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053B1 - 듀얼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053B1
KR102143053B1 KR1020130150428A KR20130150428A KR102143053B1 KR 102143053 B1 KR102143053 B1 KR 102143053B1 KR 1020130150428 A KR1020130150428 A KR 1020130150428A KR 20130150428 A KR20130150428 A KR 20130150428A KR 102143053 B1 KR102143053 B1 KR 102143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bearing reel
dual bearing
reel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829A (ko
Inventor
쇼지 나카가와
도모야 데구치
구니오 다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4008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파밍 시에 릴 본체를 잡기 쉽게 한다. 듀얼 베어링 릴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송출하는 듀얼 베어링 릴로서, 릴 본체(1)와, 스풀(12)과, 핸들(2)을 구비한다. 릴 본체(1)는,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측면(1c, 1d)끼리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1a, 1b)를 가진다. 스풀(12)은, 제1 본체부(1a)와 제2 본체부(1b)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핸들(2)은, 제1 본체부(1a)의 제1 측면(1c)과 대향하는 제2 측면(1e) 측에 있어서, 제1 본체부(1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본체부(1a)는, 장착측 면(1f)과 제1 측면(1c)과의 경계부인 제1 경계부(1h)를 따라 연장되는 오목부(1j)를 가진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낚시대에 장착 가능하며, 낚싯줄을 전방으로 송출하는 듀얼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일반적으로, 스풀과, 스풀을 양단으로부터 협지하도록 배치되는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제1 본체부에 장착되는 핸들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핸들을 회전시키면, 제1 본체부 내에 수용되는 회전 전달 기구(機構)에 의해 핸들의 회전이 스풀에 전달되고, 스풀이 회전한다. 이 회전 전달 기구는, 핸들축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와, 스풀축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 기어에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와, 핸들과 스풀을 연결 및 차단하는 클러치 기구를 가진다. 이 클러치 기구를 조작함으로써, 낚싯줄을 스풀로부터 송출한 스풀에 권취하거나 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최근, 낚시용 릴에서는, 기어비의 하이 스피드화, 즉 핸들 1회전당의 스풀의 회전수를 증가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피니언 기어가 소경화(小徑化)되는 동시에 구동 기어가 대경화(大徑化)되고, 그 결과, 구동 기어가 수용되는 제1 본체부가 대형화되는 경향에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148975호 공보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인 제2 본체부 측으로부터 릴 본체를 잡는, 이른바 파밍(palming)을 행하면서 스풀 또는 낚시대의 조작을 행하는 것이 있다. 이 파밍 시에는, 핸들을 잡은 손과는 반대의 손(우측 핸들의 듀얼 베어링 릴의 경우에는 왼손)으로 릴 본체를 낚시대와 함께 잡는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릴 본체의 제1 본체부가 대형화되면, 파밍 시에 릴 본체를 잡는 손가락 끝이 간섭하는, 즉 손가락 끝이 제1 본체부의 코너부에 닿아 버리는 것에 의해 릴 본체가 잡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파밍 시에 릴 본체를 잡기 쉽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낚시대에 장착 가능하며, 낚싯줄을 전방으로 송출하는 듀얼 베어링 릴로서, 릴 본체와, 스풀과, 핸들과, 장착 부재를 구비한다. 릴 본체는,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측면끼리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를 가진다. 스풀은, 제1 본체부와 제2 본체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핸들은, 제1 본체부의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2 측면 측에 있어서, 제1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장착 부재는, 장착면을 가진다. 장착면은, 제1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장착면은, 듀얼 베어링 릴이 낚시대에 장착되었을 때 낚시대와 접촉한다. 제1 본체부는, 제1 측면과 제1 방향을 향하는 장착측 면과의 경계부인 제1 경계부를 따라 연장되는 오목부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밍 시에 릴 본체를 잡는 손가락 끝에 간섭하기 쉬운 부위, 즉 제1 본체부의 장착측 면과 제1 측면과의 경계부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에 의해, 제1 본체부의 코너부인 제1 경계부에 의한 손가락 끝에 대한 간섭을 경감할 수 있어, 대형화된 제1 본체부를 가지는 릴 본체라도 잡기 쉽다.
본 발명 2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의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오목부는, 제1 경계부와, 제1 본체부의 전면(前面)과 제1 측면과의 경계부인 제2 경계부를 따라 연속하여 연장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경계부로부터 제2 경계부까지 오목부를 형성하므로, 파밍 시에 릴 본체를 잡는 손가락 끝이 간섭할 가능성이 있는 부위에 오목부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파밍 시에 릴 본체를 잡는 손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도, 오목부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손가락 끝에 대한 간섭을 경감할 수 있어, 릴 본체를 잡기 쉬운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 3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 또는 2의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른 단면(斷面) 형상이 대략 원호형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는 손가락 끝에 따른 형상의 단면을 가지므로, 손가락 끝이 오목부에 닿았을 때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고, 보다 릴 본체를 잡기 쉽게 한다.
본 발명 4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1 본체부는, 제1 측면을 포함하는 측판과, 제2 측면을 포함하는 측판에 장착되는 사이드 커버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본체부를 측판과 사이드 커버 중 2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하므로, 사이드 커버를 측판으로부터 분리하여 제1 본체부 내에 수용되는 부품의 교환 및 유지보수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 5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4의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오목부는, 제1 본체부의 측판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를 복수의 부재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1개의 부재에 형성하므로, 손가락 끝이 오목부에 닿았을 때의 감촉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 6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4 또는 5의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1 본체부는, 앞부분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상기 사이드 커버가 체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전면은,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체결 부재보다 전방으로 팽출(膨出)하는 부드러운 곡면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본체부의 전면이 부드러운 곡면이며 볼록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 7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6의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측판의 전면은, 체결 부재를 측면에서 볼 때 수용하기 위한 절결부(切缺部)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측판은 절결부에 의해 체결 부재를 수용하므로, 제1 본체부의 전방으로의 팽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컴팩트화할 수 있다.
본 발명 8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1 본체부는, 핸들이 장착되는 구동축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를 수용한다. 그리고, 오목부는, 구동 기어의 외주의 일부를 따라 연장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 기어의 외주를 따라 제1 본체부에 오목부가 형성되므로, 제1 본체부의 외관 상의 사이즈가 작아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밍 시에 릴 본체를 잡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가 채용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듀얼 베어링 릴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듀얼 베어링 릴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듀얼 베어링 릴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Y―Y선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6은 도 3의 R―R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Z―Z선 단면도이다.
도 8은 구동축 주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변형예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팅용의 소형의 로우 프로파일(low profile)형의 릴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되는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 측에 배치되는 드래그력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star drag)(3)를 구비한다. 또한, 듀얼 베어링 릴은, 장착 부재(81)를 더 구비한다. 장착 부재(81)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장착면(82)을 가진다. 듀얼 베어링 릴이 낚시대에 장착되었을 때, 장착면(82)은 낚시대와 접촉한다. 또한, 장착 부재(81)는, 후술하는 제1 본체부(1a)와 제2 본체부(1b)와의 사이를 연장하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1)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측면(1c, 1d)끼리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본체부(1a)와 제2 본체부(1b)를 가진다. 제1 본체부(1a)는, 제1 측판(5a)과, 제1 측판(5a)의 측방에 장착되는 제1 사이드 커버(6a)를 가진다. 또한, 제2 본체부(1b)는, 제2 측판(5b)과, 제2 측판(5b)의 측방에 장착되는 제2 사이드 커버(6b)를 가진다. 그리고,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과,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을 연결하는 연결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릴 본체(1)의 프레임이 구성된다.
릴 본체(1)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을 덮는 앞커버(7)와, 상부를 덮는 썸 레스트(thumb rest)(8)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릴 본체(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사이드 커버(6b)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는 축지지부(9)를 가진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제1 본체부(1a)와 제2 본체부(1b)와의 사이에 있어서,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12)이 회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본체부(1a)는, 제1 측면(1c), 제2 측면(1e), 장착측 면(1f), 및 전면(前面)(1g)을 가진다. 장착측 면(1f)은, 제1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1 본체부(1a)는, 장착측 면(1f)과, 제1 측면(1c)과의 경계부인 제1 경계부(1h)와, 전면(1g)과 제1 측면(1c)과의 경계부인 제2 경계부(1i)를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오목부(1j)를 가진다. 이 오목부(1j)는, 제1 경계부(1h)에 있어서 스풀축(16)보다 전방에 형성되고, 제2 경계부(1i)의 모두에 형성된다.
이 오목부(1j)는, 만곡면을 따라 형성된다. 오목부(1j)는, 오목부(1j)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호형으로 되어 있다. 이 오목부(1j)의 원호의 곡률 반경은, 3㎜ 이상 15㎜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이상 10㎜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곡률 반경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파밍 시의 릴 본체(1a)를 잡는 손가락 끝과 제1 본체부(1a)의 코너부인 제1 경계부(1h)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용이해진다. 그리고, 전술한 오목부(1j)의 단면 형상은, 1개의 곡률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호형이 아니고, 전술한 범위의 곡률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호를 복수 조합한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제1 경계부(1h) 및 제2 경계부(1i)는, 파밍 시에 릴 본체(1)를 잡는 손가락 끝과 간섭할 수 있는 부위이다.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은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다. 제2 측판(5b)에는, 스풀(12)이 통과할 수 있는 제1 개구부(5c)(도 6)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측판(5b)의 전방 하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로부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60)의 외주부의 일부가 노출된다. 그리고, 이 조작 부재(60)는, 스풀 제동 장치(23)의 제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사이드 커버(6a)는, 제1 측판(5a)에 나사고정된다. 제1 사이드 커버(6a)는, 제1 보스부(6c)(도 5 참조)와, 제2 보스부(6d)(도 6, 도 7 참조)를 가진다. 제1 보스부(6c)는, 핸들(2)이 연결되는 구동축(30)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제2 보스부(6d)는, 스풀(12)이 고정되는 스풀축(16)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축지지부(9)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형의 부재이다. 축지지부(9)의 내주부에는, 통형의 베어링 수납부(9a)가 형성된다. 베어링 수납부(9a)는, 스풀축(16)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24a)을 내부에 수납한다. 베어링 수납부(9a)는, 스풀(12) 측에 배치되는 대경(大徑)의 제1 외주면(9b)과 제2 사이드 커버(6b) 측에 배치되는 소경의 제2 외주면(9c)을 가진다.
측판(5) 내에는, 도 5,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과, 스풀(12) 내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권취하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5)와, 써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가 닿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배치된다.
스풀(12)은, 제2 측판(5b)의 제1 개구부(5c)를 통과 가능하다. 또한, 제1 측판(5a)과 제1 사이드 커버(6a)와의 사이에는, 기어 기구(18)와, 클러치 기구(13)와, 클러치 제어 기구(19)와, 드래그 기구(21)와, 캐스팅(casting)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된다. 기어 기구(18)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에 전달하기 위한 기구이다. 클러치 제어 기구(19)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13)를 걸거나 분리하는 것 및 제어를 행하기 위한 기구이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동 기구이다. 또한, 제2 측판(5b)과 제2 사이드 커버(6b)와의 사이에는, 스풀 제동 장치(23)가 배치된다. 스풀 제동 장치(23)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스풀 및 스풀축]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12)은, 제1 본체부(1a)와 제2 본체부(1b)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스풀(12)은, 외주에 낚싯줄이 권취되는 통형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12a)와,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12b)와, 보스부(12c)를 가진다. 플랜지부(12b)는, 와이어 권취 보디부(12a)의 양단에 각각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보스부(12c)는, 스풀축(16)에 압입(壓入) 등의 적절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써, 스풀(12)은, 스풀축(16)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축(16)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5a)을 관통하여 제1 사이드 커버(6a)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스풀축(16)의 일단은, 축지지부(9)의 베어링 수납부(9a)에 수납되는 제1 베어링(2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스풀축(16)의 타단은, 제1 사이드 커버(6a)에 설치되는 제2 보스부(6d) 내에서 제2 베어링(2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스풀축(16)은 릴 본체(1)에 2개소에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다.
스풀축(16)의 제1 측판(5a)의 관통 부분에는, 클러치 기구(13)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핀(20)이 고정된다. 걸어맞춤핀(20)은, 직경 방향을 따라 스풀축(16)을 관통하고,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스풀축(16)은, 스풀(12)이 고정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제1 세레이션(serration)(16a)이 형성된다. 이 제1 세레이션(16a)은, 스풀(12)을 압입할 때의 방지로서 기능한다. 또한, 스풀축(16)은, 플랜지부(flange portion)(16b)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6b)는, 스풀 제동 장치(23)의 회전 부재(62)를 위치 결정하기 위해 설치된다. 플랜지부(16b)의 제2 사이드 커버(6b) 측의 스풀축(16)의 외주면에는, 제2 세레이션(16c)이 형성된다. 제2 세레이션(16c)은, 회전 부재(62)를 스풀축(16)에 압입할 때의 방지로서 기능한다.
[기어 기구]
기어 기구(1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2)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30)과, 구동축(30)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31)와, 구동 기어(31)에 나사결합되는 피니언 기어(32)(도 6, 도 7 참조)와, 구동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기어(33)와, 제1 기어(33)에 서로 맞물리는 제2 기어(34)를 가진다. 제2 기어(34)는, 레벨 와인드 기구(15)를 핸들(2)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구동축(30)은,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ch)(40)에 의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구동축(3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장착부(30a)와, 제1 장착부(30a)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 장착부(30b)와, 제2 장착부(30b)와는 반대측에 제1 장착부(30a)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대경의 플랜지부(30c)와, 플랜지부에 형성되는 홈부(30d)를 가진다. 또한, 구동축(30)은, 핸들(2)이 장착되는 제3 장착부(30e)와, 제1 기어(33)가 장착되는 제4 장착부(30f)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1 장착부(30a)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장착부(30b)보다 큰 직경이다.
제1 장착부(30a)에는, 드래그 기구(21)의 드래그력을 받는 드래그 받이부재로서의 래칫 휠(ratchet wheel)(36)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래칫 휠(36)은, 구동 기어(31)와 플랜지부(30c)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장착부(30a)는, 래칫 휠(36)을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4개의 모따기부(chamfered portion)(30g)를 외주면에 가진다. 래칫 휠(36)은, 드래그 받이부재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클러치 기구(13)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부터 클러치 온 상태로 되돌리는 클러치 리턴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제1 장착부(30a)의 4개의 모따기부(30g)는, 주위 방향으로 90° 간격으로 형성되는 평면을 각각 가진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장착부(30b)에는, 구동 기어(3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드래그 기구(21)의 드래그 판(37)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2 장착부(30b)에는, 스타 드래그(3)의 드래그 너트(3a)(도 5 참조)가 나사결합된다. 제2 장착부(30b)에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한 환형(環形)의 두께감소부(30h)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장착부(30b)의 두께감소부(30h)의 안쪽(도 8의 좌측)에는, 드래그 판(37)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4개의 모따기부(30i)가 축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제3 장착부(30e)는, 제2 장착부(30b)의 선단측에 배치된다. 제3 장착부(30e)는, 제2 장착부(30b)보다 직경이 작다. 제3 장착부(30e)에는, 핸들(2)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핸들(2)을 구동축(30)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53)(도 5 참조)가 나사결합한다. 제4 장착부(30f)는, 플랜지부(30c)의 안쪽(도 8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4 장착부(30f)에는, 제1 기어(33)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이 중심을 관통하는 통형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32)는,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피니언 기어(32)는, 일단이 제1 측판(5a)에 장착되는 제6 베어링(38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제1 사이드 커버(6a)의 제2 보스부(6d)에 장착되는 제7 베어링(38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피니언 기어(32)의 일단에는, 걸어맞춤핀(20)이 걸어맞추어지는 맞물림 홈(32a)이 형성된다. 피니언 기어(32)의 타단측에는, 구동 기어(31)에 맞물리는 기어 톱니(32b)가 형성된다. 맞물림 홈(32a)과 기어 톱니(32b)와의 사이에는 협착부(narrowed portion)(32c)가 형성된다. 협착부(32c)에는, 클러치 제어 기구(19)를 구성하는 클러치 요크(clutch yoke)(39)가 걸어맞추어진다. 클러치 요크(39)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클러치 오프 위치에 있으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오프 위치에 배치되고,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클러치 온 위치에 있으면, 오프 위치로부터 도 6 및 도 7 좌측의 온 위치로 피니언 기어(32)와 함께 이동한다. 이로써, 걸어맞춤핀(20)이 맞물림 홈(32a)과 걸어맞추어져 클러치 기구(13)가 클러치 온 상태로 된다. 따라서, 클러치 기구(13)는, 걸어맞춤핀(20)과 피니언 기어(32)에 의해 구성된다.
제2 기어(34)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벨 와인드 기구(15)의 나사축(15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드래그 기구]
드래그 기구(21)는, 클러치 온 상태일 때, 구동 기어(31)를 통하여 스풀(12)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한다. 드래그 기구(21)는, 스타 드래그(3)에 의해 드래그력이 조정된다. 드래그 기구(21)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40)의 내륜(40a)을 통하여, 핸들(2)의 회전 및 스타 드래그(3)의 압압력(押壓力)이 전달된다. 드래그 기구(21)는, 내륜(40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드래그 판(37)과 래칫 휠(36)을 가진다. 드래그 판(37)과 구동 기어(31)와의 사이, 및 구동 기어(31)와 래칫 휠(36)과의 사이에는, 드래그 작성 시에 구동 기어(31)가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해 펠트(felt)제 또는 그래파이트(graphite)제의 제1 드래그 와셔(41a) 및 제2 드래그 와셔(41b)가 장착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제1 마찰 플레이트(51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1b)와, 제동 캡(52)을 가진다. 제1 마찰 플레이트(51a)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1b)는, 스풀축(16)의 양단을 협지하도록 배치된다. 제동 캡(52)은, 제1 마찰 플레이트(51) 및 제2 마찰 플레이트(51b)에 의한 스풀축(16)의 협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마찰 플레이트(51a)는, 제동 캡(52) 내에 배치된다. 제동 캡(52)은, 제2 보스부(6d)의 외주면에 나사결합한다. 제2 마찰 플레이트(51b)는, 축지지부(9) 내에 장착된다.
[스풀 제동 장치]
스풀 제동 장치(2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부재(62)와 복수(예를 들면, 6개)의 브레이크 슈(brake shoe)(64)와, 브레이크 드럼(66)과, 이동 기구(68)를 구비한다. 스풀 제동 장치(23)는 스풀축(16) 및 축지지부(9)에 장착된다. 복수의 브레이크 슈(64)는, 회전 부재(62)에 요동(搖動) 가능하거나 착탈 가능하게 탄성적으로 걸어맞추어져 있다. 브레이크 드럼(66)은, 브레이크 슈(64)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요동하는 브레이크 슈(64)에 외주면이 접촉한다. 이동 기구(68)는, 브레이크 슈(64)와 브레이크 드럼(66)을 스풀축(16)의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또한 위치 결정 가능하다.
회전 부재(62)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등의 합성 수지제의 대략 원형의 부재이다. 회전 부재(62)는, 제2 세레이션(16c)에 압입 고정되고, 스풀축(16)의 플랜지부(16b)에 의해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회전 부재(62)는, 스풀축(16)에 고정되고, 스풀(1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스풀(12)이 회전하면, 브레이크 슈(64)는, 원심력에 의해, 요동축(63c)을 중심으로 하여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슈(64)와 브레이크 드럼(66)과의 마찰에 의해 스풀(12)이 제동된다. 이 때의 제동력은, 접촉 위치에서의 브레이크 드럼(66)의 직경에 의존하므로, 이동 기구(68)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66)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60)는 이동 기구(68)의 구성 부재로서, 조작 부재(60)를 회전시킴으로써 브레이크 드럼(66)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특징]
상기 실시형태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1) 듀얼 베어링 릴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송출하는 듀얼 베어링 릴로서, 릴 본체(1)와, 스풀(12)과, 핸들(2)을 구비한다. 릴 본체(1)는,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측면(1c, 1d)끼리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1a, 1b)를 가진다. 스풀(12)은, 제1 본체부(1a)와 제2 본체부(1b)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핸들(2)은, 제1 본체부(1a)의 제1 측면(1c)과 대향하는 제2 측면(1e) 측에 있어서, 제1 본체부(1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본체부(1a)는, 장착측 면(1f)과 제1 측면(1c)과의 경계부인 제1 경계부(1h)를 따라 연장되는 오목부(1j)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파밍 시에 릴 본체를 잡는 손가락 끝에 간섭하기 쉬운 부위, 즉 제1 경계부(1h)에 오목부(1j)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1j)에 의해, 제1 본체부(1a)의 코너부인 제1 경계부(1h)에 의한 손가락 끝에 대한 간섭을 경감할 수 있어, 대형화된 제1 본체부(1a)를 가지는 릴 본체(1)라도 잡기 쉽다.
(2) 오목부(1j)는, 제1 경계부(1h)와 제1 본체부(1a)의 전면(1g)과 제1 측면(1c)과의 경계부인 제2 경계부(1i)에 따라 연속하여 연장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경계부(1h)로부터 제2 경계부(1i)까지 오목부(1j)를 형성하므로, 파밍 시에 릴 본체(1)를 잡는 손가락 끝이 맞닿을 수 있는 부위의 모두에 오목부(1j)가 형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파밍 시에 릴 본체(1)를 잡는 손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켜도, 오목부(1j)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손가락 끝이 오목부(1j)와 맞닿아, 릴 본체(1a)를 잡기 쉬운 상태가 유지된다.
(3) 오목부(1j)는, 상기 오목부(1j)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이 대략 원호형이므로, 파밍 시에 맞닿는 손가락 끝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 손가락 끝이 닿았을 때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여, 더욱 릴 본체를 잡기 쉽게 한다.
(4) 제1 본체부(1a)는, 제1 측면(1c)을 포함하는 제1 측판(5a)과, 제2 측면(1e)을 포함하는 제1 측판(5a)에 장착되는 제1 사이드 커버(6a)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본체부(1a)를 제1 측판(5a)과 제1 사이드 커버(6a) 중 2개 이상의 부재로 구성하므로, 제1 사이드 커버(6a)를 제1 측판(5a)으로부터 분리하여 제1 본체부(1a) 내에 수용되는 각 부품의 교환 및 유지보수가 가능해진다.
(5) 오목부(1j)는, 제1 본체부(1a)의 제1 측판(5a)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1j)를 복수의 부재에 걸쳐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1개의 부재[제1 측판(5a)]에 형성하므로, 손가락 끝이 오목부에 닿았을 때의 감촉이 양호해진다.
(6) 제1 본체부(1a)는, 핸들(2)이 장착되는 구동축(30)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31)를 수용한다. 그리고, 오목부(1j)는, 구동 기어(31)의 외주의 일부를 따라 연장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 기어(31)의 외주를 따라 제1 본체부(1a)에 오목부(1j)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제1 본체부(1a)는 외관 상의 사이즈가 작아진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변형예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본체부(1a)는, 측면에서 볼 때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1)를 전면(1g)에 가지지만, 이 돌출부(11)를 없앨 수도 있다. 그리고, 이 돌출부(11)는, 제1 측판(5a)의 일부와 제1 사이드 커버(6a)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며, 이 돌출부(11)에 있어서 볼트(체결 부재의 일례)(11a)를 사용하여 제1 사이드 커버(6a)를 제1 측판(5a)에 고정시킨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예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제1 측판(5a)의 전면은, 볼트(11a)의 헤드부를 측면에서 볼 때 모두 수용하기 위한 절결부(11b)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측판(5a)은 절결부(11b)에 의해 볼트(11a)의 헤드부를 수용하므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제1 측판(5a)의 전면과 제1 사이드 커버(6a)의 전면에 의해 구성되는 제1 본체부(1a)의 전면(1g)은, 절결부(11b)를 제외하고 측면에서 볼 때 부드러운 곡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 1에서는, 볼트(11a)의 위치를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것으로 하고, 제1 본체부(1a)의 전면(1g)을 상기 실시예보다 전방으로 팽출시킴으로써, 전면(1g)으로 돌출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회피한다. 이로써, 돌출부(11)를 없애 디자인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볼트(11a)에 의한 고정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제1 측판(5a)과 제1 사이드 커버(6a)와의 장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변형예 1에서는, 제1 본체부(1a)는, 앞부분에 있어서, 제1 측판(5a)과 제1 사이드 커버(6a)가 볼트(11a)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제1 본체부(1a)의 전면(1g)은, 측면에서 볼 때 볼트(11a)보다 전방으로 팽출하는 부드러운 곡면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본체부(1a)의 전면(1g)이 부드러운 곡면이며 볼록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디자인성이 향상된다. 또한, 볼트(11a)에 의한 제1 측판(5a)과 제1 사이드 커버(6a)와의 고정 위치도 변경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1 측판(5a)과 제1 사이드 커버(6a)와의 장착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측판(5a)의 전면은, 볼트(11a)를 측면에서 볼 때 수용하기 위한 절결부(11b)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측판(5a)은 절결부(11b)에 의해 볼트(11a)를 수용하므로, 제1 본체부(1a)의 전방으로의 팽출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컴팩트화할 수 있다.
변형예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j)는, 제1 경계부(1h)와 제2 경계부(1i)에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지만, 특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오목부(1j)는, 예를 들면, 제1 경계부(1h)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제1 경계부(1h)와 제2 경계부(1i)를 따라 단속적(斷續的)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오목부(1j)는, 제1 경계부(1h)의 모두에 형성되지 않아도 되고, 제1 경계부(1h)의 일부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변형예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j)는, 제1 측판(5a)에만 형성되지만, 특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오목부(1j)는, 제1 측판(5a)과 제1 커버(6a)에 걸쳐 형성되어도 된다.
1: 릴 본체
1a: 제1 본체부
1b: 제2 본체부
1c: 제1 측면
1e: 제2 측면
1f: 장착측 면
1g: 전면
1h: 제1 경계부
1i: 제2 경계부
1j: 오목부
2: 핸들
12: 스풀
5a: 제1 측판
6a: 제1 사이드 커버
30: 구동축
31: 구동 기어

Claims (8)

  1. 낚시대에 장착 가능하며, 낚싯줄을 전방으로 송출하는 듀얼 베어링 릴로서,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측면끼리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본체부 및 제2 본체부를 가지는 릴 본체-상기 제1 본체부는 제1 측면 및 전방으로 향하는 제1 전면(前面)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풀;
    상기 제1 본체부의 상기 제1 측면과 반대측에 있는 제2 측면 측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및
    제1 방향을 향하는 장착면을 가지는 장착 부재로서, 상기 장착면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이 상기 낚시대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낚시대와 접촉하는 장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부는, 제1 경계부와 제2 경계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경계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장착면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있고, 상기 제2 경계부는 상기 제1 전면과 상기 제1 측면 사이에 있는,
    듀얼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오목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른 단면(斷面) 형상이 원호형인, 듀얼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제1 측면을 포함하는 측판과, 상기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에 장착되는 사이드 커버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1 본체부의 상기 측판에 형성되는, 듀얼 베어링 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앞부분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상기 사이드 커버가 체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 본체부의 전면은,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체결 부재보다 전방으로 팽출(膨出)하는 부드러운 곡면인, 듀얼 베어링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전면은, 상기 체결 부재를 측면에서 볼 때 수용하기 위한 절결부(切缺部)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핸들이 장착되는 구동축에 장착되는 구동 기어를 수용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구동 기어의 외주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듀얼 베어링 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3㎜ 이상 15㎜ 이하의 원호의 곡률 반경을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
KR1020130150428A 2012-12-28 2013-12-05 듀얼 베어링 릴 KR102143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6656 2012-12-28
JPJP-P-2012-286656 2012-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829A KR20140086829A (ko) 2014-07-08
KR102143053B1 true KR102143053B1 (ko) 2020-08-10

Family

ID=4966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428A KR102143053B1 (ko) 2012-12-28 2013-12-05 듀얼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10922B2 (ko)
EP (1) EP2749165B1 (ko)
JP (1) JP6517466B2 (ko)
KR (1) KR102143053B1 (ko)
CN (1) CN103907577B (ko)
MY (1) MY166471A (ko)
TW (1) TWI5862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382B1 (ko) * 2014-10-22 2017-01-24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
JP6804831B2 (ja) * 2015-07-14 2020-12-2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JP6769722B2 (ja) * 2016-03-29 2020-10-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79789B2 (ja) * 2017-05-18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083429B1 (ko) 2017-10-26 2020-03-0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프론트커버의 탈착이 편리한 낚시 릴
TWI813778B (zh) 2019-01-10 2023-09-01 日商島野股份有限公司 雙軸承捲線器
JP1677922S (ko) * 2020-09-09 2021-01-25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4617A1 (en) * 2004-04-13 2005-10-13 Shimano Inc. Reel unit for dual-bear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8409A (en) * 1983-03-07 1988-04-19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eel
US5108042A (en) * 1985-07-22 1992-04-28 Zebco Corporation Bait casting fishing reel
JP3325174B2 (ja) * 1995-12-13 2002-09-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US6016982A (en) * 1996-03-26 2000-01-25 Daiwa Seiko, Inc. Reel for fishing with integral reel body and grip portion
JP3560448B2 (ja) * 1996-10-01 2004-09-0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H11113461A (ja) * 1997-10-09 1999-04-2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H11113462A (ja) * 1997-10-14 1999-04-27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US5988548A (en) * 1998-05-14 1999-11-23 Johnson Worldwide Associates Easy hold fishing reel body
US6032894A (en) * 1998-05-14 2000-03-07 Johnson Worldwide Assoicates, Inc. Cartridge spool system for bait cast fishing reel
JP3819198B2 (ja) * 1999-11-19 2006-09-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148975A (ja) 1999-11-25 2001-06-05 Mamiya Op Co Ltd 両軸受リール用ドライブギア及びそれを用いた両軸受リール
JP2002166223A (ja) * 2000-11-30 2002-06-11 Shimano Inc 塗装部品
US7077351B2 (en) * 2001-10-19 2006-07-18 Shimano Inc. Dual-bearing reel
JP2004089025A (ja) * 2002-08-29 2004-03-2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7150423B2 (en) * 2003-09-12 2006-12-19 Shimano Inc. Reel unit for a dual bearing reel
JP4384936B2 (ja) * 2004-05-11 2009-12-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07159427A (ja) * 2005-12-09 2007-06-28 Shimano Inc 釣り用部品
KR200426604Y1 (ko) * 2006-04-20 2006-09-19 주식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사이드 커버 착탈장치
JP4934358B2 (ja) * 2006-06-22 2012-05-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5205176B2 (ja) * 2008-08-18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JP5349349B2 (ja) * 2010-01-25 2013-11-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US8573524B2 (en) * 2010-04-02 2013-11-05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Skeletalized reel side plate
US8746604B2 (en) * 2011-03-04 2014-06-10 Shimano Inc. Fishing reel
JP5956741B2 (ja) * 2011-11-08 2016-07-27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リール本体及び釣り用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4617A1 (en) * 2004-04-13 2005-10-13 Shimano Inc. Reel unit for dual-bear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40350A (ja) 2014-08-07
CN103907577B (zh) 2019-03-08
TWI586270B (zh) 2017-06-11
US20140183293A1 (en) 2014-07-03
KR20140086829A (ko) 2014-07-08
US9210922B2 (en) 2015-12-15
EP2749165B1 (en) 2016-10-12
MY166471A (en) 2018-06-27
EP2749165A1 (en) 2014-07-02
CN103907577A (zh) 2014-07-09
TW201431488A (zh) 2014-08-16
JP6517466B2 (ja)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053B1 (ko) 듀얼 베어링 릴
KR101408081B1 (ko) 롤러 클러치
JP592656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及び両軸受リール
US9901084B2 (en) Dual-bearing reel
US9089118B2 (en) Drive gear
KR20150077323A (ko) 양 베어링 릴의 피니언 기어 및 양 베어링 릴
KR20140113475A (ko) 낚시용 릴의 래칫 휠
JP2013146201A5 (ko)
KR101913237B1 (ko) 듀얼 베어링 릴
CN107801700B (zh) 双轴承绕线轮
JP6376740B2 (ja) 両軸受リール
US10253826B2 (en) Clutch control mechanism for dual-bearing reel
JP6407578B2 (ja)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機構
EP2594131A1 (en) Handle assembly for dual-bearing reel and dual-bearing reel
US9700032B2 (en) Clutch return mechanism for a dual-bearing reel
JP2015065961A5 (ko)
JP2016002062A5 (ko)
CN110012874B (zh) 钓鱼用卷线器手柄把手及钓鱼用卷线器
KR102491582B1 (ko) 듀얼 베어링 릴
KR102489975B1 (ko) 낚시용 릴
KR20190046614A (ko) 스피닝 릴용의 핸들 조립체, 및, 스피닝 릴
KR102562262B1 (ko) 양 베어링 릴
CN108935358B (zh) 双轴承绕线轮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2013146202A (ja) 両軸受リール及びその駆動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