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064A -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064A
KR20180040064A KR1020170046744A KR20170046744A KR20180040064A KR 20180040064 A KR20180040064 A KR 20180040064A KR 1020170046744 A KR1020170046744 A KR 1020170046744A KR 20170046744 A KR20170046744 A KR 20170046744A KR 20180040064 A KR20180040064 A KR 20180040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drive gear
transmitting member
de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909B1 (ko
Inventor
사토시 이케부쿠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8004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shaped as an elastic ring centered on the axis, surrounding a portion of one coupling part and surrounded by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15Leaf springs, e.g. radially exte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01K89/01081Guiding members on rotor axially rearward of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에 있어서, 핸들 암에 전해지는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을 감쇠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 필링의 향상을 도모시키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6)는, 드라이브 기어(20)와, 핸들부(7)와, 감진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브 기어(20)는, 소정의 기어 직경을 가지는 기어부(16)와, 기어부(16)와 함께 회전하고 소정의 기어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드라이브 기어축(15)을 가지고 있다. 핸들부(7)는, 드라이브 기어축(15)을 회전시킨다. 감진부(25)는, 드라이브 기어축(15)과 핸들부(7)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드라이브 기어(20)의 진동의 전달을 감쇠시킨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GEAR MECHANISM FOR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에는, 스피닝 릴이나, 양 베어링 릴 등이 있다. 이러한 릴은, 핸들 암을 가지는 핸들 조립체와, 핸들 암의 회전을 스풀에 전달하는 기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용 문헌 1에 기재된 스피닝 릴은, 핸들 암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핸들 암으로부터 핸들축부, 메인 기어축, 메인 기어, 피니언 기어,를 거쳐 스풀에 회전이 전달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4231호
인용 문헌 1에는, 메인 기어축과 핸들 조립체와의 사이에 완충(緩衝)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완충 부재에 의하여, 메인 기어축과 핸들축부와의 사이에서 축 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핸들 암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메인 기어와 피니언 기어 등의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이 발생한다. 종래의 기어 기구에서는, 이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이 핸들 암에 전해지고, 핸들 회전 시의 회전 필링(feeling)의 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이 핸들 암에 전해지는 것을 감쇠시킬 수 있으면, 회전 필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에 있어서, 핸들 암에 전해지는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을 감쇠시키는 것에 의하여, 회전 필링의 향상을 도모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는, 드라이브 기어와, 핸들부와, 감진부(減振部)를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브 기어는, 소정의 기어 직경을 가지는 기어부와, 기어부와 함께 회전하고 소정의 기어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드라이브 기어축을 가지고 있다. 핸들부는, 드라이브 기어축을 회전시킨다. 감진부는, 드라이브 기어축과 핸들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드라이브 기어의 진동의 전달을 감쇠시킨다.
이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에서는, 드라이브 기어축과 핸들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감진부에 의하여, 드라이브 기어의 진동의 전달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필링의 향상을 도모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진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통상(筒狀) 부재의 계합부(係合部)에 계합하고, 통상 부재보다도 강성이 낮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는, 통상 부재의 계합부에 감진부가 계합하여 핸들 암의 회전이 드라이브 기어축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은 감진부를 통하여 핸들 암에 전달되게 되고, 진동은 감진부에 의하여 감쇠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필링의 향상을 도모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상 부재의 계합부는, 감진부가 소정량까지 탄성 변형한 후에, 드라이브 기어축과 계합한다. 이 경우는, 회전 부하가 고(高)부하인 경우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감진부가 소정량 탄성 변형한 후는, 통상 부재의 계합부에 핸들축이 계합하여 회전이 전달되기 때문에,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고부하가 가해진 경우에서도, 핸들 암의 회전을 드라이브 기어축에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 기어축은, 대경부(大徑部)와, 대경부의 직경보다도 소경(小徑)으로 형성된 소경부를 가지고 있다. 대경부 및 소경부는, 통상 부재의 내주부(內周部)에 배치되어 있다. 감진부는, 소경부의 외주(外周)에 배치되어 있다. 대경부는, 탄성 부재가 소정량까지 탄성 변화한 후에, 통상 부재의 계합부에 계합한다. 이 경우는, 감진부 및 드라이브 기어축을 통한 회전의 전달을 간소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상 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핸들부는, 드라이브 기어축과 축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과, 핸들 암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계합부를 가지는 제1 전달 부재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핸들부의 회전을 드라이브 기어축에 전달하는 제2 전달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감진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에 계합하고, 제1 전달 부재보다도 강성이 낮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2 전달 부재는, 감진부보다도 강성이 높고, 감진부가 소정량까지 탄성 변화한 후에,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에 계합하여, 핸들부의 회전을 드라이브 기어축에 전달한다.
이 경우는, 탄성 변형 가능한 감진부가 소정량 탄성 변형할 때까지,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에 탄성 부재가 계합하여 핸들 암의 회전이 드라이브 기어축에 전달된다. 즉, 회전 부하가 저(底)부하인 경우는, 회전력은 감진부를 통하여 전달된다. 이 때문에,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은 감진부를 통하여 핸들 암에 전달되게 되고, 진동은 감진부에 의하여 감쇠된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필링의 향상을 도모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회전 부하가 고부하인 경우에서 감진부가 소정량 변형한 후는,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에 제2 전달 부재가 계합하여 회전이 전달되기 때문에,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고부하가 가해진 경우에서도, 핸들 암의 회전을 드라이브 기어축에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는, 적어도 1개의 멈춤쇠 받이부이다. 감진부는, 멈춤쇠 받이부에 계합하는 탄성 멈춤쇠를 가지고 있다. 제2 전달 부재는, 감진부의 탄성 멈춤쇠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둘레 방향의 폭이 좁은 전달 멈춤쇠를 가지고 있다. 전달 멈춤쇠는, 감진부의 탄성 멈춤쇠가 소정량까지 탄성 변화한 후에, 멈춤쇠 받이부에 계합한다.
이 경우는, 계합부를 멈춤쇠 받이부로 하는 것으로 회전의 전달이 확실히 행하여진다. 또한, 전달 멈춤쇠의 폭을 탄성 멈춤쇠의 폭보다도 좁게 형성하는 것으로, 탄성 멈춤쇠가 소정량 탄성 변형할 때까지는, 멈춤쇠 받이부와 탄성 멈춤쇠가 계합하여,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달 부재는, 판상(板狀)의 금속이고, 중앙에 드라이브 기어축의 적어도 일부가 삽통(揷通) 가능한 관통공을 가지고 있다.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는, 관통공으로부터 경(徑)방향 외방(外方)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는,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도 감진부 및 전달 부재를 통한 회전의 전달을 간소한 구성으로 실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달 부재는, 통상의 금속이고, 일단(一端)이 핸들 암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는, 제1 전달 부재의 타단(他端)의 단면(端面)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핸들 암은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제1 전달 부재는, 관통공의 경방향 외측(外側)에 형성된 계지공에 장착된 계지용(用) 나사 부재가 암나사부에 나합(螺合)하여 핸들 암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는, 제1 전달 부재와 핸들 암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핸들부는, 드라이브 기어축과 축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과, 핸들 암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계합부를 가지는 제1 전달 부재와,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피계합부를 가지는 제2 전달 부재를 가지고 있다. 감진부는,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와 제2 전달 부재의 피계합부에 당접(當接)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 전달 부재의 회전을 제2 전달 부재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제1 및 제2 전달 부재보다 강성이 낮고 탄성 변형 가능하다.
이 경우는, 감진부를 통하여 핸들 암의 회전이 핸들축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핸들 암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을, 감진부에 의하여 감쇠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회전 필링의 향상을 도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어로부터 핸들 암에 전달되는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전 필링의 향상을 도모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제1 실시예의 스피닝 릴의 측면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어 기구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기어 기구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어 기구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일부의 단면 사시도
도 9는 제2 실시예의 제1 금속 부재에 감진부 및 제2 금속 부재를 배치하였을 때의 도면.
도 10은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9에 상당하는 도면.
도 11은 제3 실시예의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12는 제3 실시예의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13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어 기구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제3 실시예의 제1 금속 부재에 감진부 및 제2 금속 부재를 배치하였을 때의 도면.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100)의 측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前)」이란 낚싯줄을 방출하는 방향을 도시하고,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의 왼쪽이 「전」이다.
스피닝 릴(100)은, 릴 본체(1)와, 로터(2)와, 피니언 기어(3)와, 스풀축(4)과, 스풀(5)과, 드라이브축(17) 및 핸들축(18)을 가지는 기어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부(8)와, 덮개(9)를 가지고 있다. 덮개(9)는, 예를 들어 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케이스부(8)에 취부(取付)되어 있다. 릴 본체(1)는, 케이스부(8)와 덮개(9)에 의하여 획정(劃定)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다. 내부 공간에는, 기어 기구(6)의 일부나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10)가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부(8)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부(8a)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의 제1 보스부(11)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8a)는, 낚싯대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제1 보스부(11)는, 릴 본체(1)의 제1측(도 3 참조)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스부(11)는, 제1 관통공(11a)을 가지고 있다. 제1 관통공(11a)은, 핸들축(18)을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이다. 제1 관통공(11a)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제1 암나사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보스부(11)의 내주면에는, 드라이브축(17)의 제1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베어링 부재(12)가 취부되어 있다.
덮개(9)는, 통상의 제2 보스부(13)를 가지고 있다. 제2 보스부(13)는, 릴 본체(1)의 제2측(도 3 참조)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보스부(13)는, 제2 관통공(13a)을 가지고 있다. 제2 관통공(13a)은, 핸들축(18)을 통과하기 위한 관통공이다. 제2 관통공(13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제2 암나사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보스부(13)의 내주면에는, 드라이브축(17)의 제2측을 지지하기 위한 제2 베어링 부재(14)가 취부되어 있다.
로터(2)는, 스풀(5)에 낚싯줄을 감기 위한 부재이다. 로터(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3)의 전부(前部)에 고정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3)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3)는, 릴 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피니언 기어(3)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릴 본체(1)로부터 전방(前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의 내부를 스풀축(4)이 연장되어 있다. 덧붙여, 피니언 기어(3)는 복수의 베어링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릴 본체(1)에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4)은, 릴 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스풀축(4)은, 릴 본체(1) 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5)은, 낚싯줄이 감기는 부재이다. 스풀(5)은, 스풀축(4)과 일체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기어 기구(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기어(20)와, 핸들부(7)와, 감진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브 기어(20)는, 드라이브 기어축(15)과, 소정의 기어 직경을 가지는 기어부(16)를 가지고 있다.
드라이브 기어축(15)은, 드라이브축(17)과, 핸들축(18)을 가지고 있다.
드라이브축(17)은, 통상의 축이다. 드라이브축(17)의 양단(兩端)은, 제1 및 제2 베어링 부재(12, 14)에 의하여,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브축(17)의 양단부에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암나사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브축(17)은, 기어부(16)의 기어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축(18)은, 제2 관통공(13a)을 관통하여, 일부가 드라이브축(17)의 내주(內周)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축(18)의 직경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부(16)의 기어 직경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축(18)이 관통하고 있지 않는 제1 관통공(11a)에는, 제1 암나사부(11b)에 나합하는 캡 부재(19)가 장착되어 있다. 덧붙여, 캡 부재(19)는, 제2 관통공(13a)의 제2 암나사부(13b)에도 나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과는 반대로 핸들축(18)이 제1측에 배치되는 경우는, 캡 부재(19)는 제2 관통공(13a)에 장착된다.
핸들축(18)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단(內端) 측(릴 본체(1)의 내부에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외단(外端) 측(릴 본체(1)의 외부에 위치하는 측)을 향하여 수나사부(18a), 환상(環狀)의 축 테두리부(18b), 대경부(18c), 소경부(18d)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8a)는, 핸들축(18)의 내단부에 형성되고, 외주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나사부(18a)와 드라이브축(17)의 내주에 형성된 암나사부(17a)가 나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축(18)은 드라이브축(17)에 비틀어 박아 고정되어, 드라이브축(17)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소경부(18d)는, 대경부(18c)의 직경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18c) 및 소경부(18d)의 단면(斷面) 형상은, 타원형이다. 또한, 핸들축(18)은, 핸들축(18)의 외단으로부터 소경부(18d)의 내부를 관통하는 나사공(18e)을 가지고 있다.
기어부(1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축(17)에 연결되어 있고, 드라이브축(17)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기어부(16)는, 페이스 기어이며, 피니언 기어(3)와 맞물려 있다. 릴 본체(1)에 취부된 핸들부(7)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핸들축(18), 드라이브축(17) 및 기어부(16)가 회전하고, 피니언 기어(3)도 회전한다. 이 피니언 기어(3)의 회전에 수반하여, 오실레이팅 기구(10)가 스풀축(4)을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핸들부(7)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18)에 장착되어 있다. 핸들부(7)는, 핸들 암(21)과, 핸들 암(21)의 선단(先端)에 장착되는 핸들 손잡이(22)(도 1 참조)와, 통상 부재(24)를 가지고 있다.
핸들 암(21)은, 드라이브 기어축(15)과 축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핸들 암(21)은, 핸들축(18)(정확하게는 후술하는 통상 부재(24))에 장착되는 측인 기단(基端) 측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1a)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21a)은, 내단의 선단면의 일부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상 부재(24)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단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보스부(27)와, 테두리부(28)와, 계합부(29)를 가지고 있다. 통상 부재(24)의 내주 측에는, 핸들축(18)의 대경부(18c) 및 소경부(18d)가 배치되어 있다. 통상 부재(24)는,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이다.
보스부(27)는, 통상 부재(24)의 외단부(外端部)에 형성되고, 선단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암나사부(27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암나사부(27a)의 한층 더 내부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경 구멍부(27b)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 구멍부(27b)는, 암나사부(27a)의 내경과 거의 같은 직경이며, 또한 내부의 계합부(29)의 내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28)는, 보스부(27)의 내단 측에 보스부(27)의 외경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테두리부(28)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두리부(28)의 보스부(27) 측의 일부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계지면(28a)을 가지고 있다. 이 계지면(28a) 및 보스부(27)의 외주에, 핸들 암(21)의 관통공(21a)이 감합(嵌合)하고 있다. 그리고, 핸들 암(21)의 관통공(21a)의 외측으로부터 삽통된 나사 부재(32)가 보스부(27)의 암나사부(27a)와 나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통상 부재(24)는, 핸들 암(21)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 통상 부재(24)와 핸들 암(21)을 연결할 때, 덜걱거림을 억제하기 위한 예를 들어 수지 시트(도시하지 않음)를 통상 부재(24)와 핸들 암(21)과의 사이에 끼워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계합부(29)는, 내주부에 타원형의 계합공(29a)을 가지고 있다. 계합공(29a)의 형상은, 핸들축(18)의 대경부(18c)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상세하게는, 계합공(29a)은 핸들축과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間隙)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공(29a)에 핸들축(18)의 대경부(18c)가 계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 부재(24)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부재(24)의 긴쪽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외단부에 걸쳐 볼트(30)가 수용되어 있다. 볼트(30)는, 통상 부재(24)의 내주부에 삽입된 핸들축(18)의 나사공(18e)에 나합하는 것과 함께, 그 머리부가 대경 구멍부(27b)에 수용되어 있다. 볼트(30)를 핸들축(18)의 나사공(18e)에 나합하는 것에 의하여, 통상 부재(24)의 내단 측의 단면이 핸들축(18)의 축 테두리부(18b)에 당접하고, 통상 부재(24)가 핸들축(18)에 고정되어 있다. 덧붙여, 볼트(30)의 머리부 단면과 대경 구멍부(27b)의 바닥면과의 사이, 및 핸들축(18)의 대경부(18c)의 외주면과 통상 부재(24)의 선단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실 부재(31)가 배치되어 있다. 실 부재(31)는, 통상 부재(24)의 내부에 침입하는 해수 등을 방지하는 것과 함께, 핸들부(7)의 축 방향의 덜걱거림을 억제하는 기능을 완수하고 있다.
감진부(2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상으로 형성되고, 핸들축(18)의 소경부(18d)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감진부(25)는,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통상 부재(24)보다도 강성이 낮은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이다.
<회전 전달 경로>
제1 실시예에서는, 감진부(25)가 소정량 탄성 변형할 때까지는, 감진부(25)와 통상 부재(24)가 계합하여, 핸들 암(21)의 회전이 핸들축(18)에 전달된다. 상세하게는, 감진부(25)와 통상 부재(24)의 내주에 형성된 계합공(29a)이 계합한다.
즉, 핸들 암(21)에 의한 낚싯줄 감는 힘(회전력)이 작은 경우는, 핸들 암(21)→통상 부재(24)(계합부(29)의 계합공(29a))→감진부(25)→핸들축(18)→드라이브축(17)→기어부(16)→피니언 기어(3)의 전달 경로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로터(2)가 회전된다. 여기에서는, 핸들 암(21)의 회전력이 감진부(25)를 통하여 드라이브 기어축(15)에 전달되기 때문에,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이 감쇠되어 핸들 암(21)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꾼이 핸들부(7)를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회전 필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덧붙여,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진부(25)는,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기어의 직경 D1(여기에서는, 기어부(16)의 기어 직경)보다 소경의 전달 경로의 직경 D2(여기에서는, 드라이브축(17)및 핸들축(18)의 직경)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진부(25)가 설치된 소경의 전달 경로의 직경 D2(여기에서는, 드라이브축(17) 및 핸들축(18)의 직경)가,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기어의 직경 D1(여기에서는, 기어부(16)의 기어 직경)보다 작으면, 보다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감진부(25)가 소정량까지 탄성 변형한 후는, 핸들축(18)과 통상 부재(24)가 계합하여 핸들 암(21)의 회전이 핸들축(18)에 전달된다. 상세하게는, 감진부(25)가 소정량(통상 부재(24)의 계합공(29a)과 핸들축(18)의 대경부(18c)와의 사이의 간극이 없어지는 정도)까지 탄성 변형하면, 대경부(18c)와 계합공(29a)이 접촉하여, 통상 부재(24)로부터 핸들축(18)에 회전이 직접 전달된다.
즉, 핸들 암(21)에 의한 낚싯줄 감는 힘이 큰 고부하인 경우는, 전술과 같이, 감진부(25)가 탄성 변형하고, 핸들 암(21)→통상 부재(24)(계합공(29a))→핸들축(18)(대경부(18c))→드라이브축(17)→기어부(16)→피니언 기어(3)의 전달 경로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로터(2)가 회전된다. 여기에서는, 핸들 암(21)의 회전력이 감진부(25)를 개재하지 않고 드라이브 기어축(15)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회전력을 재빠르게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낚싯줄을 감는 회전 방향으로의 부하가 작을 때는, 감진부(25)를 통하는 것으로, 핸들 암(21)에 전달되는 기어의 진동을 감쇠시키면서 회전을 드라이브 기어축(15)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높은 부하가 가해졌을 때는, 통상 부재(24)로부터 드라이브 기어축(15)에 회전을 직접 전달하는 것으로, 핸들 암(21)의 회전을 드라이브 기어축(15)에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덧붙여, 감진부(25)가 탄성 변형 가능한 양(量)에 관하여는, 계합부(29)와 대경부(18c)와의 사이의 간극에 상당하는 양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2 실시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채용한 기어 기구(106)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 및 단면 사시도이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피닝 릴의 전체 구성은, 제1 실시예의 스피닝 릴(100)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핸들축(118)의 일부, 핸들부(107)의 일부, 및 감진부(125)의 구성만이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다르다. 이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덧붙여,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관하여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2 실시예의 핸들축(118)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수나사부(18a) 및 축 테두리부(18b)에 더하여, 축부(118a)를 가지고 있다. 축부(118a)는, 축 테두리부(18b)로부터 핸들축(118)의 외단 측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축부(118a)의 외경은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축부(118a)의 중심부에는, 축부(118a)의 선단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공(118e)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118a)의 단면 형상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비원형(非圓形)이며,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부(107)는, 핸들축(118)의 외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부(107)는, 핸들 암(121)과, 핸들 암(121)의 선단에 장착되는 핸들 손잡이(22)(도 1 참조)와, 제1 금속 부재(35)(제1 전달 부재의 일례)와, 제2 금속 부재(36)(제2 전달 부재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핸들 암(121)은, 암부(121a)와, 암부(121a)와 일체 회전하는 보스부(121b)를 가지고 있다. 암부(121a)는, 보스부(121b)로부터 핸들축(118)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스부(121b)의 내주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암나사부(121c)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121b)에는, 핸들축(118)의 외단부가 수용되어 있다.
제1 금속 부재(35)는, 통상이며, 외단부가 핸들 암(121)의 보스부(121b)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금속 부재(35)의 외단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수나사부(3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35a)가 핸들 암(121)의 보스부(121b)의 내주에 형성된 암나사부(121c)에 나합하고 있다.
제1 금속 부재(35)는, 관통공(35b)와, 복수의 멈춤쇠 받이부(35c)를 가지고 있다. 관통공(35b)에는 핸들축(118)의 축부(118a)가 삽통되어 있다.
복수의 멈춤쇠 받이부(35c)는 각각, 제1 금속 부재(35)의 핸들축(118)이 삽통되는 측(내단 측)의 단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멈춤쇠 받이부(35c)에는, 한 쌍의 측벽(35d)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핸들축(118)의 축부(118a)의 나사공(118e)에는, 볼트(30)가 나합하고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볼트(30)의 단면이 완충 부재(37) 및 와셔(38)를 통하여 축부(118a)의 외단면에 당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볼트(30)를 핸들축(118)의 나사공(118e)에 나합하고, 볼트(30)의 머리부를 축부(118a)의 단면에 완충 부재(37) 등을 통하여 당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금속 부재(35)의 내단 측의 단면이 와셔(39), 감진부(125) 및 제2 금속 부재(36)를 통하여 핸들축(118)의 축 테두리부(18b)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금속 부재(35)가 핸들축(118)에 고정되어 있다. 덧붙여, 완충 부재(37)는, 축 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것과 함께, 볼트(30)의 느슨해짐 방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제2 금속 부재(36)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관통공(36a)과, 복수의 금속 멈춤쇠(전달 멈춤쇠의 일례)(36b)를 가지고 있다. 관통공(36a)은, 핸들축(118)의 축부(118a)에 계합하는 비원형의 구멍이다. 이것에 의하여, 제2 금속 부재(36)는, 핸들축(118)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금속 부재(36)는, 감진부(125)보다도 강성이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제2 금속 부재(36)는, 제1 금속 부재(35)의 멈춤쇠 받이부(35c)와 핸들축(118)의 축 테두리부(18b)에 협지되어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복수의 금속 멈춤쇠(36b)는 각각, 관통공(36a)으로부터 경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금속 멈춤쇠(36b)는, 핸들 암(12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멈춤쇠 받이부(35c)의 한 쌍의 측벽(35d)의 적어도 일방(一方)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멈춤쇠(36b)는, 탄성 멈춤쇠(125b)보다도 둘레 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 암(121)이 회전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금속 멈춤쇠(36b)는 한 쌍의 측벽(35d)에 당접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감진부(125)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고, 관통공(125a)과, 복수의 탄성 멈춤쇠(125b)를 가지고 있다. 감진부(125)는,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제1 금속 부재(35)보다도 강성이 낮은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이다. 관통공(125a)은, 핸들축(118)의 축부(118a)에 계합하는 비원형의 구멍이다. 이것에 의하여, 감진부(125)는, 핸들축(118)에 회전 불가능하다.
복수의 탄성 멈춤쇠(125b)는 각각, 관통공(125a)으로부터 경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멈춤쇠(125b)는, 제1 금속 부재(35)의 멈춤쇠 받이부(35c)와 계합한다. 상세하게는, 감진부(125)의 탄성 멈춤쇠(125b)가 멈춤쇠 받이부(35c)의 한 쌍의 측벽(35d)에 당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감진부(125)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멈춤쇠 받이부(35c)와 핸들축(118)의 축 테두리부(18b)에 협지되어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회전 전달 경로>
제2 실시예에서는, 감진부(125)가 소정량 탄성 변형할 때까지는, 감진부(125)와 제1 금속 부재(35)의 멈춤쇠 받이부(35c)가 계합하여, 핸들 암(121)의 회전이 핸들축(118)에 전달된다. 상세하게는, 감진부(125)의 탄성 멈춤쇠(125b)와, 제1 금속 부재(35)의 멈춤쇠 받이부(35c)의 측벽(35d)이 계합하여, 핸들 암(121)의 회전이 핸들축(118)에 전달된다.
즉, 핸들 암(121)에 의한 낚싯줄 감는 힘(회전력)이 작은 경우는, 핸들 암(121)→제1 금속 부재(35)(멈춤쇠 받이부(35c))→감진부(125)(탄성 멈춤쇠(125b))→핸들축(118)→드라이브축(17)→기어부(16)→피니언 기어(3)의 전달 경로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로터(2)가 회전된다. 여기에서는, 핸들 암(121)의 회전력이 감진부(125)를 통하여 드라이브 기어축(15)에 전달되기 때문에,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이 감쇠되어 핸들 암(121)에 전달된다. 이것에 의하여, 낚시꾼이 핸들부(107)를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회전 필링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감진부(125)가 소정량까지 탄성 변형한 후는, 제2 금속 부재(36)와 제1 금속 부재(35)가 계합하여, 핸들 암(121)의 회전이 핸들축(118)에 전달된다. 상세하게는, 감진부(125)의 탄성 멈춤쇠(125b)가 소정량까지 탄성 변형하면, 탄성 멈춤쇠(125b)보다도 둘레 방향의 폭이 좁은 금속 멈춤쇠(36b)가 제1 금속 부재(35)의 멈춤쇠 받이부(35c)에 계합한다.
즉, 핸들 암(21)에 의한 낚싯줄 감는 힘이 큰 고부하인 경우는, 전술과 같이, 감진부(125)가 탄성 변형하고, 핸들 암(121)→제1 금속 부재(35)(멈춤쇠 받이부(35c))→제2 금속 부재(36)(금속 멈춤쇠(36b))→핸들축(118)→드라이브축(17)→기어부(16)→피니언 기어(3)의 전달 경로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로터(2)가 회전된다. 여기에서는, 핸들 암(121)의 회전력이 감진부(125)를 개재하지 않고 드라이브 기어축(15)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회전력을 재빠르게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예를 들어, 낚싯줄을 감는 회전 방향으로의 부하가 작을 때는 감진부(125)를 통하여 핸들 암(121)의 회전이 드라이브 기어축(15)에 전달되고, 높은 부하가 작용하였을 때는 제2 금속 부재(36)를 통하여 회전이 전달되기 때문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감진부(125)는,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기어의 직경(여기에서는, 기어부(16)의 기어 직경)보다 소경의 전달 경로(여기에서는, 제1 금속 부재(35)(멈춤쇠 받이부(35c)), 제2 금속 부재(36)(금속 멈춤쇠(36b)) 및 핸들축(118)의 직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
제2 실시예의 변형예는, 제2 실시예의 감진부(125)의 구성만을 바꾼 것이다. 여기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진부(125c)는, 제2 금속 부재(36)의 금속 멈춤쇠(36b)의 양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감진부(125c)는 제1 금속 부재(35)의 멈춤쇠 받이부(35c)와 제2 금속 부재(36)의 금속 멈춤쇠(36b)와의 사이의 간극을 채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을 감는 회전 방향으로의 부하가 가해지고, 감진부(125c)가 탄성 변형한 경우여도, 금속 멈춤쇠(36b)가 있는 것으로, 핸들 암(121)의 회전을 핸들축(118)에 전달할 수 있다.
덧붙여,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멈춤쇠 받이부(35c)와 금속 멈춤쇠(36b)가 계합하는 부분의 사이에 감진부(125c)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감진부(125c)가 탄성 변형하여도 멈춤쇠 받이부(35c)와 금속 멈춤쇠(36b)가 당접하여 계합하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2 실시예와 달리, 감진부(125c)가 소정량 탄성 변형한 경우여도, 항상 감진부(125c)를 통하여 제1 금속 부재(35)의 회전이 제2 금속 부재(36)에 전달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20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41)와, 스풀(42)과, 기어 기구(106)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41)는, 프레임(45)과, 프레임(45)의 양측을 덮도록 장착된 제1 측 커버(46) 및 제2 측 커버(47)와, 프레임(45)의 전방에 장착된 앞 커버(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45)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측판(45a) 및 제2 측판(45b)과, 제1 측판(45a)과 제2 측판(45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45c)와, 낚싯대에 장착되는 장착부(45d)를 가지고 있다.
스풀(42)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45a)과 제2 측판(45b)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2)의 외주면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42)은, 스풀(42)의 중앙을 관통하는 스풀축(48)에 고정되어, 스풀축(48)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스풀축(48)의 양단은, 베어링 부재(50a, 50b)에 의하여, 릴 본체(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 기구(106)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 기어(220)와, 피니언 기어(52)와, 드래그 기구(53)와, 핸들부(207)와, 감진부(225)를 구비하고 있다.
드라이브 기어(220)는, 드라이브 기어축(215)과, 소정의 기어 직경을 가지는 기어부(216)를 가지고 있다.
드라이브 기어축(215)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축부(215a)와, 제2 축부(215b)와, 나사공(215c)을 가지고 있다. 드라이브 기어축(215)은, 기어부(216)의 기어 직경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드라이브 기어축(215)은, 드라이브 기어축(215)의 외주에 배치되는 원웨이 클러치(55)(도 12 참조)에 의하여,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제1 축부(215a)는, 드라이브 기어축(215)의 외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축부(215b)는, 제1 축부(215a)로부터 내단 측으로 연장되어, 제1 축부(215a)의 직경보다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축부(215a) 및 제2 축부(215b)의 단면 형상은, 비원형이며, 여기에서는 타원형이다. 나사공(215c)은, 제1 축부(215a)의 단면으로부터 제1 축부(215a)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기어부(216)는, 드라이브 기어축(215)에 장착되어 있다. 기어부(216)는, 드라이브 기어축(215)과 함께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52)는, 기어부(216)에 맞물린다. 드래그 기구(53)는, 스풀(42)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한다. 여기에서는 드래그 기구(53)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핸들부(207)는, 드라이브 기어축(215)의 제1 축부(215a)에 장착되어 있다. 핸들부(207)는, 핸들 암(221)과, 핸들 암(221)의 양단에 장착되는 핸들 손잡이(222)와, 제1 금속 부재(235)(제1 전달 부재의 일례)와 제2 금속 부재(236)(제2 전달 부재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핸들 암(221)은, 드라이브 기어축(215)과 축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핸들 암(221)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221a)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221a)의 주변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암나사부(221b)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221b)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금속 부재(235)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상이며, 관통공(235b)과, 복수의 멈춤쇠 받이부(235c)와, 복수의 계지공(235e)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235b)에는, 드라이브 기어축(215)의 제1 축부(215a)가 관통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1 축부(215a)의 나사공(215c)에는, 볼트(56)가 핸들 암(221)의 외단 측으로부터 핸들 암(221)의 관통공(221a)을 관통하여 나합하고 있다(도 12 참조). 그리고, 볼트(56)의 단면은, 완충 부재(237)를 통하여 핸들 암(221)의 외단면에 당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볼트(56)를 드라이브 기어축(215)의 나사공(215c)에 나합하고, 볼트(56)의 머리부를 핸들 암(221)의 외단면에 완충 부재(237)를 통하여 당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핸들 암(221)의 내단 측의 단면이 감진부(225) 및 제2 금속 부재(236)를 통하여 드라이브 기어축(215)의 제2 축부(215b)의 외단면에 당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라이브 기어축(215)에 핸들 암(221)이 장착되어 있다. 완충 부재(237)는, 축 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것과 함께, 볼트(56)의 느슨해짐 방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복수의 멈춤쇠 받이부(235c)는 각각, 관통공(235b)으로부터 경방향 외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멈춤쇠 받이부(235c)에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235d)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계지공(235e)은 각각, 멈춤쇠 받이부(235c)보다도 경방향 외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금속 부재(235)의 릴 본체(41) 측으로부터 나사 부재(57)가 계지공(235e)을 삽통하여, 핸들 암(221)의 암나사부(221b)에 나합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1 금속 부재(235)는, 핸들 암(221)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금속 부재(236)는, 판상이며, 관통공(236a)과, 복수의 금속 멈춤쇠(전달 멈춤쇠의 일례)(236b)를 가지고 있다. 관통공(236a)은, 제1 축부(215a)에 계합하는 비원형의 구멍이다. 이것에 의하여, 제2 금속 부재(236)는, 드라이브 기어축(2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2 금속 부재(236)는, 감진부(225)보다도 강성이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금속 멈춤쇠(236b)는 각각, 관통공(236a)으로부터 경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금속 멈춤쇠(236b)는, 핸들 암(22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멈춤쇠 받이부(235c)의 한 쌍의 측벽(235d)의 적어도 일방에 계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멈춤쇠(236b)는, 후술하는 탄성 멈춤쇠(225b)보다도 둘레 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 암(221)이 회전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금속 멈춤쇠(236b)는 한 쌍의 측벽(236d)에 당접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감진부(225)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관통공(225a)과, 복수의 탄성 멈춤쇠(225b)를 가지고 있다. 감진부(225)는,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제1 금속 부재(235)보다도 강성이 낮은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이다.
관통공(225a)은, 제1 축부(215a)에 계합하는 비원형의 구멍이다. 이것에 의하여, 감진부(225)는, 핸들축(218)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다.
복수의 탄성 멈춤쇠(225b)는 각각, 관통공(225a)으로부터 경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멈춤쇠(225b)는, 멈춤쇠 받이부(235c)와 계합한다. 상세하게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진부(225)의 탄성 멈춤쇠(225b)는, 멈춤쇠 받이부(235c)의 한 쌍의 측벽(235d)에 당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회전 전달 경로>
제3 실시예의 회전 전달 경로는, 제2 실시예와 같은 구성이며,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회전 전달 경로를 따른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제1 실시예에서는, 핸들축(18)에 대경부(18c) 및 소경부(18d)를 형성하여 소경부(18d)의 외주에 감진부(25)를 장착하고 있지만, 핸들축(18)의 외경을 균일한 직경으로 하여, 핸들축(18)의 외주에 설치한 홈에 고무제나 수지제의 탄성 부재를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b) 제1 실시예에서는, 계합부(29)의 계합공(29a)을 타원형상으로 하여 계합하고 있지만, 타원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각형이나 D컷, 키나 스플라인으로 하여 계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2 및 제3 실시예에 관하여도, 복수의 멈춤쇠 받이부(35c, 235c)에 의하여 탄성 멈춤쇠(125b, 225b) 및 금속 멈춤쇠(36b, 236b)를 계합하고 있지만, 계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있으면 된다.
(c)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감진부(125c)를 적어도 제1 금속 부재(35)와 제2 금속 부재(36)가 계합하는 부분에 설치하여 있으면 된다. 또한, 감진부(125c)를 제1 또는 제2 금속 부재(35, 36)에 씌워, 제1 또는 제2 금속 부재(35, 36)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d)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상 부재, 제2 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제2 금속 부재는, 감진부보다 강성이 높으면, 특히 금속 이외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e) 제2 실시예의 변형예를, 제3 실시예에 적용시켜도 무방하다.
(f) 덧붙여,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감진부는,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기어의 직경보다 소경의 전달 경로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6, 106: 기어 기구
7, 107, 207: 핸들부
16, 216: 기어부
15, 215: 드라이브 기어축,
18c: 대경부
18d: 소경부
20, 220: 드라이브 기어
21, 121, 221: 핸들 암
24: 통상 부재
25, 125, 125c, 225: 감진부
29: 계합부
35, 235: 제1 금속 부재(제1 전달 부재의 일례)
35b, 235b: 관통공
35c, 235c: 멈춤쇠 받이부
36, 236: 제2 금속 부재(제2 전달 부재의 일례)
36b, 236b: 금속 멈춤쇠(전달 멈춤쇠의 일례)
57: 나사 부재
125b, 225b: 탄성 멈춤쇠
221b: 암나사부
235e: 계지공

Claims (12)

  1.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에 있어서,
    소정의 기어 직경을 가지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소정의 기어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드라이브 기어축을 가지는 드라이브 기어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을 회전시키는 핸들부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과 상기 핸들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진동의 전달을 감쇠시키는 감진부
    를 구비한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과 축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과,
    상기 핸들 암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과 함께, 내주부(內周部)에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과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間隙)을 가지고 형성된 계합부(係合部)를 가지는 통상(筒狀) 부재
    를 가지고,
    상기 감진부(減振部)는, 상기 소정의 간극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진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통상 부재의 계합부에 계합하고, 상기 통상 부재보다도 강성이 낮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부재의 계합부는,
    상기 감진부가 소정량까지 탄성 변형한 후에,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과 계합하는,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은, 대경부(大徑部)와, 상기 대경부의 직경보다도 소경(小徑)으로 형성된 소경부를 가지고,
    상기 대경부 및 상기 소경부는, 상기 통상 부재의 내주부에 배치되고,
    상기 감진부는, 상기 소경부의 외주(外周)에 배치되고,
    상기 대경부는, 상기 감진부가 소정량까지 탄성 변화한 후에, 상기 통상 부재의 계합부에 계합하는,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 부재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과 축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과,
    상기 핸들 암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계합부를 가지는 제1 전달 부재
    를 가지고,
    상기 핸들부의 회전을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에 전달하는 제2 전달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진부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에 계합하고, 상기 제1 전달 부재보다도 강성이 낮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달 부재는, 상기 감진부보다도 강성이 높고, 상기 감진부가 소정량까지 탄성 변화한 후에, 상기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에 계합하여, 상기 핸들부의 회전을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에 전달하는,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는, 적어도 1개의 멈춤쇠 받이부이고,
    상기 감진부는, 상기 멈춤쇠 받이부에 계합하는 탄성 멈춤쇠를 가지고,
    상기 제2 전달 부재는, 상기 감진부의 탄성 멈춤쇠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둘레 방향의 폭이 좁은 전달 멈춤쇠를 가지고,
    상기 전달 멈춤쇠는, 상기 감진부의 탄성 멈춤쇠가 소정량까지 탄성 변화한 후에, 상기 멈춤쇠 받이부에 계합하는,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 부재는, 판상(板狀)의 금속이고, 중앙에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적어도 일부가 삽통 가능한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는,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경(徑)방향 외방(外方)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 부재는, 통상의 금속이고, 일단(一端)이 상기 핸들 암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는, 상기 제1 전달 부재의 타단(他端)의 선단면(先端面)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암은 암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전달 부재는, 상기 관통공의 경방향 외측(外側)에 형성된 계지공에 장착된 계지용(用) 나사 부재가 상기 암나사부에 나합하여 상기 핸들 암에 고정되어 있는,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과 축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핸들 암과,
    상기 핸들 암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고, 계합부를 가지는 제1 전달 부재와,
    상기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는 피계합부를 가지는 제2 전달 부재
    를 가지고,
    상기 감진부는, 상기 제1 전달 부재의 계합부와 상기 제2 전달 부재의 피계합부에 당접(當接)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전달 부재의 회전을 상기 제2 전달 부재에 전달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및 제2 전달 부재보다 강성이 낮고 탄성 변형 가능한,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KR1020170046744A 2016-10-11 2017-04-11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KR102372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99773A JP6785610B2 (ja) 2016-10-11 2016-10-11 釣用リールのギア機構
JPJP-P-2016-199773 2016-10-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064A true KR20180040064A (ko) 2018-04-19
KR102372909B1 KR102372909B1 (ko) 2022-03-11

Family

ID=6000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744A KR102372909B1 (ko) 2016-10-11 2017-04-11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244744B2 (ko)
EP (1) EP3308642B1 (ko)
JP (1) JP6785610B2 (ko)
KR (1) KR102372909B1 (ko)
CN (1) CN107917147B (ko)
MY (1) MY186205A (ko)
TW (1) TWI7281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6543B2 (ja) * 2018-12-25 2023-02-01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US11350617B2 (en) 2019-06-21 2022-06-07 Trika Inc. Left handed fishing reel
TWI806080B (zh) * 2021-06-18 2023-06-21 寶熊漁具股份有限公司 紡車式漁輪
US11547105B1 (en) * 2021-06-23 2023-01-10 Okuma Fishing Tackle Co. Ltd. Spinning fishing re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364U (ja) * 1982-11-11 1984-05-25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ル
JPH0717063U (ja) * 1993-09-08 1995-03-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装着機構
JP2004024231A (ja) 2002-05-01 2004-01-2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15065863A (ja) * 2013-09-27 2015-04-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4166A (en) * 1989-11-20 1993-09-14 Shimano, Inc. Handle fixing structure for spinning reel
DE69407696T2 (de) * 1993-09-08 1998-04-16 Daiwa Seiko Inc Kurbelmontage-Anordnung in Angelhaspeln
CN2280415Y (zh) * 1996-08-12 1998-05-06 叶世渊 低振动的钓鱼卷线器
CN100529453C (zh) * 2004-08-27 2009-08-19 株式会社岛野 旋转式绕线轮的单向离合器
TWI271149B (en) * 2005-03-25 2007-01-21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for fishing
JP4535463B2 (ja) * 2005-03-25 2010-09-0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1930538B1 (ko) * 2010-08-27 2018-12-18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낚시용 릴
KR101740616B1 (ko) 2012-11-26 2017-05-26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기판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
US9560840B2 (en) * 2013-05-07 2017-02-07 Ams, Llc Fishing line reel with rapid line payout
KR102312398B1 (ko) * 2013-10-01 2021-10-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용 릴의 왕복 이동 기구
US10004214B2 (en) * 2014-10-17 2018-06-26 Haibao Fishing Tackle Co., Ltd. Spinning reel with variable gear ratio transmission
JP6408339B2 (ja) * 2014-10-27 2018-10-17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
US9750233B2 (en) * 2014-12-02 2017-09-05 Shimano Inc. Line roller unit and fishing line guide mechanism
JP6684115B2 (ja) * 2016-03-10 2020-04-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US10271531B2 (en) * 2016-04-26 2019-04-30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replaceable hood to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7364U (ja) * 1982-11-11 1984-05-25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ル
JPH0717063U (ja) * 1993-09-08 1995-03-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装着機構
JP2004024231A (ja) 2002-05-01 2004-01-29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15065863A (ja) * 2013-09-27 2015-04-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8642B1 (en) 2020-04-01
KR102372909B1 (ko) 2022-03-11
EP3308642A1 (en) 2018-04-18
US10244744B2 (en) 2019-04-02
JP6785610B2 (ja) 2020-11-18
JP2018061443A (ja) 2018-04-19
US10952418B2 (en) 2021-03-23
US20180098530A1 (en) 2018-04-12
TW201813502A (zh) 2018-04-16
TWI728128B (zh) 2021-05-21
CN107917147A (zh) 2018-04-17
CN107917147B (zh) 2021-06-15
MY186205A (en) 2021-06-30
US20190166817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0064A (ko) 낚시용 릴의 기어 기구
CN105981695B (zh) 纺车式渔线轮
KR102490469B1 (ko) 피니언 기어 및 스피닝 릴
TWI761366B (zh) 釣魚用捲線器的防水構造
KR102143053B1 (ko) 듀얼 베어링 릴
JP6979844B2 (ja) 回転伝達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102605688B1 (ko) 낚시용 릴의 핸들 노브 및 낚시용 릴
KR20190046614A (ko) 스피닝 릴용의 핸들 조립체, 및, 스피닝 릴
TWI739866B (zh) 釣具捲線器的往復移動機構
KR102413820B1 (ko) 낚시용 릴의 기어 장착 구조
JP7355522B2 (ja) 両軸受リール
JP521109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00137929A (ko) 낚시용 릴
KR102275977B1 (ko) 양 베어링 릴의 릴 본체
KR20170074744A (ko) 듀얼 베어링 릴
KR20200137928A (ko) 낚시용 릴
JP5986876B2 (ja)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装置
KR102674163B1 (ko) 낚시용 릴
JP4666846B2 (ja) 釣り用リールのナット部材回り止め構造
KR20170070785A (ko) 스피닝 릴의 로터, 및 스피닝 릴
JP4882602B2 (ja) 前方握把部材
JP2001148975A (ja) 両軸受リール用ドライブギア及びそれを用いた両軸受リール
KR20170113016A (ko) 양 베어링 릴
JP2012095569A (ja) 魚釣り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0124742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