커 화상(200)의 원호 길이를 고정한다.
도 7의 (d)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선행 차량 Vp의 중심 CT가 측단 DL로부터 거리 X 이상 이격되어 있지만, 도 7의 (c)에 나타낸 상태와 동일하게, 가상적인 중심 CT'을 기준으로 한 원호 형상의 마커 화상(200)이 표시되어 있다. 즉, 표시예 4에서는, 도 7의 (c)에 나타내는 마커 화상(200)과, 도 7의 (d)에 나타내는 마커 화상(200)은 동일 사이즈이고, 표시 위치도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 CT는 반드시 선행 차량 Vp의 중심 CT가 아니고, 다소 어긋나 있어도 된다.
도 7의 (e)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와, 마커 화상(200)의 각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7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측단 DL 또는 측단 DR로부터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표시 각도(d0 내지 d2)가 작아진다. 이에 의해, 원호 형상의 마커 화상(200)의 길이가 짧아진다. 단,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외측 DOL 또는 외측 DOR로 벗어나는, 즉, 선행 차량 Vp의 중심 CT가 측단 DL로부터 거리 X 이상 이격되면, 마커 화상(200)의 원호 길이는, 더이상 짧아지지 않고 고정된다.
(5) 표시예 5
도 8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5의 설명도이다. 표시예 5는 표시예 1과 대응하지만, 마커 화상(200)의 폭(사이즈)이 고정이다.
도 8의 (a)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의 (b)는, 선행 차량 Vp의 일부가 표시 영역 DA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의 (c)는,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 외에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의 하방에 있어서, 마커 화상(200)을 소정 폭으로 표시한다. 또한, 마커 화상(20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P1은, 선행 차량 Vp의 폭 방향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도 8의 (b) 및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의 외측 DOL로 벗어난 경우에도 마커 화상(200)을 소정 폭으로 계속하여 표시한다. 즉, 마커 화상(200)의 폭은, (i)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ii) 선행 차량 Vp의 일부가 표시 영역 DA의 외측 DOL로 벗어난 경우, 및 (iii)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의 외측 DOL로 벗어난 경우의 어느 경우에도, 동일하다.
이로 인해, (ii) 및 (iii)의 경우에 있어서의 마커 화상(20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P0는, 선행 차량 Vp의 폭 방향의 중심과 일치하고 있지 않다.
도 8의 (d)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와, 마커 화상(200)의 사이즈(M)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커 화상(200)의 사이즈(M)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에 관계없이 고정이다. 또한, 도 8의 (d)에서는, 도 4의 (d)에 나타낸 표시예 1에 있어서의 선행 차량 Vp의 위치와, 마커 화상(200)의 사이즈(M)의 관계가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8의 (e)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와, 마커 화상(200)의 중심(P0, P1)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8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커 화상(200)의 중심은, 선행 차량 Vp의 위치에 따라, 측단 DL(또는 측단 DR)을 향하여 이동한다. 마커 화상(200)의 중심이 P0의 위치가 되었을 경우, 선행 차량 Vp의 위치가 더욱 외측 DOL(또는 외측 DOR)로 이동해도, 마커 화상(200)은 더이상 이동하지 않고 P0의 위치를 유지한다.
(6) 표시예 6
도 9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6의 설명도이다. 표시예 6은, 표시예 5와 대략 동일하지만, 마커 화상(200)의 굵기를 가늘게 하는 점에 있어서 표시예 5와 상이하다.
도 9의 (a) 내지 (d)는, 도 8의 (a) 내지 (c) 및 (e)와 각각 대응한다. 표시예 6에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로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굵기(S0, S1)를 가늘게 한다.
도 9의 (e)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와, 마커 화상(200)의 굵기(S0, S1)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9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측단 DL 또는 측단 DR로부터 벗어나 감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굵기가 가늘어진다. 또한,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외측 DOL 또는 외측 DOR로부터 벗어나도, 마커 화상(200)은 최소 굵기(S0)로 계속해서 표시된다.
(7) 표시예 7
도 10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7의 설명도이다. 표시예 7도, 표시예 5와 대략 동일하지만, 마커 화상(200)의 색을 변화시키는 점에 있어서 표시예 5와 상이하다.
도 10의 (a) 내지 (d)는, 도 8의 (a) 내지 (c) 및 (e)와 각각 대응한다. 표시예 7에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로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색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색으로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표시예 7에서는, 녹색(GR)으로 마커 화상(200)이 표시된다.
선행 차량 Vp의 일부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의 외측 DOL로 벗어난 경우,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제1 색과 다른 제2 색으로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표시예 7에서는, 청색(BL)으로 마커 화상(200)이 표시된다.
또한,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의 외측 DOL로 벗어난 경우, 제1 색 및 제2 색과 다른 제3 색으로 마커 화상(200)을 표시한다. 표시예 7에서는, 오렌지색(OR)으로 마커 화상(200)이 표시된다.
도 10의 (e)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와, 마커 화상(200)의 색(GR, BL, OR)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0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측단 DL 또는 측단 DR로부터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색이, 녹색 내지 청색 내지 오렌지색으로 변화한다.
또한, 도 10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예 7에서는, 마커 화상(200)이 녹색으로부터 청색, 청색으로부터 오렌지색으로 순간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있지만, 마커 화상(200)의 색은, 녹색으로부터 청색, 청색으로부터 오렌지색으로 서서히 변화하게 해도 된다.
(8) 표시예 8
도 11의 (a) 내지 (f)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8의 설명도이다. 표시예 8은, 상술한 표시예 6과 표시예 7이 통합된 표시예이다.
도 11의 (a) 내지 (e)는, 도 10의 (a) 내지 (e)와 각각 대응한다.
표시예 8에서는, 도 11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예 6과 동일하게,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굵기(S0, S1)를 가늘게 한다.
(9) 표시예 9
도 12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9의 설명도이다. 표시예 9도, 표시예 5와 대략 동일하지만, 마커 화상(200)의 공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점에 있어서 표시예 5와 상이하다.
도 12의 (a) 내지 (d)는, 도 8의 (a) 내지 (c) 및 (e)와 각각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공간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로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공간 주파수(F0, F1)를 저하시킨다.
이에 의해,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로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이 흐릿하게 표시되게 된다.
도 12의 (e)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와, 마커 화상(200)의 공간 주파수(F0, F1)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2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측단 DL 또는 측단 DR로부터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공간 주파수가 낮아진다.
(4) 표시예 10
도 13의 (a) 내지 (e)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한 마커 화상(200)의 표시예 10의 설명도이다. 표시예 9도, 표시예 5와 대략 동일하지만, 마커 화상(200)의 시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점에 있어서 표시예 5와 상이하다.
도 13의 (a) 내지 (d)는, 도 8의 (a) 내지 (c) 및 (e)와 각각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로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시간 주파수를 변화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로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시간 주파수(F0, F1)를 상승시킨다.
이에 의해,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측단 DL로부터 외측 DOL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이 짧은 간격으로 점멸 표시되게 된다.
도 13의 (e)는 선행 차량 Vp의 위치와, 마커 화상(200)의 시간 주파수(F0, F1)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3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행 차량 Vp가 측단 DL 또는 측단 DR로부터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시간 주파수가 높아진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차량용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 중 어느 차폭 방향 측단(측단 DL, 측단 DR, 이하 동일)의 외측(외측 DOL, 외측 DOR, 이하 동일)으로 벗어난 경우에도, 벗어난 측의 차폭 방향 측단의 주위 부분에 있어서, 마커 화상(200)을 계속하여 표시한다.
이에 의해,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에도,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에 의해 선행 차량 Vp가 포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커 화상(200)이 계속해서 표시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동작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표시 영역 DA에 표시되는 마커 화상(200)에 의해,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제어가 상실되었는지 여부)를 바로 인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에게 불필요한 혼란을 부여하는 일 없이, 보다 쾌적한 운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행 차량 Vp의 일부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표시 영역 DA 내에 위치하는 선행 차량 Vp의 폭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폭을 좁게 할 수 있다(표시예 1 참조). 이로 인해, 운전자는, 표시 영역 DA로부터 선행 차량 Vp가 벗어나 가기는 하지만, 마커 화상(200)의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음을 인식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행 차량 Vp의 전부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선행 차량 Vp를 나타내는 아이콘(300)을 마커 화상(200)에 인접하여 표시할 수 있다(표시예 2 참조). 이로 인해, 운전자는, 표시 영역 DA 내에 선행 차량 Vp가 위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선행 차량 Vp를 나타내는 아이콘(300)이 표시되기 때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음을 더욱 인식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을 선행 차량 Vp의 측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표시예 3 참조). 또한, 마커 화상(200)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표시 영역 DA로부터 선행 차량 Vp가 벗어나 가기는 하지만, 마커 화상(200)이 측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음을 인식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선행 차량 Vp의 당해 소정 위치(중심 CT)를 기준으로 하여, 원호 형상의 마커 화상(200)을 선행 차량 Vp의 측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마커 화상(200)의 원호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표시예 4 참조). 이로 인해, 운전자는, 표시 영역 DA로부터 선행 차량 Vp가 벗어나 가기는 하지만, 마커 화상(200)이 측방으로 이동하면서 사이즈도 변화하기 때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음을 더욱 인식하기 쉽다.
또한, 이 경우, 선행 차량 Vp의 소정 위치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소정 거리(거리 X) 이상 이격된 경우, 마커 화상(200)의 원호 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로부터 크게 멀어진 경우에도 마커 화상(200)이 일정한 사이즈로 계속해서 표시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음을 인식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에도 마커 화상(200)을 당해 소정 폭으로 계속하여 표시한다(표시예 5 참조). 이로 인해, 운전자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마커 화상(200)의 폭이 변화하는 요인은, 선행 차량 Vp와의 거리(표시 영역 DA 내에 있어서의 선행 차량 Vp의 폭)만이 되기 때문에, 운전자는, 마커 화상(200)의 폭이 선행 차량 Vp와의 거리에만 관계하고 있음을 이해하기 쉽고, 받아들이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굵기를 가늘게 해도 된다(표시예 6, 8 참조). 이로 인해, 운전자는, 표시 영역 DA로부터 선행 차량 Vp가 벗어나 가기는 하지만, 마커 화상(200)의 굵기가 가늘어지기 때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음을 인식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색을 변화시킨다(표시예 7, 8 참조). 이로 인해, 운전자는, 표시 영역 DA로부터 선행 차량 Vp가 벗어나 가기는 하지만, 마커 화상(200)의 색이 변화하기 때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음을 인식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공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표시예 9 참조). 이로 인해, 운전자는, 표시 영역 DA로부터 선행 차량 Vp가 벗어나 가기는 하지만, 마커 화상(200)이 서서히 흐릿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음을 인식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행 차량 Vp가 표시 영역 DA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서, 마커 화상(200)의 시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표시예 10 참조). 이로 인해, 운전자는, 표시 영역 DA로부터 선행 차량 Vp가 벗어나 가기는 하지만, 마커 화상(200)이 서서히 많이 점멸하면서 표시되기 때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계속하여 동작하고 있음을 인식하기 쉽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이상,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선행 차량 검출부(110), 판정부(120), 표시 처리부(130) 및 HUD 화상 표시부(140)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선행 차량 검출부(110) 및 HUD 화상 표시부(140)는 차량용 표시 장치(100)로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선행 차량 검출부(110)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장치의 기능으로서 제공되어도 상관없고, HUD 화상 표시부(140)는 다른 화상 표시와 공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미러에서 반사시킨 화상을 허상으로서 프론트 윈도우에 표시시키는 HUD 화상 표시부(140)(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론트 윈도우 FW에 표시시키는 대신에 투명한 패널을 사용하는 컴바이너형이나, 프론트 윈도우 FW에 직접 화상을 표시시키는 방식이어도 상관없다. 즉, 본 발명에 따른 HUD 화상 표시부(140)는 운전자가 고개를 숙이지 않고, 프론트 윈도우 FW 너머에 운전자에게 시인되는 물체와 겹쳐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면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V로서, 사륜의 승용 자동차(SUV 및 미니밴을 포함함) 및 트럭/버스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차량용 표시 장치(100)는 삼륜 자동차 및 이륜 자동차에 적용해도 상관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기재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100: 차량용 표시 장치
110: 선행 차량 검출부
111: 선행 차량 검출 센서
113: 좌표 검출부
115: 사이즈 검출부
120: 판정부
121: 좌우 차 연산부
123: 영역 내외 판정부
130: 표시 처리부
140: HUD 화상 표시부
200: 마커 화상
300: 아이콘
DA: 표시 영역
FW: 프론트 윈도우
V: 차량
Vp: 선행 차량

Claims (14)

  1. 차량 전방의 선행 차량에 대하여 추종 주행할 때에 상기 선행 차량에 중첩시켜서 마커 화상을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이며,
    상기 차량에 구비된 프론트 윈도우의 위치와 중복하도록 설치된 표시 영역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선행 차량의 위치를 검출하는 선행 차량 검출부와,
    상기 선행 차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선행 차량의 위치에 따른 마커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처리부와,
    상기 선행 차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선행 차량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의 내측에 상기 선행 차량이 위치하거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나는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 중 어느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났음이 상기 판정부에 의해 판정된 경우, 벗어난 측의 차폭 방향 측단의 주위 부분에 있어서, 상기 마커 화상을 계속하여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행 차량의 하방에 상기 마커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선행 차량의 일부가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상기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기 선행 차량의 폭에 따라 상기 마커 화상의 폭을 좁게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의 전부가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상기 선행 차량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상기 마커 화상에 인접하여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행 차량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마커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 상기 마커 화상을 상기 선행 차량의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차량용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 상기 마커 화상을 상기 선행 차량의 측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마커 화상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행 차량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선행 차량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한 원호 형상의 상기 마커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 상기 선행 차량의 소정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마커 화상을 상기 선행 차량의 측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마커 화상의 원호 길이를 짧게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의 소정 위치가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된 경우, 상기 마커 화상의 원호 길이를 고정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선행 차량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마커 화상을 소정 폭으로 표시하고,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에도 상기 마커 화상을 상기 소정 폭으로 계속하여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 상기 마커 화상의 색을 변화시키는 차량용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색으로 상기 마커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선행 차량의 일부가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색과 다른 제2 색으로 상기 마커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선행 차량의 전부가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색 및 상기 제2 색과 다른 제3 색으로 상기 마커 화상을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 상기 마커 화상의 굵기를 가늘게 하는 차량용 표시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 상기 마커 화상의 공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차량용 표시 장치.
  13.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처리부는,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의 차폭 방향 측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남에 따라, 상기 마커 화상의 시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차량용 표시 장치.
  14. 차량 전방의 선행 차량에 대하여 추종 주행할 때에 상기 선행 차량에 중첩시켜서 마커 화상을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방법이며,
    상기 차량에 구비된 프론트 윈도우의 위치와 중복하도록 설치된 표시 영역에, 상기 선행 차량의 위치에 따른 마커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선행 차량이 상기 표시 영역 중 어느 차폭 방향 측단의 외측으로 벗어난 경우, 벗어난 측의 차폭 방향 측단의 주위 부분에 있어서, 상기 마커 화상을 계속하여 표시하는 차량용 표시 방법.
KR1020187008300A 2015-09-28 2015-09-28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방법 KR101975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7354 WO2017056157A1 (ja) 2015-09-28 2015-09-28 車両用表示装置及び車両用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363A true KR20180044363A (ko) 2018-05-02
KR101975154B1 KR101975154B1 (ko) 2019-05-03

Family

ID=5842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300A KR101975154B1 (ko) 2015-09-28 2015-09-28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269161B2 (ko)
EP (1) EP3357733B1 (ko)
JP (1) JP6536855B2 (ko)
KR (1) KR101975154B1 (ko)
CN (1) CN108136906B (ko)
BR (1) BR112018006385B1 (ko)
CA (1) CA2999961C (ko)
MX (1) MX2018003814A (ko)
RU (1) RU2675760C1 (ko)
WO (1) WO2017056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2786B2 (ja) * 2015-12-07 2017-11-01 株式会社Subaru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6520863B2 (ja) * 2016-08-11 2019-05-29 株式会社デンソー 走行制御装置
JP6922217B2 (ja) 2016-12-28 2021-08-18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物体装置及び表示方法
WO2019031291A1 (ja) * 2017-08-10 2019-02-14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DE102017216774B4 (de) 2017-09-21 2019-07-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Vorrichtung, computerlesbares Speichermedium und Kraftfahrzeug mit Instruktionen zur Steuerung einer Anzeige einer Augmented-Reality-Head-up-Display-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8204254B4 (de) * 2018-03-20 2020-12-0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rechnung einer Einblendung von Zusatzinformationen für eine Anzeige auf einer Anzeigeeinheit,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sowie Kraftfahrzeug und Computerprogramm
JP6694472B2 (ja) * 2018-06-07 2020-05-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追従制御装置
WO2020171042A1 (ja) * 2019-02-19 2020-08-27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20151250A (ja) * 2019-03-20 2020-09-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並びに内視鏡装置用プログラム
WO2020194694A1 (ja) * 2019-03-28 2020-10-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JP7357284B2 (ja) * 2020-02-12 2023-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描画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移動体、描画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932719B1 (en) * 2020-07-03 2024-04-24 Honda Research Institute Europe GmbH Method for assisting a user of an assistance system, assistance system and vehicle comprising such a system
DE102020214843A1 (de) 2020-11-26 2022-06-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Darstellung eines virtuellen Elements
JP2022139953A (ja) * 2021-03-12 2022-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注意喚起システム、及び注意喚起方法
JP2022139951A (ja) * 2021-03-12 2022-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注意喚起システム、及び注意喚起方法
KR20220134106A (ko) * 2021-03-26 2022-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7464008B2 (ja) 2021-06-09 2024-04-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7480756B2 (ja) 2021-07-26 2024-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制御方法及び車両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7487713B2 (ja) 2021-08-16 2024-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22207553A1 (de) * 2022-07-25 2024-01-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vorausschauenden Warnen eines Benutz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514A (ja) 2003-08-27 2005-03-17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2009040107A (ja) * 2007-08-06 2009-02-26 Denso Corp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
KR20120116876A (ko) * 2011-04-13 2012-10-2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자동차의 작동 방법 및 장치
JP2015011666A (ja) * 2013-07-02 2015-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8613B2 (ja) * 1999-08-31 2006-10-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
JP4475308B2 (ja) * 2007-09-18 2010-06-09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WO2012077202A1 (ja) 2010-12-08 2012-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伝達装置
JP5842419B2 (ja) * 2011-07-06 2016-01-13 日本精機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131178A (ja) 2011-12-22 2013-07-04 Aisin Seiki Co Ltd 障害物警報装置
KR101387189B1 (ko) * 2012-05-30 2014-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운행 보조정보 표시장치 및 운행 보조정보 표시방법
KR101957943B1 (ko) * 2012-08-31 2019-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제공 차량
CN102910130B (zh) * 2012-10-24 2015-08-05 浙江工业大学 一种现实增强型的驾驶辅助预警系统
JP6094399B2 (ja) * 2013-06-24 2017-03-15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プログラム
WO2015004784A1 (ja) 2013-07-11 2015-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方法
JP6232804B2 (ja) * 2013-07-25 2017-11-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JP2015049842A (ja) 2013-09-04 2015-03-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注意喚起表示装置及び注意喚起表示方法
DE102013225033B4 (de) * 2013-12-05 2018-03-0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ahrzeug mit einem Fahrerassistenz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Fahrzeugs
JP6264037B2 (ja) 2013-12-27 2018-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方法
JP5942979B2 (ja) * 2013-12-27 2016-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方法
JP6287237B2 (ja) 2014-01-17 2018-03-07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13951B2 (en) 2014-03-13 2018-07-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252316B2 (ja) * 2014-03-31 2017-12-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制御装置
US9505346B1 (en) * 2015-05-08 2016-11-29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a driver of pedestrians and other obsta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514A (ja) 2003-08-27 2005-03-17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2009040107A (ja) * 2007-08-06 2009-02-26 Denso Corp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システム
KR20120116876A (ko) * 2011-04-13 2012-10-23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자동차의 작동 방법 및 장치
JP2015011666A (ja) * 2013-07-02 2015-01-19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7733A1 (en) 2018-08-08
BR112018006385A2 (pt) 2018-10-09
CN108136906B (zh) 2019-10-01
US10269161B2 (en) 2019-04-23
MX2018003814A (es) 2018-06-18
CA2999961C (en) 2018-09-18
JPWO2017056157A1 (ja) 2018-07-26
CA2999961A1 (en) 2017-04-06
EP3357733B1 (en) 2020-04-29
WO2017056157A1 (ja) 2017-04-06
EP3357733A4 (en) 2018-10-10
BR112018006385B1 (pt) 2022-07-05
KR101975154B1 (ko) 2019-05-03
RU2675760C1 (ru) 2018-12-24
US20180240258A1 (en) 2018-08-23
CN108136906A (zh) 2018-06-08
JP6536855B2 (ja)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154B1 (ko)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방법
JP6346614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
JP4702437B2 (ja) 車両用表示装置
WO2018061294A1 (ja) 周辺監視装置
US7423521B2 (en) Vehicular visual assistance system
WO2014208008A1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WO2017061035A1 (ja) 車両用表示装置及び車両用表示方法
WO2014174575A1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7033347A (ja) 表示装置
JP5942979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方法
JP6907250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7151393B2 (ja) 車両情報提供装置、車両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97045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448714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
JP4929768B2 (ja) 視覚情報呈示装置及び視覚情報呈示方法
US20210178969A1 (en) Vehicle surrounding area monitoring device, vehicle surrounding area monitoring method, vehicl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the vehicle surrounding area monitoring device
US11479299B2 (en)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WO2016088150A1 (ja) 車載用表示装置、車両及び表示方法
JP7480756B2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制御方法及び車両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180658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7381992B2 (ja) 運転支援装置
JP5042201B2 (ja) 車両用警報装置
JP6657747B2 (ja) 車両用表示装置及び車両用表示方法
JP7272007B2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制御方法及び車両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906714B2 (ja) ドア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