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611A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6611A
KR20180006611A KR1020170083581A KR20170083581A KR20180006611A KR 20180006611 A KR20180006611 A KR 20180006611A KR 1020170083581 A KR1020170083581 A KR 1020170083581A KR 20170083581 A KR20170083581 A KR 20170083581A KR 20180006611 A KR20180006611 A KR 20180006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tribution
lamp
pair
distribution patter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439B1 (ko
Inventor
미츠유키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8000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illuminating the way asymme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6Lase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8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types or sha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21Optical layout thereof the reflector being a surface of revolution or a planar surface, e.g. trun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2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for adaptation between right-hand and left-hand traff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2Road surface or travel path
    • B60Q2300/322Road curv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1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2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oncoming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 F21W2102/14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having vertical cut-off lines; specially adapted for adaptive high beams, i.e. wherein the beam is broader but avoids glaring other road 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등기구 모듈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각 등기구 모듈을,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제1 등기구 유닛과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제2 등기구 유닛으로 구성하는 가운데, 각 제1 등기구 유닛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제1 배광 패턴(PL1, PR1)을 형성함과 더불어, 각 제2 등기구 유닛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제1 배광 패턴(PL1, PR1)보다도 밝고 작은 제2 배광 패턴(PL2, PR2)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 때,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PL1, PR1)을 좌우 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한 쌍의 제2 배광 패턴(PL2, PR2)을,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PL1, PR1) 사이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시킴과 더불어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PL1, PR1)과 부분적으로 중첩시킨 상태로 형성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LE LAMP}
본원발명은, 한 쌍의 등기구 모듈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용 등기구의 구성으로서, 한 쌍의 등기구 모듈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차량용 등기구로서, 각 등기구 모듈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40661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를 채용함으로써,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을 일체적으로 혹은 분리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대향 차량 운전자나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은, 모두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등기구 모듈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양자를 부분적으로 중첩시켰다고 해도 그 최대 광도를 충분히 높일 수는 없으며, 따라서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높이는 데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원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한 쌍의 등기구 모듈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각 등기구 모듈로서 2개의 등기구 유닛을 구비한 구성으로 한 후에, 양 등기구 유닛의 구성에 연구를 행함으로써, 상기 목적 달성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원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는,
한 쌍의 등기구 모듈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 등기구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제1 등기구 유닛과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제2 등기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등기구 유닛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가로로 긴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제2 등기구 유닛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상기 제1 배광 패턴보다도 작고 밝은 제2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등기구 모듈에 있어서의 제1 등기구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1 배광 패턴을, 좌우 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두고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등기구 모듈에 있어서의 제2 등기구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2 배광 패턴을, 상기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 사이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시킴과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과 부분적으로 중첩시킨 상태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각 레이저 다이오드는,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은, 그 자체로 하이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고, 하이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할 때에 로우빔용 배광 패턴에 대하여 부가되는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 상호 간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하 2단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나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는 구성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는, 한 쌍의 등기구 모듈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지만, 각 등기구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제1 등기구 유닛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가로로 긴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함과 더불어,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제2 등기구 유닛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제1 배광 패턴보다도 작고 밝은 제2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에 있어서 제2 배광 패턴이 형성되는 부분의 밝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때, 한 쌍의 등기구 모듈에 있어서의 제1 등기구 유닛은,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을 좌우 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두고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한편, 한 쌍의 등기구 모듈에 있어서의 제2 등기구 유닛은, 한 쌍의 제2 배광 패턴을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 사이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시킴과 더불어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과 부분적으로 중첩시킨 상태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각 발광 다이오드 및 각 레이저 다이오드는 선택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각 발광 다이오드 및 각 레이저 다이오드를 전부 점등시킴으로써, 좌우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제2 배광 패턴에 의해 단일의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 이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은, 좌우 방향의 중심부가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 전방 주행로를 폭넓게 조사하도록 한 뒤에 그 원방 영역을 밝게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주행 상황에 따라 각 발광 다이오드 및 각 레이저 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소등하여, 상기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의 일부가 누락된 배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대향 차량 운전자나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등기구 모듈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본원발명에 따르면, 각 등기구 모듈로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할 필요없이 상기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등기구 구성을 저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 등기구 모듈의 제1 등기구 유닛으로서, 각 제1 배광 패턴을,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의 중심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오프 라인을 갖는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면,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 등기구 모듈의 제2 등기구 유닛으로서, 각 제2 배광 패턴을 각 제1 배광 패턴의 하단 가장자리 근처의 위치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면, 차량 전방 주행로의 근거리 영역이 지나치게 밝아져 버리지 않도록 하는 가운데,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 등기구 모듈로서,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이 좌우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차량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 전방 주행로를 폭넓게 조사하거나, 원방 시인성을 높이거나, 대향 차량 운전자나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높이거나 하는 것이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의 (a)는 도 1의 IIa-IIa선 단면도, (b)는 도 1의 IIb-IIb선 단면도.
도 3의 (a)는 상기 차량용 등기구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을 투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b), (c)는 상기 하이빔용 배광 패턴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기 하이빔용 배광 패턴의 일부가 누락된 2종류의 배광 패턴을 투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원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2종류의 하이빔용 배광 패턴을 투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원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원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차량용 등기구(10)는, 좌우 한 쌍의 등기구 모듈(20L, 20R)과, 컨트롤 유닛(50)과, 차량 전방의 광경을 촬상하기 위한 차량 탑재 카메라(52)와, 차속 센서(54)와, 조향각 센서(56)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좌우 한 쌍의 등기구 모듈(20L, 20R)은, 차량 전단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등기구 모듈로서, 좌우 대칭의 구성을 갖는다. 각 등기구 모듈(20L, 20R)은, 도시하지 않은 램프 보디 및 투광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등실 내에 수용된다.
각 등기구 모듈(20L, 20R)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과,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4)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컨트롤 유닛(50)에는, 차량 탑재 카메라(52)로 촬상되는 화상 데이터의 신호와, 차속 센서(54)로부터의 차속 신호와, 조향각 센서(56)로부터의 조향각 신호가 입력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컨트롤 유닛(50)은, 이들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각 등기구 모듈(20L, 20R)의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의 점소등 제어를 개별로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등기구 모듈(20L, 20R)은 좌우 대칭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에 있어서는 좌측(등기구 정면에서 볼 때에는 우측)의 등기구 모듈(20L)의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a)는 도 1의 IIa-IIa선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의 IIb-IIb선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은, 모두 파라볼라형 등기구 유닛으로 구성된다.
즉, 제1 등기구 유닛(22A)은, 광원으로서의 발광 다이오드(32A)와, 이 발광 다이오드(32A)로부터의 출사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34A)와, 이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36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발광 다이오드(32A)는, 가로로 긴 직사각 형상의 발광면(32Aa)을 갖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서, 그 발광면(32Aa)을 위로 한 상태로 배치된다.
리플렉터(34A)는, 발광 다이오드(32A)를 상방측에서 덮도록 배치된다. 이 리플렉터(34A)의 반사면(34Aa)은, 복수의 반사 소자(34As)로 구성되고,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34As)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32A)로부터의 광을 반사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 부재(36A)는,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구성된다.
한편, 제2 등기구 유닛(22B)은, 광원으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32B)와, 이 레이저 다이오드(32B)로부터의 출사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34B)와, 이들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36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레이저 다이오드(32B)는, 레이저광 발생원(32B1)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에 의해 백색광을 발광하는 형광체로 구성되고, 그 발광면(32Ba)은 위를 향해 배치된다.
리플렉터(34B)는, 레이저 다이오드(32B)를 상방측에서 덮도록 배치된다. 이 리플렉터(34B)의 반사면(34Ba)은, 복수의 반사 소자(34Bs)로 구성되고, 이들 복수의 반사 소자(34Bs)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32B)로부터의 광을 반사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 부재(36B)는, 수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로서 구성된다. 이 베이스 부재(36B)에는, 레이저광 발생원(32B1)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을 형광체에 조사하기 위한 개구부(36Ba)가 형성된다.
도 3의 (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로부터 전방으로 조사되는 광에 의해, 차량 전방 25 m 위치에 배치되는 가상 수직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을 투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 (c)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은,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PL, PR)을 부분적으로 중첩시킨 합성 배광 패턴으로서, 각 등기구 모듈(20L, 20R)의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의 발광 다이오드(32A) 및 레이저 다이오드(32B))이 전부 점등되는 상태에서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배광 패턴(PL)은, 좌측의 등기구 모듈(20L)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으로서, 그 제1 등기구 유닛(22A)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배광 패턴(PL1)과, 그 제2 등기구 유닛(22B)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배광 패턴(PL2)의 합성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제1 배광 패턴(PL1)은, 등기구 정면 방향의 소점(消點)인 H-V를 지나는 수직선인 V-V선보다도 좌측의 공간에서 상하 방향보다도 좌우 방향으로 크게 넓어지는 가로로 긴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이 제1 배광 패턴(PL1)은,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H-V를 지나는 수평선인 H-H선에 대하여 하방측보다도 상방측으로 크게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 제1 배광 패턴(PL1)의 우단 가장자리(즉 V-V선 근처의 단 가장자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오프 라인(CLL)으로서 형성된다. 이 컷오프 라인(CLL)은, V-V선으로부터 약간 좌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2 배광 패턴(PL2)은, 제1 배광 패턴(PL1)보다도 작고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상기 제1 배광 패턴(PL1)과 부분적으로 중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 제2 배광 패턴(PL2)은, 약간 가로로 긴 스폿형의 배광 패턴으로서, 제1 배광 패턴(PL1)의 하단 가장자리 근처의 위치에서 그 컷오프 라인(CLL) 및 V-V선을 좌우 방향으로 걸치도록 하여 형성된다.
그 때, 이 제2 배광 패턴(PL2)은, H-H선에 대하여 상하 거의 균등하게 넓어짐과 더불어, 그 하단 가장자리가 제1 배광 패턴(PL1)의 하단 가장자리와 거의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 제2 배광 패턴(PL2)은, 그 거의 우측 절반이 제1 배광 패턴(PL1)의 컷오프 라인(CLL)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고, 그 우측 돌출량은 컷오프 라인(CLL)과 V-V선과의 간격의 2배보다 약간 큰 값으로 설정된다.
이 제2 배광 패턴(PL2)은, 제2 등기구 유닛(22B)의 광원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32B)가 이용되기 때문에, 매우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배광 패턴(PR)은, 우측의 등기구 모듈(20R)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으로서, 그 제1 등기구 유닛(22A)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배광 패턴(PR1)과, 그 제2 등기구 유닛(22B)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배광 패턴(PR2)의 합성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제1 배광 패턴(PR1)은, V-V선에 관하여 제1 배광 패턴(PL1)과 좌우 대칭의 형상 및 광도 분포로 형성된다.
즉, 이 제1 배광 패턴(PR1)은, 그 좌단 가장자리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오프 라인(CLR)으로서 형성되고, 이 컷오프 라인(CLR)은 V-V선으로부터 약간 우측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배광 패턴(PR2)은, V-V선에 대해서 제2 배광 패턴(PL2)과 좌우 대칭의 형상 및 광도 분포로 형성된다.
즉, 이 제2 배광 패턴(PR2)은, 제1 배광 패턴(PR1)보다도 작고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상기 제1 배광 패턴(PR1)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상태로 형성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은,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PL, PR)이 부분적으로 중첩됨으로써, V-V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측으로 넓어지는 가로로 긴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된다.
그 때, 이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PL, PR)의 제2 배광 패턴(PL2, PR2)이 서로 절반 정도 중첩되고, 또한 각 제2 배광 패턴(PL2, PR2)의 단부가 다른 쪽의 각 제1 배광 패턴(PR1, PL1)과 중첩된다.
이에 따라,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은, H-V를 중심으로 하는 매우 밝은 고광도 영역(HZ)을 갖는 가로로 긴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자차 운전자의 원방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4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의 일부가 누락된 2종류의 배광 패턴(PM1, PM2)을 투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배광 패턴(PM1)은, 각 등기구 모듈(20L, 20R)의 제1 등기구 유닛(22A)은 점등한 상태에서 각 등기구 모듈(20L, 20R)의 제2 등기구 유닛(22B)이 소등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배광 패턴으로서,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에 대하여 각 배광 패턴(PL, PR)의 제2 배광 패턴(PL2, PR2)이 누락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 배광 패턴(PM1)은, 좌우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PL1, PR1)에 의해서만 형성되고, 그 컷오프 라인(CLL, CLR) 사이에 놓여진 영역은 암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 전방 주행로에 선행 차량(2)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선행 차량(2)은 조사하지 않고 그 좌우 양측의 영역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선행 차량(2)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배광 패턴(PM2)은, 좌측의 등기구 모듈(20L)의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은 점등한 상태에서 우측의 등기구 모듈(20R)의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이 소등되었을 때에 형성되는 배광 패턴으로서,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에 대하여 우측의 배광 패턴(PR)이 누락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 배광 패턴(PM1)은, 좌측의 배광 패턴(PL)에 의해서만 형성되고, 그것보다도 우측의 영역은 암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량 전방 주행로에 대향 차량(4)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대향 차량(4)은 조사하지 않고, 그 좌측의 영역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대향 차량(4)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때, 차량 전방 주행로는, 좌측의 배광 패턴(PL)의 제2 배광 패턴(PL2)에 의해 H-V의 근방 영역이 밝게 조사되기 때문에, 자차 운전자의 원방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선행 차량(2)이나 대향 차량(4)의 위치 검출은, 컨트롤 유닛(50)에 있어서, 차량 탑재 카메라(52)로부터 입력되는 선행 차량(2)이나 대향 차량(4)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행 차량(2)이나 대향 차량(4)의 폭 및 그 중심 위치 등을 산출함으로써 행해지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컨트롤 유닛(50)은, 이 위치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각 등기구 모듈(20L, 20R)의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의 발광 다이오드(32A) 및 레이저 다이오드(32B))의 점소등 제어를 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한 쌍의 등기구 모듈(20L, 20R)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PL, PR)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지만, 각 등기구 모듈(20L, 20R)은, 발광 다이오드(32A)를 광원으로 하는 제1 등기구 유닛(22A)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가로로 긴 제1 배광 패턴(PL1, PR1)을 형성함과 더불어, 레이저 다이오드(32B)를 광원으로 하는 제2 등기구 유닛(22B)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제1 배광 패턴(PL1, PR1)보다도 작고 밝은 제2 배광 패턴(PL2, PR2)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PL, PR)에 있어서 제2 배광 패턴(PL2, PR2)이 형성되는 부분의 밝기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때, 한 쌍의 등기구 모듈(20L, 20R)에 있어서의 제1 등기구 유닛(22A)은,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PL1, PR1)을 좌우 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두고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한편, 한 쌍의 등기구 모듈(20L, 20R)에 있어서의 제2 등기구 유닛(22B)은, 한 쌍의 제2 배광 패턴(PL2, PR2)을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PL1, PR1) 사이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시킴과 더불어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PL1, PR1)과 부분적으로 중첩시킨 상태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각 발광 다이오드(32A) 및 각 레이저 다이오드(32B)는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각 발광 다이오드(32A) 및 각 레이저 다이오드(32B)를 전부 점등시킴으로써, 좌우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PL1, PR1)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제2 배광 패턴(PL2, PR2)에 의해 단일의 가로로 긴 배광 패턴인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 이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은, 좌우 방향의 중심부가 밝은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차량 전방 주행로를 폭넓게 조사하도록 하는 가운데 그 원방 영역을 밝게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주행 상황에 따라 각 발광 다이오드(32A) 및 각 레이저 다이오드(32B)를 선택적으로 소등하고,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의 일부가 누락된 배광 패턴(PM1, PM2) 등을 형성함으로써, 대향 차량 운전자나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등기구 모듈(20L, 20R)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PL, PR)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10)에 있어서,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등기구 모듈(20L, 20R)로서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등기구 구성을 저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등기구 모듈(20L, 20R)의 제1 등기구 유닛(22A)이, 각 제1 배광 패턴(PL1, PR1)을, V-V선측에(즉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PL, PR)의 중심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오프 라인(CLL, CLR)을 갖는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등기구 모듈(20L, 20R)의 제2 등기구 유닛(22B)이, 각 제2 배광 패턴(PL2, PR2)을 각 제1 배광 패턴(PL1, PR1)의 하단 가장자리 근처의 위치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 전방 주행로의 근거리 영역이 지나치게 밝아져 버리지 않도록 하는 가운데,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등기구 모듈(20L, 20R)의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이 모두 파라볼라형 등기구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그 중의 한쪽 또는 양쪽을 다른 종류의 등기구 유닛(예컨대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이나 직사형 등기구 유닛)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한 쌍의 등기구 모듈(20L, 20R)이 차량 전단부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외의 배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차량 탑재 카메라(52), 차속 센서(54) 및 조향각 센서(56)가 컨트롤 유닛(50)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들에 부가하여 내비게이션 장치가 컨트롤 유닛(50)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여, 그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의 점소등 제어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본원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1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차량용 등기구(110)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와 동일하지만, 각 등기구 모듈(120L, 120R)의 구성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일부 상이하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각 등기구 모듈(120L, 120R)은, 그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의 구성 자체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24)이 회동 기구(126)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등기구 모듈(120L, 120R)은, 그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이 지지 프레임(124)과 함께 회동 기구(126)에 의해 수직 축선(Ax) 둘레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각 등기구 모듈(120L, 120R)의 회동 기구(126)는, 컨트롤 유닛(50)에 입력되는 차량 탑재 카메라(52), 차속 센서(54) 및 조향각 센서(5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컨트롤 유닛(50)에 의해 개별로 구동 제어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6은 차량용 등기구(110)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2종류의 하이빔용 배광 패턴(PH2, PH3)을 투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하이빔용 배광 패턴(PH2)은, 도 3의 (a)에 도시된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에 대하여,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PL, PR)이 V-V선 근처로 변위된 배광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 하이빔용 배광 패턴(PH2)은, 이것을 구성하는 각 배광 패턴(PL, PR)의 형상 자체에 대해서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좌측의 배광 패턴(PL)은, 그 제1 배광 패턴(PL1)의 컷오프 라인(CLL)이 V-V선으로부터 약간 우측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하도록 우측 방향으로 변위되고, 또한, 우측의 배광 패턴(PR)은, 그 제1 배광 패턴(PR1)의 컷오프 라인(CLR)이 V-V선으로부터 약간 좌측으로 떨어진 곳에 위치하도록 좌측 방향으로 변위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등기구 모듈(120L, 120R)의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이 차량 정면 방향을 향한 상태(즉 회동 기구(126)를 구동하지 않는 상태)(이하 「기준 상태」라고 함)로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PL, PR)에 의해,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이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하이빔용 배광 패턴용 배광 패턴(PH2)은, 좌측의 등기구 모듈(120L)의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을 기준 상태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다소 회동시킴과 더불어 우측의 등기구 모듈(120L)의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을 기준 상태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회동시킴으로써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하이빔용 배광 패턴(PH2)은,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에 비해 좌우 방향의 전체적인 넓이는 작아지지만,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PL, PR)의 중첩 정도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에 비해 커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하이빔용 배광 패턴(PH2)은, H-V를 중심으로 하는 고광도 영역(HZ)의 좌우 폭이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의 경우보다도 커진다.
이러한 하이빔용 배광 패턴(PH2)을 형성함으로써, 차량 전방 주행로의 원방 영역을 한층 더 밝게 조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속 주행시 등에 있어서의 자차 운전자의 원방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하이빔용 배광 패턴(PH3)은, 도 3의 (a)에 도시된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을 전체적으로 우측 방향으로 변위시킨 배광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 하이빔용 배광 패턴(PH3)은, 이것을 구성하는 각 배광 패턴(PL, PR)의 형상 및 그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그 고광도 영역(HZ)이 V-V선으로부터 상당히 우측으로 떨어진 위치로 변위된다.
이 하이빔용 배광 패턴(PH3)은, 각 등기구 모듈(120L, 120R)의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을 기준 상태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크게 회동시킴으로써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이빔용 배광 패턴(PH3)을 형성함으로써, 차량 전방 주행로가 우측으로 굽은 경우에도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때, 차량 주행 상황에 따라 각 발광 다이오드(32A) 및 각 레이저 다이오드(32B)를 선택적으로 소등하여, 하이빔용 배광 패턴(PH3)의 일부가 누락된 배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대향 차량 운전자나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즉, 각 등기구 모듈(120L, 120R)은, 그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22A, 22B)이 좌우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차량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 전방 주행로를 폭넓게 조사하거나, 원방 시인성을 높이거나, 대향 차량 운전자나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주지 않고 자차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높이거나 하는 것도 용이하게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원으로서 나타낸 수치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들을 적절하게 다른 값으로 설정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의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2 : 선행 차량 4 : 대향 차량
10, 110 : 차량용 등기구 20L, 20R, 120L, 120R : 등기구 모듈
22A : 제1 등기구 유닛 22B : 제2 등기구 유닛
24, 124 : 지지 프레임 32A : 발광 다이오드
32Aa, 32Ba : 발광면 32B : 레이저 다이오드
32B1 : 레이저광 발생원 34A, 34B : 리플렉터
34Aa, 34Ba : 반사면 34As, 34Bs : 반사 소자
36A, 36B : 베이스 부재 36Ba : 개구부
50 : 컨트롤 유닛 52 : 차량 탑재 카메라
54 : 차속 센서 56 : 조향각 센서
126 : 회동 기구 Ax : 수직 축선
CLL, CLR : 컷오프 라인 HZ : 고광도 영역
PH1, PH2, PH3 : 하이빔용 배광 패턴 PL : 좌측의 배광 패턴
PL1, PR1 : 제1 배광 패턴 PL2, PR2 : 제2 배광 패턴
PM1, PM2 : 하이빔용 배광 패턴의 일부가 누락된 배광 패턴
PR : 우측의 배광 패턴

Claims (4)

  1. 한 쌍의 등기구 모듈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 등기구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제1 등기구 유닛과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제2 등기구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등기구 유닛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가로로 긴 제1 배광 패턴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제2 등기구 유닛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상기 제1 배광 패턴보다도 작고 밝은 제2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등기구 모듈에 있어서의 제1 등기구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1 배광 패턴을, 좌우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등기구 모듈에 있어서의 제2 등기구 유닛은, 한 쌍의 상기 제2 배광 패턴을, 상기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 사이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시킴과 더불어 상기 한 쌍의 제1 배광 패턴과 부분적으로 중첩시킨 상태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각 레이저 다이오드는, 선택적으로 점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등기구 모듈의 제1 등기구 유닛은, 상기 각 제1 배광 패턴으로서, 상기 좌우 한 쌍의 배광 패턴의 중심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컷오프 라인을 갖는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등기구 모듈의 제2 등기구 유닛은, 상기 각 제2 배광 패턴을 상기 각 제1 배광 패턴의 하단 가장자리 근처의 위치에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등기구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등기구 유닛이 좌우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KR1020170083581A 2016-07-08 2017-06-30 차량용 등기구 KR102007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35708A JP2018006283A (ja) 2016-07-08 2016-07-08 車両用灯具
JPJP-P-2016-135708 2016-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611A true KR20180006611A (ko) 2018-01-18
KR102007439B1 KR102007439B1 (ko) 2019-08-05

Family

ID=6089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581A KR102007439B1 (ko) 2016-07-08 2017-06-30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72808B2 (ko)
JP (1) JP2018006283A (ko)
KR (1) KR102007439B1 (ko)
CN (1) CN1076065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8450B2 (en) 2012-03-15 2016-10-04 Flodesign Sonics, Inc. Acoustophoretic separation technology using multi-dimensional standing waves
US10704021B2 (en) 2012-03-15 2020-07-07 Flodesign Sonics, Inc. Acoustic perfusion devices
US11459540B2 (en) 2015-07-28 2022-10-04 Flodesign Sonics, Inc. Expanded bed affinity selection
US11474085B2 (en) 2015-07-28 2022-10-18 Flodesign Sonics, Inc. Expanded bed affinity selection
US11085035B2 (en) 2016-05-03 2021-08-10 Flodesign Sonics, Inc. Therapeutic cell washing,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utilizing acoustophoresis
DE102017004562A1 (de) 2017-05-14 2018-11-15 Docter Optics S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ikroprojektors und eines Projektionsdisplays
CN110285381A (zh) * 2018-03-19 2019-09-27 深圳市绎立锐光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光源模组以及车用前照灯
WO2021085220A1 (ja) * 2019-10-30 2021-05-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0661A (ja) 2008-12-09 2010-06-24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JP2010137693A (ja) * 2008-12-11 2010-06-24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12022988A (ja) * 2010-07-16 2012-02-02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US20160185276A1 (en) * 2014-12-25 2016-06-30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KR20160077726A (ko) * 2014-12-24 2016-07-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9317A (ja) * 2001-08-09 2003-02-28 Koito Mfg Co Ltd 車輌用前照灯装置
JP4392786B2 (ja) * 2003-11-04 2010-01-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2005297821A (ja) * 2004-04-13 2005-10-27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システム
JP4782051B2 (ja) * 2007-03-15 2011-09-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二輪車用前照灯
US8488231B2 (en) 2009-06-03 2013-07-16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Generator of polarization entangled photon pairs and method of generating the same
JP5716320B2 (ja) * 2010-08-26 2015-05-13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JP2012054141A (ja) * 2010-09-02 2012-03-15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JP2012074262A (ja) * 2010-09-29 2012-04-12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の制御装置
JP5680993B2 (ja) * 2011-02-28 2015-03-0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照明灯具
JP2013047091A (ja) * 2011-07-25 2013-03-07 Sharp Corp 照明装置および当該照明装置を備えた車両用前照灯
CN105650573B (zh) * 2011-09-07 2018-08-28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致动器以及车辆用前照灯
JP6051533B2 (ja) * 2012-02-02 2016-12-27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JP6058344B2 (ja) * 2012-10-12 2017-01-1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
JP5969953B2 (ja) * 2013-05-31 2016-08-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成膜装置
JP6271181B2 (ja) * 2013-08-06 2018-01-3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6328501B2 (ja) * 2014-06-27 2018-05-23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の制御システム
JP2016107880A (ja) * 2014-12-08 2016-06-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KR101819000B1 (ko) * 2015-05-12 2018-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0661A (ja) 2008-12-09 2010-06-24 Koito Mfg Co Ltd 車両用照明灯具
JP2010137693A (ja) * 2008-12-11 2010-06-24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12022988A (ja) * 2010-07-16 2012-02-02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KR20160077726A (ko) * 2014-12-24 2016-07-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장치
US20160185276A1 (en) * 2014-12-25 2016-06-30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439B1 (ko) 2019-08-05
CN107606579A (zh) 2018-01-19
US20180010758A1 (en) 2018-01-11
CN107606579B (zh) 2020-03-27
JP2018006283A (ja) 2018-01-11
US10072808B2 (en)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6611A (ko) 차량용 등기구
JP4995748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及び車両用前照灯装置の制御方法
JP5133862B2 (ja) 車両用照明灯具
US7824086B2 (en) Lamp unit for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US20170227184A1 (en) Vehicle lamp
JP4873584B2 (ja) 種々異なる特性を有する光束を生ぜしめるための、車両用の前照灯装置
JP6741438B2 (ja) 車両用灯具
JP6514510B2 (ja) 車両用灯具
KR20160029701A (ko) 차량용 등기구
JP6980377B2 (ja) 車両用前照灯
JP6857490B2 (ja) 車両用前照灯
JP5467917B2 (ja) 車両用照明灯具
CN110869667B (zh) 灯具单元及车辆用前照灯
JP6019769B2 (ja) 車両用前照灯
US20120275175A1 (en) Vehicle lamp generating superimposed light spots
JP2010140663A (ja) 車両用照明灯具
US10962188B2 (en) Vehicle lamp
JP2013147111A (ja) 車両用前照灯の点灯制御装置、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7406357B2 (ja) 車両用灯具
WO2023063137A1 (ja) 車両用灯具
JP5702597B2 (ja) 車両用照明灯具
JP2024044650A (ja) 描画用灯具
CN117999436A (zh) 车辆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