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336A - 기모 환편지 - Google Patents

기모 환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336A
KR20180034336A KR1020177037240A KR20177037240A KR20180034336A KR 20180034336 A KR20180034336 A KR 20180034336A KR 1020177037240 A KR1020177037240 A KR 1020177037240A KR 20177037240 A KR20177037240 A KR 20177037240A KR 20180034336 A KR20180034336 A KR 20180034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fiber
letter
ring
fiber multifilament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002B1 (ko
Inventor
시게토 마츠모토
히로시 타나카
마사노부 사토
타카시 카와사키
Original Assignee
미츠카와 앤 컴퍼니 리미티드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카와 앤 컴퍼니 리미티드,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카와 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1One hairy surface, e.g. napped or rai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2Alike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21Two hairy surfaces, e.g. napped or rai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3Fabric with at least two, predominantly unlinked, knitted or woven plies interlaced with each other at spaced locations or linked to a common internal co-extensive yarn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2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438Strand material formed of individual filaments having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5Knit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knit pattern other than open knit fabric or a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is specif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가 겹치는 2중 루프를 갖는 환편지이고, 상기 환편지의 적어도 편면이 기모가공되고, 식(T2/T1)[T1: JIS 규정법에 의한 두께(1매), T2: 생지를 둘로 접은 상태에서의 같은 JIS 규정법에 의한 두께]으로 나타내어지는 FT 지수가 2.1 이상인 기모 환편지. 코트나 재킷으로의 사용에 적합한 장력감과 신축성을 갖고, 항필링성이나 세탁 치수변화 등의 물성에도 뛰어난 기모 환편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모 환편지
본 발명은 기모 환편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트나 재킷에 사용하기 위해서 적합한 장력감과 신축성을 갖고, 항필링성이나 세탁 치수변화 등의 물성에도 뛰어난 기모 환편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겨울용 코트나 재킷에는 발수성이 있고, 또한 튼튼하고 보온성이 높은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울(wool) 방모사를 평직 또는 능직으로 한 뒤, 축융해서 보풀로 덮은 직물 소재(멜턴 생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원료가 울이기 때문에 벌레가 먹기 쉽고 손상되기 쉬운 등 취급의 어려움이나, 가격이 높은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 대용으로서, 합성섬유를 사용한 기모 소재가 수많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그 하나로서, 기모용 실, 누름사, 그라운드사 또는 기모용 실, 누름사로 구성되는 리버서블 양면 환편지로 이루어지고, 편면을 형성하는 기모용 실에 의한 니트 스티치의 내측에 누름사 니트 스티치를 서로 닮은 형상의 2중 니트 스티치로 형성시키고, 상기 기모용 실이 타면을 형성하는 니트 스티치에 턱 스티치로 연결되고, 또한 기모용 실에 의한 니트 스티치 형성면의 적어도 한면이 기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양면 환편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것은 기모 보풀이 빠지기 어렵고, 항필링성 등의 물성이 뛰어나, 취급에 대한 문제는 해결되어 있지만, 환편지 특유의 드레이프성을 갖기 때문에 생지가 지나치게 부드럽고, 또한 신축성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코트나 겨울용 재킷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외에도, 경사 및/또는 위사에 비수수축률이 10% 이상인 고수축사가 배치되어서 직지(織地)가 직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직지의 적어도 편면이 기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직물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이 기모직물에 있어서는, 직물이기 때문에 장력감은 있지만, 신축성이 거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신축성을 내기 위해서는 스판덱스를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지만, 스판덱스는 열화하기 쉽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적당한 장력감과 신축성을 갖고 항필링성이나 세탁 치수변화 등의 물성에도 뛰어난 울 멜턴 생지를 대신하는 합성섬유의 기모 환편지가 제안되어 있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일본 특허 제299137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5-287667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 을 감안하여 코트나 재킷에 사용하기 위해서 적합한 장력감과 신축성을 갖고, 항필링성이나 세탁 치수변화 등의 물성에도 뛰어난 기모 환편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1)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 및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를 포함하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가 겹치는 2중 루프를 갖는 환편지이고, 상기 환편지의 적어도 편면이 기모가공되며,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지수(「FT 지수」라고 정의한다.)가 2.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FT 지수=T2/T1
T1: JIS L 1096 8.4 A법에 의한 두께(1매)
T2: 생지를 둘로 접은 상태에서의 상기 JIS 규정법에 의한 두께
(2) 상기 2중 루프를 갖는 환편지의 압축 탄성율이 8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기모 환편지.
(3) 상기 2중 루프의 내측이 비수수축률이 12∼30%인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 외측이 비수수축률이 12% 미만인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기모 환편지.
(4) 상기 2중 루프를 갖는 면에 있어서 2중 루프의 비율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모 환편지.
(5) 상기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의 스티치 길이가 상기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의 스티치 길이에 대하여 20% 이상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모 환편지.
(6) 상기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가 염색성이 다른 실을 2종류 이상 합친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모 환편지.
(7) 상기 환편지의 기모가공이 된 면에 표면 평활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모 환편지.
(8) 상기 환편지의 적어도 편면이 발수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모 환편지.
(9) 상기 환편지가 양면 환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모 환편지.
(10) 상기 환편지가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로 이루어지는 스티치를 편지의 양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모 환편지.
(11) 상기 2중 루프를 형성하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가 상기 환편지의 타면을 형성하는 니트 스티치에 턱 스티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모 환편지.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에 의하면, 항필링성이나 세탁 치수변화 등의 물성에 뛰어나고, 적당한 장력감과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코트나 재킷 등의 아우터에 최적인 기모 환편지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기모 환편지에 있어서 2중 루프한 실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기모 환편지에 사용할 수 있는 양면 환편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모 환편지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환편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모 환편지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환편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도 5는 비교예의 기모 환편지에서 사용한 환편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도 6은 비교예의 기모 환편지에서 사용한 환편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도 7은 비교예의 기모 환편지에서 사용한 환편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도 8은 비교예의 기모 환편지에서 사용한 환편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실시형태와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가 겹치는 2중 루프를 갖는 환편지이다.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중 루프의 내측을 구성하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이하, 「A사」라고 할 경우도 있다.)와 외측을 구성하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이하, 「B사」라고 할 경우도 있다.)의 2종류의 실이 겹쳐, 2중 루프로 된 스티치를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에서는 적어도 편면을 기모가공하는 것도 중요하고, 기모가공했을 때에는 2중 루프의 외측의 실을 주로 기모하게 된다. 그 때문에, 기모가공을 강하게 행하여도 생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에서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지수(FT 지수)가 2.1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FT 지수=T2/T1
T1: JIS L 1096 8.4 A법 규정에서의 두께(1매)
T2: 생지를 둘로 접은 상태에서의 상기 JIS 규정법에서의 두께
이 FT 지수가 클수록 생지의 장력 강도, 탄력성이 높은 생지가 되고, 겨울용 코트나 재킷에 적합한 것으로 되어, 본 발명에서는 FT 지수는 2.1 이상인 것이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에서는 JIS L 1096 8.20에서 정해진 압축 탄성율이 8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 탄성율 82% 이상을 충족시킴으로써 생지의 장력 강도, 탄력성, 반발감이 더욱 뛰어난 생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압축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75% 이상이면 생지에 부풀기감이 있어 아우터 의료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는 또한 하기의 것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2중 루프의 내측을 형성하는 A사가 비수수축률 12∼30%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이며, 외측을 형성하는 B사가 비수수축률 12% 미만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면, 염색 가공 후에 A사 쪽이 B사 보다 많이 수축함으로써 B사가 떠올라 기모되기 쉽고 부풀기가 있는 생지로 할 수 있고, 그 결과, 탄력성과 반발감을 높일 수 있고, 목적으로 하는 생지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수축률이 높음으로서 경위 방향의 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장력감이 있는 생지로 할 수 있다.
A사의 비수수축률이 12% 미만인 경우, B사와의 수축차가 작아지고, 생지로서의 부풀기감이 부족하여 충분한 장력감이 얻어지지 않고, 비수수축률이 30%보다 높으면 생지의 수축이 지나치게 커 촉감의 경화, 단위중량이 지나치게 무거워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A사의 비수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15∼2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A사는 비수수축률 12∼30%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인 것 이외에는, 이하의 구성이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재는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 고수축사를 사용함으로써 적당한 수축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의료로서 요구되는 견뢰도, 물성을 만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소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A사의 섬도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가늘면 부풀기나 장력감이 나오지 않게 되고, 지나치게 굵으면 지나치게 무거워지기 때문에, 30∼17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120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사 섬도로서는 지나치게 가늘면 장력감이 나오기 어렵고, 지나치게 굵으면 지나치게 단단해지기 때문에, 1∼35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15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섬유 단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환단면, 이형 단면, 중공 단면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또한 고수축 부분과 통상의 수축 부분이 혼합된 이수축 혼섬사, 이수축 방사혼섬사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편지에 대한 혼률은 높은 쪽이 장력감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적합한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다. 2중 루프의 내측을 형성하는 A사를 비수수축률 12∼30%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로 함으로써 편지의 밀도를 적절하게 높일 수 있고, 후가공의 마무리 조건을 적정화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에 요구되는 신축성, 15% 이상 80% 미만으로 컨트롤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50% 미만으로 컨트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이 15% 미만인 경우에는 니트 생지로서 스트레치가 부족해서 착용시에 버팀감이 있고, 80% 이상인 경우에는 생지의 신장이 지나치게 커 겉옷으로 했을 경우의 재봉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으로 된다.
B사로서는 비수수축률 12% 미만의 합성섬유 사조인 것 이외에는, 이하의 구성이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B사의 소재로서는 합성섬유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나일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B사는 내필링성 높이고 싶으면 필라멘트 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B사의 섬도는 지나치게 가늘면 부풀기가 나오지 않고 지나치게 굵으면 지나치게 무거워지기 때문에, 40∼230데시텍스인 것이 바람직하고, 50∼170데시텍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사의 단사 섬도는 지나치게 가늘면 장력감이 나오기 어려워지고, 지나치게 굵으면 촉감이 지나치게 단단해지기 때문에, 0.3∼8데시텍스인 것이 바람직하고, 0.7∼5데시텍스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염색성이 다른 실을 2종류 이상 합친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색의 나뭇결로 쉽게 할 수 있다. 실을 합치는 가공 방법으로서는, 공기혼섬 가공, 연사 가공 등을 목적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는 적어도 편면이 기모되어 있는 것도 중요하다. 기모함으로써 실이 보풀이 일기 때문에, 촉감이 부드럽고, 부풀기가 있으며, 보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부풀기나 보온성을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표리 양면을 기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의 스티치 길이(L)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가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에 대하여 20% 이상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치 길이(L)는 하기의 식으로 산출한다.
L=l/s
L: 스티치 길이
l: 편지 100웰간의 실의 길이
s: 편지 100웰간의 니트 스티치의 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의 스티치 길이를 20% 이상 짧게 함으로써 염색 후에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와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의 차를 보다 많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가 더욱 떠올라 기모하기 쉽고 부풀기가 있는 생지로 할 수 있다. 이 스티치 길이의 차는 2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의 조직은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와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가 겹치는 2중 루프를 가지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2중 루프를 갖는 면에 있어서 2중 루프의 비율이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2중 루프를 갖는 코스의 비율이 적으면 기모의 밀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외관이 나쁘고 부풀기가 적은 생지가 되어버린다. 그 비율은 5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와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의 스티치 길이의 차를 내기 쉬운 조직이 바람직하고, 양면 환편지 쪽이 장력감을 내기 쉽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양면 환편지의 경우,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로 이루어지는 스티치를 편지의 양면에 가짐으로써 장력감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양면 환편지의 조직은 2중 루프가 있는 조직인 것 이외에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2중 루프된 내측의 실과 외측의 실의 스티치 길이의 차를 크게 하기 쉬운 조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조직으로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내측을 구성하는 A사와 외측을 구성하는 B사가 있고, 외측을 구성하는 B사가 타면을 형성하는 C사로서 니트 스티치(a)에 턱 스티치(b)로 연결되는 환편 조직이 있다. 도 3은 이 편조직의 일례를 나타낸 조직도이다(A(1), (2)사, B (1), (2)사, C(1), (2)사로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조직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브러쉬라 불리는 편조직도 바람직하다(A(1)사, B(1), (2), (3), (4)사, C(1), (2), (3), (4)사로 예시하고 있다).
편기로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장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18∼32게이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편된 생기 편지의 염색 가공법은 기모가공을 행하면, 통상의 환편지의 염색가공 공정과 가공법에 준해서 행하면 좋다. 기모가공은 염색가공의 앞에 행하는 쪽이 부풀기는 나오기 쉽고, 염색가공의 뒤에 행하는 쪽이 균일한 기모로 된다.
또한, 가공 공정으로서 기모가공이 된 면을 열 또는 압력 또는 그것들의 양쪽에 의해 표면 평활가공할 수도 있다. 표면 평활가공을 함으로써 필링을 억제하는 것이나 광택감을 낼 수 있다.
또한, 염색 단계에서의 부대 가공으로서 발수가공, 방오가공, 흡한가공, 항균가공, 소취가공, 방취가공, 난연가공 등, 목적으로 하는 목표나 용도의 요구 특성에 따라 적당하게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적어도 편면이 발수가공되어 있음으로써 코트나 재킷 등으로 했을 때에 비 등의 물이 배어들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발수도는 세탁 처리 또는 드라이클리닝 처리 후에 JIS L 1092 7.2 「스프레이 시험」에 규정하고 있는 발수도 시험에서 2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각 물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1) FT 지수
FT 지수=T2/T1
T1: JIS L 1096 8.4 A법에 의한 두께(1매)
T2: 생지를 둘로 접은 상태에서의 상기 JIS 규정법에 의한 두께
생지 두께에 대해서는 JIS L 1096 8.4 A법(2014년도판)에 의거해 측정한다(하중은 니트용 하중을 사용). 또한, 둘로 접는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생지를 세로골을 따라서 착용시의 피부측이 내측이 되도록 둘로 접고, 접은 부분이 두께 측정기 측정 원반의 센터에 오도록 셋팅해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생지를 접을 때에는 생지 접힘부에 불필요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충분히 유의한다.
(2) 압축 탄성율
JIS L 1096 8.20(2014년도판)에 의거해 측정했다.
(3) 비수수축률
0.1g/d의 하중을 가해서 원길이(L0)를 측정하고, 무하중에서 비등수 중에 15분간 침지한다. 비등수 처리 후 다시 0.1g/d의 하중으로 처리 후의 길이(L1)를 측정한다. 비수수축률은 하기 식으로 구한다.
비수수축률={(L0-L1)/L0}×100(%)
(4) 스티치 길이
스티치 길이(L)는 하기의 식으로 산출한다.
L=l/s
L: 스티치 길이
l: 편지 100웰간의 실의 길이
s: 편지 100웰간의 니트 스티치의 수
편지 100웰간의 실의 길이는 측정하고 싶은 실을 편지로부터 풀고, 그 실에 0.1g/d의 추를 걸어서 편지 100웰분의 실의 길이를 측정한다. 또한, 편지 100웰간의 니트 스티치의 수는 측정한 100웰분의 실의 사이에 있는 니트 스티치의 수로 한다.
(5) 발수 내구도
세탁 처리 또는 드라이클리닝 처리 후에 JIS L 1092 7.2 「스프레이 시험」 (2014년도판)에 규정되어 있는 발수도 시험법으로 측정했다.
(6) 항필링성
JIS L 1076 8.1.1 「ICI형 시험기를 사용하는 방법」(2014년도판)에 의해 얻어지는 것으로 한다. 판정 수치(급)와 필링 발생 정도는 다음 판정에 의거한다.
5급: 필링의 발생이 거의 없은 것
4급: 필링의 발생이 조금 있는 것
3급: 필링의 발생이 있는 것
2급: 필링의 발생이 많은 것
1급: 필링의 발생이 현저하게 많은 것
(7) 세탁 치수변화율
JIS L 1096 8.39 G법 「펄세이터형 가정용 전기세탁기법」(2014년도판)에 의거하여 측정했다. 치수변화율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이 판정했다.
+1∼-3%: ○
+1∼+1.5%, -3∼-5%: △
+1.5% 이상, -5% 이상: ×
※) +는 신장, -는 수축 방향으로 한다.
(8) 신축성
JIS L 1096 8.16.1 D법 「컷 슬립법」(2014년도판)에 의거해 측정했다. 신장성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이 판정했다.
30% 이상 50% 미만: ○
15% 이상 30% 미만, 50% 이상 80% 미만: △
15% 미만, 80% 이상: ×
(9) 관능평가
생지감(장력 강도, 탄력성, 반발감), 생지 표면품위, 종합평가를 편지의 촉각평가를 남녀 각 15명이 행하고, 다음 판정기준에 의해 판정을 행한다.
◎: 매우 우수하다, ○: 우수하다, △: 뒤떨어진다, ×: 매우 뒤떨어진다.
실시예 1
22G의 양면 환편기에서, 도 3에 나타내는 조직으로 2중 루프의 내측을 형성하는 실 A(1), A(2)에 84데시텍스 12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12.5%의 폴리에스테르 생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의 외측을 형성하는 실 B(1), B(2)에 110데시텍스 96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6.0%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와 반대면을 형성하는 실 C(1), C(2)에 84데시텍스 12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12.5%의 폴리에스테르 생사를 2개 합쳐서 사용해서 편지를 편성했다.
이 생기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편지의 염색 가공법에 따라, 릴렉스·정련, 염색을 행한 후, 2중 루프가 있는 면에 기모 공정을 행하고, 발수제를 부여해서 마무리 셋팅 가공을 통과시켜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단위중량 380g/㎡)를 얻었다.
A사의 스티치 길이는 2.9㎜, B사의 스티치 길이는 5.4㎜로 A사는 B사에 비해 46.3% 짧고, 비수수축률 12.5%의 폴리에스테르 생사의 혼율은 54.4%이었다.
또한, FT 지수는 3.2, 압축 탄성율은 87.5%, 필링은 3-4급, 세탁 치수변화율은 -1.8%로 ○, 신축성은 40%로 ○이었다.
이 기모 환편지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22G의 양면 환편기에서, 도 3에 나타내는 조직으로 2중 루프의 내측을 형성하는 실 A(1), A(2)와 2중 루프와 반대면을 형성하는 실 C(1), C(2)에 84데시텍스 12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12.5%의 폴리에스테르 생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의 외측을 형성하는 실 B(1), B(2)에 98데시텍스 72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2.5%의 양이온염료로 물들이는 폴리에스테르와 분산염료로 물들이는 폴리에스테르가 합쳐진 가연가공사를 사용해서 편지를 편성했다.
이 생기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편지의 염색 가공법에 따라, 릴렉스·정련, 염색을 행한 후, 양면에 기모 공정을 행하고, 마무리 셋팅 가공을 통과시켜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단위중량 285g/㎡)를 얻었다.
A사의 스티치 길이는 2.8㎜, B사의 스티치 길이는 3.9㎜로 A사는 B사에 비해 28.2% 짧고, 비수수축률 12.5%의 폴리에스테르 생사의 혼율은 55.3%이었다.
또한, FT 지수는 2.2, 압축 탄성율은 86%, 필링은 4급, 세탁 치수변화율은 -2.7%로 ○, 신축성은 52%로 △이었다.
이 기모 환편지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28G의 양면 환편기에서, 도 4에 나타내는 조직으로 2중 루프의 내측을 형성하는 실 A(1), A(2)에 84데시텍스 12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19.2%의 폴리에스테르 생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의 외측을 형성하는 실 B(1), B(2)에 110데시텍스 96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6.0%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와 반대면을 형성하는 실 C(1), C(2)에 84데시텍스 36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5.5%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해서 편지를 편성했다.
이 생기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편지의 염색 가공법에 따라, 릴렉스·정련, 염색을 행한 후, 2중 루프가 있는 면에 기모 공정을 행하고, 발수제를 부여해서 마무리 셋팅 가공을 통과시켜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단위중량 350g/㎡)를 얻었다.
A사의 스티치 길이는 2.4㎜, B사의 스티치 길이는 5.1㎜로 A사는 B사에 비해 52.9% 짧고, 비수수축률 19.2%의 폴리에스테르 생사의 혼율은 31.3%이었다.
또한, FT 지수는 2.7, 압축 탄성율은 86%, 필링은 4급, 세탁 치수변화율은 -2.8%로 ○, 신축성은 27%로 △이었다.
이 기모 환편지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28G의 양면 환편기에서, 도 3에 나타내는 조직으로 2중 루프의 내측을 형성하는 실 A(1), A(2)에 84데시텍스 12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19.2%의 폴리에스테르 생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의 외측을 형성하는 실 B(1), B(2)에 110데시텍스 96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6.0%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와 반대면을 형성하는 실 C(1), C(2)에 84데시텍스 36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5.5%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해서 편지를 편성했다.
이 생기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편지의 염색 가공법에 따라, 릴렉스·정련, 염색을 행한 후, 2중 루프가 있는 면에 기모 공정을 행하고, 발수제를 부여해서 마무리 셋팅 가공을 통과시켜 본 발명의 기모 환편지(단위중량 394g/㎡)를 얻었다.
A사의 스티치 길이는 2.4㎜, B사의 스티치 길이는 4.6㎜로 A사는 B사에 비해 47.8% 짧고, 비수수축률 19.2%의 폴리에스테르 생사의 혼율은 23.5%이었다.
또한, FT 지수는 2.6, 압축 탄성율은 83%, 필링은 4급, 세탁 치수변화율은 -2.5%로 ○, 신축성은 30%로 ○이었다.
이 기모 환편지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28G의 양면 환편기에서, 도 5에 나타내는 조직으로 2중 루프의 내측을 형성하는 실 A(1)에 84데시텍스 12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9.1%의 폴리에스테르 생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의 외측을 형성하는 실 B(1)에 110데시텍스 96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6.0%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가 아닌 실 B(2), B(3), B(4)에 110데시텍스 96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6.0%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와 반대면을 형성하는 실 C(1), C(2), C(3), C(4)에 84데시텍스 36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5.5%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해서 편지를 편성했다.
이 생기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편지의 염색 가공법에 따라, 릴렉스·정련, 염색을 행한 후, 2중 루프가 있는 면에 기모 공정을 행하고, 마무리 셋팅 가공을 통과시켜 기모 환편지(단위중량 292g/㎡)를 얻었다.
A사의 스티치 길이는 2.4㎜, B사의 스티치 길이는 4.9㎜로 A사는 B사에 비해 51% 짧지만, 비수수축률 12∼30%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는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FT 지수는 2.0, 압축 탄성율은 80%, 필링은 3급, 세탁 치수변화율은 -3.2%로 △, 신축성은 53%로 △이었다.
이 기모 환편지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28G의 싱글 환편기에서, 도 6에 나타내는 조직으로 실 A(1)에 84데시텍스 72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5.1%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하고, 실 B(1)에 110데시텍스 144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4.8%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해서 편지를 편성했다.
이 생기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편지의 염색 가공법에 따라, 릴렉스·정련, 염색을 행한 후, 파일면에 기모 공정을 행하고, 마무리 셋팅 가공을 통과시켜 기모 환편지(단위중량 309g/㎡)를 얻었다.
A사의 스티치 길이는 2.6㎜, B사의 스티치 길이는 4.9㎜로 A사는 B사에 비해 46.9% 짧고, 비수수축률 12∼30%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는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FT 지수는 1.9, 압축 탄성율은 88%, 필링은 2급, 세탁 치수변화율은 -5.5%로 ×, 신축성은 93%로 ×이었다.
이 기모 환편지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28G의 양면 환편기에서, 도 7에 나타내는 조직으로 실 B(1), B(2)에 84데시텍스 72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5.1%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하고, 실 C(1), C(2)에 110데시텍스 48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5.3%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해서 편지를 편성했다.
이 생기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편지의 염색 가공법에 따라, 릴렉스·정련, 염색을 행한 후, B사를 사용한 면에 기모 공정을 행하고, 마무리 셋팅 가공을 통과시켜 기모 환편지(단위중량 250g/㎡)를 얻었다.
이 편지에 2중 루프는 없고, 비수수축률 12∼30%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는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FT 지수는 1.9, 압축 탄성율은 81%, 필링은 2급, 세탁 치수변화율은 -3.2%로 △, 신축성은 83%로 ×이었다.
이 기모 환편지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28G의 양면 환편기에서, 도 8에 나타내는 조직으로 2중 루프의 내측을 형성하는 실 A(1), A(2)에 84데시텍스 12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12.5%의 폴리에스테르 생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의 외측을 형성하는 실 B(1), B(2)에 84데시텍스 72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5.1%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하고, 2중 루프와 반대면을 형성하는 실 C(1), C(2)에 84데시텍스 36필라멘트의 비수수축률 5.5%의 폴리에스테르 가연가공사를 사용해서 편지를 편성했다.
이 생기를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편지의 염색 가공법에 따라, 릴렉스·정련, 염색을 행한 후, 2중 루프가 있는 면에 기모 공정을 행하고, 마무리 셋팅 가공을 통과시켜 기모 환편지(단위중량 300g/㎡)를 얻었다.
A사의 스티치 길이는 2.3㎜, B사의 스티치 길이는 2.7㎜로 A사는 B사에 비해 14.8% 짧고, 비수수축률 12.5%의 폴리에스테르 생사의 혼율은 29%이었다.
또한, FT 지수는 2.0, 압축 탄성율은 83%, 필링은 3급, 세탁 치수변화율은 -2.8%로 ○, 신축성은 55%로 △이었다.
이 기모 환편지의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코트나 재킷 등의 아우터 용도 등에 있어서 적당한 장력감과 신축성을 갖고 항필링성이나 세탁 치수변화 등의 물성이 좋은 기모 환편지가 얻어지고, 각종 의료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A, B, C : 환편지에 사용되는 실
a : 니트 스티치
b : 턱 스티치

Claims (11)

  1.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 및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를 포함하는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가 겹치는 2중 루프를 갖는 환편지이고, 상기 환편지의 적어도 편면이 기모가공되며,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지수(FT 지수)가 2.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FT 지수=T2/T1
    T1: JIS L 1096 8.4 A법에 의한 두께(1매)
    T2: 생지를 둘로 접은 상태에서의 상기 JIS 규정법에 의한 두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중 루프를 갖는 환편지의 압축 탄성율이 8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중 루프의 내측이 비수수축률이 12∼30%인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 외측이 비수수축률이 12% 미만인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중 루프를 갖는 면에 있어서 2중 루프의 비율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의 스티치 길이가 상기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의 스티치 길이에 대하여 20% 이상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가 염색성이 다른 실을 2종류 이상 합친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편지의 기모가공이 된 면에 표면 평활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편지의 적어도 편면이 발수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편지가 양면 환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편지가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A로 이루어지는 스티치를 편지의 양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중 루프를 형성하는 합성섬유 멀티필라멘트 B가, 상기 환편지의 타면을 형성하는 니트 스티치에 턱 스티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 환편지.
KR1020177037240A 2015-07-30 2016-07-21 기모 환편지 KR102552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50583 2015-07-30
JPJP-P-2015-150583 2015-07-30
PCT/JP2016/071346 WO2017018305A1 (ja) 2015-07-30 2016-07-21 起毛丸編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336A true KR20180034336A (ko) 2018-04-04
KR102552002B1 KR102552002B1 (ko) 2023-07-06

Family

ID=5788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240A KR102552002B1 (ko) 2015-07-30 2016-07-21 기모 환편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74577B2 (ko)
EP (1) EP3330419A4 (ko)
JP (1) JP6719757B2 (ko)
KR (1) KR102552002B1 (ko)
CN (1) CN107923088B (ko)
WO (1) WO20170183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520B1 (ko) * 2019-04-05 2020-07-06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환편기로 커트파일 직물을 포함하는 양면천을 편성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8807B (zh) * 2016-10-13 2021-09-17 旭化成株式会社 腿部产品
CN110312445B (zh) * 2017-04-27 2022-01-07 东丽株式会社 纤维结构物
JP7162205B2 (ja) * 2017-09-14 2022-10-28 ミツカワ株式会社 複合布帛
US11819064B2 (en) * 2018-11-30 2023-11-21 Nike, Inc. Upper torso garment with varied tuck binder knit structure
CN109774265A (zh) * 2018-12-28 2019-05-21 河北瑞春纺织有限公司 一种凹凸式多层织物结构及其制备方法
CH716114A1 (de) * 2019-04-24 2020-10-30 Schoeller Tech Ag Flächige Velourmaschenware.
CN112430885B (zh) * 2020-11-23 2022-07-22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螺旋组织的针织面料及其加工方法、应用
EP4271868A1 (en) * 2020-12-31 2023-11-08 NIKE Innovate C.V. Knit article with variable features
US11849773B2 (en) 2020-12-31 2023-12-26 Nike, Inc. Knit article with variable featur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7667A (en) * 1976-01-19 1977-07-21 Hitachi Ltd Device for deenergizing magnetic blowwout circuit breaker
KR880007827A (ko) * 1986-12-29 1988-08-29 이상철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 염색사의 제조방법
JPH05287667A (ja) 1992-04-06 1993-11-02 Kanebo Ltd 起毛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91373B1 (ja) 1999-03-09 1999-12-20 ミツカワ株式会社 起毛両面丸編地
KR20060021286A (ko) * 2003-06-23 2006-03-07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및 그것을 포함하는의복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949B2 (ja) * 1978-02-27 1983-03-10 東レ・テキスタイル株式会社 フラノ調起毛編地の製造方法
JPS5852309Y2 (ja) * 1979-02-09 1983-11-29 東レ株式会社 シンカ−パイル丸編地
JPH0465557A (ja) * 1990-06-28 1992-03-02 Unitika Ltd 起毛編物の製造方法
US5815868A (en) * 1997-03-27 1998-10-06 Lee; Irene Manufacturing process of longitudinally and transversely elastic and extensive fabric
JP2003055865A (ja) * 2001-08-20 2003-02-26 Toyobo Co Ltd 両面起毛編物
JP4584343B1 (ja) * 2009-06-05 2010-11-17 東洋紡スペシャルティズ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ストレッチ性に優れた起毛編地
JP5888866B2 (ja) * 2011-03-16 2016-03-22 三菱レイヨン・テキスタイル株式会社 染色交編編地
CN204070618U (zh) * 2014-09-25 2015-01-07 中山市沙溪镇新顺怡印花绣花厂 一种可裸视3d印花图像的服装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7667A (en) * 1976-01-19 1977-07-21 Hitachi Ltd Device for deenergizing magnetic blowwout circuit breaker
KR880007827A (ko) * 1986-12-29 1988-08-29 이상철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 염색사의 제조방법
JPH05287667A (ja) 1992-04-06 1993-11-02 Kanebo Ltd 起毛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91373B1 (ja) 1999-03-09 1999-12-20 ミツカワ株式会社 起毛両面丸編地
JP2000256945A (ja) * 1999-03-09 2000-09-19 Mitsukawa Kk 起毛両面丸編地
KR20060021286A (ko) * 2003-06-23 2006-03-07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및 그것을 포함하는의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520B1 (ko) * 2019-04-05 2020-07-06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환편기로 커트파일 직물을 포함하는 양면천을 편성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8305A1 (ja) 2017-02-02
CN107923088A (zh) 2018-04-17
JP6719757B2 (ja) 2020-07-08
KR102552002B1 (ko) 2023-07-06
EP3330419A4 (en) 2019-03-13
CN107923088B (zh) 2019-08-09
US11174577B2 (en) 2021-11-16
JPWO2017018305A1 (ja) 2018-05-24
EP3330419A1 (en) 2018-06-06
US20190003087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4336A (ko) 기모 환편지
TWI339227B (en) Process for making stretch woven fabrics
JP6302609B1 (ja) ビジネススーツ用編地
JP4317560B2 (ja) 弾性経編地
JP6431637B1 (ja) 柄を有するアウター衣料用編地
KR20080070255A (ko) 멜란지형 외관이 우수한 초극세 섬유포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초극세 섬유포 및 그의 용도
JP6191067B2 (ja) 丸編みニット生地からなる学生服
JP2007270358A (ja) 着用快適性に優れる厚地織物およびデニム商品
JP6360532B2 (ja) ビジネスシャツ用編地
JP6374143B2 (ja) ダブル丸編地
JP2004218162A (ja) 芯地用複合糸及び芯地用布帛
JP7248976B2 (ja) ダブル丸編地及び該ダブル丸編地を用いた衣料
JPH07300749A (ja) 伸縮性経編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46167B2 (ja) 通気性に優れた編地
JP2020051008A (ja) フリーカット性経編地
JP7357514B2 (ja) 着衣用編地
JP2019135340A (ja) シングル丸編地
JP3260327B2 (ja) 起毛布帛
JPS61152849A (ja) 内装用パイル布帛
KR101505710B1 (ko) 파일 원단, 이를 포함하는 인조 가죽 또는 인조 모피 및 파일 원단의 제조방법
US20230346060A1 (en) Layered oversized upper body garment
JP7383424B2 (ja) 経編地
JPWO2018056302A1 (ja) ビジネスシャツ用編地
JP4317082B2 (ja) レース編地
JP6771294B2 (ja) 両面丸編地及び両面丸編地を用いてなる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