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2710A -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2710A
KR20180012710A KR1020170094735A KR20170094735A KR20180012710A KR 20180012710 A KR20180012710 A KR 20180012710A KR 1020170094735 A KR1020170094735 A KR 1020170094735A KR 20170094735 A KR20170094735 A KR 20170094735A KR 20180012710 A KR20180012710 A KR 20180012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image
corner portion
imaging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369B1 (ko
Inventor
유지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691Handling of masks or workpieces
    • G03F7/70775Position control, e.g. interferometers or encoders for determining the stag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16Monitoring the printed patterns
    • G03F7/70641Foc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기판의 양면에 있어서 기판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는 위치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지지부가 기판을 지지한다. 적어도 하나의 촬상장치가, 지지부에 지지된 기판을 촬상한다. 처리부가, 지지부에 지지된 기판의 모서리부를 촬상장치 중 하나로 촬상하여 얻어진 제1 화상에 근거하여 기판의 위치정보를 구한다. 그 후, 표리반전되어 지지부에 지지된 기판의 모서리부를 촬상장치 중 하나로 촬상하여 얻어진 제2 화상과, 제1 화상과, 제1 화상에 근거하여 구해진 기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표리반전된 기판의 위치정보를 구한다.

Description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출원은, 2016년 7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6-146855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판에 대하여 묘화나 가공을 행할 때에, 기판에 형성된 얼라인먼트마크를 이용하여 기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기판의 양면에 묘화나 가공을 행하는 경우에는, 표리의 묘화위치나 가공위치를 서로 맞추는 것이 요망된다. 기판의 내층에 얼라인먼트마크를 넣어, 양면으로부터 하나의 얼라인먼트마크를 검출함으로써, 표리양면에서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다.
내층의 얼라인먼트마크를 양면으로부터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강한 빛을 비춰 얼라인먼트마크를 드러나게 하는 방법, 및 얼라인먼트마크가 노출될 때까지 스폿페이싱가공을 행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판의 모서리부 부근을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데이터에 근거하여 기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스크린인쇄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05286호
내층에 얼라인먼트마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판에 대해서는, 얼라인먼트마크를 양면으로부터 검출하여 기판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특허문헌 1에는, 기판의 편면에서만 위치결정을 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양면에 있어서 위치결정을 행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의 양면에 있어서 기판의 위치결정을 행할 수 있는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기판을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상장치와,
처리부를 가지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기판의 모서리부를 상기 촬상장치 중 하나로 촬상하여 얻어진 제1 화상에 근거하여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하고,
표리반전되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기판의 상기 모서리부를 상기 촬상장치 중 하나로 촬상하여 얻어진 제2 화상과,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1 화상에 근거하여 구해진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표리반전된 상기 기판의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하는 위치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기판의 모서리부를, 상기 기판의 제1 면측으로부터 촬상하여 제1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제1 화상에 근거하여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하며,
상기 기판의 상기 모서리부를 상기 제1 면과는 반대측의 제2 면측으로부터 촬상하여 제2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화상과, 상기 제1 화상에 근거하여 구해진 상기 기판의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하는 위치검출방법이 제공된다.
기판의 모서리부를 촬상하여 얻어진 제1 화상, 표리반전된 기판의 동일한 모서리부를 촬상하여 얻어진 제2 화상, 및 제1 화상에 근거하여 구해진 기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표리반전된 상기 기판의 위치정보를 구하기 때문에, 기판의 양면에 있어서 모서리부를 공통의 기준점으로 할 수 있다. 제1 화상과 제2 화상을 별개로 화상해석하여 모서리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비하여, 기판의 양면에 있어서의 공통의 기준점의 어긋남을 줄일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도 1의 (a)는 실시예에 의한 위치검출장치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기판의 표리를 반전시키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의 (c)는 실시예에 의한 위치검출장치의 기판반전 후의 개략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2의 (a)는 기판의 모서리부 및 그 주위의 제1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2의 (b)는, 기판의 모서리부 및 그 주위의 제2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제1 화상과 제2 화상에 근거하여, 기판의 모서리부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매칭에러가 발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각각 촬상장치에 의하여 촬상되는 기판 내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막형성장치의 개략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지원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기판의 평면도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의 일점쇄선 7B-7B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지원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기판에 에칭용의 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1의 (a)~도 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한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는, 실시예에 의한 위치검출장치의 개략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위치검출장치는, 지지부(10), 촬상장치(11A, 11B), 처리부(12), 및 기억부(13)를 포함한다. 지지부(10)는, 그 상면(지지면)에 처리대상인 기판(50)을 지지한다. 촬상장치(11A)는 지지부(10)의 지지면 상의 촬상범위(15A) 내를 촬상하여, 화상데이터를 취득한다. 촬상장치(11B)는 지지부(10)의 지지면 상의 다른 범위를 촬상하여, 화상데이터를 취득한다. 처리부(12)가 기억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처리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위치검출의 기능이 실현된다. 기억부(13)에는, 처리프로그램 외에, 촬상장치(11A, 11B)로 취득된 화상데이터나, 처리부(12)의 처리결과인 좌표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기판(50)의 평면형상은 복수의 모서리부를 갖는다.
다음으로, 도 1의 (a)에 나타낸 위치검출장치를 이용하여 기판(50)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50)을 지지부(10)의 지지면에 지지시켜, 하나의 모서리부(51)가 촬상범위(15A)에 들어가도록 기판(50)과 촬상장치(11A)의 상대위치를 조정한다. 이 조정에서는, 처리부(12)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지지부(10)를 이동시켜도 되고, 촬상장치(11A)를 이동시켜도 된다. 이 상태에서, 촬상장치(11A)가 기판(50)의 모서리부(51)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상한다. 처리부(12)는, 촬상장치(11A)로 취득된 화상(이하, 제1 화상(55)이라고 함)을 인출한다. 처리부(12)는, 촬상장치(11A)로부터 인출한 제1 화상(55)의 화상데이터를 기억부(13)에 저장한다.
도 2의 (a)에, 제1 화상(55)의 일례를 나타낸다. 제1 화상(55)은, 기판(50)의 모서리부(51)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다. 처리부(12)(도 1의 (a))는, 제1 화상(55)의 화상해석을 행함으로써, 촬상범위(15A) 내에 있어서의 모서리부(51)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하, 위치검출순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리부(12)는, 먼저, 기판(50)의 윤곽을 추출한다. 그 후, 모서리부(51)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가장자리를 각각 직선으로 근사한다. 근사에 의하여 얻어진 2개의 직선의 교점의 좌표를 모서리부(51)의 좌표로 한다. 모서리부(51)의 좌표, 및 지지부(10)와 촬상장치(11A)의 상대위치관계에 근거하여, 모서리부(51)의 위치정보(예를 들면, 지지부(10)에 대해서 고정된 얼라인먼트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를 구한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또 하나의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함으로써, 기판(50)의 면내 방향에 관한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한다. 처리부(12)(도 1의 (a))는, 산출된 모서리부(51) 및 그 외의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기억부(13)(도 1의 (a))에 저장한다.
기판(50)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한 후, 기판(50)의 상방을 향하고 있는 면(이하, 제1 면이라고 함)에 대하여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원하는 패턴을 갖는 막을 형성하는 처리이다.
다음으로,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50)의 표리를 반전시켜 지지부(10)의 지지면에 지지시킨다. 이로써, 기판(50)의 제1 면과는 반대측인 제2 면이 상방을 향한다.
도 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50)의 모서리부(51)가 촬상장치(11B)의 촬상범위(15B)에 들어가도록 기판(50)과 촬상장치(11B)의 상대위치를 조정한다. 이 조정에서는, 처리부(12)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지지부(10)를 이동시켜도 되며, 촬상장치(11B)를 이동시켜도 된다. 이 상태로, 촬상장치(11B)가 기판(50)의 모서리부(51)를 포함하는 영역을 촬상한다. 처리부(12)는, 촬상장치(11B)로 취득된 화상(이하, 제2 화상(56)이라고 함)을 인출한다.
도 2의 (b)에, 촬상장치(11B)로 촬상된 제2 화상(56)의 일례를 나타낸다. 제2 화상(56)은, 기판(50)의 모서리부(51) 및 그 주위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낸 제1 화상(55)에서는, 기판(50)이 화상전체의 좌측 아래의 영역에 나타나 있었지만, 도 2의 (b)에 나타낸 예에서는, 기판(50)이 표리반전되어 있기 때문에, 기판(50)이 화상전체의 우측 아래의 영역에 나타나 있다.
처리부(12)는, 제1 화상(55)(도 2의 (a)), 제2 화상(56)(도 2의 (b)), 및 제1 화상(55) 내의 기판(50)의 모서리부(51)의 좌표에 근거하여, 제2 화상(56) 내에 있어서의 모서리부(51)의 좌표를 구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표리반전된 기판(50)의 모서리부(51)의 위치정보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화상(55)을 거울변환함으로써 제1 반전화상(55a)을 얻는다. 제1 반전화상(55a)으로부터, 기판(50) 및 모서리부(51)를 포함하는 일부의 화상을 잘라내어 템플레이트(55b)를 얻는다. 제2 화상(56)과 템플레이트(55b)의 패턴매칭을 행한다. 유사도가 최대가 될 때의 템플레이트(55b)에 있어서의 모서리부(51)의 좌표에 근거하여, 제2 화상(56) 내의 모서리부(51)의 좌표를 산출한다. 템플레이트(55b)에 있어서의 모서리부(51)의 좌표는, 도 2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산출완료했다.
제2 화상(56)에 있어서의 모서리부(51)의 좌표로부터, 모서리부(51)의 위치정보(예를 들면, 얼라인먼트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를 구한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또 하나의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함으로써, 표리반전시킨 기판(50)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한다.
기판(50)의 얼라인먼트좌표계에 있어서의 위치 및 자세를 결정한 후, 기판(50)의 상방을 향하고 있는 제2 면에 대하여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원하는 패턴을 갖는 막을 형성하는 처리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매칭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화상(55)에 있어서 기판(50)이 차지하는 영역의 면적이 제2 화상(56)에 있어서 기판(50)이 차지하는 영역의 면적보다 큰 경우, 제2 화상(56)에 있어서의 기판(50)이 차지하는 영역에, 템플레이트(55b)가 들어가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패턴매칭처리에 있어서, 유사도가 높은 답이 얻어지지 않게 되어, 매칭에러가 발생한다.
매칭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처리부(12)(도 1의 (c))가 지지부(10) 및 촬상장치(11B) 중 적어도 일방을 이동시켜, 제2 화상(56)(도 2의 (b))에 있어서 기판(50)이 차지하는 비율을 크게 한다. 그 후, 도 3에 나타낸 패턴매칭방법을 실행함으로써, 패턴매칭처리에 있어서 정상적인 답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a)~도 5의 (b)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한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의 우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50)의 제1 면에 대한 처리와 제2 면에 대한 처리를 행할 때에, 공통의 모서리부(51) 등을 얼라인먼트기준점으로서 이용하여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로 인하여, 제1 면에 형성하는 막과 제2 면에 형성하는 막의 위치맞춤을 행할 수 있다. 기판(50)에는 얼라인먼트마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기판(50)의 가장자리는,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직선이라고는 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도 2의 (a)에 나타낸 제1 화상(55) 내의 기판(50)의 윤곽선을 직선근사하여 모서리부(51)의 좌표를 구하는 경우, 윤곽선의 길이가 다르면, 산출된 모서리부(51)의 좌표도 달라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도 2의 (b)에 나타낸 제2 화상(56) 내의 기판(50)의 윤곽선의 교점에 근거하여 구해지는 모서리부(51)와, 도 2의 (a)의 제1 화상(55) 내의 기판(50)의 윤곽선의 교점에 근거하여 구해지는 모서리부(51)는, 기판(50) 상의 동일점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발생한다. 양자가 동일점이 아닌 경우, 제1 면에 대하여 처리를 행할 때의 기준위치가 되는 모서리부(51)와, 제2 면에 대하여 처리를 행할 때의 기준위치가 되는 모서리부(51)가, 엄밀하게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제1 면에 형성하는 막과 제2 면에 형성하는 막의 상대적 위치관계가 목표로 하는 관계로부터 어긋나 버린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2의 (b)에 나타낸 제2 화상(56) 내의 기판(50)의 모서리부(51)의 좌표를 구할 때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화상(55)과 제2 화상(56)에 근거하는 패턴매칭수법을 이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화상(56)의 모서리부(51)의 좌표를, 제2 화상(56)의 윤곽선의 교점의 좌표로부터 구하는 것이 아니라, 제1 화상(55)의 윤곽선의 교점의 좌표와, 패턴매칭결과에 근거하여 구한다. 이로 인하여, 기판(50)의 표리의 반전을 행하기 전후에 있어서, 화상해석에 의하여 결정되는 모서리부(51)가 기판(50) 상의 대략 동일점인 것이 보증된다. 이로써, 제1 면에 형성하는 막과 제2 면에 형성하는 막의 위치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a) 및 도 5의 (b)를 참조하여, 촬상장치(11A, 11B)의 바람직한 피사계심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각각 촬상장치(11A, 11B)에 의하여 촬상되는 기판(50) 내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50)의 단부면(57)은 반드시 양측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이라고는 한정할 수 없다. 도 5의 (a)에 나타낸 예에서는, 촬상장치(11A)의 촬상범위(15A)(도 1의 (a)) 내의 단부면(57)이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 기판(50)의 표리를 반전시키면, 촬상장치(11B)의 촬상범위(15B)(도 1의 (c)) 내의 단부면(57)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게 된다. 촬상장치(11A 및 11B)는, 지지부(10)에 지지된 기판(50)의 상면 및 하면의 양방을 피사계심도(DF)의 범위 내에 포함한다.
이와 같이 피사계심도(DF)를 설정함으로써, 기판(50)의 표리를 반전시켜도, 항상 촬상장치(11A, 11B)로 가장 외주의 가장자리에 핀트를 맞출 수 있다. 이로써, 제1 화상(55)으로부터 구해지는 모서리부(51)와, 제1 화상(55)과 제2 화상(56)에 근거하는 패턴매칭처리에 의하여 구해지는 모서리부(51)가, 대략 동일점인 것이 보증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의 (a)에 나타낸 촬상공정에서 제1 화상(55)(도 2의 (a))을 취득하는 촬상장치(11A), 및 도 1의 (c)에 나타낸 촬상공정에서 제2 화상(56)(도 2의 (b))을 취득하는 촬상장치(11B)를 준비했다. 2개의 촬상장치(11A, 11B)를 준비하는 대신에 하나의 촬상장치(11A)를 이동시킴으로써, 하나의 촬상장치(11A)로 제1 화상(55)(도 2의 (a))과 제2 화상(56)(도 2의 (b))을 취득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패턴매칭처리에 있어서, 제1 화상(55)을 반전(거울변환)시켜, 제1 반전화상(55a)으로부터 템플레이트(55b)를 잘라냈지만, 제1 화상(55)을 반전시키지 않고, 제2 화상(56)을 반전시켜, 반전시킨 제2 화상으로부터 템플레이트를 잘라내도 된다. 그 외에, 제1 화상(55)으로부터 템플레이트를 잘라내어, 이 템플레이트와 제2 화상(56)을 반전시킨 화상의 패턴매칭처리를 행해도 되고, 제1 화상(55)을 반전시키고, 제2 화상(56)으로부터 템플레이트를 잘라내어, 이 템플레이트와 제1 화상(55)을 반전시킨 화상의 패턴매칭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판(50)의 적어도 2개의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얻음으로써, 기판(50)의 위치 및 자세를 구했지만, 3개소 이상의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해도 된다. 위치검출대상의 모서리부를 늘림으로써, 위치검출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2의 (a)에 나타낸 제1 화상(55) 내에 있어서의 기판(50)의 모서리부(51)의 좌표를 구할 때에, 기판(50)의 윤곽선을 검출했지만, 그 외에, 제1 화상(55)과 참조화상의 패턴매칭처리를 행하여 모서리부(51)의 좌표를 구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장치(11A, 11B)로서, 피사계심도(DF)의 범위 내에 기판(50)의 상면과 하면이 들어가는 특성을 갖는 것을 이용했다. 이 구성 대신에, 촬상장치(11A, 11B)로서, 피사계심도(DF)가 기판(50)의 두께보다 얕고, 오토포커스기능을 갖는 것을 이용해도 된다. 기판(50)의 단부면이 경사져 있는 경우, 보다 외측의 가장자리에 오토포커스하도록 촬상장치(11A, 11B)를 제어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6~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a)~도 5의 (b)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한 위치검출장치가 잉크젯형의 막형성장치에 적용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막형성장치의 개략정면도이다. 기대(基台)(20)에 이동기구(21)를 개재하여 스테이지(23)가 지지되어 있다. 스테이지(23)는, 도 1의 (a) 및 도 1의 (c)에 나타낸 실시예의 지지부(10)에 상당한다. 스테이지(23)의 상면(지지면)에 기판(50)이 지지된다. 이동기구(21)는, 스테이지(23)를 지지면에 평행한 2차원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기판(50)을 2차원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기구(21) 및 스테이지(23)에, 예를 들면 XY스테이지를 이용할 수 있다. 통상, 스테이지(23)의 지지면은 수평으로 유지된다.
스테이지(23)에 지지된 기판(50)의 상방에 복수의 잉크젯헤드(26) 및 복수의 촬상장치(11A, 11B)가 배치되어 있다. 잉크젯헤드(26) 및 촬상장치(11A, 11B)는, 포털프레임(24)에 의하여 기대(20)에 지지되어 있다. 촬상장치(11A, 11B)는, 각각 승강기구(16A, 16B)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다. 잉크젯헤드(26)의 각각에 복수의 노즐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노즐구멍으로부터 기판(50)을 향하여 막재료의 액적이 토출된다. 촬상장치(11A, 11B)는, 스테이지(23)에 지지된 기판(50)의 일부분을 촬상하여, 취득된 2차원화상의 화상데이터를 제어장치(30)에 송신한다. 제어장치(30)가, 도 1의 (a), 도 1의 (c)에 나타낸 실시예의 처리부(12)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어장치(30)는, 승강기구(16A, 16B)를 제어하여 촬상장치(11A, 11B)를 승강시킴으로써, 촬상장치(11A, 11B)의 핀트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기판(50)에 부착된 액상의 막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막재료로서 광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잉크젯헤드(26)의 측방에, 기판(50)에 부착된 막재료를 경화시키는 광원 또는 열원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장치(30)가 이동기구(21)에 의한 스테이지(23)의 이동, 및 잉크젯헤드(26)의 노즐구멍으로부터의 막재료의 토출을 제어한다. 제어장치(30)는 기억장치(31)를 포함하고, 기억장치(31)에 형성해야 할 막의 패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장치(30)가 패턴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동기구(21) 및 잉크젯헤드(26)를 제어함으로써, 기판(50)에 원하는 패턴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입력장치(35)로부터 제어장치(30)에, 다양한 커맨드나 데이터가 입력된다. 입력장치(35)에는, 예를 들면 키보드, 포인팅디바이스, USB포트, 통신장치 등이 이용된다. 출력장치(36)에, 막형성장치의 동작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출력된다. 출력장치(36)에는, 예를 들면 액정디스플레이, 스피커, USB포트, 통신장치 등이 이용된다.
다음으로, 도 7의 (a) 및 도 7의 (b)를 참조하여 처리대상의 기판(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의 (a)는, 기판(50)의 평면도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의 일점쇄선 7B-7B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기판(50)은 절연성의 지지기판(61)과, 그 양면에 마련된 도전막(62, 63)을 포함한다. 지지기판(61)으로서, 예를 들면 세라믹기판이 이용된다. 도전막(62, 63)으로서, 예를 들면 구리박이 이용된다. 도전막(62, 63)의 외주는 지지기판(61)의 외주보다 약간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지지기판(61)의 표면에는, 지지기판(61)의 가장자리의 근방(외주선의 내측)에 도전막(62, 63)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프레임 형상의 영역이 확보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기판(50)에 에칭용 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기판(50)에 에칭용 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스텝 S1에 있어서 기판(50)을 스테이지(23)의 유지면에 두고, 진공 척 등으로 고정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기판(50)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공정에서는, 도 1의 (a) 및 도 2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기판(50)의 위치검출을 행한다.
다음으로, 스텝 S3에 있어서, 기판(50)을 이동시키면서 잉크젯헤드(26)(도 6)로부터 레지스트재료를 토출시켜, 기판(50)의 상방을 향하는 면(제1 면)에 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한다.
스텝 S4에 있어서, 스테이지(23)에 지지되어 있는 기판(50)의 표리를 반전시킨다. 스텝 S5에 있어서, 기판(50)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검출공정에서는, 도 1의 (c)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즉 패턴매칭처리를 이용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스텝 S6에 있어서, 기판(50)을 이동시키면서 잉크젯헤드(26)(도 6)로부터 레지스트재료를 토출시켜, 기판(50)의 상방을 향하는 면(제2 면)에 레지스트패턴을 형성한다. 그 후, 레지스트패턴을 에칭마스크로서 이용하여, 도전막(62, 63)을 에칭한다. 에칭 후, 레지스트패턴을 제거한다.
기판(50)의 제1 면에 대한 처리와 제2 면에 대한 처리에서, 공통의 모서리부를 위치결정의 기준으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제1 면 및 제2 면에 형성하는 레지스트패턴을 서로 고정밀도로 위치맞춤할 수 있다.
다음으로, 촬상장치(11A, 11B)의 피사계심도가 기판(50)의 두께보다 얕은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50)의 단부면이 경사져 있는 경우, 보다 외측의 가장자리에 핀트를 맞추기 위하여, 기판(50)의 상면을 피사계심도의 범위에 넣지 않으면 안된다.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50)의 단부면이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기판(50)의 하면을 피사계심도의 범위에 넣지 않으면 안된다. 제어장치(30)는, 기판(50)의 보다 외측의 가장자리가 피사계심도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승강기구(16A, 16B)를 제어한다. 이로써, 도 5의 (a), 도 5의 (b)의 어느 경우에서도, 기판(50)의 보다 외측의 가장자리에 핀트를 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장치(30), 및 승강기구(16A, 16B)는, 촬상장치(11A, 11B)를 기판(50)의 상면 및 하면의 가장자리 중,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에 포커스시키는 오토포커스기구로서 기능한다.
상술의 각 실시예는 예시이며,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구성의 부분적인 치환 또는 조합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복수의 실시예의 동일한 구성에 의한 동일한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실시예마다 순차 언급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양한 변경, 개량, 조합 등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다.
10 지지부
11A, 11B 촬상장치
12 처리부
13 기억부
15A, 15B 촬상범위
16A, 16B 승강기구
20 기대
21 이동기구
23 스테이지
24 포털프레임
26 잉크젯헤드
30 제어장치
31 기억장치
35 입력장치
36 출력장치
50 기판
51 기판의 모서리부
55 기판의 모서리부 및 그 주위의 화상(제1 화상)
55a 제1 반전화상
55b 템플레이트
56 기판의 모서리부 및 그 주위의 화상(제2 화상)
57 단부면
61 지지기판
62, 63 도전막
DF 피사계심도

Claims (6)

  1.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기판을 촬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촬상장치와,
    처리부를 가지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기판의 모서리부를 상기 촬상장치 중 하나로 촬상하여 얻어진 제1 화상에 근거하여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하고,
    표리반전되어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기판의 상기 모서리부를 상기 촬상장치 중 하나로 촬상하여 얻어진 제2 화상과,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1 화상에 근거하여 구해진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표리반전된 상기 기판의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하는 위치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지지된 상기 기판의 상면 및 하면의 양방을 피사계심도의 범위 내에 포함하는 위치검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촬상장치(11A, 11B)를 기판(50)의 상면 및 하면의 가장자리 중,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에 포커스시키는 오토포커스기구를 갖는 위치검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표리반전된 상기 기판의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할 때에, 상기 제1 화상 및 상기 제2 화상의 일방을 거울변환한 화상과, 타방의 화상의 패턴매칭을 행하고, 패턴매칭의 결과에 근거하여, 표리반전된 상기 기판의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하는 위치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및 상기 제2 화상은, 상기 기판의 상기 모서리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영역의 화상인 위치검출장치.
  6. 기판의 모서리부를, 상기 기판의 제1 면측으로부터 촬상하여 제1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제1 화상에 근거하여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하며,
    상기 기판의 상기 모서리부를 상기 제1 면과는 반대측의 제2 면측으로부터 촬상하여 제2 화상을 취득하며,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2 화상과, 상기 제1 화상에 근거하여 구해진 상기 기판의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기판의 상기 제2 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상기 모서리부의 위치정보를 구하는 위치검출방법.
KR1020170094735A 2016-07-27 2017-07-26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 KR102320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46855A JP6723648B2 (ja) 2016-07-27 2016-07-27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JPJP-P-2016-146855 2016-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710A true KR20180012710A (ko) 2018-02-06
KR102320369B1 KR102320369B1 (ko) 2021-11-01

Family

ID=6107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735A KR102320369B1 (ko) 2016-07-27 2017-07-26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23648B2 (ko)
KR (1) KR102320369B1 (ko)
CN (1) CN107662415B (ko)
TW (1) TWI6812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6511A (ja) * 2018-05-08 2019-11-1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板処理装置及び板処理方法
CN113791524A (zh) * 2021-09-30 2021-12-14 深圳迈塔兰斯科技有限公司 用于超表面加工的光刻系统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5789A1 (en) * 2000-11-08 2002-05-09 Barry Ben-Ezra System and method for side to side registration in a printed circuit imager
JP2009248182A (ja) * 2008-04-10 2009-10-29 Ihi Corp マーキング装置
JP2012080004A (ja) * 2010-10-05 2012-04-19 Nikon Corp 露光装置、デバイス製造方法及び基板
KR20140024953A (ko) * 2011-07-27 2014-03-03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제조장치 및 기판제조방법
JP2014205286A (ja) 2013-04-12 2014-10-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9820A (en) * 1978-02-21 1980-02-26 Slack Otto G Template pattern alignment
JPS6414917A (en) * 1987-07-09 1989-01-19 Canon Kk Alignment accuracy measuring mark and measuring method for accuracy using the same
JP2988680B2 (ja) * 1990-02-13 1999-12-13 株式会社東芝 変位測定装置
JP2919994B2 (ja) * 1991-04-08 1999-07-1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3352761B2 (ja) * 1993-06-01 2002-12-03 武藤工業株式会社 画像データの位置変換方法
JP3849363B2 (ja) * 1999-08-30 2006-1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チップのピックアップ方法
JP4768731B2 (ja) * 2005-04-28 2011-09-07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フリップチップ実装ずれ検査方法および実装装置
KR20100107019A (ko) * 2008-03-31 2010-10-0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면형체의 얼라이먼트 장치, 제조 장치, 면형체의 얼라이먼트 방법 및 제조 방법
CN102198751A (zh) * 2010-03-23 2011-09-28 株式会社东芝 喷墨图像形成装置和喷墨图像形成方法
JP2012049326A (ja) * 2010-08-26 2012-03-08 Nsk Technology Co Ltd マスクの位置決め装置及びマスクの回転中心算出方法
JP5554228B2 (ja) * 2010-12-28 2014-07-23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基板加工方法
CN103029452B (zh) * 2011-09-30 2014-12-24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双面打印方法和装置
TWI421972B (zh) * 2011-12-08 2014-01-01 Metal Ind Res & Dev Ct 無標記異空間基板組裝對位方法及系統
JP6351992B2 (ja) * 2014-02-17 2018-07-04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変位検出装置、基板処理装置、変位検出方法および基板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5789A1 (en) * 2000-11-08 2002-05-09 Barry Ben-Ezra System and method for side to side registration in a printed circuit imager
JP2009248182A (ja) * 2008-04-10 2009-10-29 Ihi Corp マーキング装置
JP2012080004A (ja) * 2010-10-05 2012-04-19 Nikon Corp 露光装置、デバイス製造方法及び基板
KR20140024953A (ko) * 2011-07-27 2014-03-03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판제조장치 및 기판제조방법
JP2014205286A (ja) 2013-04-12 2014-10-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17562A (ja) 2018-02-01
TWI681265B (zh) 2020-01-01
CN107662415B (zh) 2019-10-22
JP6723648B2 (ja) 2020-07-15
TW201804266A (zh) 2018-02-01
CN107662415A (zh) 2018-02-06
KR102320369B1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2068B2 (ja)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KR101924191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JP5318334B2 (ja) 対象物の位置検出方法及び装置
CN102262358A (zh) 一种内层板双面对位装置和方法
JP5813555B2 (ja) 露光描画装置及び露光描画方法
KR20180012710A (ko)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
JP7084227B2 (ja) マーク位置検出装置、描画装置およびマーク位置検出方法
KR102034481B1 (ko) 전자 부품의 실장 방법 및 실장 장치
JP5728065B2 (ja) レーザ加工機
JPH09152569A (ja) 矩形基板の位置決め装置
JP5076233B2 (ja) 露光用マスクの初期位置及び姿勢調整方法
JP4262171B2 (ja) 半導体チップ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JP4126503B2 (ja) 位置決め装置
JP6085433B2 (ja) 描画装置、露光描画装置、プログラム及び描画方法
CN110453221B (zh) 板处理装置及板处理方法
JP6974101B2 (ja) 設定装置、及び、表面実装機
JP2011181675A (ja) 回路部品の実装装置
JP4960266B2 (ja) 透明基板のエッジ位置検出方法及びエッジ位置検出装置
KR20150032772A (ko) 묘화 장치, 기판 처리 시스템 및 묘화 방법
JP6313148B2 (ja) マーキング装置
KR101606585B1 (ko)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
JP2010227962A (ja) レーザ加工方法
JPH04158039A (ja) 印刷用スクリーンと基板の位置合わせ方法及び装置
CN114253095A (zh) 基板位置检测方法、描绘方法、基板位置检测装置及描绘装置
JP2005093490A (ja) 部品実装方法と装置及びその位置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