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878A - 경로 유도 장치 및 경로 유도 방법 - Google Patents

경로 유도 장치 및 경로 유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878A
KR20180022878A KR1020187002565A KR20187002565A KR20180022878A KR 20180022878 A KR20180022878 A KR 20180022878A KR 1020187002565 A KR1020187002565 A KR 1020187002565A KR 20187002565 A KR20187002565 A KR 20187002565A KR 20180022878 A KR20180022878 A KR 20180022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lane
road
chan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2473B1 (ko
Inventor
도시하루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54Approaching an inter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5Timing of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8Lane guid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Abstract

자차량의 위치 및 주행 차선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10, 20)과, 검출 수단(10, 20)에 의해 검출된 주행 차선으로부터 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 또는 교차점을 향하여 차선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변경 판정 수단(63)과, 검출 수단(10, 20)에 의해 검출된 자차량의 위치에서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도로 판정 수단(63)과, 차선 변경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64)을 구비하고, 안내 수단(64)은, 변경 판정 수단(63)에 의해 주행 차선으로부터 차선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도로 판정 수단(63)에 의해 자차량의 위치에서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 도로 조건에 따라 차선 변경을 안내하는 지점을 변경한다.

Description

경로 유도 장치 및 경로 유도 방법
본 발명은 경로 유도 장치 및 경로 유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루트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주행 루트에 분기점이 존재한 경우, 분기점까지의 거리와 분기점에서 진행해야 할 차선을 안내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3380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분기점에서 진행해야 할 차선은 알 수 있기는 하지만, 어디에서 차선 변경하는 것이 적절한지 알지 못한다. 그래서, 차선 변경을 재촉하는 안내 지점을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도로 조건에 따라서는 안내 지점의 바로 앞에 합류 지점 등이 있다. 이러한 경우, 차선 변경하기 어려운 지점에서 안내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의 목적은, 도로 조건에 따라 적절한 차선 변경 지점을 안내하는 경로 유도 장치 및 경로 유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경로 유도 장치는, 자차량의 위치 및 주행 차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주행 차선으로부터 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 또는 교차점을 향하여 차선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검출된 자차량의 위치에서 상기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주행 차선으로부터 차선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자차량의 위치에서 상기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 도로 조건에 따라 차선 변경을 안내하는 지점을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 조건에 따라 적절한 차선 변경 지점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경로 유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경로 유도 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경로 유도 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경로 유도 장치의 동작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경로 유도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경로 유도 장치의 다른 동작예를 설명하는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경로 유도 장치의 또 다른 동작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경로 유도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유도 장치(1)는, 카메라(10)와, GPS 수신기(20)와, 센서군(30)과, 통신 I/F(40)와, 지도 데이터베이스(50)와, 내비게이션 장치(60)와, 탑승원에게 각종 정보를 제시하는 디스플레이(70)와, 탑승원에게 각종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하는 스피커(80)를 구비한다.
카메라(10)(검출 수단)는 CCD(charge-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갖는 카메라이며, 자차량의 전방을 촬영한다. 카메라(10)는, 화상 처리 기능을 갖고 있으며,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흰색 선 등을 검출한다. 또한, 카메라(10)는, 검출된 데이터를 내비게이션 장치(60)에 출력한다. 또한, 카메라(10)는, 자차량의 전방 이외의 주위를 촬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GPS 수신기(20)(검출 수단)는, 인공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지상에 있어서의 자차량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GPS 수신기(20)는, 검출된 자차량의 현재 위치를 내비게이션 장치(60)에 출력한다.
센서군(30)은,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센서군(30)은, 각 센서에 의해 자차량의 속도, 가속도, 자세 등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를 내비게이션 장치(60)에 출력한다.
통신 I/F(40)는, 예를 들어 무선으로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기이다. 통신 I/F(50)는, 예를 들어 정체 정보, 교통 규제 등의 교통 정보나, 날씨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고도 도로 교통 시스템(ITS)에 의해, 외부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한다. ITS는, VICS(Vehic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등록 상표), 텔레매틱스 등을 포함한다. 통신 I/F(40)는, 수신된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60)에 출력한다.
지도 데이터베이스(50)에는, 도로 정보나 시설 정보 등의 지도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지도 데이터베이스(50)에는, 도로 데이터, 지도 상에 표시시키는 아이콘 데이터 등, 경로 안내에 필요로 하는 각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지도 데이터베이스(50)에 기억되어 있는 도로 데이터는, 도로의 차선수, 도로 폭 정보, 도로의 기복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60)는, 미리 탑승원에 의해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내비게이션 장치(60)는, GPS 수신기(20)로부터 취득된 위치 정보나, 통신 I/F(40)로부터 취득된 정보나, 지도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취득된 지도 정보 등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70)에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표시하거나, 자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거나 한다.
내비게이션 장치(60)는, CPU, ROM, RAM 및 그것들을 접속하는 데이터 버스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성되는 컴퓨터이며,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CPU가 소정의 처리를 행한다. 내비게이션 장치(60)는, 이것을 기능적으로 파악한 경우, 위치 추정부(61)와, 경로 탐색부(62)와, 판정부(63)와, 안내부(64)로 분류할 수 있다.
위치 추정부(61)는, 자차량의 현재 위치를 차선 단위로 추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추정부(61)는, 카메라(10)로부터 취득된 흰색 선 정보나, GPS 수신기(20)로부터 취득된 위치 정보나, 지도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취득된 지도 정보를 사용하여, 자차량의 현재 위치를 차선 단위로 추정한다.
경로 탐색부(62)는, 위치 추정부(61)에 의해 추정된 자차량의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하여, 지도 데이터베이스(50)에 기억되어 있는 지도 정보를 사용하여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차선 단위로 탐색한다. 또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항상 차선 단위로 탐색하면 부하가 크기 때문에, 경로 탐색부(62)는, 정기적으로 주행 경로를 차선 단위로 탐색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경로 탐색부(62)는,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3km가 되었을 때에 주행 경로를 차선 단위로 탐색해도 된다. 이 3km라는 거리는, 일찍 차선 변경할 수 있는 거리이면 되고, 3km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경로 탐색부(62)는, 예를 들어 1km 마다 주행 경로를 차선 단위로 탐색해도 된다. 이 1km라는 거리는, 탐색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거리이면 되고, 1km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판정부(63)(변경 판정 수단)는, 현재 주행하고 있는 주행 차선으로부터 분기점 또는 교차점에서 진행해야 할 방향을 향하기 위하여, 차선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판정부(63)는, 주행 차선이 1차선이면, 차선 변경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한다. 또한, 판정부(63)는, 주행 차선이 2차선인 경우, 진행해야 할 측의 차선을 자차량이 주행하고 있으면 차선 변경할 필요는 없다고 판정하고, 진행해야 할 측이 아닌 차선을 자차량이 주행하고 있으면 차선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즉, 판정부(63)는, 차선이 2개 이상 있고, 자차량이 진행해야 할 측의 차선을 주행하지 않은 경우에 차선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판정부(63)가 차선 변경의 필요 여부를 판정하는 타이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판정부(63)는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3km) 이하가 된 경우에 차선 변경의 필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판정부(63)(도로 판정 수단)는,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소정의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로 조건에는, 차선 변경 금지 구간, 합류 지점, 분류 지점, 커브, 터널 등이 포함된다.
안내부(64)(안내 수단)는, 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 또는 교차점에서의 진행 안내를 행한다. 진행 안내는, 예를 들어 도로가 두 방향으로 분기하는 분기점에서 는, 어느 쪽 방향으로 분기하면 되는지를 안내하는 것이며, 교차점에서는, 예를 들어 직진,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안내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70)는, 내비게이션 장치(60)에 의해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제시한다.
스피커(80)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의 유도나 분기점 또는 교차점에서의 유도를 음성에 의해 탑승원에게 전달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경로 유도 장치(1)의 하나의 동작예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 (b), (c)에서는,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분기하는 도로가 주행 경로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먼저 도 2의 (a), 도 3을 참조하여,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량이 분기점에 가까워지면, 경로 탐색부(62)는, 주행 경로를 차선 단위로 탐색한다. 이어서, 판정부(63)는,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차선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량이 좌측 차선을 주행하고 있고,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차선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판정부(6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로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안내부(64)는,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km)가 된 지점에서 「1km 앞 우측 방향입니다. 우측 차선으로 이동하세요」라고 안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1km가 된 지점에서 차선 변경을 안내하는 것을 통상의 안내로서 설명한다. 또한, 이 1km는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선 변경할 수 있는 거리이면 되고, 1km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에 도 2의 (b), 도 3을 참조하여,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도 2의 (b)도 도 2의 (a)와 마찬가지로, 자차량이 분기점에 가까워지면, 경로 탐색부(62)는, 주행 경로를 차선 단위로 탐색한다. 이어서, 판정부(63)는,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차선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량이 좌측 차선을 주행하고 있고,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차선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판정부(6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의 일부가 차선 변경 금지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의 (a)에서 설명한 통상 안내를 행하는 분기점 1km 전의 지점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가 차선 변경 금지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통상 안내와 같이 분기점 1km 전의 지점에서 안내를 행해도 차선 변경 금지 구간이기 때문에 운전자는 차선 변경할 수 없고, 진행해야 할 방향으로 진행시키지 않게 된다.
그래서 안내부(64)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1.5km가 된 지점에서 「1.5km 앞 우측 방향입니다. 전방 차선 변경 금지입니다. 우측 차선으로 이동하세요」라고 안내한다. 즉, 안내부(64)는, 차선 변경 금지 구간의 개시 지점보다 0.5km 전의 지점에서 안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의 일부가 차선 변경 금지 구간에 해당하는 경우, 차선 변경 금지 구간의 개시 지점보다 전에서 안내함으로써, 운전자는 진행해야 할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게 된다는 리스크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에서 설명한 차선 변경 금지 구간의 개시 지점 전 0.5km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의 (c), 도 3을 참조하여,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의 다른 동작예를 설명한다.
도 2의 (c)도 도 2의 (a)와 마찬가지로, 자차량이 분기점에 가까워지면, 경로 탐색부(62)는, 주행 경로를 차선 단위로 탐색한다. 다음에, 판정부(63)는,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차선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량이 좌측 차선을 주행하고 있고,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차선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판정부(6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에 합류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보다 상세하게는 분기점 0.7km 전의 지점에 합류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통상 안내와 같이 분기점 1km 전의 지점에서 안내를 행하면, 합류 지점에서 합류해 오는 다른 차량과 접촉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2의 (c),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 지점에서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0.5km보다 길고, 1.5km보다 짧은 경우, 안내부(64)는, 합류 지점 0.5km 전의 지점, 즉 분기점 1.2km 전의 지점에서 「1.2km 앞 우측 방향입니다. 우측 차선으로 이동하세요」라고 안내한다. 이에 의해, 안내부(64)는, 분기점에서 1km 내지 2km 전의 지점에서 안내를 행할 수 있고,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적절한 차선 변경 지점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합류 지점 0.5km 전의 지점에서 차선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 안내와 비교하여 차선 변경 후의 합류 지점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고, 합류 지점으로부터 합류해 오는 다른 차량과 접촉을 회피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2의 (c)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합류 지점에 대해 설명했지만, 분류 지점의 경우도 동일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 지점에서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0.5km보다 짧은 경우, 안내부(64)는, 도 2의 (a)에서 설명한 통상 안내와 마찬가지로, 분기점 1km 전의 지점에서 안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안내부(64)는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적절한 차선 변경 지점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분기점 1km 전의 지점에서 합류 지점까지 0.5km 이상 떨어져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합류 지점에서 합류해 오는 다른 차량과 접촉을 회피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 지점에서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1.5km보다 긴 경우, 안내부(64)는, 도 2의 (a)에서 설명한 통상 안내와 마찬가지로, 분기점 1km 전의 지점에서 안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안내부(64)는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적절한 차선 변경 지점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분기점 1km 전의 지점에서 합류 지점까지 0.5km 이상 떨어져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합류 지점 0.5km 이상 전에서 차선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합류해 오는 다른 차량과 접촉을 회피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에 커브 또는 터널이 존재하는 경우, 안내부(64)는, 커브 또는 터널의 개시 지점 0.5km 전의 지점에서 안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차선 변경하기 어려운 커브나 터널을 피하여 안내함으로써, 안내부(64)는 차선 변경의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경로 유도 장치(1)의 일 동작예를 설명한다. 이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는,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가 설정되었을 때에 개시한다.
스텝 S101에서, 판정부(63)는, 자차량이 분기점 또는 교차점에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자차량이 분기점 또는 교차점에 접근한 경우(스텝 S101에서 "예"), 처리가 스텝 S102로 진행한다. 한편, 자차량이 분기점 또는 교차점에 접근하지 않은 경우(스텝 S101에서 "아니오"), 처리는 대기한다.
스텝 S102에서, 판정부(63)는, 현재 주행하고 있는 주행 차선으로부터 분기점 또는 교차점에서 진행해야 할 방향을 향하기 위하여, 차선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선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스텝 S102에서 "예"), 처리가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한편, 차선 변경할 필요가 없는 경우(스텝 S102에서 "아니오"),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스텝 S103에서, 판정부(63)는,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스텝 S103에서 "예"), 처리가 스텝 S104로 진행한다. 한편, 도로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스텝 S103에서 "아니오"), 처리가 스텝 S105로 진행한다.
스텝 S104에서, 안내부(64)는, 도로 조건에 따라 안내를 행하는 지점을 변경하여 안내를 행한다.
스텝 S105에서, 안내부(64)는,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가 된 지점에서 안내를 행한다.
청구항 3에 관한 설명
또한, 도 3에서는, 합류 지점에서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0.5km보다 길고, 1.5km보다 짧은 경우, 안내부(64)는, 합류 지점 0.5km 전의 지점에서 안내한다고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 지점이 분기점 1.3km 전의 지점에 존재하는 경우, 합류 지점 0.5km 전에서 안내하면, 분기점 1.8km 전의 지점에서 안내함으로써, 우측 차선을 주행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우측 차선이 추월 차선인 경우에는, 분기점에 가까운 지점에서 차선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안전하게 차선 변경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거리가 필요하다.
그래서, 안내부(64)는 분기점까지 최저한 확보하는 거리를 0.5km로 설정하고, 도로 조건에 따라 안내하는 지점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 지점에서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1km보다 길고, 1.5km보다 짧은 경우, 안내부(64)는, 합류 지점에서 0.5km 앞의 지점, 즉 분기점 0.8km 전의 지점에서 「800m 앞 우측 방향입니다. 우측 차선으로 이동하세요」라고 안내한다. 이에 의해, 안내부(64)는, 분기점까지의 최저한의 거리를 확보하면서 분기점 0.5km 내지 1km 전의 지점에서 안내를 행할 수 있고,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적절한 차선 변경 지점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류 지점에서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0.5km보다 길고, 1km보다 짧은 경우, 합류 지점에서 0.5km 앞의 지점에서 안내하면 분기점까지의 최저한의 거리를 확보할 수 없다. 그래서, 변경 후의 안내 지점에서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최저한의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안내부(64)는 합류 지점 0.5km 전의 지점에서 안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안내부(64)는, 분기점까지의 최저한의 거리를 확보하면서 분기점 1km 내지 1.5km 전의 지점에서 안내를 행할 수 있고, 분기점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적절한 차선 변경 지점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분기점까지 최저한 확보하는 거리는 0.5km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경로 유도 장치(1)에 의하면, 이하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경로 유도 장치(1)는,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도로 조건에 따라 차선 변경을 안내하는 지점을 변경한다. 이에 의해, 경로 유도 장치(1)는 도로 조건에 따라 적절한 차선 변경 지점을 안내할 수 있다.
도로 조건에는, 차선 변경 금지 구간, 합류 지점, 분류 지점, 커브, 터널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이 차선 변경하기 어려운 커브나 터널을 피하여 안내함으로써, 경로 유도 장치(1)는, 차선 변경의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경로 유도 장치(1)는, 도로 조건에 따라 변경한 안내 지점에서 분기점까지의 거리가 최저한 확보하는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도로 조건의 전, 즉 차선 변경 금지 구간, 커브, 또는 터널의 개시 지점의 전, 혹은 합류 지점, 또는 분류 지점의 전에서 안내한다. 이에 의해, 경로 유도 장치(1)는,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최저한의 거리를 확보하면서, 분기점 또는 교차점에서 진행해야 할 방향을 향하기 위한 적절한 차선 변경 지점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기재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의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베이스(50)는 경로 유도 장치(1)에 기억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지도 데이터베이스(50)는 서버 상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지도 데이터베이스(50)가 서버 상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내비게이션 장치(60)는, 통신에 의해 수시로 지도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가 복수의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안내부(64)는 가장 앞의 도로 조건에 따라 안내를 행하는 지점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차 위치에서 분기점까지의 도로에 터널과 커브가 존재하는 경우, 안내부(64)는 가장 앞의 도로 조건인 터널의 개시 지점 0.5km 전의 지점에서 안내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장 앞의 도로 조건에 따라 안내를 행하는 지점을 변경함으로써, 차선 변경하기 어려운 커브나 터널을 피하여 안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내부(64)는, 차선 변경의 리스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경로를 따라 자동적으로 주행하는 자동 운전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자동 운전 차량에 적용한 경우, 자동 운전 차량은, 도로 조건에 따라 차선 변경을 행하는 지점을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자동 운전 차량은 분기점 또는 교차점에서 진행해야 할 방향을 향하기 위한 적절한 지점에서 차선 변경을 할 수 있다.
10: 카메라
20: GPS 수신기
63: 판정부
64: 안내부

Claims (5)

  1. 미리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제시하는 차량 또는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자동적으로 주행하는 자동 운전 차량에 사용되는 경로 유도 장치이며,
    자차량의 위치 및 주행 차선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주행 차선으로부터 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 또는 교차점을 향하여 차선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변경 판정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자차량의 위치에서 상기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게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도로 판정 수단과,
    차선 변경을 안내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변경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주행 차선으로부터 차선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상기 도로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자차량의 위치에서 상기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상기 도로 조건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차선 변경을 안내하는 지점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유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조건은, 차선 변경 금지 구간, 합류 지점, 분류 지점, 커브, 터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유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도로 조건에 따라 변경한 상기 차선 변경을 안내하는 지점에서 상기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보다 짧아질 경우, 상기 도로 조건의 전에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유도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자차량의 위치에서 상기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복수의 상기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가장 앞의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차선 변경을 안내하는 지점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유도 장치.
  5. 미리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제시하는 차량 또는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자동적으로 주행하는 자동 운전 차량에게 사용되는 경로 유도 방법이며,
    자차량의 위치 및 주행 차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주행 차선으로부터 주행 경로 상의 분기점 또는 교차점을 향하여 차선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검출된 자차량의 위치에서 상기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주행 차선으로부터 차선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상기 자차량의 위치에서 상기 분기점 또는 교차점까지의 도로가 도로 조건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도로 조건에 따라 차선 변경을 안내하는 지점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유도 방법.
KR1020187002565A 2015-07-27 2015-07-27 경로 유도 장치 및 경로 유도 방법 KR102062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1238 WO2017017761A1 (ja) 2015-07-27 2015-07-27 経路誘導装置及び経路誘導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878A true KR20180022878A (ko) 2018-03-06
KR102062473B1 KR102062473B1 (ko) 2020-01-03

Family

ID=5788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565A KR102062473B1 (ko) 2015-07-27 2015-07-27 경로 유도 장치 및 경로 유도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514698B2 (ko)
EP (1) EP3330672B1 (ko)
JP (1) JP6493532B2 (ko)
KR (1) KR102062473B1 (ko)
CN (1) CN107923760B (ko)
BR (1) BR112018001879B1 (ko)
CA (1) CA2993635C (ko)
MX (1) MX367333B (ko)
RU (1) RU2678599C1 (ko)
WO (1) WO20170177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502A (ko) * 2018-04-11 2019-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로 변경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72677B2 (en) 2018-04-11 2023-10-0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control authority transition in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3685B2 (ja) * 2016-05-09 2020-05-1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子装置、案内方法および案内システム
JP6938903B2 (ja) * 2016-12-14 2021-09-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における衝突回避装置および衝突回避方法
US11009875B2 (en) * 2017-03-09 2021-05-18 Waymo Llc Preparing autonomous vehicles for turns
JP7035408B2 (ja) * 2017-09-25 2022-03-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走行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974871B1 (ko) * 2017-12-08 2019-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10411470B (zh) * 2018-04-27 2021-11-23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车道的播报系统、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11186293B2 (en) 2018-06-07 2021-11-30 Here Global B.V.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ssistance to a vehicle or driver thereof
CN109035863B (zh) * 2018-08-09 2021-11-23 北京智行者科技有限公司 车辆强制换道行驶方法
JP7082034B2 (ja) * 2018-11-26 2022-06-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出力装置、出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135881A1 (zh) * 2018-12-29 2020-07-0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自动驾驶车辆的车道选择方法、系统及车辆
JP2020153882A (ja) * 2019-03-22 2020-09-24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6912509B2 (ja) * 2019-03-27 2021-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および車両制御方法
CN109903576A (zh) * 2019-04-22 2019-06-18 爱驰汽车有限公司 基于导航的车辆变道提醒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WO2020230303A1 (ja) * 2019-05-15 2020-1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走行制御方法及び走行制御装置
JP7091290B2 (ja) * 2019-08-09 2022-06-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RU2724911C1 (ru) * 2019-10-18 2020-06-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энергет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эксплуатацией беспилот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общем транспорт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го трафика движения
US11781881B2 (en) * 2019-12-12 2023-10-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ethods and apparatus of vehicle guidance
WO2021192514A1 (ja) 2020-03-27 2021-09-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出力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1469847B (zh) * 2020-04-14 2022-06-14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变道路径规划的方法及系统
JP7347375B2 (ja) * 2020-08-31 2023-09-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走行車線計画装置及び走行車線計画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476833B2 (ja) 2021-03-26 2024-05-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車両制御方法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5937A (ja) * 2000-03-10 2001-09-21 Toshiba Corp 車両用自動走行制御装置
DE102004013440A1 (de) * 2004-03-18 2005-10-06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äzisierung der Fahranweisungen eines Navigationssystems
JP2006023278A (ja) * 2004-06-07 2006-01-26 Nissan Motor Co Ltd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とこれに用いる車線位置推定装置
EP1830161A1 (en) * 2004-12-24 2007-09-05 Fujitsu Ten Limited Driving assistance device
JP2008058172A (ja) * 2006-08-31 2008-03-13 Aisin Aw Co Ltd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
JP2009133801A (ja) 2007-12-03 2009-06-18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0230556A (ja) * 2009-03-27 2010-10-14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107894A (ja) * 2010-11-15 2012-06-07 Aisin Aw Co Ltd 走行案内装置、走行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2127845A (ja) * 2010-12-16 2012-07-05 Yupiteru Corp 車載用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2014089131A (ja) * 2012-10-31 2014-05-15 Aisin Aw Co Ltd レーン変更案内システム、サー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37381B2 (ja) * 2010-12-03 2014-12-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道路ノード位置管理システム、道路ノード位置管理方法及び道路ノード位置管理プログラム
US20170043780A1 (en) * 2015-08-10 2017-02-16 Hyundai Motor Company Autonomous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lane change and timing thereof based on analysis for shapes and links of forward roa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3793A (ja) * 1995-03-23 1996-10-11 Honda Motor Co Ltd 車両制御装置
JP4380026B2 (ja) * 2000-06-05 2009-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記録媒体
JP4352389B2 (ja) * 2003-12-24 2009-10-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4466238B2 (ja) * 2004-07-07 2010-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905840B2 (ja) * 2008-02-28 2012-03-28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09222392A (ja) * 2008-03-13 2009-10-01 Denso Corp 車両用地図表示装置。
JP5066123B2 (ja) * 2009-03-24 2012-11-07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両運転支援装置
JP5233816B2 (ja) * 2009-04-22 2013-07-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WO2011081155A1 (ja) * 2009-12-28 2011-07-0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その案内方法
US8831876B2 (en) * 2009-12-28 2014-09-09 Clarion Co., Ltd. Navigation device, route guidance method, and program
JP5857535B2 (ja) * 2011-08-29 2016-02-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移動案内システム、移動案内装置、移動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079499B1 (en) * 2011-11-22 2015-07-14 Sara Elyse Raubvogel Automatic activation of turn signals in a vehicle
JP5747796B2 (ja) * 2011-11-29 2015-07-15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53501B2 (ja) * 2013-10-17 2015-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9988047B2 (en) * 2013-12-12 2018-06-05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ontrol system with traffic driving control
EP3114574A4 (en) * 2014-03-03 2018-03-07 Inrix, Inc. Traffic obstruction detection
JP6241341B2 (ja) * 2014-03-20 2017-12-0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運転支援装置、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45507B2 (ja) * 2015-03-31 2019-07-1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53917B2 (ja) * 2015-03-31 2019-07-3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運転支援システム、自動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363935A1 (en) * 2015-06-15 2016-12-15 Gary Shuster Situational and predictive awareness system
US20170138752A1 (en) * 2015-06-19 2017-05-18 Yakov Z. Mermelstei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Navigation Services and Crowd-Sourced Location-Based Data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5937A (ja) * 2000-03-10 2001-09-21 Toshiba Corp 車両用自動走行制御装置
DE102004013440A1 (de) * 2004-03-18 2005-10-06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räzisierung der Fahranweisungen eines Navigationssystems
JP2006023278A (ja) * 2004-06-07 2006-01-26 Nissan Motor Co Ltd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とこれに用いる車線位置推定装置
EP1830161A1 (en) * 2004-12-24 2007-09-05 Fujitsu Ten Limited Driving assistance device
JP2008058172A (ja) * 2006-08-31 2008-03-13 Aisin Aw Co Ltd 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
JP2009133801A (ja) 2007-12-03 2009-06-18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0230556A (ja) * 2009-03-27 2010-10-14 Aisin Aw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107894A (ja) * 2010-11-15 2012-06-07 Aisin Aw Co Ltd 走行案内装置、走行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637381B2 (ja) * 2010-12-03 2014-12-1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道路ノード位置管理システム、道路ノード位置管理方法及び道路ノード位置管理プログラム
JP2012127845A (ja) * 2010-12-16 2012-07-05 Yupiteru Corp 車載用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2014089131A (ja) * 2012-10-31 2014-05-15 Aisin Aw Co Ltd レーン変更案内システム、サー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043780A1 (en) * 2015-08-10 2017-02-16 Hyundai Motor Company Autonomous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lane change and timing thereof based on analysis for shapes and links of forward ro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502A (ko) * 2018-04-11 2019-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차로 변경 제어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72677B2 (en) 2018-04-11 2023-10-0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control authority transition i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0672A1 (en) 2018-06-06
CN107923760A (zh) 2018-04-17
BR112018001879A2 (pt) 2018-09-18
MX2018000814A (es) 2018-05-15
US20180217604A1 (en) 2018-08-02
KR102062473B1 (ko) 2020-01-03
CA2993635A1 (en) 2017-02-02
EP3330672B1 (en) 2020-12-16
RU2678599C1 (ru) 2019-01-30
CA2993635C (en) 2019-08-13
JPWO2017017761A1 (ja) 2018-05-31
US10514698B2 (en) 2019-12-24
WO2017017761A1 (ja) 2017-02-02
MX367333B (es) 2019-08-15
CN107923760B (zh) 2021-04-02
EP3330672A4 (en) 2018-08-01
BR112018001879B1 (pt) 2022-07-19
JP6493532B2 (ja)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473B1 (ko) 경로 유도 장치 및 경로 유도 방법
JP6597782B2 (ja) 経路誘導装置及び経路誘導方法
KR101998041B1 (ko) 경로 유도 장치 및 경로 유도 방법
KR101573764B1 (ko) 차량의 주행 차로 인식 시스템 및 방법
JP5257252B2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システム
US20170323566A1 (en) Electronic apparatus, guide method, and guide system
JP6364869B2 (ja) 運転支援装置
KR102196681B1 (ko) 차선 표시 장치 및 차선 표시 방법
KR20200047654A (ko) 운전 지원 방법 및 운전 지원 장치
JP5901358B2 (ja) 車載装置
KR102077436B1 (ko) 경로 안내 방법 및 경로 안내 장치
JP201123227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車載センサの精度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17644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と自車位置表示方法
CN111324113B (zh) 自动驾驶装置
JP2010210320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