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585B1 -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 - Google Patents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585B1
KR101606585B1 KR1020140037057A KR20140037057A KR101606585B1 KR 101606585 B1 KR101606585 B1 KR 101606585B1 KR 1020140037057 A KR1020140037057 A KR 1020140037057A KR 20140037057 A KR20140037057 A KR 20140037057A KR 101606585 B1 KR101606585 B1 KR 101606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unit
punch
hole
ccd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2577A (ko
Inventor
백종철
Original Assignee
백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철 filed Critical 백종철
Priority to KR1020140037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58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2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26D5/24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including a metering dev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D 카메라와 펀칭부의 간격이 최소화되어 오차를 줄이는 것은 물론, 펀칭시 발생하는 진동이 CCD 카메라에 전달될 염려가 없도록 하여 안정적인 영상정보를 얻도록 하는 펀칭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천공하고자 하는 홀의 마크가 인쇄된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홀의 마크 위치 좌표를 얻기 위해 상기 이송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어 홀의 위치를 촬영하고 영상 데이타를 얻는 CCD 카메라부; 상기 CCD 카메라부와 대접되도록 상기 이송부의 하측 또는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홀을 펀칭하는 펀칭부; 상기 CCD 카메라부에 의해 얻은 영상 데이타를 스캐닝하여 상기 홀의 마크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값에 따라 상기 펀칭부를 상기 홀의 마크와 일치되도록 이송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리플렉터를 사용하지 않아 간단한 구조이며, CCD 카메라의 광축과 펀치의 중심축선 사이의 간격이 종래보다 좁아 텍트타임이 줄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PUNCHING EQUIPMENT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플랙시블 회로기판의 펀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CCD 카메라와 펀칭부의 간격이 최소화되어 오차를 줄이는 것은 물론, 펀칭시 발생하는 진동이 CCD 카메라에 전달될 염려가 없도록 하여 안정적인 영상정보를 얻도록 하는 펀칭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은 정보통신, 정밀기기 및 소형제품 등에 사용되는 유연성이 뛰어난 회로기판을 의미하며, 소정크기의 홀이 인쇄되어 있으면서 내굴곡성(耐屈曲性)이 요구되는 결선(結線)에 없어서는 안되는 제품이다.
이러한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F.P.C.B)은 원자재인 동박 적층판의 동박 표면에 감광성의 드라이 필름을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하고, 동박 적층판의 동박 표면이 대기에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레지스터필름을 열 접착시키게 된다.
이때, 절연 레지스터필름을 동박 적층판의 동박 표면에 열 접착시키기 전에 인쇄 기준홀, 부품 리드선 납땜홀, 회로연결상태를 검사하는 기준홀, 에칭 처리된 플래시블 프린트기판을 컷팅하여 단일의 플래시블 인쇄회로기판으로 형성시켜주기 위한 블랭킹(Blanking) 기준용 센서 기준홀 등을 롤 상태에서 풀어주면서 자동으로 일괄 펀칭하여 현상액에 의한 현상처리 및 에칭용액에 의한 에칭(Etching)처리를 실시하고, 이를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한 후에 차기 공정으로 이송시켜주게 된다.
즉, 펀칭장치가 후퇴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F.P.C.B)을 클램핑 장치에 의해 잡은 상태에서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F.P.C.B)에 표시되어 있는 가이드마크를 CCD 카메라로 포착하며, 포착된 영상자료를 컴퓨터에서 분석하여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F.P.C.B)에 표시되어 있는 가이드마크의 좌표(X축 좌표 및 Y축 좌표)와 컴퓨터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펀칭장치의 펀치가 펀칭할 지점과의 편차에 따라 X축이동장치와 Y축이동장치에 의해 진공테이블과 함께 플랙시블 인홰회로기판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이드마크를 펀칭하게 된다.
이러한 펀칭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103061호의 펀칭머신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인쇄회로기판(1)의 마크(3)를 펀칭하여 가이드구멍(2)으로 가공하는 펀치(12)와, 연성 인쇄회로기판(1)에 대하여 펀치(12)를 승강시키는 업다운장치(20)와, 펀치를 직각좌표운동시키는 직각좌표운동장치(30)로 구성된다.
또한, 직각좌표운동장치(30)에 의하여 펀치(12)와 함께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연성 인쇄회로기판(1)의 마크(3)를 촬영하여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며 펀치(12)의 중심축선과 평행한 제1 광축(O₁)을 갖는 카메라(40)와, 카메라(40)의 제1 광축(O₁)을 펀치(12)의 중심축선(L)에 평행하게 근접시킬 수 있도록 카메라(4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광가이드(60)와, 카메라(40)로부터의 이미지데이터를 프로세싱하여 마크의 좌표값을 산출하고 마크의 좌표값에 펀치가 정렬되도록 직각좌표운동수단(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컴퓨터(70)로 구성된다.
이는, 연성 인쇄회로기판(1)의 마크(3)로부터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40)의 광축과 펀치(12)의 중심축선(L)을 카메라(40)와 펀치(12)의 간섭됨이 없이 최대한으로 근접시킴으로써, 연성 인쇄회로기판(1)의 마크(3)로부터 카메라(40)의 촬영과 컴퓨터(70)의 프로세싱에 의하여 획득되는 좌표값에 대한 펀치(12)의 직각좌표운동량을 최대한으로 감소시켜 가공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펀칭장치는 카메라(40)의 광축과 펀치(12)의 중심축선(L)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근접시키기 위해 반사프리즘이나 미러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 리플렉터(61, 62)의 광가이드(60)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다.
또한, 광가이드(60)에 의해서도 카메라(40)의 광축과 펀치(12)의 중심축선(L) 사이의 간격이 25mm 이내로는 좁혀지지 않으므로, 텍트타임(Tact time)이 길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메라(40)와 업다운액츄에이터(20)가 헤드(13)에 일체로 결합되어 작동함에 따라, 업다운액츄에이터(20)의 펀치(12)가 펀칭 시 발생하는 진동이 카메라(40)에 전달되어 안정적인 영상 정보를 얻을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카메라(40)의 진동이 멈추는 시간동안 작업을 중단되는 딜레이 타임이 발생하여 생산성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5-010306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펀칭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서, 반사프리즘 등의 리플렉터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의 펀칭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의 광축과 펀치의 중심축선 사이의 간격을 종래보다 더 줄여 텍트타임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펀칭 시 발생하는 진동이 카메라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인 영상정보를 얻고 작업이 중단되는 딜레이 타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천공하고자 하는 홀의 마크가 인쇄된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홀의 마크 위치 좌표를 얻기 위해 상기 이송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어 홀의 위치를 촬영하고 영상 데이타를 얻는 CCD 카메라부; 상기 CCD 카메라부와 대접되도록 상기 이송부의 하측 또는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홀을 펀칭하는 펀칭부; 상기 CCD 카메라부에 의해 얻은 영상 데이타를 스캐닝하여 상기 홀의 마크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값에 따라 상기 펀칭부를 상기 홀의 마크와 일치되도록 이송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펀칭부는, 펀치, 상기 펀치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부, 상기 펀치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펀치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을 가이드 하는 펀치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펀칭부는, 상기 펀치가이드부의 상측에는 고정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펀치가이드부의 내부에는 펀치를 감싸며 상단 일부가 펀치가이드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트리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트리퍼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지지단에는 상부스프링이 스트리퍼부를 감싸며 권선되어 상기 고정블록과의 사이에 탄지결합되며, 상기 스트리퍼부의 하측에는 하부스프링이 펀치를 감싸며 결합되며, 상기 펀치의 중도부에는 상기 펀치가이드부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하부스프링을 지지하도록 걸림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치가이드부의 내부에는 펀치를 감싸는 펀치가이드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트리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트리퍼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지지단에는 상부스프링이 권선되어 상기 고정블록과의 사이에 탄지결합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펀칭부의 펀치에 의해 펀칭되어 탈리된 칩을 진공 흡입하여 배출하는 칩흡입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플렉터를 사용하지 않아 간단한 구조이며, CCD 카메라의 광축과 펀치의 중심축선 사이의 간격이 종래보다 좁아 텍트타임이 줄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펀칭 시 발생하는 진동이 CCD 카메라에 전달되지 않아 안정적인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작업이 중단되는 딜레이 타임이 발생하지 않아 마찬가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펀칭 시 상하부 스프링에 의해 완충작용을 함으로써 펀치를 안정적으로 전후진 작동시켜 기판에 데미지(Damage)가 입을 염려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성인쇄회로기판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펀칭머신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의 간략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에서 카메라부와 펀칭부의 일부 확대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에서 카메라부와 펀칭부의 일부 단면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의 간략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에서 카메라부와 펀칭부의 일부 확대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에서 카메라부와 펀칭부의 일부 단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 회로기판의 펀칭장치는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00)와, 영상 데이타를 얻는 CCD 카메라부(200), 그리고 홀을 펀칭하는 펀칭부(300) 및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이송부(100)는 천공하고자 하는 홀의 마크(3)가 인쇄된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을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해 작업대(10)의 일측에 마련된다.
CCD 카메라부(200)는 작업대(1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이송되는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에서 홀의 마크(3)를 촬영하여 영상 데이타를 얻는다. 이를 위해 CCD 카메라부(200)는 도면에서와 같이 이송부(100)의 상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물론, 상황에 따라 CCD 카메라부(200)는 이송부(100)의 하측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펀칭부(300)는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에 펀칭을 하여 홀을 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CCD 카메라부(200)와 대접되는 방향의 이송부(100) 하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물론, CCD 카메라부(200)가 이송부(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펀칭부(300)는 CCD 카메라부(200)와 대접되는 방향인 이송부(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CCD 카메라부(200)의 광축선(C1)과 펀칭부(300)의 중심축선(C2) 사이의 간격은 20mm 이다.
펀칭부(3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펀치(310)와 솔레노이드밸브부(320) 및 펀치가이드부(330) 및 고정블록(340)을 포함한다.
펀치(310)는 공지와 마찬가지로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에 펀칭을 하도록 형성되며, 펀치가이드부(33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펀치(310)의 중도부에는 걸림대(312)가 돌출 형성된다.
솔레노이드밸브(32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펀치(310)를 전진 또는 후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펀치가이드부(330)는 스트리퍼부(331)와 상부스프링(334) 및 하부스프링(337)을 포함하며, 펀치가이드부(330) 상측에는 고정블록(340)이 고정 결합된다.
스트리퍼부(331)는 펀치가이드부(330) 내부에 결합되어 펀치(310)의 외측을 감싸며, 상단 일부는 펀치가이드부(330)의 상측에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스트리퍼부(331)의 중도부에는 지지단(332)이 형성된다.
상부스프링(334)은 스트리퍼부(331)의 외측을 감싸며 스트리퍼부(331)의 지지단(332) 상측에 올려져 고정블록(340)과의 사이에 탄지 결합된다.
하부스프링(337)은 펀치(310)를 감싸며, 스트리퍼부(331)의 하측과 펀치가이드부(330)의 내측에 위치하는 펀치(310)의 걸림대(312) 상측 사이에 탄지 결합된다.
제어부(400)는 CCD 카메라부(200) 및 펀칭부(300)와 연결되며, CCD 카메라부(200)에 의해 얻은 영상 데이타를 스캐닝하여 홀의 마크(3) 위치 좌표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좌표값에 따라 펀칭부(200)를 이송시켜 홀의 마크(3)와 일치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펀칭부(300)와 대칭되는 위치의 이송부(100)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칩흡입부(5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펀칭부(300)에 의해 펀칭되어 탈리되는 칩을 진공흡입장치(도면에는 생략됨)에 의해 진공흡입하여 배출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랙시블 회로기판의 펀창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이송부(100)로 공급되는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의 홀 마크(30)가 CCD 카메라부(200)의 광축선(C2)과 일치하게 되면 CCD 카메라부(200)에 의해 홀의 마크(30)를 촬영하게 되고, 이렇게 촬영하여 포착된 영상자료를 컴퓨터 등의 제어부(400)에 의해 X축과 Y축의 위치좌표를 분석한다.
그리고, 다시 제어부(400)에 미리 설정하여 둔 L값, 즉, CCD 카메라부(200)의 광축선(C1)과 펀칭부(300)의 중심축선(C2) 사이의 편차 간격인 20mm만큼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이 이동되면서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의 홀 마크(30)가 펀칭부(300)의 중심축선(C1)과 일치하도록 위치되면 펀칭부(300)를 작동시킨다.
즉, 펀칭부(300)의 중심축선(C1)이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의 홀 마크(30)와 일치하여 위치하면,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펀칭부(300)의 솔레노이드밸브(320)가 작동하면서 순간적으로 펀치(310)가 전진 및 후진됨으로써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의 홀 마크(30)를 펀칭하여 천공하게 된다.
펀치(310)의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솔레노이드밸브(320)의 작동에 의해 펀치(310)가 전진할 때, 펀치(310)의 중도부에 형성된 걸림대(312)가 펀치가이드부(330) 내부에서 상승하면서 하부스프링(337)을 밀어 올리게 되고, 동시에 스트리퍼부(331)가 상승하면서 스트리퍼부(331)의 상단이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의 저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리퍼부(331)가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스트리퍼부(331)의 상승은 정지되고, 펀치(310)는 계속 전진하면서 스트리퍼부(331)에 의해 고정된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을 펀칭하여 천공을 하게 된다.
그리고, 펀칭이 완료되면 다시 솔레노이드밸브(320)의 작동에 의해 펀치(310)가 후퇴하게 되고, 펀치(310)의 중도부 걸림대(312)가 펀치가이드부(330) 내측에서 걸리면서 더 이상 후퇴하지 않게 된다.
이때, 가압되어 있던 상부스프링(331)의 탄성력에 의해 스트리퍼부(331)는 하측으로 밀리면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에 펀칭이 이루어질 때 스트리퍼부(331)가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을 고정한 상태에서 펀칭이 이루어지므로, 펀치(310)에 의해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에 데미지(Damage)를 입을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펀칭이 완료된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은 스트리퍼부(331)가 하강하여 이격되어 있으므로, 계속 이동이 되면서 상기와 같이 CCD 카메라부(200)에 의한 촬영과 좌표 분석 및 펀칭부(300)에 의한 펀칭작업이 반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는 CCD 카메라부(200)의 광축선(C1)과 펀칭부(300)의 중심축선(C1) 사이의 간격이 20mm로 최소화되어 텍트타임이 줄어들고, 펀칭부(300)의 진동이 CCD 카메라부(300)에 전달이 되지 않음으로써 딜레이 타임이 줄어 종래보다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트리퍼부(331)가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1)을 고정한 상태에서 펀칭이 이루어지므로 불량의 발생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100 : 이송부 200 : 카메라부
300 : 펀칭부 310 : 펀치
320 : 솔레노이드밸브부 330 : 펀치가이드부
331 : 스트리퍼부 332 :지지단
334 : 상부스프링 337 : 하부스프링
340 : 고정블록 400 : 제어부
500 : 칩흡입부

Claims (4)

  1. 천공하고자 하는 홀의 마크가 인쇄된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홀의 마크 위치 좌표를 얻기 위해 상기 이송부의 상측에 설치되어 홀의 마크 위치를 촬영하고 영상 데이타를 얻는 CCD 카메라부;
    펀칭 시 진동이 상기 CCD 카메라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이송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에 홀을 펀칭하는 펀치, 상기 펀치를 전진 또는 후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부, 상기 펀치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펀치의 전진 또는 후진 작동을 가이드 하는 펀치가이드부, 상기 펀치가이드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펀치가이드부의 내부에는 펀치를 감싸며 상단 일부가 펀치가이드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스트리퍼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트리퍼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지지단에는 상부스프링이 스트리퍼부를 감싸며 권선되어 상기 고정블록과의 사이에 탄지결합되며, 상기 스트리퍼부의 하측에는 하부스프링이 펀치를 감싸며 결합되며, 상기 펀치의 중도부에는 상기 펀치가이드부 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하부스프링을 지지하도록 걸림대가 더 형성되는 펀칭부;
    상기 CCD 카메라부에 의해 얻은 영상 데이타를 스캐닝하여 상기 홀의 마크 위치 좌표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값에 따라 상기 펀칭부를 상기 홀의 마크와 일치되도록 이송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펀칭부의 펀치에 의해 펀칭되어 탈리된 칩을 진공 흡입하여 배출하는 칩흡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CCD 카메라부의 광축선과 펀칭부의 중심축선 사이의 간격은 2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37057A 2014-03-28 2014-03-28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 KR101606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57A KR101606585B1 (ko) 2014-03-28 2014-03-28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57A KR101606585B1 (ko) 2014-03-28 2014-03-28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77A KR20150112577A (ko) 2015-10-07
KR101606585B1 true KR101606585B1 (ko) 2016-03-25

Family

ID=5434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057A KR101606585B1 (ko) 2014-03-28 2014-03-28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5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3016A (zh) * 2018-03-20 2018-07-24 苏州杰锐思自动化设备有限公司 Fpc软板自动加工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577A (ko) 201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2879B2 (en) Workpiece transfer apparatus
JP2009044044A (ja) 電子部品実装方法及び装置
WO2013186963A1 (ja) 電子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2010050418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の制御方法
EP1836020A2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ystem,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and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ethod
JP6787612B2 (ja) 第1物体を第2物体に対して位置決め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606585B1 (ko) 플랙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펀칭장치
KR20190020641A (ko) 실장 방법, 실장용 헤드 및 실장 장치
JP2002162206A (ja) アライメント方法および装置
US10959361B2 (en) Substrate working machine
WO2014132358A1 (ja) 不良部材判定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80012710A (ko) 위치검출장치 및 위치검출방법
JP2007266334A (ja) 電子部品装着方法及び装置
WO2017077594A1 (ja) 荷重計測装置及び荷重計測方法
JP2009260105A (ja) ペースト転写装置及びペースト転写方法
JP2009105196A (ja) 接合対象物のアライメント方法、これを用いた部品接合方法および部品接合装置
JP2001267335A (ja) 電子部品搭載装置および電子部品搭載方法
KR100636657B1 (ko) Ic 카드 시트를 구성하는 각 시트를 펀칭하기 위한 듀얼프레스 펀칭 장치
CN111869342A (zh) 元件安装装置
JP6398443B2 (ja) 発光素子の相対位置の判断装置及び発光基板の製造装置並びに発光素子の相対位置の判断方法及び発光基板の製造装置
JP5421885B2 (ja) 部品実装方法、および、部品実装機
JP2007048975A (ja) セラミック基板の分割装置及び分割方法
JP7417849B2 (ja) ワーク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取得方法
US10446501B2 (en) Semiconductor device, method of positioning semiconductor device, and positioning apparatus for semiconductor device
JP2006253249A (ja) 基板マーク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